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46199A - 다 출력 전원 공급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다 출력 전원 공급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46199A
KR20130046199A KR20110110625A KR20110110625A KR20130046199A KR 20130046199 A KR20130046199 A KR 20130046199A KR 20110110625 A KR20110110625 A KR 20110110625A KR 20110110625 A KR20110110625 A KR 20110110625A KR 20130046199 A KR20130046199 A KR 201300461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power supply
voltage
supply unit
output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101106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성용
정성범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101106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46199A/ko
Priority to US13/618,441 priority patent/US20130106182A1/en
Priority to CN2012104148371A priority patent/CN103095138A/zh
Publication of KR201300461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619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2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2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 H02M3/32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33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33561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having more than one ouput with independent control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2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2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c-Dc Converters (AREA)

Abstract

다 출력 전원 공급장치가 개시된다. 본 다 출력 전원 공급장치는 DC 전원을 이용하여 LLC 공진 신호를 생성하는 입력 전원부, LLC 공진 신호에 의하여 유도된 전압을 제1 출력 전압으로 출력하는 제1 출력 전원부, LLC 공진 신호에 의하여 유도된 전압을 제2 출력 전압으로 출력하는 제2 출력 전원부; 및 제1 출력 전압이 기설정된 크기를 갖도록 LLC 공진 신호가 변경되도록 입력 전원부를 제어하고, 제2 출력 전압이 제1 출력 전압의 크기 변화와 무관하게 기설정된 크기를 갖도록 제2 출력 전원부를 제어하는 전원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다 출력 전원 공급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APPARATUS FOR SUPPLYING MULTI-OUPUT POWER AND DISPLAY APPARATUS USING THE APPARATUS FOR SUPPLYING MULTI-OUPUT POWER}
본 발명은 다 출력 전원 공급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1차측의 단일 입력 전원을 이용하여 2차측에서 복수의 출력 전원으로 변환하여 필요로 하는 전원을 제공하는 다 출력 전원 공급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다 출력 전원 공급 장치는 1차측의 단일 입력 전원을 이용하여 2차측에서 복수의 출력 전원으로 변환하여 필요로 하는 전원을 제공하는 장치를 말한다.
최근에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등의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가 고집적화됨에 따라서 다출력 전원 공급 장치를 소형화 및 경량화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모든 출력 전압이 가변되어야 하는 다 출력 전원 공급 장치는 회로 구성이 복잡하고 필요한 부품수가 많아서 소형화 및 경량화에 어려움이 있다.
종래의 일반적인 다 출력 전원장치는, 제1 출력 전원부의 출력 전압을 제어하기 위하여 피드백 방법을 이용하여 입력 전원부의 출력을 제어하였다. 그러나 이 경우 입력 전원부의 출력이 변화되면, 제2 출력 전원부의 출력 또한 변화하게 되는바, 1차 출력 전원부와 독립적으로 가변될 수 있는 전압을 얻기 위해 별도의 선형 레귤레이터(Linear regulator)와 같은 부가회로를 제2차 출력 전원부에 구성하였다.
여기서 선형 레귤레이터는 전압가변이 가능한 가장 간단한 회로이며, 전압 강하 회로로서 입력대비 출력이 낮은 전압일 경우 통상 사용되는 회로를 의미한다.
그러나 종래에는 선형 레귤레이터를 구성하더라도, 입력 전원부의 출력이 증가하면, 이에 따라 제2차 출력 전원부의 선형 레귤레이터의 앞 단에 걸리는 전압(Head Room Voltage) 또한 증가하게 되어, 선형 레귤레이터에 포함된 스위칭 소자의 온도가 상승하고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스위칭 소자의 전압 손실에 의한 과열이 발생할 수 있었다.)
또한 종래의 다 출력 전원장치는, 제차 출력 전원부의 출력 전압 및 제2 출력 전원부의 출력 전압을 가변시키기 위하여, 별도의 가변저항을 이용하였고, 이에 따라 생산자가 원하는 출력 전압 크기에 따라 가변저항을 조절하여야 하는바, 생산성 저하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다 출력 전원 공급 장치의 출력 전압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는 다 출력 전원 공급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Head Room Voltage의 전압 조정이 가능하게 하여, 다 출력 전원 공급 장치의 열 특성 및 효율을 증가시키는 다 출력 전원 공급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 출력 전원 공급장치는, DC 전원을 이용하여 LLC 공진 신호를 생성하는 입력 전원부, 상기 LLC 공진 신호에 의하여 유도된 전압을 제1 출력 전압으로 출력하는 제1 출력 전원부, 상기 LLC 공진 신호에 의하여 유도된 전압을 제2 출력 전압으로 출력하는 제2 출력 전원부 및 상기 제1 출력 전압이 기설정된 크기를 갖도록 상기 LLC 공진 신호가 변경되도록 상기 입력 전원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2 출력 전압이 제1 출력 전압의 크기 변화와 무관하게 기설정된 크기를 갖도록 상기 제2 출력 전원부를 제어하는 전원 제어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입력 전원부는, 제1 권선에 연결되는 복수의 스위칭 소자, 제1 인덕터, 제2 인덕터 및 제1 커패시터에 의해 LLC 공진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 전원부는, 직렬 연결되는 제1 및 제2 스위칭 소자, 상기 제1 및 제2 스위칭 소자와 공통적으로 연결되는 제1 인덕터, 상기 제2 스위칭 소자와 연결되는 제1 커패시터, 상기 커패시터와 제1 인덕터와 연결되는 제2 인덕터, 상기 제2 인덕터와 병렬 연결되는 제1 권선 및 기 설정된 크기의 LLC 공진 신호가 생성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스위칭 소자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는 피드백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출력 전원부는, 상기 LLC 공진 신호에 의하여 유도 전류를 생성하는 제2 권선, 상기 제2 권선에서 출력되는 전압을 정류하는 복수의 다이오드, 상기 정류된 전압을 평활하는 제2 커패시터, 상기 제1 출력전압의 크기가 기설정된 크기를 갖도록 피드백 신호를 생성하는 피드백 신호 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원 제어부는, 상기 제1 출력 전압의 크기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출력 전압이 기설정된 크기를 갖도록 상기 피드백 신호 생성부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피드백 신호 생성부는, 제3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 제어부는, 상기 제1 출력 전압이 기설정된 크기를 갖도록 하는 PWM 듀티 신호를 상기 제3 스위칭 소자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출력 전원부는, 상기 LLC 공진 신호에 의하여 유도 전류를 생성하고, 직렬 연결된 제3 및 제4 권선, 상기 제4 권선이 선택적으로 동작하도록 스위칭하는 제4 스위칭 소자, 상기 제3 권선 및 제4 권선에서 출력되는 전압 또는 상기 제3 권선에서 출력되는 전압을 정류하는 제5 다이오드, 상기 정류된 전압을 평활하는 제3 커패시터, 상기 평활된 전압이 기설정된 크기를 갖도록 변환하는 레귤레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 제어부는, 상기 제2 출력 전압이 상기 제1 출력 전압의 크기 변화와 무관하게 기설정된 크기를 갖도록 상기 제3 스위칭 소자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원 제어부는, 상기 제1 출력 전압의 크기가 기설정된 크기보다 큰 경우, 상기 제4 스위칭 소자가 온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출력 전원부는, 상기 LLC 공진 신호에 의하여 유도 전류를 생성하는 제5 권선, 상기 제5 권선에서 출력되는 전압을 정류하는 제6 다이오드, 상기 제6 다이오드에서 출력되는 전압을 평활하는 제4 커패시터, 상기 제4 커패시터에서 출력되는 전압이 기 설정된 크기를 갖도록 변환하는 레귤레이터 및 상기 레귤레이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5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 제어부는, 상기 제2 출력 전압이 상기 제1 출력 전압의 크기 변화와 무관하게 기설정된 크기를 갖도록 상기 제5 스위칭 소자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원 제어부는, 상기 제2 출력 전압이 기설정된 크기를 갖도록 하는 PWM 듀티 신호를 상기 제5 스위칭 소자에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상기 디스플레이부 및 제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다 출력 전원 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다 출력 전원 공급부는, DC 전원을 이용하여 LLC 공진 신호를 생성하는 입력 전원부, 상기 LLC 공진 신호에 의하여 유도된 전압을 제1 출력 전압으로 출력하는 제1 출력 전원부, 상기 LLC 공진 신호에 의하여 유도된 전압을 제2 출력 전압으로 출력하는 제2 출력 전원부 및 상기 제1 출력 전압이 기설정된 크기를 갖도록 상기 LLC 공진 신호가 변경되도록 상기 입력 전원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2 출력 전압이 제1 출력 전압의 크기 변화와 무관하게 기설정된 크기를 갖도록 상기 제2 출력 전원부를 제어하는 전원 제어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1 출력 전원부는, 상기 LLC 공진 신호에 의하여 유도 전류를 생성하는 제2 권선, 상기 제2 권선에서 출력되는 전압을 정류하는 복수의 다이오드, 상기 정류된 전압을 평활하는 제2 커패시터, 상기 제1 출력전압의 크기가 기설정된 크기를 갖도록 피드백 신호를 생성하는 피드백 신호 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드백 신호 생성부는, 제3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 제어부는, 상기 제1 출력 전압이 기설정된 크기를 갖도록 하는 PWM 듀티 신호를 상기 제3 스위칭 소자에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출력 전원부는, 상기 LLC 공진 신호에 의하여 유도 전류를 생성하고, 직렬 연결된 제3 및 제4 권선, 상기 제4 권선이 선택적으로 동작하도록 스위칭하는 제4 스위칭 소자, 상기 제3 권선 및 제4 권선에서 출력되는 전압 또는 상기 제3 권선에서 출력되는 전압을 정류하는 제5 다이오드, 상기 정류된 전압을 평활하는 제3 커패시터, 상기 평활된 전압이 기설정된 크기를 갖도록 변환하는 레귤레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 제어부는, 상기 제2 출력 전압이 상기 제1 출력 전압의 크기 변화와 무관하게 기설정된 크기를 갖도록 상기 제4 스위칭 소자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원 제어부는, 상기 제1 출력 전압의 크기가 기설정된 크기보다 큰 경우, 상기 제4 스위칭 소자가 온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출력 전원부는, 상기 LLC 공진 신호에 의하여 유도 전류를 생성하는 제5 권선, 상기 제5 권선에서 출력되는 전압을 정류하는 제6 다이오드, 상기 제6 다이오드에서 출력되는 전압을 평활하는 제4 커패시터, 상기 제4 커패시터에서 출력되는 전압이 기 설정된 크기를 갖도록 변환하는 레귤레이터 및 상기 레귤레이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5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 제어부는, 상기 제2 출력 전압이 상기 제1 출력 전압의 크기 변화와 무관하게 기설정된 크기를 갖도록 상기 제5 스위칭 소자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원 제어부는, 상기 제2 출력 전압이 기설정된 크기를 갖도록 하는 PWM 듀티 신호를 상기 제5 스위칭 소자에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 출력 전원 공급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도 1의 다 출력 전원 공급 장치는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 출력 전원 공급 장치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다 출력 전원 공급 장치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 5 내지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 출력 전원 공급 장치를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 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 출력 전원 공급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다 출력 전원 공급 장치(100)는 입력 전원부(110), 제1 출력 전원부(120), 제2 출력 전원부(130), 전원 제어부(140)를 포함한다.
입력 전원부(110)는 제1 출력 전원부(120) 및 제2 출력 전원부(130)에 인가되는 전원을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입력 전원부(110)는 DC 전원을 입력받아 제1차 출력 전원부(120) 및 제2차 출력 전원부(130)에 인가되는 LLC 공진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입력 전원부(110)는 직렬 연결되는 제1 및 제2 스위칭 소자, 제1 및 제2 스위칭 소자와 공통적으로 연결되는 제1 인덕터, 제2 스위칭 소자와 연결되는 제1 커패시터, 제1 커패시터 및 제1 인덕터와 연결되는 제2 인덕터, 제2 인덕터와 병렬 연결되는 제1 권선 및 기 설정된 크기의 LLC 공진 신호가 생성되도록 제1 및 제2 스위칭 소자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는 피드백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피드백 제어부의 구체적인 동작은 도 2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입력 전원부(110)는 제1 및 제2 인덕터 없이, 제1 권선과 직렬연결되는 제1 커패시터만으로 구성될 수 있다.
입력 전원부(110)는 다음과 같이 동작할 수 있다.
즉 서로 상보적인 스위칭 신호에 의하여 동작하는 제1 스위칭 소자 및 제2 스위칭 소자의 스위칭 동작 및 제1 커패시터, 제1 인덕터, 제2 인덕터 LLC 공진에 의하여 LLC 공진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및 제2 스위칭 소자는 스위칭 역할을 수행하는 MOSFET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출력 전원부(120)는 제1 출력 전압을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입력 전원부(110)에서 생성된 LLC 공진 신호에 의하여 유도된 전압을 제1 출력 전압으로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출력 전원부(120)는 제2 권선, 제2권선과 연결된 복수의 다이오드, 복수의 다이오드와 연결된 제2 커패시터, 제2 커패시터와 연결된 피드백 신호 생성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 출력 전원부(120)는 다음과 같이 동작할 수 있다.
즉 제2 권선은 LLC 공진 신호에 의하여 유도 전류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다이오드는 제2 권선에서 출력되는 전압을 정류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커패시터는 정류된 전압을 평활하고 제1 전압으로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피드백 신호 생성부는 제1 출력전압의 크기가 기설정된 크기를 갖도록 피드백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피드백 신호 생성부의 구체적인 동작은 도 2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여기서 제1 출력 전원부(120)는 복수개의 다이오드를 이용하여 전파 정류회로로 구성되었으나, 그 방식에 따라 한개의 다이오드를 이용하여 반파 정류회로로 구성될 수 있다.
제2 출력 전원부(130)는 제2 출력 전압을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제2 출력 전원부(130)는 입력 전원부(110)에서 생성된 LLC 공진 신호에 의하여 유도된 전압을 제2 출력 전압으로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출력 전원부(130)는 직렬 연결된 제3 및 제4 권선, 드레인이 제3 및 제4 권선의 공통 노드에 연결되고 소스가 접지에 연결되며 게이트가 전원 제어부(140)에 연결된 제4 스위칭 소자, 제3 및 제4 권선에 병렬 연결된 제3 커패시터 및 제5 커패시터, 제3 권선 및 제3 커패시터 사이에 연결된 제3 다이오드, 제3 커패시터 및 제5 커패시터 사이에 연결된 레귤레이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2 출력 전원부(130)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직렬 연결된 제3 및 제4 권선은 입력 전원부(110)에서 생성된 LLC 공진 신호에 의하여 유도 전류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4 스위칭 소자는 제4 권선이 선택적으로 동작하도록 스위칭할 수 있다. 그리고, 제5 다이오드는 제4 권선 및 제5 권선에서 출력되는 전압 또는 제4 권선에서 출력되는 전압을 정류할 수 있다. 그리고, 제3 커패시터는 정류된 전압을 평활할 수 있다. 그리고 레귤레이터는 평활된 전압이 기설정된 크기를 갖도록 변환할 수 있다. 그리고 제5 커패시터는 레귤레이터의 출력 전압을 평활하고, 제2 전압으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2 출력 전원부(130)는 제5 권선, 제5 권선에 연결된 제6 다이오드, 제5 권선에 병렬 연결된 제4 커패시터 및 제5 커패시터, 레귤레이터, 레귤레이터에 연결된 제5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2 출력 전원부(130)는 다음과 같이 동작할 수 있다.
제5 권선은 입력 전원부(110)에서 생성된 LLC 공진 신호에 의하여 유도 전류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6 다이오드는 제5 권선에서 출력되는 전압을 정류할 수 있다. 그리고, 제4 커패시터는 제6 다이오드에서 출력되는 전압을 평활할 수 있다. 그리고, 레귤레이터는 제4 커패시터에서 출력되는 전압이 기 설정된 크기를 갖도록 변환할 수 있다. 그리고, 제5 스위칭 소자는 레귤레이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5 커패시터는 레귤레이터의 출력 전압을 평활하고 제2 전압으로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제3, 제4 및 제5 스위칭 소자는 스위칭 역할을 수행하는 MOSFET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제2 출력 전원부(130) 한개의 다이오드를 이용하여 반파 정류회로로 구성되었으나, 그 방식에 따라 복수개의 다이오드를 이용하여 정파 정류회로로 구성될 수 있다.
전원 제어부(140)는 제1 출력 전원부(120)의 제1 출력 전압이 기설정된 크기를 갖고, 제2 출력 전원부(130)의 제2 출력 전압이 기설정된 크기를 갖으며, 제2 출력 전원부(130)의 해드룸 전압이 기설정된 크기를 갖도록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원 제어부(140)는 제1 출력 전압이 기설정된 크기를 갖도록 LLC 공진 신호가 변경되도록 입력 전원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전원 제어부(140)는 제1 출력 전압의 크기를 감지하여, 제1 출력 전압이 기설정된 크기를 갖도록 하는 피드백 신호를 생성하도록 피드백 신호 생성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피드백 신호 생성부는 생성된 피드백 신호를 피드백 제어부로 전달하고, 피드백 제어부는 제1 출력 전원부(120)가 기설정된 크기의 전압을 출력하도록 전원 입력부(110)의 스위칭 소자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제1 출력 전압의 크기를 키우려는 경우 제3 스위칭 소자의 게이트 단에 인가되는 PWM신호의 듀티를 증가시키고, 제1 출력 전압의 크기를 감소시키려는 경우 제3 스위칭 소자의 게이트 단에 인가되는 PWM 신호의 듀티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전원 제어부(140)는 제2 출력 전압이 제1 출력 전압의 크기 변화와 무관하게 기설정된 크기를 갖도록 제5 스위칭 소자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전원 제어부(140)는 제2 출력 전압의 크기가 기설정된 크기를 갖도록 하는 PWM 듀티 신호를 제5 스위칭 소자에 제공할 수 있다. 즉 제2 출력 전압의 크기를 키우려는 경우 제5 스위칭 소자의 게이트 단에 인가되는 PWM신호의 듀티를 증가시키고, 제2 출력 전압의 크기를 감소시키려는 경우 제5 스위칭 소자의 게이트 단에 인가되는 PWM 신호의 듀티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전원 제어부(140)는 제2 출력 전압이 제1 출력 전압의 크기 변화와 무관하게 기설정된 크기를 갖도록 제4 스위칭 소자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 출력 전원장치(100)는, 제1 출력 전원부(120)의 출력 전압을 제어하기 위하여 피드백 방법을 이용하여 입력 전원부(110)의 출력을 제어한다. 그러나 이 경우 입력 전원부(110)의 출력이 변화되면, 제2 출력 전원부(130)의 출력 또한 변화하게 되는바, 1차 출력 전원부(120)와 독립적으로 가변될 수 있는 전압을 얻기 위해 별도의 레귤레이터(Linear regulator)와 같은 부가회로를 제2차 출력 전원부(120)에 구성하였다. 그러나 레귤레이터를 구성하더라도, 입력 전원부(110)의 출력이 증가하면, 이에 따라 제2 출력 전원부(130)의 레귤레이터의 앞 단에 걸리는 해드 룸 전압(Head Room Voltage) 또한 증가하게 되어, 선형 레귤레이터에 포함된 스위칭 소자의 온도가 상승하고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 출력 전원장치(100)에 의하면, 제4 스위칭 소자를 제어함으로써, 해드 룸 전압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제1 출력 전압의 크기가 기설정된 크기보다 큰 경우(즉 제1 출력 전압의 크기가 증가하여 레귤레이터에 인가되는 전압 즉 해드룸 전압이 증가하게 되는 경우), 제4 스위칭 소자가 온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제4 스위칭 소자가 온되면, 제3 권선만 동작하게 되며, 이에 따라 해드룸 전압은 제3 권선 및 제4 권선이 모두 동작하게 되는 경우보다, 권선 수가 작아져, 해드룸 전압을 낮출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다 출력 전원 공급장치에서 출력 전압을 자동으로 조절이 가능케 하여, 생산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다 출력 전원 공급장치에서 해드룸 전압의 조절이 가능케 하여, 출력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따른 다출력 전원 공급 장치를 구체화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다 출력 전원 공급 장치(200)는 입력 전원부(210), 피드백 제어부(211), 제1 출력 전원부(220), 피드백 신호 생성부(221), 제2 출력 전원부(230), 전원 제어부(240)를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중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과 중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피드백 제어부(211)는 입력 전원부(210)의 출력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피드백 제어부(211)는 피드백 신호 생성부(221)에서 생성된 피드백 신호를 기초로 입력 전원부(210)의 제1 스위칭 소자 및 제2 스위칭 소자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피드백 제어부(211)는 PWM 제어, PFM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즉 피드백 제어부(211)는 PWM 제어 방식으로 제1 스위칭 소자 및 제2 스위칭 소자를 제어하는 경우, 제1 스위칭 소자 및 제2 스위칭 소자의 게이트에 인가되는 펄스의 듀티(DUTY)를 조절하여 입력 전원부(210)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피드백 제어부(211)는 PFM 제어 방식으로 제1 스위칭 소자 및 제2 스위칭 소자를 제어하는 경우, 제1 스위칭 소자 및 제2 스위칭 소자의 게이트에 인가되는 펄스의 주파수(FREQUENCY)를 조절하여 입력 전원부(210)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피드백 신호 생성부(221)는 피드백 제어부(211)로 인가되는 피드백 신호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피드백 신호 생성부(221)는 제1 출력 전원부(220)의 출력전압의 크기가 기설정된 크기를 갖도록 피드백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즉 피드백 신호 생성부(221)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피드백 신호 생성부(221)는 제1 출력 전원부(220)의 출력전압을 복수 개의 저항을 이용하여 검출한다. 또한, 피드백 신호 생성부(221)에는 외부로부터 전원 신호가 인가된다. 따라서 피드백 신호 생성부(221)는 외부로부터의 전원 신호를 기초로 피드백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피드백 신호 생성부(221)의 션트 레귤레이터는 제1 출력 전원부(220)의 검출된 출력 전압을 기준전압(Vref), 예컨대, 2.5V와 비교한다. 그리고 비교 결과에 따른 피드백 신호를 포토커플러를 거쳐 피드백 제어부(211)로 출력한다. 이에 따라 만약 제1 출력 전원부(220)의 출력 전압을 200V로 설정한 경우, 출력 전압이 200V를 따라가도록 피드백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피드백 신호 생성부(221)는 제1 출력 전압의 크기가 기설정된 크기를 갖도록 피드백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전원 제어부(240)는 제1 출력 전압이 기 설정된 크기를 갖도록 하는 PWM 듀티 신호를 제3 스위칭 소자에 제공할 수 있고, 피드백 신호 생성부(221)는 제3 스위칭 소자에 인가된 PWM 듀티 신호를 기초로 제1 출력 전압을 기설정된 크기를 갖도록 하는 피드백 신호를 생성하여 피드백 제어부(211)로 전달할 수 있다. 즉 제1 출력 전압의 크기를 키우려는 경우 제3 스위칭 소자의 게이트 단에 인가되는 PWM신호의 듀티를 증가시키고, 제1 출력 전압의 크기를 감소시키려는 경우 제3 스위칭 소자의 게이트 단에 인가되는 PWM 신호의 듀티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만약 제1 출력 전원부(220)의 제1 출력 전압이 현재 202V 인데, 200V로 낮추려는 경우, 제3 스위칭 소자의 게이트 단에 인가되는 PWM 신호의 듀티를 감소시킴으로써, 200V로 제1 출력 전압의 자동 조절이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 출력 전원 공급 장치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다 출력 전원 공급 장치(300)는 입력 전원부(310), 피드백 제어부(311), 제1 출력 전원부(320), 피드백 신호 생성부(321), 제2 출력 전원부(330), 전원 제어부(340)를 포함한다.
입력 전원부(310)는 직렬 연결되는 제1 스위칭 소자(Q1) 및 제2 스위칭 소자(Q2), 제1 스위칭 소자(Q1) 및 제2 스위칭 소자(Q2)와 공통적으로 연결되는 제1 인덕터(LLK), 제2 스위칭 소자와 연결되는 제1 커패시터(Cr), 제1 커패시터 및 제1 인덕터와 연결되는 제2 인덕터(LM), 제2 인덕터(LM)와 병렬 연결되는 제1 권선(N1) 및 기 설정된 크기의 LLC 공진 신호가 생성되도록 제1 스위칭 소자(Q1) 및 제2 스위칭 소자(Q2)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는 피드백 제어부(31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입력 전원부(310)는 다음과 같이 동작할 수 있다.
즉 서로 상보적인 스위칭 신호에 의하여 동작하는 제1 스위칭 소자(Q1) 및 제2 스위칭 소자(Q2)의 스위칭 동작 및 제1 커패시터(Cr), 제1 인덕터(LLK), 제2 인덕터(LM) LLC 공진에 의하여 LLC 공진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제1 출력 전원부(320)는 제2 권선(N2), 제2 권선(N2)과 연결된 복수의 다이오드(D1,D2,D3,D4), 복수의 다이오드와 연결된 제2 커패시터(C2), 제2 커패시터(C2)와 연결된 피드백 신호 생성부(32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 출력 전원부(320)는 다음과 같이 동작할 수 있다.
즉 제2 권선(N2)은 LLC 공진 신호에 의하여 유도 전류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다이오드(D1,D2,D3,D4)는 제2 권선(N2)에서 출력되는 전압을 정류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커패시터(C2)는 정류된 전압을 평활할 수 있다. 그리고, 피드백 신호 생성부(321)는 제1 출력전압의 크기가 기설정된 크기를 갖도록 피드백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제2 출력 전원부(330) 직렬 연결된 제3 권선(N3) 및 제4 권선(N4), 드레인이 제3 및 제4 권선의 공통 노드에 연결되고 소스가 접지에 연결되며 게이트가 전원 제어부(140)에 연결된 제4 스위칭 소자(Q4), 제3 권선(N3) 및 제4 권선(N4)에 병렬 연결된 제3 커패시터(C3) 및 제5 커패시터(C5), 제3 권선(N3) 및 제3 커패시터(C3) 사이에 연결된 제3 다이오드(D3), 제3 커패시터(C3) 및 제5 커패시터(C5) 사이에 연결된 레귤레이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2 출력 전원부(330)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직렬 연결된 제3 권선(N3)및 제4 권선(N4)은 입력 전원부(310)에서 생성된 LLC 공진 신호에 의하여 유도 전류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4 스위칭 소자(Q4)는 제4 권선(N4)이 선택적으로 동작하도록 스위칭할 수 있다. 그리고, 제5 다이오드(D5)는 제3 권선(N3) 및 제4 권선(N4)에서 출력되는 전압 또는 제3 권선(N3)에서 출력되는 전압을 정류할 수 있다. 그리고, 제3 커패시터(C3)는 정류된 전압을 평활할 수 있다. 그리고 레귤레이터는 평활된 전압이 기설정된 크기를 갖도록 변환할 수 있다.
전원 제어부(340)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구체적으로 전원 제어부(340)는 제1 출력 전압이 기설정된 크기를 갖도록 LLC 공진 신호가 변경되도록 입력 전원부(31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전원 제어부(340)는 제1 출력 전압의 크기를 감지하여, 제1 출력 전압이 기설정된 크기를 갖도록 하는 피드백 신호를 생성하도록 피드백 신호 생성부(321)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피드백 신호 생성부(321)는 생성된 피드백 신호를 피드백 제어부(311)로 전달하고, 피드백 제어부(311)는 제1 출력 전원부(320)가 기설정된 크기의 전압을 출력하도록 전원 입력부(310)의 스위칭 소자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제1 출력 전압의 크기를 키우려는 경우 제3 스위칭 소자(Q3)의 게이트 단에 인가되는 PWM신호의 듀티를 증가시키고, 제1 출력 전압의 크기를 감소시키려는 경우 제3(Q3) 스위칭 소자의 게이트 단에 인가되는 PWM 신호의 듀티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전원 제어부(340)는 제2 출력 전압이 제1 출력 전압의 크기 변화와 무관하게 기설정된 크기를 갖도록 제4 스위칭 소자(Q4)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제4 스위칭 소자(Q4)를 제어함으로써, 해드 룸 전압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제1 출력 전압의 크기가 기설정된 크기보다 큰 경우(즉 제1 출력 전압의 크기가 증가하여 레귤레이터에 인가되는 전압 즉 해드룸 전압이 증가하게 되는 경우), 제4 스위칭 소자(Q4)가 온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제4 스위칭 소자(Q4)가 온되면, 제4 권선(N4)만 동작하게 되며, 이에 따라 해드룸 전압은 제3 권선(N3) 및 제4 권선(N4)이 모두 동작하게 되는 경우보다, 권선 수가 작아져, 해드룸 전압을 낮출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다 출력 전원 공급 장치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다 출력 전원 공급 장치(400)는 입력 전원부(410), 피드백 제어부(411), 제1 출력 전원부(420), 피드백 신호 생성부(421), 제2 출력 전원부(430), 전원 제어부(440)를 포함한다. 도 4의 다출력 전원 공급 장치는 도 3의 다출력 전원 공급 장치와 제2 출력 전원부(430), 전원 제어부(440)의 구성만 다르므로, 다른 구성요소들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2 출력 전원부(430)는 제5 권선(N5), 제5 권선(N5)에 연결된 제6 다이오드(D6), 제5 권선(N5)에 병렬 연결된 제4 커패시터(C4) 및 제5 커패시터(C5), 레귤레이터, 레귤레이터에 연결된 제5 스위칭 소자(Q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2 출력 전원부(430)는 다음과 같이 동작할 수 있다.
제5 권선(N5)은 입력 전원부(410)에서 생성된 LLC 공진 신호에 의하여 유도 전류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6 다이오드(D6)는 제5 권선(N5)에서 출력되는 전압을 정류할 수 있다. 그리고, 제4 커패시터(C4)는 제6 다이오드(D6)에서 출력되는 전압을 평활할 수 있다. 그리고, 레귤레이터는 제4 커패시터(C4)에서 출력되는 전압이 기 설정된 크기를 갖도록 변환할 수 있다. 그리고, 제5 스위칭 소자(Q5)는 레귤레이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전원 제어부(440)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구체적으로 전원 제어부(440)는 제1 출력 전압이 기설정된 크기를 갖도록 LLC 공진 신호가 변경되도록 입력 전원부(41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전원 제어부(440)는 제1 출력 전압의 크기를 감지하여, 제1 출력 전압이 기설정된 크기를 갖도록 하는 피드백 신호를 생성하도록 피드백 신호 생성부(421)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피드백 신호 생성부(421)는 생성된 피드백 신호를 피드백 제어부(411)로 전달하고, 피드백 제어부(411)는 제1 출력 전원부(420)가 기설정된 크기의 전압을 출력하도록 전원 입력부(410)의 스위칭 소자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제1 출력 전압의 크기를 키우려는 경우 제3 스위칭 소자(Q3)의 게이트 단에 인가되는 PWM신호의 듀티를 증가시키고, 제1 출력 전압의 크기를 감소시키려는 경우 제3 스위칭 소자(Q3)의 게이트 단에 인가되는 PWM 신호의 듀티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전원 제어부(440)는 제2 출력 전압이 제1 출력 전압의 크기 변화와 무관하게 기설정된 크기를 갖도록 제5 스위칭 소자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전원 제어부(440)는 제2 출력 전압의 크기가 기설정된 크기를 갖도록 하는 PWM 듀티 신호를 제5 스위칭 소자(Q5)에 제공할 수 있다. 즉 제2 출력 전압의 크기를 키우려는 경우 제5 스위칭 소자(Q5)의 게이트 단에 인가되는 PWM신호의 듀티를 증가시키고, 제2 출력 전압의 크기를 감소시키려는 경우 제5 스위칭 소자(Q5)의 게이트 단에 인가되는 PWM 신호의 듀티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5 내지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 출력 전원 공급 장치를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해드 룸 전압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즉 전원 제어부(140)는 제2 출력 전압이 제1 출력 전압의 크기 변화와 무관하게 기설정된 크기를 갖도록 제4 스위칭 소자(Q4)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제4 스위칭 소자(Q4)를 제어함으로써, 해드 룸 전압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제1 출력 전압의 크기가 기설정된 크기보다 큰 경우(즉 제1 출력 전압의 크기가 증가하여 레귤레이터에 인가되는 전압 즉 해드룸 전압이 증가하게 되는 경우), 제4 스위칭 소자(Q4)가 온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제4 스위칭 소자(Q4)가 온되면, 제3 권선(N3)만 동작하게 되며, 이에 따라 해드룸 전압은 제3 권선(N3) 및 제4 권선(N4)이 모두 동작하게 되는 경우보다, 권선 수가 작아져, 해드룸 전압을 낮출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 출력 전압 및 제2 출력 전압을 자동으로 조절하기 위한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즉 제1 출력 전압의 크기를 키우려는 경우 제3 스위칭 소자의 게이트 단에 인가되는 PWM신호의 듀티를 증가시키고, 제1 출력 전압의 크기를 감소시키려는 경우 제3 스위칭 소자의 게이트 단에 인가되는 PWM 신호의 듀티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출력 전압의 크기를 키우려는 경우 제5 스위칭 소자의 게이트 단에 인가되는 PWM신호의 듀티를 증가시키고, 제2 출력 전압의 크기를 감소시키려는 경우 제5 스위칭 소자의 게이트 단에 인가되는 PWM 신호의 듀티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 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700)는 디스플레이부(710), 제어부(720), 다출력 전원 공급부(73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710)는 영상을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디스플레이부(710)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720)는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다출력 전원 공급부(730)는 디스플레이부(710) 및 제어부(720)에 전원을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다출력 전원 공급부(730)는 상술한 다출력 전원 공급 장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는바,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다 출력 전원 공급장치에서 출력 전압을 자동으로 조절이 가능케 하여, 생산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다 출력 전원 공급장치에서 해드룸 전압의 조절이 가능케 하여, 출력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 다 출력 전원 공급 장치 110 : 입력 전원부
120 : 제1 출력 전원부 130 : 제2 출력 전원부
140 : 제어부 200 : 다 출력 전원 공급 장치
210 : 입력 전원부 211 : 피드백 제어부
220 : 제1 출력 전원부 221 : 피드백 신호 생성부
230 : 제2 출력 전원부 240 : 제어부
300 : 다 출력 전원 공급 장치 310 : 입력 전원부 311 : 피드백 제어부 320 : 제1 출력 전원부 321 : 피드백 신호 생성부 330 : 제2 출력 전원부 340 : 제어부
400 : 다 출력 전원 공급 장치 410 : 입력 전원부 411 : 피드백 제어부 420 : 제1 출력 전원부 421 : 피드백 신호 생성부 430 : 제2 출력 전원부 440 : 제어부

Claims (17)

  1. 디스플레이 장치에 내장되는 다 출력 전원 공급장치에 있어서,
    DC 전원을 이용하여 LLC 공진 신호를 생성하는 입력 전원부;
    상기 LLC 공진 신호에 의하여 유도된 전압을 제1 출력 전압으로 출력하는 제1 출력 전원부;
    상기 LLC 공진 신호에 의하여 유도된 전압을 제2 출력 전압으로 출력하는 제2 출력 전원부; 및
    상기 제1 출력 전압이 기설정된 크기를 갖도록 상기 LLC 공진 신호가 변경되도록 상기 입력 전원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2 출력 전압이 제1 출력 전압의 크기 변화와 무관하게 기설정된 크기를 갖도록 상기 제2 출력 전원부를 제어하는 전원 제어부;를 포함하는 다 출력 전원 공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전원부는,
    제1 권선에 연결되는 복수의 스위칭 소자, 제1 인덕터, 제2 인덕터 및 제1 커패시터에 의해 LLC 공진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 출력 전원 공급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전원부는,
    직렬 연결되는 제1 및 제2 스위칭 소자;
    상기 제1 및 제2 스위칭 소자와 공통적으로 연결되는 제1 인덕터;
    상기 제2 스위칭 소자와 연결되는 제1 커패시터;
    상기 커패시터와 제1 인덕터와 연결되는 제2 인덕터;
    상기 제2 인덕터와 병렬 연결되는 제1 권선; 및
    기 설정된 크기의 LLC 공진 신호가 생성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스위칭 소자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는 피드백 제어부;를 포함하는 다 출력 전원 공급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출력 전원부는,
    상기 LLC 공진 신호에 의하여 유도 전류를 생성하는 제2 권선;
    상기 제2 권선에서 출력되는 전압을 정류하는 복수의 다이오드;
    상기 정류된 전압을 평활하는 제2 커패시터;
    상기 제1 출력전압의 크기가 기설정된 크기를 갖도록 피드백 신호를 생성하는 피드백 신호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 출력 전원 공급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제어부는,
    상기 제1 출력 전압의 크기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출력 전압이 기설정된 크기를 갖도록 하는 피드백 신호를 생성하도록 상기 피드백 신호 생성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 출력 전원 공급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 신호 생성부는,
    제3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 제어부는,
    상기 제1 출력 전압이 기설정된 크기를 갖도록 하는 PWM 듀티 신호를 상기 제3 스위칭 소자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 출력 전원 공급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출력 전원부는,
    상기 LLC 공진 신호에 의하여 유도 전류를 생성하고, 직렬 연결된 제3 및 제4 권선;
    상기 제4 권선이 선택적으로 동작하도록 스위칭하는 제4 스위칭 소자;
    상기 제3 권선 및 제4 권선에서 출력되는 전압 또는 상기 제3 권선에서 출력되는 전압을 정류하는 제5 다이오드;
    상기 정류된 전압을 평활하는 제3 커패시터;
    상기 평활된 전압이 기설정된 크기를 갖도록 변환하는 레귤레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 제어부는,
    상기 제2 출력 전압이 상기 제1 출력 전압의 크기 변화와 무관하게 기설정된 크기를 갖도록 상기 제4 스위칭 소자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 출력 전원 공급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제어부는,
    상기 제1 출력 전압의 크기가 기설정된 크기보다 큰 경우, 상기 제4 스위칭 소자가 온 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 출력 전원 공급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출력 전원부는,
    상기 LLC 공진 신호에 의하여 유도 전류를 생성하는 제5 권선;
    상기 제5 권선에서 출력되는 전압을 정류하는 제6 다이오드;
    상기 제6 다이오드에서 출력되는 전압을 평활하는 제4 커패시터;
    상기 제4 커패시터에서 출력되는 전압이 기 설정된 크기를 갖도록 변환하는 레귤레이터; 및
    상기 레귤레이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5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 제어부는,
    상기 제2 출력 전압이 상기 제1 출력 전압의 크기 변화와 무관하게 기설정된 크기를 갖도록 상기 제5 스위칭 소자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 출력 전원 공급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제어부는,
    상기 제2 출력 전압이 기설정된 크기를 갖도록 하는 PWM 듀티 신호를 상기 제5 스위칭 소자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 출력 전원 공급장치.
  11.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제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다 출력 전원 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다 출력 전원 공급부는,
    DC 전원을 이용하여 LLC 공진 신호를 생성하는 입력 전원부;
    상기 LLC 공진 신호에 의하여 유도된 전압을 제1 출력 전압으로 출력하는 제1 출력 전원부;
    상기 LLC 공진 신호에 의하여 유도된 전압을 제2 출력 전압으로 출력하는 제2 출력 전원부; 및
    상기 제1 출력 전압이 기설정된 크기를 갖도록 상기 LLC 공진 신호가 변경되도록 상기 입력 전원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2 출력 전압이 제1 출력 전압의 크기 변화와 무관하게 기설정된 크기를 갖도록 상기 제2 출력 전원부를 제어하는 전원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출력 전원부는,
    상기 LLC 공진 신호에 의하여 유도 전류를 생성하는 제2 권선;
    상기 제2 권선에서 출력되는 전압을 정류하는 복수의 다이오드;
    상기 정류된 전압을 평활하는 제2 커패시터;
    상기 제1 출력전압의 크기가 기설정된 크기를 갖도록 피드백 신호를 생성하는 피드백 신호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 신호 생성부는,
    제3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 제어부는,
    상기 제1 출력 전압이 기설정된 크기를 갖도록 하는 PWM 듀티 신호를 상기 제3 스위칭 소자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출력 전원부는,
    상기 LLC 공진 신호에 의하여 유도 전류를 생성하고, 직렬 연결된 제3 및 제4 권선;
    상기 제4 권선이 선택적으로 동작하도록 스위칭하는 제4 스위칭 소자;
    상기 제3 권선 및 제4 권선에서 출력되는 전압 또는 상기 제3 권선에서 출력되는 전압을 정류하는 제5 다이오드;
    상기 정류된 전압을 평활하는 제3 커패시터;
    상기 평활된 전압이 기설정된 크기를 갖도록 변환하는 레귤레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 제어부는,
    상기 제2 출력 전압이 상기 제1 출력 전압의 크기 변화와 무관하게 기설정된 크기를 갖도록 상기 제3 스위칭 소자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제어부는,
    상기 제1 출력 전압의 크기가 기설정된 크기보다 큰 경우, 상기 제4 스위칭 소자가 온 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출력 전원부는,
    상기 LLC 공진 신호에 의하여 유도 전류를 생성하는 제5 권선;
    상기 제5 권선에서 출력되는 전압을 정류하는 제6 다이오드;
    상기 제6 다이오드에서 출력되는 전압을 평활하는 제4 커패시터;
    상기 제4 커패시터에서 출력되는 전압이 기 설정된 크기를 갖도록 변환하는 레귤레이터; 및
    상기 레귤레이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5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 제어부는,
    상기 제2 출력 전압이 상기 제1 출력 전압의 크기 변화와 무관하게 기설정된 크기를 갖도록 상기 제5 스위칭 소자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제어부는,
    상기 제2 출력 전압이 기설정된 크기를 갖도록 하는 PWM 듀티 신호를 상기 제5 스위칭 소자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10110625A 2011-10-27 2011-10-27 다 출력 전원 공급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KR20130046199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110625A KR20130046199A (ko) 2011-10-27 2011-10-27 다 출력 전원 공급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US13/618,441 US20130106182A1 (en) 2011-10-27 2012-09-14 Apparatus for supplying multi-output and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CN2012104148371A CN103095138A (zh) 2011-10-27 2012-10-26 用于提供多输出电源的装置以及使用其的显示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110625A KR20130046199A (ko) 2011-10-27 2011-10-27 다 출력 전원 공급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6199A true KR20130046199A (ko) 2013-05-07

Family

ID=481716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10110625A KR20130046199A (ko) 2011-10-27 2011-10-27 다 출력 전원 공급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30106182A1 (ko)
KR (1) KR20130046199A (ko)
CN (1) CN10309513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44998A1 (ko) * 2021-05-18 2022-11-2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46022A (zh) * 2013-10-31 2014-01-29 赵敏 工矿直流电力机车全电源
KR101542112B1 (ko) 2013-11-14 2015-08-06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다중 배터리 충전기 및 그 제어방법
WO2015165107A1 (zh) * 2014-04-30 2015-11-05 深圳欧陆通电子有限公司 一种用电设备及电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79087A (en) * 1992-10-02 1995-12-26 Compaq Computer Corp. Synchronized switch tapped coupled inductor regulation circuit
US5812383A (en) * 1997-07-31 1998-09-22 Philips Electronics North North America Corporation Low power stand-by for switched-mode power supply circuit with burst mode operation
US6018467A (en) * 1999-07-28 2000-01-25 Philips Electronics North America Corporation Resonant mode power supply having an efficient low power stand-by mode
US6888529B2 (en) * 2000-12-12 2005-05-03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Control and drive circuit arrangement for illumination performance enhancement with LED light sources
JP4108457B2 (ja) * 2002-11-27 2008-06-25 シャープ株式会社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US7400061B2 (en) * 2004-12-07 2008-07-15 Lockheed Martin Corporation Soft switched secondary side post regulator for DC to DC converter
JP4671019B2 (ja) * 2005-01-14 2011-04-13 サンケン電気株式会社 多出力型dc−dcコンバータ
CN101164220B (zh) * 2005-04-21 2012-05-23 半导体元件工业有限责任公司 电源控制方法及其结构
TWM331175U (en) * 2007-11-15 2008-04-21 Hipro Electronics Taiwan Co Ltd Boost/buck circuit of autotransformer
JP5691137B2 (ja) * 2008-05-14 2015-04-01 富士電機株式会社 スイッチング電源
US8102678B2 (en) * 2008-05-21 2012-01-24 Flextronics Ap, Llc High power factor isolated buck-type power factor correction converter
KR101046073B1 (ko) * 2009-08-19 2011-07-01 삼성전기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의 전원 공급 장치
KR101101473B1 (ko) * 2010-04-22 2012-01-03 삼성전기주식회사 발광 다이오드 구동용 다중 전원 공급 장치
EP2393181B1 (de) * 2010-06-02 2019-09-04 FRIWO Gerätebau GmbH Schaltung für ein System zur kontaklosen, induktiven Energieübertragung
CN101938222B (zh) * 2010-07-27 2014-02-05 Bcd半导体制造有限公司 一种供电装置和为显示装置提供背光的背光***
US8508958B2 (en) * 2011-04-01 2013-08-13 Power Integrations, Inc. LLC controller with programmable fractional burst frequency
US9343988B2 (en) * 2011-08-05 2016-05-17 Triune Systems, LLC Current mode regulator
CN202282743U (zh) * 2011-09-29 2012-06-20 南京博兰得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谐振变换器控制装置
KR20130046196A (ko) * 2011-10-27 2013-05-07 삼성전자주식회사 다 출력 전원 공급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44998A1 (ko) * 2021-05-18 2022-11-2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095138A (zh) 2013-05-08
US20130106182A1 (en) 2013-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243850B (zh) 背光源驱动电路及其驱动方法、液晶电视机
JP5743845B2 (ja) 発光ダイオード駆動装置
KR100692567B1 (ko) 스위칭모드 전원공급장치 및 절전모드 구현방법
US9391531B2 (en) Controlling a switched mode power supply with maximised power efficiency
US8638290B2 (en) Backlight apparatus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JP2008283798A (ja) スイッチング制御装置
US9066395B2 (en) Power supply device and control circuit thereof
KR20230148301A (ko) 전자기기용 외장형 전원 공급 장치
KR20130046199A (ko) 다 출력 전원 공급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US7282871B1 (en) Backlight inverter for inductively detecting current
US9391527B2 (en) Power supply apparatus
US7830676B2 (en) Primary only constant voltage/constant current (CVCC) control in quasi resonant convertor
US7760519B2 (en) Primary only control quasi resonant convertor
KR20160125126A (ko) 대기전력 개선을 위한 전원 공급 회로 및 그 제어 방법
US11018591B1 (en) Dynamic regulation power controller
KR20130046196A (ko) 다 출력 전원 공급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JP6358861B2 (ja) 絶縁抵抗測定装置
KR101474077B1 (ko) 발광 다이오드 구동 회로
KR101341086B1 (ko) 출력전압 조절이 가능한 전압 자동 조정기
KR101204566B1 (ko) 다중출력 llc 공진형 dc/dc 컨버터, 파워서플라이 유닛 및 백라이트 유닛
KR20120060532A (ko) 직류/직류 컨버터 권선 조절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다중 출력 직류/직류 컨버터
KR102217632B1 (ko) 전원 공급 장치 및 그의 제어 회로
KR20040043060A (ko) Lcd 모니터의 램프 제어회로
JP2009159670A (ja) インバーター装置
KR20130021603A (ko) 스위칭 모드 파워 서플라이 및 그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