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43075A -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체 - Google Patents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43075A
KR20130043075A KR20120115939A KR20120115939A KR20130043075A KR 20130043075 A KR20130043075 A KR 20130043075A KR 20120115939 A KR20120115939 A KR 20120115939A KR 20120115939 A KR20120115939 A KR 20120115939A KR 20130043075 A KR20130043075 A KR 201300430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pin contact
connector
pin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201159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케이타 테라지마
Original Assignee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저팬 지.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저팬 지.케이. filed Critical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저팬 지.케이.
Publication of KR201300430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30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1Sealing between contact members and housing, e.g. sealing inse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16Fastening of connecting parts to base or case; Insulating connecting parts from base or case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밀성의 저하가 억제되는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체를 제공한다. 커넥터는 핀콘택트와, 하우징과, 봉지재와, 규제부재를 구비한다. 핀콘택트는 상대 콘택트에 의한 측면으로의 접촉을 받는 봉상이다. 하우징은 표리에 관통하여 핀콘택트가 삽통되는 관통공이 설치되고, 핀콘택트를 관통공에 삽통시켜 표리쌍방에 돌출시키고 있다. 봉지재는 핀콘택트가 삽통한 상태에 있는 관통고을 밀봉한다. 규제부재는 하우징의 상대 커넥터와 감합하는 측에 고착되어 있다. 규제부재는 상대 콘택트에 의한 핀콘택트의 측면으로의 접촉에 의해 핀콘택트가 받는 힘에 대한 반대힘을 핀콘택트에 부여함으로써 핀콘택트의 기울임을 규제한다.

Description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체{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본 발명은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기기로의 공기나 수분의 침입을 방지하면서 전기적인 접속을 담당하는 커넥터로서 도체와 하우징과의 사이가 밀봉된 허메틱 씰(Hermetic Seal) 커넥터가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베이스 본체에 설치된 관통공에 리드선을 삽통시킨 커넥터가 개시되어 있다. 이 커넥터는 관통공 내에서의 리드선의 주위에 봉지재로서의 유리가 충진되어 있다.
일본 특개(特開)제2003-179457호 공보
특허문헌 1에 나타내는 구조의 커넥터는 예를 들면 상대 커넥터와의 감합 시에 리드선의 측면에 상대콘택트가 접하면 리드선으로 기울어지는 방향의 힘이 걸린다. 리드선이 기울어지는 방향의 힘을 받음으로써 이 힘이 유리에 전달되어 유리가 파손될 우려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여 밀봉성 저하가 억제된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의 커넥터는 상대 커넥터를 구성하는 상대 콘택트에 의한 측면으로의 접촉을 받는 봉상의 핀콘택트와, 표리에 관통하여 상기 콘택트가 설치되고, 상기 핀콘택트를 관통공에 삽통시켜 상기 핀콘택트를 표리 쌍방에 돌출시켜 이루어지는 하우징과, 상기 핀콘택트가 삽통한 상태에 있는 관통공을 밀봉하는 봉지재와, 상기 하우징의 표리 중 적어도 상대 커넥터와 감합하는 측에 고착되어 상기 핀콘택트의 측면에 따라 상대 콘택트에 의한 상기 핀콘택트의 측면으로의 접촉에 의해 상기 핀콘택트가 받는 힘에 대한 반대힘을 상기 핀콘택트에 부여함으로써 상기 핀콘택트의 기울임(傾動)을 규제하는 규제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커넥터는 하우징에 고착된 규제부재가 핀콘택트의 기울임을 규제하므로 핀콘택트에 의한 봉지재의 비틀림이 억제된다. 따라서 봉지재의 파손이나 박리가 억제되기 때문에 밀봉성의 저하가 억제된다.
여기서 상기 본 발명의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규제부재는 상기 관통공 및 상기 봉지재와의 접촉을 피해 상기 핀콘택트의 상기 하우징에서 돌출한 부분 중의 봉지재와 접촉한 뿌리부분보다도 선단부 부분을 따라 상기 선단부 부분에 상기 반대힘을 주는 것임이 바람직하다.
규제부재가 예를 들면 치수 공차나 배치 오차 등에 기인하여 상대 콘택트와 접촉하고 있지 않은 상태의 핀콘택트를 밀듯이 배치된다 하더라도 미는 힘은 핀콘택트의 선단 가까이 부분에 걸리고 뿌리부분에 직접 걸리지 않는다. 따라서 규제부재의 치수 공차나 배치 오차 등의 영향이 핀콘택트의 변형으로 흡수되므로 뿌리부분의 봉지재의 파손이나 박리가 억제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규제부재는 상기 핀콘택트의 상기 하우징으로부터의 돌출부분을 받아들이는 홈이 형성되고, 핀콘택트의 돌출부분이 이 홈 내에 배치되는 것임이 바람직하다.
핀콘택트가 규제부재의 홈 내에 배치됨으로써 핀콘택트의 위치결정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규제부재가 상기 핀콘택트의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돌출한 부분을 주위(전주(全周), 주변, 둘레, 또는 사방)로부터 둘러싼 형상을 갖는 것임이 바람직하다.
규제부재에 의해 핀콘택트의 기울임이 규제되는 방향이 주위방향이 된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핀콘택트에 물품이 부딪치는 등으로 인해 예기치 못한 방향의 힘이 주어진 경우에도 핀콘택트의 기울임이 규제된다. 따라서 봉지재의 파손이나 박리가 억제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의 커넥터 조립체는 외팔보 용수철상의 용수철 콘택트를 갖는 제1커넥터와, 상기 제1커넥터와 감합하는 제2커넥터를 구비한 커넥터 조립체에서, 상기 제2커넥터가 상기 제1커넥터와의 감합에 의해 상기 용수철 콘택트로부터의 측면에 대한 접촉을 받는 봉상체의 핀콘택트와, 표리로 관통하여 상기 핀콘택트가 삽통되는 관통공이 설치되고, 상기 핀콘택트를 관통공에 삽통시켜 상기 핀콘택트를 표리 쌍방에 돌출시켜 이루어지는 하우징과, 상기 핀콘택트가 삽통한 상태에 있는 관통공을 밀봉하는 봉지재와, 상기 핀콘택트의 표리 중 적어도 상기 제1커넥터와 감합하는 측에 고착되어 상기 핀콘택트의 측면에 따라 상기 용수철 콘택트에 의한 상기 핀콘택트의 측면에 대한 접촉에 의해 상기 핀콘택트가 받는 힘에 대한 반대힘을 상기 핀콘택트에 줌으로써 상기 핀콘택트의 기울임을 규제하는 규제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커넥터 조립체는 제2커넥터의 하우징에 고착된 규제부재가 용수철 핀콘택트의 기울임을 규제한다. 이 때문에 핀콘택트에 의한 봉지재의 비틀림이 억제된다. 따라서 봉지재의 파손이나 박리가 억제되기 때문에 기밀성의 저하가 억제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말하는 커넥터 조립체에 대해 여기서는 그 기본형태만을 나타내는데 머물렀으나 이것은 단순히 중복을 피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에서 말하는 커넥터 조립체에는 상기 기본형태만이 아니라 전술한 커넥터의 각 형태에 대응하는 각종 형태가 포함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기밀성의 저하가 억제된 커넥터가 실현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커넥터 조립체의 제1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커넥터 조립체의 제1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암형 커넥터의 평면도이다.
도 4는 수형 커넥터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나타내는 수형 커넥터의 5-5선 단면도이다.
도 6은 제2실시형태의 커넥터 조립체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나타내는 수형 커넥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은 수형 커넥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 나타내는 제2커넥터의 9-9단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커넥터 조립체의 제1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은 사시도이며, 도 2는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커넥터 조립체(A1)는 암형(雄型) 커넥터(1, female connector) 및 수형(雌型) 커넥터(2, male connector)를 구비하고 있다. 암형 커넥터(1) 및 수형 커넥터(2)는 서로 감합함으로써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여기서 암형 커넥터(1) 및 수형 커넥터(2)가 감합하는 방향을 감합방향 Z로 칭한다. 또한 암형 커넥터(1)는 본 발명에서 말하는 제1커넥터의 일례에 상당하고, 수형 커넥터(2)는 본 발명에서 말하는 제1커넥터의 일예 및 커넥터의 일예에 상당한다.
[암형 커넥터]
암형 커넥터(1)는 용수철 커넥터(11) 및 하우징(12)을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12)은 예를 들면 절연성 수지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암형 커넥터(1) 및 수형 커넥터(2)는 14극의 전기 커넥터이며, 암형 커넥터(1)에는 14개의 용수철 콘택트(11)가 구비되어 있다. 용수철 콘택트(11)의 각각은 도전성 금속판을 타발가공 및 절곡가공함으로써 형성된 리프형 콘택트이다. 콘택트(11)는 하우징(12)에 외팔보 용수철상으로 유지되어 있고, 하우징(12)에서 감합방향 Z로 뻗어 있다.
14개의 용수철 콘택트(11)는 2열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용수철 콘택트(11)의 각각은 평판상이며, 용수철 콘택트(11)가 나란히 2개의 열이 대향하는 대향방향(X)에 대해 거의 수직인 방향(Y)을 따라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용수철 콘택트(11)는 대향방향(X)으로 탄성변형한다. 2열의 용수철 콘택트(11)의 하우징(12)에서 뻗은 선단부분에는 대향방향(X)을 따라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팽창하듯이 만곡한 접촉부(11a)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대향방향(X), 열방향(Y), 및 감합방향(Z)은 서로 거의 직교하고 있다.
암형 커넥터(1)의 하우징(12)에는 감합방향(Z)으로 돌출한 돌출부(12a)가 설치되어 있다. 돌출부(12a)는 콘택트(11)이 이루는 2개의 열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열방향(Y)으로 뻗어 있다.
[수형 커넥터]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수형 커넥터(2)의 평면도이다. 또한 도 4는 수형 커넥터(2)의 정면도이다. 또한 도 5는 도 4에 나타내는 수형 커넥터(2)의 5-5선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수형 커넥터(2)를 설명한다.
수형 커넥터(2)는 핀콘택트(21), 하우징(22), 봉지재(23), 및 규제부재(24)를 구비하고 있다.
수형 커넥터(2)에는 14가닥의 핀콘택트(21)가 구비되어 있고, 핀콘택트(21)의 각각은 금속재료로 이루어지는 봉상의 부재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핀콘택트(21)는 감합방향(Z)으로 뻗은 환봉(丸棒)이다. 14가닥의 핀콘택트(21)는 암형 커넥터(1)의 용수철 콘택트(11)에 대응하여 2열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암형 커넥터(1) 및 수형 커넥터(2)의 감합 시, 두개의 열로 나란한 핀콘택트(21) 중 이웃 열과는 반대측(이후 열의 외측이라 칭함)을 향한 측면에 암형 커넥터(1)의 용수철 콘택트(11)가 접촉한다.
하우징(22)은 수형 커넥터(2)의 각 부를 지지하는 부재이다. 본 실시형태의 하우징(22)은 판상의 부재이다. 하우징(22)은 예를 들면 금속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수형 커넥터(2)가 도시하지 않은 전기기기의 광체(筐體)에 취부되는 때, 수형 커넥터(2)는 도시하지 않은 광체에 설치된 혈(穴)을 하우징(22)으로 막도록 취부된다. 하우징(22)에는 표리를 관통하는 관통공(22h)의 표리 쌍방에 돌출하고 있다. 핀콘택트(21)의 지름은 관통공(22h)의 내벽에 접하지 않을 정도로 가늘다.
봉지재(23)는 핀콘택트(21)가 삽통한 관통공(22h)을 밀봉하고 있다. 봉지재(23)는 유리재료로 이루어지고, 관통공(22h) 내에 충진되어 있다. 봉지재(23)는 관통공(22h) 내에서 핀콘택트(21)의 주위(전주(全周), 주변, 둘레, 또는 사방)를 휘감고, 관통공(22h)의 내벽과 핀콘택트(21)와의 사이의 공간을 메우고 있다. 따라서 핀콘택트(21)는 봉지재(23)를 통해 하우징(22)에 유지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수형 커넥터(2)는 핀콘택트(21)가 삽통한 관통공(22h)의 틈새에 유리재의 봉지재(23)가 충진된 글래스 허메틱 씰 커넥터이다. 이 때문에 하우징(22)의 바깥측과 안측과의 사이에 높은 밀봉성, 즉 기밀성 및 액밀성이 확보되어 있다.
수형 커넥터(2)에는 2개의 규제부재(24)가 구비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수형 커넥터(2)는 상하대칭의 구조를 갖고 있으며, 2개의 규제부재(24)는 서로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그래서 2개의 규제부재(24) 중 일방에 주목하여 설명한다.
규제부재(24)는 절연성 수지재료로 형성된 열방향(Y)으로 길게 뻗은 부재이다. 규제부재(24)는 하우징(22)에 고착되어 있다. 고착방법은 접착이지만 접착 이외에 용착(溶着) 및 압입(壓入) 등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규제부재(24)에는 암형 커넥터(1)의 하우징(12)의 돌출부(12a)를 받아들이는 감합홈(24a)이 설치되어 있다.
규제부재(24)는 핀콘택트(21)의 암형 커넥터(1)의 용수철 콘택트(11)와 접촉하게 되는 면과는 반대측의 측면을 따라 설치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규제부재(24)는 핀콘택트(21)가 나란한 2열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규제부재(24)는 핀콘택트(21)에 근접하고 있다. 규제부재(24)에는 핀콘택트(21)의 하우징(22)으로부터의 돌출부분을 받아들이는 홈(24p)이 형성되어 있다. 핀콘택트(21)의 하우징(22)으로부터의 돌출부분 중 약 절반둘레 만큼이 홈(24p)에 둘러싸여 있다. 핀콘택트(21)는 홈(24p)에 배치됨으로써 열방향(Y)에서의 위치결정이 이루어진다. 규제부재(24)와 핀콘택트(21)와는 접해 있어도 좋으나 규제부재(24)와 핀콘택트(21)와의 사이에는 간극이 있어도 좋다. 다만, 이 간극은 핀콘택트(21)가 힘을 받아 기울어지려하면 바로 규제부재(24)와 접촉할 정도로 작다.
또한 규제부재(24)는 핀콘택트(21)가 봉지재(23)와 접하는 부분과의 접촉을 피한 형상을 갖는다. 구체적으로는 규제부재(24)는 관통공(22h) 및 봉지재(23)와의 접촉을 피한 형상을 갖는다. 보다 상세하게는 규제부재(24)에는 하우징(22)에 근접함에 따라 핀콘택트(21)에서 떨어진 사면(241)이 설치되어 있다. 이로 인해 설사 규제부재(24)의 대향방향(X)에서의 치수가 제조 시의 오차나 열팽창 등에 기인하여 2열로 나란한 핀콘택트(21)의 간격보다 커진 경우에도 핀콘택트(21)가 봉지재(23)와 접하는 뿌리부분에 큰 힘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봉지재(23)가 파손하는 사태가 억제된다.
[커넥터의 감합 상태]
도 2에 나타내는 암형 커넥터(1)와 수형 커넥터(2)가 감합하면, 암형 커넥터(1)의 돌출부(12a)가 수형 커넥터(2)의 규제부재(24)의 감합홈(24a)에 파고든다. 또한 용수철 콘택트(11)의 접촉부(11a)가 핀콘택트(21)의 측면과 접촉한다. 암현 커넥터(1)와 수형 커넥터(2)가 감합하는 때, 2열로 배열된 용수철 콘택트(11)는 대향방향(X)에서의 열의 외측에 탄성 변형하고, 탄성력에 의해 접촉부(11a)가 핀콘택트(21)의 측면에 밀어붙여진다. 이로 인해 접촉이 확실해진다. 한편 핀콘택트(21)는 용수철 콘택트(11)에서 규제부재(24)로 향하는 힘을 받는다. 다시 말하면 콘택트(11)는 핀콘택트(21)를 규제부재(24)에 밀어붙인다. 이에 대해 규제부재(24)는 용수철 콘택트(11)로부터의 힘에 대한 반대힘을 핀콘택트(21)에 줌으로써 핀콘택트(21)의 기울임을 규제한다. 규제부재(24)에는 사면(241)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규제부재(24)는 보다 상세하게는 핀콘택트의 봉지재(23)와 접촉한 뿌리부분보다 선단근처의 부분에 반대힘을 부여한다.
규제부재(24)에 의해 핀콘택트(21)의 기울임이 규제되기 때문에 핀콘택트(21)의 뿌리부분에 있는 봉지재(23)의 핀콘택트(21)에 의한 비틀림이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비틀림에 의한 봉지재(23)의 파손이나 박리가 억제되기 때문에 수형 커넥터(2)에서의 밀봉성 저하가 억제된다.
[제2실시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 제2실시형태의 설명에 있어서는 지금까지 설명해온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각 요소와 동일한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어 나타내고 전술한 실시형태와의 상이점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제2실시형태의 커넥터 조립체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또한 도 7은 도 6에 나타내는 수형 커넥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8은 수형 커넥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또한 도 9는 도 8에 나타내는 제2커넥터의 9-9단면도이다.
도 6에 나타내는 커넥터 조립체(A2)는 수형 커넥터(3)의 구성이 제1실시형태의 커넥터 조립체(A1)와 다르다. 그리고 도 6 내지도 9에 나타내는 수형 커넥터(3)는 규제부재(34)의 형상이 제1실시형태의 수형 커넥터(2)와 다르다.
제2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규제부재(34)는 핀콘택트(21)의 하우징(22)에서 돌출한 부분을 주위에서 둘러싼 형상을 갖는다. 보다 상세하게는 규제부재(34)는 핀콘택트(21)가 이루는 2개의 열의 외측에 확장된 확장부(342)를 갖는다. 확장부(342)의 감합방향(Z)에 있어서의 높이는 핀콘택트(21)가 이루는 2개의 열의 내측의 하우징부분의 높이보다 낮다. 이 때문에 핀콘택트(21)의 선단부의 측면은 확장부(342)의 위에서 외부로 노출하고 암형 커넥터(1)의 용수철 콘택트(11)와 접촉할 수 있다.
확장부(342)를 갖는 규제부재(34)에는 핀콘택트(21)가 삽입하는 개구(34h)가 설치되어 있다. 이 개구(34h)는 제1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설치된 홈(34p)에 이어진다. 핀콘택트(21)는 규제부재(34)의 개구(34h)에 삽통함으로써 규제부재(34)에 주위가 둘러싸여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수형 커넥터(3)는 예를 들면 핀콘택트(21)에 다른 물품이 부딪치는 등, 핀콘택트(21)에 예기치 못한 외측방향의 힘이 부여된 경우에도 핀콘택트(21)의 기울임이 규제된다. 따라서 봉지재(23)의 파손이나 박리가 억제되기 때문에 수형 커넥터(3)에서의 밀봉성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에는 본 발명에서 말하는 제2커넥터의 예로서, 상하대칭의 구조를 갖는 수형 커넥터(2, 3)가 도시되어 있다. 단, 본 발명의 제2커넥터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하우징의 일방의 측은 규제부재가 없고, 또는 핀콘택트의 선단도 예를 들면 납땜하기 위한 형상으로 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에는 본 발명에서 말하는 제1콘택트의 예로서 리프형 콘택트가 도시되어 있다. 단,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사행하듯이 구부러진 벨로즈형 콘택트라도 좋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에는 본 발명에서 말하는 콘택트 또는 제2콘택트의 예로서 원형봉의 핀콘택트(21)가 도시되어 있다. 단,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콘택트는 예를 들면 각봉이어도 좋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에는 본 발명에서 말하는 제1콘택트 및 제2콘택트의 예로서 2열로 배열된 콘택트가 도시되어 있다. 단,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콘택트는 1열로 배치된 것이어도 좋다. 또한 콘택트의 수는 13가닥이나 15가닥 이상이어도 좋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에는 본 발명에서 말하는 하우징의 예로서 금속재료로 형성된 판상의 하우징(22)이 도시되어 있다. 단,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하우징은 예를 들면 수지재료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고, 또한 콘택트를 둘러싸는 형상이어도 좋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에는 본 발명에서 말하는 봉지재의 예로서 관통공(22h) 내에 충진된 유리제의 봉지재(23)가 도시되어 있다. 단,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봉지재는 예를 들면 관통공의 밖에서 관통공을 덮듯이 콘택트의 주위를 휘감은 형상이어도 좋다. 또한 봉지재는 수지제도 좋다.
A1, A2 커넥터 조립체
1 암형 커넥터
2, 3 수형 커넥터
21 핀콘택트
22 하우징
22h 관통공
23 봉지재
24, 34 규제부재
24p 홈
241 사면
34h 개구
34p 홈
342 확장부

Claims (5)

  1. 상대 커넥터를 구성하는 상대 콘택트에 의한 측면으로의 접촉을 받는 봉상(棒狀)의 핀콘택트;
    표리(表裏)에 관통하여 상기 핀콘택트가 삽통되는 관통공이 설치되고, 상기 핀콘택트를 관통공에 삽통시켜 상기 핀콘택트를 표리 쌍방에 돌출시켜 이루어지는 하우징;
    상기 핀콘택트가 삽통한 상태에 있는 관통공을 밀봉하는 봉지재;
    상기 하우징의 표리 중 적어도 상대 커넥터와 감합하는 측에 고착되어 상기 핀콘택트의 측면에 따라 상대 콘택트에 의한 상기 핀콘택트의 측면으로의 접촉에 의해 상기 핀콘택트가 받는 힘에 대한 반대힘을 상기 핀콘택트에 부여함으로써 상기 핀콘택트의 기울임을 규제하는 규제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부재는 상기 관통공 및 상기 봉지재와의 접촉을 피해 상기 핀콘택트의 상기 하우징에서 돌출한 부분 중의 상기 봉지재와 접촉한 뿌리부분보다도 선단부 부분을 따라 상기 선단부 부분에 상기 반대힘을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부재는 상기 핀콘택트의 상기 하우징으로부터의 돌출부분을 받아들이는 홈이 형성되고, 상기 핀콘택트의 상기 돌출부분이 상기 홈 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부재가 상기 핀콘택트의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돌출한 부분을 주위로부터 둘러싼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5. 외팔보 용수철상의 용수철 콘택트를 갖는 제1커넥터;
    상기 제1커넥터와 감합하는 제2커넥터를 구비한 커넥터 조립체에서, 상기 제2커넥터가 상기 제1커넥터와의 감합에 의해 상기 용수철 콘택트로부터의 측면에 대한 접촉을 받는 봉상체의 핀콘택트;
    표리로 관통하여 상기 핀콘택트가 삽통되는 관통공이 설치되고, 상기 핀콘택트를 관통공에 삽통시켜 상기 핀콘택트를 표리 쌍방에 돌출시켜 이루어지는 하우징;
    상기 핀콘택트가 삽통한 상태에 있는 관통공을 밀봉하는 봉지재;
    상기 핀콘택트의 표리 중 적어도 상기 제1커넥터와 감합하는 측에 고착되어 상기 핀콘택트의 측면에 따라 상기 용수철 콘택트에 의한 상기 핀콘택트의 측면에 대한 접촉에 의해 상기 핀콘택트가 받는 힘에 대한 반대힘을 상기 핀콘택트에 부여함으로써 상기 핀콘택트의 기울임을 규제하는 규제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KR20120115939A 2011-10-19 2012-10-18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체 KR2013004307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229680 2011-10-19
JP2011229680A JP6091055B2 (ja) 2011-10-19 2011-10-19 コネクタおよびコネクタ組立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3075A true KR20130043075A (ko) 2013-04-29

Family

ID=470803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20115939A KR20130043075A (ko) 2011-10-19 2012-10-18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022803B2 (ko)
EP (1) EP2584660B1 (ko)
JP (1) JP6091055B2 (ko)
KR (1) KR20130043075A (ko)
CN (1) CN10306643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86656B2 (en) * 2015-12-17 2018-05-29 Nissan North America, Inc. Multi-receptacle housing assembly
JP6512210B2 (ja) * 2016-12-21 2019-05-15 第一精工株式会社 コネクタ装置
JP6943717B2 (ja) * 2017-10-04 2021-10-06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および電気コネクタ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41447A (en) 1974-11-29 1976-03-02 Eastman Kodak Company Camera flash socket
US4449776A (en) * 1982-09-13 1984-05-22 Pacific Electricord Company Electrical connector having opposed locking ramp members
US4669804A (en) * 1985-06-14 1987-06-02 Eagle Electric Mfg. Co., Inc. Wall-mountable wiring installation
JPH04100059U (ko) * 1991-02-08 1992-08-28
US5360945A (en) * 1991-05-01 1994-11-01 Raychem Corporation Cable seal
GB2268640B (en) * 1992-07-08 1996-05-15 Cliff Electron Components Ltd A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DE10117976A1 (de) * 2001-01-25 2002-08-22 Siemens Ag Einrichtung zur Durchführung von elektrischen Leitungen durch die Wandung eines Kraftstoffbehälters
JP2003179457A (ja) * 2001-12-11 2003-06-27 Nippon Dempa Kogyo Co Ltd 圧電振動子用の金属ベース
WO2008099570A1 (ja) * 2007-02-13 2008-08-21 Daishinku Corporation 圧電振動デバイス
US7651356B2 (en) * 2007-07-25 2010-01-26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Tamper-evident conn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178098A1 (en) 2013-07-11
US9022803B2 (en) 2015-05-05
EP2584660B1 (en) 2019-07-24
EP2584660A1 (en) 2013-04-24
CN103066439A (zh) 2013-04-24
JP2013089484A (ja) 2013-05-13
CN103066439B (zh) 2016-05-18
JP6091055B2 (ja) 2017-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24492B1 (en) Connector
US9590360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improved housing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8454397B2 (en) Anti-wicking terminal and connector
KR101646793B1 (ko) 커넥터 및 전자기기
KR101415443B1 (ko) 플러그 커넥터 소켓을 위한 접촉 스프링
US8956186B2 (en) Right angle header assembly
US9484676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latches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KR101529682B1 (ko) 조인트 커넥터
CA2945643A1 (en) Cable assembly, connect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cable assembly
JP5941515B2 (ja) コネクタ
JP2014170726A (ja) 電気コネクタ組立体及びそれに用いる電気コネクタ
US10622743B2 (en) Terminal module with a conductive obliquely wound coil spring held against an electrical contact member and connector having such a terminal module
WO2011142803A2 (en) Connector assembly for a photovoltaic module
JP2019102229A (ja) 電気コネクタ
US9039452B2 (en) Connecting device
KR20130043075A (ko)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체
US7556530B2 (en) Connector in which defectiv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a plurality of shell components is suppressed
JP3127884U (ja) 電気コネクタ
US7837512B1 (en) Audio jack connector
KR20050065332A (ko) 전기 커넥터 조립체
JP2008047417A (ja) 電気コネクター用端子及び該端子をそなえた電気コネクター
JP2010102831A (ja) 雄端子及びコネクタ
CN215989568U (zh) 电极帽及车载取电装置
KR101455175B1 (ko) 소켓 구조체
TWI452771B (zh) 電連接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