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57764A -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57764A
KR20130057764A KR1020110123668A KR20110123668A KR20130057764A KR 20130057764 A KR20130057764 A KR 20130057764A KR 1020110123668 A KR1020110123668 A KR 1020110123668A KR 20110123668 A KR20110123668 A KR 20110123668A KR 20130057764 A KR20130057764 A KR 201300577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reliability
deviation
user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36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236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57764A/ko
Priority to US13/590,404 priority patent/US20130135447A1/en
Priority to EP12186458.1A priority patent/EP2597612A1/en
Priority to CN2012104883921A priority patent/CN103139471A/zh
Publication of KR201300577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77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80Analysis of captured images to determine intrinsic or extrinsic camera parameters, i.e. camera calibration
    • G06T7/85Stereo camera calib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06Processing image signals
    • H04N13/133Equalising the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image components, e.g. their average brightness or colour bala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20Image signal generators
    • H04N13/204Image signal generators using stereoscopic image cameras
    • H04N13/239Image signal generators using stereoscopic image cameras using two 2D image sensors having a relative position equal to or related to the interocular dista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20Image signal generators
    • H04N13/296Synchronisation thereof; Control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촬영된 좌측 영상 및 우측 영상의 편차 정도로 신뢰도를 판단하여 일정 레벨 이상의 신뢰도가 확보되는 경우에만 보정 알고리즘을 사용할 수 있도록 가이드하고, 최종적으로 자동 보정 알고리즘이 적용된 영상을 확인하여 미세 조정까지 할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안정적으로 3D 영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은 좌측 및 우측 렌즈로부터 좌측 영상 및 우측 영상을 수신하여 촬영하는 단계, 촬영된 좌측 영상 대비 우측 영상의 SAD값을 연산하는 단계, SAD값이 가장 작은 위치가 평균에서 벗어난 정도에 따라, 좌측 영상 대비 우측 영상이 움직인 위치의 편차를 나타내는 신뢰도를 판단하는 단계 및 판단한 신뢰도에 따라 사용자의 재 촬영 여부를 유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2D 디지털 촬영 장치에 3D 컨버터 렌즈를 부착할 때 기구 공차에 따라 L, R 중심축이 이동하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의 수직 위치가 틀어지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디지털 촬영 장치에 3D 컨버터 렌즈 부착 시마다 L, R 영상을 비교 분석하여 중심축의 이동량을 연산하고 그 만큼 보정하는 루틴을 수행하고 있다. 자동으로 보정하지 않는 경우에는 보정용 렌즈 커버를 부착해서 사용자가 수동으로 보정할 수도 있다.
종래와 같이 3D 컨버터 렌즈를 부착하고 입력되는 영상의 패턴이 불확실한 경우에 수행되는 자동 중심축 보정이 오히려 영상을 더 왜곡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보정용 렌즈를 부착하는 경우는 3D 컨버터 렌즈 이외에 보정용 렌즈 커버를 추가적으로 구입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촬영된 좌측 영상 및 우측 영상의 편차 정도로 신뢰도를 판단하여 일정 레벨 이상의 신뢰도가 확보되는 경우에만 보정 알고리즘을 사용할 수 있도록 가이드하고, 최종적으로 자동 보정 알고리즘이 적용된 영상을 확인하여 미세 조정까지 할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안정적으로 3D 영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은 좌측 및 우측 렌즈로부터 좌측 영상 및 우측 영상을 수신하여 촬영하는 단계; 상기 촬영된 좌측 영상 대비 상기 우측 영상의 SAD값을 연산하는 단계; 상기 SAD값이 가장 작은 위치가 평균에서 벗어난 정도에 따라, 상기 좌측 영상 대비 상기 우측 영상이 움직인 위치의 편차를 나타내는 신뢰도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한 신뢰도에 따라 사용자의 재 촬영 여부를 유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판단한 신뢰도에 따라 사용자의 재 촬영 여부 유도를 메시지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재 촬영 여부를 유도하는 단계는 상기 판단한 신뢰도가 제1 기준값 미만인 경우 재 촬영을 유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재 촬영 여부를 유도하는 단계는 상기 판단한 신뢰도가 제1 기준값 이상 제2 기준값 미만인 경우 재 촬영을 추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재 촬영 여부를 유도하는 단계는 상기 판단한 신뢰도가 제2 기준값 이상인 경우 현 촬영 상태를 유지하도록 유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현 촬영 상태를 유지하도록 유도하는 단계 후, 상기 좌측 영상 대비 상기 우측 영상이 움직인 위치의 편차를 보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편차를 보정하는 단계는 상기 좌측 영상 대비 상기 우측 영상의 독출 시작 위치를 상기 편차만큼 이동하여 독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편차를 보정하는 단계 전, 상기 편차 보정 정도를 가이드 라인으로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편차를 보정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된 가이드 라인을 확인한 사용자가 상기 가이드 라인을 이동시켜 편차 보정 정도를 수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편차를 보정하는 단계 후, 상기 편차가 보정된 좌측 영상 및 우측 영상을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SAD값을 연산하는 단계는 상기 좌측 영상 내에서 위치가 서로 다른 N 개의 기준 블록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좌측 영상의 제1 내지 제N 기준 블록에 대응하는 상기 우측 영상 내의 블록을 이동 범위 내에서 이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1 내지 제N 기준 블록 및 상기 각 이동 블록의 픽셀간의 차에 대한 합으로써의 SAD 값을 연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신뢰도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우측 영상으로부터 가장 작은 SAD 값을 갖는 N개의 블록 위치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N개 블록 위치의 평균값을 연산하는 단계; 상기 평균값과 N개 각 블록에 대한 위치값의 평균적인 차이를 연산하는 단계; 및 상기 N개 각 블록에 대한 위치값의 평균이 상기 연산한 평균값에서 벗어난 정도가, 제1 기준값 미만이면 저신뢰도로 판단하고, 상기 제1 기준값 이상 제2 기준값 이하이면 중신뢰도로 판단하고, 상기 제2 기준값을 초과하면 고신뢰도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는 좌측 및 우측 렌즈로부터 촬영한 좌측 영상 및 우측 영상에 대해 상기 촬영된 좌측 영상 대비 상기 우측 영상의 SAD값을 연산하는 연산부; 상기 연산한 SAD값이 가장 작은 위치가 평균에서 벗어난 정도에 따라, 상기 좌측 영상 대비 상기 우측 영상이 움직인 위치의 편차를 나타내는 신뢰도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판단한 신뢰도에 따라 사용자의 재 촬영 여부를 유도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단한 신뢰도에 따라 사용자의 재 촬영 여부를 메시지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단부가 신뢰도를 제1 기준값 미만인 저신뢰도로 판단한 경우 재 촬영을 유도하고, 상기 판단부가 신뢰도를 제1 기준값 이상 제2 기준값 미만인 중신뢰도로 판단한 경우 재 촬영을 추천하며, 상기 판단부가 신뢰도를 제2 기준값 이상인 고신뢰도로 판단한 경우 현 촬영 상태를 유지하도록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단한 신뢰도가 제2 기준값 이상인 경우 현 촬영 상태를 유지하도록 유도하고, 상기 좌측 영상 대비 상기 우측 영상이 움직인 위치의 편차를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좌측 영상 대비 상기 우측 영상의 독출 시작 위치를 상기 편차만큼 이동하여 독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편차 보정 전에, 상기 편차 보정 정도를 가이드 라인으로 디스플레이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된 가이드 라인을 확인한 사용자가 상기 가이드 라인을 이동시켜 편차 보정 정도를 조정하는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보정 정도만큼 보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편차가 보정된 좌측 영상 및 우측 영상을 디스플레이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좌측 영상 및 우측 영상의 편차 정도로 신뢰도를 판단하여 일정 레벨 이상의 신뢰도가 확보되는 경우에만 보정 알고리즘을 사용할 수 있도록 가이드하고, 최종적으로 자동 보정 알고리즘이 적용된 영상을 확인하여 미세 조정까지 할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안정적으로 3D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3D 촬영된 영상의 수직 위치가 틀어진 예를 보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의 구성을 보이는 블록도 이다.
도 3은 임의의 좌측 및 우측 영상에서 SAD 알고리즘 수행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임의의 다른 좌측 및 우측 영상에서 SAD 알고리즘 수행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은 도 1에서 디지털 신호 처리부(300)의 상세도 이다.
도 6은 도 5에서 SAD 연산 및 신뢰도 판단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5에서 신뢰도 판단에 따른 재 촬영 유도 여부를 메시지로 출력한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1에서 편차 보정 정도를 가이드 라인으로 표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1에서 편차 보정 결과를 보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을 보이는 흐름도 이다.
도 11은 도 10 중 SAD 알고리즘 동작 방법을 보이는 흐름도 이다.
도 12는 도 10 중 SAD 신뢰도 판단 방법을 보이는 흐름도 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기능적인 블록 구성들 및 다양한 처리 단계들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이러한 기능 블록들은 특정 기능들을 실행하는 다양한 개수의 하드웨어 또는/및 소프트웨어 구성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의 제어 또는 다른 제어 장치들에 의해서 다양한 기능들을 실행할 수 있는, 메모리, 프로세싱, 로직(logic), 룩업 테이블(look-up table) 등과 같은 직접 회로 구성들을 채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의 구성 요소들이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밍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들로 실행될 수 잇는 것과 유사하게, 본 발명은 데이터 구조, 프로세스들, 루틴들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구성들의 조합으로 구현되는 다양한 알고리즘을 포함하여, C, C++, 자바(Java), 어셈블러(assembler) 등과 같은 프로그래밍 또는 스크립팅 언어로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측면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서 실행되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자적인 환경 설정, 신호 처리, 및/또는 데이터 처리 등을 위하여 종래 기술을 채용할 수 있다. 매커니즘, 요소, 수단, 구성과 같은 용어는 넓게 사용될 수 있으며, 기계적이고 물리적인 구성들로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는 프로세서 등과 연계하여 소프트웨어의 일련의 처리들(routines)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의 구성을 보이는 블록도로서, 디지털 촬영 장치의 일 실시 예로 디지털 카메라(1)를 설명한다. 그러나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가 도 1에 도시된 디지털 카메라(1)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컴팩트 디지털 카메라(compact digital camera), 일안 리플렉스 카메라(single lens reflex camera), 컴팩트 디지털 카메라와 일안 리플렉스 카메라의 장점을 취한 하이브리드 카메라(hybrid camera), 카메라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의 디지털 기기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디지털 카메라(1)는 렌즈부(lens unit)(110), 렌즈 구동부(210), 조리개(120), 조리개 구동부(220), 촬상소자(130), 촬상소자 제어부(230), 아날로그 신호 처리부(140), 디지털 신호 처리부(DSP; digital signal processor)(300), 입력부(410), 표시부(420), 플래시 및 보조광 발생부(430,440), 프로그램 저장부(451), 버퍼 저장부(452), 데이터 저장부(453) 및 흔들림 감지 센서(100)를 포함할 수 있다.
렌즈부(110)(lens unit)는 광학 신호를 집광한다. 본 실시 예에서 렌즈부(110)는 좌측 렌즈(111) 및 우측 렌즈(112)를 포함한다. 좌측 렌즈(111)는 피사체의 좌측 영상을 촬영하고, 우측 렌즈(112)는 피사체의 우측 영상을 촬영한다. 이러한 좌측 렌즈(111) 및 우측 렌즈(112)는 디지털 카메라(1)에 구비되어 있을 수 있고, 그렇지 않은 경우 외부에서 장착될 수 있다.
조리개(120)는 그 개폐 정도를 조절하여 입사광의 광량을 조절한다.
렌즈 구동부(210) 및 조리개 구동부(220)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300)로부터 제어 신호를 제공받아, 각각 렌즈부(110) 및 조리개(120)를 구동한다. 이러한 렌즈 구동부(210)는 보이스 코일 모터(VCM: voice coil motor), 피에조 모터(piezo motor), 스테핑 모터(stepping motor)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렌즈 구동부(210)가 보이스 코일 모터로 구현되는 경우, 보이스 코일 모터는 렌즈를 움직일 수 있도록 렌즈부(110)를 둘러싸는 위치에 장착될 수 있다. 렌즈 구동부(210)는 보이스 코일 모터 외에도 보이스 코일 모터를 구동하는 모터 드라이버(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조리개 구동부(220)는 조리개(120)의 개폐 정도를 조절하고, 특히 조리개값(F number)을 조절하여 오토 포커스, 자동 노출 보정, 초점 변경, 피사계 심도 조절 등의 동작을 수행한다.
렌즈부(110)를 투과한 광학 신호는 촬상소자(130)의 수광면에 이르러 피사체의 상을 결상한다. 촬상소자(130)는 광학 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CCD(charge coupled device), CI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image sensor) 또는 고속 이미지 센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촬상소자(130)는 촬상소자 제어부(230)에 의해 감도 등이 조절될 수 있다. 촬상소자 제어부(230)는, 실시간으로 입력되는 영상 신호에 의해 자동으로 생성되는 제어 신호, 또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수동으로 입력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촬상소자(13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카메라(1)는 셔터(미도시)로 가리개가 위아래로 움직이는 기계식 셔터를 구비할 수도 있다.
아날로그 신호 처리부(140)는 촬상소자(130)로부터 공급된 아날로그 신호에 대하여, 노이즈 저감 처리, 게인 조정, 파형 정형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처리 등을 수행하여 디지털 영상 신호를 생성한다.
입력부(410)는 사용자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입력할 수 있는 곳이다. 정해진 시간 동안 촬상소자(130)를 빛에 노출하기 위해 열리고 닫히는 셔터-릴리즈 버튼,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입력하는 전원 버튼, 입력에 따라 화각을 넓어지게 하거나 화각을 좁아지게 하는 광각-줌 버튼 및 망원-줌 버튼, 문자 입력 또는 촬영 모드, 재생 모드 등의 모드 선택, 화이트 밸런스 설정 기능 선택, 노출 설정 기능 선택 등의 다양한 입력부(410)들이 있다. 이 중 셔터-릴리즈 버튼은 제1 및 제2 셔터-릴리즈 버튼 입력으로 나눌 수 있다. 제1 셔터-릴리즈 버튼이 입력되면 디지털 카메라(1)는 포커스를 잡고 빛의 양을 조절하게 된다. 포커스가 잡히고 빛의 양이 조절되면, 촬영자는 비로소 제2 셔터-릴리즈 버튼을 입력하게 되고, 이에 의해 디지털 카메라(1)는 영상을 캡쳐할 수 있다. 입력부(410)는 다양한 키 버튼의 형태를 가질 수도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키보드, 터치 패드, 터치스크린, 원격 제어기 등과 같이 사용자가 입력할 수 있는 어떠한 형태로 구현되어도 무방하다.
표시부(420)는 액정 디스플레이(LCD: liquid crystal display) 또는 유기 발광 표시 패널(OLED; organic luminescence display panel),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FED; field emission display) 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디지털카메라(1)의 상태 정보를 표시하거나 촬영된 영상을 표시한다.
플래시(430)는 어두운 곳에서 촬영할 경우 밝은 빛을 순간적으로 비추어 밝게 해주는 것으로 플래시 모드에는 자동 플래시 모드, 강제 발광 모드, 발광 금지 모드, 적목 모드, 슬로우 싱크로 모드 등이 있다. 보조광 발광부(440)는 광량이 부족하거나 야간 촬영 시에, 디지털카메라(1)가 자동으로 초점을 빠르고 정확하게 잡을 수 있도록 피사체에 보조광을 공급한다.
또한 디지털 카메라(1)는 이를 구동하는 운영 시스템(operating system), 응용 시스템 등의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프로그램 저장부(451), 연산 수행 중에 필요한 데이터 또는 결과 데이터들을 임시로 저장하는 버퍼 저장부(452), 영상 신호를 포함하는 영상 파일을 비롯하여 상기 프로그램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들을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453)를 포함한다.
그리고 디지털 카메라(1)는 아날로그 신호 처리부(140)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털 영상 신호를 처리하고, 외부 입력 신호에 따라 각 구성부들을 제어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300)를 포함한다. 디지털 신호 처리부(300)는 입력된 영상 신호에 대해 노이즈를 저감하고, 감마 보정(gamma correction), 색필터 배열보간(color filter array interpolation), 색 매트릭스(color matrix), 색보정(color correction), 색 향상(color enhancement) 등의 화질 개선을 위한 영상 신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화질 개선을 위한 영상 신호 처리를 하여 생성한 영상 데이터를 압축 처리하여 영상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또는 생성된 영상 파일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복원할 수 있다. 압축한 영상 파일은 데이터 저장부(453)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신호 처리부(300)는 프로그램 저장부(451)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줌 변경, 초점 변경, 자동 노출 보정 등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렌즈 구동부(210), 조리개 구동부(220), 및 촬상소자 제어부(230)에 제공하고, 렌즈부(110), 조리개(120), 촬상소자(130) 들의 동작을 총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디지털 신호 처리부(300)는 좌측 렌즈(111)및 우측 렌즈(112)로부터 좌측 영상 및 우측 영상을 수신하여 촬영하도록 제어하고, 촬영된 좌측 영상 대비 상기 우측 영상의 SAD값을 연산하며, SAD값이 가장 작은 위치가 평균에서 벗어난 정도에 따라, 좌측 영상 대비 상기 우측 영상이 움직인 위치의 편차를 나타내는 신뢰도를 판단한 후, 판단한 신뢰도에 따라 사용자의 재 촬영 여부를 유도한다. 이러한 디지털 신호 처리부(300)의 구체적인 동작은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좌측 영상 및 우측 영상이 동시에 입력될 때 입력 영상을 비교하여, 그 차이를 연산하는 알고리즘을 동작시키는데, 이때 알고리즘에서는 단순히 두 영상의 차이뿐만 아니라 결과값의 신뢰도를 판단할 수 있는 SAD 값도 출력해야 한다. 보통 SAD값이라 하면, 비교할 두 영상을 X, Y 방향으로 스캔해 가면서 각각의 (X, Y) 위치에서의 좌측 영상 및 우측 영상의 차이를 구한 값이다. SAD 값이 가장 적게 나오는 (X, Y)위치가 두 영상의 위치 차이를 의미하는데, 가장 적게 나오는 SAD 값이 다른 SAD 값 대비 월등하게 작을수록 알고리즘의 신뢰도는 높아진다. 그래서 좌측 영상 및 우측 영상의 위치 차이뿐만 아니라 SAD 데이터도 같이 출력할 수 있다면 알고리즘의 정확도를 예측할 수 있다.
도 3에는 임의의 영상에 대한 SAD값 그래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좌측 영상 및 우측 영상에 대하여, 좌측 영상 대비 우측 영상을 X, Y 방향으로 스캔해 가면서 각각의 (X, Y) 위치에서의 SAD 값을 구한다. 도 3c의 그래프에는 가장 적게 나오는 SAD 값의 위치가 다른 SAD 값의 위치 대비 월등하게 작아 알고리즘의 신뢰도가 높음을 알 수 있다. 즉, 도 3c에 도시된 그래프가 꼬깔 모양에 가까울수록 신뢰도가 높다고 할 수 있다. SAD 값이 가장 적게 나오는 (X, Y)위치가 좌측 영상에 대한 우측 영상의 위치 차이를 의미하므로, 우측 영상을 SAD 값이 가장 적게 나오는 (X, Y)위치만큼 시프트 함으로써 보정이 가능하다.
도 4에는 임의의 다른 영상에 대한 SAD값 그래프가 도시되어 있다.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좌측 영상 및 우측 영상에 대하여, 좌측 영상 대비 우측 영상을 X, Y 방향으로 스캔해 가면서 각각의 (X, Y) 위치에서의 SAD 값을 구한다. 도 4c의 그래프에는 가장 적게 나오는 SAD 값의 위치가 다른 SAD 값의 위치가 큰 차이가 없어 알고리즘의 신뢰도가 낮음을 알 수 있다. 도 4c와 같이 알고리즘의 신뢰도가 낮은 경우, 정확하게 SAD 값이 가장 적게 나오는 (X, Y)위치를 찾을 수가 없어 우측 영상의 위치 보정이 어렵게 된다.
이와 같이 SAD 알고리즘의 신뢰도에 따라 좌측 영상 대비 우측 영상의 위치를 보정하는데, 정확한 신뢰도 판단 기준을 알 수 없어, 사용자의 정확한 3D 영상 촬영이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SAD 알고리즘의 신뢰도 판단 결과를 사용자에게 알려주어 사용자의 재촬영 여부를 유도함으로써 사용자가 정확한 3D 영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한다.
도 5는 이와 같이 SAD 알고리즘의 신뢰도 판단 결과를 사용자에게 알려주어 사용자의 재촬영 여부를 유도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300)의 상세도로서, 연산부(310), 판단부(320) 및 제어부(33)를 포함한다.
연산부(310)는 좌측 렌즈(111) 및 우측 렌즈(112)로부터 촬영한 좌측 영상 및 우측 영상에 대해, 촬영된 좌측 영상 대비 우측 영상의 SAD(sum of absolute difference)값을 연산한다.
도 6은 SAD값 연산 및 신뢰도 판단을 설명하기 위한 좌측 영상 및 우측 영상을 보이는 도면으로, 좌측 영상을 기준 영상으로, 우측 영상을 대응 영상으로 가정한다. SAD 연산을 위해서, 좌측 영상(기준 영상) 내에서 위치가 서로 다른 N 개의 기준 블록을 생성한다. 여기서 N개의 기준 블록은 중심 픽셀을 기준으로 대칭으로 구성된 픽셀 블록이다. 예를 들어, 32×32 픽셀을 하나의 블록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기준 블록 내의 총 픽셀 수는 1024개가 된다.
SAD는 기준 영상 및 대응 영상 즉, 좌측 영상 및 우측 영상 각 픽셀 차이의 절대값을 모두 합한 값이다. 이러한 SAD값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영상을 고정시키고 좌측 영상의 기준 블록에 대응되는, 우측 영상의 블록을 이동범위 내에서 이동시키면서 기준 블록 및 각 이동 블록의 픽셀간의 차에 대한 절대값을 모두 합하여 구할 수 있다. 여기서 우측 영상에서 블록을 이동범위 내에서 이동시킨다는 의미는 블록의 중심 픽셀이 좌측 영상 대비 우측 영상에서 이동한다는 의미이다. 우측 영상 블록의 중심 픽셀이 이동하면, 나머지 픽셀들도 모두 중심 픽셀이 이동한 만큼 이동하게 된다. 즉, 실선 블록이 점선 영역으로 이동하게 되고, 각각의 경우에서 SAD 값을 계산하면, 움직인 위치(x, y)마다 블록의 SAD 값이 구해진다. 이와 같은 계산은 영상 전체에 대해서 수행할 수 없고, 각 시스템의 수준에 맞게 범위를 정해서 수행하게 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좌측 영상 내의 5개의 기준 블록과 이에 대응하는 우측 영상 5개의 블록 이동범위 내에서 각각 이동된 블록의 픽셀간의 차에 대한 절대값을 모두 합하여 구할 수 있다.
판단부(320)는 연산부(310)에서 연산한 SAD값이 가장 작은 위치가 평균에서 벗어난 정도에 따라, 좌측 영상 대비 상기 우측 영상이 움직인 위치의 편차를 나타내는 신뢰도를 판단한다.
연산부(310)의 SAD값 연산 과정을 거치면, SAD값이 가장 작은 블록의 중심 픽셀의 위치(x, y)가 구해지는데, 이 위치가 좌측 영상 대비 우측 영상이 움직인 위치가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SAD 연산을 영상의 여러 포인트에서 각각 수행하면, 그 개수만큼 SAD값이 가장 작은 블록의 중심 픽셀 위치(x, y)가 구해진다. 도 5에 개시된 실시 예에서는 SAD 값이 가장 작은 블록의 중심 픽셀의 위치가 5개 구해진다.
현재 촬영된 영상의 SAD값의 신뢰도를 판단하기 위해 여러 가지 방법을 생각할 수 있는데, 그 중에 하나가 도 6에 도시된 5개의 지점에서 구해진 SAD 값이 가장 작은 블록의 중심 픽셀의 위치값의 배리언스(variance)를 구하는 것이다. 배리언스가 크다는 것은 도 6으로부터 5개의 지점에서 구해진 SAD 값이 가장 작은 블록의 중심 픽셀의 위치 값이 평균에서 많이 벗어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SAD 값이 가장 작은 블록의 중심 픽셀의 위치(x, y)가 (10, 10), (10, 10), (10, 10), (100, 100), (100, 100)이라고 하면, 이 5개 지점의 평균값은 (46, 46)이 된다. 이때 평균값과 SAD 값이 가장 작은 각 블록의 중심 픽셀 위치값의 평균적인 차이 즉, 배리언스가 (43.2, 43.2)이 된다.
예를 들어, SAD 값이 가장 작은 중심 픽셀의 위치(x, y)가 (50, 50), (50, 50), (50, 50), (50, 50), (50, 50)이라고 하면, 이 5개 위치의 평균값은 (50, 50)이 된다. 이때 평균값과 SAD 값이 가장 작은 각 블록의 중심 픽셀 위치값의 평균적인 차이 즉, 배리언스가 (0, 0)이 된다.
전자의 경우는 배리언스 값이 크고 후자의 경우는 배리언스 값이 작은데, 배리언스 값이 크면 각 포인트 마다 구해진 SAD값을 이용한 좌측 영상 대비 우측 영상의 움직인 위치 값의 편차가 심해서 신뢰도가 낮다는 것을, 배리언스 값이 작으면 편차가 거의 없기 때문에 신뢰도가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예를 들어 신뢰도 판단 기준을 다음과 같이 설정할 수 있다. 배리언스 값이 0에서 3사이인 경우 고신뢰도로 판단하고, 배리언스 값이 3에서 10사이인 경우 중신뢰도로 판단하고, 배리언스 값이 10 이상인 경우 저신뢰도로 판단한다.
제어부(330)는 판단부(320)이 판단한 신뢰도에 따라 사용자의 재 촬영 여부를 유도한다. 일 실시 예로 제어부(33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단부(320)가 판단한 SAD 신뢰도 판단 결과에 따라 사용자의 재 촬영 여부를 나타내는 메시지를 생성하여 표시부(420)에 디스플레이 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제어부(330)는 판단부(320)의 연산한 배리언스가 0에서 3사이인 경우 고신뢰도로서 재 촬영할 필요 없이 현재의 촬영 상태를 유지하라는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30)는 판단부(320)가 연산한 배리언스가 3에서 10 사이인 경우 중신뢰도로서 재 촬영을 추천한다는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30)는 판단부(320)가 연산한 배리언스가 10 이상인 경우 저신뢰도로서 재 촬영을 수행하라는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330)의 메시지 출력으로 사용자는 재 촬영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30)의 메시지 출력으로 현 촬영상태를 유지하는 경우, 제어부(330)는 구해진 SAD값을 이용하여 좌측 영상 대비 우측 영상의 움직인 위치 값의 편차를 보정한다. 제어부(330)는 좌측 영상의 기준 블록의 중심 픽셀 위치 및 우측 영상에서 가장 작은 SAD 값을 갖는 블록의 중심 픽셀 위치의 차이 값만큼의 편차를 보정한다. 제어부(330)는 버퍼 저장부(452)에 저장된 좌측 영상 및 우측 영상에 대하여, 좌측 영상 대비 우측 영상의 독출 시작 위치를 상기 편차만큼 이동하여 독출함으로써 보정을 수행한다.
제어부(330)는 위치값의 편차 보정 전에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정할 편차가 얼마인지를 가이드 라인으로 표시부(420)에 표시해 주어, 사용자가 보정 정도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만약 사용자가 가이드 라인을 보고 보정에 문제가 있다고 판단하면, 가이드라인을 참조하여 수동으로 보정할 수도 있다. 수동 보정을 위해서는 사용자가 조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맞게 좌측 영상 및 우측 영상 각각을 시프트 할 수 있도록 버퍼 저장부(452)에서 영상의 독출 시작 위치를 바꿔주면 된다.
또한 제어부(330)는 편차를 보정한 후, 편차가 보정된 좌측 영상 및 우측 영상을 표시부(420)에 표시해 주어 사용자가 보정 결과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아주 특별한 경우 좌측 영상 및 우측 영상 차이의 보정이 제대로 실행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할 수도 있기 때문에 보정을 수행한 후에 보정 결과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해준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을 보이는 흐름도 이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디지털 촬영 장치의 내부에서 수행될 수 있는데, 실시 예에 따라 동작 방법의 주 알고리즘은 기기 내의 주변 구성 요소들의 도움을 받아 디지털 신호 처리부(300) 내부에서 수행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디지털 신호 처리부(300)는 사용자의 셔터-릴리즈 버튼 입력을 수신하여 좌측 영상 및 우측 영상을 촬영한다(S10).
디지털 신호 처리부(300)는 좌측 렌즈(111) 및 우측 렌즈(112)를 통하여 촬영된 영상을 수신한다(S20).
이후 디지털 신호 처리부(300)는 촬영된 좌측 영상 및 우측 영상을 입력으로 하여 SAD 알고리즘을 동작시킨다(S30). 도 11에는 SAD 알고리즘 동작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디지털 신호 처리부(300)는 좌측 영상을 기준 영상으로, 우측 영상을 대응 영상으로 하여, 좌측 영상 내에서 위치가 다른 N개의 기준 블록을 생성한다(S31). 여기서 N개의 기준 블록은 중심 픽셀을 기준으로 대칭으로 구성된 픽셀 블록이다. 이후, 디지털 신호 처리부(300)는 좌측 영상을 고정시키고 좌측 영상내의 N 개의 기준 블록에 대응되는, 우측 영상의 블록을 이동범위 내에서 이동시킨다(S32). 여기서 우측 영상에서 블록을 이동범위 내에서 이동시킨다는 의미는 블록의 중심 픽셀이 좌측 영상 대비 우측 영상에서 이동한다는 의미이다. 우측 영상 블록의 중심 픽셀이 이동하면, 나머지 픽셀들도 모두 중심 픽셀이 이동한 만큼 이동하게 된다. 디지털 신호 처리부(300)는 좌측 영상 내의 N개의 각 기준블록 및 우측 영상 내의 각 이동 블록의 픽셀간의 차에 대한 절대값의 총합을 연산한다.
다시 도 10으로 돌아와서, 디지털 신호 처리부(300)는 SAD값이 가장 작은 위치가 평균에서 벗어난 정도에 따라, 좌측 영상 대비 상기 우측 영상이 움직인 위치의 편차를 나타내는 신뢰도를 판단하고, SAD 신뢰도에 따라 재 촬영 여부를 유도 한다(S40). 도 12에는 SAD 신뢰도 판단 방법이 도시되어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디지털 신호 처리부(300)는 SAD 알고리즘을 수행한 결과로부터 가장 작은 SAD값을 갖는 N개 블록의 중심 픽셀 위치를 추출한다(S41). 이어서, 디지털 신호 처리부(300)는 추출된 N개 블록의 중심 픽셀 위치의 평균값을 연산한다(S42). 이후 디지털 신호 처리부(300)는 상기에서 연산한 평균값 및 N개 블록의 중심 픽셀 위치값의 차이를 나타내는 배리언스 값을 연산한다(S43). 여기서 배리언스 값이 크면 각 포인트 마다 구해진 SAD값을 이용한 좌측 영상 대비 우측 영상의 움직인 위치 값의 편차가 심해서 신뢰도가 낮다는 것을, 배리언스 값이 작으면 편차가 거의 없기 때문에 신뢰도가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디지털 신호 처리부(300)는 배리언스 값이 0에서 3사이인 경우(S44), 고신뢰도로 판단하고 재 촬영할 필요 없이 현재의 촬영 상태를 유지하라는 메시지를 출력한다(S45). 디지털 신호 처리부(300)는 배리언스 값이 3에서 10 사이인 경우(S46), 중신뢰도로 판단하고 재 촬영을 추천한다는 메시지를 출력한다(S47). 디지털 신호 처리부(300)는 배리언스 값이 10 이상인 경우(S48), 저신뢰도로 판단하고 재 촬영을 유도하는 메시지를 출력한다(S49).
다시 도 10으로 돌아와서, 디지털 신호 처리부(300)는 메시지 출력 후, 사용자가 재 촬영을 선택했는지 판단한다(S50).
사용자가 재 촬영을 선택한 경우, 디지털 신호 처리부(300)는 사용자의 셔터-릴리즈 버튼 입력을 수신하여 좌측 영상 및 우측 영상을 촬영한 후 S20으로 피드백 한다(S60).
사용자가 재 촬영을 선택하지 않은 경우, 즉 배리언스값이 0에서 3사이여서 고신뢰도로 판단한 경우, 디지털 신호 처리부(300)는 표시부(420)에 촬영된 좌측 영상 및 우측 영상과 함께 보정을 위한 가이드 라인을 표시하여 사용자가 보정 정도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S70)
가이드라인이 표시된 이후, 디지털 신호 처리부(300)는 SAD값을 이용하여 좌측 영상 대비 우측 영상의 움직인 위치 값의 편차를 보정한다(S80). 즉, 디지털 신호 처리부(300)는 좌측 영상의 기준 블록의 중심 픽셀 위치 및 우측 영상에서 가장 작은 SAD 값을 갖는 블록의 중심 픽셀 위치의 차이 값만큼의 편차를 보정한다. 디지털 신호 처리부(300)는 버퍼 저장부(452)에 저장된 좌측 영상 및 우측 영상에 대하여, 좌측 영상 대비 우측 영상의 독출 시작 위치를 상기 편차만큼 이동하여 독출함으로써 보정을 수행한다. 이때 디지털 신호 처리부(300)는 가이드 라인을 본 사용자가 보정에 문제가 있다고 판단하면, 가이드라인을 참조하여 수동으로 보정할 수 있도록 해준다. 수동 보정을 위해서 디지털 신호 처리부(300)는 사용자가 조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맞게 좌측 영상 및 우측 영상 각각을 시프트 할 수 있도록 버퍼 저장부(452)에서 영상의 독출 시작 위치를 바꿔준다.
편차 보정이 완료되면, 디지털 신호 처리부(300)는 편차가 보정된 좌측 영상 및 우측 영상을 표시부(420)에 표시해 주어 사용자가 보정 결과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90).
한편, 본 발명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본 발명을 구현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개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인용하는 공개 문헌, 특허 출원, 특허 등을 포함하는 모든 문헌들은 각 인용 문헌이 개별적으로 및 구체적으로 병합하여 나타내는 것 또는 본 발명에서 전체적으로 병합하여 나타낸 것과 동일하게 본 발명에 병합될 수 있다.
1: 디지털카메라
300: 디지털 신호 처리부
310: 연산부
320: 판단부
330: 제어부

Claims (20)

  1. 좌측 및 우측 렌즈로부터 좌측 영상 및 우측 영상을 수신하여 촬영하는 단계;
    상기 촬영된 좌측 영상 대비 상기 우측 영상의 SAD값을 연산하는 단계;
    상기 SAD값이 가장 작은 위치가 평균에서 벗어난 정도에 따라, 상기 좌측 영상 대비 상기 우측 영상이 움직인 위치의 편차를 나타내는 신뢰도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한 신뢰도에 따라 사용자의 재 촬영 여부를 유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한 신뢰도에 따라 사용자의 재 촬영 여부 유도를 메시지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재 촬영 여부를 유도하는 단계는
    상기 판단한 신뢰도가 제1 기준값 미만인 경우 재 촬영을 유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재 촬영 여부를 유도하는 단계는
    상기 판단한 신뢰도가 제1 기준값 이상 제2 기준값 미만인 경우 재 촬영을 추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재 촬영 여부를 유도하는 단계는
    상기 판단한 신뢰도가 제2 기준값 이상인 경우 현 촬영 상태를 유지하도록 유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현 촬영 상태를 유지하도록 유도하는 단계 후,
    상기 좌측 영상 대비 상기 우측 영상이 움직인 위치의 편차를 보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편차를 보정하는 단계는
    상기 좌측 영상 대비 상기 우측 영상의 독출 시작 위치를 상기 편차만큼 이동하여 독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편차를 보정하는 단계 전,
    상기 편차 보정 정도를 가이드 라인으로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편차를 보정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된 가이드 라인을 확인한 사용자가 상기 가이드 라인을 이동시켜 편차 보정 정도를 수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편차를 보정하는 단계 후,
    상기 편차가 보정된 좌측 영상 및 우측 영상을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SAD값을 연산하는 단계는
    상기 좌측 영상 내에서 위치가 서로 다른 N 개의 기준 블록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좌측 영상의 제1 내지 제N 기준 블록에 대응하는 상기 우측 영상 내의 블록을 이동 범위 내에서 이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1 내지 제N 기준 블록 및 상기 각 이동 블록의 픽셀간의 차에 대한 합으로써의 SAD 값을 연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신뢰도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우측 영상으로부터 가장 작은 SAD 값을 갖는 N개의 블록 위치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N개 블록 위치의 평균값을 연산하는 단계;
    상기 평균값과 N개 각 블록에 대한 위치값의 평균적인 차이를 연산하는 단계; 및
    상기 N개 각 블록에 대한 위치값의 평균이 상기 연산한 평균값에서 벗어난 정도가, 제1 기준값 미만이면 저신뢰도로 판단하고, 상기 제1 기준값 이상 제2 기준값 이하이면 중신뢰도로 판단하고, 상기 제2 기준값을 초과하면 고신뢰도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13. 좌측 및 우측 렌즈로부터 촬영한 좌측 영상 및 우측 영상에 대해 상기 촬영된 좌측 영상 대비 상기 우측 영상의 SAD값을 연산하는 연산부;
    상기 연산한 SAD값이 가장 작은 위치가 평균에서 벗어난 정도에 따라, 상기 좌측 영상 대비 상기 우측 영상이 움직인 위치의 편차를 나타내는 신뢰도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판단한 신뢰도에 따라 사용자의 재 촬영 여부를 유도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단한 신뢰도에 따라 사용자의 재 촬영 여부를 메시지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단부가 신뢰도를 제1 기준값 미만인 저신뢰도로 판단한 경우 재 촬영을 유도하고, 상기 판단부가 신뢰도를 제1 기준값 이상 제2 기준값 미만인 중신뢰도로 판단한 경우 재 촬영을 추천하며, 상기 판단부가 신뢰도를 제2 기준값 이상인 고신뢰도로 판단한 경우 현 촬영 상태를 유지하도록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16.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단한 신뢰도가 제2 기준값 이상인 경우 현 촬영 상태를 유지하도록 유도하고, 상기 좌측 영상 대비 상기 우측 영상이 움직인 위치의 편차를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좌측 영상 대비 상기 우측 영상의 독출 시작 위치를 상기 편차만큼 이동하여 독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편차 보정 전에, 상기 편차 보정 정도를 가이드 라인으로 디스플레이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된 가이드 라인을 확인한 사용자가 상기 가이드 라인을 이동시켜 편차 보정 정도를 조정하는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보정 정도만큼 보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
  20.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편차가 보정된 좌측 영상 및 우측 영상을 디스플레이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
KR1020110123668A 2011-11-24 2011-11-24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130057764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3668A KR20130057764A (ko) 2011-11-24 2011-11-24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US13/590,404 US20130135447A1 (en) 2011-11-24 2012-08-21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12186458.1A EP2597612A1 (en) 2011-11-24 2012-09-28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2012104883921A CN103139471A (zh) 2011-11-24 2012-11-26 数字拍摄设备及其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3668A KR20130057764A (ko) 2011-11-24 2011-11-24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7764A true KR20130057764A (ko) 2013-06-03

Family

ID=471777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3668A KR20130057764A (ko) 2011-11-24 2011-11-24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30135447A1 (ko)
EP (1) EP2597612A1 (ko)
KR (1) KR20130057764A (ko)
CN (1) CN10313947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53562B1 (en) 2010-06-24 2015-06-09 Gregory S. Rabin Two dimensional to three dimensional moving image converter
EP2702814B1 (en) * 2011-04-26 2019-06-1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Base station synchronization
US9992021B1 (en) 2013-03-14 2018-06-05 GoTenna, Inc. System and method for private and point-to-point communication between computing devices
JP6221464B2 (ja) * 2013-07-26 2017-11-01 株式会社リコー ステレオカメラ装置、移動体制御システム及び移動体、並びにプログラム
CN111540191B (zh) * 2020-04-27 2021-07-02 英华达(上海)科技有限公司 基于车联网的行车示警方法、***、设备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08650B1 (en) * 1998-12-01 2003-08-19 Flashpoint Technology, Inc. Interactive assistant process for aiding a user in camera setup and operation
WO2004039086A2 (en) * 2002-10-23 2004-05-06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ethod for post-processing a 3d digital video signal
KR100636785B1 (ko) * 2005-05-31 2006-10-20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시점 입체 영상 시스템 및 이에 적용되는 압축 및 복원방법
IL191615A (en) * 2007-10-23 2015-05-31 Israel Aerospace Ind Ltd A method and system for producing tie points for use in stereo adjustment of stereoscopic images and a method for identifying differences in the landscape taken between two time points
US8494251B2 (en) * 2008-01-11 2013-07-23 Sri International System and method for measuring image quality
JP5251547B2 (ja) * 2008-06-06 2013-07-31 ソニー株式会社 画像撮影装置及び画像撮影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8422795B2 (en) * 2009-02-12 2013-04-16 Dolby Laboratories Licensing Corporation Quality evaluation of sequences of images
US20110050857A1 (en) * 2009-09-03 2011-03-03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3d image in 3d image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139471A (zh) 2013-06-05
EP2597612A1 (en) 2013-05-29
US20130135447A1 (en) 2013-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0357B1 (ko) 점프 영상 촬영 장치 및 방법
KR101817657B1 (ko)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1692401B1 (ko) 영상 처리 방법 및 장치
KR101890305B1 (ko) 촬영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JP4872797B2 (ja) 撮像装置、撮像方法および撮像プログラム
US8937677B2 (en)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computer-readable medium
KR20150019710A (ko)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US8743270B2 (en) Focus adjustment apparatus and focus adjustment method
KR101728042B1 (ko)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1788740B1 (ko) 피사체 검출 방법 및 장치와, 디지털 촬영 장치
KR101686943B1 (ko)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JPWO2008010559A1 (ja) 撮像装置
US20100315528A1 (en)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KR20140089672A (ko) 디지털 촬영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KR20130057764A (ko)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1797040B1 (ko)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1909130B1 (ko) 디지털 촬영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JP5196768B2 (ja) 撮像装置
KR101777353B1 (ko)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1635102B1 (ko)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EP2690859A2 (en)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KR101960508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KR101923185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KR101581219B1 (ko) 오토 포커싱 처리 방법 및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디지털 촬영 장치
KR101618762B1 (ko) 보조광의 조광위치 변경이 가능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