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5438A - Method for exchanging electronic health record and metadata storage system thereof - Google Patents

Method for exchanging electronic health record and metadata storage system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15438A
KR20120115438A KR1020110032019A KR20110032019A KR20120115438A KR 20120115438 A KR20120115438 A KR 20120115438A KR 1020110032019 A KR1020110032019 A KR 1020110032019A KR 20110032019 A KR20110032019 A KR 20110032019A KR 20120115438 A KR20120115438 A KR 201201154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lth record
metadata
item
identifi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201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233830B1 (en
Inventor
김주한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100320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3830B1/en
Publication of KR201201154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543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38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383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5/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reports, e.g. generation or transmission thereof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PURPOSE: A health record exchanging method and a meta data storing system for the same are provided to secure syntactic and semantic interoperability by implementing metadata based on international standards. CONSTITUTION: A meta data storing unit(320) stores a pair of meta data for an item included in a health record and an ID about the meta data. A meta data registering unit(330) generates an ID of meta data having an ID not stored in the meta data storing unit. A document generating unit generates a document by including one or more meta data related to each other. The meta data includes a data element, a data element concept, a value domain, and a conceptual domain. [Reference numerals] (310) Communication unit; (320) Meta data storing unit; (330) Meta data registering unit; (340) Control unit; (350) Encryption and decryption unit

Description

건강 기록 교환 방법 및 그를 위한 메타데이터 저장 시스템 {METHOD FOR EXCHANGING ELECTRONIC HEALTH RECORD AND METADATA STORAGE SYSTEM THEREOF}Health record exchange method and metadata storage system for him {METHOD FOR EXCHANGING ELECTRONIC HEALTH RECORD AND METADATA STORAGE SYSTEM THEREOF}

개시된 기술은 건강 기록 교환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메타 데이터를 이용하여 건강 기록의 의미론적 상호 운용성을 보장할 수 있는 메타 데이터 관리 기술 및 그를 이용한 건강 기록 교환 기술에 관한 것이다.The disclosed technology relates to a health record exchange technology,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adata management technology capable of ensuring semantic interoperability of health records using metadata and a health record exchange technology using the same.

건강 기록의 교류는 진단 정확도 향상, 중복검사 방지, 환자 안전 향상 등 다양한 이득을 창출할 수 있다. 대부분의 의료기관이 정보 교류를 시행하고 있으나, 이는 보통 문서나 방사선 필름의 교환 등과 같이 일회성 정보 교류에 불과하다.The exchange of health records can generate a number of benefits, including improved diagnostic accuracy, avoiding duplicate testing, and improving patient safety. Most medical institutions conduct information exchange, but this is usually only a one-time exchange of information, such as the exchange of documents or radiographic films.

종래의 건강 기록의 교환에 대한 발명은 기관 대 기관 또는 병원 대 병원과 같은 1:1의 단발성 정보 공유 시나리오를 기반하거나, 한정된 몇 개의 건강 기록 형식 간에서만 교환할 수 있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실질적으로 요구되는 것은 종래의 산발 또는 개별적으로 이루어지는 한정된 건강 기록의 교환이 아니라, 지속적이면서도 상이한 형식을 가지는 건강 기록들 간에서도 의미론적 운용성을 확보할 수 있는 다자간 의료정보 교환체계가 요구되고 있다.Conventional inventions on the exchange of health records have limitations that can be exchanged based on 1: 1 one-time information sharing scenarios such as institutions versus institutions or hospitals versus hospitals, or between only a few limited types of health records. However, what is actually required is a need for a multilateral medical information exchange system that can secure semantic operability even between continuous and different types of health records, rather than a conventional sporadic or individually limited health record exchange. .

종래의 건강 기록 교류 및 교환을 위한 표준으로는 HL7 V3 message, HL7 CDA등이 있다. HL7 V3 message는 이질적 시스템간에 임상 및 관리정보의 교환을 가능하게 하는 표준 프로토콜로서 인코딩 규칙에 따른 다양한 HL7 메시지 양식을 정의하고 있다. HL7 CDA는 시스템, 기관 및 사람들간에 임상 문서 교환을 위한 XML 표준 규약을 정의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표준들의 공통점은 건강 기록 교환을 위한 구문론(syntax)만을 정의하고 있으며, 건강 기록의 의미론(semantic)에 대한 정보는 정의하고 있지 않아, 실제로 효율적인 건강 기록의 교류가 어려운 한계가 있다.Conventional standards for the exchange and exchange of health records include HL7 V3 message, HL7 CDA, and the like. The HL7 V3 message is a standard protocol that allows the exchange of clinical and administrative information between disparate systems and defines various HL7 message formats according to encoding rules. The HL7 CDA defines the XML standard protocol for the exchange of clinical documents between systems, institutions and people. However, the commonalities of these standards define only the syntax for the exchange of health records, and do not define the information about the semantics of the health records, which makes it difficult to effectively exchange the health records.

통제용어를 통한 건강 기록에 대한 의미론적 정보를 제공하려는 방안이 제시되고 있으나, 실제 건강 기록은 단순한 용어보다 복잡한 개념이므로 여러 용어를 묶어서 표현하는 것이 요구된다. 그러나 통제용어를 이용하는 경우는 동일한 개념이 수 많은 서로 다른 방식으로 인코딩되는 소위 post-coordination ambiguity가 발생하게 되므로, 통제어휘의 결합만으로는 의미의 모호성(ambiguity)를 극복할 수 없다. 이러한 의미의 모호성에 의하여, 종래의 건강 기록 교류 기술들은 의미론적 상호 운용성을 확보할 수 없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Although proposals have been made to provide semantic information on health records through controlled terminology, actual health records are more complex than simple terms, and a combination of terms is required. However, in the case of using control terms, so-called post-coordination ambiguity is generated, in which the same concept is encoded in many different ways. Therefore, the combination of control words cannot overcome the ambiguity of meaning. Due to this ambiguity, conventional health record exchange technologies have a problem in that they cannot secure semantic interoperability.

실시예들 중에서, 건강 기록 교환 방법은 메타데이터 저장소와 연결될 수 있고 적어도 한 쌍의 메타데이터와 해당 데이터를 포함하는 전자적 건강 기록을 관리하는 제1 단말에서 수행된다. 상기 건강 기록 교환 방법은 상기 메타데이터 저장소로부터 상기 메타 데이터의 식별자를 얻는 단계 및 만일 얻을 수 없으면 상기 메타 데이터의 식별자를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건강 기록 교환 방법은 만일 얻을 수 있으면 상기 얻어진 식별자 및 상기 적어도 한 쌍의 메타데이터와 해당 데이터를 외부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mong the embodiments, the health record exchange method is performed at a first terminal that may be associated with a metadata repository and manages an electronic health record that includes at least a pair of metadata and corresponding data. The health record exchange method includes obtaining an identifier of the metadata from the metadata repository and registering an identifier of the metadata if not obtained. In one embodiment, the health record exchange method may further comprise transmitting the obtained identifier and the at least one pair of metadata and corresponding data to an external device if obtainable.

실시예들 중에서, 건강 기록 교환 방법은 건강 기록의 각 항목에 대하여 고유한 식별자를 부여하는 메타데이터 저장소와 연결 가능한 제1 단말에서 수행된다. 상기 건강 기록 교환 방법은 건강 기록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항목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메타데이터 저장소를 이용하여 상기 선택된 항목에 상응하는 메타데이터 또는 식별자 중 적어도 하나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면 상기 검색된 메타데이터의 식별자를 상기 선택된 항목에 연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건강 기록 교환 방법은 상기 검색이 실패하면 상기 메타데이터 저장소에 상기 선택된 항목에 상응하는 고유한 식별자를 생성하도록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건강 기록 교환 방법은 상기 건강 기록에 포함된 모든 항목에 대하여 상기 식별자가 연관되면 해당 건강 기록을 상기 제2 단말에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제2 단말로부터 요청 항목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건강 기록에서 상기 요청 항목에 상응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항목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건강 기록 교환 방법은 모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항목에 대하여 상기 식별자가 연관되면 해당 건강 기록을 상기 제2 단말에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mong the embodiments, the health record exchange method is performed at a first terminal connectable with a metadata repository that assigns a unique identifier for each item of health record. The health record exchange method includes selecting at least one item included in a health record, retrieving at least one of metadata or identifiers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item using the metadata repository, and the search is successful Associating an identifier of the retrieved metadata with the selected item. In one embodiment, the health record exchange method may further include requesting the metadata repository to generate a unique identifier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item if the search fails. In an embodiment, the health record exchange method may further include transmitting a corresponding health record to the second terminal when the identifier is associated with all items included in the health record. In one embodiment, the selecting may include receiving a request item from the second terminal and selecting the at least one item corresponding to the request item in the health record. In an embodiment, the health record exchange method may further include transmitting a corresponding health record to the second terminal when the identifier is associated with all the at least one item.

실시예들 중에서, 건강 기록 교환 방법은 건강 기록의 각 항목에 대하여 고유한 식별자를 부여하는 메타데이터 저장소를 이용하여, 제1 단말로부터 건강 기록을 수신하는 제2 단말에서 수행된다. 여기에서, 상기 제1 단말은 제1 건강 기록을, 상기 제2 단말은 제2 건강 기록을 이용한다. 상기 건강 기록 교환 방법은 상기 제1 단말로부터 상기 제1 건강 기록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건강 기록에 연관된 식별자를 이용하여 각 식별자에 해당하는 메타데이터 또는 의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메타데이터 저장소에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메타데이터 또는 의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제1 건강 기록의 각 항목을 해석하여 상기 제2 건강 기록의 해당 항목을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건강 기록 교환 방법은 상기 제1 단말에 제1 건강 기록의 적어도 일부 항목을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일부 항목을 포함하는 제1 건강 기록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건강 기록을 구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건강 기록의 각 항목에 해당하는 각 의미정보를 이용하여, 그에 상응하는 상기 제2 건강 기록의 각 항목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제2 건강 기록의 각 항목에 해당 제1 건강 기록의 각 항목의 데이터를 입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mong the embodiments, the health record exchange method is performed at a second terminal that receives a health record from the first terminal, using a metadata repository that assigns a unique identifier to each item of the health record. Here, the first terminal uses a first health record, and the second terminal uses a second health record. The health record exchange method may include receiving the first health record from the first terminal, and storing at least one of metadata or semantic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each identifier by using an identifier associated with the first health record. Requesting and interpreting each item of the first health record using at least one of the metadata or semantic information to construct a corresponding item of the second health record. In an embodiment, the health record exchange method may further include requesting at least some items of a first health record from the first terminal and receiving a first health record including the at least some items. . In an embodiment, the configuring of the second health record may include selecting each item of the second health record corresponding thereto by using each semantic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each item of the first health record, and And inputting data of each item of the first health record to each item of the selected second health record.

실시예들 중에서, 메타데이터 저장소는 메타데이터 저장부 및 메타데이터 등록부를 포함한다. 상기 메타데이터 저장부는 적어도 하나의 건강 기록에 포함된 항목에 대하여 한 쌍의 메타데이터와 해당 메타데이터에 대한 식별자를 저장한다. 상기 메타데이터 등록부는 상기 메타데이터 저장부에 식별자가 저장되어 있지 않은 메타데이터에 대하여 해당 메타 데이터에 대한 식별자를 생성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메타데이터 저장소는 서로 연관된 적어도 두 개의 메타데이터들을 포함하여 적어도 하나의 문서를 생성하는 문서 생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메타데이터는 데이터 요소(data element), 데이터 요소 개념(data element concept), 값 영역(value domain) 및 개념 영역(conceptual domain)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메타데이터는 ISO/IEC 11179 표준에 따라 구성될 수 있다.Among the embodiments, the metadata store includes a metadata store and a metadata register. The metadata storage unit stores a pair of metadata and an identifier for the metadata for items included in at least one health record. The metadata register generates an identifier for the corresponding metadata for metadata for which no identifier is stored in the metadata storage. In an embodiment, the metadata repository may further include a document generator that generates at least one document including at least two metadata associated with each other. In one embodiment, the metadata may include a data element, a data element concept, a value domain, and a conceptual domain. In one embodiment, the metadata may be organized according to the ISO / IEC 11179 standard.

도 1은 개시된 기술이 적용될 수 있는 건강 기록 교환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송신 단말에 대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1의 메타데이터 저장소에 대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2의 송신 단말에 따른 건강 기록 교환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2의 송신 단말에 따른 건강 기록 교환 방법의 다른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6은 도 5의 블록도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은 도 2의 수신 단말에 따른 건강 기록 교환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8은 도 7의 블록도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health record exchange system to which the disclosed technology can be applied.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transmitting terminal of FIG. 1.
FIG.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the metadata repository of FIG. 1.
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health record exchange method according to the transmitting terminal of FIG. 2.
FIG. 5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a health record exchange method according to the transmitting terminal of FIG. 2.
FIG. 6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the block diagram of FIG. 5.
FIG. 7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health record exchange method according to the receiving terminal of FIG. 2.
FIG. 8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the block diagram of FIG. 7.

개시된 기술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description of the disclosed technique is merely an example for structural or functional explanation and the scope of the disclosed technology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by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text. That is, the embodiments may be variously modified and may have various forms, and thus the scope of the disclosed technology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equivalents capable of realizing the technical idea.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Meanwhile, the meaning of the terms describ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should be understood as follows.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The terms "first "," second ", and the like are intended to distinguish one element from another, and the scope of the right should not be limited by these terms. For example,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및/또는"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항목, 제2 항목 및/또는 제3 항목"의 의미는 제1, 제2 또는 제3 항목뿐만 아니라 제1, 제2 또는 제3 항목들 중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한다.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term "and / or" includes all possible combinations from one or more related items. For example, the meaning of "first item, second item and / or third item" may be presented from two or more of the first, second or third items as well as the first, second or third item It means a combination of all the items that can be.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but there may be other elements in between.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elements in between. On the other hand, other expressions describ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mponents, such as "between" and "immediately between" or "neighboring to" and "directly neighboring to", should be interpreted as well.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singular " include "or" have "are to be construed as including a stated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combination is intended to specify that it does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In each step, the identification code (e.g., a, b, c, etc.) is us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identification code does not describe the order of each step, Unless otherwise stated, it may occur differently from the stated order. That is, each step may occur in the same order as described, may be performed substantially concurrently, or may be performed in reverse order.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개시된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All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unless otherwise defined. Commonly used predefined terms should be interpreted to be consistent with the meanings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can not be interpreted as having ideal or over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개시된 기술은 전자적 건강 기록(이하, 건강 기록)에 대한 구문론 및 의미론적 상호 호환성을 만족하는 방법론을 제시한다. 이러한 구문론 및 의미론적 상호 호환성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개시된 기술은 메타데이터를 이용하여 서로 상이한 형식을 가지는 건강 기록들에 대해서도 각 항목별로 의미론적 상호 호환성을 보장한다. 일반적으로 메타데이터는 자료에 대한 구문과 의미를 기술하는 단위이다. 메타데이터의 관리 등을 위한 표준으로써 국제표준화기구(ISO, International Standards Organization)에서는 ISO/IEC 11179 MetaData Registry(MDR)을 제안하고 있다. The disclosed technique proposes a methodology that satisfies the syntactic and semantic interoperability for electronic health records (hereafter, health records). In order to satisfy this syntactic and semantic interoperability, the disclosed technology uses metadata to ensure semantic interoperability for each item even for health records having different formats. In general, metadata is a unit that describes the syntax and meaning of data. As a standard for managing metadata, the International Standards Organization (ISO) proposes the ISO / IEC 11179 MetaData Registry (MDR).

개시된 기술에서, 건강 기록은 반드시 하나의 형식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다시 말해, 건강 기록을 송신하는 측과 수신하는 측은 서로 상이한 형식의 건강 기록을 가지고 있으며, 개시된 기술은 메타데이터 저장소를 활용하여 한 형식의 건강 기록이 다른 형식의 건강 기록으로 의미론적 일관성을 유지하면서 교환할 수 있도록 한다.In the disclosed technology, the health record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one form. In other words, the sending and receiving sides of the health record have different types of health records, and the disclosed technique utilizes a metadata repository to maintain semantic consistency with one type of health record to another. Allow exchange.

개시된 기술은 국제 표준인 ISO/IEC 11179을 기반으로 메타데이터를 구현할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구문론 및 의미론적 상호 운용성을 확보할 수 있는 건강 기록 교환 방법 및 그를 위한 메타데이터 저장 시스템(이하, 메타데이터 저장소)에 대하여 설명한다.The disclosed technology may implement metadata based on the international standard ISO / IEC 11179, and the method of exchanging health records and securing a metadata storage system for the same using syntax and semantic interoperability using the metadata (hereinafter, metadata) Storage).

도 1은 개시된 기술이 적용될 수 있는 건강 기록 교환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health record exchange system to which the disclosed technology can be applied.

도 1을 참조하면, 건강 기록 교환 시스템은 송신 단말(110), 메타데이터 저장소(120) 및 수신 단말(130)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the health record exchange system includes a transmitting terminal 110, a metadata repository 120, and a receiving terminal 130.

송신 단말(110) 또는 수신 단말(130)은 건강 기록을 송신 또는 수신하고자 하는 주체에 구비된 단말이다. 여기에서, 건강 기록을 송신 또는 수신하는 주체는 병원, 임상 기관 등의 의료 관련 기관 뿐만 아니라 개인이나 공공기관, 허가받은 기업 등 다른 기관도 해당할 수 있다.The transmitting terminal 110 or the receiving terminal 130 is a terminal provided to a subject who wants to transmit or receive a health record. Here, the subject of transmitting or receiving the health record may correspond not only to a medical institution such as a hospital or a clinical institution, but also to another institution such as an individual, a public institution, or a licensed company.

송신 단말(110)은 메타데이터 저장소(120)을 이용하여 건강 기록을 송신하고, 수신 단말(130)은 수신한 건강 기록을 메타데이터 저장소(120)을 이용하여 해석하여 의미론적 상호 호환성을 보장할 수 있다. 송신 단말(110) 및 수신 단말(130)들은 PC, 노트북, 타블렛 PC 등 다양한 정보처리 수단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송신 단말(110) 및 수신 단말(130)들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The transmitting terminal 110 transmits the health record using the metadata storage 120, and the receiving terminal 130 interprets the received health record using the metadata storage 120 to ensure semantic mutual compatibility. Can be. The transmitting terminal 110 and the receiving terminal 130 may be implemented by various information processing means such as a PC, a notebook computer, a tablet PC. The transmitting terminal 110 and the receiving terminal 13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FIG. 2.

메타데이터 저장소(120)는 건강 기록의 각 항목에 대하여 메타데이터와 그에 대한 고유한 식별자를 저장할 수 있다. 또는 메타데이터 저장소(120)는 건강 기록의 어느 항목에 대하여 메타데이터와 그에 대한 고유한 식별자를 생성하여 등록할 수 있다. 이러한 메타데이터 저장소(120)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Metadata repository 120 may store metadata and a unique identifier thereof for each item of health record. Alternatively, the metadata repository 120 may generate and register metadata and a unique identifier thereof for any item of the health record. This metadata repository 120 is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FIG. 3.

도 2는 도 1의 송신 단말에 대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transmitting terminal of FIG. 1.

도 2를 참조하면, 송신 단말(110)은 입력부(210), 통신부(220), 건강 기록 저장부(230) 및 제어부(240)를 포함할 수 있고, 실시예에 따라, 송신 단말(110)은 암복호부(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transmitting terminal 110 may include an input unit 210, a communication unit 220, a health record storage unit 230, and a control unit 240.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transmitting terminal 110 may be used. The encryption and decryption unit 250 may further include.

입력부(210)는 송신측 사용자로부터 명령 등을 입력받을 수 있는 수단이다. 예를 들어, 입력부(210)는 터치 스크린 입력모듈, 키보드/마우스 입력 모듈 등 다양한 입력 수단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당업자의 요구에 따라 변형되어 구성될 수 있으므로 개시된 기술에서는 특정한 입력 기술로서 한정하지 않는다.The input unit 210 is a means for receiving a command or the like from the user of the transmitting side. For example, the input unit 210 may be implemented by various input means such as a touch screen input module, a keyboard / mouse input module, and may be modified and configured according to the needs of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us the disclosed technology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input technology. .

통신부(220)는 유선 또는 무선을 통하여 메타데이터 저장소(120) 또는 수신 단말(130)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이다. 통신부(220)는 당업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으며, 개시된 기술에서는 특정한 기술로 한정하지 않는다.The communication unit 220 is a means for communicating with the metadata storage 120 or the receiving terminal 130 through a wired or wireless. The communication unit 220 may be variously modified according to the needs of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disclosed technology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technology.

건강 기록 저장부(230)는 건강 기록을 저장할 수 있다. 여기에서, 건강 기록 은 적어도 하나의 항목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건강 기록은 개인정보, 나이, 성별, 알레르기, 부작용, 문제 목록, 기능평가, 예방접종, 가족력, 사회력, 검사 이력, 투약 이력, 시술 이력 등 병력 이력, 보험정보, 사전 의료지시 및 의료기관 방문기록 등의 항목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health record storage unit 230 may store the health record. Here, the health record may comprise at least one item. For example, health records may include personal information, age, gender, allergies, side effects, problem lists, functional assessments, immunizations, family history, social history, test history, medication history, procedure history, insurance information, prior medical instructions, etc. And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items such as medical institution visit history.

제어부(240)는 송신 단말(110)의 각 구성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240 may control each component of the transmitting terminal 110.

제어부(240)는 건강 기록 저장부(230)에 저장된 건강 기록을 수신 단말(130)에 송신하도록 통신부(21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 동작에 대하여 더 상세히 설명하면, 제어부(240)는 사용자에 의하여 입력된 명령에 따라 송신하고자 하는 건강 기록을 결정하고, 결정된 건강 기록의 전송할 항목에 대한 메타데이터 및 그에 대한 식별자를 메타데이터 저장소(120)에 요청할 수 있다. 만약 메타데이터 저장소(120)로부터 식별자를 수신하면 수신된 식별자를 포함하여 해당 항목의 데이터를 수신 단말(130)에 송신할 수 있다. 만약 식별자를 수신하지 못하면(즉, 해당 항목에 대한 식별자가 없다는 정보를 수신하면), 메타데이터 저장소(120)에 해당 항목에 대한 식별자를 생성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230)의 구체적인 동작에 대해서는 이하의 도 4를 참조하여 더 상세히 설명한다.The control unit 240 may control the communication unit 210 to transmit the health record stored in the health record storage unit 230 to the receiving terminal 130. In more detail with respect to the specific operation, the controller 240 determines a health record to be transmitted according to a command input by a user, and stores metadata about an item to be transmitted of the determined health record and an identifier thereof. 120). If the identifier is received from the metadata storage 120, the data of the corresponding item including the received identifier may be transmitted to the receiving terminal 130. If it does not receive an identifier (ie, receives information that there is no identifier for that item), metadata repository 120 can be requested to generate an identifier for that item. A detailed operation of the controller 23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4 below.

암복호부(250)는 제어부(230)의 제어에 따라 수신 단말(130) 또는 메타데이터 저장소(120)와 통신을 수행함에 있어서 요구되는 암호화/복호화 또는 관련된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암호화/복호화 또는 인증에 관련된 기술은 당업자의 요구에 의하여 다양한 수단이 적용될 수 있으므로, 개시된 기술은 암복호부(250)를 특정한 기술로서 한정하지 않는다.The encryption / decryption unit 250 may perform encryption / decryption or related authentication required for communicating with the receiving terminal 130 or the metadata storage 12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230. Since a technique related to encryption / decryption or authentication can be applied to various means at the request of those skilled in the art, the disclosed technique does not limit the encryption / decryption unit 250 as a specific technique.

수신 단말(130)은 도 2에 도시된 송신 단말(110)의 구성과 동일하거나 상응하게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수신 단말(130)은 입력부, 통신부, 건강 기록 저장부 및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 암복호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입력부, 통신부, 건강 기록 저장부, 암복호부는 실질적으로 송신 단말(110)의 해당 구성요소와 동일 또는 상응하게 동작하므로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The receiving terminal 130 may be the same as or correspon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transmitting terminal 110 shown in FIG. In other words, the receiving terminal 130 may include an input unit, a communication unit, a health record storage unit, and a control unit, and in some embodiments, may include an encryption / decryption unit. Here, since the input unit, the communication unit, the health record storage unit, and the decryption unit operate substantially the same as or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components of the transmitting terminal 110,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here.

수신 단말(130)의 제어부는 송신 단말(110)의 제어부와 상이하게 동작하므로 이에 대하여 설명한다. 수신 단말(130)의 제어부는 송신 단말이 전송한 건강 기록(이하, 제1 건강 기록)을 수신하도록 통신부를 제어하고, 수신된 건강 기록에 연관되어 있는 식별자에 대한 의미론적 정보(이하, 의미정보)를 메타데이터 저장소에 요청할 수 있다. 제어부는 식별자에 대한 의미론적 정보를 수신하면, 이를 이용하여 수신된 건강 기록의 각 항목의 의미를 해석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230)의 구체적인 동작에 대해서는 이하의 도 5를 참조하여 더 상세히 설명한다.Since the control unit of the receiving terminal 130 operates differently from the control unit of the transmitting terminal 110 will be described. The control unit of the receiving terminal 130 controls the communication unit to receive the health record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first health record) transmitted by the transmitting terminal, and the semantic information (hereinafter, semantic information) about the identifier associated with the received health record. ) Can be requested from the metadata repository. When the controller receives the semantic information about the identifier, the controller may interpret the meaning of each item of the received health record using the semantic information. A detailed operation of the controller 23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5 below.

메타데이터 저장소(120)는 건강 기록에 대한 의미론?구문론적 자료를 기술, 등록, 관리하기 위한 일련의 구성 요소들을 구비한다. 일 실시예에서, 메타데이터 저장소(120)는 국제 메타데이터 기술, 등록, 관리 표준인 ISO/IEC 11179 구조를 기반으로 구현될 수 있다. The metadata repository 120 has a set of components for describing, registering and managing semantic and syntactic data for health records. In one embodiment, the metadata repository 120 may be implemented based on the ISO / IEC 11179 structure, which is an international metadata technology, registration, and management standard.

도 3은 도 1의 메타데이터 저장소에 대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로서,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메타데이터 저장소(120)에 대하여 더 상세히 설명한다.FIG.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the metadata repository of FIG. 1. Hereinafter, the metadata repository 12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3.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타데이터 저장소(120)는 통신부(310), 메타데이터 저장부(320), 메타데이터 등록부(330) 및 제어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메타데이터 저장소(120)는 암복호부(3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the metadata repository 120 may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310, a metadata storage unit 320, a metadata registerer 330, and a controller 340.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metadata repository 120 may further include an encryption / decryption unit 350.

통신부(310)는 유선 또는 무선을 통하여 송신 단말(110) 또는 수신 단말(130)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이다. 통신부(310)는 당업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으며, 개시된 기술에서는 특정한 기술로 한정하지 않는다.The communication unit 310 is a means for communicating with the transmitting terminal 110 or the receiving terminal 130 through a wired or wireless. The communication unit 310 may be variously modified according to the needs of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disclosed technology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technology.

메타데이터 저장부(320)는 건강 기록에 연관된 메타데이터와 각 메타데이터에 대하여 고유한 식별자를 저장할 수 있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메타데이터 저장부(320)는 적어도 하나의 건강 기록의 각 항목에 대하여 (i)메타데이터와 (ii)해당 매타데이터에 대한 식별자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적어도 하나의 건강 기록은 서로 동일하지 않은 형식의 건강 기록들을 포함할 수 있다. The metadata storage unit 320 may store metadata associated with the health record and a unique identifier for each metadata. In more detail, the metadata storage unit 320 may store (i) metadata and (ii) an identifier for the corresponding metadata for each item of the at least one health record. Here, the at least one health record may include health records of types that are not identical to each other.

메타데이터 등록부(330)는 메타데이터와 그에 관한 식별자를 생성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메타데이터 등록부(330)는 메타데이터 저장부(320)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건강 기록의 항목에 대하여 메타데이터 및 그에 대한 식별자 쌍을 생성하여 메타데이터 저장부(320)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메타데이터 등록부(330)는 송신 단말(110)의 요청에 의하여 건강 기록의 해당 항목에 대한 메타데이터 및 그에 대한 식별자를 생성할 수 있다.The metadata register 330 may generate metadata and an identifier thereof. In other words, the metadata register 330 may generate metadata and identifier pairs thereof for the items of the health record, which are not stored in the metadata storage 320, and store the metadata in the metadata storage 320. . In one embodiment, the metadata register 330 may generate metadata about the corresponding item of the health record and an identifier thereof at the request of the transmitting terminal 110.

제어부(340)는 메타데이터 저장소(120)의 각 구성요소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340)는 메타데이터 저장부(320)를 검색하여 송신 단말(110) 또는 수신 단말(130)이 요청한 건강 기록의 항목에 대하여 식별자를 알려줄 수 있다. 다른 예로, 제어부(340)는 메타데이터 저장부(320)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건강 기록의 항목에 대하여, 메타데이터 및 식별자를 생성하도록 메타데이터 등록부(330)를 제어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340 may control each component of the metadata repository 120. For example, the controller 340 may search the metadata storage 320 to inform the identifier of the item of the health record requested by the transmitting terminal 110 or the receiving terminal 130. As another example, the controller 340 may control the metadata register 330 to generate metadata and an identifier for an item of a health record that is not stored in the metadata storage 320.

암복호부(350)는 제어부(340)의 제어에 따라 송신 단말(110) 또는 수신 단말(130)과 통신을 수행함에 있어서 요구되는 암호화/복호화 또는 관련된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암호화/복호화 또는 인증에 관련된 기술은 당업자의 요구에 의하여 다양한 수단이 적용될 수 있으므로, 개시된 기술은 암복호부(350)를 특정한 기술로서 한정하지 않는다.The encryption / decryption unit 350 may perform encryption / decryption or related authentication required for communicating with the transmitting terminal 110 or the receiving terminal 13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340. Since a technique related to encryption / decryption or authentication can be applied to various means at the request of those skilled in the art, the disclosed technique does not limit the encryption / decryption unit 350 as a specific technique.

일 실시예에서, 메타데이터 저장소(120)는 문서 생성부(미도시) 및 문서 저장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문서 생성부는 서로 연관된 적어도 두 개의 메타데이터들을 포함하여 적어도 하나의 문서를 생성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문서 생성부는 서로 연관성을 가지는 메타데이터들(예컨대, 성명, 키, 나이, 성별 등에 대한 메타데이터들)을 포함하나 하나의 문서(예컨대, 환자 신상정보 문서)를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문서는 문서 저장부에 저장될 수 있다. 이렇게 생성된 문서는 서로 상이한 건강 기록들이 서로 형식상 적어도 일부의 통일성을 가지도록 사용될 수 있다. 즉, 송신 단말(110)과 수신 단말(130)에서 사용되는 각 건강 기록이 서로 상이한 형식이라 해도, 환자 신상정보 문서를 요청하여 이를 이용함으로써 적어도 환자 신상에 대한 정보는 서로 상응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metadata storage 120 may further include a document generator (not shown) and a document storage (not shown). The document generator may generate at least one document including at least two metadata associated with each other. In other words, the document generation unit may include metadata associated with each other (eg, metadata about a name, height, age, gender, etc.) but may generate one document (eg, a patient identification document). The generated document may be stored in the document storage. The document thus generated may be used such that different health records have at least some form of uniformity with each other. That is, even if each health record used in the transmitting terminal 110 and the receiving terminal 130 is in a different format, by requesting and using a patient ID document, at least the information about the patient's image may be configured to correspond to each other. .

다른 일 실시예에서, 메타데이터 저장부(320)는 문서 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메타데이터 저장부(320)는 문서 생성부의 기능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metadata storage 320 may include a document generator. In more detail, the metadata storage 32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function of the document generator.

이하에서는, 메타데이터 저장소(120)의 구체적 동작을 쉽게 설명하기 위하여 하나의 예를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이러한 예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서, 이러한 예에 개시된 메타데이터 저장소(120)의 동작이 한정되지 않음은 명확하다. 송신 단말(110)은 이름, 나이, 성별, 키에 대한 항목을 포함하는 A 형식의 건강 기록(이하, A 건강 기록)을 사용하고, 수신 단말(130)은 환자명, 나이, 남/녀에 대한 항목을 포함하는 B 형식의 건강 기록(이하, B 건강 기록)을 사용한다고 가정하자. 메타데이터 저장소(120)는 A 건강 기록의 이름 항목과 B 건강 기록의 환자명 항목에 대하여, name이라는 메타데이터와 101이라는 식별자를 가질 수 있다. 또한 A 및 B 건강 기록들의 나이 항목에 대하여 메타데이터 age와 식별자 102를, A 건강 기록의 성별 항목과 B 건강 기록의 남/녀 항목에 대하여 메타데이터 sex와 103이라는 식별자를 가질 수 있다.다시 말해, 메타데이터는 각 항목에 대한 메타데이터가 되고, 식별자는 그러한 메타데이터를 고유하게 구분할 수 있는 ID일 수 있다. 여기에서, 송신 단말(110)이 송신 단말(110)이 A 건강 기록의 이름, 나이, 성별에 대하여 메타데이터 및 식별자 (또는 식별자 만)를 요청하면, 메타데이터 저장소(120)는 name-101, age-102, sex-103를 제공할 수 있다. 송신 단말(110)은 이름 항목의 데이터 값(예를 들어, 홍길동)에 메타데이터 name과 그에 대한 식별자 101을 연관할 수 있고, 나이, 성별 항목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연관할 수 있다. 송신 단말(110)은 연관된 A 건강 기록을 수신 단말(130)에 송신할 수 있다. 수신 단말(130)은 A 건강 기록을 수신하고, 각 항목에 연관된 메타데이터에 대한 의미정보 및 식별자에 대한 정보를 메타데이터 저장소(120)에 요청하고 이를 해석하여 A 건강 기록의 각 항목에 대하여 의미론적 해석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수신 단말(130)은 B 건강 기록의 성별 항목에 해당하는 것이 A 건강 기록의 이름 항목임을 해석하고, 그 데이터값(홍길동)을 성별 항목에 저장할 수 있다. 나머지 항목들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이루어지며, 이를 통하여 개시된 기술은 서로 건강 기록의 형식이 다른 송신 단말(110)과 수신 단말(130) 사이에서도 단순히 형식적이 아닌 의미론적으로 건강 기록을 교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Hereinafter, one example will be described in order to easily describe the specific operation of the metadata repository 120. However, this example is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the operation of the metadata repository 120 disclosed in the example is not limited. The transmitting terminal 110 uses an A-type health record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A health record) including items for a name, age, gender, and height, and the receiving terminal 130 is assigned to a patient name, age, and male / female. Suppose you use a type B health record (hereinafter referred to as B health record) that includes an item for. The metadata repository 120 may have a metadata of name and an identifier of 101 for the name item of the A health record and the patient name item of the B health record. It may also have metadata age and identifier 102 for the age items of the A and B health records, and metadata sex and 103 for the gender item of the A health records and the male and female items of the B health records. The metadata may be metadata for each item, and the identifier may be an ID for uniquely identifying such metadata. Here, when the transmitting terminal 110 requests metadata and an identifier (or only an identifier) for the name, age, and gender of the A health record, the metadata storage 120 may include name-101, age-102, sex-103 may be provided. The transmitting terminal 110 may associate the metadata name and the identifier 101 thereof with the data value of the name item (eg, Hong Gil-dong), and may similarly associate with the age and gender items. The transmitting terminal 110 may transmit the associated A health record to the receiving terminal 130. The receiving terminal 130 receives the A health record, requests the metadata repository 120 for the semantic information about the metadata associated with each item, and the information about the identifier, and interprets it to mean each item of the A health record. Conduct a theoretical interpretation. That is, the receiving terminal 130 may interpret that the gender item of the B health record corresponds to the name item of the A health record, and store the data value (Hong Gil Dong) in the gender item. The same applies to the remaining items, and the disclosed technology has the effect of exchanging health records semantically, not simply formally, between the transmitting terminal 110 and the receiving terminal 130 having different types of health records. have.

개시된 기술에 의한 메타데이터 저장소(120)는 메타데이터 등록 및 관리를 위해 관리 및 식별, 명명과 정의, 분류 등의 구조를 제공할 수 있으며, 메타데이터 내용 기술을 위해 데이터요소(data element), 데이터요소 개념(data Element Concept), 값 영역(value domain), 개념 영역(conceptual Domain)으로 나눠서 기술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하나의 메타데이터는 유일무이한 아이디인 식별자를 가지게 되며, 식별자를 기준으로 메타데이터를 식별하게 된다. 따라서, 하나의 메타데이터는 다양한 영역(classification), 문서(clinical Document)에 사용될 수 있고, 연관성이 있는 메타데이터 집합은 하나의 문서를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메타데이터는 여러 기관의 다양한 건강 기록에서 사용되게 되나, 의미론적으로는 하나의 메타데이터로 연결되게 됨으로써 다자간 자료 교환 시 동일한 메타데이터에 대한 건강 기록은 일관된 의미와 구조를 가질 수 있다.The metadata repository 120 according to the disclosed technology may provide a structure such as management and identification, naming and definition, classification, etc. for metadata registration and management, and data elements and data for metadata content description. It can be described by dividing it into a data element concept, a value domain, and a conceptual domain. In other words, one metadata has an identifier which is a unique ID, and identifies metadata based on the identifier. Accordingly, one metadata may be used for various classifications and documents, and a set of related metadata may constitute one document. This structure allows metadata to be used in a variety of health records from multiple institutions, but semantically, it is linked to a single metadata so that health records for the same metadata can have a consistent meaning and structure in multilateral data exchange. .

도 4는 도 2의 송신 단말에 따른 건강 기록 교환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health record exchange method according to the transmitting terminal of FIG. 2.

도 4를 참조하면, 건강 기록 교환 방법은 메타데이터 저장소(120)로부터 메타 데이터의 식별자를 얻는 단계(단계 S410) 및 만일 얻을 수 없으면, 메타 데이터의 식별자를 등록하는 단계(단계 S42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건강 기록 교환 방법은 만일 얻을 수 있으면, 상기 얻어진 식별자 및 상기 적어도 한 쌍의 메타데이터와 해당 데이터를 외부로 전송하는 단계(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the health record exchange method may include obtaining an identifier of the metadata from the metadata repository 120 (step S410) and if not, registering an identifier of the metadata (step S420). Can be. In one embodiment, the health record exchange method may further comprise the step of transmitting the obtained identifier and the at least one pair of metadata and the data to an outside, if available.

도 5는 도 2의 송신 단말에 따른 건강 기록 교환 방법의 다른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FIG. 5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a health record exchange method according to the transmitting terminal of FIG. 2.

도 5를 참조하면, 건강 기록 교환 방법의 다른 일 실시예는 건강 기록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항목을 선택하는 단계(단계 S510), 메타데이터 저장소(120)를 이용하여 선택된 항목에 상응하는 메타데이터 또는 식별자 중 적어도 하나를 검색하는 단계(단계 S520) 및 검색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면, 검색된 메타데이터의 식별자를 선택된 항목에 연관하는 단계(단계 S53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5, another embodiment of the health record exchanging method includes selecting at least one item included in the health record (step S510), and metadata corresponding to the item selected using the metadata repository 120. Or retrieving at least one of the identifiers (step S520) and, if the retrieval is successful, associating the identifiers of the retrieved metadata with the selected item (step S530).

도 6은 도 5의 블록도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로서,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도 5의 다른 일 실시예에 대하여 더 상세히 설명한다.FIG.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the block diagram of FIG. 5. Hereinafter, another embodiment of FIG. 5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6.

송신 단말(110)은 수신 단말(130)에 전송하고자 하는 건강 기록을 선택할 수 있다(단계 S610). 송신 단말(110)은 선택된 건강 기록에서 전송하고자 하는 적어도 하나의 항목을 선택할 수 있다(단계 S620). 송신 단말(110)은 메타데이터 저장소(120)를 이용하여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항목에 상응하는 메타데이터 또는 식별자 중 적어도 하나를 검색할 수 있다(단계 S630). 만약 검색이 성공하면(단계 S640, 예), 송신 단말(110)은 검색된 메타데이터의 식별자(또는 메타데이터 및 그 식별자)를 선택된 항목에 연관할 수 있다(단계 S650). 만약 검색이 실패하면(단계 S640, 아니오), 송신 단말(110)은 메타데이터 저장소(120)에 선택된 항목에 상응하는 메타데이터 및/또는 고유한 식별자를 생성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단계 S651). 송신 단말(110)은 전송하고자 하는 모든 항목에 대하여 식별자가 연관되면, 식별자가 연관된 해당 건강 기록을 수신 단말(130)에 송신할 수 있다(단계 S660).The transmitting terminal 110 may select a health record to be transmitted to the receiving terminal 130 (step S610). The transmitting terminal 110 may select at least one item to be transmitted from the selected health record (step S620). The transmitting terminal 110 may search for at least one of metadata or identifiers corresponding to the at least one item selected by using the metadata storage 120 (step S630). If the search is successful (step S640, YES), the transmitting terminal 110 may associate an identifier (or metadata and its identifier) of the retrieved metadata with the selected item (step S650). If the search fails (step S640, NO), the transmitting terminal 110 may request the metadata repository 120 to generate metadata and / or unique identifier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item (step S651). When the identifier is associated with all items to be transmitted, the transmitting terminal 110 may transmit the corresponding health record associated with the identifier to the receiving terminal 130 (step S660).

여기에서, 단계 630에 대하여 더 상세히 설명하면, 송신 단말(110)은 메타데이터 저장소(120)를 이용하여 선택한 항목에 상응하는 메타데이터 및/또는 식별자를 검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송신 단말(110)은 선택한 항목을 전송하고 그에 상응하는 메타데이터 및/또는 식별자를 요청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송신 단말(110)은 소정의 인증 절차를 수행하여 메타데이터 저장소(120)에 직접 접근한 후, 선택한 항목에 상응하는 메타데이터 및/또는 식별자를 검색할 수 있다. Herein,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step 630, the transmitting terminal 110 may search for metadata and / or identifiers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item by using the metadata storage 120. In one embodiment, the transmitting terminal 110 may transmit the selected item and request metadata and / or identifier corresponding thereto. In another embodiment, the transmitting terminal 110 may directly access the metadata repository 120 by performing a predetermined authentication procedure, and then search for metadata and / or identifier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item.

여기에서, 송신 단말(110)이 메타데이터 저장소(120)에 요청하는 것은 선택한 항목에 상응하는 (i)메타데이터, (ii) 식별자 또는 (iii) 메타데이터 및 식별자 일 수 있다. 즉, 선택한 항목에 상응하는 값이 메타데이터 저장소(120)에 존재하는 지 확인함에 있어서, 메타데이터를 요청하던 식별자를 요청하던(또는 둘다 요청하던) 개시된 건강 기록 교환 방법에서는 중요한 것이 아니며 균등한 범주에 속한다. Here, the request of the transmitting terminal 110 to the metadata storage 120 may be (i) metadata, (ii) identifier or (iii) metadata and identifier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item. In other words, in determining whether a value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item exists in the metadata repository 120, it is not important for the disclosed health record exchange method, which requests metadata or an identifier (or both), and is an equivalent category. Belongs to.

일 실시예에서, 단계 S610은 수신 단말(130)로부터 요청 받은 항목(이하, 요청 항목)을 선택하여 일련의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송신 단말(110)은 수신 단말(130)로부터 요청 항목을 수신하고, 그 요청받은 항목에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항목을 건강 기록에서 선택할 수 있다. 이후, 수신 단말(130)은 모든 요청 항목에 대하여 식별자가 연관되면, 해당 건강 기록을 수신 단말(130)에 송신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step S610 may perform a series of procedures by selecting an item (hereinafter, request item) requested from the receiving terminal 130. In more detail, the transmitting terminal 110 may receive a request item from the receiving terminal 130 and select at least one item corresponding to the requested item from the health record. Thereafter, when all identifiers are associated with all request items, the receiving terminal 130 may transmit the corresponding health record to the receiving terminal 130.

일 실시예에서, 단계 S660은 건강 기록에 포함된 모든 항목에 대하여 식별자가 연관되면, 해당 건강 기록을 수신 단말(130)에 송신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선택한 건강 기록에서 적어도 일부의 항목을 재 선택하고 그 재 선택된 항목들을 기준으로 식별자가 연관되면 해당 건강 기록을 송신하였으나, 본 일 실시예에서는 건강 기록에 포함된 모든 항목에 대하여 식별자가 연관되어야 이를 송신하는 것이다.In one embodiment, step S660, if the identifier is associated with all items included in the health record, may transmit the health record to the receiving terminal 130. In other word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f at least some items are reselected from the selected health record and an identifier is associated with the reselected items, the corresponding health record is transmitted. An identifier must be associated with an item to send it.

도 7은 도 2의 수신 단말에 따른 건강 기록 교환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여기에서, 송신 단말(110)은 제1 건강 기록을, 수신 단말(130)은 제2 건강 기록을 이용한다고 가정한다.FIG. 7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health record exchange method according to the receiving terminal of FIG. 2. Here, it is assumed that the transmitting terminal 110 uses the first health record, and the receiving terminal 130 uses the second health record.

도 7을 참조하면, 건강 기록 교환 방법은 제1 단말로부터 상기 제1 건강 기록을 수신하는 단계(단계 S710), 제1 건강 기록에 연관된 식별자를 이용하여, 각 식별자에 해당하는 메타데이터 또는 의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메타데이터 저장소(120)에 요청하는 단계(단계 S720) 및 메타데이터 또는 의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제1 건강 기록의 각 항목을 해석하여 제2 건강 기록의 해당 항목을 구성하는 단계(단계 S730)를 포함한다. 도 7의 일 실시예에서는 수신 단말(130)은 해당 건강 기록에 연결된 메타데이터 식별자를 통해 메타데이터 저장소(120)로부터 해당 건강 기록의 항목에 대한 의미론?구문론적 자료를 얻게 된다. 이와 같이 수신 단말에서 추가적인 해석이나 처리 과정 없이, 교환된 건강 기록에 대한 의미를 파악할 수 있는 구조와 내용에 대한 자료(즉, 메타데이터)를 얻게 됨으로써, 의미론적 상호 운용성을 보장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in the method of exchanging health records, the method may include receiving the first health record from the first terminal (step S710), and using the identifiers associated with the first health records, metadata or semantic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each identifier. Requesting at least one of the metadata repository 120 (step S720) and interpreting each item of the first health record using at least one of metadata or semantic information to construct a corresponding item of the second health record. A step (step S730) is included. In the exemplary embodiment of FIG. 7, the receiving terminal 130 obtains semantic and syntactic data about an item of the health record from the metadata repository 120 through the metadata identifier connected to the health record. In this way, the receiver terminal can obtain semantic interoperability by obtaining data (that is, metadata) on the structure and content that can grasp the meaning of the exchanged health record without additional interpretation or processing.

도 8은 도 7의 블록도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로서, 이하에서는 도 8을 참조하여 도 7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더 상세히 설명한다. FIG.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the block diagram of FIG. 7. Hereinafter, an embodiment of FIG. 7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8.

수신 단말(130)은 송신 단말로부터 제1 건강 기록을 수신할 수 있다(단계 S810). 수신 단말(130)은 제1 건강 기록에 연관된 식별자를 기초로 제1 건강 기록의 각 항목에 대한 의미적 해석을 수행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수신 단말(130)은 제1 건강 기록에 포함되어 있는 식별자들 각각에 대한 메타데이터 및/또는 의미 정보를 메타데이터 저장소(120)에 요청할 수 있다(단계 S820). 수신 단말(130)은 메타데이터 저장소(120)로부터 수신한 각 식별자들에 대한 메타데이터 및/또는 의미 정보를 이용하여 제1 건강 기록의 각 항목을 해석할 수 있다(단계 S830).The receiving terminal 130 may receive the first health record from the transmitting terminal (step S810). The receiving terminal 130 may perform a semantic analysis on each item of the first health record based on the identifier associated with the first health record. In other words, the receiving terminal 130 may request the metadata repository 120 for metadata and / or semantic information about each of the identifiers included in the first health record (step S820). The receiving terminal 130 may interpret each item of the first health record by using metadata and / or semantic information about each identifier received from the metadata storage 120 (step S830).

일 실시예에서, 건강 기록 교환 방법은 해석된 제1 건강 기록을 기초로 제2 건강 기록을 구성할 수 있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수신 단말(130)은 해석된 제1 건강 기록의 각 항목에 상응하는 제2 건강 기록의 해당 항목을 선택하고(단계 S830), 해당 제1 건강 기록의 각 항목의 데이터를 제2 건강 기록의 해당 항목으로 구성할 수 있다.일 실시예에서, 건강 기록 교환 방법은 메타데이터 저장소(120) 뿐만 아니라 HL7과 같은 건강 기록에 대한 구문론적 표준을 함께 이용하여 제2 건강 기록을 구성할 수 있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건강 기록 교환 방법은 의미 정보 기록을 위하여 메타데이터를 적용하면서, HL7 CDA 등의 건강 기록에 대한 구문론적 외부 표준을 함께 더 이용하여 제2 건강 기록의 구문론적 형식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health record exchange method may construct a second health record based on the interpreted first health record. In more detail, the receiving terminal 130 selects the corresponding item of the second health record corresponding to each item of the interpreted first health record (step S830), and stores the data of each item of the first health record. 2. The health record exchange method may comprise a second health record using a syntactic standard for health records such as HL7 as well as the metadata repository 120. can do. In more detail, the method for exchanging health records determines the syntactic form of the second health record further using syntactic external standards for health records, such as HL7 CDA, while applying metadata for the semantic information recording. It may further include.

일 실시예에서, 건강 기록 교환 방법은 구문론 및 의미정보에 대한 표준을 모두 포함하는 외부 표준의 적어도 일부를 이용하여 제2 건강 기록을 구성할 수 있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ASTM CCR (Continuity of Care Record) 또는 HL7 CCD (Continuity of Care Document)과 같은 외부 표준은 해당 내용에 구문론적 표준 뿐만 아니라 의미 정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여기에서, 건강 기록 교환 방법은 구문론에 대해서는 외부 표준을 적용하고, 의미 정보에 대해서는 개시된 발명에 의한 메타데이터를 이용하여(하이브리드 형식) 제2 건강 기록을 구성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method for exchanging health records may construct a second health record using at least a portion of an external standard that includes both standards for syntax and semantic information. In more detail, external standards such as ASTM Continuity of Care Record (CCR) or HL7 CCD (Continuity of Care Document) contain information on semantic information as well as syntactic standards. Here, the method for exchanging health records may construct a second health record by applying an external standard for syntax and using metadata according to the disclosed invention for semantic information (hybrid format).

일 실시예에서, 건강 기록 교환 방법은 송신 단말(110)에 제1 건강 기록에 대한 일련의 요청을 수행할 수 있다. 더 상세히 말하면, 수신 단말(130)은 제1 건강 기록의 적어도 일부 항목을 요청한 후, 그 적어도 일부 항목을 포함하는 제1 건강 기록을 수신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health record exchange method may perform a series of requests for the first health record to the transmitting terminal 110. In more detail, the receiving terminal 130 may request at least some items of the first health record, and then receive a first health record including the at least some items.

개시된 기술은 다음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특정 실시예가 다음의 효과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다음의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The disclosed technique may have the following effects.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scope of the disclosed technology is not to be construed as limited thereby, as it is not meant to imply that a particular embodiment should include all of the following effects or only the following effects.

개시된 기술에 따른 건강 기록 교환 방법은 다기관, 다자간 임상정보 교류 협력체계 구축이 가능하며, 지속적이고 끊김 없는 건강기록 교류 체계를 구축할 수 있다. 즉, 메타데이터 저장소를 기반으로 의미론적 상호운용성이 보장된 건강기록 교류가 가능하다. The health record exchange method according to the disclosed technology can establish a multi-organization, multilateral clinical information exchange cooperation system, and can establish a continuous and seamless health record exchange system. That is, exchange of health records with semantic interoperability is possible based on metadata repository.

또한 본 발명은 발명 수행의 각 단계마다 사용자의 안전한 사용을 증진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제시하여 사용자가 자신의 건강 정보의 유출을 염려하지 않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ariety of ways to promote the safe use of the user at each step of the implementation of the invention can be conveniently used by the user without fear of leakage of his health information.

상기에서는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출원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출원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following claims It can be understood that

Claims (17)

메타데이터 저장소와 연결될 수 있고 적어도 한 쌍의 메타데이터와 해당 데이터를 포함하는 전자적 건강 기록을 관리하는 제1 단말에서 수행되는 건강 기록 교환 방법에 있어서,
상기 메타데이터 저장소로부터 상기 메타 데이터의 식별자를 얻는 단계; 및
만일 얻을 수 없으면, 상기 메타 데이터의 식별자를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건강 기록 교환 방법.
A health record exchange method performed at a first terminal that is connected to a metadata repository and manages an electronic health record including at least a pair of metadata and corresponding data,
Obtaining an identifier of the metadata from the metadata repository; And
If not obtained, registering the identifier of the metadat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 기록 교환 방법은
만일 얻을수 있으면, 상기 얻어진 식별자 및 상기 적어도 한 쌍의 메타데이터와 해당 데이터를 외부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기록 교환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health record exchange method is
And if so obtained, transmitting the obtained identifier and the at least one pair of metadata and corresponding data to the outside.
건강 기록의 각 항목에 대하여 고유한 식별자를 부여하는 메타데이터 저장소와 연결 가능한 제1 단말에서 수행되는 건강 기록 교환 방법에 있어서,
건강 기록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항목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메타데이터 저장소를 이용하여 상기 선택된 항목에 상응하는 메타데이터 또는 식별자 중 적어도 하나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면, 상기 검색된 메타데이터의 식별자를 상기 선택된 항목에 연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건강 기록 교환 방법.
A health record exchange method performed in a first terminal connectable to a metadata repository for assigning a unique identifier to each item of a health record,
Selecting at least one item included in the health record;
Retrieving at least one of the metadata or identifier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item using the metadata repository; And
And if the search is successful, associating an identifier of the retrieved metadata with the selected item.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 기록 교환 방법은
상기 검색이 실패하면, 상기 메타데이터 저장소에 상기 선택된 항목에 상응하는 고유한 식별자를 생성하도록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기록 교환 방법.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health record exchange method
If the search fails, requesting the metadata repository to generate a unique identifier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item.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 기록 교환 방법은
상기 건강 기록에 포함된 모든 항목에 대하여 상기 식별자가 연관되면, 해당 건강 기록을 상기 제2 단말에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기록 교환 방법.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health record exchange method
And transmitting the health record to the second terminal when the identifier is related to all items included in the health record.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제2 단말로부터 요청 항목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건강 기록에서 상기 요청 항목에 상응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항목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기록 교환 방법.
4.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said selecting is
Receiving a request item from the second terminal; And
Selecting the at least one item corresponding to the request item from the health record.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 기록 교환 방법은
모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항목에 대하여 상기 식별자가 연관되면, 해당 건강 기록을 상기 제2 단말에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기록 교환 방법.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health record exchange method
And transmitting the health record to the second terminal if the identifier is associated with all the at least one item.
건강 기록의 각 항목에 대하여 고유한 식별자를 부여하는 메타데이터 저장소를 이용하여, 제1 단말로부터 건강 기록을 수신하는 제2 단말에서 수행되는 건강 기록 교환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은 제1 건강 기록을, 상기 제2 단말은 제2 건강 기록을 이용함-
상기 제1 단말로부터 상기 제1 건강 기록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건강 기록에 연관된 식별자를 이용하여, 각 식별자에 해당하는 메타데이터 또는 의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메타데이터 저장소에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메타데이터 또는 의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제1 건강 기록의 각 항목을 해석하여 상기 제2 건강 기록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건강 기록 교환 방법.
A health record exchange method performed in a second terminal receiving a health record from a first terminal by using a metadata repository for assigning a unique identifier to each item of the health record, the first terminal comprising: a first terminal; A health record, the second terminal uses a second health record-
Receiving the first health record from the first terminal;
Using the identifiers associated with the first health record, requesting at least one of metadata or semantic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each identifier to the metadata repository; And
Interpreting each item of the first health record using at least one of the metadata or semantic information to generate the second health record.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 기록 교환 방법은
상기 제1 단말에 제1 건강 기록의 적어도 일부 항목을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일부 항목을 포함하는 제1 건강 기록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기록 교환 방법.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health record exchange method is
Requesting at least some items of a first health record from the first terminal; And
And receiving a first health record comprising the at least some items.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건강 기록을 구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건강 기록의 각 항목에 해당하는 각 의미정보를 이용하여, 그에 상응하는 상기 제2 건강 기록의 각 항목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제2 건강 기록의 각 항목에 해당 제1 건강 기록의 각 항목의 내용 및 해당 메타데이터를 입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기록 교환 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constructing the second health record
Selecting each item of the second health record corresponding thereto by using each semantic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each item of the first health record; And
And inputting contents and corresponding metadata of each item of the first health record to each item of the selected second health record.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건강 기록을 구성하는 단계는
(i)상기 메타데이터 및 (ii)건강 기록에 관한 구문론적 외부 표준을 이용하여, 상기 제2 건강 기록의 구문론적 형식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기록 교환 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constructing the second health record
determining (i) the syntactic form of the second health record using the metadata and (ii) a syntactic external standard for health record.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구문론적 외부 표준은
HL-7 CDA 또는 ASTM CCR 중 적어도 하나의 표준에 따라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기록 교환 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syntactic external standard is
A health record exchange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structed in accordance with at least one standard of HL-7 CDA or ASTM CCR.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건강 기록을 구성하는 단계는
구문론에 대하여 외부 표준을 적용하고 의미정보에 대해서는 상기 메타데이터를 적용하여 구문론적 형식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 표준은 상기 구문론 및 의미정보에 대한 정보를 모두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기록 교환 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constructing the second health record
Applying an external standard for syntax and applying the metadata for semantic information to determine a syntactic form,
Wherein said external standard includes both information about the syntax and semantic information.
적어도 하나의 건강 기록에 포함된 항목에 대하여 한 쌍의 메타데이터와 해당 메타데이터에 대한 식별자를 저장하는 메타데이터 저장부; 및
상기 메타데이터 저장부에 식별자가 저장되어 있지 않은 메타데이터에 대하여 해당 메타 데이터에 대한 식별자를 생성하는 메타데이터 등록부를 포함하는 메타데이터 저장소.
A metadata storage unit for storing a pair of metadata and an identifier for the metadata for items included in the at least one health record; And
And a metadata register for generating an identifier for the metadata for metadata whose identifier is not stored in the metadata storage.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데이터 저장소는
서로 연관된 적어도 두 개의 메타데이터들을 포함하여 적어도 하나의 문서를 생성하는 문서 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타데이터 저장소.
15. The system of claim 14, wherein the metadata repository is
And a document generator for generating at least one document including at least two metadata associated with each other.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데이터는
데이터 요소(data element), 데이터 요소 개념(data element concept), 값 영역(value domain) 및 개념 영역(conceptual domain)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타데이터 저장소.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metadata is
A metadata repository comprising a data element, a data element concept, a value domain and a conceptual domain.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데이터는
ISO/IEC 11179 표준에 따라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타데이터 저장소.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metadata is
Metadata repository characterized in that it is organized according to the ISO / IEC 11179 standard.
KR1020110032019A 2011-04-07 2011-04-07 Method for exchanging electronic health record and metadata storage system thereof KR10123383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2019A KR101233830B1 (en) 2011-04-07 2011-04-07 Method for exchanging electronic health record and metadata storage system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2019A KR101233830B1 (en) 2011-04-07 2011-04-07 Method for exchanging electronic health record and metadata storage system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5438A true KR20120115438A (en) 2012-10-18
KR101233830B1 KR101233830B1 (en) 2013-02-18

Family

ID=472841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2019A KR101233830B1 (en) 2011-04-07 2011-04-07 Method for exchanging electronic health record and metadata storage system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3830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54664A (en) * 2012-10-29 2014-05-0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Apparatus for collecting lifelog data and method thereof
WO2014186074A1 (en) * 2013-05-14 2014-11-20 Demand Media, Inc Generating a playlist based on content meta data and user parameters
US10585952B2 (en) 2013-04-24 2020-03-10 Leaf Group Ltd.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content popularity based on searches
WO2023043130A1 (en) * 2021-09-14 2023-03-23 주식회사 씨젠 Method of generating individual-directed information record sheet by mir server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92070A (en) * 2002-12-06 2004-07-08 Fujitsu Ltd Relevant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and relevant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54664A (en) * 2012-10-29 2014-05-0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Apparatus for collecting lifelog data and method thereof
US10585952B2 (en) 2013-04-24 2020-03-10 Leaf Group Ltd.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content popularity based on searches
WO2014186074A1 (en) * 2013-05-14 2014-11-20 Demand Media, Inc Generating a playlist based on content meta data and user parameters
US9389754B2 (en) 2013-05-14 2016-07-12 Demand Media, Inc. Generating a playlist based on content meta data and user parameters
US10162486B2 (en) 2013-05-14 2018-12-25 Leaf Group Ltd. Generating a playlist based on content meta data and user parameters
US11119631B2 (en) 2013-05-14 2021-09-14 Leaf Group Ltd. Generating a playlist based on content meta data and user parameters
WO2023043130A1 (en) * 2021-09-14 2023-03-23 주식회사 씨젠 Method of generating individual-directed information record sheet by mir serv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33830B1 (en) 2013-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54710B1 (en) Medical image exchange system, image relay server, medical image transmission system, and medical image reception system
KR100580661B1 (en) System and Method for Unified Management of Medical Information
US2017012426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atient health networks
Han et al. Implementation of medical information exchange system based on EHR standard
US20140136236A1 (en) Patient and physician gateway to clinical data
Reegu et al. Systematic assessment of the interoperability requirements and challenges of secure blockchain-based electronic health records
KR101233830B1 (en) Method for exchanging electronic health record and metadata storage system thereof
US10235643B2 (en) Clinical plug-in application
Bouhaddou et al. Toward a virtual lifetime electronic record: the department of veterans affairs experience with the nationwide health information network
Lim et al. HealthOS: a platform for pervasive health applications
Petrakis et al. A mobile app architecture for accessing EMRs using XDS and FHIR
JP2010286881A (en) Medical information system and medical information output method
US20170024520A1 (en) Methods, platform and system for collecting and managing vital data of patients for healthcare establishments
KR20200134744A (en) Method and system for accessing information of medical treatment for patients
US20160283662A1 (en) Systems, methods, apparatuse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providing an interactive, context-sensitive electronic health record interface
JP5128002B1 (en) Medical image exchange system and image relay server
KR101587025B1 (en) Method for storing medical information, system and recording medium for performing the method
KR101706183B1 (en) Method for managing integrated medical information
Sandeep et al. Blockchain-based privacy approaches for 5G healthcare informatics
KR101892161B1 (en) Method for managing electronic medical record and metadata storage system thereof
JP5213289B1 (en) Medical image exchange system, image relay server, medical image transmission system, medical image reception system, relay server, and hospital information system
KR101524181B1 (en) A system for exchanging clinical information based on lazy response model and the method thereof
Chen et al. Fingerprint verification on medical image reporting system
KR20200109640A (en) Method for possessing and sharing of personal medical information
Mohamed Shabbir Hamza A secure approach for health information exchange using mobile personal health records/Mohamed Shabbir Hamza Abdulnabi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