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4989A - 오징어껍질 및 명태껍질 유래의 콜라겐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오징어껍질 및 명태껍질 유래의 콜라겐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4989A
KR20130094989A KR1020120016328A KR20120016328A KR20130094989A KR 20130094989 A KR20130094989 A KR 20130094989A KR 1020120016328 A KR1020120016328 A KR 1020120016328A KR 20120016328 A KR20120016328 A KR 20120016328A KR 20130094989 A KR20130094989 A KR 201300949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lagen
squid
pollack
content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63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효현
홍주헌
정희경
정유석
양수진
이대훈
박혜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바다누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바다누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바다누리
Priority to KR10201200163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94989A/ko
Publication of KR201300949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49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43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C07K14/78Connective tissue peptides, e.g. collagen, elastin, laminin, fibronectin, vitronectin or cold insoluble globulin [CI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61K8/65Collagen; Gelatin; Keratin;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00General methods for the preparation of peptides, i.e. processes for the organic chemical preparation of peptides or proteins of any length
    • C07K1/12General methods for the preparation of peptides, i.e. processes for the organic chemical preparation of peptides or proteins of any length by hydrolysis, i.e. solvolysis in general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43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C07K14/4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from vertebrates
    • C07K14/461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from vertebrates from fis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Biophysics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Zo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Toxic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SMS(squid muscle skin)과 APS(Alaska Pollock skin)로부터 조건별로 효소처리를 한 후 가용성 콜라겐을 추출한 수율은 Alcalase보다 Neutrase에서 더 많은 함량을 나타내었고 SMS보다 APS에서 훨씬 높은 수율을 나타내었으며 단백질 함량은 SMS 38.3% 보다 APS에서 62.7%로 더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나 Hydroxyproline의 함량으로부터 산출한 순 콜라겐 함량에서는 0.69% 차이로 SMS에서 더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고 DPPH와 SOD 유사활성 측정 결과 SMS와 APS 모두 NaOH 농도가 낮을수록 Alcalase보다 Neutrase에서 더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어 일반성분분석과 항산화 분석을 통한 최적 조건은 SMN 0.1N과 APN 0.1N이었으며, 입자크기는 FD의 경우 SMN 0.1N과 APN 0.1N를 비교하였을 때 그 크기차이가 약 47.7 ㎛, SD의 경우 SMN 0.1N과 APN 0.1N차는 약 10.24 ㎛로 SD, FD 두 조건 모두 APN 0.1N의 입자 크기가 작았고 입자 모양은 FD보다 SD에서 구형에 가까운 모양을 하고 있었으며 그 입자의 크기도 훨씬 작아 콜라겐을 이용한 화장품 제품화 시 명태껍질에서 생체 내 흡수율이 증가하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오징어껍질 및 명태껍질 유래의 콜라겐 및 그 제조방법 {Collagen from Squid muscle skin and Alaska pollock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수산물 특히 어류 부산물인 오징어껍질과 명태껍질 유래의 콜라겐과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콜라겐은 동물성 기원의 풍부한 섬유상의 구조단백질로 척추동물 및 무척추 동물의 총 단백질의 30%를 차지하고 3중 나선구조를 이루며 여러 가지 형태로 주로 피부, 뼈, 치아 유기물질의 대부분을 형성하는 역할을 하고 특히 뼈와 피부(진피)에 함량이 높다. 콜라겐을 이루는 기본단위는 troprocollagen으로 분자 내 또는 분자간 공유결합성 가교결합을 이룸으로서 물리적 또는 생물학적 안정성을 가지며, 콜라겐을 이루는 아미노산의 조성은 그 type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으나 보통 glycine이 전체의 1/3정도이며, proline이 1/4, hydroxyproline이 1/7 정도 차지하고 있다. 콜라겐을 구성하는 아미노산인 hydroxyproline은 hydroxylysine과 함께 일정비율(12.5 ~ 14%)을 이룸으로써 콜라겐을 정량하는 지표성분으로 활용되고 있으며 콜라겐의 구성 비율은 생물의 종류와 연령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수산물을 이용한 콜라겐에 관한 연구는 불가사리, 오징어, 해파리, 홍어 등의 척추동물 및 무척추동물의 결합 조직 및 피부에서 추출한 콜라겐의 연구가 많이 보고되고 있다. 이러한 어류 콜라겐에 대한 연구로는 꽃도미 (Lutjanus lutjanus) (Kittiphattanabawon 등 2005), 농어 (Lates niloticus) (Muyonga 등 2004), 황다랑어 (Thunnus albacares) (Woo 등 2008), 홍어 (Sebastes mentella) (Wang 등 2008), 밍크고래 (Balaenoptera acutorostrata) (Nagai 등 2008), 흑돔 (Pogonias cromis)와 양돔 (Archosargus probatocephalsu) (Ogawa 등 2003) 등을 이용하여 추출조건, 물리화학적 특성 등 다양한 연구가 보고되고 있다.
상기 수산물에 관한 콜라겐 연구는 수산 가공 부산물로 얻어지는 껍질, 뼈 및 비늘 등을 이용한 연구가 대부분이다. 어류 가공 부산물로 얻어지는 껍질과 뼈는 대략 30% 이상으로 그 양이 많을 뿐 아니라 콜라겐을 다량 함유하고 있으므로 수산가공 부산물을 이용하여 육상동물 유래 콜라겐을 대체할 수 있는 어류 콜라겐의 제조는 그 의미가 크다.
한편, 콜라겐은 의약품, 화장품 및 식품분야에서 다양하게 이용되어 왔으며 최근에는 항피부노화 및 피부 탄력개선, 관절염 예방 등으로 확대되고 있다. 현재 유통되고 있는 콜라겐 제품은 주로 소, 돼지 등 육상동물에서 유래한 것으로 최근 광우병 및 구제역 발생으로 인해 콜라겐을 제조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기도 하였다. 따라서 육상동물 콜라겐을 대체하기 위한 연구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고, 광우병 및 구제역으로부터 안전한 수산자원을 이용한 콜라겐의 추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그런데,콜라겐의 공급원이 부족한 상황에서 많은 수산물을 소비하고 있는 우리나라는 어패류 가공 처리 시 어류가공잔사가 증가하고 있다. 그 중 명태는 소비량이 약 40만 톤이며 그 중 껍질이 8 ~ 10%로 상당량의 부산물이 배출되고 있으나 대부분 이용도가 낮아 폐기되어 자원 낭비는 물론 환경오염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오징어는 연간 어획량이 세계 2위인 30 ~ 40만 톤으로 그 중 15%가 동해안에서 어획되고 있다. 오징어껍질의 콜라겐 함량은 15% 이상으로 오징어 가공 시 발생하는 부산물을 이용할 필요가 있고 이 오징어껍질의 콜라겐을 정제한 활용이 최근 들어 증가하는 추세이며 이러한 부산물로 콜라겐을 산업적 소재로 이용할 수 있다면 그 의미는 매우 클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단백질을 산으로 가수분해할 경우 tryptophan, cysteine 등의 필수아미노산의 손실을 가져오는 단점이 있으며 산 분해형의 경우 중화공정과정에서 생기는 식염을 조절할 필요가 있지만 효소 분해형에서는 이러한 공정이 필요 없기 때문에 제품화 단계에서 식염의 조정이 쉽다. 또한 산에 의한 단백질 분해는 보통 아미노산 말단까지 분해되지만 효소분해는 단백질을 한정 분해시키므로 그 분해물 중에는 아미노산과 저분자 펩티드가 혼합된 경우가 많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들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어류 부산물로부터 콜라겐을 추출함에 있어서, 효소(Alcalase, Neutrase)를 사용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어류 부산물에 Alcalase 또는 Neutrase 효소를 적용하여 효소분해하는 단계와 추출·분리된 콜라겐의 이화학적 성질을 측정하는 단계를 통하여 달성하였다.
본 발명은 어류 부산물인 오징어껍질과 명태껍질을 자원화하는 효과가 있고, 생체 내 흡수율이 높은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효소분해 공정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collagen의 FT-IR 스펙트럼 비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 collagen의 입자크기를 보인 사진도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오징어껍질과 명태껍질은 (주)바다누리(Daegu, Korea)에서 제공 받았으며 -70℃ deep freezer에 저장하면서 실험재료로 사용하였다. 콜라겐 표준품은 Collagen, from calr(E.C 232-697-4), 대조구로는 Marine Collagen(Dermalab Co., Ltd, Gangwondo, Korea)을 사용하였다.
실험시료 준비
명태와 오징어껍질로부터 콜라겐의 제조는 알칼리 처리와 효소 가수분해 2가지 공정을 통해 이루어졌다. 우선 시료를 수세하여 이물질을 제거하고 알칼리 처리 공정은 명태와 오징어껍질의 비단백질 제거의 목적으로 실시되었고, 효소 가수분해는 알칼리 처리한 원료에서 콜라겐의 추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콜라겐의 추출은 도 1과 같이 하였다. 오징어의 알칼리 처리는 원료에 0.1N, 0.2N, 0.3N NaOH 용액을 원료 대비 5배(v/w) 가하여 4에서 24시간 동안 비콜라겐 물질을 제거 및 추출수율 향상을 위해 처리하였다. 이후 잔존하는 NaOH를 제거하기 위하여 수세를 하였다. 효소가수분해 공정에서는 세척한 시료에 10배량의 증류수에 0.1%(v/v)의 Alcalase, Neutrase를 각각 가하여 24시간 동안 교반, 추출한 후 여과 하였다. 명태 또한 오징어와 동일하게 처리 후 동결건조하여 총 12개의 동결건조 시료를 얻었다. 이 후 오징어, 명태 유래 콜라겐의 최적 추출 조건을 확인하기 위하여 이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수율 측정
수율(yield)은 추출액을 회전 감압 증발기(Rotavapor R-123, Buchi, Swizerland)로 감압 농축한 후 건조오븐(Forced convection oven, Jeico Tech, Korea)을 이용하여 105℃ 상압가열건조법으로 항량이 될 때까지 건조한 후 추출액 조제에 사용한 원료 건물량에 대한 고형분 수율(%, d.b.)로 나타내었다.
오징어 및 명태껍질로부터 추출하여 얻은 콜라겐의 수율을 조사한 결과는 하기의 [표 1]과 같다. 오징어껍질에서는 0.3N NaOH처리한 Neutrase, 명태껍질에서는 0.3N NaOH를 처리한 Alcalase와 0.5N NaOH를 처리한 Neutrase에서 각각 비슷한 수치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평균적으로 Alcalase보다 Neutrase에서 높은 수율을 나타내었고 오징어 보다는 명태에서 훨씬 높은 수율을 나타내었다.
[표 1] Contents of Alcalase and Neutrase soluble collagens prepared from squid muscle and Alaska pollock
Figure pat00001

단백질 함량 산출
단백질 함량은 Lowry 법으로 측정하였으며 BSA(bovine serum albumin, Sigma-Aldrich Co.)를 표준품으로 한 표준곡선에 의하여 함량을 산출하였다.
단백질 함량을 측정한 결과 전체적인 함량은 오징어보다 명태껍질에서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오징어껍질의 경우 30.3 ~ 38.3% 로 가장 높은 단백질 함량을 나타낸 것은 0.1N NaOH에서 Neutrase를 처리한 구간이었으며 그 다음으로는 0.2N NaOH에서 Neutrase를 처리한 구간이었으며 이 둘을 제외한 나머지 구간에서는 단백질의 함량 차이가 크게 나지 않았다. 명태껍질은 43.0 ~ 62.7%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0.1N NaOH에서 Nuetrase에서 처리한 구간에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고 다음으로 0.3N NaOH에서 Neutrase를 처리한 구간에서 57.3%로 높게 나타나 명태껍질의 경우 Netrase에서 단백질의 함량이 높았다. 이 같은 현상은 콜라겐의 추출시의 효소처리가 콜라겐과 결합하고 있는 non-helical domain을 분해함으로써 콜라겐 분자사이의 공유결합을 절단시켜 콜라겐의 용해도를 높이는 작용을 하는 것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콜라겐 함량 및 수율
콜라겐 함량 및 수율은 Bergman 등의 방법을 수정하여 측정하였다. 즉, 알칼리처리, 수세, 효소처리 하여 동결건조한 조 콜라겐 300 mg에 6N HCl 3 ml를 가한 후 발생하는 가스를 흔들어 제거한 다음 110℃에서 24시간 가수분해 한 후 50 mL로 정용하여 측정용 시료로 하였다. 이 시액 0.3 mL에 0.6 mL의 isopropanol을 가한 후 7% chloramine T용액과 0.25M sodium acetate, 0.13M trisodium citrate, 0.03M citric acid 및 0.3% isopropanol 1:4(v/v)의 비율로 혼합한 용액 0.3 mL을 가하여 상온에서 4분 동안 산화시켰다. 여기에 Ehrlich 시약과 isopropanol을 3:13(v/v)의 비율로 혼합한 액 4 mL 가하여 60℃의 water bath에서 25분간 반응시킨 후 558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Hydroxyproline 함량은 hydroxyproline을 표준품으로 한 표준곡선에 의하여 함량을 산출하였고 콜라겐 함량은 아래의 계산식으로 계산하였다.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3

Hydroxyproline의 함량으로부터 산출한 순 콜라겐 함량은 오징어껍질에서 8.46 ~ 26.58%로 명태껍질에서는 5.80 ~ 25.89%로 Alcalse를 처리한 구간보다 Nutrase를 처리한 구간에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두 구간 모두 0.1N NaOH에서 Nutrase를 처리한 구간에서 가장 높은 콜라겐함량을 나타내었으며, 오징어껍질과 명태껍질 경우 0.3N NaOH에서 Nuetrase를 처리한 구간이 0.1N NaOH에서 Neutrase를 처리한 조건과 비슷한 함량을 나타내어 콜라겐의 함량의 경우 Nuetrase를 사용한 구간에서 가장 많은 콜라겐 함량이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어 Alcalase 보다 Neutrase에서 콜라겐 수율 측면에서 경제적인 것으로 사료된다. 콜라겐은 구조적 단백질로서의 특이성 때문에 일반적으로 추출이 어려우며, 이러한 콜라겐 분자는 helical domain과 N- 및 C-말단에 non-helical domain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non-helical 부분과 helical domain이 공유결합으로 가교되어 섬유소를 이룬다. 이 섬유소는 산성용액에서 용해되지 못하고 콜로이드 형상을 나타낸다. 따라서 효소로 가교결합을 제거함으로써 콜라겐분자를 용해 상태로 전환시키는 방법이 제시되어왔다. 또한 효소 처리시 콜라겐 분자는 helical domain이 특정 조건에서 효소반응에 대한 저항성을 가져 이때 활성화 된 효소가 non-helical domain을 분해하여 콜라겐 분자 사이의 공유결합을 절단함으로써 콜라겐의 용해도를 높이는 작용을 한다.
아미노산 조성 분석
건조된 콜라겐 시료 100 mg을 glass tube에 넣고 6N HCl 용액 3 mL에 녹인 후 110℃에서 24시간 동안 열풍건조기에서 산가수분해 시켰다. 이 후 콜라겐 시료를 감압건조 하여 HCl을 제거한 다음 구연산 완충용액을 사용하여 20 mL로 정용한 후 아미노산 자동분석기(Biochrom 30, Biochrom co., UK)로 아미노산 조성을 분석하였다.
콜라겐의 아미노산 구성은 Gly-X-Y 배열이 반복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Gly-X-Y가 Glycine-Proline-Hydroxyproline일 때 hydroxylproline (Hyp) 잔기는 콜라겐 triple helix의 열 안정성을 높여 준다. 또한 hydroxyproline의 함량은 콜라겐으로부터 유도되는 젤라틴의 중요한 기능적 특성인 겔강도와 같은 물리적 특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며, 함량이 높을수록 좋은 물리적 특성을 가진다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imino acid인 proline, hydroxyproline 잔기의 함량은 콜라겐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오징어껍질 및 명태껍질 콜라겐의 아미노산 분석결과 각각 glycine의 함량이 아미노산 중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다(표 2). 오징어껍질의 glycine 함량은 0.1N NaOH에서 Alcalase를 처리한 구간에서 가장 높은 194.180 mmole/100g을 나타내었으며 다음으로는 0.1N NaOH에서 Neutrase를 첨가한 구간에서 높은 함량을 나타내어 Proline의 함량은 0.1N NaOH에서 Neutrase를 처리한 구간에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어 오징어껍질의 경우 NaOH를 0.1N에서 처리한 구간에서 glycine과 proline의 함량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명태껍질의 경우도 오징어보다 전체적인 함량은 높지만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어 Glycine의 경우 0.1N NaOH에서 Alcalase를 처리한 구간에서 291.540 mmole/100g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고 proline의 경우 0.1N NaOH에서 Nutrase를 처리한 구간에서 83.640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표 2] Amino acid composition of squid muscle and Alaska pollock at extraction conditions
Figure pat00004
전자공여능 측정
항산화성은 α,α'-diphenyl-β-picrylhydrazyl(DPPH)를 사용하는 Blois의 방법에 준하여 517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시료 0.5 mL에 DPPH 용액 5 mL를 첨가하여 혼합한 뒤 15분 후에 517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전자공여능은 시료첨가구와 비첨가구의 흡광도 차이를 백분율로 표시하였다
Figure pat00005
A : 시료첨가구의 흡광도
B : blank 흡광도
C : 대조구 흡광도
오징어와 명태를 조건별로 동결건조한 시료 12개의 전자공여능을 비교한 결과는 하기 [표 3]과 같다.
[표 3] Electron donating ability and SOD-like activities of squid muscle and Alaska pollock at optimal conditions at extraction conditions
Figure pat00006

전자공여능은 각각 NaOH의 농도가 낮은 추출물에서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SMA는 13.26 ~ 14.05%, SMN은 13.30 ~ 14.68%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낸 구간은 SMN 0.1N에서 14.68%였으며 APA는 10.20 ~ 11.81%, APN은 11.26 ~ 12.93%로 APN 0.1N에서 12.93%의 활성을 나타내어 명태보다 오징어에서 조금 더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콜라겐함량과 비교할 경우 콜라겐 함량이 높게 나타난 조건에서 전자공여능의 활성도 높게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전자공여능은 free radical을 환원 시키는 힘으로 그 값이 높을수록 항산화 활성이 높음을 나타내며, 생체의 노화를 억제하는 척도가 된다.
Superoxide dismutase(SOD) 유사활성 측정
SOD 유사활성은 Markllund와 Marlund의 방법에 따라 과산화수소(H2O2)로 전환시키는 반응을 촉매하는 pyrogallol의 생성량을 측정하여 SOD유사활성으로 나타내었다. 일정 농도의 시료 0.2 mL에 pH 8.5로 보정한 tris-HCl buffer (50 mM tris[hydroxymethyl] amino-methane + 10 mM EDTA, pH 8.5) 3 mL와 7.2 mM pyrogallol 0.2 mL 를 첨가하여 25℃에서 10분간 반응시킨 후 1N HCl 0.1 mL를 가하여 반응을 정지시켰다. 반응액 중 산화된 pyrogallol의 양은 42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SOD유사활성은 시료의 첨가구와 무 첨가구 사이의 흡광도의 차이를 백분율로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7

SOD유사활성은 상기 [표 3]에 나타내었으며 비교한 결과 전자공여능과 비슷하게 NaOH의 농도가 낮은 구간에서 더 높은 활성이 나타났으며 NaOH의 농도가 낮을수록 SOD유사활성이 비례적으로 증가하였다. 각각의 활성은 오징어의 경우 14.64 ~ 22.76%를 나타내었으며, 명태는 12.34 ~ 21.74%를 나타내어 명태보다 오징어에서 더 높은 SOD유사활성을 나타냄을 볼 수 있었다. SOD는 체내 항산화제 효소의 하나로 superoxide anion radical을 hydrogen peroxide로 전환하는데 관여하나 SOD 유사활성은 이러한 반응성을 억제함으로서 생체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FT-IR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coppy) 분석
콜라겐의 FT-IR 분석은 FT-IR spectrophotometer(JASCO FT/IR-4100, JASCO co., JPN)를 이용하여 600부터 4,000-1 까지 데이터 포착 속도로 분석하였다. FT-IR 분석 곡선은 Jasco Spectra Manager Version 2를 이용하여 나타내었다.
오징어와 명태껍질로부터 콜라겐을 추출하기 위한 실험에서 가장 좋은 추출수율을 보인 구간으로 선정된 0.1N 알카리 처리 후 Neutrase로 효소분해한 오징어 및 명태껍질의 FT-IR 스펙트럼 특성을 콜라겐 표준품과 비교하였다(도 2). 콜라겐의 아미노산 구성은 Glycine-Proline-Hydroxyproline imino acids 로 이루어져 있으며 콜라겐의 분자구조는 glycine의 -NH group과 polypeptide chain의 carbonyl group인 C=O로 이루어져 있다. Amide Ⅱ Band인 NH는 1500-1550cm-1, Amide Ⅰ Band인 C=O는 1600-1700cm-1 Amide A인 N-H는 3200-3600-1의 Wavenumber에서 각각을 나타내고 있다. 본 실험에는 콜라겐 수율이 가장 높게 나타난 오징어 및 명태 조건에서 추출한 콜라겐을 시료로 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 콜라겐 standard인 (A)의 경우 최대 peak band는 각각 1631.48-1과 1549.52-1 3321.78-1로 각각 Amide Ⅰ와 Amide Ⅱ, Amide A범위에 포함되었고 SMN 0.1N과 APN 0.1N에서도 각각 Amide Ⅰ과 Amide Ⅱ 그리고 Amide A의 범위안의 Wavenumber속에 포함되어 콜라겐 standard와 비슷한 파장값을 나타내므로 각각의 추출 조건에서 그 물질이 콜라겐의 화학구조와 동일함을 알 수 있다.
Particle size 분석 및 SEM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건조분말의 평균크기를 알아보기 위해서 laser particle size analyzer(LS-320, Beckman Coulter co., USA)를 이용하여 isopropyl alcohol에 분산시켜 측정하였다.
표면 구조를 자세히 관찰하기 위해서 gold ion coating한 후 주사형 전자현미경(scanning electron microscope, 160A, Shimazu, Japan)을 이용하였다. 전자현미경을 이용한 관찰은 3.0kV에서 100배 및 1000배 배율로 관찰하였다.
평균입도를 측정한 결과는 [표 4]와 같았다. SMN 0.1N-FD의 평균값은 187.5 ㎛를 나타내었고 SMN 0.1N-SD 입자 크기의 평균은 50.67 ㎛로 FD에 비하여 평균 입자 크기가 작았다. APN 0.1N의 경우도 SMN 0.1N과 비슷하게 APN 0.1N-FD에서 139.8 ㎛ APN 0.1N-SD에서 40.43 ㎛로 SD에서 입자의 크기가 작음을 알 수 있었다. 도 3의 입자모양에서도 FD의 경우 입자의 크기가 크고 구형이 아닌 거친 모양을 나타내었지만 SD의 경우 대체적으로 구형을 이루며 균일한 입자 모양을 나타내었다. 이 결과 오징어껍질보다 명태껍질에서, FD 보다 SD에서 더 작은 입자의 크기와 균일한 모양을 나타내어 콜라겐을 이용한 제품화 개발 시 분무건조를 통한 명태껍질 추출 콜라겐이 생체 내 흡수율이 더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표 4] Particle size(㎛) of freeze dried and spray dried powders MPAP freeze drying and spray drying
Figure pat00008

본 발명은 효소분해 방법을 적용하여 어류 부산물로부터 신규한 화장료 조성물의 신소재를 제공하는 뛰어난 효과가 있으므로 화장품 산업상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5)

  1. 어류 부산물을 효소분해함을 특징으로 하는 콜라겐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효소는 Alcalase 또는 Neutrase 중 어느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류 부산물이 오징어껍질 또는 명태껍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의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제조되는 콜라겐 분말
  5. 제4항 기재의 콜라겐 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120016328A 2012-02-17 2012-02-17 오징어껍질 및 명태껍질 유래의 콜라겐 및 그 제조방법 KR2013009498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6328A KR20130094989A (ko) 2012-02-17 2012-02-17 오징어껍질 및 명태껍질 유래의 콜라겐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6328A KR20130094989A (ko) 2012-02-17 2012-02-17 오징어껍질 및 명태껍질 유래의 콜라겐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4989A true KR20130094989A (ko) 2013-08-27

Family

ID=492185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6328A KR20130094989A (ko) 2012-02-17 2012-02-17 오징어껍질 및 명태껍질 유래의 콜라겐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94989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6421A (ko) * 2019-07-11 2019-07-22 주식회사 미싹바이오 콜라겐추출물을 포함하는 반려동물 영양제 및 그 제조방법
KR20210010207A (ko) 2019-07-19 2021-01-27 김재호 명태 묵 튀김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명태 묵 튀김
KR102212279B1 (ko) 2020-08-28 2021-02-03 강은주 명태껍질 유래 콜라겐 추출방법, 명태껍질 유래 콜라겐 식품 및 그 제조 방법
KR20220055370A (ko) 2020-10-26 2022-05-03 주식회사 아라움 생선껍질 튀김의 제조방법
KR20230050652A (ko) 2021-10-08 2023-04-17 임강범 스마트g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6421A (ko) * 2019-07-11 2019-07-22 주식회사 미싹바이오 콜라겐추출물을 포함하는 반려동물 영양제 및 그 제조방법
KR20210010207A (ko) 2019-07-19 2021-01-27 김재호 명태 묵 튀김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명태 묵 튀김
KR102212279B1 (ko) 2020-08-28 2021-02-03 강은주 명태껍질 유래 콜라겐 추출방법, 명태껍질 유래 콜라겐 식품 및 그 제조 방법
KR20220055370A (ko) 2020-10-26 2022-05-03 주식회사 아라움 생선껍질 튀김의 제조방법
KR20230050652A (ko) 2021-10-08 2023-04-17 임강범 스마트g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al et al. Comparative assessment of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fibril formation capacity of thermostable carp scales collagen
SF et al.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gelatins extracted from skins of different freshwater fish species
Liao et al. Comparison of characteristics and fibril-forming ability of skin collagen from barramundi (Lates calcarifer) and tilapia (Oreochromis niloticus)
Herpandi et al. Fish bone and scale as a potential source of halal gelatin
Benjakul et al. Characteristics of gelatin from the skins of bigeye snapper, Priacanthus tayenus and Priacanthus macracanthus
JP5774999B2 (ja) 水生動物からのコラーゲン抽出物
EP3240902B1 (fr) Chitine, hydrolysat et procédé de production de produit(s) d'intérêt à partir d'insectes par hydrolyse enzymatique
KR20130094989A (ko) 오징어껍질 및 명태껍질 유래의 콜라겐 및 그 제조방법
CN100369929C (zh) 海蜇胶原蛋白及其制备方法
Kiew et al. The influence of acetic acid concentration on the extractability of collagen from the skin of hybrid Clarias sp. and its physicochemical properties: A preliminary study
CN108935913A (zh) 钙螯合性猪骨胶原肽及其制备方法
Noor et al. Nutritional composition of different grades of edible bird’s nest and its enzymatic hydrolysis
Song et al. Extraction optimiz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collagen from the lung of soft-shelled turtle Pelodiscus sinensis
KR101603276B1 (ko) 방사선을 이용하여 해파리로부터 콜라겐의 분리방법
FR2474036A1 (fr) Procede de production d'oligopeptides a partir de collagene
Ahmed et al. In-vitro self-assembly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collagen type I from Lutjanus erythropterus, and Pampus argenteus skin
Liyanage et al.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chitosan extracted from Whiteleg shrimp (Litopenaeus vannamei) processing shell waste in Sri Lanka
Moniruzzaman et al. Characterization of acid-and pepsin-soluble collagens extracted from scales of carp and lizardfish caught in Japan, Bangladesh and Vietnam with a focus on thermostability
JP2870871B2 (ja) 酵素を用いる甲殼類の甲殼の処理方法
KR20160087318A (ko) 고순도 마린콜라겐의 제조 방법
Kim et al. Effects of hydrolysis and swelling on structural and functional properties of Hermetia illucens L.: insoluble protein in residue fraction
Samsudin et al.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quail bone gelatin extract with hydrochloric acid and citric acid
US11028147B2 (en) Hydrolyzed collagen compositions and methods of making thereof
EP1613662B1 (fr) Procede d'obtention d'acide chondroitine sulfurique et ses utilisations
Kodous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hydrolyzed collagen produced from chicken fe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