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61408A - 컨텐츠를 분할하여 표시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컨텐츠를 분할하여 표시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61408A
KR20130061408A KR1020110127699A KR20110127699A KR20130061408A KR 20130061408 A KR20130061408 A KR 20130061408A KR 1020110127699 A KR1020110127699 A KR 1020110127699A KR 20110127699 A KR20110127699 A KR 20110127699A KR 20130061408 A KR20130061408 A KR 201300614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sub
command
displaying
cont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76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01232B1 (ko
Inventor
이은혜
전진영
강민구
김진용
안지현
양창모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276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1232B1/ko
Priority to US13/689,057 priority patent/US8818166B2/en
Priority to CN201210510282.0A priority patent/CN103218216B/zh
Publication of KR201300614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1408A/ko
Priority to US14/454,895 priority patent/US9496004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12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12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the same track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081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the same track as the main recording used signal is a video-frame or a video-field (P.I.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8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 H04N5/782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on tape
    • H04N5/783Adaptations for reproducing at a rate different from the recording rat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05Reproducing at a different information rate from the information rate of recor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6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displaying supplemental content in a region of the screen, e.g. an advertisement in a separate windo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17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controlling playback functions for recorded or on-demand content, e.g. using progress bars, mode or play-point indicators or bookma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컨텐츠를 분할하여 표시하는 방법 및 장치에 대한 것으로, 컨텐츠 분할 표시 방법은 원본 컨텐츠를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분할한 서브 컨텐츠를 추출하는 서브 컨텐츠 추출단계; 서브 컨텐츠 표시 명령 수신시, 서브 컨텐츠 전체를 동시에 표시하는 서브 컨텐츠 표시단계; 임의의 서브 컨텐츠에 대하여 재생시점을 선택하는 점프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및 원본 컨텐츠를 재생시점부터 재생하여 표시하는 점프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원본 컨텐츠를 미리 설정한 시간 간격으로 분할한 복수의 서브 컨텐츠가 동시에 표시되므로, 사용자는 원본 컨텐츠 전체를 검색할 필요없이 원하는 장면을 쉽게 검색할 수 있다.

Description

컨텐츠를 분할하여 표시하는 방법 및 장치 {METHOD AND APPARATUS FOR DIVIDING AND DISPLAYING CONTENTS}
본 발명은 컨텐츠를 분할하여 표시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컨텐츠를 검색하고 원하는 장면으로 이동할 수 있는 방법과 이를 지원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동영상 재생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특정 시점으로 이동하기 위해서는 재생시간 전체의 검색을 요구하는 문제가 있었다. 즉, 특정 장면을 검색하기를 원하는 사용자는 동영상 재생화면 하단의 되감기(rewinding), 빨리감기(fast forwarding), 재생(playing) 또는 정지(pause)하는 메뉴를 이용하여 전체 컨텐츠를 돌려보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위와 같은 방법은 컨텐츠의 재생시간이 길 경우 검색과 이동이 쉽지 않은 문제가 생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원본 컨텐츠를 시간 간격으로 분할한 복수의 서브 컨텐츠를 동시에 표시하여 용이하게 검색 및 이동을 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직관적인 조작만으로 다수의 서브 컨텐츠를 동시에 탐색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컨텐츠 분할 표시 방법은 원본 컨텐츠를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분할한 서브 컨텐츠를 추출하는 서브 컨텐츠 추출단계, 서브 컨텐츠 표시 명령 수신시, 서브 컨텐츠 전체를 동시에 표시하는 서브 컨텐츠 표시단계, 임의의 서브 컨텐츠에 대하여 재생시점을 선택하는 점프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및 원본 컨텐츠를 재생시점부터 재생하여 표시하는 점프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컨텐츠 분할 표시 장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 표시부 및 원본 컨텐츠를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분할하여 서브 컨텐츠를 추출하고, 서브 컨텐츠 표시 명령을 수신하면 서브 컨텐츠 전체를 동시에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서브 컨텐츠에 대하여 재생시점을 선택하는 점프명령을 수신하면, 원본 컨텐츠를 재생시점부터 재생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원본 컨텐츠를 미리 설정한 시간 간격으로 분할한 복수의 서브 컨텐츠가 동시에 표시되므로, 사용자는 원본 컨텐츠 전체를 검색할 필요없이 원하는 장면을 쉽게 검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서브 컨텐츠를 대표하는 무빙 썸네일 파일을 별도로 생성할 수 있으므로, 컨텐츠 표시 장치의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분할 표시 장치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2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원본 컨텐츠를 분할하여 표시하고 특정 재생시점으로 이동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순서도.
도 3은 서브 컨텐츠를 동시에 표시하는 도 2의 단계 230의 구체적인 그래픽 인터페이스의 예시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서브 컨텐츠를 탐색하는 도 2의 단계 240의 구체적인 수행과정을 도시하는 순서도.
도 5는 서브 컨텐츠 전체에 대해서 탐색명령을 실행하는 예시를 도시하는 도면.
도 6는 선택한 서브 컨텐츠에 대해서만 탐색명령을 실행하는 예시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서브 컨텐츠의 재생가능한 숫자를 3개로 미리 설정한 경우 탐색명령을 실행하는 예시를 도시하는 도면.
도 8는 탐색명령을 구현하는 제스처의 다른 예시를 도시하는 도면.
도 9a와 9b는 점프명령을 수신하는 그래픽 인터페이스의 예시를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서브 컨텐츠를 대표하는 무빙 썸네일을 추출하여 탐색명령, 점프명령을 실행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순서도.
도 11은 서브 컨텐츠와 무빙 썸네일 파일의 데이터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본 명세서에서 컨텐츠란 디지털이나 아날로그 기반으로 재생 가능한 컨텐츠를 의미하며 재생시간이 존재하는 동영상이나 음원 등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나아가 본 명세서의 서브 컨텐츠란 원본 컨텐츠의 전체 재생시간을 시간 간격으로 분할하여 추출한 컨텐츠로서 별도의 파일을 이룰 수 있다. 하나의 원본 컨텐츠로부터 제1, 제2, 제 3 등 다수의 서브 컨텐츠가 추출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무빙 썸네일이란 하나의 원본 컨텐츠로부터 나누어진 각각의 서브 컨텐츠의 일부 재생시간을 구성하는 프레임을 추출한 것으로, 상기 서브 컨텐츠를 대표할 수 있는 것을 말한다.
본 발명은 이하에 기재되는 실시예들의 설명 내용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그리고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널리 알려져 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와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부호로 표현된다. 그리고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될 수도 있다. 이는 본 발명의 요지와 관련이 없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명확히 설명하기 위함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를 분할하여 표시하는 장치(100)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분할 표시 장치(100)는 입력부(120), 저장부(130), 터치스크린부(140) 및 제어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컨텐츠 표시 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고 입력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50)에 전달한다. 입력부(120)는 숫자 키, 방향키를 포함하는 키패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컨텐츠 표시 장치(100)의 일면에 소정의 기능키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선호되는 실시예에서 컨텐츠 표시 장치(100)는 터치스크린부(140)만으로 모든 조작이 가능하다. 이 경우 터치센서부(143)가 입력부(120)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저장부(130)는 컨텐츠 표시장치(100)의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프로그램 영역과 데이터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프로그램 영역은 컨텐츠 표시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그램 및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 등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 소리 재생 기능, 이미지 또는 동영상 재생 기능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 등을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데이터 영역은 컨텐츠 표시장치(100)의 사용에 따라 발생하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영역으로서, 각종 멀티 미디어 컨텐츠를 저장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부(140)는 터치센서부(143) 및 표시부(146)를 포함한다. 터치센서부(131)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한다. 터치센서부(131)는 정전용량 방식(capacitive overlay), 압력식 저항막 방식(resistive overlay), 적외선 감지 방식(infrared beam) 등의 터치 감지 센서로 구성되거나, 압력 감지 센서(pressure sensor)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센서들 이외에도 물체의 접촉 또는 압력을 감지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센서 기기가 본 발명의 터치센서부(143)로 구성될 수 있다. 터치센서부(143)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고, 감지 신호를 발생시켜 제어부(160)로 전송한다. 상기 감지 신호에는 사용자가 터치를 입력한 좌표 데이터가 포함된다. 사용자가 터치 위치 이동 동작을 입력한 경우에 터치센서부(143)는 터치 위치 이동 경로의 좌표 데이터를 포함한 감지 신호를 발생시켜 제어부(160)로 전송한다.
특히, 터치센서부(143)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서브 컨텐츠 표시 명령, 재생시점을 선택하는 점프 명령, 서브 컨텐츠를 되감기(rewinding), 빨리감기 (fast forwarding), 재생(playing) 또는 정지(pause)하는 탐색명령을 감지할 수 있다.
표시부(146)는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능동형 유기 발광 다이오드(AMOLED, 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컨텐츠 표시장치(100)의 메뉴, 입력된 데이터, 기능 설정 정보 및 기타 다양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표시부(146)는 특히 컨텐츠를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어부(150)는 컨텐츠 표시장치(100)의 각 구성요소에 대한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컨텐츠 표시장치(100)에서 제어부(150)는 원본 컨텐츠로부터 서브 컨텐츠를 추출하고, 서브 컨텐츠를 표시하며, 점프명령을 수신하여 원본 컨텐츠를 특정 재생시점부터 재생하여 표시하는 일련의 과정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원본 컨텐츠를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분할하여 서브 컨텐츠를 추출하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어 원본 컨텐츠의 전체 재생시간이 60분인 경우, 제어부(150)는 원본 컨텐츠의 재생시간을 10분씩 분할하여 6개의 서브 컨텐츠를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어부(150)는 하나의 원본 컨텐츠로부터 추출할 서브 컨텐츠의 개수를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받아 설정할 수 있다. 위의 예에서 원본 컨텐츠의 재생시간이 60분이고, 사용자가 서브 컨텐츠의 추출 개수를 3으로 입력하면, 제어부(150)는 원본 컨텐츠의 재생시간을 20분씩 분할하여 3개의 서브 컨텐츠를 추출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입력부(120)가 수신한 사용자 입력이 서브 컨텐츠 표시 명령인지 확인하고, 서브 컨텐츠 표시 명령인 경우 상기 추출한 서브 컨텐츠 전체를 동시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50)는 원본 컨텐츠 재생화면에 대한 일정시간 지속되는 터치입력을 서브 컨텐츠 표시명령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제어부(150)는 원본 컨텐츠 재생화면에서 서브 컨텐츠 를 표시하는 화면으로 전환하도록 표시부(146)를 제어한다. 이러한 서브 컨텐츠를 표시하는 구체적인 예시는 첨부된 도면과 함께 후술된다.
나아가 제어부(150)는 입력부(120)가 수신한 사용자 입력이 서브 컨텐츠 탐색 명령인지 확인하고, 탐색 명령인 경우 서브 컨텐츠의 탐색명령 실행화면을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탐색명령은 서브 컨텐츠에 대하여 되감기(rewinding), 빨리감기 (fast forwarding), 재생(playing) 또는 정지(pause)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어부(150)는 컨텐츠 표시장치(100)의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재생모드로 표시할 수 있는 서브 컨텐츠의 개수를 미리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50)가 재생모드로 표시할 수 있는 서브 컨텐츠의 개수를 3개로 미리 설정한 경우가 있다. 이때, 사용자가 3개의 서브 컨텐츠에 대해 재생명령을 내린 이후, 또다른 서브 컨텐츠에 대해 재생명령을 내리면, 제어부(150)는 사용자가 첫번째 선택한 서브 컨텐츠는 정지모드로 변환하고 2,3,4번째 선택한 서브 컨텐츠는 재생모드로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이러한 서브 컨텐츠의 탐색명령을 실행하는 화면을 표시하는 구체적인 예시는 첨부된 도면과 함께 후술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어부(150)는 입력부(120)가 수신한 사용자 입력이 재생시점을 선택하는 점프명령인지 확인하고, 점프명령인 경우 화면을 전환하여 원본 컨텐츠를 상기 선택한 재생시점부터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50)는 서브 컨텐츠에 대해 일정시간 지속되는 터치입력을 점프명령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제어부(150)는 서브 컨텐츠 표시화면에서 원본 컨텐츠 표시화면으로 전환하는데, 원본 컨텐츠를 점프명령 수신시점의 재생시간부터 재생모드로 표시하도록 표시부(146)를 제어한다.
한편, 제어부(150)는 컨텐츠 표시장치(100)의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서브 컨텐츠를 대표하는 무빙 썸네일 파일을 별도로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이러한 무빙 썸네일 파일을 하나의 원본 컨텐츠로부터 나누어진 각각의 서브 컨텐츠의 일부 재생시간을 구성하는 프레임을 추출하여 생성한다.
예를 들어 100분짜리 원본 컨텐츠로부터, 10분짜리 10개의 서브 컨텐츠를 추출한 경우, 제어부(150)는 각 서브 컨텐츠의 앞부분 1분에 대한 프레임만을 추출하여 10분짜리 무빙썸네일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무빙 썸네일 파일은 파일 싸이즈가 1/10밖에 되지 않으므로 서브 컨텐츠 전체를 재생하는 것보다 훨씬 로드가 적은 이점이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원본 컨텐츠를 분할하여 표시하고 특정 재생시점으로 이동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우선, 단계 210에서 컨텐츠 표시장치(100)의 제어부(150)는 원본 컨텐츠로부터 서브 컨텐츠를 추출한다. 원본 컨텐츠를 미리 설정한 시간 간격으로 분할하여 서브 컨텐츠를 추출하는 것이다. 또한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어부(150)는 하나의 원본 컨텐츠로부터 추출할 서브 컨텐츠의 개수를 사용자가 선택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서브 컨텐츠 추출단계는 단계 230 이전에 수행되기만 하면 단계 220 이후에도 수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 220에서 컨텐츠 표시장치(100)의 제어부(150)는 입력부(120)가 수신한 사용자 입력이 서브 컨텐츠 표시 명령인지 확인한다. 이러한 서브 컨텐츠 표시 명령은 원본 컨텐츠 재생화면에 대해 일정시간 지속되는 터치입력으로 설정될 수 있다. 서브 컨텐츠 표시 명령이 수신된 경우, 단계 230에서 제어부는 복수의 서브 컨텐츠를 동시에 표시하도록 표시부(146)를 제어한다.
서브 컨텐츠 표시 명령을 수신하여, 서브 컨텐츠를 동시에 표시하는 구체적인 그래픽 인터페이스의 예시가 도 3에서 도시된다.
도 3a와 도 3c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서브 컨텐츠 표시 명령은 원본 컨텐츠 표시화면에 대해 일정시간 지속되는 터치 입력으로 예시할 수 있다. 도 3b와 도 3d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서브 컨텐츠 표시 명령을 수신하면, 원본 컨텐츠 표시화면에서 서브 컨텐츠 표시화면으로 화면이 전환된다.
도 3b는 하나의 원본 컨텐츠로부터 9개의 서브 컨텐츠를 추출한 경우이며, 9개의 서브 컨텐츠 전체를 정지모드로 표시한 예시이다.
한편, 도 3d는 하나의 원본 컨텐츠로부터 20개의 서브 컨텐츠를 추출한 경우이다. 그리고 서브 컨텐츠 표시 명령 수신시점이 포함된 서브 컨텐츠, 즉 제 12 서브 컨텐츠는 재생모드로 표시되고 나머지 서브 컨텐츠는 정지모드로 표시된 예시이다.
다시 도 2의 설명으로 복귀하면, 단계 240에서 제어부(150)는 입력부(120)가 수신한 사용자 입력이 서브 컨텐츠에 대한 탐색 명령인지 확인하고, 탐색명령인 경우 이를 실행하는 화면을 표시하도록 표시부(146)를 제어한다. 이러한 탐색명령은 서브 컨텐츠 전체 또는 일부에 대해서 되감기(rewinding), 빨리감기 (fast forwarding), 재생(playing) 또는 정지(pause)하기 위한 명령인데, 이를 실행하는 구체적인 과정은 도 4에 도시된다.
도 4는 도 2의 단계 240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단계 410에서 사용자가 서브 컨텐츠를 선택하고, 단계 420에서 탐색명령을 발신하는 경우, 제어부(150)는 사용자가 선택한 서브 컨텐츠에 대해 탐색명령을 실행한다. (단계 430) 이는 서브 컨텐츠의 일부에 대해서만 탐색명령을 실행하는 경우이다. 한편, 단계 410에서 사용자가 서브 컨텐츠를 선택하지 않고, 단계 440에서 탐색명령을 발신하는 경우, 제어부(150)는 서브 컨텐츠 전체에 대해 탐색명령을 실행한다. (단계 450)
탐색명령을 수신하여 이를 실행하는 예시가 도 5 내지 도 8에서 도시된다.
도 5는 서브 컨텐츠 전체에 대해서 탐색명령을 실행하는 예시이다. 도 5 a와 같이 사용자가 서브 컨텐츠를 선택하지 않고 재생 아이콘을 터치 입력하면, 도 5b와 같이 서브 컨텐츠 전체가 재생된다. 이후, 도 5c와 같이 사용자가 두번째 탐색명령으로 되감기 아이콘을 터치 입력하면, 도 5d와 같이 서브 컨텐츠 전체가 되감기된다.
도 6는 서브 컨텐츠 일부에 대해서 탐색명령을 실행하는 예시로서, 서브 컨텐츠에 대한 터치 입력이 해당 서브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탐색명령으로 설정된 경우이다. 도 6a와 같이 제 12 서브 컨텐츠가 재생되고 있는 도중에 사용자가 제 8 서브 컨텐츠를 터치 입력하면, 도 6b와 같이 제 12 서브 컨텐츠는 정지되고 제 8 서브 컨텐츠가 재생된다. 이후, 도 6c와 같이 사용자가 두번째 탐색명령으로 제 14 서브 컨텐츠를 터치 입력하면, 도 6d와 같이 제 8 서브 컨텐츠는 정지하고, 제 14 서브 컨텐츠가 재생된다.
도 7은 재생모드로 표시할 수 있는 서브 컨텐츠의 개수를 미리 설정한 경우 탐색명령을 실행하는 예시이다. 이는 컨텐츠 표시장치(100)의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 도 7은 재생모드로 표시할 수 있는 서브 컨텐츠의 개수를 3개로 미리 설정한 경우이다.
도 7a와 같이 사용자가 제 2, 제 5, 제 6 서브 컨텐츠 순서로 터치 입력하면, 도 7b와 같이 선택한 제 2, 제 5, 제 6 서브 컨텐츠는 재생모드로 표시된다. 이후, 도 7c와 같이 사용자가 제 7 서브 컨텐츠에 대해 터치입력을 하면, 도 7d와 같이 처음으로 재생명령을 받은 제 2 서브 컨텐츠는 정지하고 제 5, 제 6, 제 7 서브 컨텐츠는 재생모드로 표시된다.
도 8은 탐색명령을 구현하는 제스처의 다른 예시이다. 탐색명령은 도 8과 같이 터치입력에 연속된 드래그 입력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제스처는 정지모드와 재생모드가 완만한 전환되기 위한 탐색명령으로 설정될 수 있다.
도 8 a와 같이 사용자가 제 12 서브 컨텐츠를 터치입력하고, 도 8b와 같이 연속하여 제 8 서브 컨텐츠 방향으로 드래그 입력을 한 경우 제 12 서브 컨텐츠의 재생모드는 점차 느려지면서 정지모드로 바뀌며, 제 8 서브 컨텐츠는 정지모드에서 점차 빨라지면서 재생모드로 표시된다.
이후 도 8c와 같이 두번째 탐색명령으로 제 12 서브컨텐츠를 터치입력하고 연속하여 제 9 서브 컨텐츠 방향으로 드래그 입력을 한 경우 제 8 서브 컨텐츠의 재생모드는 점차 느려지면서 정지모드로 바뀌며 제 12 서브 컨텐츠는 정지모드에서 점차 빨라지면서 재생모드로 표시된다.
다시 도 2의 설명으로 복귀하면, 단계 250에서 제어부(150)는 입력부(120)가 수신한 사용자 입력이 재생시점을 선택하는 점프명령인지 확인한다. 점프명령인 경우 단계 260에서 제어부(150)는 원본 컨텐츠를 전체화면으로 표시하도록 표시부(146)를 제어한다.
점프명령은 서브 컨텐츠에 대한 일정기간 지속되는 터치입력으로 예시할 수 있다. 이러한 점프명령을 수신하면, 제어부(150)는 서브 컨텐츠 표시화면을 원본 컨텐츠 표시화면으로 전환한다. 그리고 원본 컨텐츠는 점프명령에서 선택한 재생시점부터 표시된다.
도 9는 점프명령을 수신하는 그래픽 인터페이스의 예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 와 같이 점프명령은 임의의 서브 컨텐츠에 대한 일정기간 지속되는 터치입력으로 예시될 수 있다.
도 9a는 되감기 모드의 서브 컨텐츠에 대해 점프명령을 수신한 경우인데, 구체적으로는 재생시간 01:15인 제 8 서브 컨텐츠에 대하여 일정기간 지속되는 터치입력이 수신되었다. 이 경우 서브 컨텐츠 표시화면은 원본 컨텐츠 표시 화면으로 전환되는데, 도 9a와 같이 재생시간 01:15 부터 원본 컨텐츠가 표시된다.
도 9b는 재생 모드의 서브 컨텐츠에 대해 점프명령을 수신한 경우인데, 구체적으로는 재생시간 01:07인 제 14 서브 컨텐츠에 대하여 일정기간 지속되는 터치 입력이 수신되었다. 이경우 서브 컨텐츠 표시화면은 원본 컨텐츠 표시 화면으로 전환되는데, 도 9b와 같이 재생시간 01:07 부터 원본 컨텐츠가 표시된다.
한편 도 9의 예시는 서브 컨텐츠를 표시하기 위한 것은 물론, 다수의 방송 채널을 동시에 표시하고 채널을 변경하는 인터페이스로도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a와 같이 9개의 방송채널을 하나의 화면에 표시하고, 제 8 채널을 사용자가 선택하면 제 8채널로 채널을 변경하는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서브 컨텐츠를 대표하는 무빙 썸네일을 추출하여 탐색명령과 점프명령을 실행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무빙 썸네일 파일을 별도로 생성하는 이유는 컨텐츠 표시장치(100)의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것이다. 원본 컨텐츠를 분할하여 추출한 서브 컨텐츠보다 무빙 썸네일 파일의 사이즈가 훨씬 작기 때문에 이를 실행하기 위한 자원이 훨씬 적게 소요되기 때문이다.
단계 710에서 제어부(150)는 하나의 원본 컨텐츠로부터 나누어진 각각의 서브 컨텐츠의 일부 재생시간을 구성하는 프레임을 추출한다. 예를 들어 10분짜리 서브 컨텐츠에 대해 앞부분 10초만을 구성하는 프레임만을 추출하는 것이다. 이러한 무빙 썸네일 파일은 서브 컨텐츠에 비해 파일 싸이즈가 1/60밖에 되지 않으므로 표시 장치(100) 입장에서는 서브 컨텐츠 전체를 재생하는 것보다 훨씬 로드가 적은 이점이 있다.
그리고 단계 720에서 제어부(150)는 상기 프레임이 원래 위치하던 원본 컨텐츠의 주소와 각 프레임을 연결하는 매칭 테이블을 생성하여, 이후 단계 730에서 무빙 썸네일 파일을 생성한다.
제어부(150)는 단계 740에서 서브 컨텐츠 표시 명령을 수신하면, 단계 750에서 서브 컨텐츠를 대표하는 무빙 썸네일을 표시한다. 무빙 썸네일을 표시하는 그래픽 인터페이스는 도3a와 도 3b와 동일하나, 무빙 썸네일은 서브 컨텐츠의 앞부분만을 자른 것이므로 재생시간이 훨씬 짧은 차이만이 있다.
단계 760에서 제어부(150)는 무빙 썸네일에 대한 탐색명령을 수신하면 단계 770에서 탐색명령을 실행하는 화면을 표시하도록 표시부(146)를 제어한다. 무빙 썸네일의 탐색명령을 실행하는 그래픽 인터페이스는 도 5내지 도 8과 동일하나, 재생시간이 훨씬 짧은 차이만이 있다.
단계 780에서 제어부(150)는 무빙 썸네일에 대한 점프명령을 수신하면, 단계 790에서 매칭 테이블을 확인한다. 이는 점프 명령을 수신한 무빙 썸네일과 연결된 원본 컨텐츠의 재생 시점을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이후 제어부(150)는 단계 795에서 무빙 썸네일 표시화면을 원본 컨텐츠 표시 화면으로 전환한다. 그리고 원본 컨텐츠를 상기 확인한 재생시점부터 재생하여 표시하도록 표시부(146)를 제어한다.
도 11은 서브 컨텐츠와 무빙 썸네일 파일의 데이터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에서 도시되는 것과 같이 원본 컨텐츠의 전체 재생 시간을 5등분하여 5개의 서브 컨텐츠를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각 서브 컨텐츠의 앞 부분만을 추출하여 하나의 무빙 썸네일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특정 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고 있음을 인증하는 체크인 정보를 조건으로 하여 미디어 컨텐츠와 연계된 보상서비스를 제공 및 획득할 수 있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컨텐츠 표시 장치
120 : 입력부
130 : 저장부
140 : 터치 스크린부
143 : 터치센서부
146 : 표시부
150 : 제어부

Claims (14)

  1. 컨텐츠를 분할하여 표시하는 방법에 있어서,
    원본 컨텐츠를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분할한 서브 컨텐츠를 추출하는 서브 컨텐츠 추출단계;
    서브 컨텐츠 표시 명령 수신시, 상기 서브 컨텐츠 전체를 동시에 표시하는 서브 컨텐츠 표시단계;
    임의의 상기 서브 컨텐츠에 대하여 재생시점을 선택하는 점프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원본 컨텐츠를 상기 재생시점부터 재생하여 표시하는 점프단계를 포함하는 컨텐츠 분할 표시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컨텐츠 표시단계는,
    상기 서브 컨텐츠 전체를 정지모드로 표시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분할 표시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컨텐츠 표시단계는,
    상기 원본 컨텐츠의 재생 시간 중 상기 서브 컨텐츠 표시 명령의 수신 시점이 포함된 서브 컨텐츠는 재생 모드로 표시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분할 표시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컨텐츠 표시 단계 이전에, 상기 서브 컨텐츠의 일부 재생시간을 구성하는 프레임을 추출하여 상기 서브 컨텐츠를 대표하는 무빙 썸네일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서브 컨텐츠 표시 단계는 상기 무빙 썸네일 파일을 표시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분할 표시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점프명령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무빙 썸네일 파일에 대하여 상기 점프명령을 수신하는 단계이고,
    상기 점프단계는 상기 점프명령을 수신한 상기 무빙 썸네일 파일에 연결된 상기 원본 컨텐츠의 재생 시점을 확인하여, 상기 재생시점부터 상기 원본 컨텐츠를 재생하여 표시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분할 표시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컨텐츠 표시단계 이후에,
    임의의 상기 서브 컨텐츠에 대하여 되감기(rewinding), 빨리감기 (fast forwarding), 재생(playing) 또는 정지(pause)하는 탐색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임의의 서브 컨텐츠의 상기 탐색명령 실행 화면을 표시하는 탐색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분할 표시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탐색명령 수신 단계는 상기 서브 컨텐츠 중 상기 탐색명령을 실행할 서브 컨텐츠를 선택하는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탐색 단계는 상기 선택된 서브 컨텐츠에 대하여 상기 탐색명령을 실행하는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분할 표시 방법.
  8. 컨텐츠를 분할하여 표시하는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
    표시부; 및
    원본 컨텐츠를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분할하여 서브 컨텐츠를 추출하고, 서브 컨텐츠 표시 명령을 수신하면 상기 서브 컨텐츠 전체를 동시에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서브 컨텐츠에 대하여 재생시점을 선택하는 점프명령을 수신하면, 상기 원본 컨텐츠를 상기 재생시점부터 재생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컨텐츠 분할 표시장치.
  9.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서브 컨텐츠 표시 명령을 수신하면 상기 서브 컨텐츠 전체를 정지모드로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분할 표시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서브 컨텐츠 표시 명령을 수신하면, 상기 원본 컨텐츠의 재생 시간 중 상기 서브 컨텐츠 표시 명령의 수신 시점이 포함된 서브 컨텐츠는 재생 모드로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분할 표시 장치.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서브 컨텐츠의 일부 재생시간을 구성하는 프레임을 추출하여 상기 서브 컨텐츠를 대표하는 무빙 썸네일 파일을 생성하고,
    상기 서브 컨텐츠 표시 명령을 수신하면 상기 무빙 썸네일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분할 표시 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빙 썸네일 파일에 대하여 상기 점프명령을 수신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점프명령을 수신하면 상기 점프명령의 수신시점의 상기 무빙 썸네일 파일에 연결된 상기 원본 컨텐츠의 재생 시점을 확인하여, 상기 연결된 재생시점부터 상기 원본 컨텐츠를 재생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분할 표시 장치.
  13.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임의의 상기 서브 컨텐츠에 대하여 되감기(rewinding), 빨리감기 (fast forwarding), 재생(playing) 또는 정지(pause)하는 탐색명령을 수신하면, 상기 임의의 서브 컨텐츠의 상기 상기 탐색명령 실행 화면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분할 표시 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서브 컨텐츠 중 상기 탐색명령을 실행할 서브 컨텐츠를 선택하는 명령을 수신하면, 상기 선택된 서브 컨텐츠에 대하여 상기 탐색명령을 실행하는 화면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분할 표시 장치.
KR1020110127699A 2011-12-01 2011-12-01 컨텐츠를 분할하여 표시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9012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7699A KR101901232B1 (ko) 2011-12-01 2011-12-01 컨텐츠를 분할하여 표시하는 방법 및 장치
US13/689,057 US8818166B2 (en) 2011-12-01 2012-11-29 Method and apparatus for dividing and displaying contents
CN201210510282.0A CN103218216B (zh) 2011-12-01 2012-12-03 用于划分并显示内容的方法和设备
US14/454,895 US9496004B2 (en) 2011-12-01 2014-08-08 Method and apparatus for dividing and displaying content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7699A KR101901232B1 (ko) 2011-12-01 2011-12-01 컨텐츠를 분할하여 표시하는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1408A true KR20130061408A (ko) 2013-06-11
KR101901232B1 KR101901232B1 (ko) 2018-09-27

Family

ID=485240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7699A KR101901232B1 (ko) 2011-12-01 2011-12-01 컨텐츠를 분할하여 표시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8818166B2 (ko)
KR (1) KR101901232B1 (ko)
CN (1) CN103218216B (ko)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96419A (en) * 1987-06-16 1997-01-21 Canon Kabushiki Kaisha Video system using two different kinds of recording media
JP3209361B2 (ja) * 1991-04-25 2001-09-1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表示方法及び装置
US6278446B1 (en) * 1998-02-23 2001-08-21 Siemens Corporate Research, Inc. System for interactive organization and browsing of video
KR100555426B1 (ko) * 2002-12-27 2006-02-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비디오 콘텐트의 동적 탐색 방법 및 장치
KR100597398B1 (ko) * 2004-01-15 2006-07-06 삼성전자주식회사 비디오 클립을 검색하는 장치 및 방법
JP4386283B2 (ja) * 2005-03-28 2009-12-16 シャープ株式会社 動画分割表示装置
KR20070025335A (ko) 2005-09-01 2007-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 채널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영상기기 및 그 방법
KR101407634B1 (ko) 2007-09-20 2014-06-13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채널의 영상을 동시에 재생하는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218216A (zh) 2013-07-24
US8818166B2 (en) 2014-08-26
US20130142497A1 (en) 2013-06-06
CN103218216B (zh) 2017-11-14
KR101901232B1 (ko) 2018-09-27
US20140348487A1 (en) 2014-11-27
US9496004B2 (en) 2016-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03471B2 (en) Selectively coordinated audio player system
US1035992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function in touch device
US9411491B2 (en) Method for providing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and multimedia apparatus applying the same
US10622021B2 (en) Method and system for video editing
KR101344173B1 (ko) 텔레비전용 커서를 구현하는 기술
US20110265040A1 (en) Method for providing graphical user interface and mobile device adapted thereto
KR20110067492A (ko) Gui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멀티미디어 기기
JP5728235B2 (ja)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2022197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senting elements of a user interface
KR20120095299A (ko) 계층적 메뉴 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탐색하는 방법 및 장치
CN103853355A (zh) 电子设备操作方法及其操控设备
US2016025308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content by using line interaction
US11822776B2 (en) Methods, systems, and media for providing media guidance with contextual controls
KR20160040770A (ko) 컨텐츠 탐색 방법 및 장치
US9525854B2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JP6334774B2 (ja) 選択的に協調するオーディオプレーヤーシステム
KR20130061408A (ko) 컨텐츠를 분할하여 표시하는 방법 및 장치
JP6287320B2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KR101474297B1 (ko) 멀티미디어 장치 및 멀티미디어 장치에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방법
JP2018085150A (ja) 電子機器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00125784A (ko) 터치입력 방식의 전자기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30037417A (ko) 터치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사용자 단말을 통한 전자학습 동영상 컨텐츠 제어방법 및 장치
JP6630468B2 (ja) コンテンツ再生制御装置及びコンテンツ再生システム並びにコンテンツ再生方法及びコンテンツ再生プログラム
CN104123032A (zh) 电子装置控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