KR20130119238A - 장착 감지 구조 및 이를 구비하는 가습기 - Google Patents

장착 감지 구조 및 이를 구비하는 가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9238A
KR20130119238A KR1020120042242A KR20120042242A KR20130119238A KR 20130119238 A KR20130119238 A KR 20130119238A KR 1020120042242 A KR1020120042242 A KR 1020120042242A KR 20120042242 A KR20120042242 A KR 20120042242A KR 20130119238 A KR20130119238 A KR 201301192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magnetic
sensor
bucket
humidif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22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준형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422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19238A/ko
Publication of KR201301192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92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8Air-humidifier with water reservo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착 감지 구조 및 이를 구비하는 가습기를 제공한다.
상기 장착 감지 구조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일측에 결합되며 자성부가 구비된 제1부재와 상기 하우징 타측에 장착되는 제 2부재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부재가 상기 하우징에 장착시 상기 제2부재의 일측에 접촉하여 이동되어 상기 제1부재에 구비된 상기 자성부의 자성이 미치는 범위 내로 근접할 때 상기 자성부의 자성을 감지하는 감지부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발명에 의하면 물통과 덮개부의 장착 여부를 하나의 센서와 자성부로 확인할 수 있게 되어 제품 생산 비용이 감소되고, 가습기 작동 전에 쉽게 장착 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장착 감지 구조 및 이를 구비하는 가습기 {STRUCTURE FOR DETECTING INSTALLATION AND HUMIDIFIE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장착 감지 구조 및 이를 구비하는 가습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하나의 자성부와 이를 감지하는 센서를 이용하여 덮개부와 물통 모두의 장착 여부에 대한 감지가 가능하며, 이를 통해 비용 절감이 가능한 장착 감지 구조 및 이를 구비하는 가습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습기는 실내의 습도를 높이기 위해 인공적으로 습기를 생성 분무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가습기는 습기의 생성 방법에 따라 수조에 저장된 물을 소정 온도로 가열시킴으로써 발생되는 수증기를 실내로 자연 분무시키는 방식인 가열식 가습기와, 수조에 저장된 물을 초음파 진동시켜 미세화된 물 입자를 실내로 분무시키는 방식인 초음파식 가습기와, 가열식 가습방식과 초음파식 가습방식이 동시에 구비된 복합식 가습기 등으로 구분된다.
최근에는, 수조에 흡습부재를 침지시킨 후 흡습부재 상부측으로 이동한 물을 송풍에 의하여 기화시키거나, 다수의 디스크의 일부분을 수조에 침지시킨 상태에서 회전시킴으로써 디스크 표면에 부착된 물을 송풍에 의하여 기화시키는 등의 방식을 사용하는 자연식 가습기도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가습기는 하우징 내부에 위치한 수조에 물을 공급하는 물통을 구비하고,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어 있는 송풍기, 물통 등을 둘러싸는 덮개부가 마련되어 있다.
한편, 종래 가습기에서는 물통과 덮개부의 분리 또는 체결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자력을 감지하는 센서, 예를 들어, 리드센서를 사용하였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종래의 가습기는 덮개부 일측에 자석이 설치되고 본체 하우징 중심에 센서가 설치되어 덮개부가 본체 하우징과 결합되는 경우 상기 자석이 센서를 향하여 접근하고 이에 따라 센서가 반응하여 체결 여부를 확인하는 방식을 사용하였다.
또한, 물통의 경우에도 물통의 일측에 자석을 설치하고 물통이 장착되는 하우징 일측에 센서를 배치하여 물통이 장착되는 경우에 상기 자석이 센서에 접근하여 같은 원리로 물통이 본체 하우징에 장착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방식을 사용하였다.
이와 같이, 종래의 가습기의 경우에는 덮개부의 결합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자석 및 상기 센서와, 물통의 체결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자석과 센서가 각각 분리되어 설치되어 있으므로 자석과 센서의 설치를 위한 작업이 복잡하고 제조 비용이 증대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으로서 하나의 자성부와 센서로 복수개의 부재의 장착 여
부를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는 장착 감지 구조 및 이를 구비하는 가습기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사용되는 자성부, 센서의 개수를 감소시켜 생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착 감지 구조 및 이를 구비하는 가습기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결합되며 자성부가 구비된 제1부재,와 상기 하우징 타측에 장착되는 제2부재,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부재가 상기 하우징에 장착시 상기 제2부재의 일측에 접촉하여 이동되어 상기 제1부재에 구비된 상기 자성부의 자성이 미치는 범위 내로 근접할 때 상기 자성부의 자성을 감지하는 감지부가 포함되는 장착 감지 구조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감지부는 상기 하우징 내부의 일측에 고정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내부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제2부재가 하우징 내부에 장착시 일측이 상기 제2부재에 접촉되어 상기 고정부의 내부 공간에서 이동하는 이동부 및 상기 이동부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이동부의 이동에 따라 대응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며, 상기 자성부의 자성을 감지하는 센서로 마련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제2부재의 분리시 상기 이동부에 복원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이동부의 일 단부에 탄성 부재가 연결되며, 상기 고정부는 일측에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이동부가 상기 탄성 부재의 복원력으로부터 상기 고정부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이동부에는 상측으로 연장되는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개구에 삽입된 후 상기 개구 내부에서 이동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2부재를 상기 하우징에 장착시 상기 자성부의 자력이 미치는 범위 내로 센서가 이동되고, 상기 제2부재를 상기 하우징에서 분리시 상기 자성부의 자력이 미치는 범위 외부로 센서가 이동되도록, 상기 개구는 상기 고정부의 상측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전술한 장착 감지 구조 및 수조를 갖는 가습기에 있어서, 상기 제1부재는 덮개부, 상기 제2부재는 물통으로 구성되고, 상기 물통은 상기 하우징에서 수조에 결합되며 상기 덮개부와 상기 물통의 장착 여부를 감지하는 장착 감지구조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장착 감지 구조에 의하면, 복수개의 부재, 예를 들면 덮개부와 물통의 장착 여부를 간편하게 하나의 자성부와 센서로 확인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덮개부와 물통에 각각 구비되는 자성부와 센서의 개수가 감소되어 제품 생산 비용이 감소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착 감지 구조를 구비한 가습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성부를 구비한 덮개부의 사시도.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착 감지 구조가 구비된 하우징의 정면도.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장착 감지 구조가 구비된 하우징의 측면도.
도 4(a) 및 도 4(b)는 자성부 감지를 위한 감지부의 동작을 도시한 사시도.
도 4(c)는 도 4(a)의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인 장착 감지 구조(100) 및 이를 구비하는 가습기(200)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적합한 실시예들이다. 다만, 본 발명은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어 적용되거나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장착 감지 구조(100)는 하우징(110)과, 상기 하우징(110)에 결합되며 자성부(130)가 구비된 제1부재와, 하우징(110) 내부에 구비된 수조(160)의 일측에 장착되는 제2부재, 및 상기 제2부재가 하우징(110) 내부에 장착시에 상기 제2부재의 일측에 접촉하여 이동되며 자성부(130)의 자성이 미치는 범위 내로 근접할 때 상기 자성부(130)의 자성을 감지하는 감지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가습기(200)를 예로들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장착 감지 구조(100)는 가습기(200)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가습기(200)의 경우, 상기 제1부재는 하우징(110)의 일측면을 덮는 덮개부(120), 제2부재는 가습기(200)에 물을 공급하는 물통(140)으로 구성될 수 있고,이와 반대로 제1부재가 물통(140), 제2부재가 덮개부(120)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이는 단순히 가습기(200)의 덮개부와 물통으로 한정되지 않고 2가지 부품이 감지부에 의하여 동시에 장착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때도 해당될 수 있다.
상기 덮개부(120)는 상기 하우징(110) 내부의 부품을 교체하거나 세척 또는 하우징(110) 내부의 청소를 위해 이를 상기 하우징(110)의 일측에 위치하고 개폐가 가능하도록 부착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덮개부(120)는 안쪽면에 자성부(13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자성부(130)는 상기 하우징(110) 내부에 구비된 센서(153)와 자성이 미치는 일정한 거리 내에서 상기 센서(153)에 감지되며 상기 덮개부(120)가 상기 하우징(110)과 결합되어 있는지 여부의 확인이 가능해진다.
도 1, 도 3(a) 내지 도 3(b)를 참조하면, 상기 하우징(110) 내부에는 물공급을 위해 수조(160)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수조(160)의 일측에는 물통(140)이 장착되어 수조(160)에 물을 공급한다. 상기 물통(140)은 외부에서 물을 공급 받고 이를 상기 물통(140)과 연결되어 있는 상기 수조(160)에 제공한다.
상기 감지부(150)는 상기 하우징(110)의 일측에 고정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고정부(151)와, 상기 고정부(151)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물통(140)이 하우징(110) 내부에 장착시 일측이 상기 물통(140)에 접촉되어 상기 고정부(151)의 내부 공간에서 이동되는 이동부(152), 및 상기 이동부(152)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이동부(152)의 이동에 따라 동일 방향으로 이동되며 상기 자성부(130)의 자성을 감지하는 센서(15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도 4(a) 내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151)의 내부에는 상기 이동부(152)가 위치한다. 그리고, 상기 물통(140)은 상기 이동부(152)가 소정 범위 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이동부(152)의 일측에 접촉되어 상기 이동부(152)에 힘을 가하게 되며, 상기 물통(140)과 접촉되는 상기 하우징(110)의 일측에 고정된다.
상기 고정부(151)는 상기 하우징(110) 일측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이동부(152)는 상기 고정부(151) 내부에 위치하므로, 상기 이동부(152)는 상기 고정부(151) 내부에서 상기 고정부(151)를 따라 이동한다.
또한, 상기 센서(153)는 상기 이동부(152) 내부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이동부(152)의 이동에 따라 대응되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대응되는 방향이란 센서(153)가 상기 이동부(152)의 이동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의미한다.
즉, 상기 센서(153)가 구비된 상기 이동부(152)는 일측에 상기 물통(140)이 삽입될 때 물통(140)이 상기 이동부(152)를 가압하여 상기 이동부(152)가 상기 고정부(151) 내에서 이동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이동부(152) 내부의 상기 센서(153)가 상기 자성부(130)의 자성의 범위 내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센서(153)는 상기 자성부(130)의 자력에 반응할 수 있는 다양한 센서(153)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센서(153)는 리드센서(153)로 마련되어 상기 자성부(130)의 자성이 미치는 범위 내에 자력을 감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센서(153)는 상기 물통(140)이 상기 하우징(110)에 장착시 상기 자성부(130)의 자력이 미치는 범위 내로 이동되고, 상기 물통(140)이 제거될 때 자력이 미치는 범위 밖으로 이동된다.
이를 위해 상기 고정부(151)의 일측에는 개구(156)가 형성되고, 상기 이동부(152)의 일측에는 상기 개구(156)에 삽입되어 상기 이동부(152)의 이동을 소정 범위로 제한하는 돌출부(155)가 구비될 수 있다.
즉,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물통(140)이 삽입될 때, 상기 물통(140)은 상기 이동부(152)의 일측과 접촉하고, 상기 물통(140)이 상기 이동부(152)의 일측을 가압하여 상기 이동부(152)가 이동되고, 상기 이동부(152) 내부에 구비된 센서(153)도 동일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 경우, 상기 이동부(152) 내에 구비된 상기 센서(153)가 자력을 감지하기 위하여, 상기 돌출부(155)와 맞닿는 상기 개구(156)는 상기 센서(153)가 자성부(130)의 자력을 감지할 수 있는 범위 내로 이동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개구(156) 내에 삽입되고 이동부(152)의 상면에서 연장된 상기 돌출부(155)는 물통(140)이 장착되어서 이동부(152)가 이동할 때 이동부(152)와 동일 방향으로 이동하는 센서(153)는 자성 범위 내부로 들어갈 수 있도록, 상기 돌출부(155)는 상기 개구(156) 내부에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다.
또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물통(140)이 제거되었을 때 상기 개구(156)는 상기 이동부(152) 내의 상기 센서(153)가 자성부(130)의 자성이 감지되는 범위 밖에 위치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이동부(152)가 상기 물통(140)이 장착되기 전 위치로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이동부(152)의 끝단에 탄성 부재(154)가 연결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센서(153)는 상기 탄성 부재(154)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물통(140)이 장착될 때와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이동부(152)가 상기 고정부(151)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돌출부(155)가 상기 개구(156) 내에서 이동하고, 상기 개구(156)는 상기 센서(153)가 자력을 감지하지 못하는 범위에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장치 감지 구조(100)에는 상기 센서(153)에 의하여 자성이 감지되는지 여부를 상기 하우징(110) 외관에 표시할 수 있는 표시 장치(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덮개부(120)가 상기 하우징(110)과 결합되어 상기 센서(153)가 상기 자성부(130)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표시장치에 상기 덮개부(120)와 상기 물통(140)이 하우징(110)에 장착되었는지 여부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성부(130)를 상기 센서(153)가 감지하지 못하는 경우, 즉 상기 덮개부(120)가 상기 하우징(110)과 체결되지 않았거나 상기 물통(140)이 상기 하우징(110) 내부로 장착되지 않을 경우 상기 표시장치(미도시)에 상기 덮개부(120)와 상기 물통(140)이 하우징(110)에 장착되었는지 여부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수단 뿐만 아니라 상기 센서가 상기 자성부(130)를 감지하지 못한 경우에는 신호음을 발생하여 상기 물통(140)과 상기 덮개부(120)가 상기 하우징(110)에 장착되지 않았음을 나타낼 수 있는 음향 수단(미도시)을 이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장착 감지 구조(100)의 작용, 효과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물통(140)이 상기 하우징(110)에 장착되는 경우, 상기 물통(140)은 상기 감지부(150)에 포함된 상기 이동부(152)의 일측을 가압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상기 이동부(152)는 상기 고정부(151) 내부에서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이동부(152) 내부에 위치한 상기 센서(153)도 함께 이동하게 된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덮개부(120)에 구비된 상기 자성부(130)는 상기 덮개부(120)가 상기 하우징(11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자성부(130)의 자력을 감지하는 범위 내로 상기 센서(153)가 이동하게 되면 상기 물통(140)과 상기 덮개부(120)가 장착되는지 여부를 확인하게 된다.
이 때,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151)에 형성된 개구(156)에는 상기 이동부(152)의 상면에서 연장되어 돌출된 돌출부(155)가 삽입되며, 상기 돌출부(155)는 상기 개구(156) 내부에서 이동하게 된다.
상기 개구(156)는 상기 물통(140)이 장착되어 이동부(152)의 일측과 접촉하고 이에 따라 물통(140)이 이동부(152)를 가압하여 이동부(152)가 이동되고, 덮개부(120)가 하우징(110)에 결합될 때, 상기 덮개부(120)에 구비된 자성부(130)의 자성이 미치는 범위로 상기 센서(153)가 이동할 수 있도록 고정부(151)의 상측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덮개부(120)가 하우징(110)과 결합하고 물통(140)이 하우징(110)에 장착되는 경우, 상기 물통(140)이 상기 이동부(152)의 일단과 접촉하여 상기 이동부(152)를 가압하고, 상기 이동부(152)의 상기 돌출부(155)는 상기 개구(156)의 일단에 이르도록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이동부(152) 내부에 구비된 상기 센서(153)는 상기 덮개부(120)에 구비된 상기 자성부(130)의 자성을 감지하는 범위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물통(140)의 장착과 상기 덮개부(120)가 상기 하우징(110)에 결합되는지 여부는 상기 물통(140)과 상기 덮개부(120)에 각각 2개의 자성부(130)와 센서(153)를 설치할 필요없이 상기 물통(140)이 장착될 때 상기 물통(140)이 힘을 가하는 상기 감지부(150)와 상기 덮개부(120)에 위치한 상기 자성부(130)에 의한 1개의 상기 센서(153)와 상기 자성부(130)에 의하여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물통(140)이 상기 하우징(110)에 장착된 후에 상기 덮개부(120)가 결합되는 경우뿐만이 아니라 상기 덮개부(120)가 먼저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물통(140)이 상기 하우징(110)에 장착되는 경우에도, 상기 자성부(130)의 자성이 미치는 범위 내에 상기 감지부(150)의 상기 센서(153)가 위치하게 되어, 상기 감지부(150)의 상기 센서(153)는 상기 자성을 감지하여 상기 물통(140)과 상기 덮개부(120)의 장착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물통(140)과 상기 덮개부(120)가 장착되는 경우, 상기 센서(153)가 상기 자성부(130)를 감지하였음을 상기 하우징(110) 외부에 구비된 표시 장치(미도시)나 음향 장치(미도시)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상기 물통(140)과 상기 덮개부(120)의 결합 여부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물통(140)이 장착되는 경우라 하여도 상기 덮개부(120)가 하우징(110)과 결합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덮개부(120)에 구비된 자성을 상기 이동부(152)가 감지할 수 없기 때문에 상기 센서(153)가 작동하지 않게 된다.
또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물통(140)이 상기 하우징(110)으로부터 분리되는 경우에는 상기 자성부(130)의 자력이 미치는 범위 외부로 상기 센서(153)가 이동되도록 상기 이동부(152)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이동부(152)의 끝단에 탄성부재(154)가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물통(140)이 상기 하우징(110)에 장착될 때 상기 탄성 부재(154)에 생성된 복원력에 의하여 상기 이동부(152)가 이동하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물통(140)이 장착될 때와 반대 방향으로 상기 이동부(152)가 이동하게 된다.
상기 이동부(152)의 이동으로 인하여 상기 이동부(152) 내부에 구비된 상기 센서(153)도 함께 이동하게 되어 상기 자성부(130)의 자력이 미치는 범위 외부로 센서(153)가 이동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이동부(152)가 복원력에 의하여 물통(140)이 장착되는 경우와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될 때 상기 탄성부재(154)에 의하여 상기 이동부(152)가 고정부(151)로부터 이탈될 수 있고,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이동부(152)에는 상측으로 연장되는 돌출부(155)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155)는 상기 개구(156)에 삽입된 후 상기 개구(156) 내부에서 이동된다.
그 결과, 상기 이동부(152)는 상기 고정부(151)에서 이탈되지 않고 상기 덮개부(120)에 구비된 상기 자성부(130)의 자력이 미치는 범위 밖으로 이동하게 되어, 상기 이동부(152) 내에 위치한 상기 센서(153)도 함께 자력이 미치는 범위 밖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물통(140)이 제거되는 경우 이외에도 상기 덮개부(120)가 상기 하우징(110)과 결합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물통(140)이 장착되어 있다고 하여도 상기 덮개부(120)에 부착된 상기 자성부(130)를 상기 센서(153)가 감지하지 못하여 상기 물통(140)이 제거되는 경우와 같은 결과를 갖는다.
즉, 본 발명은 상기 물통(140) 뿐만 아니라 상기 덮개부(120)의 장착이 모두 이루어진 경우에 상기 자성부(130)의 자력을 센서(153)가 인식하게 된다.
그 결과, 본 발명에는 상기 물통(140)과 상기 덮개부(120)에 각각 구비되어야 했던 상기 자성부(130), 상기 센서(153)를 하나의 자성부(130)와 센서(153)를 사용하여 물통(140)과 덮개부(120)의 장착 여부를 확인할 수 있어 제품 생산 비용이 감소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장착 감지 구조(100)를 구비한 가습기(200)의 경우 하우징(110) 외관에 표시 장치나 음향 장치를 구비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물통(140)과 덮개부(120)의 장착을 확인한 후에 제품을 작동시키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지금까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 청구 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100: 장착 감지 구조 110: 하우징
120: 제1부재 130: 자성부
140: 제2부재 150: 감지부
151: 고정부 152: 이동부
153: 센서 154: 탄성부재
155: 돌출부 156: 개구
160: 수조 200:가습기

Claims (5)

  1.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결합되며 자성부가 구비된 제1부재;
    상기 하우징 타측에 장착되는 제2부재;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부재가 상기 하우징에 장착시 상기 제2부재의 일측에 접촉하여 이동되어 상기 제1부재에 구비된 상기 자성부의 자성이 미치는 범위 내로 근접할 때 상기 자성부의 자성을 감지하는 감지부;를 포함하는 장착 감지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하우징 내부의 일측에 고정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의 내부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제2부재가 하우징 내부에 장착시 일측이 상기 제2부재에 접촉되어 상기 고정부의 내부 공간에서 이동하는 이동부; 및
    상기 이동부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이동부의 이동에 따라 대응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며, 상기 자성부의 자성을 감지하는 센서;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 감지 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부재의 분리시 상기 이동부에 복원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이동부의 일 단부에 탄성 부재가 연결되며,
    상기 고정부는 일측에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이동부가 상기 탄성 부재의 복원력으로부터 상기 고정부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이동부에는 상측으로 연장되는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개구에 삽입된 후 상기 개구 내부에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감지 구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부재를 상기 하우징에 장착시 상기 자성부의 자력이 미치는 범위 내로 센서가 이동되고, 상기 제2부재를 상기 하우징에서 분리시 상기 자성부의 자력이 미치는 범위 외부로 센서가 이동되도록, 상기 개구는 상기 고정부의 상측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장착 감지 구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장치 감지 구조; 및 수조;를 갖는 가습기에 있어서,
    상기 제1부재는 덮개부, 상기 제2부재는 물통으로 구성되고, 상기 물통은 상기 하우징에서 수조에 결합되며 상기 덮개부와 상기 물통의 장착여부를 감지하는 장착 감지 구조를 포함하는 가습기.
KR1020120042242A 2012-04-23 2012-04-23 장착 감지 구조 및 이를 구비하는 가습기 KR2013011923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2242A KR20130119238A (ko) 2012-04-23 2012-04-23 장착 감지 구조 및 이를 구비하는 가습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2242A KR20130119238A (ko) 2012-04-23 2012-04-23 장착 감지 구조 및 이를 구비하는 가습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9238A true KR20130119238A (ko) 2013-10-31

Family

ID=496371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2242A KR20130119238A (ko) 2012-04-23 2012-04-23 장착 감지 구조 및 이를 구비하는 가습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1923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38690A1 (ko) * 2016-02-12 2017-08-17 (주)딘에어코리아 직수 연결형 가습기
KR20190015468A (ko) * 2016-06-06 2019-02-13 세브 에스.아. 제거 가능 저장조를 포함하는 헤어 스타일링 기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38690A1 (ko) * 2016-02-12 2017-08-17 (주)딘에어코리아 직수 연결형 가습기
KR20190015468A (ko) * 2016-06-06 2019-02-13 세브 에스.아. 제거 가능 저장조를 포함하는 헤어 스타일링 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3795558U (zh) 用于具有蓄水箱的马桶的非接触式致动***
JP7273871B2 (ja) 洗浄器
US20150115482A1 (en) Humidifier
JP6496369B2 (ja) 長さ測定装置
JP2009133861A (ja) 液漏れを検出するセンサ
JP3183518U (ja) 無線式温度・圧力センサ
CN104089639B (zh) 传感器电器盒
JP5908731B2 (ja) 空気調和機
KR20130119238A (ko) 장착 감지 구조 및 이를 구비하는 가습기
JP2016532977A (ja) 熱感知器
KR20150012991A (ko) 가습기
CN207372518U (zh) 一种发动机罩盖装配设备
KR20130019704A (ko) 창문청소용 로봇청소기와 그 제어방법
CN105051283A (zh) 包括触摸按钮的家用电器
KR101617096B1 (ko) 자석을 이용한 센서고정장치
CN204027589U (zh) 传感器电器盒
KR102087223B1 (ko) 정전용량형 수위 감지 장치
WO2017101699A1 (zh) 能够监测工作状态的风阀
JP3162080U (ja) 携帯型電子機器
CN207462015U (zh) 一种吸尘器尘盒保护装置
CN205631793U (zh) 室内设备的说明书及空调室内机的说明书
JP5293000B2 (ja) 転倒検知装置
CN210802349U (zh) 奶瓶清洗机及清洗机的上盖位置检测装置
CN221035123U (zh) 水箱液位检测结构、水箱及应用有该水箱的家用电器
KR102481500B1 (ko) 가습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