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85437A - 커넥터 단자의 전선접속구조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커넥터 단자의 전선접속구조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85437A
KR20130085437A KR20137015019A KR20137015019A KR20130085437A KR 20130085437 A KR20130085437 A KR 20130085437A KR 20137015019 A KR20137015019 A KR 20137015019A KR 20137015019 A KR20137015019 A KR 20137015019A KR 20130085437 A KR20130085437 A KR 201300854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terminal
seed
electric wire
conductor
cri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70150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33900B1 (ko
Inventor
케이 사토
신지 코다마
Original Assignee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854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54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39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39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1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 H01R4/1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70Insulation of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1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 H01R4/1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 H01R4/183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 H01R4/184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comprising a U-shaped wire-receiving por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005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making 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onnection, coupling, or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forming connections by deformation, e.g. crimping tool
    • H01R43/048Crimping apparatus or proces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2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contact members with insulating base, case or sleeve
    • H01R43/24Assembling by moulding on 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1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 H01R4/1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 H01R4/183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 H01R4/184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comprising a U-shaped wire-receiving portion
    • H01R4/185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comprising a U-shaped wire-receiving portion combined with a U-shaped insulation-receiving por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17Conductor or circuit manufacturing
    • Y10T29/49174Assembling terminal to elongated conductor
    • Y10T29/49181Assembling terminal to elongated conductor by deforming
    • Y10T29/49185Assembling terminal to elongated conductor by deforming of termi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nections Effected By Soldering, Adhesion, Or Permanent Deformation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넥터 하우징에 특별한 가공을 시행하는 것 없이 수지 몰드부의 밀봉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커넥터 단자(10)의 후방부에 전선(W)의 단부가 접속되고, 그 전선 접속부를 수지 몰드부(20)로 밀봉하는 커넥터 단자의 전선접속구조로서, 커넥터 단자(10)의 최후방 단부의 하측면(13b)이 최후방 단부의 전방 영역의 하측면 보다 높아지도록 형성된 단차가 최후방 단부의 하측면(13b)과 최후방 단부의 상기 전방의 하측면(12b) 사이에 배치되고, 그 결과, 수지 몰드부(20)를 형성하는 수지의 충전을 가능하게 하는 공간(22)이 확보된다.

Description

커넥터 단자의 전선접속구조 및 그 제조방법{CONNECTOR TERMINAL WIRE CONNECTION STRUCTURE AND METHOD OF MANUFACTURIG SAME}
본 발명은 커넥터 단자의 전선접속구조, 및 커넥터 단자의 접속구조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6 및 도 7에 일예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커넥터 단자(10)는 그 전방부에 상대방 커넥터(미도시)의 단자에 접속하기 위한 전기적 접속부(11)를 가지고, 그 후방부에 전선(W)의 단부에 대하여 압착되어 접속되는 전선 접속부로서,전방 도체 압착부(12)와 후방 시드 압착부(13)를 가지고 있다. 도체 압착부(12)는 바닥판(14)과 이 바닥판(14)의 양 측면 에지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압착편(12a, 12a)으로 이루어지고, 대략 U자형 단면형상을 취하고 있다. 시드 압착부(13) 역시 바닥판(14)과 이 바닥판(14)의 양 측면 에지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압착편(13a, 13a)으로 이루어지고, 대략 U자형 단면형상을 취하고 있다. 도체 압착부(12)와 시드 압착부(13)는 공통으로 연속된 바닥판을 공유하고 있다.
이러한 종류의 커넥터 단자(10)를 전선(W)의 단부에 접속하기 위해, 도체 압착부(12)에 의해 압착되는 길이 만큼 전선(W)의 절연 시드(Wb)를 절개하여, 시드가 벗겨진채로 도체(Wa)를 노출시킨다. 다음에, 도 6의 화살표 A1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압착 성형 다이에서 그 하형(lower mold)(1)의 성형면(1a)에 도체 압착부(12)의 하측면을 배치하고, 하형(1)의 성형면(1b)에 시드 압착부(13)의 하측면을 배치한다. 이 상태에서, 화살표A2로 나타낸 바와 같이 노출 도체(Wa)를 도체 압착부(12)의 바닥판 상에 배치하고, 전선(Wa) 중 절연 시드(Wb)로 피복된 부분을 시드 압착부(13)의 바닥판 상에 배치한다. 그리고, 상형(upper mold)(2)을 화살표A3로 나타낸 바와 같이 하강시키고, 상형(2)의 성형면(2a)으로 도체 압착부(12) 중 한 쌍의 압착편을 내측으로 롤링 가공하고, 상형(2)의 형성면(2b)으로 시드 압착부(13) 중 한 쌍의 압착편을 내측으로 롤링 가공한다. 노출 도체(Wa), 그리고 도체(Wa) 중 절연 시드(Wb)가 피복된 부분이 롤링 가공된다. 이에 따라서, 커넥터 단자(10)와 전선(W)이 함께 접속된다.
그 후에, 필요에 따라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체(Wa)의 노출부분을 모두 덮도록 전선(W)과 커넥터 단자(10) 간의 접속부분에 대하여 수지로 성형을 시행한다. 전선 접속부는 수지 몰드부(20)에 의해 밀봉되며, 그 결과 도체(Wa)를 부식으로부터 보호하는 한편 방수 기능을 제공한다. 특히, 전선(W)의 도체(Wa)가 알루미늄이나 알루미늄 합금으로 구성되고, 커넥터 단자(10)가 동(copper) 또는 동합금으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 이종 금속의 접합부에 수분이 부착되면 전식(電蝕:electric corrosion)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이 전식을 방지할 목적으로 접합부를 수지 몰드부(20)로 밀봉한다.
상기와 같이 수지로 단자의 전선 접속부를 덮는 기술은 예를 들면 특허문헌1에 공지되어 있다.
일본특허공개 제2001-167821호
그런데, 상기와 같이 수지 몰드부(20)에 의해 커넥터 단자(10)의 전선 접속부를 덮고, 커넥터 단자(10)의 하측면을 수지로 덮는 경우,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넥터 단자(10)를 커넥터 하우징(30)의 단자 수용 공간(31)에 삽입하여 랜스(lance)(32)로 유지할 때, 단자 수용 공간(31)의 내부 바닥면(31a)과 커넥터 단자(10)의 후방부 하측면 사이의 밀착성이 악화되기 때문에, 단자 수용 공간(31) 내에서의 커넥터 단자(10)의 수용성이 악화 된다. 따라서, 이러한 상태에서, 커넥터 단자(10)의 하측면이 수지로 덮이지 않도록 하면서 커넥터 단자(10)를 수지로 성형하고 있다.
그러나, 도 7에 2점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커넥터 단자(10)로부터 인출된 전선(W)에 화살표Y 방향으로 외력이 작용한 결과로 인해 전선(W)이 상향으로 구부러질 경우, 전선(W), 커넥터 단자(10) 중 시드 압착부(13)의 하단부, 및 그 둘레를 덮는 수지가 얇은 두께를 가지기 때문에, 시드 압착부(13)의 하단부와 전선(W) 사이에 공차가 발생하기 쉽고, 이 공차를 통해 커넥터 하우징으로 물이 침입할 수 있다.
따라서, 시드 압착부(13)의 하단부 및 그 주변을 덮는 수지 몰드부(20)의 두께를 증가시켜 밀봉성을 높이고,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넥터 하우징(30)의 단자 수용 공간(31)의 내부 다박면(31a)에 노치부(35)를 형성하여 수지 몰드부(20) 중 증가된 두께부분을 수용하는 방식을 그 해결수단으로서 고려해볼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해결수단은 커넥터 하우징(30)에 대해 부가적 가공을 필요로 하여 비용을 상승시킨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커넥터 하우징에 특별한 가공을 시행하지 않고도, 수지 몰드부에 의한 밀봉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커넥터 단자의 전선접속구조 및 커넥터 단자의 전선접속구조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단자의 전선접속구조는 하기 (1) 및 (2)에 설명한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1)커넥터 단자의 후방부에 전선의 단부가 접속되고, 접속된 전선의 단부를 수지 몰드부로 밀봉하는 커넥터 단자의 전선접속구조로서, 상기 커넥터 단자의 최후방 단부의 하측면이 상기 최후방 단부의 전방 영역의 하측면 보다 높아지도록 형성된 단차가 상기 커넥터 단자의 최후방의 하측면과 상기 최후방 단부의 상기 전방 영역의 하측면 사이의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수지 몰드부를 형성하는 수지의 충전을 가능하게 하는 공간이 상기 최후방 단부 아래에 확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단자의 전선접속구조.
(1) 상기 (2)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단자는 그 전방부에서 상대 커넥터의 단자와 접속하는 전기접속부와, 그 후방부에서 상기 전선의 단부 도체에 압착되어 접속되는 도체 압착부와, 상기 도체 압착부의 뒤에 배치되고 절연 시드로 피복된 전선의 단부 부분에 압착되는 시드 압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단차는 상기 시드 압착부의 하측면과 상기 도체 압착부의 하측면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네터 단자의 전선접속구조.
상기 (1)의 구성에 따른 커넥터 단자의 전선접속구조에 의하면, 커넥터 단자의 최후방 단부의 하측면과 최후방 단부의 전방 영역 하측면 사이에 단차가 형성되어, 커넥터 단자의 최후방 단부의 하측면 아래에 수지 몰드부를 구성하는 수지를 충전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커넥터 단자 중 최후방 단부의 하측면을 충분히 덮을 수 있는 두께로 수지 몰드부를 덮을 수 있다. 따라서, 커넥터 단자의 최후방 단부에 충분한 방수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고, 또한 커넥터 하우징의 단자 수용 공간에 커넥터 단자를 삽입할 때에 커넥터 하우징에 대해 특별한 가공을 시행하지 않고도 수지 몰드부의 밀봉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2)의 구성에 따른 커넥터 단자의 전선접속구조에 의하면, 도체 압착부의 하측면과 시드 압착부의 하측면 사이에 단차가 설치된다. 따라서, 커넥터 단자의 전방 단부로부터 도체 압착부까지의 길이 구간에서 그 하측면을 납작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커텍터 하우징의 단자 수용 공간에 커넥터 단자를 삽입할 때에 넓은 면적을 가진 하측면을 단자 수용 공간의 내부 바닥면에 밀착시킬 수 있어, 커넥터 단자의 안정된 수용을 보장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단자의 전선접속구조의 제조방법은 하기 (3)에 설명한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3)커넥터 단자의 후방부에 전선의 단부가 배치되고, 상기 커넥터 단자의 후방부를 하형와 상형을 이용하여 프레스하는 것에 의해 상기 커넥터 단자의 후방부 중 전방측에 위치하는 도체압착부를 전선의 단부 중 도체에 압착하고 후방측에 위치하는 시드 압착부를 전선의 단부 중 절연 시드가 피복된 부분에 압착하고, 상기 전선의 단부가 압착되어 접속된 영역이 수지 몰드부에 의해 밀봉된 커넥터 단자의 전선접속구조의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하형와 상형을 이용하여, 상기 커넥터 단자의 후방부를 전선에 압착할 때에, 상기 시드 압착부의 하측면이 상기 도체압착부의 하측면 보다도 높아지도록 상기 시드 압착부의 하측면과 상기 도체압착부의 하측면 사이에 단차를 형성하고, 상기 시드 압착부의 하측에 상기 수지 몰드부를 형성하는 수지를 충전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단자의 전선접속구조의 제조방법.
상기 (3)의 구성에 따른 커넥터 단자의 전선접속구조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커넥터 단자의 후방부를 전선에 압착할 때 시드 압착부의 하측면과 도체 압착부의 하측면 사이에 단차를 형성하고, 그 결과 시드 압착부의 최후방 단부 아래에 전선 접속부를 밀봉하기 위한 수지 몰드부를 구성하는 수지를 충전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커넥터 단자의 최후방 단부의 하측면을 충분히 덮을 수 있는 두께로 수지 몰드부가 덮일 수 있다. 따라서, 커넥터 단자의 최후방 단부에 대해 충분한 방수가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커넥터 하우징에 대해 특별한 가공을 시행하지 않고도 수지 몰드부에 의한 밀봉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커넥터 단자를 전선에 대해 압착할 때 동시에 단차가 형성된다. 따라서, 압착성형 다이를 조금만 변경하는 것으로도 단차를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커넥터 단자의 최후방 단부 중 하측면의 아래에 수지를 충전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기 때문에, 커넥터 단자 중 최후방 단부의 하측면을 충분히 덮을 수 있는 두께로 수지 몰드부를 도포할 수 있다. 따라서, 전선(W)과 단자 사이에 위치하는 커넥터 단자의 최후방 단부에서 그 방수의 약점을 보완할 수 있고, 커넥터 하우징에 대해 특별한 가공을 시행하지 않고도 수지 몰드부에 의한 밀봉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하여 간결하게 설명하였으며,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발명의 실시예와 그 첨부도면의 참조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이해할 수 있다.
도 1의 (a) 및 도 1의 (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단자에 관한 전선접속구조의 설명도이며, 도 1의 (a)는 전선접속구조의 제조방법을 실시하는 것과 관련된 공정방법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의 (b)는 전선의 접속 이후 획득된 전선접속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의 (a)는 전선접속구조의 측면도이고, 도 2의 (b)는 전선접속구조를 가진 커넥터 단자가 커넥터 하우징에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커넥터의 측단면도이다.
도 3의 (a) 및 도 3의 (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선접속구조의 다른 제조방법을 도시한 설명도로서, 도 3의 (a)는 커넥터 단자가 전선의 단부에 압착된 이후 지그(jig)를 이용하여 커넥터 단자의 후방 단부에 단차가 형성되는 방법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의 (b)는 전선의 접속 이후 획득한 전선접속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선접속구조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선접속구조를 획득하기 위한 커넥터 단자의 일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종래기술에 따른 커넥터 단자에 관한 전선접속구조의 설명도, 또는 전선접속구조의 제조를 위한 압착방법을 실시하는 것에 관한 공정방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종래기술에 따른 커넥터 단자의 측면도이다.
도 8은 종래기술에 따른 전선접속구조가 설치된 커넥터 단자가 커넥터 하우징에 삽입되어 형성된 커넥터의 측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커넥터 단자 중 상대방 커넥터 단자와 접속하는 측을 전방(측), 전선과 접속하는 측을 후방(측)으로 정한다.
도 1의 (a) 및 도 1의 (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단자에 관한 전선접속구조의 설명도이며, 도 1의 (a)는 전선접속구조의 제조방법을 실시하는 것에 관한 공정방법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의 (b)는 전선의 접속 이후 획득된 전선접속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의 (a)는 전선접속구조의 측면도이고, 도 2의 (b)는 전선접속구조를 가진 커넥터 단자가 커넥터 하우징에 삽입된 커넥터의 측단면도이다.
커넥터 단자(10)는 커넥터 하우징(30)의 단자 수용 공간(31)에 후방으로부터 삽입되어 랜스(32)에 의해 유지되는 장치이다. 커넥터 단자(10)의 전방부에는 상대방 커넥터(미도시)의 단자와 접속하기 위해 사용되는 직각 관형상의 상자형 전기 접속부(11)가 배치된다. 커넥터 단자(10)의 후방부에는 전선(W)의 단부에 압착되어 접속되는 전기 접속부로서 전방도체 압착부(12) 및 후방 시드(sheath) 압착부(13)가 배치된다. 도체 압착부(12)와 시드 압착부(13)는 공통 연속형 바닥판(14)을 공유한다. 도체 압착부(12)는 바닥판(14)과 한 쌍의 압착편(12a,12a)으로 구성되며, 한 쌍의 압착편(12a, 12a)은 전선 접속부(11)의 후방에 위치하고 바닥판(14)의 양쪽 측면 에지로부터 상향으로 연장되어 실질적으로 U자형 단면형상을 취한다. 시드 압착부(13)는 바닥판(14)과 한 쌍의 압착편(13a, 13a)으로 구성되며, 한 쌍의 압착편(13a, 13a)은 도체 압착부(12)의 후방에 위치하고 바닥판(14)의 양쪽 측면 에지로부터 상향으로 연장되어 실질적으로 U자형 단면형상을 취한다.
커넥터 단자(10)가 전선(W)의 단부에 접속될 경우, 도 1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형(lower mold)(1)과 상형(upper mold)(2)으로 구성된 압착 성형 다이를 사용하며, 하형(1)은 단차형 성형면(1a, 1b, 1c)을 가지고 있고, 상형(2)은 하형(1)의 단차에 대응하는 단차가 형성된 성형면(2a, 2b, 2c)을 가진다. 즉, 하형(1)은 도체 압착부(12)의 하측면(12b)[도 2의 (a) 참조]이 장착되는 성형면(1a), 시드 압착부(13)의 하측면(13b)[도 2의 (a)]이 장착되는 성형면(1b), 및 바닥판(14)의 하측면이 도체 압착부(12)로부터 시드 압착부(13)로 연속하여 장착되는 성형면(1c)으로 구성된다. 이 시드 압착부(13)의 하측면(13b)이 놓이는 성형면(1b) 에 높이차(즉, 단차)가 부여되며, 결과적으로 성형면(1b)은 도체 압착부(12)의 하측면(12b)이 놓이게 되는 하형(1)의 성형면(1a) 보다 높게 형성된다. 성형면(1a, 1b)들 사이에 존재하는 성형면(1c)은 경사면으로 형성된다. 상형(2)의 성형면(2a, 2b, 2c) 또한 하형(1)의 상대방 성형면(1a, 1b, 1c)에 대응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선접속구조를 획득하기 위해, 도 1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선(W)의 절연 시드(Wb)를 도체 압착부(12)에 의해 압착되는 길이만큼 절결하여 시드가 벗겨진 노출 도체(Wa)를 형성한다. 다음에, 도 1의 (a)에서 화살표 A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압착 형성 다이의 하형(1)의 성형면(1a)에 도체압착부(12)의 하측면을 배치하고, 압착 성형 다이의 하형(1)의 성형면(1b)에 시드 압착부(13)의 하측면을 배치한다. 이 상태에서, 화살표 A2로 나타낸 바와 같이 노출 도체(Wa)를 도체 압착부(12)의 바닥판(14)의 위에 배치하고, 전선(Wa) 중 절연 시드(Wb)가 피복된 부분을 시드 압착부(13)의 바닥판(14) 상에 배치한다. 그 상태에서, 상형(2)을 화살표 A3로 나타낸 바와 같이 하강시키고, 그에 따라, 상형(2)의 성형면(2a, 2b, 2c)에 의해 도체 압착부(12)의 한 쌍의 압착편(12a)을 롤링 가공하고, 상형(2)의 형성면(2a, 2b, 2c)에 의해 시드 압착부(13)의 한 쌍의 압착편(13a)을 각각 내측으로 롤링 가공한다. 노출 도체(Wa), 및 도체(Wa) 중 절연 시드(Wb)가 피복된 부분이 감기도록 압착한다. 이에 따라서, 커넥터 단자(10)와 전선(W)이 함께 접속될 수 있다.
커넥터 단자(10)를 전선(W)에 접속할 때, 도 2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선(W)이 단자 외부로 인출되는 커넥터 단자(10)의 최후방 단부에 상당하는 시드 압착부(13)의 하측면(13b)과 최후방 단부의 전방 영역에 상당하는 도체 압착부(12)의 하측면(12b) 사이의 부위에서, 시드 압착부(13)의 하측면(13b)이 도체 압착부(12)의 하측면(12b) 보다도 높게 되도록 단차("d")를 형성할 수 있다. 이 단차("d")에 의해 시드 압착부(13)의 하측면(13b)의 아래에 전선(W)의 접속부를 밀봉하기 위한 수지 몰드부(20)를 구성하는 수지를 충전할 수 있는 공간(22)을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압착 후에, 도체(Wa)의 노출부분을 모두 덮도록 전선(W)의 접속부분에 대하여 수지로 성형하고, 수지 몰드부(20)로 전선 접속부를 밀봉하는 것에 의해, 도체(Wa)를 부식으로부터 보호하는 한편, 방수 성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1의 (b) 및 도 2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넥터 단자(10)의 최후방 단부인 시드 압착부(13)의 하측면(13b)을 충분히 덮을 수 있는 두께로 수지를 도포할 수 있다. 따라서, 전선(W)과 커넥터 단자(10) 사이에서 커넥터 단자(10)의 최후방 단부의 방수에 대해서 그 약점을 보완할 수 있다.
도 2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넥터 단자(10)를 커넥터 하우징(30)의 단자 수용 공간(31)에 삽입하여 랜스(32)로 유지할 경우, 단자 수용 공간(31)의 내부 바닥면(31a)에 대해 수지 몰드부(20)로 인한 간섭없이 단자 수용 공간(31) 내에 커넥터 단자(10)를 수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커넥터 하우징(30)에 대해 특별한 가공(절결을 위한 가공)을 시행하지 않고도 수지 몰드부(20)에 의한 밀봉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전선(W)에 굴곡력이 작용할 경우에도 침수의 염려가 없다.
또한, 도체 압착부(12)의 하측면(12b)으로부터 시드 압착부(13)의 하측면(13b) 까지의 종래 커넥터 단자의 영역은 납작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수지 몰드부의 도포를 시행할 때, 커넥터 단자(10)의 하측면 부분까지 수지가 덮이면, 커넥터 단자(10)의 후방부 하측면과 단자 수용 공간(31)의 내부 바닥면(31a) 사이의 밀착성이 악화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선접속구조에 있어서는, 특히, 도체 압착부(12)의 하측면(12b)과 시드 압착부(13)의 하측면(13b) 사이에 상기 단차("d")를 설치하고 있으므로, 수지 몰드부(20)를 설치한 경우에도 커넥터 단자(10)의 전방 단부에 위치하는 전기 접속부(11)의 하측면(11b)으로부터 도체 압착부(12)의 하측면(12b)까지의 길이 구간을 납작하게 유지할 수 있다. 커넥터 하우징(30)의 단자 수용 공간(31)에 커넥터 단자(10)를 삽입할 때에 넓은 면적을 가진 단자 하측면을 단자 수용 공간(31)의 내부 바닥면(31a)에 밀접시킬 수 있어, 커넥터 단자(10)의 안정된 수용성을 보장할 수 있다.
커넥터 단자(10)를 전선(W)에 압착할 때와 동시에 상기 단차("d")를 설치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도 3의 (a) 및 도 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선(W)에 대해 커넥터 단자(10)의 압착을 우선 시행하고, 압착 후의 커넥터 단자(10)에 대하여 단차("d")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는, 압착 성형 다이와는 별도로 단차 형성용의 하측 지그(5)와 상측 지그(6)를 이용한다. 하측 지그(5)와 상측 지그(6)의 성형면에는 단차("d")를 형성하기 위한 단차가 형성되어 있다. 즉, 도 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드 압착부(13)의 하측면(13b)이 배치되는 성형면(5b)이 도체 압착부(12)의 하측면(12b)이 배치되는 하측 지그(5)의 성형면(5a) 보다도 높은 위치가 되도록 차이(단차)가 형성된다. 성형면(5a, 5b)들 사이에 위치하는 성형면(5c)은 경사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측 지그(6)의 성형면(6a, 6b, 6c)도, 하측 지그(5)의 성형면(5a, 5b, 5c)에 대응하는 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 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측 지그(5)의 위에 전선(W)에 압착된 커넥터 단자(10)를 배치하고, 상측 지그(6)로 프레스 하는 것에 의해 도 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체 압착부(12)의 하측면(12b)과 시드 압착부(13)의 하측면(13b) 사이에 단차("d")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커넥터 단자(10)의 최후방 단부와 최후방 단부의 전방 영역 사이에 단차("d")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면, 단차("d")를 가진 부분의 형상은 어떠한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4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선접속구조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체 압착부(12)의 하측면(12b)으로부터 시드 압착부(13) 중 그 하측면(13b)의 단부에 걸쳐서 전체가 경사지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커넥터 단자(10)를 전선(W)에 압착할 때에 동시에 단차("d")를 설치한 경우와, 압착 후에 단차(d)를 설치한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그러나, 커텍터 단자를 프레스 가공에 의해 제조하는 단자에서, 미리 도체압착부(12)와 시드 압착부(13) 사이에 단차를 설치할 수도 있다. 도 5는 이와 같이 구성된 커넥터 단자(110)의 일예를 도시한다. 커넥터 단자(110)에는 도체 압착부(12)로부터 시드 압착부(13)에 걸쳐서 바닥판(114)이 경사판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러한 구성에 의해 커넥터 단자(110)의 최후방 단부와 그 전방 영역 사이에 단차("d")가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적절한 변형, 개량 등이 가능하다. 그 밖에도,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의 각 구성요소의 재질, 형상, 치수, 개수, 배치부위, 등은 본 발명을 달성할 수 있으면, 임의로 정할 수 있으며, 한정이 있는 것은 아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을 상세하게 또는 특정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범위를 일탈하지 않고도 당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여러 가지 변경 및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한 것이다. 본 출원은 2010. 12. 13. 자 출원된 일본특허출원 제2010-277268호에 기초하며, 그 내용은 모두 여기에 참조로 포함된다.
1. 하형
2. 상형
10, 110. 커넥터 단자
11. 전기 접속부
12. 도체 압착부
12b. 하측면
13. 시드 압착부
13b. 하측면
20. 수지 몰드부
22. 공간
W. 전선
Wa. 도체
Wb. 절연 시드
d. 단차

Claims (3)

  1. 커넥터 단자의 후방부에 전선의 단부가 접속되고, 접속된 전선의 단부를 수지 몰드부로 밀봉하는 커넥터 단자의 전선접속구조로서,
    상기 커넥터 단자의 최후방 단부의 하측면이 상기 최후방 단부의 전방 영역의 하측면 보다 높아지도록 형성된 단차가 상기 커넥터 단자의 최후방의 하측면과 상기 최후방 단부의 상기 전방 영역의 하측면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수지 몰드부를 형성하는 수지의 충전을 가능하게 하는 공간이 상기 최후방 단부 아래에 확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단자의 전선접속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단자는 그 전방부에서 상대 커넥터의 단자와 접속하는 전기 접속부와, 그 후방부에서 상기 전선의 단부 도체에 압착되어 접속되는 도체 압착부와, 상기 도체 압착부의 뒤에 배치되고 절연 시드로 피복된 전선의 단부 부분에 압착되는 시드 압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단차는 상기 시드 압착부의 하측면과 상기 도체 압착부의 하측면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네터 단자의 전선접속구조.
  3. 커넥터 단자의 후방부에 전선의 단부가 배치되고, 상기 커넥터 단자의 후방부를 하형과 상형을 이용하여 프레스하는 것에 의해 상기 커넥터 단자의 후방부 중 전방측에 위치하는 도체압착부를 전선의 단부 중 도체에 압착하고 후방측에 위치하는 시드 압착부를 전선의 단부 중 절연 시드가 피복된 부분에 압착하고, 상기 전선의 단부가 압착되어 접속된 영역이 수지 몰드부에 의해 밀봉된 커넥터 단자의 전선접속구조의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하형과 상형을 이용하여, 상기 커넥터 단자의 후방부를 전선에 압착할 때에, 상기 시드 압착부의 하측면이 상기 도체 압착부의 하측면 보다도 높아지도록 상기 시드 압착부의 하측면과 상기 도체 압착부의 하측면 사이에 단차를 형성하고, 상기 시드 압착부의 하측에 상기 수지 몰드부를 형성하는 수지를 충전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단자의 전선접속구조의 제조방법.
KR1020137015019A 2010-12-13 2011-12-12 커넥터 단자의 전선접속구조 및 그 제조방법 KR1015339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277268 2010-12-13
JP2010277268A JP5674120B2 (ja) 2010-12-13 2010-12-13 コネクタ端子の電線接続構造およびその製造方法
PCT/JP2011/078705 WO2012081552A1 (ja) 2010-12-13 2011-12-12 コネクタ端子の電線接続構造およびそ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5437A true KR20130085437A (ko) 2013-07-29
KR101533900B1 KR101533900B1 (ko) 2015-07-03

Family

ID=462446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5019A KR101533900B1 (ko) 2010-12-13 2011-12-12 커넥터 단자의 전선접속구조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028283B2 (ko)
JP (1) JP5674120B2 (ko)
KR (1) KR101533900B1 (ko)
CN (1) CN103262349B (ko)
DE (1) DE112011104358B4 (ko)
WO (1) WO201208155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52900A (ja) * 2011-06-03 2012-12-20 Yazaki Corp 接続端子及び接続端子の製造方法
JP5820192B2 (ja) 2011-08-24 2015-11-24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端子への電線の接続方法及び圧着成形型
JP5741344B2 (ja) * 2011-09-20 2015-07-01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5741343B2 (ja) * 2011-09-20 2015-07-01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13089554A (ja) * 2011-10-21 2013-05-13 Sumitomo Wiring Syst Ltd 端子付き電線、端子付き電線の製造方法および端子圧着装置
JP2013115023A (ja) * 2011-12-01 2013-06-10 Yazaki Corp 接続端子
JP2014110100A (ja) * 2012-11-30 2014-06-12 Fujikura Ltd 電線端末構造
JP5846114B2 (ja) * 2012-12-19 2016-01-20 住友電装株式会社 端子付電線の製造方法、および、端子付電線
US9331446B2 (en) * 2013-09-19 2016-05-03 Te Connectivity Germany Gmbh Crimp tooling for a terminal crimping machine
JP2015090843A (ja) 2013-11-07 2015-05-11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の止水構造
JP6265804B2 (ja) 2014-03-19 2018-01-24 矢崎総業株式会社 圧着端子と電線の接続構造
JP6204953B2 (ja) 2015-09-18 2017-09-27 矢崎総業株式会社 端子付き電線及びそれを用いたワイヤーハーネス
JP6547571B2 (ja) * 2015-10-12 2019-07-24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コネクタ及び端子付き電線
JP6419756B2 (ja) * 2016-06-23 2018-11-07 株式会社芝浦電子 温度検出装置
JP6434950B2 (ja) * 2016-10-13 2018-12-05 矢崎総業株式会社 端子圧着装置
JP6976990B2 (ja) * 2019-05-21 2021-12-08 矢崎総業株式会社 端子付き電線
JP7023587B2 (ja) * 2019-05-21 2022-02-22 矢崎総業株式会社 端子付き電線
US11588255B2 (en) * 2020-07-14 2023-02-21 Yazaki Corporation Electric wire with terminal having improved anticorrosion performance
JP7451048B2 (ja) 2020-09-17 2024-03-18 矢崎総業株式会社 端子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8804092U1 (ko) * 1988-03-25 1988-06-30 Grote & Hartmann Gmbh & Co Kg, 5600 Wuppertal, De
JPH04119959U (ja) * 1991-04-12 1992-10-27 昭和電線電纜株式会社 ケーブルの端子取付端末
JP3216757B2 (ja) 1994-06-27 2001-10-09 矢崎総業株式会社 端 子
JPH09106854A (ja) 1995-10-13 1997-04-22 Yazaki Corp 防水コネクタ用雌端子及び樹脂充填防水コネクタ
TW400985U (en) 1997-05-26 2000-08-01 Whitaker Corp Crimp connection for large conductors
JPH11195445A (ja) * 1997-12-26 1999-07-21 Amp Japan Ltd 可撓性平形ケ−ブル用電気コンタクト
JP2000299140A (ja) * 1999-04-15 2000-10-24 Yazaki Corp 電線と接続端子の接続方法及び接続構造
JP3718394B2 (ja) 1999-12-09 2005-11-24 矢崎総業株式会社 被覆電線の端末接続部およびその防水処理方法と装置
JP3556879B2 (ja) * 2000-03-15 2004-08-25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02315130A (ja) * 2001-04-09 2002-10-25 Yonezawa Densen Kk ワイヤハーネス、電線端末の止水構造
JP2003297447A (ja) * 2002-04-05 2003-10-17 Furukawa Electric Co Ltd:The 接続端子装置
JP2004071469A (ja) 2002-08-08 2004-03-04 Sumitomo Wiring Syst Ltd 端子金具
JP2005050736A (ja) 2003-07-30 2005-02-24 Furukawa Electric Co Ltd:The アルミ電線への端子圧着構造及び端子付アルミ電線の製造方法
EP2472675B1 (en) 2003-07-30 2020-09-30 The Furukawa Electric Co., Ltd. Terminal crimping structure and terminal crimping method onto aluminum electric-wire
JP2005158497A (ja) * 2003-11-26 2005-06-16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圧着コンタクト
US7121903B2 (en) * 2004-09-27 2006-10-17 Yazaki Corporation Terminal
JP2006286385A (ja) * 2005-03-31 2006-10-19 Asahi Electric Works Ltd 端子金具と撚り線との圧着接続構造
JP2007250530A (ja) * 2006-02-17 2007-09-27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端子付電線
JP2008123913A (ja) * 2006-11-14 2008-05-29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内導体端子及び同軸コネクタ
JP4999093B2 (ja) 2007-10-02 2012-08-15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アルミニウム電線用の端子圧着工具
JP5329100B2 (ja) 2008-01-23 2013-10-30 矢崎総業株式会社 電線付きコネクタ端子が挿入されたコネクタ
JP5033660B2 (ja) 2008-01-30 2012-09-26 矢崎総業株式会社 同軸コネクタ及び同軸コネクタの組み付け方法
US8342894B2 (en) * 2008-08-27 2013-01-01 Sumitomo Wiring Systems, Ltd. Terminal fitting
JP2010277268A (ja) 2009-05-27 2010-12-09 Kyocera Mita Corp メモリ管理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ワンチップマイクロコンピュータ並びに組込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674120B2 (ja) 2015-02-25
WO2012081552A1 (ja) 2012-06-21
US9028283B2 (en) 2015-05-12
US20130252481A1 (en) 2013-09-26
DE112011104358T5 (de) 2013-10-17
DE112011104358B4 (de) 2023-03-16
KR101533900B1 (ko) 2015-07-03
CN103262349A (zh) 2013-08-21
JP2012128976A (ja) 2012-07-05
CN103262349B (zh) 2015-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85437A (ko) 커넥터 단자의 전선접속구조 및 그 제조방법
KR101447396B1 (ko) 커넥터 단자의 전선 연결 구조
CN104541408B (zh) 设置有压接端子的铝电缆
CN104094471B (zh) 连接构造体、连接器以及连接构造体的制造方法
JP6265804B2 (ja) 圧着端子と電線の接続構造
KR101516097B1 (ko) 방수 압착 단자 및 그 압착 방법
JP5557378B2 (ja) 圧着端子および圧着端子の電線に対する圧着構造
JP5546709B1 (ja) 圧着端子、端子付き電線およびワイヤハーネス構造体
JP5882643B2 (ja) コネクタ端子
KR101554790B1 (ko) 방수 압접 단자 및 방수 압접 단자를 형성하는 방법
JP6709818B2 (ja) 端子付き電線
JP2014038836A (ja) 圧着端子、接続構造体、コネクタ、及び圧着端子の圧着方法
TWI342091B (en) Plug connector
JP6440673B2 (ja) 端子及び端子付き電線の製造方法
JP6239245B2 (ja) 端子及び端子付き電線の製造方法
JP2014164896A (ja) 端子付き電線及び端子付き電線の製造方法
JP2023163349A (ja) 端子付き電線
JP6429432B2 (ja) 端子及び端子付き電線の製造方法
JP4596879B2 (ja) コネクタ用シールドケース
JP2016177946A (ja) 圧着端子の電線接続構造
JP2014164914A (ja) 接続構造体及びその接続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