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47489A - 글로벌 네트워크 슬라이스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글로벌 네트워크 슬라이스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47489A
KR20130047489A KR1020110112545A KR20110112545A KR20130047489A KR 20130047489 A KR20130047489 A KR 20130047489A KR 1020110112545 A KR1020110112545 A KR 1020110112545A KR 20110112545 A KR20110112545 A KR 20110112545A KR 20130047489 A KR20130047489 A KR 201300474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work slice
local network
identification system
identification
sche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25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68440B1 (ko
Inventor
김동균
박진형
김승해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Priority to KR10201101125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8440B1/ko
Publication of KR201300474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74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84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84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6Interconnection of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04L41/0893Assignment of logical groups to network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8Selecting a network or a communication ser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글로벌 네트워크 슬라이스 관리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을 개시한다. 즉, 제 1 로컬 네트워크 도메인 상에서 특정 서비스 수행을 위해 생성된 제 1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구성하는 속성정보에 대한 그룹화를 통해 제 1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생성하여 전달하며, 제 2 로컬 네트워크 도메인 상에서 특정 서비스 수행을 위해 생성된 제 2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구성하는 속성정보에 대한 그룹화를 통해 제 2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생성하여 전달하는 식별체계등록단계; 상기 제 1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 및 상기 제 2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저장하며, 상기 제 1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 및 상기 제 2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통합하여 글로벌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글로벌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저장하는 식별체계저장단계; 및 상기 제 1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 및 상기 제 2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 중 적어도 하나가 변동 또는 삭제될 경우, 상기 제 1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 및 상기 제 2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 중 적어도 하나를 추출하여 갱신하거나, 상기 저장된 글로벌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추출하여 갱신하는 식별체계갱신단계를 포함함으로써, 미래인터넷, 및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 등을 기반으로 한 가상화 네트워크 자원 및 개체들을 고유한 방법으로 식별할 수 있다.

Description

글로벌 네트워크 슬라이스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MANAGEMENT SYSTEM FOR GLOBAL NETWORK SLICE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글로벌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 생성 및 업데이트 방안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속성 정보를 이용하여 개체 유형에 따라 그룹화하고, 그룹화된 로컬 네트워크 도메인들의 슬라이스 정보를 바탕으로 종단간(end-to-end) 글로벌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식별체계를 생성하며, 사용자의 요구에 의한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추가 및 감소에 따라 상기 식별체계를 동적으로 갱신함으로써, 다중 도메인 간 네트워크(Inter-domain Network)를 거쳐 최종 사용자 및 연구자들 사이에 동적으로 할당되는 글로벌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글로벌 네트워크 슬라이스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현재 인터넷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인터넷 네트워크의 개발 일환인 미래 인터넷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다. 현재 미국과 유럽을 중심으로 GENI(Global Environment for Network Innovation), 및 FIRE(Future Internet Research and Experimentation) 등 미래 인터넷을 위한 실험 인프라의 구축이 가속화되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독자적인 미래 인터넷 테스트베드의 구축 작업이 진행 중이다.
이와 같이, 미래인터넷, 클라우드 컴퓨팅 등 네트워크 리소스의 가상화와 통합을 바탕으로 한 새로운 기술 개발과 응용 창출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로컬 네트워크 뿐만 아니라 도메인 간 글로벌하게 연결된 종단간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운용할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종단간 글로벌하게 연결된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식별하고 이를 갱신하기 위한 기존 연구들은 글로벌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수동적(Manual)으로 생성 및 업데이트해야 한다는 제약이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요구에 의하여 점진적으로 확대 및 축소되는 글로벌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식별체계에 대한 동적 갱신을 지원하지 못하며, 글로벌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효과적으로 관리하는 방법 및 시스템 부재 등의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속성 정보를 이용하여 개체 유형에 따라 그룹화하고, 그룹화된 로컬 네트워크 도메인들의 슬라이스 정보를 바탕으로 종단간(end-to-end) 글로벌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식별체계를 생성하며, 사용자의 요구에 의한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추가 및 감소에 따라 상기 식별체계를 동적으로 갱신하여 다중 도메인 간 네트워크(Inter-domain Network)를 거쳐 최종 사용자 및 연구자들 사이에 동적으로 할당되는 글로벌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글로벌 네트워크 슬라이스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글로벌 네트워크 슬라이스 관리 시스템은, 제 1 로컬 네트워크 도메인 상에서 특정 서비스 수행을 위해 생성된 제 1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구성하는 속성정보에 대한 그룹화를 통해 제 1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생성하여 전달하며, 제 2 로컬 네트워크 도메인 상에서 특정 서비스 수행을 위해 생성된 제 2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구성하는 속성정보에 대한 그룹화를 통해 제 2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생성하여 전달하는 식별체계등록부; 상기 제 1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 및 상기 제 2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저장하며, 상기 제 1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 및 상기 제 2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통합하여 글로벌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글로벌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저장하는 식별체계관리부; 및 상기 제 1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 및 상기 제 2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 중 적어도 하나가 변동 또는 삭제될 경우, 상기 제 1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 및 상기 제 2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 중 적어도 하나를 추출하여 갱신하거나, 상기 저장된 글로벌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추출하여 갱신하는 식별체계갱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식별체계관리부는, 상기 제 1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축약하여 제 1 축약식별체계를 생성하며, 상기 생성된 제 1 축약식별체계를 상기 저장된 제 1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와 상호 매핑하여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제 1 축약식별체계를 상기 제 1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전달하며, 상기 제 2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축약하여 제 2 축약식별체계를 생성하며, 상기 생성된 제 2 축약식별체계를 상기 저장된 제 2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와 상호 매핑하여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제 2 축약식별체계를 상기 제 2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식별체계관리부는, 상기 제 1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가 상기 제 2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와 동일한 축약식별체계를 공유하는 경우, 상기 제 1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 및 상기 제 2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통합하여 상기 글로벌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식별체계관리부는, 상기 글로벌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축약하여 제 3 축약식별체계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제 3 축약식별체계를 상기 저장된 글로벌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와 상호 매핑하여 저장하며, 상기 제 3 축약식별체계를 상기 제 1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및 상기 제 2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각각 전달하고, 상기 제 1 축약식별체계 및 제 2 축약식별체계를 상기 제 3 축약식별체계로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식별체계갱신부는, 상기 제 1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가 변동될 경우, 상기 제 1 축약식별체계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제 1 축약식별체계를 토대로 상기 저장된 제 1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추출하여 갱신하며, 상기 제 2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가 변동될 경우, 상기 제 2 축약식별체계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제 2 축약식별체계를 토대로 상기 저장된 제 2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추출하여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식별체계갱신부는, 상기 제 1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 및 상기 제 2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 중 적어도 하나가 변동 또는 삭제될 경우, 상기 제 3 축약식별체계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제 3 축약식별체계를 토대로 상기 저장된 글로벌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추출하여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식별체계관리부는, 상기 제 1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가 갱신될 경우, 상기 갱신된 제 1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축약하여 제 4 축약식별체계를 생성하며, 상기 생성된 제 4 축약식별체계를 상기 갱신된 제 1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와 상호 매핑하여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제 4 축약식별체계를 상기 제 1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전달하며, 상기 제 2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가 갱신될 경우, 상기 갱신된 제 2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축약하여 제 5 축약식별체계를 생성하며, 상기 생성된 제 5 축약식별체계를 상기 갱신된 제 2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와 상호 매핑하여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제 5 축약식별체계를 상기 제 2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식별체계관리부는, 상기 갱신된 글로벌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축약하여 제 6 축약식별체계를 생성하며, 상기 생성된 제 6 축약식별체계를 상기 갱신된 글로벌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와 상호 매핑하여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제 6 축약식별체계를 상기 제 1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및 상기 제 2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중 적어도 하나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식별체계등록부는, 상기 제 1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및 제 2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각각에 대해, 로컬 네트워크 명칭, 네트워크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노드 명칭, 노드 별 인터페이스 명칭, 및 인터페이스에 연결된 링크 명칭을 포함하는 상기 속성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속성정보의 순차배열을 통한 그룹화를 수행하여, 상기 제 1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 및 상기 제 2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식별체계등록장치는, 제 1 로컬 네트워크 도메인 상에서 특정 서비스 수행을 위해 생성된 제 1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구성하는 속성정보를 수집하고, 제 2 로컬 네트워크 도메인 상에서 특정 서비스 수행을 위해 생성된 제 2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구성하는 속성정보를 수집하는 속성정보수집모듈; 상기 제 1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대해 수집된 속성정보를 그룹화하여 제 1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생성하며, 상기 제 2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대해 수집된 속성정보를 그룹화하여 제 2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생성하는 식별체계생성모듈; 및 상기 생성된 제 1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 및 제 2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등록하며, 상기 제 1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가 상기 제 2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와 동일한 축약식별체계를 공유하는 경우, 상기 제 1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 및 상기 제 2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가 통합된 글로벌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로 등록되도록 하는 식별체계등록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식별체계등록모듈은, 상기 등록된 제 1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 및 제 2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 중 적어도 하나가 변동 또는 삭제될 경우, 상기 등록된 제 1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 및 상기 등록된 제 2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 중 적어도 하나를 갱신하거나, 상기 등록된 글로벌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3 관점에 따른 식별체계관리장치는, 제 1 로컬 네트워크 도메인 상에서 특정 서비스 수행을 위해 생성된 제 1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구성하는 속성정보에 대한 그룹화를 통해 생성된 제 1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저장하며, 제 2 로컬 네트워크 도메인 상에서 특정 서비스 수행을 위해 생성된 제 2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구성하는 속성정보에 대한 그룹화를 통해 생성된 제 2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저장하는 식별체계저장모듈; 및 상기 저장된 제 1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축약한 제 1 축약식별체계를 생성하여 상기 저장된 제 1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와 상호 매핑하여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제 1 축약식별체계를 상기 제 1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전달하며, 상기 저장된 제 2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축약한 제 2 축약식별체계를 생성하여 상기 저장된 제 2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와 상호 매핑하여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제 2 축약식별체계를 상기 제 2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전달하는 식별체계관리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식별체계저장모듈은, 상기 제 1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가 상기 제 2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와 동일한 축약식별체계를 공유하는 경우, 상기 제 1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 및 상기 제 2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통합하여 글로벌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식별체계관리모듈은, 상기 저장된 글로벌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축약한 제 3 축약식별체계를 생성하여 상기 저장된 글로벌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와 상호 매핑하여 저장하며, 상기 저장된 제 3 축약식별체계를 상기 제 1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및 상기 제 2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각각 전달하고, 상기 제 1 축약식별체계 및 제 2 축약식별체계를 상기 제 3 축약식별체계로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식별체계관리모듈은, 상기 저장된 제 1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의 변동 또는 삭제에 대응하여 상기 제 1 축약식별체계 또는 상기 제 3 축약식별체계를 기초로 한 정보요청이 수신될 경우, 상기 제 1 축약식별체계 또는 상기 제 3 축약식별체계에 매핑되어 저장된 상기 제 1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 및 상기 글로벌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제공하여 갱신되도록 하며, 상기 저장된 제 2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의 변동 또는 삭제에 대응하여 상기 제 2 축약식별체계 또는 상기 제 3 축약식별체계를 기초로 한 정보요청이 수신될 경우, 상기 제 2 축약식별체계 또는 상기 제 3 축약식별체계에 매핑되어 저장된 상기 제 1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 및 상기 글로벌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제공하여 갱신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4 관점에 따른 글로벌 네트워크 슬라이스 관리 방법은, 제 1 로컬 네트워크 도메인 상에서 특정 서비스 수행을 위해 생성된 제 1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구성하는 속성정보에 대한 그룹화를 통해 제 1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생성하여 전달하며, 제 2 로컬 네트워크 도메인 상에서 특정 서비스 수행을 위해 생성된 제 2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구성하는 속성정보에 대한 그룹화를 통해 제 2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생성하여 전달하는 식별체계등록단계; 상기 제 1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 및 상기 제 2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저장하며, 상기 제 1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 및 상기 제 2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통합하여 글로벌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글로벌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저장하는 식별체계저장단계; 및 상기 제 1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 및 상기 제 2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 중 적어도 하나가 변동 또는 삭제될 경우, 상기 제 1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 및 상기 제 2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 중 적어도 하나를 추출하여 갱신하거나, 상기 저장된 글로벌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추출하여 갱신하는 식별체계갱신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식별체계저장단계는, 상기 제 1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축약하여 제 1 축약식별체계를 생성하며, 상기 생성된 제 1 축약식별체계를 상기 저장된 제 1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와 상호 매핑하여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제 1 축약식별체계를 상기 제 1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전달하며, 상기 제 2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축약하여 제 2 축약식별체계를 생성하며, 상기 생성된 제 2 축약식별체계를 상기 저장된 제 2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와 상호 매핑하여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제 2 축약식별체계를 상기 제 2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식별체계저장단계는, 상기 제 1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가 상기 제 2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와 동일한 축약식별체계를 공유하는 경우, 상기 제 1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 및 상기 제 2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통합하여 상기 글로벌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식별체계저장단계는, 상기 글로벌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축약하여 제 3 축약식별체계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제 3 축약식별체계를 상기 저장된 글로벌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와 상호 매핑하여 저장하며, 상기 제 3 축약식별체계를 상기 제 1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및 상기 제 2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각각 전달하고, 상기 제 1 축약식별체계 및 제 2 축약식별체계를 상기 제 3 축약식별체계로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식별체계갱신단계는, 상기 제 1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가 변동될 경우, 상기 제 1 축약식별체계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제 1 축약식별체계를 토대로 상기 저장된 제 1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추출하여 갱신하며, 상기 제 2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가 변동될 경우, 상기 제 2 축약식별체계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제 2 축약식별체계를 토대로 상기 저장된 제 2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추출하여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식별체계갱신단계는, 상기 제 1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 및 상기 제 2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 중 적어도 하나가 변동 또는 삭제될 경우, 상기 제 3 축약식별체계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제 3 축약식별체계를 토대로 상기 저장된 글로벌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추출하여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식별체계갱신단계는, 상기 제 1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가 갱신될 경우, 상기 갱신된 제 1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축약하여 제 4 축약식별체계를 생성하며, 상기 생성된 제 4 축약식별체계를 상기 갱신된 제 1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와 상호 매핑하여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제 4 축약식별체계를 상기 제 1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전달하며, 상기 제 2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가 갱신될 경우, 상기 갱신된 제 2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축약하여 제 5 축약식별체계를 생성하며, 상기 생성된 제 5 축약식별체계를 상기 갱신된 제 2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와 상호 매핑하여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제 5 축약식별체계를 상기 제 2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식별체계갱신단계는, 상기 갱신된 글로벌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축약하여 제 6 축약식별체계를 생성하며, 상기 생성된 제 6 축약식별체계를 상기 갱신된 글로벌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와 상호 매핑하여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제 6 축약식별체계를 상기 제 1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및 상기 제 2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중 적어도 하나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식별체계등록단계는, 상기 제 1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및 제 2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각각에 대해, 로컬 네트워크 명칭, 네트워크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노드 명칭, 노드 별 인터페이스 명칭, 및 인터페이스에 연결된 링크 명칭을 포함하는 상기 속성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속성정보의 순차배열을 통한 그룹화를 수행하여, 상기 제 1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 및 상기 제 2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5 관점에 따른 식별체계등록장치의 동작 방법은, 제 1 로컬 네트워크 도메인 상에서 특정 서비스 수행을 위해 생성된 제 1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구성하는 속성정보를 수집하고, 제 2 로컬 네트워크 도메인 상에서 특정 서비스 수행을 위해 생성된 제 2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구성하는 속성정보를 수집하는 속성정보수집단계; 상기 제 1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대해 수집된 속성정보를 그룹화하여 제 1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생성하며, 상기 제 2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대해 수집된 속성정보를 그룹화하여 제 2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생성하는 식별체계생성단계; 및 상기 생성된 제 1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 및 제 2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등록하며, 상기 제 1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가 상기 제 2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와 동일한 축약식별체계를 공유하는 경우, 상기 제 1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 및 상기 제 2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가 통합된 글로벌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로 등록되도록 하는 식별체계등록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식별체계등록단계는, 상기 등록된 제 1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 및 제 2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 중 적어도 하나가 변동 또는 삭제될 경우, 상기 등록된 제 1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 및 상기 등록된 제 2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 중 적어도 하나를 갱신하거나, 상기 등록된 글로벌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6 관점에 따른 식별체계관리장치의 동작 방법은, 제 1 로컬 네트워크 도메인 상에서 특정 서비스 수행을 위해 생성된 제 1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구성하는 속성정보에 대한 그룹화를 통해 생성된 제 1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저장하며, 제 2 로컬 네트워크 도메인 상에서 특정 서비스 수행을 위해 생성된 제 2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구성하는 속성정보에 대한 그룹화를 통해 생성된 제 2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저장하는 식별체계저장단계; 및 상기 저장된 제 1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축약한 제 1 축약식별체계를 생성하여 상기 저장된 제 1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와 상호 매핑하여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제 1 축약식별체계를 상기 제 1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전달하며, 상기 저장된 제 2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축약한 제 2 축약식별체계를 생성하여 상기 저장된 제 2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와 상호 매핑하여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제 2 축약식별체계를 상기 제 2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전달하는 축약식별체계관리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식별체계저장단계는, 상기 제 1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가 상기 제 2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와 동일한 축약식별체계를 공유하는 경우, 상기 제 1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 및 상기 제 2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통합하여 글로벌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축약식별체계관리단계는, 상기 저장된 글로벌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축약한 제 3 축약식별체계를 생성하여 상기 저장된 글로벌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와 상호 매핑하여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제 3 축약식별체계를 상기 제 1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및 상기 제 2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각각 전달하고, 상기 제 1 축약식별체계 및 제 2 축약식별체계를 상기 제 3 축약식별체계로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축약식별체계관리단계는, 상기 저장된 제 1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의 변동 또는 삭제에 대응하여 상기 제 1 축약식별체계 또는 상기 제 3 축약식별체계를 기초로 한 정보요청이 수신될 경우, 상기 제 1 축약식별체계 또는 상기 제 3 축약식별체계에 매핑되어 저장된 상기 제 1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 및 상기 글로벌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제공하여 갱신되도록 하며, 상기 저장된 제 2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의 변동 또는 삭제에 대응하여 상기 제 2 축약식별체계 또는 상기 제 3 축약식별체계를 기초로 한 정보요청이 수신될 경우, 상기 제 2 축약식별체계 또는 상기 제 3 축약식별체계에 매핑되어 저장된 상기 제 1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 및 상기 글로벌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제공하여 갱신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7 관점에 따른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는 제 1 로컬 네트워크 도메인 상에서 특정 서비스 수행을 위해 생성된 제 1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구성하는 속성정보에 대한 그룹화를 통해 제 1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생성하여 전달하며, 제 2 로컬 네트워크 도메인 상에서 특정 서비스 수행을 위해 생성된 제 2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구성하는 속성정보에 대한 그룹화를 통해 제 2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생성하여 전달하는 식별체계등록단계; 상기 제 1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 및 상기 제 2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저장하며, 상기 제 1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 및 상기 제 2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통합하여 글로벌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글로벌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저장하는 식별체계저장단계; 및 상기 제 1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 및 상기 제 2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 중 적어도 하나가 변동 또는 삭제될 경우, 상기 제 1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 및 상기 제 2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 중 적어도 하나를 추출하여 갱신하거나, 상기 저장된 글로벌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추출하여 갱신하는 식별체계갱신단계를 실행하기 위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글로벌 네트워크 슬라이스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의하면,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속성 정보를 이용하여 종단간 글로벌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식별체계를 자동으로 생성하고 동적으로 업데이트함에 따라, 다양한 유형으로 종단간 구현되는 미래인터넷, 및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 등을 기반으로 한 가상화 네트워크 자원 및 개체들을 고유한 방법으로 식별할 수 있다.
또한,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속성을 수집하여 자동으로 로컬 식별체계를 생성 및 축약하고 동적으로 글로벌 식별체계를 관리하는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동일 개체 식별을 위한 비교와 검색의 효율성 향상은 물론 글로벌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변화에 따라 점진적으로 변화되는 종단간 글로벌 슬라이스를 식별할 수 있는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글로벌 네트워크 슬라이스 관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별체계등록부(식별체계등록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별체계관리부(식별체계관리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별체계갱신부(식별체계갱신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글로벌 네트워크 슬라이스 관리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별체계등록부(식별체계등록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별체계관리부(식별체계관리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별체계갱신부(식별체계갱신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글로벌 네트워크 슬라이스 관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를 도시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구성하는 속성정보에 대한 그룹화를 통해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생성하여 전달하는 식별체계등록부(100), 전달된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저장하며, 다수의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통합하여 통해 글로벌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로서 저장하는 식별체계관리부(200); 및 상기 저장된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 및 글로벌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갱신하는 식별체계갱신부(30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여기서,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는, 로컬 네트워크 도메인 상에서 특정 서비스 수행을 위해 생성된 물리적 또는 가상의 네트워크를 지칭하며, 이러한,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는 네트워크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노드, 노드 별 인터페이스, 및 인터페이스에 연결된 링크로 구성될 수 있다.
식별체계등록부(100)는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구성하는 속성정보를 그룹화하여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생성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식별체계등록부(100)는 로컬 네트워크 도메인 상에서 특정 서비스 수행을 위해 생성된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구성하는 속성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속성정보에 대한 그룹화를 통해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생성하게 된다. 즉, 식별체계등록부(100)는 해당 로컬 네트워크에 대한 로컬 네트워크의 명칭, 네트워크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물리적 또는 가상 노드의 명칭, 노드 별 인터페이스의 명칭, 및 인터페이스에 연결된 링크의 명칭을 포함하는 속성정보를 수집하게 되며, 이와 같이 수집된 속성정보의 순차 배열을 통한 그룹화를 수행하여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생성한다. 여기서,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의 경우, [로컬 네트워크{::노드{:인터페이스:링크}}]의 구조를 가지며, 로컬 네트워크 명칭 이후, {} 기호 안에는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포함된 노드와 인터페이스의 개수만큼 반복되며, 최소한 하나 이상의 {} 세트로 구성된다. 예컨대, 'KREONET'이라는 로컬 네트워크 안에서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가 두 개의 가상 노드인 'V-Node1', 'V-Node2'로 구성되고, 상기 'V-Node1' 노드는 'V-IF1' 인터페이스로 구성되며, 상기 'V-IF1' 인터페이스는 링크 'V-Link1'과 연결되어 있고, 상기 링크인 'V-Link1'을 통해서 상기 'V-Node2'의 'V-IF2' 인터페이스가 연결되고 상기 'V-IF2' 인터페이스가 상기 'V-Node2' 노드와 연결되어 있다면, 그룹화된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의 경우, '[KREONET::V-Node1:V-IF1:V-Link1::V-Node2:V-IF2:V-Link1]'와 같이 표현된다.
나아가, 식별체계등록부(100)는 생성된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식별체계관리부(200)에 전달하여 등록을 요청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식별체계등록부(100)는 상기와 같이 생성된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식별체계관리부(200)에 전달하여 등록을 요청하고, 전달된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에 대한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축약식별체계를 식별체계관리부(200)로부터 수신하여 해당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매핑하여 관리하게 된다. 한편, 식별체계등록부(100)는 식별체계관리부(200)에 전달된 복수의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가 통합되어, 글로벌 네트워크 슬라이스 축약식별체계로 관리될 경우, 식별체계관리부(200)로부터 상기 글로벌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에 대한 축약식별체계를 수신하게 되며, 상기 글로벌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구성하는 각각의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와 수신된 글로벌 네트워크 축약 식별체계를 매핑하여 관리하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식별체계등록부(100)는 생성된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새롭게 등록하는 경우, 식별체계관리부(200)에 해당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주소와 그룹화된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전달하게 된다. 반면, 식별체계등록부(100)는 기 등록된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가 변경되거나, 글로벌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에 포함된 각각의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의 변경 또는 삭제될 경우, 해당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축약식별체계 또는 글로벌 네트워크 슬라이스 축약식별체계와 함께 변경된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식별체계갱신부(300)에 전달함으로써, 식별체계갱신부(300)로 하여금 전달된 정보를 토대로 식별체계관리부(200)에 저장된 글로벌 네트워크 식별체계를 갱신할 수 있도록 한다.
식별체계관리부(200)는 식별체계등록부(100)로부터 전달되는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저장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식별체계관리부(200)는 식별체계등록부(100)로부터 전달되는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저장함과 아울러, 예컨대, IETF의 국제 표준인 RFC1321의 MD5 해쉬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저장된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에 대한 축약식별체계를 생성한다. 또한, 식별체계관리부(200)는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축약식별체계를 매핑하여 저장한 이후 식별체계등록부(100)를 통해 해당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전달함으로써, 식별체계등록부(100)로 하여금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축약식별체계를 해당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매핑하여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식별체계관리부(200)는 식별체계갱신부(300)에 의해 기 등록된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가 갱신될 경우, 상기와 마찬가지로 갱신된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에 대한 축약식별체계를 생성하여 식별체계등록부(100)를 통해 해당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전달하게 된다.
또한, 식별체계관리부(200)는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통합하여 글로벌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생성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식별체계관리부(200)는 식별체계등록부(100)로부터 전달된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가 갖는 축약식별체계가 기 등록된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와 매핑되는 축약식별체계와 일치할 경우, 각각의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통합하여 글로벌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로서 저장하게 된다. 예컨대, '[NEW-NET::V-Node1:V-IF1:V-Link1]'와 같은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가 새롭게 생성되어 등록될 때, 이미 '[KREONET::V-Node1:V-IF1:V-Link1::V-Node2:V-IF2:V-Link1]'와 같이 상기 새롭게 등록되는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와 동일한 축약식별체계를 공유하는 기 등록된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가 존재할 경우, 상기 두 개의 로컬 네트워크 식별체계를 상호 연결하여 통합함으로써, '[KREONET::V-Node1:V-IF1:V-Link1::V-Node2:V-IF2:V-Link1][NEW-NET::V-Node1:V-IF1:V-Link1]'와 같이 글로벌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로 저장하여 관리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통합된 글로벌 네트워크 식별체계의 경우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가 추가됨에 따라 계속해서 상호 연결되어 길어지므로, 확장성이 떨어지고 관리가 어렵게 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식별체계관리부(200)는 상기와 같이, IETF의 국제 표준인 RFC1321의 MD5 해쉬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통합된 글로벌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에 대한 축약식별체계를 생성하고, 생성된 글로벌 네트워크 슬라이스 축약식별체계를 저장된 글로벌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와 상호 매핑하여 저장한다. 이후, 식별체계관리부(200)는 글로벌 네트워크 슬라이스 축약식별체계를 식별체계등록부(100)를 통해 상기 글로벌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구성하는 각각의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전달함으로써, 식별체계등록부(100)로 하여금 글로벌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구성하는 각각의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와 상기 글로벌 네트워크 슬라이스 축약식별체계를 매핑하여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식별체계관리부(200)는 식별체계갱신부(300)에 의해 기 등록된 글로벌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가 갱신될 경우에도, 상기와 마찬가지로 갱신된 글로벌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에 대한 축약식별체계를 생성하여 식별체계등록부(100)를 통해 갱신된 글로벌 네트워그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구성하는 각각의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전달하게 된다.
식별체계갱신부(300)는 식별체계관리부(200)에 기 등록된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 또는 글로벌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갱신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식별체계갱신부(300)는 식별체계등록부(100)에서 기 등록된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의 변경 상태가 감지되거나, 글로벌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에 포함된 각각의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의 변경 또는 삭제 상태가 감지될 경우, 식별체계등록부(100)로부터 해당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축약식별체계 또는 글로벌 네트워크 슬라이스 축약식별체계와 함께 변경된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수신하게 된다. 이를 기반으로, 식별체계갱신부(300)는 수신된 축약식별체계를 토대로 식별체계관리부(200)에 매핑되어 저장된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상기 변경된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가 반영되도록 갱신하게 한다. 한편, 글로벌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에 포함된 특정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가 변경 또는 삭제된 경우, 상기 특정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대한 축약식별체계를 토대로 식별체계관리부(200)에 매핑되어 저장된 상기 특정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추출하여 갱신한 이후, 글로벌 네트워크 슬라이스 축약식별체계를 토대로 식별체계관리부(200)에 매핑되어 저장된 글로벌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추출함으로써, 해당 갱신 상태를 반영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별체계등록부(100, 식별체계등록장치)의 보다 구체적인 구성을 살펴보기로 한다.
즉, 식별체계등록부(100)는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구성하는 속성정보를 수집하는 속성정보수집모듈(110);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생성하는 식별체계생성모듈(120); 및 생성된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등록하는 식별체계등록모듈(130)을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속성정보수집모듈(110)은 로컬 네트워크 도메인별로 특정 서비스 수행을 위해 생성된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구성하는 속성정보를 수집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속성정보수집모듈(110)은 해당 로컬 네트워크에 대한 로컬 네트워크의 명칭, 네트워크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물리적 또는 가상 노드의 명칭, 노드 별 인터페이스의 명칭, 및 인터페이스에 연결된 링크의 명칭을 포함하는 속성정보를 수집하게 된다.
식별체계생성모듈(120)은 수집된 속성정보에 대한 그룹화를 통해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생성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식별체계생성모듈(120)은 해당 로컬 네트워크에 대한 로컬 네트워크의 명칭, 네트워크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물리적 또는 가상 노드의 명칭, 노드 별 인터페이스의 명칭, 및 인터페이스에 연결된 링크의 명칭을 포함하는 속성정보의 순차 배열을 통한 그룹화를 수행하여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생성한다. 여기서,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의 경우, [로컬 네트워크{::노드{:인터페이스:링크}}]의 구조를 가지며, 로컬 네트워크 명칭 이후, {} 기호 안에는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포함된 노드와 인터페이스의 개수만큼 반복되며, 최소한 하나 이상의 {} 세트로 구성된다. 예컨대, 'KREONET'이라는 로컬 네트워크 안에서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가 두 개의 가상 노드인 'V-Node1', 'V-Node2'로 구성되고, 상기 'V-Node1' 노드는 'V-IF1' 인터페이스로 구성되며, 상기 'V-IF1' 인터페이스는 링크 'V-Link1'과 연결되어 있고, 상기 링크인 'V-Link1'을 통해서 상기 'V-Node2'의 'V-IF2' 인터페이스가 연결되고 상기 'V-IF2' 인터페이스가 상기 'V-Node2' 노드와 연결되어 있다면, 그룹화된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의 경우, '[KREONET::V-Node1:V-IF1:V-Link1::V-Node2:V-IF2:V-Link1]'와 같이 표현된다.
식별체계등록모듈(130)은 생성된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식별체계관리부(200)에 전달하여 등록을 요청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식별체계등록모듈(130)은 상기와 같이 생성된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식별체계관리부(200)에 전달하여 등록을 요청하고, 전달된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에 대한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축약식별체계를 식별체계관리부(200)로부터 수신하여 해당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매핑하여 관리하게 된다. 한편, 식별체계등록모듈(130)은 식별체계관리부(200)에 전달된 복수의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가 통합되어, 글로벌 네트워크 슬라이스 축약식별체계로 관리될 경우, 식별체계관리부(200)로부터 상기 글로벌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에 대한 축약식별체계를 수신하게 되며, 상기 글로벌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구성하는 각각의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와 수신된 글로벌 네트워크 축약 식별체계를 매핑하여 관리하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식별체계등록모듈(130)은 생성된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새롭게 등록하는 경우, 식별체계관리부(200)에 해당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주소와 그룹화된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전달하게 된다.
아울러, 식별체계등록모듈(130)은 기 등록된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가 또는 글로벌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의 갱신을 지원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식별체계등록모듈(130)은 기 등록된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가 변경되거나, 글로벌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에 포함된 각각의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의 변경 또는 삭제될 경우, 해당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축약식별체계 또는 글로벌 네트워크 슬라이스 축약식별체계와 함께 변경된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식별체계갱신부(300)에 전달함으로써, 식별체계갱신부(300)로 하여금 전달된 정보를 토대로 식별체계관리부(200)에 저장된 글로벌 네트워크 식별체계를 갱신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별체계관리부(200, 식별체계관리장치)의 보다 구체적인 구성을 살펴보기로 한다.
즉, 식별체계관리부(200)는 생성된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저장하는 식별체계저장모듈(210), 및 저장된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의 축약한 축약식별체계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식별체계관리모듈(220)을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식별체계저장모듈(210)은 식별체계등록부(100)로부터 전달되는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저장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식별체계저장모듈(210)은 식별체계등록부(100)로부터 전달되는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저장하게 되며, 이때, 식별체계등록부(100)로부터 전달된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가 갖는 축약식별체계가 기 등록된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와 매핑되는 축약식별체계와 일치할 경우, 각각의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통합하여 글로벌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로서 저장하게 된다. 예컨대, '[NEW-NET::V-Node1:V-IF1:V-Link1]'와 같은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가 새롭게 생성되어 등록될 때, 이미 '[KREONET::V-Node1:V-IF1:V-Link1::V-Node2:V-IF2:V-Link1]'와 같이 상기 새롭게 등록되는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와 동일한 축약식별체계를 공유하는 기 등록된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가 존재할 경우, 상기 두 개의 로컬 네트워크 식별체계를 상호 연결하여 통합함으로써, '[KREONET::V-Node1:V-IF1:V-Link1::V-Node2:V-IF2:V-Link1][NEW-NET::V-Node1:V-IF1:V-Link1]'와 같이 글로벌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로 저장하여 관리하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식별체계관리모듈(220)은 저장된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 및 글로벌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에 대한 축약식별체계를 생성하여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식별체계관리모듈(220)은 예컨대, IETF의 국제 표준인 RFC1321의 MD5 해쉬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저장된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에 대한 축약식별체계를 생성한다. 또한, 식별체계관리모듈(220)은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축약식별체계를 매핑하여 저장한 이후 식별체계등록부(100)를 통해 해당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전달함으로써, 식별체계등록부(100)로 하여금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축약식별체계를 해당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매핑하여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식별체계관리모듈(220)은 식별체계갱신부(300)에 의해 기 등록된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가 갱신될 경우, 상기와 마찬가지로 갱신된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에 대한 축약식별체계를 생성하여 식별체계등록부(100)를 통해 해당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전달하게 된다. 또한, 식별체계관리모듈(220)은 상기와 같이, IETF의 국제 표준인 RFC1321의 MD5 해쉬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통합된 글로벌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에 대한 축약식별체계를 생성하고, 생성된 글로벌 네트워크 슬라이스 축약식별체계를 저장된 글로벌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와 상호 매핑하여 저장한다. 이후, 식별체계관리모듈(220)은 글로벌 네트워크 슬라이스 축약식별체계를 식별체계등록부(100)를 통해 상기 글로벌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구성하는 각각의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전달함으로써, 식별체계등록부(100)로 하여금 글로벌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구성하는 각각의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와 상기 글로벌 네트워크 슬라이스 축약식별체계를 매핑하여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식별체계관리모듈(220)은 식별체계갱신부(300)에 의해 기 등록된 글로벌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가 갱신될 경우에도, 상기와 마찬가지로 갱신된 글로벌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에 대한 축약식별체계를 생성하여 식별체계등록부(100)를 통해 갱신된 글로벌 네트워그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구성하는 각각의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전달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별체계갱신부(300, 식별체계갱신장치)의 보다 구체적인 구성을 살펴보기로 한다.
즉, 식별체계갱신부(300)는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 또는 글로벌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에 대한 변동 상태를 확인하는 변동확인모듈(310) 및 기 등록된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 또는 글로벌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갱신하는 식별체계갱신모듈(32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변동확인모듈(310)은 식별체계등록부(100)에서 기 등록된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 또는 글로벌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에 대한 변동 상태를 확인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변동확인모듈(310)은 식별체계등록부(100)에서 기 등록된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의 변경 상태가 감지되거나, 글로벌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에 포함된 각각의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의 변경 또는 삭제 상태가 감지될 경우, 식별체계등록부(100)로부터 해당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축약식별체계 또는 글로벌 네트워크 슬라이스 축약식별체계와 함께 변경된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수신하게 된다.
식별체계갱신모듈(320)은 식별체계관리부(200)에 저장된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 또는 글로벌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갱신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식별체계갱신모듈(320)은 수신된 축약식별체계를 토대로 식별체계관리부(200)에 매핑되어 저장된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상기 변경된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가 반영되도록 갱신하게 한다. 한편, 식별체계갱신모듈(320)은 글로벌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에 포함된 특정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가 변경 또는 삭제된 경우, 상기 특정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대한 축약식별체계를 토대로 식별체계관리부(200)에 매핑되어 저장된 상기 특정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추출하여 갱신한 이후, 글로벌 네트워크 슬라이스 축약식별체계를 토대로 식별체계관리부(200)에 매핑되어 저장된 글로벌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추출함으로써 해당 갱신 상태를 반영하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글로벌 네트워크 슬라이스 관리 시스템에 의하면,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속성 정보를 이용하여 종단간 글로벌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식별체계를 자동으로 생성하고 동적으로 업데이트함에 따라, 다양한 유형으로 종단간 구현되는 미래인터넷, 및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 등을 기반으로 한 가상화 네트워크 자원 및 개체들을 고유한 방법으로 식별할 수 있다. 또한,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속성을 수집하여 자동으로 로컬 식별체계를 생성 및 축약하고 동적으로 글로벌 식별체계를 관리하는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동일 개체 식별을 위한 비교와 검색의 효율성 향상은 물론 글로벌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변화에 따라 점진적으로 변화되는 종단간 글로벌 슬라이스를 식별할 수 있는 기능을 지원한다.
이하에서는,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글로벌 네트워크 슬라이스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전술한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구성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해당 참조번호를 언급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글로벌 네트워크 슬라이스 관리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식별체계등록부(100)가 로컬 네트워크 도메인별로 특정 서비스 수행을 위해 생성된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구성하는 속성정보를 그룹화하여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생성한다(S110-S120).
바람직하게는, 식별체계등록부(100)는 로컬 네트워크 도메인 상에서 특정 서비스 수행을 위해 생성된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구성하는 속성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속성정보에 대한 그룹화를 통해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생성하게 된다. 즉, 식별체계등록부(100)는 해당 로컬 네트워크에 대한 로컬 네트워크의 명칭, 네트워크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물리적 또는 가상 노드의 명칭, 노드 별 인터페이스의 명칭, 및 인터페이스에 연결된 링크의 명칭을 포함하는 속성정보를 수집하게 되며, 이와 같이 수집된 속성정보의 순차 배열을 통한 그룹화를 수행하여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생성한다. 여기서,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의 경우, [로컬 네트워크{::노드{:인터페이스:링크}}]의 구조를 가지며, 로컬 네트워크 명칭 이후, {} 기호 안에는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포함된 노드와 인터페이스의 개수만큼 반복되며, 최소한 하나 이상의 {} 세트로 구성된다. 예컨대, 'KREONET'이라는 로컬 네트워크 안에서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가 두 개의 가상 노드인 'V-Node1', 'V-Node2'로 구성되고, 상기 'V-Node1' 노드는 'V-IF1' 인터페이스로 구성되며, 상기 'V-IF1' 인터페이스는 링크 'V-Link1'과 연결되어 있고, 상기 링크인 'V-Link1'을 통해서 상기 'V-Node2'의 'V-IF2' 인터페이스가 연결되고 상기 'V-IF2' 인터페이스가 상기 'V-Node2' 노드와 연결되어 있다면, 그룹화된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의 경우, '[KREONET::V-Node1:V-IF1:V-Link1::V-Node2:V-IF2:V-Link1]'와 같이 표현된다.
그리고 나서, 식별체계등록부(100)가 생성된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식별체계관리부(200)에 전달하여 등록을 요청한다(S130).
바람직하게는, 식별체계등록부(100)는 상기와 같이 생성된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식별체계관리부(200)에 전달하여 등록을 요청한다. 이와 관련하여, 식별체계등록부(100)는 생성된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새롭게 등록하는 경우, 식별체계관리부(200)에 해당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주소와 그룹화된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전달하게 된다.
그런 다음, 식별체계관리부(200)는 식별체계등록부(100)로부터 전달되는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저장하고,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에 대한 축약식별체계를 제공한다(S140-S160).
보다 구체적으로, 식별체계관리부(200)는 식별체계등록부(100)로부터 전달되는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저장함과 아울러, 예컨대, IETF의 국제 표준인 RFC1321의 MD5 해쉬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저장된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에 대한 축약식별체계를 생성한다. 또한, 식별체계관리부(200)는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축약식별체계를 매핑하여 저장한 이후 식별체계등록부(100)를 통해 해당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전달함으로써, 식별체계등록부(100)로 하여금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축약식별체계를 해당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매핑하여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식별체계관리부(200)는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통합하여 글로벌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생성하여 제공한다(S170-S190).
보다 구체적으로, 식별체계관리부(200)는 식별체계등록부(100)로부터 전달된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가 갖는 축약식별체계가 기 등록된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와 매핑되는 축약식별체계와 일치할 경우, 각각의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통합하여 글로벌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로서 저장하게 된다. 예컨대, '[NEW-NET::V-Node1:V-IF1:V-Link1]'와 같은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가 새롭게 생성되어 등록될 때, 이미 '[KREONET::V-Node1:V-IF1:V-Link1::V-Node2:V-IF2:V-Link1]'와 같이 상기 새롭게 등록되는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와 동일한 축약식별체계를 공유하는 기 등록된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가 존재할 경우, 상기 두 개의 로컬 네트워크 식별체계를 상호 연결하여 통합함으로써, '[KREONET::V-Node1:V-IF1:V-Link1::V-Node2:V-IF2:V-Link1][NEW-NET::V-Node1:V-IF1:V-Link1]'와 같이 글로벌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로 저장하여 관리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통합된 글로벌 네트워크 식별체계의 경우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가 추가됨에 따라 계속해서 상호 연결되어 길어지므로, 확장성이 떨어지고 관리가 어렵게 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식별체계관리부(200)는 상기와 같이, IETF의 국제 표준인 RFC1321의 MD5 해쉬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통합된 글로벌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에 대한 축약식별체계를 생성하고, 생성된 글로벌 네트워크 슬라이스 축약식별체계를 저장된 글로벌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와 상호 매핑하여 저장한다. 이후, 식별체계관리부(200)는 글로벌 네트워크 슬라이스 축약식별체계를 식별체계등록부(100)를 통해 상기 글로벌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구성하는 각각의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전달함으로써, 식별체계등록부(100)로 하여금 글로벌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구성하는 각각의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와 상기 글로벌 네트워크 슬라이스 축약식별체계를 매핑하여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나서, 식별체계갱신부(300)가 식별체계관리부(200)에 기 등록된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 또는 글로벌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갱신하게 된다(S200-S220).
바람직하게는, 식별체계갱신부(300)는 식별체계등록부(100)에서 기 등록된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의 변경 상태가 감지되거나, 글로벌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에 포함된 각각의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의 변경 또는 삭제 상태가 감지될 경우, 식별체계등록부(100)로부터 해당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축약식별체계 또는 글로벌 네트워크 슬라이스 축약식별체계와 함께 변경된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수신하게 된다. 이를 기반으로, 식별체계갱신부(300)는 수신된 축약식별체계를 토대로 식별체계관리부(200)에 매핑되어 저장된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상기 변경된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가 반영되도록 갱신하게 한다. 한편, 글로벌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에 포함된 특정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가 변경 또는 삭제된 경우, 상기 특정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대한 축약식별체계를 토대로 식별체계관리부(200)에 매핑되어 저장된 상기 특정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추출하여 갱신한 이후, 글로벌 네트워크 슬라이스 축약식별체계를 토대로 식별체계관리부(200)에 매핑되어 저장된 글로벌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추출함으로써, 해당 갱신 상태를 반영하게 된다.
이후, 식별체계관리부(200)가 갱신된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 또는 글로벌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에 대한 축약식별체계를 생성하여 제공한다(S230-S240).
바람직하게는, 식별체계관리부(200)는 식별체계갱신부(300)에 의해 기 등록된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가 갱신될 경우, 상기와 마찬가지로 갱신된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에 대한 축약식별체계를 생성하여 식별체계등록부(100)를 통해 해당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전달하게 된다. 한편, 식별체계관리부(200)는 식별체계갱신부(300)에 의해 기 등록된 글로벌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가 갱신될 경우에도, 상기와 마찬가지로 갱신된 글로벌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에 대한 축약식별체계를 생성하여 식별체계등록부(100)를 통해 갱신된 글로벌 네트워그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구성하는 각각의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전달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식별체계등록부(100, 식별체계등록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속성정보수집모듈(110)이 해당 로컬 네트워크에 대한 로컬 네트워크의 명칭, 네트워크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물리적 또는 가상 노드의 명칭, 노드 별 인터페이스의 명칭, 및 인터페이스에 연결된 링크의 명칭을 포함하는 속성정보를 수집하게 된다(S310).
그리고 나서, 식별체계생성모듈(120)이 해당 로컬 네트워크에 대한 로컬 네트워크의 명칭, 네트워크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물리적 또는 가상 노드의 명칭, 노드 별 인터페이스의 명칭, 및 인터페이스에 연결된 링크의 명칭을 포함하는 속성정보의 순차 배열을 통한 그룹화를 수행하여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생성한다(S320).
그런 다음, 식별체계등록모듈(130)이 생성된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식별체계관리부(200)에 전달하여 등록을 요청하고, 전달된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에 대한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축약식별체계를 식별체계관리부(200)로부터 수신하여 해당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매핑하여 관리하게 된다. 한편, 식별체계등록모듈(130)은 식별체계관리부(200)에 전달된 복수의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가 통합되어, 글로벌 네트워크 슬라이스 축약식별체계로 관리될 경우, 식별체계관리부(200)로부터 상기 글로벌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에 대한 축약식별체계를 수신하게 되며, 상기 글로벌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구성하는 각각의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와 수신된 글로벌 네트워크 축약 식별체계를 매핑하여 관리하게 된다(S330-S340).
다음으로, 식별체계등록모듈(130)이 기 등록된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가 변경되거나, 글로벌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에 포함된 각각의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의 변경 또는 삭제될 경우, 해당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축약식별체계 또는 글로벌 네트워크 슬라이스 축약식별체계와 함께 변경된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식별체계갱신부(300)에 전달함으로써, 식별체계갱신부(300)로 하여금 전달된 정보를 토대로 식별체계관리부(200)에 저장된 글로벌 네트워크 식별체계를 갱신할 수 있도록 한다(S350-S360).
이후, 식별체계등록모듈(130)은 식별체계관리부(200)로부터 갱신된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에 대한 축약식별체계를 수신하여 해당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매핑하여 관리하며, 갱신된 글로벌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에 대한 축약식별체계가 수신될 경우, 글로벌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구성하는 각각의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와 수신된 글로벌 네트워크 축약 식별체계를 매핑하여 관리하게 된다(S370).
이하에서는, 도 7을 참조하여 식별체계관리부(100, 식별체계관리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식별체계저장모듈(210)이 식별체계등록부(100)로부터 전달되는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저장한다(S410).
그리고 나서, 식별체계관리모듈(220)이 예컨대, IETF의 국제 표준인 RFC1321의 MD5 해쉬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저장된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에 대한 축약식별체계를 생성한다(S420).
그런 다음, 식별체계저장모듈(210)은 식별체계등록부(100)로부터 전달된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가 갖는 축약식별체계가 기 등록된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와 매핑되는 축약식별체계와 일치할 경우, 각각의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통합하여 글로벌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로서 저장하게 된다(S430-S440).
다음으로, 식별체계관리모듈(220)은 통합된 글로벌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에 대한 축약식별체계를 생성하고, 생성된 글로벌 네트워크 슬라이스 축약식별체계를 저장된 글로벌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와 상호 매핑하여 저장한다(S450).
그리고 나서, 식별체계관리모듈(220)은 글로벌 네트워크 슬라이스 축약식별체계를 식별체계등록부(100)를 통해 상기 글로벌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구성하는 각각의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전달함으로써, 식별체계등록부(100)로 하여금 글로벌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구성하는 각각의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와 상기 글로벌 네트워크 슬라이스 축약식별체계를 매핑하여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S460).
한편, 식별체계관리모듈(220)은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가 갖는 축약식별체계가 기 등록된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와 매핑되는 축약식별체계와 일치하지 않을 경우,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축약식별체계를 식별체계등록부(100)를 통해 해당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전달함으로써, 식별체계등록부(100)로 하여금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축약식별체계를 해당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매핑하여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S470).
이후, 식별체계관리모듈(220)은 식별체계갱신부(300)에 의해 기 등록된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가 갱신될 경우, 상기와 마찬가지로 갱신된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에 대한 축약식별체계를 생성하여 식별체계등록부(100)를 통해 해당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전달하게 된다. 또한, 식별체계관리모듈(220)은 식별체계갱신부(300)에 의해 기 등록된 글로벌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가 갱신될 경우에도, 상기와 마찬가지로 갱신된 글로벌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에 대한 축약식별체계를 생성하여 식별체계등록부(100)를 통해 갱신된 글로벌 네트워그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구성하는 각각의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전달하게 된다(S480-S500).
이하에서는, 도 8을 참조하여 식별체계갱신부(300, 식별체계갱신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식별체계등록부(100)에서 기 등록된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의 변경 상태가 감지되거나, 글로벌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에 포함된 각각의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의 변경 또는 삭제 상태가 감지될 경우, 변동확인모듈(310)은 식별체계등록부(100)로부터 해당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축약식별체계 또는 글로벌 네트워크 슬라이스 축약식별체계와 함께 변경된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수신하게 된다(S510).
그리고 나서, 식별체계갱신모듈(320)은 수신된 축약식별체계를 토대로 식별체계관리부(200)에 매핑되어 저장된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상기 변경된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가 반영되도록 갱신하게 한다. 한편, 식별체계갱신모듈(320)은 글로벌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에 포함된 특정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가 변경 또는 삭제된 경우, 상기 특정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대한 축약식별체계를 토대로 식별체계관리부(200)에 매핑되어 저장된 상기 특정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추출하여 갱신한 이후, 글로벌 네트워크 슬라이스 축약식별체계를 토대로 식별체계관리부(200)에 매핑되어 저장된 글로벌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추출함으로써 해당 갱신 상태를 반영하게 된다(S520-S540).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글로벌 네트워크 슬라이스 관리 방법에 의하면,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속성 정보를 이용하여 종단간 글로벌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식별체계를 자동으로 생성하고 동적으로 업데이트함에 따라, 다양한 유형으로 종단간 구현되는 미래인터넷, 및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 등을 기반으로 한 가상화 네트워크 자원 및 개체들을 고유한 방법으로 식별할 수 있다. 또한,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속성을 수집하여 자동으로 로컬 식별체계를 생성 및 축약하고 동적으로 글로벌 식별체계를 관리하는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동일 개체 식별을 위한 비교와 검색의 효율성 향상은 물론 글로벌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변화에 따라 점진적으로 변화되는 종단간 글로벌 슬라이스를 식별할 수 있는 기능을 지원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글로벌 네트워크 슬라이스 관리 방법에 의하면,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속성 정보를 이용하여 종단간 글로벌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식별체계를 자동으로 생성하고 동적으로 업데이트함에 따라, 다양한 유형으로 종단간 구현되는 미래인터넷, 및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 등을 기반으로 한 가상화 네트워크 자원 및 개체들을 고유한 방법으로 식별할 수 있다. 또한,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속성을 수집하여 자동으로 로컬 식별체계를 생성 및 축약하고 동적으로 글로벌 식별체계를 관리하는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동일 개체 식별을 위한 비교와 검색의 효율성 향상은 물론 글로벌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변화에 따라 점진적으로 변화되는 종단간 글로벌 슬라이스를 식별할 수 있는 기능을 지원한다.
한편,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미친다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글로벌 네트워크 슬라이스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따르면, 수집된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속성 정보를 이용하여 개체 유형에 따라 그룹화한 후, 그룹화된 로컬 네트워크 도메인들의 슬라이스 정보를 바탕으로 글로벌하게 통합 식별체계를 생성하여 이를 축약 및 매핑 관리함으로써 상기 생성된 통합 식별체계를 갱신 및 확정한다는 점에서 기존 기술의 한계를 뛰어 넘음에 따라 관련 기술에 대한 이용만이 아닌 적용되는 장치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
100: 식별체계등록부(식별체계등록장치)
110: 속성정보수집모듈 120: 식별체계생성모듈
130: 식별체계등록모듈
200: 식별체계관리부(식별체계관리장치)
210: 식별체계저장모듈 220: 식별체계관리모듈
300: 식별체계갱신부(식별체계갱신장치)
310: 변동확인모듈 320: 식별체계갱신모듈

Claims (29)

  1. 제 1 로컬 네트워크 도메인 상에서 특정 서비스 수행을 위해 생성된 제 1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구성하는 속성정보에 대한 그룹화를 통해 제 1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생성하여 전달하며, 제 2 로컬 네트워크 도메인 상에서 특정 서비스 수행을 위해 생성된 제 2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구성하는 속성정보에 대한 그룹화를 통해 제 2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생성하여 전달하는 식별체계등록부;
    상기 제 1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 및 상기 제 2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저장하며, 상기 제 1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 및 상기 제 2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통합하여 글로벌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글로벌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저장하는 식별체계관리부; 및
    상기 제 1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 및 상기 제 2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 중 적어도 하나가 변동 또는 삭제될 경우, 상기 제 1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 및 상기 제 2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 중 적어도 하나를 추출하여 갱신하거나, 상기 저장된 글로벌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추출하여 갱신하는 식별체계갱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로벌 네트워크 슬라이스 관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체계관리부는,
    상기 제 1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축약하여 제 1 축약식별체계를 생성하며, 상기 생성된 제 1 축약식별체계를 상기 저장된 제 1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와 상호 매핑하여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제 1 축약식별체계를 상기 제 1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전달하며,
    상기 제 2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축약하여 제 2 축약식별체계를 생성하며, 상기 생성된 제 2 축약식별체계를 상기 저장된 제 2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와 상호 매핑하여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제 2 축약식별체계를 상기 제 2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로벌 네트워크 슬라이스 관리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체계관리부는,
    상기 제 1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가 상기 제 2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와 동일한 축약식별체계를 공유하는 경우, 상기 제 1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 및 상기 제 2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통합하여 상기 글로벌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로벌 네트워크 슬라이스 관리 시스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체계관리부는,
    상기 글로벌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축약하여 제 3 축약식별체계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제 3 축약식별체계를 상기 저장된 글로벌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와 상호 매핑하여 저장하며,
    상기 제 3 축약식별체계를 상기 제 1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및 상기 제 2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각각 전달하고, 상기 제 1 축약식별체계 및 제 2 축약식별체계를 상기 제 3 축약식별체계로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로벌 네트워크 슬라이스 관리 시스템.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체계갱신부는,
    상기 제 1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가 변동될 경우, 상기 제 1 축약식별체계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제 1 축약식별체계를 토대로 상기 저장된 제 1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추출하여 갱신하며,
    상기 제 2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가 변동될 경우, 상기 제 2 축약식별체계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제 2 축약식별체계를 토대로 상기 저장된 제 2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추출하여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로벌 네트워크 슬라이스 관리 시스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체계갱신부는,
    상기 제 1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 및 상기 제 2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 중 적어도 하나가 변동 또는 삭제될 경우, 상기 제 3 축약식별체계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제 3 축약식별체계를 토대로 상기 저장된 글로벌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추출하여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로벌 네트워크 슬라이스 관리 시스템.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체계관리부는,
    상기 제 1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가 갱신될 경우, 상기 갱신된 제 1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축약하여 제 4 축약식별체계를 생성하며, 상기 생성된 제 4 축약식별체계를 상기 갱신된 제 1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와 상호 매핑하여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제 4 축약식별체계를 상기 제 1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전달하며,
    상기 제 2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가 갱신될 경우, 상기 갱신된 제 2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축약하여 제 5 축약식별체계를 생성하며, 상기 생성된 제 5 축약식별체계를 상기 갱신된 제 2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와 상호 매핑하여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제 5 축약식별체계를 상기 제 2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로벌 네트워크 슬라이스 관리 시스템.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체계관리부는,
    상기 갱신된 글로벌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축약하여 제 6 축약식별체계를 생성하며, 상기 생성된 제 6 축약식별체계를 상기 갱신된 글로벌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와 상호 매핑하여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제 6 축약식별체계를 상기 제 1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및 상기 제 2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중 적어도 하나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로벌 네트워크 슬라이스 관리 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체계등록부는,
    상기 제 1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및 제 2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각각에 대해, 로컬 네트워크 명칭, 네트워크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노드 명칭, 노드 별 인터페이스 명칭, 및 인터페이스에 연결된 링크 명칭을 포함하는 상기 속성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속성정보의 순차배열을 통한 그룹화를 수행하여, 상기 제 1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 및 상기 제 2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로벌 네트워크 슬라이스 관리 시스템.
  10. 제 1 로컬 네트워크 도메인 상에서 특정 서비스 수행을 위해 생성된 제 1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구성하는 속성정보를 수집하고, 제 2 로컬 네트워크 도메인 상에서 특정 서비스 수행을 위해 생성된 제 2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구성하는 속성정보를 수집하는 속성정보수집모듈;
    상기 제 1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대해 수집된 속성정보를 그룹화하여 제 1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생성하며, 상기 제 2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대해 수집된 속성정보를 그룹화하여 제 2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생성하는 식별체계생성모듈; 및
    상기 생성된 제 1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 및 제 2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등록하며, 상기 제 1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가 상기 제 2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와 동일한 축약식별체계를 공유하는 경우, 상기 제 1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 및 상기 제 2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가 통합된 글로벌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로 등록되도록 하는 식별체계등록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별체계등록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체계등록모듈은,
    상기 등록된 제 1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 및 제 2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 중 적어도 하나가 변동 또는 삭제될 경우, 상기 등록된 제 1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 및 상기 등록된 제 2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 중 적어도 하나를 갱신하거나, 상기 등록된 글로벌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별체계등록장치.
  12. 제 1 로컬 네트워크 도메인 상에서 특정 서비스 수행을 위해 생성된 제 1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구성하는 속성정보에 대한 그룹화를 통해 생성된 제 1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저장하며, 제 2 로컬 네트워크 도메인 상에서 특정 서비스 수행을 위해 생성된 제 2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구성하는 속성정보에 대한 그룹화를 통해 생성된 제 2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저장하는 식별체계저장모듈; 및
    상기 저장된 제 1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축약한 제 1 축약식별체계를 생성하여 상기 저장된 제 1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와 상호 매핑하여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제 1 축약식별체계를 상기 제 1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전달하며, 상기 저장된 제 2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축약한 제 2 축약식별체계를 생성하여 상기 저장된 제 2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와 상호 매핑하여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제 2 축약식별체계를 상기 제 2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전달하는 식별체계관리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식별체계저장모듈은,
    상기 제 1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가 상기 제 2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와 동일한 축약식별체계를 공유하는 경우, 상기 제 1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 및 상기 제 2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통합하여 글로벌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별체계관리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체계관리모듈은,
    상기 저장된 글로벌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축약한 제 3 축약식별체계를 생성하여 상기 저장된 글로벌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와 상호 매핑하여 저장하며,
    상기 저장된 제 3 축약식별체계를 상기 제 1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및 상기 제 2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각각 전달하고, 상기 제 1 축약식별체계 및 제 2 축약식별체계를 상기 제 3 축약식별체계로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별체계관리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체계관리모듈은,
    상기 저장된 제 1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의 변동 또는 삭제에 대응하여 상기 제 1 축약식별체계 또는 상기 제 3 축약식별체계를 기초로 한 정보요청이 수신될 경우, 상기 제 1 축약식별체계 또는 상기 제 3 축약식별체계에 매핑되어 저장된 상기 제 1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 및 상기 글로벌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제공하여 갱신되도록 하며,
    상기 저장된 제 2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의 변동 또는 삭제에 대응하여 상기 제 2 축약식별체계 또는 상기 제 3 축약식별체계를 기초로 한 정보요청이 수신될 경우, 상기 제 2 축약식별체계 또는 상기 제 3 축약식별체계에 매핑되어 저장된 상기 제 1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 및 상기 글로벌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제공하여 갱신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별체계관리장치.
  15. 제 1 로컬 네트워크 도메인 상에서 특정 서비스 수행을 위해 생성된 제 1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구성하는 속성정보에 대한 그룹화를 통해 제 1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생성하여 전달하며, 제 2 로컬 네트워크 도메인 상에서 특정 서비스 수행을 위해 생성된 제 2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구성하는 속성정보에 대한 그룹화를 통해 제 2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생성하여 전달하는 식별체계등록단계;
    상기 제 1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 및 상기 제 2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저장하며, 상기 제 1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 및 상기 제 2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통합하여 글로벌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글로벌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저장하는 식별체계저장단계; 및
    상기 제 1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 및 상기 제 2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 중 적어도 하나가 변동 또는 삭제될 경우, 상기 제 1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 및 상기 제 2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 중 적어도 하나를 추출하여 갱신하거나, 상기 저장된 글로벌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추출하여 갱신하는 식별체계갱신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로벌 네트워크 슬라이스 관리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체계저장단계는,
    상기 제 1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축약하여 제 1 축약식별체계를 생성하며, 상기 생성된 제 1 축약식별체계를 상기 저장된 제 1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와 상호 매핑하여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제 1 축약식별체계를 상기 제 1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전달하며,
    상기 제 2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축약하여 제 2 축약식별체계를 생성하며, 상기 생성된 제 2 축약식별체계를 상기 저장된 제 2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와 상호 매핑하여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제 2 축약식별체계를 상기 제 2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로벌 네트워크 슬라이스 관리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체계저장단계는,
    상기 제 1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가 상기 제 2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와 동일한 축약식별체계를 공유하는 경우, 상기 제 1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 및 상기 제 2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통합하여 상기 글로벌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로벌 네트워크 슬라이스 관리 방법.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체계저장단계는,
    상기 글로벌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축약하여 제 3 축약식별체계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제 3 축약식별체계를 상기 저장된 글로벌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와 상호 매핑하여 저장하며,
    상기 제 3 축약식별체계를 상기 제 1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및 상기 제 2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각각 전달하고, 상기 제 1 축약식별체계 및 제 2 축약식별체계를 상기 제 3 축약식별체계로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로벌 네트워크 슬라이스 관리 방법.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체계갱신단계는,
    상기 제 1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가 변동될 경우, 상기 제 1 축약식별체계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제 1 축약식별체계를 토대로 상기 저장된 제 1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추출하여 갱신하며,
    상기 제 2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가 변동될 경우, 상기 제 2 축약식별체계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제 2 축약식별체계를 토대로 상기 저장된 제 2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추출하여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로벌 네트워크 슬라이스 관리 방법.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체계갱신단계는,
    상기 제 1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 및 상기 제 2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 중 적어도 하나가 변동 또는 삭제될 경우, 상기 제 3 축약식별체계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제 3 축약식별체계를 토대로 상기 저장된 글로벌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추출하여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로벌 네트워크 슬라이스 관리 방법.
  2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체계갱신단계는,
    상기 제 1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가 갱신될 경우, 상기 갱신된 제 1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축약하여 제 4 축약식별체계를 생성하며, 상기 생성된 제 4 축약식별체계를 상기 갱신된 제 1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와 상호 매핑하여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제 4 축약식별체계를 상기 제 1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전달하며,
    상기 제 2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가 갱신될 경우, 상기 갱신된 제 2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축약하여 제 5 축약식별체계를 생성하며, 상기 생성된 제 5 축약식별체계를 상기 갱신된 제 2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와 상호 매핑하여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제 5 축약식별체계를 상기 제 2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로벌 네트워크 슬라이스 관리 방법.
  22.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체계갱신단계는,
    상기 갱신된 글로벌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축약하여 제 6 축약식별체계를 생성하며, 상기 생성된 제 6 축약식별체계를 상기 갱신된 글로벌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와 상호 매핑하여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제 6 축약식별체계를 상기 제 1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및 상기 제 2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중 적어도 하나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로벌 네트워크 슬라이스 관리 방법.
  23.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체계등록단계는,
    상기 제 1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및 제 2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각각에 대해, 로컬 네트워크 명칭, 네트워크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노드 명칭, 노드 별 인터페이스 명칭, 및 인터페이스에 연결된 링크 명칭을 포함하는 상기 속성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속성정보의 순차배열을 통한 그룹화를 수행하여, 상기 제 1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 및 상기 제 2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로벌 네트워크 슬라이스 관리 방법.
  24. 제 1 로컬 네트워크 도메인 상에서 특정 서비스 수행을 위해 생성된 제 1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구성하는 속성정보를 수집하고, 제 2 로컬 네트워크 도메인 상에서 특정 서비스 수행을 위해 생성된 제 2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구성하는 속성정보를 수집하는 속성정보수집단계;
    상기 제 1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대해 수집된 속성정보를 그룹화하여 제 1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생성하며, 상기 제 2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대해 수집된 속성정보를 그룹화하여 제 2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생성하는 식별체계생성단계; 및
    상기 생성된 제 1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 및 제 2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등록하며, 상기 제 1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가 상기 제 2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와 동일한 축약식별체계를 공유하는 경우, 상기 제 1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 및 상기 제 2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가 통합된 글로벌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로 등록되도록 하는 식별체계등록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별체계등록장치의 동작 방법.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체계등록단계는,
    상기 등록된 제 1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 및 제 2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 중 적어도 하나가 변동 또는 삭제될 경우, 상기 등록된 제 1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 및 상기 등록된 제 2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 중 적어도 하나를 갱신하거나, 상기 등록된 글로벌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별체계등록장치의 동작 방법.
  26. 제 1 로컬 네트워크 도메인 상에서 특정 서비스 수행을 위해 생성된 제 1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구성하는 속성정보에 대한 그룹화를 통해 생성된 제 1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저장하며, 제 2 로컬 네트워크 도메인 상에서 특정 서비스 수행을 위해 생성된 제 2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구성하는 속성정보에 대한 그룹화를 통해 생성된 제 2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저장하는 식별체계저장단계; 및
    상기 저장된 제 1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축약한 제 1 축약식별체계를 생성하여 상기 저장된 제 1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와 상호 매핑하여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제 1 축약식별체계를 상기 제 1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전달하며, 상기 저장된 제 2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축약한 제 2 축약식별체계를 생성하여 상기 저장된 제 2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와 상호 매핑하여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제 2 축약식별체계를 상기 제 2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전달하는 축약식별체계관리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식별체계저장단계는,
    상기 제 1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가 상기 제 2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와 동일한 축약식별체계를 공유하는 경우, 상기 제 1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 및 상기 제 2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통합하여 글로벌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별체계관리장치의 동작 방법.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축약식별체계관리단계는,
    상기 저장된 글로벌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축약한 제 3 축약식별체계를 생성하여 상기 저장된 글로벌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와 상호 매핑하여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제 3 축약식별체계를 상기 제 1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및 상기 제 2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각각 전달하고, 상기 제 1 축약식별체계 및 제 2 축약식별체계를 상기 제 3 축약식별체계로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별체계관리장치의 동작 방법.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축약식별체계관리단계는,
    상기 저장된 제 1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의 변동 또는 삭제에 대응하여 상기 제 1 축약식별체계 또는 상기 제 3 축약식별체계를 기초로 한 정보요청이 수신될 경우, 상기 제 1 축약식별체계 또는 상기 제 3 축약식별체계에 매핑되어 저장된 상기 제 1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 및 상기 글로벌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제공하여 갱신되도록 하며,
    상기 저장된 제 2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의 변동 또는 삭제에 대응하여 상기 제 2 축약식별체계 또는 상기 제 3 축약식별체계를 기초로 한 정보요청이 수신될 경우, 상기 제 2 축약식별체계 또는 상기 제 3 축약식별체계에 매핑되어 저장된 상기 제 1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 및 상기 글로벌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제공하여 갱신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별체계관리장치의 동작 방법.
  29. 제 1 로컬 네트워크 도메인 상에서 특정 서비스 수행을 위해 생성된 제 1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구성하는 속성정보에 대한 그룹화를 통해 제 1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생성하여 전달하며, 제 2 로컬 네트워크 도메인 상에서 특정 서비스 수행을 위해 생성된 제 2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구성하는 속성정보에 대한 그룹화를 통해 제 2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생성하여 전달하는 식별체계등록단계;
    상기 제 1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 및 상기 제 2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저장하며, 상기 제 1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 및 상기 제 2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통합하여 글로벌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글로벌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저장하는 식별체계저장단계; 및
    상기 제 1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 및 상기 제 2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 중 적어도 하나가 변동 또는 삭제될 경우, 상기 제 1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 및 상기 제 2 로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 중 적어도 하나를 추출하여 갱신하거나, 상기 저장된 글로벌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체계를 추출하여 갱신하는 식별체계갱신단계를 실행하기 위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KR1020110112545A 2011-10-31 2011-10-31 글로벌 네트워크 슬라이스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2684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2545A KR101268440B1 (ko) 2011-10-31 2011-10-31 글로벌 네트워크 슬라이스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2545A KR101268440B1 (ko) 2011-10-31 2011-10-31 글로벌 네트워크 슬라이스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7489A true KR20130047489A (ko) 2013-05-08
KR101268440B1 KR101268440B1 (ko) 2013-06-04

Family

ID=486589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2545A KR101268440B1 (ko) 2011-10-31 2011-10-31 글로벌 네트워크 슬라이스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8440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37363A (zh) * 2017-03-16 2017-07-07 国家计算机网络与信息安全管理中心 一种终端接入网络的方法及装置
WO2017202269A1 (zh) * 2016-05-27 2017-11-30 ***通信有限公司研究院 网络切片标识更新方法、网元、终端及存储介质
WO2018010811A1 (en) * 2016-07-15 2018-01-1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Network partitions
WO2018169743A1 (en) * 2017-03-17 2018-09-20 Qualcomm Incorporated Network access privacy
CN108713327A (zh) * 2015-12-29 2018-10-26 瑞典爱立信有限公司 用于实现通信网络中的通信的网络节点和在网络节点中执行的方法
CN109314675A (zh) * 2016-06-03 2019-02-05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网络切片的确定方法、装置及***
CN109672552A (zh) * 2017-10-17 2019-04-23 宏达国际电子股份有限公司 处理协议数据单元会话及网络切片的装置及方法
US10819592B2 (en) 2016-10-18 2020-10-27 Huawei Technologies Co., Ltd. Slice instance management method and apparatus
CN112165725A (zh) * 2016-06-15 2021-01-01 华为技术有限公司 报文处理的方法及设备
CN114205892A (zh) * 2016-06-07 2022-03-18 奥兰治 用于将用户终端连接到网络切片的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213457A1 (ko) * 2016-06-10 2017-12-14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통 제어 평면 기능의 id를 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JP6855575B2 (ja) * 2016-11-04 2021-04-07 華為技術有限公司Huawei Technologies Co.,Ltd. ネットワーク間変更方法および装置、ならびに関連デバイス
CN110326355B (zh) 2017-02-27 2021-12-2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管理方法、管理单元和***

Cited B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70967B2 (en) 2015-12-29 2021-07-2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Network nodes and methods performed therein for enabling communication in a communication network
CN108713327B (zh) * 2015-12-29 2021-09-07 瑞典爱立信有限公司 用于实现通信网络中的通信的网络节点和在网络节点中执行的方法
CN108713327A (zh) * 2015-12-29 2018-10-26 瑞典爱立信有限公司 用于实现通信网络中的通信的网络节点和在网络节点中执行的方法
WO2017202269A1 (zh) * 2016-05-27 2017-11-30 ***通信有限公司研究院 网络切片标识更新方法、网元、终端及存储介质
CN107438245A (zh) * 2016-05-27 2017-12-05 ***通信有限公司研究院 网络切片标识更新方法、网元及终端
CN107438245B (zh) * 2016-05-27 2022-09-13 ***通信有限公司研究院 网络切片标识更新方法、网元及终端
CN109314675A (zh) * 2016-06-03 2019-02-05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网络切片的确定方法、装置及***
CN114205892A (zh) * 2016-06-07 2022-03-18 奥兰治 用于将用户终端连接到网络切片的方法
CN114205892B (zh) * 2016-06-07 2024-02-06 奥兰治 用于将用户终端连接到网络切片的方法
CN114205893B (zh) * 2016-06-07 2024-02-06 奥兰治 用于将用户终端连接到网络切片的方法
CN114205893A (zh) * 2016-06-07 2022-03-18 奥兰治 用于将用户终端连接到网络切片的方法
CN112165725B (zh) * 2016-06-15 2024-03-19 华为技术有限公司 报文处理的方法及设备
CN112165725A (zh) * 2016-06-15 2021-01-01 华为技术有限公司 报文处理的方法及设备
US11178602B2 (en) 2016-07-15 2021-11-1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Network partitions
WO2018010811A1 (en) * 2016-07-15 2018-01-1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Network partitions
US10819592B2 (en) 2016-10-18 2020-10-27 Huawei Technologies Co., Ltd. Slice instance management method and apparatus
CN106937363A (zh) * 2017-03-16 2017-07-07 国家计算机网络与信息安全管理中心 一种终端接入网络的方法及装置
US10433174B2 (en) 2017-03-17 2019-10-01 Qualcomm Incorporated Network access privacy
TWI763792B (zh) * 2017-03-17 2022-05-11 美商高通公司 網路存取隱私
US11251968B2 (en) 2017-03-17 2022-02-15 Qualcomm Incorporated Network access privacy
WO2018169743A1 (en) * 2017-03-17 2018-09-20 Qualcomm Incorporated Network access privacy
CN109672552A (zh) * 2017-10-17 2019-04-23 宏达国际电子股份有限公司 处理协议数据单元会话及网络切片的装置及方法
CN109672552B (zh) * 2017-10-17 2022-03-22 宏达国际电子股份有限公司 处理协议数据单元会话及网络切片的装置及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68440B1 (ko) 2013-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8440B1 (ko) 글로벌 네트워크 슬라이스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2387061B (zh) 虚拟私云接入虚拟专用网的方法、装置和***
CN103002027B (zh) 基于键值对***实现树形目录结构的数据存储***及方法
AU2011336056B2 (en) Communication system, control device, communication method and program
US20200159775A1 (en) Network-wide, location-independent object identifiers for high-performance distributed graph databases
JP6160253B2 (ja) 仮想機械管理装置、仮想機械管理方法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CN104281506A (zh) 一种文件***的数据维护方法及***
WO2014180232A1 (zh) 请求响应方法、装置及分布式文件***
CN103870202A (zh) 一种块设备的分布式存储方法和***
KR20140007363A (ko) 기업 네트워크 외부로부터의 사이트-인식 분산형 파일 시스템 액세스
TW201724001A (zh) 全域資訊獲取、處理及更新方法、裝置和系統
TW201724825A (zh) 全域資訊獲取、處理及更新、方法、裝置和系統
JP2012048330A (ja) クラスタシステムおよびソフトウェアデプロイ方法
CN104348888A (zh) 内容路由分发方法、内容分发网络节点和***
JP6022218B2 (ja) 階層的な名前構造に基づいた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コンテンツ要請者及びコンテンツ回答者の通信方法及び装置
US20160308871A1 (en) Network element data access method and apparatus, and network management system
CN114513530B (zh) 一种跨域存储空间双向供给方法和***
JP5966765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中継装置、情報処理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方法
EP2802108B1 (en) Data-centric communications system and data forwarding method
KR20100062442A (ko) 파일 스토리지 액세스 시스템 및 방법
CN106657360A (zh) 一种Linux***下NIS服务器的同步方法和***
JP6193104B2 (ja) 監視データ転送システム及び監視データ転送方法
US20120016854A1 (en) File-sharing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files, and program
JP7131357B2 (ja) 通信装置、通信方法、および通信プログラム
CN106506247B (zh) 虚拟网络创建方法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