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65773A - 공중파 방송 신호를 이용한 온라인 방송 광고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공중파 방송 신호를 이용한 온라인 방송 광고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65773A
KR20130065773A KR1020110126204A KR20110126204A KR20130065773A KR 20130065773 A KR20130065773 A KR 20130065773A KR 1020110126204 A KR1020110126204 A KR 1020110126204A KR 20110126204 A KR20110126204 A KR 20110126204A KR 20130065773 A KR20130065773 A KR 201300657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vertisement
online
server
broadcasting
broadca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62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26464B1 (ko
Inventor
박정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더블유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더블유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더블유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10201101262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6464B1/ko
Publication of KR201300657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57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64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64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7Online advertis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4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upon schedu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62Content or additional data distribution scheduling, e.g. sending additional data at off-peak times, updating software modules, calculating the carousel transmission frequency, delaying a video stream transmission, generating play-lists
    • H04N21/26208Content or additional data distribution scheduling, e.g. sending additional data at off-peak times, updating software modules, calculating the carousel transmission frequency, delaying a video stream transmission, generating play-lists the scheduling operation being performed under constraints
    • H04N21/26241Content or additional data distribution scheduling, e.g. sending additional data at off-peak times, updating software modules, calculating the carousel transmission frequency, delaying a video stream transmission, generating play-lists the scheduling operation being performed under constraints involving the time of distribution, e.g. the best time of the day for inserting an advertisement or airing a children progr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8Scheduling content for creating a personalised stream, e.g. by combining a locally stored advertisement with an incoming stream; Updating operations, e.g. for OS modules ; time-related management oper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중파 방송 컨텐츠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온라인 방송 서버를 포함한 온라인 방송 광고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공중파 방송 컨텐츠를 송출하는 방송사의 공중파 편성 정보를 관리하는 방송사 채널 편성부; 및 광고주로부터 소정의 온라인 광고를 접수하고, 상기 방송사 채널 편성부로부터 상기 공중파 편성 정보를 수신하는 광고 서버를 구비하고, 상기 광고 서버는 상기 온라인 방송 서버와 연동하며, 상기 온라인 방송 서버는 상기 공중파 방송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한편, 상기 공중파 편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온라인 광고를 중간 광고의 형태로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온라인 방송 광고 시스템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공중파 방송 컨텐츠를 네트워크에 접속된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온라인 방송 서버 및 광고주로부터 소정의 온라인 광고를 접수하는 광고 서버를 이용한 온라인 방송 광고 방법에 있어서, 상기 광고 서버가 상기 공중파 방송 컨텐츠를 송출하는 방송사의 공중파 편성 정보를 관리하는 방송사 채널 편성부로부터 상기 공중파 편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온라인 방송 서버가 상기 광고 서버와 연동하여, 상기 공중파 방송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한편, 상기 공중파 편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온라인 광고를 중간 광고의 형태로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공중파 방송 신호를 이용한 온라인 방송 광고 시스템 및 방법 {ON-LINE BROADCASTING ADVERTISEMENT SYSTEM AND METHOD USING USING SKY WAVE SIGNAL}
본 발명은 공중파 방송 신호를 이용한 온라인 방송 광고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방송사에서 송출하는 공중파에 포함된 소정의 방송 신호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광고를 편성하는 기법을 온라인 방송 시의 광고에도 적용할 수 있는 공중파 방송 신호를 이용한 온라인 방송 광고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의 보급이 급속도로 확산되면서 통신과 방송을 결합해 인터넷을 통해 프로그램을 내보내는 새로운 개념의 방송매체가 등장하였는바, 이것이 바로 인터넷방송이다. 인터넷 방송은 기존의 공중파 방송과는 달리 인터넷 전용으로 콘텐츠를 제작 중계하며, 자국뿐 아니라 전세계 네티즌을 시청 가시권으로 한다는 점에서 무한한 가능성을 가지고 있는 뉴미디어로 주목받고 있다.
참고로, 공중파란 무선파(Radio Wave)의 하나로서, 지표파(Ground Wave), 직진파(Direct Wave)와 함께 송신기에서 내보내는 무선파에 속한다. 이들 3가지 무선파는 각기 스펙트럼의 위치에 따라 성질과 효과에 차이가 있는데, 이중 공중파는 송신기에서 위쪽으로 올라가서 우주 공간으로 들어가거나 아니면 케넬리 헤비사이드층(Kennelly Heaviside Layer)이라 불리는 전리층에 부딪혀서 수백 마일이나 수천 마일 떨어진 먼 곳의 지상으로 되돌아오는 방식으로 방송 신호가 전파하게 된다. 공중파는 항상 스펙트럼의 단파 부분에서 매우 효과적이며, 밤에는 중간파 부분에서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인터넷 방송의 위와 같은 추세에 따라, 미국의 CNN(24시간 뉴스 전문 유선 텔레비전 방송망)이나 MSNBC는 물론, 국내의 한국방송(KBS), 문화방송(MBC), 서울방송(SBS) 등도 이미 자체 제작한 콘텐츠를 디지털 정보로 바꾸어 홈페이지에 담아 중계함으로써 인터넷방송을 실시하고 있다.
그 밖에도 증권 전문 방송, 음악 전문 방송, 기업 방송 등 각 분야에서 인터넷 방송이 활성화되고 있다. 가상 스튜디오를 통해 웹자키나 리포터가 공연 실황이나 기획물을 중계하기도 하며, 촬영 카메라와 인터넷 영상프로그램, 디지털 편집장치 등 첨단장치를 동원하여 프로그램을 제작, 인터넷 전용 영상 디지털 변환장치를 통해 전파 대신 인터넷으로 송신함으로써 전세계 네티즌을 가시권으로 삼기도 한다. 인터넷 방송은 주로 다음의 3가지 특징을 갖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1) 인터넷 방송의 최대 강점은 공중파 방송과 달리 채널 수와 방송 시간에 제약이 없어 이용자가 '원하는 시간'에 '원하는 프로그램'을 마음대로 시청할 수 있다는 '쌍방형 방송 형태'라는 점을 들 수 있다. 즉, 인터넷상에서 제공되는 영화, 드라마, 뮤직 비디오 등의 오락 전문 프로그램을 비롯해 뉴스, 재테크, 홈쇼핑, 건강 등 필수 관련 정보를 시간 제한 없이 무제한으로 접할 수 있다는 것이다.
(2) 지상파 방송이 시청률이나 제작 여건에 따라 다루지 못했던 영역을 다뤄 틈새 시장을 공략할 수 있다는 점이다. 이런 시도는 극장 개봉 영화에서 심의에 잘린 부분만을 전문적으로 보여주는 상업적인 웹사이트를 비롯해 예컨대 NGTV에서는 CF와 뮤직비디오 촬영 시 출연자들의 실수 장면만을 집중적으로 수집해 인터넷 상으로 공개, 차별화된 매체 특성을 유감없이 내세우고 있는 것이다.
(3) 시청자들이 요구하는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주문자형 방송이 가능하다는 점이다. 영화의 경우 일반 비디오 대여점에서 구하기 힘든 것도 인터넷 영화 전문 채널의 '주문형 비디오(COD)' 방식을 통해 언제든지 관람할 수 있는 것 등을 주요 장점으로 언급하고 있다. 출발 초기에는 별다른 주목을 받지 못하던 인터넷 방송국은 방송 상황의 변화를 주도해 나갈 수 있는 뉴 미디어라고 평가받은 직후부터 지상파 및 유선 방송국과 대형 온라인 기업들이 여러 형태로 참여하고 있어 더욱 뜨거운 시장을 형성해 나가고 있다.
이와 같이, 1990년대 말부터 국내 방송 환경에 혁명적인 변화를 주도하고 있는 것이 인터넷 방송이다. 출범 초기에는 열악한 제작으로 인해 품질 낮은 방송으로 별다른 주목을 받지 못했지만 2000년에 들어와서는 시공간을 초월해 방송을 즐길 수 있는 등 공중파 방송을 능가하는 잠재적인 능력을 인정받으면서 기존 공중파 방송을 비롯해 대형 온라인 업체들이 속속 인터넷 방송 사업에 뛰어드는 상황이 나타나고 있다.
실제 사례를 살펴보면, 한국의 공중파 방송사인 KBS는 한국통신과 제휴해 종합 인터넷 방송을 지향하는 크레지오(www.crezio.com)를 개국시켜 1999년 11월부터 시범 서비스를 개시한데 이어, 2000년 4월 7일부터는 정식 서비스를 시작했다. 크레지오는 드라마-영화, 연예-음악, 문화-교양, 쇼 이벤트, 주문형 비디오(COD) 등 6개 채널로 운영되고 있다. 한국의 또 다른 방송사인 SBS는 1999년 8월 하나로 통신과 제휴해 별도 법인인 SBS 인터넷을 설립하여 드라마, 시사, 쇼 등 8개 인터넷 방송 채널을 출범시켜 인터넷 방송 사업에 뛰어들었다. 후발 주자인 MBC는 인터넷 전송망 사업자인 두루넷과 제휴해 TV와 라디오를 실시간으로 생중계하고 있는 동시에 웹캐스팅 개념을 도입해 인터넷 사용자만을 위한 채널과 컨텐츠를 개발해 타 방송국과의 차별화를 시도하고 있다. 이 외에도 케이블 방송국은 초기에는 자사 TV 프로그램을 인터넷으로 재방송하는 단계에 머물렀는데 음악 전문 방송인 한국의 M.NET은 2000년부터 자체 인터넷 방송(www.mnet27.com)을 포털 사이트로 확대 개편해 운영중이다.
한편, 최근 유무선 인터넷의 보급이 널리 이루어지고 그 이용률이 급격하게 증가함에 따라,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Wi-Fi(Wireless Fidelity),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등과 같은 다양한 데이터 통신 기술이 개발되어 상용화되고 있다.
그리고 휴대전화기는 이러한 데이터 통신 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단순히 사용자 간의 음성 통화만을 지원하지 않고 이제는 일종의 초소형 컴퓨터로서도 기능할 수 있도록 그 기능이 대폭 강화되고 있다. PDA(Personal Digital Assistance, 개인 휴대 단말기), 태블릿 컴퓨터(Tablet Computer), 넷북(Netbook) 등 신개념의 이동통신 단말기가 등장함에 따라, 사용자는 언제 어디서나 무선 인터넷에 접속하여 이메일을 주고 받거나 이동 중에도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즐길 수 있게 되었다.
이 중에서도 특히 스마트폰(Smart Phone)은 휴대전화기와 개인 휴대 단말기(PDA)의 장점을 결합한 이동통신 단말기로서, 음성 통화 기능 외에 일정 관리, 팩스 송·수신 및 인터넷 접속 등의 데이터 통신 기능을 소형의 기기에 통합시켜 그 편의성과 활용도는 더욱 증대되어 가고 있다.
스마트폰의 가장 큰 특징은 완제품으로 출시되어 주어진 기능만 사용하던 기존의 휴대전화기와는 달리, 수백여 종의 다양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응용프로그램)을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설치하고 추가 혹은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이다. 이 외에도 스마트폰 사용자는 무선인터넷을 이용하여 인터넷에 직접 접속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브라우징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인터넷 컨텐츠에 액세스하는 것이 가능하고, 심지어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직접 제작할 수 있으며, 동일한 운영체제(Operating System, OS)를 가진 스마트폰 간에 어플리케이션을 공유할 수 있다는 점도 스마트폰과 일반 휴대전화기를 구별하는 중요한 특징으로 꼽힌다.
실제로 최근의 스마트폰은 과거의 일반 휴대전화기에 비하여 더 넓은 터치스크린 방식의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를 탑재하고 있어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이 개선되었고, 소위 도킹 스테이션(Docking Station)이라 불리는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충전과 동시에 개인용 컴퓨터에 저장된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도 있으며, 수천 개에 이르는 주소를 관리할 수 있는 PIM(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개인정보 관리) 기능까지 갖추고 있다. 더 나아가 스마트폰은 이제 모바일 인터넷 뱅킹, 모바일 신용카드, 모바일 소셜 네트워킹, 모바일 쇼핑 등 활용 분야를 막론하고 실생활에 편리하게 응용되고 있으며, 이를 위해 은행, 증권회사, 신용카드 회사, 소셜 커머스 업체, 인터넷 쇼핑몰 업체들은 자사만의 고유한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해당 스마트폰의 운영체제에 맞게 개발하여 유료 혹은 무료로 사용자들에게 배포하고 있다. 특히, 스마트폰이 제공하는 강력한 멀티미디어 기능을 이용하여 이제는 이동 중에도 실시간으로 TV 시청이 가능하게 되었다.
상술한 인터넷 방송 혹은 휴대단말기를 이용하여 시청할 수 있는 모바일 방송을 포함하는 "온라인 방송"은 인터넷망이나 무선 통신망 등을 통해 전송되는 전용의 방송 컨텐츠를 다루기 때문에, 시청료는 물론 전파의 국경이 없다는 장점에도 불구하고 제작 및 운영비가 광고료에 의존한다는 단점이 존재하는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예컨대 한국의 KBS, MBC 등과 같은 공중파 기업이 인터넷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인터넷 방송에도 공중파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광고를 방송할 필요성이 있으며, 그렇지 않을 경우 인터넷 방송을 위해 공중파 방송의 컨텐츠를 인터넷이나 모바일 방송 전용으로 제작한 비용을 공중파 방송 기업이 떠안아야 하는 바람직하지 못한 수익 구조가 문제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종래 공중파 방송에서 광고 수익을 발생시키는 방식은 주로 중간광고를 이용하는 것인데, 간단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즉, 일반적으로 지방 방송사의 경우 방송 내용의 대부분이 본사로부터 전송되는 방송을 중계하는 중계 방송이 차지하지만 광고 방송의 경우, 본사의 광고 방송 시간대를 이용하여 자체적인 지역 광고 방송을 내보내게 된다. 이러한 광고 방송 중 프로그램과 프로그램 사이의 공백 시간(Station Break, SB)을 이용한 중간광고(Station Break Commercial Message, SBCM)의 개시 시간을 알리기 위하여 본사에서는 중간광고가 개시되기 전에 특정한 방법으로 신호를 보내게 되며 지방 방송사에서는 이 신호를 이용하여 자체 광고 방송을 내보내야할 시점을 알게 된다. 이러한 신호 중에 대표적인 것이 특정한 음성 콜 싸인(Call Sign)(예를 들어, 'MBC FM', '문화방송입니다.')를 이용하는 것이다.
종래의 방송중 중간광고 방송의 송출 시점을 알리는 방법은 ⅰ) 큐톤(Cue Tone)을 이용한 자동 방식 및 ⅱ) 음성 콜 싸인(Call Sign)을 이용한 수동 방식을 들 수 있다(이하 "종래기술1"이라고 함).
상기 큐톤을 이용한 자동 방식은 한국방송공사(KBS)에서 사용하는 방식으로서 광고 방송 직전에 큐톤을 삽입하고 지방사에서는 이를 검출하여 지방 체제 광고를 송출하는 방식이다. 상기 음성 콜 싸인을 이용한 수동 방식은 한국의 문화방송(MBC)에서 사용하는 방식으로, 예를 들어 광고방송 개시 직전에 'MBC FM'과 같은 콜 싸인을 내보내고 지방사에서는 이를 방송사 관계자가 듣고 수동으로 자체 광고 방송을 송출하는 방식이다. 즉, 큐톤은 지방 방송국의 자체 방송 시간 시작 시간을 알려주거나 지역 케이블 방송국에 지역 광고를 틀 수 있도록 하는 시간을 알려주는 신호를 말한다. 이를 통해 전자적 혹은 수동적으로 지역 방송 혹은 지역 광고를 방송할 수 있게 된다
방송국에는 지역 방송 혹은 지역 광고를 틀 수 있는 시분초를 담은 큐톤표를 매일 혹은 매주 간격으로 필요한 지역방송국에 전송하게 된다.
이 외에도 중앙 방송국과 지방 방송국이 연동하기 위해서 큐톤 외에 자동 송출장치(APC, Automatic Program Control)가 이용되는 경우도 있다. 자동 방송송출장치는 스케쥴을 확인하여 정해진 시간이 되면 지정된 영상 데이터를 저장 장치에서 읽어서 디코딩 회로에 입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방송 연동을 통한 광고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한국공개특허 제2011-0044956호(이하 "종래기술2"라고 함) 또한 방송과 관련된 광고 수익의 비지니스 모델을 제시하고 있다.
종래기술2에 따르면, 양방향 방송을 수신하는 방송 수신 장치와 통신 연결 가능하고, 상기 방송 수신 장치의 근처 일정 위치에 구비된 단말 장치와 통신 연결 가능한 서버의 방송 연동을 통한 광고 제공 방법이 제공되는바, 상기 방송 수신 장치와 단말장치의 정보를 연결하여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방송 수신 장치를 통해 출력될 하나 이상의 방송 컨텐츠 정보와 각 방송 컨텐츠 별 방송 진행 시간 정보와 각 방송 컨텐츠에 표시될 광고대상 객체를 식별하는 방송 진행 시간 별 광고 대상물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와, 광고주에 의해 등록된 광고 데이터 중 상기 방송진행 시간별 광고 대상물 정보와 연관된 광고 데이터를 방송진행 시간별로 분류한 방송진행 시간별 광고 데이터를 확인하는 단계와, 통신 연결된 단말장치 중 화면 출력수단이 활성화된 단말장치와 연결된 방송 수신 장치를 통해 출력되고 있는 방송 컨텐츠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방송 컨텐츠 정보에 대응하는 방송 컨텐츠와 동일한 컨텐츠를 포함하며 상기 단말장치의 화면 출력수단을 통해 출력될 단말용 방송 컨텐츠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용 방송 컨텐츠의 화면을 기준으로 상기 방송 컨텐츠 정보와 연관된 방송진행 시간별 광고 대상물이 표시될 방송진행 시간 별 화면 출력 위치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방송진행 시간별 화면 출력 위치에 방송진행 시간별 광고 데이터를 식별하는 숫자를 표시한 광고용 방송 컨텐츠를 구성하여 상기 단말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디지털 컨텐츠를 이용한 실시간 온라인 광고 삽입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한국공개특허 제2010-0101397호(이하 "종래기술3"이라고 함)는 인터넷이나 모바일 광고와 같은 온라인 광고에 관련되어 있다.
종래기술3은 광고 사업자로부터 다양한 형태의 온라인 광고를 등록 받고, 특정 컨텐츠를 매체로 하여 온라인 광고를 노출시키기 위해 광고 사업자가 선택한 다양한 디지털 컨텐츠에 온라인 광고 삽입을 신청하는 광고서버와, 디지털 컨텐츠를 이용한 실시간 온라인 광고 삽입을 위해 온라인 광고 삽입이 가능하도록 디지털 컨텐츠에 ID를 부여하는 제 1 사용자 단말과,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로부터 컨텐츠 ID를 수신하고, 컨텐츠 정보를 등록 받고, 상기 광고 사업자로부터 온라인 광고를 컨텐츠에 삽입하기 위해 해당 컨텐츠에 온라인 광고 연동 신청을 수신하여 등록하는 관리 서버와,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작된 컨텐츠를 수신하고 상기 컨텐츠 실행 시에 상기 광고 서버 및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컨텐츠에 대한 온라인 광고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온라인 광고 정보를 적용시켜 상기 컨텐츠를 실행시키는 제 2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종래기술3에 따르면 개인을 포함한 모든 광고 사업자가 다양한 디지털 컨텐츠를 독립적인 매체로 이용하여 인터넷 상에서 제공 가능한 모든 형태의 온라인 광고를 직접 삽입, 변경 적용하여 해당 디지털 컨텐츠가 실행 시, 연동된 온라인 광고가 실시간으로 적용되어 노출되도록 하여 그 효과를 최대화 하며, 디지털 컨텐츠 제작자 및 보유자가 자신의 컨텐츠에 연동한 광고로 인해 수익을 창출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기술1 내지 3 중 어느 것도 방송사에서 송출하는 공중파에 포함된 소정의 방송 신호(예컨대, APC나 큐톤 신호)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광고를 편성하는 기법을 온라인 방송 시의 광고에도 적용한 아이디어에 대해서는 다루고 있지 않다.
즉, 종래기술1은 전통적으로 공중파 방송에서 중간 광고를 내보내기 위하여 사용하는 큐톤 혹은 APC 신호를 개시한 것일 뿐이며, 종래기술2는 방송진행 시간별 광고 대상물 정보와 연관된 광고 데이터를 방송진행 시간별로 분류한 방송진행 시간별 광고 데이터가 공중파 방송과 온라인 방송이라는 이종의 방송에 대해서까지 적용되는 상황을 다루고 있는 것은 아니다.
또한 종래기술3은 광고 사업자가 다양한 디지털 컨텐츠를 독립적인 매체로 이용하여 인터넷 상에서 제공 가능한 모든 형태의 온라인 광고를 직접 삽입, 변경 적용하는 경우만을 다루고 있을 뿐, 공중파 방송사가 인터넷 방송 사업에까지 진출하는 경우에도 공중파 방송에서 사용하던 중간 광고 기법을 온라인 방송에까지 적용함으로써 광고를 타게팅하는 기술에 대해서까지 개시하고 있지는 않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방송사에서 송출하는 공중파에 포함된 소정의 방송 신호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광고를 편성하는 기법을 인터넷 및 모바일 방송 시의 광고에도 적용할 수 있는 공중파 방송 신호를 이용한 온라인 방송 광고 시스템 및 방법을 구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은, 공중파 방송 컨텐츠를 네트워크에 접속된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온라인 방송 서버를 포함한 온라인 방송 광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공중파 방송 컨텐츠를 송출하는 방송사의 공중파 편성 정보를 관리하는 방송사 채널 편성부; 및 광고주로부터 소정의 온라인 광고를 접수하고, 상기 방송사 채널 편성부로부터 상기 공중파 편성 정보를 수신하는 광고 서버를 구비하고, 상기 광고 서버는 상기 온라인 방송 서버와 연동하며, 상기 온라인 방송 서버는 상기 공중파 방송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한편, 상기 공중파 편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온라인 광고를 중간 광고의 형태로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방송 광고 시스템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광고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기 온라인 광고가 노출되는 경우 이를 광고 성과로서 집계하고, 상기 광고주에게 상기 광고 성과를 온라인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광고 서버는 상기 광고 성과에 기초하여 상기 공중파 방송 컨텐츠별로 최고의 광고 성과를 갖는 온라인 광고를 자동으로 선정하고, 상기 온라인 방송 서버와 연동하여 상기 자동으로 선정된 온라인 광고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공중파 편성 정보는 APC 신호나 큐톤 신호일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온라인 방송 서버는 상기 공중파 방송 컨텐츠 및 상기 온라인 광고를 스트리밍 방식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ce), 태블릿 컴퓨터, 넷북, 휴대전화기, 스마트폰 중 하나 혹은 2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공중파 방송 컨텐츠를 네트워크에 접속된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온라인 방송 서버 및 광고주로부터 소정의 온라인 광고를 접수하는 광고 서버를 이용한 온라인 방송 광고 방법에 있어서, 상기 광고 서버가 상기 공중파 방송 컨텐츠를 송출하는 방송사의 공중파 편성 정보를 관리하는 방송사 채널 편성부로부터 상기 공중파 편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온라인 방송 서버가 상기 광고 서버와 연동하여, 상기 공중파 방송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한편, 상기 공중파 편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온라인 광고를 중간 광고의 형태로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방송 광고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광고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기 온라인 광고가 노출되는 경우 이를 광고 성과로서 집계하고, 상기 광고주에게 상기 광고 성과를 온라인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광고 서버가 상기 광고 성과에 기초하여 상기 공중파 방송 컨텐츠별로 최고의 광고 성과를 갖는 온라인 광고를 자동으로 선정하고, 상기 온라인 방송 서버와 연동하여 상기 자동으로 선정된 온라인 광고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공중파 편성 정보는 APC 신호나 큐톤 신호일 수 있으며, 상기 온라인 방송 서버는 상기 공중파 방송 컨텐츠 및 상기 온라인 광고를 스트리밍 방식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ce), 태블릿 컴퓨터, 넷북, 휴대전화기, 스마트폰 중 하나 혹은 2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방송사의 채널 편성 장비로부터의 APC 신호나 큐톤 신호를 광고 서버가 직접 수신하고, 이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광고 편성을 하도록 구성된다. 다시 말해, 공중파에서 사용되는 방송 신호 중 일부를 광고 서버가 연동하여 직접 인식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기 때문에, PC나 스마트폰 등으로 온라인 방송을 시청하는 사용자에게 방송 컨텐츠를 스트리밍 해주는 스트리밍 서버가 상술한 광고 서버로부터 중간 광고 시간을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며, 따라서 공중파 방송사가 종래기술1에서와 같이 행하던 방식과 사실상 동일한 방식으로 인터넷이나 모바일 등의 온라인 방송에서도 큐톤이나 APC 신호를 활용한 자동 광고 편성이 가능하게 된다. 특히, 공중파 방송과 동일한 컨텐츠를 온라인 방송에 내보내면서도 공중파 방송에서 계약한 중간 광고와는 다른 광고들을 온라인 방송 시에 내보낼 수 있어 온라인 방송 사업에 진출하는 공중파 방송 사업자의 광고 수익을 극대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형태에 따른 온라인 방송 광고 시스템 및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온라인 방송 광고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부언하자면, 동일한 참조부호에 대해서는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형태에 따른 온라인 방송 광고 시스템 및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방송 광고 시스템(600)은 먼저 광고주 단말(100)을 포함하는데, 광고주 단말(100)은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방송 광고 시스템(600)의 사업자와 소정의 광고 계약을 체결하고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광고 서버(300)에 접속하여 자신이 홍보하고자 하는 전자적인 형태의 광고물을 업로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물론, 도 1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방송 광고 방법이 종료된 이후 정액제, 기간제 혹은 기타의 약정된 지불 방식에 따라 소정의 광고료를 광고 서버(300)에 지불하는 구성요소이기도 하다.
다음으로 방송사 채널 편성 장비(200)는 예컨대 한국의 KBS, MBC와 같은 공중파 방송 사업자가 운영하는 단말기로서, 공중파 방송과 관련된 큐톤이나 APC 신호와 같은 공중파 편성 정보를 데이터의 형태로 저장 및 관리하는 구성요소이다. 따라서 도 1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방송사 채널 편성 장비(200)는 메모리를 포함하여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와 데이터를 저장하기에 적합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예컨대 EPROM, EEPROM 및 플래시메모리 장치와 같은 반도체 메모리 장치, 예컨대 내부 하드디스크나 외장형 디스크와 같은 자기 디스크, 자기광학 디스크 및 CD-ROM과 DVD-ROM 디스크를 포함하여 모든 형태의 비휘발성 메모리, 매체 및 메모리 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와 메모리는 특수 목적의 논리 회로에 의해 보충되거나, 그것에 통합될 수 있다.
광고 서버(3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고주 단말(100)과 인터넷을 포함하는 유선 혹은 무선의 네트워크로 접속 가능하고, 방송사 채널 편성 장비(200)와도 접속되어 있다. 광고 서버(300)가 방송사 채널 편성 장비(200)와 접속되어 있는 것은 이로부터 큐톤이나 APC 신호와 같은 공중파 편성 정보를 바람직하게는 실시간으로 수신하기 위함이다.
한편, 스트리밍 서버(400)는 방송사 채널 편성 장비(200)가 포함되어 있는 해당 방송사의 공중파 방송 컨텐츠를 PC, 노트북, PDA, 스마트폰, 휴대전화기, 태블릿 PC 등 온라인으로 네트워크에 접속 가능한 다양한 형태의 단말기에 호환 가능한 포맷으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스트리밍 서버(400)는 광고 서버(300)와 연동하여 광고 서버(300)가 방송사 채널 편성 장비(200)로부터 실시간으로 취득하는 공중파 편성 정보를 전송받으며, 광고 서버(300)로부터 광고주(100)의 전자적인 광고물을 수신한다.
즉. 스트리밍 서버(400)는 단순히 공중파 방송 컨텐츠만을 사용자 단말(500)에 제공할 뿐만 아니라, 상술한 공중파 편성 정보에 따른 브레이크 타임(Break Time) 중에 광고 서버(300)로부터의 전자적인 광고 컨텐츠를 사용자 단말(500)에 스트리밍하여 온라인 광고를 실행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다만, 도 1에는 광고 서버(300)와 스트리밍 서버(400)가 물리적으로 별개인 것처럼 도시되어 있지만, 광고 서버(300)와 스트리밍 서버(400)는 물리적으로 일체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서로 다른 지역에 위치하면서 네트워크에 의해 상호 접속되는 형태로 광고 서버(300)와 스트리밍 서버(400)를 구현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끝으로 사용자 단말(500)은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ce), 태블릿 컴퓨터, 넷북, 휴대전화기, 스마트폰 중 하나 혹은 2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인터넷, 이더넷, PSTN 전화망을 포함하여 어떠한 형태의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서라도 스트리밍 서버(400)에 접속 가능한 사용자 단말(500)이 존재한다면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500)에 하드웨어 혹은 소프트웨어나 펌웨어의 형태로 탑재된 멀티미디어 플레이어는 공중파 방송 컨텐츠를 재생할 뿐만 아니라 전자적인 광고 컨텐츠도 함께 재생하는 것이 가능하며, 광고 컨텐츠가 재생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500)은 메모리와 제어부를 통해 그 내역(예컨대, 광고 컨텐츠의 재생 시점, 재생 시간, 재생 도중 중단 여부, 재생 횟수 등)을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제 다시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형태에 따른 온라인 방송 광고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을 다시 참조하면, 먼저 스텝 S1에서 광고주(100)는 광고 서버(300)에 전자적인 형태로 작성된 광고 컨텐츠를 제공한다. 여기서 전자적인 형태의 광고 컨텐츠는 동영상, 이미지 파일을 포함하여 음성 파일이나 텍스트 파일 형태 등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어떠한 형태의 매체라도 포함하는 개념임에 유의하여야 한다.
다음으로 스텝 S2에서는 방송사 채널 편성 장비(200)가 가진 공중파 편성 정보를 광고 서버(300)가 실시간으로 수신한다. 이러한 동작을 구현하기 위하여, 광고 서버(300)와 방송사 채널 편성 장비(200) 간에 소정의 정보를 요청하고 이에 응답하는 범용 혹은 전용의 프로토콜이 적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스텝 S3에서는 스트리밍 서버(400)가 광고 서버(300)와 연동하여 광고 서버(300)로부터 공중파 방송 컨텐츠 외에 광고 컨텐츠 및 공중파 편성 정보까지 실질적으로 실시간으로 수신한다.
이후 스텝 S4에서 스트리밍 서버(400)는 공중파 방송 컨텐츠를 사용자 단말(500)에 전송하여 스트리밍하는 한편, 광고 서버(300)로부터의 광고 컨텐츠도 사용자 단말(500)에 하드웨어 혹은 소프트웨어의 형태로 구비된 예컨대 동영상, 이미지, 오디오 플레이어 등으로 재생하게끔 한다.
스텝 S5에서 사용자 단말(500)은 광고 컨텐츠가 노출된 경우에 그 내역(예컨대, 광고 컨텐츠의 재생 시점, 재생 시간, 재생 도중 중단 여부, 재생 횟수 등)을 광고 서버(300)로 피드백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이러한 스텝 S5의 피드백 동작은 광고 솔루션(450)에 의한 자동 광고 선택을 위한 것으로서, 하드웨어 혹은 소프트웨어의 형태로 구현 가능하고 광고 서버(300) 및/또는 스트리밍 서버(400)와 일체로 혹은 별개로 구현 가능한 광고 솔루션(450)은 스텝 S6에서 광고 성과를 반영하여 특정한 공중파 방송 컨텐츠가 재생되는 시점에서 예컨대 가장 우수한 광고 성과를 보이는 광고 컨텐츠가 중간 광고로서 배정될 수 있도록 하는 알고리즘을 수행한다.
스텝 S7에서는 이러한 알고리즘의 수행 결과가 스트리밍 서버(400)에 반영되며, 이후 스트리밍 서버(400)는 사용자 단말(500)로부터 피드백된 광고 성과가 반영되어 자동적으로 선택된 광고 컨텐츠(즉, 광고 정보)를 공중파 방송 컨텐츠에 따라 사용자 단말(500)에 노출시킬 수 있다.
도 2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온라인 방송 광고 방법을 순서도 형태로 정리한 것이다. 다만, 도 2에 도시된 각 단계들에 대해서는 이미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므로, 여기서는 추가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기능적 동작과 본 주제에 관한 실시형태들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한 구조들 및 그들의 구조적인 등가물을 포함하여 디지털 전자 회로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하드웨어에서 혹은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에서 구현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주제의 실시형태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다시 말해 데이터 처리 장치에 의한 실행을 위하여 혹은 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하여 유형의 프로그램 매체 상에 인코딩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에 관한 하나 이상의 모듈로서 구현될 수 있다. 유형의 프로그램 매체는 전파형 신호이거나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일 수 있다. 전파형 신호는 컴퓨터에 의한 실행을 위하여 적절한 수신기 장치로 전송하기 위한 정보를 인코딩하기 위하여 생성되는 예컨대 기계가 생성한 전기적, 광학적 혹은 전자기 신호와 같은 인공적으로 생성된 신호이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 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 기판, 메모리 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전파형 신호에 영향을 미치는 물질의 조합 혹은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프로그램,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 스크립트 혹은 코드로도 알려져 있음)은 컴파일되거나 해석된 언어나 선험적 혹은 절차적 언어를 포함하는 프로그래밍 언어의 어떠한 형태로도 작성될 수 있으며, 독립형 프로그램이나 모듈, 컴포넌트, 서브루틴 혹은 컴퓨터 환경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다른 유닛을 포함하여 어떠한 형태로도 전개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파일 시스템의 파일에 반드시 대응하는 것은 아니다. 프로그램은 요청된 프로그램에 제공되는 단일 파일 내에, 혹은 다중의 상호 작용하는 파일(예컨대, 하나 이상의 모듈, 하위 프로그램 혹은 코드의 일부를 저장하는 파일) 내에, 혹은 다른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보유하는 파일의 일부(예컨대, 마크업 언어 문서 내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스크립트) 내에 저장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나의 사이트에 위치하거나 복수의 사이트에 걸쳐서 분산되어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상호 접속된 다중 컴퓨터나 하나의 컴퓨터 상에서 실행되도록 전개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본 특허문헌에서 기술하는 논리 흐름과 구조적인 블록도는 개시된 구조적인 수단의 지원을 받는 대응하는 기능과 단계의 지원을 받는 대응하는 행위 및/또는 특정한 방법을 기술하는 것으로, 대응하는 소프트웨어 구조와 알고리즘과 그 등가물을 구축하는데에도 사용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프로세스와 논리 흐름은 입력 데이터 상에서 동작하고 출력을 생성함으로써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래머블 프로세서에 의하여 수행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실행에 적합한 프로세서(예컨대, 광고 서버(300)나 스트리밍 서버(400)의 제어부)는, 예컨대 범용 및 특수 목적의 마이크로프로세서 양자 및 어떤 종류의 디지털 컴퓨터의 어떠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라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프로세서는 읽기 전용 메모리나 랜덤 액세스 메모리 혹은 양자로부터 명령어와 데이터를 수신할 것이다. 컴퓨터의 핵심적인 요소는 명령어와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메모리 장치 및 명령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세서이다. 또한, 컴퓨터는 일반적으로 예컨대 자기, 자기광학 디스크나 광학 디스크와 같은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대량 저장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그것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혹은 그러한 동작 둘 다를 수행하기 위하여 동작 가능하도록 결합되거나 이를 포함할 것이다. 그러나, 컴퓨터는 그러한 장치를 가질 필요가 없다.
사용자와의 상호 작용을 제공하기 위하여,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주제의 실시형태는, 사용자에게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하여 예컨대 CRT나 LCD 모니터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를 가지고, 사용자가 컴퓨터에 입력을 제공할 수 있는 예컨대 마우스나 트랙볼(Trackball)과 같은 지시 장치 및 키보드를 갖는 컴퓨터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물론 다른 종류의 장치도 사용자와의 상호 작용을 제공하기 위하여 사용 가능한데, 예컨대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피드백은 예를 들어 가시적인 피드백, 가청 피드백 혹은 촉각형 피드백과 같은 감각적인 피드백의 어떠한 형태일 수도 있으며,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은 음향, 발성 혹은 촉각적 입력을 포함하는 어떠한 연관된 형태로도 수신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주제의 실시형태는 예컨대 데이터 서버와 같은 백엔드 컴포넌트를 포함하거나, 예컨대 어플리케이션 서버와 같은 미들웨어 컴포넌트를 포함하거나, 예컨대 사용자가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주제의 구현물과 상호 작용할 수 있는 웹 브라우저나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갖는 클라이언트 컴퓨터와 같은 프론트엔드 컴포넌트 혹은 그러한 백엔드, 미들웨어 혹은 프론트엔드 컴포넌트의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연산 시스템에서 구현될 수 있다. 시스템의 컴포넌트는 예컨대 통신 네트워크와 같은 디지털 데이터 통신의 어떠한 형태나 매체에 의해서도 상호 접속 가능하다. 통신 네트워크의 예로는 LAN(Local Area Network)과 WAN(Wide Area Network), 예컨대 인터넷이 포함된다.
연산 시스템은 클라이언트와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와 서버는 보통 서로 떨어져 있으며, 일반적으로는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호 작용한다. 클라이언트와 서버의 관계는 각각의 컴퓨터 상에서 구동되고 서로에 대하여 클라이언트-서버 관계를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하여 발생한다.
본 명세서는 다수의 특정한 구현물의 세부사항들을 포함하지만, 이들은 어떠한 발명이나 청구 가능한 것의 범위에 대해서도 제한적인 것으로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오히려 특정한 발명의 특정한 실시형태에 특유할 수 있는 특징들에 대한 설명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개별적인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기술된 특정한 특징들은 단일 실시형태에서 조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반대로, 단일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기술한 다양한 특징들 역시 개별적으로 혹은 어떠한 적절한 하위 조합으로도 복수의 실시형태에서 구현 가능하다. 나아가, 특징들이 특정한 조합으로 동작하고 초기에 그와 같이 청구된 바와 같이 묘사될 수 있지만, 청구된 조합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특징들은 일부 경우에 그 조합으로부터 배제될 수 있으며, 그 청구된 조합은 하위 조합이나 하위 조합의 변형물로 변경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특정한 순서로 도면에서 동작들을 묘사하고 있지만, 이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도시된 그 특정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대로 그러한 동작들을 수행하여야 한다거나 모든 도시된 동작들이 수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한 경우, 멀티태스킹과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의 다양한 시스템 컴포넌트의 분리는 그러한 분리를 모든 실시형태에서 요구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되며, 설명한 프로그램 컴포넌트와 시스템들은 일반적으로 단일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중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징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주제의 특정한 실시형태를 설명하였다. 기타의 실시형태들은 이하의 청구항의 범위 내에 속한다. 예컨대, 청구항에서 인용된 동작들은 상이한 순서로 수행되면서도 여전히 바람직한 결과를 성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첨부도면에 도시한 프로세스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반드시 그 특정한 도시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를 요구하지 않는다. 특정한 구현예에서, 멀티태스킹과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본 기술한 설명은 본 발명의 최상의 모드를 제시하고 있으며,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그리고 당업자가 본 발명을 제작 및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예를 제공하고 있다. 이렇게 작성된 명세서는 그 제시된 구체적인 용어에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상술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본 예들에 대한 개조, 변경 및 변형을 가할 수 있다.
100 광고주 단말
200 방송사 채널 편성 장비
300 광고 서버
400 스트리밍 서버
450 광고 솔루션
500 사용자 단말
600 온라인 방송 광고 시스템

Claims (12)

  1. 공중파 방송 컨텐츠를 네트워크에 접속된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온라인 방송 서버를 포함한 온라인 방송 광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공중파 방송 컨텐츠를 송출하는 방송사의 공중파 편성 정보를 관리하는 방송사 채널 편성부; 및
    광고주로부터 소정의 온라인 광고를 접수하고, 상기 방송사 채널 편성부로부터 상기 공중파 편성 정보를 수신하는 광고 서버를 구비하고,
    상기 광고 서버는 상기 온라인 방송 서버와 연동하며, 상기 온라인 방송 서버는 상기 공중파 방송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한편, 상기 공중파 편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온라인 광고를 중간 광고의 형태로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방송 광고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광고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기 온라인 광고가 노출되는 경우 이를 광고 성과로서 집계하고, 상기 광고주에게 상기 광고 성과를 온라인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방송 광고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중파 편성 정보는 APC 신호나 큐톤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방송 광고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온라인 방송 서버는 상기 공중파 방송 컨텐츠 및 상기 온라인 광고를 스트리밍 방식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방송 광고 시스템.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광고 서버는 상기 광고 성과에 기초하여 상기 공중파 방송 컨텐츠별로 최고의 광고 성과를 갖는 온라인 광고를 자동으로 선정하고, 상기 온라인 방송 서버와 연동하여 상기 자동으로 선정된 온라인 광고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방송 광고 시스템.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ce), 태블릿 컴퓨터, 넷북, 휴대전화기, 스마트폰 중 하나 혹은 2 이상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방송 광고 시스템.
  7. 공중파 방송 컨텐츠를 네트워크에 접속된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온라인 방송 서버 및 광고주로부터 소정의 온라인 광고를 접수하는 광고 서버를 이용한 온라인 방송 광고 방법에 있어서,
    상기 광고 서버가 상기 공중파 방송 컨텐츠를 송출하는 방송사의 공중파 편성 정보를 관리하는 방송사 채널 편성부로부터 상기 공중파 편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온라인 방송 서버가 상기 광고 서버와 연동하여, 상기 공중파 방송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한편, 상기 공중파 편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온라인 광고를 중간 광고의 형태로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방송 광고 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광고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기 온라인 광고가 노출되는 경우 이를 광고 성과로서 집계하고, 상기 광고주에게 상기 광고 성과를 온라인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방송 광고 방법.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공중파 편성 정보는 APC 신호나 큐톤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방송 광고 방법.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온라인 방송 서버는 상기 공중파 방송 컨텐츠 및 상기 온라인 광고를 스트리밍 방식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방송 광고 방법.
  11.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광고 서버가 상기 광고 성과에 기초하여 상기 공중파 방송 컨텐츠별로 최고의 광고 성과를 갖는 온라인 광고를 자동으로 선정하고, 상기 온라인 방송 서버와 연동하여 상기 자동으로 선정된 온라인 광고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방송 광고 방법.
  12. 청구항 7 내지 청구항 1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ce), 태블릿 컴퓨터, 넷북, 휴대전화기, 스마트폰 중 하나 혹은 2 이상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방송 광고 방법.
KR1020110126204A 2011-11-29 2011-11-29 공중파 방송 신호를 이용한 온라인 방송 광고 시스템 및 방법 KR1015264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6204A KR101526464B1 (ko) 2011-11-29 2011-11-29 공중파 방송 신호를 이용한 온라인 방송 광고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6204A KR101526464B1 (ko) 2011-11-29 2011-11-29 공중파 방송 신호를 이용한 온라인 방송 광고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5773A true KR20130065773A (ko) 2013-06-20
KR101526464B1 KR101526464B1 (ko) 2015-06-09

Family

ID=488621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6204A KR101526464B1 (ko) 2011-11-29 2011-11-29 공중파 방송 신호를 이용한 온라인 방송 광고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646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7547B1 (ko) * 2011-11-29 2015-07-21 주식회사 더블유코퍼레이션 오버레이 스트리밍을 이용한 온라인 생방송 광고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89091A (ko) * 2019-01-16 2020-07-24 나시스 주식회사 실시간 방송 기반의 추가 광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220021387A (ko) * 2020-08-13 2022-02-22 에스케이브로드밴드주식회사 셋탑박스 및 그 동작 방법
KR20230011827A (ko) 2021-07-14 2023-01-25 주식회사 제이에이치바이오시스템 영상속 캐릭터가 착용한 패션아이템에 대한 정보 제공 및 이를 이용한 전자상거래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6791B1 (ko) * 2004-03-23 2006-12-13 주식회사 드리머 디지털양방향티브이의 광고집행시스템
KR20060053054A (ko) * 2004-11-13 2006-05-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용 단말기의 광고 방송서비스 방법
US8635526B2 (en) * 2006-05-25 2014-01-21 Qualcomm Incorporated Target advertisement in a broadcast system
KR101537547B1 (ko) * 2011-11-29 2015-07-21 주식회사 더블유코퍼레이션 오버레이 스트리밍을 이용한 온라인 생방송 광고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7547B1 (ko) * 2011-11-29 2015-07-21 주식회사 더블유코퍼레이션 오버레이 스트리밍을 이용한 온라인 생방송 광고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89091A (ko) * 2019-01-16 2020-07-24 나시스 주식회사 실시간 방송 기반의 추가 광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220021387A (ko) * 2020-08-13 2022-02-22 에스케이브로드밴드주식회사 셋탑박스 및 그 동작 방법
KR20230011827A (ko) 2021-07-14 2023-01-25 주식회사 제이에이치바이오시스템 영상속 캐릭터가 착용한 패션아이템에 대한 정보 제공 및 이를 이용한 전자상거래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6464B1 (ko) 2015-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4039B1 (ko) 온라인 소셜 네트워크에 대한 자동적 미디어 자산 업데이트
CN107872732B (zh) 一种自助式互动视频直播***
KR102263896B1 (ko) 오버레이를 이용하는 타겟 콘텐츠 배치
US20060037039A1 (en) Delivering data to radio or television during commercials
KR100738685B1 (ko) 양방향 방송 서비스를 이용한 부가정보 제공 장치 및 그방법
CN105049898A (zh) 基于数字电视的家庭影院实现方法、装置、***及客户端
KR20150024306A (ko) 어드레싱 가능한 광고를 위한 데이터 경계 관리기
CN106792230A (zh) 一种基于视频直播的广告互动方法及***
JP5990363B2 (ja) 視聴者パーソナル化放送及びデータチャネル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KR101526464B1 (ko) 공중파 방송 신호를 이용한 온라인 방송 광고 시스템 및 방법
CN106375784A (zh) 评论节目和提供节目的评论信息的方法和装置
US2012011759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onverged social broadcasting service
CN102905168B (zh) 一种实时提供电视节目单的方法及***
KR101607649B1 (ko) 음악 공유 서비스에 기반하는 영상물 삽입 음악 및 광고의 제공 장치 및 제공 방법
WO2015075729A1 (en) System for deployment of value-added services over digital broadcast cable
KR101537547B1 (ko) 오버레이 스트리밍을 이용한 온라인 생방송 광고 시스템 및 방법
US10499100B2 (en) System and method of ad delivery
KR101202943B1 (ko) 인터넷 방송 시스템
KR101335506B1 (ko) 메신저 서비스 연동 방송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CN101459817A (zh) 一种服务信息的发布方法及***
KR101308926B1 (ko) 인기 어플리케이션 추천 기능을 제공하는 방송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1269031B1 (ko)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기반 방송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2052524B1 (ko) 미디어처리장치 및 그 동작 방법
Pedersen et al. Digital TV in Denmark: TENIA National Report Denmark
Lin Media fusion and future TV: Examining multi-screen TV convergence in Singapo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