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43641A - 브레이크 해방기구 - Google Patents

브레이크 해방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43641A
KR20130043641A KR1020127033444A KR20127033444A KR20130043641A KR 20130043641 A KR20130043641 A KR 20130043641A KR 1020127033444 A KR1020127033444 A KR 1020127033444A KR 20127033444 A KR20127033444 A KR 20127033444A KR 20130043641 A KR20130043641 A KR 201300436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lative rotation
lever
brake release
release mechanism
bra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334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시노리 다니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436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36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5/00Braking or detent devices characterised by application to lifting or hoisting gear, e.g. for controlling the lowering of loads
    • B66D5/02Crane, lift hoist, or winch brakes operating on drums, barrels, or ropes
    • B66D5/06Crane, lift hoist, or winch brakes operating on drums, barrels, or ropes with radial effect
    • B66D5/08Crane, lift hoist, or winch brakes operating on drums, barrels, or ropes with radial effect embodying blocks or sho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4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 B66B11/08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with hoisting rope or cable operated by frictional engagement with a winding drum or shea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27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to permit passengers to leave an elevator car in case of failure, e.g. moving the car to a reference floor or unlocking the do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5/00Braking or detent devices characterised by application to lifting or hoisting gear, e.g. for controlling the lowering of loads
    • B66D5/02Crane, lift hoist, or winch brakes operating on drums, barrels, or ropes
    • B66D5/24Opera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브레이크 해방작업의 노력을 저감할 수 있는 브레이크 해방기구를 제공한다. 브레이크 해방기구는 상대회전 가능하게 마련된 가동레버(13) 및 고정레버(15)와, 그들 사이에 마련된 복수의 전동체(17)를 구비한다. 레버에서의 서로 대면하는 한 쌍의 면의 일면(13a)에는 복수의 지지구멍(19)이 형성되고, 타면(15a)에는 전동체가 구르면서 이동할 수 있도록 원호 모양으로 연장한 복수의 긴 구멍(21)이 형성되어 있다. 긴 구멍은 각각 전동체가 긴 구멍을 따라서 이동했을 때에 전동체의 수용깊이가 변화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양레버의 상대회전축 방향의 간격은 그들 레버의 상대회전에 의해서 변화한다. 브레이크 해방기구는 고정레버의 상대회전축 방향의 위치를 구속하지 않고, 가동레버의 상대회전축 방향의 위치를 구속하는 해방용 볼트(43)를 더 구비한다. 가동레버를 회전함으로써, 고정레버가 가동체에 상대회전축 방향의 이동력을 부여하여, 브레이크가 해방된다.

Description

브레이크 해방기구 {BRAKE RELEASE MECHANISM}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권상기용 브레이크에 대한 브레이크 해방기구에 관한 것이다.
엘리베이터의 권상기에는 승강 엘리베이터칸을 정지하기 위한 브레이크가 마련되어 있다. 이 브레이크에는 전자코일이 마련되어 있으며, 승강 엘리베이터칸이 승강되는 통상의 운전중에는 전자코일로 통전이 되어, 전자적인 작용에 의해 권상기용 브레이크는 해방되어 있다. 한편, 정전이나 지진 등 비상시에는 통전이 차단되어, 자동적으로 브레이크가 제동상태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었다. 따라서, 승강 엘리베이터칸이 비상정지한 후의 조작으로서, 권상기용 브레이크를 수동으로 해방하고, 승강 엘리베이터칸을 승강 가능한 상태로 하고 나서, 가장 가까운 층까지 이동시키고 있었다.
상기의 장면에서 권상기용 브레이크를 수동으로 해방하는 것으로서는, 특허문헌 1에 개시된 구조가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는 브레이크를 구성하는 가동철심에 핀이 관통하고 있고, 그 핀의 선단은 전자마그넷을 가지는 고정철심에 나합(螺合)하며, 핀의 두부(頭部)는 가동철심에서의 고정철심의 반대 측의 면으로 돌출해 있다. 그리고, 브레이크 해방할 때는 핀의 두부와 가동철심과의 사이에 브레이크 해방도구의 쐐기형상 부분을 찔러 넣어 가고, 가동철심을 고정철심 측으로 움직임으로써, 가동철심에 지지된 브레이크슈가 로터의 제동면으로부터 이격(離隔)하도록 되어 있었다.
그렇지만, 상술한 바와 같은 쐐기에 의한 효과를 이용한 브레이크 해방 형태에서는 쐐기형상 부분을 핀의 두부와 가동철심과의 사이에 찔러 넣을 때, 브레이크 해방도구가 쐐기형상 부분에서의 광범위한 면접촉에 기인한 큰 마찰력을 받기 때문에, 브레이크 해방작업에 다대(多大)한 노력이 필요하게 되어 있었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개2006-341942호 공보
본 발명은 상기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수동에 의한 브레이크 해방작업에서 노력을 저감할 수 있는 브레이크 해방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브레이크슈를 지지하는 가동체와, 상기 가동체를 구동하는 전자코일을 가진 고정베이스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의 권상기용 브레이크에 대한 브레이크 해방기구로서, 상대회전 가능하게 마련된 제1 부재 및 제2 부재와, 상기 제1 부재 및 제2 부재의 사이에 마련된 복수의 전동체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부재 및 제2 부재에서의 서로 대면하는 한 쌍의 면의 일면에는 상기 전동체를 부분적으로 수용하는 복수의 지지구멍이 형성되며, 타면에는 상기 전동체가 구르면서 이동할 수 있도록 원호 모양으로 연장한 복수의 긴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구멍은 각각 상기 전동체를 자전(自轉) 가능하고 또한 이 지지구멍과 동기(同期)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상기 긴 구멍은 각각 상기 전동체가 이 긴 구멍을 따라서 이동했을 때에 이 전동체의 수용깊이가 변화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전동체는 각각 상기 제1 부재 및 제2 부재의 사이에서 대응하는 상기 지지구멍 및 상기 긴 구멍의 쌍방에 수용되고, 그것에 의해, 상기 제1 부재 및 제2 부재의 상대회전축 방향의 간격은 이 제 1 부재 및 제2 부재의 상대회전에 의해서 변화하는 것이며, 상기 제1 부재 및 제2 부재 중 한쪽의 상대회전축 방향의 위치를 구속하지 않고, 다른 쪽의 상대회전축 방향의 위치를 구속하는 구속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구속부는 상기 고정베이스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제1 부재 및 제2 부재 중 상기 한쪽은 상기 가동체에 상대회전축 방향의 이동력을 부여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본 발명의 브레이크 해방기구에 의하면, 수동에 의한 브레이크 해방작업에서 노력을 저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브레이크 해방기구를 적용하는 엘리베이터 권상기용의 내확식(內擴式) 드럼 브레이크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브레이크 해방기구를 구성하는 가동레버 및 고정레버를 조합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화살표 III로부터 본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IV-IV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는 가동레버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VI-V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7은 고정레버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VIII-VIII선에 따른 단면도로서, VIII-VIII선에 따른 호(弧) 모양의 영역을 평면 모양으로 전개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2에 관하여, 하나의 칼라(collar) 근방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권상기용 브레이크에 브레이크 해방기구를 조립한 상태의 도 1과 같은 형태의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의 XI-X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0의 XII-XII선에 따른 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브레이크 해방기구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첨부 도면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면 중, 동일 부호는 동일 또는 대응 부분을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브레이크 해방기구를 적용하는 엘리베이터 권상기용의 내확식 드럼 브레이크의 개략도이다. 권상기용 브레이크(1)는 한 쌍의 가동체(3)와 고정베이스(5)를 포함하고 있다.
한 쌍의 가동체(3)는 고정베이스(5)를 끼우도록 하여, 고정베이스(5)의 양측에 마련되어 있다. 각 가동체(3)에는 후술하는 고정레버가 걸어 멈춰지는 돌기(3a)가 형성되어 있다. 각 가동체(3)에서의 고정베이스(5)와의 반대 측에는 로터(7)의 내주면과 대향하도록 브레이크슈(9)가 마련되어 있다. 각 브레이크슈(9)는 대응하는 가동체(3)에 의해서 지지되어 있다. 각 가동체(3)와 고정베이스(5)와의 사이에는 탄성체(11)가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한 쌍의 가동체(3) 및 한 쌍의 브레이크슈(9)는 항상 대응하는 탄성체(11)의 탄성력에 의해서 로터(7)를 향하여 가압되어 있다.
고정베이스(5)는 한 쌍의 가동체(3)의 근방에 도시 생략하는 전자코일을 가지고 있다. 한 쌍의 가동체(3)는 이들 전자코일에 의해서 구동된다. 구체적으로는, 한 쌍의 가동체(3)는 이들 전자코일로 통전되었을 때, 그 전자력에 의해서, 고정베이스(5) 측으로 끌어 들여지는 구동력을 받는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에 관한 브레이크 해방기구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는 브레이크 해방기구를 구성하는 가동레버 및 고정레버를 조합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화살표 III으로부터 본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4는 도 3의 IV-IV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브레이크 해방기구는, 우선, 가동레버(제1 부재)(13) 및 고정레버(제2 부재)(15)와 복수의 전동체(17)를 구비한다.
가동레버(13) 및 고정레버(15)는 서로 상대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또,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3개)의 전동체(17)는 이들 가동레버(13) 및 고정레버(15)의 사이에 마련되어 있으며, 본 실시형태에서는, 예를 들면 베어링강 소재의 구체(球體)로서 구성되어 있다. 가동레버(13) 및 고정레버(15)에서의 서로 대면하는 한 쌍의 면(13a, 15a) 중 일면(13a)에는 전동체와 같은 수(본 실시형태에서는 3개)의 지지구멍(19)이 형성되어 있으며, 타면(15a)에는 전동체와 같은 수(본 실시형태에서는 3개)의 긴 구멍(21)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에 대해, 또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가동레버의 평면도이며, 도 6은 도 5의 VI-V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7은 고정레버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VIII-VIII선에 따른 단면도이지만, VIII-VIII선에 따른 호 모양의 영역을 평면 모양으로 전개하여 나타내고 있다.
우선,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동레버(13)는 보디부(23)와, 레버편부(25)를 가지고 있다. 보디부(23)는 상술의 상대회전에 관한 회전축(CL)을 중심으로 한 원형 디스크 모양의 부분이다. 보디부(23)의 중심부에는 관통구멍(27)이 형성되어 있다. 레버편부(25)는 상대회전에 관한 반경방향으로 연장한 부분이며, 본 실시형태에서 구체적으로는 보디부(23)로부터 보디부(23)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한 부분이다.
지지구멍(19)은 각각 보디부(23)에서의 상술의 일면(13a)에 개구하는 웅덩이이다. 각 지지구멍(19)은 전동체(17)를 부분적으로 수용하는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일례로서, 전동체(17)의 외형을 모방한 형상(전동체의 외형과 상사(相似)의 내면 형상)을 가지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각 전동체(17)는 구체이기 때문에, 지지구멍(19)의 내면 형상은 구면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각 지지구멍(19)의 깊이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동체(17)를 구성하는 구체의 직경(d)의 반(d/2)으로 되어 있다. 이상에 의해, 본 실시형태에서는 각 지지구멍(19)은 반구 모양의 웅덩이이다. 또, 지지구멍(19)의 이와 같은 형태로부터 각 지지구멍(19)은 대응하는 전동체(17)를 구멍 안에서의 이동은 하지 못하고 또한 구멍 안에서의 자전은 할 수 있는 형태로, 환언한다면 지지구멍과 동기적으로 이동과 자전을 할 수 있는 형태로 지지한다.
3개의 지지구멍(19)은, 평면적으로 보아, 보디부(23)의 중심(상대회전축(CL))에 관한 단일 반경의 원주상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지지구멍(19)의 각각이 다른 서로 인접하는 지지구멍(19)과 평면적으로 보아 등각도 간격(본 실시형태에서는 120도)으로 이격하고 있다.
한편,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레버(15)는 보디부(29)와 고정용 암부(31)를 가지고 있다. 보디부(29)는 상대회전축(CL)을 중심으로 한 원형 디스크 모양의 부분이다. 보디부(29)의 중심부에는 관통구멍(33)이 형성되어 있다.
고정용 암부(31)은 상대회전에 관한 반경방향으로 연장한 부분이며, 본 실시형태에서 구체적으로는, 보디부(29)로부터 보디부(29)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한 부분이다. 고정용 암부(31)의 선단 근방에는 한 쌍의 후크(35)가 마련되어 있다. 한 쌍의 후크(35)는 긴 구멍(21)이 형성되는 상술의 타면(15a)과는 반대 측의 면, 즉, 조립되었을 때, 가동체(3)와 대면하는 측의 면으로부터 일어서는 한 쌍의 돌출부이다. 그리고, 수동에 의한 브레이크 해방을 행할 때에는, 한 쌍의 후크(35)의 사이에는 가동체(3)에서의 상술한 돌기(3a)가 삽입된다.
긴 구멍(21)은 각각 보디부(29)에서의 상술의 타면(15a)에 개구하는 웅덩이이다. 각 긴 구멍(21)은 전동체(17)를 부분적으로 수용하는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상대회전축(CL)에 관한 원호 모양으로 연장한 구멍이다. 또한, 각 긴 구멍(21)은,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면적으로 보아 원을 원호 모양으로 이동시켰을 때의 궤적을 이루는 형상을 구비한다. 또, 각 긴 구멍(21)의 내면 형상은 전동체(17)의 외형에 대응한 형상을 가지고 있고,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면을 원호 모양으로 이동시켰을 때의 궤적을 이루는 형상을 가지고 있다. 또, 각 긴 구멍(21)의 깊이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호 모양의 연장방향의 위치에 따라 변화하고 있고, 즉, 긴 구멍(21)은 각각 전동체(17)가 긴 구멍(21)을 따라서 이동했을 때에 전동체(17)의 수용깊이가 변화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각 긴 구멍(21)의 최대 깊이(Xmax)와 그 깊이로부터 거의 리니어하게 변화하는 최소 깊이(Xmin)와의 관계는 전동체(17)의 직경(d)에 대해서,
0 < Xmin < Xmax < d/2
로 되어 있다. 긴 구멍(21)의 이와 같은 형태로부터, 각 전동체(17)는 대응하는 긴 구멍(21) 내를 구르면서 긴 구멍(21)의 연장방향을 따라서 이동할 수 있고, 또, 전동체(17)의 수용깊이(환언하면 전동체(17)의 긴 구멍(21)으로부터의 노출 높이)는 전동체(17)의 이동에 수반하여 변화한다.
3개의 긴 구멍(21)은, 평면적으로 보아, 보디부(29)의 중심(상대회전축(CL))에 관한 단일 반경의 원주상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긴 구멍(21)의 각각이 다른 서로 인접하는 긴 구멍(21)과 평면적으로 보아 등각도 간격(본 실시형태에서는 긴 구멍의 둘레방향 중심으로 보아 거의 120도)로 이격하고 있다.
각 전동체(17)는, 그 한쪽 측으로부터, 상술한 구성의 지지구멍(19)에 부분적으로 수용되고, 다른 쪽 측으로부터, 상술한 구성의 긴 구멍(21)에 부분적으로 수용된다. 즉, 전동체(17)는 각각 가동체(3) 및 고정베이스(5)의 사이에서, 대응하는 지지구멍(19) 및 긴 구멍(21)의 쌍방에 수용된다. 그에 따라서, 가동체(3)와 고정베이스(5)와의 상대회전축(CL) 방향의 간격은 가동체(3)와 고정베이스(5)와의 상대회전 동작에 따라서, 즉, 전동체(17)가 긴 구멍(21)에서 어느 위치에 있는지에 따라서 변화한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브레이크 해방기구는, 또한, 커버부재와 복수의 칼라를 구비한다. 이들에 대해, 도 2 및 도 9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도 9는 도 2에 관하여, 하나의 칼라 근방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및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버부재(37)는 고정레버(15)와의 사이에 가동레버(13)를 끼우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 칼라(39)는 각각, 통 모양의 부재로서, 커버부재(37)와, 고정레버(15)와의 사이에 배치되고, 커버부재(37)와 고정레버(15)와의 간격을 유지한다. 각 칼라(39)의 중공부에는 칼라용 나사(41)가 삽입 통과되어 있으며, 이들 칼라용 나사(41)에 의해서 커버부재(37)와 고정레버(15)가 연결되어 있다.
브레이크 해방기구는, 또한, 구속부를 구비한다. 구속부는, 예를 들면, 가동레버(13) 및 고정레버(15) 중 한쪽에 관한 상대회전축(CL) 방향의 위치를 구속하지 않고, 다른 쪽의 상대회전축(CL) 방향의 위치를 구속하는 것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구속부는 고정베이스(5)에 고정된 해방용 볼트로 구성된다. 이것에 대해, 도 10 및 도 11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권상기용 브레이크에 브레이크 해방기구를 조립한 상태의 도 1과 같은 형태의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의 XI-X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1에 가장 잘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속부인 해방용 볼트(43)는 상대회전축(CL)상을 연장하도록 가동레버(13) 및 고정레버(15)를 관통하고 있으며, 즉, 상술의 관통구멍(27) 및 관통구멍(33)에 삽입 통과되어 있다. 해방용 볼트(43)의 선단은 고정베이스(5)에 나합되어 있다. 해방용 볼트(43)의 두부는 관통구멍(27)보다도 외경이 크고, 가동레버(13)에서의 지지구멍(19)이 형성된 일면(13a)에 대한 반대면(13b)으로 노출하며, 당해 반대면(13b)에 걸려 있다. 또, 커버부재(37)에서의 상대회전축(CL)의 근방 부분에는 해방용 볼트(43)의 두부가 상기 반대면(13b)에 걸리는 것을 저해하지 않도록, 당해 두부를 릴리스하기 위한 구멍이 마련되어 있다.
이어서, 본 실시형태에 관한 브레이크 해방기구의 작용에 대해서, 주로, 도 10 ~ 도 12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도 10의 XII-XII선에 따른 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브레이크 해방기구는,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동레버(13) 및 고정레버(15)가 가동체(3)에서의 고정베이스(5)와의 반대 측에 배치된다. 또, 가동레버(13) 및 고정레버(15)는 고정레버(15)가 가동체(3) 측에 위치하는 관계로 배치된다. 또한, 도 10 ~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레버(15)의 한 쌍의 후크(35)의 사이에는 가동체(3)의 돌기(3a)가 삽입된다. 전동체(17)는 각각 대응하는 긴 구멍(21)에서의 최대 깊이(Xmax)의 부분에 위치하고 있다. 장착 순서의 일례를 나타내면, 우선, 고정레버(15)의 한 쌍의 후크(35)를 가동체(3)의 돌기(3a)에 맞물림시키고, 이어서, 해방용 볼트(43)를 관통구멍(27) 및 관통구멍(33)에 삽입 통과시켜, 고정베이스(5)에 나사를 넣음으로써 해방용 볼트(43)의 두부를 가동레버(13)의 반대면(13b)에 확실히 맞닿게 한다.
상기와 같은 상태로부터, 가동레버(13)를 도 12의 화살표 R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시키면, 상기 후크(35)와 돌기(3a)와의 맞물림에 기인하여, 고정레버(15)는 가동체(3)에 의해서 상대회전 방향의 회전이 구속되며, 결국은, 고정레버(15)는 회전하지 않고 가동레버(13)만이 회전한다. 따라서, 가동레버(13)와 고정레버(15)와의 사이에 상대회전이 발생한다.
가동레버(13)와 고정레버(15)와의 사이에 상대회전이 발생하면, 각 전동체(17)는 회전하는 가동레버(13)에서의 지지구멍(19)의 원호 모양의 이동에 기인하여, 지지구멍(19)과 동기적(함께)으로 위치를 바꾸고, 긴 구멍(21) 내를 구르면서 최소 깊이(Xmin)의 부분으로 이동한다. 이와 같이 전동체(17)가 긴 구멍(21) 내에서의 최대 깊이(Xmax)의 부분으로부터 최소 깊이(Xmin)의 부분으로 이동함으로써, 고정레버(15)의 타면(15a)으로부터 노출하는 전동체(17)의 높이가 증가하고, 고정레버(15)의 타면(15a)과 가동레버(13)의 일면(13a)과의 간격, 결국은, 고정레버(15)와 가동레버(13)와의 간격이 증가한다. 여기서, 가동레버(13)는, 상대회전은 허용되고 있지만, 상대회전축(CL) 방향으로의 이동(특히 고정베이스(5)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의 이동)은 해방용 볼트(43)에 의해서 제한되어 있다. 이 때문에, 가동레버(13)와 고정레버(15)와의 간격의 증가는 고정레버(15)가 가동레버(13)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의 상대회전축(CL) 방향의 이동으로서 나타난다. 따라서, 가동체(3)는 고정레버(15)로부터 상대회전축(CL) 방향의 가압력을 받고, 탄성체(11)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고정베이스(5)에 접근하도록 이동한다. 이것에 의해, 가동체(3)와 일체적으로 마련된 브레이크슈(9)가 로터(7)의 내주면으로부터 이격하여, 수동에 의한 브레이크의 해방이 달성된다.
또, 가동레버(13)와 고정레버(15)와의 상대 동작은 칼라(39)를 다음과 같은 형태로 함으로써 적절히 확보된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칼라(39)의 높이(X)는 가동레버(13)의 지지구멍(19)의 깊이를 a로 하고, 가동레버(13)의 두께를 b로 하며, 브레이크 해방에 필요한 가동체(3)의 이동거리를 g로 했을 경우,
g + d - Xmin - a < X < (d - Xmax) + b - (d/2)
를 만족하도록 설정하는 것이 적당하다. 상기 조건을 만족하는 X에 칼라(39)의 높이를 설정함으로써, 브레이크 해방작업시, 가동레버(13)와 고정레버(15)가 간섭하지 않도록 간격 변화할 수 있으며, 또한, 가동레버(13)와 고정레버(15)와의 간격이 최대로 넓어진 상태에서도 양자간에 끼워져 있는 전동체(17)가 탈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한 브레이크 해방기구에 의하면, 가동체에 브레이크 해방력을 부여할 때, 광범위한 면접촉에 의한 큰 마찰력을 가동부에 발생시키지 않고 마무리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가동레버의 회전에 의한 마찰을 전동체 자신의 회전으로 흡수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수동에 의한 브레이크 해방작업의 노력을 크게 저감할 수 있다. 또, 권상기에 대해서 세로방향의 회전력만을 줌으로써 브레이크의 강제 해방이 가능하기 때문에, 권상기 측방에 해방작업을 위한 큰 공간을 마련할 필요가 없어, 승강로나 기계실의 공간절약에 연결할 수 있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기본적 기술사상 및 교시에 근거하여, 당업자이면, 여러 가지의 개변 형태를 채득(採得)하는 것은 자명하다.
일례를 나타내면, 구속부는 가동레버(제1 부재) 및 고정레버(제2 부재) 중 한쪽에 관한 상대회전축(CL) 방향의 위치를 구속하지 않고, 다른 쪽의 상대회전축(CL) 방향의 위치를 구속하는 작용을 제공하는 것이면 된다. 따라서, 구속부는 이러한 작용을 제공할 수 있으면, 상기 실시형태와 같이 독립한 하나의 부재인 것에는 한정되지 않고, 제1 부재 또는 제2 부재의 일부분이거나 고정베이스의 일부분이거나 혹은 그 외의 요소의 일부분이거나 해도 된다.
3 가동체, 5 고정베이스,
9 브레이크슈,
13 가동레버(제1 부재, 제1 부재 및 제2 부재 중 다른 쪽),
13a 일면, 13b 반대면,
15 고정레버(제2 부재, 제1 부재 및 제2 부재 중 한쪽),
15a 다른 면, 17 전동체,
19 지지구멍, 21 긴 구멍,
37 커버부재, 39 칼라,
43 해방용 볼트(구속부), CL 상대회전축.

Claims (8)

  1. 브레이크슈를 지지하는 가동체와, 상기 가동체를 구동하는 전자코일을 가진 고정베이스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의 권상기용 브레이크에 대한 브레이크 해방기구로서,
    상대회전 가능하게 마련된 제1 부재 및 제2 부재와,
    상기 제1 부재 및 제2 부재의 사이에 마련된 복수의 전동체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부재 및 제2 부재에서의 서로 대면하는 한 쌍의 면의 일면에는 상기 전동체를 부분적으로 수용하는 복수의 지지구멍이 형성되며, 다른 면에는 상기 전동체가 구르면서 이동할 수 있도록 원호 모양으로 연장한 복수의 긴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지구멍은 각각 상기 전동체를 자전(自轉) 가능하고 또한 이 지지구멍과 동기(同期)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며,
    상기 긴 구멍은 각각 상기 전동체가 이 긴 구멍을 따라서 이동했을 때에 이 전동체의 수용깊이가 변화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전동체는 각각 상기 제1 부재 및 제2 부재의 사이에서, 대응하는 상기 지지구멍 및 상기 긴 구멍의 쌍방에 수용되며, 그것에 의해, 상기 제1 부재 및 제2 부재의 상대회전축 방향의 간격은 이 제 1 부재 및 제2 부재의 상대회전에 의해서 변화하는 것으로,
    상기 제1 부재 및 제2 부재 중 한쪽의 상대회전축 방향의 위치를 구속하지 않고, 다른 쪽의 상대회전축 방향의 위치를 구속하는 구속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구속부는 상기 고정베이스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부재 및 제2 부재 중 상기 한쪽은 상기 가동체에 상대회전축 방향의 이동력을 부여하도록 마련되어 있는 브레이크 해방기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 및 제2 부재 중 상기 한쪽은 상기 가동체에 의해서 상대회전 방향의 회전이 구속되어 있고,
    상기 긴 구멍은 상기 제1 부재 및 제2 부재 중 상기 한쪽에 형성되어 있는 브레이크 해방기구.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 및 제2 부재 중 상기 다른 쪽은 상대회전에 관한 반경방향으로 연장한 레버편부를 가지고,
    상기 지지구멍은 상기 제1 부재 및 제2 부재 중 상기 다른 쪽에 형성되어 있는 브레이크 해방기구.
  4.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체는 각각 구체(球體)인 브레이크 해방기구.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구체는 적어도 3개 마련되어 있고,
    상기 지지구멍의 각각은 다른 서로 인접하는 상기 지지구멍과 등각도 간격으로 이격하고 있는 브레이크 해방기구.
  6. 청구항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 및 제2 부재는 상기 한쪽이 상기 가동체 측에 위치하도록 하고, 이 가동체에서의 상기 고정베이스와는 반대 측에 배치되어 있는 브레이크 해방기구.
  7. 청구항 1 내지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커버부재와, 칼라를 더 구비하고,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제1 부재 및 제2 부재에서의 상기 한쪽과의 사이에, 상기 다른 쪽을 끼우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칼라는 상기 커버부재와, 상기 제1 부재 및 제2 부재 중 상기 한쪽과의 사이에 배치되며, 이 커버부재와 이 한쪽과의 간격을 유지하는 브레이크 해방기구.
  8. 청구항 1 내지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부는 상대회전축상을 연장하도록 상기 제1 부재 및 제2 부재를 관통하고 있고,
    상기 구속부의 선단은 상기 고정베이스에 나합(螺合)하며,
    이 구속부의 두부(頭部)는 상기 제1 부재 및 제2 부재 중 상기 다른 쪽에서의 상기 지지구멍 또는 상기 긴 구멍이 형성된 일면에 대한 반대면에 노출하고, 이 반대면에 걸려 있는 브레이크 해방기구.
KR1020127033444A 2010-06-25 2010-06-25 브레이크 해방기구 KR2013004364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0/060828 WO2011161807A1 (ja) 2010-06-25 2010-06-25 ブレーキ解放機構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3641A true KR20130043641A (ko) 2013-04-30

Family

ID=453710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33444A KR20130043641A (ko) 2010-06-25 2010-06-25 브레이크 해방기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2586739A1 (ko)
JP (1) JPWO2011161807A1 (ko)
KR (1) KR20130043641A (ko)
CN (1) CN102958820A (ko)
WO (1) WO2011161807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1995B1 (ko) * 2021-08-30 2021-12-21 김정록 승강기용 시브제동장치
KR102341994B1 (ko) * 2021-08-30 2021-12-21 김정록 승강기용 시브제동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549896B (zh) * 2014-09-30 2016-09-21 Fong Hwang Entpr Co Ltd Lifting equipment for power failure Safe decoupling escape switch
WO2018216111A1 (ja) * 2017-05-23 2018-11-29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用ブレーキ開放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22890A (ja) * 1982-07-26 1984-02-06 山久チエイン株式会社 巻上機
JP4684015B2 (ja) * 2005-06-07 2011-05-18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巻上機用ブレーキの手動開放装置及びそのブレーキの手動開放方法
MY151628A (en) * 2006-05-29 2014-06-30 Inventio Ag Lift facility with a braking device and method for braking a lift facility
IL186678A0 (en) * 2006-11-16 2008-02-09 Inventio Ag Brake equipment, lift installation, a method for detecting a function of the brake equipment, and a modernisation set
MY143851A (en) * 2006-12-05 2011-07-15 Inventio Ag Braking device for holding and braking a lift cabin in a lift facility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1995B1 (ko) * 2021-08-30 2021-12-21 김정록 승강기용 시브제동장치
KR102341994B1 (ko) * 2021-08-30 2021-12-21 김정록 승강기용 시브제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958820A (zh) 2013-03-06
WO2011161807A1 (ja) 2011-12-29
EP2586739A1 (en) 2013-05-01
JPWO2011161807A1 (ja) 2013-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907840B1 (en) Electromagnetically releasable friction safety brake
KR101954585B1 (ko) 엘리베이터용 권상기 및 엘리베이터
KR20130043641A (ko) 브레이크 해방기구
JP2015155348A (ja) エレベータ及びその巻上機
JP2016037336A (ja) エレベータ装置およびエレベータ装置用巻上機
JP2016034872A (ja) エレベータ用巻上機
JP5254232B2 (ja) 一体的な軸受およびブレーキ面を備えるエレベータ巻上機ブレーキ
JP2011126679A (ja) エレベータの制動装置
JP5216797B2 (ja) 巻上機
JP4952296B2 (ja) エレベータ巻上機用ブレーキの解放装置及びそのブレーキの解放方法
JP2007218333A (ja) ブレーキ装置
JP5776163B2 (ja) 巻上機
JP2004338915A (ja) エレベータ用巻上機
JP6687052B2 (ja) エレベータ用巻上機、および巻上機の設置方法
KR101201027B1 (ko) 엘리베이터용 권상기 및 브레이크 장치
JP2006027786A (ja) エレベータ用巻上機
JP2004224531A (ja) エレベータのディスクブレーキ装置
JP4855384B2 (ja) エレベータの巻上機
JP2007261792A (ja) エレベーター巻上機用制動装置
CN107032220A (zh) 制动器组件
JP7261320B2 (ja) 巻上機及びエレベーター
JP4475017B2 (ja) エレベータの巻き上げ機
JP5590471B2 (ja) 巻上機及びエレベータ
JP4658819B2 (ja) ディスクブレーキ装置
KR100847175B1 (ko) 엘리베이터의 권상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