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10533A - 임플란트 구조체 - Google Patents

임플란트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10533A
KR20130010533A KR1020110071220A KR20110071220A KR20130010533A KR 20130010533 A KR20130010533 A KR 20130010533A KR 1020110071220 A KR1020110071220 A KR 1020110071220A KR 20110071220 A KR20110071220 A KR 20110071220A KR 20130010533 A KR20130010533 A KR 201300105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ture
implant
abutment
impact layer
abutment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12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80869B1 (ko
Inventor
권지용
Original Assignee
권지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지용 filed Critical 권지용
Priority to KR10201100712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0869B1/ko
Publication of KR201300105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05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08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08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6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with shock absorb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2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composition, e.g. ceramics, surface layer, metal allo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22Self-screw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57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elastic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59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additional friction enhanc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구조체는 치과용 임플란트 구조체는 치조골에 결합되는 픽스츄어; 상기 픽스츄어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픽스츄어에 결합되는 지대주 구조체; 및 상기 픽스츄어 및 상기 지대주 구조체 사이에 형성되는 충격층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임플란트 구조체{IMPLANT STRUCTURE}
본 발명은 임플란트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연 치아와 유사한 식감을 느끼게 하며, 경제적으로도 효율적인 임플란트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공치아는 사람의 자연 치아와 외형 및 기능면에서 거의 동일한 상태가 되도록 인위적으로 만들어낸 치아로서, 이러한 인공 치아는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자연 치아가 결손 되었을 경우 이를 대체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상기 인공 치아로서 자연 치아를 대체하고자 할 경우에는 보철을 하거나 아 니면 틀니를 하거나, 치조골에 매식하는 세 가지 방법이 요구되는데, 상기 보철에 있어서는 주변의 다른 여러 자연 치아를 깎아내야만 하므로 자연 치아의 손상을 가져오게 됨은 물론 수명도 십년 정도로 그리 길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틀니의 경우에는 자연 치아의 손상은 물론이거니와 사용과정에서 빠져나올 수도 있음은 물론 사용자에게는 입속에 이물감을 가지고 있는 듯한 느낌을 주게 되어 사용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보철 및 틀니의 경우에는 갈수록 그 이용률이 줄어들고 있는 실정이다. 반면, 인공치아를 치조골에 매식하는 경우에는 주변의 다른 자연 치아에 손상을 주지 않으면서 매식이 완료된 후에는 자연치아와 구별하기 어려울 정도로 외형과 기능을 다하고 있고, 수명도 관리 상태에 따라 반영구적이어서 대중적으로 이용되고 있고, 이러한 인공치아를 치조골에 매식하기 위한 구조체로서는 임플란트 유닛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종래의 임플란트 유닛의 경우, 사람이 음식물을 씹을 때에 자연 치아와 유사한 식감을 느낄 수 없으며, 임플란트 유닛의 보수가 필요하여 보수를 할 경우, 경우에 따라 경제적 손실이 발생하는 등, 보수에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사람이 음식물을 씹을 때에 자연 치아와 유사한 식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하며, 임플란트를 보수하는 경우에 보다 편리하게 보수할 수 있고, 경제적 손실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임플란트 구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구조체는 치과용 임플란트 구조체는 치조골에 결합되는 픽스츄어; 상기 픽스츄어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픽스츄어에 결합되는 지대주 구조체; 및 상기 픽스츄어 및 상기 지대주 구조체 사이에 형성되는 충격층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임플란트 구조체는 상기 충격층 및 상기 지대주 구조체의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충격층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결합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임플란트 구조체는 상기 지대주 구조체에 고정/설치되는 인공치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충격층은 상기 지대주 구조체의 외부 형상에 매칭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충격층은 러버(rubber) 또는 탄성 폴리머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구조체는 치조골에 결합되는 픽스츄어; 상기 픽스츄어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픽스츄어에 결합되고, 인공 치아를 포함하는 인공 치아 지대주 구조체; 및 상기 픽스츄어 및 상기 인공 치아 지대주 구조체 사이에 형성되는 충격층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공 치아 지대주 구조체는 금속 또는 세라믹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람이 음식물을 씹을 때에 자연치아와 유사한 식감을 느낄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임플란트를 보수하는 경우에 보다 편리하게 보수할 수 있으며, 경제적 손실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사람의 자연 치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비교 예에 따른 임플란트 구조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가 치조골에 식립되는 형상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사람의 자연 치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사람의 치아(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잇몸 피부(2)로 덮여 있는 치조골(3)에 삽입된 형태로 되어 있으며, 상기 치조골(3)과 상기 치아(1) 사이는 다수의 치주인대(4)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치주인대(4)의 길이는 일반적으로 25~50㎛이며 사람이 음식물을 씹을 경우, 치아(1)는 상기 치주인대(4)의 길이 범위 내에서 미세하게 움직이게 된다.
이와 같이 사람은 상기 치주인대(4)의 신축 작용에 의하여 음식물의 딱딱한 정도에 따라 다양한 식감, 즉 씹는 맛을 느끼게 된다.
또한, 상기 치주 인대(4)는 치아(1)에 전달되는 응력 또는 충격을 완화시켜 상기 치아(1)의 파손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한편, 치아(1)가 충격이나 충치 등으로 인해 손상되어 사용할 수 없게 되는 경우에는 자연 치아(1)를 대신하는임플란트가 널리 사용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비교 예에 따른 임플란트 구조를 나타낸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비교 예에 따른 임플란트 구조는 일반적으로 픽스츄어(5; fixture)가 치조골(3)에 매식되고, 쉽게 매식되도록 전체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픽스츄어(5)의 상부에는 지대주 스크류(Abutment screw, 6)가 결합될 수 있고, 상기 지대주 스크류(6)에 의하여 지대주(Abutment, 8)가 픽스츄어(5)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지대주(8)에는 인공 치아(Artificial Crown, 7)가 고정되어 설치된다.
도 1과 같이, 자연 치아(1)와 치조골(3)의 사이가 치주인대(4)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것과 달리, 임플란트의 경우에는 도 2와 같이, 상기 픽스츄어(5)와 치조골(3)은 서로 밀착되어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임플란트에 의해 인공 치아(7)를 시술한 경우에는 사람이 음식물을 씹을 때에 임플란트가 작은 범위(예컨대, 약 2㎛ 이내의 범위)로 움직인다.
따라서, 도 2에 따른 임플란트 시술에 의할 경우, 사람은 자연 치아(1)를 통해 음식물을 씹는 경우와 달리, 음식물을 씹으면서 현저하게 떨어진 식감을 느낄 수 밖에 없어, 특히 부드러운 재질의 음식물을 씹을 때 씹는 맛을 거의 느낄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임플란트에 의한 인공 치아(7)의 경우, 자연 치아(1)와 같이 치주인대(4)가 없어 측방력에 약할 수 있다.
또한, 도 2의 상기 임플란트는 보수가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사람의 치조골 및 치아 구조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진적으로 변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최초 임플란트 시술을 한 후 소정의 기간이 지나면, 임플란트를 보수해야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결국, 이 경우 지대주 스크류(6)를 교체할 때, 픽스츄어(5)와의 강한 결합으로 보수에 불편함이 있을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픽스츄어(5) 또는 지대주 스크류(6)의 파손으로 인해 경제적 손실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가 치조골에 식립되는 형상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고하면, 치과용 임플란트(10)는, 인공 치근으로서 치조골(30)에 식립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픽스츄어(50), 상기 픽스츄어(50) 상에 결합되어 고정되는 지대주 구조체(Abutment structure, 60), 및 지대주 구조체(60)에 결합되는 인공 치아(Artificial Crown, 미도시)를 포함한다.
도 3에서 설명하는 지대주 구조체(60)는 도 1과 같이 지대주 스크류(6) 및 지대주(8)로 분리된 형태와는 달리, 상기 지대주 스크류(6) 및 지대주(8)가 일체형으로 형성된 형태에 해당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상기 치조골(30)에 형성된 드릴 홀(35)에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픽스츄어(50)를 식립한 후, 지대주 구조체(60)를 상기 픽스츄어(50)에 결합시키고, 상기 지대주 구조체(60)의 외면으로 미리 제작된 인공 치아(미도시)를 결합시킴으로써 치과용 임플란트(100)의 시술이 진행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치과용 임플란트(10)의 구성은 본 실시 예에 의한 것이며, 치과용 임플란트(10)의 구성은 시술 방법에 따라 다양하게 바뀔 수 있음은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자명한 일이다.
도 4는 도 3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픽스츄어(50)는 치조골(30)의 드릴 홀에 식립되어 인공 치근으로서의 역할을 하는 부분으로서, 치조골(30)에 천공된 드릴 홀(35)에 식립되는 픽스츄어 본체(55), 상기 픽스츄어 본체(55)의 외면에 나선형으로 형성되어 치조골(30)에 식립되는 수나사부(45), 및 상기 수나사부(45) 및 픽스츄어 본체(55)의 상단에 결합되는 결합링(40)을 포함한다.
상기 수나사부(45)는 치조골(30)로 깊게 식립될 수 있어 픽스츄어(50)의 고정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픽스츄어 본체(55)는 내부에 충격층(9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충격층(90)에 대해서는 도 5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결합링(40)은 상기 충격층(90)이 상기 픽스츄어(50) 밖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픽스츄어(50)의 상단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픽스츄어(50) 상단에 고정되어 제작될 수도 있고, 분리/부착 가능하도록 제작될 수도 있다. 또한, 제작자의 설계에 따라 상기 결합링(40)은 포함되지 않은 채로 제작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구조는 픽스츄어(50), 지대주 구조체(60), 결합링(40),및 충격층(90)을 포함한다. 이때,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결합링(40)은 제작자의 설계에 따라 포함되지 않은 채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픽스츄어(50)는 잇몸 피부(20)로 덮여있는 치조골(30)에 매식되며, 상기 픽스츄어(50)는 상기 치조골(30)에 쉽게 매식되도록 전체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대주 구조체(60)는 상기 픽스츄어(50)의 상부에 위치하여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대주 구조체(60)는 종래 사용되는 지대주 및 지대주 스크류와 달리, 종래의 지대주와 지대주 스크류를 일체형으로 제작 형성된 형태에 해당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대주 구조체(60)와 픽스츄어 외부체(80) 사이에 충격층(90)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충격층(90)은 상기 픽스츄어(50)의 제작 시에 상기 픽스츄어(50) 내부에 사전 고정 위치되어 제작될 수도 있고, 상기 픽스츄어(50)와 별도로 제작되어 상기 픽스츄어(50) 내부에 추후 결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비교 예에 따른 도 2의 픽스츄어(5)의 내부는 단지 지대주 스크류(6)가 들어갈 공간으로 존재하지만, 도 5의 픽스츄어(50)의 내부는 상기 충격층(90) 및 상기 충격층에 결합될 상기 지대주 구조체(60)가 들어갈 공간으로 존재한다.
상기 충격층(90)은 탄성을 가진 소재로 구성될 수 있으며, 예컨대, 러버(rubber) 또는 탄성 폴리머와 같은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탄성 폴리머는 상기 러버와 같이 탄성이 있는 폴리머에 해당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충격층(90)은 단일 소재로 구성될 수도 있지만, 상기 소재에 더하여 탄소 섬유 또는 유리 섬유와 같은 다른 소재와 함께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충격층(90)은 상기 지대주 구조체(60)와 결합되기 위하여 상기 지대주 구조체(60)의 외부 형상과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지대주 구조체(60)의 외부 형상에 맞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충격층(90) 및 상기 지대주 구조체(60)는 도 5에서는 스크류 형태로 결합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스크류 형태가 아닌 실린더(cylinder) 형태 또는 그 외의 다른 형태 등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지대주 구조체(60) 및 상기 충격층(90)은 마찰력에 의하여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지대주 구조체(60)가 스크류 형태가 아닌 실린더 형태 또는 그 외의 다른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충격층(90)과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대주 구조체(60)가 상기 픽스츄어(50)에 쉽게 고정될 수 있고, 상기 충격층(90)의 이탈 방지를 위하여, 상기 픽스츄어(50)의 상부에 결합링(4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결합링(40)은 상기 픽스츄어(50) 제작 시에 상기 픽스츄어(50) 내부에 사전 고정되어 제작될 수도 있고, 상기 픽스츄어(50)와 별도로 제작되어 상기 충격층(90) 및 상기 픽스츄어(50) 상부에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지대주 구조체(60) 및 상기 픽스츄어(50)에는 인공 치아(Artificial Crown, 70)가 고정되어 설치된다. 이때, 상기 인공 치아(70)는 금, 기타 다른 치과용 금속, 또는 치과용 세라믹 소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대주 구조체(60) 및 상기 인공 치아(70)는 도 5에서는 별도로 분리 제작되어 결합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일체로 제작 형성된 인공 치아 지대주 구조체의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예컨대, 상기 인공 치아 지대주 구조체는 상기 지대주 구조체(60) 및 상기 인공 치아(70)가 동일한 재료(예컨대, 인공 치아의 재료인 금, 기타 다른 치과용 금속 또는 치과용 세라믹 소재)를 통해 단일 제작되어 상기 픽스츄어(50) 및 충격층(9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충격층(90)이 상기 픽스츄어(50) 및 상기 지대주 구조체(60) 사이에 형성되어, 사람이 음식물을 씹을 때에 상기 충격층(90)에 의한 탄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구조체가 일반 임플란트 구조체에 비해 자연 치아와 유사한 식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충격층(90)이 픽스츄어(50)와 지대주 구조체(60) 사이에 위치하기 때문에, 임플란트 구조체의 보수가 필요한 경우, 상기 지대주 구조체(60)를 자연 치아의 발치와 같은 형태로 교체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지대주 구조체(60)를 상기 픽스츄어(50)로부터 제거하더라도 상기 충격층(90)이 파손될 뿐, 상기 지대주 구조체(60) 및 상기 픽스츄어(50)는 파손되지 않으며, 따라서, 경제적으로도 효율적이다.
상기 본 발명의 내용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임플란트 구조체
20: 잇몸 피부
30: 치조골
40: 결합링
50: 픽스츄어
60: 지대주 구조체
70: 인공 치아
80: 픽스츄어 외부체
90: 충격층

Claims (7)

  1. 임플란트 구조체에 있어서,
    치조골에 결합되는 픽스츄어;
    상기 픽스츄어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픽스츄어에 결합되는 지대주 구조체; 및
    상기 픽스츄어 및 상기 지대주 구조체 사이에 형성되는 충격층을 포함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구조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층 및 상기 지대주 구조체의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충격층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결합링을 더 포함하는 임플란트 구조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대주 구조체에 고정/설치되는 인공치아를 더 포함하는 임플란트 구조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층은
    상기 지대주 구조체의 외부 형상에 매칭되도록 형성되는 임플란트 구조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층은
    러버(rubber) 또는 탄성 폴리머로 형성되는 임플란트 구조체.
  6. 임플란트 구조체에 있어서,
    치조골에 결합되는 픽스츄어;
    상기 픽스츄어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픽스츄어에 결합되고, 인공 치아를 포함하는 인공 치아 지대주 구조체; 및
    상기 픽스츄어 및 상기 인공 치아 지대주 구조체 사이에 형성되는 충격층을 포함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구조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 치아 지대주 구조체는
    금속 또는 세라믹 소재로 형성되는 임플란트 구조체.
KR1020110071220A 2011-07-19 2011-07-19 임플란트 구조체 KR1012808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1220A KR101280869B1 (ko) 2011-07-19 2011-07-19 임플란트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1220A KR101280869B1 (ko) 2011-07-19 2011-07-19 임플란트 구조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0533A true KR20130010533A (ko) 2013-01-29
KR101280869B1 KR101280869B1 (ko) 2013-07-01

Family

ID=478397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1220A KR101280869B1 (ko) 2011-07-19 2011-07-19 임플란트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086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23014A1 (ko) * 2013-08-15 2015-02-19 Kim Hyeong Woo 치과용 임플란트
CN111372533A (zh) * 2017-10-26 2020-07-03 米尼翁大学 具有功能梯度的牙科植入物以及其生产方法
WO2022131438A1 (ko) * 2020-12-15 2022-06-23 박태석 파손 방지형 강화 임플란트 구조체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8136B1 (ko) 2014-05-23 2016-03-31 김광섭 임플란트 유닛
KR102123803B1 (ko) 2018-02-27 2020-06-23 이석용 결합구조를 개선시킨 임플란트 구조체
KR102305714B1 (ko) 2020-12-30 2021-09-29 이노덴 주식회사 유동형 어버트먼트 및 이를 구비한 임플란트
KR102311246B1 (ko) 2021-01-28 2021-10-14 이노덴 주식회사 유동형 어버트먼트 및 이를 구비한 임플란트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49378A (ko) * 2006-11-30 2008-06-04 김형우 충격흡수 임플란트 유닛
JP2008237467A (ja) * 2007-03-27 2008-10-09 Hiroshi Oguchi 代替歯根膜インプラント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23014A1 (ko) * 2013-08-15 2015-02-19 Kim Hyeong Woo 치과용 임플란트
CN111372533A (zh) * 2017-10-26 2020-07-03 米尼翁大学 具有功能梯度的牙科植入物以及其生产方法
WO2022131438A1 (ko) * 2020-12-15 2022-06-23 박태석 파손 방지형 강화 임플란트 구조체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80869B1 (ko) 2013-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110376B (zh) 非粘合式螺纹型种植体
KR101280869B1 (ko) 임플란트 구조체
US20220160474A1 (en) Cementless Type Dental Implant
US8057230B1 (en) Ceramic and metal composite dental implant
KR101114933B1 (ko) 지르코니아 임플란트 지대주
KR101160121B1 (ko) 치과용 임플란트
US20040166476A1 (en) Components for permanent removable and adjustable dentures and bridges
KR101669893B1 (ko) 임플란트의 2중 구조 어버트먼트
KR101140620B1 (ko) 골이식 임플란트 시술용 임시 체결 부재
DE68904470D1 (de) Implantierbare stuetzpfeiler fuer zahnersatz, wie krone, zahn oder dergleichen.
EP3040047A1 (en) Attachment for plate denture
KR102316320B1 (ko) 크라운 착탈이 용이한 치과용 임플란트
KR100785660B1 (ko) 교환이 용이한 임플란트 픽스쳐
KR20080049378A (ko) 충격흡수 임플란트 유닛
KR101965332B1 (ko) 투피스 힐링어버트먼트용 하부체 및 이를 포함하는 힐링어버트먼트
US20170189147A1 (en) Partial dentur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KR100963432B1 (ko) 임플란트 상부보철물용 홀캡
KR101646168B1 (ko) 치과용 임플란트 조립체
KR20100011847A (ko) 임플란트 픽스츄어
KR101486851B1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지대주
EP2491885A1 (en) Implant device having firm fastening structure between abutment and zirconia cap
KR102043772B1 (ko) 임플란트 크라운
KR20120008672A (ko) 인공치근 및 이를 이용한 의치구조
KR20150115057A (ko) 임플란트용 인공치근
KR20150086699A (ko) 멀티플 어버트먼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