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5501U - 수납 케이스 - Google Patents

수납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5501U
KR20130005501U KR2020120012363U KR20120012363U KR20130005501U KR 20130005501 U KR20130005501 U KR 20130005501U KR 2020120012363 U KR2020120012363 U KR 2020120012363U KR 20120012363 U KR20120012363 U KR 20120012363U KR 20130005501 U KR20130005501 U KR 2013000550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x portion
case
case body
withdrawal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123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카주노부 야마모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신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신와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신와
Publication of KR2013000550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5501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7/00Chests; Dressing-tables; Medicine cabinets or the like; Cabine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drawers
    • A47B67/04Chests of drawers; Cabine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dra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7/00Sectional furniture, i.e. combinations of complete furniture units, e.g. assemblies of furniture units of the same kind such as linkable cabinets, tables, racks or shelf units
    • A47B87/02Sectional furniture, i.e. combinations of complete furniture units, e.g. assemblies of furniture units of the same kind such as linkable cabinets, tables, racks or shelf units stackable ; stackable and linkable
    • A47B87/0276Stackable modular units, each consisting of a closed peripher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7/00Sectional furniture, i.e. combinations of complete furniture units, e.g. assemblies of furniture units of the same kind such as linkable cabinets, tables, racks or shelf units
    • A47B87/02Sectional furniture, i.e. combinations of complete furniture units, e.g. assemblies of furniture units of the same kind such as linkable cabinets, tables, racks or shelf units stackable ; stackable and linkable
    • A47B87/0284Cabinet systems consisting of stacked-and-linked uniform casings, each being a cabinet or drawer-holder, e.g. lockers, mail/file boxing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50Safety devices or the like for drawers

Landscapes

  • Drawers Of Furniture (AREA)
  • Rigid Containers With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AREA)

Abstract

[과제] 인출몸체의 바닥면에 인출수납 방향으로 뻗은 볼록부를 형성하고, 볼록부에 감입볼록부를 형성하고, 케이스 본체의 바닥판에 감입볼록부가 감입가능한 감입요부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케이스본체 내의 내부공간에 인출몸체를 수납했을 때, 감입볼록부가 감입가능한 감입요부에 감입되고, 인출몸체가 내부공간에 수납된 것을 감촉을 느낄 수 있는 것과 더불어 케이스본체의 설치상태나 인출몸체 내의 수납물의 수납상태, 혹은 외력이 가해졌을 경우 등에 있어서, 인출몸체가 전방으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해결수단] 전면이 개구된 내부공간(2)을 갖는 합성수지제의 케이스본체(1)와,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본체의 바닥판(1a)상에 배치되고, 케이스본체의 전면의 개구를 통해 인출 수납이 자유롭게 설치된 합성수지제의 인출몸체(3)로 이루어지고, 인출몸체의 바닥면에 인출수납 방향으로 뻗은 볼록부(T)를 형성하고, 볼록부에 감입볼록부(H)를 형성하고, 케이스 본체의 바닥판에 감입볼록부가 감입 가능한 감입요부(G)를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수납 케이스{Storage case}
본 고안은, 예를 들면, 일반가정에 설치되어 의류나 각종 부속품 등을 정리 수납할 때에 이용되는 수납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러한 종류의 수납케이스로, 전면이 개구된 내부공간을 갖는 합성수지제의 케이스 본체와,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 본체의 바닥판 상에 배치되고, 케이스 본체의 전면의 개구를 통해 인출수납이 자유롭게 설치된 합성수지제 인출몸체로 이루어진 구조로 된 것이 알려져 있다.
일본 실용신안등록 제3069647호 공보
그러나, 이들 종래 구조의 경우, 케이스 본체의 바닥판 상에 배치된 인출몸체를 케이스 본체 내의 내부공간에 수납했을 때, 인출몸체는 케이스본체의 바닥판 상에 그대로 놓여진 상태이므로, 케이스 본체의 설치 상태, 인출몸체 내의 수납물의 수납형태나 외력이 가해졌을 경우, 인출몸체가 전방으로 돌출될 우려가 있다는 결함을 갖고 있다.
본 고안은, 이들 결함을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본 고안 중에서, 청구항 1에 기재된 고안은, 전면(前面)이 개구된 내부 공간을 갖는 합성수지제의 케이스 본체와, 상기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본체의 바닥판 상에 배치되어, 상기 케이스 본체의 전면의 개구를 통해 인출 수납이 자유롭게 설치된 합성수지제의 인출몸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인출몸체의 바닥면에 상기 인출몸체의 인출수납 방향으로 뻗은 볼록부를 형성하고, 상기 볼록부에 감입볼록부를 형성하고, 상기 케이스 본체의 바닥판에 상기 인출몸체의 수납시에 있어서 상기 감입볼록부가 감입가능한 감입요부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케이스이다.
또한 청구항 2에 기재된 고안은, 상하로 전면이 개구된 복수개의 내부공간을 갖는 합성수지제의 케이스 본체와, 상기 복수개의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본체의 복수개의 바닥판 상에 배치되고, 상기 케이스 본체의 전면에 개구를 통해 인출수납이 자유롭게 설치된 합성수지제의 복수개의 인출몸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인출몸체의 바닥면에 상기 인출몸체의 인출 수납 방향으로 뻗은 볼록부를 형성하고, 상기 볼록부에 감입볼록부를 형성하고, 상기 케이스본체의 복수개의 바닥판에 상기 인출몸체의 수납시에 있어서 상기 감입볼록부가 감입가능한 감입요부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케이스이다.
또한 청구항 3에 기재된 고안은, 상기 케이스본체의 상면에 상기 인출몸체의 인출수납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뻗은 오목형상 홈부를 형성함과 더불어 상기 케이스 본체의 바닥면에 상기 오목형상 홈부로 접동(摺動)이 자유로운 감합부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며, 또한 청구항 4에 기재된 고안은, 상기 천정판에 각종 부속품을 걸 수 있는 훅을 격납이 자유롭게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며, 또한 청구항 5에 기재된 고안은, 상기 인출몸체의 전판(前板)의 전면(前面)에 합성수지제의 표시판을 선택적으로 자유롭게 교환할 수 있도록 배치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이, 청구항 1에 기재된 고안에 있어서는, 케이스 본체의 바닥판 상에 배치된 인출몸체를 케이스 본체의 전면의 개구를 통해 인출수납하여 의류나 각종 부속품류 등을 정리 수납하게 되고, 이 때, 상기 인출몸체의 바닥면에 인출몸체의 인출수납 방향으로 뻗은 볼록부를 형성하고, 볼록부에 감입볼록부를 형성하고, 상기 케이스 본체의 바닥판에 인출몸체의 수납시에 있어서, 감입볼록부가 감입 가능한 감입요부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케이스 본체내의 내부공간에 인출몸체를 수납했을 때, 감입볼록부가 감입가능한 감입요부에 감입되고, 이 감입에 의해 인출몸체가 내부공간에 수납된 것을 감촉으로 느낄 수 있는 것과 더불어 케이스 본체의 설치 상태나 인출몸체 내의 수납물의 수납상태, 외력이 가해졌을 경우에 있어서, 인출몸체가 전방으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사용상의 편의성 및 사용상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청구항 2에 기재된 고안에 있어서는, 케이스 본체의 바닥판상에 배치된 인출몸체를 케이스 본체의 전면의 개구를 통해 인출수납하여 의류나 부속품류 등을 정리수납하게 되고, 이 때, 상기 복수개의 인출몸체의 바닥면에 인출몸체의 인출수납 방향으로 뻗은 볼록부를 형성하고, 볼록부에 감입볼록부를 형성하고, 상기 케이스 본체의 바닥판에 인출몸체의 수납시에 있어서 감입 볼록부가 감입가능한 감입요부부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케이스 본체 내의 복수개의 내부공간에 각각 인출몸체를 수납했을 때, 감입볼록부가 감입가능한 감입요부에 감입하고, 이 감입에 의해 인출몸체가 내부 공간에 수납된 것을 감촉으로 느낄 수 있는 것과 더불어 케이스 본체의 설치상태나 인출몸체 내의 수납물의 수납상태, 외력이 가해졌을 경우에 있어서, 인출몸체가 전방으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사용상의 편의성 및 사용상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청구항 3에 기재된 고안에 있어서는, 상기 케이스 본체의 상면에 상기 인출몸체의 인출 수납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뻗은 오목형상 홈부를 형성함과 더불어 상기 케이스 본체의 바닥면에 오목형상 홈부에 접동이 자유로운 감합부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복수개의 수납케이스를, 적층한 상태에 있어서, 오목형상 홈부와 상기 감합부의 감합에 의해, 상단의 수납케이스의 앞측으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적층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고, 동시에 적층 상태의 안정을 유지하면서 상하의 수납케이이스의 상호 폭방향의 배치위치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고, 적층의 배치위치의 융통성을 높일 수 있고, 각종 사용상태, 설치위치, 각종 수납물 등에 따라 적층의 배치위치를 변경할 수 있고, 수납케이스의 사용위치의 융통성 및 쾌적성을 높일 수 있고, 또한 청구항 4에 기재된 고안에 있어서는, 상기 천정판에 각종 부속품들을 걸 수 있는 훅을 격납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이루어지므로, 모자, 구두, 밸트 등을 걸어 둘 수 있고, 사용상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고, 또한 청구항5에 기재된 고안은, 상기 인출몸체의 전판의 전면에 합성수지제의 표시판을 선택적으로 자유롭게 교환할 수 있도록 배치하여 이루어지므로, 색채 등의 구별 가능한 여러종류의 표시판을 준비하여, 예를 들면 부모와 아이, 남성과 여성 등에 따라 표시판을 선택적으로 교환하여 배치하는 것에 의해 인출몸체 내의 수납물을 수납케이스의 외측에서 인식할 수 있고, 사용상의 편리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형태의 전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1실시형태의 전체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1실시형태의 전체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1실시형태의 부분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1실시형태의 부분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1실시형태의 부분단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1실시형태의 부분단면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1실시형태의 부분단면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제1실시형태의 부분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제1실시형태의 부분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고안의 제1실시형태의 부분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고안의 제2실시형태의 전체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12는, 본 고안의 각종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도 1 내지 도 11은 제1실시형태, 도 12는 제2실시형태이다.
도 1 내지 도 11의 제1실시형태에 있어서, 1은 케이스본체이며, 합성수지제로, 바닥판(1a), 좌우의 측판(1b·1b), 후판(1c), 천정판(1d)로 이루어지고, 전면이 개구된 내부공간(2)을 갖는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3은 인출몸체이며, 합성수지제로, 바닥판(3a), 전판(3b), 좌우의 측판(3c·3c), 후판(3d)로 이루어지고, 상면이 개구된 용기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본체(1)의 바닥판(1a)상에 배치되고, 상기 케이스본체(1)의 전면의 개구를 통해 내부공간(2)에 인출수납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인출몸체(3)의 바닥판(3a)의 바닥면에 인출몸체(3)의 인출수납 방향으로 뻗은 볼록부(T)가 형성되고, 볼록부(T)에 감입볼록부(H)가 형성되고, 한편, 상기 케이스본체(1)의 바닥판(1a)에 인출몸체(3)의 수납시, 즉, 인출몸체(3)의 내부공간(2) 내에 완전히 수납된 때에 있어서, 감입볼록부(H)가 감입가능한 감입요부(G)를 형성하고 있다.
이 경우, 볼록부(T·T)는 좌우위치에 형성되고, 볼록부(T·T)에 반원괄호판 형상의 감입볼록부(H)를 감입요부(G)와의 상대위치를 고려하여 형성하고, 감입요부(G)는, 상기 케이스본체(1)의 바닥판(1a)에 홀부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경우, 상기 천정판(1d)의 상면에 상기 인출몸체(3)의 인출수납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뻗은 오목형상 홈부(1e·1e)를 형성함과 더불어 상기 케이스본체(1)의 바닥판(1a)의 바닥면에 오목형상 홈부(1e·1e)로 접동이 자유로운 전후 한 쌍씩의 총합4개의 감합부(1f·1f·1f·1f)를 설치하였다.
4는, 훅이며, 도 10, 도 11과 같이, 상기 천정판(1d)에 각종 부속품을 걸 수 있는 훅(4)을 추축(樞軸)(4a)에 의해 자유롭게 세우거나 눕힐 수 있도록 설치하고, 천정판(1d)에 격납부(1g)를 형성하고, 훅(4)을 격납부(1g)로 자유롭게 격납할 수 있게 설치되어 있다.
5는 표시판이며, 합성수지제로, 상기 인출몸체(3)의 전판(3b)의 전면에 선택적으로 교환이 자유롭게 배치되어 있다.
이 제1실시형태는, 상기 구성과 같으므로, 케이스본체(1)의 바닥판(1a)상에 배치된 인출몸체(3)를 케이스본체(1)의 전면의 개구를 통해 인출수납하여 의류나 각종 부속품류 등을 정리수납하게 되고, 이 때, 상기 인출몸체(3)의 바닥면에 인출몸체(3)의 인출 수납방향으로 뻗은 볼록부(T)를 형성하고, 볼록부(T)에 감입볼록부(H)를 형성하고, 상기 케이스본체(1)의 바닥부(1a)에 인출몸체(3)의 수납시에 있어서 감입볼록부(H)가 감입가능한 감입요부(G)를 형성하고 있으므로, 케이스본체(1)내의 내부공간(2)에 인출몸체(3)를 수납했을 때, 갑입볼록부(H)가 감입가능한 감입요부(G)에 감입되고, 이 감입에 의해 인출몸체(3)가 내부공간(2)에 수납된 것을 감촉으로 느낄수 있는 것과 더불어 케이스본체(1)의 설치상태나 인출몸체(3)내의 수납물의 수납상태, 혹은 외력이 가해졌을 경우 등에 있어서, 인출몸체(3)가 전방으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사용상의 편의성 및 사용상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상기 케이스본체(1)의 상면에 상기 인출몸체(3)의 인출수납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뻗은 오목형상홈부(1e·1e)를 형성함과 더불어 상기 케이스본체(1)의 바닥면에 오목형상 홈부(1e·1e)로 접동이 자유로운 감합부(1f·1f·1f·1f)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복수개의 수납케이스를 적층한 상태에 있어서, 오목형상 홈부(1e·1e)와 상기 감합부(1f·1f·1f·1f)와의 감합에 의해, 상단의 수납케이스의 앞측으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적층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고, 동시에, 적층상태의 안정성을 유지하면서 상하의 수납케이스의 상호 폭방향, 즉, 인출몸체(3)의 인출수납방향으로 직교하는 방향의 배치위치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고, 적층배치 위치의 융통성을 높일 수 있고, 각종 사용형태, 설치위치, 각종 수납물 등에 따라 적층의 배치위치를 변경할 수 있고, 수납케이스의 사용위치의 융통성 및 쾌적성을 높일 수 있고, 또한, 이 경우, 상기 천정판(1d)에 각종 부속품을 걸 수 있는 훅(4)을 자유롭게 격납할 수 있게 설치되어 있으므로, 모자, 구두, 밸트 등을 걸어 둘 수 있고, 사용상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고, 또한 이 경우, 상기 인출몸체(3)의 전판(3b)의 전면에 합성수지제의 표시판(5)을 선택적으로 자유롭게 교환할 수 있도록 배치하여 이루어지므로, 색채 등의 구별 가능한 여러 종류의 표시판(5)을 준비하여, 예를 들면 부모와 아이, 남성과 여성 등에 따라 표시판(5)을 선택적으로 교환하여 배치하는 것에 의해 인출몸체 내의 수납물을 수납케이스의 외측에서 인식할 수 있고, 사용상의 편리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2의 제2의 실시형태는 다른 예구조를 나타내며, 이 경우, 상기 제1실시형태와 동일한, 바닥판(1a), 좌우의 측판(1b·1b), 후판(1c)으로 이루어지는 전면 및 상면이 개구된 케이스 몸체를 상하로 복수개, 이 경우 3개의 적층, 최상위의 측판(1b·1b)의 상면을 천정판(1d)으로 덮어 상하로 전면이 개구된 3개의 내부공간(2·2·2)을 갖는 합성수지제의 케이스본체(1)와, 이 3개의 내부공간(2·2·2)을 형성하는 케이스본체(1)의 3개의 바닥판(1a·1a·1a)상에 배치되고, 케이스본체(1)의 전면의 개구를 통해 인출 수납이 자유롭게 설치된 합성수지제의 3개의 인출몸체(3·3·3)로 이루어지고, 상기 인출몸체(3·3·3)의 바닥면에 인출몸체(3·3·3)의 인출수납방향으로 뻗은 볼록부(T·T·T)를 형성하고, 볼록부(T·T·T)에 감합볼록부(H·H·H)를 형성하고, 케이스본체(1)의 3개의 바닥판 (1a)·(1a)·(1a)에 인출몸체(3·3·3)의 수납시에 있어서 감입볼록부(H·H·H)가 감입가능한 감입요부(G·G·G)를 형성하고 있다.
이 제2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상기 제1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케이스본체(1)내의 내부공간(2)에 인출몸체(3)를 수납했을 때, 감입볼록부(H)가 감입가능한 감입요부(G)로 감입되고, 이 감입에 의해 인출몸체(3)가 내부공간(2)에 수납된 것을 감촉으로 느낄 수 있는 것과 더불어 케이스본체(1)의 설치상태나 인출몸체(3) 내의 수납물의 수납상태, 외력이 가해진 경우에 있어서, 인출몸체(3)가 전방으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사용상의 편의성 및 사용상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케이스본체(1)의 수, 단수(段數), 크기, 인출몸체(3)의 개수, 구조는 용도에 따라 정해질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소기의 목적을 충분히 달성할 수 있다.
T 볼록부
H 감입볼록부
G 감입요부
1 케이스 본체
1a 바닥판
1e 오목형상 홈부
1f 감합부
2 내부공간
3 인출몸체
3b 전판
4 훅
5 표시판

Claims (5)

  1. 전면이 개구된 내부 공간을 갖는 합성수지제의 케이스 본체와, 상기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본체의 바닥판 상에 배치되어, 상기 케이스 본체의 전면의 개구를 통해 인출 수납이 자유롭게 설치된 합성수지제의 인출몸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인출몸체의 바닥면에 상기 인출몸체의 인출수납 방향으로 뻗은 볼록부를 형성하고, 상기 볼록부에 감입볼록부를 형성하고, 상기 케이스 본체의 바닥판에 상기 인출몸체의 수납시에 있어서 상기 감입볼록부가 감입가능한 감입요부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케이스.
  2. 상하로 전면이 개구된 복수개의 내부공간을 갖는 합성수지제의 케이스본체와, 상기 복수개의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본체의 복수개의 바닥판 상에 배치되고, 상기 케이스 본체의 전면에 개구를 통해 인출수납이 자유롭게 설치된 합성수지제의 복수개의 인출몸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인출몸체의 바닥면에 상기 인출몸체의 인출 수납 방향으로 뻗은 볼록부를 형성하고, 상기 볼록부에 감입볼록부를 형성하고, 상기 케이스본체의 복수개의 바닥판에 상기 인출몸체의 수납시에 있어서 상기 감입볼록부가 감입가능한 감입요부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케이스.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본체의 상면에 상기 인출몸체의 인출수납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뻗은 오목형상 홈부를 형성함과 더불어 상기 케이스 본체의 바닥면에 상기 오목형상 홈부로 접동이 자유로운 감합부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수납 케이스.
  4. 제1항 내지 제3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천정판에 각종 부속품을 걸 수 있는 훅을 격납이 자유롭게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수납케이스.
  5. 제1항 내지 제4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몸체의 전판의 전면에 합성수지제의 표시판을 선택적으로 자유롭게 교환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케이스.
KR2020120012363U 2012-03-09 2012-12-28 수납 케이스 KR20130005501U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U-2012-001333 2012-03-09
JP2012001333U JP3175827U (ja) 2012-03-09 2012-03-09 収納ケース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5501U true KR20130005501U (ko) 2013-09-23

Family

ID=480028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12363U KR20130005501U (ko) 2012-03-09 2012-12-28 수납 케이스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3175827U (ko)
KR (1) KR20130005501U (ko)
CN (1) CN203088199U (ko)
MY (1) MY177680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8873B1 (ko) * 2017-10-30 2019-09-27 창신리빙(주) 완구 분리수납함
CN108460907A (zh) * 2018-02-06 2018-08-28 中山微宇电器科技有限公司 一种售货机的模块式货架
CN108609255A (zh) * 2018-05-22 2018-10-02 陈益民 抽屉式快递收纳箱
CN110076487A (zh) * 2019-05-06 2019-08-02 中国能源建设集团安徽电力建设第二工程有限公司 一种组合式焊机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Y177680A (en) 2020-09-23
CN203088199U (zh) 2013-07-31
JP3175827U (ja) 2012-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05501U (ko) 수납 케이스
US9173488B1 (en) Combination drawer assembly
JP3186097U (ja) 収納ケース
US20180192772A1 (en) Storage case
CN202341318U (zh) 一种易拆卸的多层组合柜
KR101316014B1 (ko) 서랍용 조립식 수납용품
JP3186035U (ja) 収納ケース
CN206111767U (zh) 一种开元模块的组件通用面板及其卡件和连接件
JP5909072B2 (ja) トレー及びその収納棚
KR20130005623U (ko) 수납케이스
JP2019088523A (ja) 収納ケース
CN211933185U (zh) 一种具有推拉门的办公书柜
TWM541238U (zh) 置物櫃組成(三)
KR100709143B1 (ko) 선반구성체 및 간이 선반 부착 수납 유니트
KR20120104052A (ko) 슬라이드 적층형 수납용기의 적층구조 및 적층보관장치
JP3209526U (ja) 収納ケース
CN202717102U (zh) 孔明连环锁盒
CN201175906Y (zh) 具卡扣效果的工具盒组接结构
JP5610314B2 (ja) 収納ケース
JP2013022137A (ja) 机システム
CN107954058B (zh) 一种带储物隔板的内盒组合结构
CN208392006U (zh) 一种便携式mbr膜架
KR102555816B1 (ko) 인출식 의류 전용 수납장
KR200462575Y1 (ko) 인출방지스위치를 가지는 다목적 부품 보관함
CA2978136A1 (en) Storage ca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