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2161U - 핫 음료용 컵 뚜껑 - Google Patents

핫 음료용 컵 뚜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2161U
KR20130002161U KR2020110008719U KR20110008719U KR20130002161U KR 20130002161 U KR20130002161 U KR 20130002161U KR 2020110008719 U KR2020110008719 U KR 2020110008719U KR 20110008719 U KR20110008719 U KR 20110008719U KR 20130002161 U KR20130002161 U KR 2013000216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top plate
adhesive film
beverage
double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87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진
전익준
Original Assignee
김영진
전익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진, 전익준 filed Critical 김영진
Priority to KR20201100087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02161U/ko
Publication of KR2013000216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2161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A47G19/2266Means for facilitating drinking, e.g. for infants or invalids
    • A47G19/2272Means for facilitating drinking, e.g. for infants or invalids from drinking glasses or cups comprising lids or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88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with means for keeping liquid cool or ho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36Closures with frangible parts adapted to be pierced, torn, or removed, to provide discharge opening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핫 음료용 컵 뚜껑에 관한 것으로, 일회 음용양을 조절할 수 있고, 뜨거운 음료를 전체적으로 식지 않게 보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커피 등 고온의 내용물을 수용하는 컵의 상부를 덮을 수 있도록 제1 상면판과 제2 상면판이 연설되어 이루어지며 제1 상면판의 일측에 음료 유출구가 형성되고 음료 유출구의 반대 측에 공간을 형성하는 상면부, 상면부의 테두리에서 상부로 연장되어 형성되되 이중커버의 지지 및 접착이 가능하도록 상면부보다 높은 단차구조의 수평면으로 형성되고 음료 유출구 반대쪽에 제2 상면판의 표면으로 이어지는 음용 통로를 형성하는 이중커버 지지부, 컵의 상단부 테두리를 따라 밀착되도록 탄력적으로 결합 또는 분리 가능한 측면 결합부를 형성한 스커트부, 및 이중커버 지지부의 수평면을 따라 탈부착 가능하게 접착 또는 결합되어 상면부와 이중커버 지지부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을 외부로부터 밀폐하는 이중 커버를 구비한 핫 음료용 컵 뚜껑을 제공하여, 뜨거운 음료의 과다 유출 방지할 수 있으면서도 일회 음용량의 조절 및 음료양의 온도를 낮춘 상태로 음용하거나 보관 가능하게 한다.

Description

핫 음료용 컵 뚜껑{A cup cover for a hot beverage}
본 고안은 원형 컵의 상부에 탈부착할 수 있는 핫(hot)음료용 컵 뚜껑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뜨거운 음료의 일부를 온도를 낮춘 상태로 음용하거나 보관 가능하도록 하며, 뜨거운 음료의 과다 유출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일회 유출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뜨거운 음료가 한꺼번에 너무 과다하게 유출되어 사용자에게 열상을 입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핫 음료용 컵 뚜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테이크 아웃용 음료가 담겨지는 컵에는 컵의 개구부를 밀폐하도록 컵 뚜껑이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해당 컵 뚜껑에 의해 뜨거운 음료의 분출 및 쏟음을 방지하거나 외부로부터의 먼지와 같은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러한 컵 뚜껑의 일측 가장자리에는 음료 유출구가 천공되어 있어 컵 뚜껑이 결합된 상태에서 그 음료 유출구를 통해 음료를 마실 수 있게 되므로, 이동중이나 차내에서 음료를 흘리지 않으면서 즐길 수 있고, 특히 뜨거운 음료인 경우에는 해당 음료의 누출을 방지하여 사용자의 열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컵 뚜껑에 형성된 음료 유출구는 기본적으로 작은 크기로 형성되어 내부의 뜨거운 음료가 한꺼번에 다량 유출되는 것은 방지할 수 있으나, 부지불식간에 컵을 너무 과다하게 기울여 음용을 시도하게 되면 내부의 뜨거운 음료가 한꺼번에 다량으로 직접 유출되어 사용자의 혀나 입안 천장 등에 열상을 입히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커피 등과 같은 뜨거운 상태의 음료는 그 온도가 너무 높은 온도여서 보통의 사용자들은 테이크 아웃 바로 직후에는 작은 크기의 음료 유출구를 이용한다고 하더라도 음용이 사실상 불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뜨거운 음료를 쉽게 음용하지 못하는 사용자들의 경우 음료를 마시기 위해 컵 뚜껑을 열어 음료 전체의 온도가 낮아지게 하고, 이후 전체 음료의 온도가 적당히 낮아지게 되면 음료를 즐길 수 있게 되므로 실질적으로는 뜨거운 상태의 음료가 아닌 이미 전체적으로 식어버린 상태의 음료를 음용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뜨거운 음료의 과다 유출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일회 유출양을 조절할 수 있고, 뜨거운 음료를 전체적으로 식지 않게 보관할 수 있으면서도 일회 음용 가능한 음료양의 온도를 낮춘 상태로 음용하거나 보관 가능하도록 한 핫 음료용 컵 뚜껑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 실시 형태는, 커피 등 고온의 내용물을 수용하는 컵의 상부를 덮는 컵 뚜껑에 있어서, 컵의 상부를 덮을 수 있도록 제1 상면판과 제2 상면판이 연설되어 이루어지며 제1 상면판의 일측에 컵의 내용물이 유출될 수 있는 음료 유출구가 형성되고 음료 유출구의 반대 측에는 유출된 내용물의 일부를 제2 상면판의 상부에 임시 수용하여 보관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상면부, 상면부의 상부에 내용물의 수용공간이 형성될 수 있도록 상면부의 테두리에서 상부로 연장되어 형성되되 이중커버의 지지 및 접착이 가능하도록 상면부보다 높은 단차구조의 수평면으로 형성되고 음료 유출구 반대쪽의 단차구조 내측에 제2 상면판의 표면으로 이어지는 음용 통로를 형성하는 이중커버 지지부, 컵의 상단부 테두리를 따라 밀착되는 상태로 탈부착 가능하도록 이중커버 지지부의 테두리에서 하부로 연장되어 형성되되, 컵의 상단부에 탄력적으로 결합 또는 분리 가능한 측면 결합부를 형성한 스커트부, 및 이중커버 지지부의 수평면을 따라 탈부착 가능하게 접착 또는 결합되어 상면부와 이중커버 지지부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을 외부로부터 밀폐하는 이중 커버를 구비한 핫 음료용 컵 뚜껑이다.
상기 본 고안에 따른 핫 음료용 컵 뚜껑에서 이중 커버는 이중커버 지지부의 수평면을 따라 가장자리가 전체적으로 접착되는 접착 필름 또는 이중커버 지지부의 수평면을 탈부착 가능하게 덮어 씌울 수 있는 씰링 캡 중의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커피 등과 같은 뜨거운 상태의 음료를 전체 음료의 온도를 따듯하게 유지하면서 음료의 일부만을 컵 뚜껑의 상부면으로 노출시켜 적당히 식힌 상태로 음료를 즐길 수 있게 되므로, 실질적으로 뜨거운 상태의 음료를 오랫동안 마실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뜨거운 음료에 의한 입안 또는 입천장의 열상 등의 사고를 방지할 수 있으면서도 사용자로 하여금 뜨거운 음료의 온도를 보다 오랜 시간동안 충분히 즐길 수 있도록 하면서 뜨거운 음료를 그 일부만 식혀가면서 천천히 보다 안전하게 마실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핫 음료용 컵 뚜껑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a와 도 2b는 본 고안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컵 뚜껑에서 접착 필름의 부착 및 일부 개방상태를 각각 설명하기 위하여 예시한 도 1의 조립 상태 사시도들이다.
도 3은 도 2a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상면부가 다른 실시 형태로 구성된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a와 도 5b는 도 1의 접착 필름에 대한 다른 실시 형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예시한 분해 사시도와 그 조립 상태 사시도들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핫 음료용 컵 뚜껑의 분해 사시도와 그 조립 상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에 예시된 컵 뚜껑이 컵에 사용된 상태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컵 뚜껑에서 유료 유출구를 통해 음료의 유출동작을 설명하기 위하여 예시한 사용 상태 참고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컵 뚜껑에서 음용 통로를 이용한 음용 동작을 설명하기 위하여 예시한 사용 상태 참고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의한 핫 음료용 컵 뚜껑의 구성 및 동작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핫 음료용 컵 뚜껑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a와 도 2b는 본 고안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컵 뚜껑에서 접착 필름의 부착 및 일부 개방상태를 각각 설명하기 위하여 예시한 도 1의 조립 상태 사시도들이고, 도 3은 도 2a의 A-A' 선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상면부가 다른 실시 형태로 구성된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a와 도 5b는 도 1의 접착 필름에 대한 다른 실시 형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예시한 분해 사시도와 그 조립 상태 사시도들이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핫 음료용 컵 뚜껑의 분해 사시도와 그 조립 상태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핫 음료용 컵 뚜껑은, 대략 커피 등 고온의 내용물을 수용하는 원형의 컵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으로서,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부(10)와, 이중커버 지지부(13)와, 스커트부(14) 및 이중 커버(도면 부호 21-23 참조)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상면부(10)와 이중커버 지지부(13) 및 스커트부(14)는 플라스틱 재질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중 커버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접착 필름(21,23) 또는 씰링 캡(22)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는 각각 비닐 또는 연질의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면부(1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컵의 상부를 덮을 수 있도록 제1 상면판(11)과 제2 상면판(12)이 연설되어 이루어지며, 제1 상면판(11)의 일측에는 컵의 내용물이 유출될 수 있는 음료 유출구(11a)가 형성되고, 이 음료 유출구(11a)의 반대 측에는 유출된 내용물의 일부를 제2 상면판(12)의 상부에 임시 수용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보조공간을 형성한다. 또한 이 제2 상면판(12)의 일측에는 음료는 유출되지 않으면서 컵 내부의 뜨거운 음료에 의해 생성되는 압력을 배출할 수 있는 크기의 압력 배출공(12b)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면부(10)는 도 3의 단면도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1 상면판(11)과 제2 상면판(12)이 단차구조로 형성되며, 유출된 내용물의 수용 공간을 확장 또는 조절하기 위해서는 제2 상면판(12)의 깊이(D2)가 제1 상면판(11)의 깊이(D1)보다 깊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며, 이들 깊이차(△D=D2-D1)의 조절을 통해 일회 음용량이 조절 가능하게 될 것이다. 특히 또한 이 상면부(10)는 제1 상면판(11)과 제2 상면판(12)의 경계면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자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유출된 내용물의 수용 공간을 확장하기 위해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상면판(12)이 제1 상면판(11) 쪽으로 볼록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며, 이 경우 제1 상면판(11)은 당연히 그 중심부가 오목한 초승달 모양을 이루게 될 것이다. 또한 이 상면부(10)는 수평면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필요에 따라서는 유출된 내용물의 수용 공간을 확장하기 위해 제2 상면판(12) 쪽으로 경사가 기울어지는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중커버 지지부(13)는 상면부(10)의 상부에 내용물의 수용공간이 형성될 수 있도록 상면부(10)의 테두리에서 상부로 연장되어 형성되되 이중커버의 지지 및 접착이 가능하도록 상면부보다 높은 단차구조의 수평면으로 형성되고 음료 유출구(11a) 반대쪽의 단차구조 내측에 제2 상면판(12)의 표면으로 이어지는 음용 통로(13a)를 형성하여 구성한다.
스커트부(14)는 컵의 상단부 테두리를 따라 밀착되는 상태로 탈부착 가능하도록 이중커버 지지부(13)의 테두리에서 하부로 연장되어 형성되되, 컵의 상단부에 탄력적으로 결합 또는 분리 가능한 측면 결합부(14a)를 형성하여 구성한다. 이 측면 결합부(14a)는 컵의 상단 개방부에 착탈 가능하게 컵 뚜껑을 결합하는 부분으로서, 컵 상단의 돌출된 부분을 밀착하여 감쌀 수 있도록 굴곡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측면 결합부(14a) 하단에는 컵 뚜껑의 개폐가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스커트부(14)가 그 하부로 더 연장되어 형성되며, 이러한 스커트부(14)는 컵 뚜껑의 용이한 개폐를 위해 컵의 바깥쪽으로 폭이 더 벌어지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중 커버는 도 1 및 도 5a와 도 5b에 예시된 바와 같은 투명 또는 반투명의 접착 필름(21,23)으로 구성되며, 이중커버 지지부(13)의 수평면을 따라 탈부착 가능하게 접착되어 상면부(10)와 이중커버 지지부(13)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을 외부로부터 밀폐한다. 이러한 접착 필름(21,23)은 이중커버 지지부(13)의 수평면 접착부(13c)에 가장자리의 접착부(21c)가 전체적으로 접착된다. 상기 접착 필름(21)은 그 일측에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은 개폐용 손잡이부(21a)를 구비하여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용 손잡이부(21a)를 이용하여 음용 통로(13a) 쪽의 접착부분의 일부를 선택적으로 개방하여 접어올린 상태로 음료를 음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접착 필름(23)은 간단한 외력에 의해 필름의 일부가 떼어져 분리될 수 있는 절개부(23c)를 일측에 형성한다. 이 절개부(23c)는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용 통로(13a) 쪽에 위치하는 필름의 일부를 떼어내 제거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이 접착 필름(23)은 도 5a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개폐용 손잡이부(23a,23b)를 일측에 나란히 쌍으로 구비하되, 상기 절개부(23c)를 중심으로 그 중에서 면적이 작은 부분에는 제1 개폐용 손잡이부(23a)가 위치하고, 면적인 큰 부분에는 제2 개폐용 손잡이부(23b)가 위치하도록 형성함으로써, 음용 통로(13a)를 이용하여 음료를 마실 경우는 면적이 작은 부분의 제1 개폐용 손잡이부(23a)를 이용하여 접착 필름(23)의 작은 부분을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음료 유출구(11a)를 이용하여 음료를 마실 경우는 면적이 큰 부분의 제2 개폐용 손잡이부(23b)를 이용하여 나머지 접착 필름(23)을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또한 이 접착 필름(23)은 도 5b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개폐용 손잡이부(23a,23b)를 음용 통로(13a)를 기준으로 서로 반대측에 이격되어 분리되어 있는 쌍으로 구비하되, 상기 절개부(23c)를 중심으로 그 중에서 면적이 작은 부분에는 제1 개폐용 손잡이부(23a)가 위치하고, 면적인 큰 부분에는 제2 개폐용 손잡이부(23b)가 위치하도록 형성함으로써, 음용 통로(13a)를 이용하여 음료를 마실 경우는 면적이 작은 부분의 제1 개폐용 손잡이부(23a)를 이용하여 접착 필름(23)의 작은 부분을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음료 유출구(11a)를 이용하여 음료를 마실 경우는 면적이 큰 부분의 제2 개폐용 손잡이부(23b)를 이용하여 나머지 접착 필름(23)을 전체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또한 이들 각각의 접착 필름(21,23)에는 상기 제2 수평면(12)의 압력 배출공(12b)과 대응되는 위치에 음료는 유출되지 않으면서 압력은 배출할 수 있는 크기의 소공(21d,23d)이 형성되고 그 상면에 "충분히 불어서 천천히 드세요" 등의 열상 방지용 주의 문구나 음료 광고를 위한 로고가 인쇄되어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주의 문구나 로고는 특정한 컬러로 한정하지는 않으나, 예를 들어 커피 등의 음료일 경우 주의 문구나 로고가 잘 보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흰색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이중 커버는 도 6에 예시된 바와 같이 이중커버 지지부(13)의 수평면을 탈부착 가능하게 덮어 씌울 수 있도록 결합되거나 분리되는 연질의 씰링 캡(22)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상면에도 상기와 같은 열상 방지용 주의 문구나 음료 광고를 위한 로고가 인쇄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 씰링 캡(22)의 일측에는 컵 뚜껑의 제2수평면(12) 상에 보관되어 있는 내용물이 배출될 수 있는 음료 배출구(22a)가 형성되고, 씰링 캡(22)의 개방 단부의 내주연에는 패킹부(22b)를 구비하여 이중커버 지지부(13)의 측면 외측에 밀착 가능하도록 구성한다. 이때 패킹부(22b)는 실리콘을 고온에서 상기 씰링 캡(22)의 내주연을 따라 분사하여 캡에 접착될 수 있도록 형성한다. 이러한 씰링 캡(22)은 필요에 따라 컵 뚜껑으로부터 자유롭게 분리 또는 결합시킬 수 있게 되므로 운반 또는 보관시에 컵 뚜껑은 컵 뚜겅끼리 서로 겹쳐 운반 또는 보관할 수 있게 되며, 씰링 캡은 씰링 캡끼리 서로 겹쳐 보관할 수 있게 되므로 운반 또는 보관시 그 부피를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게 될 것이다.
도 7은 도 1에 예시된 컵 뚜껑이 컵에 사용된 상태도이고, 도 8과 도 9는 음료 유출구를 통한 음료의 유출동작 및 음용 통로를 이용한 음용 동작을 설명하기 위하여 예시한 사용 상태 참고도이다.
도면을 참고하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컵 뚜껑은, 대략 원형의 컵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굴곡지게 형성된 측면 결합부(14a)가 컵 상단의 돌출된 부분에 밀착하여 감싸면서 결합된다. 이와 같이 컵 뚜껑이 컵 상부에 결합되면, 컵 내부에 담긴 음료에 이물질이 들어가거나 흔들림에 의해 음료가 외부로 튀는 것을 방지됨은 물론, 컵 내부에 담긴 음료가 컵 상부와 측면 결합부 사이를 통해 누출되는 일이 없게 됨은 자명한 사실이다.
상기와 같이 결합된 상태에서, 먼저 컵 뚜껑의 상부에 접착 필름(21,23)이 접착된 경우를 설명하면, 사용자가 도 8의 좌측 도면에 예시된 바와 같이 음료 유출구(11a) 쪽으로 컵을 기울여서 컵 내부에 담긴 음료의 일부가 음료 유출구(11a)를 통해 상면부(10) 위로 유출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면부(10) 위의 보조 공간은 이중커버 지지부(13)의 상부 테두리를 따라 전체적으로 접착된 접착 필름(21,23)에 의해 외부와 차단되어 있고 소공(21d,23d)을 통해 압력만 배출될 수 있는 상태이므로 음료 유출구(11a)를 통해 상면부(10) 위로 유출된 음료는 접착 필름(21,23)에 의해 컵 뚜껑의 외부로는 더 이상 유출되지 않게 된다. 이후에 컵을 똑바로 세우게 되면 도 8의 우측 도면에 예시된 바와 같이 상면부(10) 위로 유출된 음료는 상면부의 깊이가 덜 깊은 제1상면판(11) 위에서 깊이가 더 깊은 쪽으로 흘러 제2 상면판(12) 위쪽으로 모이게 되며, 이렇게 유출되고 모이는 동안 음료의 온도는 컵 내부에서의 온도보다 낮아지게 될 것이다.
따라서 이를 음용하고자 할 때에는, 접착 필름(21)의 경우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선 부분(21b)까지 개방하여 접어 올린 후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용 통로(13a)에 입을 대고 음용 통로(13a) 쪽으로 컵을 기울이게 되면 제2 상면판(12) 위에 보관되어 있던 음료를 뜨겁지 않은 상태에서 음용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이 경우 접착 필름(21)은 재사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다시 컵 내부의 새로운 음료를 상면부 위로 유출시키고자 하는 경우 상기 접착 필름(21)의 개폐용 손잡이부(21a)를 이중커버 지지부(13) 쪽으로 눌러주면서 컵을 기울이게 되면 상기와 같은 동작으로 컵 내부에서 다시 새로운 음료를 상면부 위쪽으로 유출시킬 수 있게 될 것이며, 이러한 동작으로 인해 컵 내부의 음료 온도는 쉽게 식히지 않고 따뜻하게 유지하는 상태로 일정 양만큼의 음료만을 상부로 유출시켜 식혀가면서 음용할 수 있게 된다.
이후 컵 내부의 음료가 음용 가능한 상태로 충분히 식게 되면 개폐용 손잡이부(21)를 전체적으로 제거함으로써 음료 유출구(11a)를 직접 이용하여 음료를 마실 수 있게 될 것이다.
한편, 접착 필름(23)의 경우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개폐용 손잡이부(23a)를 이용하여 절개부(23c)까지 접착 필름의 일부를 제거한 후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용 통로(13a)에 입을 대고 음용 통로(13a) 쪽으로 컵을 기울이게 되면 제2 상면판(12) 위에 보관되어 있던 음료를 뜨겁지 않은 상태에서 음용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이 경우 이미 제거된 부분의 접착 필름(23)은 재사용이 불가능함은 물론이다. 다시 컵 내부의 음료를 상면부 위로 유출시키고자 하는 경우 컵을 음료 유출구(11a) 쪽으로 기울이게 되면 제거되지 않고 남은 부분의 접착 필름(23)에 의해 컵 내부에서 다시 새로운 음료를 상면부 위쪽으로 유출시킬 수 있게 될 것이며, 이러한 동작으로 인해 컵 내부의 음료 온도는 쉽게 식히지 않고 따뜻하게 유지하는 상태로 일정 양만큼의 음료를 식혀가면서 음용할 수 있게 된다.
이후 컵 내부의 음료가 음용 가능한 상태로 충분히 식게 되면 제2 개폐용 손잡이부(23b)를 이용하여 나머지 접착필름(23)을 전체적으로 제거함으로써 음료 유출구(11a)를 직접 이용하여 음료를 마실 수 있게 될 것이다.
다음으로 씰링 캡(22)이 씌워진 경우를 설명하면, 사용자가 음료 유출구(11a) 쪽으로 컵을 기울여서 컵 내부에 담긴 음료의 일부가 음료 유출구(11a)를 통해 상면부(10) 위로 유출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면부(10) 위의 보조 공간은 이중커버 지지부(13)의 상부에 덮어 씌워진 씰링 캡(22)에 의해 외부와 차단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음료 유출구(11a)를 통해 상면부(10) 위로 유출된 음료는 씰링 캡(22)의 패킹부(22b)에 의해 컵 뚜껑의 외부로는 더 이상 유출되지 않게 된다. 이후에 컵을 똑바로 세우게 되면 상면부(10) 위로 유출된 일부 음료는 상면부의 높이가 낮은 제2 상면판(12) 위쪽으로 모이게 되며, 이렇게 유출되고 모이는 동안(또는 모인 음료에 공기를 불어 넣으면) 음료의 온도는 컵 내부에서의 온도보다 낮아지게 될 것이다. 따라서 이를 음용하고자 할 때에는, 씰링 캡(22)의 음료 배출구(22a) 및 음용 통로(13a) 쪽에 입을 대고 음용 통로(13a) 쪽으로 컵을 기울이게 되면 제2 상면판(12) 위에 유출된 음료를 뜨겁지 않은 상태에서 음용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이 경우도 씰링 캡(22)은 재사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다시 컵 내부의 음료를 상면부 위로 유출시키고자 하는 경우 씰링 캡(22)을 씌운 상태에서 컵을 기울이게 되면 상기와 같은 동작으로 컵 내부에서 다시 새로운 음료를 상면부 위쪽으로 유출시킬 수 있게 될 것이며, 마찬가지로 컵 내부의 음료 온도는 쉽게 식히지 않고 따뜻하게 유지하는 상태로 일정 양만큼의 음료를 식혀가면서 음용할 수 있게 된다.
이후 컵 내부의 음료가 음용 가능한 상태로 충분히 식게 되면 씰링 캡(22)을 제거함으로써 음료 유출구(11a)를 직접 이용하여 음료를 마실 수 있게 될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고안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고안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 상면부 11 : 제1 상면판
11a : 음료 유출구 12 : 제2 상면판
12b : 압력 배출공 13 : 이중커버 지지부
13a : 음용 통로 13c : 수평면 접착부
14 : 스커트부 14a : 측면 결합부
21, 23 : 접착 필름 21a : 개폐용 손잡이부
21b : 점선부분 21c : 가장자리 접착부
21d,23d : 소공 22 : 씰링 캡
22a : 음료 배출구 22b : 패킹부
23a : 제1 개폐용 손잡이부 23b : 제2 개폐용 손잡이부
23c : 절개부

Claims (12)

  1. 커피 등 고온의 내용물을 수용하는 컵의 상부를 덮는 컵 뚜껑에 있어서,
    상기 컵의 상부를 덮을 수 있도록 제1 상면판과 제2 상면판이 연설되어 이루어지며, 제1 상면판의 일측에 컵의 내용물이 유출될 수 있는 음료 유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음료 유출구의 반대 측에는 유출된 내용물의 일부를 상기 제2 상면판의 상부에 임시 수용하여 보관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상면부;
    상기 상면부의 상부에 내용물의 수용공간이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상면부의 테두리에서 상부로 연장되어 형성되되 이중 커버의 지지 및 접착이 가능하도록 상기 상면부보다 높은 단차구조의 수평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음료 유출구 반대쪽의 단차구조 내측에 상기 제2 상면판의 표면과 이어지는 음용 통로를 형성하는 이중커버 지지부;
    상기 컵의 상단부 테두리를 따라 밀착되는 상태로 탈부착 가능하도록 상기 이중커버 지지부의 테두리에서 하부로 연장되어 형성되되, 상기 컵의 상단부에 탄력적으로 결합 또는 분리 가능한 측면 결합부를 형성한 스커트부;
    상기 이중커버 지지부의 수평면을 따라 탈부착 가능하게 접착 또는 결합되어 상기 상면부와 이중커버 지지부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을 외부로부터 밀폐하는 이중 커버;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뚜껑.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 커버는,
    상기 이중커버 지지부의 수평면을 따라 가장자리가 전체적으로 접착되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접착 필름으로 이루어지며, 그 상면에 열상 방지용 주의 문구나 광고용 로고가 인쇄되고, 상기 접착 필름의 일측에는 개폐용 손잡이부를 구비하여 손잡이부를 이용하여 접착 필름의 일부를 선택적으로 개방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뚜껑.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 커버는,
    상기 이중커버 지지부의 수평면을 탈부착 가능하게 덮어 씌울 수 있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씰링 캡으로 이루어지며, 그 상면에 열상 방지용 주의 문구나 광고용 로고가 인쇄되고, 상기 씰링 캡의 개방 단부의 내주연에는 패킹부를 구비하여 상기 이중커버 지지부의 측면 외측에 밀착 가능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뚜껑.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부는,
    상기 제2 상면판과 상기 제1 상면판이 단차구조로 형성되며, 유출된 내용물의 수용 공간을 확장하기 위해 제2 상면판의 높이가 제1 상면판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뚜껑.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부는,
    상기 제2 상면판과 상기 제1 상면판이 단차구조로 형성되며, 유출된 내용물의 수용 공간을 확장하기 위해 제2 상면판은 제1 상면판 쪽으로 볼록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뚜껑.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부는,
    상기 제2 상면판과 상기 제1 상면판이 단차구조로 형성되며, 유출된 내용물의 수용 공간을 확장하기 위해 제2 상면판 쪽으로 갈수록 경사가 기울어지는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뚜껑.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부는,
    상기 제2 상면판의 일측에 압력 배출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뚜껑.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 필름은,
    음료는 유출되지 않으면서 압력은 배출할 수 있는 크기의 소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뚜껑.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 필름은,
    간단한 외력에 의해 접착 필름의 일부가 떼어져 분리될 수 있는 절개부를 일측에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컵 뚜껑.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는,
    상기 음용 통로 쪽에 위치하는 접착 필름의 일부를 떼어내 제거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뚜껑.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 필름은,
    제1 및 제2 개폐용 손잡이부를 일측에 나란히 쌍으로 구비하되, 상기 절개부를 중심으로 그 중에서 면적이 작은 부분에는 접착 필름의 일부를 제거하기 위한 제1 개폐용 손잡이부가 위치하고, 면적인 큰 부분에는 접착 필름의 나머지 전체를 제거하기 위한 제2 개폐용 손잡이부가 위치하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뚜껑.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 필름은,
    제1 및 제2 개폐용 손잡이부를 음용 통로를 기준으로 서로 반대 측에 이격되어 분리되어 있는 쌍으로 구비하되, 상기 절개부를 중심으로 그 중에서 면적이 작은 부분에는 접착 필름의 일부를 제거하기 위한 제1 개폐용 손잡이부가 위치하고, 면적인 큰 부분에는 접착 필름의 나머지 전체를 제거하기 위한 제2 개폐용 손잡이부가 위치하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뚜겅.
KR2020110008719U 2011-09-28 2011-09-28 핫 음료용 컵 뚜껑 KR2013000216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8719U KR20130002161U (ko) 2011-09-28 2011-09-28 핫 음료용 컵 뚜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8719U KR20130002161U (ko) 2011-09-28 2011-09-28 핫 음료용 컵 뚜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2161U true KR20130002161U (ko) 2013-04-05

Family

ID=524292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8719U KR20130002161U (ko) 2011-09-28 2011-09-28 핫 음료용 컵 뚜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02161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4817Y1 (ko) * 2014-01-28 2014-10-15 송희준 테이크아웃 컵
KR200483160Y1 (ko) * 2016-07-27 2017-04-10 주식회사 에이에프프라텍 컵 뚜껑
KR20190112590A (ko) * 2018-03-26 2019-10-07 서동현 일회용 소스용 튜브형 포장용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4817Y1 (ko) * 2014-01-28 2014-10-15 송희준 테이크아웃 컵
KR200483160Y1 (ko) * 2016-07-27 2017-04-10 주식회사 에이에프프라텍 컵 뚜껑
KR20190112590A (ko) * 2018-03-26 2019-10-07 서동현 일회용 소스용 튜브형 포장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463475T3 (es) Recipiente resistente a los derrames
CA2901642C (en) Splash and spill resistant lid
US7100790B2 (en) Spill-resistant metered flow cap for a cup
US5979647A (en) Lid for container
US9944435B2 (en) Two-piece splash and spill resistant lid assembly and method therefor
KR101460705B1 (ko) 컵 뚜껑 및 그 휴대용 보호 케이스
US4503992A (en) Detachable cover for disposable drinking cups, container and the like
US6176390B1 (en) Container lid with cooling reservoir
ES2255081T3 (es) Recipientes de bebidas.
US6164485A (en) Container lid
US20100133272A1 (en) One-piece splash and spill resistant lid
ES2362046T3 (es) Recipiente para una bebida.
US20130228486A1 (en) Top mounting bottle container
US20160198876A1 (en) Lid featuring improved splash and spill resistance and ease of flow
US20090283535A1 (en) Sipper lid with straw capability
CA2996639A1 (en) Container lid assemblies for directing liquid flow
KR20130002161U (ko) 핫 음료용 컵 뚜껑
ES2201195T3 (es) Vertedor con cierre para recipientes, en especial para cajas para envasado de liquidos.
US20060249521A1 (en) Spill-resistant container
KR20130003062U (ko) 다기능 돔유닛을 갖는 핫 음료용 컵 뚜껑
CN103717504A (zh) 热饮料容器的组件、插件、及方法
KR200433822Y1 (ko) 핫음료 테이크아웃용 컵 뚜껑
MXPA05005625A (es) Tapa de recipiente para bebidas que tiene montaje deflector para enfriamiento de liquido.
US20200093301A1 (en) Anti-spill Disposable Drink through Cup Lid
KR20170049870A (ko) 누수차단패널을 갖는 컵 뚜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