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41215A - Light-scattering film,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light-scattering polarizing plate, and liquid-crystal display device - Google Patents

Light-scattering film,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light-scattering polarizing plate, and liquid-crystal display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41215A
KR20130041215A KR1020137003970A KR20137003970A KR20130041215A KR 20130041215 A KR20130041215 A KR 20130041215A KR 1020137003970 A KR1020137003970 A KR 1020137003970A KR 20137003970 A KR20137003970 A KR 20137003970A KR 20130041215 A KR20130041215 A KR 201300412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film
diffusion
liquid crystal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397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779239B1 (en
Inventor
야스히로 하바
옥형 김
도모노리 미야모토
아키요시 가네미츠
Original Assignee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5530057&utm_sourc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30041215(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412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121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92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923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0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 G02B5/0236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within the volume of the element
    • G02B5/024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within the volume of the element by means of dispersed particl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04Diffusing, scattering, diffract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6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characterised by the placement of the optical elements
    • G02F1/133562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characterised by the placement of the optical elements on the viewer side

Abstract

양호한 정면 휘도를 나타내는 동시에, 도트 인식이 방지된 액정 표시 장치를 얻을 수 있는, 액정 셀의 전면측에 배치되는 광확산 필름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양태는, 도광판(721) 및 도광판(721)의 측방에 배치되는 광원(722)을 구비하는 엣지라이트형 면광원(702)과, 엣지라이트형 면광원(702)의 전면측에 배치되는 액정 셀(701)과, 액정 셀(701)의 전면측에 배치되는 전면측 편광판(706)을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전면측 편광판(706)의 전면측에 배치되는 광확산 필름으로서, 기재 필름(101)과, 기재 필름(101) 상에 적층된 투광성 수지(103) 및 이 투광성 수지(103) 중에 분산된 투광성 미립자(104)를 함유하는 광확산층(102)을 가지며, 암부 및 명부의 폭이 0.125 mm, 0.5 mm, 1.0 mm 및 2.0 mm인 4 종류의 광학 빗을 통하여 측정되는 투과 선명도의 합이 50% 이상 300% 이하인 광확산 필름이다.Provided is a light-diffusion film disposed on the front side of a liquid crystal cell that exhibits good front luminance and can provide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 which dot recognition is prevented.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dge light type surface light source 702 including a light guide plate 721 and a light source 722 disposed on the side of the light guide plate 721, and an edge light type surface light source 702 on the front surface side thereof. The light-diffusion film arrange | positioned at the front side of the front side polarizing plate 706 in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aining the liquid crystal cell 701 arrange | positioned and the front side polarizing plate 706 arrange | positioned at the front side of the liquid crystal cell 701. As an example, there is provided a light diffusion layer 102 containing a base film 101, a light transmitting resin 103 laminated on the base film 101, and light transmitting fine particles 104 dispersed in the light transmitting resin 103. And a light-diffusion film having a sum of transmission clarity of 50% or more and 300% or less, measured through four types of optical combs having a width of 0.125 mm, 0.5 mm, 1.0 mm, and 2.0 mm.

Description

광확산 필름 및 그의 제조 방법, 광확산성 편광판 및 액정 표시 장치{LIGHT-SCATTERING FILM,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LIGHT-SCATTERING POLARIZING PLATE, AND LIQUID-CRYSTAL DISPLAY DEVICE}LIGHT-SCATTERING FILM,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LIGHT-SCATTERING POLARIZING PLATE, AND LIQUID-CRYSTAL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광확산 필름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광확산 필름을 이용한 광확산성 편광판 및 액정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ght diffusing film and a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Moreover, this invention relates to the light-diffusion 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hich used the said light-diffusion film.

최근, 액정 표시 장치는 휴대전화, 퍼스널컴퓨터용 모니터, 텔레비전, 액정 프로젝터 등으로의 용도 전개가 급속히 진행되고 있으며, 이러한 급속한 용도 전개를 배경으로, 한층 더한 고휘도화, 빛 이용 효율의 향상에 의한 저소비전력화 및 박형화가 요구되게 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액정 표시 장치는 직하형 또는 엣지라이트형 면광원과, 확산 시트와, 배면측 편광판, 액정 셀 및 전면(시인)측 편광판으로 이루어지는 액정 패널을 포함하며, 이들이 상기한 순으로 배치된 구조를 갖는다. 면광원 상에 배치되는 상기 확산 시트는 면광원으로부터의 빛을 균일하게 확산시키는 동시에, 빛의 출사 각도를 컨트롤하여 액정 표시 장치의 정면 휘도(정면 방향의 휘도)를 향상시키는 기능을 갖는 광학 부재이다. Background Art In recent years,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s have been rapidly developed for use in mobile phones, personal computer monitors, televisions, liquid crystal projectors, and the like. Against the backdrop of these rapid developments, further high brightness and low light consumption have been achieved. Power and thinning are required. In general,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cludes a liquid crystal panel including a direct type or edge light type surface light source, a diffusion sheet, a back side polarizing plate, a liquid crystal cell, and a front side (viewing) side polarizing plate, and the structure in which they are arranged in the above order. Have The diffusion sheet disposed on the surface light source is an optical member having a function of uniformly diffusing the light from the surface light source and controlling the emission angle of the light to improve the front luminance (the luminance in the front direction)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

엣지라이트형 면광원은 백색 잉크 등에 의해 광확산용의 도트 인쇄 패턴이 배면측(후술하는 반사 시트측)에 형성된 도광판과, 도광판의 측방에 배치된 광원을 구비하고, 또한 통상은 도광판의 배면측에 배치된 반사 시트를 구비한 구성을 갖고 있다. 그 때문에, 엣지라이트형 면광원은 면광원의 박형화, 나아가서는 액정 표시 장치의 박형화의 관점에서 유리한 면광원이다. The edge light type surface light source includes a light guide plate having a dot printing pattern for light diffusion by a white ink or the like on the back side (reflective sheet side described later), and a light source disposed on the side of the light guide plate, and usually on the back side of the light guide plate. It has the structure provided with the reflective sheet arrange | positioned at. Therefore, the edge light type surface light source is an advantageous surface light source from the viewpoint of thinning of the surface light source and further thinning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그러나, 엣지라이트형 면광원을 이용한 종래의 액정 표시 장치에서는, 그 정면 휘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확산 시트의 광확산성을 저감시키면, 액정 표시 장치의 화면을 관찰했을 때에, 액정 패널을 통하여 도광판에 인쇄된 하얀 점이 지각되는 상태, 소위 「도트 인식(dots recognition)」이 생겨, 정면 휘도의 향상과 도트 인식의 방지를 양립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However, in the conventional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the edge light type surface light source, if the light diffusivity of the diffusion sheet is reduced in order to improve the front brightness, it is printed on the light guide plate through the liquid crystal panel when the screen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s observed. The so-called "dots recognition" arises in the state in which the white dot which was made is perceived, and there existed a problem that the improvement of front brightness and prevention of dot recognition were not compatible.

상기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엣지라이트형의 면광원 상에 배치되는 확산 시트로서, 예컨대 특허문헌 1(일본 특허공개 평8-220311호 공보)에는, 열가소성 수지 시트의 표리면에, 그 열가소성 수지 시트에 대하여 소정의 굴절율차를 갖는 비드를 함유하는 비드층이 형성되고, 또한 각 층의 두께가 소정 범위로 제어된 확산 시트(특허문헌 1에서는 「광확산 시트」라고 불리고 있음)가 제안되어 있다. 특허문헌 2(일본 특허공개 평8-146417호 공보)에는, 열가소성 수지 중에 섬유형상물을 평행하게 분산 배치한 층과, 열가소성 수지 중에 비드형 확산제를 분산 배치한 층과의 적층 구조로 이루어지는 확산 시트(특허문헌 2에서는 「광확산 시트」라고 불리고 있음)가 제안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3(일본 특허공개 2009-103943호 공보)에는, 특정 확산 시트를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도광판의 배면에 형성되는 도트 중, 광원 근방부의 도트의 백색도를 특정 조건식을 만족하도록 조정함으로써 도트 인식을 저감시킬 수 있다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As a diffusion sheet disposed on an edge light type surface light source capable of solving the above problems, for example, Patent Document 1 (Japanese Patent Laid-Open No. 8-220311) discloses a thermoplastic resin sheet on the front and back surfaces of a thermoplastic resin sheet. On the other hand, a bead layer containing a bead having a predetermined refractive index difference is formed, and a thickness of each layer is controlled in a predetermined range (patent document 1 is referred to as "light diffusion sheet"). Patent document 2 (Japanese Patent Laid-Open No. 8-146417) discloses a diffusion sheet composed of a laminated structure of a layer in which a fibrous substance is dispersed in parallel in a thermoplastic resin and a layer in which a bead-type diffusion agent is dispersed in a thermoplastic resin. (In patent document 2, it is called "light-diffusion sheet"). In addition, in Patent Document 3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9-103943), instead of using a specific diffusion sheet, the dot is formed by adjusting the whiteness of the dot in the vicinity of the light source in the dot form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light guide plate so as to satisfy the specific conditional expression. It is described that recognition can be reduced.

그러나, 특허문헌 1 및 2에 기재된 확산 시트는 특수한 구성을 갖는 것으로, 생산 효율이나 생산 비용의 면에서 보더라도 유리하다고는 말할 수 없다. 또한, 특허문헌 3이 제안하는 특정한 조건식을 만족하도록 도트의 백색도를 조정하는 수법도 생산 효율이나 생산 비용의 면에서 유리하다고는 말할 수 없다.However, the diffusion sheets described in Patent Documents 1 and 2 have a special configuration and cannot be said to be advantageous even in view of production efficiency and production cost. In addition, the method of adjusting the whiteness of a dot so that the specific conditional formula proposed by patent document 3 may not be said to be advantageous in terms of production efficiency or production cost.

특허문헌 1: 일본 특허공개 평8-220311호 공보Patent Document 1: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Hei 8-220311 특허문헌 2: 일본 특허공개 평8-146417호 공보Patent Document 2: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8-146417 특허문헌 3: 일본 특허공개 2009-103943호 공보Patent Document 3: 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2009-103943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기술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확산 시트나 도광판 등의 백라이트측 부재를 개량하는 것이 아니라, 액정 셀의 전면(시인)측에 배치하는 광확산 필름의 개량에 의해, 정면 휘도의 향상과 도트 인식 방지의 양립을 도모하고자 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목적은, 확산 시트나 도광판 등의 백라이트측 부재로서 특수한 구성의 것을 이용하지 않고 일반적인 구성의 것을 이용하는 경우라도, 혹은 백라이트측의 확산 시트를 생략한 경우라도, 양호한 정면 휘도를 나타내는 동시에, 도트 인식이 방지된 액정 표시 장치를 얻을 수 있는, 액정 셀의 전면측에 배치되는 광확산 필름 및 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광확산 필름을 이용한 광확산성 편광판 및 액정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This invention is made | formed in view of the said prior art, and does not improve backlight side members, such as a diffusion sheet and a light-guide plate, but improves the light-diffusion film arrange | positioned at the front surface (viewing) side of a liquid crystal cell, This aims to achieve both improvement and prevention of dot recognition. That is,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exhibits good front luminance even when a general structure is used without using a special structure as a backlight side member such as a diffusion sheet or a light guide plate, or when the diffusion sheet on the backlight side is omitted. At the same time, there is provided a light diffusion film disposed on the front side of a liquid crystal cell and a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which can provide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 which dot recognition is prevented.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ight diffusing polarizing plate and a liquid crystal display using the light diffusing film.

본 발명은 도광판 및 도광판의 측방에 배치되는 광원을 구비하는 엣지라이트형 면광원과, 엣지라이트형 면광원의 전면측에 배치되는 액정 셀과, 액정 셀의 전면측에 배치되는 전면측 편광판을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상기 전면측 편광판의 전면측에 배치하기 위한 광확산 필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광확산 필름은, 기재 필름과, 기재 필름 상에 적층된 투광성 수지 및 이 투광성 수지 중에 분산된 투광성 미립자를 함유하는 광확산층을 가지며, 암부 및 명부의 폭이 0.125 mm, 0.5 mm, 1.0 mm 및 2.0 mm인 4 종류의 광학 빗을 통하여 측정되는 투과 선명도의 합이 50% 이상 30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이하, 「제1 광확산 필름」이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음). 상기 투과 선명도의 합은 바람직하게는 70% 이상 250% 이하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dge light type surface light source including a light guide plate and a light source disposed on the side of the light guide plate, a liquid crystal cell disposed on the front side of the edge light type light source, and a front side polarizer disposed on the front side of the liquid crystal cell. It relates to the light-diffusion film for arrange | positioning on the front side of the said front side polarizing plate in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The light-diffusion film of this invention has a base film, the light-diffusion layer containing the translucent resin laminated | stacked on the base film, and the translucent microparticles | fine-particles disperse | distributed in this translucent resin, and the width | variety of a dark part and a roll is 0.125 mm, 0.5 mm, 1.0 The sum of the transmission clarity measured through four types of optical combs, which are mm and 2.0 mm, is 50% or more and 300% or less (hereinafter, referred to as "first light diffusing film"). The sum of the transmission clarities is preferably 70% or more and 250% or less.

본 발명의 광확산 필름은, 그 광확산층의 기재 필름과는 반대측 표면의 중심선 평균 거칠기(Ra)가 바람직하게는 0.2 ㎛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 이하이다. 또한, 광확산층의 층 두께는 투광성 미립자의 중량 평균 입경에 대하여 1배 이상 3배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광확산 필름은 광확산층 상에 적층된 반사 방지층을 더 구비하고 있더라도 좋다. As for the light-diffusion film of this invention, center line average roughness Ra of the surface on the opposite side to the base film of this light-diffusion layer becomes like this. Preferably it is 0.2 micrometer or less, More preferably, it is 0.1 micrometer or less. Moreover, it is preferable that the layer thickness of a light-diffusion layer is 1 times or more and 3 times or less with respect to the weight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ranslucent microparticles | fine-particles. The light diffusing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antireflection layer laminated on the light diffusing layer.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광확산층 중에 함유되는 투광성 미립자는 1 종류의 중량 평균 입경의 입자인 것일 수 있고, 2 종류 이상의 중량 평균 입경의 입자를 함유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에 있어서, 상기 광확산층 중에 함유되는 투광성 미립자는 중량 평균 입경이 0.5 ㎛ 이상 6.0 ㎛ 미만인 1종 또는 2종 이상의 제1 투광성 미립자와, 중량 평균 입경이 6.0 ㎛ 이상 15.0 ㎛ 이하인 1종 또는 2종 이상의 제2 투광성 미립자를 포함하고, 상기 광확산층에 있어서의 상기 투광성 미립자의 함유량은 상기 투광성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22 중량부 이상 60 중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ight-transmitting fine particles contained in the light diffusing layer may be particles of one kind of weight average particle size, or may contain particles of two or more kinds of weight average particle diameters. In the latter case, the light-transmitting fine particles contained in the light diffusing layer include one or two or more types of first light-transmitting fine particles having a weight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0.5 µm or more and less than 6.0 µm, and one type having a weight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6.0 µm or more and 15.0 µm or less, or It is preferable that 2 or more types of 2nd translucent microparticles | fine-particles are included, and content of the said translucent microparticles | fine-particles in the said light-diffusion layer is 22 weight part or more and 60 weight part or less with respect to 100 weight part of said translucent resins.

또한 본 발명의 다른 광확산 필름은, 도광판 및 상기 도광판의 측방에 배치되는 광원을 구비하는 엣지라이트형 면광원과, 상기 엣지라이트형 면광원의 전면측에 배치되는 액정 셀과, 상기 액정 셀의 전면측에 배치되는 전면측 편광판을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상기 전면측 편광판의 전면측에 배치되는 광확산 필름으로서, 기재 필름과, 상기 기재 필름 상에 적층된 투광성 수지 및 이 투광성 수지 중에 분산된 투광성 미립자를 함유하는 광확산층을 가지며, 상기 투광성 미립자는 중량 평균 입경이 0.5 ㎛ 이상 6.0 ㎛ 미만인 1종 또는 2종 이상의 제1 투광성 미립자와, 중량 평균 입경이 6.0 ㎛ 이상 15.0 ㎛ 이하인 1종 또는 2종 이상의 제2 투광성 미립자를 포함하고, 상기 광확산층에 있어서의 상기 투광성 미립자의 함유량은 상기 투광성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22 중량부 이상 60 중량부 이하이다(이하, 「제2 광확산 필름」이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음). 그리고 이 광확산 필름은 그 광확산층의 기재 필름과는 반대측 표면의 중심선 평균 거칠기(Ra)가 바람직하게는 0.2 ㎛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 이하이다. 또한, 광확산층의 층 두께는 제2 투광성 미립자의 중량 평균 입경에 대하여 1배 이상 3배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광확산 필름은 광확산층 상에 적층된 반사 방지층을 더 구비하고 있더라도 좋다. Another light diffusing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dge light type surface light source including a light guide plate and a light source disposed on the side of the light guide plate, a liquid crystal cell disposed on the front side of the edge light type light source, and a liquid crystal cell. As a light-diffusion film arrange | positioned at the front side of the said front side polarizing plate in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aining the front side polarizing plate arrange | positioned at the front side, In a base film, translucent resin laminated | stacked on the said base film, and this translucent resin It has a light-diffusion layer containing dispersed light-transmitting microparticles | fine-particles, The said light-transmitting microparticles | fine-particles are the 1 type (s) or 2 or more types of 1st translucent microparticles | fine-particles whose weight average particle diameters are 0.5 micrometer or more and less than 6.0 micrometers, and 1 type whose weight average particle diameters are 6.0 micrometers or more and 15.0 micrometers or less Or 2 or more types of 2nd light-transmitting microparticles | fine-particles, Content of the said light-transmitting microparticles | fine-particles in the said light-diffusion layer is said light-transmissive resin 100 It is 22 weight part or more and 60 weight part or less with respect to a weight part (it may describe as a "2nd light-diffusion film" hereafter). And as for this light-diffusion film, center line average roughness Ra of the surface on the opposite side to the base film of the light-diffusion layer becomes like this. Preferably it is 0.2 micrometer or less, More preferably, it is 0.1 micrometer or less. Moreover, it is preferable that the layer thickness of a light-diffusion layer is 1 times or more and 3 times or less with respect to the weight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a 2nd transparent particle | grains. The light diffusing film may further include an antireflection layer laminated on the light diffusing layer.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광확산 필름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은, 투광성 미립자가 분산된 수지액을 기재 필름 상에 도포하는 공정과, 상기 수지액으로 형성된 층의 표면에 금형의 경면 또는 요철면을 전사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방법이다.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method for producing the light diffusion film.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is invention is a method including the process of apply | coating the resin liquid in which translucent microparticles | fine-particles were disperse | distributed on the base film, and the process of transferring the mirror surface or uneven surface of a metal mold | die to the surface of the layer formed from the said resin liquid.

또한 본 발명은, 적어도 편광 필름을 갖는 편광판과, 상기 본 발명의 광확산 필름을 구비하고, 광확산 필름이, 기재 필름측이 상기 편광판에 대향하도록 상기 편광판 상에 적층되어 있는 광확산성 편광판을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른 광확산성 편광판에 있어서, 편광판을 구성하는 편광 필름과 광확산 필름은 접착제층을 통해 접합되어 있다. Moreover, this invention is provided with the polarizing plate which has a polarizing film at least, and the light-diffusion film of the said invention, The light-diffusion film is a light-diffusion film laminated | stacked on the said polarizing plate so that a base film side may face the said polarizing plate. to provide. In the light-diffusion polarizing plate which concerns on preferable embodiment, the polarizing film and light-diffusion film which comprise a polarizing plate are bonded through the adhesive bond layer.

또한 본 발명은, 도광판 및 도광판의 측방에 배치되는 광원을 구비하는 엣지라이트형 면광원과, 엣지라이트형 면광원의 전면측에 배치되는 액정 셀과, 액정 셀의 전면측에 배치되는 전면측 편광판과, 전면측 편광판의 전면측에 배치되는 상기 본 발명의 광확산 필름을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도광판은 그 배면측에 형성된 도트 패턴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n edge light type surface light source including a light guide plate and a light source disposed on the side of the light guide plate, a liquid crystal cell disposed on the front side of the edge light type light source, and a front side polarizer disposed on the front side of the liquid crystal cell. And a light diffusing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disposed on the front side of the front side polarizing plate. It is preferable that the said light guide plate has a dot pattern formed in the back side.

본 발명의 액정 표시 장치는 엣지라이트형 면광원과 액정 셀 사이에 배치되는 광편향 수단을 더 구비하고 있더라도 좋고, 또한, 광편향 수단과 액정 셀 사이에 배치되는 배면측 편광판을 더 구비하고 있더라도 좋다.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optical deflection means disposed between the edge light type surface light source and the liquid crystal cell, and may further include a back side polarizing plate disposed between the optical deflection means and the liquid crystal cell. .

광편향 수단은 1장 이상의 프리즘 필름을 포함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광편향 수단은 배면측 편광판에 대향하는 표면에 선형 프리즘을 복수 갖는 프리즘 필름을 2장 포함하는 것이다. 이 경우, 한쪽의 프리즘 필름은 그 선형 프리즘의 능선 방향이 배면측 편광판의 투과축에 대하여 대략 평행하게 되도록 배치되고, 다른 쪽의 프리즘 필름은 그 선형 프리즘의 능선 방향이 전면측 편광판의 투과축에 대하여 대략 평행하게 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light deflecting means may include at least one prism film. In one preferred embodiment, the light deflection means includes two prism films each having a plurality of linear prisms on a surface of the rear polarizer. In this case, one prism film is arranged so that the ridge direction of the linear prism i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transmission axis of the back side polarizing plate, and the other prism film has the ridge direction of the linear prism at the transmission axis of the front side polarizing plate. It is preferably arranged to be approximately parallel with respect.

본 발명의 액정 표시 장치는 엣지라이트형 면광원과 액정 셀과의 사이에 배치되는 광확산 수단을 더 구비할 수 있다.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light diffusing means disposed between the edge light type surface light source and the liquid crystal cell.

본 발명에 따르면, 엣지라이트형 면광원을 탑재한 액정 표시 장치에 적용했을 때에, 양호한 정면 휘도를 얻을 수 있는 동시에, 도트 인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도트 은폐성이 높은, 액정 셀의 전면측에 배치되는 광확산 필름과 그의 제조 방법 및 광확산성 편광판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광확산 필름 또는 광확산성 편광판을 적용한 액정 표시 장치는 양호한 정면 휘도와 도트 인식 방지가 양립되고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pplied to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equipped with an edge light type surface light source, it is possible to obtain good front luminance and at the front side of a liquid crystal cell having high dot concealability which can effectively prevent dot recognition. The light-diffusion film arrange | positioned, its manufacturing method, and a light-diffusion polarizing plate can be provided.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to which the light diffusing film or light diffusing polarizing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has both good front brightness and prevention of dot recognition.

도 1은 본 발명의 광확산 필름의 바람직한 일례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광확산 필름의 다른 바람직한 일례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광확산 필름의 다른 바람직한 일례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광확산 필름의 다른 바람직한 일례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광확산 필름의 다른 바람직한 일례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광확산 필름의 다른 바람직한 일례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광확산 필름을 제조하기 위한 장치의 일례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광확산성 편광판의 바람직한 일례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광확산성 편광판의 다른 바람직한 일례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광확산성 편광판의 다른 바람직한 일례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광확산성 편광판의 다른 바람직한 일례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광확산성 편광판의 다른 바람직한 일례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광확산성 편광판의 다른 바람직한 일례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광확산성 편광판의 다른 바람직한 일례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광확산성 편광판의 다른 바람직한 일례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광확산성 편광판의 다른 바람직한 일례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광확산성 편광판의 다른 바람직한 일례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광확산성 편광판의 다른 바람직한 일례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광확산성 편광판의 다른 바람직한 일례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광확산성 편광판의 다른 바람직한 일례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액정 표시 장치의 바람직한 일례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22는 프리즘 필름이 갖는 선형 프리즘의 능선 방향과 편광판의 투과축 방향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사시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액정 표시 장치의 다른 바람직한 일례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액정 표시 장치의 다른 바람직한 일례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액정 표시 장치의 다른 바람직한 일례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액정 표시 장치의 다른 바람직한 일례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It is a schematic sectional drawing which shows a preferable example of the light-diffusion film of this invention.
It is a schematic sectional drawing which shows another preferable example of the light-diffusion film of this invention.
It is a schematic sectional drawing which shows another preferable example of the light-diffusion film of this invention.
It is a schematic sectional drawing which shows another preferable example of the light-diffusion film of this invention.
It is a schematic sectional drawing which shows another preferable example of the light-diffusion film of this invention.
It is a schematic sectional drawing which shows another preferable example of the light-diffusion film of this invention.
7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 example of an apparatus for producing the light diffusing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referable example of the light diffusing polarizing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preferred example of the light diffusing polarizing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preferred example of the light diffusing polarizing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schematic sectional drawing which shows another preferable example of the light-diffusion polarizing plate of this invention.
It is a schematic sectional drawing which shows another preferable example of the light-diffusion polarizing plate of this invention.
It is a schematic sectional drawing which shows another preferable example of the light-diffusion polarizing plate of this invention.
14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preferred example of the light diffusing polarizing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preferred example of the light diffusing polarizing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schematic sectional drawing which shows another preferable example of the light-diffusion polarizing plate of this invention.
It is a schematic sectional drawing which shows another preferable example of the light-diffusion polarizing plate of this invention.
18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preferred example of the light diffusing polarizing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schematic sectional drawing which shows another preferable example of the light-diffusion polarizing plate of this invention.
It is a schematic sectional drawing which shows another preferable example of the light-diffusion polarizing plate of this invention.
It is a schematic sectional drawing which shows a preferable example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of this invention.
It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for demonstr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idgeline direction of the linear prism which a prism film has, and the transmission axis direction of a polarizing plate.
It is a schematic sectional drawing which shows another preferable example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of this invention.
24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preferred example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of the present invention.
25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preferred example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schematic sectional drawing which shows another preferable example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of this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은 하기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this invention is demonstrat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drawings. However,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form.

<제1 광확산 필름>  <First Light Diffusion Film>

제1 광확산 필름은 엣지라이트형 면광원을 탑재한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액정 셀의 전면(시인)측(즉, 액정 표시 장치가 구비하는 전면측 편광판의 전면측)에 배치되는 광확산성을 갖는 필름이며, 정면 휘도 향상 능력 및 도트 인식 방지 능력이 우수하다. 도 1 및 도 2는 각각 본 발명의 광확산 필름의 바람직한 예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도 1 및 도 2에 도시되는 광확산 필름(100, 200)은 기재 필름(101)과 기재 필름(101) 상에 적층된 광확산층(102)을 구비한다. 광확산층(102)은 투광성 수지(103)를 기재로 하는 층이며, 투광성 수지(103) 중에 투광성 미립자(104)가 분산되어 이루어진다. 제1 광확산 필름은, 광확산층(102)의 표면(기재 필름(101)과는 반대측의 표면)이 도 1에 도시되는 예와 같이 평탄면으로 구성되어 있더라도 좋고, 혹은 도 2에 도시되는 예와 같이 요철면으로 구성되어 있더라도 좋다. 평탄면 또는 요철면의 어느 것이라도 광확산층(102) 표면의 중심선 평균 거칠기(Ra)는 0.2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제1 광확산 필름에 관해서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The first light diffusing film is disposed on the front (viewing) side of the liquid crystal cell (that is, the front side of the front side polarizing plate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equipped with the edge light type light source. It has a film which is excellent in the front brightness improvement ability and the dot recognition prevention ability. 1 and 2 are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s each showing preferred examples of the light diffusing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1 and 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e film 101 and a light diffusion layer 102 laminated on the base film 101. The light-diffusing layer 102 is a layer based on the light-transmissive resin 103, and the light-transmitting fine particles 104 are dispersed in the light-transmitting resin 103. In the first light diffusing film, the surface of the light diffusing layer 102 (the surface opposite to the base film 101) may be configured with a flat surface as in the example shown in FIG. 1, or the example shown in FIG. 2. It may be composed of an uneven surface as shown. It is preferable that the center line average roughness Ra of the surface of the light-diffusion layer 102 is 0.2 micrometer or less in any of a flat surface or an uneven surface. Hereinafter, the first light diffusing film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제1 광확산 필름의 광학 특성][Optical Properties of First Light Diffusion Film]

(1) 투과 선명도(1) transmission clarity

제1 광확산 필름은 암부 및 명부의 폭이 0.125 mm, 0.5 mm, 1.0 mm 및 2.0 mm인 4 종류의 광학 빗을 통하여 측정되는 투과 선명도의 합(이하, 단순히 「투과 선명도」라고 함)이 50% 이상 300% 이하이다. 광확산 필름의 투과 선명도가 범위 내이면, 정면 휘도 향상과 도트 인식 방지의 양립을 도모할 수 있다. 「암부 및 명부의 폭이 0.125 mm, 0.5 mm, 1.0 mm 및 2.0 mm인 4 종류의 광학 빗을 통하여 측정되는 투과 선명도의 합」이란, JIS K 7105에 준거하여, 암부와 명부의 폭의 비가 1:1이고, 그 폭이 0.125 mm, 0.5 mm, 1.0 mm 및 2.0 mm인 4 종류의 광학 빗을 이용하여 측정되는 투과 선명도(상선명도)의 합(합계치)이다. 따라서, 여기서 말하는 「투과 선명도」의 최대치는 400%가 된다. The first light-diffusion film has 50% of the sum of transmission clarity (hereinafter simply referred to as `` transmission clarity '') measured through four types of optical combs having a width of 0.125 mm, 0.5 mm, 1.0 mm and 2.0 mm in the dark part and the roll. 300% or less. If the transmission clarity of a light-diffusion film is in a range, both front brightness improvement and dot recognition prevention can be aimed at. The sum of the transmission clarity measured through four types of optical combs having the width of the dark portion and the roll of 0.125 mm, 0.5 mm, 1.0 mm, and 2.0 mm is a ratio of the width of the dark portion and the width of 1 in accordance with JIS K 7105. It is 1 and the sum (total value) of transmission clarity (image sharpness) measured using four types of optical combs whose widths are 0.125 mm, 0.5 mm, 1.0 mm and 2.0 mm. Therefore, the maximum value of "transmission sharpness" here is 400%.

광확산 필름의 투과 선명도가 50% 미만인 경우, 광산란이 지나치게 강하기 때문에, 광확산 필름을 액정 표시 장치에 적용했을 때에, 액정 표시 장치의 정면 방향의 빛이 광확산층에 의해 지나치게 산란되어 버리는 등의 원인에 의해 정면 휘도가 저하되고, 이에 따라 화상 흐려짐(image blur)이 발생하는 등의 표시 품위의 저하가 생긴다. 또한, 투과 선명도가 300%를 넘는 경우는 충분한 도트 은폐성을 얻을 수 없다. 광확산 필름의 투과 선명도는 정면 휘도 향상과 도트 인식 방지를 보다 높은 수준으로 양립시킨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70% 이상 250%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90% 이상 230% 이하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100% 이상 200% 이하이다. In the case where the transmission clarity of the light diffusion film is less than 50%, light scattering is too strong, and when the light diffusion film is applied to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ight in the front direction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s scattered excessively by the light diffusion layer. As a result, the front luminance is lowered, which causes a decrease in display quality such as image blur. In addition, when the transmission clarity exceeds 300%, sufficient dot concealment cannot be obtained. The transmission clarity of the light diffusion film is preferably 70% or more and 250% or less, more preferably 90% or more and 230% or less, particularly preferably from the viewpoint of achieving a higher level of front brightness enhancement and preventing dot recognition. It is 100% or more and 200% or less.

투과 선명도의 측정은 광학적으로 투명한 점착제를 이용하여 광확산 필름을 그 기재 필름(101)측에서 유리 기판에 접합한 측정용 샘플에 대해서 행한다. 이에 따라, 측정시에 있어서의 광확산 필름의 휘어짐을 방지하여, 측정 재현성을 높일 수 있다. 측정 장치로서는 JIS K 7105에 준거한 사상성 측정기(예컨대, 스가시켄키 가부시키가이샤 제조의 「ICM-1DP」)를 이용할 수 있다. The measurement of transmission sharpness is performed about the sample for a measurement which bonded the light-diffusion film to the glass substrate at the base film 101 side using the optically transparent adhesive. Thereby, the curvature of the light-diffusion film at the time of a measurement can be prevented, and measurement reproducibility can be improved. As a measuring apparatus, a filamentous measuring instrument (for example, "ICM-1DP" manufactured by Sugashi Kenki Co., Ltd.) according to JIS K 7105 can be used.

(2) 헤이즈(haze)(2) haze

제1 광확산 필름은 헤이즈가 30% 이상 7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50% 이상 65%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헤이즈가 30% 미만인 경우, 헤이즈가 상기 범위 내인 경우와 비교하여 도트 은폐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또한, 헤이즈가 70%를 넘는 경우, 광산란이 지나치게 강하여, 헤이즈가 상기 범위 내인 경우와 비교하여 정면 휘도가 저하되고, 이에 따라 화상 흐려짐이 발생하는 등의 표시 품위의 저하가 생기는 경향이 있다. 또한, 헤이즈가 70%를 넘는 경우는 광확산 필름의 투명성이 손상되는 경향이 있다. It is preferable that haze is 30% or more and 70% or less, and, as for a 1st light-diffusion film,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y are 50% or more and 65% or less. When haze is less than 30%, there exists a tendency for dot concealability to fall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haze exists in the said range. In addition, when the haze exceeds 70%, the light scattering is too strong, and the front luminance decreases as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the haze falls within the above range, whereby there is a tendency that the display quality such as image blurring occurs. In addition, when haze exceeds 70%, the transparency of a light-diffusion film tends to be impaired.

여기서, 「헤이즈」란, 광확산 필름에 빛을 조사하여 투과한 광선의 전량을 나타내는 전광선 투과율(Tt)과, 광확산 필름에 의해 확산되어 투과한 확산 광선 투과율(Td)의 비로부터 하기 식 (1): Here, "haze" means the following formula (the ratio of the total light transmittance (Tt) which shows the total amount of the light transmitted by irradiating light to a light-diffusion film, and the diffused light transmittance (Td) which spread and transmitted by the light-diffusion film). One):

전체 헤이즈(%)=(Td/Tt)×100 (1)Total haze (%) = (Td / Tt) × 100 (1)

에 의해 구해지는 전체 헤이즈이다. 전광선 투과율(Tt)은 입사광과 동축 그대로 투과한 평행 광선 투과율(Tp)과 확산 광선 투과율(Td)의 합이다. 전광선 투과율(Tt) 및 확산 광선 투과율(Td)은 JIS K 7361 및 JIS K 7136에 준거하여 측정되는 값이다. The total haze obtained by The total light transmittance Tt is the sum of the parallel light transmittance Tp and the diffuse light transmittance Td transmitted coaxially with the incident light. Total light transmittance Tt and diffused light transmittance Td are the values measured based on JISK7361 and JISK7136.

광확산 필름의 헤이즈는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은 식으로 측정된다. 즉, 광확산 필름의 휘어짐을 방지하기 위해서, 광학적으로 투명한 점착제를 이용하여 광확산 필름을 광확산층(102)이 표면이 되도록 기재 필름(101)측을 유리 기판에 접합하여 측정용 샘플을 제작한다. 이 측정용 샘플에 대해서, JIS K 7136에 준거한 헤이즈 투과율계(예컨대, 가부시키가이샤 무라카미시키사이기쥬츠겐큐쇼 제조의 헤이즈미터「HM-150」)를 이용하여, JIS K 7361 및 JIS K 7136에 준거하여 전광선 투과율(Tt) 및 확산 광선 투과율(Td)을 측정하여 상기 식 (1)에 의해서 헤이즈를 산출한다. The haze of a light-diffusion film is specifically, measured by the following formula. That is, in order to prevent curvature of a light-diffusion film, the sample film for a measurement is produced by bonding the light-diffusion film to the glass substrate so that the light-diffusion layer 102 may become a surface using an optically transparent adhesive. . About the sample for measurement, it used JISK7361 and JISK7136 using the haze transmittance | permeability meter (for example, haze meter "HM-150" by Murakamishiki Saigi Jutsugenkyusho Co., Ltd.) according to JISK7136. Based on that, the total light transmittance Tt and the diffused light transmittance Td are measured, and the haze is calculated by the above formula (1).

[제1 광확산 필름의 표면 형상][Surface Shape of First Light Diffusion Film]

제1 광확산 필름에 있어서, 광확산층(102) 표면(기재 필름(101)과는 반대측의 표면)의 JIS B 0601에 따른 중심선 평균 거칠기(Ra)는 0.2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1 ㎛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광확산층(102) 표면의 중심선 평균 거칠기(Ra)가 0.2 ㎛를 넘는 경우, 광확산 필름을 액정 표시 장치에 적용했을 때에, 광확산층(102)의 표면 난반사에 의해 특히 명소에서 화면 전체가 흰빛을 띤 것처럼 느껴지는 소위 「백화(whitening)」가 현저하게 되는 경향이 있다. JIS B 0601에 따른 중심선 평균 거칠기(Ra)란, 거칠기 곡선으로부터 그 평균선의 방향으로 기준 길이 L(엘)만을 뽑아내고, 이 뽑아내는 부분의 평균선의 방향에 x축을, 세로 배율 방향에 y 축을 잡아, 거칠기 곡선을 y=f(x)로 나타냈을 때에, 하기 식 (2):In the first light diffusing film, the center line average roughness Ra according to JIS B 0601 of the light diffusing layer 102 surface (the surface opposite to the base film 101) is preferably 0.2 μm or less, preferably 0.1 μm or less. More preferred. When the center line average roughness Ra of the surface of the light diffusing layer 102 exceeds 0.2 μm, when the light diffusing film is applied to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the entire surface of the screen may appear white at a spot due to the surface diffuse reflection of the light diffusing layer 102. The so-called "whitening" which feels like it tends to become remarkable. The center line average roughness Ra according to JIS B 0601 is to extract only the reference length L (L) from the roughness curve in the direction of the average line, and to hold the x axis in the direction of the average line of the extracted part and the y axis in the vertical magnification direction. When the roughness curve is represented by y = f (x), the following equation (2):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1

에 의해서 구해지는 값을 마이크로미터(㎛) 단위로 나타낸 것을 말한다. 중심선 평균 거칠기(Ra)는 JIS B 0601에 준거한 공초점 간섭 현미경(예컨대, 가부시키가이샤 옵티컬솔루션사 제조의 「PLμ2300」)을 이용하여 상기 계산식 (2)에 기초하여 Ra를 계산할 수 있는 프로그램 소프트에 의해 산출할 수 있다. The value calculated by is expressed in micrometers (µm). The center line average roughness Ra is a program software that can calculate Ra based on the above formula (2) using a confocal interference microscope (for example, "PLμ2300" manufactured by Optical Solutions, Inc.) in accordance with JIS B 0601. It can calculate by

이어서, 상기와 같은 광학 특성 및 표면 형상을 갖는 제1 광확산 필름의 구성에 관해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Next, the structure of the 1st light-diffusion film which has the above optical characteristics and surface shape is demonstrated more concretely.

[기재 필름][Base film]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기재 필름(101)은 투광성의 것이면 되며, 예컨대 유리나 플라스틱 필름 등을 이용할 수 있다. 플라스틱 필름으로서는 적절한 투명성, 기계적 강도를 갖는 것이면 되며, 구체적으로는 TAC(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기재 필름(101)의 두께는 예컨대 10~500 ㎛이며, 바람직하게는 20~300 ㎛이다. The base film 101 used by this invention should just be translucent, For example, glass, a plastic film, etc. can be used. What is necessary is just to have suitable transparency and mechanical strength as a plastic film, Specifically, Cellulose acetate type resins, such as TAC (triacetyl cellulose); Acrylic resin; Polycarbonate resins; Polyester-based resins such as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olefin resin, such as polyethylene and a polypropylene, etc. are mentioned. The thickness of the base film 101 is 10-500 micrometers, for example, Preferably it is 20-300 micrometers.

[광확산층][Light Diffusion Layer]

제1 광확산 필름은 기재 필름(101) 상에 적층된 광확산층(102)을 구비한다. 광확산층(102)은 투광성 수지(103)를 기재로 하는 층이며, 투광성 수지(103) 중에 투광성 미립자(104)가 분산되어 이루어진다. 상술한 것과 같이, 광확산층(102) 표면(기재 필름(101)과는 반대측의 표면)의 JIS B 0601에 따른 중심선 평균 거칠기(Ra)는 바람직하게는 0.2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 이하가 된다. 한편, 기재 필름(101)과 광확산층(102) 사이에 다른 층(예컨대 접착제층)을 갖고 있더라도 좋다. The first light diffusing film includes a light diffusing layer 102 laminated on the base film 101. The light-diffusing layer 102 is a layer based on the light-transmissive resin 103, and the light-transmitting fine particles 104 are dispersed in the light-transmitting resin 103. As described above, the center line average roughness Ra according to JIS B 0601 of the light diffusion layer 102 surface (the surface opposite to the base film 101) is preferably 0.2 μm or less, more preferably 0.1 μm or less. Becomes In addition, you may have another layer (for example, adhesive bond layer) between the base film 101 and the light-diffusion layer 102. FIG.

투광성 수지(103)로서는 투광성을 갖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자외선 경화형 수지, 전자선 경화형 수지 등의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의 경화물; 열 경화형 수지의 경화물; 열가소성 수지의 경화물; 금속 알콕시드의 경화물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높은 경도를 가지며, 액정 표시 장치 표면에 설치하는 광확산 필름으로서 높은 내찰상성을 부여할 수 있으므로,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가 적합하다.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 열 경화형 수지 또는 금속 알콕시드를 이용하는 경우는, 전리 방사선의 조사 또는 가열에 의해 그 수지를 경화시킴으로써 투광성 수지(103)가 형성된다. The light-transmissive resin 103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light-transmissive, and includes, for example, cured products of ionizing radiation curable resins such as ultraviolet curable resins and electron beam curable resins; Hardened | cured material of thermosetting resin; Hardened | cured material of a thermoplastic resin; Hardened | cured material of a metal alkoxide, etc. can be used. Among these, since it has high hardness and can provide high scratch resistance as a light-diffusion film provided in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surface, ionizing radiation curable resin is suitable. When using ionizing radiation curable resin, thermosetting resin, or a metal alkoxide, the translucent resin 103 is formed by hardening the resin by irradiation or heating of ionizing radiation.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로서는, 다가 알코올의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에스테르와 같은 다작용성의 아크릴레이트; 디이소시아네이트와, 다가 알코올 및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의 히드록시에스테르 등으로부터 합성되는 다작용의 우레탄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들 외에도, 아크릴레이트계의 작용기를 갖는 폴리에테르 수지, 아크릴레이트계의 작용기를 갖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아크릴레이트계의 작용기를 갖는 에폭시 수지, 아크릴레이트계의 작용기를 갖는 알키드 수지, 아크릴레이트계의 작용기를 갖는 스피로아세탈 수지, 아크릴레이트계의 작용기를 갖는 폴리부타디엔 수지, 아크릴레이트계의 작용기를 갖는 폴리티올폴리엔 수지 등도 사용할 수 있다. As an ionizing radiation curable resin, Polyfunctional acrylate like acrylic acid or methacrylic acid ester of polyhydric alcohol; Polyfunctional urethane acrylate synthesize | combined from diisocyanate, polyhydric alcohol, and hydroxy ester of acrylic acid or methacrylic acid, etc. are mentioned. Moreover, besides these, the polyether resin which has an acrylate functional group, the polyester resin which has an acrylate functional group, the epoxy resin which has an acrylate functional group, the alkyd resin which has an acrylate functional group, and an acrylate type A spiro acetal resin having a functional group, a polybutadiene resin having an acrylate functional group, a polythiolpolyene resin having an acrylate functional group, and the like can also be used.

열 경화형 수지로서는, 아크릴폴리올과 이소시아네이트 프리폴리머로 이루어지는 열 경화형 우레탄 수지 외에, 페놀 수지, 요소 멜라민 수지, 에폭시 수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실리콘 수지를 들 수 있다. As a thermosetting resin, in addition to the thermosetting urethane resin which consists of an acryl polyol and an isocyanate prepolymer, a phenol resin, a urea melamine resin, an epoxy resin, an unsaturated polyester resin, and a silicone resin are mentioned.

열가소성 수지로서는, 아세틸셀룰로오스, 니트로셀룰로오스, 아세틸부틸셀룰로오스, 에틸셀룰로오스, 메틸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 유도체; 초산비닐 및 그 공중합체, 염화비닐 및 그 공중합체, 염화비닐리덴 및 그 공중합체 등의 비닐계 수지; 폴리비닐포르말, 폴리비닐부티랄 등의 아세탈계 수지; 아크릴 수지 및 그 공중합체, 메타크릴 수지 및 그 공중합체 등의 아크릴계 수지; 폴리스티렌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Examples of the thermoplastic resin include cellulose derivatives such as acetylcellulose, nitrocellulose, acetylbutylcellulose, ethylcellulose, and methylcellulose; Vinyl resins such as vinyl acetate and its copolymers, vinyl chloride and its copolymers, vinylidene chloride and its copolymers; Acetal resins such as polyvinyl formal, polyvinyl butyral and the like; Acrylic resins such as acrylic resins and their copolymers, methacrylic resins and their copolymers; Polystyrene resin; Polyamide based resin; Polyester-based resin; Polycarbonate resin etc. are mentioned.

금속 알콕시드로서는 규소알콕시드계의 재료를 원료로 하는 산화규소계 매트릭스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테트라메톡시실란, 테트라에톡시실란 등을 들 수 있고, 가수분해나 탈수축합에 의해 무기계 또는 유기 무기 복합계 매트릭스(투광성 수지)로 할 수 있다. As a metal alkoxide, the silicon oxide matrix etc. which use the silicon alkoxide system material as a raw material can be used. Specifically, tetramethoxysilane, tetraethoxysilane, etc. are mentioned, It can be set as an inorganic type or organic-inorganic composite matrix (translucent resin) by hydrolysis or dehydration condensation.

또한, 투광성 미립자(104)로서는 투광성을 갖는 유기 미립자 또는 무기 미립자를 이용할 수 있다. 예컨대, 아크릴 수지, 멜라민 수지, 폴리에틸렌, 폴리스티렌, 유기 실리콘 수지, 아크릴-스티렌 공중합체 등으로 이루어지는 유기 미립자나, 탄산칼슘, 실리카, 산화알루미늄, 탄산바륨, 황산바륨, 산화티탄, 유리 등으로 이루어지는 무기 미립자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유기 중합체의 벌룬이나 유리 중공 비드도 사용할 수 있다. 투광성 미립자(104)는 1 종류의 미립자로 구성되어 있더라도 좋고, 재질이 동일하거나 또는 재질이 다른 2 종류 이상의 미립자를 포함하고 있더라도 좋다. 투광성 미립자(104)의 형상은 구형, 편평형, 판형, 침형, 부정형 등 어느 것이라도 좋지만, 구형 또는 대략 구형이 바람직하다. As the light transmitting fine particles 104, organic fine particles or inorganic fine particles having light transmittance can be used. For example, organic fine particles consisting of acrylic resins, melamine resins, polyethylene, polystyrene, organic silicone resins, acrylic-styrene copolymers, and inorganic particles made of calcium carbonate, silica, aluminum oxide, barium carbonate, barium sulfate, titanium oxide, glass, and the like. Microparticles | fine-particles etc. are mentioned. Moreover, the balloon of an organic polymer, and glass hollow beads can also be used. The light-transmitting fine particles 104 may be composed of one type of fine particles, or may include two or more types of fine particles having the same material or different materials. The shape of the light-transmitting fine particles 104 may be any of spherical, flat, plate, needle and irregular shapes, but a spherical or substantially spherical shape is preferable.

투광성 미립자(104)의 중량 평균 입경은 0.5 ㎛ 이상 15.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3.0 ㎛ 이상 8.0 ㎛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투광성 미립자(104)의 중량 평균 입경이 0.5 ㎛ 미만이면, 파장 영역이 380 nm에서부터 780 nm의 가시광을 충분히 산란할 수 없어, 광확산 필름의 광확산성이 불충분하게 되어, 중량 평균 입경이 상기 범위 내인 경우와 비교하여 도트 은폐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중량 평균 입경이 15.0 ㎛를 넘는 경우, 광확산 필름의 투과 선명도를 50% 이상 300% 이하로 조정하면, 광산란이 지나치게 약해지기 때문에, 충분한 광산란성을 얻을 수 없어, 마찬가지로 중량 평균 입경이 상기 범위 내인 경우와 비교하여 도트 은폐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It is preferable that they are 0.5 micrometer or more and 15.0 micrometers or less, and, as for the weight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translucent microparticles | fine-particles 104,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y are 3.0 micrometers or more and 8.0 micrometers or less. If the weight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light-transmitting fine particles 104 is less than 0.5 µm, the wavelength region cannot sufficiently scatter visible light of 380 nm to 780 nm, and the light diffusivity of the light-diffusion film becomes insufficient, and the weight average particle diameter is in the above range. Compared with the case inside, dot concealability may fall. In addition, when the weight average particle diameter exceeds 15.0 µm, when light transmittance of the light-diffusion film is adjusted to 50% or more and 300% or less, light scattering becomes excessively weak, sufficient light scattering properties cannot be obtained. Compared with the case in which it exists in a range, dot concealability may fall.

투광성 미립자(104)는 그 입경의 표준 편차와 중량 평균 입경의 비(표준 편차/중량 평균 입경)가 0.6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55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비가 0.6을 넘는 경우, 입경이 극단적으로 큰 투광성 미립자가 포함되게 되어, 광확산층(102) 표면의 중심선 평균 거칠기(Ra)가 상기 바람직한 범위에서 일탈되는 경우가 있다. 한편, 투광성 미립자(104)의 중량 평균 입경 및 입경의 표준 편차는 코울터 원리(세공전기저항법)에 기초한 코울터 멀티사이저(베크만코울터사 제조)를 이용하여 측정된다. 여기서, 투광성 미립자의 중량 평균 입경을 측정했을 때에, 0.5 ㎛ 이상 6.0 ㎛ 미만과 6.0 ㎛ 이상 15.0 ㎛ 이하에 각각 1 종류 이상의 피크를 갖는 것이라면, 투광성 미립자는 상술한 제1 투광성 미립자와 제2 투광성 미립자를 포함하는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ratio (standard deviation / weight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standard deviation of the particle diameter and the weight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translucent microparticles | fine-particles 104 is 0.6 or less, and it is more preferable that it is 0.55 or less. When the said ratio exceeds 0.6, translucent microparticles | fine-particles with extremely big particle diameter will be contained and the center line average roughness Ra of the surface of the light-diffusion layer 102 may deviate in the said preferable range. On the other hand, the weight average particle diameter and the standard deviation of the particle diameter of the light-transmitting fine particles 104 are measured using a Coulter multisizer (manufactured by Beckman Coulter) based on the Coulter principle (pore electric resistance method). Here, when measuring the weight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a light-transmitting microparticle, if it has one or more types of peaks in 0.5 micrometer or more and less than 6.0 micrometers, and 6.0 micrometers or more and 15.0 micrometers or less, respectively, the light transmissive microparticles | fine-particles are the 1st light-transmitting microparticles | fine-particles and 2nd light-transmitting microparticles | fine-particles mentioned above Can be considered to include.

광확산층(102)에 있어서의 투광성 미립자(104)의 함유량은 투광성 수지(103) 100 중량부에 대하여 22 중량부 이상 60 중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5 중량부 이상 60 중량부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30 중량부 이상 50 중량부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투광성 미립자(104)의 함유량이 투광성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22 중량부 미만이면, 광확산 필름의 광확산성이 불충분하게 되어, 함유량이 상기 범위 내인 경우와 비교하여 도트 은폐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투광성 미립자(104)의 함유량이 투광성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60 중량부를 넘으면, 액정 표시 장치의 정면 방향의 빛이 광확산층에 의해 지나치게 산란되어 버리는 등의 원인에 의해, 함유량이 상기 범위 내인 경우와 비교하여 정면 휘도가 저하되고, 이에 따라 화상 흐려짐이 발생하는 등의 표시 품위의 저하가 생기는 경우가 있다. The content of the light-transmitting fine particles 104 in the light diffusion layer 102 is preferably 22 parts by weight or more and 60 parts by weight or less, more preferably 25 parts by weight or more and 60 parts by weight or less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light-transmissive resin 103.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y are 30 weight part or more and 50 weight part or less. When the content of the light-transmitting fine particles 104 is less than 22 parts by weight with respect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light-transmissive resin, the light diffusivity of the light-diffusion film becomes insufficient, and the dot concealability may be lowered as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the content is within the above range. have. Moreover, when content of the translucent microparticles | fine-particles 104 exceeds 60 weight part with respect to 100 weight part of translucent resins, content may exist in the said range by the cause, such as light scattering too much by the light-diffusion layer of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mpared with the case, the front luminance is lowered, which may cause a decrease in display quality such as image blurring.

투광성 미립자(104)와 투광성 수지(103)와의 굴절율차는 0.02~0.15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투광성 미립자(104)와 투광성 수지(103)의 굴절율차를 상기 범위 내로 함으로써 상기 굴절율차에 의한 적절한 내부 산란이 생겨, 광확산 필름의 투과 선명도 및 헤이즈를 상기 소정의 혹은 바람직한 범위 내로 제어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한편, 여기서 말하는 「투광성 미립자(104)의 굴절율」 및 「투광성 수지(103)의 굴절율」이란, 실온에 있어서의 나트륨 D선(파장 583.9 nm)에 대한 굴절율을 의미한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refractive index difference between the translucent microparticles 104 and the translucent resin 103 is in the range of 0.02 to 0.15. By setting the difference in refractive index between the light-transmitting fine particles 104 and the light-transmitting resin 103 within the above range, proper internal scattering occurs due to the difference in refractive index, and it is easy to control the transmission clarity and haze of the light-diffusion film within the predetermined or preferred range. Done. In addition, the "refractive index of the translucent microparticles | fine-particles 104" and the "refractive index of the translucent resin 103" here mean the refractive index with respect to the sodium D line (wavelength 583.9 nm) in room temperature.

또한, 광확산층(102)의 표면(기재 필름(101)과는 반대측의 표면)은 투광성 수지(103)에 의해서만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투광성 미립자(104)는 광확산층(102) 표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지 않고, 완전히 광확산층(102) 내에 매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문에, 광확산층(102)의 층 두께는 투광성 미립자(104)의 중량 평균 입경에 대하여 1배 이상 3배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2배 이상 2.5배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광확산층(102)의 층 두께가 투광성 미립자(104)의 중량 평균 입경의 1배 미만인 경우, 광확산층(102) 표면의 중심선 평균 거칠기(Ra)를 상기 바람직한 범위 내로 제어하기가 어렵고, 이에 따라 투광성 미립자(104)의 중량 평균 입경에 대한 광확산층(102)의 층 두께의 비가 상기 범위 내인 경우와 비교하여 백화가 생기기 쉬운 경향이 있다. 또한, 광확산층(102)의 층 두께가 투광성 미립자(104)의 중량 평균 입경의 3배를 넘는 경우, 광확산층(102)의 층두께가 지나치게 커지고, 그에 따라 광확산 필름의 광확산성이 지나치게 강하게 되기 때문에, 액정 표시 장치의 정면 방향의 빛이 광확산층에 의해 지나치게 산란되어 버리는 등의 원인에 의해, 투광성 미립자(104)의 중량 평균 입경에 대한 광확산층(102)의 층 두께의 비가 상기 범위 내인 경우와 비교하여 정면 휘도가 저하되고, 이에 따라 화상 흐려짐이 발생하는 등의 표시 품위의 저하가 생기는 경우가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있어서 「광확산층의 층 두께」란, 광확산층(102)의 투명 기재 필름(101)측의 면에서부터 반대측의 면까지의 최대 두께를 의미한다. Moreover, it is preferable that the surface (surface on the opposite side to the base film 101) of the light-diffusion layer 102 is formed only by the translucent resin 103. As shown in FIG. That is, it is preferable that the light-transmitting fine particles 104 do not protrude from the surface of the light diffusion layer 102 and are completely embedded in the light diffusion layer 102. For this reason, it is preferable that the layer thickness of the light-diffusion layer 102 is 1 times or more and 3 times or less with respect to the weight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translucent microparticles 104, and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y are 1.2 times or more and 2.5 times or less. When the layer thickness of the light diffusing layer 102 is less than 1 times the weight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light transmitting fine particles 104, it is difficult to control the center line average roughness Ra of the surface of the light diffusing layer 102 within the above preferred range, thereby transmitting light There exists a tendency for whitening to arise easily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the ratio of the layer thickness of the light-diffusion layer 102 to the weight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microparticle 104 is in the said range. In addition, when the layer thickness of the light diffusing layer 102 exceeds three times the weight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light-transmitting fine particles 104, the layer thickness of the light diffusing layer 102 becomes excessively large, whereby the light diffusivity of the light diffusing film is excessive. Since it becomes strong, the ratio of the layer thickness of the light-diffusion layer 102 to the weight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translucent microparticles | fine-particles 104 to the weight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translucent microparticles | fine-particles, etc. is caused by the light scattering in the front direction of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too much, etc. in the said range. Compared with the case inside, the front luminance is lowered, which may cause a decrease in display quality such as image blurring. In addition, in this specification, "layer thickness of a light-diffusion layer" means the maximum thickness from the surface on the transparent base film 101 side of the light-diffusion layer 102 to the surface on the opposite side.

또한, 광확산층(102)은, 투광성 미립자(104)로서 중량 평균 입경이 0.5 ㎛ 이상 6.0 ㎛ 미만인 1종 또는 2종 이상의 제1 투광성 미립자(104a)와, 중량 평균 입경이 6.0 ㎛ 이상 15.0 ㎛ 이하인 1종 또는 2종 이상의 제2 투광성 미립자(104b)를 포함하고 있더라도 좋다(도 4~6 참조). 이러한 특정 범위에 중량 평균 입경을 갖는 제1 투광성 미립자(104a)와 제2 투광성 미립자(104b)를 광확산층(102)에 분산시킴으로써, 충분한 광확산성과 우수한 투과 선명도가 양립된 광확산성 필름을 얻을 수 있다. 그 때문에, 이 광확산 필름을 액정 표시 장치에 적용했을 때에, 정면 휘도 향상과 도트 인식 방지의 양립을 실현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광확산층의 표면 난반사에 의해, 특히 명소에서 화면 전체가 흰빛을 띠게 느껴지는 소위 「백화」를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제1 투광성 미립자(104a)와 제2 투광성 미립자(104b)를 소정의 함유량으로 광확산층(102)에 분산시킴으로써, 후술하는 투과 선명도, 헤이즈 등의 광학 특성 및 표면 형상이 소정의 범위 내로 적절하게 제어된 광확산 필름을 얻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In addition, the light-diffusion layer 102 is one or two or more types of the first light-transmitting fine particles 104a having a weight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0.5 μm or more and less than 6.0 μm as the light-transmitting fine particles 104, and a weight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6.0 μm or more and 15.0 μm or less. One type or two or more types of second light-transmitting fine particles 104b may be included (see FIGS. 4 to 6). By dispersing the first and second transparent particles 104a and 104b having a weight average particle diameter in the specific range in the light diffusing layer 102, a light diffusing film having both sufficient light diffusivity and excellent transmission clarity is obtained. Can be. Therefore, when this light-diffusion film is applied to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both the front brightness improvement and the dot recognition prevention can be realized, and the surface diffused by the surface diffuse reflection of the light-diffusion layer, and especially the whole screen feels white in a spot. It becomes possible to suppress what is called "whitening" effectively. In addition, by dispersing the first light-transmitting fine particles 104a and the second light-transmitting fine particles 104b in the light diffusing layer 102 in a predetermined content, optical properties such as transmission clarity, haze, and surface shape described later are appropriate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It is possible to obtain a well controlled light diffusing film.

제1 투광성 미립자(104a)의 중량 평균 입경은 0.5 ㎛ 이상 6.0 ㎛ 미만이며, 바람직하게는 1.0 ㎛ 이상 5.0 ㎛ 이하이다. 또한, 제2 투광성 미립자(104b)의 중량 평균 입경은 6.0 ㎛ 이상 15.0 ㎛ 이하이며, 바람직하게는 6.0 ㎛ 이상 10.0 ㎛ 이하이다. The weight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first light transmitting fine particles 104a is 0.5 µm or more and less than 6.0 µm, preferably 1.0 µm or more and 5.0 µm or less. Moreover, the weight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2nd light transmissive microparticles | fine-particles 104b is 6.0 micrometers or more and 15.0 micrometers or less, Preferably they are 6.0 micrometers or more and 10.0 micrometers or less.

제1 투광성 미립자(104a)의 중량 평균 입경과 제2 투광성 미립자(104b)의 중량 평균 입경과의 차는 2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중량 평균 입경의 차가 2 ㎛ 미만이면, 상이한 중량 평균 입경을 갖는 투광성 미립자를 조합시키는 효과가 불충분하게 되어, 중량 평균 입경의 차가 상기 범위 내인 경우와 비교하여 충분한 광확산성과 우수한 투과 선명도의 양립을 달성하기 어려운 경향이 있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difference between the weight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first light-transmitting fine particles 104a and the weight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second light-transmitting fine particles 104b is 2 µm or more. If the difference in weight average particle diameter is less than 2 µm, the effect of combining light-transmitting fine particles having different weight average particle diameters becomes insufficient, thereby achieving both sufficient light diffusivity and excellent transmission clarity as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the difference in weight average particle diameters is within the above range. It tends to be difficult to do.

제1 투광성 미립자(104a)는 0.5 ㎛ 이상 6.0 ㎛ 미만의 범위 내에 있어서 상이한 2종 이상의 중량 평균 입경을 갖는 미립자를 포함하고 있더라도 좋다. 마찬가지로, 제2 투광성 미립자(104b)는 6.0 ㎛ 이상 15.0 ㎛ 이하의 범위 내에 있어서 상이한 2종 이상의 중량 평균 입경을 갖는 미립자를 포함하고 있더라도 좋다. The first light-transmitting fine particles 104a may include fine particles having two or more kinds of weight average particle diameters within a range of 0.5 µm or more and less than 6.0 µm. Similarly, the second light-transmitting fine particles 104b may contain fine particles having two or more different weight average particle diameters within the range of 6.0 µm or more and 15.0 µm or less.

제1 투광성 미립자(104a)의 함유량은 제1 투광성 미립자(104a) 및 제2 투광성 미립자(104b)의 합계 함유량 100 중량부 중, 15~85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20~65 중량부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 함유량이 15 중량부 미만 또는 85 중량부를 넘는 경우, 함유량이 상기 범위 내인 경우와 비교하여 충분한 광확산성과 우수한 투과 선명도를 양립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It is preferable that it is 15-85 weight part in 100 weight part of total content of the 1st light-transmitting microparticle 104a and the 2nd light-transmitting microparticle 104b, and, as for content of the 1st light-transmitting microparticle 104a, it is more preferable that it is 20-65 weight part. Do. When this content is less than 15 weight part or more than 85 weight part, sufficient light diffusivity and the outstanding transmissivity may not be compatible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content is in the said range.

제1 투광성 미립자(104a) 및 제2 투광성 미립자(104b)는 상술한 투광성 미립자(104)로서 사용되는 유기 미립자 또는 무기 미립자를 마찬가지로 사용할 수 있다. 제1 투광성 미립자(104a) 및 제2 투광성 미립자(104b)는 동종의 재료로 형성되어 있더라도 좋고, 이종의 재료로 형성되어 있더라도 좋다. 또한, 제1 투광성 미립자(104a) 및/또는 제2 투광성 미립자(104b)가 다른 2종 이상의 중량 평균 입경을 갖는 미립자로 이루어지는 경우, 이들은 동종의 재료로 형성되어 있더라도 좋고, 이종의 재료로 형성되어 있더라도 좋다. The first light-transmitting fine particles 104a and the second light-transmitting fine particles 104b can similarly use the organic fine particles or the inorganic fine particles used as the light transmitting fine particles 104 described above. The first light-transmitting fine particles 104a and the second light-transmitting fine particles 104b may be formed of the same kind of material, or may be formed of different kinds of material. In addition, when the 1st light-transmitting microparticles | fine-particles 104a and / or the 2nd light-transmitting microparticles | fine-particles 104b consist of microparticles | fine-particles which have two or more types of weight average particle diameters, they may be formed from the same kind of material, and they are formed from different kinds of materials, You may be.

제1 투광성 미립자(104a)와 투광성 수지(103)와의 굴절율차 및 제2 투광성 미립자(104b)와 투광성 수지(103)와의 굴절율차는 이들의 적어도 한쪽이 0.02~0.15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고, 이들 전부가 0.02~0.15의 범위 내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제1 투광성 미립자(104a) 또는 제2 투광성 미립자(104b)와 투광성 수지(103)와의 굴절율차를 각각 상기 범위 내로 함으로써 이 굴절율차에 의한 적절한 내부 산란이 생겨, 광확산성과 투과 선명도를 적절한 범위 내로 제어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The difference in refractive index between the first light-transmitting fine particles 104a and the light-transmissive resin 103 and the difference in refractive index between the second light-transmitting fine particles 104b and the light-transmitting resin 103 are preferably in the range of 0.02 to 0.15, all of them. It is more preferable that it is in the range of 0.02-0.15. By setting the difference in refractive index between the first light-transmitting fine particles 104a or the second light-transmitting fine particles 104b and the light-transmitting resin 103 in the above-mentioned ranges, appropriate internal scattering occurs due to the difference in refractive index, so that the light diffusivity and the transmission sharpness are in an appropriate range. It is easy to control.

광확산층(102)의 층 두께는 1~30 ㎛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광확산층(102)의 층 두께가 1 ㎛ 미만인 경우, 액정 표시 장치의 전면(시인)측 표면에 배치되는 광확산 필름에 요구되는 충분한 내찰상성이 부여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또한, 층 두께가 30 ㎛를 넘는 경우, 제작한 광확산 필름에 발생하는 컬의 양이 커져, 다른 필름이나 기판에 접합하는 경우 등에 있어서의 취급성이 나빠진다. The layer thickness of the light diffusion layer 102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1 to 30 µm. When the layer thickness of the light-diffusion layer 102 is less than 1 micrometer, sufficient scratch resistance required for the light-diffusion film arrange | positioned at the front surface (viewing) side surface of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may not be provided. Moreover, when layer thickness exceeds 30 micrometers, the quantity of the curl which generate | occur | produces in the produced light-diffusion film becomes large, and the handleability in the case of joining to another film or a board | substrate worsens.

한편, 제1 광확산 필름은, 도 3에 도시되는 광확산 필름(300)과 같이, 광확산층(102) 상(기재 필름(101)과는 반대측의 면 위)에 적층된 투광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수지층(105)을 갖는 것이라도 좋다. 이 경우, 수지층(105)의 표면(광확산층(102)과는 반대측의 표면)의 중심선 평균 거칠기(Ra)는 0.2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the first light diffusing film may be made of a light-transmissive resin laminated on the light diffusing layer 102 (on the surface opposite to the base film 101), like the light diffusing film 300 illustrated in FIG. 3. The layer 105 may be provided.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center line average roughness Ra of the surface (surface opposite to the light-diffusion layer 102) of the resin layer 105 is 0.2 micrometer or less.

또한, 제1 광확산 필름은 광확산층(102) 상(기재 필름(101)과는 반대측의 면 위)에 적층된 반사 방지층을 더 구비하고 있더라도 좋다. 반사 방지층은 광확산층(102) 상에 직접 형성하더라도 좋고, 투명 필름 상에 반사 방지층을 형성한 반사 방지 필름을 별도 준비하여, 이것을 점착제 또는 접착제를 이용하여 광확산층(102) 상에 적층하더라도 좋다. 반사 방지층은 반사율을 끝없이 낮게 하기 위해서 마련되는 것으로, 반사 방지층의 형성에 의해 표시 화면에 비춰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반사 방지층으로서는, 광확산층(102)의 굴절율보다도 낮은 재료로 구성된 저굴절율층; 광확산층(102)의 굴절율보다 높은 재료로 구성된 고굴절율층과, 이 고굴절율층의 굴절율보다 낮은 재료로 구성된 저굴절율층과의 적층 구조 등을 들 수 있다. 반사 방지 필름을 점착제 또는 접착제를 이용하여 확산 필름에 적층하는 경우, 시판되는 반사 방지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Moreover, the 1st light-diffusion film may further be provided with the anti-reflective layer laminated | stacked on the light-diffusion layer 102 (on the surface on the opposite side to the base film 101). The antireflection layer may be formed directly on the light diffusion layer 102, or an antireflection film in which an antireflection layer is formed on the transparent film may be separately prepared and laminated on the light diffusion layer 102 using an adhesive or an adhesive. The antireflection layer is provided to lower the reflectance endlessly, and can be prevented from shining onto the display screen by forming the antireflection layer. Examples of the antireflection layer include a low refractive index layer made of a material lower than the refractive index of the light diffusing layer 102; The laminated structure of the high refractive index layer which consists of a material higher than the refractive index of the light-diffusion layer 102, and the low refractive index layer which consists of a material lower than the refractive index of this high refractive index layer is mentioned. When laminating | stacking an antireflection film to a diffusion film using an adhesive or an adhesive agent, a commercially available antireflection film can be used.

또한, 제1 광확산 필름은, 광확산층(102) 상(기재 필름(101)과는 반대측의 면 위)에 적층된 표면 요철을 갖는 층을 더 구비하고 있더라도 좋다. 표면 요철을 갖는 층은 광확산층(102) 상에 직접 형성하더라도 좋고, 투명 필름 상에 표면 요철을 갖는 층을 형성한 표면 요철을 갖는 필름을 별도 준비하여, 이것을 점착제 또는 접착제를 이용하여 광확산층(102) 상에 적층하더라도 좋다. 표면 요철을 갖는 층의 표면(광확산층(102)과는 반대측의 표면)의 중심선 평균 거칠기(Ra)는 0.2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1st light-diffusion film may further be provided with the layer which has the surface unevenness | corrugated laminated | stacked on the light-diffusion layer 102 (on the surface on the opposite side to the base film 101). The layer having the surface irregularities may be formed directly on the light diffusing layer 102, and a film having the surface irregularities having the layer having the surface irregularities formed on the transparent film is separately prepared, and the light diffusing layer ( It may be laminated on 102. It is preferable that the center line average roughness Ra of the surface (surface on the opposite side to the light-diffusion layer 102) of the layer which has surface unevenness is 0.2 micrometer or less.

표면 요철을 갖는 층으로서는 예컨대 방현층을 들 수 있다. 방현층은 표면에서의 난반사를 이용하여 표시 화면에 비춰 들어가는 것을 저감하기 위해서 형성된다. 광확산층(102) 상에 방현층을 형성하는 경우, 공지된 방법이 이용되는데, 예컨대, 광확산층(102) 상에 투광성 미립자를 함유하는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을 박막형으로 도공하고, 경화함으로써 방현층을 형성할 수 있다. 방현 필름을 점착제 또는 접착제를 이용하여 광확산층(102) 상에 적층하는 경우, 시판되는 방현 필름을 사용하더라도 좋고, 상기한 방법에 준거하여, 투명 필름 상에 방현층을 형성한 것을 제작하여 이용하더라도 좋다. As a layer which has surface unevenness, an anti-glare layer is mentioned, for example. The antiglare layer is formed in order to reduce the reflection on the display screen by using the diffuse reflection on the surface. In the case of forming the antiglare layer on the light diffusion layer 102, a known method is used. For example, a UV curable resin composition containing light-transmitting fine particles on the light diffusion layer 102 is coated in a thin film and cured to form an antiglare layer. Can be formed. When laminating | stacking an anti-glare film on the light-diffusion layer 102 using an adhesive or an adhesive agent, you may use a commercially available anti-glare film, and produce and use what formed the anti-glare layer on the transparent film based on the method mentioned above. good.

제1 광확산 필름은 광확산층(102) 상에 상술한 수지층(105), 반사 방지층 및 표면 요철을 갖는 층 중의 1 종류의 층만을 갖고 있더라도 좋고, 2 종류 이상의 층을 갖고 있더라도 좋다. The 1st light-diffusion film may have only one type of layer among the above-mentioned resin layer 105, the antireflection layer, and the surface unevenness | corrugation on the light-diffusion layer 102, and may have two or more types of layers.

<제2 광확산 필름> <2nd light-diffusion film>

제2 광확산 필름은 엣지라이트형 면광원을 탑재한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액정 셀의 전면(시인)측(즉, 액정 표시 장치가 구비하는 전면측 편광판의 전면측)에 배치되는 광확산성을 갖는 필름이며, 정면 휘도 향상 능력 및 도트 인식 방지 능력이 우수하다. 도 4 및 도 5는 각각 제2 광확산 필름의 바람직한 예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도 4 및 도 5에 도시되는 광확산 필름(100', 200')은 기재 필름(101)과, 기재 필름(101) 상에 적층된 광확산층(102)을 구비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광확산층(102)은 투광성 수지(103)를 기재로 하는 층이며, 투광성 수지(103) 중에 제1 투광성 미립자(104a) 및 제2 투광성 미립자(104b)로 이루어지는 투광성 미립자(104)가 분산되어 이루어진다. 제1 투광성 미립자(104a)는 그 중량 평균 입경이 0.5 ㎛ 이상 6.0 ㎛ 미만의 범위인 미립자이며, 제2 투광성 미립자(104b)는 그 중량 평균 입경이 6.0 ㎛ 이상 15.0 ㎛ 이하의 범위인 미립자이다. 제2 광확산 필름은 광확산층(102)의 표면(기재 필름(101)과는 반대측의 표면)이 도 4에 도시되는 예와 같이 평탄면으로 구성되어 있더라도 좋으며, 혹은 도 5에 도시되는 예와 같이 요철면으로 구성되어 있더라도 좋다. 평활면 또는 요철면의 어느 것이어도, 광확산층(102) 표면의 중심선 평균 거칠기(Ra)는 0.2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제2 광확산 필름에 관해서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The second light diffusing film is disposed on the front (viewing) side of the liquid crystal cell (that is, the front side of the front side polarizing plate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equipped with the edge light type light source. It has a film which is excellent in the front brightness improvement ability and the dot recognition prevention ability. 4 and 5 are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s each showing a preferable example of the second light diffusing film. 4 and 5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e film 101 and a light diffusion layer 102 laminated on the base film 101.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light diffusing layer 102 is a layer based on the translucent resin 103, and the translucent fine particles comprising the first translucent microparticles 104a and the second translucent microparticles 104b in the translucent resin 103 ( 104 is distributed. The first light transmitting fine particles 104a are fine particles having a weight average particle diameter in the range of 0.5 μm or more and less than 6.0 μm, and the second light transmitting fine particles 104b are fine particles having a weight average particle diameter in the range of 6.0 μm or more and 15.0 μm or less. In the second light diffusing film, the surface of the light diffusing layer 102 (the surface opposite to the base film 101) may be composed of a flat surface as shown in FIG. 4, or the example shown in FIG. Similarly, it may consist of an uneven surface. In either of the smooth surface or the uneven surface, the center line average roughness Ra of the surface of the light diffusion layer 102 is preferably 0.2 µm or less. Hereinafter, a 2nd light-diffusion film is demonstrated in detail.

[기재 필름][Base film]

제2 광확산 필름에서 사용하는 기재 필름(101)은 제1 광확산 필름의 경우와 같은 것을 마찬가지로 사용할 수 있다. The base film 101 used by a 2nd light-diffusion film can be used similarly to the case of a 1st light-diffusion film.

[광확산층][Light Diffusion Layer]

제2 광확산 필름은 기재 필름(101) 상에 적층된 광확산층(102)을 구비한다. 광확산층(102)은 투광성 수지(103)를 기재로 하는 층이며, 투광성 수지(103) 중에 1종 또는 2종 이상의 제1 투광성 미립자(104a) 및 1종 또는 2종 이상의 제2 투광성 미립자(104b)를 포함하는 투광성 미립자(104)가 분산되어 이루어진다. 후술하는 것과 같이, 광확산층(102) 표면(기재 필름(101)과는 반대측의 표면)의 JIS B 0601에 따른 중심선 평균 거칠기(Ra)는 바람직하게는 0.2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 이하가 된다. 한편, 기재 필름(101)과 광확산층(102) 사이에 다른 층(예컨대 접착제층)을 갖고 있더라도 좋다. The second light diffusing film includes a light diffusing layer 102 laminated on the base film 101. The light diffusion layer 102 is a layer based on the translucent resin 103, and in the translucent resin 103, one or two or more kinds of the first translucent particles 104a and one or two or more kinds of the second translucent particles 104b. ) Is formed by dispersing light-transmitting fine particles 104. As described later, the center line average roughness Ra according to JIS B 0601 of the light diffusion layer 102 surface (the surface opposite to the base film 101) is preferably 0.2 μm or less, more preferably 0.1 μm or less. Becomes In addition, you may have another layer (for example, adhesive bond layer) between the base film 101 and the light-diffusion layer 102. FIG.

(1) 투광성 수지(1) light transmitting resin

투광성 수지(103)로서는 제1 광확산 필름의 경우와 같은 것을 마찬가지로 사용할 수 있다. As the translucent resin 103, the same one as in the case of the first light diffusing film can be used in the same manner.

(2) 투광성 미립자(2) light-transmitting fine particles

광확산층(102)은, 투광성 미립자(104)로서 중량 평균 입경이 0.5 ㎛ 이상 6.0 ㎛ 미만인 1종 또는 2종 이상의 제1 투광성 미립자(104a)와, 중량 평균 입경이 6.0 ㎛ 이상 15.0 ㎛ 이하인 1종 또는 2종 이상의 제2 투광성 미립자(104b)를 포함한다. 이러한 특정 범위에 중량 평균 입경을 갖는 제1 투광성 미립자(104a)와 제2 투광성 미립자(104b)를 광확산층(102)에 분산시킴으로써, 충분한 광확산성과 우수한 투과 선명도가 양립된 광확산 필름을 얻을 수 있다. 그 때문에, 이 광확산 필름을 액정 표시 장치에 적용했을 때에, 정면 휘도 향상과 도트 인식 방지의 양립을 실현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광확산층의 표면 난반사에 의해, 특히 명소에서 화면 전체가 흰빛을 띠게 느껴지는 소위 「백화」를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제1 투광성 미립자(104a)와 제2 투광성 미립자(104b)를 소정의 함유량으로 광확산층(102)에 분산시킴으로써, 후술하는 투과 선명도, 헤이즈 등의 광학 특성 및 표면 형상이 소정의 범위 내로 적절하게 제어된 광확산 필름을 얻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The light-diffusion layer 102 is one or two or more kinds of the first light-transmitting fine particles 104a having a weight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0.5 μm or more and less than 6.0 μm as the light-transmitting fine particles 104, and one type having the weight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6.0 μm or more and 15.0 μm or less. Or two or more kinds of second translucent particles 104b. By dispersing the first and second transparent particles 104a and 104b having a weight average particle diameter in the specific range in the light diffusing layer 102, a light diffusing film having both sufficient light diffusion and excellent transmission clarity can be obtained. have. Therefore, when this light-diffusion film is applied to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both the front brightness improvement and the dot recognition prevention can be realized, and the surface diffused by the surface diffuse reflection of the light-diffusion layer, and especially the whole screen feels white in a spot. It becomes possible to suppress what is called "whitening" effectively. In addition, by dispersing the first light-transmitting fine particles 104a and the second light-transmitting fine particles 104b in the light diffusing layer 102 in a predetermined content, optical properties such as transmission clarity, haze, and surface shape described later are appropriate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It is possible to obtain a well controlled light diffusing film.

제1 투광성 미립자(104a)의 중량 평균 입경은 0.5 ㎛ 이상 6.0 ㎛ 미만이며, 바람직하게는 1.0 ㎛ 이상 5.0 ㎛ 이하이다. 또한, 제2 투광성 미립자(104b)의 중량 평균 입경은 6.0 ㎛ 이상 15.0 ㎛ 이하이며, 바람직하게는 6.0 ㎛ 이상 10.0 ㎛ 이하이다. 제1 투광성 미립자(104a)의 중량 평균 입경이 0.5 ㎛ 미만이면, 파장 영역이 380 nm에서부터 780 nm의 가시광을 충분히 산란할 수 없어, 광확산 필름의 광확산성이 불충분하게 되어, 충분한 도트 은폐성을 얻을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또한, 제2 투광성 미립자(104b)의 중량 평균 입경이 15.0 ㎛를 넘으면, 후술하는 투과 선명도를 50% 이상 300% 이하로 조정하면, 광산란이 지나치게 약해지기 때문에, 충분한 광산란성을 얻을 수 없어, 마찬가지로 충분한 도트 은폐성을 얻을 수 없는 경우가 있다. 크기가 다른 입자를 혼합하여 이용함으로써 입자의 충전 밀도가 올라가, 보다 효과적으로 도광판의 도트를 은폐할 수 있다. The weight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first light transmitting fine particles 104a is 0.5 µm or more and less than 6.0 µm, preferably 1.0 µm or more and 5.0 µm or less. Moreover, the weight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2nd light transmissive microparticles | fine-particles 104b is 6.0 micrometers or more and 15.0 micrometers or less, Preferably they are 6.0 micrometers or more and 10.0 micrometers or less. If the weight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first light-transmitting fine particles 104a is less than 0.5 µm, the wavelength region cannot sufficiently scatter visible light of 380 nm to 780 nm, resulting in insufficient light diffusivity of the light-diffusion film and sufficient dot concealment. There is a case that can not be obtained. If the weight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second light-transmitting fine particles 104b exceeds 15.0 µm, light scattering becomes excessively weak when adjusting the transmission clarity described later to 50% or more and 300% or less, so that sufficient light scattering properties cannot be obtained. Sufficient dot concealability may not be obtained. By mixing and using particles of different sizes, the packing density of the particles increases, and the dots of the light guide plate can be more effectively concealed.

제1 투광성 미립자(104a)의 중량 평균 입경과 제2 투광성 미립자(104b)의 중량 평균 입경과의 차는 2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중량 평균 입경의 차가 2 ㎛ 미만이면, 상이한 중량 평균 입경을 갖는 투광성 미립자를 조합시키는 효과가 불충분하게 되어, 충분한 광확산성과 우수한 투과 선명도를 양립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difference between the weight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first light-transmitting fine particles 104a and the weight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second light-transmitting fine particles 104b is 2 µm or more. If the difference in weight average particle diameter is less than 2 µm, the effect of combining light-transmitting fine particles having different weight average particle diameters becomes insufficient, and sufficient light diffusivity and excellent transmission clarity may not be compatible.

제1 투광성 미립자(104a)는 0.5 ㎛ 이상 6.0 ㎛ 미만의 범위 내에 있어서 상이한 2종 이상의 중량 평균 입경을 갖는 미립자를 포함하고 있더라도 좋다. 마찬가지로, 제2 투광성 미립자(104b)는 6.0 ㎛ 이상 15.0 ㎛ 이하의 범위 내에 있어서 상이한 2종 이상의 중량 평균 입경을 갖는 미립자를 포함하고 있더라도 좋다. The first light-transmitting fine particles 104a may include fine particles having two or more kinds of weight average particle diameters within a range of 0.5 µm or more and less than 6.0 µm. Similarly, the second light-transmitting fine particles 104b may contain fine particles having two or more different weight average particle diameters within the range of 6.0 µm or more and 15.0 µm or less.

본 발명에 있어서 투광성 미립자의 중량 평균 입경은 코울터 원리(세공전기저항법)에 기초한 코울터 멀티사이저(베크만코울터사 제조)를 이용하여 측정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weight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light-transmitting fine particles is measured using a Coulter multisizer (manufactured by Beckman Coulter) based on the Coulter principle (pore electrical resistance method).

투광성 미립자(104)(제1 투광성 미립자(104a) 및 제2 투광성 미립자(104b))로서는 제1 광확산 필름의 경우와 같은 것을 마찬가지로 사용할 수 있다. 제1 투광성 미립자(104a) 및 제2 투광성 미립자(104b)는 동종 재료로 형성되어 있더라도 좋고, 이종 재료로 형성되어 있더라도 좋다. 또한, 제1 투광성 미립자(104a) 및/또는 제2 투광성 미립자(104b)가 상이한 2종 이상의 중량 평균 입경을 갖는 미립자로 이루어지는 경우, 이들은 동종 재료로 형성되어 있더라도 좋고, 이종 재료로 형성되어 있더라도 좋다. 제1 투광성 미립자(104a) 및 제2 투광성 미립자(104b)의 형상은 구형, 편평형, 판형, 침형, 부정형 등 어느 것이라도 좋지만, 구형 또는 대략 구형이 바람직하다. As the light transmitting fine particles 104 (the first light transmitting fine particles 104a and the second light transmitting fine particles 104b), the same ones as in the case of the first light diffusing film can be used in the same manner. The first light-transmitting fine particles 104a and the second light-transmitting fine particles 104b may be formed of the same kind of material, or may be formed of different materials. In addition, when the 1st light-transmitting microparticles | fine-particles 104a and / or the 2nd light-transmitting microparticles | fine-particles 104b consist of microparticles | fine-particles which have two or more types of weight average particle diameters, these may be formed from the same material, or may be formed from a different material. . The shape of the first light-transmitting fine particles 104a and the second light-transmitting fine particles 104b may be any of spherical, flat, plate, needle, and irregular shapes, but a spherical or substantially spherical shape is preferable.

광확산층(102)에 있어서의 투광성 미립자(104)의 함유량은 투광성 수지(103) 100 중량부에 대하여 22 중량부 이상 60 중량부 이하가 되고, 25 중량부 이상 60 중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30 중량부 이상 50 중량부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투광성 미립자(104)의 함유량이 투광성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22 중량부 미만이면, 광확산 필름의 광확산성이 불충분하게 되어, 후술하는 투과 선명도가 300%를 넘는 경우가 있어, 그 결과, 함유량이 상기 범위인 경우와 비교하여 도트 은폐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투광성 미립자(104)의 함유량이 투광성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60 중량부를 넘으면, 광확산 필름의 광확산성이 지나치게 강하게 되어, 액정 표시 장치의 정면 방향의 빛이 광확산층에 의해 지나치게 산란되어 버리는 등의 원인에 의해, 함유량이 상기 범위 내인 경우와 비교하여 정면 휘도가 저하되고, 이에 따라 화상 흐려짐이 발생하는 등의 표시 품위의 저하가 생기는 경우가 있다. The content of the light-transmitting fine particles 104 in the light diffusion layer 102 is 22 parts by weight or more and 60 parts by weight or less with respect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light-transmissive resin 103, preferably 25 parts by weight or more and 60 parts by weight or less, and 30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y are 50 weight part or more by weight. When the content of the light-transmitting fine particles 104 is less than 22 parts by weight with respect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light-transmitting resin, the light diffusivity of the light-diffusion film may be insufficient, and the transmission clarity described later may exceed 300%, and as a result, the content Compared with the case of this said range, dot concealability may fall. Moreover, when content of the translucent microparticles | fine-particles 104 exceeds 60 weight part with respect to 100 weight part of translucent resins, the light-diffusion property of a light-diffusion film will become too strong, and the light of the front direction of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ill be scattered too much by a light-diffusion layer. Due to the causes such as discarding, the front luminance decreases as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the content is within the above range, whereby the display quality such as image blurring may occur.

제1 투광성 미립자(104a)의 함유량은 제1 투광성 미립자(104a) 및 제2 투광성 미립자(104b)의 합계 함유량 100 중량부 중, 15~85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20~65 중량부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 함유량이 15 중량부 미만 또는 85 중량부를 넘는 경우, 함유량이 상기 범위 내인 경우와 비교하여 충분한 광확산성과 우수한 투과 선명도의 양립을 달성하기 어려운 경향이 있다. It is preferable that it is 15-85 weight part in 100 weight part of total content of the 1st light-transmitting microparticle 104a and the 2nd light-transmitting microparticle 104b, and, as for content of the 1st light-transmitting microparticle 104a, it is more preferable that it is 20-65 weight part. Do. When this content is less than 15 weight part or more than 85 weight part, there exists a tendency which is difficult to achieve both sufficient light diffusivity and excellent transmission clarity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content is in the said range.

제1 투광성 미립자(104a)와 투광성 수지(103)와의 굴절율차 및 제2 투광성 미립자(104b)와 투광성 수지(103)와의 굴절율차는 이들의 적어도 한쪽이 0.02~0.15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고, 이들 전부가 0.02~0.15의 범위 내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제1 투광성 미립자(104a) 또는 제2 투광성 미립자(104b)와 투광성 수지(103)와의 굴절율차를 각각 상기 범위 내로 함으로써 상기 굴절율차에 의한 적절한 내부 산란이 생겨, 광확산성과 투과 선명도를 적절한 범위 내로 제어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한편, 여기서 말하는 「투광성 미립자(104)의 굴절율」 및 「투광성 수지(103)의 굴절율」이란, 제1 광확산 필름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실온에 있어서의 나트륨 D선(파장 583.9 nm)에 대한 굴절율을 의미한다. The difference in refractive index between the first light-transmitting fine particles 104a and the light-transmissive resin 103 and the difference in refractive index between the second light-transmitting fine particles 104b and the light-transmitting resin 103 are preferably in the range of 0.02 to 0.15, all of them. It is more preferable that it is in the range of 0.02-0.15. By setting the difference in refractive index between the first light-transmitting fine particles 104a or the second light-transmitting fine particles 104b and the light-transmitting resin 103 in the above-mentioned ranges, appropriate internal scattering occurs due to the difference in refractive index, so that light diffusivity and transmission sharpness are within the appropriate range. It is easy to control. In addition, the "refractive index of the translucent microparticles | fine-particles 104" and the "refractive index of the translucent resin 103" said here are the refractive index with respect to sodium D line (wavelength 583.9 nm) in room temperature similarly to the case of a 1st light-diffusion film. Means.

(3) 광확산층의 표면 형상 및 층 두께(3) Surface shape and layer thickness of the light diffusing layer

제2 광확산 필름에 있어서, 광확산층(102) 표면(기재 필름(101)과는 반대측의 표면)의 JIS B 0601에 따른 중심선 평균 거칠기(Ra)는 0.2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1 ㎛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광확산층(102) 표면의 중심선 평균 거칠기(Ra)가 0.2 ㎛를 넘는 경우, 광확산 필름을 액정 표시 장치에 적용했을 때에 광확산층(102)의 표면 난반사에 의한 백화가 현저하게 되는 경향이 있다. JIS B 0601에 따른 중심선 평균 거칠기(Ra)란, 제1 광확산 필름에 있어서 기재한 것과 마찬가지이다. In the second light diffusing film, the centerline average roughness Ra according to JIS B 0601 of the light diffusing layer 102 surface (the surface opposite to the base film 101) is preferably 0.2 μm or less, preferably 0.1 μm or less. More preferred. When center line average roughness Ra of the surface of the light-diffusion layer 102 exceeds 0.2 micrometer, when applying a light-diffusion film to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there exists a tendency for whitening by the surface diffuse reflection of the light-diffusion layer 102 to become remarkable. The centerline average roughness Ra according to JIS B 0601 is the same as that described in the first light-diffusion film.

또한, 광확산층(102)의 표면(기재 필름(101)과는 반대측의 표면)은 투광성 수지(103)에 의해서만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투광성 미립자(104)는 광확산층(102) 표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지 않고, 완전히 광확산층(102) 내에 매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문에, 광확산층(102)의 층 두께는 제2 투광성 미립자(104b)의 중량 평균 입경에 대하여 1배 이상 3배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2배 이상 2.5배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광확산층(102)의 층 두께가 제2 투광성 미립자(104b)의 중량 평균 입경의 1배 미만인 경우, 광확산층(102) 표면의 중심선 평균 거칠기(Ra)를 상기 바람직한 범위 내로 제어하기가 어렵고, 이에 따라 투광성 미립자(104)의 중량 평균 입경에 대한 광확산층(102)의 층 두께의 비가 상기 범위 내인 경우와 비교하여 백화가 생기기 쉬운 경향이 있다. 또한, 광확산층(102)의 층 두께가 제2 투광성 미립자(104b)의 중량 평균 입경의 3배를 넘는 경우, 광확산층(102)의 층 두께가 지나치게 커지고, 그에 따라 광확산 필름의 광확산성이 지나치게 강하게 되기 때문에, 액정 표시 장치의 정면 방향의 빛이 광확산층에 의해 지나치게 산란되어 버리는 등의 원인에 의해, 투광성 미립자(104)의 중량 평균 입경에 대한 광확산층(102)의 층 두께의 비가 상기 범위 내인 경우와 비교하여 정면 휘도가 저하하고, 이에 따라 화상 흐려짐이 발생하는 등의 표시 품위의 저하가 생기는 경우가 있다. 한편, 여기서 말하는 「제2 투광성 미립자(104b)의 중량 평균 입경」은 제2 투광성 미립자(104b)가 6.0 ㎛ 이상 15.0 ㎛ 이하의 중량 평균 입경의 범위 내에 있어서 상이한 2종 이상의 중량 평균 입경을 갖는 미립자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 중량 평균 입경이 가장 큰 제2 투광성 미립자의 중량 평균 입경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광확산층의 층 두께」란, 광확산층(102)의 투명 기재 필름(101)측의 면에서부터 반대측의 면까지의 최대 두께를 의미한다. Moreover, it is preferable that the surface (surface on the opposite side to the base film 101) of the light-diffusion layer 102 is formed only by the translucent resin 103. As shown in FIG. That is, it is preferable that the light-transmitting fine particles 104 do not protrude from the surface of the light diffusion layer 102 and are completely embedded in the light diffusion layer 102. For this reason, it is preferable that the layer thickness of the light-diffusion layer 102 is 1 times or more and 3 times or less with respect to the weight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2nd translucent microparticles | fine-particles 104b, and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y are 1.2 times or more and 2.5 times or less. When the layer thickness of the light diffusing layer 102 is less than 1 times the weight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second light-transmitting fine particles 104b, it is difficult to control the center line average roughness Ra of the surface of the light diffusing layer 102 within the above preferred range, Therefore, there exists a tendency for whitening to occur easily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the ratio of the layer thickness of the light-diffusion layer 102 to the weight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translucent microparticles | fine-particles 104 is in the said range. In addition, when the layer thickness of the light diffusing layer 102 exceeds three times the weight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second light-transmitting fine particles 104b, the layer thickness of the light diffusing layer 102 becomes too large, whereby the light diffusing property of the light diffusing film Since this becomes too strong, the ratio of the layer thickness of the light diffusing layer 102 to the weight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light-transmitting fine particles 104 may be caused by light in the front direction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being scattered too much by the light diffusing layer.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it is in the said range, front brightness may fall and the display quality, such as image blurring, may arise by this. In addition, the "weight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2nd light transmissive microparticle 104b" said here is the microparticle which has 2 or more types of weight average particle diameters different in the 2nd light transmissive microparticle 104b in the range of the weight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6.0 micrometers or more and 15.0 micrometers or less. When included, it means the weight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second light-transmitting fine particles having the largest weight average particle diameter. In addition, in this specification, "layer thickness of a light-diffusion layer" means the maximum thickness from the surface on the transparent base film 101 side of the light-diffusion layer 102 to the surface on the opposite side.

광확산층(102)의 층 두께는 1~30 ㎛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광확산층(102)의 층 두께가 1 ㎛ 미만의 경우, 액정 표시 장치의 전면(시인)측 표면에 배치되는 광확산 필름에 요구되는 충분한 내찰상성이 부여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또한, 층 두께가 30 ㎛를 넘는 경우, 제작한 광확산 필름에 발생하는 컬의 양이 커져, 다른 필름이나 기판에 접합하는 경우 등에 있어서의 취급성이 나빠진다. The layer thickness of the light diffusion layer 102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1 to 30 µm. When the layer thickness of the light-diffusion layer 102 is less than 1 micrometer, sufficient scratch resistance required for the light-diffusion film arrange | positioned at the front surface (viewing) side surface of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may not be provided. Moreover, when layer thickness exceeds 30 micrometers, the quantity of the curl which generate | occur | produces in the produced light-diffusion film becomes large, and the handleability in the case of joining to another film or a board | substrate worsens.

[제2 광확산 필름의 광학 특성][Optical Properties of Second Light Diffusion Film]

(1) 투과 선명도(1) transmission clarity

제2 광확산 필름은, 암부 및 명부의 폭이 0.125 mm, 0.5 mm, 1.0 mm 및 2.0 mm인 4 종류의 광학 빗을 통하여 측정되는 투과 선명도의 합(이하, 단순히 「투과 선명도」라고 함)이 50% 이상 3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광확산 필름의 투과 선명도가 이 범위 내이면, 정면 휘도 향상과 도트 인식 방지의 양립이 달성되기 쉽다. 「암부 및 명부의 폭이 0.125 mm, 0.5 mm, 1.0 mm 및 2.0 mm인 4 종류의 광학 빗을 통하여 측정되는 투과 선명도의 합」이란, JIS K 7105에 준거하여, 암부와 명부의 폭의 비가 1:1이고, 그 폭이 0.125 mm, 0.5 mm, 1.0 mm 및 2.0 mm인 4 종류의 광학 빗을 이용하여 측정되는 투과 선명도(상선명도)의 합이다. 따라서, 여기서 말하는 「투과 선명도」의 최대치는 400%가 된다. The second light-diffusion film has a sum of transmission clarity (hereinafter, simply referred to as `` transmission clarity '') measured through four types of optical combs having a width of 0.125 mm, 0.5 mm, 1.0 mm, and 2.0 mm in the width of the dark part and the roll. It is preferable that they are% or more and 300% or less. If the transmission clarity of a light-diffusion film is in this range, both front brightness improvement and dot recognition prevention will be easy to be achieved. The sum of the transmission clarity measured through four types of optical combs having the width of the dark portion and the roll of 0.125 mm, 0.5 mm, 1.0 mm, and 2.0 mm is a ratio of the width of the dark portion and the width of 1 in accordance with JIS K 7105. 1, and the sum of transmission clarity (image sharpness) measured using four types of optical combs whose widths are 0.125 mm, 0.5 mm, 1.0 mm and 2.0 mm. Therefore, the maximum value of "transmission sharpness" here is 400%.

광확산 필름의 투과 선명도가 50% 미만인 경우, 광산란이 지나치게 강하기 때문에, 광확산 필름을 액정 표시 장치에 적용했을 때에, 액정 표시 장치의 정면 방향의 빛이 광확산층에 의해 지나치게 산란되어 버리는 등의 원인에 의해, 투과 선명도가 상기 범위 내인 경우와 비교하여 정면 휘도가 저하되고, 이에 따라 화상 흐려짐이 발생하는 등의 표시 품위의 저하가 생기는 경우가 있다. 또한, 투과 선명도가 300%를 넘는 경우는 도트 은폐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제2 광확산 필름의 투과 선명도는 정면 휘도 향상과 도트 인식 방지를 보다 높은 수준으로 양립시킨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70% 이상 250%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90% 이상 230% 이하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100% 이상 200% 이하이다. In the case where the transmission clarity of the light diffusion film is less than 50%, light scattering is too strong, and when the light diffusion film is applied to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ight in the front direction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s scattered excessively by the light diffusion layer. As a result, the front luminance decreases as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the transmission clarity is within the above range, whereby the display quality such as image blurring may occur. In addition, in the case where the transmission clarity exceeds 300%, dot concealability may be lowered. The transparency of the second light diffusing film is preferably 70% or more and 250% or less, more preferably 90% or more and 230% or less, particularly from the viewpoint of achieving a higher level of front brightness improvement and preventing dot recognition. Preferably it is 100% or more and 200% or less.

투과 선명도의 측정은 제1 광확산 필름의 경우와 같은 식으로 행할 수 있다. The transmission sharpness can be measured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case of the first light diffusing film.

(2) 헤이즈(2) haze

제2 광확산 필름은 헤이즈가 30% 이상 7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50% 이상 65%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헤이즈가 30% 미만인 경우, 헤이즈가 상기 범위 내인 경우와 비교하여 도트 은폐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또한, 헤이즈가 70%를 넘는 경우, 광산란이 지나치게 강하여, 헤이즈가 상기 범위 내인 경우와 비교하여 정면 휘도가 저하하고, 이에 따라 화상 흐려짐이 발생하는 등의 표시 품위의 저하가 생기는 경향이 있다. 또한, 헤이즈가 70%를 넘는 경우는 광확산 필름의 투명성이 손상되는 경향이 있다. It is preferable that haze is 30% or more and 70% or less, and, as for a 2nd light-diffusion film,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y are 50% or more and 65% or less. When haze is less than 30%, there exists a tendency for dot concealability to fall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haze exists in the said range. In addition, when the haze exceeds 70%, light scattering is excessively strong, so that the front luminance decreases as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the haze falls within the above range, whereby there is a tendency that the display quality such as image blurring occurs. In addition, when haze exceeds 70%, the transparency of a light-diffusion film tends to be impaired.

여기서, 「헤이즈」란, 제1 광확산 필름에 있어서의 규정과 마찬가지이며, 또한 광확산 필름의 경우와 같은 식으로 측정할 수 있다. Here, "haze" is the same as the regulation in a 1st light-diffusion film, and can be measured by the same method as the case of a light-diffusion film.

한편, 제2 광확산 필름은, 도 6에 도시되는 광확산 필름(300')과 같이, 광확산층(102) 상(기재 필름(101)과는 반대측의 면상)에 적층된 투광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수지층(105)을 갖는 것이라도 좋다. 이 경우, 수지층(105)의 표면(광확산층(102)과는 반대측의 표면)의 중심선 평균 거칠기(Ra)는 0.2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the second light diffusing film may be made of a light-transmissive resin laminated on the light diffusing layer 102 (the surface on the side opposite to the base film 101), like the light diffusing film 300 'shown in FIG. 6. The layer 105 may be provided.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center line average roughness Ra of the surface (surface opposite to the light-diffusion layer 102) of the resin layer 105 is 0.2 micrometer or less.

또한, 제2 광확산 필름은 광확산층(102) 상(기재 필름(101)과는 반대측의 면상)에 적층된 반사 방지층을 더 구비하고 있더라도 좋다. 반사 방지층은 광확산층(102) 상에 직접 형성하더라도 좋고, 투명 필름 상에 반사 방지층을 형성한 반사 방지 필름을 별도 준비하여, 이것을 점착제 또는 접착제를 이용하여 광확산층(102) 상에 적층하더라도 좋다. 반사 방지층은 반사율을 끝없이 낮게 하기 위해서 마련되는 것으로, 반사 방지층의 형성에 의해 표시 화면에 비춰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반사 방지층으로서는, 광확산층(102)의 굴절율보다도 낮은 재료로 구성된 저굴절율층; 광확산층(102)의 굴절율보다 높은 재료로 구성된 고굴절율층과, 이 고굴절율층의 굴절율보다 낮은 재료로 구성된 저굴절율층과의 적층 구조 등을 들 수 있다. 반사 방지 필름을 점착제 또는 접착제를 이용하여 확산 필름에 적층하는 경우, 시판되는 반사 방지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Moreover, the 2nd light-diffusion film may further be provided with the anti-reflective layer laminated | stacked on the light-diffusion layer 102 (on the surface on the opposite side to the base film 101). The antireflection layer may be formed directly on the light diffusion layer 102, or an antireflection film in which an antireflection layer is formed on the transparent film may be separately prepared and laminated on the light diffusion layer 102 using an adhesive or an adhesive. The antireflection layer is provided to lower the reflectance endlessly, and can be prevented from shining onto the display screen by forming the antireflection layer. Examples of the antireflection layer include a low refractive index layer made of a material lower than the refractive index of the light diffusing layer 102; The laminated structure of the high refractive index layer which consists of a material higher than the refractive index of the light-diffusion layer 102, and the low refractive index layer which consists of a material lower than the refractive index of this high refractive index layer is mentioned. When laminating | stacking an antireflection film to a diffusion film using an adhesive or an adhesive agent, a commercially available antireflection film can be used.

또한, 제2 광확산 필름은 광확산층(102) 상(기재 필름(101)과는 반대측의 면)에 적층된 표면 요철을 갖는 층을 더 구비하고 있더라도 좋다. 표면 요철을 갖는 층은 광확산층(102) 상에 직접 형성하더라도 좋고, 투명 필름 상에 표면 요철을 갖는 층을 형성한 표면 요철을 갖는 필름을 별도 준비하여, 이것을 점착제 또는 접착제를 이용하여 광확산층(102) 상에 적층하더라도 좋다. 표면 요철을 갖는 층의 표면(광확산층(102)과는 반대측의 표면)의 중심선 평균 거칠기(Ra)는 0.2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Moreover, the 2nd light-diffusion film may further be provided with the layer which has surface uneven | corrugated laminated | stacked on the light-diffusion layer 102 (surface on the opposite side to the base film 101). The layer having the surface irregularities may be formed directly on the light diffusing layer 102, and a film having the surface irregularities having the layer having the surface irregularities formed on the transparent film is separately prepared, and the light diffusing layer ( It may be laminated on 102. It is preferable that the center line average roughness Ra of the surface (surface on the opposite side to the light-diffusion layer 102) of the layer which has surface unevenness is 0.2 micrometer or less.

표면 요철을 갖는 층으로서는 예컨대 방현층을 들 수 있다. 방현층은 표면에서의 난반사를 이용하여 표시 화면에 비춰 들어가는 것을 저감하기 위해서 마련된다. 광확산층(102) 상에 방현층을 형성하는 경우, 공지된 방법이 이용되는데, 예컨대, 광확산층(102) 상에 투광성 미립자를 함유하는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을 박막형으로 도공하여, 경화함으로써 방현층을 형성할 수 있다. 방현 필름을 점착제 또는 접착제를 이용하여 광확산층(102) 상에 적층하는 경우, 시판되는 방현 필름을 사용하더라도 좋고, 상기한 방법에 준거하여, 투명 필름 상에 방현층을 형성한 것을 제작하여 이용하더라도 좋다. As a layer which has surface unevenness, an anti-glare layer is mentioned, for example. An anti-glare layer is provided in order to reduce the reflection on a display screen using the diffuse reflection on the surface. When forming an anti-glare layer on the light diffusion layer 102, a known method is used, for example, by coating a UV curable resin composition containing light-transmitting fine particles in a thin film form, and curing the anti-glare layer Can be formed. When laminating | stacking an anti-glare film on the light-diffusion layer 102 using an adhesive or an adhesive agent, you may use a commercially available anti-glare film, and produce and use what formed the anti-glare layer on the transparent film based on the method mentioned above. good.

[광확산 필름의 제조 방법][Method of Manufacturing Light Diffusion Film]

이어서, 광확산 필름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광확산 필름(제1 광확산 필름 또는 제2 광확산 필름)은 바람직하게는 다음 공정 (A) 및 (B)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서 제조된다. Next,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a light-diffusion film is demonstrated. The light-diffusion film (first light-diffusion film or second light-diffusion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produced by a method comprising the following steps (A) and (B).

(A) 기재 필름(101) 상에, 투광성 미립자(104)가 분산된 수지액을 도포하는 공정, 및 (A) Process of apply | coating resin liquid in which translucent microparticles | fine-particles 104 were disperse | distributed on the base film 101, and

(B) 상기 수지액으로 형성된 층의 표면에 금형의 경면 또는 요철면을 전사하는 공정. (B) The process of transferring the mirror surface or uneven surface of a metal mold | die to the surface of the layer formed from the said resin liquid.

상기 공정(A)에서 이용하는 수지액은, 투광성 미립자(104), 광확산층(102)을 구성하는 투광성 수지(103) 또는 이것을 형성하는 수지(예컨대,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 열 경화형 수지 또는 금속 알콕시드) 및 필요에 따라 용매 등의 그 밖의 성분을 포함한다. 투광성 수지(103)를 형성하는 수지로서 자외선 경화형 수지를 이용하는 경우, 상기 수지액은 광중합 개시제(라디칼 중합 개시제)를 포함한다.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예컨대 아세토페논계 광중합 개시제, 벤조인계 광중합 개시제, 벤조페논계 광중합 개시제, 티오크산톤계 광중합 개시제, 트리아진계 광중합 개시제, 옥사디아졸계 광중합 개시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광중합 개시제로서 예컨대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포스핀옥사이드, 2,2'-비스(o-클로로페닐)-4,4',5,5'-테트라페닐-1,2'-비이미다졸, 10-부틸-2-클로로아크리돈, 2-에틸안트라퀴논, 벤질, 9,10-페난트렌퀴논, 캄파퀴논, 페닐글리옥실산메틸, 티타노센 화합물 등도 이용할 수 있다. 광중합 개시제의 사용량은 통상 수지액에 함유되는 자외선 경화형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5~20 중량부이며, 바람직하게는 1~5 중량부이다. 한편, 광확산 필름의 광학 특성 및 표면 형상을 균질한 것으로 하기 위해서, 수지액 중의 투광성 미립자(104)의 분산은 등방 분산인 것이 바람직하다. The resin liquid used in the said process (A) is the translucent resin 103 which comprises the translucent microparticles 104 and the light-diffusion layer 102, or resin which forms this (for example, ionizing radiation curable resin, thermosetting resin, or metal alkoxide). ) And other components, such as a solvent, as needed. When ultraviolet curable resin is used as resin which forms translucent resin 103, the said resin liquid contains a photoinitiator (radical polymerization initiator). As a photoinitiator, an acetophenone type photoinitiator, a benzoin type photoinitiator, a benzophenone type photoinitiator, a thioxanthone type photoinitiator, a triazine type photoinitiator, an oxadiazole type photoinitiator, etc. are mentioned, for example. Further, for example, 2,4,6-trimethylbenzoyldiphenylphosphine oxide, 2,2'-bis (o-chlorophenyl) -4,4 ', 5,5'-tetraphenyl-1,2' as a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Biimidazole, 10-butyl-2-chloroacridone, 2-ethylanthraquinone, benzyl, 9,10-phenanthrenequinone, camphorquinone, methyl phenylglyoxylate, titanocene compound and the like can also be used. The usage-amount of a photoinitiator is 0.5-20 weight part with respect to 100 weight part of ultraviolet curable resins normally contained in resin liquid, Preferably it is 1-5 weight part.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make the optical characteristic and surface shape of a light-diffusion film homogeneous, it is preferable that dispersion of the translucent microparticles | fine-particles 104 in resin liquid is isotropic dispersion.

상기 수지액의 기재 필름(101) 상에의 도포는 예컨대 그라비아코트법, 마이크로그라비아코트법, 로드코트법, 나이프코트법, 에어나이프코트법, 키스코트법, 다이코트법 등에 의해서 행할 수 있다. 수지액의 도포에서는 상술한 것과 같이 광확산층(102)의 층 두께가 투광성 미립자(104)의 중량 평균 입경에 대하여 1배 이상 3배 이하가 되도록 도포 막 두께를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pplication of the resin liquid onto the base film 101 can be carried out by, for example, the gravure coating method, the microgravure coating method, the rod coating method, the knife coating method, the air knife coating method, the kiss coating method, the die coating method, or the like. In application | coating of resin liquid, it is preferable to adjust the coating film thickness so that the layer thickness of the light-diffusion layer 102 may become 1 times or more and 3 times or less with respect to the weight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translucent microparticles | fine-particles as mentioned above.

수지액의 도포성 개량 또는 광확산층(102)과의 접착성 개량을 목적으로 하여, 기재 필름(101)의 표면(광확산층(102)측 표면)에는 각종 표면 처리를 실시하더라도 좋다. 표면 처리로서는 코로나 방전 처리, 글로우 방전 처리, 산 표면 처리, 알칼리 표면 처리, 자외선 조사 처리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기재 필름(101) 상에 예컨대 프라이머층 등의 다른 층을 형성하고, 이 다른 층 위에 수지액을 도포하도록 하더라도 좋다.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the coatability of the resin liquid or the adhesiveness with the light diffusing layer 102, various surface treatments may be performed on the surface of the base film 101 (the surface of the light diffusing layer 102 side). Corona discharge treatment, glow discharge treatment, acid surface treatment, alkali surface treatment, ultraviolet irradiation treatment, etc. are mentioned as surface treatment. In addition, you may form another layer, such as a primer layer, on the base film 101, and apply | coat a resin liquid on this other layer.

또한, 본 발명의 광확산 필름을 후술하는 편광 필름의 보호 필름으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기재 필름(101)과 편광 필름과의 접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기재 필름(101)의 표면(광확산층(102)과는 반대측의 표면)을 각종 표면 처리에 의해서 친수화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when using the light-diffusion film of this invention as a protective film of the polarizing film mentioned later, in order to improve the adhesiveness of the base film 101 and a polarizing film, the surface (light-diffusion layer ( 102) is preferably hydrophilized by various surface treatments.

상기 공정(B)에서는, 상기 수지액으로 형성된 층의 표면에 금형의 경면 또는 요철면을 전사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1에 도시되는 것 같은 평탄한 표면을 갖는 광확산층을 얻기 위해서는, 상기 수지액으로 형성된 층의 표면에, 경면을 갖는 금형(경면 금형)의 그 경면을 밀착시켜 경면을 전사한다. 또한, 도 2에 도시되는 것 같은 요철 표면 형상을 갖는 광확산층을 얻기 위해서는, 상기 수지액으로 형성된 층의 표면에 요철면을 갖는 금형(엠보스 가공용 금형)의 그 요철면을 밀착시켜 요철면을 전사한다. 경면 금형은 경면 금속제 롤이라도 좋고, 또한, 엠보스 가공용 금형은 엠보스 가공용 금속제 롤이라도 좋다. 이와 같이, 금형의 경면 또는 요철면을 광확산층(102)의 표면에 전사함으로써, 투광성 미립자(104)가 광확산층(102)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어, 원하는 표면 형상을 갖는 광확산층(102)을 형성할 수 있다. In the said process (B), the mirror surface or uneven surface of a metal mold | die is transferred to the surface of the layer formed from the said resin liquid. Specifically, in order to obtain a light-diffusion layer having a flat surface as shown in FIG. 1, the mirror surface of the mold (mirror mold) having a mirror surface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layer formed of the resin liquid to transfer the mirror surface. In addition, in order to obtain a light-diffusion layer having a concave-convex surface shape as shown in FIG. Warriors The mirror mold may be a mirror metal roll, and the mold for embossing may be a metal roll for embossing. In this way, by transferring the mirror surface or the concave-convex surface of the mold onto the surface of the light diffusing layer 102, the light-transmitting fine particles 104 can be reliably prevented from protruding from the surface of the light diffusing layer 102, thereby having a desired surface shape. The light diffusion layer 102 may be formed.

투광성 수지(103)를 형성하는 수지로서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 열 경화형 수지 또는 금속 알콕시드를 이용하는 경우는, 상기 수지액으로 이루어지는 층을 형성하고, 필요에 따라 건조(용매의 제거)를 행하고, 그 수지액으로 형성된 층의 표면에 금형의 경면 또는 요철면을 밀착시킨 상태에서 또는 밀착시킨 후, 전리 방사선의 조사(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를 이용하는 경우) 또는 가열(열 경화형 수지 또는 금속 알콕시드를 이용하는 경우)에 의해 수지액으로 형성된 층을 경화시킨다. 전리 방사선으로서는 수지액에 포함되는 수지의 종류에 따라서 자외선, 전자선, 근자외선, 가시광선, 근적외선, 적외선, X선 등에서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는데, 이들 중에서도 자외선, 전자선이 바람직하고, 특히 취급이 간편하고 고에너지를 얻을 수 있으므로 자외선이 바람직하다. When ionizing radiation curable resin, thermosetting resin, or a metal alkoxide is used as resin which forms translucent resin 103, the layer which consists of said resin liquid is formed, and if necessary, it is dried (removing solvent), and the When the mirror surface or the uneven surface of the mold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layer formed of the resin liquid, or after being closely adhered to, the irradiation of ionizing radiation (when using an ionizing radiation curable resin) or heating (using a thermosetting resin or metal alkoxide) ), The layer formed of the resin liquid is cured. The ionizing radiation can be appropriately selected from ultraviolet rays, electron beams, near ultraviolet rays, visible rays, near infrared rays, infrared rays, and X rays depending on the type of resin contained in the resin liquid. Among these, ultraviolet rays and electron beams are preferable, and handling is particularly easy. Ultraviolet light is preferable because high energy can be obtained.

자외선 광원으로서는 예컨대 저압 수은등, 중압 수은등, 고압 수은등, 초고압 수은등, 카본아크등, 메탈할라이드 램프, 크세논 램프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ArF 엑시머 레이저, KrF 엑시머 레이저, 엑시머 램프 또는 싱크로트론 방사광 등도 이용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초고압 수은등, 고압 수은등, 저압 수은등, 크세논 램프, 메탈할라이드 램프가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As the ultraviolet light source, for example, a low pressure mercury lamp, a medium pressure mercury lamp, a high pressure mercury lamp, an ultra high pressure mercury lamp, a carbon arc lamp, a metal halide lamp, a xenon lamp, and the like can be used. An ArF excimer laser, a KrF excimer laser, an excimer lamp, or a synchrotron radiation can also be used. Among these, an ultra high pressure mercury lamp, a high pressure mercury lamp, a low pressure mercury lamp, a xenon lamp, and a metal halide lamp are used preferably.

전자선으로서는 코크로프트-월턴형, 반데그라프형, 공진 변압형, 절연 코어 변압형, 직선형, 다이나미트론형, 고주파형 등의 각종 전자선 가속기로부터 방출되는 50~1000 keV, 바람직하게는 100~300 keV의 에너지를 갖는 전자선을 들 수 있다. Examples of the electron beam include 50-1000 keV, preferably 100-300 keV, emitted from various electron beam accelerators such as cocroft-walton type, vandegraph type, resonant transformer type, insulating core transformer type, linear type, dynamtron type and high frequency type. The electron beam which has energy of is mentioned.

이어서, 본 발명의 광확산 필름을 제조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관해서 설명한다. 이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른 제조 방법은 본 발명의 광확산 필름을 연속적으로 제조하기 위해서, 롤 형상으로 감긴 기재 필름(101)을 연속적으로 송출하는 공정, 투광성 미립자(104)가 분산된 수지액을 기재 필름(101) 상에 도포하고, 필요에 따라 건조시키는 공정, 수지액으로 형성된 층을 경화시키는 공정, 및 얻어진 광확산 필름을 권취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이러한 제조 방법은 예컨대 도 7에 도시되는 제조 장치를 이용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하, 도 7을 참조하면서 상기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른 제조 방법에 관해서 설명한다.  Next, preferable embodiment for manufacturing the light-diffusion film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In order to manufacture the light-diffusion film of this invention continuously, the manufacturing method which concerns on this preferable embodiment is a process of sending out the base film 101 wound by roll shape continuously, and the resin liquid in which the translucent microparticles 104 was disperse | distributed The process of apply | coating on the film 101 and drying as needed, the process of hardening the layer formed from the resin liquid, and the process of winding up the obtained light-diffusion film are included. Such a manufacturing method can be performed using the manufacturing apparatus shown in FIG. 7, for example. Hereinafter, the manufacturing method which concerns on said preferable embodiment is demonstrated, referring FIG.

우선, 감아내기 장치(401)에 의해 기재 필름(101)이 연속적으로 감아내어진다. 이어서, 감아내어진 기재 필름(101) 상에, 도공 장치(402) 및 이에 대향하는 백업 롤(403)을 사용하여, 투광성 미립자(104)가 분산된 수지액이 도공된다. 이어서, 수지액에 용매가 포함되는 경우에는, 수지액이 도공된 기재 필름(101)을 건조기(404)를 통과시킴으로써 건조시킨다. 이어서, 수지액으로 형성된 층이 형성된 기재 필름(101)은 경면 금속제 롤 또는 엠보스 가공용 금속제 롤(405)과 닙 롤(406) 사이로, 그 수지액으로 형성된 층이 경면 금속제 롤 또는 엠보스 가공용 금속제 롤(405)과 밀착하도록 감겨진다. 이에 따라, 수지액으로 형성된 층의 표면에 경면 금속제 롤의 경면 또는 엠보스 가공용 금속제 롤의 요철면이 전사된다. 이어서, 기재 필름(101)이 경면 금속제 롤 또는 엠보스 가공용 금속제 롤(405)에 감겨진 상태에서, 기재 필름(101)을 통하여 자외선 조사 장치(408)로부터 자외선을 조사함으로써 수지액으로 형성된 층을 경화시킨다. 자외선 조사에 의해 조사면이 고온으로 되므로, 경면 금속제 롤 또는 엠보스 가공용 금속제 롤(405)은 그 표면 온도를 실온~80℃ 정도로 조정하기 위한 냉각 장치를 그 내부에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자외선 조사 장치(408)는 1기(機) 혹은 복수 기를 사용할 수 있다. 광확산층(102)이 형성된 기재 필름(101)(광확산 필름)은 박리 롤(407)에 의해서, 경면 금속제 롤 또는 엠보스 가공용 금속제 롤(405)로부터 박리된다. 이상과 같이 하여 제작된 광확산 필름은 권취 장치(409)에 권취된다. 이 때, 광확산층(102)을 보호할 목적으로, 재박리성을 지닌 점착제층을 통해, 광확산층(102) 표면에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나 폴리에틸렌 등으로 이루어지는 보호 필름을 점착하면서 광확산 필름을 권취하더라도 좋다. First, the base film 101 is wound up continuously by the winding device 401. Next, the resin liquid in which the translucent microparticles | fine-particles 104 were disperse | distributed is coated on the base film 101 wound up using the coating apparatus 402 and the backup roll 403 which opposes. Subsequently, when a solvent is contained in the resin liquid, the substrate film 101 coated with the resin liquid is dried by passing through the dryer 404. Subsequently, the base film 101 with a layer formed of a resin liquid is formed between a mirror metal roll or an embossing metal roll 405 and a nip roll 406, and the layer formed of the resin liquid is a mirror metal roll or an embossing metal. It is woun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roll 405. Thereby, the mirror surface of the mirror metal roll or the uneven surface of the metal roll for embossing is transferred to the surface of the layer formed of the resin liquid. Subsequently, in a state where the base film 101 is wound around a mirror metal roll or an embossing metal roll 405, the layer formed of the resin liquid is irradiated with ultraviolet rays from the ultraviolet irradiation device 408 through the base film 101. Harden. Since the irradiation surface becomes high temperature by ultraviolet irradia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mirror surface metal roll or the metal roll for embossing process 405 is equipped with the cooling apparatus for adjusting the surface temperature in room temperature to about 80 degreeC inside. In addition, the ultraviolet irradiation device 408 can use 1 group or multiple devices. The base film 101 (light-diffusion film) in which the light-diffusion layer 102 was formed is peeled from the mirror surface metal roll or the embossing metal roll 405 by the peeling roll 407. FIG. The light-diffusion film produced as mentioned above is wound up by the winding-up apparatus 409. At this time, for the purpose of protecting the light diffusing layer 102, even if the light diffusing film is wound while adhering a protective film made of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ethylene, etc. to the surface of the light diffusing layer 102 through an adhesive layer having re-peelability. good.

한편, 박리 롤(407)에 의해서 경면 금속제 롤 또는 엠보스 가공용 금속제 롤(405)로부터 박리된 후에, 광확산 필름에 대하여 추가적인 자외선 조사를 행하더라도 좋다. 또한, 경면 금속제 롤 또는 엠보스 가공용 금속제 롤(405)에 감겨진 상태에서 자외선 조사를 행하는 대신에, 미경화의 수지액으로 형성된 층이 적층된 기재 필름(101)을 경면 금속제 롤 또는 엠보스 가공용 금속제 롤(405)로부터 박리한 후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수지액으로 형성된 층을 경화시키더라도 좋다. On the other hand, after peeling from the mirror metal roll or the embossing metal roll 405 by the peeling roll 407, you may perform additional ultraviolet irradiation with respect to a light-diffusion film. In addition, instead of performing ultraviolet irradiation in the state wound around the mirror metal roll or the embossing metal roll 405, the base film 101 in which the layer formed from the uncured resin liquid was laminated | stacked was used for the mirror metal roll or embossing process. After peeling from the metal roll 405, you may irradiate an ultraviolet-ray and harden the layer formed from the resin liquid.

<광확산성 편광판> <Light diffusing polarizer>

상술한 본 발명의 광확산 필름은 편광판과 조합함으로써 광확산성 편광판으로 할 수 있다. 이 광확산성 편광판은 편광 기능과 광확산(방현) 기능을 갖는 다 기능 필름이며, 엣지라이트형 면광원을 탑재하는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액정 셀의 전면(시인)측에 배치되는 전면측 편광판으로서 이용된다. The light-diffusion film of this invention mentioned above can be made into a light-diffusion polarizing plate by combining with a polarizing plate. This light-diffusion polarizing plate is a multifunctional film which has a polarizing function and a light-diffusion (anti-glare) function, and is a front side polarizing plate arrange | positioned at the front side (viewing) side of the liquid crystal cell in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hich mounts an edge light type surface light source. It is used as.

본 발명의 광확산성 편광판은 적어도 편광 필름을 갖는 편광판과, 기재 필름측이 상기 편광판에 대향하도록 상기 편광판 상에 적층된 상기 본 발명의 광확산 필름을 구비하는 것이다. 광확산 필름은 접착제층 또는 점착제층을 통해 편광판 상에 적층할 수 있다. 편광판은 종래 공지된 구성이라도 좋으며, 예컨대 편광 필름의 한쪽 면 또는 양면에 보호 필름을 갖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편광판은 편광 필름 그 자체라도 좋다. 도 8은 본 발명의 광확산성 편광판의 바람직한 일례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8에 도시되는 광확산성 편광판(500)은 편광 필름(501) 및 이 편광 필름(501)의 한쪽 면에 점착된 보호 필름(502)으로 이루어지는 편광판(510)과, 편광 필름(501)의 다른 쪽 면에 점착된 광확산 필름(100)을 구비한다. 광확산 필름(100)은 그 기재 필름(101)측이 편광판(510)의 편광 필름(501)에 대향하도록 점착되어 있다. 광확산 필름(100) 및 보호 필름(502)은 도시하지 않는 접착제층을 통해 편광 필름(501)에 점착된다. 이와 같은 편광 필름(501)과 광확산 필름(100)이 접착제층을 통해 점착되는 구성, 즉 광확산 필름(100)을 편광 필름(501)의 보호 필름으로서 사용하는 구성은 광확산성 편광판의 박막화에 유리하다. The light-diffusion polarizing plate of this invention is equipped with the polarizing plate which has a polarizing film at least, and the light-diffusion film of this invention laminated | stacked on the said polarizing plate so that a base film side may face the said polarizing plate. The light diffusing film can be laminated on the polarizing plate through an adhesive layer or an adhesive layer. The polarizing plate may have a conventionally known configuration, and for example, generally has a protective film on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polarizing film. In addition, the polarizing plate may be a polarizing film itself. 8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referable example of the light diffusing polarizing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ight diffusing polarizing plate 500 illustrated in FIG. 8 includes a polarizing plate 510 made of a polarizing film 501 and a protective film 502 adhered to one surface of the polarizing film 501, and a polarizing film 501. It is provided with the light-diffusion film 100 adhere | attached on the other side. The light-diffusion film 100 is stuck so that the base film 101 side may face the polarizing film 501 of the polarizing plate 510. The light diffusion film 100 and the protective film 502 are adhered to the polarizing film 501 through an adhesive layer not shown. Such a structure in which the polarizing film 501 and the light diffusing film 100 adhere to each other through an adhesive layer, that is, the structure in which the light diffusing film 100 is used as a protective film of the polarizing film 501 may be thinned in the light diffusing polarizing plate. It is advantageous to

편광 필름(501)으로서는 예컨대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폴리초산비닐 수지, 에틸렌/초산비닐(EVA)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필름에, 이색성 염료 또는 요소를 흡착 배향시킨 것, 배향한 폴리비닐알코올의 이색성 탈수 생성물(폴리비닐렌)의 분자쇄를 함유하는 폴리비닐알코올/폴리비닐렌 코폴리머를 갖는 분자적으로 배향한 폴리비닐알코올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에 이색성 염료 또는 요소를 흡착 배향시킨 것이 편광 필름으로서 적합하게 사용된다. 편광 필름(501)의 두께에 특별히 한정은 없지만, 일반적으로는 편광판(510)의 박형화 등의 관점에서 100 ㎛ 이하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50 ㎛의 범위, 더욱 바람직하게는 25~35 ㎛의 범위이다. As the polarizing film 501, a dichroic dye or urea is adsorbed and oriented on a film made of, for exampl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polyvinyl acetate resin, ethylene / vinyl acetate (EVA) resin, polyamide resin, polyester resin, or the like. And a molecularly oriented polyvinyl alcohol film having a polyvinyl alcohol / polyvinylene copolymer containing a molecular chain of a dichroic dehydration product (polyvinylene) of the oriented polyvinyl alcohol. In particular, what adsorbed and oriented a dichroic dye or urea to a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film is suitably used as a polarizing film. Although there is no restriction | limiting in particular in the thickness of the polarizing film 501, Generally, from a viewpoint of thickness reduction of the polarizing plate 510, etc., 100 micrometers or less are preferable, More preferably, it is the range of 10-50 micrometers, More preferably, 25- 35 micrometers.

편광 필름(501)의 보호 필름(502)으로는 저복굴절성이며, 투명성, 기계적 강도, 열 안정성 및 수분 차폐성 등이 우수한 폴리머로 이루어지는 필름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필름으로서는 예컨대 TAC(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4불화에틸렌/6불화프로필렌계 공중합체와 같은 불소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이미드계 수지; 폴리술폰계 수지; 폴리에테르술폰계 수지; 폴리스티렌계 수지;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폴리올레핀계 수지; 또는 폴리아미드계 수지 등의 수지로 이루어지는 필름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편광판의 편광 특성이나 내구성 등의 점에서 표면을 알칼리 등으로 비누화 처리한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이나 노르보르넨계 열가소성 수지 필름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노르보르넨계 열가소성 수지 필름은 내습열성이 높기 때문에, 편광판의 내구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흡습성이 작기 때문에, 치수 안정성이 높아, 특히 적합하다. 상기 수지의 필름에의 성형 가공은 캐스팅법, 카렌더법, 압출법의 종래 공지된 방법을 이용할 수 있는, 보호 필름(502)의 두께에 한정은 없지만, 편광판(510)의 박막화 등의 관점에서 500 ㎛ 이하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300 ㎛의 범위, 더욱 바람직하게는 5~150 ㎛의 범위이다. As the protective film 502 of the polarizing film 501, a film made of a polymer having low birefringence and excellent in transparency, mechanical strength, thermal stability, moisture shielding property, and the like is preferable. As such a film, For example, cellulose acetate type resins, such as TAC (triacetyl cellulose); Acrylic resin; Fluorine resins such as tetrafluoroethylene / hexafluoropropylene copolymers; Polycarbonate resins; Polyester-based resins such as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imide resin; Polysulfone resins; Polyether sulfone type resin; Polystyrene resin; Polyvinyl alcohol-based resins; Polyvinyl chloride resins; Polyolefin resin; Or the film which consists of resin, such as polyamide resin, is mentioned. Among them, a triacetyl cellulose film or a norbornene-based thermoplastic resin film obtained by saponifying a surface with an alkali or the like in terms of polarization characteristics, durability, and the like of the polarizing plate is preferably used. Since the norbornene-based thermoplastic resin film has high moisture and heat resistance, the durability of the polarizing plate can be greatly improved, and since the hygroscopicity is small, the dimensional stability is high, which is particularly suitable. The molding of the resin to the film is not limited to the thickness of the protective film 502, which can be used by a conventionally known method such as casting, calendering, or extrusion. The micrometer or less is preferable, More preferably, it is the range of 5-300 micrometers, More preferably, it is the range of 5-150 micrometers.

이상과 같은 구성의 광확산성 편광판(500)은 전형적으로는 그 광확산 필름(100)이 광출사측(시인측)이 되도록 점착제층 등을 통해 액정 셀의 유리 기판에 점착되어 액정 표시 장치에 삽입된다. The light diffusing polarizing plate 500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is typically adhered to the glass substrate of the liquid crystal cell through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or the like so that the light diffusing film 100 becomes the light exiting side (viewing side) and is applied to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s inserted.

광확산성 편광판은 광확산층(102) 상에 적층된 반사 방지층을 더 구비하고 있더라도 좋다. 반사 방지층을 구비하는 광확산성 편광판으로서는, 예컨대 평탄면으로 이루어지는 광확산층(102)의 표면에 직접 반사 방지층(106)을 적층한 광확산성 편광판(도 9 참조); 평탄면으로 이루어지는 광확산층(102)의 표면에 투명 필름(107)과 반사 방지층(106)의 적층체로 이루어지는 반사 방지 필름을 접착제층 또는 점착제층(108)을 통해 적층한 광확산성 편광판(도 10 참조); 요철을 갖는 광확산층(102)의 표면에 직접 반사 방지층(106)을 적층한 광확산성 편광판(도 11 참조); 요철을 갖는 광확산층(102)의 표면에 투명 필름(107)과 반사 방지층(106)의 적층체로 이루어지는 반사 방지 필름을 접착제층 또는 점착제층(108)을 통해 적층한 광확산성 편광판(도 12 참조); 요철을 갖는 광확산층(102)의 표면에 적층된 투광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수지층(105)의 표면에 직접 반사 방지층(106)을 적층한 광확산성 편광판(도 13 참조); 요철을 갖는 광확산층(102)의 표면에 적층된 투광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수지층(105)의 표면에 투명 필름(107)과 반사 방지층(106)의 적층체로 이루어지는 반사 방지 필름을 접착제층 또는 점착제층(108)을 통해 적층한 광확산성 편광판(도 14 참조) 등을 들 수 있다. The light diffusing polarizing plate may further include an antireflection layer laminated on the light diffusing layer 102. As a light-diffusion polarizing plate provided with an anti-reflection layer, For example, the light-diffusion polarizing plate which laminated | stacked the anti-reflective layer 106 directly on the surface of the light-diffusion layer 102 which consists of a flat surface (refer FIG. 9); An optical-diffusion polarizing plate in which an antireflection film made of a laminate of a transparent film 107 and an antireflection layer 106 is laminat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diffusion layer 102 formed of a flat surface through an adhesive layer or an adhesive layer 108 (FIG. 10). Reference); A light diffusing polarizing plate in which the antireflection layer 106 is directly laminat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diffusing layer 102 having irregularities (see FIG. 11); The light diffusing polarizing plate which laminated | stacked the anti-reflective film which consists of a laminated body of the transparent film 107 and the anti-reflective layer 106 on the surface of the light-diffusion layer 102 which has an unevenness through the adhesive bond layer or the adhesive layer 108 (refer FIG. 12). ); A light diffusing polarizing plate (see FIG. 13) in which a direct antireflection layer 106 is laminated on the surface of the resin layer 105 made of a translucent resin laminat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diffusing layer 102 having irregularities; An antireflection film made of a laminate of a transparent film 107 and an antireflection layer 106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resin layer 105 made of a translucent resin laminat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diffusion layer 102 having irregularities. And a light diffusing polarizing plate (see FIG. 14) laminated through 108.

또한, 광확산성 편광판은 광확산층(102) 상에 적층된, 방현층 등의 표면 요철을 갖는 층을 더 구비하고 있더라도 좋다. 표면 요철을 갖는 층을 구비하는 광확산성 편광판으로서는 예컨대 평탄면으로 이루어지는 광확산층(102)의 표면에 직접 표면 요철을 갖는 층(601)을 적층한 광확산성 편광판(도 15 참조); 평탄면으로 이루어지는 광확산층(102)의 표면에 투명 필름(107)과 표면 요철을 갖는 층(601)과의 적층체로 이루어지는 필름을 접착제층 또는 점착제층(108)을 통해 적층한 광확산성 편광판(도 16 참조); 요철을 갖는 광확산층(102)의 표면에 직접 표면 요철을 갖는 층(601)을 적층한 광확산성 편광판(도 17 참조); 요철을 갖는 광확산층(102)의 표면에 투명 필름(107)과 표면 요철을 갖는 층(601)과의 적층체로 이루어지는 필름을 접착제층 또는 점착제층(108)을 통해 적층한 광확산성 편광판(도 18 참조); 요철을 갖는 광확산층(102)의 표면에 적층된 투광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수지층(105)의 표면에 직접 표면 요철을 갖는 층(601)을 적층한 광확산성 편광판(도 19 참조); 요철을 갖는 광확산층(102)의 표면에 적층된 투광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수지층(105)의 표면에 투명 필름(107)과 표면 요철을 갖는 층(601)과의 적층체로 이루어지는 필름을 접착제층 또는 점착제층(108)을 통해 적층한 광확산성 편광판(도 20 참조) 등을 들 수 있다. In addition, the light diffusing polarizing plate may further include a layer having surface irregularities such as an antiglare layer and laminated on the light diffusing layer 102. As a light-diffusion polarizing plate provided with the layer which has surface unevenness, For example, the light-diffusion polarizing plate which laminated | stacked the layer 601 which has surface unevenness directly on the surface of the light-diffusion layer 102 which consists of a flat surface (refer FIG. 15); A light diffusing polarizing plate in which a film made of a laminate of a transparent film 107 and a layer 601 having surface irregularities is laminat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diffusing layer 102 having a flat surface through an adhesive layer or an adhesive layer 108 ( 16; A light diffusing polarizing plate (see FIG. 17) in which a layer 601 having surface irregularities is laminated directly on the surface of the light diffusing layer 102 having irregularities; A light-diffusing polarizing plate obtained by laminating a film made of a laminate of a transparent film 107 and a layer 601 having surface irregularities on the surface of the light diffusing layer 102 having irregularities through an adhesive layer or an adhesive layer 108 (FIG. 18); A light diffusing polarizing plate (see Fig. 19) in which a layer 601 having surface irregularities is laminated directly on the surface of the resin layer 105 made of a translucent resin laminat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diffusing layer 102 having irregularities; An adhesive layer or pressure-sensitive adhesive is a film composed of a laminate of a transparent film 107 and a layer 601 having surface irregularities on the surface of the resin layer 105 made of a translucent resin laminat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diffusion layer 102 having irregularities. And a light diffusing polarizer (see FIG. 20) laminated through the layer 108.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이어서, 본 발명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에 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액정 표시 장치는, 엣지라이트형 면광원과, 엣지라이트형 면광원의 전면측에 배치되는 액정 셀과, 액정 셀의 전면측에 배치되는 전면측 편광판과, 전면측 편광판의 전면측에 배치되는 상기 본 발명의 광확산 필름을 구비하는 것으로, 통상은 엣지라이트형 면광원과 액정 셀과의 사이(광편향 수단을 구비하는 경우, 광편향 수단과 액정 셀과의 사이)에 배치된 배면측 편광판을 더 구비한다. 전면측 편광판과 광확산 필름과의 조합으로서, 상기 본 발명의 광확산성 편광판을 이용할 수 있다. Next,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is demonstrated.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dge light type surface light source, a liquid crystal cell disposed on the front side of the edge light type light source, a front side polarizer disposed on the front side of the liquid crystal cell, and a front side of the front side polarizer. The light diffusing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disposed, is usually disposed between the edge light type surface light source and the liquid crystal cell (when the optical deflection means is provided, between the optical deflection means and the liquid crystal cell). A side polarizing plate is further provided. As a combination of a front side polarizing plate and a light-diffusion film, the light-diffusion polarizing plate of the said invention can be used.

도 21은 본 발명의 액정 표시 장치의 바람직한 일례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21의 액정 표시 장치는 노멀 화이트 모드의 TN 방식의 액정 표시 장치로서, 엣지라이트형 면광원(702), 광편향 수단으로서의 2장의 프리즘 필름(704a, 704b), 배면측 편광판(705), 한 쌍의 투명 기판(711a, 711b) 사이에 액정층(712)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액정 셀(701) 및 전면측 편광판(706)과 본 발명에 따른 광확산 필름(707)으로 이루어지는 광확산성 편광판(710)이 이 순서로 배치되어 이루어진다. It is a schematic sectional drawing which shows a preferable example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of this invention. The liquid crystal display of Fig. 21 is a TN typ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of the normal white mode, which includes an edge light type surface light source 702, two prism films 704a and 704b as optical deflection means, a back side polarizing plate 705, and one A light diffusing polarizing plate consisting of a liquid crystal cell 701 in which a liquid crystal layer 712 is formed between a pair of transparent substrates 711a and 711b and a front side polarizing plate 706 and a light diffusing film 707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710 are arranged in this order.

도 22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배면측 편광판(705)과 전면측 편광판(706)은 이들의 투과축이 직교의 관계가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2장의 프리즘 필름(704a, 704b)은 각각 광입사측(면광원측)의 면이 평탄면이며, 광출사측(시인측)의 면(배면측 편광판(705)에 대향하는 표면)에 선형 프리즘(741a, 741b)이 평행하게 복수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프리즘 필름(704a)은 그 선형 프리즘(741a)의 능선(742a) 방향이 배면측 편광판(705)의 투과축 방향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되도록 배치되고, 프리즘 필름(704b)은 그 선형 프리즘(741b)의 능선(742b) 방향이 광확산성 편광판(710)을 구성하는 전면측 편광판(706)의 투과축 방향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단, 프리즘 필름(704b)의 선형 프리즘(741b)의 능선(742b) 방향이 배면측 편광판(705)의 투과축 방향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되도록 배치하고, 프리즘 필름(704a)의 선형 프리즘(741a)의 능선(742a) 방향이 광확산성 편광판(710)을 구성하는 전면측 편광판(706)의 투과축 방향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되도록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액정 표시 장치를 구성하는 구성 부재에 관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As shown in FIG. 22, the back side polarizing plate 705 and the front side polarizing plate 706 are arrange | positioned so that these transmission axes may become orthogonal. In addition, the two prism films 704a and 704b have flat surfaces on the light incidence side (surface light source side), respectively, and on the surface (surface facing the back side polarizing plate 705) on the light exit side (viewing side). A plurality of linear prisms 741a and 741b are formed in parallel. And the prism film 704a is arrange | positioned so that the direction of the ridgeline 742a of the linear prism 741a may become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transmission axis direction of the back side polarizing plate 705, and the prism film 704b is the linear prism ( The ridge line 742b direction of 741b is arrange | positioned so that it may become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transmission axis direction of the front side polarizing plate 706 which comprises the light-diffusion polarizing plate 710. As shown in FIG. However, the ridge line 742b direction of the linear prism 741b of the prism film 704b is disposed to be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transmission axis direction of the back side polarizing plate 705, and the linear prism 741a of the prism film 704a. It is also possible to arrange such that the direction of the ridge line 742a i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transmission axis direction of the front side polarizing plate 706 constituting the light diffusing polarizing plate 710. Hereinafter, the structural member which comprises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of this invention is demonstrated in detail.

[액정 셀][Liquid crystal cell]

액정 셀(701)은 스페이서에 의해 소정 거리를 이격하여 대향 배치된 한 쌍의 투명 기판(711a, 711b)과, 이 한 쌍의 투명 기판(711a, 711b) 사이에 봉입된 액정으로 구성되는 액정층(712)을 구비한다. 한 쌍의 투명 기판(711a, 711b)에는 각각 투명 전극이나 배향막이 적층 형성되어 있고, 투명 전극 사이에 표시 데이터에 기초한 전압이 인가됨으로써 액정이 배향된다. 액정 셀(701)의 표시 방식은 상기한 예에서는 TN 방식이지만, IPS 방식, VA 방식 등의 표시 방식이라도 좋다. The liquid crystal cell 701 is a liquid crystal layer composed of a pair of transparent substrates 711a and 711b facing each other by a spacer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a liquid crystal encapsulated between the pair of transparent substrates 711a and 711b. 712. A pair of transparent substrates 711a and 711b are formed by laminating transparent electrodes and an alignment film, respectively, and the liquid crystal is aligned by applying a voltage based on display data between the transparent electrodes. Although the display system of the liquid crystal cell 701 is a TN system in the above-mentioned example, display systems, such as an IPS system and a VA system, may be sufficient.

[엣지라이트형 면광원][Edge light type surface light source]

엣지라이트형 면광원(702)은 광원으로부터의 빛을 도광판에 입사하여, 도광판의 전면측 표면으로부터 빛을 출사하는 광원 장치이다. 이 엣지라이트형 면광원(702)은, 도 21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전면측이 개방된 상자형 형상의 램프 박스(720)와, 램프 박스(720) 내에 수용된 도광판(721)과, 램프 박스(720) 내로서, 도광판(721)의 측방에 배치되는 광원(722)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엣지라이트형 면광원(702)은 도광판(721)의 배면측에 배치된 반사 시트(723)를 구비하는 것이라도 좋다. 도광판(721)의 배면(반사 시트(723)측의 면)에는 도광판(721) 내에 입사한 빛을 확산(난반사)시켜, 도광판(721)의 전면측 표면으로부터 빛을 균일하게 출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도트 패턴(724)이 형성된다. 한편, 이러한 도트 패턴은 도광판의 전면측에 형성하더라도 좋다. 램프 박스(720)는 예컨대 백색의 수지판(아크릴계 수지판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The edge light type surface light source 702 is a light source device that enters light from a light source into a light guide plate and emits light from the front surface side of the light guide plate. As shown in FIG. 21, the edge light type light source 702 includes a box-shaped lamp box 720 having a front side open, a light guide plate 721 housed in the lamp box 720, and a lamp box. In 720, a light source 722 disposed on the side of the light guide plate 721 is provided. In addition, the edge light type surface light source 702 may be provided with the reflective sheet 723 arrange | positioned at the back side of the light guide plate 721. As shown in FIG. The back of the light guide plate 721 (the surface on the reflection sheet 723 side) diffuses (reflected reflection) the light incident in the light guide plate 721 so that light can be uniformly emitted from the front surface of the light guide plate 721. Dot pattern 724 is formed. On the other hand, such a dot pattern may be formed on the front side of the light guide plate. The lamp box 720 can be comprised, for example with a white resin board (acrylic resin board etc.).

광원(722)은 선형 광원, 점형 광원의 어느 것이라도 좋으며, 예컨대 냉음극관이나 발광 다이오드(LED) 등을 이용할 수 있다. 광원(722)은 도광판(721)의 한 변에만 따르도록 배치되더라도 좋고, 대향하는 두 변에 배치되더라도 좋고, 세 변, 나아가서는 네 변에 배치되더라도 좋다. The light source 722 may be either a linear light source or a point light source, and for example, a cold cathode tube, a light emitting diode (LED), or the like can be used. The light source 722 may be disposed along only one side of the light guide plate 721, may be disposed on two opposite sides, or may be disposed on three sides, or four sides.

도광판(721)은 폴리메타크릴산메틸 수지 등의 아크릴계 수지, 메타크릴산메틸-스티렌 공중합체 수지, 폴리스티렌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올레핀계 수지 또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등의 투명 수지로 구성할 수 있으며, 그 형상은 평판형 또는 쐐기형 등으로 할 수 있다. 도트 패턴(724)을 배면에 갖는 도광판(721)은 예컨대 샌드블라스트나 에칭에 의해 형성된 표면 요철을 갖는 금형을 이용한 사출 성형법이나 레이저 가공법 혹은 도광판이 되는 기재 표면에 반사성 미립자로서의 산화티탄이나 산화아연 등을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백색 잉크)을 잉크젯 방식, 스크린 인쇄, 스탬프 방식 등의 공지된 수단에 의해 도포하는 방법 등에 의해 제작할 수 있다. 후자의 경우에 있어서, 도광판(721) 그 자체는 압출 성형, 사출 성형 등의 용융 성형에 의해 제작할 수 있다. 도트 패턴은 도광판의 광입사면(광원에 대향하는 측면)에서 멀어짐에 따라서 도트 직경을 크게 하거나, 도트의 수를 많게 하거나 하는 등, 밀도(도트 패턴 형성면에 있어서의 도트 패턴이 차지하는 면적의 비율)차를 붙여 형성하더라도 좋다. The light guide plate 721 may be made of transparent resin such as acrylic resin such as polymethyl methacrylate resin, methyl methacrylate-styrene copolymer resin, polystyrene resin, polyester resin, polyolefin resin or polycarbonate resin. The shape may be flat or wedge-shaped or the like. The light guide plate 721 having the dot pattern 724 on the back is, for example, titanium oxide, zinc oxide or the like as reflective fine particles on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to be a light guide plate by injection molding using a mold having surface irregularities formed by sandblasting or etching. It can be produced by a method of applying a resin composition (white ink) containing by a known means such as an inkjet method, screen printing, stamp method and the like. In the latter case, the light guide plate 721 itself can be produced by melt molding such as extrusion molding or injection molding. The dot pattern has a density (a ratio of the area occupied by the dot pattern on the dot pattern forming surface) such as increasing the dot diameter or increasing the number of dots as the distance from the light incident surface (the side opposite to the light source) of the light guide plate increases. It may be formed by adding a difference.

도트 패턴(724)을 갖는 도광판(721)은 250 mm의 광로 길이로 측정되는 파장 380~780 nm의 파장 영역에 있어서의 평균 광선 투과율이 85% 이상인 수지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파장 380~780 nm의 파장 영역에 있어서의 평균 광선 투과율이 85% 미만이면, 즉 광원(722)으로부터 출사되는 가시광 파장 영역의 빛이 비교적 많이 흡수되면, 엣지라이트형 면광원(702)으로부터 출사되는 빛의 양이 적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도광판(721)에는 필요에 따라 면광원으로서의 광학 특성을 저하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수지 가공 안정제나 필러 등을 첨가하더라도 좋다. The light guide plate 721 having the dot pattern 724 is preferably made of a resin having an average light transmittance of 85% or more in a wavelength region of a wavelength of 380 to 780 nm measured at an optical path length of 250 mm. If the average light transmittance in the wavelength region of wavelength 380-780 nm is less than 85%, that is, a relatively large amount of light in the visible light wavelength region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722 is absorbed, it is emitted from the edge light type surface light source 702. This is undesirable because the amount of light is reduced. Resin processing stabilizer, filler, etc. may be added to the light guide plate 721 as needed in the range which does not reduce the optical characteristic as a surface light source.

반사 시트(723)는 도광판(721)의 배면측에 배치되어, 도광판(721)의 배면측에 출사된 빛을 반사시켜, 전면측으로 출사되는 빛의 양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갖는 고반사성 시트이다. 반사 시트로서는 예컨대 상기 투명 수지 중에 무기 필러, 안료 등의 첨가제를 분산시킨 것이나, 상기 투명 수지를 발포시킨 것을 이용할 수 있다. The reflective sheet 723 is a highly reflective sheet disposed on the rear side of the light guide plate 721 and reflecting light emitted to the rear side of the light guide plate 721 to improve the amount of light emitted to the front side. As a reflection sheet, what disperse | distributed additives, such as an inorganic filler and a pigment, in the said transparent resin, and the thing which foamed the said transparent resin can be used, for example.

[프리즘 필름(광편향 수단)][Prism film (light deflection means)]

엣지라이트형 면광원(702)과 배면측 편광판(705) 사이에 배치되는 프리즘 필름(704a, 704b)은 광입사면측(엣지라이트형 면광원측)이 평탄면이고, 광출사측의 면(배면측 편광판(705)에 대향하는 표면)에, 단면이 앞이 가는 다각형상, 예컨대 삼각형상의 선형 프리즘(741a, 741b)이 평행하게 복수 형성된 것일 수 있다. 프리즘 필름(704a, 704b)의 재료로서는 예컨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ABS 수지; 메타크릴 수지; 메타크릴산메틸-스티렌 공중합체 수지; 폴리스티렌 수지;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공중합체 수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프리즘 필름(704a, 704b)은 이형 압출법, 프레스 성형법, 사출 성형법, 롤 전사법, 레이저 어블레이션법, 기계 절삭법, 기계 연마법, 포토폴리머 프로세스 등의 공지된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이들 방법은 각각 단독으로 사용되더라도 좋고, 혹은 2종 이상의 방법을 조합시키더라도 좋다. 프리즘 필름(704a, 704b)의 두께는 모두 통상 0.05~5 mm이며, 바람직하게는 0.1~2 mm이다. In the prism films 704a and 704b disposed between the edge light type light source 702 and the back side polarizing plate 705, the light incident surface side (edge light type surface light source side) is a flat surface, and the surface on the light exit side (back surface) On the surface opposite to the side polarizing plate 705), a plurality of linear prisms 741a and 741b in cross section, for example, triangular shapes, may be formed in parallel. Examples of the material of the prism films 704a and 704b include polycarbonate resins; ABS resin; Methacryl resins; Methyl methacrylate-styrene copolymer resin; Polystyrene resins; Acrylonitrile-styrene copolymer resins; Polyolefin resin, such as polyethylene and a polypropylene, etc. are mentioned. Prism films 704a and 704b can be produced by known methods such as release extrusion, press molding, injection molding, roll transfer, laser ablation, mechanical cutting, mechanical polishing, and photopolymer processes. These methods may be used independently, respectively, or may combine 2 or more types of methods. The thickness of the prism films 704a and 704b is 0.05-5 mm normally, Preferably it is 0.1-2 mm.

선형 프리즘(741a, 741b)의 능선(742a, 742b)에 직교하는 수직 단면에서의 단면 형상이 예컨대 삼각형인 경우, 그 삼각형의 정점 중 능선을 형성하는 정점의 꼭지각(θ)(도 22 참조)은 90~110°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삼각형은 각 변이 등변, 부등변의 어느 것이라도 좋지만, 정면 방향(액정 표시 장치의 표시면의 법선 방향)에 집광하고자 하는 경우는, 광출사측의 두 변이 같은 이등변 삼각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선형 프리즘(741a, 741b)의 단면 형상은 면광원으로부터의 출사광의 특성에 맞춰 설정할 수도 있으며, 곡선을 가지게 하는 등, 삼각형 이외의 형상으로 하여도 좋다. When the cross-sectional shape in the vertical cross section perpendicular to the ridge lines 742a and 742b of the linear prisms 741a and 741b is, for example, a triangle, the vertex angle θ (see FIG. 22) of the vertex forming the ridge line among the vertices of the triangle is It is preferable that it is the range of 90-110 degrees. The triangle may be any of the sides of the sides and the sides of the triangle, but in the case of condensing in the front direction (normal direction of the display surface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t is preferable that the two sides of the light exit side are the same isosceles triangle. The cross-sectional shapes of the linear prisms 741a and 741b may be set in accordance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surface light source, or may have shapes other than triangles, such as having a curve.

상기 프리즘 필름(704a, 704b)는 예컨대 삼각형상의 단면을 갖는 복수의 선형 프리즘(741a, 741b)이 삼각형의 꼭지각(θ)을 형성하는 정점에 마주 대하는 저변이 서로 인접하도록 순차 배치되어, 복수의 선형 프리즘(741a, 741b)의 능선(742a, 742b)이 서로 거의 평행하게 되도록 배열된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집광 능력이 현저히 감퇴되지 않는 한, 선형 프리즘(741a, 741b)의 단면 형상의 삼각형은 그 각 정점이 곡선 형상으로 되어 있더라도 좋다. 각 능선 사이의 거리는 통상 10~500 ㎛의 범위이며, 바람직하게는 30~200 ㎛의 범위이다. The prism films 704a and 704b are sequentially arranged such that a plurality of linear prisms 741a and 741b having, for example, a triangular cross section are adjacent to each other so that the bases facing the vertices forming the vertex angle θ of the triangle are adjacent to each other. It is preferable to have a structure arranged such that the ridges 742a and 742b of the prisms 741a and 741b are substantially parallel to each other. In this case, as long as the condensing ability is not significantly reduced, the cross-sectional triangles of the linear prisms 741a and 741b may have their respective vertices curved. The distance between each ridgeline is usually in the range of 10 to 500 µm, and preferably in the range of 30 to 200 µm.

한편, 상기에서는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하나로서 프리즘 필름을 2장 이용한 경우에 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액정 표시 장치는 광편향 수단으로서 프리즘 필름을 1장만 갖는 것이라도 좋고, 3장 이상 갖는 것이라도 좋다. 또한, 광편향 수단을 갖고 있지 않더라도 좋다. In addition, although the case where two prism films were used as one of the preferable embodiment was demonstrated above,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of this invention may have only one prism film as an optical deflection means, and may have three or more sheets. . Moreover, it is not necessary to have optical deflection means.

[광확산 수단][Light diffusion means]

본 발명의 액정 표시 장치는, 면광원으로부터의 빛의 균일 확산성 및 정면 휘도를 보다 향상시키기 위한 광확산 수단, 예컨대 확산 시트를 엣지라이트형 면광원(702)과 액정 셀(701)과의 사이(보다 구체적으로는, 엣지라이트형 면광원과 배면측 편광판(705)과의 사이)에 구비하고 있더라도 좋다. 이용하는 확산 시트의 수나 광편향 수단을 구비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확산 시트와 광편향 수단과의 배치 관계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컨대 엣지라이트형 면광원(702)과 광편향 수단(프리즘 필름(704a, 704b))과의 사이에 1장의 확산 시트(703)를 구비한 구성(도 23 참조); 광편향 수단(프리즘 필름(704a, 704b))과 배면측 편광판(705)과의 사이에 1장의 확산 시트(703)를 구비한 구성(도 24 참조); 엣지라이트형 면광원(702)과 광편향 수단(프리즘 필름(704a, 704b))과의 사이 및 광편향 수단과 배면측 편광판(705)과의 사이에 각각 1장의 확산 시트(703)를 구비한 구성(도 25 참조) 등일 수 있다.In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 light diffusing means for further improving uniform diffusivity and front luminance of light from a surface light source, for example, a diffusion sheet is provided between the edge light type surface light source 702 and the liquid crystal cell 701. (More specifically, between the edge light type surface light source and the back side polarizing plate 705). The number of diffusion sheets to be used and the arrangement relationship between the diffusion sheet and the light deflection means in the case of including the light deflection means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For example, the edge light type surface light source 702 and the light deflection means (prism films 704a, 704b)) is provided with one diffusion sheet 703 (refer FIG. 23); A configuration including one diffusion sheet 703 between the light deflecting means (prism films 704a and 704b) and the back side polarizing plate 705 (see FIG. 24); One diffusion sheet 703 is provided between the edge light type light source 702 and the light deflection means (prism films 704a and 704b) and between the light deflection means and the back side polarizing plate 705. Configuration (see FIG. 25), and the like.

확산 시트로서는 종래 공지된 것을 이용할 수 있으며, 예컨대 투명한 기재 필름 상(전면측 표면)에 바인더 수지 중에 광확산제가 분산되어 이루어지는 광확산층을 구비하는 것일 수 있다. 광확산층은 바인더 수지를 형성하는 수지와 광확산제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을 기재 필름에 도공하여 필요에 따라 건조, 경화시킴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기재 필름의 이면에는 필요에 따라 인접하는 광학 부재와의 밀착을 방지하기 위한 스티킹 방지층(예컨대, 바인더 수지 중에 비드가 혼합 분산된 층)을 형성하더라도 좋다. 이러한 백라이트(면광원)측에 사용되는 확산 시트는 바람직하게는 전광선 투과율(Tt)이 60% 이상이며, 헤이즈가 30~90%이다. A conventionally well-known thing can be used as a diffusion sheet, For example, it can be provided with the light-diffusion layer in which the light-diffusion agent is disperse | distributed in binder resin on the transparent base film (front surface side surface). The light-diffusion layer can be formed by coating the base film with a resin composition containing a resin that forms a binder resin and a light-diffusing agent, drying and curing as necessary. On the back surface of the base film, a sticking prevention layer (for example, a layer in which beads are mixed and dispersed in a binder resin) may be form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base film to prevent adhesion to an adjacent optical member. The diffusion sheet used on such a backlight (surface light source) side preferably has a total light transmittance (Tt) of 60% or more and a haze of 30 to 90%.

[편광판][Polarizing Plate]

액정 셀(701)의 전면측에 배치되는 광확산성 편광판(710)을 구성하는 전면측 편광판(706)에 관해서는 상술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배면측 편광판(705)으로서는 종래 공지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The above-mentioned thing can be used about the front side polarizing plate 706 which comprises the light-diffusion polarizing plate 710 arrange | positioned at the front side of the liquid crystal cell 701. In addition, a conventionally well-known thing can be used as the back side polarizing plate 705.

[위상차판][Difference plate]

본 발명의 액정 표시 장치는 도 26에 도시되는 것과 같이 위상차판(708)을 구비할 수 있다. 도 26에 있어서 위상차판(708)은 배면측 편광판(705)과 액정 셀(701)과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이 위상차판(708)은 액정 셀(701)의 표면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의 위상차가 거의 제로인 것으로, 바로 정면에서는 아무런 광학적인 작용을 미치지 않고, 비스듬하게 봤을 때에 위상차가 발현되어, 액정 셀(701)에서 생기는 위상차를 보상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보다 넓은 시야각을 얻을 수 있어, 보다 우수한 표시 품위 및 색 재현성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위상차판(708)은 배면측 편광판(705)과 액정 셀(701)의 사이 및 전면측 편광판(706)과 액정 셀(701)의 사이의 한쪽 또는 그 양쪽에 배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액정 표시 장치는 위상차판(708)과 함께 도 23~도 25에 도시되는 액정 표시 장치와 같이 확산 시트를 더 구비하고 있더라도 좋다. The liquid crystal display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phase difference plate 708 as shown in FIG. In FIG. 26, the retardation plate 708 is disposed between the rear polarizer 705 and the liquid crystal cell 701. The retardation plate 708 has a phase differenc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urface of the liquid crystal cell 701, and has almost no optical effect on the front surface. The phase difference is expressed when viewed obliquely, and the liquid crystal cell 701 To compensate for the phase difference caused by As a result, a wider viewing angle can be obtained, and superior display quality and color reproducibility can be obtained. The retardation plate 708 may be disposed on one or both of the rear polarizer 705 and the liquid crystal cell 701 and between the front polarizer 706 and the liquid crystal cell 701. The liquid crystal display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diffusion sheet together with the phase difference plate 708 as in the liquid crystal display shown in FIGS. 23 to 25.

위상차판(708)으로서는 예컨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나 환상 올레핀계 중합체수지로 이루어지는 필름을 이축 연신한 것이나, 액정성 모노머를 필름에 도포하여 광중합 반응에 의해서 그 분자 배열을 고정화한 것 등을 들 수 있다. 위상차판(708)은 액정의 배열을 광학적으로 보상하는 것이므로, 액정 배열과 역의 굴절율 특성의 것을 이용한다. 구체적으로는 TN 모드의 액정 셀에는 예컨대 「WV 필름」(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STN 모드의 액정 셀에는 예컨대 「LC 필름」(신닛뽄세키유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IPS 모드의 액정 셀에는 예컨대 이축성 위상차 필름, VA 모드의 액정 셀에는 예컨대 A 플레이트 및 C 플레이트를 조합시킨 위상차판이나 이축성 위상차 필름, π셀 모드의 액정 셀에는 예컨대 「OCB용 WV 필름」(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등을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Examples of the retardation plate 708 include a biaxial stretching of a film made of a polycarbonate resin or a cyclic olefin polymer resin, and a liquid crystal monomer applied to the film to fix the molecular arrangement by a photopolymerization reaction. Since the retardation plate 708 optically compensates for the arrangement of the liquid crystal, one having a refractive index characteristic opposite to that of the liquid crystal arrangement is used. Specifically, for the liquid crystal cell of the TN mode, for example, "WV film" (manufactured by FUJIFILM Corporation), and for the liquid crystal cell of the STN mode, for example, "LC film" (manufactured by Shin-Niptsu Sekiyu Co., Ltd.), the liquid crystal cell of the IPS mode. For example, a biaxial retardation film and a liquid crystal cell in VA mode include, for example, a retardation plate or a biaxial retardation film in which an A plate and a C plate are combined, and a "WV film for OBC" (Fuji Film Co., Ltd.). Production) etc. can be used suitably.

이상과 같은 구성의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 도 21을 참조하면, 엣지라이트형 면광원(702)으로부터 방사된 빛은 프리즘 필름(704a)에 입사한다. 배면측 편광판(705)의 투과축 방향에 직교하는 수직 단면에 있어서, 프리즘 필름(704a)의 하면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입사된 빛은 정면 방향으로 진로가 바뀌어 출사된다. 이어서, 프리즘 필름(704b)에 있어서, 전면측 편광판(706)의 투과축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 프리즘 필름(704b)의 하면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입사한 빛은 상기 와 마찬가지로 정면 방향으로 진로가 바뀌어 출사된다. 따라서, 2장의 프리즘 필름(704a, 704b)을 통과한 빛은 어느 쪽의 수직 단면에 있어서도 정면 방향으로 집광된 것으로 되어, 정면 방향의 휘도가 향상된다. In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referring to FIG. 21, light emitted from the edge light type surface light source 702 is incident on the prism film 704a. In a vertical cross section orthogonal to the transmission axis direction of the back side polarizing plate 705, light incident obliquely to the lower surface of the prism film 704a changes its path in the front direction and is emitted. Subsequently, in the prism film 704b, in the cross section orthogonal to the transmission axis direction of the front polarizing plate 706, the light incident obliquely to the lower surface of the prism film 704b passes in the front direction as described above. It turns out and is emitted. Therefore, the light which has passed through the two prism films 704a and 704b is condensed in the front direction also in any vertical cross section, and the brightness of a front direction improves.

이어서, 정면 방향으로 지향성이 부여된 빛은 배면측 편광판(705)에 의해서 편광되어 액정 셀(701)에 입사된다. 액정 셀(701)에 입사된 빛은 액정층(412)에 의해서 편광 상태가 제어되어 액정 셀(701)로부터 출사한다. 그리고, 액정 셀(701)로부터 출사된 빛은 전면측 편광판(706)을 통과하고, 광확산 필름(707)을 더 통과하여 확산되어 표시면측으로 출사된다. Subsequently, light imparted with directivity in the front direction is polarized by the back side polarizer 705 and is incident on the liquid crystal cell 701. The light incident on the liquid crystal cell 701 is emitted from the liquid crystal cell 701 by controlling the polarization state by the liquid crystal layer 412.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quid crystal cell 701 passes through the front polarizing plate 706, passes through the light diffusing film 707, and diffuses to the display surface side.

이와 같이, 광편향 수단으로서 2장의 프리즘 필름(704a, 704b)을 이용하면, 액정 셀(701)에 입사하는 빛의 정면 방향으로의 지향성을 보다 높일 수 있고, 이에 따라, 액정 표시 장치의 정면 방향의 휘도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광확산 필름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액정 표시 장치는 도트 은폐성이 우수한 동시에 정면 휘도가 우수한 것으로 된다. In this way, when two prism films 704a and 704b are used as the light deflecting means, the directivity in the front direction of the light incident on the liquid crystal cell 701 can be further improved, whereby the front direction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an further improve the luminance. Moreover, since the light-diffusion film of this invention is used,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s excellent in dot concealment property and excellent in front brightness.

이상,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형태에 관해서 상세히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도 5~도 17에 도시한 광확산성 편광판에서는 광확산 필름으로서 도 1~도 3에 도시한 광확산 필름(100, 200, 300) 중 어느 것을 이용한 경우를 설명했지만, 광확산 필름으로서 도 4~도 6에 도시한 광확산 필름(100', 200', 300') 중 어느 것을 이용하더라도 좋다. As mentioned above, although preferred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was described in detail,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aid embodiment. For example, in the light-diffusion polarizing plates shown in FIGS. 5 to 17, the case where any of the light-diffusion films 100, 200, and 300 shown in FIGS. 1 to 3 is used as the light-diffusion film is described. You may use any of the light-diffusion films 100 ', 200', and 300 'shown in FIGS.

실시예Example

이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이하의 예에 있어서의 광확산 필름의 광학 특성(투과 선명도, 헤이즈) 및 표면 형상(중심선 평균 거칠기(Ra)), 광확산층의 층 두께 및 이용한 투광성 미립자의 중량 평균 입경과 입경의 표준 편차의 측정 방법은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although an Example is given and this invention is demonstrated in detail,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xamples. On the other hand, optical characteristics (transmission sharpness, haze) and surface shape (center line average roughness Ra) of the light-diffusion film in the following examples, the layer thickness of a light-diffusion layer, and the standard deviation of the weight average particle diameter and particle diameter of the used translucent microparticles | fine-particles The measuring method of is as follows.

(a) 투과 선명도(a) transmission clarity

광학적으로 투명한 점착제를 이용하여, 광확산 필름을 그 기재 필름측에서 유리 기판에 접합한 측정용 샘플을 이용하여 측정을 행했다. 측정에는 JIS K 7105에 준거한 사상성 측정기(스가시켄키 가부시키가이샤 제조의 「ICM-1DP」)를 이용했다. The measurement was performed using the sample for measurement which bonded the light-diffusion film to the glass substrate at the base film side using the optically transparent adhesive. A filamentous measuring instrument ("ICM-1DP" manufactured by Sugashi Kenki Co., Ltd.) in accordance with JIS K 7105 was used for the measurement.

(b) 헤이즈(b) haze

광학적으로 투명한 점착제를 이용하여, 광확산 필름을 그 기재 필름측에서 유리 기판에 접합한 측정용 샘플을 이용하여 측정을 행했다. 한편, 이 때, JIS K 7136에 준거한 헤이즈 투과율계(가부시키가이샤 무라카미시키사이기쥬츠겐큐쇼 제조의 헤이즈미터 「HM-150」)를 이용하여 JIS K 7361 및 JIS K 7136에 준거하여 측정했다. The measurement was performed using the sample for measurement which bonded the light-diffusion film to the glass substrate at the base film side using the optically transparent adhesive. In addition, it measured at this time based on JISK7361 and JISK7136 using the haze transmittance | permeability meter (haze meter "HM-150" by Murakamishiki Saigi Jutsugenkyusho) in conformity with JISK7136.

(c) 중심선 평균 거칠기(Ra)(c) Centerline average roughness (Ra)

JIS B 0601에 준거한 공초점 간섭 현미경(가부시키가이샤 옵티컬솔루션 제조의 「PLμ2300」)을 이용하여 측정했다. It measured using the confocal interference microscope ("PL (micro) 2300" by the optical solution make) according to JIS B 0601.

(d) 광확산층의 층 두께(d) layer thickness of the light diffusing layer

광확산 필름의 층 두께를 NIKON사 제조 DIGIMICRO MH-15(본체) 및 ZC-101(카운터)을 이용하여 측정하여, 기재 필름의 두께 80 ㎛를 측정 층 두께에서 뺌으로써 광확산층의 층 두께를 측정했다. The layer thickness of the light diffusion film was measured using DIGIMICRO MH-15 (main body) and ZC-101 (counter) manufactured by NIKON Corporation, and the layer thickness of the light diffusion layer was measured by subtracting the thickness of the base film from 80 μm from the measurement layer thickness. did.

(e) 투광성 미립자의 중량 평균 입경 및 입경의 표준 편차(e) Standard deviation of weight average particle diameter and particle diameter of the light-transmitting fine particles

코울터 원리(세공 전기 저항법)에 기초한 코울터 멀티사이저(베크만코울터사 제조)를 이용하여 측정했다. It measured using the Coulter multisizer (manufactured by Beckman Coulter) based on the Coulter principle (pore electrical resistance method).

[광확산 필름의 제작][Production of Light Diffusion Film]

<실시예 1>&Lt; Example 1 >

(1) 경면 금속제 롤의 제작(1) Production of mirror metal rolls

직경 200 mm의 철롤(JIS에 의한 STKM13A)의 표면에 공업용 크롬 도금 가공을 행하고, 이어서 표면을 경면 연마하여 경면 금속제 롤을 제작했다. 얻어진 경면 금속제 롤의 크롬 도금면의 비커스 경도는 1000이었다. 한편, 비커스 경도는 초음파경도계 MIC10(Krautkramer사 제조)을 이용하여 JIS Z 2244에 준거하여 측정했다. Industrial chrome plating was performed to the surface of the iron roll (STKM13A by JIS) of diameter 200mm, and the surface was then mirror-polished, and the mirror metal roll was produced. The Vickers hardness of the chromium plating surface of the obtained mirror metal roll was 1000. In addition, Vickers hardness was measured based on JISZ2244 using the ultrasonic hardness meter MIC10 (made by Krautkramer).

(2) 광확산 필름의 제작(2) Preparation of light diffusing film

펜타에리스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 60 중량부 및 다작용 우레탄화아크릴레이트(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와 펜타에리스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와의 반응 생성물) 40 중량부를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에 혼합하고, 고형분 농도 60 중량%가 되도록 조정하여 자외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얻었다. 또한, 이 조성물에서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를 제거하여 자외선 경화한 후의 경화물의 굴절율은 1.53이었다. 60 parts by weight of pentaerythritol triacrylate and 40 parts by weight of polyfunctional urethane acrylate (reaction product of hexamethylene diisocyanate and pentaerythritol triacrylate) were mixed with propylene glycol monomethyl ether to obtain a solid content of 60% by weight. It adjusted and the ultraviolet curable resin composition was obtained. Moreover, the refractive index of the hardened | cured material after removing propylene glycol monomethyl ether from this composition and UV-curing was 1.53.

이어서, 상기 자외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고형분 100 중량부에 대하여 투광성 미립자로서 중량 평균 입경이 3.10 ㎛인 폴리스티렌계 입자(제1 투광성 미립자) 17.2 중량부와 중량 평균 입경이 6.90 ㎛인 폴리스티렌계 입자(제2 투광성 미립자) 25.8 중량부를 혼합한 입자(전체 입자의 중량 평균 입경: 5.38 ㎛, 표준 편차: 2.28 ㎛) 및 광중합 개시제인 「루시린 TPO」(BASF사 제조, 화학명: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포스핀옥사이드)를 5 중량부 첨가하고, 고형분 농도가 60 중량%가 되도록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로 희석하여 도포액을 조제했다. Subsequently, 17.2 parts by weight of polystyrene-based particles (first light-transmitting fine particles) having a weight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3.10 μm as light-transmitting fine particles and 100 weight parts of solid content of the ultraviolet curable resin composition were polystyrene-based particles having a weight-average particle diameter of 6.90 μm (second Translucent microparticles | fine-particles) The particle | grains which mixed 25.8 weight part (weight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all particle | grains: 5.38 micrometers, standard deviation: 2.28 micrometers) and "Lucirine TPO" which are a photoinitiator (BASF Corporation make, chemical name: 2,4,6-trimethylbenzoyl) 5 parts by weight of diphenylphosphine oxide) was added, and the coating solution was prepared by diluting with propylene glycol monomethyl ether so that the solid content concentration was 60% by weight.

이 도포액을 두께 80 ㎛의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AC) 필름(기재 필름) 상에 도포하고, 80℃로 설정한 건조기 중에서 1분간 건조시켜 자외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층을 형성했다. 건조 후의 자외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층 및 기재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적층체를, 상기 (1)에서 제작한 경면 금속제 롤의 경면에, 자외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층이 롤측이 되도록 고무 롤로 압박하여 밀착시켰다. 이 상태에서 기재 필름측으로부터 강도 20 mW/㎠의 고압 수은등으로부터의 빛을 h선 환산 광량으로 300 mJ/㎠가 되도록 조사하여 자외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층을 경화시켜, 평탄한 표면을 갖는 광확산층과 기재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도 1에 도시하는 구조의 광확산 필름을 얻었다. 광확산층의 두께는 11.5 ㎛였다. This coating liquid was apply | coated on the triacetyl cellulose (TAC) film (base film) of thickness 80micrometer, and it dried for 1 minute in the dryer set to 80 degreeC, and formed the ultraviolet curable resin composition layer. The laminated body which consists of an ultraviolet curable resin composition layer after drying and a base film was pressed and adhere | attached on the mirror surface of the mirror surface metal roll produced by said (1) so that an ultraviolet curable resin composition layer might become a roll side. In this state, light from a high-pressure mercury lamp having a strength of 20 mW / cm 2 is irradiated from the base film side to 300 mJ / cm 2 in the amount of h-line converted light to cure the ultraviolet curable resin composition layer, and the light diffusion layer and the base film having a flat surface. A light diffusing film having a structure shown in FIG. 1 was obtained. The thickness of the light diffusion layer was 11.5 μm.

<실시예 2~6> <Examples 2 to 6>

광확산층의 두께 및 투광성 미립자의 중량 평균 입경, 입경의 표준 편차와 첨가량을 표 1과 같이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은 식으로 하여 광확산 필름을 제작했다. A light-diffusion film was produc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thickness of the light-diffusion layer, the weight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light-transmitting fine particles, the standard deviation of the particle diameter, and the addition amount were as shown in Table 1.

<실시예 7>&Lt; Example 7 >

(1) 엠보스 가공용 금속제 롤의 제작(1) Fabrication of metal rolls for embossing

직경 200 mm의 철롤(JIS에 의한 STKM13A)의 표면에 구리 발라드 도금이 실시된 것을 준비했다. 구리 발라드 도금은 구리 도금층/얇은 은 도금 층/표면 구리 도금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도금층 전체의 두께는 약 200 ㎛였다. 그 구리 도금 표면을 경면 연마하고, 또한 그 연마면에 블라스트 장치((주)후지세이사쿠쇼 제조)를 이용하여, 지르코니아 비드 TZ-B125(도소(주) 제조, 평균 입경: 125 ㎛)를 블라스트 압력 0.05 MPa(게이지압, 이하 동일), 미립자 사용량 16 g/㎠(롤의 표면적 1 ㎠당 사용량, 이하 동일)로 블라스트하여, 표면에 요철을 형성했다. 그 요철면에 블라스트 장치((주)후지세이사쿠쇼 제조)를 이용하여, 지르코니아 비드 TZ-SX-17(도소(주) 제조, 평균 입경: 20 ㎛)을 블라스트 압력 0.1 MPa, 미립자 사용량 4 g/㎠로 블라스트하여, 표면 요철을 미세 조정했다. 얻어진 요철이 들어간 구리 도금 철롤에 대하여 염화제2구리액으로 에칭 처리를 행했다. 그 때의 에칭량은 3 ㎛가 되도록 설정했다. 그 후, 크롬 도금 가공을 행하여, 엠보스 가공용 금속제 롤을 제작했다. 이 때, 크롬 도금 두께가 4 ㎛가 되도록 설정했다. 얻어진 엠보스 가공용 금속제 롤의 크롬 도금면의 비커스 경도는 1000이었다. The thing which copper ballad plating was given to the surface of the iron roll (STKM13A by JIS) of diameter 200mm was prepared. Copper ballad plating consists of a copper plating layer / thin silver plating layer / surface copper plating layer, and the thickness of the whole plating layer was about 200 micrometers. The copper plating surface was mirror-polished, and the zirconia bead TZ-B125 (manufactured by Tosoh Corporation, average particle diameter: 125 µm) was blasted on the polished surface using a blasting device (manufactured by Fuji Seisakusho Co., Ltd.). Blast was performed at a pressure of 0.05 MPa (gauge pressure, the same as below) and the amount of fine particles used at 16 g / cm 2 (the amount used per 1 cm 2 of the roll surface, hereinafter the same) to form irregularities on the surface. Zirconia beads TZ-SX-17 (made by Tosoh Corporation, average particle diameter: 20 micrometers) was used for the uneven surface using the blast apparatus (manufactured by Fuji Seisakusho Co., Ltd.) It was blasted at / cm 2, and the surface irregularities were finely adjusted. The obtained copper plating iron roll containing the unevenness was subjected to etching treatment with cupric chloride liquid. The etching amount at that time was set to be 3 micrometers. Then, chrome plating process was performed and the metal roll for embossing was produced. At this time, it set so that chrome plating thickness might be set to 4 micrometers. The Vickers hardness of the chromium plating surface of the obtained metal roll for embossing was 1000.

(2) 광확산 필름의 제작(2) Preparation of light diffusing film

경면 금속성 롤 대신에 엠보스 가공용 금속성 롤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5와 같은 식으로 하여 광확산 필름을 제조했다. A light-diffusion film was produc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5 except that the metallic roll for embossing was used instead of the mirror-shaped metallic roll.

<실시예 8> &Lt; Example 8 >

경면 금속성 롤 대신에 엠보스 가공용 금속성 롤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6과 같은 식으로 하여 광확산 필름을 제조했다. A light-diffusion film was produc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6 except that the metallic roll for embossing was used instead of the mirror metallic roll.

<비교예 1> &Lt; Comparative Example 1 &

삼성전자사 제조 46형 액정 텔레비전 「UN46B8000」의 액정 패널의 전면측에 배치된 필름을 벗겨내어, 이것을 비교예 1의 필름으로 했다. The film arrange | positioned at the front side of the liquid crystal panel of 46 type liquid crystal television "UN46B8000" by Samsung Electronics Co., Ltd. was peeled off, and this was made into the film of the comparative example 1.

<비교예 2> Comparative Example 2

투광성 미립자를 첨가하지 않은 것 이외에는 실시예 6과 같은 식으로 하여 광확산 필름을 제조했다. A light-diffusion film was produc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6 except that the light-transmitting fine particles were not added.

실시예 1~8에서 이용한 투광성 미립자의 성상, 실시예 1~8 및 비교예 1~2의 광확산 필름의 광학 특성, 표면 형상 및 광확산층의 층 두께 등을 표 1에 정리하여 나타낸다. The properties of the light-transmitting fine particles used in Examples 1 to 8,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light diffusing films of Examples 1 to 8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2, the surface shape, the layer thickness of the light diffusing layer, and the like are summarized in Table 1.

Figure pct00002
Figure pct00002

[액정 표시 장치의 제작][Production of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상기에서 얻어진 실시예 1~8 또는 비교예 2의 광확산 필름을 이용하여 액정 표시 장치를 제작하여, 도트 은폐성의 정도 및 정면 휘도를 평가했다. 우선, 삼성전자사 제조 46형 액정 텔레비전 「UN46B8000」의 엣지라이트형 면광원의 도광판과 배면측 편광판과의 사이에 꼭지각이 95°인 복수의 선형 프리즘이 평행하게 배열된 프리즘 필름을 2장(제1, 제2 프리즘 필름으로 함) 배치했다. 구체적으로는, 제1 프리즘 필름은 복수의 선형 프리즘의 능선 방향이 프리즘 필름의 짧은 변 방향과 평행하게 되어 있고, 이 프리즘 필름을 엣지라이트형 면광원의 도광판 상에, 제1 프리즘 필름의 짧은 변 방향과 도광판의 짧은 변 방향이 평행하게 되도록, 또한 선형 프리즘의 능선 방향(제1 프리즘 필름의 짧은 변 방향)이 배면측 편광판의 투과축과 평행하게 되도록 배치했다. 또한, 제2 프리즘 필름은 복수의 선형 프리즘의 능선 방향이 프리즘 필름의 긴 변 방향과 평행하게 되어 있고, 이 프리즘 필름을 제1 프리즘 필름 상에, 제2 프리즘 필름의 짧은 변 방향과 도광판의 짧은 변 방향이 평행하게 되도록, 또한 선형 프리즘의 능선 방향(제2 프리즘 필름의 긴 변 방향)이 후술하는 전면(시인)측 편광판의 투과축과 평행하게 되도록 배치했다. 또한, 상기 액정 텔레비전에 탑재되어 있던 액정 패널의 전면측 편광판을 벗겨내고, 대신에, 요소계 편광판(스미토모가가쿠사 제조의 「TRW842AP7」)을 배면측 편광판에 대하여 투과축이 직교의 관계가 되도록 접합하고, 그 위에, 실시예 1~8 또는 비교예 2 중 어느 광확산 필름을 기재 필름측이 편광판에 대향하도록 점착제층을 통하여 접합하여 액정 표시 장치를 얻었다. 또한, 상기 액정 텔레비전에 탑재되어 있는 엣지라이트형 면광원은 긴 변과 짧은 변을 갖는 평판형이며, 배면에 백색 잉크로 이루어지는 도트 인쇄 패턴이 형성된 도광판과, 도광판의 배면측에 배치된 반사 시트와, 도광판의 4개의 변을 따라서 배열된 LED로 이루어지는 광원을 구비하는 4등식의 면광원이었다. Using the light-diffusion film of Examples 1-8 or Comparative Example 2 obtained above,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as produced, and the degree of dot concealability and the front brightness were evaluated. First, two pieces of prism films in which a plurality of linear prisms having a vertex angle of 95 ° are arranged in parallel between the light guide plate of the edge light type surface light source of the 46 type liquid crystal television "UN46B8000" made by Samsung Electronics and the back side polarizing plate (first And a second prism film). Specifically, in the first prism film, the ridge direction of the plurality of linear prisms is parallel to the short side direction of the prism film, and the prism film is placed on the light guide plate of the edge light type surface light source, and the short side of the first prism film The direction and the short side direction of a light guide plate were arrange | positioned, and the ridgeline direction (short side direction of a 1st prism film) of a linear prism became parallel with the transmission axis of a back side polarizing plate. In addition, in the second prism film, the ridge direction of the plurality of linear prisms is parallel to the long side direction of the prism film, and the prism film is placed on the first prism film in the short side direction of the second prism film and the short of the light guide plate. It arrange | positioned so that a side direction might become parallel, and the ridgeline direction (long side direction of a 2nd prism film) of a linear prism will be parallel to the transmission axis of the front (viewing) side polarizing plate mentioned later. In addition, the front side polarizing plate of the liquid crystal panel mounted on the said liquid crystal television is peeled off, and instead, an element type polarizing plate ("TRW842AP7" by Sumitomo Chemical Co., Ltd.) is made so that a transmission axis may become orthogonal with respect to a back side polarizing plate. It bonded together and bonded together the light-diffusion film in Examples 1-8 or Comparative Example 2 through the adhesive layer so that a base film side might face a polarizing plate, and obtained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 addition, the edge light type surface light source mounted on the liquid crystal television is a flat plate having a long side and a short side, and has a light guide plate having a dot printing pattern made of white ink on the back side, a reflective sheet disposed on the back side of the light guide plate; It was a quadruple surface light source provided with the light source which consists of LED arranged along four sides of the light guide plate.

또한, 상기 삼성전자사 제조 46형 액정 텔레비전에 탑재되어 있던 액정 패널(전면측에 비교예 1의 필름이 배치되어 있음)을 그대로 이용한 것 이외에는 상기 와 같이 하여 액정 표시 장치(비교예 1의 필름을 이용한 액정 표시 장치)를 제작했다. In addition, the liquid crystal panel (the film of Comparative Example 1 was disposed on the front side) mounted on the 46-inch liquid crystal television manufactured by Samsung Electronics Co., Ltd. was used as described above, and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the film of Comparative Example 1 was used as described abov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도트 은폐성의 정도 및 정면 휘도의 평가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이들의 측정 방법 및 평가 기준은 다음과 같다. Table 2 shows the evaluation results of the degree of dot concealability and the front luminance. These measurement methods and evaluation criteria are as follows.

(a) 도트 은폐성(a) dot concealability

얻어진 액정 표시 장치를 암실 내에서 기동하여, 표시면에서부터 약 30 cm 떨어진 지점에서 눈으로 보아 관찰하여 평가했다. 평가 기준은 다음과 같다. The obtaine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as started in the dark room, visually observed and evaluated at a point about 30 cm away from the display surface. The evaluation criteria are as follows.

A: 도트를 거의 또는 완전히 시인할 수 없다. A: The dot can hardly or completely be recognized.

B: 극히 약간 도트가 시인된다. B: The dot is visually recognized slightly.

C: 명백히 도트가 시인된다. C: The dot is clearly recognized.

(b) 정면 휘도(b) front brightness

얻어진 액정 표시 장치를 암실 내에서 기동하여, 백 표시 상태에 있어서의 화면의 중심점에서의 정면 휘도를 휘도계 BM5A형((주)토프콘 제조)을 이용하여 측정했다. 이 때, 휘도계의 렌즈와 액정 표시 장치의 패널 표면과의 거리를 35 cm로 하고, 휘도계의 측정각을 1도로 설정했다. The obtaine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as started in the dark room, and the front brightness | luminance at the center point of the screen in a back display state was measured using the luminance meter BM5A type (made by Topcon Co., Ltd.). At this time, the distance between the lens of the luminance meter and the panel surface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as 35 cm, and the measurement angle of the luminance meter was set to 1 degree.

Figure pct00003
Figure pct00003

표 2에 나타나는 것과 같이, 실시예 1~4, 6~8의 광확산 필름을 이용한 액정 표시 장치는 양호한 정면 휘도를 나타내는 동시에, 도트 인식도 생기지 않았다. 또한, 실시예 5의 광확산 필름을 이용한 액정 표시 장치는 극히 약간 도트가 시인되지만, 양호한 정면 휘도를 보였다. 한편, 비교예 1, 2의 필름을 이용한 액정 표시 장치는 투과 선명도가 높기 때문에, 명백하게 도트가 시인되었다.As shown in Table 2,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the light-diffusion films of Examples 1-4 and 6-8 showed favorable front brightness, and also did not generate dot recognition. Further,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the light-diffusion film of Example 5 showed a very good front brightness, although the dots were visually recognized slightly. On the other hand, since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the films of Comparative Examples 1 and 2 had high transmission clarity, dots were clearly recognized.

이상 설명한 대로, 본 발명에 따르면, 엣지라이트형 면광원을 탑재한 액정 표시 장치에 적용했을 때에, 양호한 정면 휘도를 얻을 수 있는 동시에, 도트 인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도트 은폐성이 높은, 액정 셀의 전면측에 배치되는 광확산 필름과 그의 제조 방법 및 광확산성 편광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본 발명의 광확산 필름 또는 광확산성 편광판을 적용한, 양호한 정면 휘도와 도트 인식 방지가 양립된 액정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pplied to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equipped with an edge light type surface light source, a good front luminance can be obtained, and a liquid crystal cell having high dot concealability that can effectively prevent dot recognition. The light-diffusion film arrange | positioned at the front side of this, its manufacturing method, and a light-diffusion polarizing plate can be provid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both good front luminance and dot recognition prevention, to which the light diffusing film or light diffusing polarizing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100, 100', 200, 200', 300, 300', 707: 광확산 필름, 101: 기재 필름, 102: 광확산층, 103: 투광성 수지, 104: 투광성 미립자, 104a: 제1 투광성 미립자, 104b: 제2 투광성 미립자, 105: 수지층, 106: 반사 방지층, 107: 투명 필름, 108: 접착제층 또는 점착제층, 401: 감아내기 장치, 402: 도공 장치, 403: 백업 롤, 404: 건조기, 405: 경면 금속제 롤 또는 엠보스 가공용 금속제 롤, 406: 닙 롤, 407: 박리 롤, 408: 자외선 조사 장치, 409: 권취 장치, 500, 710: 광확산성 편광판, 501: 편광 필름, 502: 보호 필름, 510: 편광판, 601: 표면 요철을 갖는 층, 701: 액정 셀, 702: 엣지라이트형 면광원, 703: 확산 시트, 704a, 704b: 프리즘 필름, 705: 배면측 편광판, 706: 전면측 편광판, 708: 위상차판, 711a, 711b: 투명 기판, 712: 액정층, 720: 램프 박스, 721: 도광판, 722: 광원, 723: 반사 시트, 724: 도트 패턴, 741a, 741b: 선형 프리즘, 742a, 742b: 선형 프리즘의 능선. 100, 100 ', 200, 200', 300, 300 ', 707: light diffusing film, 101: base film, 102: light diffusing layer, 103: translucent resin, 104: translucent fine particle, 104a: first translucent fine particle, 104b: 2nd light transmissive microparticles | fine-particles, 105: resin layer, 106: antireflection layer, 107: transparent film, 108: adhesive bond layer or adhesive layer, 401: winding-up apparatus, 402: coating apparatus, 403: backup roll, 404: dryer, 405: Mirror metal roll or metal roll for embossing, 406: nip roll, 407: peeling roll, 408: ultraviolet irradiation device, 409: winding device, 500, 710: light diffusing polarizing plate, 501: polarizing film, 502: protective film, 510: polarizing plate, 601: layer with surface irregularities, 701: liquid crystal cell, 702: edge light type surface light source, 703: diffusion sheet, 704a, 704b: prism film, 705: back side polarizing plate, 706: front side polarizing plate, 708 : Retardation plate, 711a, 711b: Transparent substrate, 712: Liquid crystal layer, 720: Lamp box, 721: Light guide plate, 722: Light source, 723: Reflective sheet, 724: Dot pattern, 741a, 741b: Linear prism, 742a, 7 42b: Ridges of linear prisms.

Claims (19)

도광판 및 상기 도광판의 측방에 배치되는 광원을 구비하는 엣지라이트형 면광원과, 상기 엣지라이트형 면광원의 전면측에 배치되는 액정 셀과, 상기 액정 셀의 전면측에 배치되는 전면측 편광판을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상기 전면측 편광판의 전면측에 배치되는 광확산 필름으로서,
기재 필름과, 상기 기재 필름 상에 적층된 투광성 수지 및 이 투광성 수지 중에 분산된 투광성 미립자를 함유하는 광확산층을 가지며,
암부 및 명부의 폭이 0.125 mm, 0.5 mm, 1.0 mm 및 2.0 mm인 4 종류의 광학 빗을 통하여 측정되는 투과 선명도의 합이 50% 이상 300% 이하인 광확산 필름.
An edge light type surface light source including a light guide plate and a light source disposed on the side of the light guide plate, a liquid crystal cell disposed on a front side of the edge light type light source, and a front side polarizer disposed on a front side of the liquid crystal cell. As a light-diffusion film arrange | positioned at the front side of the said front side polarizing plate in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t has a base film, the light-diffusion layer containing the translucent resin laminated | stacked on the said base film, and the translucent microparticles disperse | distributed in this translucent resin,
A light diffusing film having a sum of transmission clarity of 50% or more and 300% or less, measured through four types of optical combs having a width of 0.125 mm, 0.5 mm, 1.0 mm, and 2.0 mm in the width of a dark part and a rol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확산층의 상기 기재 필름과는 반대측 표면의 중심선 평균 거칠기(Ra)가 0.2 ㎛ 이하인 광확산 필름.The light-diffusion film of Claim 1 whose center line average roughness Ra of the surface on the opposite side to the said base film of the said light-diffusion layer is 0.2 micrometer or less.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광확산층의 층 두께가 상기 투광성 미립자의 중량 평균 입경에 대하여 1배 이상 3배 이하인 광확산 필름. The light-diffusion film of Claim 1 or 2 whose layer thickness of the said light-diffusion layer is 1 times or more and 3 times or less with respect to the weight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said translucent microparticles.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확산층 중에 함유되는 상기 투광성 미립자가 1 종류의 중량 평균 입경의 입자인 광확산 필름. The light-diffusion film of any one of Claims 1-3 whose said translucent microparticles contained in the said light-diffusion layer are particle | grains of one type of weight average particle diameter.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확산층 중에 함유되는 상기 투광성 미립자가 2 종류 이상의 중량 평균 입경의 입자를 함유하고 있는 광확산 필름.The light-diffusion film in any one of Claims 1-3 in which the said translucent microparticles contained in the said light-diffusion layer contain the particle | grains of two or more types of weight average particle diameters.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광확산층 중에 함유되는 상기 투광성 미립자는, 중량 평균 입경이 0.5 ㎛ 이상 6.0 ㎛ 미만인 1종 또는 2종 이상의 제1 투광성 미립자와, 중량 평균 입경이 6.0 ㎛ 이상 15.0 ㎛ 이하인 1종 또는 2종 이상의 제2 투광성 미립자를 포함하고,
상기 광확산층에 있어서의 상기 투광성 미립자의 함유량은 상기 투광성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22 중량부 이상 60 중량부 이하인 광확산 필름.
The said translucent microparticles | fine-particles contained in the said light-diffusion layer are 1 type or 2 or more types of 1st translucent microparticles | fine-particles whose weight average particle diameters are 0.5 micrometer or more and less than 6.0 micrometers, and 1 whose weight average particle diameters are 6.0 micrometers or more and 15.0 micrometers or less. A species or two or more second translucent particulates,
Content of the said translucent microparticles | fine-particles in the said light-diffusion layer is a light-diffusion film which is 22 weight part or more and 60 weight part or less with respect to 100 weight part of said translucent resins.
도광판 및 상기 도광판의 측방에 배치되는 광원을 구비하는 엣지라이트형 면광원과, 상기 엣지라이트형 면광원의 전면측에 배치되는 액정 셀과, 상기 액정 셀의 전면측에 배치되는 전면측 편광판을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상기 전면측 편광판의 전면측에 배치되는 광확산 필름으로서,
기재 필름과, 상기 기재 필름 상에 적층된 투광성 수지 및 이 투광성 수지 중에 분산된 투광성 미립자를 함유하는 광확산층을 가지며,
상기 투광성 미립자는, 중량 평균 입경이 0.5 ㎛ 이상 6.0 ㎛ 미만인 1종 또는 2종 이상의 제1 투광성 미립자와, 중량 평균 입경이 6.0 ㎛ 이상 15.0 ㎛ 이하인 1종 또는 2종 이상의 제2 투광성 미립자를 포함하고,
상기 광확산층에 있어서의 상기 투광성 미립자의 함유량은 상기 투광성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22 중량부 이상 60 중량부 이하인 광확산 필름.
An edge light type surface light source including a light guide plate and a light source disposed on the side of the light guide plate, a liquid crystal cell disposed on a front side of the edge light type light source, and a front side polarizer disposed on a front side of the liquid crystal cell. As a light-diffusion film arrange | positioned at the front side of the said front side polarizing plate in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t has a base film, the light-diffusion layer containing the translucent resin laminated | stacked on the said base film, and the translucent microparticles disperse | distributed in this translucent resin,
The light-transmitting fine particles include one or two or more types of first light-transmitting fine particles having a weight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0.5 μm or more and less than 6.0 μm, and one or two or more types of second light transmitting fine particles having a weight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6.0 μm or more and 15.0 μm or less. ,
Content of the said translucent microparticles | fine-particles in the said light-diffusion layer is a light-diffusion film which is 22 weight part or more and 60 weight part or less with respect to 100 weight part of said translucent resins.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광확산층의 상기 기재 필름과는 반대측 표면의 중심선 평균 거칠기(Ra)가 0.2 ㎛ 이하인 광확산 필름. The light-diffusion film of Claim 7 whose center line average roughness Ra of the surface on the opposite side to the said base film of the said light-diffusion layer is 0.2 micrometer or less.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광확산층의 층 두께가 상기 제2 투광성 미립자의 중량 평균 입경에 대하여 1배 이상 3배 이하인 광확산 필름. The light-diffusion film of Claim 7 or 8 whose layer thickness of the said light-diffusion layer is 1 times or more and 3 times or less with respect to the weight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said 2nd light-transmitting microparticles.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확산층 상에 적층된 반사 방지층을 더 구비하는 광확산 필름.The light diffusing film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9, further comprising an antireflection layer laminated on the light diffusing layer.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광확산 필름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투광성 미립자가 분산된 수지액을 상기 기재 필름 상에 도포하는 공정과,
상기 수지액으로 형성된 층의 표면에, 금형의 경면 또는 요철면을 전사하는 공정
을 포함하는 광확산 필름의 제조 방법.
As a manufacturing method of the light-diffusion film in any one of Claims 1-10,
Applying a resin liquid containing the light-transmitting fine particles dispersed on the base film,
A step of transferring the mirror surface or uneven surface of the mold to the surface of the layer formed of the resin liquid
Method for producing a light diffusing film comprising a.
적어도 편광 필름을 갖는 편광판과,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광확산 필름
을 구비하고,
상기 광확산 필름이, 상기 기재 필름측이 상기 편광판에 대향하도록 상기 편광판 상에 적층되어 있는 광확산성 편광판.
A polarizing plate having at least a polarizing film,
The light diffusing film as described in any one of Claims 1-10.
And,
The light-diffusion polarizing plate in which the said light-diffusion film is laminated | stacked on the said polarizing plate so that the said base film side opposes the said polarizing plate.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 필름과 상기 광확산 필름이 접착제층을 통해 접합되어 이루어지는 광확산성 편광판. The light diffusing polarizing plate according to claim 12, wherein the polarizing film and the light diffusing film are bonded through an adhesive layer. 도광판 및 상기 도광판의 측방에 배치되는 광원을 구비하는 엣지라이트형 면광원과,
상기 엣지라이트형 면광원의 전면측에 배치되는 액정 셀과,
상기 액정 셀의 전면측에 배치되는 전면측 편광판과,
상기 전면측 편광판의 전면측에 배치되는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광확산 필름
을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An edge light type surface light source having a light guide plate and a light source disposed on a side of the light guide plate;
A liquid crystal cell disposed on the front side of the edge light type light source;
A front side polarizer disposed on the front side of the liquid crystal cell,
The light-diffusion film as described in any one of Claims 1-10 arrange | positioned at the front side of the said front side polarizing plate.
Liquid crystal display comprising a.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은 그 배면측에 형성된 도트 패턴을 갖는 것인 액정 표시 장치.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ccording to claim 14, wherein the light guide plate has a dot pattern formed on its rear side.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엣지라이트형 면광원과 상기 액정 셀과의 사이에 배치되는 광편향 수단을 더 구비하는 액정 표시 장치.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ccording to claim 14 or 15, further comprising light deflection means disposed between the edge light type surface light source and the liquid crystal cell.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광편향 수단은 1장 이상의 프리즘 필름을 포함하는 것인 액정 표시 장치. 17.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ccording to claim 16, wherein the light deflecting means comprises at least one prism film.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광편향 수단과 상기 액정 셀과의 사이에 배치되는 배면측 편광판을 더 구비하고,
상기 광편향 수단은, 상기 배면측 편광판에 대향하는 표면에 선형 프리즘을 복수 갖는 프리즘 필름을 2장 포함하는 것이며,
한쪽의 프리즘 필름은, 그 선형 프리즘의 능선 방향이 상기 배면측 편광판의 투과축에 대하여 대략 평행하게 되도록 배치되고, 다른 쪽의 프리즘 필름은, 그 선형 프리즘의 능선 방향이 상기 전면측 편광판의 투과축에 대하여 대략 평행하게 되도록 배치되는 액정 표시 장치.
18. The apparatus of claim 17, further comprising a back side polarizing plate disposed between the optical deflecting means and the liquid crystal cell,
The optical deflecting means includes two prism films each having a plurality of linear prisms on a surface of the backside polarizing plate,
One prism film is arrange | positioned so that the ridge line direction of the linear prism may become substantially parallel with respect to the transmission axis of the said back side polarizing plate, and the other prism film has the transmission axis of the linear prism of the linear prism And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rranged to be substantially parallel to each other.
제14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엣지라이트형 면광원과 상기 액정 셀과의 사이에 배치되는 광확산 수단을 더 구비하는 액정 표시 장치. 19.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4 to 18, further comprising light diffusion means disposed between the edge light type surface light source and the liquid crystal cell.
KR1020137003970A 2010-07-27 2011-07-25 Light-scattering film,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light-scattering polarizing plate, and liquid-crystal display device KR101779239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167920 2010-07-27
JPJP-P-2010-167919 2010-07-27
JPJP-P-2010-167920 2010-07-27
JP2010167919 2010-07-27
PCT/JP2011/066867 WO2012014849A1 (en) 2010-07-27 2011-07-25 Light-scattering film,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light-scattering polarizing plate, and liquid-crystal display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1215A true KR20130041215A (en) 2013-04-24
KR101779239B1 KR101779239B1 (en) 2017-09-18

Family

ID=455300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3970A KR101779239B1 (en) 2010-07-27 2011-07-25 Light-scattering film,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light-scattering polarizing plate, and liquid-crystal display device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5887080B2 (en)
KR (1) KR101779239B1 (en)
CN (1) CN103026271B (en)
TW (1) TWI550318B (en)
WO (1) WO2012014849A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22834A (en) * 2015-07-22 2017-11-06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A polarizing film laminate having a transparent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nd a display panel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4757B1 (en) * 2012-10-29 2014-10-27 코닝정밀소재 주식회사 Light diffusing plate,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led illumination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JP2014194880A (en) * 2013-03-28 2014-10-09 Matsuda Screen Inc Light guide plate, lighting device, display device and light guide plate manufacturing method
CN103499853B (en) * 2013-09-29 2014-06-25 杭州瑞辉光电科技有限公司 Light guide plate, planar light emitting devic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iquid crystal display terminal equipment and manufacturing method of light guide plate
JP2015148730A (en) * 2014-02-07 2015-08-20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Light diffusion member for led illumination and led illumination device using the same
KR102053703B1 (en) 2014-03-28 2019-12-09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Composition for Light Diffused Anti-Glare Film and Light Diffused Anti-Glare Film Using the Same
CN103982827A (en) * 2014-05-29 2014-08-13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Backlight module and liquid crystal display
CN104483729A (en) * 2014-11-21 2015-04-01 常州市诺金精密机械有限公司 UV (ultraviolet) protection diffusion plate
JP6192688B2 (en) * 2015-07-09 2017-09-06 三菱電機照明株式会社 Light diffusion cover and light source
JP6641139B2 (en) * 2015-09-25 2020-02-05 三菱電機株式会社 Lighting lamp and lighting device
TWI585475B (en) * 2016-09-02 2017-06-0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Polarizer and display device
JP6829096B2 (en) * 2017-02-08 2021-02-10 帝人株式会社 Method for manufacturing antiglare film and molded product
CN107831560A (en) * 2017-11-30 2018-03-23 宁波激智科技股份有限公司 A kind of Pasting type optical diffusion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CN108828826B (en) * 2018-06-15 2021-01-12 厦门天马微电子有限公司 Curved display pan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curved display panel
CN109270611A (en) * 2018-12-11 2019-01-25 宁波激智科技股份有限公司 A kind of complex optical film that high brightness height covers
WO2020194720A1 (en) * 2019-03-28 2020-10-01 堺ディスプレイプロダクト株式会社 Light-scattering film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O2020204148A1 (en) * 2019-04-03 2020-10-08 日東電工株式会社 Light diffusion film, light diffusion film production method, optical member, display panel for image display device, and image display device
CN111443410A (en) * 2019-05-24 2020-07-24 宁波激智科技股份有限公司 Sensor dimming layer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CN111435181A (en) * 2019-05-24 2020-07-21 宁波激智科技股份有限公司 Dimming sheet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CN111435184A (en) * 2019-05-24 2020-07-21 宁波激智科技股份有限公司 Dimming layer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CN111435183A (en) * 2019-05-24 2020-07-21 宁波激智科技股份有限公司 Interlayer dimming sheet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CN112752995A (en) 2019-08-29 2021-05-04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CN113204064B (en) * 2021-05-08 2023-11-07 广东湾区智能终端工业设计研究院有限公司 Backlight film group, preparation method thereof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67840B2 (en) * 2000-07-31 2010-05-26 東芝モバイルディスプレイ株式会社 Illumination device and light guide plate manufacturing method
JP5011877B2 (en) * 2006-08-04 2012-08-29 凸版印刷株式会社 Anti-glare light diffusing member and display having anti-glare light diffusing member
JP2008020587A (en) * 2006-07-12 2008-01-31 Nec Corp Voice recognition system and method, and program for voice recognition
JPWO2008020587A1 (en) * 2006-08-14 2010-01-07 大日本印刷株式会社 Antiglare optical laminate
JP2008216538A (en) * 2007-03-02 2008-09-18 Toppan Printing Co Ltd Antiglare film
JP4321612B2 (en) * 2007-03-19 2009-08-26 ソニー株式会社 Optical sheet combination body, surface light emitting devic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5394631B2 (en) * 2007-10-24 2014-01-22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Liquid crystal display
JP2009156938A (en) * 2007-12-25 2009-07-16 Sumitomo Chemical Co Ltd Antiglare film, antiglare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device
KR20100020906A (en) * 2008-08-13 2010-02-23 소니 가부시끼가이샤 Optical film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antiglare film, optical layer-attached polarizer, and display apparatus
US9671528B2 (en) * 2008-10-07 2017-06-06 Dai Nippon Printing Co., Ltd. Optical sheet, surface light source device and transmission type display device
JP2010102186A (en) * 2008-10-24 2010-05-06 Sumitomo Chemical Co Ltd Anti-glare film, anti-glare polarizing sheet, and image display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22834A (en) * 2015-07-22 2017-11-06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A polarizing film laminate having a transparent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nd a display pan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026271A (en) 2013-04-03
JP5887080B2 (en) 2016-03-16
CN103026271B (en) 2016-08-03
JP2012048223A (en) 2012-03-08
TW201222081A (en) 2012-06-01
KR101779239B1 (en) 2017-09-18
TWI550318B (en) 2016-09-21
WO2012014849A1 (en) 2012-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87080B2 (en) Light diffusing film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light diffusing 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20120085755A (en) Light-diffusing film,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light-diffusing polarizing plate, and liquid-crystal display device
KR20120079074A (en) Light-diffusing film,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light-diffusing polarizing plate, and liquid-crystal display device
WO2011162133A1 (en) Light-diffusing polarization plate and liquid-crystal display device
KR20120038445A (en) Light diffusion film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mprising same
KR20110102897A (en) Optical film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mprising same
WO2012043410A1 (en) Light-diffusing 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O2010113873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O2011162184A1 (en) Light-diffusing polarization plate and liquid-crystal display device
WO2010073997A1 (en) Optical film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mprising same
JP2012078736A (en) Light diffusion film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light diffusion polarization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O2011162188A1 (en) Light-diffusing 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O2012060457A1 (en) Light diffusion film,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light diffusion film, light-diffusing polarization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6058905B2 (en) Manufacturing method of light diffusion film and manufacturing method of polarizing plate
WO2010113879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2009053622A (en) Light diffusing plate, back light unit for display and display apparatus
JP5827811B2 (en) Liquid crystal display
WO2011162132A1 (en) Light-diffusing polarization plate and liquid-crystal display device
JP2008225228A (en) Optical sheet and backlight unit and display using the same
KR20120123200A (en) Resin composition, optical film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