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22972A - 비휘발성 유기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비휘발성 유기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22972A
KR20130022972A KR1020110086052A KR20110086052A KR20130022972A KR 20130022972 A KR20130022972 A KR 20130022972A KR 1020110086052 A KR1020110086052 A KR 1020110086052A KR 20110086052 A KR20110086052 A KR 20110086052A KR 20130022972 A KR20130022972 A KR 201300229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memory device
organic
compound semiconductor
iii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60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32959B1 (ko
Inventor
김태환
박훈민
김상욱
심재호
Original Assignee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100860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2959B1/ko
Publication of KR201300229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29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29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29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bstract

비휘발성 유기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비휘발성 유기 메모리 소자는 제1 전극이 배치된 기판; 상기 제1 전극 상에 위치하고 Ⅰ-Ⅲ-Ⅵ족 화합물 반도체를 함유한 양자점이 분산된 고분자층; 및 상기 고분자층 상에 위치하는 제2 전극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환경친화성을 확보하는 동시에 소자의 우수한 데이터 유지능력, 재현성 및 안정성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용액 공정을 통한 간단한 방법으로 쌍안정 특성을 갖는 유무기 복합층을 제조하므로 비용 경제적이며, 프린팅 공정을 이용한 대형화에도 적합한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비휘발성 유기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방법{Non-volatile organic memory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본 발명은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비휘발성 유기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유기 메모리 소자는 유기물을 이용한 쌍안정성(bistability)을 통하여 on/off 상태를 표현하는 메모리 소자로서, 전압 변화를 가했을 때 동일 전압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전류와 상대적으로 낮은 전류를 발생시키는 메모리 소자이다.
유기 메모리 소자의 경우, 유기 재료 및 소자 구조 제어를 통하여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로의 제작이 가능한데, 최근의 주된 연구는 전원 제거 시에도 정보를 메모리하고 있는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의 개발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유기 메모리 소자는 도 1과 같이 기판(100) 상에 위치하는 하부 전극(110)과 상부 전극(130) 사이에 쌍안정성을 가지는 저항 유기물층(120)이 존재하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이에 따라 트랜지스터 없이 정보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다른 차세대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에 비해 소형화 및 집적화에 있어 매우 유리하다.
그러나, 기존의 단일 유기물만을 사용한 메모리 소자는 제조 방법이 매우 간단하고 다양한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에도 불구하고, 전하 포획에 사용되는 불순물 트랩 자체를 소자 제작 과정 중에 금속 전극으로부터 자연적으로 확산되는 나노입자에 의존하고 있으며, 그러한 불순물 트랩의 농도 및 분포는 인위적으로 외부에서 조절하는 것이 매우 어렵기 때문에 소자마다 서로 다른 전기적 특성과 메모리 특성을 보이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소자의 재현성이 극히 저조하여 상용화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
반면에 반도체 나노입자를 사용한 메모리 소자는 유기물만을 사용한 경우에 비해 비교적 높은 재현성을 얻을 수 있으나, 반도체 나노입자 자체가 높은 절연 특성을 갖는 물질이기 때문에 이를 이용한 메모리 소자 역시 높은 구동 전압을 필요로 한다. 더불어, 전자제품이나 전자기기의 개발에 있어 간과할 수 없는 사항 중 하나가 환경문제인데, 기존에 반도체 나노입자로 사용된 물질은 카드뮴(Cd) 또는 납(Pb)과 같은 중금속을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물질은 유럽연합(EU)에서 시행되는 유해물질 제한지침(Restriction of Hazardous Substances Directive; RoHS)에 의해 규제되는 물질이며, 중국에서도 이와 비슷한 제도(일명 China RoHS)를 시행하고 있다.
따라서, 우수한 데이터 유지 능력과 재현성을 확보하면서도 환경친화적인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 제10-0913903호 한국등록특허 제10-0904898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환경친화적이면서 우수한 메모리 특성을 갖는 비휘발성 유기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비휘발성 유기 메모리 소자를 제공한다.
상기 비휘발성 유기 메모리 소자는 제1 전극이 배치된 기판; 상기 제1 전극 상에 위치하고 Ⅰ-Ⅲ-Ⅵ족 화합물 반도체를 함유한 양자점이 분산된 고분자층; 및 상기 고분자층 상에 위치하는 제2 전극을 포함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비휘발성 유기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비휘발성 유기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은 제1 전극이 배치된 기판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제1 전극 상에 Ⅰ-Ⅲ-Ⅵ족 화합물 반도체를 함유한 양자점이 분산된 고분자 용액을 코팅하는 단계; 상기 코팅된 고분자 용액을 열처리하여 용매를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용매가 제거된 고분자층 상에 제2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 따른 비휘발성 유기 메모리 소자는 Ⅰ-Ⅲ-Ⅵ족 화합물 반도체를 함유한 양자점 및 고분자를 이용하여 쌍안정 특성을 갖는 유무기 복합층을 구성할 수 있다. 이로써, 소자의 우수한 데이터 유지능력, 재현성 및 안정성을 구현할 수 있는 동시에 환경친화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양자점이 분산된 고분자 용액의 스핀코팅에 의해 유무기 복합층을 제조하므로 무기 반도체 또는 금속 산화물을 이용하는 기존의 메모리 소자에 비해 저비용으로 간단하게 소자를 제작할 수 있고, 프린팅 공정을 이용한 대형화에도 적합하며, 유기물의 유연성을 바탕으로 플렉서블(flexible) 소자의 제작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다만,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유기물층을 저항 변화층으로 구비하는 종래의 유기 메모리 소자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휘발성 유기 메모리 소자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휘발성 유기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부분 단면도들이다.
도 6은 제조예 3에서 제조된 메모리 소자의 전류-전압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제조예 4에서 제조된 메모리 소자의 전류-전압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은 비교예 1에서 제조된 메모리 소자의 전류-전압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는 제조예 3에서 제조된 메모리 소자의 전류-시간에 대한 스위칭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0 은 제조예 3에서 제조된 메모리 소자의 전류-사이클에 대한 데이터 유지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1은 제조예 4에서 제조된 메모리 소자의 전류-사이클에 대한 데이터 유지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들에 있어서, 층 및 영역들의 두께는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과장 또는 생략된 것일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휘발성 유기 메모리 소자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비휘발성 유기 메모리 소자는 제1 전극(210)이 배치된 기판(200); 상기 제1 전극(210) 상에 위치하는 유무기 복합층(220); 및 상기 유무기 복합층(220) 상에 위치하는 제2 전극(230)을 포함한다.
상기 기판(200)은 무기물 기판, 유기물 기판, 또는 이들이 동종 또는 이종으로 2 이상 적층된 구조의 기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무기물 기판은 Si, GaAs, InP, Al2O3, SiC, 유리 및 석영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유기물 기판은 폴리에테르설폰(polyethersulfone; PES),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폴리스티렌(polystyrene; PS), 폴리이미드(polyimide; PI), 폴리비닐클로라이드(polyvinyl chloride; PVC), 폴리비닐페놀(polyvinylphenol; PVP) 및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상기 기판(200)으로 유연한 유기물 기판을 사용하는 경우 소자에 가요성(flexibility)을 부여할 수 있으며, 유연성을 가진 휴대용 전자기기에 필요한 저장장치로 응용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210) 및 상기 제2 전극(230)은 외부에서 인가되는 전압에 의해 상기 유무기 복합층(220)에 전류를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전극들(210, 230)은 전기 전도성을 갖는 물질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금속, 금속 산화물, 탄소 동소체 및 전도성 고분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성되거나, 이들이 다층으로 적층된 구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극들(210, 230)의 구성 물질은 Al, Au, Cu, Pt, Ag, W, Ni, Zn, Ti, Zr, Hf, Cd, Pd 및 이들 중 2 이상의 합금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거나, Al, Ga, In, F 및 Ag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도핑된 ZnO를 포함하거나, 탄소나노튜브, 그래핀 및 그래파이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210) 및 상기 제2 전극(23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라인형으로 패터닝된 형태일 수 있으며, 라인 형태의 상기 제1 전극(210)과 상기 제2 전극(230)은 서로 교차되도록, 구체적으로는 제1 전극(210)과 제2 전극(230)이 90°의 각도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소자의 집적도를 향상시킬 수 있어 주변 회로를 간단히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제1 전극(210) 및 상기 제2 전극(230)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유무기 복합층(220)은 무기 나노입자가 분산된 유기물층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Ⅰ-Ⅲ-Ⅵ족 화합물 반도체를 함유한 양자점(222)이 분산된 고분자층(224)을 의미한다.
상기 양자점(222)은 Ⅰ-Ⅲ-Ⅵ족 화합물 반도체 단독으로 구성된 나노입자, 또는 Ⅰ-Ⅲ-Ⅵ족 화합물 반도체를 코어로 하고 Ⅱ-Ⅵ족 화합물 반도체를 쉘로 하는 코어/쉘 구조의 나노입자일 수 있다.
상기 Ⅰ-Ⅲ-Ⅵ족 화합물 반도체는 바람직하게는 Cu(InxGa1 -x)(SySe1 -y)2(여기서, x 및 y는 각각 0 내지 1임)일 수 있으며, 상기 Ⅱ-Ⅵ족 화합물 반도체는 Zn(SpSeqTer)(여기서, p, q 및 r은 각각 0 내지 1이고, p+q+r=1임)일 수 있다. 여기서, 원소에 표시된 아래 첨자는 화합물 반도체를 구성하는 각 원소들 간의 몰비를 나타낸다.
상기 고분자층(224)은 상기 양자점(222)이 분산되어 존재하는 매트릭스의 역할을 함과 동시에 쓰기 전압 및 지우기 전압의 인가에 따라 상기 양자점(222)에 의한 전하의 포획 및 방출을 원활하게 해주는 기능층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고분자층(224)은 바람직하게는, 폴리비닐카바졸계 고분자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소자의 동작 메커니즘은 개략적으로 다음과 같이 설명될 수 있다. 제1 전극(210)과 제2 전극(230)을 통해 외부에서 전계(쓰기 전압)를 인가하는 경우, 상기 고분자층(224) 내에 포함된 양자점(222)은 전하를 포획하여 저장하고, 포획된 전하에 의해 국부적인 내부 전계가 형성된다. 이 국부적인 내부 전계는 소자 내의 정전위 포텐셜에 변화를 일으키고 고분자층(224) 내 전도도를 증가(저저항 상태, on 상태)시킨다. 반면, 지우기 전압을 인가하는 경우, 양자점(222)에 포획된 전하는 고분자층(224)으로 방출되고 이로 인해 고분자층(224)의 전도도는 감소(고저항 상태, off 상태)된다. 즉, 소자는 전기 전도도의 크기에 따라 전류의 흐름이 높은 상태와 낮은 상태로 구별될 수 있으며, 전도도의 크기가 다른 쌍안정성 전류 특성을 비교하여 기억 상태를 판별하게 된다.
이때, 상기 양자점(222)이 Ⅰ-Ⅲ-Ⅵ족 화합물 반도체 단독으로 구성된 나노입자인 경우 고분자층(224)을 구성하는 고분자의 분자궤도함수의 준위가 상기 양자점(222)의 가전자대 또는 전도대의 준위와의 관계에서 에너지 장벽을 형성하여 상기 양자점(222)에 전하가 포획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추측된다. 또한, 상기 양자점(222)이 Ⅰ-Ⅲ-Ⅵ족 화합물 반도체를 코어로 하고 Ⅱ-Ⅵ족 화합물 반도체를 쉘로 하는 코어/쉘 구조의 나노입자인 경우, 쉘을 구성하는 물질이 에너지 장벽을 형성하여 상기 코어에 전하가 포획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추측된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휘발성 유기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부분 단면도들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제1 전극(210)이 배치된 기판(200)을 준비한다. 상기 제1 전극(210)은 공지된 다양한 방법 중에서 적절하게 선택하여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금속 전극의 경우 스터링법, 열증착법, 전자빔증착법, 화학적증착법 또는 금속을 포함하는 전극 형성용 페이스트를 도포한 후 열처리하는 방법 등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라인형으로 패터닝된 전극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금속 박막의 증착 후 식각 공정을 수행하거나, 패터닝된 마스크를 이용하여 금속을 증착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기판(200) 상에 위치하는 제1 전극(210) 상에 Ⅰ-Ⅲ-Ⅵ족 화합물 반도체를 함유한 양자점(222)이 분산된 고분자 용액을 코팅한다. 상기 고분자 용액의 코팅은 용액 공정을 통해 수행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스핀코팅법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고분자 용액은, 예를 들어 톨루엔과 같은 유기 용매에 양자점 및 고분자를 분산시켜 제조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코팅된 고분자 용액을 열처리하여 용매를 제거함으로써 양자점(222)이 분산된 고분자층(224)을 형성한다. 상기 열처리 온도는 사용된 유기 용매의 비등점 및 고분자의 유리전이온도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선택될 수 있으며, 일 예로, 상기 용매가 톨루엔이고 상기 고분자가 폴리비닐카바졸인 경우 90~130℃에서 열처리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용매가 제거된 고분자층(224) 상에 상기 제1 전극(210)의 형성 방법과 유사한 방법을 사용하여 제2 전극(230)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제2 전극(230)은 라인형으로 패터닝된 형태일 수 있으며, 상기 제1 전극(210)과 교차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기 메모리 소자의 경우 쌍안정 특성을 나타내는 유무기 복합층(220)을 스핀코팅 등의 용액 공정을 통해 형성할 수 있으므로 공정이 매우 간단하며, 소자 자체가 2 단자 소자의 저항 형태를 갖추고 있어 기존의 트랜지스터와 같은 3 단자 소자에 비해 그 구조가 간단하다. 그리고 인위적인 조작이 어려운 금속 전극으로부터의 금속 나노입자의 확산 대신에, 중량비를 조절하여 고분자 내에 일정한 밀도로 분포될 수 있는 나노입자를 사용하므로 소자 내에 나노입자가 고르게 분포되도록 증착할 수 있다. 이렇게 분포된 나노입자는 전하 포획 영역으로 사용하므로 이전 소자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재현성을 얻을 수 있다.
특히, 고분자로서 높은 화학적 및 전기 화학적 안정성을 갖는 폴리비닐카바졸(PVK)을 사용하고, 환경친화적인 나노입자로서 CIS계로 대표되는 Ⅰ-Ⅲ-Ⅵ족 화합물 반도체 양자점을 사용함으로써, 작은 구동전압에서 우수한 재현성 및 안정성을 갖는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를 제작하는 동시에 소자의 구동 및 폐기 시에 발생하는 환경오염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험예를 제시한다. 다만, 하기의 실험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이 하기의 실험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양자점의 제조
<제조예 1>
25ml 삼구플라스크 안에 옥타데센(octadecene; ODE) 8ml, 인듐 아세테이트(indium acetate) 0.1mmol 및 미리스트산(miristic acid) 0.3mmol을 넣고 혼합한 후, 혼합된 용액을 110℃에서 2 시간 동안 처리하여 가스를 제거하였다. 그 다음 250℃에서, 0.3mmol CuI와 3ml 도데칸싸이올로부터 합성된 Cu-싸이올(thiol) 모액을 상기 용액에 첨가하였다. 이어서, 상기 혼합 용액을 2 시간 동안 200~210℃에서 가열하여, CuInS2(CIS) 양자점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2>
상기 제조예 1을 통해 CIS 양자점을 제조한 후, 상기 CIS 양자점이 함유된 용액을 실온까지 식혔다. 그 다음, 0.5mmol 아연 아세테이트를 첨가하고, 230℃까지 가열한 후 1 시간 반 동안 230℃에서 반응시켜 코어/쉘 구조의 CIS/ZnS 양자점을 제조하였다.
메모리 소자의 제조
<제조예 3>
1) ITO가 패턴된 유리 기판을 아세톤과 메탄올로 각각 초음파 세척하여, 기판의 표면에 존재하는 유기물 및 이물질을 제거하였다. 또한, 각각의 단계에서 탈이온수로 기판을 세척하고 질소 가스를 이용하여 기판을 완전히 건조하였다.
2) 폴리(N-비닐카바졸)(PVK) 50mg을 톨루엔 5ml에 섞어 고분자 용액을 제조한 후 제조예 1에서 제조된 CIS 2mg을 첨가하였다. 상기 용액을 초음파 교반기로 1 시간 이상 교반하여 충분히 분산되도록 하였다.
3) 상기 2)에서 제조된 용액을 상기 1)에서 준비된 ITO가 패턴된 유리 기판에 3000rpm 기준으로 스핀코팅하여, CIS 양자점이 포함된 PVK 고분자층을 형성하였다.
4) 상기 고분자층을 형성한 후, 용매인 톨루엔을 제거하기 위해 90~130℃에서 열처리하였다.
5) 이어서, 열증착법을 사용하여 상기 고분자층 위에 Al 전극을 형성하였다.
<제조예 4>
1) ITO가 패턴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기판을 아세톤과 메탄올로 각각 초음파 세척하여, 기판의 표면에 존재하는 유기물 및 이물질을 제거하였다. 또한, 각각의 단계에서 탈이온수로 기판을 세척하고 질소 가스를 이용하여 기판을 완전히 건조하였다.
2) 폴리(N-비닐카바졸)(PVK) 50mg을 톨루엔 5ml에 섞어 고분자 용액을 제조한 후 제조예 2에서 제조된 CIS/ZnS 2mg을 첨가하였다. 상기 용액을 초음파 교반기로 1 시간 이상 교반하여 충분히 분산되도록 하였다.
3) 상기 2)에서 제조된 용액을 상기 1)에서 준비된 ITO가 패턴된 PET 기판에 스핀코팅하여 CIS/ZnS 양자점이 포함된 PVK 고분자층을 형성하였다. 스핀코팅은 500rpm에서 1 초, 2500rpm에서 25 초 동안 수행하였으며, 각 단계에서 가속 시간은 1 초였다. 다시 감속하는 과정은 500rpm에서 1 초 동안 수행한 후 정지시켰다.
4) 상기 고분자층을 형성한 후, 용매인 톨루엔을 제거하기 위해 90~130℃에서 열처리하였다.
5) 이어서, 열증착법을 사용하여 상기 고분자층 위에 Al 전극을 형성하였다.
<비교예 1>
양자점을 포함하지 않은 PVK 고분자층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조예 3과 유사한 방법을 사용하여 메모리 소자를 제조하였다.
도 6 및 도 7은 각각 제조예 3 및 제조예 4에서 제조된 메모리 소자의 전류-전압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8은 비교예 1에서 제조된 메모리 소자의 전류-전압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CIS 또는 CIS/ZnS 양자점이 분산된 PVK층을 포함하는 메모리 소자들(제조예 3 및 4)의 경우가 순수한 PVK만을 포함하는 메모리 소자(비교예 1)의 경우보다 on/off 전류 비율이 월등히 높으며, 명백하게 쌍안정성 특성을 보여주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유기 메모리 소자의 높은 전도도 변화는 고분자층에 도입된 양자점에 의한 것임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기 메모리 소자는 약 -4V~4V의 전압 범위에서 쌍안정 특성을 보이고 있다. 쌍안정성 특성에서 고저항 상태를 off, 저저항 상태를 on 상태로 적용하여 데이터를 저장한다.
도 6의 경우, on 상태의 초기 전류값 0.01A는 약 -2V의 지우기 전압이 인가되는 경우 급격히 떨어지면서 off 상태로 유지되며, (+) 전압을 가하는 경우 약 3V에서 on 상태로 다시 전환됨을 보여준다.
도 7의 경우, 소자에 1V의 전압을 인가하였을 때 on 상태와 off상태의 전류비는 약 3.9×104으로 나타났으며, 외부 전압을 인가하지 않았을 때 초기 상태는 off 상태로 3.1V 미만까지는 off 상태를 유지한다. 쓰기 전압 약 3.1V에서 전류는 약 10-3A까지 증가하며 on 상태로 전환되며, on 상태는 -3.5V의 전압을 인가하기 전까지 유지된다. 지우기 전압 -3.5V의 전압 인가 시 소자는 다시 off 상태로 돌아간다.
도 9는 제조예 3에서 제조된 메모리 소자의 전류-시간에 대한 스위칭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쓰기(writing) 전류값은 평균 0.00636 A이고, 지우기(erasing) 전류값은 평균 0.00745 A로 측정되었다.
도 10 및 도 11은 각각 제조예 3 및 제조예 4에서 제조된 메모리 소자의 전류-사이클에 대한 데이터 유지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메모리 소자의 경우 on 상태와 off 상태의 전류값이 최소 10000~100000 번의 스트레스 인가에도 크게 변하지 않으며, 안정적인 데이터 유지력을 보유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
200: 기판 210: 제1 전극
220: 유무기 복합층 222: 양자점
224: 고분자층 230: 제2 전극

Claims (10)

  1. 제1 전극이 배치된 기판;
    상기 제1 전극 상에 위치하고 Ⅰ-Ⅲ-Ⅵ족 화합물 반도체를 함유한 양자점이 분산된 고분자층; 및
    상기 고분자층 상에 위치하는 제2 전극을 포함하는 비휘발성 유기 메모리 소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Ⅰ-Ⅲ-Ⅵ족 화합물 반도체는 Cu(InxGa1 -x)(SySe1 -y)2(여기서, x 및 y는 각각 0 내지 1임)인 비휘발성 유기 메모리 소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자점은 Ⅰ-Ⅲ-Ⅵ족 화합물 반도체 코어와 Ⅱ-Ⅵ족 화합물 반도체 쉘로 구성된 코어-쉘 구조인 비휘발성 유기 메모리 소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Ⅰ-Ⅲ-Ⅵ족 화합물 반도체는 Cu(InxGa1 -x)(SySe1 -y)2(여기서, x 및 y는 각각 0 내지 1임)이고, 상기 Ⅱ-Ⅵ족 화합물 반도체는 Zn(SpSeqTer)(여기서, p, q 및 r은 각각 0 내지 1이고, p+q+r=1임)인 비휘발성 유기 메모리 소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층은 폴리비닐카바졸계 고분자를 포함하는 비휘발성 유기 메모리 소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자점이 분산된 고분자층은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을 통해 인가되는 -4V 내지 4V의 전압 범위에서 쌍안정성을 나타내는 비휘발성 유기 메모리 소자.
  7. 제1 전극이 배치된 기판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제1 전극 상에 Ⅰ-Ⅲ-Ⅵ족 화합물 반도체를 함유한 양자점이 분산된 고분자 용액을 코팅하는 단계;
    상기 코팅된 고분자 용액을 열처리하여 용매를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용매가 제거된 고분자층 상에 제2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기 메모리 소자 제조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양자점은 Ⅰ-Ⅲ-Ⅵ족 화합물 반도체 코어와 Ⅱ-Ⅵ족 화합물 반도체 쉘로 구성된 코어-쉘 구조인 비휘발성 유기 메모리 소자 제조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용액은 폴리비닐카바졸계 고분자를 포함하는 비휘발성 유기 메모리 소자 제조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용액을 코팅하는 단계는 스핀코팅에 의해 수행하는 비휘발성 유기 메모리 소자 제조방법.
KR1020110086052A 2011-08-26 2011-08-26 비휘발성 유기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13329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6052A KR101332959B1 (ko) 2011-08-26 2011-08-26 비휘발성 유기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6052A KR101332959B1 (ko) 2011-08-26 2011-08-26 비휘발성 유기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2972A true KR20130022972A (ko) 2013-03-07
KR101332959B1 KR101332959B1 (ko) 2013-11-25

Family

ID=481755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6052A KR101332959B1 (ko) 2011-08-26 2011-08-26 비휘발성 유기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295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34155A1 (ko) * 2013-09-06 2015-03-12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나노복합체 기반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90084555A (ko) * 2018-01-08 2019-07-17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마찰 전기 나노발전기 및 이의 제조 방법
US20220310792A1 (en) * 2021-03-25 2022-09-29 Research & Business Foundation Sungkyunkwan University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220137340A (ko) * 2021-04-02 2022-10-12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친환경 나노복합체 기반 비휘발성 기억 소자 및 그의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3903B1 (ko) 2004-12-24 2009-08-26 삼성전자주식회사 양자점을 이용하는 메모리 소자
KR100652135B1 (ko) 2005-06-23 2006-11-30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안정된 다층 양자점을 가지는 유기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및 이의 제조 방법
WO2008108798A2 (en) * 2006-06-24 2008-09-12 Qd Vision, Inc. Methods for depositing nanomaterial, methods for fabricating a device, and methods for fabricating an array of devices
KR100989618B1 (ko) * 2008-06-16 2010-10-26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고분자 박막 안에 포함된 나노입자를 이용한 worm기억소자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34155A1 (ko) * 2013-09-06 2015-03-12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나노복합체 기반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90084555A (ko) * 2018-01-08 2019-07-17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마찰 전기 나노발전기 및 이의 제조 방법
US20220310792A1 (en) * 2021-03-25 2022-09-29 Research & Business Foundation Sungkyunkwan University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220133425A (ko) * 2021-03-25 2022-10-05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전자소자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20137340A (ko) * 2021-04-02 2022-10-12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친환경 나노복합체 기반 비휘발성 기억 소자 및 그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32959B1 (ko) 2013-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u et al. Capping CsPbBr 3 with ZnO to improve performance and stability of perovskite memristors
Quan et al. Perovskites for next-generation optical sources
KR101119916B1 (ko) 그래핀 전극과 유기물/무기물 복합소재를 사용한 전자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Shan et al. Solution-processed resistive switching memory devices based on hybrid organic–inorganic materials and composites
Hmar Flexible resistive switching bistable memory devices using ZnO nanoparticles embedded in polyvinyl alcohol (PVA) matrix and poly (3, 4-ethylenedioxythiophene) polystyrene sulfonate (PEDOT: PSS)
Ma et al. Carrier transport and memory mechanisms of multilevel resistive memory devices with an intermediate state based on double-stacked organic/inorganic nanocomposites
Talapin et al. Prospects of colloidal nanocrystals for electronic and optoelectronic applications
KR101878734B1 (ko) 그래핀 층상 구조체, 그의 제조방법 및 이를 채용한 투명전극과 트랜지스터
KR101969166B1 (ko) 가변 저항체, 이를 이용한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및 이들의 제조 방법
KR101102157B1 (ko) 금속 나노 입자를 이용한 휘발성 음저항 소자
US8968587B2 (en) Graphene nano ribbons and methods of preparing the same
US20060131569A1 (en) Organic memor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Shim et al. Memory mechanisms of nonvolatile organic bistable devices based on colloidal CuInS2/ZnS core–shell quantum dot–Poly (N-vinylcarbazole) nanocomposites
Wang et al. Study on multilevel resistive switching behavior with tunable ON/OFF ratio capability in forming-free ZnO QDs-based RRAM
KR101332959B1 (ko) 비휘발성 유기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방법
Hsu et al. Write-once-read-many-times characteristic of InZnO oxide semiconductor
Guo et al. Nonvolatile resistive switching memory device employing CdSe/CdS core/shell quantum dots as an electrode modification layer
Betal et al. Charge trapped CdS quantum dot embedded polymer matrix for a high speed and low power memristor
Rajkumari et al. Ag nanoparticle-decorated WO3 nanowires for nonvolatile memory
Thien et al. Electrode dependence in halide perovskite memories: resistive switching behaviours
KR101548802B1 (ko) 나노복합체 기반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651510B1 (ko)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Ahmad Device Applications of Band-Structure-Engineered Nanomaterials Current Status and Future Trend-Review.
KR20130127078A (ko) 비휘발성 유기 쌍안정성 기억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0888848B1 (ko) 플러렌 기반의 플래시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8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