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31321A - 턱 당김 장치 - Google Patents

턱 당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31321A
KR20120131321A KR1020110049403A KR20110049403A KR20120131321A KR 20120131321 A KR20120131321 A KR 20120131321A KR 1020110049403 A KR1020110049403 A KR 1020110049403A KR 20110049403 A KR20110049403 A KR 20110049403A KR 20120131321 A KR20120131321 A KR 201201313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aw
pulling
arms
user
fixed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94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82164B1 (ko
Inventor
유재석
Original Assignee
유재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재석 filed Critical 유재석
Priority to KR10201100494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2164B1/ko
Publication of KR201201313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13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21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21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56Devices for preventing sno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5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immobilising
    • A61F5/058Splints
    • A61F5/05883Splints for the neck or head
    • A61F5/05891Splints for the neck or head for the head, e.g. jaws, nos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윗 턱에 걸침과 아울러 고정되어 사용자의 아래 턱 모서리를 들어 당기는 클립 장치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며, 이에 따라, 사용자가 수면시 무의식적으로 입벌림으로 인한 기도의 좁아짐을 방지하여 사용자의 코돌이 및 수면무호흡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의식이 없는 환자의 기도 확보 위해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턱 당김 장치{JAW THRUST APPARATUS}
본 발명은 턱 당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사용자의 얼굴에 장착하여 사용자의 턱을 들어 당길 수 있도록 한 턱 당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코골이는 우리가 숨쉬는 동안 공기가 들어가기 전에 통과하게 되는 인후부가 좁아져 공기가 쉽게 드나들 수 없을때 생기는 것으로써, 수면 중 호흡 곤란이 있음을 알 수 있게 하는 증상이다.
우리가 숨을 쉴때는 공기가 입천장, 목젖, 편도선, 혀 등과 같이 부드러운 인체부분을 지나게 되는데, 낮에는 이 부분들이 제자리를 유지하도록 주위 근육들이 도와주어 공기 통로를 막지 않아 거의 소리가 나지 않게 된다. 그러나, 잠자는 동안에는 근육들이 이완되어 늘어지기 때문에 부분적으로 공기 통로가 좁아져서 이 부분을 공기가 통과할 때 주변의 부드러운 조직들을 진동시켜 코고는 소리를 내는 것이다.
따라서, 매우 심한 형태의 코골이 환자 중에는 수면 중 근육 이완이 심하거나 혹은 심한 비만증 등의 원인으로 인해 공기 통로가 일시적으로 막힐 수 있으며, 이때 공기가 페로 전혀 흐르지 못하게 되는데 이를 수면무호흡증이라고 한다.
상기 수면무호흡증을 치료하기 위하여 비강수술, 인두제거용 레이저 수술, 코골이 방지용 베게 및 입에 물고 자게 하는 기구등이 사용되고 있다.
먼저, 비강수술 및 인두제거용 레이저 수술은 일시적인 코골이는 호전시킬 수 있으나, 수술 후 호전된 증세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다시 악화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또한, 코골이 방지용 베게는 수술이 필요없는 장점이 있으나, 수면중 원위치에서 이탈하게 되는 경우가 많아 제기능을 못하게 되는 경우가 많은 단점이 있다,
상기 코골이 방지용 베게는 이미 미국 특허 제 5,682,632호에 개시되어 있다.
또한, 입에 물고 잠을 자게 하는 기구는 이 사이에 끼운 기구를 이용하여 아래 턱관절을 당겨 코골이를 방지하는 기구이다, 이 기구를 이용하여 턱관절을 당김에 따라 연구개 및 이와 연결된 목젖, 혀뿌리, 편도선의 사이를 더욱 멀어지게 하여 공기가 통과하는 기도를 훨씬 넓어지게 하고, 넓어진 기도에 의해 수면 중 호흡을 위하여 흡입된 공기가 목젖, 혀뿌리, 편도선 등과 같은 부위를 회피하면서 자유롭게 통과하게 되어 공기의 통행에 의한 연구개 및 편도선 등이 진동되는 것을 사전에 완전히 차단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연구개(軟口蓋)는 입천장 뒤쪽의 연한 부분을 가리킨다.
그러나, 종래의 코골이 방지용 베게 및 입에 물고 잠을 자게 하는 기구는 사용자가 수면시 원위치에서 이탈되거나 무의식적으로 입을 벌림으로 인해 기도가 다시 좁아져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이 발생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의식이 없는 환자의 기도를 확보하기 위해 환자의 입을 손으로 벌리게 하거나 긴 호스를 억지로 삽입할 경우, 손에 의한 2차 감염이 발생되거나 호스에 의해 환자의 기도가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사용자가 수면시 원위치에서 이탈 및 무의식적으로 입벌림을 방지하여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게 하거나, 의식이 없는 환자의 기도 확보하기 위해 손이나 호스가 필요없이 환자의 기도를 확보할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얼굴에 장착하여 사용자의 턱을 들어 당기는 클립 장치부 및 밴드 장치부를 구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수면시 무의식적으로 입벌림으로 인한 기도의 좁아짐을 방지하여 사용자의 코돌이 및 수면무호흡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턱 당김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턱을 들어 당기는 클립 장치부 및 밴드 장치부를 구성함으로써, 의식이 없는 환자의 기도 확보 위해 사용가능하도록 한 턱 당김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턱을 들어 당기는 클립 장치부 및 밴드 장치부를 구성함으로써, 기존의 양압호흡보조장치(CPAP : Continuous Positive Airway Pressure)와 함께 사용가능하도록 한 턱 당김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 1 실기예는, 턱 당김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의 윗 턱에 걸침과 아울러 고정되어 사용자의 아랫 턱 모서리를 들어 당기는 클립 장치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2 실기예는, 턱 당김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의 윗 턱에 걸침과 아울러 고정되어 사용자의 아랫 턱 모서리를 감싸면서 들어 당기고, 길이를 조절하는 밴드 장치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턱 당김 장치에 의하면,
사용자의 얼굴에 장착하여 사용자의 턱을 들어 당기는 클립 장치부 및 밴드 장치부를 구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수면시 무의식적으로 입벌림으로 인한 기도의 좁아짐을 방지하여 사용자의 코돌이 및 수면무호흡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의식이 없는 환자의 기도 확보 위해 사용가능하고, 또한, 기존의 양압호흡보조장치(CPAP : Continuous Positive Airway Pressure)와 함께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턱 당김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턱 당김 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턱 당김 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턱 당김 장치의 구성 중 조절 장치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4의 A부 확대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턱 당김 장치의 구성 중 조절 장 장치부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도 B부 확대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턱 당김 장치의 구성 중 조절 장치부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턱 당김 장치의 구성 중 조절 장치부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10은 도 9의 C부 확대 정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턱 당김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턱 당김 장치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턱 당김 장치의 작동 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턱 당김 장치의 작동 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턱 당김 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턱 당김 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불과할 뿐이고,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예들이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턱 당김 장치(10)는, 사용자의 윗 턱(A1)에 걸침과 아울러 고정되어 사용자의 아랫 턱 모서리(A2)를 들어 당기는 클립 장치부(10)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클립 장치부(10)는, 고정 지지부(11)와, 제 1, 2 후킹팁부(12)(13)와, 제 1, 2 아암(14)(15)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 지지부(11)는 후술하는 상기 제 1, 2 후킹팁부(12)(13)와 상기 제 1, 2 아암(14)(15)을 지지하도록 상기 윗 턱(A1)에 걸려 고정되어 있고, 상기 제 1, 2 후킹팁부(12)(13)는 상기 아래턱 모서리(A2)를 들어 올림과 아울러 당기도록 상기 고정 지지부(11)의 양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2 아암(14)(15)은 상기 제 1, 2 후킹팁부(12)(13)를 지지하도록 상기 고정 지지부(11)와 상기 제 1, 2 후킹팁부(12)(13)들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 지지부(11)는 상기 제 1, 2 아암(14)(15)을 회전가능하게 하도록 피봇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제 1, 2 아암(14)(15)은 상기 제 1, 2 후킹팁부(12)(13)들을 들어 올림과 아울러 당길 수 있게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탄성 부재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탄성 부재는 연성의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탄성 부재는 연성의 플라스틱 재질이외 다른 재질도 가능하다(예컨대, 고무재질등)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2 후킹팁부(12)(13) 또는 상기 제 1, 2 아암(14)(15)은 " L " 또는 " C " 자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2 후킹팁부(12)(13) 또는 상기 제 1, 2 아암(14)(15)은 " L " 또는 " C " 자형상이외 다른 형상도 가능하다.(예컨대, " T " 자, " J " 자등)
도 4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 지지부(11)에는 상기 제 1, 2 아암(14)(15)을 이동시킴과 아울러 각도, 위치 및 길이를 조절하도록 조절 장치부(20)가 구성되어 있고, 상기 조절 장치부(20)는 걸이부(21)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착탈부(22)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걸이부(21)는 후술하는 착탈부(22)들과 착탈되도록 상기 제 1 아암(14)에 구비되어 있고, 상기 착탈부(22)들은 상기 제 1, 2 아암(14)(15)을 이동함에 따라서 상기 걸이부(21)에서 착탈하도록 상기 제 2 아암(15)에 형성되어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이부(21) 및 상기 착탈부(22)는 엠보싱 타입 판 스프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걸이부(21) 및 상기 착탈부(22)는 엠보싱 타입 판 스프링이외 다른 스프링도 가능하다(예컨대, 와이어 스프링등)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의한 턱 당김 장치의 동작과정을 첨부된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턱 당김 장치(10)는 클립 장치부로 구성되고, 상기 클립 장치부(10)는 고정 지지부(11)와, 제 1, 2 후킹팁부(12)(13) 및 제 1, 2 아암(14)(15)으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 지지부(11)는 피봇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2 아암(14)(15)은 탄성 부재로 이루어진다.
이 상태에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클립 장치부(10)를 사용자의 얼굴에 장착할 경우, 상기 사용자의 윗 턱(A1)에 상기 고정 지지부(11)를 걸쳐 고정함과 아울러 지지하고, 상기 제 1, 2 아암(14)(15)은 회전함과 아울러 상기 제 1, 2 후킹팁부(12)(13)를 상기 사용자의 아래턱 모서리(A2)에 걸리게 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2 후킹팁부(12)(13)는 상기 사용자의 아래턱 모서리(A2)에 걸림과 아울러 들어 올려 당긴다.
또한,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 지지부(11)에는 상기 제 1, 2 아암(14)(15)을 이동시킴과 아울러 상기 제 1, 2 아암(14)(15)의 각도, 위치 및 길이를 조절하는 조절 장치부(20)가 구비된다. 상기 조절 장치부(20)는 상기 제 1 아암(14)에 구비되는 걸이부(21)와, 상기 제 2 아암(15)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착탈부(22)로 구성된다.
이 상태에서,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얼굴이 크기에 맞게 상기 클립 장치부를 조절할 경우, 상기 제 1, 2 아암(14)(15)을 잡고, 좌 우로 이동시킨다. 상기 제 1 아암(14)에 구비된 걸이부(21)는 상기 제 2 아암(15)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착탈부(22)에서 착탈됨과 아울러 이동한다.
이때,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2 아암(14)(15)의 길이는 길어진다.
이 상태에서,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 지지부(11)는 상기 사용자의 윗 턱(A1)에 걸침과 아울러 고정하고, 길이가 길어진 상기 제 1, 2 아암(14)(15)은 상기 사용자의 아랫 턱 모서리(A2)로 이동함과 아울러 상기 제 1, 2 후킹팁부(12)(13)에 의해 들어 당긴다.
이와 같이, 상기 고정 지지부(11)는 사용자의 윗 턱(A1)에 걸치고, 상기 제 1, 2 후킹팁부(12)(13)는 사용자의 아래 턱 모서리(A2)를 들어 올림과 아울러 당김으로써, 사용자가 수면시 무의식적으로 입벌림으로 인한 기도의 좁아짐을 방지하여 사용자의 코돌이 및 수면무호흡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의식이 없는 환자의 기도 확보 위해 사용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의한 턱 당김 장치의 동작과정을 첨부된 도 11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1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턱 당김 장치(100)는 사용자의 윗 턱(A1)에 걸침과 아울러 고정되어 사용자의 아래 턱 모서리(A2)를 감싸면서 들어 당기고, 길이를 조절하는 밴드 장치부로 구성된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밴드 장치부(100)는 제 1, 2 아암(110)(120)과, 조절부(130)와, 밴드부(140)로 구성된다. 상기 제 1, 2 아암(110)(120)의 일단에는 사용자의 아래 턱 모서리(A2)에 걸림과 아울러 당기도록 걸림턱(150)이 형성된다.
이 상태에서,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밴드 장치부(100)를 사용자의 얼굴에 장착할 경우, 상기 제 1, 2 아암(110)(120)은 상기 사용자의 윗 턱(A1)에 걸쳐 고정하고, 상기 제 1, 2 아암(110)(120)의 일단에 형성된 걸림턱(150)을 상기 사용자의 아래턱 모서리(A2)에 걸리게 한다.
이 상태에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2 아암(110)(120) 일단에 형성된 밴드부(140)는 상기 사용자의 아래 턱 모서리(A2)를 걸어 들어 올림과 아울러 당긴다.
이때,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얼굴 크기에 맞게 상기 밴드 장치부(100)를 조절할 경우, 상기 제 1, 2 아암(110)(120)을 잡고, 좌 우로 이동시킨다. 상기 제 1, 2 아암(110)(120)내에는 조절부(130)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상기 조절부(130)는 상기 제 1, 2 아암(110)(120)을 좌 우로 이동가능하게 함과 아울러 상기 제 1, 2 아암(110)(120)의 길이를 조절한다. 상기 제 1, 2 아암(110)(120)은 상기 조절부(130)에 의해 길이를 길게하여 상기 사용자의 얼굴 크기에 맞춘다.
이와 같이, 상기 고정 지지부는 사용자의 윗턱에 걸치고, 상기 제 1, 2 아암(110)(120)의 걸림턱(150) 및 밴드부(140)는 사용자의 아래 턱 모서리(A2)를 들어 올림과 아울러 당김으로써, 사용자가 수면시 무의식적으로 입벌림으로 인한 기도의 좁아짐을 방지하여 사용자의 코돌이 및 수면무호흡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의식이 없는 환자의 기도 확보 위해 사용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턱 당김 장치은 대표적인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에 적용 가능하다. 하지만, 상기 턱 당김 장치는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의식이 없는 환자의 기도 확보에도 사용 가능하다.
또한, 상기 턱 당김 장치는 양압호흡보조장치(CPAP : Continuous Positive Airway Pressure)(미도시 됨)와 함께 사용가능함과 아울러 다른 모든 의료 행위 용도로도 사용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턱 당김 장치는 전술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클립 장치부 : 10 고정 지지부 : 11
제 1, 2 후킹팁부 : 12, 13 제 1, 2 아암 : 14, 15
조절 장치부 : 20 걸이부 : 21
착탈부 : 22 밴드 장치부 : 100
제 1, 2 아암 : 110, 120 조절부 : 130
밴드부 : 140 걸림턱 : 150

Claims (12)

  1. 턱 당김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의 윗 턱에 걸침과 아울러 고정되어 사용자의 아래 턱 모서리를 들어 당기는 클립 장치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턱 당김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 장치부는, 상기 윗 턱에 걸쳐 고정됨과 아울러 지지되는 고정 지지부와,
    상기 고정 지지부의 양측에 형성되고, 상기 아래턱 모서리를 들어 올림과 아울러 당기는 제 1, 2 후킹팁부와,
    상기 고정 지지부와 상기 제 1, 2 후킹팁부들의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제 1, 2 후킹팅부들을 지지하는 제 1, 2 아암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턱 당김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지지부는 상기 제 1, 2 아암을 회전가능하게 하는 피봇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턱 당김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2 아암은 상기 제 1, 2 후킹팁부들을 들어 올림과 아울러 당길 수 있게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턱 당김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연성의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턱 당김 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2 후킹팁부 또는 상기 제 1, 2 아암은 " L " 또는 " C " 자형상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턱 당김 장치.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지지부에는 상기 제 1, 2 아암을 이동시킴과 아울러 길이를 조절하는 조절 장치부가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턱 당김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장치부는, 상기 제 1 아암에 구비되는 걸이부와,
    상기 제 2 아암에 형성되어 상기 제 1, 2 아암들을 이동함에 따라서 상기 걸이부에서 착탈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착탈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턱 당김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부 및 상기 착탈부들은 엠보싱 타입 판 스프링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턱 당김 장치.
  10. 턱 당김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의 윗 턱에 걸침과 아울러 고정되어 사용자의 아래 턱 모서리를 감싸면서 들어 당기고, 길이를 조절하는 밴드 장치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턱 당김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 장치부는, 좌, 우 이동하는 제 1, 2 아암과,
    상기 제 1, 2 아암내에 구비되어 상기 제 1, 2 아암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조절부와,
    상기 제 1, 2 아암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아래 턱 모서리를 걸어 들어 올림과 아울러 당기는 밴드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턱 당김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2 아암의 일단에는 사용자의 아래 턱 모서리에 걸림과 아울러 당기도록 걸림턱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턱 당김 장치.
KR1020110049403A 2011-05-25 2011-05-25 턱 당김 장치 KR1012821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9403A KR101282164B1 (ko) 2011-05-25 2011-05-25 턱 당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9403A KR101282164B1 (ko) 2011-05-25 2011-05-25 턱 당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1321A true KR20120131321A (ko) 2012-12-05
KR101282164B1 KR101282164B1 (ko) 2013-07-04

Family

ID=475151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9403A KR101282164B1 (ko) 2011-05-25 2011-05-25 턱 당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216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50983A (en) * 2016-09-20 2017-12-06 C Basson Johannes A device for fitting to a user's mandible
CN115192219A (zh) * 2022-08-02 2022-10-18 中国人民解放军空军军医大学 一种多功能小口畸形开口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455939B (zh) * 2016-01-12 2018-08-28 四川大学 睡眠呼吸暂停综合征防治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32717U (ja) * 2007-03-06 2007-06-21 八木 昭宏 いびき・無呼吸矯正器具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50983A (en) * 2016-09-20 2017-12-06 C Basson Johannes A device for fitting to a user's mandible
GB2550983B (en) * 2016-09-20 2018-09-05 C Basson Johannes A device for fitting to a user's mandible
CN115192219A (zh) * 2022-08-02 2022-10-18 中国人民解放军空军军医大学 一种多功能小口畸形开口器
CN115192219B (zh) * 2022-08-02 2024-05-17 中国人民解放军空军军医大学 一种多功能小口畸形开口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82164B1 (ko) 2013-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17436B2 (en) Methods and devices for treating sleep apnea
TWI650110B (zh) 下顎前移裝置
JP7267371B2 (ja) 患者インタフェース
US6938620B2 (en) Headwear for use by a sleep apnea patient
US20050061326A1 (en) Headwear for use by a sleep apnea patient
US7322356B2 (en) Combination sleep apnea treatment
US8091554B2 (en) Methods and devices for relieving upper airway obstructions
US20070181135A1 (en) Adjustable headgear assembly for sleep apnea patients
KR100912498B1 (ko) 수면 중 개구방지기구
CA2764277C (en) Jaw thrust appliance
US20050166929A1 (en) Methods and devices for relieving upper airway obstructions
JP6545882B2 (ja) 下顎前方固定および中間舌拘束のための口腔用デバイス
JP7229499B2 (ja) いびき防止枕
JP2005349210A (ja) いびき防止装置及びその方法並びに過少呼吸治療装置
RU2499578C2 (ru) Устройство против храпа
JP2012086017A (ja) 頸椎用サポーター
JP2013523203A (ja) 浮動調節アームを用いる患者インターフェース装置
JP6320757B2 (ja) ファブリックヘッドギア周辺のラップを持つ患者インタフェース
AU2005211314A1 (en) Methods and devices for relieving upper airway obstructions
KR101282164B1 (ko) 턱 당김 장치
US9775739B2 (en) Sleep apnea prevention
KR102166825B1 (ko) 코골이 방지 및 수면 무호흡 방지 기구
US2016021350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snoring
TWM403330U (en) structure for prevention of snoring
JP2015506204A (ja) 改良された安定化を備えるヘッドギアアセンブ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