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65578A - Antenna module - Google Patents

Antenna modu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65578A
KR20130065578A KR1020120098847A KR20120098847A KR20130065578A KR 20130065578 A KR20130065578 A KR 20130065578A KR 1020120098847 A KR1020120098847 A KR 1020120098847A KR 20120098847 A KR20120098847 A KR 20120098847A KR 20130065578 A KR20130065578 A KR 201300655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
nanoscale
dielectric
track
predetermi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884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308344B1 (en
Inventor
칭-웨이 창
유-썽 황
제-민 린
Original Assignee
아우덴 테크노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우덴 테크노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아우덴 테크노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300655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557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83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834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36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 H01Q1/38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formed by a conductive layer on an insulating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48Earthing means; Earth screens; Counterpoi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11Nanostructured additi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etails Of Aerials (AREA)

Abstract

PURPOSE: An antenna module is provided to maintain the efficiency and the voltage standing wave ratio (VSWR) value of an antenna within first and second fixed ranges respectively in case the antenna use volume decreases within a fixed decrease range. CONSTITUTION: An antenna module (M) comprises a substrate unit (1) and an antenna unit (2). The substrate unit comprises at least one carrier substrate (10). The carrier substrate has 7-13 of permittivity according to the antenna efficiency and the VSWR value within first and second fixed ranges. The carrier substrate comprises multiple dispersed nano-sized micro particle structures in a dielectric material. Each of the nano-sized micro particle structures (101) comprises a nano-sized insulating encapsulation layer (1011) and encapsulates at least one nano-sized carbon particle (1010) completely.

Description

안테나 모듈{ANTENNA MODULE}ANTENNA MODULE {ANTENNA MODULE}

본 발명는 안테나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안테나 사용 체적이 소정의 감소 범위 내로 감소된 경우 VSWR값과 안테나 효율을 제 1 및 제 2 소정 범위로 각각 유지시킬 수 있는 안테나 모듈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ntenna modul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ntenna module capable of maintaining the VSWR value and the antenna efficiency in the first and second predetermined ranges, respectively, when the antenna use volume is reduced within a predetermined reduction range.

무선 통신 기술의 발달로, 무선 전송 기술이 이동 정보 매체 또는 개인 데이터 관리 도구에 널리 사용된다. 예를 들어, 노트북 컴퓨터 등과 같은 전자 제품은 일반적으로 다른 데이터 장치와 데이터를 전송/수신해야 한다. 무선 전송 기술을 근거로, 많은 구조가 단순화될 수 있고 많은 연결선을 피할 수 있다. 상기한 무선 전송을 달성하기 위해, 종래의 전자 제품은 안테나를 구비해야 하고, 대부분의 전자 제품은 무선 통신을 위해 안테나 장치가 내장되어 있다.With the development of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wireless transmission technology is widely used in mobile information carriers or personal data management tools. For example, electronic products such as notebook computers generally need to transmit / receive data with other data devices. Based on the wireless transmission technology, many structures can be simplified and many connections can be avoided.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wireless transmission, conventional electronic products must have an antenna, and most electronic products have an antenna device for wireless communication.

본 발명의 목적은 안테나 사용 체적이 소정의 감소 범위 내로 감소된 경우 VSWR값과 안테나 효율을 제 1 및 제 2 소정 범위로 각각 유지시킬 수 있는 안테나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ntenna module capable of maintaining the VSWR value and the antenna efficiency in the first and second predetermined ranges, respectively, when the antenna usage volume is reduced within the predetermined reduction range.

본 발명의 일 양태는 안테나 사용 체적이 소정의 감소 범위 내로 감소된 경우 VSWR값과 안테나 효율을 제 1 및 제 2 소정 범위로 각각 유지시킬 수 있는 안테나 모듈에 관한 것이다.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ntenna module capable of maintaining the VSWR value and the antenna efficiency in the first and second predetermined ranges, respectively, when the antenna usage volume is reduced within the predetermined reduction range.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기판 유닛과 안테나 유닛을 포함할 수 있는 안테나 모듈을 제공한다. 상기 기판 유닛은 적어도 하나의 캐리어 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캐리어 기판은 제 1 및 제 2 소정 범위 내의 VSWR값과 안테나 효율에 따라 실질적으로 7과 13 사이의 유전율(dielectric constant)을 가지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캐리어 기판은 유전체(dielectric body) 및 상기 유전체 내부에 분산된 다수의 나노 규모의 극미립자 구조체(microparticle structure)를 포함하고, 각각의 나노 규모의 극미립자 구조체는 적어도 하나의 나노 규모의 탄소 입자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나노 규모의 탄소 입자를 완전히 봉지(encapsulating)하기 위한 나노 규모의 절연 봉지층(encapsulation layer)을 포함한다. 안테나 유닛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캐리어 기판 상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 트랙(antenna track)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 트랙은 제 1 및 제 2 소정 범위 내로 유지되는 VSWR값과 안테나 효율에 따라 소정의 체적 범위 내로 조절 가능한 안테나 사용 체적을 가지며, 상기 안테나 트랙은 적어도 하나의 공급부(feeding portion) 및 적어도 하나의 접지부(grounding portion)를 갖는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ntenna module that may include a substrate unit and an antenna unit. The substrate unit comprises at least one carrier substrate, the at least one carrier substrate having a dielectric constant substantially between 7 and 13 depending on the VSWR value and antenna efficiency within the first and second predetermined ranges, The at least one carrier substrate comprises a dielectric body and a plurality of nanoscale microparticle structures dispersed within the dielectric, each nanoscale microparticle structure comprising at least one nanoscale structure. And nanoscale encapsulation layers for completely encapsulating the carbon particles and the at least one nanoscale carbon particles. The antenna unit includes at least one antenna track disposed on the at least one carrier substrate, wherein the at least one antenna track is dependent on the VSWR value and the antenna efficiency maintained within the first and second predetermined ranges. The antenna usage volume is adjustable within a predetermined volume range, and the antenna track has at least one feeding portion and at least one grounding por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는 기판 유닛과 안테나 유닛을 포함할 수 있는 안테나 모듈을 제공한다. 상기 기판 유닛은 적어도 하나의 캐리어 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캐리어 기판은 제 1 및 제 2 소정 범위 내의 VSWR값과 안테나 효율에 따라 실질적으로 7과 13 사이의 유전율을 가지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캐리어 기판은 유전체, 상기 유전체 내부에 분산된 다수의 제 1 나노 규모의 극미립자 구조체, 및 상기 유전체 내부에 분산된 다수의 제 2 나노 규모의 극미립자 구조체를 포함하고, 각각의 제 1 나노 규모의 극미립자 구조체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나노 규모의 탄소 입자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나노 규모의 탄소 입자를 완전히 봉지하기 위한 제 1 나노 규모의 절연 봉지층을 포함하고, 각각의 제 2 나노 규모의 극미립자 구조체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나노 규모의 탄소 입자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나노 규모의 탄소 입자를 완전히 봉지하기 위한 제 2 나노 규모의 절연 봉지층을 포함한다. 안테나 유닛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캐리어 기판 상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 트랙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 트랙은 제 1 및 제 2 소정 범위 내로 유지되는 VSWR값과 안테나 효율에 따라 소정의 체적 범위 내로 조절 가능한 안테나 사용 체적을 가지며, 상기 안테나 트랙은 적어도 하나의 공급부 및 적어도 하나의 접지부를 갖는다.Yet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ntenna module that may include a substrate unit and an antenna unit. The substrate unit includes at least one carrier substrate, wherein the at least one carrier substrate has a dielectric constant between 7 and 13, depending on the VSWR value and antenna efficiency within the first and second predetermined ranges, The carrier substrate includes a dielectric, a plurality of first nanoscale microparticulate structures dispersed within the dielectric, and a plurality of second nanoscale microparticulate structures dispersed within the dielectric, each of the first nanoscale The microparticulate structure comprises at least one first nanoscale carbon particle and a first nanoscale insulating encapsulation layer for completely encapsulating the at least one first nanoscale carbon particle, each second nanoscale The ultrafine structure completely encapsulates at least one second nanoscale carbon particle and the at least one second nanoscale carbon particle. And a second nano-scale of the insulating layer for sealing group. The antenna unit includes at least one antenna track disposed on the at least one carrier substrate, wherein the at least one antenna track is in a predetermined volume range according to the VSWR value and the antenna efficiency maintained within the first and second predetermined ranges. With an adjustable antenna usage volume into the antenna track, the antenna track has at least one supply and at least one ground.

따라서, 상기 나노 규모의 극미립자 구조체들은 유전체 내부에 분산되거나 또는 제 1 및 제 2 나노 규모의 극미립자 구조체들은 유전체 내부에 분산되어, 본 발명의 안테나 사용 체적이 소정의 감소 범위 내로 감소된 경우, 안테나 모듈은 VSWR값과 안테나 효율을 제 1 및 제 2 소정 범위로 각각 유지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Thus, when the nanoscale microparticle structures are dispersed within the dielectric or the first and second nanoscale microparticle structures are dispersed within the dielectric, the antenna usage volum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educed to within a predetermined reduction range. The antenna module may be used to maintain the VSWR value and the antenna efficiency in the first and second predetermined ranges, respectively.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적용되는 본 발명의 기술, 수단 및 효과를 더욱 이해하기 위해, 아래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된 도면이 참고되어, 이를 통해, 본 발명의 목적, 특성 및 양태가 완전하게 그리고 구체적으로 이해될 수 있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를 제한하려는 의도 없이 단지 참조 및 설명을 위해 제공된다.In order to further understand the techniques, means and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pplied to achieve the above objects, reference is made to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through which the objects, features and asp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fully and It can be specifically understood. However,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provided for reference and explanation only without intending to limit the invention.

도 1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원래의 안테나 모듈의 상부 개략도를 도시하고;
도 1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안테나 모듈의 부분 단면 개략도를 도시하고;
도 1C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감소된 안테나 모듈의 상부 개략도를 도시하고;
도 1D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원래의 안테나 모듈의 VSWR값을 감소된 안테나 모듈의 VSWR값과 비교한 그래프를 도시하고;
도 1E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원래의 안테나 모듈의 안테나 효율을 감소된 안테나 모듈의 안테나 효율과 비교한 그래프를 도시하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안테나 모듈의 부분 단면 개략도를 도시하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안테나 모듈의 부분 단면 개략도를 도시하고; 및
도 4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따른 안테나 모듈의 부분 단면 개략도를 도시한다.
1A shows a top schematic view of an original antenna modu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B shows a partial cross-sectional schematic diagram of an antenna modul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C shows a top schematic view of a reduced antenna modu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D shows a graph comparing the VSWR value of the original antenna modu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the VSWR value of the reduced antenna module;
1E shows a graph comparing the antenna efficiency of the original antenna modu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the antenna efficiency of the reduced antenna module;
2 shows a partial cross-sectional schematic diagram of an antenna modul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shows a partial cross-sectional schematic diagram of an antenna modul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4 shows a partial cross-sectional schematic diagram of an antenna modul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invention.

[제 1 실시형태][First Embodiment]

도 1A 내지 도 1E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는 기판 유닛(1)과 안테나 유닛(2)을 포함하는 안테나 모듈(M)을 제공한다. 안테나 사용 체적이 소정의 감소 범위 내로 감소된 경우, 안테나 모듈(M)은 VSWR값과 안테나 효율을 제 1 소정 범위 및 제 2 소정 범위로 각각 유지시킬 수 있다. 안테나 모듈(M).1A to 1E,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ntenna module M including a substrate unit 1 and an antenna unit 2. When the volume of use of the antenna is reduced within the predetermined reduction range, the antenna module M may maintain the VSWR value and the antenna efficiency in the first predetermined range and the second predetermined range, respectively. Antenna module (M).

도 1A 및 도 1B를 참고하면, 기판 유닛(1)은 적어도 하나의 캐리어 기판(10)을 포함한다. 상기 캐리어 기판(10)은 제 1 및 제 2 소정 범위 내의 VSWR값과 안테나 효율에 따라 실질적으로 7과 13 사이의 유전율을 가지며, 더욱 양호한 유전율은 10에 가깝다. 또한, 상기 캐리어 기판(10)은 유전체(100) 및 상기 유전체(100) 내부에 분산된 다수의 나노 규모의 극미립자 구조체(101)를 포함하고, 각각의 나노 규모의 극미립자 구조체(101)는 적어도 하나의 나노 규모의 탄소 입자(1010)와 상기 나노 규모의 탄소 입자(1010)를 완전히 봉지하기 위한 나노 규모의 절연 봉지층(1011)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캐리어 기판(10)은 마이크로파 기판(microwave substrate)일 수 있다. 나노 규모의 극미립자 구조체(101)는 유전체(100) 내부에서 상호 분리될 수 있고 평균적으로 분산될 수 있다. 대부분의 나노 규모의 극미립자 구조체(101)들은 상기 유전체(100) 내부에 완전히 수용되고, 그 밖의 나노 규모의 극미립자 구조체(101) 각각의 일부는 상기 유전체(100)로부터 노출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나노 규모의 극미립자 구조체(101)들은 또한 비평균적으로(unaveragely) 또는 불균일하게(unequally) 상기 유전체(100) 내에 분산될 수 있다. 그러나, 제 1 실시형태에서 사용된 상기 나노 규모의 극미립자 구조체(101)는 단지 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1A and 1B, the substrate unit 1 includes at least one carrier substrate 10. The carrier substrate 10 has a dielectric constant substantially between 7 and 13 depending on the VSWR value and antenna efficiency within the first and second predetermined ranges, and a better dielectric constant is close to ten. In addition, the carrier substrate 10 includes a dielectric material 100 and a plurality of nanoscale microparticle structures 101 dispersed in the dielectric material 100, and each nanoscale microparticle structure 101 includes At least one nanoscale carbon particle 1010 and a nanoscale insulating encapsulation layer 1011 for completely encapsulating the nanoscale carbon particle 1010. For example, the carrier substrate 10 may be a microwave substrate. The nano-scale microparticle structure 101 may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inside the dielectric 100 and distributed on average. Most nanoscale microparticle structures 101 may be completely contained within the dielectric 100, and a portion of each of the other nanoscale microparticle structures 101 may be exposed from the dielectric 100. Of course, the nanoscale microparticle structures 101 may also be dispersed within the dielectric 100 unaveragely or unequally. However, the nano-scale microparticle structure 101 used in the first embodiment is merely an example and does not limit the present invention.

도 1A 및 도 1B를 참고하면, 안테나 유닛(2)은 캐리어 기판(10) 상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 트랙(20)을 포함하고, 상기 안테나 트랙(20)은 제 1 및 제 2 소정 범위 내로 유지되는 VSWR값과 안테나 효율에 따라 소정의 체적 범위 내로 조절 가능한 안테나 사용 체적을 가지며, 상기 안테나 트랙(20)은 적어도 하나의 공급부(200) 및 적어도 하나의 접지부(201)를 갖는다. 또한, 안테나 트랙(20)은 제 1 및 제 2 소정 범위 내로 유지되는 VSWR값과 안테나 효율에 따라 소정의 길이 범위 내로 조절 가능한 또는 조절될 수 있는 안테나 길이(L), 제 1 및 제 2 소정 범위 내로 유지되는 VSWR값과 안테나 효율에 따라 소정의 높이 범위 내로 조절 가능한 또는 조절될 수 있는 안테나 높이(H), 및 실질적으로 균일한 안테나 두께(D)를 갖는다. 안테나 길이(L)는 안테나 트랙(20)의 최좌측으로부터 안테나 트랙(20)의 최우측까지 연장될 수 있고, 안테나 높이(H)는 안테나 트랙(20)의 최상측으로부터 안테나 트랙(20)의 최하측까지 연장될 수 있고, 안테나 높이(H)와 안테나 두께(D)를 곱한 안테나 길이(L)는 안테나 트랙(20)의 안테나 사용 체적과 동일하다.1A and 1B, the antenna unit 2 includes at least one antenna track 20 disposed on a carrier substrate 10, the antenna track 20 having a first and second predetermined range. The antenna track 20 has at least one supply portion 200 and at least one ground portion 201, which has an antenna usage volume that is adjustable within a predetermined volume range according to the VSWR value and antenna efficiency maintained therein. In addition, the antenna track 20 has an antenna length L that can be adjusted or adjusted within a predetermined length range according to the VSWR value maintained within the first and second predetermined ranges and the antenna efficiency, and the first and second predetermined ranges. It has an antenna height (H) that can be adjusted or adjusted within a predetermined height range depending on the VSWR value held within and the antenna efficiency, and a substantially uniform antenna thickness (D). The antenna length L may extend from the leftmost side of the antenna track 20 to the rightmost side of the antenna track 20 and the antenna height H may be from the top side of the antenna track 20 of the antenna track 20. It can extend to the lowest side and the antenna length L multiplied by the antenna height H and the antenna thickness D is equal to the antenna usage volume of the antenna track 20.

예를 들어, 안테나 트랙(20)의 안테나 사용 체적이 감소되기 이전(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테나 길이(L)는 70mm이고, 안테나 높이(H)는 10mm이며, 안테나 두께(D)는 3mm이므로, 안테나 트랙(20)의 원래의 안테나 사용 체적은 70mm×10mm×3mm=2,100mm3으로 나타낼 수 있고, 안테나 트랙(20)은 완벽한 VSWR값(도 1D의 실선으로 도시됨)과 완벽한 안테나 효율(도 1E의 실선으로 도시됨)을 얻을 수 있다. 안테나 트랙(20)의 안테나 사용 체적이 감소된 이후(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테나 길이(L)는 65mm로 감소되고, 안테나 높이(H)는 8mm로 감소되며, 안테나 두께(D)는 3mm로 유지되므로, 안테나 트랙(20)의 감소된 안테나 사용 체적은 65mm×8mm×3mm=1,560mm3으로 나타낼 수 있다. 안테나 트랙(20)의 원래의 안테나 사용 체적이 25% 감소되었을지라도, VSWR값(도 1D의 파선으로 도시됨)과 안테나 효율(도 1E의 파선으로 도시됨)은 또한 양호한 범위 내로 유지될 수 있다.For example, before the antenna usage volume of the antenna track 20 is reduced (as shown in FIG. 1A), the antenna length L is 70 mm, the antenna height H is 10 mm, and the antenna thickness D is Is 3 mm, the original antenna usage volume of the antenna track 20 can be represented as 70 mm x 10 mm x 3 mm = 2,100 mm 3 , and the antenna track 20 is perfect with a perfect VSWR value (shown in solid lines in FIG. 1D). Antenna efficiency (shown in solid lines in FIG. 1E) can be obtained. After the antenna usage volume of the antenna track 20 is reduced (as shown in FIG. 1C), the antenna length L is reduced to 65 mm, the antenna height H is reduced to 8 mm, and the antenna thickness D is Since is maintained at 3mm, the reduced antenna use volume of the antenna track 20 can be represented as 65mm × 8mm × 3mm = 1,560mm 3 . Although the original antenna usage volume of the antenna track 20 has been reduced by 25%, the VSWR value (shown by the broken line in FIG. 1D) and antenna efficiency (shown by the broken line in FIG. 1E) can also be maintained within a good range. .

이런 이유로, 안테나 트랙(20)의 원래의 안테나 사용 체적이 소정의 감소율(1% 내지 25%와 같이)로 감소되었을지라도, 안테나 모듈(M)은 실질적으로 7과 13 사이의 유전율을 갖는 캐리어 기판(10)의 설계로 인해 VSWR값과 안테나 효율을 양호한 제 1 소정 범위 및 양호한 제 2 소정 범위로 각각 유지시킬 수 있다.
For this reason, even if the original antenna use volume of the antenna track 20 has been reduced to a predetermined reduction rate (such as 1% to 25%), the antenna module M is substantially a carrier substrate having a dielectric constant between 7 and 13. The design of (10) allows the VSWR value and the antenna efficiency to be maintained in the good first predetermined range and the good second predetermined range, respectively.

[제 2 실시형태][Second Embodiment]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는 안테나 사용 체적이 소정의 감소 범위 내로 감소된 경우, VSWR값과 안테나 효율을 제 1 소정 범위 및 제 2 소정 범위로 각각 유지시킬 수 있고, 기판 유닛(1)과 안테나 유닛(2)를 포함하는 안테나 모듈(M)을 제공한다. 도 2 를 도 1B와 비교하면, 제 2 실시형태와 제 1 실시형태의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제 2 실시형태에서, 나노 규모의 극미립자 구조체(101)들은 유전체(100) 내부에서 상호 인접할 수 있고 평균적으로 분산될 수 있다. 물론, 나노 규모의 극미립자 구조체(101)들은 또한 유전체(100) 내에 비평균적으로 또는 불균일하게 분산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aintain the VSWR value and the antenna efficiency in the first predetermined range and the second predetermined range, respectively, when the antenna use volume is reduced within the predetermined reduction range. An antenna module (M) comprising a unit (1) and an antenna unit (2) is provided. Comparing FIG. 2 with FIG. 1B, the differences between the second embodiment and the first embodiment are as follows: In the second embodiment, the nano-scale microparticle structures 101 may be adjacent to each other inside the dielectric 100. Can be distributed on average. Of course, the nano-scale microparticle structures 101 may also be distributed non-averagely or non-uniformly within the dielectric 100.

그러나, 제 2 실시형태에서 사용된 나노 규모의 극미립자 구조체(101)는 단지 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나노 규모의 극미립자 구조체(101)들의 배열과 관련해서, 나노 규모의 극미립자 구조체(101)의 일부는 유전체(100) 내부에서 상호 분리될 수 있고 평균적으로 분산될 수 있으며, 그 밖의 나노 규모의 극미립자 구조체(101)들은 유전체(100) 내부에서 상호 인접할 수 있고 평균적으로 분산될 수 있다.
However, the nano-scale microparticle structure 101 used in the second embodiment is merely an example and does not limit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with respect to the arrangement of nanoscale microparticle structures 101, some of the nanoscale microparticle structures 101 may be separated from one another and distributed on average within the dielectric 100. The outer nanoscale microparticle structures 101 may be adjacent to each other and distributed on average within the dielectric 100.

[제 3 실시형태][Third embodiment]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는 안테나 사용 체적이 소정의 감소 범위 내로 감소된 경우, VSWR값과 안테나 효율을 제 1 소정 범위 및 제 2 소정 범위로 각각 유지시킬 수 있고, 기판 유닛(1)과 안테나 유닛(2)를 포함하는 안테나 모듈(M)을 제공한다. 도 3을 도 1B와 비교하면, 제 3 실시형태와 제 1 실시형태의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제 3 실시형태에서, 캐리어 기판(10)은 유전체(100), 상기 유전체(100) 내부에 분산된 다수의 제 1 나노 규모의 극미립자 구조체(101A), 및 상기 유전체(100) 내부에 분산된 다수의 제 2 나노 규모의 극미립자 구조체(101B)를 포함한다. 각각의 제 1 나노 규모의 극미립자 구조체(101A)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나노 규모의 탄소 입자(1010A)와 상기 제 1 나노 규모의 탄소 입자(1010A)를 완전히 봉지하기 위한 제 1 나노 규모의 절연 봉지층(1011A)을 포함하고, 각각의 제 2 나노 규모의 극미립자 구조체(101B)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나노 규모의 탄소 입자(1010B)와 상기 제 2 나노 규모의 탄소 입자(1010B)를 완전히 봉지하기 위한 제 2 나노 규모의 절연 봉지층(1011B)을 포함한다. 이런 이유로, 실질적으로 7과 13 사이의 유전율을 갖는 캐리어 기판(10)은 적어도 두 가지 유형의 나노 규모의 극미립자 구조체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aintain the VSWR value and the antenna efficiency in the first predetermined range and the second predetermined range, respectively, when the antenna use volume is reduced within the predetermined reduction range. An antenna module (M) comprising a unit (1) and an antenna unit (2) is provided. Comparing FIG. 3 with FIG. 1B,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hird embodiment and the first embodiment are as follows: In the third embodiment, the carrier substrate 10 is dispersed in the dielectric 100, inside the dielectric 100. A plurality of first nanoscale microparticle structures 101A, and a plurality of second nanoscale microparticle structures 101B dispersed within the dielectric 100. Each first nanoscale microparticle structure 101A has a first nanoscale insulation for completely encapsulating at least one first nanoscale carbon particle 1010A and the first nanoscale carbon particle 1010A. An encapsulation layer 1011A, wherein each second nanoscale microparticle structure 101B is comprised of at least one second nanoscale carbon particle 1010B and the second nanoscale carbon particle 1010B. And a second nanoscale insulating encapsulation layer 1011B for encapsulation. For this reason, the carrier substrate 10 having a dielectric constant substantially between 7 and 13 can be manufactured using at least two types of nanoscale microparticle structures.

예를 들어, 제 1 나노 규모의 극미립자 구조체(101A)는 유전체(100) 내부에서 상호 분리될 수 있고 평균적으로 분산될 수 있으며, 제 2 나노 규모의 극미립자 구조체(101B)는 유전체(100) 내부에서 상호 분리될 수 있고 평균적으로 분산될 수 있다. 물론, 제 1 나노 규모의 극미립자 구조체(101A)들 및 제 2 나노 규모의 극미립자 구조체(101B)들은 또한 유전체(100) 내부에서 비평균적으로 또는 불균일하게 분산될 수 있다. 그러나 제 3 실시형태에서 사용되는 제 1 나노 규모의 극미립자 구조체(101A) 또는 제 2 나노 규모의 극미립자 구조체(101B)는 단지 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For example, the first nanoscale microparticle structure 101A can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distributed on an average within the dielectric 100, and the second nanoscale microparticle structure 101B can be a dielectric material 100. Internally they can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distributed on average. Of course, the first nanoscale microparticulate structures 101A and the second nanoscale microparticulate structures 101B may also be non-averaged or nonuniformly dispersed within the dielectric 100. However, the first nanoscale microparticle structure 101A or the second nanoscale microparticle structure 101B used in the third embodiment is merely an example and does not limit the present invention.

[제 4 실시형태][Fourth Embodiment]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는 안테나 사용 체적이 소정의 감소 범위 내로 감소된 경우, VSWR값과 안테나 효율을 제 1 소정 범위 및 제 2 소정 범위로 각각 유지시킬 수 있고, 기판 유닛(1)과 안테나 유닛(2)를 포함하는 안테나 모듈(M)을 제공한다. 도 4를 도 3과 비교하면, 제 4 실시형태와 제 3 실시형태의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제 4 실시형태에서, 제 1 나노 규모의 극미립자 구조체(101A)들은 유전체(100) 내부에서 상호 인접하고 평균적으로 분산되며, 제 2 나노 규모의 극미립자 구조체(101B)들은 유전체(100) 내부에서 상호 인접하고 평균적으로 분산된다. 물론, 제 1 나노 규모의 극미립자 구조체(101A)들 및 제 2 나노 규모의 극미립자 구조체(101B)들은 또한 유전체(100) 내에 비평균적으로 또는 불균일하게 분산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aintain the VSWR value and the antenna efficiency in the first predetermined range and the second predetermined range, respectively, when the antenna use volume is reduced within the predetermined reduction range. An antenna module (M) comprising a unit (1) and an antenna unit (2) is provided. Comparing FIG. 4 with FIG. 3, the differences between the fourth embodiment and the third embodiment are as follows: In the fourth embodiment, the first nanoscale microparticle structures 101A are interconnected inside the dielectric 100. Adjacent and averagely dispersed, the second nanoscale microparticle structures 101B are adjacent to each other and averagely dispersed within the dielectric 100. Of course, the first nanoscale microparticulate structures 101A and the second nanoscale microparticulate structures 101B may also be non-averagely or nonuniformly dispersed in the dielectric 100.

그러나 제4 실시형태에서 사용되는 제 1 나노 규모의 극미립자 구조체(101A) 또는 제 2 나노 규모의 극미립자 구조체(101B)는 단지 하나의 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 1 나노 규모의 극미립자 구조체(101A)들의 배열과 관련해서, 제 1 나노 규모의 극미립자 구조체(101A)의 일부는 유전체(100) 내부에서 상호 분리되고 평균적으로 분산되며, 그 밖의 제 1 나노 규모의 극미립자 구조체(101A)들은 유전체(100) 내부에서 상호 인접하고 평균적으로 분산된다. 제 2 나노 규모의 극미립자 구조체(101B)들의 배열과 관련해서, 제 2 나노 규모의 극미립자 구조체(101B)들의 일부는 유전체(100) 내부에서 상호 분리되고 평균적으로 분산되며, 그 밖의 제 2 나노 규모의 극미립자 구조체(101B)들은 유전체(100) 내부에서 상호 인접하고 평균적으로 분산된다.However, the first nanoscale microparticle structure 101A or the second nanoscale microparticle structure 101B used in the fourth embodiment is just one example and does not limit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with respect to the arrangement of the first nanoscale microparticulate structures 101A, portions of the first nanoscale microparticulate structures 101A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averagely dispersed within the dielectric 100, and The outer first nanoscale microparticle structures 101A are adjacent to each other and averagely dispersed within the dielectric 100. With respect to the arrangement of the second nanoscale microparticle structures 101B, some of the second nanoscale microparticle structures 101B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averagely dispersed within the dielectric 100, and the other second nanoscales. The microparticle structures 101B of scale are adjacent to each other and are distributed on average within the dielectric 100.

마지막으로, 나노 규모의 극미립자 구조체들은 유전체 내부에서 분산되거나 또는 제 1 및 제 2 나노 규모의 극미립자 구조체들은 유전체 내부에 분산되어, 본 발명의 안테나 사용 체적이 소정의 감소 범위 내로 감소된 경우, 안테나 모듈은 VSWR값과 안테나 효율을 제 1 및 제 2 소정 범위로 각각 유지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Finally, if the nanoscale microparticulate structures are dispersed within the dielectric or the first and second nanoscale microparticulate structures are dispersed within the dielectric, the antenna usage volum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educed within a predetermined reduction range, The antenna module may be used to maintain the VSWR value and the antenna efficiency in the first and second predetermined ranges, respectively.

상기한 설명은 아래의 청구범위 내에 완전히 개시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려는 그 어떠한 의도나 능력 없이, 단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나타낼 뿐이다. 본 발명의 청구범위를 바탕으로 다양한 상응하는 변경, 개조 또는 수정은 따라서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간주된다.The foregoing description merely show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without any intention or ability to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as fully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Based on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corresponding alterations, modifications or modifications are therefore all considered to b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기판 유닛
2: 안테나 유닛
M: 안테나 유닛
10: 캐리어 기판
20: 안테나 트랙
100: 유전체
101, 101A, 101B: 극미립자 구조체
1010, 1010A, 1010B: 탄소 입자
1011, 1011A, 1011B: 절연 봉지층
200: 공급부
201: 접지부
1: substrate unit
2: antenna unit
M: antenna unit
10: carrier substrate
20: antenna track
100: dielectric
101, 101A, 101B: microparticle structure
1010, 1010A, 1010B: Carbon Particles
1011, 1011A, 1011B: insulation encapsulation layer
200: supply unit
201: grounding part

Claims (10)

안테나 사용 체적이 소정의 감소 범위 내로 감소된 경우 VSWR값과 안테나 효율을 제 1 및 제 2 소정 범위로 각각 유지시킬 수 있는 안테나 모듈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캐리어 기판을 포함하는 기판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캐리어 기판은 제 1 및 제 2 소정 범위 내의 VSWR값과 안테나 효율에 따라 실질적으로 7과 13 사이의 유전율(dielectric constant)을 가지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캐리어 기판은 유전체(dielectric body) 및 상기 유전체 내부에 분산된 다수의 나노 규모의 극미립자 구조체(microparticle structure)를 포함하고, 각각의 나노 규모의 극미립자 구조체는 적어도 하나의 나노 규모의 탄소 입자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나노 규모의 탄소 입자를 완전히 봉지(encapsulating)하기 위한 나노 규모의 절연 봉지층(encapsulation layer)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캐리어 기판 상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 트랙(antenna track)을 포함하는 안테나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 트랙은 제 1 및 제 2 소정 범위 내로 유지되는 VSWR값과 안테나 효율에 따라 소정의 체적 범위 내로 조절 가능한 안테나 사용 체적을 가지며, 상기 안테나 트랙은 적어도 하나의 공급부(feeding portion) 및 적어도 하나의 접지부(grounding portion)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모듈.
An antenna module capable of maintaining a VSWR value and an antenna efficiency in a first and a second predetermined range, respectively, when an antenna use volume is reduced within a predetermined reduction range,
A substrate unit comprising at least one carrier substrate, said at least one carrier substrate having a dielectric constant substantially between 7 and 13 depending on the VSWR value and antenna efficiency within the first and second predetermined ranges; The at least one carrier substrate comprises a dielectric body and a plurality of nanoscale microparticle structures dispersed within the dielectric, each nanoscale microparticle structure comprising at least one nanoscale A nanoscale encapsulation layer for completely encapsulating the at least one nanoscale carbon particle and the carbon particles of;
An antenna unit including at least one antenna track disposed on the at least one carrier substrate, wherein the at least one antenna track is maintained within a first and second predetermined range and antenna efficiency And an antenna usage volume adjustable within a predetermined volume range, wherein the antenna track has at least one feeding portion and at least one grounding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 규모의 극미립자 구조체들은 상기 유전체 내부에서 상호 분리되고 평균적으로 분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모듈.
The method of claim 1,
And said nanoscale microparticulate structures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averagely dispersed within said dielectric.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 규모의 극미립자 구조체들은 상기 유전체 내부에서 상호 인접하고 평균적으로 분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모듈.
The method of claim 1,
And said nanoscale microparticle structures are adjacent to each other and averagely dispersed within said dielectric.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 규모의 극미립자 구조체들의 일부는 상기 유전체 내부에서 상호 분리되고 평균적으로 분산되며, 그 밖의 나노 규모의 극미립자 구조체들은 상기 유전체 내부에서 상호 인접하고 평균적으로 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모듈.
The method of claim 1,
And wherein some of the nanoscale microparticulate structures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averagely dispersed within the dielectric, and other nanoscale microparticulate structures are adjacent to each other and averagely distributed within the dielectric.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 트랙은 상기 제 1 및 제 2 소정 범위 내로 유지되는 VSWR값과 안테나 효율에 따라 소정의 길이 범위 내로 조절 가능한 안테나 길이, 상기 제 1 및 제 2 소정 범위 내로 유지되는 VSWR값과 안테나 효율에 따라 소정의 높이 범위 내로 조절 가능한 안테나 높이, 및 균일한 안테나 두께를 가지며,
상기 안테나 길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 트랙의 최좌측으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 트랙의 최우측까지 연장되고, 상기 안테나 높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 트랙의 최상측으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 트랙의 최하측까지 연장되며, 안테나 높이와 안테나 두께를 곱한 안테나 길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 트랙의 안테나 사용 체적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모듈.
The method of claim 1,
The at least one antenna track is an antenna length adjustable within a predetermined length range according to a VSWR value maintained within the first and second predetermined ranges and an antenna efficiency, a VSWR value maintained within the first and second predetermined ranges and an antenna Antenna height adjustable within a predetermined height range according to efficiency, and uniform antenna thickness,
The antenna length extends from the leftmost side of the at least one antenna track to the rightmost side of the at least one antenna track, and the antenna height extends from the uppermost side of the at least one antenna track to the lowermost side of the at least one antenna track. And an antenna length multiplied by an antenna height and an antenna thickness is equal to an antenna usage volume of said at least one antenna track.
안테나 사용 체적이 소정의 감소 범위 내로 감소된 경우 VSWR값과 안테나 효율을 제 1 및 제 2 소정 범위로 각각 유지시킬 수 있는 안테나 모듈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캐리어 기판을 포함하는 기판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캐리어 기판은 제 1 및 제 2 소정 범위 내의 VSWR값과 안테나 효율에 따라 실질적으로 7과 13 사이의 유전율을 가지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캐리어 기판은 유전체, 상기 유전체 내부에 분산된 다수의 제 1 나노 규모의 극미립자 구조체, 및 상기 유전체 내부에 분산된 다수의 제 2 나노 규모의 극미립자 구조체를 포함하고, 각각의 제 1 나노 규모의 극미립자 구조체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나노 규모의 탄소 입자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나노 규모의 탄소 입자를 완전히 봉지하기 위한 제 1 나노 규모의 절연 봉지층을 포함하며, 각각의 제 2 나노 규모의 극미립자 구조체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나노 규모의 탄소 입자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나노 규모의 탄소 입자를 완전히 봉지하기 위한 제 2 나노 규모의 절연 봉지층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캐리어 기판 상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 트랙을 포함하는 안테나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 트랙은 상기 제 1 및 제 2 소정 범위 내로 유지되는 VSWR값과 안테나 효율에 따라 소정의 체적 범위 내로 조절 가능한 안테나 사용 체적을 가지며, 상기 안테나 트랙은 적어도 하나의 공급부 및 적어도 하나의 접지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모듈.
An antenna module capable of maintaining a VSWR value and an antenna efficiency in a first and a second predetermined range, respectively, when an antenna use volume is reduced within a predetermined reduction range,
A substrate unit comprising at least one carrier substrate, said at least one carrier substrate having a dielectric constant substantially between 7 and 13, depending on the VSWR value and antenna efficiency within the first and second predetermined ranges; A carrier substrate comprises a dielectric, a plurality of first nanoscale microparticulate structures dispersed within the dielectric, and a plurality of second nanoscale microparticulate structures dispersed within the dielectric, each first nanoscale The microparticulate structure of includes at least one first nanoscale carbon particle and a first nanoscale insulating encapsulation layer for completely encapsulating the at least one first nanoscale carbon particle, each second nanoscale The ultrafine structure of the at least one second nanoscale carbon particles and the at least one second nanoscale carbon particles completely A second nano-scale of the insulating encapsulation layer to the support;
An antenna unit including at least one antenna track disposed on the at least one carrier substrate, wherein the at least one antenna track is predetermined according to a VSWR value and antenna efficiency maintained within the first and second predetermined ranges; And an antenna usage volume that is adjustable within the volume range of the antenna track, wherein the antenna track has at least one supply and at least one ground.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나노 규모의 극미립자 구조체들은 상기 유전체 내부에서 상호 분리되고 평균적으로 분산되며, 상기 제 2 나노 규모의 극미립자 구조체들은 상기 유전체 내부에서 상호 분리되고 평균적으로 분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And wherein the first nanoscale microparticulate structures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averagely dispersed within the dielectric, and the second nanoscale microparticulate structures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averagely distributed within the dielectric.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나노 규모의 극미립자 구조체들은 상기 유전체 내부에서 상호 인접하고 평균적으로 분산되며, 상기 제 2 나노 규모의 극미립자 구조체들은 상기 유전체 내부에서 상호 인접하고 평균적으로 분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And wherein the first nanoscale microparticle structures are adjacent to each other and averagely dispersed within the dielectric, and the second nanoscale microparticle structures are adjacent to each other and averagely dispersed within the dielectric.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나노 규모의 극미립자 구조체들의 일부는 상기 유전체 내부에서 상호 분리되고 평균적으로 분산되며, 그 밖의 제 1 나노 규모의 극미립자 구조체들은 상기 유전체 내부에서 상호 인접하고 평균적으로 분산되며, 상기 제 2 나노 규모의 극미립자 구조체들의 일부는 유전체 내부에서 상호 분리되고 평균적으로 분산되며, 그 밖의 제 2 나노 규모의 극미립자 구조체들은 상기 유전체 내부에서 상호 인접하고 평균적으로 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Some of the first nanoscale microparticulate structures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averagely dispersed within the dielectric, and other first nanoscale microparticulate structures are adjacent to each other and averagely dispersed within the dielectric, and the second And wherein some of the nanoscale microparticulate structures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averagely dispersed within the dielectric, and the other second nanoscale microparticulate structures are adjacent to each other and averagely distributed within the dielectric.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 트랙은 제 1 및 제 2 소정 범위 내로 유지되는 VSWR값과 안테나 효율에 따라 소정의 길이 범위 내로 조절 가능한 안테나 길이, 상기 제 1 및 제 2 소정 범위 내로 유지되는 VSWR값과 안테나 효율에 따라 소정의 높이 범위 내로 조절 가능한 안테나 높이, 및 균일한 안테나 두께를 가지며,
상기 안테나 길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 트랙의 최좌측으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 트랙의 최우측까지 연장되고, 상기 안테나 높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 트랙의 최상측으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 트랙의 최하측까지 연장되며, 안테나 높이와 안테나 두께를 곱한 안테나 길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 트랙의 안테나 사용 체적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at least one antenna track has a VSWR value maintained within a first and second predetermined range and an antenna length adjustable within a predetermined length range according to the antenna efficiency, a VSWR value maintained within the first and second predetermined range and an antenna efficiency. According to the antenna height adjustable within a predetermined height range, and has a uniform antenna thickness,
The antenna length extends from the leftmost side of the at least one antenna track to the rightmost side of the at least one antenna track, and the antenna height extends from the uppermost side of the at least one antenna track to the lowermost side of the at least one antenna track. And an antenna length multiplied by an antenna height and an antenna thickness is equal to an antenna usage volume of said at least one antenna track.
KR1020120098847A 2011-12-09 2012-09-06 Antenna module KR101308344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100145549A TWI497822B (en) 2011-12-09 2011-12-09 Antenna module capable of respectively maintaining the vswr value and the antenna efficiency within a first and a second predetermined ranges when the antenna usage volume be reduced within a predetermined reduction range
TW100145549 2011-12-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5578A true KR20130065578A (en) 2013-06-19
KR101308344B1 KR101308344B1 (en) 2013-09-17

Family

ID=485888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8847A KR101308344B1 (en) 2011-12-09 2012-09-06 Antenna module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308344B1 (en)
CN (1) CN103165979B (en)
TW (1) TWI497822B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5100897B4 (en) 2014-01-24 2023-05-17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Vehicle radio antenna and method of making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46858B (en) * 2018-02-11 2020-08-25 苏州大学 Method, device and equipment for controlling scattering directivity of nonlinear nano antenna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85623A (en) * 1992-05-29 1995-01-31 Hexcel Corporation Method for making a material with artificial dielectric constant
US6621373B1 (en) * 2000-05-26 2003-09-16 Rambu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utilizing a lossy dielectric substrate in a high speed digital system
WO2002100931A1 (en) 2001-06-08 2002-12-19 Eikos, Inc. Nanocomposite dielectrics
CN1264371C (en) * 2002-08-07 2006-07-12 财团法人工业技术研究院 Folding double frequency monopolar antenna
US6917335B2 (en) * 2002-11-08 2005-07-12 Centurion Wireless Technologies, Inc. Antenna with shorted active and passive planar loops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CN100379085C (en) * 2004-06-22 2008-04-02 明基电通股份有限公司 Antenna device and mobile unit therewith
CN1838345A (en) * 2005-03-22 2006-09-27 株式会社东芝 Antenna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ntenna device
KR101133057B1 (en) * 2006-12-28 2012-04-04 주식회사 엘지화학 High dielectric composite composition
CN101373855B (en) * 2007-08-24 2013-01-02 华硕电脑股份有限公司 Antenna structure
CN101557034B (en) * 2008-04-08 2013-08-21 光宝电子(广州)有限公司 Double-feed-in double-frequency antenna
JP2010244735A (en) 2009-04-02 2010-10-28 Sharp Corp Electron emission element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TWM395265U (en) * 2010-06-09 2010-12-21 Auden Technology Corp Having antenna signal indication function of antenna modul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5100897B4 (en) 2014-01-24 2023-05-17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Vehicle radio antenna and method of mak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165979A (en) 2013-06-19
KR101308344B1 (en) 2013-09-17
CN103165979B (en) 2015-07-01
TW201324947A (en) 2013-06-16
TWI497822B (en) 2015-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asaran et al. Multiband monopole antenna with complementary split‐ring resonators for WLAN and WiMAX applications
US9480162B2 (en) Circuit board with integrated passive devices
US7002217B2 (en) Electrostatic discharge mitigation structure and methods thereof using a dissipative capacitor with voltage dependent resistive material
TWI663777B (en) Antenna structure
TW200701854A (en) Communication circuit module
Gautam et al. A CPW‐fed hexagonal‐shape monopole‐like UWB antenna
Pierantoni et al. Graphene-based electronically tuneable microstrip attenuator
JP2008277755A (en) Electromagnetic bandgap structure and printed circuit board
US9979073B2 (en) Wireless device
US20070222534A1 (en) Active nonlinear transmission line
US7479015B2 (en) Socket assembly that includes improved contact arrangement
Hong et al. Dual‐band dual‐mode patch antenna for on–on–off WBAN applications
KR101308344B1 (en) Antenna module
CN103311658B (en) Antenna assembly
US10637145B2 (en) Stacked antenna module
Zhang et al. Stacked series‐fed linear array antenna with reduced sidelobe
Liu et al. Uniplanar dual‐band printed compound loop antenna for WLAN/WiMAX applications
Seo et al. Reconfigurable square ring antenna for switchable circular polarisation
Zhang et al. Bandwidth enhancement of ground antenna using resonant feeding circuit
US8040201B2 (en) Substrate having a structure for suppressing noise generated in a power plane and/or a ground plane, and an electronic system including the same
Zhao et al. Design of a compact patch antenna using split‐ring resonator embedded substrate
TWI505561B (en) Antenna
CN109390696B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stacked antenna module thereof
Zhu et al. Modified corner‐fed dual‐polarised stacked patch antenna for micro‐base station applications
Seo et al. Design of compact dual‐meander antenna for WLAN oper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