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35723A - Touch panel type signal input device - Google Patents

Touch panel type signal input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35723A
KR20120135723A KR1020110054597A KR20110054597A KR20120135723A KR 20120135723 A KR20120135723 A KR 20120135723A KR 1020110054597 A KR1020110054597 A KR 1020110054597A KR 20110054597 A KR20110054597 A KR 20110054597A KR 20120135723 A KR20120135723 A KR 201201357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pressure
external force
pressure section
magnitu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459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연수
Original Assignee
김연수
(주)아이티버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연수, (주)아이티버스 filed Critical 김연수
Priority to KR10201100545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35723A/en
Publication of KR201201357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5723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06F3/0219Special purpose keybo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force sensing means to determine a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2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cursor appearance or behaviour, e.g. being affected by the presence of displayed obje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5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for image manipulation, e.g. dragging, rotation, expansion or change of colou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PURPOSE: A signal input device of a touch panel type is provided to move the signal input device and perform manipulation with a hand by inputting various kinds of signals with a finger. CONSTITUTION: A first sensing unit(222) senses a drag direction or a direction of applied external force. A second sensing unit(224) divides the size of the external force or touch pressure of drag into two or more pressure sections to sense the same. A signal allocated to the pressure sections is generated by determining the pressure sections including the size of the external force or the touch pressure. The pressure sections include a first and a second pressure sections. A pointer moving signal is allocated to the first pressure section and a click signal is allocated to the second pressure section.

Description

터치패널 타입의 신호입력장치 {Touch panel type signal input device}Touch panel type signal input device {Touch panel type signal input device}

본 발명은 터치패드나 터치스크린 등과 같이 터치패널 타입의 신호입력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인가되는 외력의 크기 또는 터치 압력의 크기에 따라 상이한 종류의 신호를 입력하도록 구성되는 신호입력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ignal input device of a touch panel type, such as a touch pad or a touch screen, and more particularly, to a signal input device configured to input different kinds of signals according to the magnitude of external force or touch pressure applied thereto. It is about.

MP3 플레이어, PMP, 휴대폰 등과 같이 휴대가 가능한 이동단말기는 더욱 작아지면서도 더욱 많은 기능과 더욱 큰 저장용량을 가질 것이 요구되고 있다. 이와 함께, 이동단말기의 여러 가지 기능을 선택하고,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 장치 역시 보다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것이 요구되고 있다.Portable mobile terminals such as MP3 players, PMPs, mobile phones, etc. are required to have smaller functions, more functions, and larger storage capacities. In addition, an input device for selecting various functions of the mobile terminal and inputting a user's command is also required to perform various functions.

데스크탑 컴퓨터의 경우에는 마우스를 이용하여 포인터 이동 및 실행, 화면이동, 화면확대 등을 구현할 수 있지만, 이동단말기의 경우에는 별도의 마우스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없으므로, 이동단말기에 신호입력장치를 장착시켜 사용하고 있다. 이때, 종래에는 이동단말기에 다수개의 키버튼을 구비시켜, 사용자가 상기 키버튼을 조작하였을 때 신호가 입력되도록 하는 방식이 가장 흔하게 활용되어 왔다. 이때 다수개의 키버튼을 구비시키기 위해서는 이동단말기의 크기가 커질 뿐만 아니라, 상기 키버튼으로는 포인터를 자유롭게 이동시키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는바, 근래 들어서는 이동단말기에 터치패드를 장착시키거나, 출력장치를 터치스크린으로 적용하는 경우가 가장 널리 활용되고 있다.In the case of the desktop computer, the mouse can be used to move and execute the pointer, move the screen, and enlarge the screen.However, in the case of a mobile terminal, a separate mouse cannot be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Doing. In this case, conventionally, the mobile terminal includes a plurality of key buttons so that a signal is input when the user operates the key button. In this case, in order to provide a plurality of key buttons, the size of the mobile terminal is not only large,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freely move the pointer with the key buttons. Screen application is most widely used.

이와 같이 이동단말기에 터치패드나 터치스크린을 장착시키게 되면, 별도의 마우스나 키버튼 없이도 포인터를 이동시키거나 선택 및 실행, 화면이동, 화면 확대 및 축소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터치패드나 터치스크린으로 신호를 입력하도록 구성되면, 이동단말기의 소형화에 매우 유리해진다는 이점이 있다.As such, when a touch pad or a touch screen is mounted on the mobile terminal, an operation such as moving or selecting, executing, moving the screen, and expanding and reducing the pointer can be performed without a separate mouse or key button. In addition, if a signal is input to the touch pad or the touch screen,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is very advantageous to miniaturize the mobile terminal.

그러나 종래의 터치패드나 터치스크린을 이용하는 경우, 화면을 이동시키고자 할 때에는 포인터를 스크롤바에 정확히 위치시킨 후 스크롤바를 이동시켜야 하며, 이전화면으로 되돌아가기 위해서는 포인터를 뒤로가기 버튼에 정확히 위치시킨 후 뒤로가기 버튼을 클릭해야 하므로 조작이 매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However, in the case of using a conventional touch pad or a touch screen, to move the screen, the pointer must be positioned exactly on the scroll bar, and then the scroll bar must be moved. To return to the previous screen, the pointer is correctly positioned on the back button and then back. The disadvantage is that it is very difficult to manipulate because the Go button must be clicked.

한편, 최근 들어서는 터치스크린에 멀티터치를 한 후 두 개의 터치점 간격이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도록 드래그함으로써 화면을 확대시키거나 축소시키는 조작법이 상용화되었으나, 한 손으로 이동단말기를 잡음과 동시에 멀티터치를 수행하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으므로, 두 손을 모두 이용해야 한다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이동단말기에 터치패드가 장착된 경우에는 화면을 확대 및 축소시키는 조작이 매우 난해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On the other hand, recently, the operation of enlarging or reducing the screen by using a multi-touch on the touch screen and dragging the two touch points apart or closer has been commercialized, but it is not possible to perform the multi-touch at the same time with one hand. Because of the many difficulties, it was a hassle to use both hands. In addition, when the mobile terminal is equipped with a touch pad, there is a problem that an operation of enlarging and reducing the screen is very difficult.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포인터 이동, 화면 이동, 화면 확대율 변경, 페이지 변경 등 다양한 종류의 신호를 간편하게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터치패널 타입의 신호입력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provides a touch panel type signal input device configured to easily input various kinds of signals such as pointer movement, screen movement, screen magnification change, page change, etc. There is a purpos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신호입력장치는,Signal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인가되는 외력의 방향 또는 드래그 방향을 감지하는 제1 감지수단과, 인가되는 외력의 크기 또는 드래그 시 터치압력의 크기를 둘 이상의 압력구간으로 구분하여 감지하는 제2 감지수단을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외력 또는 드래그가 인가되었을 때 신호를 발생시키되, 인가되는 외력의 크기 또는 터치압력의 크기가 어느 압력구간에 속하는 지를 판단하여, 해당 압력구간에 할당된 신호를 발생시킨다.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first sensing means for sensing the direction of the external force or the drag direction applied, and the second sensing means for detecting the magnitude of the applied external force or the magnitude of the touch pressure when dragging into two or more pressure intervals, Alternatively, when a drag is applied, a signal is generated, and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magnitude of the applied external force or the magnitude of the touch pressure belongs to a pressure section, and generates a signal allocated to the corresponding pressure section.

상기 둘 이상의 압력구간에는 제1 압력구간과 제2 압력구간이 포함되고, 상기 제1 압력구간에는 포인터 이동신호가 할당되며, 상기 제2 압력구간에는 클릭신호가 할당된다.The at least two pressure sections include a first pressure section and a second pressure section, a pointer movement signal is assigned to the first pressure section, and a click signal is assigned to the second pressure section.

상기 제2 압력구간에는 클릭신호 중 키다운(key-down) 신호가 할당된다.The second pressure section is assigned a key-down signal among the click signals.

상기 키다운(key-down) 신호가 발생된 상태에서 드래그가 인가되는 경우, 인가되는 외력의 크기 또는 드래그 시 터치압력의 크기와 상관없이 포인터 이동신호를 발생시킨다.When drag is applied while the key-down signal is generated, a pointer movement signal is generated regardless of the magnitude of the external force applied or the magnitude of the touch pressure during dragging.

상기 키다운(key-down) 신호가 발생된 상태에서, 인가되고 있던 외력 또는 터치압력이 해제되거나 설정치 미만으로 감소되는 경우, 클릭신호 중 키업(key-up) 신호를 발생시킨다.In the state where the key-down signal is generated, when the applied external force or touch pressure is released or decreased below the set value, a key-up signal of the click signal is generated.

인가된 외력 또는 터치압력이 상기 제1 압력구간 이내에서 증감되면, 포인터 이동속도가 증감된다.When the applied external force or touch pressure is increased or decreased within the first pressure section, the pointer movement speed is increased or decreased.

본 발명에 의한 신호입력장치는, 인가되는 외력의 방향 또는 드래그 방향을 감지하는 제1 감지수단과, 인가되는 외력의 크기 또는 드래그 시 터치압력의 크기를 셋 이상의 압력구간으로 구분하여 감지하는 제2 감지수단을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제1 감지수단에 인가되는 외력의 방향 또는 드래그 방향을 따라 방향성을 갖는 신호를 발생시키되, 인가되는 외력의 크기 또는 터치압력의 크기가 어느 압력구간에 속하는 지를 판단하여, 해당 압력구간에 할당된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Signal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sensing means for sensing the direction or drag direction of the applied external force, and the second to detect the magnitude of the applied external force or the magnitude of the touch pressure when dragging into three or more pressure intervals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sensing means, to generate a signal having a direction along the direction or drag direction of the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first sensing means, it is determined to which pressure section the magnitude of the applied external force or touch pressure belongs to Thus, it can be configured to generate a signal assigned to the corresponding pressure section.

상기 셋 이상의 압력구간에는 포인터 이동신호와 화면 이동신호와 화면 확대율 변경신호 중 어느 하나의 신호가 각각 할당된다.One or more signals of a pointer movement signal, a screen movement signal, and a screen magnification change signal are respectively assigned to the three or more pressure sections.

상기 압력구간은 압력의 크기에 따라 오름차순으로 제1 압력구간과 제2 압력구간과 제3 압력구간으로 구분되되, 상기 제1 압력구간에는 포인터 이동신호가 할당되고, 상기 제2 압력구간에는 화면 이동신호와 화면 확대율 변경신호 중 어느 하나의 신호가 할당되며, 상기 제3 압력구간에는 화면 이동신호와 화면 확대율 변경신호 중 다른 하나의 신호가 할당된다.The pressure section is divided into a first pressure section, a second pressure section and a third pressure section in an ascending order according to the magnitude of the pressure. The first pressure section is assigned a pointer movement signal, and the screen moves to the second pressure section. One of a signal and a screen magnification change signal is allocated, and the other signal of the screen movement signal and the screen magnification change signal is allocated to the third pressure section.

인가되는 외력 또는 터치압력의 크기가 해당 압력구간 내에서 증감되는 경우, 포인터 이동속도 또는 화면 이동속도 또는 화면 확대율 변경속도가 증감된다.When the magnitude of the applied external force or touch pressure is increased or decreased within the corresponding pressure section, the pointer movement speed or the screen movement speed or the screen magnification rate change speed is increased or decreased.

상기 셋 이상의 압력구간에는 포인터 이동신호와 화면 이동신호와 클릭신호 중 어느 하나의 신호가 각각 할당된다.One or more signals of a pointer movement signal, a screen movement signal, and a click signal are respectively assigned to the three or more pressure sections.

상기 셋 이상의 압력구간 중 어느 하나의 압력구간에는 클릭신호 중 키다운(key-down) 신호가 할당된다.One of the three or more pressure sections is assigned a key-down signal of the click signal.

상기 키다운(key-down) 신호가 발생된 상태에서 드래그가 인가되는 경우, 인가되는 외력의 크기 또는 드래그 시 터치압력의 크기와 상관없이 포인터 이동신호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된다.When drag is applied in a state where the key-down signal is generated, the pointer movement signal is generated regardless of the magnitude of the external force applied or the magnitude of the touch pressure during the drag.

상기 키다운(key-down) 신호가 발생된 상태에서, 인가되고 있던 외력 또는 터치압력이 해제되거나 설정치 미만으로 감소되는 경우, 클릭신호 중 키업(key-up) 신호를 발생시킨다.In the state where the key-down signal is generated, when the applied external force or touch pressure is released or decreased below the set value, a key-up signal of the click signal is generated.

상기 포인터 이동신호 또는 화면 이동신호가 발생될 때, 인가된 외력 또는 터치압력이 해당 압력구간 범위 내에서 증감되면, 포인터 이동속도 또는 화면 이동속도가 증감된다.When the pointer movement signal or the screen movement signal is generated, if the applied external force or touch pressure is increased or decreased within the corresponding pressure range, the pointer movement speed or the screen movement speed is increased or decreased.

상기 셋 이상의 압력구간에는 화면 이동신호와 화면 확대율 변경신호와 페이지 변경신호 중 어느 하나의 신호가 각각 할당된다.One or more signals of the screen movement signal, the screen magnification change signal, and the page change signal are allocated to the three or more pressure sections.

상기 압력구간은 압력의 크기에 따라 오름차순으로 제1 압력구간과 제2 압력구간과 제3 압력구간으로 구분되되, 인가되는 외력의 크기 또는 드래그 시 터치압력의 크기가 제1 압력구간에 해당되면 화면 이동신호를 발생시키고, 인가되는 외력의 크기 또는 드래그 시 터치압력의 크기가 제2 압력구간에 해당되면 화면 확대율 변경신호와 페이지 변경신호 중 어느 하나의 신호를 발생시키며, 인가되는 외력의 크기 또는 드래그 시 터치압력의 크기가 제3 압력구간에 해당되면 화면 확대율 변경신호와 페이지 변경신호 중 다른 하나의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된다.The pressure section is divided into a first pressure section, a second pressure section and a third pressure section in an ascending order according to the magnitude of the pressure, and if the magnitude of the applied external force or the touch pressure during the drag corresponds to the first pressure section, Generates a movement signal, and when the magnitude of the external force applied or the magnitude of the touch pressure at the time of dragging corresponds to the second pressure section, generates one of the screen magnification change signal and the page change signal, and the magnitude or drag of the applied external force When the magnitude of the touch pressure at the time corresponds to the third pressure section, the other one of the screen magnification change signal and the page change signal is configured to be generated.

인가되는 외력의 크기 또는 드래그 시 터치압력의 크기에 따라 화면 이동신호 또는 화면 확대율 변경신호가 발생되는 경우, 인가되는 외력의 크기 또는 드래그 시 터치압력의 크기가 해당 압력구간 내에서 증감되면 화면 이동속도 또는 화면 확대율 변경속도가 증감된다.When the screen movement signal or the screen magnification change signal is generated according to the magnitude of the applied external force or the touch pressure during dragging, the screen movement speed when the magnitude of the applied external force or the magnitude of the touch pressure increases or decreases within the corresponding pressure range during dragging. Alternatively, the rate of change of the screen magnification is increased or decreased.

드래그가 인가됨에 따라 신호가 발생되는 경우, 상기 드래그의 경로 형상에 따라 상이한 종류의 신호가 발생된다.When a signal is generated as the drag is applied, different types of signals are generated according to the path shape of the drag.

외력이 인가되는 지점 또는 드래그가 발생되는 지점이 둘 이상인 경우, 외력이 인가되는 지점 또는 드래그가 발생되는 지점이 하나인 경우에 발생될 수 있는 신호와 다른 종류의 신호가 발생된다.When two or more points at which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or a point at which a drag is generated are generated, a signal different from a signal that may be generated when there is one point at which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or a point at which a drag is generated is generated.

본 발명에 의한 신호입력장치는, 인가되는 외력 또는 터치가 기준 위치에서 어느 방향으로 이격된 지점에 발생되는지를 감지하는 제1 감지수단과, 인가되는 외력의 크기 또는 터치압력의 크기를 셋 이상의 압력구간으로 구분하여 감지하는 제2 감지수단을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외력 또는 터치 인가지점이 기준 위치로부터 어느 방향으로 이격되었는지에 따라 방향성을 갖는 신호를 발생시키되, 인가되는 외력의 크기 또는 터치압력의 크기가 어느 압력구간에 속하는 지를 판단하여, 해당 압력구간에 할당된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signal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sensing means for detecting at which point the external force or touch is generated at a point spaced from a reference position, and the magnitude of the applied external force or the magnitude of the touch pressure is three or more pressures.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second sensing means for detecting by dividing the interval, generating a signal having a directionality according to which direction the external force or the touch application point is separated from the reference position, the magnitude of the applied external force or the magnitude of the touch pressure May be configured to determine which pressure section belongs to and generate a signal assigned to that pressure section.

상기 셋 이상의 압력구간에는 포인터 이동신호와 화면 이동신호와 화면 확대율 변경신호 중 어느 하나의 신호가 각각 할당된다.One or more signals of the pointer movement signal, the screen movement signal, and the screen magnification change signal are allocated to the three or more pressure sections.

상기 압력구간은 압력의 크기에 따라 오름차순으로 제1 압력구간과 제2 압력구간과 제3 압력구간으로 구분되되, 상기 제1 압력구간에는 포인터 이동신호가 할당되고, 상기 제2 압력구간에는 화면 이동신호와 화면 확대율 변경신호 중 어느 하나의 신호가 할당되며, 상기 제3 압력구간에는 화면 이동신호와 화면 확대율 변경신호 중 다른 하나의 신호가 할당된다.The pressure section is divided into a first pressure section, a second pressure section and a third pressure section in an ascending order according to the magnitude of the pressure. The first pressure section is assigned a pointer movement signal, and the screen moves to the second pressure section. One of a signal and a screen magnification change signal is allocated, and the other signal of the screen movement signal and the screen magnification change signal is allocated to the third pressure section.

인가되는 외력의 크기 또는 터치압력의 크기가 해당 압력구간 내에서 증감되는 경우, 포인터 이동속도 또는 화면 이동속도 또는 화면 확대율 변경속도가 증감된다.When the magnitude of the applied external force or the magnitude of the touch pressure is increased or decreased within the corresponding pressure section, the pointer movement speed or the screen movement speed or the screen magnification change speed is increased or decreased.

상기 셋 이상의 압력구간에는 화면 이동신호와 화면 확대율 변경신호와 페이지 변경신호 중 어느 하나의 신호가 각각 할당된다.One or more signals of the screen movement signal, the screen magnification change signal, and the page change signal are allocated to the three or more pressure sections.

상기 압력구간은 압력의 크기에 따라 오름차순으로 제1 압력구간과 제2 압력구간과 제3 압력구간으로 구분되되, 상기 제1 압력구간에는 화면 이동신호가 할당되고, 상기 제2 압력구간에는 화면 확대율 변경신호와 페이지 이동신호 중 어느 하나의 신호가 할당되며, 상기 제3 압력구간에는 화면 확대율 변경신호와 페이지 이동신호 중 다른 하나의 신호가 할당된다.The pressure section is divided into a first pressure section, a second pressure section and a third pressure section in an ascending order according to the magnitude of the pressure, and a screen movement signal is assigned to the first pressure section, and a screen enlargement ratio is assigned to the second pressure section. Any one of a change signal and a page shift signal is allocated, and the other one of the screen magnification change signal and the page shift signal is allocated to the third pressure section.

화면 이동신호 또는 화면 확대율 변경신호가 발생되는 경우, 인가되는 외력의 크기 또는 터치압력의 크기가 해당 압력구간 내에서 증감되면 화면 이동속도 또는 화면 확대율 변경속도가 증감된다.When the screen movement signal or the screen magnification change signal is generated, if the magnitude of the applied external force or the touch pressure is increased or decreased within the corresponding pressure section, the screen movement speed or the screen magnification rate change speed is increased or decreased.

외력이 인가되는 지점 또는 터치 지점이 둘 이상인 경우, 외력이 인가되는 지점 또는 터치 지점이 하나인 경우에 발생될 수 있는 신호와 다른 종류의 신호가 발생된다.When there is more than one point or touch point to which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a signal different from that which may be generated when there is only one point or touch point to which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is generated.

상기 제1 감지수단과 제2 감지수단은 적층 구조로 결합된다.The first sensing means and the second sensing means are combined in a stacked structure.

상기 제1 감지수단과 제2 감지수단은 일체로 제작된다.
The first sensing means and the second sensing means are integrally manufactured.

본 발명에 의한 터치패널 타입의 신호입력장치를 이용하면, 조작력의 크기만을 조절함으로써 포인터 이동, 화면 이동, 화면 확대율 변경, 클릭, 페이지 변경 등 다양한 종류의 신호를 입력할 수 있고, 하나의 손가락만을 이용하여 다양한 종류의 신호를 입력할 수 있으므로 한 손으로 신호입력장치 거취 및 신호입력장치 조작을 모두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When the touch panel signal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various types of signals such as pointer movement, screen movement, screen magnification change, click, page change, etc. can be input by adjusting only the magnitude of the manipulation force, and only one finger can be input. Since various types of signals can be input, the signal input device can be taken and the signal input device can be operated with one hand.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신호입력장치의 분해사시도 및 수직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조작력의 크기를 변경시켜가면서 본 발명에 의한 신호입력장치를 조작하는 사용상태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신호입력장치 제2 실시예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신호입력장치 제3 실시예의 수직단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신호입력장치 제4 실시예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신호입력장치 제5 실시예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신호입력장치 제6 실시예의 사용상태도이다.
1 and 2 are exploded perspective and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signal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to 5 is a state diagram used to operate the signal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le changing the magnitude of the operating force.
6 and 7 are use state diagrams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signal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ertical sectional view of a third embodiment of a signal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and 10 are use state diagrams of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signal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use state diagram of the fifth embodiment of the signal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use state diagram of the sixth embodiment of a signal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신호입력장치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a signal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신호입력장치의 분해사시도 및 수직단면도이고, 도 3 내지 도 5는 조작력의 크기를 변경시켜가면서 본 발명에 의한 신호입력장치를 조작하는 사용상태도이다.1 and 2 are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nd a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signal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3 to 5 is a state diagram used to operate the signal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le changing the magnitude of the operating force.

본 발명에 의한 신호입력장치(200)는, 하우징(210)과, 상기 하우징(210)에 장착되어 외력 또는 드래그가 인가되었을 때 이를 감지하여 신호를 발생시키는 감지수단(2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감지수단(220)은 단순히 외력 또는 드래그가 인가되는지의 여부만을 감지하는 것이 아니라, 외력 또는 드래그의 방향과 크기를 각각 감지하도록 구성된다는 점에 특징이 있다.The signal input devic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210 and sensing means 220 mounted on the housing 210 to detect a signal when an external force or drag is applied to generate a signal. . At this time, the sensing means 220 is not only to detect whether the external force or drag is applied, bu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sense the direction and the magnitude of the external force or drag, respectively.

즉, 상기 감지수단(220)은, 인가되는 외력의 방향 또는 드래그 방향을 감지하는 제1 감지수단(222)과, 인가되는 외력의 크기 또는 드래그 시 터치압력의 크기를 셋 이상의 압력구간으로 구분하여 감지하는 제2 감지수단(224)을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인가되는 외력의 방향 또는 드래그 방향에 따라 방향성을 갖는 신호(포인터(110) 이동신호나 화면 이동신호 등과 같이 결과물이 다양한 방향으로 나타날 수 있는 신호)를 발생시키며, 인가되는 외력의 크기 또는 드래그 시 터치압력의 크기가 어느 종류의 압력구간에 속하는지에 따라 각 압력구간에 할당된 종류의 신호를 발생시킨다. 이때, 제2 감지수단(224)은 인가되는 외력의 크기 또는 터치압력의 크기를 셋 이상의 압력구간으로 구분하여 감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는바, 본 발명에 의한 신호입력장치(200)는 인가되는 외력의 크기 또는 터치압력의 크기에 따라 세 종류 이상의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게 된다.That is, the sensing means 220, the first sensing means 222 for detecting the direction or drag direction of the applied external force, and the magnitude of the applied external force or the magnitude of the touch pressure at the time of dragging into three or more pressure intervals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second sensing means for detecting 224, the signal having a directionality according to the direction or drag direction of the applied external force (pointer 110 movement signal or screen movement signal, etc., the result may appear in various directions Signal) and generates a kind of signal assigned to each pressure section depending on the kind of pressure section to which the magnitude of the applied external force or the touch pressure at the time of drag belongs. At this time, the second sensing means 224 is configured to detect the magnitude of the external force or the touch pressure applied to three or more pressure intervals bar, the signal input devic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ree or more kinds of signals can be generated according to the magnitude or the magnitude of the touch pressure.

한편, 상기 제1 감지수단(222)과 제2 감지수단(224)은 터치패드 구조로 구성되어 상기 하우징(210)의 상면에 적층 방식으로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수단(220)은 본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별도로 제작되어 상호 결합되는 제1 감지수단(222)과 제2 감지수단(224)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상기 제1 감지수단(222)의 기능과 제2 감지수단(224)의 기능을 함께 수행할 수 있는 하나의 촉각센서로 적용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first sensing means 222 and the second sensing means 224 has a touch pad structure may be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210 in a stacked manner. In addition, the sensing means 220 may be composed of a first sensing means 222 and a second sensing means 224, which are manufactured separately and coupled to each other as show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sensing means ( It may be applied as one tactile sensor capable of performing the function of the 222 and the function of the second sensing means 224 together.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감지수단(222)과 제2 감지수단(224)이 적층된 감지수단(220)을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미는 경우, 손가락으로 미는 힘은 통상적으로 비스듬히 인가되는바, 상기 제1 감지수단(222)과 제2 감지수단(224)으로 인가되는 힘은 수평방향의 힘과 수직방향의 힘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감지수단(224)은 수직방향의 힘을 감지하여 어떤 종류의 신호를 발생시킬 것인지를 설정하고, 상기 제1 감지수단(222)은 수평방향의 힘이 어느 방향을 향하는지를 감지하여 신호의 방향성을 설정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인가되는 외력 또는 드래그의 방향을 감지하는 제1 감지수단(222)이나, 인가되는 외력 또는 접촉압력의 크기를 감지하는 제2 감지수단(224)은 본 발명이 해당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는바, 제1 감지수단(222) 및 제2 감지수단(224)의 내부구성과 동작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As shown in FIG. 2, when the user pushes the sensing means 220 in which the first sensing means 222 and the second sensing means 224 are stacked with a finger, the force pushing the finger is generally applied at an angle. The force applied to the first and second sensing means 222 and 224 may be divided into a horizontal force and a vertical force. At this time, the second sensing means 224 detects the vertical force and sets what kind of signal to generate. The first sensing means 222 detects which direction the horizontal force is directed. The direction of the signal is set. The first sensing means 222 for sensing the direction of the external force or drag applied as described above, or the second sensing means 224 for sensing the magnitude of the applied external force or contact pressure are widely used in the art. As described abov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ternal structure and oper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sensing means 222 and 224 will be omitted.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제2 감지수단(224) 상측에 제1 감지수단(222)이 장착되는 경우만을 설명하고 있으나, 상기 제1 감지수단(222)과 제2 감지수단(224)은 위치가 상호 바뀔 수 있다. 즉, 하우징(210) 상면에 제1 감지수단(222)이 먼저 장착되고, 그 위에 제2 감지수단(224)이 장착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감지수단(220)은 경우에 따라서 제1 감지수단(222)과 제2 감지수단(224)이 일체형으로 된 촉각센서로 적용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 감지수단(222)과 제2 감지수단(224)은 사용자의 편의나 제품의 규격 및 디자인을 고려하여 원판 형상이나 사각판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감지수단(222)은 가운데 부위에 관통공이 없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사용자가 감지수단(220)의 가운데 부위에 손가락을 접촉시켰을 때 포인터(110) 이동신호 또는 화면 이동신호가 발생되지 아니하도록 본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운데 부위에 관통공을 갖는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Meanwhile, in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only the first sensing means 222 is mounted above the second sensing means 224, but the first sensing means 222 and the second sensing means 224 are not positioned. Can be interchanged. That is, the first sensing means 222 may be first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210, and the second sensing means 224 may be mounted thereon. In addition, the sensing means 220 may be applied as a tactile sensor in which the first sensing means 222 and the second sensing means 224 are integrated as the case may be. In addition, the first sensing means 222 and the second sensing means 224 may be manufactured in various shapes such as a disc shape or a square plate shape in consideration of the user's convenience or the size and design of the product. On the other hand, the first sensing means 222 may be formed in a plate shape without a through hole in the center portion, when the user touches the finger to the center portion of the sensing means 220 moving signal or screen movement It may be formed in a ring shape having a through hole in the center portion, as shown in this embodiment so that no signal is generated.

이하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신호입력장치(200)의 사용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n example of use of the signal input devic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 to 5.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실시예는, 사전에 제1 압력점과 제2 압력점을 정한 후, 제1 압력점보다 낮은 압력구간을 제1 압력구간, 제1 압력점과 제2 압력점 사이의 구간을 제2 압력구간, 제2 압력점보다 높은 압력구간을 제3 압력구간으로 설정하고, 인가되는 외력이나 터치압력이 상기 3개의 구간 중 어느 구간에 포함되는지를 감지하여, 각 구간에 할당된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된 실시예이다. 이때,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실시예는 인가되는 외력이나 터치압력이 제1 압력구간에 포함되면 포인터(110) 이동신호를 발생시키고, 인가되는 외력이나 터치압력이 제2 압력구간에 포함되면 화면 이동신호를 발생시키며, 인가되는 외력이나 터치압력이 제3 압력구간에 포함되면 화면 확대율 변경신호를 발생시키도록 설정된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3 to 5, after the first pressure point and the second pressure point are determined in advance, a pressure section lower than the first pressure point is defined in the first pressure section, the first pressure point and the second pressure point. Set a section between the second pressure section, a pressure section higher than the second pressure point to the third pressure section, and detects which of the three sections the applied external force or touch pressure is included in each section, An embodiment configured to generate an assigned signal. At this time, the embodiment shown in Figures 3 to 5 generates a pointer 110 movement signal when the applied external force or touch pressure is included in the first pressure section, and the applied external force or touch pressure is included in the second pressure section. In this case, the screen shift signal is generated, and when the external force or touch pressure is included in the third pressure section, the screen magnification rate change signal is generated.

한편, 상기 감지수단(220)이 정전식으로 제작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감지수단(220)을 일정 수준 이상의 힘으로 가압하지 아니하고 감지수단(220)에 손가락을 단순히 접촉시키더라도 신호를 발생시키게 되는데, 이와 같이 손가락이 감지수단(220)에 단순히 접촉되는 경우에 있어서도 손가락과 감지수단(220) 사이에는 매우 미세한 크기로 나마 접촉압력이 발생된다. 따라서 감지수단(220)에 손가락을 단순히 접촉시키더라도 상기 감지수단(220)에 인가되는 외력이나 터치압력의 크기는 '0'보다 큰 값을 가지게 된다. 즉, 감지수단(220)에 손가락을 단순히 접촉시키는 경우에 있어서도 상기 감지수단(220)에는 제1 압력구간에 포함되는 외력이나 터치압력이 인가된다고 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 의한 신호입력장치는 정압식이나 정전식 등 어떠한 방식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sensing means 220 is produced electrostatically, the user does not press the sensing means 220 with a force higher than a predetermined level, and generates a signal even if the user simply touches the finger with the sensing means 220. Even in the case where the finger is simply in contact with the sensing means 220 as described above, a contact pressure is generated between the finger and the sensing means 220 at a very fine size. Therefore, even if the finger simply touches the sensing means 220, the magnitude of the external force or the touch pressure applied to the sensing means 220 has a value greater than zero. That is, even when the finger simply touches the sensing means 220, the sensing means 220 may be applied with an external force or a touch pressure included in the first pressure section. It can be implemented in any way, such as formula or capacitive.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압력구간에 포함되는 크기의 힘(얇은 점선 화살표로 표시)으로 감지수단(220)의 상면을 누르면서 드래그 하게 되면, 디스플레이장치(100)에 출력되는 포인터(110)는 드래그 방향을 따라 이동하게 되는데, 이와 같이 감지수단(220)의 상면이 드래그 되었을 때 포인터(110) 이동신호가 발생되고 이에 따라 포인터(110)가 이동하는 과정은 터치패드가 장착된 노트북 등에서도 동일하게 구현되고 있는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As shown in FIG. 3, when dragging while pressing the upper surface of the sensing means 220 with a force (indicated by a thin dotted line arrow) included in the first pressure section, the pointer 110 is output to the display apparatus 100. Is moved along the drag direction. As such, when the upper surface of the sensing unit 220 is dragged, a movement signal of the pointer 110 is generated, and thus the process of moving the pointer 110 is performed even in a laptop equipped with a touch pad. Since the same implementatio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한편, 종래에는 디스플레이장치(100)에 출력되는 화면을 이동시키고자 할 때에는 디스플레이장치(100)에 나타나는 스크롤바를 포인터(110)로 선택한 후 포인터(110)를 상, 하, 좌, 우 방향으로 이동시켜야 하는데, 터치패드를 이용하여 포인터(110)를 이동시키거나 객체를 선택하는 조작을 하는 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다는 단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한 신호입력장치(200)는 포인터(110)를 이동시키거나 스크롤바를 선택하지 아니하더라도 화면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는 점에 특징이 있다. 즉, 제2 압력구간에 해당하는 크기의 힘(중간 굵기의 점선 화살표로 표시)으로 감지수단(220)을 가압하면서 드래그를 하게 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스크린에 출력되는 화면을 이동시키는 신호가 발생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향으로 드래그를 하였을 때 터치스크린에 출력되는 화면이 드래그 방향을 따라 상향으로 밀려 올라가는 느낌을 받을 수 있도록 화면이 하향 스크롤되는 경우만을 도시하고 있으나, 드래그 방향에 따른 화면의 이동방향은 자유롭게 변경 설정될 수 있다. Meanwhile, in the related art, when moving a screen output to the display apparatus 100, the scroll bar appearing on the display apparatus 100 is selected as the pointer 110, and then the pointer 110 is moved in the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It should be,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re is a lot of difficulty in the operation to move the pointer 110 or to select the object using the touch pad. However, the signal input devic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move the screen even if the pointer 110 is not moved or the scroll bar is not selected. That is, when dragging while pressing the sensing means 220 with a force (indicated by a dotted arrow of medium thickness) corresponding to the second pressure section, the screen output on the touch screen is moved as shown in FIG. 4. Signal is generated. In the present embodiment, only the screen is scrolled downward so that the screen output on the touch screen is pushed upward in the drag direction when dragging upward, the screen moving direction according to the drag direction It can be freely changed and set.

또한 제3 압력구간에 해당하는 크기의 힘(굵은 점선 화살표로 표시)으로 감지수단(220)을 가압하면서 드래그를 하게 되면, 화면의 확대율을 변경시키는 신호가 발생되어 화면이 확대되거나 축소된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압력구간에 해당하는 크기의 힘으로 감지수단(220)을 가압하면서 상향으로 드래그하면 화면의 확대율을 증가시키는 신호가 발생되어 화면이 확대되고, 제3 압력구간에 해당하는 크기의 힘으로 감지수단(220)을 가압하면서 하향으로 드래그하면 화면의 확대율을 감소시키는 신호가 발생되어 화면이 축소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향으로 드래그를 하였을 때 화면이 확대되고 하향으로 드래그를 하였을 때 화면이 축소되는 경우만을 설명하고 있으나, 화면을 확대 또는 축소시키기 위한 드래그의 방향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dragging while pressing the sensing means 220 with a force (indicated by a thick dotted arrow) of a size corresponding to the third pressure section, a signal for changing the magnification of the screen is generated to enlarge or reduce the screen. That is, as shown in FIG. 5, when the sensing means 220 is pushed upward while pressing the sensing means 220 with the force corresponding to the third pressure section, a signal for increasing the magnification of the screen is generated, and the screen is enlarged. Dragging downward while pressing the sensing means 220 with a force of a size corresponding to a section, a signal is generated to reduce the magnification of the screen and the screen is reduced. In the present embodiment, only the case where the screen is enlarged when dragging upward and the screen is reduced when dragging downward is described. However, the direction of dragging to enlarge or reduce the screen may be variously changed.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신호입력장치(200)를 이용하면, 똑같이 상향 드래그를 하더라도 감지수단(220)으로의 접촉압력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포인터(110) 이동신호와 화면 이동신호와 화면 확대율 변경신호를 선택적으로 입력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종류의 신호를 보다 간편하게 입력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signal input devic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the pointer 110 movement signal, the screen movement signal, and the screen magnification change signal are adjusted by adjusting the magnitude of the contact pressure to the sensing means 220 even if the drag is performed upward. Since it can be selectively input,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easily input a variety of signals.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감지수단(220)에 드래그를 하였을 때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를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에 의한 신호입력장치(200)는 측방향(감지수단(220)의 표면을 따르는 방향)으로 외력을 인가하였을 때 신호가 입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래그를 통해 신호가 입력되도록 설정되는 경우, 감지수단(220)의 표면(드래그가 수행되는 면)은 드래그가 충분히 이루어질 수 있을 만큼의 충분한 넓이를 갖도록 제작되어야 하므로, 신호입력장치(200)의 소형화에 한계가 발생된다는 단점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한 신호입력장치(200)가 감지수단(220)에 측방향 외력이 인가되었을 때 신호가 입력되도록 구성되면, 감지수단(220)의 표면이 사용자의 손가락이 접촉될 수 있을 만큼의 넓이로만 확보되더라도 전, 후, 좌, 우 등 다양한 방향으로 입력신호를 인가할 수 있으므로, 제품의 소형화에 매우 유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Meanwhile, in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a signal is input when a drag is made to the sensing means 220. However, the signal input devic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lateral direction (direction along the surface of the sensing means 220). When the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signal may be input. 3 to 5, when a signal is set to be input through dragging, the surface of the sensing unit 220 (the surface on which the drag is performed) should be manufactured to have a sufficient width to allow sufficient dragging. Therefore,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a limit occurs in miniaturization of the signal input device 200. However, if the signal input devic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input a signal when a lateral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sensing means 220, the surface of the sensing means 220 may be touched by a user's finger. Even if only the width is secured, the input signal can be applied in various directions such as front, rear, left and right, which is advantageous in miniaturizing the product.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압력구간에 포함되는 크기의 접촉압력으로 감지수단(220)에 드래그를 하였을 때 포인터(110) 이동신호가 발생되고, 제2 압력구간에 포함되는 크기의 접촉압력으로 감지수단(220)에 드래그를 하였을 때 화면 이동신호가 발생되며, 제3 압력구간에 포함되는 크기의 접촉압력으로 감지수단(220)에 드래그를 하였을 때 화면의 확대율 변경신호가 발생되는 경우만을 설명하고 있으나, 각 압력구간에 할당되는 신호의 종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압력구간에 포함되는 크기의 접촉압력으로 감지수단(220)에 드래그를 하였을 때 화면 이동신호가 발생되고, 제2 압력구간에 포함되는 크기의 접촉압력으로 감지수단(220)에 드래그를 하였을 때 화면 확대율 변경신호가 발생되며, 제3 압력구간에 포함되는 크기의 접촉압력으로 감지수단(220)에 드래그를 하였을 때 포인터(110) 이동신호가 발생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embodiment, when dragging the sensing means 220 with the contact pressure of the size included in the first pressure section, a movement signal of the pointer 110 is generated, and with the contact pressure of the size included in the second pressure section. The screen movement signal is generated when a drag is made to the sensing means 220, and only when the magnification change signal of the screen is generated when the drag is made to the sensing means 220 with a contact pressure of a size included in the third pressure section. However, the type of signal allocated to each pressure section may be variously changed. For example, a screen movement signal is generated when a drag is made to the sensing means 220 with the contact pressure of the size included in the first pressure section, and the sensing means 220 with the contact pressure of the size included in the second pressure section. The screen magnification change signal is generated when the drag is applied to the screen, and the movement signal of the pointer 110 may be generated when the drag is applied to the sensing means 220 with the contact pressure having the magnitude included in the third pressure section.

그러나 터치패널 타입의 신호입력장치(200)는 드래그 인가 시 포인터(110)를 이동시키는 것이 가장 기본적인 목적이므로 가장 작은 크기의 접촉압력으로 드래그 되었을 때 즉, 제1 압력구간에 포함되는 크기의 접촉압력으로 감지수단(220)에 드래그가 인가되었을 때 포인터(110) 이동신호가 발생되고, 웹서핑 시 많이 이용되는 화면 이동 및 화면 확대/축소가 간편하게 구현될 수 있도록 제2 압력구간 및 제3 압력구간에 포함되는 크기의 접촉압력으로 감지수단(220)에 드래그가 인가되었을 때 화면 이동신호 및 화면 확대율 변경신호가 발생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However, since the most basic purpose of the touch panel signal input device 200 is to move the pointer 110 when the drag is applied, the contact pressure having the size included in the first pressure section is dragged with the smallest contact pressure. When a drag is applied to the sensing means 220, a movement signal of the pointer 110 is generated, and the second pressure section and the third pressure section are used to easily implement screen movement and screen enlargement / reduction, which are frequently used during web surfing. Preferably, the screen shift signal and the screen magnification change signal are generated when a drag is applied to the sensing means 220 with a contact pressure of a size included in the touch signal.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3개의 압력구간이 설정되어 접촉압력의 크기에 따라 3종류의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만을 설명하고 있으나, 상기 압력구간은 4개 이상으로 설정되어 접촉압력의 크기에 따라 4개 이상의 신호가 입력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 압력구간에 할당되는 입력신호의 종류에 있어서도 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이전 페이지로 돌아가거나 앞선 페이지로 되돌아가기 위한 '페이지 변경신호' 또는 출력되는 음량을 조절하기 위한 '음량조절신호'등 다양한 종류의 입력신호로 대체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ree pressure sections are set so that only three types of signals are input according to the magnitude of the contact pressure. However, the pressure sections are set to four or more and four according to the magnitude of the contact pressure. The above signal can be configured to be input. In addition, the type of input signal allocated to each pressure section is not limited to this embodiment, but the 'page change signal' for returning to the previous page or the previous page or the 'volume control signal for adjusting the output volume. It can be replaced by various kinds of input signals.

또한, 인가되는 외력의 크기 또는 드래그 시 터치압력의 크기가 해당 압력구간 내에서 증감되는 경우, 포인터(110) 이동속도 또는 화면 이동속도 또는 화면 확대율 변경속도가 증감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압력구간에 포함되는 크기의 접촉압력으로 드래그를 할 때, 제1 압력구간에서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접촉압력을 증가시키면 포인터(110)가 보다 빠르게 이동하고, 제1 압력구간에서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접촉압력을 감소시키면 포인터(110)가 보다 천천히 이동하도록 설정되어,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포인터(110)의 이동속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감지수단(220)으로의 접촉압력을 미세하게 조정함으로써 포인터(110) 이동속도 또는 화면 이동속도 또는 화면 확대율 변경속도를 증감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면, 사용편의성이 현저히 향상된다는 이점이 있다.
In addition, when the magnitude of the external force applied or the magnitude of the touch pressure when dragging is increased or decreased within the corresponding pressure section, the pointer 110 may be configured to increase or decrease the moving speed or the screen moving speed or the speed of changing the screen magnification. For example, when dragging with a contact pressure having a size included in the first pressure section, if the contact pressure is increased within a range that does not deviate from the first pressure section, the pointer 110 moves faster and the first pressure section. When the contact pressure is reduced within a range that does not deviate from, the pointer 110 is set to move more slowly, and may be configured to adjust the moving speed of the pointer 110 according to the user's convenience. As such, when the contact pressure to the sensing means 220 is finely adjusted to increase or decrease the pointer 110 moving speed or the screen moving speed or the screen magnification change rate, the convenience of use is significantly improved.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신호입력장치 제2 실시예의 사용상태도이다.6 and 7 are use state diagrams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signal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에서는 제2 감지수단이 외력 또는 터치압력의 크기를 셋 이상의 압력구간(제1 압력구간, 제2 압력구간, 제3 압력구간)으로 각각 구분하여 감지하는 경우를 설명하고 있으나, 상기 제2 감지수단은 외력 또는 터치압력의 크기를 두 개의 압력구간(제1 압력구간, 제2 압력구간)으로 구분하여 감지하거나, 넷 이상의 압력구간으로 각각 구분하여 감지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In the embodiment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to 5, the second sensing unit senses the magnitude of the external force or the touch pressure into three or more pressure sections (first pressure section, second pressure section, and third pressure section). The second sensing means detects the magnitude of the external force or the touch pressure by dividing the pressure into two pressure sections (first pressure section and second pressure section), or separately detects four or more pressure sections. It may be configured to.

이때, 본 발명에 의한 신호입력장치는 외력 또는 터치압력의 크기를 조절하여 클릭신호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압력구간에 해당하는 크기의 터치압력으로 드래그를 하여 포인터를 이동시키다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인터(110)가 파일아이콘(120) 상에 위치되었을 때, 터치압력을 제2 압력구간에 해당하는 크기로 증가시키면(즉, 더 큰 힘으로 감지수단(220)을 누르면), 클릭신호가 발생되어 상기 파일아이콘(120)이 선택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파일아이콘(120)을 선택한 상태에서 드래그를 하는 경우에는, 터치압력의 크기와 상관없이 포인터 이동신호가 발생되는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일아이콘(120)이 포인터(110)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파일아이콘(120)을 선택한 후 드래그를 하여 파일이이콘(120)을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포인터(110) 및 이를 따르는 파일아이콘(120)의 이동속도는 감지수단(220)으로 인가되는 터치압력의 크기에 따라 가변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signal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o generate a click signal by adjusting the magnitude of external force or touch pressure. For example, while moving the pointer by dragging the touch pressure having a size corresponding to the first pressure section, when the pointer 110 is positioned on the file icon 120 as shown in FIG. 6, the touch pressure If is increased to a siz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pressure section (that is, pressing the sensing means 220 with a larger force), a click signal is generated to select the file icon 120. When dragging while the file icon 120 is selected as described above, a pointer movement signal is generated regardless of the magnitude of the touch pressure. As illustrated in FIG. 7, the file icon 120 moves the pointer 110. Move along. In the process of moving the file icon 120 by selecting and dragging the file icon 120, the moving speed of the pointer 110 and the file icon 120 along with the touch icon is applied to the sensing means 220. It may be set to vary according to the size.

한편, 클릭신호는 클릭버튼을 누를 때 발생되는 키다운(key-down) 신호와 눌렀던 클릭버튼에서 손을 뗄때 발생되는 키업(key-up) 신호로 구분되는바, 상기와 같이 감지수단(220)을 더 큰 힘으로 눌렀을 때에는 즉, 제2 압력구간에 해당되는 터치압력을 가하였을 때에는 클릭신호 중 키다운(key-down) 신호가 발생되고, 키다운(key-down) 신호가 발생된 상태에서 감지수단(220)을 눌렀던 손을 떼면 즉, 인가되고 있던 터치압력이 해제되면, 키업(key-up) 신호가 발생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물론, 감지수단(220)으로부터 손을 완전하게 떼지 아니하고 감지수단(220)에 인가되고 있던 터치압력이 설정치 미만으로 감소되었을 때 키업(key-up) 신호가 발생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lick signal is divided into a key-down signal generated when the click button is pressed and a key-up signal generated when the user releases the clicked button, as described above. ) When a larger force is pressed, that is, when a touch pressur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pressure section is applied, a key-down signal is generated among the click signals, and a key-down signal is generated. When the sensing means 220 is released from the hand, that is, when the applied touch pressure is released, a key-up signal may be generated. Of course, the key-up signal may be generated when the touch pressure applied to the sensing means 220 is reduced below the set value without completely removing the hand from the sensing means 220.

이와 같이 감지수단(220)으로 인가하는 터치압력의 크기를 조절하여 키다운(key-down) 신호 및 키업(key-up)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면, 도 7에 도시된 상태에서 조금 더 드래그를 하여 파일아이콘(120)을 폴더(130) 상에 위치시킨 후 터치압력을 해제 또는 감소시켰을 때 키업(key-up) 신호가 발생되는바, 상기 파일아이콘(120)은 폴더(130)에 저장된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신호입력장치가 키다운(key-down) 신호 및 키업(key-up)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면, 감지수단(220)으로 인가하는 터치압력의 크기를 조절해 가면서 드래그하는 조작만으로 드래그 앤 드롭 등을 자유롭게 구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In this way, if the touch pressure applied to the sensing means 220 is configured to generate a key-down signal and a key-up signal, a little more in the state shown in FIG. 7. When the file icon 120 is placed on the folder 130 by dragging, a key-up signal is generated when the touch pressure is released or reduced. The file icon 120 is connected to the folder 130. Stored. That is, when the signal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generate a key-down signal and a key-up signal, while adjusting the magnitude of the touch pressure applied to the sensing means 220.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drag and drop can be freely implemented by only dragging.

한편, 터치압력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포인터 이동신호 및 클릭신호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경우에 있어서도, 인가된 외력 또는 터치압력이 상기 제1 압력구간 이내에서 증감되면 포인터 이동속도가 증감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even when configured to generate a pointer movement signal and a click signal by adjusting the magnitude of the touch pressure, the pointer movement speed may be increased or decreased when the applied external force or touch pressure is increased or decreased within the first pressure section. have.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신호입력장치(200) 제3 실시예의 수직단면도이다.8 is a vertical sectional view of a third embodiment of a signal input devic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상기 감지수단(22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준 위치(예를 들어 제1 감지수단(222)의 관통공 중심점)를 중심으로부터 일측방향으로 이격된 지점에 외력이 인가되었을 때, 기준 위치로부터 외력이 인가된 지점을 향하는 방향으로 포인터(110)를 이동시키거나 화면을 이동시키고, 기준 위치로부터 어느 방향으로 이격된 지점에 외력이 인가되는지에 따라 화면을 확대 또는 축소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감지수단(224)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인가되는 외력의 크기를 감지하여 포인터(110) 이동신호와 화면 이동신호와 화면 확대율 변경신호 중 어느 신호를 발생시킬 것인지를 선정하도록 구성되어야 할 것이다.In addition, the sensing means 220, as shown in Figure 8 when the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a point away from the center in one direction from the reference position (for example, the center of the through hole of the first sensing means 222), Move the pointer 110 or move the screen in a direction from the reference position toward the point where the external force is applied, and enlarge or reduce the screen according to which direction the external force is applied from the reference position. Can be. In this case, the second detecting unit 224 detects the magnitude of the applied external force, as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1 to 5, and outputs any signal among the pointer 110 movement signal, the screen movement signal, and the screen magnification change signal. It should be configured to choose whether to generate it.

즉, 본 발명에 의한 신호입력장치(200)는, 인가되는 외력 또는 터치가 기준 위치에서 어느 방향으로 이격된 지점에 발생되는지를 감지하는 제1 감지수단(222)과, 인가되는 외력의 크기 또는 터치압력의 크기를 셋 이상의 압력구간으로 구분하여 감지하는 제2 감지수단(224)을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외력 또는 터치 인가지점이 기준 위치로부터 어느 방향으로 이격되었는지에 따라 방향성을 갖는 신호를 발생시키되, 인가되는 외력의 크기 또는 터치압력의 크기가 서로 다른 종류의 압력구간에 속하는 경우, 서로 다른 종류의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That is, the signal input devic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sensing means 222 for detecting at which point the external force or touch is generated at a point spaced from the reference position, and the magnitude of the external force applied or the like.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second sensing means 224 for detecting the magnitude of the touch pressure divided into three or more pressure intervals, generating a signal having a directionality depending on which direction the external force or the touch application point is separated from the reference position When the magnitude of the applied external force or the magnitude of the touch pressure belongs to different kinds of pressure sections, the signals may be generated to generate different kinds of signals.

상기 감지수단(220)이 이와 같이 구성되는 경우, 수평방향의 외력을 감지할 필요 없이 제1 감지수단(222)의 관통공 중심점을 기준 위치로 하여 링 형상의 제1 감지수단(222)의 특정 위치를 상하 방향으로 누르는 힘만을 감지함으로써, 포인터(110) 이동신호와 화면 이동신호와 화면 확대율 변경신호 중 사용자가 원하는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1 감지수단(222)과 제2 감지수단(224)이 적층된 지점에 수직외력과 수평외력을 각각 별도로 인가하거나 일방향으로 경사진 외력을 가할 필요 없이, 자신이 원하는 방향으로 치우친 지점에 수직외력을 가하는 동작만으로 방향성을 갖는 입력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고, 상기 수직외력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입력신호의 종류를 간편하게 선택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When the sensing means 220 is configured in this manner, the ring-shaped first sensing means 222 is specified by using the center point of the through hole of the first sensing means 222 as a reference position without having to sense external forc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y detecting only the force pushing the position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the user can generate a desired signal among the pointer 110 movement signal, the screen movement signal, and the screen magnification change signal. Therefore, the user does not need to separately apply the vertical external force and the horizontal external force to the point where the first sensing means 222 and the second sensing means 224 are stacked, or apply an external force that is inclined in one direction. An input signal having a directionality can be generated only by applying a vertical external force to the device, and the type of the input signal can be easily selected by adjusting the magnitude of the vertical external force.

이때, 각 압력구간 별로 할당되는 입력신호의 종류는 상기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다양하게 변경 및 대체될 수 있고, 인가되는 외력의 크기 또는 터치압력의 크기가 해당 압력구간 내에서 증감되는 경우 포인터(110) 이동속도 또는 화면 이동속도 또는 화면 확대율 변경속도가 증감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type of input signal allocated to each pressure section may be changed and replaced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embodimen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5, and the magnitude of the applied external force or the magnitude of the touch pressure corresponds to the corresponding pressure section. When it is increased or decreased within the pointer 110, the movement speed or the screen movement speed or the screen magnification rate change speed may be increased or decreased.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신호입력장치(200) 제4 실시예의 사용상태도이다.9 and 10 are use state diagrams of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signal input devic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의한 신호입력장치(200)는 디스플레이장치(100)에 포함되도록 즉, 터치스크린에 접목될 수 있다.The signal input devic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cluded in the display device 100, that is, the touch screen may be incorporated.

일반적으로 터치스크린은 사용자가 터치를 한 지점에 위치한 선택대상이 자동으로 선택 및 실행되므로 포인터(110)가 필요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신호입력장치(200)가 터치스크린에 접목되는 경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비교적 작은 크기의 터치압력으로 터치스크린의 표면을 드래그하였을 때 화면이 이동되고,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비교적 큰 크기의 터치압력으로 터치스크린의 표면을 드래그하였을 때 화면이 확대/축소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general, the touch screen is most often the case that the pointer 110 is not necessary because the selection target located at the point where the user touched is automatically selected and executed. Therefore, when the signal input devic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the touch screen as described above, the screen is moved when the user drags the surface of the touch screen with a relatively small touch pressure as shown in FIG. 9. 10, the screen may be enlarged / reduced when the user drags the surface of the touch screen with a relatively large touch pressure.

또한, 제2 감지수단(224)이 인가되는 외력의 크기 또는 터치압력의 크기를 3개의 압력구간으로 구분하여 감지하는 경우, 외력의 크기 또는 터치압력의 크기가 해당되는 압력구간의 종류에 따라 화면 이동신호와 화면 확대율 변경신호와 페이지 변경신호 중 어느 하나의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각 압력구간에 할당되는 신호의 종류는 자유롭게 변경 및 대체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second sensing unit 224 detects the magnitude of the external force or the touch pressure applied to the three pressure sections, the screen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pressure section corresponds to the magnitude of the external force or the touch pressure. The signal may be configured to generate one of a movement signal, a screen magnification change signal, and a page change signal. Of course, the type of signal allocated to each pressure section may be freely changed and replaced.

이때, 상기 3 종류의 신호 중에서는 화면 이동신호가 가장 많이 사용되는바, 인가되는 외력의 크기 또는 드래그 시 터치압력의 크기가 제1 압력구간에 해당되면 화면 이동신호를 발생시키고, 인가되는 외력의 크기 또는 드래그 시 터치압력의 크기가 제2 압력구간에 해당되면 화면 확대율 변경신호와 페이지 변경신호 중 어느 하나의 신호를 발생시키며, 인가되는 외력의 크기 또는 드래그 시 터치압력의 크기가 제3 압력구간에 해당되면 화면 확대율 변경신호와 페이지 변경신호 중 다른 하나의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인가되는 외력의 크기 또는 드래그 시 터치압력의 크기에 따라 화면 이동신호 또는 화면 확대율 변경신호가 발생되는 경우,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인가되는 외력의 크기 또는 드래그 시 터치압력의 크기가 해당 압력구간 내에서 증감되면 화면 이동속도 또는 화면 확대율 변경속도가 증감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In this case, among the three types of signals, the screen movement signal is used the most. When the magnitude of the external force applied or the magnitude of the touch pressure during the drag corresponds to the first pressure section, the screen movement signal is generated, and If the magnitude of the touch pressure during the size or drag corresponds to the second pressure section, one of the screen magnification change signal and the page change signal is generated, and the magnitude of the applied external force or the touch pressure at the time of dragging is the third pressure section.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o be configured to generate the other one of the screen magnification change signal and the page change signal. In addition, when the screen movement signal or the screen magnification change signal is generat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external force or the touch pressure when dragging, the same as the embodimen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When the magnitude of the touch pressure is increased or decreased within the corresponding pressure section, the screen movement speed or the screen magnification change rate may be increased or decreased.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신호입력장치(200) 제5 실시예의 사용상태도이다.11 is a use state diagram of the fifth embodiment of the signal input devic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의한 신호입력장치(20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모콘(300)에 적용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신호입력장치(200)가 리모콘(300)에 적용되면, 사용자가 감지수단(220)에 외력을 인가하거나 또는 드래그하였을 때 외력의 크기 또는 접촉압력의 크기에 따라, 채널변경신호와 음량조절신호와 전원 ON/OFF 신호 등 멀티미디어 재생과 관련된 다양한 종류의 신호가 발생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signal input devic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lied to the remote controller 300 as shown in FIG. 11. When the signal input devic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the remote controller 300 as described above, when the user applies or drags an external force to the sensing means 220, the channel is changed according to the magnitude of the external force or the magnitude of the contact pressure. Various types of signals related to multimedia playback, such as signals, volume control signals, and power ON / OFF signals, may be generated.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신호입력장치(200) 제6 실시예의 사용상태도이다.12 is a state diagram of use of the sixth embodiment of a signal input devic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의한 신호입력장치(200)는, 외력이 인가되는 지점 또는 드래그가 발생되는 지점이 둘 이상인 경우, 외력이 인가되는 지점 또는 드래그가 발생되는 지점이 하나인 경우에 발생될 수 있는 신호와 다른 종류의 신호가 발생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신호입력장치(20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손가락으로 외력을 가하거나 드래그를 하였을 때, 도 1 내지 도 11에 도시된 실시예처럼 하나의 손가락으로 외력을 가하거나 드래그를 하였을 때에는 발생시킬 수 없는 전혀 다른 종류의 입력신호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두 개의 손가락으로 외력을 가하거나 드래그를 하는 경우, 화면의 밝기조절 신호나 화면 회전신호나 음량조절신호 등 전혀 새로운 종류의 신호가 입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signal input devic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ignal that may be generated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or a point at which two drags are generated. It can be configured to generate other kinds of signals. That is, in the signal input devic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external force is applied or dragged with two fingers as shown in FIG. 12, the external force is applied with one finger as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1 to 11. It can be configured to generate a completely different type of input signal that cannot be generated when applying or dragging. For example,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or dragged by two fingers, an entirely new kind of signal such as a brightness control signal, a screen rotation signal or a volume control signal of the screen may be input.

또한 도면으로는 도시되지 아니하고 있으나, 드래그를 인가할 때 신호가 발생되는 경우 상기 드래그의 경로 형상에 따라 상이한 종류의 신호가 발생되도록 즉, 드래그의 경로가 직선인지 곡선인지 꺾은선인지에 따라 상이한 종류의 신호가 발생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물론, 이와 같이 드래그의 경로 형상에 따라 상이한 종류의 신호가 발생되는 경우에 있어서도, 드래그 시 접촉압력의 크기에 따라 발생되는 신호의 종류가 다르게 선택되어야 할 것이다.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when a signal is generated when a drag is applied, a different kind of signal is generate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path of the drag, that is, a different kind depending on whether the path of the drag is a straight line, a curved line, or a broken line. May be configured to generate a signal of. Of course, even in the case where a different kind of signal is generate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drag path, the kind of signal generated according to the magnitude of the contact pressure during the drag should be selected differently.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As mentioned above, although this invention was demonstrated in detail using the preferable embodimen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embodiment, Comprising: It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attached Claim. In addi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should understand that many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디스플레이장치 110 : 포인터
200 : 신호입력장치 210 : 하우징
220 : 감지수단 222 : 제1 감지수단
224 : 제2 감지수단 300 : 리모콘
100: display device 110: pointer
200: signal input device 210: housing
220: detection means 222: first detection means
224: second detection means 300: remote control

Claims (30)

인가되는 외력의 방향 또는 드래그 방향을 감지하는 제1 감지수단과, 인가되는 외력의 크기 또는 드래그 시 터치압력의 크기를 둘 이상의 압력구간으로 구분하여 감지하는 제2 감지수단을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외력 또는 드래그가 인가되었을 때 신호를 발생시키되, 인가되는 외력의 크기 또는 터치압력의 크기가 어느 압력구간에 속하는 지를 판단하여, 해당 압력구간에 할당된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입력장치.
It comprises a first sensing means for sensing the direction or drag direction of the applied external force, and the second sensing means for detecting the magnitude of the applied external force or the magnitude of the touch pressure at the time of dragging into two or more pressure intervals,
And generating a signal when an external force or a drag is applied, and determining which pressure section the magnitude of the applied external force or the touch pressure belongs to and generating a signal assigned to the corresponding pressure s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둘 이상의 압력구간에는 제1 압력구간과 제2 압력구간이 포함되고, 상기 제1 압력구간에는 포인터 이동신호가 할당되며, 상기 제2 압력구간에는 클릭신호가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입력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at least two pressure sections include a first pressure section and a second pressure section, a pointer movement signal is assigned to the first pressure section, and a click signal is assigned to the second pressure section.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압력구간에는 클릭신호 중 키다운(key-down) 신호가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입력장치.
The method of claim 2,
And a key-down signal of the click signal is assigned to the second pressure sectio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키다운(key-down) 신호가 발생된 상태에서 드래그가 인가되는 경우, 인가되는 외력의 크기 또는 드래그 시 터치압력의 크기와 상관없이 포인터 이동신호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입력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n the drag is applied in the state where the key-down signal is generated, the signal input,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generate a pointer movement signal irrespective of the magnitude of the external force applied or the magnitude of the touch pressure during dragging. Devic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키다운(key-down) 신호가 발생된 상태에서, 인가되고 있던 외력 또는 터치압력이 해제되거나 설정치 미만으로 감소되는 경우, 클릭신호 중 키업(key-up)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입력장치.
The method of claim 3,
A signal characterized in that for generating a key-up signal of the click signal when the applied external force or touch pressure is released or reduced below the set value while the key-down signal is generated. Input device.
제2항에 있어서,
인가된 외력 또는 터치압력이 상기 제1 압력구간 이내에서 증감되면, 포인터 이동속도가 증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입력장치.
The method of claim 2,
And when the applied external force or touch pressure is increased or decreased within the first pressure section, the pointer movement speed is increased or decreased.
인가되는 외력의 방향 또는 드래그 방향을 감지하는 제1 감지수단과, 인가되는 외력의 크기 또는 드래그 시 터치압력의 크기를 셋 이상의 압력구간으로 구분하여 감지하는 제2 감지수단을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제1 감지수단에 인가되는 외력의 방향 또는 드래그 방향을 따라 방향성을 갖는 신호를 발생시키되, 인가되는 외력의 크기 또는 터치압력의 크기가 어느 압력구간에 속하는 지를 판단하여, 해당 압력구간에 할당된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입력장치.
It comprises a first sensing means for sensing the direction or drag direction of the applied external force, and the second sensing means for detecting the magnitude of the applied external force or the magnitude of the touch pressure when dragging into three or more pressure intervals,
Generates a signal having a directionality in the direction or drag direction of the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first sensing means, and determines which pressure section the magnitude of the applied external force or touch pressure belongs to the pressure section, Signal inpu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generating a signal.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셋 이상의 압력구간에는 포인터 이동신호와 화면 이동신호와 화면 확대율 변경신호 중 어느 하나의 신호가 각각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입력장치.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And at least one signal of a pointer movement signal, a screen movement signal, and a screen magnification change signal is allocated to the three or more pressure sections.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구간은 압력의 크기에 따라 오름차순으로 제1 압력구간과 제2 압력구간과 제3 압력구간으로 구분되되,
상기 제1 압력구간에는 포인터 이동신호가 할당되고, 상기 제2 압력구간에는 화면 이동신호와 화면 확대율 변경신호 중 어느 하나의 신호가 할당되며, 상기 제3 압력구간에는 화면 이동신호와 화면 확대율 변경신호 중 다른 하나의 신호가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입력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The pressure section is divided into the first pressure section, the second pressure section and the third pressure section in ascending order according to the magnitude of the pressure,
A pointer movement signal is allocated to the first pressure section, and a signal of a screen movement signal and a screen magnification change signal is allocated to the second pressure section, and a screen movement signal and a screen magnification change signal are assigned to the third pressure section. Signal inpu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other one of the signals are assigned.
제8항에 있어서,
인가되는 외력 또는 터치압력의 크기가 해당 압력구간 내에서 증감되는 경우, 포인터 이동속도 또는 화면 이동속도 또는 화면 확대율 변경속도가 증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입력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And when the magnitude of the applied external force or touch pressure is increased or decreased within the corresponding pressure section, the pointer movement speed or screen movement speed or screen magnification change rate is increased or decreased.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셋 이상의 압력구간에는 포인터 이동신호와 화면 이동신호와 클릭신호 중 어느 하나의 신호가 각각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입력장치.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And at least one of a pointer movement signal, a screen movement signal, and a click signal is allocated to the three or more pressure sections.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셋 이상의 압력구간 중 어느 하나의 압력구간에는 클릭신호 중 키다운(key-down) 신호가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입력장치.
The method of claim 11,
And a key-down signal of a click signal is assigned to any one of the three or more pressure sections.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키다운(key-down) 신호가 발생된 상태에서 드래그가 인가되는 경우, 인가되는 외력의 크기 또는 드래그 시 터치압력의 크기와 상관없이 포인터 이동신호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입력장치.
The method of claim 12,
When the drag is applied in the state where the key-down signal is generated, the signal input,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generate a pointer movement signal irrespective of the magnitude of the external force applied or the magnitude of the touch pressure during dragging. Device.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키다운(key-down) 신호가 발생된 상태에서, 인가되고 있던 외력 또는 터치압력이 해제되거나 설정치 미만으로 감소되는 경우, 클릭신호 중 키업(key-up)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입력장치.
The method of claim 12,
A signal characterized in that for generating a key-up signal of the click signal when the applied external force or touch pressure is released or reduced below the set value while the key-down signal is generated. Input devic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포인터 이동신호 또는 화면 이동신호가 발생될 때, 인가된 외력 또는 터치압력이 해당 압력구간 범위 내에서 증감되면, 포인터 이동속도 또는 화면 이동속도가 증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입력장치.
The method of claim 11,
When the pointer movement signal or the screen movement signal is generated, if the applied external force or touch pressure is increased or decreased within the pressure range, the pointer movement speed or the screen movement speed is increased or decreased.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셋 이상의 압력구간에는 화면 이동신호와 화면 확대율 변경신호와 페이지 변경신호 중 어느 하나의 신호가 각각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입력장치.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And at least one signal of a screen movement signal, a screen magnification change signal, and a page change signal is allocated to the three or more pressure sections.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구간은 압력의 크기에 따라 오름차순으로 제1 압력구간과 제2 압력구간과 제3 압력구간으로 구분되되,
인가되는 외력의 크기 또는 드래그 시 터치압력의 크기가 제1 압력구간에 해당되면 화면 이동신호를 발생시키고, 인가되는 외력의 크기 또는 드래그 시 터치압력의 크기가 제2 압력구간에 해당되면 화면 확대율 변경신호와 페이지 변경신호 중 어느 하나의 신호를 발생시키며, 인가되는 외력의 크기 또는 드래그 시 터치압력의 크기가 제3 압력구간에 해당되면 화면 확대율 변경신호와 페이지 변경신호 중 다른 하나의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입력장치.
17. The method of claim 16,
The pressure section is divided into the first pressure section, the second pressure section and the third pressure section in ascending order according to the magnitude of the pressure,
If the magnitude of the applied external force or the touch pressure during the drag corresponds to the first pressure section, a screen movement signal is generated. If the magnitude of the applied external force or the touch pressure during the drag corresponds to the second pressure section, the screen magnification is changed. Signal or page change signal, and when the magnitude of the external force applied or the magnitude of touch pressure when dragging corresponds to the third pressure section, the other signal of the screen magnification change signal and the page change signal is generated. Signal inpu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제16항에 있어서,
인가되는 외력의 크기 또는 드래그 시 터치압력의 크기에 따라 화면 이동신호 또는 화면 확대율 변경신호가 발생되는 경우, 인가되는 외력의 크기 또는 드래그 시 터치압력의 크기가 해당 압력구간 내에서 증감되면 화면 이동속도 또는 화면 확대율 변경속도가 증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입력장치.
17. The method of claim 16,
When the screen movement signal or the screen magnification change signal is generated according to the magnitude of the applied external force or the touch pressure during dragging, the screen movement speed when the magnitude of the applied external force or the magnitude of the touch pressure increases or decreases within the corresponding pressure range during dragging. Or a change rate of the screen magnification is increased or decreased.
제7항에 있어서,
드래그가 인가됨에 따라 신호가 발생되는 경우, 상기 드래그의 경로 형상에 따라 상이한 종류의 신호가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입력장치.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When a signal is generated as the drag is applied, a signal inpu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 different kind of signal is generated according to the path shape of the drag.
제7항에 있어서,
외력이 인가되는 지점 또는 드래그가 발생되는 지점이 둘 이상인 경우, 외력이 인가되는 지점 또는 드래그가 발생되는 지점이 하나인 경우에 발생될 수 있는 신호와 다른 종류의 신호가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입력장치.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In the case where two or more points at which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or a point at which a drag is generated are generated, a signal which is different from a signal which may be generated when a point at which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or a point at which a drag is generated is generated. Input device.
인가되는 외력 또는 터치가 기준 위치에서 어느 방향으로 이격된 지점에 발생되는지를 감지하는 제1 감지수단과, 인가되는 외력의 크기 또는 터치압력의 크기를 셋 이상의 압력구간으로 구분하여 감지하는 제2 감지수단을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외력 또는 터치 인가지점이 기준 위치로부터 어느 방향으로 이격되었는지에 따라 방향성을 갖는 신호를 발생시키되, 인가되는 외력의 크기 또는 터치압력의 크기가 어느 압력구간에 속하는 지를 판단하여, 해당 압력구간에 할당된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입력장치.
First sensing means for sensing whether the applied external force or touch is generated in a direction spaced apart from the reference position, and the second sensing for detecting the magnitude of the applied external force or the touch pressure divided into three or more pressure intervals Configured to include means,
Generates a signal having a directionality depending on which direction the external force or the touch application point is spaced from the reference position, and determines the pressure section to which the magnitude of the applied external force or touch pressure belongs, Signal inpu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generating a signal.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셋 이상의 압력구간에는 포인터 이동신호와 화면 이동신호와 화면 확대율 변경신호 중 어느 하나의 신호가 각각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입력장치.
The method of claim 21,
And at least one signal of a pointer movement signal, a screen movement signal, and a screen magnification change signal is allocated to the three or more pressure sections.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구간은 압력의 크기에 따라 오름차순으로 제1 압력구간과 제2 압력구간과 제3 압력구간으로 구분되되,
상기 제1 압력구간에는 포인터 이동신호가 할당되고, 상기 제2 압력구간에는 화면 이동신호와 화면 확대율 변경신호 중 어느 하나의 신호가 할당되며, 상기 제3 압력구간에는 화면 이동신호와 화면 확대율 변경신호 중 다른 하나의 신호가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입력장치.
The method of claim 22,
The pressure section is divided into the first pressure section, the second pressure section and the third pressure section in ascending order according to the magnitude of the pressure,
A pointer movement signal is allocated to the first pressure section, and a signal of a screen movement signal and a screen magnification change signal is allocated to the second pressure section, and a screen movement signal and a screen magnification change signal are assigned to the third pressure section. Signal inpu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other one of the signals are assigned.
제22항에 있어서,
인가되는 외력의 크기 또는 터치압력의 크기가 해당 압력구간 내에서 증감되는 경우, 포인터 이동속도 또는 화면 이동속도 또는 화면 확대율 변경속도가 증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입력장치.
The method of claim 22,
And when the magnitude of the applied external force or the magnitude of the touch pressure is increased or decreased within the corresponding pressure section, the pointer movement speed or the screen movement speed or the screen magnification change speed is increased or decreased.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셋 이상의 압력구간에는 화면 이동신호와 화면 확대율 변경신호와 페이지 변경신호 중 어느 하나의 신호가 각각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입력장치.
The method of claim 21,
And at least one signal of a screen movement signal, a screen magnification change signal, and a page change signal is allocated to the three or more pressure sections.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구간은 압력의 크기에 따라 오름차순으로 제1 압력구간과 제2 압력구간과 제3 압력구간으로 구분되되,
상기 제1 압력구간에는 화면 이동신호가 할당되고, 상기 제2 압력구간에는 화면 확대율 변경신호와 페이지 이동신호 중 어느 하나의 신호가 할당되며, 상기 제3 압력구간에는 화면 확대율 변경신호와 페이지 이동신호 중 다른 하나의 신호가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입력장치.
26. The method of claim 25,
The pressure section is divided into the first pressure section, the second pressure section and the third pressure section in ascending order according to the magnitude of the pressure,
A screen shift signal is allocated to the first pressure section, and a signal of a screen magnification change signal and a page shift signal is allocated to the second pressure section, and a screen magnification change signal and a page shift signal are assigned to the third pressure section. Signal inpu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other one of the signals are assigned.
제25항에 있어서,
화면 이동신호 또는 화면 확대율 변경신호가 발생되는 경우, 인가되는 외력의 크기 또는 터치압력의 크기가 해당 압력구간 내에서 증감되면 화면 이동속도 또는 화면 확대율 변경속도가 증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입력장치.
26. The method of claim 25,
When the screen movement signal or the screen magnification change signal is generated, when the magnitude of the applied external force or touch pressure is increased or decreased within the corresponding pressure section, the screen movement speed or the screen magnification rate change speed is increased or decreased.
제1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외력이 인가되는 지점 또는 터치 지점이 둘 이상인 경우, 외력이 인가되는 지점 또는 터치 지점이 하나인 경우에 발생될 수 있는 신호와 다른 종류의 신호가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입력장치.
28.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27,
When there are two or more points or touch points to which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a signal inpu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 signal of a different type is generated than a signal that may be generated when there is one point or touch point to which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제1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감지수단과 제2 감지수단은 적층 구조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입력장치.
28.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27,
And the first and second sensing means are combined in a stacked structure.
제1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감지수단과 제2 감지수단은 일체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입력장치.
28.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27,
The first sensing means and the second sensing means is a signal inpu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manufactured.
KR1020110054597A 2011-06-07 2011-06-07 Touch panel type signal input device KR2012013572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4597A KR20120135723A (en) 2011-06-07 2011-06-07 Touch panel type signal input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4597A KR20120135723A (en) 2011-06-07 2011-06-07 Touch panel type signal input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5723A true KR20120135723A (en) 2012-12-17

Family

ID=479033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4597A KR20120135723A (en) 2011-06-07 2011-06-07 Touch panel type signal input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35723A (en)

Cited B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34453A (en) * 2013-05-14 2014-11-24 삼성전자주식회사 Input apparatus,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50093813A (en) * 2012-12-29 2015-08-18 애플 인크.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transitioning between touch input to display output relationships
WO2017026570A1 (en) * 2015-08-11 2017-02-16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for
WO2018143744A1 (en) * 2017-02-03 2018-08-09 주식회사 하이딥 Touch sens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creen thereof
JP2019003297A (en) * 2017-06-12 2019-01-10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User interface device, display control method and program
US10303354B2 (en) 2015-06-07 2019-05-28 Apple Inc. Devices and methods for navigating between user interfaces
US10338772B2 (en) 2015-03-08 2019-07-02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manipulating user interface objects with visual and/or haptic feedback
US10346030B2 (en) 2015-06-07 2019-07-09 Apple Inc. Devices and methods for navigating between user interfaces
US10387029B2 (en) 2015-03-08 2019-08-20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displaying and using menus
US10402073B2 (en) 2015-03-08 2019-09-03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interacting with a control object while dragging another object
US10416800B2 (en) 2015-08-10 2019-09-17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adjusting user interface objects
US10437333B2 (en) 2012-12-29 2019-10-08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forgoing generation of tactile output for a multi-contact gesture
US10455146B2 (en) 2015-06-07 2019-10-22 Apple Inc. Devices and methods for capturing and interacting with enhanced digital images
US10481690B2 (en) 2012-05-09 2019-11-19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providing tactile feedback for media adjustment operations performed in a user interface
US10496260B2 (en) 2012-05-09 2019-12-03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pressure-based alteration of controls in a user interface
US10592041B2 (en) 2012-05-09 2020-03-17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transitioning between display states in response to a gesture
US10599331B2 (en) 2015-03-19 2020-03-24 Apple Inc. Touch input cursor manipulation
US10613634B2 (en) 2015-03-08 2020-04-07 Apple Inc. Device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media presentation
US10620781B2 (en) 2012-12-29 2020-04-14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oving a cursor according to a change in an appearance of a control icon with simulated three-dimensional characteristics
US10698598B2 (en) 2015-08-10 2020-06-30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manipulating user interface objects with visual and/or haptic feedback
US10775999B2 (en) 2012-05-09 2020-09-15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displaying user interface objects corresponding to an application
US10775994B2 (en) 2012-05-09 2020-09-15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oving and dropping a user interface object
US10782871B2 (en) 2012-05-09 2020-09-22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providing feedback for changing activation states of a user interface object
US10884608B2 (en) 2015-08-10 2021-01-05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content navigation and manipulation
US10884591B2 (en) 2012-05-09 2021-01-05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selecting object within a group of objects
US10908808B2 (en) 2012-05-09 2021-02-02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in response to a user contact
US10915243B2 (en) 2012-12-29 2021-02-09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adjusting content selection
US10969945B2 (en) 2012-05-09 2021-04-06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selecting user interface objects
US11010027B2 (en) 2012-05-09 2021-05-18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anipulating framed graphical objects
US11023116B2 (en) 2012-05-09 2021-06-01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oving a user interface object based on an intensity of a press input
US11182017B2 (en) 2015-08-10 2021-11-23 Apple Inc. Devices and methods for processing touch inputs based on their intensities
US11231831B2 (en) 2015-06-07 2022-01-25 Apple Inc. Devices and methods for content preview based on touch input intensity
US11240424B2 (en) 2015-06-07 2022-02-01 Apple Inc. Devices and methods for capturing and interacting with enhanced digital images

Cited By (5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08808B2 (en) 2012-05-09 2021-02-02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in response to a user contact
US10592041B2 (en) 2012-05-09 2020-03-17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transitioning between display states in response to a gesture
US11947724B2 (en) 2012-05-09 2024-04-02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providing tactile feedback for operations performed in a user interface
US11354033B2 (en) 2012-05-09 2022-06-07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anaging icons in a user interface region
US11314407B2 (en) 2012-05-09 2022-04-26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providing feedback for changing activation states of a user interface object
US11221675B2 (en) 2012-05-09 2022-01-11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providing tactile feedback for operations performed in a user interface
US11068153B2 (en) 2012-05-09 2021-07-20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displaying user interface objects corresponding to an application
US11023116B2 (en) 2012-05-09 2021-06-01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oving a user interface object based on an intensity of a press input
US11010027B2 (en) 2012-05-09 2021-05-18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anipulating framed graphical objects
US10996788B2 (en) 2012-05-09 2021-05-04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transitioning between display states in response to a gesture
US10775999B2 (en) 2012-05-09 2020-09-15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displaying user interface objects corresponding to an application
US10969945B2 (en) 2012-05-09 2021-04-06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selecting user interface objects
US10481690B2 (en) 2012-05-09 2019-11-19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providing tactile feedback for media adjustment operations performed in a user interface
US10942570B2 (en) 2012-05-09 2021-03-09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providing tactile feedback for operations performed in a user interface
US10782871B2 (en) 2012-05-09 2020-09-22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providing feedback for changing activation states of a user interface object
US10496260B2 (en) 2012-05-09 2019-12-03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pressure-based alteration of controls in a user interface
US10884591B2 (en) 2012-05-09 2021-01-05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selecting object within a group of objects
US10775994B2 (en) 2012-05-09 2020-09-15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oving and dropping a user interface object
US10915243B2 (en) 2012-12-29 2021-02-09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adjusting content selection
US10620781B2 (en) 2012-12-29 2020-04-14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oving a cursor according to a change in an appearance of a control icon with simulated three-dimensional characteristics
KR20150093813A (en) * 2012-12-29 2015-08-18 애플 인크.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transitioning between touch input to display output relationships
US10437333B2 (en) 2012-12-29 2019-10-08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forgoing generation of tactile output for a multi-contact gesture
US10437378B2 (en) 2013-05-14 2019-10-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Input apparatus,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which receives an input to an input area of the input apparatus which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areas by using the input apparatus including a touch sensor
KR20140134453A (en) * 2013-05-14 2014-11-24 삼성전자주식회사 Input apparatus,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0860177B2 (en) 2015-03-08 2020-12-08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manipulating user interface objects with visual and/or haptic feedback
US10402073B2 (en) 2015-03-08 2019-09-03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interacting with a control object while dragging another object
US11977726B2 (en) 2015-03-08 2024-05-07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interacting with a control object while dragging another object
US11112957B2 (en) 2015-03-08 2021-09-07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interacting with a control object while dragging another object
US10338772B2 (en) 2015-03-08 2019-07-02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manipulating user interface objects with visual and/or haptic feedback
US10613634B2 (en) 2015-03-08 2020-04-07 Apple Inc. Device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media presentation
US10387029B2 (en) 2015-03-08 2019-08-20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displaying and using menus
US11550471B2 (en) 2015-03-19 2023-01-10 Apple Inc. Touch input cursor manipulation
US10599331B2 (en) 2015-03-19 2020-03-24 Apple Inc. Touch input cursor manipulation
US11054990B2 (en) 2015-03-19 2021-07-06 Apple Inc. Touch input cursor manipulation
US10455146B2 (en) 2015-06-07 2019-10-22 Apple Inc. Devices and methods for capturing and interacting with enhanced digital images
US11231831B2 (en) 2015-06-07 2022-01-25 Apple Inc. Devices and methods for content preview based on touch input intensity
US10841484B2 (en) 2015-06-07 2020-11-17 Apple Inc. Devices and methods for capturing and interacting with enhanced digital images
US10346030B2 (en) 2015-06-07 2019-07-09 Apple Inc. Devices and methods for navigating between user interfaces
US11835985B2 (en) 2015-06-07 2023-12-05 Apple Inc. Devices and methods for capturing and interacting with enhanced digital images
US11681429B2 (en) 2015-06-07 2023-06-20 Apple Inc. Devices and methods for capturing and interacting with enhanced digital images
US10705718B2 (en) 2015-06-07 2020-07-07 Apple Inc. Devices and methods for navigating between user interfaces
US11240424B2 (en) 2015-06-07 2022-02-01 Apple Inc. Devices and methods for capturing and interacting with enhanced digital images
US10303354B2 (en) 2015-06-07 2019-05-28 Apple Inc. Devices and methods for navigating between user interfaces
US10698598B2 (en) 2015-08-10 2020-06-30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manipulating user interface objects with visual and/or haptic feedback
US11182017B2 (en) 2015-08-10 2021-11-23 Apple Inc. Devices and methods for processing touch inputs based on their intensities
US11327648B2 (en) 2015-08-10 2022-05-10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manipulating user interface objects with visual and/or haptic feedback
US10884608B2 (en) 2015-08-10 2021-01-05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content navigation and manipulation
US10416800B2 (en) 2015-08-10 2019-09-17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adjusting user interface objects
US11740785B2 (en) 2015-08-10 2023-08-29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manipulating user interface objects with visual and/or haptic feedback
US10754542B2 (en) 2015-08-10 2020-08-25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manipulating user interface objects with visual and/or haptic feedback
US10963158B2 (en) 2015-08-10 2021-03-30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manipulating user interface objects with visual and/or haptic feedback
WO2017026570A1 (en) * 2015-08-11 2017-02-16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for
WO2018143744A1 (en) * 2017-02-03 2018-08-09 주식회사 하이딥 Touch sens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creen thereof
JP2019003297A (en) * 2017-06-12 2019-01-10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User interface device, display control method and progra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135723A (en) Touch panel type signal input device
US11449224B2 (en) Selective rejection of touch contacts in an edge region of a touch surface
US11036282B2 (en) Proximity detector in handheld device
US7564449B2 (en) Method of scrolling that is activated by touchdown in a predefined location on a touchpad that recognizes gestures for controlling scrolling functions
KR101117481B1 (en) Multi-touch type input controlling system
KR101062594B1 (en) Touch screen with pointer display
US20160202778A1 (en) Keyboard and Touchpad Areas
US20140317564A1 (en) Navigation and language input using multi-function key
AU2013205165B2 (en) Interpreting touch contacts on a touch surface
WO2014176083A1 (en) Navigation and language input using multi-function key
US9454248B2 (en) Touch input method and electronic apparatus thereof
AU2015271962B2 (en) Interpreting touch contacts on a touch surface
KR20170099326A (en) The smartphone button with shaped jogshutt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