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3466A - Smart wireless charging system that combines smart card function - Google Patents

Smart wireless charging system that combines smart card fun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3466A
KR20130003466A KR1020110064842A KR20110064842A KR20130003466A KR 20130003466 A KR20130003466 A KR 20130003466A KR 1020110064842 A KR1020110064842 A KR 1020110064842A KR 20110064842 A KR20110064842 A KR 20110064842A KR 20130003466 A KR20130003466 A KR 201300034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charging
receiver
smart card
charging system
wire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484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228506B1 (en
Inventor
차승일
김범수
Original Assignee
차승일
김범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승일, 김범수 filed Critical 차승일
Priority to KR10201100648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8506B1/en
Publication of KR201300034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346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85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850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01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at least one of the integrated circuit chips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power management
    • G06K19/0702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at least one of the integrated circuit chips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power management the arrangement including a battery
    • G06K19/0704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at least one of the integrated circuit chips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power management the arrangement including a battery the battery being rechargeable, e.g. solar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PURPOSE: A wireless charging system with a smart card function is provided to improve user convenience. CONSTITUTION: A contactless smart card IC(112) is combined with the receiver(110) of a wireless charging system. The contactless smart card IC performs a smart card function. A wireless audio link IC(114) performs a wireless audio transmit function. A user can control the activation and inactive states of the direct smart card in a smart phone.

Description

스마트 카드 기능을 겸비한 무선충전 시스템.{ Smart Wireless Charging System that combines Smart Card function }Wireless charging system with smart card function. {Smart Wireless Charging System that combines Smart Card function}

본 발명은 교통카드, 선불카드, 출입관리 카드, 티머니 카드, 전자지갑 등에 사용되는 비 접촉 스마트 카드와 무 접점 무선충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무선충전 시스템에 스마트 카드를 결합하고 무선충전 수신부를 일체형과 독립형으로 설계하여 새로운 기능을 구현함에 있어서 결합된 시스템이 가져야 하는 구조와 기능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actless smart card and a contactless wireless charging system used for a transportation card, prepaid card, access control card, T-money card, electronic wallet, etc., combining a smart card with a wireless charging system and a wireless charging receiver unit integrated and stand-alone. It is related to the structure and function that the combined system should have in designing and implementing new functions.

본 발명과 연관된 배경기술에는 비 접촉 스마트 카드와 무선충전의 공통된 기술적인 특징인 무선 전력 전송과 무선 통신이 주된 배경 기술이라고 할 수 있고 부수적으로 오디오 신호를 무선을 통해 전송하는 기술이 연관된 기술이라고 볼 수 있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nd wireless communication, which are common technical features of a non-contact smart card and wireless charging, can be referred to as the main background technologies, and incidentally, a technology in which audio signals are transmitted through wireless are related technologies. Can be.

비 접촉 스마트 카드 기술과 무선충전 기술의 차이점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은 동작 주파수나 데이터 전송율 그리고 전송하는 전력량 등으로 볼 수 있고 비 접촉 스마트 카드 기술은 데이터의 송수신에 중점을 두고 있는 반면 무 접점 무선충전은 전력 전송에 중점을 두었다고 볼 수 있다.The difference between the contactless smart card technology and the wireless charging technology can be regarded as the operating frequency, the data transmission rate, and the amount of power to be transmitted.The contactless smart card technology focuses on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data, while the contactless wireless charging The focus is on power transfer.

비 접촉 스마트 카드는 ISO/IEC 14443A 나 14443B 규격을 따르는 근접 감지 방식과Contactless smart cards are based on proximity sensing with ISO / IEC 14443A or 14443B.

인식 가능한 근접 거리가 보다 먼 ISO 15693규격이 있다. 현재 필립스가 개발한 ISO 14443A 이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고 ISO 14443B 는 모토롤라에서 개발되었는데 일부 규격이 14443A와 달리 규정되어 있다.There is an ISO 15693 standard with a farther recognizable distance. At present, Philips' ISO 14443A is the most widely used, and ISO 14443B was developed by Motorola. Some specifications are specified differently than 14443A.

스마트 카드는 접촉식과 비 접촉식 그리고 접촉식과 비 접촉식이 결합된 형태로 사용되고 있으며 접촉식의 경우 ISO 7816 규격을 따르게 된다. 스마트 카드는 사용되는 범위에 따라서 암호화 기법이나 메모리의 크기, 메모리의 파일 시스템 그리고 데이터의 전송율 등이 차이가 있으나 신호의 전송 프로토콜 (ISO14443A-Part4)에 있어서는 동일한 프로토콜을 사용하게 된다.Smart cards are used in contact and contactless, as well as in combination with contact and contactless, and in the case of contact, they follow the ISO 7816 standard. Smart cards differ in encryption scheme, memory size, memory file system, and data transfer rate depending on the range of use. However, the same protocol is used for the transmission protocol of signals (ISO14443A-Part4).

무선충전 기술은 오래 전에 개발된 기술이지만 2011년에 무선충전 제품의 규격을 표준화 하기 위해 협회가 만들어져서 무선충전 규격 버전1.0이 발표되었다. 무선충전 기술은 송신부의 코일에서 전류의 변화에 의해서 자기장의 변화를 일으켜 수신부의 코일에서 자기장의 변화에 의한 전류를 생성시키는 방법으로 전력을 전송하게 되는데 이 방식은 비 접촉 스마트 카드의 방식과 거의 유사한 방식으로 볼 수 있다.Wireless charging technology was developed long ago, but in 2011, the association was formed to standardize the specifications of wireless charging products, and the wireless charging specification version 1.0 was released. Wireless charging technology transmits power by changing the magnetic field by changing the current in the coil of the transmitter and generating the current by the change of the magnetic field in the coil of the receiver. This method is similar to that of the contactless smart card. Can be seen in a way.

전력 전송의 효율은 얼마나 가깝게 송신부와 수신부의 중심이 잘 맞게 놓여 자기유도가 얼마나 잘 되고 있는가에 달려있고 코일의 한쪽 면을 차폐하는 물질의 특성에 따라서 전력 전송의 효율에 영향을 받게 된다. 무선 충전 시스템은 유선으로 전원이 연결되는 송신단과 이 송신단과 독립되어 충전하려는 기기와 일체형으로 설계된The efficiency of the power transmission depends on how closely the transmitter and receiver are centered and how well the magnetic induction is conducted, and the efficiency of the power transmission depends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terial shielding one side of the coil. The wireless charging system is designed to be integrated with a transmitter that is wired to a power source and to a device that will charge independently of the transmitter.

수신부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수신부는 보통 충전하려는 기기에 연결하여 송신부 위에 올려 놓는 방식으로 충전을 하게 되는데 충전하려는 기기가 대부분 모바일 기기로 스마트 폰이 대표적인 기기라고 할 수 있다. 스마트 폰에 연결하는 수신부는 스마트 폰을 감싸는 케이스 형태로 만들어서 스마트 폰과 일체형을 이루어서 사용자가 항상 스마트 폰과 함께 가지고 다니지만 충전을 하지 않는 때에는 단순히 스마트 폰의 외부 보호기능만을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송신부는 한 개의 기기를 충전하는 것과 여러 개의 기기를 충전할 수 있도록 설계된 제품 등이 있으며 송신부와 수신부의 코일 중심부에 자석을 넣어서 수신부를 송신부 위에 올려 놓을 경우에 쉽게 중심부가 서로 맞아 들어가게 설계된 것과 자석을 채용하지 않은 제품 등이 있다. 코일의 중심부에 자석을 채용하지 않은 경우에 송신부와 수신부의 중심이 서로 맞지 않게 되면 전력의 전송효율은 떨어지게 되는데 일정한 수준 이하로 효율이 떨어지게 되면 충전을 중단하도록 설계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It is generally composed of a receiver. The receiver is usually charged by connecting to a device to be charged and placing it on the transmitter. Most of the devices to be charged are mobile devices, and a smartphone is a representative device. Receiving unit connected to the smart phone is formed in the form of a case surrounding the smart phone to form an integrated with the user, the user always carry with the smart phone, but it is common to simply carry out the external protection function of the smart phone. The transmitter is designed to charge one device and the product designed to charge multiple devices.The magnet is inserted in the coil center of the transmitter and receiver so that the center is easily designed to fit together when the receiver is placed on the transmitter. Products not used. When the magnet is not used in the center of the coil, when the center of the transmitter and the receiver are not matched with each other, the power transmission efficiency is lowered. When the efficiency drops below a certain level, it is generally designed to stop charging.

오디오를 무선으로 전송하는 기술은 재생된 오디오를 인코딩하여 FM 반송파에 변조하여 전송하고 수신은 FM 라디오의 특정 주파수에서 검출하여 재생하는 기술로 공간이 좁아서 여러 기기의 선들이 복잡하게 얽혀 있는 상황에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기술이라고 할 수 있다. 이 기술을 이용하게 되면 간단한 무전기로 응용이 가능하여 활용할 수 있는 부분이 많이 있다.The technology of transmitting audio wirelessly encodes the reproduced audio, modulates the transmitted signal to the FM carrier, and transmits and detects the signal at a specific frequency of the FM radio.It is useful in a situation where the lines of several devices are complicated due to the narrow space. It can be said that the technology can be used. This technology can be used as a simple radio, there are many parts that can be utilized.

본 발명에서 해결하려는 과제는 세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The problem to be solved i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ummarized in three.

첫째는 스마트 폰이나 모바일 기기에 일체형으로 결합하여 무선충전을 하는 수신부가 충전을 하는 시간 이외에는 기기의 외부 보호기능만을 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입장에서 일체형으로 휴대하고 다니면서 모바일 기기를 사용하는 것이 사용상 불편한 감을 느끼게 하는 것이다.First, because the receiver is connected to a smartphone or a mobile device integrally, and the wireless charging unit receives only the external protection function of the device, except for the time of charging, it is convenient for the user to carry the mobile device while using the mobile device. It is.

둘째는 무선충전을 하는 경우에 수신부는 스마트 폰이나 모바일 기기에 합체된 형태로 되어 있어서 일체형으로 합체되지 아니한 기기의 충전은 별도의 유선충전을 하게 되어 별도의 충전 기기가 필요하고 무선 충전 시스템의 용도가 한정적이 되는 문제점이 있어 이 문제점을 해결하려고 한다.Secondly, in the case of wireless charging, the receiving unit is incorporated in a smart phone or mobile device, so the charging of a device that is not integrated into a single unit requires a separate wired charging and requires a separate charging device. There is a problem that is limited, so I try to solve this problem.

셋째는 스마트 카드 IC를 수신부(110)에 채용하여 선불카드, 직불카드,티머니 카드, 전자지갑 등으로 사용하는 경우에 사용자의 부지불식간에 타인이 결제하거나 카드를 복제하는 도용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다.Third, when using a smart card IC to the receiving unit 110 to use as a prepaid card, debit card, T-money card, electronic wallet, etc. to solve the problem of payment by another person unknowingly or duplicate the card.

본 발명에서는 앞에서 제시한 두 가지의 해결하려는 과제를 다음과 같은 방법을 통해서 해결하려고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two problems to be solved through the following method.

첫 번째 수신부가 충전하는 시간 이외의 시간에는 별도의 기능이 없어서 효용가치가 떨어지고 충전을 하지 않는 시간에도 합체된 상태로 휴대하고 다녀야 하기 때문에 사용상 불편을 초래하는 것은 이 수신부에 별도의 부가기능으로 비 접촉식 또는 접촉식 스마트 카드 칩을 내장시켜서 교통카드, 선불카드, 출입관리 카드, 티머니 카드, 전자지갑 등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여서 충전하는 시간 이외의 시간에도 그 활용하는 용도를 만들어서 사용자로 하여금 수신부의 필요성을 보다 크게 인식하게 함으로써 불편한 느낌을 현저히 줄이는 것이다. 또한 부가기능으로서 수신단에 오디오를 무선으로 전송할 수 있는 기능을 부여하여 충전 중이나 기타의 경우에Since there is no separate function at the time other than the time when the first receiver charges, the utility value is lowered, and it is necessary to carry it in a state where it is combined even when it is not charged. The built-in contact or contact smart card chip can be used as a transportation card, prepaid card, access control card, T-money card, electronic wallet, etc. By making them more aware of their needs, they can significantly reduce their discomfort. In addition, as an additional function, it is possible to wirelessly transmit audio to the receiving end.

그 활용하는 용도를 추가하여 편리성을 더하게 한다. 스마트 폰이나 모바일 기기의 경우에 블루투스와 같은 별도의 무선 전송 장치가 있지만 이 무선 전송을 받는 쪽에도 같은 무선 수신 장치가 있어야 하는 문제가 있기 때문에 FM라디오 주파수로 전송하는 기능은 사용자에게 유용한 기능이 될 수 있다.Its purpose is to add additional convenience. In the case of a smartphone or mobile device, there is a separate wireless transmission device such as Bluetooth, but since the receiver needs to have the same wireless reception device, the function of transmitting on the FM radio frequency may be useful for the user. have.

두 번째 도 1에서 수신부(110)와 일체형으로 합체되지 아니하는 기기의 충전을 위해서 충전해야 하는 기기와 합체되지 않고 독립적으로 기능을 수행하는 무선충전 수신부(210)을 만들고 이 수신부의 출력을 다양한 전압을 출력하도록 설계하여 하나의 무선충전 송신부로 수신부가 충전하려는 기기와 결합이 되어 있지 않아도 다양한 기기를 충전할 수 있도록 설계하여 송신부의 효용가치를 높여서 송신부의 범용성을 극대화하여 과제를 해결한다.Second, in order to charge a device that is not integrated with the receiving unit 110 in FIG. 1, a wireless charging receiving unit 210 that performs an independent function without being combined with a device to be charged and outputs various voltages of the receiving unit Designed to output a single wireless charging transmitter to solve the problem by maximizing the universality of the transmitter by increasing the useful value of the transmitter by designing to charge a variety of devices even if the receiver is not combined with the device to be charged.

세 번째는 도 1에서 수신부(110)의 내부에 스마트 폰과 연결하여 수신부를 제어할 수 있도록 입출력 브릿지(118)을 내장하여 스마트 폰(120)에서 직접 제어하여 일반적인 상황에서는 비 접촉 스마트 카드 IC(112)를 비 활성상태로 만들고 특정한 경우에 스마트 폰에서 사용자가 직접 암호를 입력하여 활성상태로 만들어야 스마트 카드 IC가 동작을 하도록 하여 복제나 대리 결제 등 스키밍을 방지한다.Third, the input / output bridge 118 is embedded in the receiver 110 to connect with the smartphone to control the receiver, and directly controlled by the smartphone 120 to control the contactless smart card IC ( 112) is disabled, and in certain cases, the user must enter the password directly on the smart phone to make it active so that the smart card IC operates to prevent skimming such as copying or proxy payment.

따라서 본 발명에서 의미하는 무선충전 시스템은 무선충전의 송신부와 스마트 폰과 합체되는 일체형 수신부, 합체되지 않고 독립적으로 스마트 폰과 기타의 외부 기기를 충전하는 독립형 수신부가 하나의 무선충전 시스템을 구성하게 된다.Therefore, in the wireless charg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ireless charging transmitter and the integrated receiver unit integrated with the smart phone, and the independent receiver unit for charging the smartphone and other external devices independently without coalescing constitute one wireless charging system. .

본 발명의 효과는 하나의 무선충전 시스템으로 이 시스템의 수신단과 합체된 스마트 폰이나 모바일 기기의 무선충전만 하는 것이 아니라 합체되지 않고 독립적으로떨어져 있는 기기의 충전까지 가능하도록 설계하여 기존에 사용 중인 유선 충전 기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wireless charging system that is designed to enable the charging of devices that are independently separated and not connected to the wireless charging of the smart phone or mobile device integrated with the receiving end of the system as well as the integrated wired line in use. charger

기와 병행하여 사용하여야 하는 문제를 해결하고 하나의 무선 충전 시스템으로 모든 기기를 충전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리성을 확보할 수 있다. 충전하려는 기기와 합체하여 휴대하고 다니게 되는 무선충전의 수신단은 충전 이외의 다양한 용도를 추가함으로써 무선충전 시스템이 기기를 충전하고 있는 동안만 필요하게 되어 충전을 하지 않는 시간 동안에 불필요해지는 것을 방지하여 무선충전 시스템의 가치를 극대화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충전하는 시간 이외의 시간에도 무선충전 시스템의 필요성을 느끼게 하여 무선충전 시스템을 휴대하고 다니는데 있어서 불편하다는 인식을 없앨 수 있으며 부가적 기능으로 스마트 카드와 무선 오디오 전송기능을It solves the problem that must be used in parallel with the device and can ensure the convenience of the user by charging all the devices in one wireless charging system. The wireless charging receiver, which is carried along with the device to be charged, adds various uses other than charging, so that the wireless charging system is needed only while the device is charging, preventing wireless charging from being unnecessary during non-charging time. By maximizing the value of the system, the user can feel the necessity of the wireless charging system even when it is not charged, thereby eliminating the inconvenience of carrying the wireless charging system. Additional functions include smart card and wireless audio transmission. of

결합하여 출입관리, 출석관리, 선불카드, 티머니, 교통카드, 전자지갑 등의 용도로 활용이 가능하고 차량 등에서 충전하려는 기기의 기능을 활용하여 무선으로 오디오를 전송하여 차량의 오디오 시스템을 활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기능을 활용하여 여러 사람이 회의를 하는 경우에 무선충전 수신단과 합체된 스마트 폰이나 모바일 기기를 무선 마이크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카드 IC가 내장되어 있으면서 이를 활성과 비 활성 상태를 스스로 제어할 수 있어서 허락하지 않은 타인의 사용이나 불법적인 스키밍을 방지할 수 있다.Combined, it can be used for access management, attendance management, prepaid card, T-money, transportation card, electronic wallet, etc., and utilize the audio system of the vehicle by wirelessly transmitting audio using the functions of the device to be charged in the vehicle. It is possible to use this function to make smart phone or mobile device combined with wireless charging receiver for wireless microphone when meeting with several people. In addition, the smart card IC is built-in, which allows the active and inactive states to be controlled by themselves, preventing unauthorized use or illegal skimming.

도 1 : 무선 충전 시스템의 구성.
100 : 무선 충전 시스템의 구성 요소인 무선충전 송신부
101 : 무선 충전 송신부의 구성 요소인 송신부 코일
110 : 무선 충전 시스템의 구성요소인 무선충전 수신부
111 : 무선 충전 수신부의 구성 요소인 수신부 코일
112 : 무선 충전 수신부의 구성 요소인 비 접촉 스마트 카드 IC
113 : 비 접촉 스마트 카드의 무선 통신을 위한 송수신 코일
114 : 무선 오디오 전송 IC
115 : 무선 오디오 전송을 위한 안테나
116 : 무선 충전 송신부에서 전송된 전력을 정류하는 회로
117 : 정류된 전류를 120에 충전하기 위한 회로
118 : 120에서 무선의 오디오 IC와 비 접촉 스마트 카드의 중간에서 신호를
변환해 주는 브릿지 IC
120 : 충전이 필요한 다양한 정보 통신 기기 (이하 “스마트 폰”이라 한다)
130 : 무선 충전 수신부와 충전이 필요한 정보기기 간의 인터페이스
140 : 정보기기로의 유선 충전 통로.
150 : 무선 충전 시스템의 수신부(110)과 스마트 폰(120)을 합체할 수 있는
합체 기구물


도 2 : 스마트 폰과 합체되지 않고 동작하는 수신부의 예.
200 : 수신부의 다양한 출력 예 (+5Volt ~ +19Volt)
210 : 하나 이상의 출력 전압을 가지는 수신부의 예
211 : 독립된 수신부(210)의 내부에 있는 배터리
220 : 충전 전압이 +5Volt에서 +19volt 인 배터리를 가진 모든 전자기기
1: Configuration of a Wireless Charging System.
100: wireless charging transmitter which is a component of the wireless charging system
101: transmitter coil which is a component of the wireless charging transmitter
110: wireless charging receiver which is a component of the wireless charging system
111: receiver coil which is a component of the wireless charging receiver
112: Contactless smart card IC as a component of wireless charging receiver
113: Transceiver coil for wireless communication of contactless smart card
114: wireless audio transmission IC
115: antenna for wireless audio transmission
116: a circuit for rectifying the power transmitted from the wireless charging transmitter
117: circuit for charging the rectified current to 120
118: From 120 to 120 Wireless signals from the middle of the audio IC and the contactless smart card
Bridge IC to convert
120: various information communication devices that need to be charged (hereinafter referred to as "smart phone")
130: interface between the wireless charging receiver and the information device that needs to be charged
140: wired charging passage to information equipment.
150: which can coalesce the receiver 110 and the smartphone 120 of the wireless charging system
Coalescing fixture


2: An example of a receiver operating without being incorporated into a smartphone.
200: Various output examples of the receiver (+ 5Volt ~ + 19Volt)
210: example of a receiver having one or more output voltages
211: battery inside the independent receiver 210
220: all electronic devices with batteries with a charging voltage of +5 volts to +19 volts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하여 도 1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서 보듯이 무선 충전 시스템의 구성은 송신부(100), 수신부(110), 충전하려는 기기(120)으로 이루어지고 여기서 110은 합체 기구물(150)에 우선 고정이 되고 이 110과 150이 합체된 기구물에 120을 하나로 합체할 수 있도록 케이스 형태(150)로 설계하여 합체를 해서 사용하게 되고 수신부(110)의 기구 설계 구조상 합체하지 않은 독립적인 상태로 스마트 폰(120)과 분리하여 사용할 수 없는 것이 일반적인 제품의 형태이다. 수신부(110)는 기본적으로 수신부 코일(111)과 정류회로(116) 그리고 충전을 위한 회로(117)로 구성되는 것이 기본적인 구성이 되겠다. 해결하려는 과제에서 설명하였듯이 용도의 개발과 사용자의 불편을 해소하고 스마트 카드의 도용을 방지하기 위해서 도 1에서 무선 충전 시스템의 수신부(110)에 비 접촉 스마트 카드 칩(112)과 오디오 신호를 무선으로 전송하는 기능을 하는 무선 오디오 전송 칩(114)을 배치하고 이를 스마트 폰(120) 등과 연결하여 스마트 폰(120)에서 직접 제어하기 위하여 중간에 입출력 브릿지(118)를 배치한다. 이 브릿지의 역할은 스마트 폰에서 제어를 위해 사용하는 통신 규격과 칩이 받아들이는 통신 규격이 다른 경우에 이를 맞추어 주고 기타의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해서 사용한다.Referring to Figure 1 to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 the configuration of the wireless charging system includes a transmitter 100, a receiver 110, and a device 120 to be charged, where 110 is first fixed to the coalescing device 150 and the 110 and 150 are merged. Designed in the case form 150 so that 120 can be incorporated into the instrument to be used in combination, and can not be used separately from the smart phone 120 in an independent state that does not coalesce in the design structure of the receiver 110 It is a form of common product. Basically, the receiver 110 includes a receiver coil 111, a rectifier circuit 116, and a circuit 117 for charging. As described in the problem to be solved, the contactless smart card chip 112 and the audio signal wirelessly to the receiver 110 of the wireless charging system in FIG. The wireless audio transmission chip 114 having a function of transmitting is disposed, and the input / output bridge 118 is disposed in the middle to directly control the smart phone 120 by connecting it to the smart phone 120 or the like. The role of this bridge is used to match the communication standard used for control in smartphones and the communication standard accepted by the chip, and to generate other control signals.

스마트 카드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비 접촉 스마트 카드 IC를 구동하기 위해 필요한 코일(113)이 그라운드 전위와 연결이 되도록 스마트 폰(120)내의 앱과 같은 소프트웨어로 입출력 브릿지(118)을 통해서 제어를 하고, 스마트 카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스마트 폰(120)에서 앱과 같은 소프트웨어를 통해서 암호를 입력해서 IC(112)가 활성이 되도록 브릿지에서 제어 신호를 보내 코일(113)을 그라운드 전위에서 개방시켜서 스마트 카드를 활성으로 만들어서 사용을 하고 일정시간이 지난 후나 사용자가 다시 제어하여 비활성으로 만들 수 있도록 스마트 폰 내의 소프트웨어를 구성하여 사용자가 능동적으로 IC(112)를 활성과 비 활성상태로 만들 수 있도록 한다. 무선 오디오 전송 기능도 유사한 방법으로 스마트 폰에서 제어할 수 있도록 소프트웨어를 설계하여 입출력 브릿지(118)를 통해서 제어를 하여 활성과 비 활성 상태를 만든다. 차량 등에서 수신부(110)와 스마트 폰(120)이 합체된 합체물(150)을 충전하는 경우에도 스마트 폰 내부의 앱과 같은 소프트웨어를 통해서 무선 오디오 전송 기능을 활성으로 만들어서 스마트 폰에서 재생되는 오디오를 무선 전송하여 차량의 라디오에서 수신하여 차량의 오디오 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충전 중이 아닌 경우에는 스마트 폰의 마이크를 통해서 입력된 사용자의 음성이나 기타의 소리를 무선 오디오 전송 IC(114)를 통해서 무선 전송하여 외부의 라디오를 통해 수신하도록 하여 스마트 폰을 무선 마이크로 대용할 수 있도록 한다.When not using a smart card, the coil 113 required to drive the contactless smart card IC is controlled through the input / output bridge 118 by software such as an app in the smartphone 120 so that the coil 113 is connected to the ground potential. In the case of using a smart card, the smart phone 120 inputs a password through software such as an app and sends a control signal from the bridge to activate the IC 112 so that the coil 113 is opened at the ground potential. The software is configured in the smartphone so that the user can make the active and use it, and after the predetermined time or the user can control again to make it inactive, the user can actively make the IC 112 active and inactive. The wireless audio transmission function is designed to be controlled by the smart phone in a similar manner and controlled through the input / output bridge 118 to make the active and inactive states. Even when the receiver unit 110 and the smart phone 120 are charging the combined body 150 in a vehicle or the like, the wireless audio transmission function is activated through software such as an app inside the smart phone to play audio played on the smart phone. It transmits wirelessly and receives from the radio of the vehicle so that the audio system of the vehicle can be used. When not charging, the user's voice or other sound input through the microphone of the smartphone may be wirelessly transmitted through the wireless audio transmission IC 114 to be received through an external radio to replace the smartphone with a wireless microphone. Make sure

도 2에서 무선 충전 시스템의 수신부(210)는 도 1에서의 수신부(110)와 내부적인 기능의 차이는 무선 오디오 기능을 삭제하는 대신에 충전이 가능한 배터리(211)을 배치하여, 외부의 기기(220)를 충전하는 경우에 송신부에서 전송되는 전력으로 외부 기기(220)를 충전하는 것도 가능하고 또한 송신부에서 전송되는 전력이 없는 경우나 수신부(210)을 송신부와 떨어드려서 사용자가 휴대하고 다니면서 배터리(211)에 축적된 전력으로 외부 기기를 충전하는 것도 가능한 점이 다르다. 출력되는 전압의 종류가 도 2의 수신부가 더 많은 것을 볼 수 있고 도 1에서의 수신부(110)와 스마트 폰(120)의 합체를 위한 합체물(150)이 도 2에서는 없어서 수신부(210)가 어느 기기에 합체되어 사용되는 것이 아니고 독립적으로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계한다. 이것은 충전을 해야 하는 기기(220)의 종류가 다양한 경우에 기기마다 다른 합체물이 필요하게 되어 발생하는 복잡성 문제나 충전해야 하는 기기마다 그에 맞는 합체물을 구입해야 하는 문제를 해결하고 기존의 충전 방식인 유선 충전을 대체하여 하나의 무선충전 송신부로 다양한 기기를 충전하기 위해서 필요한 독립된 수신부(210)가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도 2에서 다양한 전압의 출력(200)이 가능한 출력부를 만들고 각각의 기기에 맞는 커낵터와 케이블 만 있으면 충전이 가능하도록 하여 무선 충전 시스템의 효용가치를 극대화한다. 여기에 더하여 수신부(210)의 이동성을 보장하기 위하여 내부에 배터리를 두어서 사용자가 기기를 충전하지 않는 시간에는 수신부(210)를 송신부에 올려 놓아 수신부(210)의 내부 배터리를 충전시키고 충전된 수신부(210)는 휴대하고 다니면서 외부기기(220)을 필요한 시간에 충전할 수 있는 수신부(210)로 만들어서 독립된 수신부(210)의 용도를 배가한다.In FIG. 2, the reception unit 210 of the wireless charging system may include a battery 211 that can be charged instead of deleting the wireless audio function from a difference between the reception unit 110 and an internal function of FIG. 1. In the case of charging 220, the external device 220 may be charged by the power transmitted from the transmitter. Also, when there is no power transmitted from the transmitter or the receiver 210, the receiver 210 is separated from the transmitter and the user carries the battery ( It is also possible to charge an external device with the power stored in 211). It can be seen that the type of the output voltage of the receiver of FIG. 2 is larger, and there is no unit 150 for incorporation of the receiver 110 and the smartphone 120 in FIG. It is not designed to be integrated into any device and is designed to perform its functions independently. This solves the complexity problem caused by the need for different combinations for each device in the case of various types of devices 220 to be charged or the need to purchase a corresponding compound for each device to be charged, and the existing charging method. Independent wired charging requires a separate receiver 210 necessary to charge a variety of devices in one wireless charging transmitter. Therefore, in Fig. 2, the output unit capable of outputting various voltages 200 is made, and only a connector and a cable suitable for each device can be charged to maximize the useful value of the wireless charging system. In addition, in order to ensure the mobility of the receiver 210, the battery is placed inside, and when the user does not charge the device, the receiver 210 is placed on the transmitter to charge the internal battery of the receiver 210 and the charged receiver The 210 doubles the use of the independent receiver 210 by carrying it with a receiver 210 that can carry and charge the external device 220 at a required time.

Claims (7)

스마트 폰이나 모바일 기기와 합체가 가능하도록 설계된 무선 충전 시스템의 수신부(110)에 스마트 카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비 접촉 스마트 카드 IC(112)가 결합된 무선 충전 시스템의 수신부.A receiver of a wireless charging system in which a non-contact smart card IC 112 is coupled to perform a smart card function on a receiver 110 of a wireless charging system designed to be integrated with a smartphone or a mobile device. 청구항 1에서 무선 오디오 전송 기능을 위해 무선 오디오 전송 IC(114)가 결합된 무선 충전 시스템의 수신부.The receiver of a wireless charging system in which a wireless audio transmission IC 114 is coupled for a wireless audio transmission function of claim 1. 청구항 1에서 스마트 카드의 도용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직접 스마트 카드의 활성과 비활성 상태를 스마트 폰에서 제어할 수 있도록 설계된 무선 충전 시스템의 수신부.The receiving unit of the wireless charging system designed to allow the user to directly control the active and inactive state of the smart card in order to prevent the theft of the smart card in claim 1. 충전하려는 외부 기기(220)와는 독립적으로 이 기기들과 합체되지 않고 케이블로 연결하여 외부기기(220)를 충전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무선 충전 시스템의 수신부(210)에 스마트 카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비 접촉 스마트 카드 IC(112)가 결합된 무선 충전 시스템의 수신부The smart card function may be performed on the receiver 210 of the wireless charging system designed to perform the function of charging the external device 220 by connecting with a cable without being merged with these devices independently of the external device 220 to be charged. Receiver of a wireless charging system incorporating a contactless smart card IC 112 청구항 4에서 비 접촉 스마트 카드 IC가 접촉식 스마트 카드 IC인 무선충전 시스템의 수신부.The receiving unit of the wireless charging system of claim 4, wherein the contactless smart card IC is a contact smart card IC. 충전하려는 외부 기기(220)와는 독립적으로 이 기기들과 합체되지 않고 케이블로 연결하여 외부기기(220)를 충전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무선 충전 시스템의 수신부(210)에 송신부에서 전송되는 전력이 없는 상태에서 외부 기기를 충전할 수 있도록 수신부(210)의 내부에 충전 가능한 배터리가 결합된 무선 충전 시스템의 수신부.Independent of the external device 220 to be charged, there is no power transmitted from the transmitter to the receiver 210 of the wireless charging system designed to perform the function of charging the external device 220 by connecting with a cable and not integrated with these devices. Receiving unit of the wireless charging system coupled to the rechargeable battery inside the receiving unit 210 to charge the external device in a state. 청구항 6에서 수신부(210)의 출력 전압(200)이 +5볼트에서 +19볼트까지 출력이 가능한 무선 충전 시스템의 수신부.The receiving unit of the wireless charging system of claim 6, wherein the output voltage 200 of the receiving unit 210 can output from +5 volts to +19 volts.
KR1020110064842A 2011-06-30 2011-06-30 Smart Wireless Charging System that combines Smart Card function KR10122850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4842A KR101228506B1 (en) 2011-06-30 2011-06-30 Smart Wireless Charging System that combines Smart Card fun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4842A KR101228506B1 (en) 2011-06-30 2011-06-30 Smart Wireless Charging System that combines Smart Card func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3466A true KR20130003466A (en) 2013-01-09
KR101228506B1 KR101228506B1 (en) 2013-01-31

Family

ID=478356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4842A KR101228506B1 (en) 2011-06-30 2011-06-30 Smart Wireless Charging System that combines Smart Card func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8506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7934A (en) * 2014-12-24 2016-07-0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Battery pack with wireless charging and near field communication functions
WO2018155911A1 (en) * 2017-02-25 2018-08-30 브릴리언츠 주식회사 Method for charging smart multi-card, and charging cradle for performing said method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8253A (en) 2014-07-02 2016-01-22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Service providing device, terminal, wireless charging system comprising the same, control method thereof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having computer program recorded therefor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14181A (en) * 2005-05-09 2006-11-16 Sony Corp Non-contact charger, non-contact charging system, and non-contact charging method
KR20100120057A (en) * 2009-05-04 2010-11-12 조민선 Noncontact type data communication and battery recharge pad for mobile phon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7934A (en) * 2014-12-24 2016-07-0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Battery pack with wireless charging and near field communication functions
WO2018155911A1 (en) * 2017-02-25 2018-08-30 브릴리언츠 주식회사 Method for charging smart multi-card, and charging cradle for performing sai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28506B1 (en) 2013-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9314105U (en) Wearable device
US9894468B2 (en) Apparatus for selectively coupling an energy storage device
US9143202B2 (en) Charging a chargeable power supply of a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enabled device from a radio frequency (RF) signal inductively coupled onto a magnetic field
KR101296304B1 (en) Near field rf communicators and near field rf communications enabled devices
EP3007364B1 (en) Nfc communicators
EP1869842B1 (en) Communications apparatus
CN105379053B (en) The system and method for power capability for extended wireless charger
US9362778B2 (en) Short distance wireless device charging system having a shared antenna
KR100900476B1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battery recharge method thereof
JP2012502612A (en) Bidirectional wireless power transfer
CN103123678A (en) Magnetic card reader
TWI616045B (en) Wireless charge device and using method of same
US20140011446A1 (en) Communications Connection
CN205427859U (en) Portable storage device
KR101185681B1 (en) Antenna for both wireless power and near field communication in mobile
CN102799921A (en) Multifunctional intelligent card with mobile communication function and multifunctional intelligent card-based mobile communication device
KR20130003466A (en) Smart wireless charging system that combines smart card function
US20140111138A1 (en) Position-based car mode activation
CN103124107A (en) Wireless energy receiver/transmitter/system and wireless energy transmission method
US20160234359A1 (en) Contactless devices and methods of use thereof
JP2015053754A (en) Non-contact charging system and secondary battery pack
US20100244768A1 (en) Automotive fob system
US20030211863A1 (en) Accumulator with reading device
TWM423473U (en) Protective bag of mobile phone
Deyle et al. PowerPACK: A wireless power distribution system for wearable devi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