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89478A - Fertigation apparatus operatable without power and cultivation system having the same - Google Patents

Fertigation apparatus operatable without power and cultivation system hav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89478A
KR20130089478A KR1020120010875A KR20120010875A KR20130089478A KR 20130089478 A KR20130089478 A KR 20130089478A KR 1020120010875 A KR1020120010875 A KR 1020120010875A KR 20120010875 A KR20120010875 A KR 20120010875A KR 20130089478 A KR20130089478 A KR 201300894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bucket
support
wick
water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087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손용만
Original Assignee
손용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용만 filed Critical 손용만
Priority to KR10201200108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89478A/en
Publication of KR201300894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9478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4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 A01G27/06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having a water reservoir, the main part thereof being located wholly around or directly beside the growth substrat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8Component parts, e.g. dispensing fittings, level ind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4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60Planning or developing urban green infrastructur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PURPOSE: A non-power irrigator and a plant cultivation system including the same are provided to perform successive irrigation with one supply of water for a predetermined time without additional supply. CONSTITUTION: A frame (150) is for mounting a flowerpot (110). A support unit (160) supports a water container (120) with an outlet facing downwards. A puddle unit (170) forms a puddle space for water discharged from the water container. A wick unit (180) extended from the puddle unit to the inside of a flowerpot for supplying the water to the flowerpot. The outlet (121) includes a stopper (140) which is detachably mounted. An irrigator (130) discharges stored water when the output is exposed from the puddle unit and air flows into the water container. The stopper includes a body unit (141) and a penetration unit (142).

Description

무동력 관수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식물 재배 시스템{FERTIGATION APPARATUS OPERATABLE WITHOUT POWER AND CULTIVATION SYSTEM HAVING THE SAME}FERTIGATION APPARATUS OPERATABLE WITHOUT POWER AND CULTIVATION SYSTEM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관수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한 번의 공급으로 전기 또는 기계적인 에너지의 소모 없이 지속적으로 화분 또는 텃밭에 관수 및 양액을 할 수 있도록 한 무동력 관수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non-powered watering device that can be irrigation and nutrient solution to the pot or garden without the consumption of electrical or mechanical energy in one supply.

아스팔트와 콘크리트 건물에 갇혀 사는 도시민들에게는 휴식과 대화의 녹색공간의 확충이 절실하다. 포트 재배(Pot Cultivation)는 적절한 관수와 양액(fertilization)을 통하여 생육 조건이 충족되기 어려운 아스팔트, 콘크리트, 간척지 등의 환경에서도 초저비용 및 친환경적으로 녹화를 유도하여 다양한 부가 효과(예: 일자리의 창출, 녹색공간의 확보에 따른 탄소 배출권의 확보, 여름철 도심의 냉방전력 절감 및 전력 과부하 방지, 녹색 공간 내의 휴식 및 산업활동을 통해 도시민의 생활 수준 제고 등)를 얻을 수 있다.For urban residents trapped in asphalt and concrete buildings, it is urgent to expand the green space for rest and dialogue. Pot Cultivation, through proper watering and fertilization, induces greening in a very low cost and eco-friendly way even under conditions such as asphalt, concrete, and reclaimed land, where growth conditions are difficult to meet. Securing carbon credits by securing green spaces, reducing cooling power in urban areas in the summer and preventing overloads of electricity, rest in green spaces, and improving the living standards of urban residents through industrial activities.

또한, 환경오염 등에 대한 우려와 함께 웰빙시대에 접어들면서 먹거리 생산에 대한 관심이 매우 커져서 『내가 먹는 채소 내가 키운다』로 대표되는 먹거리에 대한 안정성 확보가 중요시된다. 이와 동시에 지방자치단체에서도 짜투리 땅과 옥상 및 베란다 등을 활용하여 텃밭재배를 권장하고 있다. In addition, with the concern for environmental pollution, as we enter the well-being era, the interest in food production has grown so much that it is important to secure the stability of the food represented by `` I Grow Vegetables I Eat. '' At the same time, local governments are encouraged to grow their gardens by using the soil, rooftops and verandas.

그러나 노지텃밭을 제외한 옥상이나 베란다 텃밭상자 재배시 가장 큰 어려움은 물 공급이다. 옥상의 경우는 거의 매일 물을 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으로 재배를 회피하거나, 재배를 시도하였다 하더라도 제때에 물 공급을 하지 못해 식물체가 말라 고사하는 경우가 많다. 물론 대규모 재배에서는 타이머 부착형 워터펌프 등으로 물공급이 용이하나, 가정 및 직장 등에서 소규모로 텃밭을 재배하는 경우에는 그러한 기계적인 관수장치가 오히려 번거럽고, 비용 과다의 문제가 있다. However, the biggest difficulty in growing rooftops or veranda gardening boxes other than open-air gardens is water supply. In the case of the rooftop, avoiding cultivation due to the hassle of watering almost every day, or even attempting cultivation, the plants often dry up due to the inability to supply water on time. Of course, in large-scale cultivation, it is easy to supply water with a timer-type water pump, but when cultivating a small garden at home and at work, such a mechanical irrigation system is rather cumbersome and expensive.

현재에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등록특허 제10-0981598호에서는 개폐방식의 무동력 관수 및 양액장치를 개시하는 등 다양한 방식의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연구의 일환으로 이동식 텃밭상자로 활용되는 화분이 간단하게 외장될 수 있는 관수장치를 제안한다.At present,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various types of research are being conducted in Patent Registration No. 10-0981598, such as opening and closing a non-powered watering and nutrient solu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watering device that can be simply externally potted plants used as a mobile garden box as part of this research.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한 것으로, 옥상, 베란다 등 인공지반 위에서 여러가지 형태의 화분들을 활용해 식물을 재배할 경우 가장 어렵게 생각하는 물 공급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In view of the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object to solve the problem of water supply, which is considered the most difficult when cultivating plants using various types of pots on artificial ground such as rooftops and verandas.

또한, 본 발명은 방치되어 있는 옥상 등을 식물재배 공간으로 활용하는 일명 도시형간척을 실현하고, 나아가 옥상 등에 조성된 농지를 활용하여 신규고용을 창출하는데 도움이될 수 있는 관수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식물재배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to realize the so-called urban type reclamation using the left roof, such as plant cultivation space, and furthermore, a watering device that can help to create new employment by using farmland formed on the roof, etc. and plants having the same The purpose is to provide a cultivation system.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물통에 저장된 물 또는 양액을 식물이 식재되는 화분에 공급하도록 이루어지는 관수장치를 제공하며, 상기 관수장치는, 상기 화분이 안착되도록 이루어지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일단부에 배치되며 상기 물통의 배출구가 하향하는 상태에서 상기 물통을 지지하도록 이루어지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로부터 일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어 상기 물통으로부터 배출된 물이 고이는 고임공간을 형성하는 고임부, 및 상기 고인 물을 상기 화분으로 공급하도록 상기 고임부에서 상기 화분의 내부로 이어지는 심지부를 포함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atering device that is configured to supply the water or nutrient solution stored in the bucket to the potted plant planted, the watering device, the frame is formed so that the potted plant, and the It is disposed at one end and made to support the bucket in the state in which the outlet of the bucket downwards, and extends in one direction from the support, and is mounted on the frame to form a pooling pool where water discharged from the bucket And the groin, and the wick portion from the groin to the inside of the pot to supply the deceased water to the pot.

상기 프레임은, 지면과 평행하게 형성되며, 상부에 상기 화분이 안착되도록 이루어지는 베이스부, 및 상기 베이스부를 상기 지면으로부터 이격시키도록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상기 지면을 향하여 돌출되는 다리부를 포함한다. 상기 고임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심지부는 상기 베이스부를 관통하여 상기 고임부와 상기 화분의 내부를 연결할 수 있다. The frame is formed in parallel with the ground, and includes a base portion on which the pot is seated, and a leg portion protruding from the base portion toward the ground so as to space the base portion from the ground. The tablet portion may be disposed below the base portion, and the wick portion may penetrate the base portion to connect the plant portion with the inside of the flower pot.

상기 관수장치는, 상기 고임부에서 상기 배출구가 노출되면 상기 물통의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어 상기 저장된 물을 배출시키도록 이루어지거나, 상기 물통에 장착되어 상기 배출구를 개폐하는 이동부재와, 상기 고인 물의 수위변화에 따라 상기 이동부재를 이동시키도록 형성되는 수위 조절부를 구비한다.The watering device, when the outlet is exposed in the swelling part is made to discharge air stored in the interior of the bucket to discharge the stored water, or mounted on the bucket to move the opening and closing the outlet and the water of the standing water It is provided with a water level control unit formed to move the moving member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 in the water level.

상기 다리부에는 상기 프레임이 이동가능하도록 바퀴가 장착된다. The leg is equipped with wheels to move the frame.

상기 심지부는 상기 고임부에서 상기 베이스부까지 연장되는 제1 심지와, 상기 화분에 내장되며 상기 화분이 상기 베이스부에 안착되면 상기 제1 심지와 접촉하도록 형성되는 제2 심지를 포함한다.The wick portion includes a first wick extending from the ridge to the base portion and a second wick embedded in the flower pot and formed to contact the first wick when the flower pot is seated on the base portion.

상기 프레임은 엽채류가 식재되는 제1 화분이 장착되는 제1 영역과, 과채류가 식재되는 제2 화분이 장착되는 제2 영역으로 구획된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1 및 제2 영역 중 어느 하나에 인접하게 형성되고, 상기 고임부는 상기 지지부의 하부로부터 상기 어느 하나를 관통하여 상기 제1 및 제2 영역 중 다른 하나로 이어지도록 이루어진다.The frame is divided into a first region in which a first potted plant in which leafy vegetables are planted and a second region in which a second potted plant in which fruit vegetables are planted are mounted. The support portion is formed adjacent to any one of the first and second regions, and the ridge portion is formed so as to pass through the one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portion to the other of the first and second regions.

상기 지지부는 복수의 물통들이 각각의 배출구 높이를 달리하여 장착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부에는 상기 물통을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턱들이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지지턱들은 각각 단차를 가지도록 이루어진다.The support is configured such that a plurality of buckets are mounted with different outlet heights. The support portion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support jaws for supporting the bucket, the plurality of support jaws are each made to have a step.

또한, 본 발명은, 교체 가능한 물통과, 식물이 식재된 화분, 및 무동력으로 상기 물통에 저장된 물 또는 양액을 상기 화분에 공급하도록 이루어지는 상기 관수장치를 포함하는 식물 재배 시스템을 개시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discloses a plant cultivation system comprising a replaceable bucket, a potted plant in which the plant is planted, and the watering device configured to supply the potted water or nutrient solution stored in the bucket without power.

본 발명과 관련된 무동력 관수장치에 의하면, 하루에도 수차례의 관수가 필요한 식물에 대하여 일 회의 물 공급만으로도 일정 기간동안 추가공급없이 지속적으로 관수가 가능하게 된다. 이를 통하여 외출 및 여행 등의 자유로운 사생활을 하면서도 텃밭재배가 가능하게 된다. According to the non-powered irrig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ater can be continuously irrigated without additional supply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even with a single water supply for plants requiring several times of watering.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grow gardens while having free private life such as going out and traveling.

또한, 본 발명은 고임부를 구비하는 프레임에 화분이 안착되는 구조에 따라, 기존의 텃밭상자(토기, 스치로폴박스, 재생비닐 및 플라스틱박스 등)에도 적용될 수 있는 관수장치를 구현한다. 즉, 식물 재배자는 기존의 텃밭상자를 관수 및 비배관리 기능이 향상된 텃밭상자로 업그레이드하여 계속 사용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mplements a watering device that can be applied to the existing garden box (earthenware, Schiropol box, recycled vinyl and plastic box, etc.) according to the structure that the potted plant is seated on the frame having a ridge. In other words, plant growers can continue to use the existing garden box by upgrading the garden box with improved watering and cultivation.

나아가, 본 발명은 인력관수시 어려움과 동력관수시의 고비용 및 운영상의 번거로움 등의 문제를 해결하여 방치된 옥상 등의 활용도 제고에 의한 도시농업의 활성화를 촉진할 수 있다. 더불어 고용에 있어 도시농업 종사직종의 새로운 직업군을 파생시킴으로써 신규고용이 창출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solve the problems such as difficulty in manpower irrigation, high cost of power irrigation and operational hassle, and can promote the activation of urban agriculture by improving the utilization of neglected rooftops. In addition, new employment can be created by deriving new occupations of urban agricultural occupations.

또한, 본 발명은, 관수 및 양액을 위하여 에너지를 사용하지 않으므로(무동력) 친환경적이고, 확대 보급시 도시형간척사업(방치된 옥상를 식물재배지로 활용)으로 연계하여 건강한 먹거리 확보에 의한 국민건강 증진과 도심의 열섬효과 저감 등으로 지구온난화 방지에 기여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eco-friendly because it does not use energy for watering and nutrient solution (non-power), and promotes national health by securing healthy food by linking it with urban reclamation projects (using the abandoned rooftop as a plant cultivation plant) when expanding and distributing. It can contribute to the prevention of global warming by reducing the heat island effect.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무동력 식물재배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보인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무동력 관수장치의 일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1의 라인 Ⅲ-Ⅲ 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4는 도 1의 라인 Ⅳ-Ⅳ 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물통을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과 관련된 무동력 관수장치의 다른 예를 보인 개념도.
도 7은 도 6의 관수장치의 고임부의 평면도.
도 8은 도 6의 화분부분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9는 도 6에서 수위조절부의 개념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과 관련된 무동력 관수장치의 또 다른 예를 보인 개념도.
도 11은 본 발명과 관련된 무동력 관수장치의 또 다른 예를 보인 단면도들.
1 is a conceptual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non-powered plant cultivation system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one configuration of a non-powered irrigation devic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I-III of FIG.
4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V-IV of FIG.
5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bucket associated with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non-powered irrigation devic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lan view of the ridge of the watering device of FIG.
Figure 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potted portion of Figure 6;
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cept of the water level adjusting unit in FIG.
10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non-powered irrigation devic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non-powered irrigation devic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무동력 관수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식물 재배 시스템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non-powered irrigation apparatus and a plant cultivation system hav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식물 재배 시스템(100)을 개략적으로 보인 개념도로서, 식물(101)이 식재된 화분(110)와, 물통(120) 그리고 물통(120)에 저장된 물이 무동력 방식으로 화분(110)에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무동력 관수장치(130)를 포함하고 있다. 1 is a conceptu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lant cultivation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potted plant 110 in which the plant 101 is planted, the water container 120 and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120 are potted in a non-powered manner. It includes a non-powered irrigation device 130 to be supplied to (110).

이하, 설명에서는 상기 관수장치(130)를 통하여 물을 공급하는 것을 위주로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관수장치(130)는 양액을 공급하는 양액장치로서 활용될 수 있다.Hereinafter, the description will focus on supplying water through the watering device 130,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watering device 130 may be used as a nutrient solution supplying nutrient solution.

도시에 따르면, 관수장치(130)는 기존의 화분(110), 예를 들어 상자텃밭에 적용되며, 상자텃밭에 수용된 상태에서 물통(120)으로부터 물을 공급받고, 일정 수위를 유지하면서 재배토양에 물을 공급할 수 있게 한다. 본 예시에서는, 쌈채소와 같이 토심이 낮아도 재배가 가능한 엽채류의 텃밭상자를 도시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과채류와 과수나무 등 깊은 토심을 요구하는 식물의 화분이 관수장치에 설치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city, the watering device 130 is applied to the existing flowerpot 110, for example, a box garden, receiving water from the bucket 120 in a state accommodated in the box garden, while maintaining a constant water level in the cultivated soil Enable water supply. In this example, the garden box of leafy vegetables that can be cultivated even if the soil depth is low, such as ssam vegetable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pots of plants that require deep soil, such as fruits and vegetables, may be installed in the irrigation system.

물통(120)은 식물(101)의 물 소요 주기 및 관리인의 여건에 따라 다양한 용량으로 제작될 수 있다. 형상면에서 물통(120)은 규격화된 형태를 갖도록 구성됨으로써 사용이 완료된 물통을 물이 채워진 물통으로 곧바로 교체하기 쉽게 할 수 있다. 물통(120)의 상부에는 물 공급시 탈부착과 이동이 용이하도록 손잡이가 설치될 수 있다. The bucket 120 may be manufactured in various capacities according to the water consumption cycle of the plant 101 and the condition of the manager. In terms of shape, the bucket 120 is configured to have a standardized form, so that the used bucket can be easily replaced with a bucket filled with water. A handle may be install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bucket 120 to facilitate detachment and movement during water supply.

이하, 상기 관수장치(130)에 대하여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watering device 13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 to 5.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무동력 관수장치의 일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라인 Ⅲ-Ⅲ 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1의 라인 Ⅳ-Ⅳ 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물통을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이다.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one configuration of a non-powered irrig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I-III of Figure 1,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V-IV of Figure 1, 5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bu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내지 도 4와 같이, 관수장치(130)는 물통(120)에 저장된 물 또는 양액을 식물이 식재되는 화분(110)에 공급하도록 이루어진다. 본 예시에서는 상기 화분(110)이 상자텃밭이나 포트인 경우를 나타내며, 물통(120)은 상기 관수장치에 적합하도록 별도로 제작될 수 있다.2 to 4, the watering device 130 is made to supply the water or nutrient solution stored in the bucket 120 to the pot 110 in which the plant is planted. In this example, the flower pot 110 represents a case of a box garden or a pot, and the bucket 120 may be separately manufactured to be suitable for the watering device.

물통(120)은 탈부착이 가능하게 하고 텃밭상자의 크기와 모양(사각형, 원형 등)에 따라서 다양한 모양으로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각형태의 화분(110)에 사각상자 형태의 물통(120)이 구비될 수 있다.Bucket 120 can be detachable and can be produced in various shapes according to the size and shape of the garden box (square, round, etc.). For example, the water container 120 in the form of a square box may be provided in the square flower pot 110.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물통(120)은 밀폐된 공간내에 물이 저장되도록 이루어지며, 물통(120)의 하부에는 배출구(121)가 형성된다. 배출구(121)가 물통(120)의 하부에 배치되므로, 물통의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면서 중력방향으로 물이 배출되는 구조가 된다.3 and 5, the bucket 120 is made so that the water is stored in the closed space, the outlet 121 i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bucket 120. Since the outlet 121 is disposed below the bucket 120, the air is introduced into the bucket, so that water is discharged in the direction of gravity.

배출구(121)에는 마개(140)가 착탈가능하게 장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마개(140)의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배출구(121)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마개(140)는 공기의 유입 및 물의 배출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어, 마개(140)는 몸체부(141) 및 관통부(142)를 포함한다.The stopper 140 is detachably mounted to the outlet 121. More specifically, the thread is form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topper 140 may be screwed to the outlet 121. The stopper 140 is formed so that the inflow of air and the discharge of water are made more smoothly. For example, the stopper 140 includes a body portion 141 and a through portion 142.

몸체부(141)는 일 방향(물통의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몸체부(141)의 양단에는 서로 연통하는 개구가 형성된다. 상기 관통부(142)는 상기 일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몸체부(141)를 관통하도록 이루어진다. The body portion 141 extends in one direction (height direction of the bucket), and openings communicating with each other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body portion 141. The through part 142 penetrates the body part 141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ne direction.

예를 들어, 상기 관통부(142)는 몸체부(141)의 단부에서 적어도 일부가 절개됨에 따라서 형성된다. 다만,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관통부(142)는 몸체부(141)의 단부와 이격된 위치를 관통하는 관통홀이 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through part 142 is formed as at least a portion of the body portion 141 is cut off.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the through part 142 may be a through hole penetrating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an end of the body part 141.

관통부(142)는 주위의 공기가 물통(120)의 내부로 들어갈 수 있는 통로가 된다. 만약, 수위가 관통부(142)보다 높게 위치하면 공기가 관통부(142)를 통하여 물통(120)의 내부로 들어갈 수 없으며, 반대로 수위가 관통부(142)보다 낮게 위치하면 공기가 관통부(142)를 통하여 물통(120)의 내부로 들어갈 수 있다. 후자의 경우, 물통 내에 있는 수압(중력)이 작용하더라도 물통의 상부 공간에 형성되는 진공에 의하여 힘의 평형을 맞추게 되므로, 물이 물통(120)의 외부로 유출되지 않는다. The penetrating portion 142 becomes a passage through which ambient air can enter the inside of the bucket 120. If the water level is higher than the through part 142, the air cannot enter the inside of the water tank 120 through the through part 142. On the contrary, if the water level is lower than the through part 142, the air is lower than the through part 142. Through the 142 may enter the inside of the bucket (120). In the latter case, even though the hydraulic pressure (gravity) in the bucket acts, the force is balanced by the vacuum formed in the upper space of the bucket, so that water does not flow out of the bucket 120.

관수장치(130)는 고인 물을 이용하여 상기 관통부(142)를 막아 상기 물통(120)에 저장된 물을 배출을 막는다. 또한, 관수장치(130)는 상기 화분(110)내로 고인 물을 유입시켜 고인 물의 수위를 낮추며, 이를 통하여 상기 관통부(142)를 개방시키며, 개방과 동시에 상기 물통(120)으로부터 물을 공급받도록 이루어진다.The watering device 130 prevents the discharge of the water stored in the bucket 120 by blocking the through part 142 by using the accumulated water. In addition, the watering device 130 lowers the water level of the pooled water by introducing the pooled water into the pollen 110, thereby opening the through portion 142, and at the same time open to receive water from the bucket 120. Is done.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수위를 조절하기 위한 별도의 구성품(예를 들어, 스프링, 스커트 등)이 필요치 않으며, 물통 마개에 적정한 크기의 구멍만 있으면 된다. 나아가 실외 재배에서는 물통 교체시 약간의 낙수는 문제 안 되므로 생수 및 음료수통인 경우는 마개 없이도 사용이 가능하다.With this structure, no separate components (e.g., springs, skirts, etc.) are needed to adjust the water level, and only a hole of appropriate size is required in the water bottle cap. Furthermore, in outdoor cultivation, a small drop of water is not a problem when replacing the water bottle, so bottled water and beverage cans can be used without a stopper.

다시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관수장치(130)는 프레임(150), 지지부(160), 고임부(170) 및 심지부(180)를 포함한다.Referring back to FIGS. 2 to 5, more specifically, the watering device 130 includes a frame 150, a support 160, a tack 170, and a wick 180.

상기 프레임(150)은 화분(110)을 지지하도록 이루어진다.The frame 150 is made to support the flower pot 110.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프레임(150)은, 지면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베이스부(151)와, 상기 베이스부(151)를 상기 지면으로부터 이격시키도록 상기 베이스부(151)로부터 상기 지면을 향하여 돌출되는 다리부(152)를 포함한다. 상기 다리부(152)에는 상기 프레임(150)이 이동가능하도록 바퀴(153)가 장착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frame 150, the base portion 151 formed in parallel with the ground, and protrudes toward the ground from the base portion 151 so as to space the base portion 151 from the ground Leg portion 152 is included. The leg 152 may be equipped with a wheel 153 so that the frame 150 is movable.

베이스부(151)는 상부에 상기 화분(110)이 안착되도록 이루어진다. 뿐만 아니라, 상기 물통(120)도 상기 베이스부(151)의 일측에 안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의 예로서, 상기 지지부(160)는 상기 프레임(150)의 일단부에 배치된다.Base portion 151 is made so that the pot 110 is seated on the top. In addition, the bucket 120 may also be seated on one side of the base portion 151. As an example of such a structure, the support 160 is disposed at one end of the frame 150.

상기 지지부(160)은 상기 물통(120)의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어 상기 저장된 물이 배출될 수 있게, 상기 물통(120)의 배출구가 하향하는 상태에서 상기 물통(120)을 안착시키도록 이루어진다. 이를 위하여, 상기 프레임(150)에 직접 상기 물통(120)을 지지하는 지지턱(161)이 형성되거나, 상기 프레임(150)에 별도의 구조물이 장착되어 지지턱을 형성한다. 지지턱(161)은 물통(120)이 일정수위를 유지하는 위치에 안착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지지부(160)는 물통(120)과 함께 상자텃밭의 재배면적을 최대화 하기 위하여 슬림화될 수 있다.The support unit 160 is configured to seat the bucket 120 in a state where the outlet of the bucket 120 is downward so that air is introduced into the bucket 120 to discharge the stored water. To this end, the support jaw 161 for directly supporting the bucket 120 is formed on the frame 150, or a separate structure is mounted on the frame 150 to form a support jaw. Support jaw 161 is made so that the bucket 120 can be seated in a position to maintain a certain level. The support 160 may be slimmed together with the bucket 120 to maximize the cultivation area of the box garden.

고임부(170)는 상기 프레임(150) 및 지지부(160)의 하부(구체적인 예로서, 베이스부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물통(120)의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고인 물이 일정높이가 되면 상기 배출구가 잠기게 이루어지는 고임공간(171)을 구비한다. 상기 고임부(170)에서 고인 물이 일정높이보다 낮아지면, 물통(120)의 배출구가 대기중에 노출되면서 상기 물통(120)의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어 저장된 물이 배출된다. The pool portion 170 is dispos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frame 150 and the support portion 160 (specifically, the lower portion of the base portion), and the water in which the pooled water has a predetermined height so that air does not enter the inside of the bucket 120 is provided. When the outlet is provided with a holding space 171 is locked. When the water accumulated in the pool 170 is lower than a predetermined height, the outlet of the bucket 120 is exposed to the air, the air is introduced into the bucket 120 and the stored water is discharged.

보다 구체적인 예로서, 상기 지지부(160)는 상기 프레임(150)의 가장자리, 예를 들어 일 모서리(일 변)를 따라 형성된다. 또한 고임부(170)는 상기 지지부(160)의 하부에 일부가 형성되며, 이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지지부(160)와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상기 고임부(170)는 대략 'T' 형태로 형성된다. As a more specific example, the support 160 is formed along an edge of the frame 150, for example, one corner (one side). In addition, the portion 170 i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portion 160, extends therefrom, is form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upport portion 160. According to this structure, the ridge 170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T' shape.

심지부(180)는 상기 고인 물을 상기 화분으로 공급하도록 상기 고임부(170)에서 상기 화분(110)의 내부로 이어진다. 또한, 상기 심지부(180)는 상기 베이스부(151)를 관통하여 상기 고임부(170)와 상기 화분(110)의 내부를 연결한다.The wick unit 180 is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pot 110 from the pot 170 to supply the deceased water to the pot. In addition, the wick unit 180 penetrates through the base unit 151 to connect the inside of the pot 170 and the flower pot 110.

도시에 의하면, 상기 심지부(180)는 복수로 구비되어, 고임부(170)의 상부에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각각 연장된다. 이러한 구조를 통하여, 화분(110)의 구석구석에 물이 용이하게 공급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illustration, the wick 180 is provided in plural and extends in opposite directions from each other on the top of the ridge 170. Through this structure, water can be easily supplied to every corner of the flower pot 110.

상기 구조에 의하여, 본 발명의 관수장치(130)는 기존에 고추나, 방울토마토 등 과채류와 관목, 화훼 등을 포함한 다양한 종류의 식물을 재배하는 화분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소형화분 뿐만 아니라 관상용 및 소득을 목적으로한 과수재배를 위한 대형화분에도 적용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기존에 가정에서 사용하고 있는 모든 화분(스티로폼 박스, 재생비닐 및 플라스틱 박스 등)에도 적용이 가능하다.By the above structure, the watering device 13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pots for cultivating various kinds of plants, including peppers, cherry tomatoes, fruit vegetables, shrubs, flowers and the like. It can also be applied not only to small pots, but also to large pots for fruit growing for ornamental and income purposes. In addition, it can be applied to all existing flower pots (styrofoam boxes, recycled vinyl and plastic boxes, etc.) used at home.

이하, 본 발명의 관수장치의 다양한 변형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설명되는 실시예에서 앞선 실시예와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Hereinafter, various modified embodiments of the water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the embodiments to be described, the same or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o the same or similar configurations as the foregoing embodiments, and the description is replaced with the first description.

도 6은 본 발명과 관련된 무동력 관수장치의 다른 예를 보인 개념도이고, 도 7은 도 6의 관수장치의 고임부의 평면도이며, 도 8은 도 6의 화분부분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6에서 수위조절부의 개념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6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non-powered irrig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plan view of the ridge of the irrigation apparatus of FIG. 6, FIG. 8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potted portion of FIG. 6, and FIG. 9 is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cept of the water level control unit.

도 6 및 7을 참조하면, 프레임(250)은 제1 및 제2 영역(250a, 250b)으로 구획되며, 고임부(270)는 복수의 열로 이루어진다. 상기 프레임(250)에는 제1 및 제2 영역(250a, 250b)을 비추도록 광원장치가 장착될 수 있다.6 and 7, the frame 250 is divided into first and second regions 250a and 250b, and the ridge 270 is formed of a plurality of rows. A light source device may be mounted on the frame 250 to illuminate the first and second regions 250a and 250b.

제1 영역(250a)은 엽채류가 식재되는 제1 화분(211)이 장착되게 형성되고, 제2 영역(250b)은 과채류가 식재되는 제2 화분(212)이 장착되도록 이루어진다. 도시에 의하면, 지지부(160)는 상기 제1 및 제2 영역(250a, 250b) 중 어느 하나에 인접하게 형성되고, 상기 고임부(270)는 상기 지지부(160)의 하부로부터 상기 어느 하나를 관통하여 상기 제1 및 제2 영역(250a, 250b) 중 다른 하나로 이어지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조를 통하여, 제1 및 제2 화분(211, 212)에 한꺼번에 물이 공급될 수 있다.The first region 250a is formed so that the first potted plant 211 is planted with leafy vegetables, and the second region 250b is formed so that the second potted plant 212 is planted with fruit vegetables. According to the illustration, the support 160 is formed adjacent to any one of the first and second regions 250a and 250b, and the ridge 270 penetrates the one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160. Thus, the first and second regions 250a and 250b are connected to the other of the first and second regions 250a and 250b. Through this structure, water may be supplied to the first and second pots 211 and 212 at once.

일반적으로 엽채류(상추, 배추, 쑥갓 등의 쌈채소)는 식물체가 작아 뿌리가 깊게 분포하지 않는 반면, 과채류(고추, 토마토, 가지 등 과일채소)는 식물체가 크고 뿌리가 깊게 분포한다. 따라서, 제1 화분(211)은 토심이 얕고, 제2 화분(212)은 토심이 깊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예로서, 제1 화분(211)은 텃밭상자가 되며, 복수의 열을 한꺼번에 덮도록 넓게 형성된다. 이에 반해, 제2 화분(212)은 고임부(270)의 각 열을 따라 이격된 위치에 복수로 구비된다. 또한, 프레임(250)의 베이스부(251)에는 상기 복수의 화분의 안착 위치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돌기(254)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심지부(280)는 제2 화분(212)에 대응하도록 복수의 화분에 개별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In general, leafy vegetables (lettuce, Chinese cabbage, wormwood, etc.) are small plants and do not have deep roots, whereas fruity vegetables (pepper, tomato, eggplant, etc.) are large plants and deep roots. Therefore, the first flower pot 211 has a shallow soil depth, and the second flower pot 212 is configured to have a deep soil depth. As such an example, the first flower pot 211 becomes a garden box, and is widely formed to cover a plurality of rows at once. On the other hand, the second flower pot 212 is provided in plurality in positions spaced apart along each row of the ridges 270. In addition, the base portion 251 of the frame 250 may be formed with a guide protrusion 254 for guiding the seating position of the plurality of pots. In addition, the wick 280 may be individually installed in a plurality of pots to correspond to the second pot (212).

도시에 의하면, 고임부(270)는 복수의 열이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용량이 앞선 실시예보다 큰 물통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물통용량이 크기 때문에, 앞선 실시예와 다른 방식의 물공급 방식이 적용된다. 이러한 예로서, 플로우트 타입의 물공급이 이용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figure, since the ridge 270 is a plurality of rows, in this embodiment, a bucket having a larger capacity than the previous embodiment may be applied. In addition, since the bucket capacity is large, a water supply method different from the previous embodiment is applied. As an example of this, a float type water supply can be used.

도 9를 참조하면, 플로우트 타입은 수위 조절부(290)가 별도로 구비된다.9, the float type is provided with a water level control unit 290 separately.

수위 조절부(290)는 물통(220)의 하부에 장착된 밸브부를 열거나 닫음으로써 고임부(270)에 고여진 물 또는 양액의 수위를 조절한다. The water level control unit 290 adjusts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or nutrient solution accumulated in the pool 270 by opening or closing the valve unit mounted at the bottom of the bucket 220.

보다 구체적으로, 밸브부는 밸브 시트(291)와, 이동부재(292) 및 스프링(293)을 포함한다. 이러한 밸브부는 물통 몸체에 직접 형성되거나, 물통 몸체에 탈착될 수 있게 형성되는 마개(240)에 형성될 수 있다. 본 예시에서는 후자를 도시하고 있다.More specifically, the valve portion includes a valve seat 291, a moving member 292 and a spring 293. Such a valve portion may be formed directly on the bucket body or on a stopper 240 formed to be detachable from the bucket body. The latter example is shown in this example.

밸브 시트(291)는 이동부재(292)의 접촉에 의하여 밀폐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고무 또는 실리콘 고무와 같은 연질재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수압에 의하여 강한 밀폐성을 얻을 수 있게 외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들도록 경사면을 가질 수 있다.The valve seat 291 may be formed of a soft material such as rubber or silicone rubber to provide a sealing force by contact of the movable member 292, and the diameter of the valve seat 291 may be increased toward the outside so as to obtain a strong sealing property by hydraulic pressure. It may have an inclined surface to narrow.

이동부재(292)는 그 일단은 밸브 시트(291) 내에 위치되어 있어 밸브 시트(291)와 밀폐작용을 할 수 있게 되어 있으며, 타단은 물통(220)의 외측에 위치되어 있다. 이동부재(292)의 외측 단부와 마개(240) 사이에는 스프링(293)이 배치되어 있어 이동부재(292)가 외측으로 이동하려는 쪽으로 탄성력을 받고 있다. 이에 따라, 이동부재(292)의 타단을 누르면 이동부재(292)의 내측 단부가 밸브 시트(291)로부터 멀어짐으로써 배출구를 개방하게 되고, 이동부재(292)를 누르고 있던 힘을 제거하면 스프링(293)의 작용에 이동부재(292)를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키므로 밸브 시트(291)의 내측 단부가 배출구를 폐쇄시킨다.One end of the movable member 292 is located in the valve seat 291 to allow the valve seat 291 to be closed, and the other end of the movable member 292 is located outside the water tank 220. A spring 293 is disposed between the outer end of the movable member 292 and the stopper 240 so that the movable member 292 is elastically moved toward the outside. Accordingly, when the other end of the movable member 292 is pressed, the inner end of the movable member 292 is moved away from the valve seat 291 to open the discharge port, and when the force held by the movable member 292 is removed, the spring 293 is removed. The inner end of the valve seat 291 closes the discharge port because the moving member 292 is mov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action of.

수위 조절부(290)는 이와 같이 고인 물의 수위변화에 따라 이동부재를 이동시킴에 따라 고임부(270)에 고인 물 또는 양액의 수위를 일정하게 유지시킨다.The water level controller 290 keeps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or nutrient solution in the pool 270 as the moving member moves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 in the water level of the pooled water.

구체적으로, 수위 조절부(290)는 플로터(294)와 작동부재(295)를 포함할 수 있다. 플로터(294)는 고임부(270)에 고인 물 또는 양액의 수면에 뜰 수 있게 형성된다. 플로터(294)는 내부가 빈 통체 또는 밀도가 낮은 수지 물질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고임부(270)의 수면을 따라 부상하거나 수면이 하강하면 함께 하강한다.  Specifically, the level control unit 290 may include a plotter 294 and the operating member 295. The plotter 294 is formed to float on the surface of water or nutrient solution accumulated in the ridges 270. The plotter 294 may be formed by a hollow body or a resin material having a low density, and may float together when the surface floats or descends along the surface of the ridge 270.

도 3에 의하면, 플로터(294)는 작동부재(295)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으며, 작동부재(295)는 그 일 위치가 피봇(296)에 의하여 구속된 형태로 되어 있다. 따라서, 플로터(294)의 상승 및 하강에 의하여 배출구가 개폐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수위 조절부(290)의 작용에 의하여 물 또는 양액은 일정한 수위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화분(211, 212) 내에 물이 지속적으로 공급되는 무인 관리가 가능하게 된다.According to FIG. 3, the plotter 294 is connected by an actuating member 295, and the actuating member 295 is configured such that its one position is constrained by the pivot 296. Therefore, the discharge port is opened and closed by the rise and fall of the plotter 294. By the action of the water level control unit 290, water or nutrient solution is maintained at a constant level. Therefore, unmanned management in which water is continuously supplied in the pots 211 and 212 is possible.

도 10은 본 발명과 관련된 무동력 관수장치의 또 다른 예를 보인 개념도이다.10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non-powered irrig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시에 의하면, 지지부(360)는 복수의 물통들(310a, 310b, 310c)이 각각의 배출구 높이를 달리하여 장착되도록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부(360)에는 상기 물통들(310a, 310b, 310c)을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턱들(361a, 361b, 361c)이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지지턱들(361a, 361b, 361c)은 각각 단차를 가지도록 이루어진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마개(340)의 길이를 달리하는 구조도 가능하다.According to the illustration, the support 360 is configured such that the plurality of buckets 310a, 310b, 310c are mounted with different outlet heights. More specifically, the support portion 360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support jaws (361a, 361b, 361c) for supporting the buckets (310a, 310b, 310c), the plurality of support jaws (361a, 361b, 361c) each have a step.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tructure of varying the length of the stopper 340 is also possible.

본 실시예에서는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한 실시예처럼, 진공중력형의 물공급이 적용되며, 이 경우 물통의 높낮이를 달리하여 물통의 물을 순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하여 물통에 물을 채울 때 번거로움을 줄인다. 배출구의 높이가 낮은 물통은 높은 물통에 비하여 물을 자주 채울 필요가 적다. 또한 양액(영양제)은 상시로 관주할 필요가 없으므로, 상기 구조는 주기적인 양액 관주에도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간의 물통(310b)에 양액을 넣을 경우 물공급의 중간에 영양제를 자동으로 넣는 효과를 볼 수 있다. 이때 영양제를 넣어주는 물통은 다른 물통과 다른 색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as shown in the embodiment with reference to Figures 1 to 5, the vacuum gravity-type water supply is applied,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use the water in the bucket sequentially by varying the height of the bucket to fill the bucket with water Reduce your feelings A bucket with a low height of the outlet does not need to be filled with water more frequently than a tall bucket. In addition, since the nutrient solution (nutrient) does not need to be constantly irrigated, the structure can be utilized for periodic nutrient solution irrigation. For example, if you put the nutrient solution in the middle bucket (310b) can see the effect of automatically putting the nutrient in the middle of the water supply. At this time, the bucket for nutrients may be formed in a different color than the other bucket.

도 11은 본 발명과 관련된 무동력 관수장치의 또 다른 예를 보인 단면도들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1은 관수장치를 정면에서 바라본 단면와 측면에서 바라본 단면을 나타낸다.1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non-powered irrig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ore specifically, Figure 11 shows a cross section viewed from the front and a side view of the watering device.

도시에 의하면, 심지부(480)는 고임부(470)에서 프레임(450)의 베이스부(451)까지 연장되는 제1 심지(481)와, 화분(410)에 내장되며 상기 화분(410)이 상기 베이스부(451)에 안착되면 상기 제1 심지(481)와 접촉하도록 형성되는 제2 심지(482)를 포함한다.According to the figure, the wick 480 is embedded in the first wick 481 and the flower pot 410 extending from the upholstery part 470 to the base part 451 of the frame 450, and the flower pot 410 is The second wick 482 is formed to contact the first wick 481 when it is seated on the base 451.

즉, 식물이 담긴 화분(410)을 이동하거나 교체 재배할 경우 화분(410)에 고정된 제2 심지(482)를 고임부(470)에 정확히 삽입하는 어려움을 줄이기 위하여 고임부(470)의 제1 심지(481)와 화분(410)의 제2 심지(482)를 각각 분리설치한다. 이 경우에 화분(410)을 프레임(450)에 올려놓으면 제1 심지(481)와 제2 심지(482)가 연결되어 화분에 원활한 물공급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제1 심지(481)와 제2 심지(482)가 정확하게 연결되도록 프레임(450)의 베이스부(451)와 화분하부 바닥에 서로 대응하는 요철(455a, 455b)이 형성될 수 있다. That is, when moving or replacing cultivation of the potted plant 410 containing the plant, the second wick 482 fixed to the potted plant 410 is reduced in order to reduce the difficulty of accurately inserting the potted plant 470. 1 separate the wick 481 and the second wick 482 of the pot 410, respectively. In this case, when the flower pot 410 is placed on the frame 450, the first wick 481 and the second wick 482 are connected to enable a smooth supply of water to the flower pot. In this case, the unevenness 455a and 455b corresponding to each other may be formed at the base 451 of the frame 450 and the bottom of the potted plant so that the first wick 481 and the second wick 482 are correctly connected to each other.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동력 관수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식물 재배 시스템을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개시된 실시의 적어도 하나 이상이 조합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llustrating a non-powered irrigation device and a plant cultivation system hav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disclosed herein. At least one or more of the disclosed embodiments may be combined,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1)

물통에 저장된 물 또는 양액을 식물이 식재되는 화분에 공급하도록 이루어지는 관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관수장치는,
상기 화분이 안착되도록 이루어지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일단부에 배치되며, 상기 물통의 배출구가 하향하는 상태에서 상기 물통을 지지하도록 이루어지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로부터 일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어 상기 물통으로부터 배출된 물이 고이는 고임공간을 형성하는 고임부; 및
상기 고인 물을 상기 화분으로 공급하도록 상기 고임부에서 상기 화분의 내부로 이어지는 심지부를 포함하는 관수장치.
In the irrigation device to supply water or nutrient solution stored in the bucket to the potted plant planted,
The watering device,
A frame configured to seat the pot;
A support part disposed at one end of the frame and configured to support the bucket in a state in which the outlet of the bucket is downward;
A pool part which is formed to extend in one direction from the support part and is mounted to the frame to form a pool space where water discharged from the bucket accumulates; And
Watering device comprising a wick leading from the stump to the inside of the pot to supply the deceased water to the po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지면과 평행하게 형성되며, 상부에 상기 화분이 안착되도록 이루어지는 베이스부; 및
상기 베이스부를 상기 지면으로부터 이격시키도록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상기 지면을 향하여 돌출되는 다리부를 포함하는 관수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frame includes:
A base portion formed in parallel with the ground and configured to seat the pot on the top; And
And a leg portion protruding from the base portion toward the ground so as to space the base portion from the groun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임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심지부는 상기 베이스부를 관통하여 상기 고임부와 상기 화분의 내부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수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pool portion is disposed under the base portion, the wick portion through the base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necting portion and the inside of the potted plant.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관수장치는
상기 고임부에서 상기 배출구가 노출되면 상기 물통의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어 상기 저장된 물을 배출시키도록 이루어지거나,
상기 물통에 장착되어 상기 배출구를 개폐하는 이동부재와, 상기 고인 물의 수위변화에 따라 상기 이동부재를 이동시키도록 형성되는 수위 조절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수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watering device is
When the discharge port is exposed in the tablet portion, air is introduced into the bucket to discharge the stored water, or
And a water level adjusting unit mounted on the water tank to open and close the outlet, and a water level adjusting unit configured to move the moving member according to a change in the water level of the standing wat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에는 상기 프레임이 이동가능하도록 바퀴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수장치.
The method of claim 2,
Water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wheel is mounted to the leg portion to move the fram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심지부는 상기 고임부에서 상기 베이스부까지 연장되는 제1 심지와, 상기 화분에 내장되며 상기 화분이 상기 베이스부에 안착되면 상기 제1 심지와 접촉하도록 형성되는 제2 심지를 포함하는 관수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wick portion includes a first wick extending from the ridge to the base portion, and a second wick embedded in the flower pot and formed to contact the first wick when the flower pot is seated on the base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엽채류가 식재되는 제1 화분이 장착되는 제1 영역과, 과채류가 식재되는 제2 화분이 장착되는 제2 영역으로 구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수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frame includes:
The watering device is partitioned into a first region in which the first potted plant is planted with leafy vegetables, and a second region in which a second potted plant is planted with fruit vegetables.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1 및 제2 영역 중 어느 하나에 인접하게 형성되고,
상기 고임부는 상기 지지부의 하부로부터 상기 어느 하나를 관통하여 상기 제1 및 제2 영역 중 다른 하나로 이어지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수장치.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support portion is formed adjacent to any one of the first and second regions,
And the ridge is formed so as to penetrate the one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portion to the other of the first and second region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복수의 물통들이 각각의 배출구 높이를 달리하여 장착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수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support unit is a water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plurality of buckets are made to be mounted to vary the height of each outlet.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에는 상기 물통을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턱들이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지지턱들은 각각 단차를 가지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수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The support portion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support jaws for supporting the bucket, the plurality of support jaw, characterized in that each made to have a step.
교체 가능한 물통;
식물이 식재된 화분; 및
무동력으로 상기 물통에 저장된 물 또는 양액을 상기 화분에 공급하도록 이루어지며,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르는 관수장치를 포함하는 식물 재배 시스템.
Replaceable bucket;
Potted plants; And
A plant cultivation system comprising a watering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0, which is made to supply the potted water or nutrient solution stored in the bucket without power.
KR1020120010875A 2012-02-02 2012-02-02 Fertigation apparatus operatable without power and cultivation system having the same KR2013008947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0875A KR20130089478A (en) 2012-02-02 2012-02-02 Fertigation apparatus operatable without power and cultivation system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0875A KR20130089478A (en) 2012-02-02 2012-02-02 Fertigation apparatus operatable without power and cultivation system hav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9478A true KR20130089478A (en) 2013-08-12

Family

ID=492153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0875A KR20130089478A (en) 2012-02-02 2012-02-02 Fertigation apparatus operatable without power and cultivation system hav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89478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0183B1 (en) * 2013-10-31 2015-03-09 이훈재 Plant cultivation for multi-functional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0183B1 (en) * 2013-10-31 2015-03-09 이훈재 Plant cultivation for multi-functiona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451544A (en) Tubular greening units
KR102039379B1 (en) multi-pot with a water tank which is easy for planting
KR101649971B1 (en) Wasabia and making method for mass-producing wasabia
CN111657013A (en) Multifunctional paddy-upland double-root system cultivation ecological box and application method thereof
CN103026888A (en) Plant cultivation methods, cultivation modules and commercial uses thereof
KR200440909Y1 (en) Assembly Pot
KR100979343B1 (en) Plant cultivation apparatus
KR101576724B1 (en) Pocket type plant cultivation device
KR20130089478A (en) Fertigation apparatus operatable without power and cultivation system having the same
KR200370417Y1 (en) Home plant cultivation
KR101313866B1 (en) System planting pot
CN204742116U (en) Matrix is banked up with earth, aerial fog is banked up with earth, water planting no. 3 is banked up climbing of combination with earth and is prolonged plant cultivation basin
CN103004353A (en) Method for cultivating plants on basis of feeding nutrition liquid through capillary force
KR20130040056A (en) Fertigation apparatus operatable without power and cultivation system having the same
KR20070093504A (en) Padestal for installing a vegetation mat
KR101367721B1 (en) Apparatus for growing green crops
CN208370564U (en) Multifunctional lighting plants pallet assembly
CN203136509U (en) Plant cultivation device for supplying nutrient solution based on capillary force
KR20220057992A (en) Flowerpat for Terrarium
JP2005040009A (en) Base watering type plant cultivation container
KR200232436Y1 (en) The bottle of cultivating plant
JP2002058349A (en) Inner container for flowerpot
KR101500183B1 (en) Plant cultivation for multi-functional
JP2002253054A (en) Plant culture apparatus and method for culturing plant using the same
CN104160889A (en) Screen flowerpot capable of achieving automatic irrigation and fertilizer appli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