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09580A - 두 개의 휴대 단말기를 연결하기 위한 어댑터 - Google Patents

두 개의 휴대 단말기를 연결하기 위한 어댑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09580A
KR20130109580A KR1020120031428A KR20120031428A KR20130109580A KR 20130109580 A KR20130109580 A KR 20130109580A KR 1020120031428 A KR1020120031428 A KR 1020120031428A KR 20120031428 A KR20120031428 A KR 20120031428A KR 20130109580 A KR20130109580 A KR 201301095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able terminal
adapter
connector
terminal
inte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14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70704B1 (ko
Inventor
김현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314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0704B1/ko
Priority to PCT/KR2013/002297 priority patent/WO2013147448A1/en
Priority to US13/847,761 priority patent/US9083778B2/en
Priority to EP13160309.4A priority patent/EP2645681B1/en
Publication of KR201301095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95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07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07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6Intermediate parts for linking two coupling parts, e.g. adap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54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comprising one or a plurality of mechanically detachable modules
    • H04M1/0256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comprising one or a plurality of mechanically detachable modules wherein the modules are operable in the detached state, e.g. one module for the user interface and one module for the transceiv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2External expansion units, e.g. docking st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H04M1/06Hooks; Crad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8Snap or like fastening comprising a pin snapping into a rec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77Arrangements for enabling portable transceivers to be used in a fixed position, e.g. cradles or boos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7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n electrical connector modu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using two-way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두 개의 휴대 단말기를 연결하기 위한 어댑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어댑터는 휴대 단말기에 탈착이 가능하고 상기 휴대 단말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1 커넥터; 및 다른 휴대 단말기를 수용하기 위한 단말기 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1 커넥터 및 상기 단말기 홀에 수용된 상기 다른 휴대 단말기를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 2 커넥터를 구비한 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두 개의 휴대 단말기를 연결하기 위한 어댑터{ADAPTER FOR CONNECTING TWO MOBILE DEVICE EACH OTHER}
본 발명은 두 개의 휴대 단말기를 연결하기 위한 어댑터에 관한 것이다.
휴대 단말기는 현대인에게 필수품이라고 할 수 있다. 즉 휴대 단말기는 남녀노소를 막론하고 사용하고 있으며, 무선 음성 통화 및 정보 교환이 가능한 매체로 이용되고 있다. 휴대 단말기의 보급 초기에는 단순히 휴대할 수 있고, 무선 통화가 가능한 것으로 인식되었으나, 기술의 발달에 따라 다양한 서비스와 기능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는 폰북(phone book), 게임(game), 단문 메시지(short message), 이메일(email), 모닝콜(morning call), 뮤직 플레이어, 일정 관리 기능, 디지털 카메라 및 무선 인터넷 서비스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기기로 발전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한편, 휴대 단말기는 다른 휴대 단말기에 연결되어 다른 휴대 단말기의 입출력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태블릿 PC는 스마트폰의 입출력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태블릿 PC는 커넥터를 구비하고 이를 통해 연결된 스마트폰의 제어 하에, 스마트폰으로부터 수신된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태블릿 PC는 자신의 입력부 예컨대, 터치스크린으로부터 입력된 입력 정보를 상기 커넥터를 통해 스마트폰으로 전달할 수 있다.
위에 예시한 바와 같이 휴대 단말기는 다른 휴대 단말기와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를 구비할 수 있다. 그런데, 커넥터는 휴대 단말기에 고정이 되어 있어, 연결될 수 있는 다른 휴대 단말기가 한정적이다. 즉 커넥터의 위치에 따라 두 개의 휴대 단말기가 기구적으로 서로 연결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두 개의 휴대 단말기를 연결하기 위한 어댑터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로 하여금 다양한 어댑터 중에서 두 개의 휴대 단말기를 기구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어댑터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두 개의 휴대 단말기의 상호 연결의 호환성을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어댑터가 연결된 휴대 단말기를 축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어댑터의 사용성 및 편의성을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어댑터를 통해 다른 휴대 단말기에 연결되어 다른 휴대 단말기의 입출력 용도로 사용될 수 있는 휴대 단말기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어댑터는 휴대 단말기에 탈착이 가능하고 상기 휴대 단말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1 커넥터; 및 다른 휴대 단말기를 수용하기 위한 단말기 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1 커넥터 및 상기 단말기 홀에 수용된 상기 다른 휴대 단말기를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 2 커넥터를 구비한 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터치스크린; 상기 터치스크린이 설치된 정면에 대향하는 배면에 설치되는 커넥터; 및 상기 커넥터에 탈착이 가능하고 다른 휴대 단말기를 수용하며 상기 다른 휴대 단말기를 상기 커넥터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어댑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어댑터 및 휴대 단말기에 따르면, 본 발명은 어댑터를 통해 두 개의 휴대 단말기를 연결하여 하나를 다른 하나의 입출력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로 하여금 다양한 어댑터 중에서 두 개의 휴대 단말기를 기구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어댑터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두 개의 휴대 단말기의 상호 연결의 호환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어댑터가 연결된 휴대 단말기를 축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어댑터의 사용성 및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 및 이에 의해 연결되는 두 개의 휴대 단말기의 전기적인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와 이에 연결되는 제 2 휴대 단말기의 측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의 상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힌지부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A, 5B,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힌지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의 정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휴대 단말기의 배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의 잠금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어댑터의 사용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이하에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휴대 단말기에서 기능 실행 방법 및 장치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사용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아래 설명과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첨부 도면에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 그려진 상대적인 크기나 간격에 의해 제한되어지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휴대 단말기는 휴대폰, 스마트폰, 태블릿 PC, 핸드헬드(hand-held) PC,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이 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휴대 단말기는 입력 장치로써 터치스크린을 구비할 수 있다. 이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어댑터가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에 적용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또한, 아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어댑터를 통해 연결되는 두 개의 휴대 단말기는 각각, 스마트 폰과 더미 태블릿 PC로 가정한다. 여기서, 더미(dummy) 태블릿 PC는 컴퓨터에서 명령을 해독하고 실행하는 프로세서 예컨대, CPU(Central Processing Unit) 또는 AP(Application Processor) 등이 구비되어 있지 않고, 가령 연결된 스마트폰의 AP의 제어 하에 동작하는 휴대 단말기를 의미한다. 한편,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먼저 도 1을 참조로 하여 어댑터와 휴대 단말기의 전기적인 구성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 및 이에 의해 연결되는 두 개의 휴대 단말기의 전기적인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 1 휴대 단말기(즉, 스마트 폰)(100)은 터치스크린(110), 키입력부(120), 표시부(130), 저장부(140), 무선통신부(150), 오디오 처리부(160), 스피커(SPK), 마이크(MIC), 카메라(170), 인터페이스부(180) 및 제어부(19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터치스크린(110)은 표시부(130)의 전면에 장착되고, 터치스크린(110)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제스처에 응답하여 터치이벤트를 발생시켜 제어부(190)로 전달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190)는 터치스크린(100)으로부터 입력되는 터치이벤트로부터 사용자의 터치제스처를 검출하여 상기한 구성들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터치제스처는 터치(Touch), 탭(Tap), 더블 탭(Double Tap), 프레스(Press), 드래그(Drag), 드래그 앤 드롭(Drag&Drop) 및 플릭(Flick)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터치는 사용자가 화면의 어느 한 지점을 누르는 조작이고, 탭은 어느 한 지점을 터치한 후 손가락의 이동 없이 해당 지점에서 손가락을 떼는 즉, 드롭하는 조작이며, 더블 탭은 어느 한 지점을 연속적으로 두 번 탭하는 조작이며, 프레스는 탭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터치한 후 손가락의 이동 없이 해당 지점에서 손가락을 떼는 조작이며, 드래그는 어느 한 지점을 터치한 상태에서 손가락을 소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조작이며, 드래그 앤 드롭은 드래그한 다음 손가락을 떼는 조작이며, 플릭은 튀기듯이, 손가락을 빠른 속도로 이동시킨 다음 떼는 조작을 의미한다. 제어부(190)는 속력으로 플릭과 드래그를 구분할 수 있다. 또한 터치스크린(110)은 저항막 방식(resistive type), 정전용량 방식(capacitive type) 및 전자유도 방식(electromagnetic induction type) 등이 적용될 수 있다.
키입력부(120)는 숫자 또는 문자 정보를 입력받고 각종 기능들을 설정하기 위한 다수의 입력키 및 기능키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능키들은 특정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방향키, 사이드 키 및 단축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키입력부(120)는 사용자 설정 및 휴대 단말기(100)의 기능 제어와 관련한 키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90)로 전달한다. 키 신호는 전원 온/오프 신호, 볼륨 조절 신호, 화면 온/오프 신호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제어부(190)는 이러한 키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한 구성들을 제어한다. 또한 키입력부(120)는 다수개의 키들을 포함하는 쿼티 키패드, 3*4 키패드, 4*3 키패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키입력부(120)는 휴대 단말기의 터치스크린(110)이 풀 터치스크린 형태로 지원된 경우, 휴대 단말기(100)의 케이스 측면에 형성되는, 화면 온/오프 및 휴대단말기 온/오프 등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사이드 키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
표시부(130)는 제어부(190)의 제어 하에, 제어부(190)로부터 입력받은 영상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표시한다. 즉, 표시부(130)는 휴대 단말기의 이용에 따른 다양한 화면 예를 들면, 잠금 화면, 홈 화면, 앱 실행 화면, 메뉴 화면, 키패드 화면, 메시지 작성 화면, 인터넷 화면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잠금 화면은 표시부(130)의 화면이 켜지면 표시되는 영상으로 정의될 수 있다. 잠금 해제 이벤트(예컨대, 터치제스처)가 발생되면, 제어부(190)는 표시되는 영상을 잠금 화면에서 홈 화면 또는 앱 실행 화면 등으로 전환할 수 있다. 홈 화면은 다수의 앱에 각각 대응되는 다수의 앱 아이콘을 포함하는 영상으로 정의될 수 있다. 다수의 앱 아이콘 중 어느 하나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면 제어부(190)는 해당 앱 예컨대, 카메라 앱을 실행하고 표시되는 영상을 그 실행 화면으로 전환할 수 있다. 표시부(130)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 LCD), OLED(Organic Light Emitted Diode), AMOLED(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ed Diode) 등의 평판 표시 패널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저장부(140)의 데이터 영역은 휴대 단말기(100)의 사용에 따라 휴대 단말기(100)에서 발생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영역은 무선 통신부(150)를 통해 외부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데이터 영역은 표시부(130)가 표시하는 상기 화면들을 저장할 수 있다. 메뉴 화면은 화면 전환을 위한 화면 전환키(예컨대, 이전 화면으로 되돌아가기 위한 리턴(return)키 등), 현재 실행 중인 앱의 제어를 위한 제어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영역은 복사 및 붙여 넣기(copy & paste) 등을 위해 사용자가 메시지, 사진, 웹 페이지, 문서 등에서 복사한 데이터를 임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영역은 휴대 단말기의 운영을 위한 다양한 설정 값(예, 화면 밝기, 터치 발생 시 진동 여부, 화면의 자동 회전 여부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40)의 프로그램 영역은 휴대 단말기의 부팅 및 상술한 각 구성의 운용을 위한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와 다양한 어플리케이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되는 어플리케이션들은 매우 다양하여 모두 열거할 수는 없지만 몇 가지 예를 들면, 웹 브라우저, SNS(Social Network Service) 앱, 뮤직 플레이어, 비디오 플레이어, 카메라 어플리케이션 등이 될 수 있다.
무선 통신부(150)는 음성 통화, 화상 통화 또는 데이터 통신을 제어부(190)의 제어 하에 수행한다. 이를 위하여 무선통신부(15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무선주파수 송신부와, 수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저잡음 증폭 및 하강 변환하는 무선주파수 수신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부(150)는 이동 통신 모듈(예컨대, 3세대(3-Generation) 이동통신모듈, 3.5(3.5-Generation)세대 이동통신모듈 또는 4(4-Generation)세대 이동통신모듈 등), 디지털 방송 모듈(예컨대, DMB 모듈), 및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근거리 통신 모듈은 휴대 단말기(100)를 무선으로 외부 기기와 연결하는 것으로써, 지그비(Zigbee) 모듈, 와이파이(Wi-Fi) 모듈 또는 블루투스(Bluetooth) 모듈 등이 될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160)는 제어부(190)로부터 입력받은 음성 등의 오디오 데이터를 DA(Digital to Analog) 변환하고 이를 증폭하여 스피커(SPK)로 전송하고, 마이크(MIC)로부터 입력받은 음성 등의 오디오 데이터를 AD(Analog to Digital) 변환하여 제어부(190)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오디오 처리부(160)는 제어부(190)의 제어 하에, 다양한 효과음을 스피커로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오디오 처리부(160)는 잠금 화면에서 홈 화면으로의 전환에 대한 피드백으로써, 효과음을 스피커로 출력할 수 있다.
카메라(170)는 제어부(190)의 제어 하에, 피사체를 촬영하여 제어부(190)로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카메라(170)는 빛을 모으기 위한 렌즈와, 이러한 빛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 센서와, 이미지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전기 신호를 로우 데이터로 처리하여 제어부(190)로 출력하는 이미지 신호 처리부(Image Signal Processor; ISP)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카메라(170)의 ISP는 로우 데이터를 화면에 표시되는 프리뷰(preview) 이미지로 가공하여 제어부(190)로 출력하는 모듈과, 로우 데이터를 압축 이미지(예, JPEG)로 가공하여 제어부(180)로 출력하는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170)의 ISP는 프리뷰 이미지와 압축 이미지를 인터리브 데이터(interleaved data)로 가공하여 제어부(180)로 출력하는 모듈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이미지 센서는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이미지 센서나 CCD(Charge Coupled Device) 이미지 센서 등이 적용될 수 있다. 휴대 단말기(100)는 정면에 설치되는 제 1 카메라와 배면에 설치되는 제 2 카메라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정면은 터치스크린(110)이 배치된 면이고 배면은 이러한 정면에 대향하는 면이다.
인터페이스부(180)는 제 1 휴대 단말기(100)를 외부 기기 특히, 어댑터(200)와 연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인터페이스부(180)는 기구적으로 어댑터(200)와 연결되는 커넥터를 포함한다. 인터페이스부(180)는 제어부(190)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어댑터(200)로 출력한다. 여기서 제어부(190)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는 제 2 휴대 단말기(300)를 통해 표시할 영상 데이터 또는 제 2 휴대 단말기(3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가 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80)는 어댑터(200)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제어부(190)로 출력한다. 여기서 어댑터(200)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는 터치이벤트, 키 신호 및 어댑터(200)의 상태와 관련된 감지 정보 등이 될 수 있다.
제어부(190)는 제 1 휴대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 및 제 1 휴대 단말기(100)의 내부 구성들 간의 신호 흐름을 제어하고,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90)는 배터리에서 내부 구성들로의 전원 공급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90)는 프로그램 영역에 저장된 각종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제어부(190)는 어댑터(200)를 통해 연결된 제 2 휴대 단말기(3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제어부(190)는 영상 데이터를 표시하도록 제 2 휴대 단말기(30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90)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또는 AP(Application Processor)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AP는 CPU와 GPU(Graphic Processing Unit)가 SoC(System on chip)된 것일 수 있다. 또한, AP는 CPU 및 GPU가 멀티 레이어(multi layer)로 패키징(packaging)된 것일 수 있다.
디지털 기기의 컨버전스(convergence) 추세에 따라 변형이 매우 다양하여 모두 열거할 수는 없으나, 본 발명에 따른 제 1 휴대 단말기(100)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수신 모듈, 가속도 센서 등과 같이 상기에서 언급되지 않은 구성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100)는 그 제공 형태에 따라 상기한 구성에서 특정 구성들이 제외되거나 다른 구성으로 대체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어댑터(200)는 제 1 휴대 단말기(100)와 연결되는 제 1 인터페이스부(210)와, 제 2 휴대 단말기(300)와 연결되는 제 2 인터페이스부(2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 1 인터페이스부(210) 및 제 2 인터페이스부(220)는 각각, 기구적으로 제 1 휴대 단말기(100)와 제 2 휴대 단말기(300)와 연결되는 커넥터를 포함한다. 제 1 인터페이스부(210)는 제 1 휴대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제 2 인터페이스부(220)로 출력하고, 제 2 인터페이스부(22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제 1 휴대 단말기(100)로 출력한다. 제 2 인터페이스부(220)는 제 2 휴대 단말기(30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제 1 인터페이스부(210)로 출력하고, 제 1 인터페이스부(21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제 2 휴대 단말기(300)로 출력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 2 휴대 단말기(즉, 더미 태블릿 PC)(300)은 데이터 변환부(310), 표시부(320), 컨트롤러(330), 터치스크린(340), 키입력부(350), 센서부(360), 인터페이스부(370), 오디오 처리부(380) 및 스피커(SPK)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인터페이스 변환부(310)는 인터페이스부(370)를 통해 어댑터(200)로부터 수신되는 영상 데이터의 인터페이스를, 표시부(320)가 수신하여 표시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인터페이스 변환부(310)는 인터페이스부(370)를 통해 어댑터(200)로부터 수신되는 오디오 데이터의 인터페이스를, 오디오 처리부(380)에서 처리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오디오 처리부(380)는 인터페이스 변환부(310)로부터 수신된 오디오 데이터를 아날로그 형태의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고, 이를 증폭하여 스피커(SPK)로 출력한다. 결국 인터페이스의 변환이 필요 없는 경우 인터페이스 변환부(310)는 제 2 휴대 단말기(300)의 구성에서 생략될 수 있다. 한편, 인터페이스 변환부(310)는 예컨대, mHL(mobile High-definition Link)를 LVDS(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ing), MIPI(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 또는 DP(Display Port)로 변환할 수 있다. 또한, 인터페이스 변환부(310)는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를 LVDS, MIPI 또는 DP로 변환할 수 있다.
표시부(320)는 데이터 변환부(310)로부터 수신된 영상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표시한다. 표시부(320)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 LCD), OLED(Organic Light Emitted Diode), AMOLED(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ed Diode) 등의 평판 표시 패널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컨트롤러(330)는 제 1 휴대 단말기(100)의 제어부(190)의 제어 하에, 데이터를 어댑터(200)를 통해 제 1 휴대 단말기(100)로 전달한다. 즉 컨트롤러(330)는 터치스크린(340)로부터 입력된 터치이벤트, 키입력부(350)로부터 입력된 키 신호 및 센서부(360)로부터 입력된 감지 정보를 제 1 휴대 단말기(100)의 제어부(190)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컨트롤러(330)는 센서부(360)로부터 입력된 감지 정보를 바탕으로 어댑터(200)의 상태 정보(예, 각도 정보)를 검출하고, 검출된 상태 정보를 제 1 휴대 단말기의 제어부(190)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러한 컨트롤러(330)는 MCU(MicroController Unit)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터치스크린(340)은 표시부(320)의 전면에 장착되고, 터치스크린(340)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제스처에 응답하여 터치이벤트를 발생시켜 컨트롤러(330)로 전달한다. 또한 터치스크린(340)은 저항막 방식(resistive type), 정전용량 방식(capacitive type) 및 전자유도 방식(electromagnetic induction type) 등이 적용될 수 있다.
키입력부(350)는 숫자 또는 문자 정보를 입력받고 각종 기능들을 설정하기 위한 다수의 입력키 및 기능키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능키들은 특정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방향키, 사이드 키 및 단축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키입력부(350)는 사용자의 키 조작에 응답하여 키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키 신호를 컨트롤러(330)로 전달한다.
센서부(360)는 제 2 휴대 단말기(300)의 위치, 제 2 휴대 단말기(300)의 속도, 제 2 휴대 단말기(300)에 작용하는 중력의 방향, 제 2 휴대 단말기(300)의 가속도, 제 2 휴대 단말기(300)의 기울기 등과 같은 물리량과 관련된 정보를 감지한다. 특히, 센서부(360)는 자기 센서(magnetic sensor)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센서부(360)는 자기장 또는 자력선의 크기와 방향과 관련된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센서부(360)는 감지된 물리량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고, 변환된 전기 신호를 다시 감지 정보로 AD(Analog to Digital) 변환하여 컨트롤러(330)로 출력한다.
인터페이스부(370)는 제 2 휴대 단말기(300)를 외부 기기 특히, 어댑터(200)와 연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인터페이스부(300)는 기구적으로 어댑터(200)와 연결되는 커넥터를 포함한다. 인터페이스부(370)는 컨트롤러(330)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어댑터(200)로 출력한다. 또한 인터페이스부(370)는 어댑터(200)로부터 수신된 제어 신호를 컨트롤러(330)로 출력하고, 어댑터(200)로부터 수신된 영상 데이터를 데이터 변환부(310)로 출력한다.
다음으로 도 2 내지 도 9를 참조로 하여 어댑터와 휴대 단말기의 기구적인 구성을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와 이에 연결되는 제 2 휴대 단말기의 측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 2 휴대 단말기(즉, 더미 태블릿 PC)(400)의 제 1 면(410)에는 터치스크린이 설치된다. 그리고 제 2 면(420)에는 어댑터(500)의 제 1 커넥터(510)를 수용하기 위한 커넥터 홀(401)이 형성된다. 이하, 제 2 휴대 단말기(400)의 제 1 면(410)을 정면이라 칭한다. 그리고 제 2 면(420)을 배면이라 칭한다. 커넥터 홀(401)에 제 2 휴대 단말기(400)의 커넥터(402)가 배치된다. 커넥터 홀(401)의 상단에는 자기 센서(403)가 설치될 수 있다. 자기 센서(403)는 자기장 또는 자력선의 크기와 방향과 관련된 정보를 감지하고, 감지된 정보를 제 2 휴대 단말기(400)의 컨트롤러로 전달한다. 제 2 휴대 단말기(400)의 컨트롤러는 감지된 정보를 바탕으로 어댑터(500)의 각도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어댑터(500)의 제 1 커넥터(510)는 본체(520)의 상면에 설치되고, 커넥터 홀(401)에 삽입되어 제 2 휴대 단말기(400)의 커넥터(402)와 연결된다. 어댑터(500)의 제 1 커넥터(510)는 회전이 가능한 구조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어댑터(500)의 제 1 커넥터(510)는 0도에서 180도까지 회전할 수 있다. 물론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어댑터(500)의 제 1 커넥터(510)에 적용된 힌지의 구조에 따라 180도 이상도 가능하다.
제 1 커넥터(510)가 커넥터 홀(402)로 삽입되어 있는 상태에서, 본체(520)는 회전할 수 있다. 제 1 커넥터(510)가 0도이면 본체(520)의 제 1 면(524)은 왼쪽(A)을 향하게 되고 제 2 면(525)은 오른쪽(B)을 향하게 된다. 제 1 커넥터(510)가 90도이면 본체(520)와 제 2 휴대 단말기(400)는 수직이다. 제 1 커넥터(510)가 180도이면 본체(520)의 제 1 면(524)은 오른쪽(B)을 향하게 되고 제 2 면(525)은 왼쪽(A)을 향하게 된다. 이하 본체(520)의 제 1 면(524)을 배면이라 칭한다. 그리고 제 2 면(525)을 정면이라 칭한다.
어댑터(500)의 제 1 커넥터(5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0도, 90도 및 180도 이렇게, 90도마다 스토핑(stopping)이 될 수 있다. 즉 어댑터(500)의 제 1 커넥터(510)는 0도, 90도 및 180도에서 회전을 멈출 수 있다. 제 1 커넥터(510)에 인위적인 힘이 가해지면, 제 1 커넥터(510)는 회전될 수 있다. 물론, 스토핑은 상술한 90도 이외에도 예컨대, 30도 또는 45도마다 될 수 있다.
어댑터(500)의 본체(520)에는 제 1 휴대 단말기(즉, 스마트폰)를 수용하기 위한 단말기 홀(521)이 형성된다. 즉 단말기 홀(521)은 정면(525)에 형성된다. 그리고 단말기 홀(521)에 제 1 단말기의 커넥터에 연결되는 제 2 커넥터(522)가 배치된다. 또한 본체(520)의 본체 내부에는 자석(523)이 설치될 수 있다.
어댑터(500)의 제 1 커넥터(510)가 커넥터 홀(401)에 삽입된 상태에서, 본체(520)는 회전 가능하다. 이러한 회전에 따라 자석(523)의 위치가 변동되고 자기 센서(403)에서 감지되는 자기장 또는 자력선의 크기와 방향이 변화된다. 그리고 제 2 휴대 단말기(400)의 컨트롤러는 자기 센서(403)에서 감지되는 정보를 바탕으로 어댑터(500)의 각도 정보(즉, 0도, 90도 또는 180도)를 검출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의 상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어댑터(500)는 제 1 커넥터(510), 본체(520), 회전부(530), 고정부(540) 및 힌지부(미도시)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힌지부는 고정부(540) 내에 설치되어 고정부(540)와 회전부(530)를 연결한다. 고정부(540)는 본체(520)의 상면(526)에 고정된다. 제 1 커넥터(510)는 회전부(530)에 고정되고, 회전부(530)는 고정부(540)를 축으로 회전(C)한다. 즉 제 1 커넥터(510)는 고정부(540)를 축으로 회전한다. 이때 제 1 커넥터(510)는 앞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0도, 90도 및 180도 이렇게, 3 단계로 스토핑(stopping) 될 수 있다. 또한 제 1 커넥터(510)는 다수의 핀을 포함한다. 도면 부호 511은 이러한 다수의 핀 중에서 하나를 대표하여 나타낸 것이다. 한편, 도 3에서 도시되지 않은 힌지부는 상기 스토핑을 위한 스토퍼를 구비한다. 아래 도 4 내지 도 6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적용 가능한 힌지부를 설명한다. 물론 아래 설명할 힌지부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며, 공지된 다양한 힌지부가 적용될 수 있음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힌지부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힌지부(600)는 제 1 샤프트(shaft; 20), 스토퍼(stopper; 30), 샤프트 스프링(shaft spring; 40), 힌지 캠(hinge cam; 50), 제 2 샤프트(hinge shaft; 60) 및 하우징 스프링(housing spring; 70)을 포함한다.
고정부(540)은 제 1 샤프트(20), 힌지 캠(50), 하우징 스프링(40), 힌지 샤프트(50)를 수용하기 위한 힌지 홀(hinge hole; 11)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이 때 고정부(540)는 힌지 홀(11)의 내벽(13)에 적어도 하나의 걸림홈(15)이 형성되어 있다. 하나의 예로 도 4를 참조하면, 힌지 홀(11)의 중심을 축으로 하여 90도 간격으로 3개의 걸림홈(15)이 형성될 수 있다.
제 1 샤프트(20)는 회전부(530)와 고정부(540)를 연결한다. 이러한 제 1 샤프트(20)는 일부가 회전부(530)에 수용되어 회전부(530)에 고정되고, 나머지는 고정부(540)의 힌지 홀(11)에 수용되어 회전한다. 즉 제 1 샤프트(20)는 회전부(530)에 고정되고, 고정부(540)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 때 제 1 샤프트(20)는 고정부(540)에 수용 시, 걸림 홈(15)에 대응하는 위치에 샤프트 홈(21)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즉 제 1 샤프트(20)의 회전 시, 샤프트 홈(21)의 상부로, 걸림 홈(15)이 통과할 수 있다.
스토퍼(stopper; 30)의 일단(즉, 도 4를 기준으로 하단)이 샤프트 홈(21)에 삽입된다. 그리고 스토퍼(30)의 타단(즉, 도 4를 기준으로 타단)(31)이 샤프트 홈(21)으로부터 노출된다. 스토퍼(30)의 타단(31)은 걸림 홈(15)에 대응하는 형태(예, 돌기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샤프트 스프링(shaft spring; 40)은 샤프트 홈(21)에서 제 1 샤프트(20)와 스토퍼(30)를 연결한다. 샤프트 스프링(40)은, 제 1 샤프트(20)의 회전 시, 스토퍼(30)가 샤프트 홈(21)으로부터 돌출되어 걸림 홈(15)에 체결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한다. 그리고 샤프트 스프링(40)은, 스토퍼(30)가 걸림 홈(15)으로부터 이탈 시, 스토퍼(30)에 의해 수축된다.
힌지 캠(50)은 고정부(540)에 삽입되는 제 2 샤프트(60)의 일면에 결합된다. 이 때 힌지 캠(50)은 제 1 샤프트(20)의 일면으로부터 일정 각도로 기울어진 경사면을 갖는 돌출부(51)를 구비한다.
제 2 샤프트(60)는 힌지 홀(11)을 통해 고정부(540)에 수용되며, 힌지 캠(50)의 돌출부(51)와 체결되기 위한 오목부(61)가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하우징 스프링(70)은 힌지 홀(11) 내에서 제 2 샤프트(60)와 고정부(540)을 연결한다. 하우징 스프링(70)은 오목부(61)가 돌출부(51)에 체결되도록 제 2 샤프트(60)에 탄성력을 제공한다.
도 5A, 도 5B,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힌지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5A, 도 5B,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힌지부(600)에서 스토퍼(30)의 타단부는, 도 5A 및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프트 스프링(40)으로부터 탄성력을 받는다. 이에 따라 스토퍼(30)의 타단부(31)는 제 1 걸림홈(15a)에 체결되고 제 1 샤프트(20)가 회전하는 것이 억제된다.
사용자가 본체(520)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해 본체(520)에 인위적으로 힘을 가하면, 이러한 힘에 의해 제 1 샤프트(20)가 일 방향(C)으로 회전한다. 이 때 스토퍼(30)의 타단(31)이, 도 6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프트 스프링(40)에 압력을 가하면서, 체결되어 있던 걸림홈(15)으로부터 벗어난다. 그리고 샤프트 스프링(40)은 축소되며, 이러한 축소에 대한 반작용으로 더 큰 탄성력을 스토퍼(30)에 제공한다. 이러한 탄성력에 의해 인위적인 힘이 가해지지 않더라도 제 1 샤프트(20)는 일 방향(C)으로 계속 회전할 수 있다. 제 1 샤프트(20)의 회전이 계속되면 스토퍼(30)의 타단부는 제 2 걸림홈(15a)에 체결되고 제 1 샤프트(20)가 회전하는 것이 억제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의 정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즉 도 7은 앞서 도 2를 통해 설명된 단말기 홀(521)을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시한 바와 같이 단말기 홀(521)에는 제 2 커넥터(522)가 배치된다. 여기서, 제 2 커넥터(522)는 제 1 커넥터(5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를 위해 본체(520)의 내부에 제 1 커넥터(510)와 제 2 커넥터(520)를 연결하는 배선(미도시)이 설치된다. 또한 단말기 홀(521)의 네 모서리에는 단말기 홀(521)에 수용된 제 1 휴대 단말기를 고정시키기 위한 탄성부가 형성된다. 도면 부호 550이 이러한 탄성부들을 대표하여 나타낸 것이다. 즉 탄성부(550)는, 제 1 휴대 단말기가 단말기 홀(521)에 수용되면, 제 1 휴대 단말기가 단말기 홀(521)에서 분리되지 않게 제 1 휴대 단말기를 잡아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상으로 탄성부(550)에 의해 제 1 휴대 단말기가 단말기 홀(521)에 고정되는 것으로 예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구조와 방법이 있을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제 1 휴대 단말기의 배면이 노출되게 한 상태에서 제 1 휴대 단말기를 단말기 홀(521)에 삽입할 수 있다. 여기서 배면은 터치스크린(110)이 배치된 제 1 휴대 단말기의 정면에 대향하는 면이다. 일반적으로 스마트폰의 경우 양면에 각각 카메라가 설치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휴대 단말기의 배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즉 도 8은 앞서 도 2를 통해 설명된 커넥터 홀(401) 및 커넥터(402)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휴대 단말기(400)의 배면(420)에는 커넥터 홀(401)에 수용된 어댑터(500)의 제 1 커넥터(510)가 분리되지 않게 잡아 주기 위한 잠금 스위치(430)가 설치된다. 즉 잠금 스위치(430)의 상태가 '잠금 상태(Lock)'이면, 어댑터(500)가 제 2 휴대 단말기(400)로부터 분리되지 않는다. '비잠금 상태(Unlock)'이면, 어댑터(500)는 사용자의 인위적인 힘에 의해 분리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의 잠금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 (a)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잠금 장치는 후크 스프링(440)과 후크(4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커넥터 홀(401)의 양 측면에 각각 후크 스프링 홈들이 형성된다. 그리고 후크 스프링 홈에 후크 스프링(440)이 설치된다. 후크 스프링(440)의 일단은 후크 스프링 홈에 내장된 스프링 이동 수단(460)에 고정되고 타단은 후크(450)에 고정된다. 어댑터(500)의 제 1 커넥터(510)의 양 측면에 각각 후크 삽입 홈(512)이 형성된다. 도 9 (b)를 참조하면, 후크(440)는, 잠금 스위치(430)가 잠금 상태이면, 후크 삽입 홈(512)에 삽입된다. 즉 사용자가 잠금 스위치(430)를 Unlock에서 Lock으로 이동시키면, 스프링 이동 수단(460)이 스프링을 후크 삽입 홈(512) 쪽으로 민다. 이에 따라, 후크(440)는 후크 삽입 홈(512)에 삽입된다. 반대로 사용자가 잠금 스위치(430)를 Lock에서 Unlock으로 이동시키면, 스프링 이동 수단(460)은 원 위치되고 후크(440)는 후크 삽입 홈(512)에서 빠져 나오게 된다.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어댑터의 사용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0 (a)를 참조하면, 어댑터(500)는 제 1 휴대 단말기(즉, 스마트폰)(700)를 수용한 상태에서 제 2 휴대 단말기(즉, 더미 태블릿 PC)(400)에 체결되어 있다. 어댑터(500)의 내부에는 자석(523)이 설치된다. 도 10 (b)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제 1 휴대 단말기(700)의 배면(710)이 노출되게 한 상태에서 제 1 휴대 단말기(700)를 어댑터(500)의 단말기 홀에 삽입할 수 있다. 여기서 배면(710)은 터치스크린이 배치된 제 1 휴대 단말기(500)의 정면에 대향하는 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배면(710)에는 카메라가 설치될 수 있다. 어댑터(500)를 통해 제 2 휴대 단말기(400)가 제 1 휴대 단말기(700)에 연결되면, 제 1 휴대 단말기(700)의 제어부는 제 2 휴대 단말기(400)의 연결을 감지한다. 제 1 휴대 단말기(700)의 제어부는 제 2 휴대 단말기(400)와의 연결에 응답하여 자신의 표시부로의 영상 데이터의 출력을 중지하고, 영상 데이터를 제 2 휴대 단말기(400)의 표시부로 출력한다. 또한 제 1 휴대 단말기(700)의 제어부는 어댑터(500)를 통해 제 2 휴대 단말기(400)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 정보(예, 터치이벤트, 키 신호)에 응답하여, 관련 기능을 수행한다.
도 10 (a) 및 도 11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어댑터(500)가 접혀져 있는 상태에서 반시계 방향(D)으로 힘을 가하여 어댑터(500)를 회전시킬 수 있다. 그러면, 어댑터(500)는 회전하다가 제 2 휴대 단말기(400)와 직각이 될 때 회전을 멈출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어댑터(500)와 제 2 휴대 단말기(400)가 직각인 상태에서 어댑터(500)를 제 2 휴대 단말기(400)의 거치대로 활용할 수 있다.
도 11, 도 12 (a) 및 (b)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다시 반시계 방향(D)을 힘을 가하여 어댑터(500)를 회전시킬 수 있다. 그러면 어댑터(500)는 회전하다가 어댑터(500)가 펼쳐지게 되면 회전을 멈출 수 있다. 제 1 휴대 단말기(700)가 정면(E)을 향할 수 있다. 제 2 휴대 단말기(400)에 구비된 자기 센서는 자석(523)의 위치와 관련된 정보를 감지하여 제 2 휴대 단말기(400)의 컨트롤러로 전달한다. 그러면, 제 2 휴대 단말기(400)의 컨트롤러는 감지 정보를 제 1 휴대 단말기(700)의 제어부로 전달할 수 있다. 또는 제 2 휴대 단말기(400)의 컨트롤러는 자기 센서로부터 수신된 감지 정보를 바탕으로 자석(523)의 위치(즉, 어댑터(500)의 각도 정보)를 검출한다. 제 1 휴대 단말기(700)의 제어부는 제 2 휴대 단말기(400)의 컨트롤러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는 제 1 휴대 단말기(700)의 제어부는 제 2 휴대 단말기(400)의 컨트롤러로부터 감지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감지 정보를 바탕으로 어댑터(500)의 각도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어댑터(500)를 회전시키고 이에 따라 검출된 각도 정보가 180도이면, 제 1 휴대 단말기(700)의 제어부는 카메라(720)를 구동하고, 카메라(720)로부터 입력되는 프리뷰 이미지를 제 2 휴대 단말기(400)의 표시부로 출력할 수 있다. 그러면, 프리뷰 이미지는 터치스크린(460)을 통해 표시된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 2 휴대 단말기의 배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13을 참조하면, 제 2 휴대 단말기(1300)의 배면에는 본 발명의 어댑터(500)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 홈(1310)이 형성될 수 있다. 어댑터 수용 홈(1310)의 표면에는 어댑터(500)의 제 1 커넥터(510)를 수용하기 위한 커넥터 홀(1320)이 형성된다. 커넥터 홀(1320)에 제 2 휴대 단말기(1300)의 커넥터(1330)가 배치된다. 어댑터(500)는 어댑터 수용 홈(1310)에 수용되고, 어댑터(500)의 제 1 커넥터(510)는 커넥터 홀(1320)에 삽입되어 제 2 휴대 단말기(1300)의 커넥터(1330)와 연결된다.
어댑터 수용 홈(1310)의 일측(1340)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될 수 있다. 그 이유는, 제 2 휴대 단말기(1300)에 수용된 어댑터(500)가 제 2 휴대 단말기(1300)에 연결된 채로(즉, 제 1 커넥터(510)가 커넥터 홀(1320)에 삽입되어 있는 채로) 예컨대, 180도까지 회전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일 수 있다. 즉 어댑터(500)를 180도 회전될 경우, 사용자는 어댑터(500)에 수용된 제 1 휴대 단말기(700)를 영상 통화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일측(1340)은, 예컨대 어댑터(500)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대로만 사용될 경우, 개방되지 않을 수도 있다.
제 2 휴대 단말기(1300)의 배면에는 커넥터 홀(1320)에 수용된 어댑터(500)의 제 1 커넥터(510)가 분리되지 않게 잡아 주기 위한 잠금 스위치(1350)가 설치된다. 즉 잠금 스위치(1350)의 상태가 '잠금 상태(Lock)'이면, 어댑터(500)가 제 2 휴대 단말기(1300)로부터 분리되지 않는다. '비잠금 상태(Unlock)'이면, 어댑터(500)는 사용자의 인위적인 힘에 의해 분리될 수 있다. 이러한 잠금 스위치(1350)는 도시되지는 않지만, 어댑터(500)가 회전 가능하므로, 어댑터 수용 홈(1310)의 표면에 설치될 수도 있다. 잠금 스위치(1350)가 어댑터 수용 홈(1310)에 설치된 경우, 사용자는 예컨대, 어댑터(500)가 180도 회전된 상태에서 잠금 스위치(1350)를 조작할 수 있다.
도 14 내지 도 16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 2 휴대 단말기의 사용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어댑터(1400)는 제 1 휴대 단말기(예, 스마트폰)(1500)을 수용한 상태에서 제 2 휴대 단말기(1300)의 어댑터 수용 홈(1310)에 수용될 수 있다.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홈(1310)에 수용된 어댑터(1400)를 회전시킬 수 있다. 그러면, 어댑터(1400)는 제 2 휴대 단말기(1300)와 직각이 될 때 회전하지 않고 멈출 수 있다. 이렇게 서로 직각이 되면 사용자는 어댑터(1400)를 제 2 휴대 단말기(1300)의 거치대로 활용할 수 있다.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제 2 휴대 단말기(1300)와 직각 상태인 어댑터(1400)를 다시 회전시킬 수 있다. 그러면, 어댑터(1400)는 제 2 휴대 단말기(1300)와 180도 될 때 회전하지 않고 멈출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사용자는 어댑터(1400)에 수용된 제 1 휴대 단말기(1500)를 영상 통화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어댑터 및 휴대 단말기는 전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하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100: 제 1 휴대 단말기
110: 터치스크린120: 키 입력부
130: 표시부140: 저장부
150: 무선통신부160: 오디오 처리부
170: 카메라180: 인터페이스부
190: 제어부
200: 어댑터
210: 제 1 인터페이스부220: 제 2 인터페이스부
300: 제 2 휴대 단말기
310: 인터페이스 변환부320: 표시부
330: 컨트롤러340: 터치스크린
350: 키입력부360: 센서부
370: 인터페이스부

Claims (20)

  1. 휴대 단말기에 탈착이 가능하고 상기 휴대 단말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1 커넥터; 및
    다른 휴대 단말기를 수용하기 위한 단말기 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1 커넥터 및 상기 단말기 홀에 수용된 상기 다른 휴대 단말기를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 2 커넥터를 구비한 본체를 포함하는 어댑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커넥터가 회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댑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커넥터가 미리 정해진 각도에서 회전이 억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댑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일면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를 축으로 회전하고 상기 제 1 커넥터에 연결되는 회전부와,
    상기 고정부 및 상기 회전부를 연결하고, 상기 회전부의 회전을 억제하는 스토퍼를 구비한 힌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댑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커넥터가 상기 단말기 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댑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가,
    상기 다른 휴대 단말기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영상 데이터를 상기 휴대 단말기로 출력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가 상기 영상 데이터를 표시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댑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가,
    상기 휴대 단말기로부터 사용자 입력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사용자 입력 정보를 상기 다른 휴대 단말기로 출력하여 상기 다른 휴대 단말기가 상기 사용자 입력 정보와 관련된 기능을 수행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댑터.
  8.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이 설치된 정면에 대향하는 배면에 설치되는 커넥터; 및
    상기 커넥터에 탈착이 가능하고 다른 휴대 단말기를 수용하며 상기 다른 휴대 단말기를 상기 커넥터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어댑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가 상기 커넥터에 연결된 상태에서 회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가 미리 정해진 각도에서 회전이 억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는,
    상기 커넥터에 탈착이 가능하고 상기 커넥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1 커넥터와,
    상기 다른 휴대 단말기를 수용하기 위한 단말기 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1 커넥터 및 상기 단말기 홀에 수용된 상기 다른 휴대 단말기를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 2 커넥터를 구비한 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는,
    상기 본체의 일면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를 축으로 회전하고 상기 제 1 커넥터에 연결되는 회전부와,
    상기 고정부 및 상기 회전부를 연결하고, 상기 회전부의 회전을 억제하는 스토퍼를 구비한 힌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커넥터가 상기 단말기 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4.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가 상기 어댑터를 통해 상기 다른 휴대 단말기의 입출력 용도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가,
    상기 다른 휴대 단말기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영상 데이터를 상기 휴대 단말기로 출력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가 상기 영상 데이터를 표시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가,
    상기 휴대 단말기로부터 사용자 입력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사용자 입력 정보를 상기 다른 휴대 단말기로 출력하여 상기 다른 휴대 단말기가 상기 사용자 입력 정보와 관련된 기능을 수행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7.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가
    표시부와,
    상기 어댑터를 통해 상기 다른 휴대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영상 데이터를 상기 표시부로 출력하는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표시부 및 상기 인터페이스부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영상 데이터의 인터페이스를 상기 표시부가 표시 가능한 인터페이스로 변환하는 인터페이스 변환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변환부가,
    mHL(mobile High-definition Link)를 LVDS(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ing), MIPI(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 및 DP(Display Port) 중에서 어느 하나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변환부가,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를 LVDS(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ing), MIPI(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 및 DP(Display Port) 중에서 어느 하나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20. 제 8 항에 있어서,상기 휴대 단말기의 배면에 상기 어댑터를 수용하기 위한 어댑터 수용 홈이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KR1020120031428A 2012-03-28 2012-03-28 두 개의 휴대 단말기를 연결하기 위한 어댑터 KR1018707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1428A KR101870704B1 (ko) 2012-03-28 2012-03-28 두 개의 휴대 단말기를 연결하기 위한 어댑터
PCT/KR2013/002297 WO2013147448A1 (en) 2012-03-28 2013-03-20 Adapter for connecting two mobile devices
US13/847,761 US9083778B2 (en) 2012-03-28 2013-03-20 Adapter for connecting two mobile devices
EP13160309.4A EP2645681B1 (en) 2012-03-28 2013-03-21 Adapter for Connecting Mobile Terminal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1428A KR101870704B1 (ko) 2012-03-28 2012-03-28 두 개의 휴대 단말기를 연결하기 위한 어댑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9580A true KR20130109580A (ko) 2013-10-08
KR101870704B1 KR101870704B1 (ko) 2018-06-25

Family

ID=479131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1428A KR101870704B1 (ko) 2012-03-28 2012-03-28 두 개의 휴대 단말기를 연결하기 위한 어댑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083778B2 (ko)
EP (1) EP2645681B1 (ko)
KR (1) KR101870704B1 (ko)
WO (1) WO201314744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536820B (zh) * 2013-08-27 2016-06-01 瑞昱半導體股份有限公司 訊號轉接電路、訊號接收電路、訊號轉接方法與訊號接收方法
KR102167051B1 (ko) * 2014-03-27 2020-10-16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장치
US9699291B2 (en) * 2014-08-25 2017-07-04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honepad
US9939848B2 (en) * 2014-08-29 2018-04-10 Dell Products L.P. Portable information handling system detachable support and attachment device
US9420329B2 (en) 2014-10-21 2016-08-16 Bby Solutions, Inc. Multistream tuner stick device for receiving and streaming digital content
US9420214B2 (en) 2014-10-21 2016-08-16 Bby Solutions, Inc. Television tuner device for processing digital audiovisual content
CN105898455A (zh) * 2015-11-20 2016-08-24 乐视致新电子科技(天津)有限公司 一种音视频播放设备
GB2541590A (en) * 2016-11-28 2017-02-22 Constantine Paul Smartphone-bound attachable/detachable plug-and-play tablet combo peripheral
US11336067B2 (en) 2018-09-14 2022-05-17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Hinge adapters
US11392531B2 (en) * 2018-11-29 2022-07-19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Rotatable port units
CN114530738A (zh) * 2022-02-25 2022-05-24 河南宝通信息安全测评有限公司 一种***风险检测多通道转换接头
US12032405B2 (en) * 2022-06-25 2024-07-09 Lenovo (Singapore) Pte. Ltd Computing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14950A (ja) * 1999-01-22 2000-08-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携帯電話アダプタおよび情報処理装置
US8600437B2 (en) 1999-04-07 2013-12-03 Khyber Technologies Corporation Portable computing, communication and entertainment device with central processor carried in a detachable portable device
US6498720B2 (en) 2001-01-04 2002-12-24 Cirque Corporation Connector and support system for a touchpad keyboard for use with portable electronic appliances
KR20030013914A (ko) * 2001-08-10 2003-02-15 조진형 핸드폰간의 데이터 전송장치
US7463904B2 (en) 2001-12-07 2008-12-09 Lightsurf Technologies, Inc. Versatile adaptor device and manufacturing process for connecting a client device to various host devices
KR20040051081A (ko) * 2002-12-11 2004-06-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데이터통신 겸용 휴대폰거치대
FI118312B (fi) * 2004-04-13 2007-09-28 Nokia Corp Tietojen jakaminen laitteiden välillä
JP4709719B2 (ja) 2006-09-22 2011-06-22 富士通株式会社 電子機器
KR101402807B1 (ko) 2007-12-05 2014-06-02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 커넥터와, 그를 갖는 충전 케이블 및 데이터 케이블
US8145821B2 (en) * 2008-05-20 2012-03-27 Honeywell International Inc. Docking station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US20100069117A1 (en) 2008-09-18 2010-03-18 Knighton Mark S USB enabled mobile phone handset
WO2010036780A1 (en) * 2008-09-25 2010-04-01 Coby Electronics Corporation Docking station with rotation mechanism
KR101049347B1 (ko) 2009-02-27 2011-07-13 주식회사 팬택 무선통신 단말기 및 이의 가이드유닛
GB2479996A (en) 2010-04-26 2011-11-02 Hu-Do Ltd Mobile computing device operating in conjunction with companion computing device to generate a user environment.
HK1153093A2 (en) * 2011-01-20 2012-03-16 Alco Electronics Ltd Docking station for media player
US8721356B2 (en) * 2012-09-11 2014-05-13 Apple Inc. Dock with compliant connector mou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147448A1 (en) 2013-10-03
KR101870704B1 (ko) 2018-06-25
EP2645681A1 (en) 2013-10-02
US9083778B2 (en) 2015-07-14
EP2645681B1 (en) 2018-08-22
US20130260828A1 (en) 2013-10-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0704B1 (ko) 두 개의 휴대 단말기를 연결하기 위한 어댑터
CN110462556B (zh) 显示控制方法及装置
WO2021227770A1 (zh) 应用窗口显示方法和电子设备
KR101872751B1 (ko) 애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및 장치, 그리고 전자 장치
JP5827337B2 (ja) 携帯電子機器をドッキングするための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に関するシステムと方法
WO2021104030A1 (zh) 一种分屏显示方法及电子设备
US9998580B2 (en) Computing device operable to work in conjunction with a companion electronic device
CA2843547C (en) Devices and methods for displaying data in response to detected events
US20230229254A1 (en) Device and Method for Processing User Input
US2014019406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haring screens from multiple mobile devices
EP3113008A1 (en) A method and an electronic device for one-hand user interface
EP3721327B1 (en) Dynamic interaction adaptation of a digital inking device
KR20130111688A (ko) 휴대 단말기에서 이미지 센서를 이용한 기능 실행 방법 및 장치
JP2020053065A (ja) アプリケーションインターフェースを表示する方法、装置および電子デバイス
US20120162247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object display method
CN107645489B (zh) 用于装置之间的呼叫转移的方法及电子装置
US20230056818A1 (en) Single Ubiquitous Device
US20210318719A1 (en) Single Ubiquitous Device
JP2018028933A (ja) アプリケーションインターフェースを表示する方法、装置および電子デバイス
TWM526130U (zh) 資料結構改良之記憶卡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