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1555A - System controling power of socket outlet using multi communication - Google Patents

System controling power of socket outlet using multi communic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1555A
KR20130001555A KR1020110062393A KR20110062393A KR20130001555A KR 20130001555 A KR20130001555 A KR 20130001555A KR 1020110062393 A KR1020110062393 A KR 1020110062393A KR 20110062393 A KR20110062393 A KR 20110062393A KR 20130001555 A KR20130001555 A KR 201300015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power
control
operation server
target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239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232276B1 (en
Inventor
이성준
강우석
Original Assignee
(주)이지정보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지정보기술 filed Critical (주)이지정보기술
Priority to KR10201100623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2276B1/en
Publication of KR201300015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155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22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227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06Monitoring of events, devices or parameters that trigger a change in power modality
    • G06F1/3209Monitoring remote activity, e.g. over telephone lines or network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6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 H01R13/6691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with built-in signall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3/00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 H02J13/00006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information or instructions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 or electrical equipment
    • H02J13/00022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information or instructions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 or electrical equipment using wireless data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B90/20Smart grids as enabling technology in buildings sec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40/00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 Y04S40/12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characterised by data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electrical equipment
    • Y04S40/126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characterised by data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electrical equipment using wireless data transmission

Abstract

PURPOSE: A power controlling system of a multi communication based outlet is provided to reduce energy by blocking an unnecessary standby power waste. CONSTITUTION: A sensor node(100) grasps the power consumption of a control target device(1) connected to a corresponding terminal(10). The sensor node controls the power supply of each terminal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An operating server(200) receives contextual information data from each sensor node. According to the received contextual information data, the operating server transmits a control signal to the sensor node. A user terminal(300) monitors the power consumption of each terminal and a control context in real-time. [Reference numerals] (1,A1,A2) Control target device 1,2,N; (10,B1,B2) Terminal 1,2,N; (100,D1,D2) Sensor node 1,2,N; (200) Operating server; (210) Gateway; (300) User terminal; (C1,C2,C3) Power control; (EE) Zigbee network

Description

멀티 통신 기반 콘센트의 전력 제어 시스템{SYSTEM CONTROLING POWER OF SOCKET OUTLET USING MULTI COMMUNICATION}Power control system of multi-communication-based outlet {SYSTEM CONTROLING POWER OF SOCKET OUTLET USING MULTI COMMUNICATION}

본 발명은 다양한 통신수단을 통하여 콘센트에 구비되는 각 단자별 전력 사용량에 대한 모니터링 및 전력 제어를 수행하여 대기전력 차단할 수 있는 멀티 통신 기반 콘센트의 전력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wer control system of a multi-communication-based outlet that can block standby power by performing power monitoring and power control for each terminal provided in the outlet through various communication means.

일반적으로, 대기전력이란 전원을 끈 상태에서도 전기 제품에서 소비되는 전력을 말한다. 즉, 가전 제품을 실질적으로 사용하지 않아도 플러그가 콘센트에 삽입되어 있으면 낭비되는 전기로서 이러한 대기전력은 가정에서 사용하는 전력의 11%를 차지하고 있으며, 대기전력으로만 국가 전체로는 1,500만 가구가 매년 5,000억원을 낭비하고 있는 것이다.In general, standby power refers to power consumed by an electric product even when the power is turned off. This means that electricity is wasted when the plug is inserted into the outlet even though the appliance is not actually used. This standby power accounts for 11% of the electricity used in the home. It is wasting 500 billion won.

상술한 대기전력 1W를 소비하는 비용은 약 5달러로 추정된다. 국내 전자기기 3억 대가 대기전력을 소비한다고 보면 약 3.66W의 평균 대기전력이 낭비되고 있는 문제점이 있다.The cost of consuming 1 W of standby power is estimated at about $ 5. If 300 million domestic electronic devices consume standby power, the average standby power of about 3.66W is wasted.

국내 가구당 대기전력 총량은 평균 57.0W였으며, 연평균 306KWh의 대기전력을 소모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는 바, 대리전력을 낭비되는 전력을 효율적으로 차단하게 되면 상당한 금액을 절약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The average amount of standby power per household was 57.0W, and it is confirmed that the average power consumption of 306KWh is consumed annually. Therefore, if the power wasting the surrogate power is effectively cut off, it can save a considerable amount.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불필요한 대기전력 낭비를 차단하여 에너지를 절감하고, 실시간 전력 사용량 및 주변 온도를 모니터링하여 과부하 방지를 통한 화재를 예방할 수 있으며, 각 단자별 맞춤 전력 제어가 가능한 멀티 통신 기반 콘센트의 전력 제어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Therefore,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unnecessary standby power waste to save energy, to monitor the real-time power consumption and ambient temperature to prevent fire through overload protection, multi-power control can be customized for each terminal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ower control system of a communication-based outlet.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에 의한 멀티 통신 기반 콘센트의 전력 제어 시스템은 콘센트의 전력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콘센트의 각 단자별로 구비되어 해당 단자에 접속된 제어대상기기의 전력 사용량을 파악하고, 수신하는 제어신호에 따라 각 단자의 전력 공급을 제어하는 센서 노드와; 지그비(Zigbee) 무선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복수의 센서 노드와 상호 통신하는 게이트웨이가 구성되고, 각 센서 노드로부터 제어대상기기의 전력 사용량을 포함한 상황정보 데이터를 수신 및 저장하며, 수신된 상황정보 데이터에 따라 각 단자의 전력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상기 센서 노드로 송출하는 운영서버; 및 상기 운영서버와 연계되어 각 단자의 전력 사용량 내지 제어 상황을 실시간 모니터링하며, 입출력 수단을 포함하여 사용자의 정보 요청 시 그에 대응하는 정보를 상기 운영서버로부터 추출하여 제공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In the power control system of a multi-communication-based outlet according to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the power control system of the outlet is provided for each terminal of the outlet to grasp and use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control target device connected to the corresponding terminal. A sensor node for controlling power supply to each terminal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A gateway is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a plurality of sensor nodes based on a Zigbee wireless network, and receives and stores context information data including power consumption of the control target device from each sensor node, and according to the received context information data. An operation server for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power supply of each terminal to the sensor node; And a user terminal for real-time monitoring of power usage or control status of each terminal in association with the operation server, and extracting and provid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request of the user information from the operation server, including input / output means. It is characteristic.

하나의 예로써, 상기 센서 노드는, 상기 단자에 접속된 제어대상기기의 전력 사용에 따른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센서와; 상기 단자에 접속한 제어대상기기에서 소비하는 전력 사용량을 측정하기 위한 전류센서와; 상기 온도 센서 및 전류 센서로부터 측정된 계측 데이터를 상기 운영서버로 송신하거나 상기 운영서버의 제어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송수신 모듈과; 상기 송수신 모듈로부터 전송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각 단자의 전력 공급을 ON/OFF하는 스위칭 모듈; 및 상기 온도센서, 전류센서, 송수신 모듈 및 스위칭 모듈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As an example, the sensor node may include a temperature sensor for measuring a temperature according to the use of power of a control target device connected to the terminal; A current sensor for measuring power consumption consumed by the control target device connected to the terminal; A transmission / reception module for transmitting measurement data measured from the temperature sensor and current sensor to the operation server or receiving a control signal of the operation server; A switching module for turning on / off the power supply of each terminal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transmission / reception module; And a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power to the temperature sensor, current sensor, transmission / reception module, and switching module.

이에 더하여 상기 센서노드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기반으로 근거리 제어 단말과 통신하여 상기 온도 센서 및 전류 센서로부터 측정된 계측 데이터를 상기 근거리 제어 단말로 송신하거나 상기 근거리 제어 단말에서 전송하는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스위칭 모듈로 전달하기 위한 근거리 통신 모듈 더 포함하며, 상기 근거리 제어 단말운 NFC 모듈과 관리프로그램이 탑재되어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에서 제공되는 계측 데이터의 수신과 제어신호의 송신이 가능한 모바일폰 또는 스마트폰인 것이 특징이다.In addition, the sensor node communicates with a near field control terminal based on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to transmit measurement data measured from the temperature sensor and the current sensor to the near field control terminal or transmit a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near field control terminal. A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for receiving and transmitting to the switching module, the mobile phone capable of receiving the measurement data provided from the short-range control terminal NFC module and the management program and the transmission of the control signal provided in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or It is a smart phone.

하나의 예로써, 상기 운영서버는, 상기 센서노드의 온도센서 및 전류센서로부터 측정된 계측 데이터를 기설정된 임계 데이터와 비교하여 임계 데이터보다 상대적으로 높을 경우 이를 과부하로 판단하고, 해당 단자의 전력 공급을 자동으로 차단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송출하는 비교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As an example, the operation server may compare the measurement data measured from the temperature sensor and the current sensor of the sensor node with a predetermined threshold data and determine that it is an overload if it is relatively higher than the threshold data, and supply power to the corresponding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comparison control unit for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for automatically blocking the.

하나의 예로써, 상기 센서 노드는, 해당 단자의 전력 공급 또는 전력 차단 상태에 따라 이를 표시하기 위한 상태표시부와; 해당 단자의 전력 공급 또는 차단을 수동으로 제어하기 위한 수동조작부; 및 해당 단자에서 과부하 등의 위험요소를 음성으로 출력하기 위한 음성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As an example, the sensor node may include a status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terminal according to a power supply or power cutoff state of a corresponding terminal; A manual control unit for manually controlling power supply or shutdown of the corresponding terminal; And a voice output unit for outputting a risk factor such as overload at a corresponding terminal as a voice.

하나의 예로써, 인터넷 망을 통해 상기 운영서버와 연계되어 각 단자의 전력 사용량 내지 제어 상황에 대한 실시간 모니터링과 각 단자의 전력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원거리 PC를 더 포함하며, 상기 운영서버는, 인터넷 망을 기반으로 상기 원거리 PC와 상호 연결되어 원거리 PC에서의 정보 요청에 대응하는 정보를 제공함과 더불어 상기 원거리 PC에서 요청하는 제어 명령을 전달하는 웹 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As an example, the remote server further includes a remote PC connected to the operation server through an internet network to perform real-time monitoring of power consumption or control status of each terminal and power control of each terminal.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web server connected to the remote PC based on the network to provid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request for information from the remote PC, and delivers a control command requested from the remote PC.

하나의 예로써, 상기 운영서버는, 상기 게이트웨이를 통해 수신되는 각 단자별 상황정보 데이터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각 단자별 상황정보 데이터를 이용하여 각 단자별로 접속된 제어대상기기의 전력 사용에 대한 스케줄을 파악하기 위한 스케줄 관리부; 및 상기 스케줄 관리부에서 파악되는 제어대상기기의 스케줄을 기반으로 각 단자별로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하는 스케줄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As an example, the operation server may include a database storing situation information data for each terminal received through the gateway; A schedule manager for grasping a schedule of power usage of the control target device connected to each terminal by using the situation information data for each terminal stored in the database; And a schedule control unit controlling power supplied to each terminal based on the schedule of the control target device identified by the schedule management unit.

하나의 예로써, 상기 사용자 단말은 각 단자별로 접속되어 있는 제어대상기기를 사용 목적별 내지 사용 시간대별로 분류하기 위한 설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운영서버는 상기 설정부에서 분류된 제어대상기기에 따라 각 단자의 전력 공급 및 차단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것이 특징이다.
As an example, the user terminal may further include a setting unit for classifying the control target devices connected to each terminal by use purpose or time zone, and the operation server may be configured according to the control target devices classified by the setting unit. It features a selective control of power supply and shutdown of each terminal.

앞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멀티 통신 기반 콘센트의 전력 제어 시스템은 불필요한 대기전력 낭비를 차단하여 에너지를 절감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power control system of the multi-communication-based outle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saving energy by blocking unnecessary standby power waste.

또한, 실시간 전력 사용량 및 주변 온도를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무선 전송하여 모니터링 하여 과부하 방지를 통한 화재 예방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re is a fire prevention effect through overload protection by monitoring by wireless transmission so that the user can know the real-time power consumption and ambient temperature.

또한, 콘센트 내 각 단자별로 대기전력 차단 설정이 가능하여 항시 전력이 필요한 가전 제품과 그렇지 않은 제품에 맞게 전력을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set the standby power cut-off for each terminal in the outlet, so that the power can be controlled according to the home appliances that need power at all times and those that do no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 통신 기반 콘센트의 전력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센서 노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구성인 운영서버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운영서버의 스케줄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1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ower control system of a multi-communication-based out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llustrates a sensor node as one configuration of the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n operation server of on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schedule control of the operation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 통신 기반 콘센트의 전력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센서 노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구성인 운영서버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운영서버의 스케줄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ower control system of a multi-communication-based out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view showing a sensor node of on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server which is on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diagram for describing schedule control of an operation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멀티 통신 기반 콘센트의 전력 제어 시스템은 다양한 통신수단을 통하여 콘센트에 구비되는 각 단자(10)별 전력 사용량의 모니터링 및 전력 제어를 수행함으로써 대기전력 차단하도록 구성된다.The power control system of a multi-communication-based out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cut off standby power by performing power control and power control of each terminal 10 provided in the outlet through various communication means.

즉, 본 발명은 각 단자별로 접속되어 있는 제어대상기기(1)의 전력 사용량을 실시간 감지함과 더불어 다양한 상황에 대응하도록 각 단자(10)에 대한 전력의 공급 및 차단 등의 제어를 실시함으로써 불필요한 대기전력이 소비되는 것을 방지하고 과부하 내지 화재발생 등의 위험요소를 제거할 수 있는 콘센트의 전력 제어 시스템이라 할 수 있다.Tha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control target device 1 connected to each terminal is sensed in real time, and the control of supply and cutoff of power to each terminal 10 is performed to cope with various situations. It is a power control system of an outlet that can prevent standby power consumption and eliminate risk factors such as overload or fire.

여기서, 상기 제어대상기기(1)는 콘센트의 단자(10)에 접속되어 상기 단자(10)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통해 작동되는 것으로, 일반 가정 내지 공장 등에서 사용하고 있는 교류 전원을 사용하는 전기기기를 의미하며, 냉장고, 세탁기, TV, 컴퓨터 등의 가전제품은 물론 산업에서 이용되는 냉, 난방 시설, 환풍시설 및 조명시설 등의 산업기기들을 포함한다.Here, the control target device (1) is connected to the terminal 10 of the outlet is operated through the power supplied from the terminal 10, the electric device using an AC power source used in homes or factories, etc. Meaning, and includes home appliances such as refrigerators, washing machines, TVs, computers, as well as industrial equipment such as cooling, heating, ventilation, and lighting systems used in the industry.

구체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콘센트의 각 단자(10)별로 구비되어 해당 단자(10)에 접속된 제어대상기기(1)의 전력 사용량을 파악하고, 수신하는 제어신호에 따라 각 단자(10)의 전력 공급을 제어하는 센서 노드(100)와, 지그비(Zigbee) 무선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복수의 센서 노드(100)와 상호 통신하는 게이트웨이(210)가 구성되고, 각 센서 노드(100)로부터 제어대상기기(1)의 전력 사용량을 포함한 상황정보 데이터를 수신 및 저장하며, 수신된 상황정보 데이터에 따라 각 단자(10)의 전력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상기 센서 노드(100)로 송출하는 운영서버(200) 및 상기 운영서버(200)와 연계되어 각 단자(10)의 전력 사용량 내지 제어 상황을 실시간 모니터링하며, 입출력 수단을 포함하여 사용자의 정보 요청 시 그에 대응하는 정보를 상기 운영서버(200)로부터 추출하여 제공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Specifically, as shown in FIG. 1,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for each terminal 10 of an outlet to grasp power consumption of the control target device 1 connected to the corresponding terminal 10, and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received. A sensor node 100 that controls the power supply of each terminal 10 and a gateway 210 that communicates with a plurality of sensor nodes 100 based on a Zigbee wireless network are configured, and each sensor node ( Receives and stores the context information data including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control target device 1 from the control device 100, and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power supply of each terminal 10 in accordance with the received context information data, the sensor node 100 In real-time monitoring of the power consumption or control status of each terminal 10 in connection with the operation server 200 and the operation server 200 to be sent to), including information input and output means corresponding to the information of the user remind The user is configured to include a terminal 300 for providing extracts the zero server 200.

본 발명에서 센서 노드(100)와의 데이터 전송으로 이용되는 지그비(ZigBee)에 대한 제반 기술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general description of ZigBee used for data transmission with the sensor node 100 will be described below.

상기 지그비는 IEEE 802.15.4에 기반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표준규격으로, 통신 가능 거리는 약 100~500m의 짧은 거리에서 20~250Kbps의 속도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고 전력 소모량은 500㎼이하의 저전력을 소모한다.The Zigbee is a hardware and software standard based on IEEE 802.15.4. The Zigbee can transmit data at a speed of 20 to 250 Kbps at a short distance of about 100 to 500 m, and consumes less than 500 kW of power.

이때 상기 지그비의 특징이라 할 수 있는 점은 외부에서 신호를 보낼 때까지 휴면 모드로 유지되어 전력 소모가 매우 낮기 때문에 배터리가 수개월에서 수년간 지속 될 수 있으며, 블루투스나 무선랜 프로토콜보다 훨씬 간단하여 소형화에 유리하다. 이에 따라 지그비 무선네트워크를 이용한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한 비용 또한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다. At this time, the Zigbee can be characterized as being in a sleep mode until an external signal is sent, so the power consumption is very low, so the battery can last for several months or years, much simpler than the Bluetooth or WLAN protocol. It is advantageous. Accordingly,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cost for implementing th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ing the Zigbee wireless network is also low.

또한, 상기 IEEE 802.15.4는 Star, Mesh, Cluster Tree 등의 네트워크 토폴로지를 이용하여 라우터 센서 노드들은 광범위한 지역에 설치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IEEE 802.15.4 can be installed in a wide range of router sensor nodes using a network topology such as Star, Mesh, Cluster Tree.

상기 IEEE 802.15.4의 주소 필드는 0 ~ 20 바이트의 가변길이 응용에 따라 유연성을 가지지만, 본 발명에서 구현한 지그비 네트워크에서는 하나의 대역 내에 수용되어 있는 수많은 기기들이 동일한 레벨로서 상호 양방향 통신을 하게 된다는 특징이 있다. 이때 상기 지그비의 주파수 채널은 선택적으로 지정할 수 있다.The address field of IEEE 802.15.4 has flexibility according to a variable length application of 0 to 20 bytes, but in the Zigbee network implemented in the present invention, a number of devices accommodated in one band allow two-way communication at the same level. It is characterized by. In this case, the Zigbee frequency channel may be selectively designated.

상기 센서 노드(1000는 지그비 무선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여 하나의 네트워크에 65,536개까지의 센서 노드를 가지면서 구성할 수 있고 2.45GHz 대역에서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므로 상기 운영서버(200)의 게이트웨이(210)와 원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 sensor node 1000 can be configured with up to 65,536 sensor nodes in one network based on a Zigbee wireless network, and data can be transmitted in the 2.45 GHz band so that the gateway 210 of the operation server 200 can be configured. It will be able to perform long-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상기 센서 노드(10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콘센트에 구성되는 각 단자(10)별로 구비되어 있어 해당 단자(10)에 접속되어 있는 제어대상기기(1)의 전력 사용량에 대한 정보를 수집한다. 이뿐만 아니라, 상기 센서 노드(100)는 상기 운영서버(200)로부터 송출되는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각 단자(10)의 전력 공급 또는 전력 차단 등의 제어를 수행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sensor node 100 is provided for each terminal 10 configured in the outlet, and collects information on power consumption of the control target device 1 connected to the corresponding terminal 10. In addition, the sensor node 100 receives a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operation server 200 and performs control such as power supply or power cutoff of each terminal 10.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센서 노드(100)는 온도센서(110)와 전류센서(120), 송수신 모듈(140), 스위칭 모듈(130) 및 전원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Specifically, as shown in FIG. 2, the sensor node 100 includes a temperature sensor 110, a current sensor 120, a transmission / reception module 140, a switching module 130, and a power supply unit 150. .

상기 온도센서(110)는 상기 단자(10)에 접속되어 있는 제어대상기기(1)의 전력 사용에 따른 온도를 측정한다. 그리고, 상기 전류센서(120)는 상기 단자(10)에 접속한 제어대상기기(1)에서 소비하는 전력 사용량을 측정한다.The temperature sensor 110 measures the temperature according to the power usage of the control target device 1 connected to the terminal 10. The current sensor 120 measures the amount of power consumed by the control target device 1 connected to the terminal 10.

이러한 온도센서(110) 및 전류센서(120)는 상기 제어대상기기(1)의 과부하 내지 화재발생 등 위험 요소를 파악하기 위한 것으로, 측정한 온도와 전력 사용량에 따라 해당 단자(10)의 전력이 차단되도록 하여 과부하 내지 화재발생 등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The temperature sensor 110 and the current sensor 120 are for identifying risk factors such as overload or fire of the control target device 1, and the power of the corresponding terminal 10 depends on the measured temperature and power consumption. It can be blocked to prevent overload or fire.

상기 송수신 모듈(140)은 상기 온도 센서(110) 및 전류 센서(120)로부터 측정된 계측 데이터를 상기 운영서버(200)로 송신함과 더불어 상기 운영서버(200)로부터 송출되는 제어신호를 수신한다.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module 140 transmits the measurement data measured by the temperature sensor 110 and the current sensor 120 to the operation server 200 and receives a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operation server 200. .

상기 스위칭 모듈(130)은 상기 송수신 모듈(140)에서 수신하는 제어신호에 따라 각 단자(10)의 전력을 공급 또는 전력을 차단함으로써 각 단자(10)에 접속되어 있는 상기 제어대상기기(1)를 ON/OFF한다.The switching module 130 is connected to each terminal 10 by supplying or cutting off power to each terminal 10 in accordance with a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module 140. ON / OFF.

상기 전원부(150)는 상기 온도센서(110), 전류센서(120), 송수신 모듈(140) 및 스위칭 모듈(130)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이는 직류 전원의 교체용 또는 충전용 배터리가 이용될 수 있다.The power supply unit 150 is for supplying power to the temperature sensor 110, the current sensor 120,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module 140 and the switching module 130, which is used by a replacement or rechargeable battery of DC power Can be.

상술한 센서 노드(100)는 센서 노드(100)를 구성하는 다종의 센서 내지 스위칭 모듈 등이 커넥터 등과 같은 유선 연결수단에 의해 분리형으로 각각 결합된 형태일 수 있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MCU(Micro Control Unit) 방식으로 상기 센서 노드(100)의 구성에 필요한 센서 등을 비롯하여 기억장치, 입출력 포트, 입출력 주변장치 및 전원부가 하나의 패키지로 구성된 형태로 구성되어 센서 노드(100) 자체에 다양한 응용이 가능하도록 설계됨이 바람직하다.The above-described sensor node 100 may be a form in which a plurality of sensors or switching modules constituting the sensor node 100 are separately coupled by wired connection means such as a connector, bu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 sensor node 100 includes a sensor, an input / output port, an input / output peripheral device, and a power supply unit configured in one package, including a sensor necessary for configuring the sensor node 100 in a MCU (Micro Control Unit) method. It is desirable to be designed to enable a variety of applications.

한편, 상기 센서 노드(100)는 근거리 통신을 제공하기 위한 근거리 통신 모듈(16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sensor node 100 may further include a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160 for provid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160)은 NFC(Near Field Communication) 기반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이하에서 설명하는 근거리 제어 단말(400)과 통신하여 상기 온도 센서(110) 및 전류 센서(120)로부터 측정된 계측 데이터를 상기 근거리 제어 단말(400)로 송신하거나 상기 근거리 제어 단말(400)에서 전송하는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스위칭 모듈(130)로 전달함으로써 단자(10)별 전력 제어가 실시될 수 있도록 한다.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160 is configured based on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and the measurement data measured from the temperature sensor 110 and the current sensor 120 by communicating with the short range control terminal 400 described below. By transmitting to the short-range control terminal 400 or by receiving the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hort-range control terminal 400 to the switching module 130 so that power control for each terminal 10 can be carried out.

상기 언급한 NFC는 차세대 근거리 무선통신으로서 전자태그(RFID)의 일종이며, 13.56Mhz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비접촉식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로 10cm의 가까운 거리에서 단말기 간의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다.NFC mentioned above is a next-generation near field communication (RFID), a non-contact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using 13.56Mhz frequency band is capable of data communication between terminals at a close distance of 10cm.

이는 사용자가 보유한 모바일폰 또는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근거리에서 상기 센서 노드(100)와 상호 연결되어 단자(10)의 전력 공급 상황에 대한 모니터링과 상기 단자(10)를 직접적으로 제어하기 위함이다.This is to monitor the power supply state of the terminal 10 and directly control the terminal 10 by interconnecting with the sensor node 100 at a short distance using a mobile phone or a smart phone possessed by a user.

그리고, 상기 근거리 제어 단말(400)은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NFC 모듈과 관리프로그램이 탑재된 모바일폰 또는 스마트폰으로,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160)에서 제공되는 계측 데이터를 수신하여 관리프로그램을 통해 모니터링이 가능하고, 자체적으로 구비되는 키패드와 같은 입력수단을 통해 상기 단자(10)의 전력 제어에 대한 명령을 입력함에 따라 그에 상응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센서 노드(100)로 송신하도록 한다.The short-range control terminal 400 is a mobile phone or a smart phone equipped with an NFC module and a management program,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and receives measurement data provided from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160 and monitors the data through a management program. This is possible, and as a command for power control of the terminal 10 is input through an input means such as a keypad provided on its own, a corresponding control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sensor node 100.

여기서, 상기 관리프로그램은 단자(10)의 전력 제어 및 모니터링을 수행하기 위한 일종의 모바일용 어플리케이션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사로부터 상기 관리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받아 설치하도록 한다.Here, the management program is a kind of mobile application for performing power control and monitoring of the terminal 10 to download and install the management program from a service provider providing a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처럼, 상기 센서 노드(100)는 근거리 통신 모듈(160)을 포함함에 따라 상기 콘센트에 근접하는 근거리 제어 단말(400)로부터 각 단자(10)에 접속된 복수의 제어대상기기(1)에 대한 상황 정보를 모니터링함과 더불어 사용자가 임의로 각 단자(10)의 전력 제어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As such, the sensor node 100 includes 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160, and thus the situation for the plurality of control target devices 1 connected to each terminal 10 from the short range control terminal 400 proximate to the outlet. In addition to monitoring the information, the user can arbitrarily perform power control of each terminal 10.

이에 더하여, 상기 센서 노드(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태표시부(170)와, 수동조작부(180) 및 음성출력부(19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In addition, the sensor node 100 further includes a status display unit 170, a manual operation unit 180, and a voice output unit 190 as shown in FIG. 2.

상기 상태표시부(170)는 센서 노드(100)가 구비된 해당 단자(10)의 전력 공급 또는 전력 차단 상태에 따라 이를 표시하는 것으로, 예를 들면, 상기 상태표시부(170)는 LED(light emitting diode)로 구성되어 있으며, 단자(10)로 전력 공급이 이루어질 경우 녹색 LED가 점등되고, 전력 차단이 이루어질 경우에는 적색 LED가 점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state display unit 170 displays this according to the power supply or power off state of the corresponding terminal 10 provided with the sensor node 100. For example, the state display unit 170 is a light emitting diode (LED). ), The green LED is turned on when power is supplied to the terminal 10, and the red LED is turned on when the power is cut off.

상기 수동조작부(180)는 해당 단자(10)의 전력 공급 또는 차단을 수동으로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도면에서 도시된 바 없으나 ON 스위치 및 OFF 스위치로 구성되어 사용자가 상기 ON 스위치 및 OFF 스위치를 조작함으로써 직접적으로 상기 단자(10)의 전력을 제어하도록 한다.The manual operation unit 180 is for manually controlling the power supply or shutdown of the corresponding terminal 10.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manual operation unit 180 is configured by an ON switch and an OFF switch, so that a user operates the ON switch and the OFF switch. Directly control the power of the terminal 10.

상기 음성출력부(190)는 해당 단자(10)에서 과부하 내지 화재발생 등의 위험요소가 감지될 경우 이를 음성으로 출력한다. 이러한 음성출력부(190)는 앞서 설명한 온도센서(110) 및 전류센서(120)로부터 측정된 계측 데이터를 기반으로 위험 요소를 감지하게 되는데, 그 일 예로 상기 계측 데이터를 기설정된 임계 데이터와 비교하여 임계 데이터보다 상대적으로 높을 경우 이를 과부하로 판단할 수 있다. 이 밖에도 과부하 내지 화재발생 등의 감지 수단은 공지기술 등을 통하여 다양하게 구현 가능한바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voice output unit 190 outputs a voice when a dangerous element such as an overload or a fire is detected at the corresponding terminal 10. The voice output unit 190 detects a risk factor based on the measurement data measured from the temperature sensor 110 and the current sensor 120 described above. For example, the voice output unit 190 compares the measurement data with preset threshold data. If it is higher than the critical data, it can be determined as an overload. In addition, the detection means such as overload or fire occurrence can be variously implemented through known technologies, and thus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한편, 상기 운영서버(2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단자(10)에 각각 구비된 센서 노드(100)와 지그비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게이트웨이(210)가 구성되어 있으며, 게이트웨이(210)는 상기 복수의 센서 노드(100)로부터 제어대상기기(1)의 전력 사용량을 포함한 상황정보 데이터를 수신하게 된다.Meanwhile, as illustrated in FIG. 1, the operation server 200 includes a sensor node 100 provided at each of the plurality of terminals 10 and a gateway 210 connected to a Zigbee wireless network. ) Receives the situation information data including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control target device 1 from the plurality of sensor nodes 100.

이러한 운영서버(200)는 상기 게이트웨이(210)로부터 수신한 상황정보 데이터를 기반으로 각 단자(10)에 대한 개별 제어를 수행하도록 제어신호를 송출하는 것이다.The operation server 200 transmits a control signal to perform individual control of each terminal 10 based on the context information data received from the gateway 210.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콘센트의 각 단자(10)별 전력 사용에 대한 모니터링과 전력 제어를 원격에서 실시 가능하도록 원거리 PC(5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remote PC 500 may be further configured to remotely perform power monitoring and power control for each terminal 10 of the outlet.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며, 상기 원거리 PC(300)는 인터넷 망을 통해 상기 운영서버(200)와 연계되어 각 단자(10)의 전력 사용량 내지 제어 상황에 대한 실시간 모니터링은 물론 각 단자(10)의 전력 제어를 수행한다. 이 경우도 마찬가지로 앞서 설명한 관리프로그램을 PC 상에서 다운로드 받아 상기 관리프로그램이 기설치되어 있어야 함은 물론이다.Referring to FIG. 3, the remote PC 300 is connected to the operation server 200 through an internet network to monitor the power consumption or control situation of each terminal 10 as well as each terminal 10. Performs power control. In this case as well, the management program must be previously installed by downloading the above-described management program on a PC.

그리고, 상기 원거리 PC(500)는 자체적으로 구비된 입력 수단을 통해 단자(10)별 전력 사용량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거나, 해당 단자(10)의 전력 제어를 위한 명령을 요청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remote PC 500 may request information on power consumption for each terminal 10 or input a command for power control of the corresponding terminal 10 through an input unit provided therein.

이때, 상기 운영서버(200)는 상술한 원거리 PC(500)와의 데이터 통신을 제공하기 이한 웹 서버(230)를 더 포함하는 바, 상기 웹 서버(230)는 인터넷 망을 기반으로 상기 원거리 PC(500)와 상호 연결을 제공하며, 원거리 PC(500)에서의 정보 요청에 대응하는 정보를 제공함과 더불어 상기 원거리 PC(500)에서 요청하는 제어 명령을 운영서버(200)로 전달함으로써 해당 명령에 대응하도록 선택된 단자(10)의 전력을 제어하도록 한다.In this case, the operation server 200 further includes a web server 230 for providing data communication with the above-described remote PC 500, wherein the web server 230 is based on the Internet network. 500 and provide th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request for information from the remote PC 500, and transmit the control command requested by the remote PC 500 to the operation server 200 to respond to the corresponding command. To control the power of the selected terminal 10.

뿐만 아니라, 상기 운영서버(200)는 외부 입력에 따른 전력 제어를 수행함에 있어, 비상 시에는 단자(10)의 전력 공급을 차단하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the operation server 200 is configured to cut off the power supply of the terminal 10 in an emergency in performing power control according to an external input.

즉, 상기 운영서버(200)는 상기 센서 노드(100)의 온도센서(110) 및 전류센서(120)로부터 측정된 계측 데이터를 기설정된 임계 데이터와 비교하여 임계 데이터보다 상대적으로 높을 경우 이를 과부하로 판단하여 해당 단자(10)의 전력 공급을 자동으로 차단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송출하는 비교제어부(220)를 포함함으로써, 비상 시 상기 비교제어부(220)로부터 송출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해당 단자(10)의 전력 공급이 신속하게 차단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That is, the operation server 200 compares the measurement data measured by the temperature sensor 110 and the current sensor 120 of the sensor node 100 with a predetermined threshold data, and when it is relatively higher than the threshold data, it is overloaded. And a comparison control unit 220 for determining and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for automatically shutting off the power supply of the terminal 10, and in response to the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omparison control unit 220 in an emergency. Power supply can be cut off quickly.

그리고, 상기 운영서버(200)는 상기 제어대상기기(1)를 운영하는 사용자의 생활 패턴에 따라 단자(10)별로 전력을 공급 또는 차단하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the operation server 200 is configured to supply or cut off power for each terminal 10 according to the life pattern of the user who operates the control target device 1.

즉, 상기 사용자는 단자(10)에 접속된 제어대상기기(1)를 생활 패턴에 따라 특정 시간대별로 사용 또는 미사용하게 되는데, 상기 운영서버(200)는 이러한 사용자 생활 패턴에 따른 제어대상기기(1)의 스케줄을 파악하고, 제어대상기기(1)의 스케줄에 따라 해당 단자(10)의 전력 제어를 수행하도록 한다.That is, the user may use or not use the control target device 1 connected to the terminal 10 for each specific time zone according to the life pattern, and the operation server 200 may control the control device 1 according to the user life pattern. ) To determine the schedule, and to control the power of the terminal 10 according to the schedule of the control target device (1).

구체적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운영서버(200)는 상기 게이트웨이(210)를 통해 수신되는 각 단자(10)별 상황정보 데이터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240)와, 상기 데이터베이스(240)에 저장된 각 단자(10)별 상황정보 데이터를 이용하여 각 단자(10)별로 접속된 제어대상기기(1)의 시간대별 전력 사용에 대한 스케줄을 파악하기 위한 스케줄 관리부(250) 및 상기 스케줄 관리부(250)에서 파악되는 제어대상기기(1)의 스케줄을 기반으로 각 단자(10)별로 공급되는 전력을 공급 또는 차단하도록 제어하는 스케줄 제어부(260)를 포함한다.In detail, as illustrated in FIG. 4, the operation server 200 may include a database 240 in which context information data for each terminal 10 received through the gateway 210 is stored and in the database 240. A schedule manager 250 and the schedule manager 250 for grasping a schedule of power usage for each time zone of the control target device 1 connected for each terminal 10 by using the stored situation information data for each terminal 10. It includes a schedule control unit 260 for controlling to supply or cut off the power supplied to each terminal 10 based on the schedule of the control target device (1) identified in the).

상기 언급한 제어대상기기(1)의 스케줄은 상기 스케줄 관리부(250)에 의해 산출되는 것으로, 일정기간 동안 수집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소정의 통계 모델을 통해 산출되는 것일 수 있다.The schedule of the aforementioned control target device 1 is calculated by the schedule management unit 250, and may be calculated through a predetermined statistical model based on data collect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이러한 구성에 따라 어느 한 단자(10)에 접속된 제어대상기기(1)가 상시 사용 중인 경우 해당 단자(1)의 전력을 상시 공급하도록 하며, 특정 시간대에만 제어대상기기(1)가 사용 중이라면 상기 운영서버(200)에서는 해당 제어대상기기(1)의 사용 스케줄을 파악하여, 사용 시간대를 제외한 시간대에는 단자(10)의 전력을 차단하도록 제어하게 되는 것이다.According to such a configuration, when the control target device 1 connected to any one terminal 10 is always in use, the power of the corresponding terminal 1 is to be supplied at all times. The operation server 200 is to determine the use schedule of the control target device 1, and to control to cut off the power of the terminal 10 in the time zone except the use time zone.

한편, 상기 사용자 단말(300)은 입출력 수단(310)이 구비된 단말로써, 입력수단으로는 키보드를, 출력수단으로는 디스플레이(330)를 포함하여 상기 운영서버(200)에서 제공되는 각 단자(10)의 전력 사용량과 제어 상황을 실시간 모니터링할 수 있게 되며, 필요한 정보를 요청할 수 있게 된다.Meanwhile, the user terminal 300 is a terminal provided with an input / output unit 310, and includes a keyboard as an input means and a display 330 as an output means. 10) real-time monitoring of the power consumption and control situation, and it is possible to request the necessary information.

그리고, 사용자 단말(300)은 설정부(320)를 더 포함하는 바, 상기 설정부(320)에서 설정된 설정값에 따라 각 단자(10)별 전력 제어가 가능하다.In addition, the user terminal 300 further includes a setting unit 320, and power control for each terminal 10 may be performed according to a setting value set by the setting unit 320.

상기 설정부(320)는 각 단자(10)별로 접속되어 있는 제어대상기기(1)를 사용자가 임의로 사용 목적별 내지 사용 시간대별로 분류하여 제어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입출력수단(310)을 통하여 각 단자(10)별 전력 사용에 대한 설정을 하도록 한다.The setting unit 320 is for controlling the user to arbitrarily classify the control target device 1 connected to each terminal 10 by use purpose or time of use, and through each input and output means 310 Set the power usage for each terminal (10).

예를 들면, 상기 설정부(320)에 의해 특정 단자(10)에 접속된 제어대상기기(1)가 상시용으로 설정된 경우, 상기 운영서버(200)는 상기 설정부(320)에서 분류된 제어대상기기(1)에 따라 각 단자(10)의 전력 공급 및 차단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바, 해당 제어대상기기(1)로 계속적인 전원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당 단자(10)에 전력을 공급하게 된다.For example, when the control target device 1 connected to the specific terminal 10 by the setting unit 320 is always set, the operation server 200 controls the control classified by the setting unit 320. According to the target device (1) to selectively control the power supply and shutdown of each terminal 10, to supply power to the terminal 10 so that the continuous power supply to the control target device (1) can be made do.

또한, 상기 설정부(320)에서 특정 단자(10)에 접속된 제어대상기기(1)가 오전 10시부터 오후 3시까지 사용되는 것으로 시간대별 분류가 설정된 경우, 상기 운영서버(200)는 해당 단자(10)의 전력 공급이 오전 10시부터 오후 3시까지 이루어지도록 하며, 그 외 시간에는 해당 단자(10)의 전력 공급을 차단하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control target device (1) connected to a specific terminal 10 in the setting unit 320 is set to be used from 10 am to 3 pm time zone classification is set, the operation server 200 is The power supply of the terminal 10 is to be made from 10 am to 3 pm, and at other times, the power supply of the terminal 10 is cut off.

상술한 바와 같이 콘센트의 단자(10)별 전력 제어를 수행함으로써, 접속된 제어대상기기(1)가 상시 전력이 필요한 제품과 그렇지 않은 제품에 대하여 맞춤 제어가 가능한 특징이 있다.
By performing the power control for each terminal 10 of the outlet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 feature that the connected control target device 1 can be tailored control for products that require constant power and those that do not.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right.

1 : 제어대상기기 10: 단자
100 : 센서 노드 200 : 운영서버
210 : 게이트웨이 300 : 사용자 단말
400 : 근거리 제어 단말 500 : 원거리 PC
1: control target device 10: terminal
100: sensor node 200: operation server
210: gateway 300: user terminal
400: short-range control terminal 500: remote PC

Claims (8)

콘센트의 전력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콘센트의 각 단자별로 구비되어 해당 단자에 접속된 제어대상기기의 전력 사용량을 파악하고, 수신하는 제어신호에 따라 각 단자의 전력 공급을 제어하는 센서 노드와;
지그비(Zigbee) 무선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복수의 센서 노드와 상호 통신하는 게이트웨이가 구성되고, 각 센서 노드로부터 제어대상기기의 전력 사용량을 포함한 상황정보 데이터를 수신 및 저장하며, 수신된 상황정보 데이터에 따라 각 단자의 전력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상기 센서 노드로 송출하는 운영서버; 및
상기 운영서버와 연계되어 각 단자의 전력 사용량 내지 제어 상황을 실시간 모니터링하며, 입출력 수단을 포함하여 사용자의 정보 요청 시 그에 대응하는 정보를 상기 운영서버로부터 추출하여 제공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통신 기반 콘센트의 전력 제어 시스템.
In the power control system of the outlet,
A sensor node which is provided for each terminal of the outlet and grasps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control target device connected to the corresponding terminal, and controls the power supply of each terminal according to the received control signal;
A gateway is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a plurality of sensor nodes based on a Zigbee wireless network, and receives and stores context information data including power consumption of the control target device from each sensor node, and according to the received context information data. An operation server for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power supply of each terminal to the sensor node; And
And a user terminal for real-time monitoring of power usage or control status of each terminal in connection with the operation server, and extracting and provid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user's information request from the operation server, including input / output means. Power control system of multi-communication based outlet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노드는
상기 단자에 접속된 제어대상기기의 전력 사용에 따른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센서와;
상기 단자에 접속한 제어대상기기에서 소비하는 전력 사용량을 측정하기 위한 전류센서와;
상기 온도 센서 및 전류 센서로부터 측정된 계측 데이터를 상기 운영서버로 송신하거나 상기 운영서버의 제어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송수신 모듈과;
상기 송수신 모듈로부터 전송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각 단자의 전력 공급을 ON/OFF하는 스위칭 모듈; 및
상기 온도센서, 전류센서, 송수신 모듈 및 스위칭 모듈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통신 기반 콘센트의 전력 제어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sensor node is
A temperature sensor for measuring a temperature according to the use of power of the control target device connected to the terminal;
A current sensor for measuring power consumption consumed by the control target device connected to the terminal;
A transmission / reception module for transmitting measurement data measured from the temperature sensor and current sensor to the operation server or receiving a control signal of the operation server;
A switching module for turning on / off the power supply of each terminal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transmission / reception module; And
And a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power to the temperature sensor, current sensor, transmission / reception module, and switching module.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노드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기반으로 근거리 제어 단말과 통신하여 상기 온도 센서 및 전류 센서로부터 측정된 계측 데이터를 상기 근거리 제어 단말로 송신하거나 상기 근거리 제어 단말에서 전송하는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스위칭 모듈로 전달하기 위한 근거리 통신 모듈 더 포함하며,
상기 근거리 제어 단말은 NFC 모듈과 관리프로그램이 탑재되어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에서 제공되는 계측 데이터의 수신과 제어신호의 송신이 가능한 모바일폰 또는 스마트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통신 기반 콘센트의 전력 제어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2,
The sensor node
By communicating with a near field control terminal based on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the measurement data measured from the temperature sensor and the current sensor are transmitted to the near field control terminal or a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near field control terminal is received and transmitted to the switching module. It further comprises a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for
The short-range control terminal is a power control system of the multi-communication-based outlet, characterized in that the NFC module and the management program is a mobile phone or a smart phone capable of receiving the measurement data provided from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and the transmission of the control signal.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운영서버는
상기 센서노드의 온도센서 및 전류센서로부터 측정된 계측 데이터를 기설정된 임계 데이터와 비교하여 임계 데이터보다 상대적으로 높을 경우 이를 과부하로 판단하고, 해당 단자의 전력 공급을 자동으로 차단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송출하는 비교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통신 기반 콘센트의 전력 제어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2,
The operation server
Compare the measured data measured from the temperature sensor and the current sensor of the sensor node with the preset threshold data, and if it is higher than the threshold data, it is determined as an overload and sends a control signal to automatically cut off the power supply of the corresponding terminal. Power control system of a multi-communication based outlet further comprising a comparison control unit.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노드는
해당 단자의 전력 공급 또는 전력 차단 상태에 따라 이를 표시하기 위한 상태표시부와;
해당 단자의 전력 공급 또는 차단을 수동으로 제어하기 위한 수동조작부; 및
해당 단자에서 과부하 등의 위험요소를 음성으로 출력하기 위한 음성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통신 기반 콘센트의 전력 제어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2,
The sensor node is
A status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terminal according to the power supply or power cutoff state of the corresponding terminal;
A manual control unit for manually controlling power supply or shutdown of the corresponding terminal; And
Power control system of a multi-communication-based outle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voice output unit for outputting a voice such as an overload risk from the terminal.
제 1항에 있어서,
인터넷 망을 통해 상기 운영서버와 연계되어 각 단자의 전력 사용량 내지 제어 상황에 대한 실시간 모니터링과 각 단자의 전력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원거리 PC를 더 포함하며,
상기 운영서버는
인터넷 망을 기반으로 상기 원거리 PC와 상호 연결되어 원거리 PC에서의 정보 요청에 대응하는 정보를 제공함과 더불어 상기 원거리 PC에서 요청하는 제어 명령을 전달하는 웹 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통신 기반 콘센트의 전력 제어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It further includes a remote PC connected to the operation server through the Internet network for real-time monitoring of the power usage or control situation of each terminal and power control of each terminal,
The operation server
And a web server connected to the remote PC based on the Internet network to provid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request for information from the remote PC, and to transmit a control command requested from the remote PC. Power control system of the outle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운영서버는
상기 게이트웨이를 통해 수신되는 각 단자별 상황정보 데이터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각 단자별 상황정보 데이터를 이용하여 각 단자별로 접속된 제어대상기기의 전력 사용에 대한 스케줄을 파악하기 위한 스케줄 관리부; 및
상기 스케줄 관리부에서 파악되는 제어대상기기의 스케줄을 기반으로 각 단자별로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하는 스케줄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통신 기반 콘센트의 전력 제어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operation server
A database storing situation information data for each terminal received through the gateway;
A schedule manager for grasping a schedule of power usage of the control target device connected to each terminal by using the situation information data for each terminal stored in the database; And
And a schedule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power supplied to each terminal based on the schedule of the control target device identified by the schedule management uni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각 단자별로 접속되어 있는 제어대상기기를 사용 목적별 내지 사용 시간대별로 분류하기 위한 설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운영서버는
상기 설정부에서 분류된 제어대상기기에 따라 각 단자의 전력 공급 및 차단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통신 기반 콘센트의 전력 제어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user terminal
It further includes a setting unit for classifying the control target device connected by each terminal by use purpose or time of use,
The operation server
The power control system of the multi-communication-based outlet, characterized in that for selectively controlling the power supply and cutoff of each terminal according to the control target device classified by the setting unit.
KR1020110062393A 2011-06-27 2011-06-27 System controling power of socket outlet using multi communication KR10123227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2393A KR101232276B1 (en) 2011-06-27 2011-06-27 System controling power of socket outlet using multi communic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2393A KR101232276B1 (en) 2011-06-27 2011-06-27 System controling power of socket outlet using multi communic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1555A true KR20130001555A (en) 2013-01-04
KR101232276B1 KR101232276B1 (en) 2013-02-12

Family

ID=478345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2393A KR101232276B1 (en) 2011-06-27 2011-06-27 System controling power of socket outlet using multi communic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2276B1 (en)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5472A (en) * 2014-07-30 2016-02-15 이정환 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devices from being fired
WO2016072795A3 (en) * 2014-11-07 2016-06-23 주식회사 미로 Socket
WO2016072793A3 (en) * 2014-11-07 2016-06-23 주식회사 미로 Power strip having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WO2016141412A1 (en) * 2015-03-11 2016-09-15 Embertec Pty Ltd Standby power controller communications and verification apparatus and method
CN106097584A (en) * 2016-06-01 2016-11-09 南京工业职业技术学院 A kind of all-in-one campus card carries out the jack system of electric energy tariffing
KR101708181B1 (en) * 2016-02-25 2017-02-20 마인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주식회사 Fault Diagnosis System of Electronic Devices
KR101865152B1 (en) * 2017-02-21 2018-07-13 경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ower monitoring system based on remote control and measurement
WO2019124804A1 (en) * 2017-12-19 2019-06-27 김인철 Iot intelligent centrally-controlled power saving and interruption system having safety device
KR102081331B1 (en) * 2018-10-30 2020-02-25 주식회사 썬플라워즈 Apparatus for management of socket based on iot
KR102386432B1 (en) * 2021-06-23 2022-04-15 동양종합엔지니어링 주식회사 State-of-the-art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quipment for apartment house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33934A (en) * 2014-09-23 2015-06-24 吴岳泽 Zigbee intelligent socket
KR101659453B1 (en) * 2014-10-21 2016-09-26 창신정보통신(주) Server and system for managing home energy
KR102225148B1 (en) 2018-10-23 2021-03-09 (주) 에스제이 이엘씨 A using application power control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9848A (en) * 2001-02-03 2001-07-25 여배규 Rf remote control power switch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KR100927337B1 (en) 2009-07-01 2009-11-19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Rfid plug socket and system for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KR20110024544A (en) * 2009-09-02 2011-03-09 (주)시스콘이엔에프 Power data collecting system of electron manufactures
KR20110111050A (en) * 2010-04-02 2011-10-10 이영미 Individual management system of standby power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5472A (en) * 2014-07-30 2016-02-15 이정환 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devices from being fired
WO2016072795A3 (en) * 2014-11-07 2016-06-23 주식회사 미로 Socket
WO2016072793A3 (en) * 2014-11-07 2016-06-23 주식회사 미로 Power strip having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WO2016141412A1 (en) * 2015-03-11 2016-09-15 Embertec Pty Ltd Standby power controller communications and verification apparatus and method
KR101708181B1 (en) * 2016-02-25 2017-02-20 마인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주식회사 Fault Diagnosis System of Electronic Devices
CN106097584A (en) * 2016-06-01 2016-11-09 南京工业职业技术学院 A kind of all-in-one campus card carries out the jack system of electric energy tariffing
KR101865152B1 (en) * 2017-02-21 2018-07-13 경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ower monitoring system based on remote control and measurement
WO2019124804A1 (en) * 2017-12-19 2019-06-27 김인철 Iot intelligent centrally-controlled power saving and interruption system having safety device
KR102081331B1 (en) * 2018-10-30 2020-02-25 주식회사 썬플라워즈 Apparatus for management of socket based on iot
KR102386432B1 (en) * 2021-06-23 2022-04-15 동양종합엔지니어링 주식회사 State-of-the-art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quipment for apartment hous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32276B1 (en) 2013-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2276B1 (en) System controling power of socket outlet using multi communication
Anastasi et al. An intelligent system for electrical energy management in buildings
US10567853B2 (en) Smart grid appliance control
US9588506B1 (en) Automation devices, systems, architectures, and methods for energy management and other applications
US9645560B2 (en) Power controller,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US20150349532A1 (en) Power monitoring system
AU2012100135A4 (en) Power sensor
AU2012100197A4 (en) Power sensor
US10859990B2 (en) Method and system for utilizing a device's user location to monitor and control the device power usage
US20150303693A1 (en) Power control system and method thereof
KR101183388B1 (en) Power monitoring system and plug module
KR101262163B1 (en) Integrated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using cabinet panel
KR101167585B1 (en) In-house network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smart home
KR101864608B1 (en) Circumstantial recognition energy management type smart socket service system and method
KR10157643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an abnormally operating device comparing to other devices
KR20170053238A (en) Internet (IoT) smart home / building automation system and its control method for energy saving and power saving by crowd service
KR20120087257A (en) Smart outlet and wireless electric power saving system using the same
CN208209981U (en) A kind of Event tourism system
KR101178491B1 (en) Smart power saving system
KR20110059470A (en) Power-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power-consumption
KR20150111804A (en) Intelligent power plug and power adapter
CN205247614U (en) Control system based on infrared forwardding
KR20160147594A (en) System for measuring and controlling to things and terminal thereof
CN215527998U (en) Row inserts socket
CN214849394U (en) Wall sock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