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41607A - 콘텐츠 공유를 위한 콘텐츠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콘텐츠 공유를 위한 콘텐츠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41607A
KR20130041607A KR1020110105975A KR20110105975A KR20130041607A KR 20130041607 A KR20130041607 A KR 20130041607A KR 1020110105975 A KR1020110105975 A KR 1020110105975A KR 20110105975 A KR20110105975 A KR 20110105975A KR 20130041607 A KR20130041607 A KR 201300416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information
indoor
gateway
us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59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82884B1 (ko
Inventor
윤사무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101059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2884B1/ko
Publication of KR201300416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16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28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28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07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12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describing content present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e.g. audio video cont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3Processing of data at an internetworking point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34Switching of information between an external network and a home net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ultimedia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DLNA의 원격 접속 기능을 이용하여, 각 개인 사용자 단말 간의 콘텐츠 공유를 지원하는 콘텐츠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홈네트워크 외부의 댁외 사용자의 단말에서 홈네트워크 내의 댁내 사용자의 콘텐츠를 공유함에 있어서, 별도의 서버에 공유하고자 하는 콘텐츠 자체를 업로드하지 않고, 콘텐츠의 메타 데이터 정보만을 전달받아, 각 사용자 단말에 저장된 콘텐츠에 접근할 수 있게 함으로써, 콘텐츠 공유를 위해 불필요한 콘텐츠 업로드를 막고 서버관리 비용을 낮출 수 있으며, 클라우드 기반의 실시간 콘텐츠 공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콘텐츠 공유를 위한 콘텐츠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bottleneck}
본 발명은, 콘텐츠 공유를 위한 콘텐츠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콘텐츠 공유를 위해 댁내 게이트웨이에 연결된 DLNA 기반의 댁내 콘텐츠 서버들에 저장된 콘텐츠들을 댁외의 사용자 단말 등에서도 제공받을 수 있도록 콘텐츠를 공유하기 위한 콘텐츠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UPnP(Universal Plug and Play) 표준은 분산 및 개방 네트워킹 구조를 기반으로, 홈 네트워크 내의 각 가전 제품들이 중앙 집중의 관리를 받지 않고 대신 피어투피어 (peer to peer) 네트워킹이 가능하도록 한다. UPnP 장치는 그 서비스를 액션과 상태변수로 모델링하고, UPnP 컨트롤 포인트(Control Point)는 UPnP 장치를 자동으로 탐색(discovery)한 후 그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UPnP 표준 중, 특히 댁내 UPnP 장치 간의 미디어 콘텐츠 공유를 위해 제정된 UPnP AV 아키텍쳐에 따르면, 댁내 단말은 미디어 콘텐츠를 저장하고 공급해주는 소스 역할을 담당하는 미디어 서버(Media Server)와, 미디어 콘텐츠를 플레이하는 미디어 렌더러(Media Renderer)와, 미디어 서버와 미디어 렌더러 간의 미디어 스트림을 제어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제공하는 콘트롤 포인트(Control Point)로 구분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홈 네트워크 상에서 미디어 서버에 저장된 콘텐츠를 콘트롤 포인트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조작을 통해 미디어 렌더러로 플레이 시킬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WI-FI 휴대단말을 콘트롤 포인트로 활용하여 미디어 서버인 PC에 저장된 동영상을 미디어 렌더러인 셋톱박스로 전송하여 TV를 통해 감상할 수 있게 된다.
UPnP 표준에 따르는 UPnP 디바이스 탐색은 홈 네트워크 내에서 IP 멀티캐스트를 이용하여 분산 및 개방 네트워킹 방식으로 일어난다. 그러나 현재 IP 멀티캐스트 서비스가 인터넷 범위에서 정상적으로 이루어짐을 보장할 수 없으므로, 결과적으로 UPnP 디바이스 탐색을 통해 얻은 정보를 이용하는 UPnP 디바이스의 제어는 인터넷을 통하는 경우에는 가능하지 않게 된다. 즉, 홈 네트워크와 물리적으로 떨어진 경우, 홈 네트워크와는 인터넷을 통하여 연결될 수 밖에 없는데, 그것이 불가능하므로, 홈 네트워크와 떨어진 곳에서는 홈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UPnP 장치를 제어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UPnP 장치 또는 컨트롤 포인트 장치가 물리적으로 홈 네트워크로부터 떨어져 있는 경우에도, 마치 물리적으로 동일 네트워크 내에 존재하는 것처럼 동작할 수누가 있도록 하기 위해, UPnP RA(Remote Access) 아키텍처가 제안되었다. UPnP RA 아키텍처는 홈 네트워크 내에 존재하는 RAS(Remote Access Server) 장치와 원격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RAC(Remote Access Client) 장치를 정의하고 있다.
UPnP RA 아키텍처는 댁외에 위치한 RAC(Remote Access Client)가 댁내에 위치한 RAS(Remote Access Server)로의 접속을 통해 댁내에 위치한 UPnP 장치들의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DLNA는 UPnP 기반의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댁내의 기기 간 별도의 설정 없이 저장되어 있는 콘텐츠들을 용이하게 공유할 수 있는 통신 규격으로, 최근에는 이러한 UPnP RA 아키텍처를 통한 원격 접속을 지원하기 위해 원격 접속 기능이 추가되어 확장된 상태이다.
최근 개인 사용자에 의해 생성된 콘텐츠(UCC, User-Created Contents)가 각광을 받고 있으나, 이러한 개인 사용자가 생성한 콘텐츠를 다른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해서는 콘텐츠를 저장하여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에 업로드하는 별도의 과정을 거쳐야 한다는 단점이 있었다.
IT기술의 발달로 유/무선 통신의 대역폭이 증가하고, 데스크톱 PC 뿐만 아니라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과 같이 콘텐츠의 생성 및 저장/제공이 가능한 IT기기들의 보급률이 급증하고 있는 상황에서, 이러한 별도의 업로드 과정 없이, 각 개인 사용자의 IT 기기에서 개인 사용자에 의해 생성된 콘텐츠를 다른 사용자에게 직접 제공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본 발명에서는 DLNA의 확장된 원격 접속 기능을 이용하여, 각 개인 사용자 단말 간의 콘텐츠 공유를 지원하는 콘텐츠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첨부된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콘텐츠 공유를 위한 콘텐츠 정보 제공 장치는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댁내 게이트웨이로부터 댁내 게이트웨이에 연결된 댁내 콘텐츠 서버들의 정보를 수신하여, 수신된 정보를 기초로 댁내 게이트웨이 및 댁내 콘텐츠 서버들의 현재 활성화 여부를 포함하는 프레젠스 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원격접속관리부; 및 원격접속관리부로부터 제공된 프레젠스 정보를 기초로 현재 활성화된 댁내 콘텐츠 서버에서 제공가능한 콘텐츠들의 정보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고, 제공가능한 콘텐츠들 중에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선택된 콘텐츠에 대응되는 댁내 게이트웨이의 정보를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하여 사용자 단말에서 댁내 게이트웨이를 통해 선택된 콘텐츠를 전송받을 수 있게 하는 콘텐츠관리부를 포함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댁내 콘텐츠 서버들은 홈네트워크에 접속한 사용자 단말 내에 구비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원격접속관리부는 댁내 게이트웨이로부터 댁내 게이트웨이의 네트워크 주소 및 현재 동작 중인 댁내 콘텐츠 서버들의 정보 중 일부가 변경될 때마다 변경된 정보를 수신하여, 수신된 정보를 기초로 프레젠스 정보를 실시간으로 생성하여 콘텐츠관리부에 제공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콘텐츠관리부는 댁내 콘텐츠 서버 각각에서 제공가능한 콘텐츠들의 메타 데이터 정보를 저장하는 콘텐츠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메타 데이터 정보는 콘텐츠를 저장하는 댁내 콘텐츠 서버의 식별정보, 댁내 콘텐츠 서버에 연결된 댁내 게이트웨이의 식별정보 및 콘텐츠의 식별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사용자 단말은 선택된 콘텐츠에 대응되는 댁내 게이트웨이의 식별 정보 및 선택된 콘텐츠의 식별 정보를 기초로 DLNA 원격 접속 기능을 통해 댁내 게이트웨이로부터 선택된 콘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콘텐츠관리부는 현재 활성화된 댁내 콘텐츠 서버에서 제공가능한 콘텐츠들에 대응되는 댁내 게이트웨이의 네트워크 주소를 기초로 결정된 콘텐츠들의 위치 정보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콘텐츠 공유를 위한 콘텐츠 정보 제공 방법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댁내 게이트웨이로부터 댁내 게이트웨이에 연결된 댁내 콘텐츠 서버들의 정보를 수신하는 댁내서버정보수신단계; 댁내 게이트웨이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기초로 댁내 게이트웨이 및 댁내 콘텐츠 서버들의 현재 활성화 여부를 포함하는 프레젠스 정보를 생성하는 프레젠스정보생성단계; 프레젠스 정보를 기초로 현재 활성화된 댁내 콘텐츠 서버에서 제공가능한 콘텐츠들의 정보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제공가능한 콘텐츠들 중에서 선택된 콘텐츠에 대한 요청을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요청된 콘텐츠에 대응되는 댁내 게이트웨이의 정보를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하여, 사용자 단말에서 댁내 게이트웨이를 통해 요청된 콘텐츠를 전송받을 수 있게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댁내서버정보수신단계는 세션으로 연결된 댁내 게이트웨이로부터 댁내 게이트웨이의 네트워크 주소 및 현재 동작 중인 댁내 콘텐츠 서버들의 정보 중 일부가 변경될 때마다 변경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프레젠스정보 생성단계는 댁내 게이트웨이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기초로 프레젠스 정보를 실시간으로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DLNA의 원격 접속 기능을 이용하여, 홈네트워크 외부의 댁외 사용자의 단말에서 홈네트워크 내의 댁내 사용자의 콘텐츠를 공유함에 있어서, 별도의 서버에 공유하고자 하는 콘텐츠 자체를 업로드하지 않고, 콘텐츠의 메타 데이터 정보만을 전달받아, 각 사용자 단말에 저장된 콘텐츠에 접근할 수 있게 함으로써, 콘텐츠 공유를 위해 불필요한 콘텐츠 업로드를 막고 서버관리 비용을 낮출 수 있으며, 클라우드 기반의 실시간 콘텐츠 공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공유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정보 제공 장치에서 콘텐츠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에 의해 콘텐츠가 업로드되는 과정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에서 콘텐츠가 재생되는 과정을 예시한 도면이다.
이하의 내용은 단지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한다. 그러므로 당업자는 비록 본 명세서에 명확히 설명되거나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고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에 포함된 다양한 장치를 발명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열거된 모든 조건부 용어 및 실시예들은 원칙적으로, 본 발명의 개념이 이해되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명백히 의도되고, 이와 같이 특별히 열거된 실시예들 및 상태들에 제한적이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원리, 관점 및 실시예들 뿐만 아니라 특정 실시예를 열거하는 모든 상세한 설명은 이러한 사항의 구조적 및 기능적 균등물을 포함하도록 의도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이러한 균등물들은 현재 공지된 균등물뿐만 아니라 장래에 개발될 균등물 즉 구조와 무관하게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발명된 모든 소자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프로세서 또는 이와 유사한 개념으로 표시된 기능 블럭을 포함하는 도면에 도시된 다양한 소자의 기능은 전용 하드웨어뿐만 아니라 적절한 소프트웨어와 관련하여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능력을 가진 하드웨어의 사용으로 제공될 수 있다.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될 때, 기능은 단일 전용 프로세서, 단일 공유 프로세서 또는 복수의 개별적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될 수 있고, 이들 중 일부는 공유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 제어 또는 이와 유사한 개념으로 제시되는 용어의 사용은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능력을 가진 하드웨어를 배타적으로 인용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제한 없이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하드웨어, 소프트웨어를 저장하기 위한 롬(ROM), 램(RAM) 및 비휘발성 메모리를 암시적으로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주지 관용의 다른 하드웨어도 포함될 수 있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더욱 분명해 질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거나 간략하게 설명하는 것으로 한다.
한편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공유 시스템(100)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공유 시스템(100)은 댁내 게이트웨이(110), 댁내 콘텐츠 서버들(120) 및 콘텐츠 정보 제공 장치(130)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댁내 콘텐츠 서버들(120)은 댁내의 홈네트워크에 접속한 UPnP 장치들로서, 스마트폰, 노트북, 데스크톱 PC, 태블릿 PC 등 콘텐츠의 생성 및 저장/제공이 가능한 사용자 단말 내부에 DNLA 기반의 서버 모듈의 형태로 설치되어 구현될 수 있다.
댁내 게이트웨이(110)는 이러한 댁내 콘텐츠 서버들(120)과 홈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댁내 콘텐츠 서버들(120)이 포함된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를 인증하거나, 댁내 콘텐츠 서버들(120)의 정보 및 활성화 상태를 관리하고, 외부로부터 댁내 콘텐츠 서버들(120)에 저장된 콘텐츠들의 전송 요청이 있을 경우에, 댁내 콘텐츠 서버들(120)에 저장된 콘텐츠를 중계하여 제공한다.
댁내 게이트웨이(110)에서 홈네트워크로 연결된 댁내 콘텐츠 서버들의 정보를 모니터링하는 방법으로는 DLNA 규격의 SSDP 메시지를 이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댁내 게이트웨이(110)는 UPnP RA 아키텍처의 Remote Access Agent(RAA)의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콘텐츠 정보 제공 장치(130)는 댁내 게이트웨이(110)와 인터넷 기타 IP 망을 통해 연결되어, 댁내 게이트웨이(110)에 연결된 댁내 콘텐츠 서버들(120)에 저장된 콘텐츠 중 현재 제공 가능한 콘텐츠들의 정보를 사용자 단말(140)에 제공하고, 현재 제공 가능한 콘텐츠들 중에서 사용자 단말(140)에 의해 선택된 콘텐츠를 전송받을 수 있는 정보를 사용자 단말(140)에게 제공하는 구성요소로, 원격접속관리부(131) 및 콘텐츠관리부(132)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원격접속관리부(131)는 댁내 게이트웨이(110)로부터 댁내 게이트웨이의 홈 네트워크에 현재 접속 중인 댁내 콘텐츠 서버들(120)의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기초로 기초로 댁내 게이트웨이 및 댁내 콘텐츠 서버들의 현재 활성화 여부를 포함하는 프레젠스 정보를 생성하여 콘텐츠관리부(132)에 제공한다.
예컨대, 원격접속관리부(131)는 댁내 게이트웨이(110)로부터 댁내 게이트웨이(110)의 네트워크 주소 및 현재 동작 중인 댁내 콘텐츠 서버들의 정보 중 일부가 변경될 때마다 변경 정보를 수신하여, 수신된 변경 정보를 기초로 프레젠스 정보를 실시간으로 생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원격접속관리부(131)는 UPnP RA 아키텍처의 Remote Access Server(RAS)의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콘텐츠관리부(132)는 원격접속관리부(131)로부터 제공된 프레젠스 정보를 기초로 현재 활성화된 댁내 콘텐츠 서버에서 제공가능한 콘텐츠들을 선별하여 선별된 제공가능한 콘텐츠들의 정보를 사용자 단말(140)에 제공한다.
제공가능한 콘텐츠들을 선별한 후, 이들의 정보 즉, 콘텐츠들의 메타데이터정보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기 위해, 콘텐츠관리부(132)는 댁내 콘텐츠 서버(131) 각각에서 제공가능한 콘텐츠들의 메타 데이터 정보를 미리 저장하고 있는 콘텐츠 데이터베이스(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에서 메타 데이터 정보에는 사용자가 선택한 특정 콘텐츠를 다운받을 수 있도록 콘텐츠를 저장하는 장소 및 해당 콘텐츠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 예컨대, 해당 콘텐츠를 저장하는 댁내 콘텐츠 서버의 식별정보, 해당 댁내 콘텐츠 서버에 연결된 댁내 게이트웨이의 식별정보 및 해당 콘텐츠의 식별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콘텐츠관리부(132)는 선별된 제공가능한 콘텐츠들 중에서 사용자 단말(140)의 사용자에게 선택된 콘텐츠에 대응되는 댁내 게이트웨이의 정보를 사용자 단말(140)에게 제공한다.
이처럼 사용자가 선택한 콘텐츠에 대응되는 댁내 게이트웨이의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 단말에서 댁내 게이트웨이를 통해 선택된 콘텐츠를 전송받을 수 있게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 단말은 콘텐츠관리부(132)를 통해 제공받은 정보 중에서 선택된 콘텐츠에 대응되는 댁내 게이트웨이의 식별 정보(ID 또는 주소) 및 선택된 콘텐츠의 식별 정보(로컬 URI) 등을 기초로 DLNA 규격의 원격 접속 기능을 이용하여 댁내 게이트웨이로부터 선택된 콘텐츠를 제공받는 것을 전제로 하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 단말에서 댁내 게이트웨이를 통해 댁내 콘텐츠 서버에 저장되는 콘텐츠를 다운받는 구체적인 과정을 한정하지는 않는다.
도 1에서 도시된 콘텐츠 정보 제공 장치(130)에서는 하나의 원격접속관리부(131)만을 포함하도록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며, 원격접속관리부(131)가 둘 이상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정보 제공 장치(130)는 GIS 모듈(13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GIS 모듈(133)은 현재 활성화된 댁내 콘텐츠 서버에서 제공가능한 콘텐츠들의 정보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함에 있어서, 댁내 게이트웨이의 네트워크 주소와 기저장된 GIS 데이터를 매핑시킨 결과에 따라, 콘텐츠들의 위치 정보를 생성하여, 이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이러한 콘텐츠들의 위치 정보를 전자 지도의 형태로 디스플레이하여 제공할 수도 있을 것이다.
아울러, 본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정보 제공 장치(130)는 사용자가 직접 접속할 수 있는 웹 인터페이스(미도시)를 구비하여, 별도의 사용자 단말이 아닌 웹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의 선택을 받거나 콘텐츠 정보를 제공하도록 구현할 수 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를 한정하지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정보 제공 장치에서 콘텐츠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정보 제공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콘텐츠 정보 제공 장치(130)에서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 도 1에 도시된 콘텐츠 정보 제공 장치(130)에 관한 설명에서와 동일한 사항에 대해서는 이를 참조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댁내 게이트웨이로부터 댁내 게이트웨이의 홈네트워크에 접속 중인 댁내 콘텐츠 서버들의 정보를 수신한다(S201).
S201 단계에서 댁내 게이트웨이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기초로, 댁내 게이트웨이 및 댁내 콘텐츠 서버들의 현재 활성화 여부를 포함하는 프레젠스 정보를 생성한다(S202).
S201 단계에서, 댁내 게이트웨이로부터 댁내 게이트웨이의 네트워크 주소 및 현재 동작 중인 댁내 콘텐츠 서버들의 정보 중 일부가 변경될 때마다 변경된 정보를 수신하고, S201 단계에서 수신된 정보를 바탕으로 프레젠스 정보를 실시간으로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S202 단계에서 생성된 프레젠스 정보를 기초로 현재 활성화된 댁내 콘텐츠 서버에서 제공가능한 콘텐츠들의 정보를 제공한다(S203).
그리고, 제공가능한 콘텐츠들 중에서 사용자에게 선택된 콘텐츠에 대한 요청을 수신한다(S204).
S204 단계를 통해 요청된 콘텐츠에 대응되는 댁내 게이트웨이의 정보를 제공함(S205)으로써,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 또는 웹 인터페이스 등을 통해 댁내 게이트웨이를 통해 요청된 콘텐츠를 전송받을 수 있게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에 의해 콘텐츠가 업로드되는 과정을 예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댁내 게이트웨이(310), 원격접속관리서버(320) 및 콘텐츠관리서버(330)는 도 1에 도시된 댁내 게이트웨이(110), 원격접속관리부(131) 및 콘텐츠관리부(132)에 대응된다. 따라서, 이하에서, 도 1에 도시된 콘텐츠 공유 시스템(100)에 관한 설명에서와 동일한 사항에 대해서는 이를 참조한다.
먼저, 홈네트워크의 댁내 게이트웨이(310)는 인터넷을 통해 원격접속관리서버(320)에 접속하여, 댁내 게이트웨이(310)의 사용자 ID 및 패스워드를 통해 사용자 인증을 받는 로그인 과정을 수행한다(S301).
S301 단계에서 사용자 인증을 완료한 댁내 게이트웨이는 홈네트워크를 통해 현재 접속 중인 댁내의 DLNA 호환 콘텐츠 서버를 인식하여, 이들의 정보와 댁내 게이트웨이 자신의 네트워크 주소를 원격접속관리서버(320)로 전송한다(S302).
원격접속관리서버(320)는 S302 단계에서 수신한 정보를 기초로 댁내 게이트웨이 및 하위의 댁내 DLNA 호환 콘텐츠 서버들의 프레젠스 정보를 전송한다(S303).
현재 홈네트워크에 개인 단말(340)을 통해 접속 중인 댁내의 사용자는 자신이 공유를 원하는 콘텐츠의 메타 데이터 정보 즉, 해당 콘텐츠(사용자가 등록하고자 하는 콘텐츠)를 저장하는 댁내 콘텐츠 서버의 식별정보(ID), 댁내 콘텐츠 서버에 연결된 댁내 게이트웨이의 식별정보(사용자 ID), 콘텐츠의 식별정보(로컬 URI) 등을 콘텐츠관리서버(330)에 등록한다(S304).
이때, 댁내의 사용자는 자신이 공유를 원하는 콘텐츠를 탐색함에 있어서, DLNA 규격의 CDS Browsing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아울러, 댁내의 사용자는 개인 단말(340)을 통해 해당 콘텐츠의 메타 데이터 정보로, 기본적인 콘텐츠에 대한 설명이나 검색 키워드, 태그 등을 직접 작성하여 입력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에서 콘텐츠가 재생되는 과정을 예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댁내 게이트웨이(410), 원격접속관리서버(420) 및 콘텐츠관리서버(430)는 도 1에 도시된 댁내 게이트웨이(110), 원격접속관리부(131) 및 콘텐츠관리부(132)에 대응된다. 따라서, 이하에서, 도 1에 도시된 콘텐츠 공유 시스템(100)에 관한 설명에서와 동일한 사항에 대해서는 이를 참조한다.
먼저, 홈네트워크의 댁내 게이트웨이(410)는 인터넷을 통해 원격접속관리서버(420)에 접속하여, 댁내 게이트웨이(410)의 사용자 ID 및 패스워드를 통해 사용자 인증을 받는 로그인 과정을 수행한다(S401).
S401 단계에서 사용자 인증을 완료한 댁내 게이트웨이(410)는 홈네트워크를 통해 현재 접속 중인 댁내의 DLNA 호환 콘텐츠 서버를 인식하여, 이들의 정보와 댁내 게이트웨이 자신의 네트워크 주소를 원격접속관리서버(420)로 전송한다(S402).
이때, 댁내 게이트웨이(410)에서 DLNA 규격의 SSDP 메시지를 이용하여 현재 접속 중인 댁내의 DLNA 호환 콘텐츠 서버를 인식할 수 있다. 또한, DLNA 규격의 원격 접속 기능이 off 되거나, 댁내 게이트웨이(410)의 전체 동작이 중지되지 않는 한, 댁내 게이트웨이(410)는 원격접속관리서버(320)와의 네트워크을 통한 통신 세션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원격접속관리서버(320)는 S302 단계에서 수신한 정보를 기초로 댁내 게이트웨이 및 하위의 댁내 DLNA 호환 콘텐츠 서버들의 프레젠스 정보를 생성하여 이를 콘텐츠관리서버(330)에 전송한다(S403).
홈 네트워크 외부의 댁외 사용자가 개인 단말을 통해 콘텐츠관리서버(430) 상에서 콘텐츠의 검색 또는 탐색을 시도하면(S404), 콘텐츠관리서버(430)는 S403 단계를 통해 수신된 프레젠스 정보를 기초로 현재 콘텐츠 제공 가능한 댁내의 게이트웨이 및 하위의 댁내의 DLNA 호환 콘텐츠 서버들을 선별하여, 댁내의 사용자에 의해 기등록된 콘텐츠 중에서 현재 콘텐츠 제공 가능한 DLNA 호환 콘텐츠 서버에 저장된 콘텐츠만을 표출한다(S405).
댁외 사용자는 개인단말(440)을 통해 S405 단계에서 표출된 콘텐츠 중에 특정 콘텐츠를 선택하여, 이를 콘텐츠관리서버(430)에 요청한다(S406).
콘텐츠관리서버(430)는 S406 단계에서 댁외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콘텐츠의 메타 데이터 정보 예컨대, 해당 콘텐츠에 대응되는 댁내 게이트웨이의 사용자 ID, 해당 콘텐츠가 저장된 댁내 DLNA 호환 콘텐츠 서버의 ID, 해당 콘텐츠가 저장된 로컬 URI 등의 정보를 전송한다(S407).
댁외 사용자의 개인 단말(440)는 S407 단계를 통해 수신된 콘텐츠의 메타 데이터 정보 중에서 댁내 게이트웨이의 사용자 ID 정보를 이용하여 원격접속관리서버(420)에 해당 콘텐츠에 대응되는 댁내 게이트웨이의 네트워크 주소를 요청하여(408), 이를 제공받는다(S409).
그리고, 해당 댁내 게이트웨이로 댁외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콘텐츠를 요청하고(S410), S410 단계에서의 요청을 수신한 댁내 게이트웨이가 선택된 콘텐츠를 저장하고 있는 하위의 댁내 DLNA 호환 콘텐츠 서버로부터 콘텐츠를 전송받아 이를 댁외 사용자의 개인단말(440)로 포워딩(S411)함으로써, 댁외 사용자의 개인단말(440)에서 댁내 사용자가 등록한 콘텐츠를 공유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댁내 DLNA 호환 콘텐츠 서버는 댁내 게이트웨이의 홈네트워크에 연결된 댁내 사용자의 개인 단말 상에서 모듈의 형태로 설치되어 동작하는 것을 전제로 하며, 댁외 사용자의 개인 단말(440)에는 DLNA 규격의 원격 접속 기능을 이용할 수 있는 DLNA 클라이언트 모듈이 설치되어 동작하는 것을 전제로 한다. 이때, DLNA 클라이언트 모듈은 DLNA 규격의 DMP(Digital Media Player)의 장치 클래스의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DLNA의 원격 접속 기능을 이용하여, 홈네트워크 외부의 댁외 사용자의 단말에서 홈네트워크 내의 댁내 사용자의 콘텐츠를 공유함에 있어서, 별도의 서버에 공유하고자 하는 콘텐츠 자체를 업로드하지 않고, 콘텐츠의 메타 데이터 정보만을 전달받아, 각 사용자 단말에 저장된 콘텐츠에 접근할 수 있게 함으로써, 콘텐츠 공유를 위해 불필요한 콘텐츠 업로드를 막고 서버관리 비용을 낮출 수 있으며, 클라우드 기반의 실시간 콘텐츠 공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공유 방법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장치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케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장치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댁내 게이트웨이로부터 상기 댁내 게이트웨이에 홈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댁내 콘텐츠 서버들의 정보를 수신하여, 수신된 정보를 기초로 상기 댁내 게이트웨이 및 상기 댁내 콘텐츠 서버들의 현재 활성화 여부를 포함하는 프레젠스 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원격접속관리서버; 및
    상기 원격접속관리서버로부터 제공된 프레젠스 정보를 기초로 현재 활성화된 댁내 콘텐츠 서버에서 제공가능한 콘텐츠들의 정보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고, 상기 제공가능한 콘텐츠들 중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에게 선택된 콘텐츠에 대응되는 댁내 게이트웨이의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댁내 게이트웨이를 통해 상기 선택된 콘텐츠를 전송받을 수 있게 하는 콘텐츠관리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공유를 위한 콘텐츠 정보 제공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댁내 콘텐츠 서버들은 상기 홈네트워크에 접속한 사용자 단말 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공유를 위한 콘텐츠 정보 제공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접속관리서버는 상기 댁내 게이트웨이로부터 댁내 게이트웨이의 네트워크 주소 및 현재 동작 중인 댁내 콘텐츠 서버들의 정보 중 일부가 변경될 때마다 상기 변경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수신된 정보를 기초로 상기 프레젠스 정보를 실시간으로 생성하여 상기 콘텐츠 관리 서버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공유를 위한 콘텐츠 정보 제공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관리서버는 상기 댁내 콘텐츠 서버 각각에서 제공가능한 콘텐츠들의 메타 데이터 정보를 저장하는 콘텐츠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공유를 위한 콘텐츠 정보 제공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 데이터 정보는 상기 콘텐츠를 저장하는 댁내 콘텐츠 서버의 식별정보, 상기 댁내 콘텐츠 서버에 연결된 댁내 게이트웨이의 식별정보 및 상기 콘텐츠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공유를 위한 콘텐츠 정보 제공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선택된 콘텐츠에 대응되는 댁내 게이트웨이의 식별 정보 및 상기 선택된 콘텐츠의 식별 정보를 기초로 DLNA 원격 접속 기능을 통해 상기 댁내 게이트웨이로부터 상기 선택된 콘텐츠를 제공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공유를 위한 콘텐츠 정보 제공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관리서버는 현재 활성화된 댁내 콘텐츠 서버에서 제공가능한 콘텐츠들에 대응되는 댁내 게이트웨이의 네트워크 주소를 기초로 결정된 콘텐츠들의 위치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공유를 위한 콘텐츠 정보 제공 장치.
  8.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댁내 게이트웨이로부터 상기 댁내 게이트웨이에 연결된 댁내 콘텐츠 서버들의 정보를 수신하는 댁내서버정보수신단계;
    상기 댁내 게이트웨이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기초로 상기 댁내 게이트웨이 및 상기 댁내 콘텐츠 서버들의 현재 활성화 여부를 포함하는 프레젠스 정보를 생성하는 프레젠스정보생성단계;
    상기 프레젠스 정보를 기초로 현재 활성화된 댁내 콘텐츠 서버에서 제공가능한 콘텐츠들의 정보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공가능한 콘텐츠들 중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에게 선택된 콘텐츠에 대한 요청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요청된 콘텐츠에 대응되는 댁내 게이트웨이의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댁내 게이트웨이를 통해 상기 요청된 콘텐츠를 전송받을 수 있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공유를 위한 콘텐츠 정보 제공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댁내서버정보수신단계는 상기 댁내 게이트웨이로부터 댁내 게이트웨이의 네트워크 주소 및 현재 동작 중인 댁내 콘텐츠 서버들의 정보 중 일부가 변경될 때마다 상기 변경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공유를 위한 콘텐츠 정보 제공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젠스정보 생성단계는 상기 댁내 게이트웨이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기초로 상기 프레젠스 정보를 실시간으로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공유를 위한 콘텐츠 정보 제공 방법.
KR1020110105975A 2011-10-17 2011-10-17 콘텐츠 공유를 위한 콘텐츠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17828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5975A KR101782884B1 (ko) 2011-10-17 2011-10-17 콘텐츠 공유를 위한 콘텐츠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5975A KR101782884B1 (ko) 2011-10-17 2011-10-17 콘텐츠 공유를 위한 콘텐츠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1607A true KR20130041607A (ko) 2013-04-25
KR101782884B1 KR101782884B1 (ko) 2017-09-28

Family

ID=484407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5975A KR101782884B1 (ko) 2011-10-17 2011-10-17 콘텐츠 공유를 위한 콘텐츠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288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4303A (ko) 2014-10-15 2016-04-25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로컬서버용 저장장치
US9710661B2 (en) 2013-12-16 2017-07-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Presence-based content sharing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3866B1 (ko) * 2010-03-15 2011-08-03 주식회사 인스프리트 Dlna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dlna 디바이스의 제어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10661B2 (en) 2013-12-16 2017-07-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Presence-based content sharing
KR20160044303A (ko) 2014-10-15 2016-04-25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로컬서버용 저장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2884B1 (ko) 2017-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9544B1 (ko) 범용 웹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홈 네트워크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KR100789425B1 (ko) 디.엘.엔.에이 네트워크를 이용한 컨텐츠 공유 방법
US9116893B2 (en) Network connected media gateway for communication networks
US885685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network-connected device in one peer network from an infrared device connected to another peer network using TCP/IP and infrared signals
US9137292B2 (en) Remote management of DLNA system
KR101253725B1 (ko) 클라우드 서비스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클라우드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EP284074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service of home network device based on remote access
BRPI0714116A2 (pt) mapeamento de itens descobertos por conexão e execução universal em uma localização de smb
US20150026302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EP2560404A2 (en)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ng method of the same
Lo et al. A remote control and media-sharing system using smart devices
JP5142216B2 (ja) ホームネットワーク内の端末から広域ネットワークへコンテンツを送信するコンテンツ送信方法及びシステム
JP2010004344A (ja) リモートアクセスを行う方法、装置、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KR101782884B1 (ko) 콘텐츠 공유를 위한 콘텐츠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Carlson et al. An ad-hoc smart gateway platform for the web of things
US9503274B2 (en) System facilitating user access to content stored or exposed on connected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s
KR20120112523A (ko) 전자기기 및 전자기기의 동작 방법
KR101329668B1 (ko) 푸쉬 서버를 이용한 콘텐츠 공유 시스템 및 방법
JP5224387B2 (ja) コンテンツ共有システム、コンテンツ制御装置、コンテンツ共有方法及びコンテンツ共有プログラム
Yu et al. A remote control and media sharing system based on DLNA/UPnP technology for smart Home
KR20080000310A (ko) 홈네트워크 간의 정보 공유 시스템 및 정보 공유 방법,그리고 정보 공유 생성 방법
US9591350B2 (en) Sharing web application program guide content items over home networks
EP3404892B1 (en) Method of transferring audiovisual data and corresponding device
KR100665436B1 (ko) 홈네트워크를 통한 파일 서버 관리 방법
KR20100117396A (ko) 홈 네트워크에서 콘텐츠 재생 방법 및 장치와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