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87239A - 단당류 검출용 센서 및 이를 이용한 단당류 검출방법 - Google Patents

단당류 검출용 센서 및 이를 이용한 단당류 검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87239A
KR20130087239A KR1020120008389A KR20120008389A KR20130087239A KR 20130087239 A KR20130087239 A KR 20130087239A KR 1020120008389 A KR1020120008389 A KR 1020120008389A KR 20120008389 A KR20120008389 A KR 20120008389A KR 20130087239 A KR20130087239 A KR 201300872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ttca
glucose
sensor
electrode
apb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83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70724B1 (ko
Inventor
심윤보
Original Assignee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0083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0724B1/ko
Publication of KR201300872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72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07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07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66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blood sugars, e.g. galacto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532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for measuring glucose, e.g. by tissue impedance measurem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2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electrochemical variables; by using electrolysis or electrophoresis
    • G01N27/28Electrolytic cell components
    • G01N27/30Electrodes, e.g. test electrodes; Half-cel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800/00Detection or diagnosis of diseases
    • G01N2800/50Determining the risk of developing a diseas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iabete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당류 검출용 센서 및 이를 이용한 단당류 검출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센서는 pTTCA 개질 전극의 표면 상에서 존재하는 보론산과 검출하고자 하는 글루코오스와 같은 단당류 사이의 복합체 형성을 통해 효과적이면서도 안전하게 글루코오스와 같은 단당류를 검출할 수 있다.

Description

단당류 검출용 센서 및 이를 이용한 단당류 검출방법{Sensor for detecting saccharides and detection method of saccharide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체액 중에 존재하는 단당류를 높은 민감도로 안전하게 검출할 수 있는 단당류 검출용 센서 및 이를 이용한 단당류 검출방법에 관한 것이다.
단당류는 생명체에게 중요한 에너지 물질로서, 의약, 식품 및 생화학 분야에서 자주 사용된다. 따라서, 단당류의 신속하고 정확한 검출이 크게 주목을 받고 있다. 당류 검출을 위한 현재 대부분의 기술은 산화 용이성을 탐색한다. 그러나, 산화성 접근은 느린 동력학과 낮은 민감성을 야기하는 전극 독성이라는 공통적인 문제점을 초래한다.
즉,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는 Pt를 포함한 대부분의 순수 금속은 낮은 농도의 글루코오스 검출에 만족할 만한 민감도를 나타내지 못하는 낮은 효율성과 화학흡착된 중간매개물로 인한 전극 독성과 같은 근본적인 문제점을 초래한다.
따라서, 글루코오스 등의 단당류를 보다 신속하면서도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는 이상적인 단당류 검출용 센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는 전기전도성 고분자와 보론산을 개질시킨 전극을 이용하여 글루코오스와 같은 단당류를 신속하면서도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다는 점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신속하면서도 정확하게 글루코오스 등과 같은 단당류를 검출할 수 있는 단당류 검출용 센서 및 이를 이용한 단당류 검출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극 표면 상에 보론산 및 전도성 고분자로 개질되며, 상기 전도성 고분자가 폴리-5,2':5',2"-터티오펜-3'-카르복실산(pTTC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당류 검출용 센서를 제공한다.
상기 보론산은 아미노-페닐보론산(APBA)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센서는 pTTCA로 개질된 전극의 표면 상에서 보론산과 글루코오스 등의 단당류 간의 복합체 형성 반응을 통해 글루코오스 등과 같은 단당류를 민감하면서도 효율좋게 검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위주사를 통해 5,2':5',2"-터티오펜-3'-카르복실산(TTCA) 단량체를 전해중합시켜 전극 표면을 폴리 5,2':5',2"-터티오펜-3'-카르복실산(pTTCA)로 개질하는 단계; 상기 pTTCA로 개질된 전극에 EDC(1-Ethyl-3-[3-(dimethylamino)propyl]carbodiimide hydrochloride) 및 NHS(N-hydroxysuccinimide)을 처리하여 pTTCA의 카르복실기를 활성화시키는 단계; 및 상기 활성화된 pTTCA 전극에 보론산을 반응시켜 TTCA의 카르복실기와 보론산의 아민기 간의 공유결합을 형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당류 검출용 센서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극 표면 상에 보론산 및 전도성 고분자로 개질되며, 상기 전도성 고분자가 폴리-5,2':5',2"-터티오펜-3'-카르복실산(pTTCA)인 단당류 검출용 센서를 이용한 단당류 검출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단당류는 글루코오스, 갈락토오스, 만노오스, 푸코오스, 자일로오스 및 프락토오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단당류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본 발명에 따른 센서를 이용하여 검출 가능하다.
특히, 상기 단당류 검출을 위한 실험 파라미터로서 용액 pH, 반응시간, APBA 농도 및 반응온도를 최적화하는 것이 중요하며, 최적 pH를 pH 7.4, 최적 온도를 40℃, APBA 최적 농도를 20.0 mM 및 최적 반응시간을 5분으로 하여 단당류 검출을 수행한 경우 가장 효율좋게 단당류를 검출할 수 있었다.
이하, 일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전도성 고분자인 5,2':5',2"-터티오펜-3'-카르복실산(TTCA)과 단당류 리셉터로 사용되는 3-아미노페닐보론산(APBA)을 이용하여 단당류 검출용 센서를 제작할 수 있다. 이러한 단당류 검출용 센서를 제작하기 위하여, 먼저 TTCA를 전기화학적으로 중합하여 탄소 유리 전극(CGE) 위에 전착 후, 전도성 고분자의 카르복실기와 APBA의 아민기 사이에 공유결합을 통하여 CGE 위에 고정시킨다.
이렇게 제조된 단당류 검출용 센서 표면의 특성은 순환 전류 전압법(cyclic voltammetry, CV), X-선 광전자 분광법(X-ray photoelerectron spectroscopy, XPS), 그리고 미세 진동 저울(quartz crystal microbalance, QCM)을 이용하여 조사하였으며, 펄스 차이 전압 전류법 (differential pulse voltammetry, DPV)을 이용하여 글루코오스를 검출하였다.
그 결과, TTCA와 APBA를 이용해 성공적으로 단당류 검출 센서를 개발할 수 있었으며, 전극 위에 결합된 글루코오스와 APBA의 양은 QCM 분석을 통해 각각 0.89 ㎍ (2.93 X 10-8 mol/cm2)과 0.24 ㎍ (6.85 X 10-9 mol/cm2)인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펄스 차이 전압 전류법(differential pulse voltammetry, DPV)을 사용한 결과, 글루코오스의 유효 측정 농도 범위는 0.9 ~ 9.1 μM이었고 검출 한계는 0.49 μM이었다. 그리고 표준물 첨가법을 이용하여 실제시료 즉, 사람 타액의 글루코오스의 농도 분석 (0.261 ± 0.001 mM)에 적용할 수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른 센서는 pTTCA 개질 전극의 표면 상에서 존재하는 보론산과 검출하고자 하는 글루코오스와 같은 단당류 사이의 복합체 형성을 통해 효과적이면서도 안전하게 글루코오스와 같은 단당류를 검출할 수 있다.
도 1은 pTTCA (점선)와 APBA/pTTCA (실선)의 순환전류전압 곡선 (용액: PBS (pH 7.4), 주사속도: 100 mV/s),
도 2는 각 변성 단계 (pTTCA, APBA/pTTCA)에서의 XPS 스펙트럼 ((A) C1s, (B) N1s, (C) S2p, (D) B1s),
도 3은 QCM을 이용하여 전극에 전착되는 APBA와 글루코오스의 양에 따른 진동수 변화 측정,
도 4는 실험 조건에 대한 최적화 ((A) pH, (B) 온도, (C) APBA의 농도, (D) 글루코오스와 반응시간),
도 5 중 A는 글루코오스 농도에 대한 검정선, B는 다른 종류의 단당류 (글루코오스, 갈락토오스, 만노오스) 농도에 대한 검정선,
도 6은 실제 사람 타액 속에 존재하는 글루코오스 농도 검출 분석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하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이러한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개질 전극 제작
100 m/Vs의 주사속도에서 0.0 내지 1.5V (vs. Ag/AgCl)로 2회 전위주사를 통해 CH2Cl2 용액을 함유한 1.0 mM TTCA(5,2':5,2"-terthiophen-3'-carboxylic acid)를 전해중합시켜 전극 표면을 개질하였다. 이때, 사용된 TTCA 단량체는 이전에 알려진 방법(Synth. Met., 126, 105, 2002)에 따라 합성하였다. 이렇게 얻어진 pTTCA이 코팅된 전극을 10.0 mM EDC(1-Ethyl-3-[3-(dimethylamino)propyl]carbodiimide hydrochloride) 및 10.0 mM NHS(N-hydroxysuccinimide)의 혼합물을 함유한 0.1M PBS(pH 7.4)에 최소 6시간 동안 담구어 pTTCA의 카르복실기를 활성화시켰다. 이러한 pTTCA 전극을 40℃에서 15 시간 동안 20.0 mM APBA(Amino-phenylboronic acid) 용액에서 반응시켜 TTCA의 카르복실기와 보론산의 아민기 간의 공유결합을 형성시켰다. 그후, 0.1M PBS에서 철저하게 세정한 후, 이후 실험에 사용하였다.
<실시예 2> 전기화학적 분석
1. 전기화학적 분석 방법
APBA-pTTCA, Ag/AgCl(in 포화 KCl) 및 Pt를 각각 작업적극, 표준전극 및 반대전극으로 사용하였다. 순환 전압전류(cyclic voltammogram; CV)는 Potentiostat/Galvanostat(모델: KST-P2, Kosentech)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펄스 차이 전압 전류(differential pulse voltammetry, DPV)는 10 m/Vs의 주사속도에서 -100 mV에서 350 mV의 전위에서 주사시켜 얻었다. 모든 전기화학적 측정은 0.1M PBS(pH 7.4)에서 수행되었다. 미세 진동 저울(Quartz Crystal Microbalance; QCM) 분석은 SEIKO EG&G 모델 QCA 917 및 PAR 모델 263A potentiostat/galvanostat을 수행하였으며, QCM 분석을 위하여 Au 작동전극(면적 0.196 cm-2; 9 MHz; AT-cut quartz crystal)을 이용하였다. XPS 분석은 VG Scientific Escalab 250 XPS 분광계[단색화된 Al Kα 광원 (KBSI Busan, Korea)]를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2. 전기화학적 분석 결과
1) APBA 개질 pTTCA의 전기화학적 특성
보론산이 고정된 전극의 전기화학적 거동을 순환 전압전류(CV) 분석을 통해 검토한 결과,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쌍의 잘 구별되는 준가역적 산화환원 피크가 0.16V/0.07V (vs. Ag/AgCl)에서 나타났으며, 피크의 높이 비 I pa/I pc ≒ 1.2로 나타났다. E paE pc의 중간지점으로 산출된 형식 전위(')는 대략 +0.09V (vs. Ag/AgCl)이었다. 한편, 이러한 전위 영역에서 pTTCA로 개질된 유리탄소전극(GCE)에서는 어떠한 전압전류 피크도 나타나지 않았다.
산화환원 반응의 특성을 탐색하기 위하여, 산화환원 공정의 거정을 다양한 pH 값에서 관찰한 결과, 형식 전위(')는 5 내지 9의 pH에서 선형을 나타냈으며, '과 pH 간의 그래프에서 기울기는 -50 mV/pH로 산출되었고, 이는 이론상의 산출값인 -59 mV/pH와 유사하였다. 50-200 mV/s의 주사속도에서 APBA 개질 pTTCA의 전기화학적 반응은 모두 준가역적 공정을 나타내었다. 주사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환원피크는 음의 값으로 이동하고, 산화피크는 양의 값으로 이동하였다. 그리고, Laviron 식에서 E p, △E p 및 logν의 상관관계로부터 α, n 및 k s 값을 각각 0.7, 1 및 0.4 s-1로 산출하였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산화환원 공정은 APBA에 존재하는 아미노기의 1 전자와 1 프로톤 교환과 관련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2) APBA 개질 pTTCA에서의 XPS 및 QCM 분석 결과
APBA 개질 pTTCA에서의 화학적 결합을 규명하기 위하여, pTTCA 및 APBA 개질 pTTCA의 표면에 대한 C1s (도 2A), N1s (도 2B), S2p (도 2C) 및 B1s (도 2D) 피크에서 ESCA 분석을 수행한 결과, pTTCA에 관한 C1s 스펙트럼은 284.1 eV 및 287.0 eV의 2개 피크로 나타났고, 이는 각각 C-C, C-H 또는 C-S 결합과 C00H 결합에 대응한다. APBA-pTTCA에 관한 285.6 eV에서 관찰된 피크는 APBA의 C-N 결합에 대응한다. N1s 스펙트럼에서는 APBA 고정 후 399.2 eV 근처에서 분명한 피크가 나타난 반면, pTTCA층은 분자 내에 질소 원자가 존재하지 않아 어떠한 피크도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S2p 스펙트럼엥서는 163.8 eV의 피크가 나타났으며, 이는 C-S 결합에 대응한다. B1s 스펙트럼은 190.2 eV에서 피크가 나타났으며, C-B 결합에 대응한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APBA는 pTTCA 층에 성공적으로 고정화되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글루코오스와 보론산 유도체의 복합체를 조사하기 위하여, 탐침 표면에서 발생하는 질량 변화를 QCM 분석을 통해 조사하였다. 도 3은 글루코오스를 첨가할 경우의 진동수 변화를 나타낸 것으로, pTTCA 층 상에 고정된 보론산의 양은 약 0.81 kHz의 진동수 변화로부터 0.89 ㎍인 것으로 결정되었다. APBA에 의한 표면 범위는 2.93 X 10-8 mol/cm2인 것으로 산출되었다. APBA-pTTCA 개질 전극을 0.1M PBS (pH 7.4) 중 1.0 mM 글루코오스 함유 QCM 셀에 담구었고, 보론산과 글루코오스 간의 복합체 형성을 가리키는 약 10분 내에 안정기로 도달할 때가지 진동수는 감소되었다. 전체 진동수 변화(△f)는 1.0 mM의 글루코오스에 관한 0.24 ㎍의 질량 증가에 대응하는 0.22 kHz로 나타났다. 1.0 mM 글루코오스에 의한 표면 범위는 6.85 X 10-9 mol/cm2인 것으로 산출되었다.
3) 분석용 실험 파라미터의 최적화
APBA-pTTCA를 갖는 글루코오스 검출을 위한 실험 파라미터로서 용액 pH, 반응시간, APBA 농도 및 반응온도를 최적화하기 위해 실험을 수행하였다.
글루코오스 검출에 있어 pH의 영향은 1.0 mM 글루코오스 함유 0.1M PBS(pH 7.4) 상에서 pH 5-9의 범주에서 조사하였다. 도 4A와 같이, 블랭크와 비교하여 산화 전류의 감소는 pH 5.0에서 pH 7.4로 변화하면서 증가한 후, pH 7.4보다 높은 경우 점차적으로 감소하였다. 따라서, 최적 pH로서 pH 7.4를 선정하였다.
또한, 글루코오스 검출에 있어 온도의 영향은 20℃ 내지 60℃에서 관찰한 결과, 도 4B와 같이 40℃의 온도까지는 전류 반응이 증가하며, 그 이후에는 점차적으로 감소하였다. 따라서, 글루코오스 검출을 위한 최적 온도는 40℃로서 선정하였다.
또한, 글루코오스 검출에 있어 APBA 농도의 영향을 검토한 결과, 도 4C와 같이 APBA의 농도가 20.0 mM일 경우 가장 효율좋게 글루코오스를 검출할 수 있었다.
또한, 글루코오스 검출에 있어 반응시간의 영향을 검토한 결과, 도 4D와 같이 최적 반응시간은 5분으로 확인되었다.
4) 단당류 검출
개질 전극의 거동을 테스트 용액 중에 글루코오스를 첨가하거나 첨가하지 않은 경우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먼저, 안정한 전압전류를 얻을 때까지 전압전류를 -0.2V에서 0.4V의 범위 내에서 0.1M PBS (pH 7.4)에서 기록하였다. 그후, 글루코오스를 각 용액에 첨가한 후, 전압전류를 측정하였다. 글루코오스의 첨가는 APBA 개질 GCE의 산화환원 전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그러나, 글루코오스의 농도가 증가할 때 약 0.2V에서 음극성 피크의 유도 전류가 분명하게 감소되었다.
글루코오스 첨가와 함께 산화피크 전류 변화를 모니터링하기 위하여, DPV를 기록하였다. 도 5의 삽입도는 -0.10V에서 0.35V의 전압 범위에서 글루코오스 첨가 및 미첨가에 따른 음극성 주기에서 DPV를 나타낸다. 이는 전극 표면 상에 글루코오스의 직접적 산화가 이러한 전위 영역에서 발생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보론산기에 결합한 글루코오스의 디올기는 음전화를 띤 테트라헤드럴 브로네이트 에스테르를 형성하여 개질 전극의 전기화학적 반응에 영향을 미친다.
도 5A는 최적 조건에서 글루코오스 검출을 위한 DPV 측정으로부터 얻어진 산출 그래프이다. 도 5A의 삽입도는 계속적인 글루코오스 첨가에 따른 APBA-pTTCA 개질 전극 상에서 얻어진 전압전류 그래프이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개질 전극은 0.9 μM 내지 9.1 μM 사이의 농도에서 동적 범위를 나타냄을 알 수 있다. 글루코오스 농도의 선형 의존도로부터 회귀식 △i p (nA) = (10.50±1.13)+(2.41±0.20) [C] (μM)과 상관계수 0.974를 얻었다. 글루코오스 검출 한계는 5개의 블랭크 노이즈 신호로부터 0.45 μM로서 결정하였다(95% 신뢰도, k=3). 상기 개질 전극의 재현성은 상대표준편차(RSD)로서 표현컨대 1.0 μM의 글루코오스 농도에서 3.8%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본 글루코오스 센서는 높은 민감성과 안정성을 나타냄을 알 수 있다. 측정 후, 개질 전극을 0.1M PBS에 담구어 다시 복원시켰다. 4 ℃에서 완충액에 저장할 경우 센서는 한달 동안 글루코오스 검출에 대한 반응의 92% 이상으로 유지되었다. 도 5B는 최적 조건 하에서 글루코오스, 갈락토오스 및 만노오스 검출을 위한 DPV 측정으로부터 얻어진 산출 그래프로서, 갈락토오스 및 만노오스 농도의 선형 의존도로부터 각각 회귀식 △i p (nA) = (10.09±1.08)+(2.40±0.18) [C] (μM)과 상관계수 0.970, 및 회귀식 △i p (nA) = (1.49±0.62)+(2.02±0.11) [C] (μM)과 상관계수 0.989를 얻었다.
5) 실제 시료 분석
본 실시예에 따른 APBA-pTTCA 센서를 이용하여 건장한 인간 타액 시료에서의 단당류 농도를 검출하였다. 타액 시료는 측정 직전에 조심스럽게 수집하여 100배 희석하여 사용하였다. 표준첨가법에 따라 시료 중 단당류 농도를 표준첨가 곡선으로부터 결정하였다. 희석 시료에서는 글루코오스 함량이 2.61±0.01 μM로 나타났다. 따라서, 인간 타액 중 단당류 농도는 0.261±0.001 mM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센서는 체액에서 단당류 검출을 위한 훌륭한 도구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Claims (5)

  1. 전극 표면 상에 보론산 및 전도성 고분자로 개질되며, 상기 전도성 고분자가 폴리-5,2':5',2"-터티오펜-3'-카르복실산(pTTC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당류 검출용 센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론산은 아미노-페닐보론산(APB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당류 검출용 센서.
  3. 전위주사를 통해 5,2':5',2"-터티오펜-3'-카르복실산(TTCA) 단량체를 전해중합시켜 전극 표면을 폴리 5,2':5',2"-터티오펜-3'-카르복실산(pTTCA)로 개질하는 단계;
    상기 pTTCA로 개질된 전극에 EDC(1-Ethyl-3-[3-(dimethylamino)propyl]carbodiimide hydrochloride) 및 NHS(N-hydroxysuccinimide)을 처리하여 pTTCA의 카르복실기를 활성화시키는 단계; 및
    상기 활성화된 pTTCA 전극에 보론산을 반응시켜 TTCA의 카르복실기와 보론산의 아민기 간의 공유결합을 형성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당류 검출용 센서의 제조방법.
  4. 전극 표면 상에 보론산 및 전도성 고분자로 개질되며, 상기 전도성 고분자가 폴리-5,2':5',2"-터티오펜-3'-카르복실산(pTTCA)인 단당류 검출용 센서를 이용한 단당류 검출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단당류는 글루코오스, 갈락토오스, 만노오스, 푸코오스, 자일로오스 및 프락토오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당류 검출방법.
KR1020120008389A 2012-01-27 2012-01-27 단당류 검출용 센서 및 이를 이용한 단당류 검출방법 KR1013707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8389A KR101370724B1 (ko) 2012-01-27 2012-01-27 단당류 검출용 센서 및 이를 이용한 단당류 검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8389A KR101370724B1 (ko) 2012-01-27 2012-01-27 단당류 검출용 센서 및 이를 이용한 단당류 검출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7239A true KR20130087239A (ko) 2013-08-06
KR101370724B1 KR101370724B1 (ko) 2014-03-06

Family

ID=492141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8389A KR101370724B1 (ko) 2012-01-27 2012-01-27 단당류 검출용 센서 및 이를 이용한 단당류 검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072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6835A (ko) * 2016-07-11 2018-01-19 삼성전자주식회사 바이오 센서 및 그의 제작 방법
KR20190019351A (ko) 2017-08-17 2019-02-27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aa-apba로 코팅된 액정 미세액적,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비효소 기반 글루코스 바이오센서
KR20200041230A (ko) 2018-10-11 2020-04-21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형광 하이드로겔 글루코스 액적형 바이오센서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5135B1 (ko) * 2016-07-04 2018-07-06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교류 전위 변조 마이크로플루이딕 채널을 이용한 압타머 선별 방법
WO2018012692A1 (ko) * 2016-07-11 2018-01-18 삼성전자 주식회사 바이오 센서 및 그의 제작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6835A (ko) * 2016-07-11 2018-01-19 삼성전자주식회사 바이오 센서 및 그의 제작 방법
KR20190019351A (ko) 2017-08-17 2019-02-27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aa-apba로 코팅된 액정 미세액적,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비효소 기반 글루코스 바이오센서
KR20200041230A (ko) 2018-10-11 2020-04-21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형광 하이드로겔 글루코스 액적형 바이오센서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70724B1 (ko) 2014-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im et al. A potentiometric non-enzymatic glucose sensor using a molecularly imprinted layer bonded on a conducting polymer
Zhang et al. Simultaneous electrochemical determination of dopamine, ascorbic acid and uric acid using poly (acid chrome blue K) modified glassy carbon electrode
Wang et al. Electrochemical sensor for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uric acid, xanthine and hypoxanthine based on poly (bromocresol purple) modified glassy carbon electrode
Aghaei et al. A novel capacitive biosensor for cholesterol assay that uses an electropolymerized molecularly imprinted polymer
Atta et al. Palladium nanoclusters-coated polyfuran as a novel sensor for catecholamine neurotransmitters and paracetamol
Wang et al. Simultaneous electrochemical determination of ascorbic acid, dopamine and uric acid using poly (tyrosine)/functionalized multi-walled carbon nanotubes composite film modified electrode
Ergün et al. Simultaneous electrochemical determination of ascorbic acid and uric acid using poly (glyoxal-bis (2-hydroxyanil)) modified glassy carbon electrode
KR101370724B1 (ko) 단당류 검출용 센서 및 이를 이용한 단당류 검출방법
Zanganeh et al. A potentiometric and voltammetric sensor based on polypyrrole film with electrochemically induced recognition sites for detection of silver ion
Dabrowski et al. Early diagnosis of fungal infections using piezomicrogravimetric and electric chemosensors based on polymers molecularly imprinted with D-arabitol
Gómez-Caballero et al. Molecularly imprinted poly [tetra (o-aminophenyl) porphyrin] as a stable and selective coating for the development of voltammetric sensors
Zanganeh et al. Polypyrrole-modified electrodes with induced recognition sites for potentiometric and voltammetric detection of copper (II) ion
Das et al. A glucose sensor based on an aminophenyl boronic acid bonded conducting polymer
Li et al. Electrochemical behavior of sophoridine at a new amperometric sensor based on l-Theanine modified electrode and its sensitive determination
Sataraddi et al. Voltammetric-oxidation and determination of 5-flurouracil and its analysis in pharmaceuticals and biological fluids at glassy carbon electrode mediated by surfactant cetyltrimethyl ammonium bromide
Ma et al.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epinephrine and dopamine with poly (l-arginine) modified electrode
Li et al. Electrochemical behavior and voltammetric determination of theophylline at a glassy carbon electrode modified with graphene/nafion
Kuzin et al. Electrochemistry of new derivatives of phenothiazine: Electrode kinetics and electropolymerization conditions
Raoof et al. Fabrication of layer-by-layer deposited films containing carbon nanotubes and poly (malachite green) as a sensor for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ascorbic acid, epinephrine, and uric acid
Oliveira et al. Potentiometric determination of Diclofenac using an ion-selective electrode prepared from polypyrrole films
Troiani et al. Cathodically pretreated poly (1-aminoanthraquinone)-modified electrode for determination of ascorbic acid, dopamine, and uric acid
Lin et al. Monolayer modification of glassy carbon electrode by using propionylcholine for selective detection of uric acid
Radi et al. Determination of coccidiostat clopidol on an electropolymerized-molecularly imprinted polypyrrole polymer modified screen printed carbon electrode
Guo et al. Electrochemical behavior and analytical detection of insulin on pretreated nanocarbon black electrode surface
Putra et al. Selective non-enzymatic uric acid sensing in the presence of dopamine: electropolymerized poly-pyrrole modified with a reduced graphene oxide/PEDOT: PSS composi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