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20681A - 곡선빔의 현장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곡선빔의 현장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20681A
KR20120120681A KR1020110038409A KR20110038409A KR20120120681A KR 20120120681 A KR20120120681 A KR 20120120681A KR 1020110038409 A KR1020110038409 A KR 1020110038409A KR 20110038409 A KR20110038409 A KR 20110038409A KR 20120120681 A KR20120120681 A KR 201201206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side mold
jack
curved beam
curv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84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11327B1 (ko
Inventor
이윤희
김재욱
Original Assignee
유니슨이테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슨이테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니슨이테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384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1327B1/ko
Publication of KR201201206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06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13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13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9/00Laying, rebuilding, or taking-up tracks; Tools or machines therefor
    • E01B29/005Making of concrete parts of the track in situ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26Assemblies of separate moulds, i.e. of moulds or moulding space units, each forming a complete mould or moulding space unit independently from each other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5/00Tracks for special kinds of railways
    • E01B25/08Tracks for mono-rails with centre of gravity of vehicle above the load-bearing rail
    • E01B25/10Mono-rails; Auxiliary balancing rails; Supports or connections for r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Rod-Shaped Construction Members (AREA)

Abstract

몰드 제작장에서 곡선빔을 제작하여 운반할 필요 없이, 측면 몰드 잭을 이용하여 현장에서 직접 곡선빔을 PSC 빔으로 제조함으로써, 기존의 강 빔으로 곡선빔을 제조하는 것에 비해 공사비를 낮출 수 있고, 유지관리가 용이해지며, 현장에서 직접 측면 몰드 잭을 조정하여 곡선빔을 곡선 형태로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고, 시공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곡선빔의 현장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곡선빔의 현장 제조 방법은, a) 현장에서 제조할 곡선빔을 다수의 조정 블록으로 분할하는 단계; b) 몰드 잭 지지대, 측면 몰드, 측면 중간 몰드 및 측면 몰드 잭을 해당 조정 블록에 정렬하는 단계; c) 해당 조정 블록에서 상기 측면 몰드 잭이 측면 몰드를 압출 및 압입하도록 조정하여 빔이 곡선 형상이 되도록 형성하는 단계; d) 조정 블록이 최종 조정 블록이 될 때까지, 조정 블록과 다음 조정 블록을 서로 연결하는 단계; e) 조정 블록이 최종 조정 블록인 경우, 몰드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 및 f) 단부 몰드를 처리하여 전체 곡선빔을 완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곡선빔은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Prestressed Concrete) 빔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곡선빔의 현장 제조 방법{METHOD FOR FIELD MANUFACTURING CURVILINEAL BEAM STRUCTURE}
본 발명은 곡선빔의 현장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빔 시공 현장에서 직접 곡선빔을 제조하기 위한 곡선빔의 현장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모노레일(Monorail)은 승객과 화물을 이동시키기 위해 1개의 주행로(빔)위에 차량이 과좌 또는 현수(懸垂)하여 주행하는 교통수단으로서, 이러한 모노레일은 소형전철, 궤도버스, 자기부상열차 등과 함께 새로운 도시 교통수단으로 부각되고 있으며, 기존의 지하철도와 같은 중전철(重電鐵)과 반대되는 개념인 경전철(輕電鐵)의 범주에 속하는 대중교통수단이다.
이러한 모노레일은 지하철도와 버스의 중간 정도의 수송능력을 갖추어 수송능력이 우수하고 건설비, 인건비가 적게 들며, 특히 고무바퀴로 달리기 때문에 소음과 진동이 없어 승차감이 좋을 뿐 아니라 노선 주위에도 민원발생 요인이 적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토지 이용도를 높임으로써 입체적이고 수려한 도시경관 조성을 할 수 있으므로 유럽이나 일본 등지에서는 이미 그 이용도가 높은 실정이다.
이러한 모노레일 구조물의 특징은 단선 빔으로서 주행되는 차륜이 빔 위에서 구동하기 때문에 상부 슬라브가 필요 없는 구조를 갖는다. 또한, 이러한 모노레일은 인구 밀집도가 높은 도심지와 도로 폭이 좁고 건물이 밀집된 도심구간 등에 적용할 수 있는 교통수단이다. 이때, 모노레일은 그 구조물이 직접 궤도가 되므로 정교한 시공이 요구된다. 즉, 모노레일의 구조물은 외형적으로는 간단하지만, 차량이 직접 구조물에서 운행되기 때문에 그 표면이 평활하고 정확하게 부합되는 구조물이 건설되어야 하며, 정교하게 제작 및 가설되어야 한다.
한편, 종래의 기술에 따른 빔 시공용 몰드(거푸집)는 단일판체의 구조로 교각 및 기초 콘크리트 도상에 몰드를 좌우 양측에 고정 설치하고, 그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시켜 빔을 시공하였다.
종래의 빔 제조를 위한 몰드는 단일판체로 구성하여 시공되는 빔의 높낮이 조절을 하기 위해서는 몰드 판체의 높이를 다양하게 구비하여 빔의 높낮이에 따라 대응되는 몰드 판체를 고정 설치하는 작업과 수평 조절이 불편할 뿐만 아니라 몰드 판체의 자재관리에 따른 비용이 증대되는 단점이 있고, 또한, 곡선빔의 경우, 원심력에 의해 경사조절(구배)을 위하여 좌우측에 설치되는 몰드 판체의 높이가 서로 다른 이종의 판체를 설치 및 시공하여야 하므로 몰드 조정에 따른 시공시간이 지연되어 시공성과 작업편의성이 저하되고, 유지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도 1은 일반적인 모노레일 차량 및 빔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a 및 도 2b는 각각 일반적인 PSC 빔 및 강 빔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모노레일 차량(10)은 빔(20) 상에서 구동되며, 이때, 빔(20)은 직선 빔(직선빔)(20a) 및 곡선빔(곡선빔)(20b)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종래의 기술에 따른 빔의 경우, PSC(Prestressed Concrete) 빔(40) 또는 강(Steel) 빔(50)으로 제조될 수 있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PSC 빔(40)은 표준화 및 단순화로 경제성이 양호하며, 주행성 및 안정성이 양호하다는 특성이 있고, 통상적으로 30m 이하의 일반 구간이나 준구간에 적용된다. 이러한 PSC 빔(40)은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공법으로 제작한 콘크리트로서, 철근 콘크리트의 철근 대신에 고강도의 강선을 사용하여 이에 미리 인장력을 주는 방식이다.
또한,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 빔(50)은 장경간, 급곡선부 적용에 유리하며, 미관 및 개방감이 양호하다는 특성이 있으며, 통상적으로 30m 이상의 장지간이 필요한 교차로 또는 급곡선 구간에 적용된다.
다시 말하면, 종래의 기술에 따른 직선 빔의 경우, 교각(30) 상에 PSC 빔(40)으로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지만, 곡선빔의 경우 교각(30) 상에 강 빔(50)으로 곡선을 형성하게 된다. 특히, 가로보와 수평브레이싱으로 연결된 격자구조인 강 빔(50)의 경우, 공사비가 고가이고 유지관리가 불리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0639477호(출원일: 2000년 10월 09일), 발명의 명칭: "고가 레일차량 가이드웨이용 지지 구조물" 2)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번호 제20-0279222호(출원일: 2002년 03월 02일), 발명의 명칭: "아이엘엠용 프리 스트레스트 곡선형 박스거더 거푸집장치" 3)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제2010-0083264호(공개일: 2010년 07월 22일), 발명의 명칭: "경전철 주행레일 시공용 가변 거푸집구조" 4)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0867490호(출원일: 2008년 03월 11일), 발명의 명칭: "구조물 지지장치" 5)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제2006-0031833호(공개일: 2006년 04월 13일), 발명의 명칭: "모노레일식 운반대차의 안내레일" 6)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0600642호(출원일: 2004년 02월 03일), 발명의 명칭: "모노레일 시스템" 7)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0999660호(출원일: 2009년 01월 13일), 발명의 명칭: "시공성 향상 기능을 갖는 다경간 프리캐스트 부재"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몰드 제작장에서 곡선빔을 제작하여 운반할 필요 없이, 측면 몰드 잭을 이용하여 현장에서 직접 곡선빔을 PSC빔으로 제조할 수 있는 곡선빔의 현장 제조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현장에서 직접 측면 몰드 잭을 조정하여 곡선빔을 곡선 형태로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고, 시공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곡선빔의 현장 제조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곡선빔의 현장 제조 방법은, 곡선빔을 현장에서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a) 현장에서 제조할 곡선빔을 다수의 조정 블록으로 분할하는 단계; b) 몰드 잭 지지대, 측면 몰드, 측면 중간 몰드 및 측면 몰드 잭을 해당 조정 블록에 정렬하는 단계; c) 상기 해당 조정 블록에서 상기 측면 몰드 잭이 상기 측면 몰드를 압출 및 압입하도록 조정하여 상기 빔이 곡선 형상이 되도록 형성하는 단계; d) 상기 조정 블록이 최종 조정 블록이 될 때까지, 상기 조정 블록과 다음 조정 블록을 서로 연결하는 단계; e) 상기 조정 블록이 최종 조정 블록인 경우, 몰드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 및 f) 단부 몰드를 처리하여 전체 곡선빔을 완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곡선빔은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Prestressed Concrete)빔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최종 조정 블록까지 상기 b) 내지 d) 단계를 반복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b) 단계의 해당 조정 블록에서 상기 몰드 잭 지지대 및 측면 몰드 잭은 상기 측면 몰드와 평행하지 않도록 배열하고, 상기 c) 단계에서 측면 몰드 잭은 상기 측면 몰드와 경사진 방향에서 조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b) 단계의 해당 조정 블록에서 상기 몰드 잭 지지대 및 측면 몰드 잭은 상기 측면 몰드와 동일 간격으로 평행하도록 배열되고, 상기 c) 단계에서 측면 몰드 잭은 상기 측면 몰드와 수직한 방향에서 조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c) 단계의 측면 몰드 잭은 상기 측면 몰드의 측면에서 높이 및 경사 조정이 가능한 제1 및 제2 힌지부를 통해 상기 측면 몰드를 압출 및 압입하여 곡선의 빔을 성형하며, 타설된 콘크리트의 수평하중을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측면 몰드 잭은, 상기 몰드 잭 지지대에 힌지 결합하여 높이 및 경사 조정이 가능한 제1 힌지부; 및 상기 제1 힌지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측면 몰드에 힌지 결합하며 높이 및 경사 조정이 가능한 제2 힌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b) 단계의 측면 중간 몰드는 상기 곡선빔 측면의 오목한 부분의 성형을 위한 몰드로서, 상기 측면 몰드 안쪽에 부착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측면 중간 몰드는 상기 측면 몰드 상에 형성된 슬롯홀을 이용하여 위치가 조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e) 단계 이전에 상기 곡선빔의 상부 모서리 양측 및 하부 모서리 양측을 모따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f) 단계의 단부 몰드는 상기 곡선빔 단부 표면의 기하학적 모양과 빔 길이를 조절하도록 상기 곡선빔의 양측 단부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몰드 제작장에서 곡선빔을 제작하여 운반할 필요 없이, 측면 몰드 잭을 이용하여 현장에서 직접 곡선빔을 PSC빔으로 제조함으로써, 기존의 강 빔으로 곡선빔을 제조하는 것에 비해 공사비를 낮출 수 있고, 유지관리가 용이해 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현장에서 직접 측면 몰드 잭을 조정하여 곡선빔을 곡선 형태로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고, 시공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모노레일 차량 및 빔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a 및 도 2b는 각각 일반적인 PSC 빔 및 강 빔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몰드 제작장 내에서 곡선빔의 제조 및 시공 과정을 나타내는 동작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곡선빔의 현장 제조 방법의 동작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곡선빔의 현장 제조 방법에서 곡선빔 제조 원리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곡선빔의 현장 제조 방법에서 곡선빔 제조 원리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곡선빔의 현장 제조 방법에 사용되는 제조 장치의 수직단면도이다.
도 8a 및 도 8b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곡선빔의 현장 제조 방법에서 측면 몰드 잭의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9a 및 도 9b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곡선빔의 현장 제조 방법에서 측면 몰드 잭의 제1 힌지부 및 제2 힌지부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곡선빔의 현장 제조 방법에서 단부 몰드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곡선빔의 현장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전에, 몰드 제작장 내에서 곡선빔의 제조 및 시공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즉, 도 3을 참조하여, 몰드 제작장 내에서 곡선빔의 제조 및 시공 과정을 설명하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곡선빔의 현장 제조 방법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몰드 제작장 내에서 곡선빔의 제조 및 시공 과정을 나타내는 동작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몰드 제작장 내에서 곡선빔을 제작하여 시공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빔의 정밀한 조립을 위한 전제 조건으로서, 좌대 및 앵커케이스를 조립하여 코핑을 시공한다(S101). 구체적으로, 앵커케이스를 정확한 위치에 놓기 위한 부자재인 좌대를 제작하고, 앵커케이스를 정확한 위치에 세팅하기 위하여 좌대를 이용해야 한다. 또한, 받침 본체를 조립하기 위해 코핑에 매설되는 부자재인 앵커케이스를 설치한다. 이때, 앵커케이스의 정확한 설치는 빔의 정밀 시공을 가능하게 하고, 이러한 앵커케이스의 구조상 미세 조정이 가능하게 한다.
다음으로, 빔을 설치할 현장 현황을 측량하고(S102), 빔을 제작할 몰드실(몰드 제작장치) 내의 몰드를 청소 및 조정한다(S103).
다음으로, 빔의 받침 및 철근 등을 조립하고(S104), 조립 후에 이를 검측한다(S105). 예를 들면, 목재 틀을 제작하고, 함석판을 피복한 후 분할 조립함으로써 내부 몰드를 제작한다. 이러한 내부 몰드는 스티로폼 등이 삽입되며, 콘크리트 타설 시에 내부 몰드의 부상을 방지하고 변형이 없는 구조이어야 한다. 또한, 각 부품들의 정밀한 조립 및 용접시 스티로폼 손상을 방지하도록 철근을 조립하게 되는데, 구체적으로, 교량받침을 조립하고, 단부 몰드를 조립하며, 이후 내부 몰드를 조립한 후, 철근 조립 및 용접함으로써 철근이 조립된다.
다음으로, 받침 및 철근 등이 조립된 상태에서 대차 상에 탑재되고, 이러한 대차를 몰드실로 이동한다(S106).
다음으로, 곡선빔을 제조하기 위하여 측면 몰드 잭을 조정한다(S107). 이러한 측면 몰드 잭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몰드 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S108), 피니셔 처리한다(S109).
다음으로, 콘크리트가 타설된 빔을 1차 및 2차 증기 양생한다(S110). 구체적으로, 콘크리트가 타설되면, 몰드실에서 타설된 콘크리트를 1차로 증기 양생하고, 조기 탈형 강도를 발현한 후에 양생실로 이동하여 양생실에서 2차로 증기 양생한다. 이후 완성된 빔을 검측한다(S111).
다음으로, 대차에서 빔을 1차로 긴장하고(S112), 이후 빔을 야적장으로 운반한다(S113).
다음으로, 이러한 빔을 야적장에 야적한 후에 2차 장을 실시하고 검측을 실시하고(S114), 이후 빔 상차하여(S115) 빔을 현장으로 운반한다(S116). 이후, 빔을 거치 및 조립함으로써 빔 시공이 완료된다(S117).
한편,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곡선빔의 현장 제조 방법의 동작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곡선빔의 현장 제조 방법은, 먼저, 빔의 정밀한 조립을 위한 전제 조건으로서, 좌대 및 앵커케이스를 조립하여 코핑을 시공한다(S201).
다음으로, 빔을 설치할 현장 현황을 측량하고(S202), 다음으로, 현장에서 제조할 곡선빔을 다수의 조정 블록으로 분할한다(S203). 이때, 조정 블록으로 분할은 빔 전체 크기에 따라 임의로 달라질 수 있다.
다음으로, 몰드 잭 지지대, 측면 몰드, 측면 중간 몰드 및 측면 몰드 잭을 해당 조정 블록에 정렬한다(S204). 이때, 상기 해당 조정 블록에서 상기 몰드 잭 지지대 및 측면 몰드 잭은 상기 측면 몰드와 평행하지 않도록 배열하고, 상기 측면 몰드 잭은 상기 측면 몰드와 경사진 방향에서 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해당 조정 블록에서 상기 몰드 잭 지지대 및 측면 몰드 잭은 상기 측면 몰드와 동일 간격으로 평행하도록 배열되고, 상기 측면 몰드 잭은 상기 측면 몰드와 수직한 방향에서 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면 중간 몰드는 상기 곡선빔 측면의 오목한 부분의 성형을 위한 몰드로서, 상기 측면 몰드 안쪽에 부착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측면 중간 몰드는 상기 측면 몰드 상에 형성된 슬롯홀을 이용하여 위치가 조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해당 조정 블록에서 상기 측면 몰드 잭이 상기 측면 몰드를 압출 및 압입하도록 조정하여 상기 빔이 곡선 형상이 되도록 형성한다(S205).
다음으로, 상기 조정 블록이 최종 조정 블록인지 확인하고(S206), 최종 조정 블록이 아닌 경우, 상기 조정 블록과 다음 조정 블록을 서로 연결한다(S207). 즉, 상기 최종 조정 블록까지 상기 S204 내지 S207 단계를 반복하여 수행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해당 조정 블록 내의 측면 몰드에 콘크리트를 타설한다(S208). 이때, 상기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전에 곡선빔의 상부 모서리 양측 및 하부 모서리 양측을 모따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단부 몰드를 처리하여 전체 곡선빔을 완성하고(S209), 후속적으로, 곡선빔을 거치 및 조립한다(S210). 이때, 완성된 곡선빔은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Prestressed Concrete) 빔이 된다. 또한, 상기 단부 몰드는 상기 곡선빔 단부 표면의 기하학적 모양과 빔 길이를 조절하도록 상기 곡선빔의 양측 단부에 각각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곡선빔의 현장 제조 방법은, 전술한 몰드 제작장 내에서 곡선빔을 제작하는 방법과 비교하면, 곡선빔을 몰드 제작장에서 제작하는 것이 아니고 현장에서 직접 제조할 수 있기 때문에 몰드 제작장에서 곡선빔을 제작하여 운반할 필요 없이, 측면 몰드 잭을 이용하여 현장에서 직접 곡선빔을 PSC 빔으로 제조함으로써, 기존의 강 빔으로 곡선빔을 제조하는 것에 비해 공사비를 낮출 수 있고, 유지관리가 용이해진다. 또한, 현장에서 직접 측면 몰드 잭을 조정하여 곡선빔을 곡선 형태로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고, 시공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곡선빔의 현장 제조 방법에서 곡선빔 제조 원리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곡선빔의 현장 제조 방법에서 곡선빔 제조 원리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곡선빔의 현장 제조 방법에서 곡선빔(300)은, 해당 조정 블록에서 상기 몰드 잭 지지대(110) 및 측면 몰드 잭(130)은 상기 측면 몰드(150)와 평행하지 않도록 배열하고, 상기 측면 몰드 잭(130)은 상기 측면 몰드(150)와 경사진 방향에서 조정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곡선빔의 현장 제조 방법에서 곡선빔(300)은, 해당 조정 블록에서 상기 몰드 잭 지지대(110b) 및 측면 몰드 잭(130b)은 상기 측면 몰드(150)와 동일 간격으로 평행하도록 배열되고, 상기 측면 몰드 잭(130b)은 상기 측면 몰드(150)와 수직한 방향에서 조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측면 몰드 잭(130b)의 경사를 조절하지 않고도 상기 측면 몰드(150)를 압입 및 압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곡선빔의 현장 제조 방법에 사용되는 제조 장치의 수직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곡선빔의 현장 제조 방법에 사용되는 제조 장치(100)는, 몰드 잭 지지대(110), 하부 몰드(120), 측면 몰드 잭(130), 측면 중간 몰드(140), 측면 몰드(150), 내부 몰드(160), 상부 선형 모따기판(170) 및 하부 선형 앵글 몰드(180)를 포함하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연결부(190) 및 단부 몰드(21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몰드 잭 지지대(110)는 상기 측면 몰드 잭(130)이 조정되어 상기 측면 몰드(150)를 압출 및 압입하여 곡선 형상을 형성정할 때, 상기 측면 몰드 잭(13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전술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해당 조정 블록에서 상기 몰드 잭 지지대(110) 및 측면 몰드 잭(130)은 상기 측면 몰드(150)와 평행하지 않도록 배열하고, 상기 측면 몰드 잭(130)은 상기 측면 몰드(150)와 경사진 방향에서 조정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해당 조정 블록에서 상기 몰드 잭 지지대(110b) 및 측면 몰드 잭(130b)은 상기 측면 몰드(150)와 동일 간격으로 평행하도록 배열되고, 상기 측면 몰드 잭(130b)은 상기 측면 몰드(150)와 수직한 방향에서 조정될 수 있다.
하부 몰드(120)는 빔(300) 하면의 성형을 위한 몰드로서 예를 들면, 교량받침 고정대를 구비할 수 있다.
측면 몰드 잭(130)은 콘크리트의 수평하중 전달과 곡선의 빔 성형을 위한 장치로서, 상기 측면 몰드(150)를 압출 및 압입할 때, 높이 및 경사 조정이 용이하도록 제1 힌지부 및 제2 힌지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측면 몰드 잭(130)은 상기 몰드 잭 지지대(110)를 관통하여 상기 측면 몰드(150)에 접하도록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힌지부 및 제2 힌지부에 대해서는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측면 중간 몰드(140)는 상기 곡선빔(300) 측면의 오목한 부분의 성형을 위한 몰드로서, 트롤리선 고정구가 삽입된다. 상기 측면 중간 몰드(140)는 상기 측면 몰드(150) 안쪽에 부착되며, 상기 측면 몰드(150)의 슬롯홀을 이용하여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측면 몰드(150)는 상기 곡선빔(300)의 전체적인 측면 성형을 위한 몰드로서, 상기 측면 몰드 잭(130)에 압출 및 압입에 의해 곡선 형상의 몰드가 된다.
내부 몰드(160)는 상기 하부 몰드(120) 상에 탑재되며, 상기 내부 몰드(160) 상에는 충진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충진 공간내에 목재, 스티로폼 등의 충진재가 충진될 수 있다. 즉, 상기 곡선빔(300) 전체의 중량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상기 곡선빔(300) 내에는 내부 몰드(160)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내부 몰드(160) 내에 목재, 스티로폼 등의 충진재가 충진된다.
상부 선형 모따기판(170)은 빔(300) 상부의 모따기 부분 성형을 위한 판으로서, 슬롯홀에 의해 높이 조절이 가능하다.
하부 선형 앵글 몰드(180)는 빔(300) 하부의 모따기 부분 성형을 위한 몰드로서, 또한, 콘크리트 누출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연결부(190)는 상기 조정 블록이 최종 조정 블록이 될 때까지, 상기 조정 블록과 다음 조정 블록을 서로 연결한다.
단부 몰드(210)는 상기 곡선빔(300) 단부 표면의 기하학적 모양과 빔 길이를 조절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단부 몰드(210)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10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도 8a 및 도 8b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곡선빔의 현장 제조 방법에서 측면 몰드 잭의 평면도 및 측면도이고, 도 9a 및 도 9b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곡선빔의 현장 제조 방법에서 측면 몰드 잭의 제1 힌지부 및 제2 힌지부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곡선빔의 몰드실 제조 장치에서 측면 몰드 잭(130)은, 콘크리트의 수평하중 전달과 곡선의 빔 성형을 위한 장치로서, 잭나사, 측정 눈금, 잭 고정대, 조정 스패너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측면 몰드 잭(130)은 상기 측면 몰드(150)를 압출 및 압입할 때, 높이 및 경사 조정이 용이하도록 제1 힌지부(131) 및 제2 힌지부(132)를 구비할 수 있다.
즉, 상기 측면 몰드 잭(130)은 상기 측면 몰드(150)의 측면에서 높이 및 경사 조정이 가능한 제1 및 제2 힌지부(131, 132)를 통해 상기 측면 몰드를 압출 및 압입하여 곡선의 빔을 성형하며, 타설된 콘크리트의 수평하중을 전달하게 된다.
상기 측면 몰드 잭(130)의 제1 힌지부(131)는, 도 9a를 참조하면, 상기 몰드 잭 지지대(110)에 힌지 결합하여 높이 및 경사 조정이 가능하며, 예를 들면, 상기 몰드 잭 지지대(110) 내의 d1 및 d2 공간에서 높이 및 경사를 조정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측면 몰드 잭(130)은 상기 측면 몰드(150)를 원하는 곡선 형상으로 압입 및 압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측면 몰드 잭(130)의 제2 힌지부(132)는, 도 9b를 참조하면, 상기 제1 힌지부(131)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측면 몰드(150)에 힌지 결합하며 높이 및 경사 조정이 가능하다. 이때, 작업자는, 측정 눈금에 따라 압출 및 압입을 정밀 조정할 수 있다.
한편,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곡선빔의 현장 제조 방법에서 단부 몰드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곡선빔의 몰드실 제조 장치에서 단부 몰드(210)는, 상기 곡선빔(300) 단부 표면의 기하학적 모양과 빔 길이를 조절하는데 사용되며, 예를 들면, 단부 몰드 플레이트, 핑거조인트 몰드, 위치 조정장치, 각도 조정장치 및 지지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단부 몰드(210)에 의해 형성된 곡선빔(300)의 단부는 다른 곡선빔(300)의 단부와 용이하게 연결 및 조립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곡선빔(곡선빔) 제조 장치
110: 몰드 잭 지지대
120: 하부 몰드
130: 측면 몰드 잭
140: 측면 중간 몰드
150: 측면 몰드
160: 내부 몰드
170: 상부 선형 모따기판
180: 하부 선형 앵글 몰드
190: 연결부
210: 단부 몰드
300: PSC 곡선빔(곡선빔)

Claims (10)

  1. 곡선빔을 현장에서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a) 현장에서 제조할 빔을 다수의 조정 블록으로 분할하는 단계;
    b) 몰드 잭 지지대, 측면 몰드, 측면 중간 몰드 및 측면 몰드 잭을 해당 조정 블록에 정렬하는 단계;
    c) 상기 해당 조정 블록에서 상기 측면 몰드 잭이 상기 측면 몰드를 압출 및 압입하도록 조정하여 상기 빔이 곡선 형상이 되도록 형성하는 단계;
    d) 상기 조정 블록이 최종 조정 블록이 될 때까지, 상기 조정 블록과 다음 조정 블록을 서로 연결하는 단계;
    e) 상기 조정 블록이 최종 조정 블록인 경우, 몰드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 및
    f) 단부 몰드를 처리하여 전체 곡선빔을 완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곡선빔은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Prestressed Concrete)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선빔의 현장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최종 조정 블록까지 상기 b) 내지 d) 단계를 반복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선빔의 현장 제조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의 해당 조정 블록에서 상기 몰드 잭 지지대 및 측면 몰드 잭은 상기 측면 몰드와 평행하지 않도록 배열하고, 상기 c) 단계에서 측면 몰드 잭은 상기 측면 몰드와 경사진 방향에서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선빔의 현장 제조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의 해당 조정 블록에서 상기 몰드 잭 지지대 및 측면 몰드 잭은 상기 측면 몰드와 동일 간격으로 평행하도록 배열되고, 상기 c) 단계에서 측면 몰드 잭은 상기 측면 몰드와 수직한 방향에서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선빔의 현장 제조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의 측면 몰드 잭은 상기 측면 몰드의 측면에서 높이 및 경사 조정이 가능한 제1 및 제2 힌지부를 통해 상기 측면 몰드를 압출 및 압입하여 곡선의 빔을 성형하며, 타설된 콘크리트의 수평하중을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선빔의 현장 제조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몰드 잭은,
    상기 몰드 잭 지지대에 힌지 결합하여 높이 및 경사 조정이 가능한 제1 힌지부; 및
    상기 제1 힌지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측면 몰드에 힌지 결합하며 높이 및 경사 조정이 가능한 제2 힌지부를 포함하는 곡선빔의 현장 제조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의 측면 중간 몰드는 상기 곡선빔 측면의 오목한 부분의 성형을 위한 몰드로서, 상기 측면 몰드 안쪽에 부착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선빔의 현장 제조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중간 몰드는 상기 측면 몰드 상에 형성된 슬롯홀을 이용하여 위치가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선빔의 현장 제조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 이전에 상기 곡선빔의 상부 모서리 양측 및 하부 모서리 양측을 모따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선빔의 현장 제조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f) 단계의 단부 몰드는 상기 곡선빔 단부 표면의 기하학적 모양과 빔 길이를 조절하도록 상기 곡선빔의 양측 단부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선빔의 현장 제조 방법.
KR1020110038409A 2011-04-25 2011-04-25 곡선빔의 현장 제조 방법 KR1013113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8409A KR101311327B1 (ko) 2011-04-25 2011-04-25 곡선빔의 현장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8409A KR101311327B1 (ko) 2011-04-25 2011-04-25 곡선빔의 현장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0681A true KR20120120681A (ko) 2012-11-02
KR101311327B1 KR101311327B1 (ko) 2013-09-25

Family

ID=475073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8409A KR101311327B1 (ko) 2011-04-25 2011-04-25 곡선빔의 현장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132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643775A (zh) * 2015-11-10 2016-06-08 北京交通大学 悬挂式单轨交通轨道梁制作模板***和施工工艺
CN106003392A (zh) * 2016-07-04 2016-10-12 北京交通大学 一种固定线形的跨座式单轨交通预制轨道梁模板***
CN112339077A (zh) * 2020-10-30 2021-02-09 中铁大桥局第九工程有限公司 用于曲线梁预制节段的侧模和预制节段的施工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9222Y1 (ko) * 2002-03-02 2002-06-24 동도산업 주식회사 아이엘엠용 프리 스트레스트 곡선형 박스거더 거푸집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643775A (zh) * 2015-11-10 2016-06-08 北京交通大学 悬挂式单轨交通轨道梁制作模板***和施工工艺
CN106003392A (zh) * 2016-07-04 2016-10-12 北京交通大学 一种固定线形的跨座式单轨交通预制轨道梁模板***
CN112339077A (zh) * 2020-10-30 2021-02-09 中铁大桥局第九工程有限公司 用于曲线梁预制节段的侧模和预制节段的施工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11327B1 (ko) 2013-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2729B1 (ko) 모노레일용 곡선 궤도빔의 몰드실 제조 장치
KR101158466B1 (ko) 교체가 용이한 3차원 입체형상의 궤도블록 및 그 제조방법, 이 궤도블록을 이용한 콘크리트 궤도 부설방법 및 안내궤도식 고무차륜 경전철의 궤도 부설방법
KR101394193B1 (ko) 매립형 거푸집을 이용한 강합성 교량의 상부슬래브 압출가설용 압출가설 장치
KR101214602B1 (ko) 강합성 교량의 레일형 상부슬래브를 전단연결재용 레일을 이용하여 시공하는 압출가설 장치 및 그 공법
KR101645462B1 (ko) 프리캐스트 가로보 제작방법 및 프리캐스트 가로보 시공방법
KR101549082B1 (ko) 3d pst 제조장치
JP2014510855A (ja) 3次元立体形状を有する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の製造方法及びこの方法によって製造された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を用いたコンクリート軌道敷設方法
CN208533372U (zh) 一种通用钢筋笼绑扎胎架
KR20140109732A (ko) 3차원 입체형상을 갖는 레일매립형 콘크리트블록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레일매립형 콘크리트블록을 이용한 매립형 철도궤도 부설방법
KR101311327B1 (ko) 곡선빔의 현장 제조 방법
KR101230049B1 (ko) 거푸집 및 레일을 이용한 교량의 상부슬래브 압출가설용 압출가설 장치 및 그 시공 방법
CN105463955B (zh) 一种维护方便的嵌入式轨道结构
CN112982774B (zh) 基于快拼式龙骨模壳组合模板成型密肋楼板的施工方法
KR101114445B1 (ko) 3차원 입체형상을 갖는 콘크리트블록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콘크리트블록을 이용한 안내궤도식 고무차륜 경전철의 궤도 부설방법
CN210657852U (zh) 预制路面板及临时道路结构
KR101223753B1 (ko) 강합성 교량의 터널형 상부슬래브 압출가설용 압출가설 장치 및 그 시공 방법
KR200298104Y1 (ko) 토목공사에서 박스형태로 설계되는 콘크리트 구체 성형용이동식 거푸집
KR101114444B1 (ko) 3차원 입체형상을 갖는 조립식 직결궤도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조립식 직결궤도를 이용한 콘크리트 직결궤도 부설방법
WO2000001888A1 (en) Railway system and its supporting structure, as well as their method of construction
KR100565361B1 (ko) 횡방향 이동수단을 이용한 연속압출공법에 의한 교량시공방법
CN112252176A (zh) 一种伸缩缝装置及其施工方法
KR101493313B1 (ko) 3d pst 제조장치에 사용되는 거푸집 장치
KR101245527B1 (ko) 단위블록을 이용한 3차원 입체형상의 콘크리트 블록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콘크리트 블록을 이용한 콘크리트 궤도 부설방법
KR102187297B1 (ko) 안내 레일식 고무차륜 agt의 분리형 주행로 시공 지그 및 이를 이용한 안내 레일식 고무차륜 agt의 분리형 주행로 시공 방법
KR101416157B1 (ko) 교체가 용이한 3차원 입체형상의 궤도블록 및 그 제조방법, 이 궤도블록을 이용한 콘크리트 궤도 부설방법 및 안내궤도식 고무차륜 경전철의 궤도 부설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