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77216A - Camera module and method for auto foc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Camera module and method for auto foc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77216A
KR20130077216A KR1020110145806A KR20110145806A KR20130077216A KR 20130077216 A KR20130077216 A KR 20130077216A KR 1020110145806 A KR1020110145806 A KR 1020110145806A KR 20110145806 A KR20110145806 A KR 20110145806A KR 20130077216 A KR20130077216 A KR 201300772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er
posture
voice coil
coil motor
le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580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892300B1 (en
Inventor
박상옥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458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2300B1/en
Priority to US13/717,252 priority patent/US20130169832A1/en
Publication of KR201300772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7216A/en
Priority to US15/228,365 priority patent/US9723198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23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230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32Means for focusing
    • G03B13/34Power focusing
    • G03B13/36Autofocus system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09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adapted for automatic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Focusing arrangements of general interest for cameras, projectors or printers
    • G03B3/10Power-operated focus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0Camera modules comprising integrated lens units and imaging unit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e.g. mobile phones or vehic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41/00Propulsion systems in which a rigid body is moved along a path due to dynamo-electric interaction between the body and a magnetic field travelling along the path
    • H02K41/02Linear motors; Sectional motors
    • H02K41/035DC motors; Unipolar motors
    • H02K41/0352Unipolar motors
    • H02K41/0354Lorentz force motors, e.g. voice coil motors
    • H02K41/0356Lorentz force motors, e.g. voice coil motors moving along a straight path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 Lens Barrels (AREA)

Abstract

PURPOSE: A camera module and an auto-focusing method thereof are provided to reduce time required for auto-focusing and to reduce current consumption in a non-driving section, thereby reducing energy consumption. CONSTITUTION: An auto-focusing method for a camera module (800) is as follows. The posture of a movable element of a voice coil motor (100) spaced from a reference surface is determined by an elastic member when a driving current is not applied. An initial driving current is applied for focusing so that the movable element adheres to the reference surface. If the driving current is applied corresponding to the posture of the movable element, a driving section of the movable element in which driving the movable element is started by the driving current and a non-driving section in which the movable element is not driven are determined. The auto-focusing in the non-driving section is skipped, and the auto-focusing is performed in the driving section. [Reference numerals] (100) Voice coil motor; (200) Posture sensor; (300) AF algorithm; (500) Image sensor; (600) Control unit

Description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모듈의 오토 포커싱 방법{CAMERA MODULE AND METHOD FOR AUTO FOCSING THE SAME}CAMERA MODULE AND METHOD FOR AUTO FOCSING THE SAME}

본 발명은 양방향으로 구동되는 양방향 카메라 모듈 및 양방향 카메라 모듈의 오토 포커싱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idirectional camera module driven in both directions and an auto focusing method of the bidirectional camera module.

최근 들어, 초소형 카메라 모듈이 내장된 휴대폰 및 타블릿 PC 등이 개발되고 있다.Recently, mobile phones and tablet PCs with a small camera module are being developed.

종래 휴대폰 등에 적용되는 디지털 카메라 모듈의 경우, 외부광을 디지털 이미지 또는 디지털 영상으로 변경하는 이미지 센서 및 렌즈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없었으나, 최근 이미지 센서와 렌즈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보이스 코일 모터와 같은 렌즈 구동 장치가 개발되어 카메라 모듈에서 보다 개선된 디지털 이미지 또는 디지털 영상을 얻을 수 있게 되었다.In the case of a digital camera module applied to a conventional mobile phone, the distance between an image sensor and a lens for changing external light into a digital image or a digital image cannot be adjusted. The same lens driving device has been developed so that the camera module can obtain a better digital image or digital image.

일반적으로 카메라 모듈에 적용되는 보이스 코일 모터는 내부에 렌즈가 장착된 가동자가 베이스로부터 상부로 이동하여 렌즈 및 베이스의 후면에 배치된 이미지 센서 사이의 간격을 조절한다.In general, the voice coil motor applied to the camera module adjusts the distance between the lens and the image sensor disposed on the rear side of the base by moving the lens-mounted mover from the base to the top.

최근에는 보이스 코일 모터의 가동자를 베이스로부터 플로팅 시켜 가동자를 상방 또는 하방으로 이동시키면서 오토 포커싱을 구현하는 양방향 구동 보이스 코일 모터가 개발된 바 있다.Recently, a two-way driving voice coil motor has been developed that implements auto focus while floating the mover of the voice coil motor from the base to move the mover up or down.

종래 보이스 코일 모터는 구동 신호가 인가되지 않았을 때 탄성 부재가 가동자를 눌러 베이스에 접촉시키는 구조를 갖는다.The conventional voice coil motor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elastic member contacts the base by pressing the mover when no driving signal is applied.

종래 양방향 구동 보이스 코일 모터의 가동자의 경우 보이스 코일 모터의 자세 및 가동자의 자중에 따라서 약 30㎛ 내지 50㎛의 변위를 갖는다.The mover of the conventional bidirectional drive voice coil motor has a displacement of about 30 μm to 50 μm depending on the attitude of the voice coil motor and the weight of the mover.

그러나 종래 양방향 보이스 코일 모터의 가동자는 보이스 코일 모터의 자세에 따라 변위를 가질 뿐만 아니라 구동 신호를 인가하더라도 구동되지않는 미구동 구간을 포함하지만 이를 반영하지 못한 오토 포커싱 알고리즘에 의하여 오토 포커스 동작이 수행되기 때문에 오토 포커싱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전류 소모가 큰 문제점을 갖는다.
However, the auto-focus operation of the conventional bidirectional voice coil motor includes an undriven section that is not driven even when the driving signal is applied, but also has a displacement according to the attitude of the voice coil motor. Because of this, auto focusing takes a lot of time and consumes a lot of current.

본 발명은 양방향으로 구동되는 가동자를 갖는 보이스 코일 모터의 자세에 따른 가동자의 변위를 판단 및 구동 신호를 인가하더라도 가동자가 구동되지 않는 미구동 구간을 판단하여 미구동 구간에서의 오토 포커싱을 스킵하여 오토 포커싱 시간을 단축한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모듈의 오토 포커싱 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determines the displacement of the mover according to the attitude of the voice coil motor having the mover driven in both directions and determines the undriven section in which the mover is not driven even when the drive signal is applied, thereby skipping the auto focusing in the non-driven section. Provided are a camera module having a shorter focusing time and an auto focusing method of the camera module.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The technical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technical objects and other technical objects which are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일실시예로서, 카메라 모듈의 오토 포커싱 방법은 구동 전류가 인가되지 않았을 때 탄성 부재에 의하여 기준면으로부터 이격된 보이스 코일 모터의 가동자의 자세를 판단하는 단계; 포커싱 동작을 위해 초기 구동 전류를 인가하여 상기 가동자를 상기 기준면에 밀착시키는 단계; 상기 가동자의 상기 자세에 대응하여 구동 전류가 인가되더라도 상기 기준면으로부터 구동되지 않는 상기 가동자의 미구동 구간 및 구동 전류에 의하여 구동이 개시되는 상기 가동자의 구동 구간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미구동 구간의 오토 포커싱은 스킵(skip)하고, 상기 구동 구간으로부터 오토 포커싱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one embodiment, an auto focusing method of a camera module includes determining a posture of a mover of a voice coil motor spaced apart from a reference plane by an elastic member when a driving current is not applied; Applying an initial driving current to bring the mover into close contact with the reference plane for a focusing operation; Determining a driving section of the mover where driving is started by a non-driving section of the mover that is not driven from the reference plane and a driving current even if a driving current is applied corresponding to the posture of the mover; And skipping the auto focusing of the undriven section and performing auto focusing from the driving section.

일실시예로서, 카메라 모듈의 오토 포커싱 방법은 구동 전류가 인가되지 않았을 때 탄성 부재에 의하여 기준면으로부터 이격된 보이스 코일 모터의 가동자의 자세를 판단하는 단계; 포커싱 동작을 위해 초기 구동 전류를 인가하여 상기 가동자를 상기 기준면에 밀착시키는 단계; 상기 가동자의 자세에 대응하여 복수개의 오토 포커스 알고리즘들 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및 선택된 오토 포커스 알고리즘에 의하여 구동 전류가 인가되더라도 구동되지 않는 상기 가동자의 미구동 구간의 오토 포커싱은 스킵 하고 상기 구동 전류에 의하여 구동되는 상기 가동자의 구동 구간으로부터 오토 포커싱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one embodiment, an auto focusing method of a camera module includes determining a posture of a mover of a voice coil motor spaced apart from a reference plane by an elastic member when a driving current is not applied; Applying an initial driving current to bring the mover into close contact with the reference plane for a focusing operation; Selecting one of a plurality of autofocus algorithms corresponding to the mover's posture; And skipping auto focusing of the undriven section of the mover that is not driven even when a drive current is applied by the selected autofocus algorithm and performing autofocusing from the drive section of the mover driven by the drive current.

일실시예로서, 카메라 모듈은 구동 전류를 인가하지 않았을 때 기준면으로부터 이격된 렌즈를 포함하는 가동자를 양방향으로 구동하는 보이스 코일 모터; 상기 보이스 코일 모터의 자세를 판단하는 자세 감지 센서; 상기 자세 감지 센서가 판단한 상기 보이스 코일 모터의 자세에 대응하는 오토 포커스 알고리즘에 의하여 산출된 상기 렌즈의 최적 초점값을 이용하여 상기 보이스 코일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신호를 발생시키는 이미지 신호 프로세서(ISP); 상기 렌즈를 통과한 광을 디지털 신호로 변경하는 이미지 센서; 및 상기 보이스 코일 모터, 상기 자세 감지 센서, 상기 이미지 신호 프로세서 및 상기 이미지 센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In one embodiment, the camera module includes a voice coil motor for driving the mover in both directions including a lens spaced apart from the reference surface when no driving current is applied; A posture detection sensor that determines a posture of the voice coil motor; An image signal processor (ISP) for generating a driving signal for driving the voice coil motor by using an optimum focus value of the lens calculated by an autofocus algorithm corresponding to the attitude of the voice coil motor determined by the attitude sensor. ; An image sensor for converting light passing through the lens into a digital signal;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voice coil motor, the posture detection sensor, the image signal processor, and the image sensor.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모듈의 오토 포커싱 방법은 양방향으로 구동되는 가동자를 갖는 보이스 코일 모터에 전류를 인가하여도 가동자가 구동되지 않는 미구동 구간에서의 오토 포커싱 동작은 스킵하고 인가된 전류에 의하여 가동자가 구동되는 구동 구간에서만 오토 포커싱 동작을 수행하여 오토 포커싱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 및 미구동 구간에서의 전류 소모를 감소시켜 소비전력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The camera module and the auto focusing method of the camera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kip the auto focusing operation in the non-driven section in which the mover is not driven even when a current is applied to the voice coil motor having the mover driven in both directions. Therefore, the auto focusing operation is performed only in the driving section in which the mover is driven, thereby shortening the time required for auto focusing and reducing current consumption in the non-driving section, thereby reducing power consum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2는 도 1의 보이스 코일 모터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보이스 코일 모터의 사이드(side) 자세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보이스 코일 모터의 다운(down) 자세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오토 포커싱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6은 도 1의 보이스 코일 모터가 업(up) 자세일 때 전류-거리 특성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7은 도 1의 보이스 코일 모터가 사이드(side) 자세일 때 전류-거리 특성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8은 도 1의 보이스 코일 모터가 다운(side) 자세일 때 전류-거리 특성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오토 포커싱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amera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conceptually illustrating the voice coil motor of FIG. 1.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ide posture of the voice coil motor illustrated in FIG. 2. 4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down attitude of the voice coil motor illustrated in FIG. 2.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auto focusing method of a camera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graph illustrating current-distance characteristics when the voice coil motor of FIG. 1 is in an up position.
FIG. 7 is a graph illustrating current-distance characteristics when the voice coil motor of FIG. 1 is in a side position.
FIG. 8 is a graph illustrating current-distance characteristics when the voice coil motor of FIG. 1 is in a down position.
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auto focusing method of a camera module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izes and shapes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In addition,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the operator. Th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interpreted based on the content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meanings and concepts in accordance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2는 도 1의 보이스 코일 모터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amera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conceptually illustrating the voice coil motor of FIG. 1.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카메라 모듈(800)은 양방향으로 가동되는 가동자를 갖는 보이스 코일 모터(100), 자세 감지 센서(200), 오토 포커스 알고리즘(300), 이미지 신호 프로세서(400), 이미지 센서(500) 및 제어부(600)를 포함한다.1 and 2, the camera module 800 includes a voice coil motor 100, a posture detection sensor 200, an autofocus algorithm 300, an image signal processor 400, The image sensor 500 and the controller 600 are included.

도 2를 참조하면, 보이스 코일 모터(100)는 렌즈를 베이스로부터 멀어지는 방향 및 베이스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업 또는 다운시켜 양방향으로 오토 포커싱 기능을 수행한다.Referring to FIG. 2, the voice coil motor 100 performs an auto focusing function in both directions by moving the lens up or down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base and in a direction approaching the base.

보이스 코일 모터(100)는 베이스(110), 고정자(120), 가동자(130), 탄성 부재(140) 및 커버(150)를 포함한다.The voice coil motor 100 includes a base 110, a stator 120, a mover 130, an elastic member 140, and a cover 150.

베이스(110)는 중앙부에 광이 통과하는 개구가 형성된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며, 베이스(110)는 가동자(130)의 하부 스톱퍼로서 역할한다. 베이스(110)의 상면에는 후술 될 가동자(130) 및 베이스(110)의 충돌에 따른 소음 및 진동을 방지하는 충격 흡수 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The base 110 is formed in a plate shape in which an opening through which light passes is formed in the center, and the base 110 serves as a lower stopper of the mover 130. A shock absorbing member may be dispos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base 110 to prevent noise and vibration caused by collision between the movable member 130 and the base 11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베이스(110)의 후면 또는 베이스(110)의 후방에는 이미지 센서(500)가 배치될 수 있다. 이미지 센서(500)는 가동자(130)의 렌즈를 통해 포커싱 된 광을 디지털 이미지 또는 동영상으로 변경시킨다.The image sensor 500 may be disposed behind the base 110 or behind the base 110. The image sensor 500 converts the light focused through the lens of the mover 130 into a digital image or a moving image.

고정자(120)는 베이스(110) 상에 고정되며, 고정자(120)는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제1 구동부(125)를 포함하며, 고정자(120)의 내부에는 수납공간이 형성된다.The stator 120 is fixed on the base 110, and the stator 120 includes a first driver 125 generating a magnetic field, and an accommodating space is formed in the stator 120.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1 구동부(125)는, 예를 들어, 전류에 의하여 자기장을 발생시키기 위해 절연 수지에 의하여 절연된 긴 전선을 권선한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제1 구동부(125)는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마그네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고정자(120)의 제1 구동부(125)는 코일을 포함한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driver 125 may include, for example, a coil wound with a long wire insulated by an insulating resin to generate a magnetic field by electric current. Alternatively, the first driver 125 may include a magnet that generates a magnetic field.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driver 125 of the stator 120 includes a coil.

가동자(130)는 고정자(120)의 내부에 배치되며 가동자(130)는 렌즈(135)를 포함한다. 가동자(130)의 외측면에는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제2 구동부(138)가 장착된다.The mover 130 is disposed inside the stator 120 and the mover 130 includes a lens 135. On the outer surface of the mover 130 is mounted a second drive unit 138 for generating a magnetic field.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고정자(120)의 제1 구동부(125)가 코일을 포함할 경우, 가동자(130)의 제2 구동부(138)는 마그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고정자(120)의 제1 구동부(125)가 마그네트를 포함할 경우, 가동자(130)의 제2 구동부(138)는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가동자(130)의 제2 구동부(138)는, 예를 들어, 마그네트를 포함한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first driver 125 of the stator 120 includes a coil, the second driver 138 of the mover 130 may include a magnet. Alternatively, when the first driver 125 of the stator 120 includes a magnet, the second driver 138 of the mover 130 may include a coil.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drive unit 138 of the mover 130 includes, for example, a magnet.

탄성 부재(140)는 일측이 가동자(130)에 고정되고 상기 일측과 대향 하는 타측이 고정자(120)에 고정되며, 탄성 부재(140)는 가동자(130)를 탄력적으로 지지한다.The elastic member 140 has one side fixed to the mover 130 and the other side opposite to the one side fixed to the stator 120, and the elastic member 140 elastically supports the mover 130.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탄성 부재(140)는 가동자(130)의 외주면 하단에 형성된 제1 탄성 부재(143) 및 가동자(130)의 외주면 상단에 형성된 제2 탄성 부재(146)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astic member 140 is a first elastic member 143 formed on the bottom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mover 130 and the second elastic member 146 formed on the top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mover 130 It may include.

탄성 부재(140)는 고정자(120)의 제1 구동부(125) 또는 가동자(130)의 제2 구동부(138)에 구동 신호가 인가되지 않았을 때 보이스 코일 모터(100)의 자세와 상관없이 가동자(130)를 베이스(110)의 상면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 된다.The elastic member 140 is movable regardless of the posture of the voice coil motor 100 when no driving signal is applied to the first driver 125 of the stator 120 or the second driver 138 of the mover 130. The ruler 130 is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110 by a predetermined interval.

즉, 탄성 부재(140)는 고정자(120)의 제1 구동부(125) 또는 가동자(130)의 제2 구동부(138)에 구동 신호가 인가되지 않았을 때 보이스 코일 모터(100)의 자세와 상관없이 가동자(130)를 베이스(110)의 상면으로부터 플로팅 시킨다.That is, the elastic member 140 correlates with the attitude of the voice coil motor 100 when a driving signal is not applied to the first driver 125 of the stator 120 or the second driver 138 of the mover 130. Without the floater 130 is floate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110.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가동자(130)가 베이스(110)의 상부로 부상 또는 가동자(130)가 베이스(110)의 상면에 접촉되기 위해서는 가동자(130)의 자중보다 큰 전자기력을 필요로 한다.Therefor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vable member 130 is lif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base 110 or the movable member 130 has an electromagnetic force greater than the own weight of the movable member 130 in order to contact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110. need.

커버(150)는 베이스(110)에 고정되며, 커버(150)는 고정자(120) 및 가동자(130)를 감싼다. 또한, 커버(150)는 가동자(130)를 멈추는 상부 스톱퍼로서 역할한다.The cover 150 is fixed to the base 110, and the cover 150 surrounds the stator 120 and the mover 130. In addition, the cover 150 serves as an upper stopper for stopping the mover 130.

도 1을 다시 참조하면, 자세 감지 센서(200)는 보이스 코일 모터(100)의 자세를 판단하여 센싱 신호를 출력한다.Referring back to FIG. 1, the posture detecting sensor 200 determines a posture of the voice coil motor 100 and outputs a sensing signal.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자세 감지 센서(200)는, 예를 들어, 중력의 방향을 감지하는 자이로 센서(gyro sensor)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sture detection sensor 200 may include, for example, a gyro sensor for detecting the direction of gravity.

자이로 센서를 포함하는 자세 감지 센서(200)는, 예를 들어, 보이스 코일 모터(100)의 세 가지 자세를 센싱 한다. 물론 자세 감지 센서(200)는 보이스 코일 모터(100)의 세 가지 이상의 자세를 센싱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자세 감지 센서(200)가 업(up) 자세, 사이드(side) 자세 및 다운(down) 자세 등 세 가지 자세를 센싱하는 것을 설명하기로 한다.The posture detection sensor 200 including the gyro sensor senses three postures of the voice coil motor 100, for example. Of course, the posture detection sensor 200 may sense three or more postures of the voice coil motor 100. However,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sture detection sensor 200 includes an up posture, a side ( The sensing of three postures, a side posture and a down posture, will be described.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보이스 코일 모터의 사이드(side) 자세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보이스 코일 모터의 다운(down) 자세를 도시한 단면도이다.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ide posture of the voice coil motor illustrated in FIG. 2. 4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down attitude of the voice coil motor illustrated in FIG. 2.

도 2 내지 도 4들을 참조하면, 보이스 코일 모터(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업(up) 자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이드 자세(side) 자세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운(down) 자세를 포함한다.2 to 4, the voice coil motor 100 is in an up posture as shown in FIG. 2, a side posture as shown in FIG. 3, and as shown in FIG. 4. It includes a down position.

도 2에 도시된 "업(up) 자세"는 보이스 코일 모터(100)의 가동자(130)의 렌즈(135)의 광축이 지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고 베이스(110)가 지면과 마주하게 배치된 자세로서 정의될 수 있다.The up position shown in FIG. 2 is such that the optical axis of the lens 135 of the mover 130 of the voice coil motor 100 is form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ground and the base 110 faces the ground. It can be defined as a placed posture.

또한, 도 3에 도시된 "사이드(side) 자세"는 보이스 코일 모터(100)의 가동자(130)의 렌즈(135)의 광축이 지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형성되고 베이스(110)가 지면과 수직 하게 배치된 자세로서 정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ide position" shown in FIG. 3 is an optical axis of the lens 135 of the mover 130 of the voice coil motor 100 is form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ground and the base 110 is perpendicular to the ground. It can be defined as a posture arranged so that.

또한, 도 4에 도시된 "다운(down) 자세)는 보이스 코일 모터(100)의 가동자(130)의 렌즈(135)의 광축이 지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고 커버(150)가 지면과 마주게 배치된 자세로서 정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down position" shown in FIG. 4 is form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optical axis of the lens 135 of the mover 130 of the voice coil motor 100 is perpendicular to the ground, and the cover 150 is connected to the ground. It may be defined as a posture arranged oppositely.

오토 포커스 알고리즘(300)은 이미지 신호 프로세서(ISP;4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오토 포커스 알고리즘(300)은 이미지 신호 프로세서(400) 내부에 내장되거나 별도의 유닛으로 이미지 신호 프로세서(400)에 연결되어도 무방하다.The auto focus algorithm 30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n image signal processor (ISP) 400.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uto focus algorithm 300 may be embedded in the image signal processor 400 or may be connected to the image signal processor 400 as a separate unit.

오토 포커스 알고리즘(300)은 오토 포커싱을 정확하게 구현 및 빠른 오토 포커싱 응답 시간을 구현하기 위해서 피사체와의 거리에 따른 보이스 코일 모터(100)의 최적 초점 값을 검출하여 검출 신호를 출력한다.The auto focus algorithm 300 detects an optimal focus value of the voice coil motor 100 according to the distance to the subject and outputs a detection signal in order to accurately implement auto focusing and to achieve a fast auto focusing response time.

특히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오토 포커스 알고리즘(300)은 자세 감지 센서(200)에 의하여 판단된 보이스 코일 모터(100)의 상기 자세들에 대응하여 보이스 코일 모터(100)의 가동자(130)의 렌즈(135) 및 이미지 센서(500) 사이의 최적 초점값을 검출하여 검출 신호를 출력한다.In particular,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uto focus algorithm 300 corresponds to the postures of the voice coil motor 100 determined by the posture detection sensor 200. Detects an optimal focus value between the lens 135 and the image sensor 500 and outputs a detection signal.

오토 포커스 알고리즘(300)은, 예를 들어, 보이스 코일 모터(100)의 자세들의 개수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The auto focus algorithm 300 may be formed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postures of the voice coil motor 100, for example.

이미지 신호 프로세서(ISP;400)는 오토 포커스 알고리즘(300)에 의하여 출력된 상기 검출 신호에 의하여 보이스 코일 모터(100)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신호를 출력하며, 이미지 신호 프로세서(ISP;400)로부터 출력된 구동 신호는 도시되지 않은 구동 유닛을 통해 보이스 코일 모터(100)로 제공되고 보이스 코일 모터(100)의 가동자(130)는 상기 구동 신호에 응답하여 구동된다.The image signal processor (ISP) 400 outputs a driving signal for driving the voice coil motor 100 according to the detection signal output by the auto focus algorithm 300, and outputs from the image signal processor (ISP) 400. The drive signal is provided to the voice coil motor 100 through a drive unit (not shown) and the mover 130 of the voice coil motor 100 is driven in response to the drive signal.

도 1을 다시 참조하면, 제어부(500)는 데이터 버스 및/또는 콘트롤 버스를 통해 보이스 코일 모터(100), 자세 감지 센서(200), 오토 포커스 알고리즘(300), 이미지 신호 프로세서(400) 및 이미지 센서(500)와 연결된다.Referring back to FIG. 1, the control unit 500 controls the voice coil motor 100, the attitude sensor 200, the auto focus algorithm 300, the image signal processor 400, and the image through the data bus and / or the control bus. It is connected to the sensor 500.

이하, 구동 신호가 인가되지 않았을 때 탄성 부재에 의하여 가동자가 베이스(110)로부터 이격된 보이스 코일 모터(100)를 이용한 카메라 모듈의 오토 포커싱 방법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n auto focusing method of the camera module using the voice coil motor 100 spaced apart from the base 110 by the elastic member when the driving signal is not applie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오토 포커싱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auto focusing method of a camera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카메라 모듈의 오토 포커싱을 수행하기 위해서 먼저 보이스 코일 모터(100)가 현재 어떠한 자세를 취하고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가 수행된다. (단계 S10)1 and 5, in order to perform auto focusing of a camera module, first, a determination of which posture the voice coil motor 100 is currently in is performed is performed. (Step S10)

보이스 코일 모터(100)의 자세는, 예를 들어, 자이로 센서와 같은 자세 감지 센서(200)에 의하여 구현된다.The posture of the voice coil motor 100 is implemented by, for example, a posture detecting sensor 200 such as a gyro sensor.

자세 감지 센서(200)는 보이스 코일 모터(100)의 자세, 예를 들어, 보이스 코일 모터(100)의 업(up) 자세, 사이드(side) 자세 및 다운(down) 자세에 대응하여 서로 다른 센싱 신호를 출력한다.The posture detecting sensor 200 senses different positions in response to a posture of the voice coil motor 100, for example, an up posture, a side posture, and a down posture of the voice coil motor 100. Output the signal.

자세 감지 센서(200)에 의하여 보이스 코일 모터(100)의 자세가 판단되면, 오토 포커싱 동작을 수행하기 위하여 오토 포커스 알고리즘(300)은 초기 구동 신호를 인가하여 가동자(130)를 베이스(110)의 상면에 접촉시킨다.(단계 S15)When the posture of the voice coil motor 100 is determined by the posture detecting sensor 200, the autofocus algorithm 300 applies an initial driving signal to perform the autofocusing operation so that the mover 130 is connected to the base 110. Contact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step S15).

베이스(110)의 상면에 가동자(130)가 접촉되면, 이미지 신호 프로세서(ISP,400) 및 오토 포커스 알고리즘(300)에 의하여 보이스 코일 모터(100)의 자세에 대응하는 보이스 코일 모터(100)의 가동자(130)의 "미구동 구간" 및 "구동 구간"이 판단된다.(단계 S20)When the mover 130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110, the voice coil motor 100 corresponding to the attitude of the voice coil motor 100 by the image signal processor (ISP) 400 and the auto focus algorithm 300. "Undriven section" and "driven section" of the mover 130 is determined. (Step S20)

이하. "미구동 구간"은 보이스 코일 모터(100)에 구동 신호가 인가되어도 가동자(130)가 구동되지 않는 구간으로서 정의되며, "구동 구간"은 보이스 코일 모터(100)에 인가된 구동 신호에 의하여 가동자(130)가 구동되는 구간으로서 정의된다.Below. The “non-drive section” is defined as a section in which the mover 130 is not driven even when a drive signal is applied to the voice coil motor 100, and the “drive section” is defined by a drive signal applied to the voice coil motor 100. It is defined as the section in which the mover 130 is driven.

이하, 보이스 코일 모터(100)의 자세에 따른 미구동 구간 및 구동 구간을 도 6 내지 도 8을 통해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non-driving section and the driving section according to the posture of the voice coil motor 1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 to 8.

도 6은 도 1의 보이스 코일 모터가 업(up) 자세일 때 전류-거리 특성을 도시한 그래프이다.FIG. 6 is a graph illustrating current-distance characteristics when the voice coil motor of FIG. 1 is in an up position.

도 6을 참조하면, 보이스 코일 모터(100)가 업(up) 자세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보이스 코일 모터(100)의 가동자(130)가 구동되기 위해서는 가동자(130)의 자중 및 탄성 부재(140)의 탄성력보다 큰 전자기력을 필요로 한다.Referring to FIG. 6, since the voice coil motor 100 is disposed in an up position, in order to operate the movable element 130 of the voice coil motor 100, the self-weight of the movable element 130 and the elastic member ( Need more electromagnetic force than the elastic force of 140).

따라서, 도 6에서 A[mA] 미만의 전류에서는 가동자(130)가 구동되지 않고 따라서 A[mA] 미만의 전류 구간은 가동자(130)가 구동되지 않는 미구동 구간이고 미구동 구간에서는 가동자(130)가 구동되지 않기 때문에 오토 포커스 동작이 이루어지지 않는다.Therefore, in FIG. 6, the mover 130 is not driven at a current less than A [mA], and therefore, the current section less than A [mA] is an undriven section in which the mover 130 is not driven and operates in an undriven section. Since the ruler 130 is not driven, the autofocus operation is not performed.

한편, A[mA] 이상의 전류에서는 가동자(130)를 구동하는 전자기력이 가동자(130)의 자중 및 탄성 부재(140)의 탄성력보다 크게 되어 가동자(130)가 구동되고 따라서 A[mA] 이상의 전류 구간은 가동자(130)가 구동되는 구동 구간이고, 가동 구간에서는 가동자(130)가 구동되기 때문에 비로소 오토 포커스 동작이 이루어진다.On the other hand, at a current of A [mA] or higher, the electromagnetic force for driving the mover 130 is greater than the self-weight of the mover 130 and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140 so that the mover 130 is driven and thus A [mA] The above-described current section is a driving section in which the mover 130 is driven, and since the mover 130 is driven in the moving section, auto focus operation is performed.

도 7은 도 1의 보이스 코일 모터가 사이드(side) 자세일 때 전류-거리 특성을 도시한 그래프이다.FIG. 7 is a graph illustrating current-distance characteristics when the voice coil motor of FIG. 1 is in a side position.

도 7을 참조하면, 보이스 코일 모터(100)가 사이드(up) 자세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보이스 코일 모터(100)의 가동자(130)가 구동되기 위해서는 가동자(130)의 자중 및 탄성 부재(140)의 탄성력보다 큰 전자기력을 필요로 한다.Referring to FIG. 7, since the voice coil motor 100 is arranged in a side up position, in order for the mover 130 of the voice coil motor 100 to be driven, the weight of the mover 130 and the elastic member ( Need more electromagnetic force than the elastic force of 140).

따라서, 도 7에서 B[mA](단,B는 A보다 작다) 미만의 전류에서는 가동자(130)가 구동되지 않고 따라서 B[mA] 미만의 전류 구간은 가동자(130)가 구동되지 않는 미구동 구간이고, 미구동 구간에서는 가동자(130)가 구동되지 않기 때문에 오토 포커스 동작이 이루어지지 않는다.Therefore, in FIG. 7, the mover 130 is not driven at a current less than B [mA] (where B is less than A), and thus, the mover 130 is not driven at a current section less than B [mA]. In the undriven section, the autofocus operation is not performed because the mover 130 is not driven in the undriven section.

사이드 자세로 배치된 보이스 코일 모터(100)는 업 자세로 배치된 보이스 코일 모터(100)에 비하여 작은 전류에서 구동된다.The voice coil motor 100 arranged in the side posture is driven at a smaller current than the voice coil motor 100 arranged in the up posture.

한편, 도 7에서 B[mA] 이상의 전류가 보이스 코일 모터(100)에 제공될 경우, 가동자(130)를 구동하는 전자기력이 가동자(130)의 자중 및 탄성 부재(140)의 탄성력보다 크게 되어 가동자(130)가 구동되고 따라서 B[mA] 이상의 전류 구간은 가동자(130)가 구동되는 구동 구간이고, 가동 구간에서는 가동자(130)가 구동되기 때문에 비로소 오토 포커스 동작이 이루어진다.On the other hand, when a current of B [mA] or more is provided to the voice coil motor 100 in FIG. 7, the electromagnetic force driving the mover 130 is greater than the self-weight of the mover 130 and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140. Thus, the mover 130 is driven, and thus the current section of B [mA] or more is the drive section in which the mover 130 is driven, and the mover 130 is driven in the movable section, so that the autofocus operation is performed.

도 8은 도 1의 보이스 코일 모터가 다운(side) 자세일 때 전류-거리 특성을 도시한 그래프이다.FIG. 8 is a graph illustrating current-distance characteristics when the voice coil motor of FIG. 1 is in a down position.

도 8을 참조하면, 보이스 코일 모터(100)가 다운(down) 자세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보이스 코일 모터(100)의 가동자(130)가 구동되기 위해서는 탄성 부재(140)의 탄성력보다 큰 전자기력을 필요로 한다.Referring to FIG. 8, since the voice coil motor 100 is disposed in a down position, an electromagnetic force greater than an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140 is driven in order for the movable member 130 of the voice coil motor 100 to be driven. in need.

따라서, 도 8에서 C[mA](단, C는 B보다 작다) 미만의 전류에서는 가동자(130)가 구동되지 않고 따라서 C[mA] 미만의 전류 구간은 가동자(130)가 구동되지 않는 미구동 구간이고, 미구동 구간에서는 가동자(130)가 구동되지 않기 때문에 오토 포커스 동작이 이루어지지 않는다.Therefore, in FIG. 8, the mover 130 is not driven at a current lower than C [mA] (where C is smaller than B), and therefore, the current section below C [mA] is not driven. In the undriven section, the autofocus operation is not performed because the mover 130 is not driven in the undriven section.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다운 자세로 배치된 보이스 코일 모터(100)는 사이드 자세로 배치된 보이스 코일 모터(100)에 비하여 작은 전류에서 구동된다.In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voice coil motor 100 disposed in the down position is driven at a smaller current than the voice coil motor 100 arranged in the side position.

한편, 도 8에서 C[mA] 이상의 전류가 보이스 코일 모터(100)에 제공될 경우, 가동자(130)를 구동하는 전자기력이 탄성 부재(140)의 탄성력보다 크게 되어 가동자(130)가 구동되고 따라서 C[mA] 이상의 전류 구간은 가동자(130)가 구동되는 구동 구간이고, 가동 구간에서는 가동자(130)가 구동되기 때문에 비로소 오토 포커스 동작이 이루어진다.On the other hand, when a current of C [mA] or more is provided to the voice coil motor 100 in FIG. 8, the electromagnetic force driving the mover 130 is greater than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140 to drive the mover 130. Therefore, the current section of C [mA] or more is a driving section in which the mover 130 is driven, and since the mover 130 is driven in the moving section, auto focus operation is performed.

도 6 내지 도 8에서, 보이스 코일 모터(100)는 업 자세, 사이드 자세 및 다운 자세에서 각각 공통적으로 미구동 구간 및 구동 구간을 갖는다. 즉, 보이스 코일 모터(100)는 자세와 상관없이 공통적으로 미구동 구간 및 구동 구간을 갖고 미구동 구간에서는 가동자(130)가 구동되지 않기 때문에 오토 포커싱 동작이 이루어지지 않으며 구동 구간에서만 오토 포커싱 동작이 이루어진다.6 to 8, the voice coil motor 100 has an undriven section and a driving section in common in an up posture, a side posture, and a down posture, respectively. That is, since the voice coil motor 100 has an undriven section and a driving section in common regardless of posture, the autofocusing operation is not performed because the mover 130 is not driven in the non-driving section, and only in the driving section. This is done.

도 7을 다시 참조하면, 단계 S10에서 보이스 코일 모터(100)의 가동자(130)의 자세가 판단되고, 가동자(130)가 베이스(110)의 상면에 접촉된 후, 단계 S20에서는 보이스 코일 모터(100)의 가동자(130)의 자세에 따라 이미지 신호 프로세스(ISP,400) 및 오토 포커스 알고리즘(300)에 의하여 미구동 구간 및 구동 구간이 결정(판단)된다.Referring back to FIG. 7, the posture of the mover 130 of the voice coil motor 100 is determined in step S10, and after the mover 130 contacts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110, the voice coil in step S20. The undriven section and the driving section are determined (determined) by the image signal process (ISP) 400 and the auto focus algorithm 300 according to the attitude of the mover 130 of the motor 100.

보이스 코일 모터(100)의 가동자(130)의 자세가 판단되어 보이스 코일 모터(100)의 미구동 구간 및 구동 구간이 결정되면, 오토 포커스 알고리즘(300)에 의하여 미구동 구간에 대한 오토 포커스 동작은 스킵(skip)되고 구동 구간으로부터 오토 포커스 동작이 개시된다.(단계 S30)When the posture of the mover 130 of the voice coil motor 100 is determined to determine the undriven section and the drive section of the voice coil motor 100, the autofocus algorithm 300 performs an autofocus operation on the undriven section. Is skipped and the autofocus operation is started from the drive section. (Step S30)

이와 같이 미구동 구간에 대한 오토 포커스 동작을 스킵하고 구동 구간으로부터 오토 포커스 동작을 개시할 경우, 미구동 구간으로부터 시작하여 오토 포커싱 동작을 수행할 때에 비하여 오토 포커스를 수행하는데 요구되는 시간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다.As such, when the autofocus operation is skipped for the non-driven section and the autofocus operation is started from the driving section, the time required for performing the autofocus is greatly reduced as compared to when performing the autofocusing operation starting from the non-driven section. Can be.

구체적으로 오토 포커스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서 보이스 코일 모터(100)의 자세에 따라 결정된 구동 구간에서 가동자(130)에 설치된 렌즈의 초점치를 이미지 센서에서 측정한다.Specifically, in order to perform the auto focus operation, the focus value of the lens installed on the mover 130 is measured by the image sensor in the driving section determined according to the attitude of the voice coil motor 100.

렌즈의 초점치가 최적 초점치가 아닐 경우, 보이스 코일 모터(100)에 전류를 소정 스텝만큼 증감하여 가동자(100)를 이동 시킨 후 렌즈의 현재 초점치와 이전 초점치와의 차이값인 DOFV(Difference of Focus Value)를 산출하여 초점 조절 상태를 판단한다.If the focus value of the lens is not the optimum focus value, the current is moved to the voice coil motor 100 by a predetermined step to move the mover 100, and then DOFV (Difference), which is a difference between the current focus value and the previous focus value of the lens. of Focus Value) to determine the focus adjustment state.

판단 결과 렌즈가 최적 초점 위치일 경우 가동자(130)를 현재 위치에 고정 시킨 후 이미지 센서를 이용하여 외부광을 이미지 또는 동영상으로 변환한다.As a result of determination, when the lens is in the optimal focus position, the mover 130 is fixed at the current position and then the external light is converted into an image or a video using an image sensor.

비록 앞서 설명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보이스 코일 모터의 자세를 자이로 센서에 의하여 판단한 후 가동자의 미구동 구간은 스킵하고 가동자의 구동 구간으로부터 오토 포커싱 동작을 수행하는 하나의 오토 포커스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빠른 시간내 오토 포커싱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도시 및 설명되고 있지만, 이와 다르게, 보이스 코일 모터의 자세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오토 포커스 알고리즘에 의하여 오토 포커싱 기능을 구현하여도 무방하다.Although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sture of the voice coil motor is determined by the gyro sensor, the autonomous driving algorithm skips the undriven section of the mover and performs an autofocusing operation from the drive section of the mover. Although performing the auto focusing function in a short time is shown and described, alternatively, the auto focusing function may be implemented by a plurality of auto focus algorithms corresponding to the attitude of the voice coil motor.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오토 포커싱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auto focusing method of a camera module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구체적으로, 도 1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 모듈로부터 오토 포커싱을 구현하기 위하여 먼저 구동 전류가 인가되지 않았을 때 탄성 부재(140)에 의하여 기준면인 베이스(110)로부터 이격된 가동자(130)의 자세를 자이로 센서와 같은 위치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판단한다.(단계 S40)Specifically, as shown in FIGS. 1 and 9, in order to implement auto focusing from the camera module, the movable member 130 spaced apart from the base 110, which is a reference plane, by the elastic member 140 when a driving current is not applied first. ) Is determined using a position sensing sensor such as a gyro sensor (step S40).

이어서, 오토 포커싱 동작을 수행하기 위하여 가동자(130)에 초기 구동 전류를 인가하여 가동자(130)를 베이스(110) 상에 배치한다.(단계 S45)Subsequently, in order to perform an auto focusing operation, an initial driving current is applied to the mover 130 to place the mover 130 on the base 110 (step S45).

이어서, 보이스 코일 모터(100)의 가동자(130)의 자세에 대응하는 개수로 형성된 복수개의 오토 포커스 알고리즘들 중 하나의 오토 포커스 알고리즘을 선택한다.(단계 S50)Subsequently, one autofocus algorithm is selected from among a plurality of autofocus algorithms formed in a number corresponding to the attitude of the mover 130 of the voice coil motor 100 (step S50).

오토 포커스 알고리즘은 다운 자세에 대응하는 제1 오토 포커스 알고리즘, 상기 사이드 자세에 대응하는 제2 오토 포커스 알고리즘 및 상기 업 자세에 대응하는 제3 오토 포커스 알고리즘을 포함할 수 있다.The autofocus algorithm may include a first autofocus algorithm corresponding to the down attitude, a second autofocus algorithm corresponding to the side attitude, and a third autofocus algorithm corresponding to the up attitude.

보이스 코일 모터(100)의 자세에 의하여 복수개의 오토 포커스 알고리즘 중 선택된 하나의 오토 포커스 알고리즘에 의하여 구동 전류가 인가되더라도 구동되지 않는 가동자(130)의 미구동 구간의 오토 포커싱은 스킵 하고, 상기 구동 전류에 의하여 구동되는 가동자(130)의 구동 구간으로부터 오토 포커싱을 수행하여 빠른 미구동 구간의 오토 포커싱을 수행할 때에 비하여 보다 단축된 시간 내에 오토 포커싱을 수행한다.(단계 S60)Although the driving current is applied by the auto focus algorithm selected from the plurality of auto focus algorithms according to the attitude of the voice coil motor 100, auto focusing of the undriven section of the mover 130 which is not driven is skipped and the driving is performed. Auto focusing is performed from the driving section of the mover 130 driven by the electric current, and auto focusing is performed within a shorter time than when performing the fast auto focusing of the non-driving section (step S60).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에 의하면, 보이스 코일 모터에 전류를 인가하여도 가동자가 구동되지 않는 미구동 구간에서의 오토 포커싱 동작은 스킵하고 인가된 전류에 의하여 가동자가 구동되는 구동 구간에서만 오토 포커싱 동작을 수행하여 오토 포커싱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 및 미구동 구간에서의 전류 소모를 감소시켜 소비전력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갖는다.As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autofocusing operation is skipped in the undriven section in which the mover is not driven even when a current is applied to the voice coil motor, and the autofocusing operation is performed only in the drive section in which the mover is driven by the applied current. This reduces the power consumption by shortening the time required for auto focusing and reducing the current consumption in the non-driven section.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While the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certain preferred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following claims.

800...카메라 모듈 100...보이스 코일 모터
200...자세 감지 센서 300..오토 포커스 알고리즘
400...이미지 신호 프로세서 500...이미지 센서
600...제어부
800 ... Camera Module 100 ... Voice Coil Motor
200 ... Position Sensor 300..Auto Focus Algorithm
400 ... image signal processor 500 ... image sensor
600 ... control unit

Claims (14)

구동 전류가 인가되지 않았을 때 탄성 부재에 의하여 기준면으로부터 이격된 보이스 코일 모터의 가동자의 자세를 판단하는 단계;
포커싱 동작을 위해 초기 구동 전류를 인가하여 상기 가동자를 상기 기준면에 밀착시키는 단계;
상기 가동자의 상기 자세에 대응하여 구동 전류가 인가되더라도 상기 기준면으로부터 구동되지 않는 상기 가동자의 미구동 구간 및 구동 전류에 의하여 구동이 개시되는 상기 가동자의 구동 구간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미구동 구간의 오토 포커싱은 스킵(skip)하고, 상기 구동 구간으로부터 오토 포커싱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의 오토 포커싱 방법.
Determining a posture of the mover of the voice coil motor spaced apart from the reference plane by the elastic member when no driving current is applied;
Applying an initial driving current to bring the mover into close contact with the reference plane for a focusing operation;
Determining a driving section of the mover where driving is started by a non-driving section of the mover that is not driven from the reference plane and a driving current even if a driving current is applied corresponding to the posture of the mover; And
Auto focusing of the undriven section skips, and performing auto focusing from the driving s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자의 자세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가동자의 자세는 자이로 센서(gyro sensor)에 의하여 디텍팅 되는 카메라 모듈의 오토 포커싱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In the determining of the posture of the mover, the posture of the mover is detected by a gyro sens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자의 자세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가동자의 자세는 상기 가동자에 설치된 렌즈가 지면을 향하는 다운(down) 자세, 상기 렌즈의 광축이 상기 지면과 나란한 사이드(side) 자세 및 상기 렌즈가 지면과 대향 하는 업(up) 자세 중 어느 하나인 카메라 모듈의 오토 포커싱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In the determining of the posture of the mover, the posture of the mover is a down posture in which a lens installed on the mover faces the ground, a side posture in which the optical axis of the lens is parallel to the ground, and the lens is grounded. An auto focusing method of a camera module which is one of an up position facing the camera.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미구동 구간은 상기 다운 자세, 상기 사이드 자세 및 상기 업 자세의 순서대로 증가 되는 카메라 모듈의 오토 포커싱 방법.
The method of claim 3,
And the undriven section is increased in order of the down posture, the side posture and the up postur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토 포커싱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구동 구간에서 상기 가동자에 설치된 렌즈의 초점치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구동 전류를 소정 스텝만큼 증감하여 상기 가동자 이동되면 상기 렌즈의 현재 초점치와 이전 초점치와의 차이값인 DOFV(Difference of Focus Value)를 산출하여 초점 조절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및
판단 결과 상기 렌즈가 최적 초점 위치일 경우 상기 가동자를 고정 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의 오토 포커싱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auto focusing may include measuring a focus value of a lens installed in the mover in the driving section;
Determining a focus adjustment state by calculating a difference of focus value (DOVV) which is a difference between a current focus value and a previous focus value of the lens when the movable current is increased or decreased by a predetermined step; And
And fixing the mover when the lens is in the optimum focus position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구동 전류가 인가되지 않았을 때 탄성 부재에 의하여 기준면으로부터 이격된 보이스 코일 모터의 가동자의 자세를 판단하는 단계;
포커싱 동작을 위해 초기 구동 전류를 인가하여 상기 가동자를 상기 기준면에 밀착시키는 단계;
상기 가동자의 자세에 대응하여 복수개의 오토 포커스 알고리즘들 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및
선택된 오토 포커스 알고리즘에 의하여 구동 전류가 인가되더라도 구동되지 않는 상기 가동자의 미구동 구간의 오토 포커싱은 스킵 하고 상기 구동 전류에 의하여 구동되는 상기 가동자의 구동 구간으로부터 오토 포커싱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의 오토 포커싱 방법.
Determining a posture of the mover of the voice coil motor spaced apart from the reference plane by the elastic member when no driving current is applied;
Applying an initial driving current to bring the mover into close contact with the reference plane for a focusing operation;
Selecting one of a plurality of autofocus algorithms corresponding to the mover's posture; And
A camera module including skipping auto focusing of an undriven section of the mover that is not driven even though a drive current is applied by a selected autofocus algorithm and performing autofocusing from the drive section of the mover driven by the drive current Auto focusing method.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자의 자세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가동자의 자세는 자이로 센서(gyro sensor)에 의하여 디텍팅 되는 카메라 모듈의 오토 포커싱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In the determining of the posture of the mover, the posture of the mover is detected by a gyro sensor.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자의 자세는 상기 가동자에 설치된 렌즈가 지면을 향하는 다운(down) 자세, 상기 렌즈의 광축이 상기 지면과 나란한 사이드(side) 자세 및 상기 렌즈가 지면과 대향 하는 업(up) 자세 중 어느 하나인 카메라 모듈의 오토 포커싱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posture of the mover is any one of a down posture in which a lens installed on the mover faces the ground, a side posture in which the optical axis of the lens is parallel to the ground, and an up posture in which the lens faces the ground. Auto focusing method of one camera modul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오토 포커스 알고리즘은 상기 다운 자세에 대응하는 제1 오토 포커스 알고리즘, 상기 사이드 자세에 대응하는 제2 오토 포커스 알고리즘 및 상기 업 자세에 대응하는 제3 오토 포커스 알고리즘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의 오토 포커싱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auto focus algorithm includes a first auto focus algorithm corresponding to the down attitude, a second auto focus algorithm corresponding to the side attitude, and a third auto focus algorithm corresponding to the up attitud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오토 포커싱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구동 구간에서 상기 가동자에 설치된 렌즈의 초점치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구동 전류를 소정 스텝만큼 증감하여 상기 가동자를 이동하면서 상기 렌즈의 현재 초점치와 이전 초점치와의 차이값인 DOFV(Difference of Focus Value)를 산출하여 초점 조절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및
판단 결과 상기 렌즈가 최적 초점 위치일 경우 상기 가동자를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의 오토 포커싱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auto focusing may include measuring a focus value of a lens installed in the mover in the driving section;
Determining a focus adjustment state by increasing or decreasing the driving current by a predetermined step and calculating a difference of focus value (DOVV), which is a difference between a current focus value and a previous focus value of the lens while moving the mover; And
And fixing the mover when the lens is in the optimum focus position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구동 전류를 인가하지 않았을 때 기준면으로부터 이격된 렌즈를 포함하는 가동자를 양방향으로 구동하는 보이스 코일 모터;
상기 보이스 코일 모터의 자세를 판단하는 자세 감지 센서;
상기 자세 감지 센서가 판단한 상기 보이스 코일 모터의 자세에 대응하는 오토 포커스 알고리즘에 의하여 산출된 상기 렌즈의 최적 초점값을 이용하여 상기 보이스 코일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신호를 발생시키는 이미지 신호 프로세서(ISP);
상기 렌즈를 통과한 광을 디지털 신호로 변경하는 이미지 센서; 및
상기 보이스 코일 모터, 상기 자세 감지 센서, 상기 이미지 신호 프로세서 및 상기 이미지 센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A voice coil motor driving the mover bidirectionally including a lens spaced apart from the reference surface when no driving current is applied;
A posture detection sensor that determines a posture of the voice coil motor;
An image signal processor (ISP) for generating a driving signal for driving the voice coil motor by using an optimum focus value of the lens calculated by an autofocus algorithm corresponding to the attitude of the voice coil motor determined by the attitude sensor. ;
An image sensor for converting light passing through the lens into a digital signal; And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voice coil motor, the posture detection sensor, the image signal processor, and the image sensor.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오토 포커스 알고리즘은 상기 보이스 코일 모터의 상기 자세에 대응하는 개수로 형성된 카메라 모듈.
The method of claim 11,
The auto focus algorithm is formed of a number corresponding to the posture of the voice coil motor.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보이스 코일 모터의 상기 자세는 상기 렌즈가 지면을 향하는 다운(down) 자세, 상기 렌즈의 광축이 상기 지면과 나란한 사이드(side) 자세 및 상기 렌즈가 지면과 대향 하는 업(up) 자세 중 어느 하나인 카메라 모듈.
The method of claim 11,
The posture of the voice coil motor is any one of a down posture in which the lens faces the ground, a side posture in which the optical axis of the lens is parallel to the ground, and an up posture in which the lens faces the ground. Camera modul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오토 포커스 알고리즘은 상기 보이스 코일 모터에 구동 전류가 인가되어도 상기 가동자가 구동되지 않는 미구동 구간에서는 상기 최적 초점값을 산출하지 않고 상기 구동 전류에 의하여 상기 가동자가 구동되는 구동 구간에서만 상기 최적 초점값을 산출하는 카메라 모듈.
The method of claim 11,
The auto focus algorithm does not calculate the optimum focus value in an undriven section in which the mover is not driven even when a drive current is applied to the voice coil motor, and the optimum focus value is generated only in a drive section in which the mover is driven by the drive current. Camera module for calculating the.
KR1020110145806A 2011-12-29 2011-12-29 Camera module and method for auto focsing the same KR101892300B1 (en)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5806A KR101892300B1 (en) 2011-12-29 2011-12-29 Camera module and method for auto focsing the same
US13/717,252 US20130169832A1 (en) 2011-12-29 2012-12-17 Camera module and auto focusing method of camera module
US15/228,365 US9723198B2 (en) 2011-12-29 2016-08-04 Camera module and auto focusing method of camera modu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5806A KR101892300B1 (en) 2011-12-29 2011-12-29 Camera module and method for auto foc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7216A true KR20130077216A (en) 2013-07-09
KR101892300B1 KR101892300B1 (en) 2018-09-28

Family

ID=489905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5806A KR101892300B1 (en) 2011-12-29 2011-12-29 Camera module and method for auto foc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2300B1 (en)

Cited By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14879A (en) * 2013-12-09 2016-07-27 三星电子株式会社 Image signaling processor reconfigurable photograph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9804477B2 (en) 2015-11-23 2017-10-31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Actuator driving apparatus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KR20180037879A (en) 2016-10-04 2018-04-13 삼성전기주식회사 Actuator of camera module
KR20180054542A (en) 2015-12-07 2018-05-24 삼성전기주식회사 Actuator driving apparatus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KR20180060234A (en) 2016-11-28 2018-06-07 삼성전기주식회사 Actuator of camera module
KR20180060212A (en) 2016-11-28 2018-06-07 삼성전기주식회사 Actuator of camera module
KR20180060230A (en) 2016-11-28 2018-06-07 삼성전기주식회사 Actuator and drivng apparatus of camera module
KR20180061108A (en) 2018-05-25 2018-06-07 삼성전기주식회사 Actuator of camera module
KR20180061848A (en) 2016-11-30 2018-06-08 삼성전기주식회사 Actuator of camera module
KR20180097066A (en) 2017-02-22 2018-08-30 삼성전기주식회사 Actuator of camera module
KR20180109182A (en) 2017-03-27 2018-10-08 삼성전기주식회사 Actuator and drivng apparatus of camera module
KR20180109180A (en) 2017-03-27 2018-10-08 삼성전기주식회사 Actuator and drivng apparatus of camera module
KR20180112689A (en) 2017-04-03 2018-10-12 삼성전기주식회사 Camera module and actuator thereof
KR20180116591A (en) 2017-04-17 2018-10-25 삼성전기주식회사 Camera module and sensing unit of the same
KR20180135299A (en) 2017-06-12 2018-12-20 삼성전기주식회사 Lens driving apparatus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US10241348B2 (en) 2015-12-07 2019-03-26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Actuator driving apparatus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KR20190045578A (en) 2017-10-24 2019-05-03 삼성전기주식회사 Actuator of camera module
KR20190045579A (en) 2017-10-24 2019-05-03 삼성전기주식회사 Actuator of camera module
KR20190048540A (en) 2017-10-31 2019-05-09 삼성전기주식회사 Actuator of camera module
KR20190049373A (en) 2017-11-01 2019-05-09 삼성전기주식회사 Apparatus for controlling position of vcm using voltage/frequency conversion techniques
KR20190060263A (en) 2017-11-24 2019-06-03 삼성전기주식회사 Actuator of camera module
KR20190060264A (en) 2017-11-24 2019-06-03 삼성전기주식회사 Actuator of camera module
US10331013B2 (en) 2017-04-03 2019-06-25 Samsung EIectro-Mechanics Co., Ltd. Actuator of camera module
KR20190108317A (en) 2018-03-14 2019-09-24 삼성전기주식회사 Actuator of camera module
KR20190123469A (en) 2018-04-24 2019-11-01 삼성전기주식회사 Actuator of camera module
KR20190123651A (en) 2018-04-24 2019-11-01 삼성전기주식회사 Camera module
KR20200006449A (en) 2018-07-10 2020-01-20 삼성전기주식회사 Camera module
US10554163B2 (en) 2017-11-01 2020-02-04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Apparatus for controlling position of voice coil motor using voltage/frequency conversion techniques
KR20200018895A (en) 2018-08-13 2020-02-21 삼성전기주식회사 Camera module
US10591697B2 (en) 2016-09-12 2020-03-17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Camera module actuator
KR20200041545A (en) 2018-10-12 2020-04-22 삼성전기주식회사 Camera module
KR20200041544A (en) 2018-10-12 2020-04-22 삼성전기주식회사 Camera module
US10718992B2 (en) 2018-04-24 2020-07-21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Camera module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20200110036A (en) 2019-03-15 2020-09-23 삼성전기주식회사 Camera module and actuator thereof
US10830983B2 (en) 2016-09-08 2020-11-10 Samusng Electro-Mechanics Co., Ltd. Camera module actuator
KR20210038186A (en) 2019-09-30 2021-04-07 삼성전기주식회사 Camera module
US11050914B1 (en) 2020-01-20 2021-06-29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Camera module
KR20210093565A (en) 2020-01-20 2021-07-28 삼성전기주식회사 Camera module
US11163211B2 (en) 2016-10-04 2021-11-02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Camera module actuator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08713B1 (en) * 1996-05-22 1999-07-15 윤종용 Auto-focusing device and method thereof
KR100831865B1 (en) * 2007-07-13 2008-05-2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Method for auto-focusing in camera module

Cited By (6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14879B (en) * 2013-12-09 2019-06-28 三星电子株式会社 The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nd its control method of image-signal processor can be reconfigured
CN105814879A (en) * 2013-12-09 2016-07-27 三星电子株式会社 Image signaling processor reconfigurable photograph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9804477B2 (en) 2015-11-23 2017-10-31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Actuator driving apparatus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US10241348B2 (en) 2015-12-07 2019-03-26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Actuator driving apparatus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KR20180054542A (en) 2015-12-07 2018-05-24 삼성전기주식회사 Actuator driving apparatus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US10830983B2 (en) 2016-09-08 2020-11-10 Samusng Electro-Mechanics Co., Ltd. Camera module actuator
US10591697B2 (en) 2016-09-12 2020-03-17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Camera module actuator
KR20180037879A (en) 2016-10-04 2018-04-13 삼성전기주식회사 Actuator of camera module
US11163211B2 (en) 2016-10-04 2021-11-02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Camera module actuator
KR20180060230A (en) 2016-11-28 2018-06-07 삼성전기주식회사 Actuator and drivng apparatus of camera module
US10868946B2 (en) 2016-11-28 2020-12-15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Actuator of camera module
KR20180060234A (en) 2016-11-28 2018-06-07 삼성전기주식회사 Actuator of camera module
KR20180060212A (en) 2016-11-28 2018-06-07 삼성전기주식회사 Actuator of camera module
US10365452B2 (en) 2016-11-28 2019-07-30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Actuator of camera module
US10754170B2 (en) 2016-11-28 2020-08-25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Actuator and driving apparatus of camera module
US10451835B2 (en) 2016-11-30 2019-10-22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Actuator of camera module
KR20180061848A (en) 2016-11-30 2018-06-08 삼성전기주식회사 Actuator of camera module
KR20180097066A (en) 2017-02-22 2018-08-30 삼성전기주식회사 Actuator of camera module
US10212360B2 (en) 2017-03-27 2019-02-19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Actuator and driving apparatus of camera module
KR20180109182A (en) 2017-03-27 2018-10-08 삼성전기주식회사 Actuator and drivng apparatus of camera module
KR20180109180A (en) 2017-03-27 2018-10-08 삼성전기주식회사 Actuator and drivng apparatus of camera module
US10356324B2 (en) 2017-03-27 2019-07-16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Actuator and driving apparatus of camera module for preventing image signal distortion due to driving mode switching
KR20180112658A (en) 2017-04-03 2018-10-12 삼성전기주식회사 Actuator of camera module
KR20180112689A (en) 2017-04-03 2018-10-12 삼성전기주식회사 Camera module and actuator thereof
US10331013B2 (en) 2017-04-03 2019-06-25 Samsung EIectro-Mechanics Co., Ltd. Actuator of camera module
KR20180116591A (en) 2017-04-17 2018-10-25 삼성전기주식회사 Camera module and sensing unit of the same
US10698174B2 (en) 2017-04-17 2020-06-30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Camera module and sensing unit to detect a detection target
US10422974B2 (en) 2017-06-12 2019-09-24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Lens driving device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KR20180135299A (en) 2017-06-12 2018-12-20 삼성전기주식회사 Lens driving apparatus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US10834322B2 (en) 2017-10-24 2020-11-10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Camera module with actuator and lens module position detection
KR20190045578A (en) 2017-10-24 2019-05-03 삼성전기주식회사 Actuator of camera module
KR20190045579A (en) 2017-10-24 2019-05-03 삼성전기주식회사 Actuator of camera module
US11042005B2 (en) 2017-10-31 2021-06-22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Actuator of camera module
KR20190048540A (en) 2017-10-31 2019-05-09 삼성전기주식회사 Actuator of camera module
US10554163B2 (en) 2017-11-01 2020-02-04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Apparatus for controlling position of voice coil motor using voltage/frequency conversion techniques
KR20190049373A (en) 2017-11-01 2019-05-09 삼성전기주식회사 Apparatus for controlling position of vcm using voltage/frequency conversion techniques
KR20190060263A (en) 2017-11-24 2019-06-03 삼성전기주식회사 Actuator of camera module
KR20190060264A (en) 2017-11-24 2019-06-03 삼성전기주식회사 Actuator of camera module
US10859793B2 (en) 2017-11-24 2020-12-08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Actuator for a camera module
US10768019B2 (en) 2017-11-24 2020-09-08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Actuator and camera module including same
US10757334B2 (en) 2018-03-14 2020-08-25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Actuator of camera module
KR20190108317A (en) 2018-03-14 2019-09-24 삼성전기주식회사 Actuator of camera module
US10718992B2 (en) 2018-04-24 2020-07-21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Camera module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20190123651A (en) 2018-04-24 2019-11-01 삼성전기주식회사 Camera module
KR20190123469A (en) 2018-04-24 2019-11-01 삼성전기주식회사 Actuator of camera module
KR20180061108A (en) 2018-05-25 2018-06-07 삼성전기주식회사 Actuator of camera module
KR20200006449A (en) 2018-07-10 2020-01-20 삼성전기주식회사 Camera module
US11156800B2 (en) 2018-07-10 2021-10-26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Camera module
US10840835B2 (en) 2018-08-13 2020-11-17 Samsung EIectro-Mechanics Co., Ltd. Camera module
KR20200018895A (en) 2018-08-13 2020-02-21 삼성전기주식회사 Camera module
KR20200041544A (en) 2018-10-12 2020-04-22 삼성전기주식회사 Camera module
KR20200041545A (en) 2018-10-12 2020-04-22 삼성전기주식회사 Camera module
US10887518B2 (en) 2018-10-12 2021-01-05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Camera module
US11039071B2 (en) 2018-10-12 2021-06-15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Camera module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20200110036A (en) 2019-03-15 2020-09-23 삼성전기주식회사 Camera module and actuator thereof
US10880480B2 (en) 2019-03-15 2020-12-29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Camera module, actuator,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20210038186A (en) 2019-09-30 2021-04-07 삼성전기주식회사 Camera module
US11531210B2 (en) 2019-09-30 2022-12-20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Camera module
US11050914B1 (en) 2020-01-20 2021-06-29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Camera module
KR20210093565A (en) 2020-01-20 2021-07-28 삼성전기주식회사 Camera module
KR20210093566A (en) 2020-01-20 2021-07-28 삼성전기주식회사 Camera module
US11277563B2 (en) 2020-01-20 2022-03-15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Camera modu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2300B1 (en) 2018-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77216A (en) Camera module and method for auto focsing the same
US9723198B2 (en) Camera module and auto focusing method of camera module
KR102001621B1 (en) Voice coil motor and method for driving thereof
US9678409B2 (en) Camera module and method for auto focusing the same
KR20240038672A (en) Method for auto focusing in mobile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applying the same
KR20130077217A (en) Camera module and method for auto focsing the same
KR101764433B1 (en) Camera module and method for measuring distance using the same
KR102103561B1 (en) Camera module
KR102077849B1 (en) Camera module and method for auto focusing the same
KR102077850B1 (en) Camera module and method for auto focusing the same
KR102427348B1 (en) Camera module
KR102315448B1 (en) Camera module and method for auto focusing the same
KR102164662B1 (en) Camera module and method for auto focusing the same
KR102142666B1 (en) Camera module
KR102452740B1 (en) Camera module and method for auto focusing the same
KR102669937B1 (en) Camera module
KR102167779B1 (en) Camera module and method for auto focusing the same
KR102318960B1 (en) Camera module and method for auto focus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