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40031A - 전력 계통에서의 배터리 충방전 제어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전력 계통에서의 배터리 충방전 제어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40031A
KR20120140031A KR1020110059639A KR20110059639A KR20120140031A KR 20120140031 A KR20120140031 A KR 20120140031A KR 1020110059639 A KR1020110059639 A KR 1020110059639A KR 20110059639 A KR20110059639 A KR 20110059639A KR 20120140031 A KR20120140031 A KR 201201400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battery
batteries
discharge
power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96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33510B1 (ko
Inventor
전영환
차송희
Original Assignee
홍익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익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홍익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100596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3510B1/ko
Publication of KR201201400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400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35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35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7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02J7/00712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electric paramet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4Method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 H01M10/441Method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for several batteries or cell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03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data exchange
    • H02J7/00036Charger exchanging data with batter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13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acting upon several batterie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H02J7/0024Parallel/serial switching of connection of batteries to charge or load circui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13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acting upon several batterie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H02J7/0025Sequential battery discharge in systems with a plurality of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력 계통에서의 배터리 충방전 제어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력계통에 포함되는 복수의 배터리들 별로 기준방전심도 정보와 수명기간 내의 총충전량 정보를 각각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총충전량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배터리들을 제1 그룹 및 제2 그룹으로 그룹핑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그룹의 배터리와 제2 그룹의 배터리가 충전과 방전을 교대로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력 계통에서의 배터리 충방전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전력 계통에서의 배터리 충방전 제어장치 및 그 방법에 따르면, 전력 계통 내의 복수의 배터리들을 두 그룹으로 그룹핑한 다음 각 그룹에서 충전과 방전을 교대 실시토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터리의 충전 또는 방전 모드의 변경 횟수를 줄일 수 있고, 수명 내에 충전 가능한 배터리 총 충전 용량을 높일 수 있으며, 결론적으로 전력 계통에서의 배터리 충방전 전력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전력 계통에서의 배터리 충방전 제어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for charge and discharge of battery in electric power system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전력 계통에서의 배터리 충방전 제어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력계통에 포함되는 복수의 배터리들의 충전과 방전을 제어하는 전력 계통에서의 배터리 충방전 제어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석유, 석탄, 천연가스 등의 화석 연료 고갈 문제와, 화석 연료의 연소로 배출되는 이산화탄소 등의 온실가스 배출 문제가 전 세계적으로 대두되고 있다. 이에 따라, 신재생 에너지원은 환경 친화적인 에너지원으로서 미래 전력산업의 유력한 에너지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신재생 에너지원의 대표적인 발전원인 태양광, 풍력 발전은 기후 의존형 에너지원으로서 출력 제어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따라서, 전력 시스템의 안정적인 운용을 위해서는 배터리가 전력 계통과 결합하는 방식이 필요하다. 상기 배터리는 리튬 이온, 산화 납, 니켈 카드뮴 등 여러 종류가 있다. 그런데, 배터리의 종류 별로 충전 가능한 전력량, 수명, 충전과 방전(cycle)의 가능 횟수, 크기, 충방전 시 손실량 등이 다르다.
이에 따라, 복수의 배터리가 전력 계통에 도입될 경우 각 배터리의 특성에 맞도록 배터리를 효과적으로 제어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그런데, 종래에는 배터리 자체의 충전량을 늘리거나 충방전 시 발생 손실을 줄이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을 뿐, 전력 계통의 관점에서 배터리의 전력 효율을 높이거나 배터리의 수명을 늘릴 수 있는 방법에 관해서는 제안되고 있지 않다.
본 발명은, 전력 계통 내의 복수의 배터리들을 두 그룹으로 그룹핑한 다음 각 그룹에서 충전과 방전을 교대로 실시하여 전력 계통에서의 배터리 전력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력 계통에서의 배터리 충방전 제어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전력계통에 포함되는 복수의 배터리들 별로 기준방전심도 정보와 수명기간 내의 총충전량 정보를 각각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총충전량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배터리들을 제1 그룹 및 제2 그룹으로 그룹핑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그룹의 배터리와 제2 그룹의 배터리가 충전과 방전을 교대로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력 계통에서의 배터리 충방전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그룹핑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그룹과 상기 제2 그룹에 대한 총충전량 합계가 1:1의 비율에 근접하도록 상기 배터리들을 각각 그룹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룹핑하는 단계는, 상기 배터리들 중 수명을 다한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수명을 다한 배터리를 제외한 나머지 배터리들의 충전잔량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나머지 배터리들을 상기 제1 그룹 및 제2 그룹으로 그룹핑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방전 시에는 각 배터리 별로 해당 기준방전심도까지 방전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충전과 방전을 교대로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그룹의 충전 및 방전 시간과, 그에 대응되는 상기 제2 그룹의 방전 및 충전 시간이 서로 동기화되도록, 상기 제1 그룹 또는 제2 그룹에 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에 대한 충전 또는 방전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전력계통에 포함되는 복수의 배터리들 별로 기준방전심도 정보와 수명기간 내의 총충전량 정보를 각각 수신하는 정보수신부와, 상기 총충전량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배터리들을 제1 그룹 및 제2 그룹으로 그룹핑하는 배터리 그룹핑부, 및 상기 제1 그룹의 배터리와 제2 그룹의 배터리가 충전과 방전을 교대로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충방전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력 계통에서의 배터리 충방전 제어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배터리 그룹핑부는, 상기 제1 그룹과 상기 제2 그룹에 대한 총충전량 합계가 1:1의 비율에 근접하도록 상기 배터리들을 각각 그룹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터리 그룹핑부는, 상기 배터리들 중 수명을 다한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수명을 다한 배터리를 제외한 나머지 배터리들의 충전잔량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나머지 배터리들을 상기 제1 그룹 및 제2 그룹으로 그룹핑할 수 있다.
그리고, 충방전 제어부는, 상기 방전 시에는 각 배터리 별로 해당 기준방전심도까지 방전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충방전 제어부는, 상기 제1 그룹의 충전 및 방전 시간과, 그에 대응되는 상기 제2 그룹의 방전 및 충전 시간이 서로 동기화되도록, 상기 제1 그룹 또는 제2 그룹에 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에 대한 충전 또는 방전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변압기에 연결된 배전 선로에 설치되는 복수의 배터리, 및 상기 복수의 배터리의 총충전량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배터리들을 제1 그룹 및 제2 그룹으로 그룹핑시키고, 상기 제1 그룹의 배터리와 제2 그룹의 배터리가 충전과 방전을 교대로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전력 계통 시스템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제1 그룹과 상기 제2 그룹에 대한 총충전량 합계가 1:1의 비율에 근접하도록 상기 배터리들을 각각 그룹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방전 시에는 각 배터리 별로 해당 기준방전심도까지 방전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력 계통에서의 배터리 충방전 제어장치 및 그 방법에 따르면, 전력 계통 내의 복수의 배터리들을 두 그룹으로 그룹핑한 다음 각 그룹에서 충전과 방전을 교대 실시토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터리의 충전 또는 방전 모드의 변경 횟수를 줄일 수 있고, 수명 내에 충전 가능한 배터리 총 충전 용량을 높일 수 있으며, 결론적으로 전력 계통에서의 배터리 충방전 전력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 계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제어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제어장치를 이용한 배터리 충방전 제어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는 도 3의 S320 단계를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그러면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 계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상기 전력 계통 시스템은 전력 계통에 포함되어 있는 복수의 배터리(100)들과, 상기 배터리(100)들의 충방전을 제어하는 제어장치(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복수의 배터리(100)는 동종의 배터리 혹은 이종의 배터리가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전력 계통에 연결되는 배터리(100)들의 개수는 도 1에 의해 반드시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전력 계통 시스템에서 배터리(100)의 역할은 다음과 같다. 만약, 전력 계통에 도입된 신재생 에너지원의 발전량이 부하의 필요 전력량보다 큰 경우, 잔여 에너지량을 배터리(100)에 저장함으로써 부하의 과전압을 막는다. 반대로, 신재생 에너지원의 발전량이 부하의 필요 전력량보다 작은 경우에는 배터리(100)가 방전을 수행하여 전력 계통에 에너지를 공급하도록 한다.
배터리의 한 사이클(cycle)은 배터리가 충전과 방전을 교대로 한번 수행한 것을 나타낸다. 한정된 수명 내에서 배터리를 이용할 수 있는 사이클 수는 정해져 있다. 배터리의 방전량과 사이클 수는 서로 관련이 있는데, 배터리의 전체 용량에 비하여 방전량이 적을수록 사이클이 늘어난다.
표 1은 3가지의 방전심도에 따른 배터리별 사이클 수를 나타낸다.
배터리
종류
Na 100
(1000×cycles)
Nb 80
(1000×cycles)
Nc 33
(1000×cycles)
VRB 2.8-3.0 3.0-4.0 7.0-8.0
Li-ion 3.5-5.0 5.0-7.0 7.0-10
NaS 2.3-2.5 4.5-5.0 6.8-7.5
NiCd 0.3-0.5 1.0-1.5 4.8-6.0
PSB 9.0-10 9.0-1.0 9.0-10
ZnBr 1.5-2.5 2.5-3.0 4.0-5.0
NiMH 0.60-1.0 0.80-1.2 2.8-3.0
PbA 0.32-0.80 0.40-1.0 0.90-2.0
Na 100, Nb 80, Nc 33은 배터리를 전체용량 대비 100% 충전한 다음 각각 100%, 80%, 33% 방전시켰을 경우에 대한 배터리의 사이클 수를 나타낸다. 이는 방전심도가 각각 100%, 80%, 33%로 설정된 경우에 대응되는 것으로서, 방전심도에 따른 사이클 수의 변동 정도를 알 수 있다. 결론적으로, 배터리의 전체용량 대비 방전량이 작을수록 즉, 적용된 방전심도가 작을수록 사이클 수가 증가한다.
표 2는 배터리의 방전심도와 사이클 수를 곱하여, 배터리의 수명기간 내에서 충전할 수 있는 총충전량 정보를 계산한 것이다. 이러한 총충전량 정보는 배터리가 수명이 다할 때까지 사용 가능한 총충전량(w)을 의미한다.
배터리
종류
wa 100
(×1000)
wb 80
(×1000)
wNc 33
(×1000)
VRB 280-300 240-320 231-264
Li-ion 300-500 400-560 231-330
NaS 230-250 360-400 224.4-247.5
NiCd 30-50 80-120 158.4-198
PSB 900-1000 720-800 297-330
ZnBr 150-250 200-240 132-165
NiMH 60-100 64-96 92.4-99
PbA 32-80 32-80 29.7-66
표 2은 각 배터리 별로 수명 내에 최대 용량을 결정하는 기준방전심도가 존재함을 보여준다. 즉, VBR 배터리는 Na 100일 때 최대 용량을 가지므로 VBR 배터리의 기준방전심도는 100%에 해당한다. 동일한 방법으로, Li-ion 배터리의 기준방전심도는 80%, NaS 배터리의 기준방전심도는 80%에 해당된다.
이에 따라, 배터리의 종류 별로 수명 내 최대 전력을 저장할 수 있는 방전량 즉 기준방전심도가 고유로 존재함을 알 수 있다. 반대로, 해당 기준방전심도로 방전하지 않고 충전을 시작하는 경우 배터리의 수명이 줄어드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제어장치의 구성도이다. 상기 제어장치(200)는 정보수신부(210), 배터리 그룹핑부(220), 충방전 제어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제어장치(200)는 상기 전력 계통 또는 상기 배터리(100)들과 유무선 연결될 수 있다. 이외에도, 상기 제어장치(200)는 상기 전력 계통 또는 상기 배터리(100)와 별도 연결된 외부 장치(미도시)와 유무선 통신하면서 상기 배터리(100) 들에 대한 정보, 현재 상태 등을 외부 장치로부터 전송받을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제어장치를 이용한 배터리 충방전 제어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상기 배터리 충방전 제어방법에 관하여 상세히 알아본다.
먼저, 상기 정보수신부(210)에서는 상기 전력 계통에 포함되어 있는 복수의 배터리(100)들 별로 기준방전심도 정보와 수명기간 내의 총충전량 정보를 각각 수신한다(S210). 상기 기준방전심도와 상기 수명기간 내의 총충전량 정보에 대한 정의는 앞서 표 1 및 표 2를 참조한다.
상기 S210단계 이후, 상기 배터리 그룹핑부(220)에서는 상기 총충전량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배터리(100)들을 제1 그룹 및 제2 그룹으로 그룹핑한다(S320).
도 4는 도 3의 S320 단계를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상기 배터리 그룹핑부(220)는 상기 제1 그룹과 상기 제2 그룹에 대한 총충전량 합계가 1:1의 비율에 근접하도록 상기 배터리(100)들을 각각 그룹핑한다.
즉, 전력 계통에 연결된 배터리 1,2,3,4의 총충전량(w)이 각각 350, 1000, 200, 500인 경우, 배터리 2는 제1그룹, 배터리 1,3,4는 제2그룹으로 그룹핑한다. 여기서, 제1 그룹의 총충전량 합계는 1000, 제2그룹의 총충전량 합계는 1050으로서, 총충전량 합계가 거의 1:1 비율에 가깝도록 그룹핑된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그룹핑 단계 이후, 충방전 제어부(230)에서는 상기 제1 그룹의 배터리와 제2 그룹의 배터리가 충전과 방전을 교대로 수행하도록 제어한다(S330).
즉, 상기 제1 그룹 내의 배터리가 충전(또는 방전)을 수행할 때에, 상기 제2 그룹 내의 배터리는 방전(또는 충전)을 수행한다. 여기서, 충방전 제어부(230)는 상기 제1 그룹 또는 제2 그룹에 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에 대한 충전 또는 방전 속도를 조절하는 것에 의해, 상기 제1 그룹의 충전 및 방전 시간과, 그에 대응되는 상기 제2 그룹의 방전 및 충전 시간이 서로 동기화되도록 제어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전력 계통 내의 복수의 배터리(100)들을 두 개의 그룹으로 그룹핑한 다음, 각 그룹에서 충전과 방전을 교대 실시하도록 제어함에 따라, 배터리가 충전 또는 방전 모드로 변경되는 횟수를 줄일 수 있고, 수명 내에서 충전 가능한 배터리 총 충전 용량을 높일 수 있다. 결론적으로, 본 발명은 전력 계통에서의 배터리 전력 효율을 향상시킨다.
이외에도, 상기 충방전 제어부(230)는 상기 방전 시에는 각 배터리 별로 해당 기준방전심도까지 방전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이는 상기 기준방전심도가 해당 배터리의 수명 내 최대 전력을 저장할 수 있는 방전량에 해당되기 때문이다.
만약, 제1 그룹 내의 배터리가 모두 완전히 충전되고, 제2 그룹 내의 배터리가 해당 기준방전심도까지 모두 방전되면, 두 그룹의 동작 상태를 바꾸어 제1 그룹의 배터리는 방전 모드, 제2 그룹의 배터리는 충전 모드로 변경한다. 이에 따르면, 전력 계통 내의 모든 배터리에 대한 충방전 전력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상기 그룹핑 단계(S320) 내지 상기 충전과 방전을 교대로 수행하는 단계(S330)는, 각 그룹에 대한 총충전량 합계(ex, 제1그룹: 1000, 제2그룹: 1050)의 한도 이내에서 반복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그룹핑 시에 사용되는 총충전량 정보란, 이전 시점까지 배터리의 충전에 사용된 배터리 사용량을 최초 총충전량 정보에서 차감한 정보인 충전잔량 정보로 갱신하여 사용된다.
또한, 충방전의 반복 수행에 따르면, 배터리(100)들 중에서 수명을 다하는 배터리가 발생하게 된다. 즉, 상기 배터리(100)들 중 수명을 다한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S320 단계에서는 상기 수명을 다한 배터리를 제외한 나머지 배터리들의 충전잔량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나머지 배터리들을 상기 제1 그룹 및 제2 그룹으로 그룹핑한다.
만약, 도 4의 경우에서 제1그룹의 배터리 2가 먼저 수명을 다한 경우, 나머지 배터리 1,3,4의 충전잔량 정보를 사용하여, 배터리 1,3,4를 두 개의 그룹으로 그룹핑한다. 예를 들어, 배터리 2는 수명을 다한 상태이고, 배터리 1,3,4의 충전잔량이 각각 150, 100, 380인 경우, 배터리 4는 제1그룹(충전잔량 합계: 380), 배터리 1,3은 제2그룹(충전잔량 합계: 350)으로 그룹핑한다. 이는 앞서와 같이 각 그룹의 총충전량 합계가 1:1에 가깝도록 그룹핑하기 위함이다.
물론, 총 4개의 배터리 중에서 배터리 1이 먼저 수명을 다한 경우에는, 배터리 2,3,4의 충전잔량 정보를 이용하여 배터리 2,3,4를 두 개의 그룹으로 그룹핑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반복함에 따라, 각 그룹별 배터리의 충전과 방전 시기를 효과적으로 결정할 수 있고, 그에 따른 배터리의 충방전 전력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배터리 200: 제어장치
210: 정보수신부 220: 배터리 그룹핑부
230: 충방전 제어부

Claims (13)

  1. 전력계통에 포함되는 복수의 배터리들 별로 기준방전심도 정보와 수명기간 내의 총충전량 정보를 각각 수신하는 단계;
    상기 총충전량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배터리들을 제1 그룹 및 제2 그룹으로 그룹핑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그룹의 배터리와 제2 그룹의 배터리가 충전과 방전을 교대로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력 계통에서의 배터리 충방전 제어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그룹핑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그룹과 상기 제2 그룹에 대한 총충전량 합계가 1:1의 비율에 근접하도록 상기 배터리들을 각각 그룹핑하는 전력 계통에서의 배터리 충방전 제어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그룹핑하는 단계는,
    상기 배터리들 중 수명을 다한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수명을 다한 배터리를 제외한 나머지 배터리들의 충전잔량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나머지 배터리들을 상기 제1 그룹 및 제2 그룹으로 그룹핑하는 전력 계통에서의 배터리 충방전 제어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방전 시에는 각 배터리 별로 해당 기준방전심도까지 방전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전력 계통에서의 배터리 충방전 제어방법.
  5. 상기 충전과 방전을 교대로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그룹의 충전 및 방전 시간과, 그에 대응되는 상기 제2 그룹의 방전 및 충전 시간이 서로 동기화되도록, 상기 제1 그룹 또는 제2 그룹에 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에 대한 충전 또는 방전 속도를 조절하는 전력 계통에서의 배터리 충방전 제어방법.
  6. 전력계통에 포함되는 복수의 배터리들 별로 기준방전심도 정보와 수명기간 내의 총충전량 정보를 각각 수신하는 정보수신부;
    상기 총충전량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배터리들을 제1 그룹 및 제2 그룹으로 그룹핑하는 배터리 그룹핑부; 및
    상기 제1 그룹의 배터리와 제2 그룹의 배터리가 충전과 방전을 교대로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충방전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력 계통에서의 배터리 충방전 제어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그룹핑부는,
    상기 제1 그룹과 상기 제2 그룹에 대한 총충전량 합계가 1:1의 비율에 근접하도록 상기 배터리들을 각각 그룹핑하는 전력 계통에서의 배터리 충방전 제어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그룹핑부는,
    상기 배터리들 중 수명을 다한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수명을 다한 배터리를 제외한 나머지 배터리들의 충전잔량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나머지 배터리들을 상기 제1 그룹 및 제2 그룹으로 그룹핑하는 전력 계통에서의 배터리 충방전 제어장치.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충방전 제어부는,
    상기 방전 시에는 각 배터리 별로 해당 기준방전심도까지 방전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전력 계통에서의 배터리 충방전 제어장치.
  10.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충방전 제어부는,
    상기 제1 그룹의 충전 및 방전 시간과, 그에 대응되는 상기 제2 그룹의 방전 및 충전 시간이 서로 동기화되도록, 상기 제1 그룹 또는 제2 그룹에 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에 대한 충전 또는 방전 속도를 조절하는 전력 계통에서의 배터리 충방전 제어장치.
  11. 변압기에 연결된 배전 선로에 설치되는 복수의 배터리; 및
    상기 복수의 배터리의 총충전량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배터리들을 제1 그룹 및 제2 그룹으로 그룹핑시키고, 상기 제1 그룹의 배터리와 제2 그룹의 배터리가 충전과 방전을 교대로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전력 계통 시스템.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제1 그룹과 상기 제2 그룹에 대한 총충전량 합계가 1:1의 비율에 근접하도록 상기 배터리들을 각각 그룹핑하는 전력 계통 시스템.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방전 시에는 각 배터리 별로 해당 기준방전심도까지 방전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전력 계통 시스템.
KR1020110059639A 2011-06-20 2011-06-20 전력 계통에서의 배터리 충방전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12335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9639A KR101233510B1 (ko) 2011-06-20 2011-06-20 전력 계통에서의 배터리 충방전 제어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9639A KR101233510B1 (ko) 2011-06-20 2011-06-20 전력 계통에서의 배터리 충방전 제어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40031A true KR20120140031A (ko) 2012-12-28
KR101233510B1 KR101233510B1 (ko) 2013-02-14

Family

ID=479061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9639A KR101233510B1 (ko) 2011-06-20 2011-06-20 전력 계통에서의 배터리 충방전 제어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351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6108A (ko) 2014-12-22 2016-06-30 김선영 배터리 셀의 수명 예측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 관리 시스템
WO2023128461A1 (ko) * 2021-12-27 2023-07-06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팩 및 이를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 장치
WO2023229301A1 (ko) * 2022-05-27 2023-11-30 유림티에스 주식회사 에너지저장장치를 이용한 배터리 충방전장치 및 이의 충전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89496A (ja) 2001-12-12 2003-07-04 Mitsubishi Heavy Ind Ltd 電力貯蔵システム及びその充放電制御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6108A (ko) 2014-12-22 2016-06-30 김선영 배터리 셀의 수명 예측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 관리 시스템
WO2023128461A1 (ko) * 2021-12-27 2023-07-06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팩 및 이를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 장치
WO2023229301A1 (ko) * 2022-05-27 2023-11-30 유림티에스 주식회사 에너지저장장치를 이용한 배터리 충방전장치 및 이의 충전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33510B1 (ko) 2013-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87098B2 (en) Energy storage system and method to improve energy efficiency of the system
JP5767873B2 (ja) 蓄電装置および蓄電システム
ES2671845T3 (es) Dispositivo de control de microrredes y procedimiento de control para las mismas
JP4613781B2 (ja) アルカリ蓄電池の充放電制御方法および電源システム
KR101855451B1 (ko) 셀 밸런싱 기능이 있는 셀 모듈을 갖는 배터리팩
KR20130098611A (ko) 전지충전장치 및 그 방법
JP6102746B2 (ja) 蓄電池装置および充電制御方法
JP6026713B1 (ja) 電力管理システム
CN102844962B (zh) 碱性蓄电池的充放电控制方法以及电源***
KR101233510B1 (ko) 전력 계통에서의 배터리 충방전 제어장치 및 그 방법
US20070092763A1 (en) Fuel cell system
TW200625753A (en) Systems and methods for signal generation using llimited power
JP2016039693A (ja) 充放電電源装置
JP2010160955A (ja) 組電池の充電方法
CN104466280A (zh) 一种用于直流无刷电机驱动***的锂电池快速充电方法
JP6200086B2 (ja) 蓄電池制御装置
KR101049403B1 (ko) 태양에너지 충방전 제어장치
CN105006835A (zh) 基于多种逆变器的微网并联组网控制***
KR102381582B1 (ko) 스마트 그리드를 이용한 기지국 에너지 관리 방법 및 장치
KR101590835B1 (ko) 유무선 이중화 통신을 이용한 상호 전력 공급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태양광발전시스템
KR102362430B1 (ko) 다수의 전력 저장 장치를 이용한 전력 관리 시스템
WO2012043133A1 (ja) 蓄電池充放電制御装置および蓄電池充放電制御方法
US20180062217A1 (en) Power storage system
JP5371462B2 (ja) 電力供給システム及びその電力供給方法
KR102409123B1 (ko) 다수의 전력 저장 장치를 이용한 전력 관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