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0108A - 핀형 열교환기와 이것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핀형 열교환기와 이것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0108A
KR20130090108A KR1020120011193A KR20120011193A KR20130090108A KR 20130090108 A KR20130090108 A KR 20130090108A KR 1020120011193 A KR1020120011193 A KR 1020120011193A KR 20120011193 A KR20120011193 A KR 20120011193A KR 20130090108 A KR20130090108 A KR 201300901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pipe
heat exchanger
fin
turn
fl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11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병월
Original Assignee
최병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병월 filed Critical 최병월
Priority to KR10201200111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90108A/ko
Publication of KR201300901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01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00Tubular elements; Assemblies of tubular elements
    • F28F1/10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 F28F1/12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 F28F1/34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and extending obliquely
    • F28F1/36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and extending obliquely the means being helically wound fins or wire spir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3/00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 B21D53/02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heat exchangers or parts thereof, e.g. radiators, condensers fins, headers
    • B21D53/027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heat exchangers or parts thereof, e.g. radiators, condensers fins, headers by helically or spirally winding elongated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00Tubular elements; Assemblies of tubular elements
    • F28F1/10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 F28F1/12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 F28F1/38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and being staggered to form tortuous fluid pass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ometr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핀형 열교환기와 이것의 제조 방법에 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핀형 열교환기는 작동유체가 내부를 통과하도록 다단으로 구부러져 형성되는 유체배관; 및 유체배관에 나선 형태로 권취되어 밀착되는 턴핀; 을 포함하고, 유체배관에는, 턴핀의 권취 위치에 대응하여 턴핀의 권취 방향과 동일한 나선 형태의 나선홈부가 형성된다. 그리고, 핀형 열교환기의 제조 방법은 작동유체가 내부를 통과하는 유체배관의 둘레에 턴핀을 나선 형태로 배치하는 배열단계; 배열단계를 거친 다음, 유체배관과 턴핀을 밀착시키고, 유체배관에 나선 형태의 나선홈부를 형성하는 확관단계; 및 확관단계를 거친 다음, 유체배관을 다단으로 구부리는 절곡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핀형 열교환기와 이것의 제조 방법{FIN TYPE HEAT EXCHANGER AND MANUFACTURING METHOD OF HEAT EXCHANGER}
본 발명은 핀형 열교환기와 이것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유체배관에 나선 형태의 턴핀이 밀착 권취되고, 유체배관에 나선홈부가 확장 형성됨으로써, 작동유체와 유체배관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키고, 이에 따라 열교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핀형 열교환기와 이것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에너지에 대한 심각한 낭비요인을 줄이고자 에너지의 효율적인 이용을 위한 고효율의 열교환기 개발의 노력들이 진행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열교환기로서, 냉동기 및 에어컨과 같은 공조기를 들 수 있다. 열교환기의 열교환 성능을 높이기 위해서는 내부에 장착된 응축기 및 증발기의 열전달 성능을 고려해야 한다.
보통 공조기나 냉동기의 전체 사이클을 살펴보면, 기체 상태의 냉매가 압축기로 들어와 압축되고, 압축된 고온의 냉매는 응축기로 공급된다. 그리고 압축된 냉매는 응축기에서 열을 대기중으로 방출하게 되고, 과냉액체의 상태에서 압력 강하로 노즐을 지나 내부압이 하강하게 된다. 이후 증발기로 공급된 냉매는 주위로부터 열을 흡수하여 증발하고, 압축기로 복귀한다.
공조기나 냉동기와 같은 열교환기의 전체 사이클에서 응축기나 증발기에서의 열교환 성능이 가장 중요하며 이러한 열교환 성능을 향상하고자 종래에는 핀형 열교환기를 사용하고 있다.
관련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0469321호 (2005. 01. 21. 등록, 발명의 명칭 : 핀 튜브형 열교환기 및 제작방법) 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유체배관에 나선 형태의 턴핀이 밀착 권취되고, 유체배관에 나선홈부가 확장 형성됨으로써, 작동유체와 유체배관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키고, 이에 따라 열교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핀형 열교환기와 이것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핀형 열교환기는 작동유체가 내부를 통과하도록 다단으로 구부러져 형성되는 유체배관; 및 상기 유체배관에 나선 형태로 권취되어 밀착되는 턴핀; 을 포함하고, 상기 유체배관에는, 상기 턴핀의 권취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턴핀의 권취 방향과 동일한 나선 형태의 나선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유체배관은, 상호 이격되어 상기 턴핀이 권취되는 직선구간과, 상기 직선구간이 상호 연통되도록 구부러져 형성되는 굴곡구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턴핀은, 상기 유체배관에 밀착되어 나선 형태로 권취되는 밀착핀부와, 상기 유체배관에서 돌출되도록 상기 밀착핀부에서 연장 형성되는 방열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나선홈부는, 상기 턴핀이 밀착되도록 상기 유체배관의 내부가 확장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유체배관이 구부러져 배열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유체배관에 결합되는 고정브라켓;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핀형 열교환기의 제조 방법은 작동유체가 내부를 통과하는 유체배관의 둘레에 나선 형태의 턴핀을 배치하는 배열단계; 상기 배열단계를 거친 다음, 상기 유체배관과 상기 턴핀을 밀착시키고, 상기 유체배관에 나선 형태의 나선홈부를 형성하는 확관단계; 및 상기 확관단계를 거친 다음, 상기 유체배관을 다단으로 구부리는 절곡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확관단계는, 상기 나선홈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유체배관의 내부를 확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확관단계는, 상기 유체배관의 내부가 확장되도록 상기 유체배관의 내부에 관로확장부재를 통과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배열단계에 앞서 상기 턴핀을 나선 형태로 제조하는 핀제작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절곡단계를 거친 다음, 상기 유체배관의 구부러져 배열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유체배관에 고정브라켓을 결합하는 고정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핀형 열교환기와 이것의 제조 방법은 유체배관에 나선 형태의 턴핀이 밀착 권취되고, 유체배관에 나선홈부가 확장 형성됨으로써, 작동유체와 유체배관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키고, 이에 따라 열교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체배관의 내부를 확장시킴으로써, 유체배관과 턴핀의 밀착력을 향상시키고, 나선홈부의 형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턴핀의 세부 구조를 통해 열교환 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체배관의 내부 확장시 유체배관의 내부에 잔존하는 유분을 제거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작동유체와 유분의 혼합을 방지 또는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길게 형성되는 하나의 유체배관을 구부려 제작함에 따라 열교환기에서 유체배관의 연결 부위를 삭제하고, 작동유체의 흐름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체배관의 연결에 따른 용접 작업이 삭제되고, 열교환기의 제조 공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정브라켓을 더 포함함으로써, 유체배관이 구부러진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고, 유체배관 사이에서 안정되게 열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핀형 열교환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핀형 열교환기에서 턴핀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핀형 열교환기에서 고정브라켓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핀형 열교환기에서 고정브라켓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핀형 열교환기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도 6은 도 5에서 배열단계에서 유체배관과 턴핀의 배열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도,
도 7은 도 6의 결합도,
도 8과 도 9는 도 7에서 턴핀이 결합된 유체배관의 절곡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핀형 열교환기와 이것의 제조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핀형 열교환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핀형 열교환기에서 턴핀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핀형 열교환기는 유체배관(10)과, 턴핀(20)을 포함한다.
유체배관(10)은 작동유체가 내부를 통과한다. 유체배관(10)은 길게 형성되는 하나의 중공관이 다단으로 구부러져 형성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유체배관(10)이 2열 5단으로 구부러져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하지만, 유체배관(10)의 구조를 여기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1열에 다단으로 구부러져 형성되기도 하고, 2열 이상의 복수 열에 다단으로 구부러져 형성될 수 있다.
유체배관(10)은 직선구간(11)과 굴곡구간(12)을 포함할 수 있다.
직선구간(11)은 상호 이격되어 턴핀(20)이 권취된다. 직선구간(11)은 하나의 유체배관(10)에서 턴핀(20)이 권취되어 밀착되는 구간이다. 직선구간(11)에서 유체배관(10)은 실질적으로 상호 평행하게 배치된다.
굴곡구간(12)은 상호 이격된 직선구간(11)이 상호 연통되도록 구부러져 형성된다. 굴곡구간(12)은 하나의 유체배관(10)에서 구부러져 두 직선구간(11)을 상호 연통시키는 구간이다. 굴곡구간(12)에도 턴핀(20)이 권취될 수 있다.
유체배관(10)은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턴핀(20)은 유체배관(10)에 나선 형태로 권취되어 밀착된다. 턴핀(20)은 유체배관(10)의 내부를 확장시킴으로써, 유체배관(10)에 밀착될 수 있다.
턴핀(20)은 밀착핀부(21)와, 방열핀부(22)를 포함할 수 있다.
밀착핀부(21)는 유체배관(10)에 나선 형태로 권취되고, 유체배관(10)에 밀착된다. 방열핀부(22)는 유체배관(10)에서 돌출되도록 밀착핀부(21)에서 연장 형성된다.
여기서 턴핀(20)의 권취 피치(p)는 턴핀(20)이 유체배관(10)에 권취될 때, 밀착핀부(21) 사이의 간격 또는 방열핀부(22) 사이의 간격을 말한다. 턴핀(20)의 돌출각(a)은 턴핀(20)이 유체배관(10)에 밀착 형성될 때, 유체배관(10)과 방열핀부(22)가 이루는 각도를 말한다.
권취 피치(p)와 돌출각(a)은 턴핀(20)을 제조할 때, 열교환기의 열교환 성능을 고려하여 결정한다.
또한, 유체배관(10)에 밀착되는 밀착핀부(21)의 밀착폭과, 유체배관(10)에서 돌출되는 방열핀부(22)의 돌출폭 역시 열교환기의 열교환 성능을 고려하여 결정한다.
턴핀(20)은 열전달 효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유체배관(10)의 내부에는 나선 형태의 나선홈부(15)가 형성된다.
나선홈부(15)는 유체배관(10)에 권취된 턴핀(20)의 권취 위치에 대응하여 턴핀(20)의 권취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된다. 나선홈부(15)는 유체배관(10)의 내부에서 유체배관(10)에 권취된 턴핀(20) 사이로 함몰 형성된다.
나선홈부(15)는 턴핀(20)이 권취된 유체배관(10)의 내부를 확장시켜 형성할 수 있다. 유체배관(10)의 내부가 확장되어 나선홈부(15)가 형성되면 유체배관(10)과 턴핀(20)의 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나선홈부(15)가 형성되면 유체배관(10)에서 턴핀(20)이 안정되게 고정될 수 있다.
나선홈부(15)는 관로확장부재(40)를 통해 형성될 수 있다.
관로확장부재(40)는 유체배관(10)의 내부를 통과하면 유체배관(10)의 직경을 확장시킨다. 여기서 관로확장부재(40)의 일단부에는 유체배관(10)의 내부를 확장시킬 수 있는 확장볼부(41)가 형성되고, 관로확장부재(40)의 타단부에는 걸림돌부(42)가 형성될 수 있다. 걸림돌부(42)는 별도로 마련되는 당김장치(미도시)에 걸림 결합되어 관로확장부재(40)의 이동을 용이하게 한다.
본 발명에서 유체배관(10)의 내부에 나선홈부(15)가 형성됨에 따라 작동유체가 유체배관(10)의 내부를 통과할 때, 작동유체와 유체배관(10)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키고, 이에 따라 열교환 성능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핀형 열교환기는 고정브라켓(30)을 더 포함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핀형 열교환기에서 고정브라켓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핀형 열교환기에서 고정브라켓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고정브라켓(30)은 유체배관(10)이 구부러져 배열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유체배관(10)에 결합된다. 유체배관(10)에서 직선구간(11)의 이격 배치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고정브라켓(30)에는 직선구간(11)이나 굴곡구간(12)이 결합된다.
고정브라켓(30)은 고정부(31)와 지지부(32)를 포함한다.
고정부(31)는 유체배관(10)의 직선구간(11)이나 유체배관(10)의 굴곡구간(12)이 결합되어 유체배관(10)이 구부러져 배열된 상태를 유지시킨다. 다른 표현으로는, 고정부(31)는 직선구간(11)의 이격 배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고정부(31)에는 고정홀부(35)가 형성될 수 있다. 고정홀부(35)는 유체배관(10)의 굴곡구간(12)이 삽입 지지되도록 고정부(31)에 관통 형성된다. 한편, 고정홀부(35)에는 굴곡구간(12) 또는 굴곡구간(12)을 포함하는 유체배관(10)이 삽입 지지될 수 있다.
지지부(32)는 고정부(31)를 설치 장소에 고정시키기 위해 고정부(31)에서 연장 형성된다. 지지부(32)는 별도의 체결부재를 통해 설치 장소에 고정됨으로써, 고정부(31)를 설치 장소에 고정시킬 수 있다.
여기서 각각의 턴핀(20)은 가장자리가 내접되는 가상의 기둥 형상을 나타낸다. 그러면, 직선구간(11)에 권취된 턴핀(20)은 인접한 다른 직선구간(11)에 권취된 턴핀(20)과 외접할 수 있다.
일예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구간(11)이 수직 또는 수평 방향에서 교차되도록 배열되는 경우, 각각의 직선구간(11)에 권취된 턴핀(20)은 수직 또는 수평 방향에서 인접한 다른 직선구간(11)에 권취된 턴핀(20)과 외접하게 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구간(11)이 지그재그 형태로 교차되도록 배열되는 경우, 각각의 직선구간(11)에 권취된 턴핀(20)은 인접한 모든 직선구간(11)에 권취된 턴핀(20)과 외접하게 된다.
상호 인접한 턴핀(20)이 외접하는 경우, 턴핀(20)이 상호 이격된 상태에 비해 열교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지금부터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핀형 열교환기의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핀형 열교환기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6은 도 5에서 배열단계에서 유체배관과 턴핀의 배열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도이며, 도 7은 도 6의 결합도이고, 도 8과 도 9는 도 7에서 턴핀이 결합된 유체배관의 절곡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과 도 2 그리고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핀형 열교환기의 제조 방법은 배열단계(S2)와, 확관단계(S3)와, 절곡단계(S4)를 포함한다.
배열단계(S2)는 유체배관(10)의 둘레에 턴핀을 나선 형태로 배치한다. 유체배관(10)의 내부에는 작동유체가 통과된다.
일예로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턴핀(20)의 중심을 유체배관(10)이 통과하도록 하고, 관로확장부재(40)가 유체배관(10)의 내부를 통과하도록 한다.
이때, 하나의 유체배관(10)에 턴핀(20)이 상호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턴핀(20)이 배치된 부분은 직선구간(11)을 이루고, 턴핀(20)이 배치되지 않은 부분은 굴곡구간(12)을 이루게 된다.
배열단계(S2)에서 턴핀(20)은 유체배관(10)의 둘레에 직접 권취될 수 있다.
확관단계(S3)는 배열단계(S2)를 거친 다음 유체배관(10)과 턴핀(20)을 밀착시키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체배관(10)의 내부에 나선 형태의 나선홈부(15)를 형성한다.
일예로 확관단계(S3)에서는 유체배관(10)의 내부를 확장시킬 수 있다. 유체배관(10)의 내부가 확장됨에 따라 유체배관(10)에 권취된 턴핀(20)을 유체배관(10)에 밀착시킬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유체배관(10)의 내부에 나선 형태의 나선홈부(15)가 형성될 수 있다.
특히, 관로확장부재(40)는 유체배관(10)의 내부를 통과하면 유체배관(10)의 직경을 확장시킨다. 여기서 관로확장부재(40)의 일단부에는 유체배관(10)의 내부를 확장시킬 수 있는 확장볼부(41)가 형성되고, 관로확장부재(40)의 타단부에는 걸림돌부(42)가 형성될 수 있다. 걸림돌부(42)는 별도로 마련되는 당김장치(미도시)에 걸림 결합되어 관로확장부재(40)의 이동을 용이하게 한다.
그러면 당김장치(미도시)가 동작됨에 따라 관로확장부재(40)는 유체배관(10)의 내부를 통과한다. 이때, 확장볼부(41)는 유체배관(10)의 내부를 지나면서, 유체배관(10)의 내부를 확장시킨다.
특히, 관로확장부재(40)를 통해 유체배관(10)의 내부를 확장시킴으로써, 유체배관(10)의 내부에 잔존하는 유분을 제거 또는 감소시킬 수 있고, 유체배관(10)과 턴핀(20)의 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유체배관(10)의 내부에 나선 형태의 나선홈부(15)가 용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절곡단계(S4)는 확관단계(S3)를 거친 다음 유체배관(10)을 다단으로 구부린다. 절곡단계(S4)는 도 8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이격되어 턴핀(20)이 권취된 하나의 유체배관(10)을 다단으로 구부릴 수 있다.
절곡단계(S4)에서는 하나의 유체배관(10)에서 양단부로부터 중앙을 향해 순차적으로 구부림으로써, 유체배관(10)을 구부릴 때 주변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체배관(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지그재그 형태로 5단을 구부리고, 중앙 부분에서는 대칭을 이루는 양측이 마주보도록 구부림으로써, 2열 5단의 열교환기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핀형 열교환기의 제조 방법은 핀제작단계(S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핀제작단계(S1)는 배열단계(S2)에 앞서 턴핀(20)을 나선 형태로 제조한다. 핀제작단계(S1)에서 제조되는 턴핀(20)은 밀착핀부(21)와 방열핀부(2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핀형 열교환기의 제조 방법은 고정단계(S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단계(S5)는 절곡단계(S4)를 거친 다음 유체배관(10)이 구부러져 배열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유체배관(10)에 고정브라켓(30)을 결합한다. 고정단계(S5)에서 결합되는 고정브라켓(30)은 고정홀부(35)가 형성된 고정부(31)와 지지부(3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유체배관(10)에 나선 형태의 턴핀(20)이 밀착 권취되고, 유체배관(10)의 내부에 나선홈부(15)가 확장 형성됨으로써, 작동유체와 유체배관(10)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키고, 이에 따라 열교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체배관(10)의 내부를 확장시킴으로써, 유체배관(10)과 턴핀(20)의 밀착력을 향상시키고, 나선홈부(15)의 형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길게 형성되는 하나의 유체배관(10)을 구부려 제작함에 따라 열교환기에서 유체배관(10)의 연결 부위를 삭제하고, 작동유체의 흐름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유체배관 11: 직선구간
12: 굴곡구간 15: 나선홈부
20: 턴핀 21: 밀착핀부
22: 방열핀부 30: 고정브라켓
31: 고정부 32: 지지부
35: 고정홀부 40: 관로확장부재
41: 확장볼부 42: 걸림돌부
a: 돌출각 S1: 핀제작단계
S2: 배열단계 S3: 확관단계
S4: 절곡단계 S5: 고정단계

Claims (10)

  1. 작동유체가 내부를 통과하도록 다단으로 구부러져 형성되는 유체배관; 및
    상기 유체배관에 나선 형태로 권취되어 밀착되는 턴핀; 을 포함하고,
    상기 유체배관에는,
    상기 턴핀의 권취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턴핀의 권취 방향과 동일한 나선 형태의 나선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핀형 열교환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배관은, 상호 이격되어 상기 턴핀이 권취되는 직선구간과, 상기 직선구간이 상호 연통되도록 구부러져 형성되는 굴곡구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핀형 열교환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턴핀은, 상기 유체배관에 밀착되어 나선 형태로 권취되는 밀착핀부와, 상기 유체배관에서 돌출되도록 상기 밀착핀부에서 연장 형성되는 방열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핀형 열교환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나선홈부는, 상기 턴핀이 밀착되도록 상기 유체배관의 내부가 확장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핀형 열교환기.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배관이 구부러져 배열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유체배관에 결합되는 고정브라켓;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핀형 열교환기.
  6. 작동유체가 내부를 통과하는 유체배관의 둘레에 나선 형태의 턴핀을 배치하는 배열단계;
    상기 배열단계를 거친 다음, 상기 유체배관과 상기 턴핀을 밀착시키고, 상기 유체배관에 나선 형태의 나선홈부를 형성하는 확관단계; 및
    상기 확관단계를 거친 다음, 상기 유체배관을 다단으로 구부리는 절곡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핀형 열교환기의 제조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확관단계는, 상기 나선홈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유체배관의 내부를 확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핀형 열교환기의 제조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확관단계는, 상기 유체배관의 내부가 확장되도록 상기 유체배관의 내부에 관로확장부재를 통과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핀형 열교환기의 제조 방법.
  9.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열단계에 앞서 상기 턴핀을 나선 형태로 제조하는 핀제작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핀형 열교환기의 제조 방법.
  10.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단계를 거친 다음, 상기 유체배관의 구부러져 배열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유체배관에 고정브라켓을 결합하는 고정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핀형 열교환기의 제조 방법.
KR1020120011193A 2012-02-03 2012-02-03 핀형 열교환기와 이것의 제조 방법 KR2013009010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1193A KR20130090108A (ko) 2012-02-03 2012-02-03 핀형 열교환기와 이것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1193A KR20130090108A (ko) 2012-02-03 2012-02-03 핀형 열교환기와 이것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0108A true KR20130090108A (ko) 2013-08-13

Family

ID=492158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1193A KR20130090108A (ko) 2012-02-03 2012-02-03 핀형 열교환기와 이것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9010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5852B1 (ko) * 2016-09-20 2017-04-11 신동훈 핀튜브 조립체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작된 핀튜브 조립체
CN108534586A (zh) * 2018-03-20 2018-09-14 河南新科隆电器有限公司 一种螺旋翅片管及包含其的kl型翅片热交换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5852B1 (ko) * 2016-09-20 2017-04-11 신동훈 핀튜브 조립체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작된 핀튜브 조립체
CN108534586A (zh) * 2018-03-20 2018-09-14 河南新科隆电器有限公司 一种螺旋翅片管及包含其的kl型翅片热交换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22602B2 (en) Heat exchanger having a plurality of plate-like fins and a plurality of flat-shaped heat transfer pipes orthogonal to the plate-like fins
KR101166806B1 (ko) 이중관 및 이를 구비한 열교환기
JP6017047B2 (ja) 熱交換器、空調機、冷凍サイクル装置及び熱交換器の製造方法
JP5938021B2 (ja) 熱交換用二重管
JP2007032949A (ja) 熱交換器
US10677531B2 (en) Heat exchanger, air-condition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of producing flat-tube U-bend
JP6425829B2 (ja) 熱交換器及び冷凍サイクル装置
US20100252246A1 (en) Heat exchanger and air conditioner having the same and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same
JP2014224670A (ja) 二重管式熱交換器
KR20130090108A (ko) 핀형 열교환기와 이것의 제조 방법
KR100735636B1 (ko) 알루미늄 파이프로 형성된 열교환기의 지지 브래킷
JP2009041798A (ja) 熱交換器
JP6198976B2 (ja) 熱交換器、及び冷凍サイクル装置
JPWO2017208419A1 (ja) フィンチューブ型熱交換器、および、このフィンチューブ型熱交換器を備えたヒートポンプ装置
KR20120051450A (ko) 냉장고용 응축기 및 그 제조방법
KR101016696B1 (ko) 턴핀형 열교환기 및 그의 제조방법
JP6651692B2 (ja) 二重管式内部熱交換器
WO2018134975A1 (ja) 熱交換器および冷凍サイクル装置並びに熱交換器の製造方法
JP2004239486A (ja) 熱交換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260407B1 (ko) 이중관식 열교환기 제조방법 및 그에 따른 이중관식 열교환기
JP6537615B2 (ja) 熱交換器及び熱交換器の製造方法
KR20170059865A (ko) 냉장고용 턴핀 응축기
KR200314044Y1 (ko) 에어컨 증발기의 모세관 연결장치
KR100574869B1 (ko) 액-기체 열 교환기
KR200408236Y1 (ko) 김치저장고용 응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