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30494A - Apparatus and method for printing an outer edge and display panel produced by the same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printing an outer edge and display panel produced by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30494A
KR20120130494A KR1020110048474A KR20110048474A KR20120130494A KR 20120130494 A KR20120130494 A KR 20120130494A KR 1020110048474 A KR1020110048474 A KR 1020110048474A KR 20110048474 A KR20110048474 A KR 20110048474A KR 20120130494 A KR20120130494 A KR 201201304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panel
ink
display area
insertion groove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847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818971B1 (en
Inventor
전기현
전용준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484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8971B1/en
Publication of KR201201304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049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89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897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6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 H10K50/865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comprising light absorbing layers, e.g. light-blocking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PURPOS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printing an outer edge portion on a display panel and the display panel manufactured thereby are provided to decrease the thickness of a display device by omitting a separate light shielding structure. CONSTITUTION: A display panel(100) is mounted on an insertion hole(512). The insertion hole inserts an inking pad(520). The insertion hole is formed on a jig(510). The display panel is mounted on the jig. Ink is printed on an outer edge portion of the display panel.

Description

외곽 인쇄 장치 및 방법과 그에 의해 제작된 디스플레이패널{APPARATUS AND METHOD FOR PRINTING AN OUTER EDGE AND DISPLAY PANEL PRODUCED BY THE SAME}Outer printing apparatus and method and display panel manufactured by the same {APPARATUS AND METHOD FOR PRINTING AN OUTER EDGE AND DISPLAY PANEL PRODUCED BY THE SAME}

본 발명은 인쇄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빛샘을 방지하기 위해 디스플레이패널의 외곽을 인쇄하는 장치 및 방법과, 그에 의해 제작된 디스플레이패널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int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printing an outline of a display panel to prevent light leakage, and a display panel manufactured thereby.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평판표시장치의 예로는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CD), 플라즈마표시장치(Plasma Display Panel device: PDP), 전계방출표시장치(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FED), 유기발광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전기영동표시장치(Electrophoretic Display : EPD) 등이 있다.Examples of flat panel displays capable of displaying images include liquid crystal display (LCD), plasma display panel (PDP), field emission display (FED), organic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Electrophoretic Display (EPD), and the like.

이러한 평판표시장치들은 일반적으로, 제1기판과 제2기판이 합착되어 형성되는 디스플레이패널(Display Panel)을 필수적인 구성요소로 갖추고 있으며, 이러한 제1기판과 제2기판 사이에는 빛을 투과하거나 또는 빛을 발생시킬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물질층이 개재되어 있다.Such flat panel displays generally include a display panel formed by combining the first substrate and the second substrate as an essential component, and transmits or transmits light between the first substrate and the second substrate. There is a variety of layers of material that can generate.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 디스플레이패널은 영상이 표시되는 표시영역과, 표시영역의 외곽에 형성되어 있으며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비표시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The display panel as described above may be divided into a display area in which an image is displayed and a non-display area which is formed outside the display area and does not display an image.

이러한 비표시영역은 패널의 외곽을 형성하는 부분으로서 디스플레이패널을 투과하거나 또는 디스플레이패널에서 발생된 빛이 새어나가는 통로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빛샘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비표시영역은 평판표시장치의 외관을 형성하는 프레임에 의해 가리워지거나 또는 외곽 인쇄 방법에 의해 잉크로 가리워진다.The non-display area may be a path that penetrates the display panel or leaks light generated from the display panel as a part of the panel. Therefore, in order to prevent such light leakage phenomenon, the non-display area is generally covered by the frame forming the appearance of the flat panel display device or by the ink by the outer printing method.

즉, 빛 파동은 모든 방향으로 발산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원하지 않는 방향으로 빛이 발산되는 것을 막기 위해서는 별도의 차광구조가 존재하여야 한다. 특히, 유기발광장치(OLED)의 디스플레이패널은 자발광 소자로서, 백라이트(Back Light) 없이 빛 자체가 TFT 기판을 통해서 발산되고, 구조 특성상 TFT 기판이 디스플레이패널의 대부분으로서 외부로 노출되며, 또한 TFT 기판 내부를 통해 빛이 산란되므로, 이로 인해 표시영역(Active area) 외의 전면 테두리 및 측면으로 빛이 노출되고, 스크라이브(Scribe) 면을 통해서도 빛이 노출되고 있다. That is, since the light wave has a characteristic of radiating in all directions, a separate shading structure must exist to prevent light from radiating in an undesired direction. In particular, the display panel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OLED) is a self-luminous element, the light itself is emitted through the TFT substrate without the backlight (Back Light), the TFT substrate is exposed to the outside as a majority of the display panel due to the structure characteristics, and also TFT Since light is scattered through the inside of the substrate, the light is exposed to the front edge and the side of the display outside the active area, and the light is exposed through the scribe surface.

따라서, 이러한 영역에 대한 차광이 이루어져야 하며, 이러한 차광을 위해 비표시영역에 테이프(tape)를 붙이거나 별도의 차광 구조가 마련되고 있다.Therefore, the light shielding should be performed for such an area, and for such light shielding, a tape is attached to a non-display area or a separate light shielding structure is provided.

부연하여 설명하면, 유기발광장치의 디스플레이패널을 포함한, 일반적인 디스플레이패널(Display Panel)에서는, 표시영역(화면 시청 영역(Active Area)이라고도 함)이 아닌, 비표시영역(BM 부분 중 모서리 또는 옆면을 말함)으로 빛이 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패널 자체에 차광 테이프(Tape)를 붙여 가리거나, 텔레비전(TV)과 같은 완제품의 프런트 커버(Front Cover)를 이용하여 해당 부분을 가리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In detail, in a typical display panel including a display panel of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 non-display area (not a display area (also referred to as an active area)) but a non-display area (a corner or side of the BM portion) In order to prevent light leakage, cover the display panel itself with a light shielding tape or cover the part using the front cover of a finished product such as a television. have.

그러나, 이 경우 프런트 커버와 같은 별도의 구조로 인하여, 단차가 형성되기 때문에 평평한 Real Borderless가 아닌 Borderless Like 구조로 구현될 수밖에 없다. 또한 별도 차광 구조로 인하여 전체 세트(Set)(텔레비전과 같은 완제품을 말함)의 두께가 두꺼워 지는 단점이 있다. However, in this case, due to a separate structure such as a front cover, because the step is formed, it is bound to be implemented as a borderless like structure rather than a flat real borderless. In addition,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 thickness of the entire set (referred to finished products such as TV) due to the separate light-shielding structure.

한편, 비표시영역의 빛샘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들 중, 잉크를 인쇄하여 디스플레이패널의 외곽의 빛샘을 가리는 종래의 외곽 인쇄 방법은, 인쇄 문양이 음각된 금속판의 음각문양에 잉크색을 도포하고, 상기 잉크가 도포된 음각 문양을 실리콘 패드에 전사시키고, 잉크색이 전사된 패드를 플라스틱 또는 금속 소재의 표면에 인쇄하고 있다. On the other hand, among the methods for preventing light leakage in the non-display area, the conventional outer printing method for printing the ink to cover the light leakage on the outside of the display panel, the ink color is applied to the intaglio pattern of the metal plate in which the printing pattern is engraved, The engraved pattern on which the ink is applied is transferred to a silicon pad, and the pad on which the ink color is transferred is printed on the surface of a plastic or metal material.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외곽 인쇄 방법은, 디스플레이패널의 1개의 평면 또는 1개의 곡면에만 잉크를 인쇄하는 방법으로서, 디스플레이패널의 외곽을 형성하는 전면, 측면 및 배면을 인쇄하기 위해서는, 3번의 인쇄 공정을 실시하여야만 한다. However, the conventional outline printing method as described above is a method of printing ink only on one flat surface or one curved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and in order to print the front, side, and back surfaces forming the outline of the display panel, The printing process must be carried out.

따라서, 종래의 외곽 인쇄 방법은 인쇄 공정, 방향 변경 공정 등으로 인하여 생산 시간이 길어지고, 인쇄를 하고자 하는 면의 방향을 작업자가 바꿔 주어야 하므로 작업인원 투입이 필수적이므로 인건비 부담이 크며, 자동화 생산 라인에서는 적용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Therefore, in the conventional outer printing method, the production time is long due to the printing process, the direction changing process, etc., and the worker must change the direction of the surface to be printed. There is a problem that can not be applied.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한 번의 공정을 통해, 디스플레이패널의 비표시영역의 외곽을 형성하는 세 개의 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면에 잉크를 인쇄할 수 있는, 외곽 인쇄 장치 및 방법과 그에 의해 제작된 디스플레이패널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an outline printing apparatus capable of printing ink on at least one of three sides forming an outline of the non-display area of the display panel through one process; It is a technical object to provide a method and a display panel manufactured thereby.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외곽 인쇄 장치는, 잉크가 묻혀지는 잉크패드; 및 디스플레이패널이 안착되어 지지되며 상기 잉크패드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는 지그를 포함하고, 상기 잉크패드가 상기 삽입홈 방향으로 하강하면서 상기 지그에 안착되어 있는 디스플레이패널의 외곽에 상기 잉크를 인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 outer prin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the ink pad is buried ink; And a jig in which a display panel is seated and supported and an insertion groove in which the ink pad is inserted is formed, wherein the ink pad descends toward the insertion groove and is mounted on the outside of the display panel seated on the jig. It is characterized by printing ink.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외곽 인쇄 방법은, 상기 지그에 디스플레이패널을 안착시키는 단계; 상기 잉크패드를 상기 삽입홈 방향으로 하강시켜, 상기 삽입홈에 배치되어 있는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의 외곽에 잉크를 인쇄하는 단계; 및 잉크가 상기 외곽에 인쇄된 후 상기 잉크패드를 상기 삽입홈 방향으로부터 상승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outer printing method comprising: mounting a display panel on the jig; Lowering the ink pad toward the insertion groove to print ink on an outer portion of the display panel disposed in the insertion groove; And raising the ink pad from the insertion groove direction after the ink is printed on the outer portion.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외곽 인쇄 장치에 의해 제작된 디스플레이패널은 제1기판과 제2기판이 합착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1기판과 상기 제2기판 사이에는 빛을 투과하거나 또는 빛을 발생시킬 수 있는 물질층이 개재되어 있으며, 상기 제1기판과 상기 제2기판의 합착에 의해 형성되는 제1비표시영역, 제2비표시영역, 제3비표시영역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는,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되어 있는 외곽 인쇄 장치에 의해 잉크가 인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the display panel manufactured by the outer prin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by combining a first substrate and a second substrate, and transmits light between the first substrate and the second substrate. Or a material layer capable of generating light and having at least one of a first non-display area, a second non-display area, and a third non-display area formed by the bonding of the first substrate and the second substrate. In the place, ink is printed by the outer printing apparatus as described in any one of Claims 1-7.

상술한 해결 수단에 따라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According to the above solu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following effects.

즉, 본 발명은 한 번의 공정을 통해, 디스플레이패널의 비표시영역의 외곽을 형성하는 세 개의 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면에 잉크를 인쇄함으로써, 디스플레이패널의 작업 공정 수를 줄여 생산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생산량 증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효과를 제공한다.Tha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k is printed on at least one of the three surfaces forming the outline of the non-display area of the display panel in one step, thereby reducing the number of working steps of the display panel and reducing the production time. And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yield can be obtained.

또한, 본 발명은 비표시영역의 외곽을 차광시키기 위하여 적용되던 별도의 차광구조(Front Cover 또는 차광 Tape 등)의 생략이 가능하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디스플레이패널이 장착된 디스플레이장치의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다는 효과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omit a separate light shielding structure (such as a front cover or a light shielding tape) used to shield the outside of the non-display area, thereby reducing the thickness of the display panel or the display device on which the display panel is mounted. Can provide the effect.

따라서, 본 발명은 리얼 보더리스 디스플레이장치(Real Borderless Display)를 구현할 수 있으며 보더리스를 위해 테이프를 수작업으로 부착하는 공정을 생략하여 자동화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고, 생산 인건비를 줄여 제품 비용을 줄일 수 있으며, 품질 균일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는 효과를 제공한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lement a real borderless display device and can be automated by omitting the process of manually attaching a tape for borderless, and can reduce production labor cost and reduce product cost. And the effect of improving quality uniformity.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외곽 인쇄 장치에 의해 잉크가 인쇄될 디스플레이패널의 평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외곽 인쇄 장치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패널의 외곽에 잉크를 인쇄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외곽 인쇄 장치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패널의 외곽을 형성하는 제1비표시영역, 제2비표시영역 및 제3비표시영역에 동시에 잉크를 인쇄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외곽 인쇄 장치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패널의 외곽 중 제2비표시영역에만 잉크를 인쇄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외곽 인쇄 장치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패널의 외곽 중 제1비표시영역에만 잉크를 인쇄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외곽 인쇄 장치에 의해 제작된 디스플레이패널을 나타낸 다양한 예시도.
1 is an exemplary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lane of a display panel on which ink is to be printed by an outer prin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ink is printed on the outside of the display panel using the outside prin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ink is simultaneously printed on a first non-display area, a second non-display area, and a third non-display area that form an outline of a display panel using the outline prin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ink is printed only on the second non-display area of the outside of the display panel by using the outside prin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ink is printed only on the first non-display area of the outside of the display panel by using the outside prin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to 8 are various exemplary views showing a display panel manufactured by the outer prin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외곽 인쇄 장치에 의해 잉크가 인쇄될 디스플레이패널의 평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예시도이다. 또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외곽 인쇄 장치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패널의 외곽에 잉크를 인쇄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1 is an exemplary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lane of a display panel on which ink is to be printed by an outer prin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ink is printed on the outer side of the display panel using the outer side prin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평판표시장치는 상기한 바와 같이 액정표시장치(LCD), 플라즈마표시장치(PDP), 전계방출표시장치(FED), 유기발광장치, 전기영동표시장치(EPD) 등이 있다.As described above, a flat panel display capable of displaying an image include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plasma display (PDP), a field emission display (FED),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nd an electrophoretic display (EPD). .

이러한 평판표시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게이트라인과 게이트라인을 통해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영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패널(100), 디스플레이패널의 게이트라인에 스캔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게이트 구동부(400), 디스플레이패널의 데이터라인에 데이터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데이터구동부(300) 및 데이터 구동부와 게이트 구동부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타이밍컨트롤러(T-con)(210)를 포함하고 있고, 일반적으로 데이터구동부(300)는 연성인쇄회로기판(FPCB)에 내장된 상태에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이밍컨트롤러(210)가 장착되어 있는 제어보드(200)와 디스플레이패널 사이에 연결되어 있으며, 게이트구동부(400)는 칩온글래스(COF) 타입으로 디스플레이패널에 내장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1, the flat panel display includes a display panel 100 in which an image is displayed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input through a gate line and a gate line, and a gate driver for applying a scan signal to a gate line of the display panel. 400, a data driver 300 for applying a data signal to a data line of the display panel, and a timing controller (T-con) 210 for controlling the functions of the data driver and the gate driver. The data driver 300 is connected between the display board and the control board 200 on which the timing controller 210 is mounted as shown in FIG. 1 in a state in which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 is embedded. The driving unit 400 is a chip on glass (COF) type built in the display panel.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 이외에도 게이트구동부(400)와 데이터구동부(300)는 다양한 형태로 디스플레이패널(100)과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디스플레이패널(100)이 도 1과 같이 구성된 것으로 하여, 본 발명이 설명된다.Meanwhile, in addition to the shape shown in FIG. 1, the gate driver 400 and the data driver 300 may be connected to the display panel 100 in various forms. However,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display panel 100 is configured as shown in FIG. 1, and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즉, 상기한 바와 같은 평판표시장치들은 일반적으로, 제1기판(110)과 제2기판(120)이 합착되어 형성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디스플레이패널(Display Panel)(100)을 필수적인 구성요소로 갖추고 있으며, 이러한 제1기판과 제2기판 사이에는 빛을 투과하거나 또는 빛을 발생시킬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물질층이 개재되어 있다. 여기서, 제1기판(110)은 디스플레이패널을 형성하는 각종 패턴들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액정패널의 경우에는 데이터라인, 게이트라인, 박막트랜지스터 등이 형성되어 있는 기판을 말하며, 유기발광장치의 경우에는 유기발광다이오드가 형성되어 있는 기판을 말한다. 또한, 제2기판(120)은 디스플레이패널이 텔레비전과 같은 완제품으로 제작된 경우에 사용자의 눈에 보여지는 면을 형성하는 기판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여기에는 편광필름(130)이 부착될 수 있다. That is, the flat panel display devices as described above generally require a display panel 100 as shown in FIG. 2 formed by bonding the first substrate 110 and the second substrate 120 together. The first substrate and the second substrate are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substrate and the second substrate, and various kinds of material layers may be interposed therebetween. Here, the first substrate 110 is formed of various patterns forming the display panel. In the case of the liquid crystal panel, the first substrate 110 refers to a substrate on which data lines, gate lines, and thin film transistors are formed. Refers to a substrate on which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is formed. In addition, when the display panel is made of a finished product such as a television, the second substrate 120 represents a substrate forming a surface visible to the user's eye, and the polarizing film 130 may be attached thereto.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디스플레이패널은 영상이 표시되는 표시영역(102)과, 표시영역의 외곽에 형성되어 있으며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비표시영역(104)으로 구분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isplay panel as described above may be divided into a display area 102 in which an image is displayed and a non-display area 104 formed outside the display area and in which the image is not displayed.

비표시영역(104)은 표시영역(102)의 외곽에 형성되어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부분으로서, 데이터구동부(300) 또는 게이트구동부와 연결되는 패드가 형성되어 있는 패드비표시영역 및 상기와 같은 패드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무패드비표시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The non-display area 104 is a portion of the display area 102 that does not display an image, and includes a pad non-display area in which a pad connected to the data driver 300 or the gate driver is formed and the pad as described above. May be divided into a padless non-display area where no pad is formed.

또한, 도 1에 도시된 비표시영역(104)은 디스플레이패널(100)의 평면만을 나타낸 것으로서, 디스플레이패널은 제1기판(110)과 제2기판(120)이 합착되어 입체적으로 형성되는 것이기 때문에, 실질적으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에 도시된 평면과 대면하는 배면 및 평면과 배면 사이를 감싸고 있는 네 개의 측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미도시된 배면과 인접되어 있는 네 개의 측면 중, 배면과 경계를 이루는 모서리는 일반적으로 스크라이빙(Scribing)되어 있다. 이처럼 스크라이빙되어 있는 면은 이하에서 스크라이빙면이라 한다. 한편,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디스플레이패널(100)은 제2기판(120)의 상면에 편광필름(130)이 접착되어 있는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외곽 인쇄 방법은 편광필름(130)이 제2기판(120)에 접착된 상태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non-display area 104 shown in FIG. 1 shows only the plane of the display panel 100, the display panel is formed by three-dimensionally bonding the first substrate 110 and the second substrate 120. 2 substantially consists of a back face facing the plane shown in FIG. 1 and four sides surrounding the plane and back face. In particular, of the four sides adjacent to the rear surface not shown, the edges bordering the rear surface are generally scribed. Such scribed surface is referred to as scribing surface in the following. Meanwhile, the display panel 100 illustrated in FIG. 3 is illustrated in a state in which the polarizing film 130 is adher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second substrate 120. That is, the outer print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erformed in a state in which the polarizing film 130 is adhered to the second substrate 120.

즉, 디스플레이패널(100)의 외곽에 형성되어 있는 비표시영역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패널의 평면에 형성되는 제1비표시영역(104a), 디스플레이패널의 측면에 형성되는 제2비표시영역(104b) 및 디스플레이패널의 배면 또는 스크라이빙면에 형성되는 제3비표시영역(104c)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상기한 바와 같이 제1비표시영역(104a)은 다시 제1패드비표시영역과 제1무패드비표시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하에서, 디스플레이패널의 외곽이라하면, 제1비표시영역, 제2비표시영역, 제2비표시영역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말하는 것이다. That is, the non-display area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display panel 100 may be formed on the first non-display area 104a formed on the plane of the display panel and on the side of the display panel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second non-display area 104b and the third non-display area 104c formed on the back surface or the scribing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may be divided. It may be divided into a first pad non-display area and a first non-pad non-display area. Hereinafter, the outside of the display panel refers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non-display area, the second non-display area, and the second non-display area.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외곽 인쇄 장치(500)는, 상기한 바와 같은 디스플레이패널의 외곽을 잉크로 인쇄하여 디스플레이패널의 외곽을 통해 디스플레이패널로부터의 빛이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히, 디스플레이패널의 외곽을 잉크로 인쇄하기 위한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outer printing apparatus 5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2, by printing the outline of the display panel as described above with ink to prevent the light from the display panel leaks through the outline of the display panel In order to do this, in particular, the outside of the display panel for printing with ink.

즉, 평판표시장치에 적용되는 상기한 바와 같은 디스플레이패널(100)로부터 방출되는 빛은 모든 방향으로 발산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원하지 않는 방향으로 빛이 발산되는 것을 막기 위해서는 별도의 차광구조가 존재하여야 한다.That is, since the light emitted from the display panel 100 as described above applied to the flat panel display has a characteristic of being emitted in all directions, a separate light blocking structure exists to prevent the light from being emitted in an undesired direction. shall.

특히, 유기발광장치(OLED)의 디스플레이패널은 자발광 소자로서, 백라이트(Back Light) 없이 빛 자체가 TFT 기판(제1기판 또는 제2기판)을 통해서 발산되고, 구조 특성상 TFT 기판이 디스플레이패널의 대부분으로서 외부로 노출되며, 또한 TFT 기판 내부를 통해 빛이 산란되므로, 이로 인해 표시영역(Active area) 외의 전면 테두리 및 측면으로 빛이 노출되고, 스크라이브(Scribe) 면을 통해서도 빛이 노출되고 있다. In particular, the display panel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OLED) is a self-luminous element, and the light itself is emitted through the TFT substrate (the first substrate or the second substrate) without the backlight, and due to the structure, the TFT substrate is formed of the display panel. Since most of the light is exposed to the outside and the light is scattered through the inside of the TFT substrate, the light is exposed to the front edge and the side of the surface outside the active area, and the light is exposed through the scribe surface.

즉, 유기발광장치의 디스플레이패널은 다른 평판표시장치의 디스플레이패널보다도 디스플레이패널의 외곽을 통한 빛샘이 심하기 때문에, 반드시 외곽에는 차광구조가 존재하여야 한다. 그러나,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발명은 유기발광장치의 디스플레이패널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한 바와 같은 평판표시장치에 적용되는 각종 형태의 디스플레이패널이 될 수 있다.That is, since the light leakage through the outside of the display panel is greater than that of the other flat panel display devices, the display panel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must have a light shielding structur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below is not limited to the display panel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nd may be various types of display panels applied to the flat panel display device as described above.

한편, 본 발명은 다양한 차광 구조를 제공할 수 있는 장치들 중 특히, 잉크를 디스플레이패널의 외곽(비표시영역)에 인쇄하여 디스플레이패널의 외곽을 통한 빛샘을 방지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잉크가 묻혀지는 잉크패드(520) 및 디스플레이패널이 안착되어 지지되며 잉크패드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512)이 형성되어 있는 지그(51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that can prevent light leakage through the outside of the display panel by printing the ink on the outside (non-display area) of the display panel, in particular among the devices that can provide a variety of light shielding structure, As shown in FIG. 2, the ink pad 520 in which the ink is buried and the jig 510 in which the display panel is seated and supported and an insertion groove 512 into which the ink pad can be inserted may be formed. have.

우선, 잉크패드(520)는 디스플레이패널의 외곽과 접촉되는 경우, 디스플레이패널의 외곽 형태에 따라 그 형상이 가변될 수 있도록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잉크패드는 탄성을 가지고 있는 재질로 형성된다.First, when the ink pad 520 is in contact with the outside of the display panel, the ink pad 520 may be formed of a silicon material so that the shape of the ink pad 520 may vary according to the outside of the display panel. That is, the ink pad is formed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이러한 잉크패드(520)의 길이는, 디스플레이패널의 일측면의 길이보다 작게 형성될 수도 있으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패널의 일측면을 동시에 커버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 잉크패드의 길이는 인쇄되는 디스플레이패널의 가장 긴 일측면의 길이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length of the ink pad 520 may be smaller than the length of one side of the display panel. As shown in FIG. 2, the ink pad 520 may be formed to have a length capable of simultaneously covering one side of the display panel. In the latter case, the length of the ink pad is preferably greater than the length of the longest side of the display panel to be printed.

또한, 잉크패드(520)는 디스플레이패널의 외곽과 최대한 밀착될 수 있도록 그 단면이 타원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잉크패드의 단면은 1/4 원 모양으로 형성됨으로써, 잉크패드의 재료물질을 절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잉크패드 중 디스플레이패널과 접촉되는 부분은 1/4 원모양의 라운드진 부분이 될 수 있으며, 접촉되지 않는 부분은 직선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도 2에서 잉크패드의 이동 방향을 나타낸 화살표 방향으로 잉크패드를 자른 상태에서 오른쪽 부분만이 잉크패드로 이용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ink pad 520 may have an elliptical cross section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side of the display panel. In addition, since the cross section of the ink pad is formed in a quarter circle shape, it is possible to save material materials of the ink pad. For example, a portion of the ink pad that is in contact with the display panel may be a quarter-rounded rounded portion, and a portion that is not in contact with the display panel may be a straight line. That is, only the right portion may be used as the ink pad while the ink pad is cut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indicating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ink pad in FIG. 2.

마지막으로, 지그(510)는 잉크를 인쇄하고자 하는 디스플레이패널(100)이 안착되어 지지되는 곳으로서, 삽입홈(512)이 형성되어 있는 본체(511) 및 본체 중 삽입홈과 대면하고 있는 타측에 형성되어 디스플레이패널을 지지하기 위한 조정기(51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Lastly, the jig 510 is a place where the display panel 100 to which ink is to be printed is seated and supported. It may be formed to include an adjuster 513 for supporting the display panel.

본체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패널이 안착될 수 있는 평판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특히, 조정기와 대응되는 일측 끝단에는 잉크패드(520)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512)이 형성되어 있다.The main body may be formed as a flat plate on which the display panel may be seated, as shown in FIG. 2. In particular, at one end corresponding to the adjuster, an insertion groove 512 into which the ink pad 520 may be inserted is formed. have.

여기서, 삽입홈(512)은 잉크패드(520)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패널의 제1비표시영역(104a), 제2비표시영역(104b) 및 제3비표시영역(104c)에 잉크를 동시에 인쇄하고자 하는 경우에, 잉크패드가 디스플레이패널의 제3비표시영역과 닿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에 대하여는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Here, the insertion groove 512 simultaneously prints ink on the first non-display area 104a, the second non-display area 104b and the third non-display area 104c of the display panel using the ink pad 520. In this case, the ink pad is intended to be in contact with the third non-display area of the display panel, which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3.

또한, 조정기(513)는 본체 중 조정기와 대응되는 타측 끝단에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디스플레이패널의 외곽이 삽입부 근처의 일정 위치에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있으며, 특히, 본체가 일정 각도로 기울어지는 경우에, 디스플레이패널이 본체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In addition, the adjuster 513 is formed at the other end corresponding to the adjuster in the main body, and performs a function of supporting the outer edge of the display panel to be fix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near the inserting portion, and in particular, the main body at an angle When inclined, the display panel is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또한, 조정기(513)는 삽입부 근처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패널의 위치를 조정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하여는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In addition, the adjuster 513 may perform a function of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display panel disposed near the insertion unit. 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and 5.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외곽 인쇄 장치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패널의 외곽을 형성하는 제1비표시영역, 제2비표시영역 및 제3비표시영역에 동시에 잉크를 인쇄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외곽 인쇄 장치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패널의 외곽 중 제2비표시영역에만 잉크를 인쇄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외곽 인쇄 장치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패널의 외곽 중 제1비표시영역에만 잉크를 인쇄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ink is simultaneously printed on a first non-display area, a second non-display area, and a third non-display area that form an outline of a display panel using the outline prin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ink is printed only on the second non-display area of the outside of the display panel by using the outside prin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ink is printed only on the first non-display area of the outside of the display panel by using the outside prin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외곽 인쇄 장치는 상기한 바와 같이 잉크패드(520)와 지그(510)를 포함하고 있으며, 잉크패드에 묻어 있는 잉크(600)를 지그에 안착되어 있는 디스플레이패널의 외곽에 인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outer prin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ink pad 520 and the jig 510 as described above, and prints the ink 600 buried in the ink pad on the outside of the display panel seated on the jig. Do this.

여기서, 지그(5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 또는 잉크패드에 대하여 일정각도 기울어진 상태로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지그는 지면과 수평한 상태로 이용될 수도 있으나,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그가 일정 각도 기울어지면, 잉크패드(520)의 끝단이 디스플레이패널의 제3비표시영역(104c)과 보다 밀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본 발명에 따른 외곽 인쇄 장치는 지그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면에 대하여 일정한 각도로 기울이기 위한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구동부를 구동시켜 지그의 기울어진 각도를 제어할 수 있다. Here, the jig 510 is preferably mainta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ground or the ink pad, as shown in FIG. That is, the jig may be used in a horizontal state with the ground, but as shown in (b) of FIG. 3, when the jig is inclined at an angle, the end of the ink pad 520 may become the third non-display area of the display panel. It can be seen that it can be in close contact with 104c). Therefore,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outer prin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driving unit for tilting the jig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plane as shown in FIG. In this case,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jig can be controlled by driving the driving unit.

여기서, 지그의 기울어지는 각도는 인쇄하고자 하는 비표시영역의 위치와 갯수 등에 의해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으나, 도 3의 경우에는 10도 내지 20도 범위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jig can be set in various ways depending on the position and number of the non-display area to be printed, but in the case of Figure 3 it is preferably set in the range of 10 to 20 degrees.

본 발명에 따른 외곽 인쇄 장치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패널의 외곽에 잉크를 인쇄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 method of printing ink on the outside of the display panel using the outside prin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우선,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각도로 기울어져 있는 지그(510)에 디스플레이패널(100)을 안착시킨 후, 잉크(600)가 묻어있는 잉크패드(520)를 인쇄하고자 하는 디스플레이패널의 외곽으로 이동시킨다.First, as shown in (a) of FIG. 3, the display panel 100 is seated on a jig 510 that is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and then the ink pad 520 in which the ink 600 is buried is printed. Move to the outside of the display panel.

여기서, 도 3은 디스플레이패널의 외곽의 3면, 즉, 제1비표시영역(104a), 제2비표시영역(104b) 및 제3비표시영역(104c)을 동시에 인쇄하기 위한 것으로서, 인쇄하고자 하는 디스플레이패널의 외곽은 일정한 범위 내에서 삽입홈(512)과 겹쳐지도록 본체에 위치된다. 이와 같은 위치 선정은 조정기(513)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조정기(513)의 위치를 변경시킴으로써, 인쇄하고자 하는 디스플레이패널의 외곽이 삽입홈과 일정한 범위 내에서 겹쳐지도록 본체에 배치될 수 있다.3 is for simultaneously printing three surfaces of the outer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that is, the first non-display area 104a, the second non-display area 104b, and the third non-display area 104c. The outer periphery of the display panel is positioned in the main body so as to overlap the insertion groove 512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This positioning can be made by the adjuster 513. That is, by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adjuster 513, the outer periphery of the display panel to be printed can be arranged in the main body so as to overlap the insertion groove within a certain range.

다음,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잉크패드를 삽입홈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디스플레이패널의 외곽과 밀착되는 부분이 디스플레이패널의 외곽과 같은 형상으로 변형되면서, 디스플레이패널의 제1비표시영역(104a), 제2비표시영역(104b) 및 제3비표시영역(104c)이 잉크패드(520)와 밀착되며, 이를 통해 디스플레이패널의 외곽을 형성하는 세 개의 면에 동시에 잉크가 인쇄될 수 있다.Next, as shown in (b) of FIG. 3, when the ink pad is moved in the insertion groove direction, a portion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side of the display panel is deformed into the same shape as the outside of the display panel, and thus, the first ratio of the display panel. The display area 104a, the second non-display area 104b, and the third non-display area 104c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k pad 520, and ink is simultaneously printed on three surfaces that form the outline of the display panel. Can be.

즉, 제2비표시영역(104b)과 밀착되면서 수축되었던 잉크패드는 제2비표시영역을 지나 제3비표시영역(104c)에 도달한 후, 다시, 원래의 상태로 복귀하면서 제3비표시영역(104c)과 밀착되어, 제3비표시영역에 잉크를 인쇄시킬 수 있다.That is, the ink pad which has been contracted while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second non-display area 104b has reached the third non-display area 104c after passing through the second non-display area, and then returns to its original state, and then returns to the third non-display. In close contact with the area 104c, ink can be printed in the third non-display area.

마지막으로, 도 3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를 마친 잉크패드(520)를 다시 상단 방향으로 이동시켜 삽입부(511)로부터 이탈시킴으로써, 잉크 인쇄 공정이 종료된다.Finally, as shown in (c) of FIG. 3, the ink printing process is completed by moving the finished ink pad 520 back to the upper direction and leaving the inserting portion 511.

여기서, 잉크패드(520)는 미도시된 구동부에 의해 상기한 바와 같은 상하 또는 좌우 이동을 할 수 있다. 즉, 도 3에서는 잉크패드의 상하 동작만이 도시되어 있으나, 별도의 용기에 담겨져 있는 잉크를 잉크패드에 묻히기 위해서는 잉크패드를 좌우로 이동시킬 필요가 있으며, 이 경우 구동부가 의해 좌우로 이동될 수 있다.Here, the ink pad 520 may be moved up and down or left and right as described above by a driver not shown. That is, although only the vertical operation of the ink pad is shown in FIG. 3, the ink pad needs to be moved left and right in order to bury the ink contained in a separate container on the ink pad. In this case, the driving part may be moved left and right. have.

한편, 경우에 따라서는 디스플레이패널의 외곽 중 제2비표시영역 또는 제1비표시영역 또는 제1비표시영역과 제2비표시영역 또는 제2비표시영역과 제3비표시영역에만 잉크를 인쇄해야할 필요가 있을 수도 있다.In some cases, ink is only printed on the second non-display area or the first non-display area or the first non-display area or the second non-display area or the third non-display area of the outside of the display panel. You may need to do it.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정기(513)를 A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제2비표시영역만이 삽입홈(511)에 인접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상태에서 잉크패드(520)를 삽입홈 방향으로 하강시키면, 디스플레이패널의 제2비표시영역에만 잉크가 인쇄될 수 있다. 이때, 조정기의 이동은 상기한 바와 같이 구동부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That is, as shown in FIG. 4, by moving the adjuster 513 in the A direction, only the second non-display area can be adjacent to the insertion groove 511, and the ink pad 520 is inserted in this state. When descending in the groove direction, ink may be printed only in the second non-display area of the display panel. At this time, the movement of the regulator may be made by the drive unit as described above.

또한, 도 4에서는 본체(511)가 일정한 각도록 기울어져 있는바, 본체의 기울어진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보다 완벽하게 제2비표시영역에만 잉크가 인쇄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의 경우, 본체(511)가 지면과 수평을 이루게 된다면, 제2비표시영역만이 삽입홈(512)에 인접되어 있기 때문에, 정확히 제2비표시영역에만 잉크가 인쇄될 수 있다.In addition, in FIG. 4, since the main body 511 is inclined at a constant angle,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main body 511 may be adjusted, so that ink may be more completely printed only in the second non-display area. For example, in the case of FIG. 4, when the main body 511 is flush with the ground, only the second non-display area is adjacent to the insertion groove 512, so that ink is printed only in the second non-display area. Can be.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디스플레이패널의 외곽 중 제1비표시영역에만 잉크를 인쇄해야할 필요가 있을 수도 있다. In some cases, it may be necessary to print ink only in the first non-display area of the outside of the display panel.

이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정기(513)를 B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제1비표시영역에 의해 삽입홈(511)이 가리워지도록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상태에서 잉크패드(520)를 삽입홈 방향으로 하강시키면, 잉크패드가 삽입홈으로 삽입될 수 없기 때문에 디스플레이패널의 제1비표시영역에만 잉크가 인쇄될 수 있다.In this case, as shown in FIG. 5, by moving the adjuster 513 in the B direction, the insertion groove 511 may be covered by the first non-display area, and in this state, the ink pad 520 may be moved. When lowered in the insertion groove direction, ink may be printed only in the first non-display area of the display panel because the ink pad cannot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이때, 본체를 지면과 수평한 상태로 이동시켜 제1비표시영역에만 잉크가 인쇄되도록 할 수도 있다. In this case, the main body may be moved horizontally with the ground so that ink is printed only in the first non-display area.

즉, 디스플레이패널의 외곽은 삽입홈과 일부분 겹쳐지도록 지그에 안착되거나, 또는, 삽입홈의 끝단에 걸쳐지도록 안착되거나, 또는, 삽입홈을 가리도록 안착될 수 있다.
That is, the outside of the display panel may be seated on the jig to partially overlap with the insertion groove, or may be seated to cover the end of the insertion groove, or may be seated to cover the insertion groove.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외곽 인쇄 장치에 의해 제작된 디스플레이패널을 나타낸 다양한 예시도이다. 6 to 8 are various exemplary views showing a display panel manufactured by the outer prin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우선, 도 6의 (a)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방법을 이용하여 제작된 디스플레이패널(100)의 단면을 나타낸 것으로서, 외곽의 3면, 즉, 제1비표시영역, 제2비표시영역, 제3비표시영역에 묻어있는 잉크(600)는 한 번의 인쇄 공정에 의해 동시에 인쇄된 것이다.First, FIG. 6A illustrates a cross section of the display panel 100 manufactured by using the method illustrated in FIG. 3, wherein three outer surfaces of the display panel 100 are formed, that is, the first non-display area and the second non-display. The ink 600 buried in the area, the third non-display area, is printed at the same time by one printing process.

또한, 도 6의 (b)는 (a)에 도시된 바와 같은 디스플레이패널(100)을 이용하여 제작된 리얼 보더리스 타입의 디스플레이장치를 나타낸 것으로서, 디스플레이패널의 제1비표시영역과 제2비표시영역은 잉크가 인쇄되어 있는 상태로 외부에 노출되어 있으며, 제3비표시영역만이 커버(700)에 의해 지지되고 있다. 여기서 커버(700)는 디스플레이패널을 이용하여 완성되는 완제품의 케이스일 수도 있으며, 디스플레이패널의 제작을 위해 이용되는 케이스일 수도 있다.6B illustrates a real borderless display device manufactured by using the display panel 100 as shown in (a), wherein the first non-display area and the second ratio of the display panel are shown in FIG. The display area is exposed to the outside while the ink is printed, and only the third non-display area is supported by the cover 700. The cover 700 may be a case of a finished product completed by using the display panel, or may be a case used for manufacturing the display panel.

다음, 도 7은 제1비표시영역과 제2비표시영역에만 잉크(600)가 묻어있는 디스플레이패널(100)의 단면을 나타낸 것으로서, 제2기판(120)의 저면에 데이터 구동부 또는 게이트 구동부를 형성하는 연성인쇄회로기판(FPCB)(300)이 부착되는 경우에 제작되는 디스플레이패널의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Next,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display panel 100 in which the ink 600 is buried only in the first non-display area and the second non-display area. The data driver or the gate driver is dispos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substrate 120. When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 (300) to be formed is shown is a cross section of the display panel fabricated.

이러한 디스플레이패널은 도 3에 대한 설명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본체(511)의 기울기와, 조정기(513)의 위치를 조정한 후 잉크패드를 하강시킴으로써, 제작될 수 있다.As described in the description of FIG. 3, the display panel may be manufactured by adjusting the inclination of the main body 511 and the position of the adjuster 513 and then lowering the ink pad.

다음, 도 8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방법을 이용하여 제작된 디스플레이패널의 단면을 나타낸 것으로서, 외곽의 3면 중, 제1비표시영역에만 잉크가 인쇄되어 있는 디스플레이패널을 나타낸 것이다.Next,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display panel manufactured by using the method as shown in FIG. 5, and shows a display panel in which ink is printed only on the first non-display area among three outer surfaces.

이러한 디스플레이패널은 디스플레이패널의 제2비표시영역과 제3비표시영역을 커버하는 커버(700)에 의해 지지되고 있다.The display panel is supported by a cover 700 that covers the second non-display area and the third non-display area of the display panel.

마지막으로, 도 9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방법을 이용하여 제작된 디스플레이패널의 단면을 나타낸 것으로서, 외곽의 3면 중, 제2비표시영역에만 잉크가 인쇄되어 있는 상태에서 제3비표시영역이 커버(700)에 의해 지지되고 있는 디스플레이패널을 나타낸 것이다. Lastly, FIG. 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display panel manufactured by using the method as shown in FIG. 4, wherein the third non-display is performed in a state where ink is printed only on the second non-display area of the outer three surfaces. The area shows a display panel supported by the cover 700.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are to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100 : 디스플레이패널 102 : 표시영역
104 : 비표시영역 104a : 제1비표시영역
104b : 제2비표시영역 104c : 제3비표시영역
510 : 지그 511 : 본체
512 : 삽입홈 513 : 조정기
520 : 잉크패드 600 : 잉크
700 : 커버
100: display panel 102: display area
104: non-display area 104a: first non-display area
104b: second non-display area 104c: third non-display area
510: jig 511: main body
512: insertion groove 513: adjuster
520: ink pad 600: ink
700: Cover

Claims (13)

잉크가 묻혀지는 잉크패드; 및
디스플레이패널이 안착되어 지지되며 상기 잉크패드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는 지그를 포함하고,
상기 잉크패드가 상기 삽입홈 방향으로 하강하면서 상기 지그에 안착되어 있는 디스플레이패널의 외곽에 상기 잉크를 인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곽 인쇄 장치.
An ink pad on which ink is buried; And
And a jig in which a display panel is mounted and supported and an insertion groove in which the ink pad is inserted is formed.
And the ink pad is printed in an outer portion of a display panel seated on the jig while the ink pad descends toward the insertion groov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패드의 단면은 타원형 또는 1/4원 모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곽 인쇄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Cross-section of the ink pad is an outer prin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oval or quarter-shap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패드는 탄성을 가지고 있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곽 인쇄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ink pad is an outer prin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패드는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의 외곽을 구성하는 제1비표시영역, 제2비표시영역, 제3비표시영역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잉크를 인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곽 인쇄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d the ink pad prints ink on at least one of a first non-display area, a second non-display area, and a third non-display area constituting the outside of the display pane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그는 수평면에 대하여 일정한 각도를 갖도록 기울어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곽 인쇄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jig can be inclined so as to have a constant angle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plan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그는,
상기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는 본체; 및
상기 본체 중 상기 삽입홈과 대면하고 있는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에 안착되는 디스플레이패널을 지지하기 위한 조정기를 포함하는 외곽 인쇄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jig is,
A main body in which the insertion groove is formed; And
And an adjuster for supporting a display panel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main body facing the insertion groove and seated on the main body.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기는 상기 본체 상에서 이동되어,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의 외곽이 상기 삽입홈의 일정할 위치에 놓여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곽 인쇄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adjuster is moved on the main body, so that the outside of the display panel The outer prin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o be plac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insertion groove.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되어 있는 외곽 인쇄 장치의 상기 지그에 디스플레이패널을 안착시키는 단계;
상기 잉크패드를 상기 삽입홈 방향으로 하강시켜, 상기 삽입홈에 배치되어 있는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의 외곽에 잉크를 인쇄하는 단계; 및
잉크가 상기 외곽에 인쇄된 후 상기 잉크패드를 상기 삽입홈 방향으로부터 상승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외곽 인쇄 방법.
Mounting a display panel on the jig of the outer prin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Lowering the ink pad toward the insertion groove to print ink on an outer portion of the display panel disposed in the insertion groove; And
And raising the ink pad from the direction of the insertion groove after the ink is printed on the outline.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을 안착시키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의 외곽이 상기 삽입홈과 일부분 겹쳐지도록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을 안착시키거나,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의 외곽이 상기 삽입홈의 끝단에 걸쳐지도록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을 안착시키거나,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의 외곽이 상기 삽입홈을 가리도록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을 안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곽 인쇄 방법.
The method of claim 8,
The mounting of the display panel,
The display panel is seated so that an outer portion of the display panel partially overlaps the insertion groove, or the display panel is seated so that an outer portion of the display panel extends over an end of the insertion groove, or the display panel. The outer print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o seat the display panel so that the outer edge of the insertion groove.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을 안착시키는 단계는,
상기 지그 중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이 안착되어 있는 본체에 형성되어 있는 조정기의 위치를 변경시켜,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의 외곽이 상기 삽입홈의 일정한 위치에 배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곽 인쇄 방법.
The method of claim 8,
The mounting of the display panel,
An outer printing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osition of the adjuster formed in the main body on which the display panel is seated is changed so that the outer portion of the display panel is dispos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insertion groove.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지그를 수평면에 대하여 일정한 각도를 갖도록 기울이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외곽 인쇄 방법.
The method of claim 8,
And inclining the jig to have a constant angle with respect to a horizontal plane.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를 인쇄하는 단계는,
상기 잉크패드가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의 외곽을 구성하는 제1비표시영역, 제2비표시영역, 제3비표시영역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접촉되어, 상기 잉크패드에 묻어있는 잉크가 상기 비표시영역에 인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곽 인쇄 방법.
The method of claim 8,
The printing of the ink may include
The ink pad is in contact with at least one of the first non-display area, the second non-display area, and the third non-display area constituting the outside of the display panel, so that ink deposited on the ink pad is in the non-display area. An outer print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for printing.
제1기판과 제2기판이 합착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1기판과 상기 제2기판 사이에는 빛을 투과하거나 또는 빛을 발생시킬 수 있는 물질층이 개재되어 있으며,
상기 제1기판과 상기 제2기판의 합착에 의해 형성되는 제1비표시영역, 제2비표시영역, 제3비표시영역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는,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되어 있는 외곽 인쇄 장치에 의해 잉크가 인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곽 인쇄 장치에 의해 제작된 디스플레이패널.
A first substrate and a second substrate are bonded to each other, and a material layer capable of transmitting light or generating light is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substrate and the second substrate.
The at least one of the first non-display area, the second non-display area, and the third non-display area formed by the bonding of the first substrate and the second substrate, any one of claims 1 to 7. A display panel produced by an outer printing apparatus, wherein ink is printed by the outer printing apparatus described in the document.
KR1020110048474A 2011-05-23 2011-05-23 Apparatus and method for printing an outer edge and display panel produced by the same KR10181897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8474A KR101818971B1 (en) 2011-05-23 2011-05-23 Apparatus and method for printing an outer edge and display panel produced by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8474A KR101818971B1 (en) 2011-05-23 2011-05-23 Apparatus and method for printing an outer edge and display panel produced by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0494A true KR20120130494A (en) 2012-12-03
KR101818971B1 KR101818971B1 (en) 2018-01-16

Family

ID=475145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8474A KR101818971B1 (en) 2011-05-23 2011-05-23 Apparatus and method for printing an outer edge and display panel produced by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8971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69895B2 (en) 2013-03-12 2018-01-16 Samsung Display Co., Ltd. Coating device, method of manufacturing display substrate using the same and display substrate manufactured us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33671A (en) * 2004-11-09 2006-05-25 Toshiba Corp Method for produc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epositing thin film
JP2009153539A (en) * 2007-12-25 2009-07-16 Molten Corp Ball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69895B2 (en) 2013-03-12 2018-01-16 Samsung Display Co., Ltd. Coating device, method of manufacturing display substrate using the same and display substrate manufactured using the same
US9989799B2 (en) 2013-03-12 2018-06-05 Samsung Display Co., Ltd. Coating device, method of manufacturing display substrate using the same and display substrate manufactured using the same
US11314120B2 (en) 2013-03-12 2022-04-26 Samsung Display Co., Ltd. Method of coating display device side surfa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8971B1 (en) 2018-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04294B2 (en) Display device
CN109445171B (en) Display module,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display device
US9337248B2 (en) Display device including alignment mark and light shielding pattern
JP5698325B2 (en) Display device and side sealing device for display panel
US20200285280A1 (en) Flexible display panel,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display device
EP3029542B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1656742B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20110064344A (en) Portable computer
KR20160044174A (en) Narrow Bezel Flat Panel Display
US20190343009A1 (en) Large display device having partially curved part
US10712613B2 (en) Backlight unit and display device
KR20160004428A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20150023053A1 (en) Backlight unit including color-compensating diffuser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EP3559733B1 (en) Display apparatus
KR10181897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inting an outer edge and display panel produced by the same
KR101970330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display panel with curved shape
CN100399142C (en)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and its producing method
KR102376312B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1970331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display panel with curved shape
KR102218438B1 (en) Display device
KR102365455B1 (en) Apparatus for folding a printed circuit board
KR102283144B1 (en) Display device
KR20150051380A (en) Method for manufacturing display panel with curved shape and display panel with curved shape
KR101970334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display panel with curved shape
KR101804490B1 (en) Curved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