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51369A -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51369A
KR20130051369A KR1020110116667A KR20110116667A KR20130051369A KR 20130051369 A KR20130051369 A KR 20130051369A KR 1020110116667 A KR1020110116667 A KR 1020110116667A KR 20110116667 A KR20110116667 A KR 20110116667A KR 20130051369 A KR20130051369 A KR 201300513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ive film
touch screen
display device
screen display
display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66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광래
김도훈
김현수
백정린
오지현
이기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166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51369A/ko
Priority to CN201210447421XA priority patent/CN103105982A/zh
Priority to US13/673,742 priority patent/US20130113755A1/en
Publication of KR201300513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13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5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two or more layers of sensing electrodes, e.g. using two layers of electrodes separated by a dielectric lay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9Accessories therefor, e.g. mouse pads
    • G06F3/0393Accessories for touch pads or touch screens, e.g. mechanical guides added to touch screens for drawing straight lines, hard keys overlaying touch screens or touch 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7Position sensing using the local deformation of sensor cel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소자;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의 외측면에 제공되는 전도성 필름; 및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와 전도성 필름 사이에 개재되는 공기층을 포함하고, 상기 공기층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의 표면과 전도성 필름 사이의 간격이 유지되는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시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는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소자를 구비하면서 디스플레이 소자가 외부로 직접 노출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수중이나 습도가 높은 환경에서도, 아울러, 장갑 등의 보호 장구를 착용해야만 하는 환경에서도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소자를 양호하게 조작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 {TOUCH SCREEN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휴대용 단말기 등에 적용되는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는, 일반 가정의 텔레비젼 수상기로부터 각종 가전 제품이나 자동차, 기계 설비 등의 작동 상태 등 나타내고 제어하는데 필요한 정보들을 표시하게 된다. 이동통신 서비스가 일반화되면서,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급속도로 발전해 왔다.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초기에 단순한 문자를 표시하는 정도의 성능이었지만, 최근에는 고화질의 사진이나 동영상을 표시할 수 있을 정도로 그 성능이 대폭 강화되었다.
또한, 휴대용 단말기는 그 자체로서 휴대성을 요구하는 기기이기 때문에 소형, 경량화가 필수적이다. 최근에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서비스가 활성화되면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크기가 확장되는 추세이다. 하지만 휴대용 단말기의 소형, 경량화를 유지하면서, 디스플레이 장치를 확장하는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대체로 휴대용 단말기의 소형, 경량화는 두께를 줄이는데 집중되고 있으며 아울러, 디스플레이 장치에 터치스크린 기능을 탑재하여 물리적인 키패드를 제거하고 있다.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는 화면상에서 가상의 키패드를 구성할 수 있으므로, 휴대용 단말기에서 물리적인 키패드를 제거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를 장착한 휴대용 단말기는 일반 디스플레이 장치를 장착한 휴대용 단말기에 비해 더 큰 화면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마찬가지로,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를 장착한 휴대용 단말기는 일반 디스플레이 장치를 장착한 휴대용 단말기에 비해 소형, 경량화에 오히려 더 적합하다. 이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하여 키패드를 구현할 수 있으므로, 물리적인 키패드를 휴대용 단말기에서 제거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일부 사용자층에서는 직업적인 이유로, 또는, 레저 등의 목적으로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방수 기능을 필요로 하고 있다. 다만, 이러한 수요는 극히 제한적이기 때문에, 필요한 사용자들이 방수 주머니 등을 구매하여 활용하는 편이다. 그러나 이러한 방수 주머니 등은 물리적인 키패드를 조작하기에는 무난하지만,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가 설치된 휴대용 단말기의 조작에는 상당한 불편함이 따르고 있다. 예를 들어, 조작 과정에서 방수 주머니가 훼손될 우려가 있으며, 특히,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인 경우, 방수 주머니에 단말기가 수용된 상태에서는 실질적으로 단말기를 조작하는 것이 불가능한 실정이다. 아울러,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를 수중에서 노출하여 사용할 수도 있지만,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우에는 수중이나 습도가 높은 환경에서는 사용자의 조작을 인식하지 못하거나 오동작이 빈번하다.
또한, 동계 스포츠나 산업현장과 같은 열악한 환경으로 인해 장갑 등의 보호 장구를 착용한 경우,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를 조작하기 위해서는 보호 장구를 해체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수중에서 또는 습도가 높은 환경에서도 양호하게 동작하는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정전용량 방식으로 구성되면서도 동계 스포츠나 산업현장과 같은 열악한 환경으로 인해 장갑 등의 보호 장구를 착용하고 있더라도 조작이 용이한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에, 본 발명은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소자;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의 외측면에 제공되는 전도성 필름; 및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와 전도성 필름 사이에 개재되는 공기층을 포함하고, 상기 공기층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의 표면과 전도성 필름 사이의 간격이 유지되는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시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전도성 필름의 외측면에 부착되는 보호 필름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가 활성화됨과 동시에 상기 전도성 필름에 미세 전류가 인가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전도성 필름의 일부분이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에 접촉되어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게 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공기층에 연결된 압력 조절 부재를 더 구비함으로써, 외부 압력에 따라 상기 압력 조절 부재가 수축, 팽창하면서 상기 공기층과 외부 압력 사이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전도성 필름을 둘러싸게 제공되는 브라켓; 및 상기 전도성 필름의 일면에서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되는 밀봉 부재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는 휴대용 단말기에 설치되며, 상기 브라켓이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때, 상기 공기층은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의 외측면, 상기 전도성 필름의 일면 및 상기 밀봉 부재에 의해 둘러싸여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밀봉 부재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튜브; 상기 튜브를 통해 상기 공기층에 연결된 압력 조절 부재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외부 압력에 따라 상기 압력 조절 부재가 수축, 팽창하면서, 상기 공기층과 외부 압력 사이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브라켓의 일측에 형성되는 압력 조절 케이스를 더 구비함이 바람직하며, 상기 압력 조절 부재는 상기 압력 조절 케이스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압력 조절 케이스에 형성되어 상기 압력 조절 케이스를 외부로 연결하는 관통홀을 더 구비함으로써, 상기 압력 조절 부재가 외부의 압력에 노출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는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소자를 구비하면서, 공기층을 사이에 두고 디스플레이 소자와 대면하는 전도성 필름을 배치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소자가 외부로 직접 노출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조작은 전도성 필름을 통해 디스플레이 소자로 전달되어 수중이나 습도가 높은 환경에서도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소자를 양호하게 조작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전도성 필름에 미세 전류를 인가하는 경우, 사용자가 장갑 등 보호 장구를 착용해야 하는 환경에서도 보호 장구를 해체하지 않더라도 전도성 필름이 접촉된 부분을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소자가 인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전도성 필름을 별도의 브라켓에 설치하고 브라켓을 휴대용 단말기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한다면, 사용환경이 급변하는 조건에서도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가 설치된 휴대용 단말기를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의 주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분을 착탈식으로 구성한 예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의 주요부를 절개하여 나타내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소자(101)와, 공기층(104)을 사이에 두고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101)의 외측면과 마주보게 제공되는 전도성 필름(102)을 구비한다. 상기 공기층(104)은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101)와 전도성 필름(102)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며, 사용자가 조작할 때, 상기 전도성 필름(102)의 특정 부분, 즉, 사용자가 조작하는 부분만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101)와 접촉하게 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101)는 상기 전도성 필름(102)이 접촉되는 지점을 인식하여 해당 지점에 할당된 신호를 발생하게 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101)는 인체의 전류에 의해 작동하는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소자로서, 인체의 접촉에 의해 작동하게 된다. 이때, 수중이나 습도가 높은 환경에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101)가 노출될 경우, 사용자의 인체가 직접 접촉되지 않더라도, 예를 들어,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101)에 근접하는 것만으로도 작동될 수 있다. 또한, 수중이나 습도가 높은 환경에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101)가 직접 노출될 경우, 사용자가 직접 접촉하는 부분이 아닌 다른 부분 또는 사용자가 접촉하는 영역보다 더 넓은 영역이 조작된 것으로 인식하는 오동작이 발생될 수 있다. 상기 전도성 필름(102)과 상기 공기층(104)은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101)가 습도가 높은 환경 등에 노출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101)의 오동작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전도성 필름(102)은 평판 형상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101)의 외측면과 일정한 간격으로 평행하게 유지될 수 있을 정도의 탄성력을 가지는 재질이 바람직하지만, 상기 공기층(104)이 가지는 압력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101)의 외측면과 일정한 간격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전도성 필름(102)을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101)의 외측면에 배치함에 있어, 상기 전도성 필름(102)의 가장자리 부분에는 스페이서(141)를 배치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페이서(141)는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101)와 전도성 필름(102) 사이의 간격, 더 궁극적으로는 상기 공기층(104)을 일정 두께로 유지하게 된다.
상기 전도성 필름(102)은 사용자의 인체 전류에 의해 미세 전류가 인가될 수 있으며, 따라서 사용자의 접촉에 의해 상기 전도성 필름(102)이 부분적으로 변형되면서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101)와 접촉하게 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101)는 이를 인식하여 신호를 발생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전도성 필름(102)의 보호를 위해, 상기 전도성 필름(102)의 외측면에는 보호 필름(103)이 합지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전도성 필름(102)이 인체 전류에 의한 미세 전류를 인가받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보호 필름(103)이 합지된 경우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1)가 장착되는 기기 자체에서 상기 전도성 필름(102)에 미세 전류를 인가하게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도성 필름(102)에 미세 전류를 인가하는 것은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101)가 활성화되는 것과 동시에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공기층(104)의 압력이 외부 압력보다 낮아질 경우, 예를 들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수중에 있는 경우에는, 상기 공기층(104)이 수축되면서 상기 전도성 필름(102)이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101)와 접촉될 수 있다. 이는 사용자의 의도와 무관하게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오동작을 유발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상기 공기층(104)의 압력과 외부의 압력이 균형을 이룰 수 있도록 압력 조절 부재(143a)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압력 조절 부재(143a)는 그 내부와 외부의 압력차에 따라 수축, 팽창하는 것으로서, 그 내부는 상기 스페이서(141)를 관통하여 배치된 튜브(143b)를 통해 상기 공기층(104)과 연결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외부 압력이 대기압 상태라면 상기 공기층(104)의 압력으로 상기 압력 조절 부재(143a)가 팽창하게 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수중에 위치된다면, 수압에 의해 상기 압력 조절 부재(143a)가 수축하면서 상기 공기층(104)의 압력을 상승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공기층(104)의 압력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외부 압력과 균형을 이루게 되며, 사용자가 조작하지 않는 이상, 상기 전도성 필름(102)은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101)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스페이서(141)는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101)와 전도성 필름(102) 사이에서 밀봉 부재로서 기능을 하게 된다. 즉, 상기 공기층(104)은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101), 스페이서(141), 전도성 필름(102)에 의해 외부 환경과 완전히 격리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소자(101)를 구비하면서도, 사용자의 인체가 직접 접촉하지 않더라도 양호한 작동 성능을 발휘하게 된다. 또한, 디스플레이 소자(101)가 외부 환경에 직접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수중이나 습도가 높은 환경에서도 사용자의 조작을 정확하게 인식하여 신호를 발생시킨다. 더욱이, 겨울 레포츠나 산업현장과 같이 장갑 등의 보호 장구를 착용하는 환경에서, 사용자는 보호 장구를 해체하지 않더라도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조작할 수 있으므로, 휴대용 단말기에 적용하여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101)는 휴대용 단말기에 설치되고, 상기 전도성 필름(102)은 별도의 브라켓에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브라켓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러한 구조의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 환경에 따라 사용자가 브라켓을 선택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한다.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구성함에 있어, 전도성 필름(102)을 별도의 브라켓(151)에 설치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101)가 설치된 휴대용 단말기(10)에 상기 브라켓(151)을 착탈 가능하게 구성한 예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단말기(10)의 전면에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101)가 설치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101)의 상측에는 수화부(13)가, 하측에는 전원 버튼, 메뉴 버튼 등 자주 사용하게 되는 물리적인 키(15)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기(10)의 측면에는 음량 조절, 촬영을 위한 셔터 기능 등을 제공하는 또 다른 물리적인 키(17)들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151)은 상기 단말기(10)의 측면 중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상태로 상기 단말기(10)와 결속되며, 그 양면을 관통하게 형성된 개구(153)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1)를 노출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전도성 필름(102)은 상기 개구(153) 상에 배치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101)의 외측면과 마주보게 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전도성 필름(102)은 사용자의 인체 전류에 의해 미세 전류가 인가될 수 있으며, 상기 단말기(10) 또는 상기 브라켓(151)에 내장되는 전원으로부터 미세 전류를 인가받을 수 있게 된다. 상기 단말기(10) 또는 상기 브라켓(151)에 내장된 전원으로부터 상기 전도성 필름(102)에 미세 전류가 인가되는 경우, 인체가 직접 접촉하지 않더라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조작할 수 있게 된다. 즉, 사용자는 장갑 등의 보호 장구를 착용한 상태로, 또는, 별도의 스타일러스 펜 등을 이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조작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전도성 필름(102)이 브라켓(151)을 통해 착탈식으로 제공되는 경우, 상기 브라켓(151)의 내측면과 아울러 상기 전도성 필름(102)의 내측면 가장자리에는 밀봉 부재(129)가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밀봉 부재는 상기 전도성 필름(102)을 상기 브라켓(151)에 안정적으로 고정함과 동시에, 상기 전도성 필름(102)과 디스플레이 소자(101) 사이에 공기층(104)이 형성, 유지하게 된다.
상기 전도성 필름(102)이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101)와 하나의 모듈 형태, 즉, 도 1과 도 2에 도시된 형태로 구성된 경우, 상기 압력 조절 부재(143a)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설치되는 기기, 예를 들면, 휴대용 단말기의 내부에 수용될 것이다. 반면에,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브라켓(151)을 통해 상기 전도성 필름(102)이 휴대용 단말기(10)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된 경우, 상기 압력 조절 부재(143a)는 상기 브라켓(151)에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브라켓(151)에는 일측에 압력 조절 케이스(15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압력 조절 케이스(155)는 상기 단말기(10)가 수용되는 공간의 일측에서 그 내부에 일정한 크기의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압력 조절 부재(143a)는 상기 압력 조절 케이스(155)의 내부에 수용된다. 이때, 상기 압력 조절 케이스(155)에는 관통홀(157)이 형성되어 상기 압력 조절 케이스(155)의 내부 공간은 상기 브라켓(151)의 외부로 연결된다. 아울러, 상기 압력 조절 케이스(155)의 내부로부터 상기 밀봉 부재(129)를 관통하게 튜브(143b)가 제공되며, 상기 튜브(143b)를 통해 상기 압력 조절 부재(143a)가 상기 공기층(104)에 연결된다. 이로써, 외부의 압력이 상기 압력 조절 부재(143a)에 작용함에 따라, 상기 압력 조절 부재(143a)가 팽창, 수축하면서 상기 공기층(104)의 압력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외부 압력의 균형을 유지하게 된다.
도 3과 도 4에 개시되는 구조의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는 보호 필름에 관해 언급하지 않았지만, 도 1과 도 2를 통해 개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브라켓(151)의 외측에서 상기 전도성 필름(102)에 합지되는 보호 필름이 구비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또한, 상기 전도성 필름(102)의 외측면에 보호 필름이 합지되는 경우, 상기 전도성 필름(102)에는 별도의 전원 또는 상기 단말기(10)로부터 제공되는 전원을 통해 미세 전류가 인가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0: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
101: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소자
102: 전도성 필름 103: 보호 필름
104: 공기층 143a: 압력 조절 부재

Claims (13)

  1.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소자;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의 외측면에 제공되는 전도성 필름; 및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와 전도성 필름 사이에 개재되는 공기층을 포함하고,
    상기 공기층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의 표면과 전도성 필름 사이의 간격이 유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필름의 외측면에 부착되는 보호 필름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가 활성화됨과 동시에 상기 전도성 필름에 미세 전류가 인가됨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전도성 필름의 일부분이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에 접촉되어 입력 신호를 발생함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층에 연결된 압력 조절 부재를 더 구비하고,
    외부 압력에 따라 상기 압력 조절 부재가 수축, 팽창하면서, 상기 공기층과 외부 압력 사이의 균형을 유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필름의 외측면에 부착되는 보호 필름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
  7. 제5 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전도성 필름의 일부분이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에 접촉되어 입력 신호를 발생함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필름을 둘러싸게 제공되는 브라켓; 및
    상기 전도성 필름의 일면에서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되는 밀봉 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는 휴대용 단말기에 설치되며, 상기 브라켓이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층은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의 외측면, 상기 전도성 필름의 일면 및 상기 밀봉 부재에 의해 둘러싸여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8 항 또는 제9 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전도성 필름의 일부분이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에 접촉되어 입력 신호를 발생함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부재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튜브;
    상기 튜브를 통해 상기 공기층에 연결된 압력 조절 부재를 더 구비하고,
    외부 압력에 따라 상기 압력 조절 부재가 수축, 팽창하면서, 상기 공기층과 외부 압력 사이의 균형을 유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의 일측에 형성되는 압력 조절 케이스를 더 구비하고,
    상기 압력 조절 부재는 상기 압력 조절 케이스 내부에 수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조절 케이스에 형성되어 상기 압력 조절 케이스를 외부로 연결하는 관통홀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10116667A 2011-11-09 2011-11-09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 KR20130051369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6667A KR20130051369A (ko) 2011-11-09 2011-11-09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
CN201210447421XA CN103105982A (zh) 2011-11-09 2012-11-09 触摸屏显示装置和包括该触摸屏显示装置的便携式终端
US13/673,742 US20130113755A1 (en) 2011-11-09 2012-11-09 Touch screen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6667A KR20130051369A (ko) 2011-11-09 2011-11-09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1369A true KR20130051369A (ko) 2013-05-20

Family

ID=482233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6667A KR20130051369A (ko) 2011-11-09 2011-11-09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30113755A1 (ko)
KR (1) KR20130051369A (ko)
CN (1) CN10310598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126230B (en) * 2014-01-31 2016-08-31 Alleco Oy Method and device for protection and use of touch-sensitive devices under water
CN103927057B (zh) * 2014-04-28 2017-07-28 深圳莱宝高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触控显示面板及制作方法
US9471173B2 (en) * 2014-06-30 2016-10-18 Synaptics Incorporated Capacitive input sensing in the presence of a uniform conductor
KR20170081401A (ko) 2016-01-04 2017-07-1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CN206043729U (zh) * 2016-06-30 2017-03-29 刘颂东 电子产品触摸屏在水下环境内高灵敏度触控装置
CN105975138B (zh) 2016-07-08 2019-02-19 厦门天马微电子有限公司 显示模组及显示装置
FR3057366B1 (fr) 2016-10-07 2019-06-28 Submarine Open Technologies Systeme multimedia subaquatique
KR102590928B1 (ko) 2017-01-09 2023-10-1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24835B2 (en) * 2001-01-09 2003-09-23 National Semiconductor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noise reduction in touch screen system
US20050088417A1 (en) * 2003-10-24 2005-04-28 Mulligan Roger C. Tactile touch-sensing system
US20070085837A1 (en) * 2005-10-17 2007-04-19 Eastman Kodak Company Touch input device with display front
CN101261552A (zh) * 2007-03-09 2008-09-10 洋华光电股份有限公司 复合式触控感应装置
US8922510B2 (en) * 2008-01-04 2014-12-30 Tactus Technology, Inc. User interface system
US8154527B2 (en) * 2008-01-04 2012-04-10 Tactus Technology User interface system
US8928621B2 (en) * 2008-01-04 2015-01-06 Tactus Technology, Inc. User interface system and method
CN101539676B (zh) * 2008-03-19 2011-04-20 胜华科技股份有限公司 触控式显示装置、触控式液晶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
EP2221843B1 (en) * 2009-02-24 2012-08-22 Research In Motion Limited Breathable sealed dome switch assembly
US20110216013A1 (en) * 2010-03-05 2011-09-08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Touch-sensitive input device, touch screen device,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a touch-sensitive input device
JP5540797B2 (ja) * 2010-03-19 2014-07-02 ソニー株式会社 センサ装置および表示装置
WO2012054780A1 (en) * 2010-10-20 2012-04-26 Tactus Technology User interface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105982A (zh) 2013-05-15
US20130113755A1 (en) 2013-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51369A (ko)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
CN108140504B (zh) 电子设备和电子设备制造方法
JP4799655B2 (ja) 小型機器
CA2824594C (en) Temporary keyboard having some individual keys that provide varying levels of capacitive coupling to a touch-sensitive display
KR20230129959A (ko) 전자장치 및 전자장치 제조방법
TW201229623A (en) A display apparatus
KR20100041450A (ko) 터치 스크린 판넬 및 그 제작 방법
CN106662891B (zh) 多配置输入设备
US20110141017A1 (en) Waterproof mouse
JP5909682B2 (ja) 電子機器
CN203930589U (zh) 一种屏幕装置及柔性屏用户终端
KR20120032944A (ko)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단말기
KR20040025662A (ko) 입력 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휴대 기기
US20210034114A1 (en) Mobile terminal
WO2017082386A1 (ja) 携帯電子機器
CN104767513A (zh) 多功能按键及移动终端
JP2012129140A (ja) キーボードおよび電子機器
KR20140110607A (ko) 키버튼 어셈블리 및 그 운용 방법
CN110417941A (zh) 一种电子设备
KR101655923B1 (ko) 터치입력장치용 센서-액츄에이터 및 이를 이용하는 단말장치
CN108227985B (zh) 具有无实体按键边框的行动装置
KR20090006460A (ko) 터치 입력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CN112166398B (zh) 信息输出装置
TWI582810B (zh) 按鍵總成
CN106548889B (zh) 按键总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