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37857A - 퇴행성 무릎관절 교정장치 - Google Patents

퇴행성 무릎관절 교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37857A
KR20130037857A KR1020110102347A KR20110102347A KR20130037857A KR 20130037857 A KR20130037857 A KR 20130037857A KR 1020110102347 A KR1020110102347 A KR 1020110102347A KR 20110102347 A KR20110102347 A KR 20110102347A KR 20130037857 A KR20130037857 A KR 201300378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ee
buckle
correction
line
calibration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23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덕
Original Assignee
김용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덕 filed Critical 김용덕
Priority to KR10201101023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37857A/ko
Publication of KR201300378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78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5/0104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without articulation
    • A61F5/0106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without articulation for the kne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5/0104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without articulation
    • A61F5/011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without articulation for the feet or ank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42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extension or stretch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퇴행성 무릎관절 교정장치는, 발의 내측을 버틸 수 있게 해주는 교정신발(110); 무릎부위에 설치되는 무릎아대(130); 및 무릎아대(130)의 외측과 교정신발(110)의 내측을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교정라인(1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교정신발을 착용하는 그 자체만으로 발의 전내측 및 후내측에 외측방향으로 힘이 작용하기 때문에 내반슬 교정효과가 나타난다. 이는 사용자의 체중을 이용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사용자가 누워있는 와중에도 교정의 효과를 볼 수 있다. 따라서 종래와 비교할 때 그 효용면에서 매우 탁월하다.

Description

퇴행성 무릎관절 교정장치{Orthodontic apparatus for generative knee joint}
본 발명은 퇴행성 무릎관절 교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내반슬(Genu Varus, 일명 O형 다리)에 의한 퇴행성 무릎관절을 교정하기에 적합한 퇴행성 무릎관절 교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무릎관절은 대퇴골(femur)과 경골(tibia)의 접촉으로 이루어지며, 그 주위의 근육, 힘줄, 인대들에 의해 관절이 안정하게 유지된다. 대퇴골과 경골 뼈의 끝에는 2~4mm 두께의 연골이 있어 뼈를 보호해주고, 반달모양의 섬유 연골판(menisci)이 관절 양쪽에 위치하여 관절면을 더 잘 맞춰주고 충격도 흡수해 준다.
퇴행성 관절염(골관절염)은 연골이 손상되거나 퇴행성 변화로 인해서 관절강이 좁아지고 염증과 통증이 생기는 질환으로서, 나중에는 관절에 변형이 오고 일상생활에도 지장을 가져오는 무서운 병이다. 이 퇴행성관절염이 가장 흔하게 오는 부위는 무릎 안쪽인데, 이는 걷거나 서 있을 때 체중의 75~90%가 무릎 안쪽으로 쏠리기 때문이다. 즉, 퇴행성 관절염 환자는 통상적으로 무릎이 벌어지는 내반슬(일명 O형 다리)로 인해 무릎관절(슬관절)의 안쪽에 체중부하가 집중되어 발병률이 높아지거나, 또는 병변의 진행으로 내반슬을 동반하는 것이 일반적 소견이다.
도 1은 내반슬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상적인 경우에는 대퇴골(10)과 경골(20)이 만나는 무릎관절(30)이 하지 기계적 축(11)에서 벗어나지 않지만, 내반슬의 경우에는 무릎관절(30)이 하지 기계적 축(11)에서 바깥쪽으로 벗어나게 되어 무릎관절(30)의 외측보다는 내측으로 과다하게 체중이 집중되어 이 부분에서 쿠션과 충격완화 작용을 하는 연골이 닿아 없어지면서 퇴행성 관절염이 발병하게 되고 나아가 대퇴골(10)과 경골(20)이 직접 닿으면서 통증까지 수반되는 것이다.
내반슬의 경우 무릎관절(30)의 외측보다 내측에 과다한 하중이 실리게 되는데, 이는 발의 내측에 비하여 외측에 더 하중이 실리게 서거나 걷는 나쁜 습관에 의하여 생기는 것이 대부분이며, 또한 퇴행성 관절염의 병변이 진행되어 생기는 경우도 있다. 일단 내반슬이 형성되면 기하학적으로 발의 내측에 비하여 외측에 하중이 더 실리게 되어 교정을 하지 않는 한 내반슬이 더욱 심화되게 된다.
퇴행성 관절염은 통상 소염 진통제나 마사지팩 등을 사용하여 치료하고 있으나, 이는 일시적으로 고통을 진정시키는 역할만 할 뿐 실질적 치료에는 사실상 효능이 없다고 보고 있다. 퇴행성 관절염을 치료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8-14133호(2008.02.13 공개)에 무릎교정 신발이 개시된 바 있다. 여기서의 무릎교정 신발은 신발에 중량체를 집어 넣어서 사용자가 신발을 신고 보행할 때에 중량체의 무게에 의해서 사용자의 무릎관절에 대한 견인 역할이 진행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무릎관절을 이루는 대퇴골과 경골이 비뚤어지는 현상이 교정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무릎교정 신발은 걸을 때의 무릎통증을 완화시킬 수 있을지는 몰라도 내반슬을 교정하기 위한 근본적인 해결책이 될 수는 없는 것이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763601호(2007.09.27 등록)에는 3점 압박식 내측무릎 인장밴드에 관하여 개시된 바 있다. 여기서의 3점 압박식 내측무릎 인장밴드는 에어펌프에 의한 공기압으로 무릎관절의 안쪽부분을 벌려 대퇴골과 경골을 닿지 않게 함으로써 착용자가 보행시 통증을 느끼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여기서의 3점 압박식 내측무릎 인장밴드는 무릎부위의 교정만 고려할 뿐 근본적으로 내반슬을 야기하는 발부위의 하중 편중은 전혀 고려하고 있지 않다.
한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6-69539호(2006.06.21 등록)에는 무릎의 내측관절연골에 가해지는 하중을 줄일 수 있는 보조장치에 대하여 개시되어 있다. 여기서의 보조장치는 하중의 전달이 무릎외측으로 유도되도록 한쪽으로 경사진 깔창을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여기서의 깔창은 사람이 서 있는 경우에 비로소 효과가 발생하는 것이며 누워 있을 때에는 무용지물이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사람이 서 있을 때 뿐만 아니라 누워 있을 때 즉, 무릎이나 발에 하중이 실리지 않을 때에도 내반슬의 교정에 기여토록 함으로써 퇴행성 무릎관절을 치료할 수 있는 퇴행성 무릎관절 교정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퇴행성 무릎관절 교정장치는,
발의 내측을 버틸 수 있게 해주는 교정신발;
무릎부위에 설치되는 무릎아대; 및
상기 무릎아대의 외측과 상기 교정신발의 내측을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교정라인;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교정라인을 상기 무릎의 뒤쪽방향으로 잡아당기도록 상기 무릎아대에 교정라인 당김수단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무릎아대는 버클과 벨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버클 내부의 윗면과 아랫면 중 어느 한 곳에는 상기 버클의 좌우 길이방향을 따라 멈춤돌기가 복수개 돌출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버클의 앞면에는 슬릿이 형성되며,
상기 교정라인 당금수단은,
상부가 개방되며 상기 교정라인에 연결되어 상기 버클의 좌우 길이방향으로 활주하도록 상기 버클내에 설치되는 슬리브;
상기 슬리브 내에 설치되는 스프링;
상기 슬리브의 개방된 상부를 통하여 위로 돌출되어 상기 버클의 멈춤돌기에 걸리도록 상기 스프링 상에 설치되는 눌림버튼; 및
상기 버클의 슬릿을 통해 밖으로 튀어 나오도록 상기 슬리브의 외측면에 설치되는 손잡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멈춤돌기와 상기 눌림버튼은 서로 만나는 끝 부위가 각각 라운드 형태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교정라인은 삽입 교정라인과 바깥 교정라인으로 구분되고, 상기 삽입 교정라인은 상기 바깥 교정라인에 삽입되어 들어가도록 설치되며, 상기 삽입 교정라인의 바깥면에는 걸림턱이 설치되고, 상기 바깥 교정라인에는 상기 걸림턱에 걸리는 걸림수단이 설치되어 상기 걸림턱과 걸림수단의 걸림에 의해서 상기 교정라인의 전체 길이가 결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교정신발을 착용하는 그 자체만으로 발의 전내측 및 후내측에 외측방향으로 힘이 작용하기 때문에 내반슬 교정효과가 나타난다. 이는 사용자의 체중을 이용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사용자가 누워있는 와중에도 교정의 효과를 볼 수 있다. 따라서 종래와 비교할 때 그 효용면에서 매우 탁월하다. 또한 길이조절수단을 통하여 착용자 스스로에게 맞게 교정라인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되므로 다양한 크기의 사람에게 착용시킬 수 있고, 또한 교정라인 당김수단을 통하여 교정라인의 당김 정도를 조절함으로써 내반슬의 교정강도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환자에게 착용케 할 수 있다.
도 1은 내반슬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퇴행성 무릎관절 교정장치(100)의 기본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릎관절 교정장치(10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도 3의 교정신발(11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 및 도 6은 도 3의 무릎아대(13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도 7은 교정라인 담김수단(20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길이조절수단(30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제시된 것일 뿐이며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돼서는 안 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퇴행성 무릎관절 교정장치(100)의 기본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무릎의 내반슬(Genu Varus) 현상은 거골(Talus)의 전상방(Anterior Lateral) 탈구현상에 의하여 사람이 선자세에서 주상골(Navicular bone), 종골의 내회전현상으로 인하여 무릎관절 내회전과 대퇴골의 외회전, 외전(External Rotation, Abduction)이 일어남으로써 발생한다. 이 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교정장치(100)를 이용하여 내반슬에 대한 반대압으로서 발목관절에 일정한 힘을 가하여 발목관절의 외회전(supination)을 유도한다. 즉, 발의 전내(前內)측에 내측방향에서 외측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도록 하고(참조부호 A), 발의 후내(後內)측에 내측방향에서 외측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도록 하며(참조부호 B), 또한, 무릎관절에는 외측부에서 내측부로 비골(Febular)에 힘이 가해지도록 한다(참조부호 C). 그러면, 대퇴골의 외회전과 발목관절의 외회전(Supination)이 유도되어 무릎내측에 쏠리는 현상인 내반슬(일명: O형 다리)이 교정된다.
이렇게 본 발명은 사람의 하중을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관절 외측방향에 미는 힘을 이용하기 때문에 사람이 서 있을 때 뿐만 아니라 누워 있을 때에도 내반슬 교정치료를 할 수 있게 되며, 이러한 내반슬의 교정으로 인하여 무릎관절 연골의 불안정과 관절낭 부위의 손상이 예방 또는 방지되기 때문에 퇴행성 무릎관절의 치료에도 매우 유효하다. 또한 내반슬이 심한 경우에는 본 발명에 따른 교정장치를 통하여 미용상의 목적 또한 이루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릎관절 교정장치(10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릎관절 교정장치(100)는 교정신발(110), 교정라인(120), 및 무릎아대(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무릎아대(130)는 무릎 근방에 채워지며, 무릎아대(130)는 무릎이 굽혔다 펴졌다 하는데 방해가 되지 않도록 무릎의 바로 위 또는 밑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무릎아대(130)는 무릎을 감싸도록 설치될 수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무릎아대(130)의 상부와 하부가 서로 유연한 재질로 연결되거나 또는 힌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에서는 무릎아대(130)가 무릎의 바로 위쪽에 채워지는 경우가 도시되었다. 교정라인(120)은 무릎아대(130)의 외측부와 교정신발(110)의 내측부를 연결하도록 설치된다.
발 및 발목부위에는 내측에서 외측으로 미는 힘(바깥쪽으로 미는 힘)을 가하고, 무릎 바로 아랫부위인 비골 부위에는 외측에서 내측으로 미는 힘(안쪽으로 미는 힘)을 가함으로써 2의 반대압을 이용하여 내반슬을 교정하기 위해서는 교정라인(120)이 팽팽히 잡아 당겨져야 한다. 이 때 교정라인(120)이 무릎아대(130)의 외측(D)에서 무릎의 뒤쪽으로 잡아당겨질수록 무릎 바로 아랫부분인 비골 부위에 작용하는 외측에서 내측으로 미는 힘과 발 및 발목 부위에 작용하는 내측에서 외측으로 미는 힘의 크기가 더 커지게 되어 교정의 강도가 심화된다. 교정라인(120)은 일반적인 유연한 줄이 될 수도 있지만, 인성(toughness)과 강성(stiffness)을 가지는 재질, 예컨대 철재 띠를 뫼비우스 띠처럼 꼬이도록 하여 형성하는 것이 교정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도 4는 도 3의 교정신발(11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오른쪽 신발의 경우를 예로 든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퇴행성 무릎관절 교정장치는 교정신발(110)만을 가지고서도 소기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교정신발(110)은 발수납부(111)와 버팀목부(1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발수납부(111)는 발이 끼워지는 부분이고, 버팀목부(112)는 발수납부(111)에서 위로 연장되어 발목 위 종아리 부분 즉, 경골이나 비골을 좌우에서 지지하는 부분이다. 발수납부(111)에는 발등부분을 꽉 조아서 발을 고정할 수 있도록 발 조임수단(113)이 설치되고, 버팀목부(112)에는 종아리를 꽉 조아서 고정할 수 있는 종아리 조임수단(114)이 설치된다. 발 조임수단(113)에는 발등에 상처가 나지 않도록 쿠션(115)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임수단(113, 114)을 조이면 버팀목부(112)가 곧바로 서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내반슬의 경우 발의 전, 후내측에 내측방향에서 외측방향으로 힘이 가해지게 된다(참조부호 A, B). 또한 무릎관절 바로 아래부분인 비골에는 외측에서 내측으로 힘이 가해지게 된다(참조부호 C). 발과 비골에 앞뒤방향으로 힘이 작용되도록 할 필요까지는 없으므로 발수납부(111)와 버팀목부(112)는 발과 종아리의 내측과 외측(좌우 양쪽)을 지지할 수 있도록 설치되면 족하다.
버팀목부(112)에 의해 발과 비골에 힘(A, B, C)이 가해지도록 버팀목(112)은 발수납부(111)에 대해서 좌우로 흔들리지 않도록 고정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버팀목부(112)를 발수납부(111)에 일체형으로 설치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버팀목부(112)와 발수납부(111)가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지면 자체 뒤틀림에 의해서 그 기능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할 수 있으므로 버팀목부(112)와 발수납부(111)는 강성(stiffness)이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발이나 종아리에 멍이 드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버팀목부(112)와 발수납부(111)의 내부는 탄성재질로 마무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교정신발의 형태는 발목관절의 거골의 전상방 아탈구(Subluxation)현상에 따르는 주상골(Navicular), 종골(Calcaneous)의 내회전과 결합된 내전현상(Pronation)으로 나타나는 뒷꿈치의 내회전, 내전에 대하여 위와 같은 정립자세를 만들기 위한이 주 목적이고 위의 도 4는 이 목적에 맞는 형태를 나타낸것이다.
여기에 무릎외측부의 비골에 외측에서 내측으로 가하는 힘의 형태를 제공할 수 있게 되면 중력이 제거된 자세(누운자세, 앉은자세)등에서 과도한 힘을 가하지 않고 대퇴골의 내회전과 경골, 비골의 내회전을 동시에 유발할 수 있기에 내반슬 교정효과가 나타난다. 이는 사용자의 체중을 이용하는 것이 아니고 단순한 무릎이하의 관절에 상대적인 반대압 즉 발, 발목부위는 내측에서 외측으로 미는 힘을 가하고, 무릎 바로 아랫부위인 비골 부위는 외측에서 내측으로 미는 힘을 가하기 때문에 종래와 달리 누워있는 와중에도 교정의 효과를 볼 수 있다. 따라서 종래와 비교할 때 그 효용성면에서 매우 탁월하다.
이러한 교정신발(110)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무릎아대(130)와 교정라인(120)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도 3에서와 같이 발의 내측을 버틸 수 있게 해주는 역할만 으로도 족하다.
도 5 및 도 6은 도 3의 무릎아대(13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고, 도 7은 교정라인 당김수단(20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비골과 발 사이에 작용하는 2개의 반대압을 크게 하기 위해서는 교정라인(120)이 무릎아대(130)의 외측(D)에서 무릎의 뒤쪽으로 감기면서 잡아 당겨져야 한다. 이를 위해 무릎아대(130)에 교정라인 당김수단(200)이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무릎아대(130)는 버클(131)과 벨트(139)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벨트(139)는 무릎아대(130)를 무릎에 묶기 위한 것이고, 버클(131) 내부에는 교정라인 당김수단(200)이 설치된다.
교정라인 당금수단(200)은 슬리브(135), 스프링(136), 및 눌림버튼(137)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슬리브(135)는 위가 개방되며 그 내부에 스프링(136)이 설치된다. 스프링(136) 상에는 눌림버튼(137)이 슬리브(135)의 개방된 상부로 돌출되어 나오도록 설치된다. 눌림버튼(137)이 슬리브(135)에서 완전히 빠져나와 버리지 않도록 슬리브(135)와 눌림버튼(137)에는 각각 걸림턱(135a, 137a)이 설치된다.
버클(131)의 앞면에는 가로로 슬릿(132)이 뚫려 있으며, 버클(131)의 내부 윗면에는 버클(131)의 좌우 길이방향으로 멈춤돌기(133)가 복수개 설치된다. 멈춤돌기(133)는 버클(131)의 내부 윗면 또는 밑면 중 어느 한 곳에 설치되면 족하며, 도 5에서는 윗면에 설치되는 경우가 도시되었다. 눌림버튼(137)은 멈춤돌기(133)에 닿도록 설치된다. 멈춤돌기(133)의 맞은편 즉, 버클(131)의 내부 밑면에는 슬리브(135)가 일직선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가이드홈(134)이 형성된다.
스프링(136)의 밑에는 받침대(138)가 설치될 수 있다. 슬리브(135)의 밑면이 막혀 있는 경우에는 슬리브(135)의 밑면이 받침대 역할을 하기 때문에, 받침대(138)가 특별히 필요하지 않을 수 있으나, 슬리브(135)의 밑면이 개방된 형태를 하는 경우에는 받침대(138)가 반드시 요구된다.
슬리브(135)에는 손잡이(210)가 설치된다. 손잡이(210)는 슬릿(132)을 통하여 외부로 돌출되도록 설치된다. 교정라인(120)은 슬리브(135)에 고정되도록 연결되는데, 슬리브(135)에서 떨어지지 않도록 관통공이 형성되어 손잡이(210)에 끼워지도록 설치된다. 물론 기타 공지된 다른 방법으로 슬리브(135)에 연결될 수 있다.
이렇게 무릎아대(130)에 교정라인 당김수단(200)을 설치하게 되면, 무릎아대(130)를 착용한 자는 손쉽게 직접 손잡이(210)를 잡고 슬리브(135)를 좌우로 이송시킴으로써 교정라인(120)의 당김 정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되어 바람직하다. 눌림버튼(137)이 멈춤돌기(133)를 쉽게 넘을 수 있도록 눌림버튼(137)과 멈춤돌기(133)가 만나는 끝단은 각각 라운드(round) 형상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눌림버튼(137)이 멈춤돌기(133)를 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길이조절수단(30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사람마다 무릎과 발 사이의 길이가 다르기 때문에 교정라인(120)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길이조절수단(300)이 교정라인(120)의 소정부위에 설치된다. 길이조절수단(300)은 걸림턱(310)과 걸림수단(3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교정라인(120)은 두 개로 분리되어 한쪽이 다른 한쪽에 삽입되는 구조를 가지며, 삽입 교정라인(121)의 바깥면에는 걸림턱(310)이 형성되고, 바깥 교정라인(122)에는 걸림수단(320)이 설치된다. 걸림수단(320)은 걸림부(321), 몸체(324), 누름부(322), 및 회동수단(32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걸림수단(320)의 몸체(324)는 바깥 교정라인(122)의 외측면에 회동수단(323)을 통하여 결합되고, 몸체(324)의 한쪽 끝단에는 바깥 교정라인(122)의 관통공을 통하여 안쪽으로 돌출되어 걸림턱(310)에 걸리도록 걸림부(321)가 형성되며, 다른 한쪽 끝단에는 손으로 누르게 되면 몸체(324)가 회동하여 걸림부(321)가 걸림턱(310)에서 빠지도록 누름부(322)가 바깥쪽으로 절곡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길이조절수단(300)을 통하여 착용자 스스로에게 맞게 교정라인(12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되므로 다양한 크기의 사람에게 착용시킬 수 있고, 또한 교정라인 당김수단(200)을 통하여 교정라인(120)의 당김 정도를 조절함으로써 내반슬의 교정강도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환자에게 착용케 할 수 있다. 특히 교정의 정도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교정의 진척 정도에 따라 새로운 교정장치로 교체하지 않아도 되어 매우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수면상태와 같이 누워 있는 상태에서도 그 효능을 발휘할 수 있으므로 그 효용면에서 종래에 비하여 매우 탁월하다.
1: 하지 기계적 축
10: 대퇴골
20: 경골
30: 무릎관절
100: 퇴행성 무릎관절 교정장치
110: 교정신발
111: 발수납부
112: 버팀목부
113, 114: 조임수단
115: 쿠션
120: 교정라인
130: 무릎아대
131: 버클
132: 슬릿
133: 멈춤돌기
134: 가이드홈
135: 슬리브
135a, 137a: 걸림턱
136: 스프링
137: 눌림버튼
138: 받침대
139: 벨트
200: 교정라인 담김수단
210: 손잡이
300: 길이조절수단
310: 걸림턱
320: 걸림수단
321: 걸림부
322: 누름부
323: 회동수단
324: 몸체

Claims (5)

  1. 발의 내측을 버틸 수 있게 해주는 교정신발;
    무릎부위에 설치되는 무릎아대; 및
    상기 무릎아대의 외측과 상기 교정신발의 내측을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교정라인;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퇴행성 무릎관절 교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정라인을 상기 무릎의 뒤쪽방향으로 잡아당기도록 상기 무릎아대에 교정라인 당김수단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퇴행성 무릎관절 교정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무릎아대는 버클과 벨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버클 내부의 윗면과 아랫면 중 어느 한 곳에는 상기 버클의 좌우 길이방향을 따라 멈춤돌기가 복수개 돌출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버클의 앞면에는 슬릿이 형성되며,
    상기 교정라인 당금수단은,
    상부가 개방되며 상기 교정라인에 연결되어 상기 버클의 좌우 길이방향으로 활주하도록 상기 버클내에 설치되는 슬리브;
    상기 슬리브 내에 설치되는 스프링;
    상기 슬리브의 개방된 상부를 통하여 위로 돌출되어 상기 버클의 멈춤돌기에 걸리도록 상기 스프링 상에 설치되는 눌림버튼; 및
    상기 버클의 슬릿을 통해 밖으로 튀어 나오도록 상기 슬리브의 외측면에 설치되는 손잡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퇴행성 무릎관절 교정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멈춤돌기와 상기 눌림버튼은 서로 만나는 끝 부위가 각각 라운드 형태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퇴행성 무릎관절 교정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정라인이 삽입 교정라인과 바깥 교정라인으로 구분되고, 상기 삽입 교정라인은 상기 바깥 교정라인에 삽입되어 들어가도록 설치되며, 상기 삽입 교정라인의 바깥면에는 걸림턱이 설치되고, 상기 바깥 교정라인에는 상기 걸림턱에 걸리는 걸림수단이 설치되어 상기 걸림턱과 걸림수단의 걸림에 의해서 상기 교정라인의 전체 길이가 결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퇴행성 무릎관절 교정장치.
KR1020110102347A 2011-10-07 2011-10-07 퇴행성 무릎관절 교정장치 KR2013003785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2347A KR20130037857A (ko) 2011-10-07 2011-10-07 퇴행성 무릎관절 교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2347A KR20130037857A (ko) 2011-10-07 2011-10-07 퇴행성 무릎관절 교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7857A true KR20130037857A (ko) 2013-04-17

Family

ID=484386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2347A KR20130037857A (ko) 2011-10-07 2011-10-07 퇴행성 무릎관절 교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3785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63178B2 (en) Reinforced stocking or sock for the prevention and/or treatment of hallux valgus
US10675168B2 (en) Ankle foot orthosis
US9492304B2 (en) Orthopedic device for mechanical treatment of hallux valgus
EP2381902B1 (en) Weight-bearing lower extremity brace
US8540655B2 (en) Weight-bearing lower extremity brace
US11951027B2 (en) Customizable knee brace intended for patients with osteoarthritis
JP6364574B1 (ja) 踵足首サポーター
KR101500297B1 (ko) 휜 다리 교정용 하의
KR20090065734A (ko) 발목 고정 보조기
KR101848639B1 (ko) 퇴행성 무릎 관절염 치료를 위한 무릎 교정 장치
US9956108B2 (en) Sock assembly for correcting toe deformation
KR100388136B1 (ko) 인체공학적 단하지 보조기
EP3533352A1 (en) Minimalist barefoot shoes for correcting flatfeet
US9622898B1 (en) Ankle brace
JP2019123952A (ja) 靴下型サポーター
US11246730B2 (en) Flexible wearable foot sling
KR20130037857A (ko) 퇴행성 무릎관절 교정장치
CN111387636A (zh) 一种拇外翻主动式矫正鞋
KR102462175B1 (ko) 발가락 스트레칭기
US20220071807A1 (en) Flexible Wearable Foot Sling
KR20060069539A (ko) 슬관절 퇴행성 관절염으로 인한 통증 완화 및 오형으로변형된 다리 교정과 관절염 예방을 위한 보조장치
CA2904474A1 (en) Device for mitigating plantar fasciiti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