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32195A - 휴대 전자기기 - Google Patents

휴대 전자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32195A
KR20130032195A KR1020110095957A KR20110095957A KR20130032195A KR 20130032195 A KR20130032195 A KR 20130032195A KR 1020110095957 A KR1020110095957 A KR 1020110095957A KR 20110095957 A KR20110095957 A KR 20110095957A KR 20130032195 A KR20130032195 A KR 201300321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portable electronic
region
case
wind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59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동한
차일구
손영수
주원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959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32195A/ko
Priority to US13/624,803 priority patent/US9086846B2/en
Priority to EP12185467.3A priority patent/EP2573645A3/en
Priority to CN201210356245.9A priority patent/CN103024138B/zh
Publication of KR201300321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21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2External expansion units, e.g. docking 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4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detachable, e.g. for remote us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88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integrated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258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used with computer equipment
    • H01Q1/2266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used with computer equipment disposed inside the comput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54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comprising one or a plurality of mechanically detachable modu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3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e.g. telephone hand-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02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 H04R7/04Plane diaphragms
    • H04R7/045Plane diaphragms using the distributed mode principle, i.e. whereby the acoustic radiation is emanated from uniformly distributed free bending wave vibration induced in a stiff panel and not from pistonic mo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3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 H04R1/34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by using a single transducer with sound reflecting, diffracting, directing or guiding means
    • H04R1/345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by using a single transducer with sound reflecting, diffracting, directing or guiding means for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00/00Loudspeakers
    • H04R2400/03Transducers capable of generating both sound as well as tactile vibration, e.g. as used in cellular 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60/00Details of hearing devices, i.e. of ear- or headphones covered by H04R1/10 or H04R5/033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their subgroups, or of hearing aids covered by H04R25/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460/13Hearing devices using bone conduction transduc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1Transducers incorporated or for use in hand-held devices, e.g. mobile phones, PDA's, camer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제1 바디,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구동하는 회로기판이 내장되며 상기 제1 바디의 후면에 결합되는 제2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바디의 후면은 상기 제1 바디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제1 영역과 상기 제1 영역에 의하여 한정되는 제2 영역으로 구획되고, 상기 제2 바디는 상기 제1 바디의 전면에 의하여 가려지도록 상기 제2 영역에 배치되는 휴대 전자기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휴대 전자기기{MOBILE DEVICE}
본 발명은 시각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휴대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
휴대 전자기기는 휴대가 가능하면서 음성 및 영상 통화 기능, 정보를 입·출력하는 기능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 등을 하나 이상 갖춘 전자기기이다.
휴대 전자기기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잡한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멀티 미디어 기기에는 복잡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면에서 새로운 다양한 시도들이 적용되고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쉽고 편리하게 기능을 검색하거나 선택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환경이 제공되고 있다.
최근 휴대 전자기기는 전면의 대부분이 화면으로 구성되는 바 타입으로 주로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바 타입은 디자인적 차별화에 어려움이 있으며, 따라서 대화면을 구현하면서도 차별화된 디자인을 구현하는 새로운 폼팩터(form factor)가 고려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새로운 폼팩터로 이루어지는 휴대 전자기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 전자기기에서 대화면을 쉽고 안정되게 사용할 수 있는 메커니즘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는 휴대 전자기기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제1 바디,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구동하는 회로기판이 내장되며 상기 제1 바디의 후면에 결합되는 제2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바디의 후면은 상기 제1 바디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제1 영역과 상기 제1 영역에 의하여 한정되는 제2 영역으로 구획되고, 상기 제2 바디는 상기 제1 바디의 전면에 의하여 가려지도록 상기 제2 영역에 배치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2 바디의 측면과 상기 제1 바디의 측면이 서로 단지도록 상기 제2 바디는 상기 제1 바디보다 적은 크기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 바디의 측면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바디와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바디의 측면은 상기 제2 바디의 측면과 반대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일 예로서, 상기 제2 바디의 측면에는 상기 제1 바디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걸림이 가능하도록 돌기가 돌출된다.
본 발명과 관련된 또 다른 일 예로서, 상기 제1 바디의 전면에는 윈도우가 장착되고, 상기 제1 영역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윈도우와 평행하게 형성된다.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제2 바디에 의하여 덮이며, 상기 제1 영역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제2 바디의 상기 제2 영역에 의하여 덮이는 면은 개구되며, 상기 제2 바디에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2 바디의 개구되는 부분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바디를 지지하는 프레임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은 상기 제2 영역에서 상기 제1 바디의 후면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또 다른 일 예로서,상기 제1 바디의 외관을 형성하는 제1 케이스와 상기 제2 바디의 외관을 형성하는 제2 케이스는 서로 다른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케이스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케이스에는 윈도우가 장착되며, 상기 윈도우를 보호하도록 상기 제1 케이스와 상기 윈도우의 사이에는 상기 제1 케이스보다 연성재질의 보호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또 다른 일 예로서, 상기 회로기판과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라인은 상기 제2 영역을 관통하고, 상기 제1 바디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기능과 관련된 전자소자들이 장착되고, 상기 제2 바디에는 통화 기능을 구현하는 전자소자들이 장착된다.
본 발명과 관련된 또 다른 일 예로서, 상기 제2 바디에는 음향출력소자가 장착된다. 상기 음향출력소자는 골전도 리시버를 포함하고, 상기 골전도 리시버는 상기 제1 바디의 후면으로 진동을 전달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바디에는 무선신호를 송신하는 안테나 모듈이 장착되고, 상기 골전도 리시버는 상기 안테나 모듈에 장착되며,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바디의 후면과 면접촉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또 다른 일 예로서, 상기 제1 바디에는 상기 음향출력소자에서 출력되는 음향이 유입되는 유입홀과, 상기 유입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음향을 가이드하는 음향출력통로가 형성된다.
본 발명과 관련된 또 다른 일 예로서, 상기 제1 및 제2 바디는 서로 착탈가능하게 결합한다. 상기 제1 바디의 후면 및 상기 제2 바디의 전면에는 각각 서로 대응되는 후크들이 형성되며, 상기 후크들은 상기 제1 및 제2 바디가 상대 슬라이딩함에 따라 체결 또는 분리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바디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제1 바디의 후면 및 상기 제2 바디의 전면에는 각각 상기 제1 및 제2 바디가 서로 체결되면 서로 접촉하는 제1 및 제2 연결단자가 배치된다. 상기 제1 및 제2 연결단자 중 어느 하나는 탄성에 의하여 다른 하나를 가압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휴대 전자기기가 제1 및 제2 바디의 적층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제1 바디의 화면이 커짐에도 불구하고 제2 바디를 통하여 안정된 그립감을 구현한다.
또한, 본 발명은 통화 기능을 구현하는 전자소자들이 제2 바디에 장착됨에 따라, 제1 바디에 구비되는 베젤의 폭이 보다 좁아질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보다 대화면의 디스플레이부가 구현될 수 있다. 특히, 음향출력소자가 제2 바디에 장착됨에 따라, 제1 바디가 보다 슬림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적층되는 제1 및 제2 바디가 분리가능하게 구성됨에 따라,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변경이 가능한 메커니즘을 구현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관련된 휴대 전자기기의 사시도.
도 2a는 도 1에 도시된 휴대 전자기기의 후면 사시도.
도 2b는 도 1에 도시된 휴대 전자기기의 평면도.
도 3은 도 1의 휴대 전자기기의 분해도.
도 4는 도 1의 라인 Ⅳ-Ⅳ 을 따라 취한 휴대 전자기기의 단면도.
도 5는 도 4의 A 부분의 확대도.
도 6은 도 1의 라인 Ⅵ-Ⅵ 을 따라 취한 휴대 전자기기의 부분 단면도.
도 7a 및 도 7b는 도 5의 제1 바디의 변형예들을 나타내는 단면도들.
도 8a 및 도 8b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과 관련된 휴대 전자기기의 단면도들.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와 관련된 휴대 전자기기의 개념도.
도 10은 도 9a의 휴대 전자기기의 분해도.
도 11은 도 9a의 휴대 전자기기의 단면도.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전자기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휴대 전자기기에는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태블렛 PC,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관련된 휴대 전자기기(100)의 사시도이고, 도 2A는 도 1에 도시된 휴대 전자기기(100)의 후면 사시도이며, 도 2B는 도 1에 도시된 휴대 전자기기의 평면도이다. 본 도면들은 휴대 전자기기의 일 예로서 스마트 폰을 나타내고 있다.
개시된 휴대 전자기기(100)는 서로 고정 결합되는 복수의 바디(110, 120 또는 본체)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휴대 전자기기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이 가능하다.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1 바디(110)와 제2 바디(120)는 서로 중첩되게 배치된다. 제1 바디(110)와 제2 바디(120)에 각각 배치될 수 있는 기능이나 부품은 휴대 전자기기(100)가 어떠한 기능을 강조하는가 또는 어떤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추구하는가에 따라 다양한 예가 도출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제1 바디(110)는 주로 전자기기의 화면출력과 관련된 기능을 수행하고, 제2 바디(120)는 그 외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이루어진다. 도시에 의하면, 제1 바디(110)의 전면에는 디스플레이부(113)가 장착되고, 제2 바디(120)의 측면에는 입력이나 제어명령을 위한 사용자 입력부(123, 도 2A 참조)가 설치될 수 있다. 이는 제1 바디(110)의 슬림화를 위함이며, 다만 제1 바디(110)에는 상기 슬림화에 큰 영향을 주지 않는 부품, 예를 들어 전면 카메라, 조도 센서, 근접 센서, 마이크 등이 장착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제1 바디(110)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는 프론트 케이스와 리어 케이스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프론트 케이스와 리어 케이스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프론트 케이스와 리어 케이스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들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다만, 상기 프론트 케이스와 리어 케이스는 일체로서 단일의 케이스(111)가 될 수도 있다.
상기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바디(110)에는 디스플레이부(113) 및 카메라(115)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3)는 제1 바디(110)의 주면(전면)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디스플레이부(113)는 시각 정보 또는 영상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3)는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이 가능하도록 터치 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부(113)는 터치 스크린으로서 동작한다.
터치 스크린이라면, 터치 스크린의 노출된 부분에는 가상키들로서 기능키의 아이콘이 터치 입력 가능한 상태로 출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13)에 동영상이 출력되는 경우라면, 기능키들은 일시정지, 재생, 뒤로, 앞으로, 재생 목록 등과 같은 기능의 구현을 위한 명령을 입력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3)에는 다양한 종류의 시각 정보들이 표시될 수 있다. 이들 정보들은 문자, 숫자, 기호, 그래픽, 또는 아이콘 등의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정보의 입력을 위하여 상기 문자, 숫자, 기호, 그래픽 또는 아이콘 들 중 적어도 하나는 일정한 배열을 이루어 표시됨으로써 키패드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키패드는 소위 '소프트키'라 불릴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3)는 전체 영역으로 작동되거나, 복수의 영역들로 나뉘어져 작동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상기 복수의 영역들은 서로 연관되게 작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시에 의하면, 디스플레이부(113)의 가장자리에는 이를 지지하는 베젤부(114)가 구비된다.
디스플레이부(113)의 양단부 중 일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카메라(115)가 배치된다. 카메라(115)는 회전 또는 팝업(pop-up) 가능하게 전자기기 바디에 설치될 수도 있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휴대 전자기기 바디에는 마이크(117)가 구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에서 카메라(115)가 배치되는 일단부와 다른 단부로부터 인접한 영역에는 마이크(117)가 배치될 수 있다.
도 1과 함께 도 2A를 참조하면, 제2 바디(120)의 측면에는 사용자 입력부(123) 및 인터페이스(126) 등이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23)는 휴대 전자기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복수의 조작 유닛들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작 유닛들은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 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 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조작 유닛들은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복수의 조작 유닛들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 유닛은 시작, 종료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고, 제2 조작 유닛은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 또는 음향의 크기 조절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도록 형성된다.
상기 인터페이스(126)는 연결 포트가 될 수 있으며,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휴대 전자기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휴대 전자기기(2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상기 인터페이스(126)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이어폰과 연결하기 위한 접속단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예를 들어 적외선 포트(IrDA port), 블루투스 포트(Bluetooth port), 무선 랜 포트(wireless Lan port)등}, 또는 상기 휴대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 단자들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126)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dentity module),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외장형 카드를 수용하는 카드 소켓일 수도 있다.
도시에 의하면, 제2 바디(120)에는 전원공급부(125), 제2 카메라(127)가 장착될 수 있다.
전원공급부(125)는 휴대 전자기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제2 바디에 장착된다. 전원공급부(125)는 내장형 배터리로서 바디의 내부에 내장된다.
제2 바디(120)의 리어 케이스(122)에는 또한 제2 카메라(127)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2 카메라(127)는 전술한 카메라(115, 도 1 참조)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지는 카메라일 수 있다.
제2 카메라(127)에 인접하게는 플래쉬와 거울부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플래쉬는 제2 카메라(127)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상기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거울부는 사용자가 제2 영상 입력부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
제2 바디(120)에는 음향출력모듈(124)이 배치될 수 있으며, 휴대 전자기기 바디의 후면에는 다른 음향출력모듈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음향출력모듈들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추가되는 음향출력모듈은 통화시 스피커폰 모드의 구현을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휴대 전자기기 바디의 측면에는 무선통신 또는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가 배치될 수 있다. 안테나는 휴대 전자기기 바디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B를 참조하면, 제1 바디(110)의 전면에 의하여 제2 바디(120)가 가려지므로, 휴대 전자기기의 전면에서는 디스플레이부(113)만이 강조되어 나타난다. 또한, 사용자가 제2 바디(120)를 잡은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113)를 바라보면, 디스플레이부(113)가 사용자의 손에 의하여 가려지지 않게 된다. 따라서 보다 대화면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제1 바디(110)가 크게 구성되어도, 제2 바디(120)의 작은 크기에 의하여 대화면에 비하여 중량이 보다 가벼워질 수 있다.
이하, 이러한 새로운 디자인 또는 폼팩터를 가능케 하는 휴대 전자기기의 구조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도 1의 휴대 전자기기의 분해도이고, 도 4는 도 1의 라인 Ⅳ-Ⅳ 을 따라 취한 휴대 전자기기의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4의 A 부분의 확대도이고, 도 6은 도 1의 라인 Ⅵ-Ⅵ 을 따라 취한 휴대 전자기기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바디(110)의 후면에 제2 바디(120)가 장착된다. 또한, 제1 바디(110)의 후면은 제1 및 제2 영역(118a, 118b)으로 구획된다.
제1 영역(118a)은 상기 제1 바디(110)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다. 예를 들어, 제1 영역(118a)은 폐루프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폐루프의 중앙 부분에 제2 영역(118b)이 배치된다. 즉, 상기 제1 영역(118a)에 의하여 한정되는 영역이 제2 영역(118b)이 된다.
도 2B와 함께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2 바디(120)는 상기 제1 바디(110)의 전면에 의하여 가려지도록 상기 제2 영역(118b)에 배치된다. 즉, 상기 제2 영역(118b)은 상기 제2 바디(120)에 의하여 덮이며, 상기 제1 영역(118a)은 외부로 노출된다.
도 4 및 도 5에 의하면, 상기 제2 바디(120)에는 디스플레이부(113)를 구동하는 회로기판(128)이 내장된다. 회로기판(128)은 이동 단말기의 각종 기능을 동작시키기 위한 제어부의 일 예로서 구성될 수 있다.
제1 바디(110)는 제2 바디(120)보다 두께가 얇고, 넓이가 넓도록 형성되어, 슬림하면서도 대화면의 외관을 구현한다. 제2 바디(120)가 제1 바디(110)의 전면에 의하여 가려지므로, 특히 사용자는 제1 바디(110)의 전면을 바라보는 경우에는 얇고 큰 화면의 디스플레이부를 인식하게 된다.
이러한 디자인의 구현을 위하여, 상기 제1 바디(110)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13)의 기능과 관련된 전자소자들이 장착되고, 상기 제2 바디(120)에는 통화 기능을 구현하는 전자소자들이 장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케이스(111, 이하 제1 케이스)의 전면에는 윈도우(113a)가 장착된다. 윈도우(113a)는 빛이 투과할 수 있는 소재, 예를 들어 광투과성 합성수지, 강화 유리 등으로 구성된다. 다만 윈도우(113a)는 빛이 투과할 수 없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케이스(111)에는 윈도우(113a)에 대응하는 윈도우 홀(113a')이 형성되고, 상기 윈도우(113a)는 상기 윈도우 홀(113a')의 내벽을 따라 형성되는 안착부(114a)에 안착된다. 안착부(114a)는 베젤부(114, 도 1 참조)의 일 요소로서 구비된다.
윈도우(113a)의 후면에는 디스플레이 소자(113c)가 장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소자(113c)는 시각 정보를 표시하며, 상기 윈도우(113a)에 의하여 덮이도록 배치된다. 디스플레이 소자(113c)는, 예를 들어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윈도우(113a)는 디스플레이 소자(113c)를 덮도록 배치되고, 윈도우(113a)의 빛이 투과되는 부분은 디스플레이 소자(113c)에 대응하는 면적을 가질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소자(113c)에서 출력되는 시각 정보를 외부에서 인지할 수 있게 된다.
도시에 의하면, 윈도우(113a)에는 터치센서(113d)가 장착될 수 있다.
터치센서(113d)는 윈도우(113a)의 후면에 장착될 수 있으며, 윈도우(113a)의 빛이 투과되는 부분은 터치센서(113d)를 통하여 입력이 가능한 영역을 형성한다. 터치센서(113d)는 광투과성으로 이루어지며, 터치 입력을 감지하도록 윈도우(113a)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전압, 커패시턴스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한다.
이와 같이, 윈도우(113a), 터치센서(113d) 및 디스플레이 소자(113c)는 디스플레이부(113, 도 1 참조)로서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디스플레이부(113)는 터치 스크린으로 동작하게 된다.
제2 바디(120)에 장착된 회로기판(128)은 디스플레이부(113)를 구동한다. 상기 회로기판(128)과 상기 디스플레이부(113)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라인(128a)은 상기 제2 영역(118b)을 관통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연결라인(128a)은 디스플레이 소자(113c)와 회로기판(128)을 연결하는 연성회로기판이나 동축케이블 등이 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연결라인(128a)은 연결단자들의 조합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라인(128a)에 의하여 제2 바디(120)에 장착된 배터리가 제1 바디(110)의 디스플레이 소자(113c)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본 도면들을 참조하면, 상기 제1 영역(118a)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윈도우(113a)와 평행하게 형성된다. 상기 제2 바디(120)가 상기 제1 바디(110)보다 적은 크기로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제2 바디(120)의 측면과 상기 제1 바디(110)의 측면이 서로 단차를 가지게 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사용자가 제2 바디(120)의 측면을 잡는 경우에, 제1 바디(110)의 후면에 의하여 방해를 받지 않게 된다. 또한 사용자는 제2 바디(120)의 측면을 잡은 상태에서 화면을 바라볼 수 있으므로, 디스플레이부(113)를 가리지 않으면서 휴대 전자기기를 거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도시에 의하면, 상기 제2 바디(120)의 측면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바디(110)와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러한 경사를 통하여 제1 바디(110)의 후면과 제2 바디(120)의 측면은 서로 예각을 이루게 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사용자가 제2 바디(120)를 잡는 것이 보다 용이하게 될 수 있다.
상기 경사에 의하여 제2 바디(120)는 제1 바디(11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넓이가 점차적으로 넓어지게 되나, 제2 바디(120)가 완전히 가려지도록 제2 바디(120)의 후면은 제1 바디(110)보다 작은 크기로 이루어진다.
도 3을 참조하면, 제2 바디(120)의 측면에는 사용자 입력부(123) 및 인터페이스(126) 등이 배치된다. 종래의 스마트 폰, 휴대폰 또는 태블렛 PC의 경우에는 디스플레이부를 바라보면, 사용자 입력부 또는 인터페이스가 사용자에게 노출되나, 본 발명에 의하면 제2 바디(120)가 완전히 가려지므로, 이들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 전자기기에서 제1 바디(110)의 측면은 상기 제2 바디(120)의 측면과 반대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사용자 입력부 등은 제1 바디(110)의 측면 중 경사진 부분에 배치되어, 제1 바디(110)의 전면에 의하여 가려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바디의 전면(또는 디스플레이부)을 바라 볼 때, 사용자 입력부나 인터페이스가 노출되지 않는 구조(베젤부가 제1 바디의 최외각을 형성하는 구조)는 상기 방법들 중 어느 것에 의하여도 구현가능하다.
도 6을 참조하면, 제2 바디(120)에는 음향출력소자(124a)가 장착된다. 상기 음향출력소자(124)는 리시버(Receiver) 또는 스피커(speaker)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음향 출력을 위한 토출공(124b)이 제2 바디의 측면에 구비된다. 이를 통하여, 제1 바디(110)의 전면에는 음향출력을 위한 토출공이 배치되지 않는다. 이를 통하여, 제1 바디의 디스플레이부(113)나 베젤부(114)에 토출공이 배치되지 않는 새로운 형태의 디자인이 가능하게 된다(도 1 및 도 2B 참조).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토출공은 필요에 따라 상기 제1 바디(110)에 구비되거나, 제2 바디(120)의 다른 면에 배치될 수도 있다.
도시에 의하면, 음향출력소자(124)의 음향토출면은 제2 바디(210)의 전면을 향하도록 배치되며, 음향을 제2 바디(210)의 측면에 위치한 토출공(124b)으로 가이드하도록 형성되는 가이드부재(124c)가 상기 음향토출면을 덮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재(124c)는 제1 바디(110)의 제2 영역(118b)에 장착되어 상기 음향토출면을 향하여 돌출되는 형상이 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가이드부재(124c)는 제2 바디(210)에 장착될 수도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바디(110)의 외관을 형성하는 제1 케이스(111)와 제2 바디(120)의 외관을 형성하는 제2 케이스(121)는 서로 다른 재질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제1 케이스(111)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고 제2 케이스(121)는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된다.
금속 재질이 강도 및 강성이 보다 크므로, 제1 케이스(111)는 제2 케이스(121)보다 보다 얇게 형성될 수 있다.
도시에 의하면, 제1 케이스(111)에 장착되는 윈도우(113a)를 보호하도록 상기 제1 케이스(111)와 상기 윈도우(113a)의 사이에는 상기 제1 케이스(111)보다 연성재질의 보호부재(119a)가 배치된다. 상기 보호부재(119a)는 러버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지지하기 위한 금속 플레이트(119b)가 제1 케이스(111)에 장착될 수 있다. 다만, 상기 보호부재(119a)는 금속 플레이트(119b)을 이용하지 않는 고정방법(예를 들어 케이스에 끼워맞춤, 접착 등)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다.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2 바디(120)의 상기 제2 영역(118b)에 의하여 덮이는 면은 개구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 케이스(121)는 전면은 개구되며, 후면은 막힌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 케이스(121)의 전면이 상기 제1 바디의 후면을 마주보게 된다.
상기 제2 바디(120)에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2 바디(120)의 개구되는 부분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바디(110)를 지지하는 프레임(131)이 장착된다. 상기 프레임(131)은 금속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2 케이스(121)에 후크 결합되거나, 인서트 사출 등에 의하여 제2 케이스(121)와 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131)은 상기 제2 영역에서 상기 제1 바디(110)의 후면에 나사결합된다. 이를 통하여, 제1 및 제2 바디(110, 120)가 서로 고정결합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금속 바디의 외관을 가지면서도 각종 전자부품을 장착하기 위한 복잡한 내부 구조를 합성수지 재질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에서 설명된 윈도우를 보호하는 메커니즘과 바디들의 결합관계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도 7A 및 도 7B는 도 5의 제1 바디의 변형예들을 나타내는 단면도들이다.
도 7A를 참조하면, 보호부재(219a)는 윈도우(213a)와 케이스(211)의 사이에 배치될 뿐만 아니라, 케이스(211)와 디스플레이 소자(213c)의 사이에도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윈도우(213a)측의 제1 부분(219c)으로부터 디스플레이 소자(213c)측의 제2 부분(219d)까지 연장되는 형태가 될 수 있다. 나아가, 보호부재(219a)는 케이스(211)의 내면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1 바디(210)와 제2 바디(220)는 후크 결합에 의하여 서로 고정될 수 있다. 도시에 의하면, 제1 바디(210)에 장착되는 고정유닛(232)이 제1 바디(210)의 외부로 돌출되고, 제2 바디(220)와 후크 결합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바디들(210, 220)간의 체결이 보다 용이하게 될 수 있다.
도 7B를 참조하면, 보호부재(319a)의 제1 부분(319c)과 제2 부분(319d)은 일체로 구비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별도의 부재로서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금속 플레이트(319b)가 윈도우(313a)에서 디스플레이소자(313c)까지 케이스(311)의 내면을 따라 연장되게 이루어지고, 제1 부분(319c)과 제2 부분(319d)이 각각 상기 금속 플레이트(319b)에 결합된다. 예를 들어, 금속 플레이트(319b)의 양단에는 제1 부분(319c)과 제2 부분(319d)이 각각 끼워지며, 이를 위하여 제1 부분(319c)과 제2 부분(319d)에는 삽입홈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제2 바디에 장착되는 음향출력소자에 대하여 다시 설명하면, 본 발명의 휴대 전자기기는 음향출력소자가 제2 바디에 장착되나, 제1 바디로 음향을 토출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이러한 기능을 발휘하는 메커니즘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8A 및 도 8B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과 관련된 휴대 전자기기의 단면도들이다.
도 8A를 참조하면, 제2 바디(420)에는 장착되는 음향출력소자는 골전도 리시버(414a)를 포함한다. 골전도(骨傳導, bone conduction)는 음파가 두개골에 전도되어 직접 내이에 전달되는 현상을 말하며, 골전도 리시버(414a)는 이러한 원리를 이용하여 음향의 진동을 사용자의 청각 신경계로 전달하는 방식의 리시버를 의미한다.
도시에 따르면, 상기 골전도 리시버(414a)는 상기 제1 바디(410)의 후면으로 진동을 전달하도록 배치된다. 예를 들어, 골전도 리시버(414a)는 접착부재나 패드(433) 등을 매개로 제1 바디(410)의 후면(보다 구체적으로 제1 영역)과 면접촉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면접촉을 통하여 골전도 리시버(414a)에서 출력되는 진동이 제1 케이스(411)로 보다 효율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제2 바디(420)에는 무선신호를 송신하는 안테나 모듈(434)이 장착되고, 상기 골전도 리시버(414a)는 상기 안테나 모듈(434)에 장착될 수 있다. 안테나 모듈(434)은 캐리어(434a)에 방사체(미도시)가 장착되는 형태로 이루어지며, 캐리어(434a)의 일면에 골전도 리시버(414a)가 부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캐리어(434a)의 일면에는 돌출면(434b)이 형성되고, 제1 바디(410)에 보다 가까워지도록 골전도 리시버(414a)는 상기 돌출면(434b)에 장착된다. 또한, 방사체는 캐리어(434a)의 타면(상기 일면의 반대면)에 장착되어, 제2 바디(420)의 후면을 바라보도록 배치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제1 바디(410)의 전면에 음향을 토출하기 위한 토출공이 없으면서도, 통화음이 제1 바디(410)를 통하여 출력되는 메커니즘이 구현될 수 있다.
도 8B를 참조하면, 제1 바디(510)에는 음향출력소자에서 출력되는 음향이 유입되는 유입홀(535)과, 상기 유입홀(535)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음향을 가이드하는 음향출력통로(536)가 형성된다.
음향출력통로(536)는 가이드 판재(537)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가이드 판재(537)는 판 형태로 이루어지며, 제1 케이스(511)의 내면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고, 이에 특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이격에 의하여 가이드 판재(537)와 제1 케이스(511)의 사이에 음향출력통로(536)가 형성된다.
도시에 의하면, 음향출력통로(536)는 제1 바디(510)의 후면(보다 구체적으로 제2 영역)에 구비되는 유입홀(535)에서 제1 바디(510)의 전면에 구비되는 유출홀(538)로 이어지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유출홀(538)은 윈도우(513a)와 제1 케이스(511)의 사이에 형성되는 틈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제2 바디(520)에 장착된 음향출력소자의 음향이 제1 바디(510)의 전면으로 유출될 수 있게 된다.
도 8B를 참조하면, 음향출력소자는 양방향 스피커(514a)가 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음향출력소자는 일방향 스피커 또는 리시버이며, 이하 설명되는 가이드부재(514c)가 없는 구조도 가능하다.
양방향 스피커(514a)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각각 음향을 출력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를 통하여, 일방향으로는 리시버가 되고, 타방향으로는 스피커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입홀(535)을 향하여 출력되는 음향은 제1 바디(510)의 전면으로 가이드되며, 이에 반대 방향으로 출력되는 음향은 가이드부재(514c)에 의하여 가이드되어 제2 바디(520)의 측면으로 유출된다. 이러한 측면 유출을 위하여, 가이드부재(524b)는 제2 바디(520)에 장착되어, 음향의 유출 방향을 전환시키며, 제2 바디(510)의 측면에는 토출공(514b)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8B의 도시에 의하면, 제2 바디(520)의 측면은 경사지지 않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제2 바디(520)의 측면에는 상기 제1 바디(51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걸림이 가능하도록 돌기(538)가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돌기(538)는 제2 바디(520)의 측면을 따라 루프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의하여 경사가 없더라도 사용자가 제2 바디(520)를 잡는 것이 보다 용이하게 될 수 있다.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와 관련된 휴대 전자기기의 개념도들이고, 도 10은 도 9A의 휴대 전자기기의 분해도이며, 도 11은 도 9A의 휴대 전자기기의 단면도이다.
본 도면들을 참조하면, 제1 및 제2 바디(610, 620)는 서로 착탈가능하게 결합하도록 이루어진다. 즉, 사용자의 선호하는 사양에 따라 유연하게 디자인의 형태를 바꿀수 있도록 각 바디들(610, 620)이 분리가능하게 체결되며, 서로 호환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이다.
도 9A를 참조하면, 제2 바디(620)가 고정 파트(fixed part)가 되고, 제1 바디(610)가 변환 파트(varialbe part)가 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바디(610)가 고정 파트(fixed part)가 되고, 제2 바디(620)가 변환 파트(varialbe part)가 될 수도 있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제1 및 제2 바디(610, 620)는 슬라이딩 방식으로 서로 체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바디(610)의 후면 및 상기 제2 바디(620)의 전면에는 각각 서로 대응되는 후크들(612a, 622a)이 형성되며, 상기 후크들(612a, 622a)은 상기 제1 및 제2 바디(610, 620)가 상대 슬라이딩함에 따라 체결 또는 분리된다.
상기 제1 및 제2 바디(610, 62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제1 바디(610)의 후면 및 상기 제2 바디(620)의 전면에는 각각 상기 제1 및 제2 바디(610, 620)가 서로 체결되면 서로 접촉하는 제1 및 제2 연결단자(612b, 622b)이 형성되며, 상기 후크들(612a, 622a)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구조에 의하면, 슬라이딩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의 빠짐 방지가 가능하게 된다.
상기 제1 및 제2 연결단자(612b, 622b) 중 어느 하나는 탄성에 의하여 다른 하나를 가압하도록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제2 연결단자(622b)는 상기 제1 바디(610)에 상기 제2 바디(620)가 결합되면 제1 연결단자(612b)를 탄성 가압하도록 단부가 제2 바디(620)의 후면로부터 돌출된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및 제2 연결단자(612b, 622b)는 서로 형태가 바뀌어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 연결단자(622b)는 포고핀이 되고, 제2 케이스(621)에 장착된 채로 회로기판(628)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회로기판(628)에 표면실장될 수 있다. 이에 대응하는 제1 연결단자(612b)는 디스플레이 소자로부터 연장되는 연성회로기판에 장착되는 도전성 패드 또는 C 클립이 될 수 있다.
상기 구조에 의하면, 제1 및 제2 바디는 서로에 대한 체결 및 분리에 연동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거나 단속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휴대 전자기기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20)

  1.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제1 바디;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구동하는 회로기판이 내장되며, 상기 제1 바디의 후면에 결합되는 제2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바디의 후면은 상기 제1 바디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제1 영역과, 상기 제1 영역에 의하여 한정되는 제2 영역으로 구획되고, 상기 제2 바디는 상기 제1 바디의 전면에 의하여 가려지도록 상기 제2 영역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바디의 측면과 상기 제1 바디의 측면이 서로 단지도록 상기 제2 바디는 상기 제1 바디보다 적은 크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기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바디의 측면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바디와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기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의 측면은 상기 제2 바디의 측면과 반대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기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바디의 측면에는 상기 제1 바디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걸림이 가능하도록 돌기가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기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의 전면에는 윈도우가 장착되고,
    상기 제1 영역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윈도우와 평행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기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제2 바디에 의하여 덮이며, 상기 제1 영역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기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바디의 상기 제2 영역에 의하여 덮이는 면은 개구되며,
    상기 제2 바디에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2 바디의 개구되는 부분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바디를 지지하는 프레임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기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제2 영역에서 상기 제1 바디의 후면에 나사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기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의 외관을 형성하는 제1 케이스와 상기 제2 바디의 외관을 형성하는 제2 케이스는 서로 다른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기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케이스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케이스에는 윈도우가 장착되며,
    상기 윈도우를 보호하도록 상기 제1 케이스와 상기 윈도우의 사이에는 상기 제1 케이스보다 연성재질의 보호부재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기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기판과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라인은 상기 제2 영역을 관통하고, 상기 제1 바디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기능과 관련된 전자소자들이 장착되고, 상기 제2 바디에는 통화 기능을 구현하는 전자소자들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기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바디에는 음향출력소자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기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출력소자는 골전도 리시버를 포함하고,
    상기 골전도 리시버는 상기 제1 바디의 후면으로 진동을 전달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기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바디에는 무선신호를 송신하는 안테나 모듈이 장착되고,
    상기 골전도 리시버는 상기 안테나 모듈에 장착되며,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바디의 후면과 면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기기.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에는 상기 음향출력소자에서 출력되는 음향이 유입되는 유입홀과, 상기 유입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음향을 가이드하는 음향출력통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기기.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바디는 서로 착탈가능하게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기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의 후면 및 상기 제2 바디의 전면에는 각각 서로 대응되는 후크들이 형성되며, 상기 후크들은 상기 제1 및 제2 바디가 상대 슬라이딩함에 따라 체결 또는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기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바디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제1 바디의 후면 및 상기 제2 바디의 전면에는 각각 상기 제1 및 제2 바디가 서로 체결되면 서로 접촉하는 제1 및 제2 연결단자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기기.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연결단자 중 어느 하나는 탄성에 의하여 다른 하나를 가압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기기.
KR1020110095957A 2011-09-22 2011-09-22 휴대 전자기기 KR20130032195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5957A KR20130032195A (ko) 2011-09-22 2011-09-22 휴대 전자기기
US13/624,803 US9086846B2 (en) 2011-09-22 2012-09-21 Mobile terminal
EP12185467.3A EP2573645A3 (en) 2011-09-22 2012-09-21 Mobile terminal
CN201210356245.9A CN103024138B (zh) 2011-09-22 2012-09-21 移动终端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5957A KR20130032195A (ko) 2011-09-22 2011-09-22 휴대 전자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2195A true KR20130032195A (ko) 2013-04-01

Family

ID=472574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5957A KR20130032195A (ko) 2011-09-22 2011-09-22 휴대 전자기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086846B2 (ko)
EP (1) EP2573645A3 (ko)
KR (1) KR20130032195A (ko)
CN (1) CN10302413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05476B2 (ja) * 2012-10-30 2016-10-12 シャープ株式会社 受話装置、制御プログラム、記録媒体
KR20150032011A (ko) * 2013-09-17 2015-03-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 기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50133053A (ko) * 2014-05-19 2015-11-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 시스템
TWI530841B (zh) * 2014-09-25 2016-04-21 宏碁股份有限公司 觸控顯示裝置以及啓動觸控顯示裝置之觸控面板的方法
CN107959104B (zh) * 2017-10-13 2020-04-17 瑞声科技(新加坡)有限公司 移动终端
USD892780S1 (en) * 2018-01-12 2020-08-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phone
USD892781S1 (en) * 2018-01-12 2020-08-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phone
US10673127B2 (en) * 2018-05-29 2020-06-02 Apple Inc. Electronic device wide band antennas
KR102651992B1 (ko) 2019-07-02 2024-03-27 삼성전자주식회사 음향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113271368A (zh) * 2020-02-17 2021-08-17 华为技术有限公司 可分离的移动终端
CN114051602B (zh) * 2020-04-24 2024-03-22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便携式终端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62822A1 (en) * 2004-01-28 2005-07-28 Paul Shu Detachable modular computer
CN1811661A (zh) * 2005-01-24 2006-08-02 夏普株式会社 便携式数据装置
KR100905327B1 (ko) * 2008-05-20 2009-07-02 주식회사 인켈 차량용 정보 단말기 결합구조
US20110110025A1 (en) * 2009-11-09 2011-05-12 Hong Fu Jin Precision Industry (Shenzhen) Co., Ltd . Host computer attached to monitor
KR20110071547A (ko) * 2009-12-21 2011-06-2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용 벽걸이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51837B2 (en) * 2000-01-27 2006-12-19 New Transducers Limited Loudspeaker
US6823415B1 (en) * 2000-08-07 2004-11-2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ll-in-one mobile docking station and system used therewith
DE60226098T2 (de) * 2001-06-28 2009-06-18 Panasonic Corp., Kadoma Lautsprechersystem, Mobilendgerät und elektronische Vorrichtung
KR100704031B1 (ko) * 2004-04-29 2007-04-04 삼성전자주식회사 이중 슬라이딩 타입 휴대용 통신 장치
KR100713414B1 (ko) * 2004-11-24 2007-05-04 삼성전자주식회사 업/다운 키들을 구비한 휴대 통신 장치
KR100689468B1 (ko) * 2005-03-21 2007-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슬라이딩 겸용 스윙 타입 휴대 장치
US20060232915A1 (en) * 2005-04-19 2006-10-19 Datavan International Corp. [housing for monitor]
KR100662442B1 (ko) 2005-12-12 2007-0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US7529081B2 (en) * 2006-01-05 2009-05-05 Motorola, Inc. Electronic device and slide mechanism
US20080253070A1 (en) * 2007-04-11 2008-10-16 Nokia Corporation Fold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optical data connection of housing parts
KR101463819B1 (ko) * 2008-05-14 2014-12-04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CN201234304Y (zh) * 2008-07-02 2009-05-06 深圳市同洲电子股份有限公司 手机
JP5169945B2 (ja) * 2009-03-30 2013-03-27 富士通株式会社 情報端末装置
JP5110025B2 (ja) * 2009-03-31 2012-12-26 富士通株式会社 情報端末装置
US8896487B2 (en) * 2009-07-09 2014-11-25 Apple Inc. Cavity antennas for electronic devices
KR101659023B1 (ko) 2010-03-15 2016-09-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와치형 이동 단말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62822A1 (en) * 2004-01-28 2005-07-28 Paul Shu Detachable modular computer
CN1811661A (zh) * 2005-01-24 2006-08-02 夏普株式会社 便携式数据装置
KR100905327B1 (ko) * 2008-05-20 2009-07-02 주식회사 인켈 차량용 정보 단말기 결합구조
US20110110025A1 (en) * 2009-11-09 2011-05-12 Hong Fu Jin Precision Industry (Shenzhen) Co., Ltd . Host computer attached to monitor
KR20110071547A (ko) * 2009-12-21 2011-06-2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용 벽걸이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573645A3 (en) 2015-10-21
CN103024138A (zh) 2013-04-03
US20130076709A1 (en) 2013-03-28
US9086846B2 (en) 2015-07-21
EP2573645A2 (en) 2013-03-27
CN103024138B (zh) 2015-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32195A (ko) 휴대 전자기기
KR101587092B1 (ko) 이동 단말기
KR101641229B1 (ko) 확장 모듈 및 이를 구비한 휴대 전자기기
KR101376623B1 (ko) 이동 단말기
KR102468709B1 (ko) 키 모듈과 이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 및 키 모듈 조립 방법
KR101537687B1 (ko) 휴대 단말기
KR20100082920A (ko) 휴대용 단말기의 커버
CN106941560B (zh) 移动终端
KR102167928B1 (ko) 이동 단말기
KR20080033802A (ko) 전자 기기 및 그의 출력 제어 방법
KR101977079B1 (ko) 이동 단말기
KR102022868B1 (ko) 이동 단말기
KR20160122514A (ko) 이동 단말기
KR102406843B1 (ko) 이동 단말기
KR101918989B1 (ko) 이동 단말기
KR20170017081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조립방법
KR101721876B1 (ko) 휴대용 단말기
KR101922007B1 (ko) 휴대 전자기기
KR101687624B1 (ko) 이동 단말기
KR101969899B1 (ko) 이동통신 단말기
KR20130091188A (ko) 휴대 전자기기
KR101622684B1 (ko) 휴대 단말기
KR101502008B1 (ko) 휴대 단말기
US11431832B2 (en) Mobile terminal
KR20140045818A (ko) 이동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