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40088A - 이중 미세 렌즈 배열 - Google Patents

이중 미세 렌즈 배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40088A
KR20130040088A KR1020110104871A KR20110104871A KR20130040088A KR 20130040088 A KR20130040088 A KR 20130040088A KR 1020110104871 A KR1020110104871 A KR 1020110104871A KR 20110104871 A KR20110104871 A KR 20110104871A KR 20130040088 A KR20130040088 A KR 201300400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array
dual
microlens array
f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48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82815B1 (ko
Inventor
주영구
Original Assignee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101048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2815B1/ko
Publication of KR201300400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00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28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28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5/00Refractors for light sources
    • F21V5/002Refractors for light sources using microoptical elements for redirecting or diffusing light
    • F21V5/004Refractors for light sources using microoptical elements for redirecting or diffusing light using microlen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5/00Refractors for light sources
    • F21V5/008Combination of two or more successive refractors along an optical ax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5/00Refractors for light sources
    • F21V5/04Refractors for light sources of lens shape
    • F21V5/043Refractors for light sources of lens shape the lens having cylindrical faces, e.g. rod lenses, toric len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5/00Refractors for light sources
    • F21V5/04Refractors for light sources of lens shape
    • F21V5/045Refractors for light sources of lens shape the lens having discontinuous faces, e.g. Fresnel len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5/00Refractors for light sources
    • F21V5/04Refractors for light sources of lens shape
    • F21V5/048Refractors for light sources of lens shape the lens being a simple lens adapted to cooperate with a point-like source for emitting mainly in one direction and having an axis coincident with the main light transmission direction, e.g. convergent or divergent lenses, plano-concave or plano-convex len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2/00Exterior vehicle lighting devices for illuminating purpo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1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 F21W2111/1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for personal use, e.g. hand-hel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Lens Barr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중 미세 렌즈 배열은, 다수 개의 렌즈부를 각각 포함하는 제 1, 제 2 미세 렌즈 배열 및 상기 제 1 미세 렌즈 배열과 제 2 미세 렌즈 배열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 1 미세 렌즈 배열과 제 2 미세 렌즈 배열을 접착하는 접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중 미세 렌즈 배열{double stack micro lens array}
본 발명은 조명 장치에서 사용되는 미세 렌즈 배열에 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원통형 렌즈 배열을 마주하여 직교하게 배열하고 중간에 저 굴절률 레진을 채운 이중 미세 렌즈 배열에 대한 것이다.
발광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를 사용하여 손전등 또는 헤드라이트와 같은 조명 장치를 만들 때, 렌즈를 사용하게 된다. 렌즈는 광원에서 나오는 빛을 조명 위치까지 모아주는 역할을 하게 되므로, 조명 목표 위치의 조도를 밝게 하다보면 조명 위치에 상이 생기기 쉽다. 또한 렌즈 경우 굴절 현상을 이용하는데 굴절률은 파장에 따라 달라져서 청색이 더 많이 굴절되고 적색이 적게 굴절하여 가장 자리 부분에서 노란색과 청색의 띠가 생기는 색분리 현상이 생기기 쉽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방법 중의 하나는 미세 렌즈 배열을 사용하는 것인데, 수치 구경(numerical aperture)가 작은 미세 렌즈를 조명계에서 사용하는 주 렌즈와 함께 사용하면 미세 렌즈를 통과하는 빔들이 일정한 각도로 퍼져서 상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고, 주변 미세 렌즈의 광선 다발과 섞이는 작용을 일으킴으로써 색 분리 현상도 사라지게 된다.
그러나 원형 미세 렌즈 배열을 사용할 경우, 원형 미세 렌즈 사이에 빈 공간이 발생하여, 그 빈 공간을 통과하는 광선들은 미세 렌즈 효과를 일으키지 않고 여전히 주 렌즈에 의한 상 효과와 색 분리 현상을 일으키는데 기여하게 된다. 원형 렌즈(10)를 정사각형 격자에 배치할 경우, 채움 비율을 가장 높일 수 있는 한계는 78% 정도이다(도 11 참조). 이것은 반지름이 1인 원과 변의 길이가 2인 정사각형의 면적 비율에서 얻을 수 있는 값이다. 그러나 이 값 또한 원형 렌즈 가장자리 사이의 거리를 0으로 만들었을 때 얻을 수 있는 값으로서, 실제 제작에서, 미세 렌즈의 채움 비율은 대략 70% 이하라고 볼 수 있다. 채움 비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원형 렌즈를 사각형으로 잘라서 배치하는 방법이 있으나 가공이 힘들고 가격도 높아지는 단점이 있다. 미세 렌즈를 만들기 가장 간단한 방법 중 하나는 포토레지스트(photoresist, PR)와 같은 감광성 폴리머로 원기둥 패턴을 형성한 후, 녹히는 용융(reflow)법이 있으며, 이 방법으로는 채움 비율을 높이는데 한계가 있다. 포토리소그라피시에 원형 패턴사이에 PR 두께 만큼 발생하기 때문이다. 결국 30% 정도의 빛은 미세 렌즈의 효과를 볼 수 없기 때문에 미세 렌즈를 사용하여 조명 균일도를 증가시키고 색분리를 막는 효과는 반감될 수 밖에 없다. 도 13에는 채움 비율이 낮은 미세 렌즈 배열을 사용한 경우 상의 모양을 보이고 있다. 미세 렌즈를 사용하지 않은 도 12에 비해서는 어느 정도 개선되었지만, 여전히 상의 윤곽이 보인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채움 비율이 높은 이중 미세 렌즈 배열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미세 렌즈 배열은, 다수 개의 렌즈부를 각각 포함하는 제 1, 제 2 미세 렌즈 배열 및 상기 제 1 미세 렌즈 배열과 제 2 미세 렌즈 배열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 1 미세 렌즈 배열과 제 2 미세 렌즈 배열을 접착하는 접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및 제 2 미세 렌즈 배열은, 원통형(cylindrical) 미세 렌즈 배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수 개의 렌즈부 각각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번갈아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 및 제 2 미세 렌즈 배열의 렌즈부는, 서로 수직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 및 제 2 미세 렌즈 배열은, 렌즈부가 상기 접착부를 향하는 방향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 및 제 2 미세 렌즈 배열은, 렌즈부가 상기 접착부의 반대 방향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 및 제 2 미세 렌즈 배열은, 상기 제 1 미세 렌즈 배열의 렌즈부가 상기 접착부를 향하는 방향에 형성되고 상기 제 2 미세 렌즈 배열의 렌즈부가 상기 접착부의 반대 방향에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제 1 미세 렌즈 배열의 렌즈부가 상기 접착부의 반대 방향에 형성되고 상기 제 2 미세 렌즈 배열의 렌즈부가 상기 접착부를 향하는 방향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 및 제 2 미세 렌즈 배열은, 각각의 렌즈부 폭이 1mm 이하(단, 0은 포함하지 않음)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착부는, 투명한 레진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착부는, 상기 제 1 및 제 2 미세 렌즈 배열의 렌즈부와 굴절률이 다르거나, 또는, 일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 및 제 2 미세 렌즈 배열은, 원형, 사각형 또는 그 외 다각형 중 어느 하나의 렌즈 배열로 이루어지고, 두 렌즈 배열 사이의 빈 공간을 통과하는 광선이 다른 렌즈 배열의 유효 구경 부분을 통과하도록 두 렌즈 배열의 중심 위치가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 미세 렌즈 배열은, 상술한 이중 미세 렌즈 배열이 두 장 이상 접합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렌즈는, 상술한 이중 미세 렌즈 배열, 상기 이중 미세 렌즈 배열과 접착되는 평볼록렌즈(plano-convex), 평오목렌즈(plano-concave) 또는 프레넬(Fresnel)렌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미세 렌즈 배열은 채움 비율이 높아 미세 렌즈 배열을 통과하는 광선은 모두 굴절하여 주변의 광선 다발과 섞이게 됨으로써 조명 면에서 광원의 상이 생기거나 색 분리가 일어나는 현상을 현저히 줄여준다.
도 1은 본원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직교 이중 미세 렌즈 배열 개념도이다.
도 2는 본원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직교 이중 미세 렌즈 배열을 입체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원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 나온 구성도에서, 미세 렌즈 배열로서 본원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직교 이중 미세 렌즈 배열을 사용하여 검출기 표면에 맺히는 상을 계산한 결과를 나타낸 것으로, 중간 레진의 굴절률은 1.4로 가정한 것이다.
도 5는 도 3에서 나온 구성도에서, 미세 렌즈 배열로서 본원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직교 이중 미세 렌즈 배열을 사용하여 검출기 표면에 맺히는 상을 계산한 결과를 나타낸 것으로, 중간 레진의 굴절률은 1.45로 가정한 것이다.
도 6은 본원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형 이중 미세 렌즈 배열을 사용한 경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7은 본원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형 이중 미세 렌즈 배열과 평볼록렌즈를 접합한 조명용 렌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8은 본원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직교 이중 미세 렌즈 배열 개념도이다.
도 9는 본원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직교 이중 미세 렌즈 배열 개념도이다.
도 10은 본원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통형 렌즈 배열의 경우, 렌즈의 방향이 다른 두 개 이상의 렌즈 배열을 렌즈면 상에서 번갈한 배치한 경우를 나타낸 개략적인 개념도이다.
도 11은 종래 일반적인 미세 렌즈 배열을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이다.
도 12는 종래 이중 미세 렌즈 배열이 없는 경우 렌즈에 의한 광원의 상을 계산한 결과를 나타낸 개략적인 도이다.
도 13는 도 11에서 나온 미세 렌즈 배열을 사용하여 검출기 표면에 맺히는 상을 계산한 결과를 나타낸 개략적인 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다르게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만, 이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 및 구체적인 도시를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제 축척대로 도시된 것이 아니라 일부 구성요소의 치수가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중 미세 렌즈 배열(100)은, 제 1 및 제 2 미세 렌즈 배열(120,130)로써 이루어지는 미세 렌즈 배열(110)과, 제 1 및 제 2 미세 렌즈 배열(120,130) 사이에 구비되어, 제 1 및 제 2 미세 렌즈 배열(120,130)을 접착하는 접착부(150)를 포함한다.
제 1 및 제 2 미세 렌즈 배열(120,130)은 각각 다수 개의 렌즈부(122,132)를 포함하고, 원통형(cylindrical) 미세 렌즈 배열로 이루어진다.
제 1 및 제 2 미세 렌즈 배열(120,130)의 렌즈부(122,132)는 서로 마주보며 수직하게 배치된다.
제 1 미세 렌즈 배열(120)과 제 2 미세 렌즈 배열(130)의 렌즈부(122,132)는, 접착부(150)를 향하는 방향에 형성된다.
제 1 및 제 2 미세 렌즈 배열(120,130)의 렌즈부(122,132)는 폭이 1mm이하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착부(150)는, 투명한 레진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접착부(150)는, 그 굴절률이 제 1 및 제 2 미세 렌즈 배열(120,130)의 렌즈부(122,132)와 다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중 미세 렌즈 배열(100)의 사용 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 세로 폭 0.4mm인 LED 광원이 서로 0.2mm 떨어져 있고, 여기서 나오는 빛은 볼록 렌즈(200) 및 이중 미세 렌즈 배열(100)을 통과한 후 광검출판(300)에 상을 맺게 된다. 이중 미세 렌즈 배열(100)이 없을 경우에는, 광검출판(300)에는 도 12와 같은 상이 생긴다. 광원과 렌즈, 렌즈와 상면 사이 거리가 같기 때문에, 광원의 상의 크기는 광원과 같은 크기이고, 떨어져 있는 거리도 0.2mm 정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중 미세 렌즈 배열(100)을 사용한 경우, 조명 면에 생기는 조도 분포를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이중 미세 렌즈 배열(100)은 폭이 0.5mm, 곡률 반경이 0.5mm이고, 굴절률이 1.5이고, 접착부(150)의 굴절률이 1.4이다. 이 경우, 조명 면에는 폭 2 mm 정도의 사각형 패턴이 생기고 광도가 균일함을 볼 수 있다. 접착부(150) 굴절률을 1.45로 조절하면 사각형 패턴의 폭은 도 5에서와 같이 1 mm 정도로 준다. 두 경우 모두 광원의 상 또는 광원 사이의 간격이 생기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접착부(150)의 굴절률을 조절함으로써 사각형 패턴의 폭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중 미세 렌즈 배열은, 이중 미세 렌즈 배열이 두 장 이상 접합하여 이루어지는 다중 미세 렌즈 배열로 이루어지는 경우도 가능하고, 이 경우, 렌즈의 채움 비율이 더욱 증대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형 이중 미세 렌즈 배열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 이중 미세 렌즈 배열(500)은, 원통형 미세 렌즈 대신 렌즈 배열(510)이 제 1 및 제 2 원형 미세 렌즈 배열(520,530)로서 이루어진다. 이때, 제 1 및 제 2 원형 미세 렌즈 배열(520,530)은, 서로 중심 위치가 엇갈리게 배치되어, 렌즈 사이의 빈 공간을 통과하는 광선이 다른 렌즈 배열의 유효 구경 부분을 통과하게 되어 렌즈의 채움 비율을 높이게 된다.
한편, 렌즈 배열(510)은 원형 뿐만 아니라 사각형, 그 외 다각형 렌즈 배열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명용 렌즈를 이루는 일체형 렌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체형 렌즈(600)는, 제 1 및 제 2 미세 렌즈 배열(120,130)을 포함하는 미세 렌즈 배열(110)과, 제 1 및 제 2 미세 렌즈 배열(120,130) 사이에 구비된 접착부(110)와, 제 2 미세 렌즈 배열(130)과 접합된 주 렌즈(610)를 포함한다.
주 렌즈(610)는 평볼록렌즈, 평오목렌즈 또는 프레넬(Fresnel)렌즈로 이루어질 수 있고, 도 7은 예시적으로, 평볼록렌즈(610)를 이용한 것으로 도시하였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렌즈(600)는, 주 렌즈와 이중 미세 렌즈 배열을 따로 사용하지 않고 일체화함으로써, 시스템을 간단하게 만들 수 있으며 표면에서 일어나는 반사 손실 또한 크게 줄일 수 있다. 도 7에서는 이중 미세 렌즈 배열이 주 렌즈 두께와 비슷한 것으로 나와 있으나, 실제 이중 미세 렌즈는 광학 시트 형태로 매우 얇게 제작이 가능하므로 주 렌즈의 두께에 변화를 거의 주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중 미세 렌즈 배열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중 미세 렌즈 배열(700)은, 제 1 및 제 2 미세 렌즈 배열(720,730)로 이루어진 미세 렌즈 배열(710)과, 제 1 및 제 2 미세 렌즈 배열(720,730) 사이에 구비된 접착부(750)를 포함한다.
제 1 및 제 2 미세 렌즈 배열(720,730)은, 렌즈부(722,733)가 접착부(750)의 반대 방향에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이중 미세 렌즈 배열(700)은, 렌즈부(722,733)가 모두 바깥 방향으로 향하게 되므로, 렌즈 곡면과 공기가 경계를 이루기 때문에 렌즈부(722,733)가 접착부(750) 방향으로 향하는 경우보다 초점 거리가 짧아지게 된다. 때문에, 본 실시예에 따른 이중 미세 렌즈 배열(700)은 초점 거리가 짧아지게 되어, 빛을 넓은 각도 퍼트리기 때문에, 광원의 눈부심 현상을 줄여주게 된다. 물론, 본 실시예에 따른 이중 미세 렌즈 배열(700) 역시 고 채움 비율(high fill factor)을 만족함은 물론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이중 미세 렌즈 배열(700)은 접착부(750)의 굴절률이 제 1 및 제 2 미세 렌즈 배열(720,730)의 굴절률과 일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접착부 없이 전체 구조를 하나의 플라스틱 성형으로 제작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중 미세 렌즈 배열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이중 미세 렌즈 배열(800)은, 제 1 및 제 2 미세 렌즈 배열(820,830)로 이루어진 미세 렌즈 배열(810)과, 제 1 및 제 2 미세 렌즈 배열(820,830) 사이에 구비된 접착부(850)를 포함한다.
제 1 미세 렌즈 배열(820)의 렌즈부(822)는 접착부(850)를 향하는 방향에 형성되고, 제 2 미세 렌즈 배열(830)의 렌즈부(833)는 접착부(850)의 반대 방향에 형성된다. 여기서, 제 1 및 제 2 미세 렌즈 배열(820,830)의 렌즈부(822,833)의 방향은 상술한 방향과 반대로 형성되도 무방하다. 결론적으로, 한 쪽은 안쪽을 향하고, 다른 쪽은 바깥쪽을 향하는 형성되면 족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이중 미세 렌즈 배열(800)은, 제 1 미세 렌즈 배열(820)의 렌즈부(822)에 의한 발산각과 제 2 미세 렌즈 배열(830)의 렌즈부(833)에 의한 발산각을 다르게 조절할 수 있어, 조명에서 방향에 따른 다른 발산각을 구현할 때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통형으로 이루어진 이중 미세 렌즈 배열의 경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 렌즈의 방향이 다른 두 개 이상의 렌즈 배열을 렌즈면 상에서 번갈아가며 배치한 경우에, 빔 패턴을 사각형에서 사각 이상의 다각형으로 바꾸는 것도 가능하다. 즉, 렌즈 크기가 10mm×10mm 인 이중 미세 렌즈 배열인 경우, 2.5mm×2.5mm 크기의 구획으로 나누어 서로 다른 방향의 원통형 렌즈 배열을 배치하면 빔 패턴 제어가 가능하다. 보다 일반적으로, 원통형 미세 렌즈 배열은 두 장 뿐 아니라 그 이상의 장 수를 겹쳐서 만들 수 있으며 패턴 모양을 제어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
100: 이중 미세 렌즈 배열 110: 미세 렌즈 배열
120: 제 1 미세 렌즈 배열 130: 제 2 미세 렌즈 배열
122: 렌즈부 150: 접착부
200: 볼록렌즈 300: 광검출면
600: 일체형 렌즈 610: 주 렌즈

Claims (16)

  1. 다수 개의 렌즈부를 각각 포함하는 제 1, 제 2 미세 렌즈 배열; 및
    상기 제 1 미세 렌즈 배열과 제 2 미세 렌즈 배열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 1 미세 렌즈 배열과 제 2 미세 렌즈 배열을 접착하는 접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미세 렌즈 배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미세 렌즈 배열은,
    원통형(cylindrical) 미세 렌즈 배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미세 렌즈 배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 개의 렌즈부 각각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번갈아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미세 렌즈 배열.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미세 렌즈 배열의 렌즈부는,
    서로 수직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미세 렌즈 배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미세 렌즈 배열은,
    렌즈부가 상기 접착부를 향하는 방향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미세 렌즈 배열.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미세 렌즈 배열은,
    렌즈부가 상기 접착부의 반대 방향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미세 렌즈 배열.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미세 렌즈 배열은,
    상기 제 1 미세 렌즈 배열의 렌즈부가 상기 접착부를 향하는 방향에 형성되고 상기 제 2 미세 렌즈 배열의 렌즈부가 상기 접착부의 반대 방향에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제 1 미세 렌즈 배열의 렌즈부가 상기 접착부의 반대 방향에 형성되고 상기 제 2 미세 렌즈 배열의 렌즈부가 상기 접착부를 향하는 방향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미세 렌즈 배열.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미세 렌즈 배열은,
    각각의 렌즈부 폭이 1mm 이하(단, 0은 포함하지 않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미세 렌즈 배열.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부는,
    투명한 레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미세 렌즈 배열.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부는,
    상기 제 1 및 제 2 미세 렌즈 배열의 렌즈부와 굴절률이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미세 렌즈 배열.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부는,
    상기 제 1 및 제 2 미세 렌즈 배열의 렌즈부와 굴절률이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미세 렌즈 배열.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미세 렌즈 배열은,
    원형, 사각형 또는 그 외 다각형 중 어느 하나의 렌즈 배열로 이루어지고,
    두 렌즈 배열 사이의 빈 공간을 통과하는 광선이 다른 렌즈 배열의 유효 구경 부분을 통과하도록 두 렌즈 배열의 중심 위치가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미세 렌즈 배열.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이중 미세 렌즈 배열이 두 장 이상 접합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미세 렌즈 배열.
  14.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이중 미세 렌즈 배열;
    상기 이중 미세 렌즈 배열과 접착되는 평볼록(plano-convex)렌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렌즈.
  15.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이중 미세 렌즈 배열;
    상기 이중 미세 렌즈 배열과 접착되는 평오목(plano-concave)렌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렌즈.
  16.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이중 미세 렌즈 배열;
    상기 이중 미세 렌즈 배열과 접착되는 프레넬(Fresnel)렌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렌즈.
KR1020110104871A 2011-10-13 2011-10-13 이중 미세 렌즈 배열 KR1012828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4871A KR101282815B1 (ko) 2011-10-13 2011-10-13 이중 미세 렌즈 배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4871A KR101282815B1 (ko) 2011-10-13 2011-10-13 이중 미세 렌즈 배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0088A true KR20130040088A (ko) 2013-04-23
KR101282815B1 KR101282815B1 (ko) 2013-07-05

Family

ID=484400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4871A KR101282815B1 (ko) 2011-10-13 2011-10-13 이중 미세 렌즈 배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281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211291A1 (zh) * 2016-06-07 2017-12-14 杭州华普永明光电股份有限公司 发光二极管照明模组
CN109031675A (zh) * 2018-09-17 2018-12-18 广东烨嘉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十字型扩束透镜***及其加工方法
CN111290195A (zh) * 2020-01-22 2020-06-16 东莞市嘉誉光学技术有限公司 一种配光对位的双色温闪光灯透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14002B2 (ja) 1998-11-11 2005-01-2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反射型電気光学装置および投写型表示装置
KR20110025555A (ko) * 2009-09-04 2011-03-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에지형 백라이트 유닛과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211291A1 (zh) * 2016-06-07 2017-12-14 杭州华普永明光电股份有限公司 发光二极管照明模组
US10808912B2 (en) 2016-06-07 2020-10-20 Hangzhou Hpwinner Opto Corporation Light-emitting diode lighting module
CN109031675A (zh) * 2018-09-17 2018-12-18 广东烨嘉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十字型扩束透镜***及其加工方法
CN111290195A (zh) * 2020-01-22 2020-06-16 东莞市嘉誉光学技术有限公司 一种配光对位的双色温闪光灯透镜***
CN111290195B (zh) * 2020-01-22 2021-05-07 东莞市嘉誉光学技术有限公司 一种配光对位的双色温闪光灯透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82815B1 (ko) 2013-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17552B2 (en) Illumination device
US8899782B2 (en) Lighting system and light source unit for such a system
KR102266749B1 (ko) 엘이디 디스플레이장치
KR20150076551A (ko) 광학 부재 및 이를 이용하는 조명 장치
US10416367B2 (en) Front light module and display module
KR20150092653A (ko) 광학 부재 및 이를 이용하는 조명 장치
KR20150076553A (ko) 선형광을 이용하는 조명장치
KR101282815B1 (ko) 이중 미세 렌즈 배열
JP5403255B2 (ja) 照明装置およびプロジェクター
US10564470B2 (en) Backlighting device
US9465143B2 (en) Lens optical element and display apparatus
WO2015082575A1 (en) Optical device, lighting device and lighting system
JP2008070769A (ja) 光源ユニット、照明装置およびプロジェクタ装置
WO2005084213A2 (en) Light recycler and color display system including same
CN203363991U (zh) 一种led二次光学透镜
TW201224623A (en) Display device
US10801694B2 (en) Lens having mutually different optical segments
CN115857252A (zh) 一种高效、高均匀度的辅助照明***的配光结构
US10008137B2 (en) Illuminated sign with compartmented portion
RU120747U1 (ru) Светоизлучающий диодный модуль
JP2016189299A (ja) 面光源装置および表示装置
CN110822311A (zh) 一种基于微透镜阵列的准直光源
US10174906B2 (en) LED luminaire tiling with a lens array containing a plurality of lenslets
KR102604393B1 (ko) 배광각 변형이 용이한 투광등 장치.
KR102367044B1 (ko) 항공장애표시등용 광학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