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3662A - 직접 링크 접속들을 위한 프로브 메시징 - Google Patents

직접 링크 접속들을 위한 프로브 메시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3662A
KR20130093662A KR1020137015878A KR20137015878A KR20130093662A KR 20130093662 A KR20130093662 A KR 20130093662A KR 1020137015878 A KR1020137015878 A KR 1020137015878A KR 20137015878 A KR20137015878 A KR 20137015878A KR 20130093662 A KR20130093662 A KR 201300936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probe
wireless communication
channel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58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72443B1 (ko
Inventor
마르텐 멘조 웬팅크
크리쉬난 라자마니
Original Assignee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300936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36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24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24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2Selection of wireless resources by user or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05Discovery of network devices, e.g.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통신 네트워크에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들 사이의 직접 통신 링크를 효과적으로 설정하는 기법을 개발하기 위한 과제가 놓여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연관된 STA는 특정 액세스 포인트(AP)와 연관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이다. 비-연관된 STA는 AP와 연관되지 않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이다. 터널링된 프로브 요청은 다른 연관된 STA들에 브로드캐스팅되도록 AP를 통해 연관된 STA에 의해 송신될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능동 스캔(active scan)은 연관된 STA와 비-연관된 STA 사이의 통신 링크를 설정하기 위해서 터널링된 프로브 요청과 결합될 수 있다.

Description

직접 링크 접속들을 위한 프로브 메시징{PROBE MESSAGING FOR DIRECT LINK CONNECTIONS}
본 출원은 2010년 11월 19일자로 출원된 "DISCOVERY FOR DIRECT LINK CONNECTIONS"이라는 명칭의 미국 가특허 출원 제61/415,622호 및 2010년 11월 29일자로 출원된 "DISCOVERY FOR DIRECT LINK CONNECTIONS"이라는 명칭의 미국 가특허 출원 제61/417,532호에 대한 우선권 이익을 35 U.S.C.§119(e) 하에서 주장하며, 상기 가특허 출원들 각각은 그 전체 내용이 인용에 의해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본 출원은 무선 통신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WLAN) 시스템들에서 디바이스 발견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시스템들, 방법들 및 디바이스들에 관한 것이다.
많은 전기통신 시스템들에서, 통신 네트워크들은 몇몇 상호작용하는 공간적으로-분리된 디바이스들 사이에서 메시지들을 교환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네트워크들은 예를 들어, 대도시, 로컬 영역 또는 개인 영역일 수 있는 지리적 범위에 따라 분류될 수 있다. 이러한 네트워크들은 광역 네트워크(WAN), 대도시 네트워크(MAN), 로컬 영역 네트워크(LAN) 또는 개인 영역 네트워크(PAN)로서 각각 지정될 것이다. 네트워크들은 또한 다양한 네트워크 노드들과 디바이스들의 상호접속에 사용되는 스위칭/라우팅 기법(예를 들어, 회로 스위칭 대 패킷 스위칭), 송신에 사용되는 물리적 매체들의 타입(예를 들어, 유선 대 무선) 및 사용되는 통신 프로토콜들의 세트(예를 들어, 인터넷 프로토콜 슈트, SONET(Synchronous Optical Networking), 이더넷 등)에 따라 상이하다.
네트워크 엘리먼트들이 이동식이고, 따라서, 동적 접속 필요성들을 가질 때, 또는 네트워크 아키텍처가 고정된 토폴로지 보다는 애드 혹 내에서 형성되는 경우 무선 네트워크들이 종종 선호된다. 무선 네트워크들은 라디오, 마이크로파, 적외선, 광학적 등의 주파수 대역들에서 전자기 파들을 사용하여 비유도 전파(unguided propagation) 모드에서 무형의 물리적 매체들을 사용한다. 무선 네트워크들은 고정된 유선 네트워크들과 비교할 때 사용자 이동성 및 급속 필드 전개를 유리하게 용이하게 한다. 그러나, 무선 통신은 네트워크 사용자들 사이에서 상당한 활성 자원 관리 및 호환가능한 스펙트럼 이용을 위한 더 높은 레벨들의 상호 조정 및 조정을 요구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은 첨부된 청구항들의 범위 내에서 몇몇 양상들을 각각 가지는 시스템들, 방법들 및 디바이스들을 포함하고, 여기서 이들 중 이들 중 어떠한 단일한 하나도 오로지 본 명세서에 설명되는 바람직한 속성들만을 담당하는지는 않는다. 첨부된 청구항들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으면서 특정한 중요한 특징들이 본 명세서에 설명된다. 이 논의를 고려한 이후, 특히 "상세한 설명"이라 명명되는 섹션을 판독한 이후, 당업자는 디바이스들 사이의 통신 링크들을 설정하기 위해서 다양한 실시예들의 특징들이 어떻게 사용되는지 등을 이해할 것이다.
일 양상에 따르면,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장치는 캡슐화된 프로브 프레임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메시지 생성 모듈, 제 1 시간 기간 동안 제 1 통신 채널을 그리고 제 2 시간 기간 동안 제 2 통신 채널을 선택하도록 구성되는 채널 선택 모듈 및 상기 제 1 시간 기간 동안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 제 1 통신 디바이스에 그리고 제 2 시간 기간 동안 직접 제 2 통신 디바이스에 상기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송신 모듈을 포함한다.
다른 양상에 따르면, 무선 디바이스에서 구현되는 무선 통신 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방법은 프로브 프레임을 생성하는 단계, 메시지 내에 상기 프로브 프레임을 캡슐화하는 단계, 제 1 시간 기간 동안 액세스 포인트(AP)를 통해 상기 메시지를 제 1 통신 디바이스에 송신하기 위한 제 1 채널 및 제 2 시간 기간 동안 메시지를 제 2 통신 디바이스에 직접 송신하기 위한 제 2 채널 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양상에 따르면, 무선 통신 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장치는 프로브 프레임을 생성하기 위한 수단, 메시지 내에 상기 프로브 프레임을 캡슐화하기 위한 수단, 제 1 시간 기간 동안 액세스 포인트(AP)를 통해 상기 메시지를 제 1 통신 디바이스에 송신하기 위한 제 1 채널 및 제 2 시간 기간 동안 메시지를 제 2 통신 디바이스에 직접 송신하기 위한 제 2 채널 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다른 양상에 따르면,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서 명령들을 동작시키도록 구성되는 프로그램에 대한 데이터를 프로세싱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이 개시된다.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은, 프로세싱 회로로 하여금, 프로브 프레임을 생성하게 하고, 메시지 내에 상기 프로브 프레임을 캡슐화하게 하고, 제 1 시간 기간 동안 액세스 포인트(AP)를 통해 상기 메시지를 제 1 통신 디바이스에 송신하기 위한 제 1 채널 및 제 2 시간 기간 동안 메시지를 제 2 통신 디바이스에 직접 송신하기 위한 제 2 채널 중 하나를 선택하게 하고, 그리고 상기 메시지를 송신하게 하기 위한 코드가 저장된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특징들, 특성 및 이점들은 동일한 참조 부호들이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대응하게 식별되는 도면들과 함께 취해질때 아래에서 설명되는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보다 명백해 질 것이다.
도 1은 통신 컴포넌트들의 몇몇 샘플 양상들의 간략화된 블록도이다.
도 2a-2f는 일부 구현들에 따른 메시지의 예들을 도시한다.
도 3a-3e는 일부 구현들에 따른 메시지의 예들을 도시한다.
도 4는 일부 구현들에 따라 프로브 요청 및 프로브 응답을 송신 및 수신하는 방법의 예를 도시한다.
도 5a는 일부 구현들에 따른 터널링된 프로브 요청 프레임의 링크 식별자의 예를 도시한다.
도 5b는 일부 구현들에 따른 터널링된 프로브 요청 프레임의 링크 식별자의 예를 도시한다.
도 5c는 일부 구현들에 따른 터널링된 프로브 응답 프레임의 링크 식별자의 예를 도시한다.
도 5d는 일부 구현들에 따른 터널링된 프로브 응답 프레임의 링크 식별자의 예를 도시한다.
도 6은 일부 구현들에 따라 프로브 요청 및 프로브 응답과, TDLS 발견 요청 및 TDLS 발견 응답을 송신 및 수신하는 방법의 예를 도시한다.
도 7은 일부 구현들에 따라 GAS 초기 요청 및 응답을 송신 및 수신하는 방법의 예를 도시한다.
도 8은 일부 구현들에 따라 통신 디바이스들에 대하여 모니터링하는 방법의 예를 도시한다.
도 9는 일부 구현들에 따른 디바이스의 예를 도시한다.
도 10은 일부 구현들에 따라 프로브 프레임을 송신하는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11은 일부 구현들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의 예를 도시한다.
대중적인 무선 네트워크 기술들은 다양한 타입들의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WLAN)들을 포함할 수 있다. WLAN은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네트워킹 프로토콜들을 사용하여 인근의 디바이스들을 함께 상호접속시키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들은 임의의 통신 표준, 이를테면 WiFi, 또는 보다 일반적으로, 임의의 수의 무선 프로토콜 IEEE 802.11 패밀리에 적용될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WLAN은 무선 네트워크에 액세스하는 컴포넌트들인 다양한 디바이스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2가지 타입들의 디바이스들: 액세스 포인트(AP)들 및 클라이언트들(또한 스테이션들 또는 STA들이라 지칭됨)이 존재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AP는 WLAN에 대한 허브 또는 기지국으로서 역할을 하고, STA는 WLAN의 사용자로서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STA는 랩탑 컴퓨터, 개인용 디지털 보조기(PDA), 모바일 전화 등일 수 있다. 예에서, STA는 인터넷 또는 다른 광역 네트워크들로의 일반적인 접속을 획득하기 위해서 WiFi(예를 들어, IEEE 802.11 프로토콜) 컴플라이언트 무선 링크를 통해 AP에 접속한다. 일부 구현들에서, STA는 또한 AP로서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양상에서, 무선 네트워크들은 인프라구조 모드에서 동작할 수 있다. 인프라구조 모드에서, STA는 예를 들어, 인터넷 액세스를 포함하여 네트워크 인프라구조에 다른 무선 클라이언트들과 접속하기 위한 허브로서 역할을 하는 AP에 접속한다. 인프라구조 모드는 클라이언트-서버 아키텍처를 사용하여 다른 무선 클라이언트들에 접속을 제공한다. 일 양상에서, 무선 네트워크들은 무선 네트워크 특징들(예를 들어, 최대 데이터 레이트, 암호화 상태, AP MAC 주소, SSID 등)을 모든 인근의 클라이언트들에 브로드캐스팅하는 주기적 비컨 신호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서비스 세트 식별자(SSID)는 특정 무선 네트워크를 식별할 수 있다.
무선 클라이언트들 사이의 직접 접속을 설정하는 것은 직접 접속을 설정할 수 있는 무선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의 발견을 요구한다. 홈 네트워크와 연관된 무선 디바이스 또는 클라이언트는 연관된 STA로 지칭될 수 있다.
무선 프로토콜(예를 들어, IEEE 802.11 등)은 AP와 연관된 무선 STA들이 이들 사이의 직접 링크를 셋업할 수 있게 하는 프로토콜을 정의할 수 있다. 하나의 이러한 프로토콜은 터널링된 직접 링크 셋업(TDLS)이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TDLS 셋업 메시지들은 특정 이더타입(ethertype)에 따라 메시지(예를 들어, 데이터 유닛, 이를테면,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DU)) 내에 캡슐화될 수 있어서, 이들은 AP를 통해 터널링될 수 있다. 예에서, 이더타입은 메시지 내에 페이로드를 캡슐화하는데 사용되는 프로토콜을 표시하는 이더넷 프레임 내의 필드에 특정된다. TDLS 프로토콜에 따르면, TDLS 셋업 메시지는 연관된 STA들에 전송된 발견 요청을 포함할 수 있다. 이후, 발견 요청은 TDLS 발견 응답을 통해 TDLS 가능한 STA들에 의해 응답될 수 있다. TDLS 발견 요청 및 응답은 AP에 의해 사용되는 이더타입에 따라 캡슐화되기 때문에, AP는 TDLS가 2개의 연관된 STA들 사이에서 사용되도록 하기 위해서 업그레이드될 필요가 없는데, 그 이유는 AP가 아는 것은 이더타입에 따라 캡슐화된 메시지들뿐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TDLS 직접 링크들은 AP를 업그레이드할 필요없이 2개의 TDLS 가능 STA들 사이에서 셋업될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 따르면, 프로브 프레임은 또한 메시지의 일부 내에 캡슐화될 수 있다. 프로브 프레임은, 예를 들어, 프로브 요청 및 프로브 응답으로서 이러한 메시지들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프로브 요청은 연관된 STA들 사이의 직접 통신 링크를 설정하기 위해서 요구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는 캡슐화된 프로브 프레임의 검출 시에 메시지를 프로세싱가능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프레임이 도 2a-2f 및 도 3a-3e에 관련하여 아래에서 설명되는 메시지의 부분들에 프로브 식별자를 가지는 경우, 데이터 프레임은 적절한 응답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는 아래의 도 2c에 관하여 논의될 것인 바와 같이, 표준, 예를 들어, WFA(WiFi alliance) 표준에 의해 정의된 프로토콜에 따라 캡슐화된 프로브 프레임 바디를 가지는 메시지를 프로세싱가능하게 할 수 있다. 터널링된 프로브 요청/응답이 데이터 메시지 내에 캡슐화될 수 있으므로 AP들은 2개의 STA들 사이에서 교환되는 프로브 프레임을 프로세싱하기 위해서 업그레이드될 필요가 없을 것이다. 따라서, AP가 임의의 추가적인 프로세싱 없이 메시지 내의 터널링된 프로브 프레임들을 포워딩할 수 있으므로 직접 통신 링크들은 AP를 업그레이드하지 않으면서 2개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STA들 사이에서 셋업될 수 있다.
도 1은 일부 구현들에 따른 통신 컴포넌트들의 몇몇 샘플 양상들의 간략화된 블록도이다. 통신 컴포넌트들은 액세스 포인트(AP)(150) 및 복수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STA)들을 포함한다. 제 1 STA1(105A)은 터널링된 프로브 요청의 소스인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를 표현할 수 있다. 터널링된 프로브 요청은 통신 네트워크에서 STA들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에 직접 접속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널링된 프로브 요청은 소스 STA의 직접 네트워크 주소를 포함할 수 있어서, 수신 STA는 소스 STA와 직접 통신할 수 있다. STA1(105A)은 터널링된 프로브 요청을 생성하여, 터널링된 프로브 요청 송신(110)에 의해 표현되는 바와 같이 AP(150)를 통해 통신 네트워크 내의 다른 연관된 STA들에 송신할 수 있다. AP(150)는 AP(150)와 연관된 STA들로의 브로드캐스트(120)에서 터널링된 프로브 요청에서의 정보를 투명하게 포워딩할 수 있다. 연관된 STA들은 STA1(105A), STA2(105B) 및 STAn(105C) 중 임의의 것일 수 있다. STAn(105C)에 의해 표현되는 바와 같이, 임의의 수의 STA들은 AP(150)와 연관될 수 있다. 이후, 수신 STA들(105B, 105C)은 프로브 응답(130)을 생성하여 STA1에 송신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수신 STA(예를 들어, STA2(105B), STAn(105C))는 터널링된 프로브 응답(140)을 생성하여 AP(150)에 송신할 수 있다. 이후, AP는 터널링된 프로브 응답(160)을 STA1(105A)에 송신할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 따르면, 소스 STA(105A)를 제외한, 수신된 터널링된 프로브 요청 브로드캐스트를 가지는 모든 STA들은 수신 STA들로서 간주된다.
이제, 메시지 내의 프로브 프레임의 캡슐화는 도 2a-2f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2a는 캡슐화된 프로브 프레임(217)을 포함하는 메시지(210)의 제 1 예를 도시한다. 메시지(210)는 프로토콜 식별자(216)를 포함하는 일부 및 프로브 프레임(217)을 포함하는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메시지(210)는 또한 아래의 도 2b-2f를 참조하여 논의될 바와 같이 프로브 프레임(217)에 관하여 임의의 수의 변형들에서 배열되는 페이로드 타입 필드, 카테고리/동작 필드 및 타입/서브타입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브 프레임(217)은 또한 일반적으로 페이로드로 설명되고 지칭될 수 있다.
도 2b는 3개의 캡슐화 프로토콜에 대응하는 부분들을 포함하는 메시지(220)의 다른 예이다. 메시지(220)는 프로토콜 식별자(226), 페이로드 타입 필드(228) 및 프로브 프레임(227)을 포함할 수 있다. 페이로드 타입 필드(228)는 프로브 프레임(227)의 존재를 표시할 수 있다. 프로브 프레임(227)은 프로브 요청 또는 프로브 응답, 또는 STA의 능력들에 관한 추가적인 정보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브 프레임(227)은 또한 일반적으로 페이로드로 설명되고 지칭될 수 있다.
위에서 논의된 메시지들(210 및 220)의 컨텐츠는 도 2c-2f의 예들을 참조하여 더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2c는 일부 구현들에 따른 메시지(200)의 예를 도시한다. 프로브 프레임은 연관된 STA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프로브 프레임은 메시지(200) 내에 캡슐화될 수 있다. 메시지(200)는 프로토콜 계층들 또는 필드들(201-205)을 포함할 수 있다. 메시지(200)의 필드들은 MAC 헤더(201), 논리 링크 제어(LLC)/서브네트워크 액세스 프로토콜(SNAP) 헤더(202), 페이로드 타입 필드(203), 타입/서브타입 필드(204) 및 캡슐화된 프레임 바디(EFB)(205)를 포함할 수 있다. MAC 헤더(201)는 아래의 도 5a-5d에 관련하여 추가로 논의될 바와 같이, 메시지의 소스 주소, 데이터 유닛 및/또는 메시지의 목적지 주소 및 메시지 타입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LLC/SNAP 헤더(202)는 예를 들어, 8개의 옥텟들을 포함할 수 있다. 첫 번째 3개의 옥텟들은 LLC 헤더에 대응할 수 있다. LLC 헤더, 예를 들어, AA-AA-03은 SNAP 헤더가 제시됨을 표시할 수 있다. LLC/SNAP 헤더(202)의 다음의 3개의 옥텟들은 SNAP 헤더를 포함할 수 있다. SNAP 조직적으로 고유한 식별자(OUI: organizationally unique identifier), 예를 들어, 00-00-00는 SNAP 물리적 식별자(PID)로서 이더타입의 존재를 표시할 수 있다.
LLC/SNAP 헤더(202)의 마지막 2개의 옥텟들은 이더타입에 대응할 수 있다. 이더타입은 메시지의 연관된 프로토콜을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더타입은 LLC/SNAP 헤더(202)에 후속하는 프로토콜 필드를 식별할 수 있다. 도 2c를 참조하면, 이더타입 89-0d는 예를 들어, 802.11 캡슐화 프로토콜을 식별할 수 있다. 메시지(200)는 802.11에서 정의된 캡슐화된 프로토콜의 예일 수 있다. 802.11 캡슐화 프로토콜은 LLC/SNAP 헤더(202) 이후의 메시지(200)의 제 1 부분으로서 페이로드 타입 필드(203)를 포함할 수 있다. 페이로드 타입 필드(203)는 그와 연관된 임의의 수의 값들을 가질 수 있다. 도 2c를 참조하면, 페이로드 타입 필드(203)는 프로브 프레임이 캡슐화됨을 표시하는 3의 값을 가질 수 있다. 타입/서브타입 필드(204)는 EFB(205)의 타입 및 서브타입을 표시할 수 있다. EFB(205)는 캡슐화된 프로브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직접 접속 링크는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TDLS 발견 능력을 가질 수 있거나 가지지 않을 수 있는 디바이스들 사이에서 설정될 수 있다.
도 2d는 일부 구현들에 따른 메시지(300)의 예를 도시한다. 프로토콜 필드들(301-303)은 도 2c와 관련하여 위에서 설명된 프로토콜 필드들(201-203)에 유사할 수 있다. 도 2d를 참조하면, 페이로드 타입(303)은 TDLS 캡슐화 프로토콜을 표시하는 2의 값을 가질 수 있다. TDLS 캡슐화 프로토콜은 카테고리/동작 필드(304)를 포함할 수 있다.
카테고리/동작 필드(304)는 동작 프레임 카테고리 및 특정 동작 프레임을 표시할 수 있다. 메시지(300)는 카테고리/동작 필드(304) 이후 캡슐화된 동작 프레임 바디(EAFB)(305)를 포함할 수 있다. EAFB(305)는 TDLS 프레임 바디로서 구성될 수 있으며,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은, TDLS 발견 요청 프레임 및 TDLS 발견 응답 프레임을 포함하는 TDLS 명령들을 포함할 수 있다. 카테고리/동작 필드(304)는 프로브 프레임을 포함하기 위해서 재할당될 수 있는 미할당된 데이터 비트들을 가질 수 있다. 미할당된 데이터 비트들은 프로브 요청 및 프로브 응답에 대하여 요구되는 추가적인 정보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TDLS 캡슐화 프로토콜은 카테고리/동작 필드(304)의 값에 의해 표시되는 바와 같이, 프로브 프레임에 대하여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IEEE 802.11에 의해 정의된 바와 같이 예비된 카테고리 필드 비트들 5-126은 프로브 프레임 정보를 포함하기 위해서 재할당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IEEE 802.11에 의해 정의된 바와 같이 예비된 동작 필드 비트들 16-255는 프로브 프레임 정보를 포함하기 위해서 재할당될 수 있다.
도 2e는 일부 구현들에 따른 메시지(400)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프로토콜 필드들(401-402)은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프로토콜 필드들(201-202 및 301-302) 각각과 유사할 수 있다.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LLC/SNAP(402)는 IEEE에 의해 정의되지 않은 캡슐화 프로토콜을 식별하는 이더타입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c에서의 XX-XX의 이더타입 값에 의해 표현된 바와 같이, 이더타입은 메시지(400)에 대한 임의의 수의 캡슐화 프로토콜들을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캡슐화 프로토콜은 WFA(Wi-Fi(Wireless Fidelity) Alliance)의 캡슐화 프로토콜에 대응할 수 있다. 따라서, 메시지 캡슐화 프로토콜은 임의의 특정 표준에 의해 정의된 프로토콜에 대응할 필요가 없을 수 있다.
도 2f는 일부 구현들에 따른 메시지(310)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2f에 도시된 예는 프로토콜 필드들(311-312)이 도 2c-2d를 참조하여 위에서 설명된 프로토콜 필드들(201-202 및 301-302)과 유사할 수 있는 도 2c 및 2d에 도시된 예들과 유사하다. 도 2f에 도시된 바와 같이, LLC/SNAP 헤더(312)는 페이로드 타입 필드(313) 및 카테고리 필드(314)에 선행할 수 있다. 페이로드 타입 필드(313)는 TDLS 캡슐화 프로토콜을 표시하는 2의 값을 가질 수 있다. 카테고리 필드(314)의 값은 특정한 캡슐화된 프레임 바디(315)의 존재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27의 값을 가지는 카테고리 필드(314)는 캡슐화된 프레임 바디(315)(예를 들어, 프로브 요청 프레임 또는 프로브 응답 프레임)가 벤더 특정 동작 프레임 바디에 대응함을 표시할 수 있다. 메시지(310)는 또한 특정 표준을 식별하기 위한 개별의 조직적으로 고유한 식별자(OUI) 필드(316)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OUI 필드(316)는 WFA에 대응하는 표준을 식별할 수 있다.
다양한 프로토콜들에 대응하는 이더타입 값은 임의의 특정 프로토콜에 의해 특정되는 것들과 다른 값들의 타입/서브타입(403) 및 EFB(404)로의 할당을 허용한다. 예를 들어, WFA에 등록된 프로토콜에 대응하는 이더타입 값은 타입/서브타입 필드(403)가 IEEE 802.11 프로토콜에 의해 정의된 것들과 다른 값들을 취하게 할 것이다.
위에서 논의된 메시지들(200, 300, 400 및 310) 각각은 위의 도 2a 및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더 많은 수 또는 더 적은 수의 필드들을 포함할 수 있다. 필드들은 또한 캡슐화 프로토콜에 대응하는 메시지(200, 300, 400 및 310)의 계층들 또는 부분들로 지칭될 수 있다. 메시지의 필드들의 배열 및 수는 특히 위의 도 2a-2f에 관하여 설명된 것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3a-3e는 도 2c의 메시지의 일부 구현들에 따른 메시지의 다양한 구성들을 도시한다. 도 3a-3e는 메시지들(500, 600, 700, 800 및 900)에 대한 예시적인 포맷들을 각각 도시한다. 프로토콜 필드들(501-502, 601-602, 701-702, 801-802 및 901-902)은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프로토콜 필드들(201-202 및 301-302) 각각과 유사할 수 있다. 도 3a를 참조하면, 타입/서브타입 필드(503)는 프로브 요청 프레임 바디의 존재를 표시하는 값으로 세팅될 수 있다. 타입/서브타입 필드(503)는 프로브 요청 프레임의 타입 및 서브타입으로 세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타입은 관리 타입으로 세팅될 수 있고, 서브타입은 프로브 요청 타입으로 세팅될 수 있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입/서브타입 필드(503)는 프로브 요청 타입을 표시하기 위해서 00/0100으로 세팅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EFB(504)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은 프로브 요청 프레임 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EFB(504)에 포함된 프로브 요청 프레임은 SSID 엘리먼트, 지원된 레이트 엘리먼트, 확장된 지원 레이트 엘리먼트 및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벤더 특정 엘리먼트들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서브타입 필드는 프로브 응답 타입을 표시할 수 있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입/서브타입 필드(603)는 프로브 응답 타입을 표현하기 위해서 00/0101로 세팅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EFB(604)는 프로브 응답 프레임을 포함하는 대응하는 캡슐화된 프레임 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EFB(604)에 포함된 프로브 응답 프레임은 시간스탬프, 비컨 인터벌, 디바이스 능력, SSID, 지원된 레이트 엘리먼트 및 발신지(country of origin)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타입/서브타입 필드는 동작 프레임 바디를 표시하기 위해서 세팅될 수 있다. 도 3c에 메시지(700)로 도시된 바와 같이, 타입/서브타입 필드(703)는 동작 프레임 바디를 포함하는 EFB(704)를 표현하기 위해서 00/1101의 값으로 세팅될 수 있다. 동작 프레임 바디는 카테고리 필드, 동작 필드 및 임의의 수의 벤더 특정 정보 엘리먼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d의 메시지(80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테고리/동작 필드(804)는 공적 동작 프레임(카테고리 4) 및 포괄적 광고 서비스(GAS) 초기 요청 프레임 바디(동작 10)를 표현하기 위해서 세팅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도 3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테고리/동작 필드(804)는 공적 동작 프레임(카테고리 4) 및 포괄적 광고 서비스(GAS) 초기 응답 프레임 바디(동작 11)를 표현하기 위해서 세팅될 수 있다.
특정 예들은 타입/서브타입 필드 및 카테고리/동작 필드에 대한 특정 값들의 사용에 관하여 예시되지만, 이러한 필드들의 값들은 위에서 논의된 것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임의의 수의 값들은 다양한 캡슐화된 프레임 바디들을 표현하기 위해서 타입/서브타입 필드 및 카테고리/동작 필드를 정의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은 필드들(205, 305, 404, 315, 217, 227, 504, 604, 704, 805, 905) 각각은 개별 메시지들 각각의 페이로드로 지칭될 수 있다. 페이로드는 프로브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캡슐화된 프로브 프레임의 형태일 수 있다. 프로브 프레임은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프로브 요청 또는 프로브 응답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시지들(210, 220, 200, 300, 310, 400)의 다양한 필드들은 또한 각각의 메시지들의 부분들 또는 계층들로 지칭될 수 있다.
도 4는 캡슐화된 프로브 프레임과의 직접 통신 링크를 설정하는 예시적인 방법을 도시한다. 터널링된 프로브 요청은 생성되어, 소스 STA로서 여기서 기능을 하는 STA(STA1)에 의해 S1에서 송신된다. 터널링된 프로브 요청은 연관된 STA들 사이의 직접 통신 링크를 설정하기 위해서 요구되는 정보를 포함한다. 터널링된 프로브 요청은 STA1이 통신 중인 AP에서 수신된다. 이후, AP는 S2에 의해 표현된 바와 같이, 터널링된 프로브 요청에서의 정보를 AP와 연관된 STA들로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다. 일 양상에서, 터널링된 프로브 요청은 소스 STA(STA1)를 포함하는 모든 STA들로 브로드캐스팅된다. 간략성을 위해서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STA들(STA1 및 STA2)이 존재할 수 있다. 설명되는 바와 같이, STA1은 소스 STA일 수 있고, STA2는 수신 STA일 수 있다. 이후, STA2는 S3에 의해 표현되는 바와 같이, 터널링된 프로브 응답을 AP에 송신할 수 있다. 이후, AP는 S4에 의해 표현되는 바와 같이, 터널링된 프로브 응답을 STA1에 송신할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STA1에 의해 송신된 터널링된 프로브 요청 및 STA2에 의해 송신된 터널링된 프로브 응답은 송신 STA의 MAC 주소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a-5d는 프로브 프레임의 링크 식별자의 예들을 도시한다. 프로브 프레임은 일반적으로, A1-A3에 의해 표현되는 링크 식별자를 적어도 포함할 수 있다. 링크 식별자는 또한,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메시지의 MAC 헤더에 상주할 수 있다. AP는 프로브 프레임의 정보에 액세스할 필요 없이 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해서 MAC 헤더 내의 링크 식별자에 액세스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STA는 프로브 응답을 생성하기 위해서 MAC 헤더 또는 프로브 프레임 내의 링크 식별자를 사용할 수 있다. MAC 헤더에서 발견된 링크 식별자 정보는 프로브 프레임에서 발견된 링크 식별자 정보와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할 수 있다.
도 5a는 STA1로부터 AP로 송신된 터널링된 프로브 요청 프레임의 예시적인 링크 식별자를 도시한다. 주소 A1은 프로브 요청 프레임과 연관된 목적지 주소에 대응할 수 있고, 주소 A2는 프로브 요청 프레임과 연관된 시작 또는 소스 주소에 대응할 수 있으며, 주소 A3은 프로브 요청 프레임과 연관된 메시지 타입에 대응할 수 있다. 메시지 타입은 프로브 프레임의 목적지 주소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예에서의 제 1 주소 A1은 AP와 연관된 BSSID(basic service set identifier)에 관한 표시자이다. 주소 A2에는 소스 STA(STA1)를 식별하는 정보가 있으며, 이는 소스 STA에 대한 MAC 주소를 포함할 수 있다. 주소 A3에서, 정보는 프로브 요청 프레임이 브로드캐스트 타입을 가진다는 것을 표시한다.
도 5b는 AP에 의해 브로드캐스팅된 터널링된 프로브 요청 프레임의 링크 식별자의 예를 도시한다. 메시지 타입에 관한 표시자가 이러한 예에서 제 1 주소 A1에 의해 도시되며, 이는 터널링된 프로브 요청에 대한 브로드캐스트 타입이다. 주소 A2에는 AP를 식별하는 정보가 있으며, 이는 이러한 예에서 AP와 연관된 BSSID이다. 주소 A3에는 소스 STA(STA1)를 식별하는 정보가 있으며, 이는 연관된 MAC 주소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c는 STA2로부터 AP를 통해 송신된 터널링된 프로브 응답 프레임의 예시적인 링크 식별자를 도시한다. AP와 연관된 BSSID에 관한 표시자가 이러한 예에서 제 1 주소 A1에 의해 도시된다. 주소 A2에는 소스 STA(STA2)를 식별하는 정보가 있으며, 이는 소스 STA에 대한 MAC 주소를 포함할 수 있다. A3에서, 정보는 프로브 응답 프레임이 STA1에 전송될 것임을 표시할 수 있다.
도 5d는 AP로부터 송신된 프로브 응답의 링크 식별자의 예를 도시한다. 수신 STA(STA1)를 식별하는 정보가 이러한 예에서 제 1 주소 A1에 의해 도시된다. 주소 A2에는 AP와 연관된 BSSID에 관한 표시자가 있다. 주소 A3에서, 정보는 소스 STA, 예를 들어, STA2를 표시할 수 있다.
각각의 프로브 요청 및 프로브 응답은 또한 추가적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주소들 A1-A3은 임의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또는 AP를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널링된 프로브 요청은 터널링된 프로브 요청을 송신하는 STA가 연관된 AP의 BSSID를 특정하는 BSSID 엘리먼트를 포함할 수 있다. 터널링된 프로브 응답은 그것이 동일한 BSSID와 연관된 STA들만에 의해 송신되도록 제한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터널링된 프로브 프레임은 프로브 프레임을 송신하는 STA가 동시에 연관될 수 있는 피어-투-피어 네트워크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일부 구현들에 따라 터널링된 프로브 프레임과의 TDLS 통신 링크를 설정하기 위한 방법의 예를 도시한다. S1에 의해 표현되는 바와 같이, 방법은 소스 STA, 예를 들어, STA1에 의해 터널링된 프로브 요청의 생성 및 송신을 시작할 수 있다. 터널링된 프로브 요청은, 위의 도 4에 관하여 논의되고 S2에 의해 표현되는 바와 같이, 수신 STA들로 브로드캐스팅되도록 AP를 통해 송신될 수 있다. 수신 STA(예를 들어, STA2)는 위의 도 4에 관하여 논의되고 단계들 S3-S4에 의해 표현되는 바와 같이, 터널링된 프로브 응답을 AP를 통해 소스 STA에 송신할 수 있다.
방법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후속 TDLS 발견 기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S5에서, TDLS 발견 요청은 여기서 소스 STA로서 다시 기능을 하는 STA, 예를 들어, STA1에 의해 송신될 수 있다. TDLS 발견 요청은 STA1이 통신 중인 AP에서 수신된다. 이후, S6에서, AP는 발견 요청에서의 정보를 AP와 연관된 STA들로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TDLS 발견 요청은 모두 STA들로 브로드캐스팅된다. 설명되는 바와 같이, STA1은 소스 STA이다. STA2는 수신 STA이다. 이후, STA2는 직접 발견 응답을 STA1에 전송할 수 있다. STA1은 TDLS 발견 응답에 응답하여 확인응답(미도시)을 STA2에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S7에서, STA1은 발견 응답에 기초하여 STA2와의 TDLS 직접 링크를 셋업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STA2는 S4에서 터널링된 프로브 응답을 수신한 직후 직접 통신 링크를 셋업할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 따르면, 터널링된 프로브 응답은 또한 TDLS 능력을 포함할 수 있다. TDLS 발견 동작은 터널링된 프로브 응답에 포함된 TDLS 능력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다. TDLS 능력은 터널링된 프로브 응답에 포함된 확장된 능력 엘리먼트에서 표시될 수 있다.
도 7은 일부 구현들에 따라 터널링된 프로브 프레임과의 TDLS 통신 링크를 설정하기 위한 방법의 예를 도시한다. 방법은 터널링된 프로브 요청을 송신하는 소스 STA, 예를 들어, STA1에 의해 시작할 수 있다. 터널링된 프로브 요청은 위의 도 4의 단계들 S1-S2에 관하여 논의된 바와 같이 수신 STA들로 브로드캐스팅되도록 AP를 통해 송신될 수 있다. 수신 STA, 예를 들어, STA2는 위의 도 4의 단계들 S3-S4에 관하여 논의된 바와 같이 터널링된 프로브 응답을 AP를 통해 소스 STA에 송신할 수 있다.
방법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후속 터널링된 포괄적 광고 서비스(GAS) 요청 기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널링된 GAS 초기 요청은 프로브 요청 이후 또는 프로브 요청에 응답하여 전송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S5에서, 터널링된 GAS 초기 요청은 여기서 소스 STA로서 다시 기능을 하는 STA, 예를 들어, STA1에 의해 송신될 수 있다. GAS 초기 요청은 STA1이 통신 중인 AP에서 수신된다. 이후, S6에서, AP는 터널링된 GAS 초기 요청에서의 정보를 AP와 연관된 STA들로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터널링된 GAS 초기 요청은 모든 STA들로 브로드캐스팅된다.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STA1는 소스 STA일 수 있고, STA2는 수신 STA일 수 있다. 이후, S7에서, STA2는 터널링된 GAS 초기 응답을 AP를 통해 STA1에 전송할 수 있다. STA1은 S8에서 발견 응답에 기초하여 STA2와의 GAS 직접 링크를 셋업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STA2는 위의 도 4에 설명된 바와 같이 S4에서의 터널링된 프로빙 직후 직접 통신 링크를 셋업할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 따르면, 터널링된 GAS 초기 요청은 터널링된 프로빙으로부터 획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브로드캐스트 주소보다는 유니캐스트 목적지 주소에 송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GAS 초기 요청은 모든 연관된 STA들로 브로드캐스팅되기 이전에 먼저 피어-투-피어 네트워크에 전송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은 터널링된 GAS 초기 응답 프레임들의 응답 볼륨을 감소시킬 수 있다.
터널링된 프로빙 및 TDLS 발견에 더불어,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연관된 STA들은 특정 소셜(social) 채널들 상에서 능동 스캔을 수행할 수 있다. 소셜 채널은 프로브 또는 발견 요청에 대하여 모니터링하기 위해서 비-연관된 STA들에 대하여 지정되는 채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셜 채널들은 2.4GHz 대역에서의 채널들 1, 6 및 11일 수 있다. 능동 스캔을 수행하는 것은 소셜 채널들 중 적어도 하나로의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프로브 요청들의 송신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STA는 소셜 채널들 각각 상에서 프로브 요청을 송신함으로써 능동 스캔을 수행한다.
도 8은 터널링된 프로빙 및 능동 스캐닝을 수행하는 방법의 예를 도시한다. 연관된 STA는 AP와 연관된 채널 상에서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을 참조하면, 연관된 STA는 Ch.54 상에서 통신할 수 있다. STA는 다른 연관된 STA들 및 비-연관된 STA들에 대하여 스캔하기 위해서 소셜 채널들 상에서 능동 스캐닝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STA는 AP 채널로부터 일시적으로 접속해제할 수 있으며, 프로브 요청을 생성하여 소셜 채널 상에서 송신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STA는, 예를 들어, 채널 11로 스위칭할 수 있다. STA는 프로브 요청(801)을 생성하여 소셜 채널에 송신할 수 있다. 이후, STA는 프로브 응답을 대기할 수 있다. 프로브 응답이 미리 결정된 시간 내에 수신되지 않았으면, STA는 다른 소셜 채널들을 계속 스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STA는 프로브 요청(801)을 생성하여 소셜 채널들 6 및 1에 송신할 수 있다. STA는 각각의 프로브 요청(801)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기 위해서 미리 결정된 시간 동안 대기할 수 있다. STA는 그 후, AP 채널, 예를 들어, 채널 54로 스위칭하고, 터널링된 프로브 요청(802)을 생성하여 송신할 수 있다. 터널링된 프로브 요청(802)은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AP를 통해 송신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방법에 따르면, STA는 다른 연관된 STA들 및 비-연관된 STA들이 발견된다는 것을 보장할 수 있다. STA는 또한 능동 스캐닝을 수행하기 위해서 짧은 기간 동안 AP 채널로부터 접속해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STA는 일단 능동 스캐닝이 수행되면 AP와의 접속을 신속하게 재설정하기 위해서 접속해제가 슬립-모드 또는 유휴-모드인 AP로 (AP 모드 통신 모듈을 통해)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 따르면, 다른 기본 서비스 세트(BSS)와 연관된 STA는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피어-투-피어 청취 모드로 진입될 수 있다. 피어-투-피어 청취 모드에서, AP와의 STA의 연관성은 본질적으로 인터럽트될 수 있다.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인터럽션은 AP와의 접속을 신속하게 재설정하기 위해서 슬립-모드, 전력-절약 모드 또는 유휴-모드로서 AP로 통신될 수 있다. 비-연관된 STA를 스캐닝하는 것은 피어-투-피어 청취 모드에서 연관된 STA로부터 프로브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피어-투-피어 청취 모드에서 연관된 STA는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연관된 AP에 관하여 전력 절약 모드 또는 유휴-모드에 있을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주기적인 청취 모드는 연관된 STA의 전력 소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연관된 STA는 STA가 피어-투-피어 청취 모드에 있으면서 전력-절약 모드 또는 유휴-모드에 있다는 사실로 인하여 비-연관된 STA에 의해 발견되지 않을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활성 상태이고 BSS 채널 상에서 통신하는 연관된 STA는 소셜 채널들 상에서 프로브 요청을 주기적으로 송신할 필요가 없을 수 있다. 연관된 STA는 BSS 채널 상에서 다른 STA에 의해 수신된 송신된 프로브 요청에 대한 응답에 의존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연관된 STA는 청취 모드에 진입하지 않고 위에서 설명된 프로브 요청에 의존함으로써 피어-투-피어 청취 모드의 전력 소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 따르면, 피어-투-피어 네트워크와 연관된 STA는 액세스 포인트 타입이 프로브 응답에서의 그것의 존재를 표시할 때 발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세스 포인트 타입은 GO 타입으로 세팅될 수 있고, STA의 존재는 AP에 의해 송신된 프로브 응답에 의해 표시될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 따르면, 요청된 디바이스 타입을 가지는 WiFi 샘플 구성(WSC)은 프로브 프레임에 포함될 수 있다. WSC를 포함함으로써, 터널링된 프로브 응답들의 볼륨은 응답하여야 하는 디바이스들의 타입들을 수량화함으로써 조정(moderate)될 수 있다. WSC는 터널링된 프로브 응답을 송신할 수 있는 수신 STA들의 서브세트를 선택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또는 STA의 구성이 이제 도 9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STA(901)는 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STA(901)는 프로세싱 모듈(902) 및 메시지 송신 모듈(905)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싱 모듈(902)은 프로브 프레임 생성 모듈(903), 메시지 생성 모듈(904) 및 채널 선택 모듈(906)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브 프레임 생성 모듈(903)은 메시지 생성 모듈(904)에 커플링될 수 있으며, 메시지에서 캡슐화될 프로브 프레임을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메시지 생성 모듈(904)은 캡슐화된 프로브 프레임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메시지 생성 모듈은 메시지 송신 모듈(905)에 커플링될 수 있다. 메시지 송신 모듈(905)은 터널링된 프로브 요청 또는 터널링된 프로브 응답을 통신하기 위해서 캡슐화된 프로브 프레임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AP에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채널 선택 모듈(906)은 메시지의 송신을 위해서 채널을 선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을 참조하여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채널 선택 모듈(906)은 AP를 통해 프로브 요청을 송신하고 프로브 응답을 수신하기 위해서 제 1 시간 기간 동안 AP와 연관된 채널을 선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채널 선택 모듈(906)은 다른 시간 기간들 동안 소셜 채널들을 선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소셜 채널이 선택될 때, 메시지 송신 모듈(905)은 다른 STA들로부터 직접 소셜 채널들 상에서 프로브 요청들 및 프로브 응답들을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또는 STA는 AP 또는 다른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또는 STA로부터 송신된 프로브 프레임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메시지 수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메시지 수신 모듈은 메시지 송신 모듈(905)과 개별적으로 제공될 수 있거나, 또는 메시지 송신 모듈(905)의 구성요소일 수 있다.
도 10은 일부 구현들에 따른 방법의 예이다. 블록(10-1)에서, 프로브 프레임이 생성된다. 블록(10-2)에서, 메시지가 생성되며, 상기 메시지는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캡슐화된 프로브 프레임을 포함한다. 블록(10-3)에서, 송신 채널이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AP의 송신 채널은 메시지를 AP를 통해 송신하기 위해서 제 1 시간 기간 동안 선택될 수 있고, 소셜 채널은 메시지를 소셜 채널에 대하여 캠핑되는 다른 STA들에 송신하기 위해서 제 2 시간 기간 동안 선택될 수 있다. 블록(10-4)에서, 프로브 프레임을 포함하는 메시지는, 터널링된 프로브 요청 또는 터널링된 프로브 응답으로서 AP를 통해 또는 직접 캠핑되거나 또는 소셜 채널 상에서 통신하는 다른 STA에 송신된다.
설명의 간략성을 목적들로, 방법들이 일련의 동작들로서 도시되고 설명되지만, 일부 동작들이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양상들에 따라, 본 명세서에 도시되고 설명되는 것과 상이한 순서들로 그리고/또는 다른 동작들과 동시에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방법들은 동작들의 순서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이 이해되고 인식될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방법이 상태도에서와 같이 일련의 상호관련된 상태들 또는 이벤트들로서 대안적으로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고 인식할 것이다. 더욱이,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양상들에 따라 모든 예시되는 동작들이 방법을 구현하기 위해서 요구되는 것은 아닐 수 있다.
당업자는 예시적인 알고리즘들에서 개시되는 단계들이 본 개시의 범위 및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으면서 그들의 순서로 상호교환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당업자는 예시적인 알고리즘들에 도시된 단계들이 포함될 수 있거나 예시적인 알고리즘들에서의 단계들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이 본 개시의 범위 및 사상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삭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당업자들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되는 다양한 예시적인 컴포넌트들, 논리 블록들, 모듈들, 회로들 및 알고리즘 단계들이 전자 하드웨어, 펌웨어, 컴퓨터 소프트웨어, 또는 이 둘의 조합들로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추가로 인식할 것이다. 예를 들어, 메시지 송신 모듈(905) 및 메시지 수신 모듈은 송신기, 수신기 또는 안테나 디바이스일 수 있다. 프로세싱 모듈(902 및 1104)은 CPU, MPU 등일 수 있다. 하드웨어, 펌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이러한 상호교환가능성을 명백하게 예시하기 위해서, 다양한 예시적인 컴포넌트들, 블록들, 모듈들, 회로들 및/또는 알고리즘 단계들이 일반적으로 그들의 기능에 관하여 위에서 설명되었다. 이러한 기능이 하드웨어로서 구현되는지, 펌웨어로서 구현되는지 또는 소프트웨어로서 구현되는지는 전체 시스템 상에 부과되는 설계 제약들 및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의존한다. 당업자들은 각각의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대하여 다양한 방식들로 설명된 기능을 구현할 수 있지만, 이러한 구현 결정들은 본 개시의 범위 또는 사상을 벗어나게 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일례에서, 본 명세서에 설명되는 예시적인 컴포넌트들, 흐름도들, 논리 블록들, 모듈들 및/또는 알고리즘 단계들이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프로세서들로 구현되거나 또는 수행된다. 일 양상에서, 프로세서는 본 명세서에 설명되는 다양한 예시적인 알고리즘들, 흐름도들, 논리 블록들 및/또는 모듈들을 구현 또는 수행하기 위한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데이터, 메타데이터, 프로그램 명령들 등을 저장하는 메모리와 커플링된다. 예를 들어, 도 11을 참조하면, 프로세싱 모듈(1104)은 메모리 유닛(1100)에 커플링될 수 있다. 메모리 유닛(1100)은 컴퓨터로 하여금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하게 하기 위한 명령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 유닛(1100)은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프로브 프레임을 생성하기 위한 생성 프로브 프레임 명령(1101)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 유닛(1100)은 또한,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캡슐화된 프로브 프레임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생성하기 위한 생성 메시지 명령(1102)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 유닛(1100)은 또한, 실행될 때 메시지가 특정 시간 기간들 동안 송신될 채널을 결정하는 선택 채널 명령(1103)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 유닛(1100)은 생성된 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한 송신 메시지 명령(110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 유닛(1100)은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로서 형성될 수 있다.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한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컴퓨터 프로그램의 전달을 용이하게 하는 임의의 매체를 포함하는 통신 매체 및 컴퓨터 저장 매체 둘 다를 포함한다. 저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이용가능한 매체일 수 있다. 제한이 아닌 예로서, 이러한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RAM, ROM, EEPROM, CD-ROM 또는 다른 광학 디스크 저장소, 자기 디스크 저장소 또는 다른 자기 저장 디바이스들, 또는 원하는 프로그램 코드를 명령들 또는 데이터 구조들의 형태로 전달 또는 저장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고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임의의 접속수단(connection)이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로 적절히 지칭된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가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트위스티드 페어(twisted pair), 디지털 가입자 회선(DSL), 또는 (적외선, 라디오, 및 마이크로웨이브와 같은) 무선 기술들을 사용하여 웹사이트, 서버, 또는 다른 원격 소스로부터 송신되는 경우,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트위스티드 페어, DSL, 또는 (적외선, 라디오, 및 마이크로웨이브와 같은) 무선 기술들이 매체의 정의 내에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은 디스크(disk) 및 디스크(disc)는 컴팩트 디스크(disc)(CD), 레이저 디스크(disc), 광 디스크(disc), 디지털 다목적 디스크(disc)(DVD), 플로피 디스크(disk) 및 블루-레이 디스크(disc)를 포함하며, 여기서 디스크(disk)들은 통상적으로 데이터를 자기적으로 재생하는 반면, 디스크(disc)들은 레이저들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광학적으로 재생한다. 위의 것들의 조합들이 또한 컴퓨터-판독가능 매체의 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한다. 요약하면,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임의의 적합한 컴퓨터-프로그램 물건에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되어야 한다.
하드웨어 구현으로서, 도 9의 프로세싱 모듈들(902) 및 도 11의 1104는 본 명세서에 설명되는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주문형 집적 회로(ASIC)들,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들, 디지털 신호 프로세싱 디바이스(DSPD)들, 프로그램가능 로직 디바이스(PLD)들, 필드 프로그램가능 게이트 어레이(FPGA)들, 프로세서들, 제어기들, 마이크로-제어기들,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다른 전자 유닛들 및/또는 이들의 조합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에 있어서, 구현은 본 명세서에 설명되는 기능들을 수행하는 모듈들(예를 들어, 프로시저들, 기능들 등)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들은 메모리 유닛들에 저장되고, 프로세서 유닛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명세서에 설명되는 다양한 예시적인 흐름도들, 논리 블록들, 모듈들 및/또는 알고리즘 단계들은 또한 당해 기술 분야에 알려져 있는 임의의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상에서 전달되는 컴퓨터-판독가능 명령들로서 코딩되거나 또는 당해 기술 분야에 알려져 있는 임의의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에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첨부한 도면들 중 하나 또는 둘 이상과 관련하여) 본 명세서에 설명되는 기능은 일부 양상들에서 첨부된 청구항들에서 유사하게 지정된 기능 "을 위한 수단"에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의 프로세싱 모듈(902) 및 도 11의 1104는 메시지를 생성하기 위한 수단, 프로브 프레임을 캡슐화하기 위한 수단, 메시지를 생성하기 위한 수단 및 채널을 선택하기 위한 수단에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의 프로브 프레임 생성 모듈(903)은 프로브 프레임을 생성하기 위한 수단에 대응할 수 있다. 도 9의 메시지 생성 모듈(904)은 메시지를 생성하기 위한 수단에 대응할 수 있다. 도 9의 메시지 송신 모듈(905)은 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한 수단에 대응할 수 있다.
다른 양상들이 본 명세서에서의 설명들로부터 당업자들에게 용이하게 명백해질 것이 이해될 것이다. 당업자는 본 개시, 본 개시에서의 도면들 및 설명들이 제한적인 것이 아닌 사실상 예시적인 것으로 간주될 것이라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첨부된 도면들과 관련하여 기술된 설명은 본 개시의 다양한 양상들의 설명으로서 의도되며, 본 개시가 실시될 수 있는 양상들만을 나타내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본 개시에서 설명되는 각각의 양상은 단지 본 개시의 예 또는 예시로서 제공되며, 반드시 다른 양상들보다 선호되거나 또는 유리한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상세한 설명은 본 개시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할 목적으로 특정 세부사항들을 포함한다. 그러나, 본 개시가 이러한 특정 세부사항들 없이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이 당업자들에게 명백할 것이다. 일부 경우들에서, 잘-알려져 있는 구조들 및 디바이스들은 본 개시의 개념들을 모호하게 하는 것을 회피하기 위해서 블록도 형태로 도시된다. 약자(Acronym)들 및 다른 서술적 용어는 단지 편의상 그리고 명료성을 위해서 사용될 수 있으며, 본 개시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개시되는 양상들의 설명은 임의의 당업자가 본 개시를 실시하거나 또는 이용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양상들에 대한 다양한 변경들은 당업자들에게 용이하게 명백할 것이고, 본 명세서에서 정의되는 포괄적 원리들은 본 개시의 사상 또는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양상들에 적용될 수 있다.

Claims (47)

  1.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로서,
    캡슐화된 프로브 프레임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메시지 생성 모듈;
    제 1 시간 기간 동안 제 1 통신 채널을 그리고 제 2 시간 기간 동안 제 2 통신 채널을 선택하도록 구성되는 채널 선택 모듈; 및
    상기 제 1 시간 기간 동안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 제 1 통신 디바이스에 그리고 제 2 시간 기간 동안 직접 제 2 통신 디바이스에 상기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송신 모듈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는 캡슐화된 프로브 프레임의 식별자를 포함하고,
    상기 식별자는 상기 메시지 내의 상기 프로브 프레임의 위치를 표시하는 상기 메시지의 일부를 식별하고,
    상기 메시지의 일부는 상기 메시지 내에 상기 캡슐화된 프로브 프레임의 위치를 표시하는 페이로드 타입, 카테고리 필드 및 동작 필드 중 하나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자는 이더타입(ethertype)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브 프레임은 프로브 요청 프레임 및 프로브 응답 프레임 중 하나인,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브 프레임은 프로브 요청 프레임이고,
    상기 장치는 제 1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AP를 통해 캡슐화된 프로브 응답 프레임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수신 모듈을 더 포함하고,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통신 채널은 기본 서비스 세트(BSS) 채널에 대응하고,
    상기 제 2 통신 채널은 소셜(social) 채널에 대응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선택 모듈은 상기 제 2 통신 채널 상에서의 상기 메시지의 송신 이후 상기 제 1 통신 채널을 선택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브 프레임은 요청된 디바이스 타입 정보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의 모드를 AP로 통신하도록 구성되는 AP 모드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채널 선택 모듈이 상기 제 2 통신 채널을 선택할 때, 상기 AP 모드 통신 모듈은 전력-절약 모드, 슬립-모드 및 유휴-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AP로 통신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는 상기 메시지의 목적지 주소를 식별하는 링크 식별자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는 프로브 요청 프레임의 정보 엘리먼트들을 포함하는 캡슐화된 벤더 특정 동작 프레임 바디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식별자는 소스 주소 및 메시지 타입에 관한 정보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는 타입/서브타입 필드 및 카테고리/동작 필드 중 하나에 선행하는 페이로드 타입 필드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타입/서브타입 필드 및 상기 카테고리/동작 필드 중 하나는 TDLS 프로브 요청 프레임 바디를 표시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타입/서브타입 필드 및 상기 카테고리/동작 필드 중 하나는 TDLS 프로브 응답 프레임 바디를 표시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타입/서브타입 필드 및 상기 카테고리/동작 필드 중 하나는 TDLS GAS 초기 요청 프레임 바디를 표시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타입/서브타입 필드 및 상기 카테고리/동작 필드 중 하나는 TDLS GAS 초기 응답 프레임 바디를 표시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18. 무선 디바이스에서 구현되는 무선 통신 방법으로서,
    프로브 프레임을 생성하는 단계;
    메시지 내에 상기 프로브 프레임을 캡슐화하는 단계;
    제 1 시간 기간 동안 액세스 포인트(AP)를 통해 상기 메시지를 제 1 통신 디바이스에 송신하기 위한 제 1 채널 및 제 2 시간 기간 동안 메시지를 제 2 통신 디바이스에 직접 송신하기 위한 제 2 채널 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는 상기 프로브 프레임의 식별자를 포함하고,
    상기 식별자는 상기 메시지 내의 상기 프로브 프레임의 위치를 표시하는 상기 메시지의 일부를 식별하고,
    상기 메시지의 일부는 상기 메시지 내에 상기 캡슐화된 프로브 프레임의 위치를 표시하는 페이로드 타입, 카테고리 필드 및 동작 필드 중 하나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브 프레임은 프로브 요청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액세스 포인트(AP)를 통해 상기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및
    프로브 응답 프레임을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응답 메시지는 상기 AP를 통해 터널링되는,
    무선 통신 방법.
  21.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는 MAC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DU)인,
    무선 통신 방법.
  22. 제 18 항에 있어서,
    제 3 시간 기간 동안 제 3 채널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제 3 시간 기간 동안 상기 제 3 채널 상에서 상기 메시지를 제 3 통신 디바이스에 직접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시간 기간은 상기 제 1 시간 기간에 후속하고,
    상기 제 3 시간 기간은 상기 제 2 시간 기간에 후속하는,
    무선 통신 방법.
  24. 제 18 항에 있어서,
    제 2 통신 채널 상에서의 상기 메시지의 송신 이후 제 1 통신 채널에 다시 스위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25. 제 18 항에 있어서,
    제 1 통신 채널은 기본 서비스 세트(BSS) 채널에 대응하고,
    제 2 통신 채널은 소셜 채널에 대응하는,
    무선 통신 방법.
  26.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브 프레임은 요청된 디바이스 타입 정보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27.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디바이스의 모드를 상기 AP로 통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제 2 통신 채널이 선택될 때, 상기 방법은 전력-절약 모드, 슬립-모드 및 유휴-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AP로 통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28. 무선 통신 장치로서,
    프로브 프레임을 생성하기 위한 수단;
    메시지 내에 상기 프로브 프레임을 캡슐화하기 위한 수단;
    제 1 시간 기간 동안 액세스 포인트(AP)를 통해 상기 메시지를 제 1 통신 디바이스에 송신하기 위한 제 1 채널 및 제 2 시간 기간 동안 메시지를 제 2 통신 디바이스에 직접 송신하기 위한 제 2 채널 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는 상기 프로브 프레임의 식별자를 포함하고,
    상기 식별자는 상기 메시지 내의 상기 프로브 프레임의 위치를 표시하는 상기 메시지의 일부를 식별하고,
    상기 메시지의 일부는 상기 메시지 내에 상기 캡슐화된 프로브 프레임의 위치를 표시하는 페이로드 타입, 카테고리 필드 및 동작 필드 중 하나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30.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브 프레임은 프로브 요청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장치는,
    액세스 포인트(AP)를 통해 상기 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한 수단; 및
    프로브 응답 프레임을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응답 메시지는 상기 AP를 통해 터널링되는,
    무선 통신 장치.
  31.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는 MAC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DU)인,
    무선 통신 장치.
  32. 제 28 항에 있어서,
    제 3 시간 기간 동안 제 3 채널을 선택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제 3 시간 기간 동안 상기 제 3 채널 상에서 상기 메시지를 제 3 통신 디바이스에 직접 송신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33.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시간 기간은 상기 제 1 시간 기간에 후속하고,
    상기 제 3 시간 기간은 상기 제 2 시간 기간에 후속하는,
    무선 통신 장치.
  34.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하기 위한 수단은 제 2 통신 채널 상에서의 상기 메시지의 송신 이후 제 1 통신 채널을 선택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 장치.
  35. 제 28 항에 있어서,
    제 1 통신 채널은 기본 서비스 세트(BSS) 채널에 대응하고,
    제 2 통신 채널은 소셜 채널에 대응하는,
    무선 통신 장치.
  36.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브 프레임은 요청된 디바이스 타입 정보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37.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의 모드를 상기 AP로 통신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고,
    제 2 통신 채널이 선택될 때, 상기 장치의 모드를 통신하기 위한 수단은 전력-절약 모드, 슬립-모드 및 유휴-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AP로 통신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 장치.
  38.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서 명령들을 동작시키도록 구성되는 프로그램에 대한 데이터를 프로세싱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으로서,
    프로세싱 회로로 하여금,
    프로브 프레임을 생성하게 하고;
    메시지 내에 상기 프로브 프레임을 캡슐화하게 하고;
    제 1 시간 기간 동안 액세스 포인트(AP)를 통해 상기 메시지를 제 1 통신 디바이스에 송신하기 위한 제 1 채널 및 제 2 시간 기간 동안 메시지를 제 2 통신 디바이스에 직접 송신하기 위한 제 2 채널 중 하나를 선택하게 하고; 그리고
    상기 메시지를 송신하게 하기 위한 코드가 저장된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39.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는 상기 프로브 프레임의 식별자를 포함하고,
    상기 식별자는 상기 메시지 내의 상기 프로브 프레임의 위치를 표시하는 상기 메시지의 일부를 식별하고,
    상기 메시지의 일부는 상기 메시지 내에 상기 캡슐화된 프로브 프레임의 위치를 표시하는 페이로드 타입, 카테고리 필드 및 동작 필드 중 하나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40.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브 프레임은 프로브 요청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은, 상기 프로세싱 회로로 하여금,
    액세스 포인트(AP)를 통해 상기 메시지를 송신하게 하고; 그리고
    프로브 응답 프레임을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게 하기 위한 코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응답 메시지는 상기 AP를 통해 터널링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41.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는 MAC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DU)인,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42. 제 38 항에 있어서,
    제 3 시간 기간 동안 제 3 채널을 선택하는 것; 및
    상기 제 3 시간 기간 동안 상기 제 3 채널 상에서 상기 메시지를 제 3 통신 디바이스에 직접 송신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43. 제 4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시간 기간은 상기 제 1 시간 기간에 후속하고,
    상기 제 3 시간 기간은 상기 제 2 시간 기간에 후속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44. 제 38 항에 있어서,
    컴퓨터로 하여금, 제 2 통신 채널 상에서의 상기 메시지의 송신 이후 제 1 통신 채널을 선택하게 하기 위한 코드,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45.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통신 채널은 기본 서비스 세트(BSS) 채널에 대응하고,
    상기 제 2 통신 채널은 소셜 채널에 대응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46.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브 프레임은 요청된 디바이스 타입 정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47. 제 38 항에 있어서,
    제 2 통신 채널이 선택될 때, 프로세싱 회로로 하여금 전력-절약 모드, 슬립-모드 및 유휴-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AP로 통신하게 하기 위한 코드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KR1020137015878A 2010-11-19 2011-11-17 직접 링크 접속들을 위한 프로브 메시징 KR1015724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41562210P 2010-11-19 2010-11-19
US61/415,622 2010-11-19
US41753210P 2010-11-29 2010-11-29
US61/417,532 2010-11-29
US13/297,978 2011-11-16
US13/297,978 US9271136B2 (en) 2010-11-19 2011-11-16 Probe messaging for direct link connections
PCT/US2011/061151 WO2012068349A1 (en) 2010-11-19 2011-11-17 Probe messaging for direct link connections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9757A Division KR101855434B1 (ko) 2010-11-19 2011-11-17 직접 링크 접속들을 위한 프로브 메시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3662A true KR20130093662A (ko) 2013-08-22
KR101572443B1 KR101572443B1 (ko) 2015-12-07

Family

ID=4509478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9757A KR101855434B1 (ko) 2010-11-19 2011-11-17 직접 링크 접속들을 위한 프로브 메시징
KR1020137015878A KR101572443B1 (ko) 2010-11-19 2011-11-17 직접 링크 접속들을 위한 프로브 메시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9757A KR101855434B1 (ko) 2010-11-19 2011-11-17 직접 링크 접속들을 위한 프로브 메시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271136B2 (ko)
EP (1) EP2641409A1 (ko)
JP (1) JP5623651B2 (ko)
KR (2) KR101855434B1 (ko)
CN (1) CN103222287B (ko)
BR (1) BR112013012426A2 (ko)
WO (1) WO2012068349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53718B2 (en) 2012-11-04 2016-02-02 Kt Corporation Establishing wireless connection based on network status
US9344978B2 (en) 2011-11-30 2016-05-17 Kt Corporation Access point having multichannel and multi transmission power, cell formation method
US9635606B2 (en) 2012-11-04 2017-04-25 Kt Corporation Access point selection and managemen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91636B2 (en) * 2010-11-19 2018-10-02 Qualcomm Incorporated Probe messaging for direct link connections
US8689123B2 (en) 2010-12-23 2014-04-01 Microsoft Corporation Application reporting in an application-selectable user interface
US20130094441A1 (en) * 2011-10-17 2013-04-18 Simon Milner System, method, device for wireless device association, program download, and exchange of data between wireless devices
WO2013081370A1 (ko) * 2011-11-29 2013-06-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d2d 통신을 수행하거나 d2d 통신을 지원하는 방법과 이를 위한 장치
EP2632071A1 (en) * 2012-02-21 2013-08-28 Thomson Licensing Method for assessing quality of a radio transmission channel, and residential gateway using the method
US9282449B2 (en) 2012-03-01 2016-03-0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eer-to-peer discovery
US8867514B2 (en) 2012-03-20 2014-10-21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of infrastructure service discovery
US9609676B1 (en) * 2012-03-30 2017-03-28 Marvell International Ltd. Efficient transition from discovery to link establishment
RU2612574C2 (ru) * 2012-04-13 2017-03-09 Сони Корпорейшн Устройство беспроводной связи, устройство обработки информации и способ связи
CA2870129A1 (en) * 2012-05-02 2013-11-07 Lg Electronics Inc. Active scanning method and apparatus
KR20130125276A (ko) * 2012-05-08 2013-11-1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Short Probe Response를 이용한 효율적인 스캐닝 방법
KR101976518B1 (ko) * 2012-10-22 2019-05-10 삼성전자주식회사 와이파이 p2p 연결이 가능한 단말 장치와 와이파이 p2p 연결 방법
AU2014263433B2 (en) * 2013-05-06 2016-02-11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ctive scanning in wireless LAN
US9037763B2 (en) * 2013-05-08 2015-05-19 Qualcomm Incorporated Transport mode for a media agnostic USB protocol using a wireless serial bus (WSB) session of a WSB service
KR20160026866A (ko) * 2013-06-28 2016-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직접 통신 시스템에서 디바이스 탐색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9526066B2 (en) * 2013-08-30 2016-12-20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ccess point and wireless device for optimizing the modulation and coding scheme (MCS) used for exchanging probe request and probe responses between an access point and a wireless device
CN105874871B (zh) * 2013-12-18 2020-10-16 英特尔公司 减少直接无线交互中的连接时间
JP6274907B2 (ja) * 2014-02-26 2018-02-07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206575439U (zh) * 2014-05-12 2017-10-20 菲力尔***公司 网络摄像机及包括网络摄像机和用户设备的***
KR20170013251A (ko) * 2014-06-02 2017-0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랜에서 파워 세이브 모드 기반의 동작 방법 및 장치
CN105451366A (zh) * 2014-08-21 2016-03-30 Tcl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建立tdls链路的方法、装置和一种近场通信***
JP6507556B2 (ja) * 2014-10-16 2019-05-08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通信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9961170B2 (en) 2014-11-25 2018-05-01 Qualcomm Incorporated Ethertype packet discrimination data type
US10205776B2 (en) * 2014-12-23 2019-02-12 Xiaomi Inc. Method and device for wireless connection
WO2016126138A1 (ko) * 2015-02-05 2016-08-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세션 수립 방법 및 장치
KR20160100153A (ko) * 2015-02-13 2016-08-23 삼성전자주식회사 장치 검색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102340917B1 (ko) * 2015-06-12 2021-12-20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연결 방법
EP4152878A1 (en) 2015-10-20 2023-03-22 Wilus Institute of Standards and Technology Inc.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in high-density environment including overlapped basic service set
KR102464059B1 (ko) * 2015-11-03 2022-11-09 주식회사 윌러스표준기술연구소 중첩된 베이직 서비스 세트를 포함하는 고밀도 환경에서의 무선 통신 방법 및 무선 통신 단말
CN106685600B (zh) * 2015-11-05 2019-09-20 北京中广上洋科技股份有限公司 局域网内工作站之间的消息传递方法
KR20220122776A (ko) 2016-04-02 2022-09-02 주식회사 윌러스표준기술연구소 중첩된 베이직 서비스 세트의 공간적 재사용 동작을 위한 무선 통신 방법 및 무선 통신 단말
KR102344180B1 (ko) 2016-06-14 2021-12-28 주식회사 윌러스표준기술연구소 공간적 재사용 동작을 위한 무선 통신 방법 및 무선 통신 단말
US11716362B1 (en) * 2021-12-29 2023-08-01 The Nielsen Company (Us), Llc Methods and apparatus to de-authenticate and reroute client sessions for media monitoring
CN114095393B (zh) * 2022-01-20 2022-08-23 北京天维信通科技有限公司 自动挂载检测探针的sd-wan新建隧道节点监测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45699A (en) * 1993-09-24 1998-04-28 Apple Computer, Inc. Dynamic address assignment in an arbitrarily connected network
JP4112241B2 (ja) 2002-02-22 2008-07-02 三菱電機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および通信方法
US7594268B1 (en) * 2003-09-19 2009-09-22 Symantec Corporation Preventing network discovery of a system services configuration
KR20050082668A (ko) 2004-02-19 2005-08-24 주식회사 동산에스엔알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동영상 편집서비스 제공방법 및그 시스템
US8159999B2 (en) 2005-01-25 2012-04-17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Peer-to-pee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077683B2 (en) * 2005-11-03 2011-12-13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performing peer-to-peer communication between stations within a basic service set
TWI528756B (zh) 2007-03-10 2016-04-01 Lg電子股份有限公司 在穿隧直接鏈結(tdls)無線網路中之對等式功率節省模式
WO2009038348A1 (en) 2007-09-18 2009-03-26 Lg Electronics Inc. Direct link setup procedure in tunneled direct link setup wireless network and station supporting the procedure
EP2218236B1 (en) 2007-11-12 2019-01-02 LG Electronics Inc. Procedure for a power save mode in a direct link setup wireless network
JP4506829B2 (ja) * 2007-12-26 2010-07-21 ソニー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装置、無線通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4475328B2 (ja) 2007-12-26 2010-06-09 ソニー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装置、無線通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449024B1 (ko) 2008-03-14 2014-10-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이렉트 링크 설정 네트워크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과이를 지원하는 장치, 그 데이터 전송 방법을 위한 프레임포맷
KR101220774B1 (ko) 2008-05-01 2013-01-09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널 다이렉트 링크 설정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다이렉트 링크 설정 절차 및 이를 지원하는 스테이션
US8064374B2 (en) * 2008-05-09 2011-11-22 Nokia Corporation Power save mechanism for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KR101511386B1 (ko) * 2008-10-15 2015-04-13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널 다이렉트 링크 설정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다이렉트 링크 설정 절차
KR101669782B1 (ko) * 2008-12-17 2016-11-09 인터디지탈 패튼 홀딩스, 인크 직접 링크 통신의 향상된 보안
US7984160B2 (en) * 2009-03-05 2011-07-19 Riverbed Technology, Inc. Establishing a split-terminated communication connection through a stateful firewall, with network transparency
US8243623B2 (en) * 2009-03-31 2012-08-14 Intel Corporation Combined device and service discovery technique in stations supporting tunneled direct link setup (TDLS)
CA2773660C (en) * 2009-09-09 2015-03-31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channel scanning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system
US20110149798A1 (en) * 2009-12-23 2011-06-23 Carlos Cordeiro Device, system and method of communicating using configured transmission directionality
US8737370B2 (en) * 2010-05-17 2014-05-27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es for direct link setup
WO2011162460A1 (en) * 2010-06-22 2011-12-29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of operating channel request and responding to the operating channel request in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system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44978B2 (en) 2011-11-30 2016-05-17 Kt Corporation Access point having multichannel and multi transmission power, cell formation method
US9918236B2 (en) 2011-11-30 2018-03-13 Kt Corporation Access point having multichannel and multi transmission power, cell formation method
US10555186B2 (en) 2011-11-30 2020-02-04 Kt Corporation Access point having multichannel and multi transmission power, cell formation method
US9253718B2 (en) 2012-11-04 2016-02-02 Kt Corporation Establishing wireless connection based on network status
US9635606B2 (en) 2012-11-04 2017-04-25 Kt Corporation Access point selection and management
US10219213B2 (en) 2012-11-04 2019-02-26 Kt Corporation Access point selection and manage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4504065A (ja) 2014-02-13
US20120155350A1 (en) 2012-06-21
JP5623651B2 (ja) 2014-11-12
US9271136B2 (en) 2016-02-23
KR20150048249A (ko) 2015-05-06
EP2641409A1 (en) 2013-09-25
WO2012068349A1 (en) 2012-05-24
KR101572443B1 (ko) 2015-12-07
KR101855434B1 (ko) 2018-05-08
CN103222287B (zh) 2016-04-06
BR112013012426A2 (pt) 2020-05-12
CN103222287A (zh) 2013-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2443B1 (ko) 직접 링크 접속들을 위한 프로브 메시징
KR101435302B1 (ko)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피어 발견을 위한 방법 및 장치
US9001693B2 (en) Enhanced discovery procedures in peer-to-peer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WLANs)
US10091636B2 (en) Probe messaging for direct link connections
KR101473359B1 (ko) 직접 링크 설정에 대한 wlan 스테이션들의 능력들의 발견을 위한 방법들 및 장치들
US20130166759A1 (en)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of ip address discovery for tunneled direct link setup
US20130148643A1 (en) Enhanced discovery procedures in peer-to-peer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wlans)
KR101632222B1 (ko) 무선랜 시스템에서 고속 링크 동기화 방법 및 장치
US2013023579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establishing a connection setup through relays
KR20160079125A (ko) 확장된 서비스 세트를 통한 직접 링크 셋업
CN106465251B (zh) 利用存储的高层信息的***和方法
KR101629339B1 (ko) 무선랜 시스템에서 고속 링크 동기화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