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08181A - 열충격 단백질(hsp90)의 저해능을 갖는 미토콘드리아 특이적 항암제 - Google Patents

열충격 단백질(hsp90)의 저해능을 갖는 미토콘드리아 특이적 항암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08181A
KR20120108181A KR1020110025786A KR20110025786A KR20120108181A KR 20120108181 A KR20120108181 A KR 20120108181A KR 1020110025786 A KR1020110025786 A KR 1020110025786A KR 20110025786 A KR20110025786 A KR 20110025786A KR 20120108181 A KR20120108181 A KR 201201081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und
mmol
preparation example
nmr
mhz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57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주
박태교
우성호
이향숙
김선영
강대혁
조종운
오규만
정두환
김영운
양영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레고켐 바이오사이언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레고켐 바이오사이언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레고켐 바이오사이언스
Priority to KR10201100257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08181A/ko
Publication of KR201201081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818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8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77/00
    • C07D487/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77/00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487/04Ortho-condensed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695Silicon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25/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rings of more than seven members having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225/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rings of more than seven members having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or ring systems
    • C07D225/0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rings of more than seven members having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or ring systems condensed with one six-membered r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신규한 구아니디움 기를 가지는 젤다나마이신 유도체, 그것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수화물, 용매화물, 이성질체 또는 프로드럭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의약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R-G-L-A (1)
상기 식에서, R, G, L 및 A는 명세서에 정의된 바와 같다.

Description

열충격 단백질(HSP90)의 저해능을 갖는 미토콘드리아 특이적 항암제 {Mitochondriotropic Anticancer Agents of Inhibiting Heat Shock Protein 90 (HSP90)}
본 발명은 열충격 단백질(HSP90)의 저해능을 갖는 미토콘드리아 특이적 항암제에 관한 것이다.
열충격 단백질 90(Heat Shock Protein 90; HSP90)은 진핵세포 내에 가장 많이 존재하는 분자 샤프롱 중 하나로 신호 전달, 세포 주기 조절 및 전사 조절에 관여하는 주요 단백질을 포함하는 광범위한 단백질의 폴딩, 활성화 및 어셈블리에 관여하는 편재성 샤프롱 단백질로, Raf-1, EGFR, c-Src 패밀리 키나아제, Cdk4 및 ErbB-2를 포함하는 단백질 키나아제 및 스테로이드 호르몬 수용체와 같은 중요한 신호전달 단백질과 상호작용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Buchner J., 1999, TIBS 24:136-141; Stepanova, L. et al., Genes Dev. 10:1491-1502; Dai, K. Et al., 1996, J. Biol. Chem. 271:22030-40).
한편, 암세포에서는 HSP90의 발현 및 활성이 증가하는 현상이 관찰되는데, 이는 암세포 주변의 환경조건(저산소증, pH, 영양분의 고갈) 또는 암 유발단백질을 활성화시키는 스트레스 조건에 의한 HSP90의 발현 및 활성 유도에서 그 원인을 찾을 수 있다 (Ferrarini, M. Et al., 1992, Int J Cancer 51:613-619).
HSP90은 세포질에 HSP90α와 HSP90β, 소포체에 Grp94, 그리고 미토콘드리아에 Trap-1의 이성질체가 존재한다. 세포질 형태에서 주로 세포내에 이합체(dimmer)로 존재하며, 24-28 kDa의 N-말단 ATP-binding domain과 38-44 kDa의 middle domain, 11-15 kDa의 C-말단 dimerization domain으로 나누어진다 (Pearl, L. H. et al., 2006, Annu Rev Biochem. 75:271-294).
Oncogenic transformation에서 HSP9은 선택적인 저해기능을 가지는 약리작용이 있는 약이 발견되기 전까지 그 기능이 알려지지 않았다.
최초로 알려진 HSP90 저해제로 젤다나마이신은 HSP90에 결합하여, HSP90-v-src 형성을 방해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Whitesell, L. et a., 1994 Natl. Acad. Sci. U.S.A. 91:8324).
암에서 HSP90 저해제들의 유용성은 클라이언트 단백질들이 암을 유발한다는 사실에 기인하며, 동시에 분해되기 때문에 다양한 암 유발 신호전달 경로를 막는다. 특히, 암세포에서 HSP90은 co-chaperones과 복합체를 형성하는데 주로 활성화된 상태로 존재하고, 여러 종류의 암에서 과다 발현되는 특징 등으로 인해, HSP90 저해제들은 암세포에 선택성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Kamal, A: Thao, L. et al., 2003, Nature 425).
최초의 HSP90 저해제는 천연물에서 발견된 젤다나마이신 (geldanamycin)으로, Streptomyces에서 제초제로 분리되었고, 암세포에 대한 in vitro 활성에도 불구하고 간 독성의 문제와 대사적으로 또는 화학적으로 안정성의 문제가 대두되었다 (Neckers, L., et al., 1999, New Drugs 17:361-373).
젤다나마이신과 유사한 구조를 가지는 17-AAG (17-allylamino-17-desmethoxy-geldanamycin)는 in vivo에서 좋은 활성을 보이며 젤다나마이신보다 독성이 감소하는 것이 보고 되었다 (Schnur, R. C.; Corman, M.L. et al., 1995, J. Med. Chem. 38:3806-3812).
17-AAG의 경우, 젤다나마이신보다 낮은 간독성을 보였으나, 용해도(solubility)와 대사산물의 독성, 합성의 어려움, NQO1 또는 DT-diaphorase와 같은 여러 형태의 효소들에 의해 디하이드로퀴논 (dihydroquinone)으로 환원될 수 있다는 등의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Figure pat00001
라디시콜(Radicicol)은 Monosporium bonorden 균에서 분리된 거대분자로 HSP90의 N-말단에 결합한다 (Delmotte, P., Delmotte-Plaquee, J., 1953, Nature 171:344-347).
라디시콜은 혈청에서 불안정하기 때문에 in vivo에서 활성이 전혀 나타나지 않으며, 특히 conjugated diene에 Michael addition으로 인해 DTT와 같은 환원제의 존재 하에서만 그 효과가 나타난다 (Kwon, H. J., et al., 1992, Cancer Res. 52:6936-6930, Agatsuma, T., Ogawa, H., 2002, Bioorg. Med. Chem. 10:3445-3454).
임상에 진입한 최초의 합성 HSP90 저해제는 CNF-2024/BIIB021로 퓨린계 화합물이며, 피라졸계 역시 HSP90 저해제로 개발되었다 (Dymock, B. W., Barill, X., et al., 2005, J. Med. Chem. 48:4212-4215).
아이속사졸계는 화학적으로 피라졸계와 관련이 있으며, 최근에 N-말단 ATP 포켓에 결합하는 강력한 HSP90 저해제로 개발되었다 (Brough, P. A., Aherne, W., Barril, X., et al., 2008, J. Med. Chem. 51:373-375).
한편, HSP 90이 미토콘드리아 손상에 의해 유발되는 세포사멸로부터 암세포를 보호한다는 사실이 최근 보고 되었다 (Kang, B. H., Plescia, J., Dohi, T., Rosa, J., Doxsey, S. J., Altieri, D. C., 2007, Cell, 131(2), 257-270).
정상세포와 달리 암세포의 미토콘드리아에는 HSP90와 HSP90 유사단백질인 Trap-1이 존재하여 Cyclophilin D와 결합하는데, 이를 통해 미토콘드리아 손상에 의한 세포사멸을 유도하는 Cyclophilin D의 기능이 억제된다. 미토콘드리아 내부로 전달이 가능한 HSP90 활성 억제제가 미토콘드리아 손상에 의한 암세포의 사멸을 유도할 수 있다는 사실은 HSP90 억제제가 다양한 기작을 통해 항암제로 작용할 수 있음을 설명한다.
그러나, 천연물 유래 저해제들은 특히 용해도가 낮고 일반 세포에 대해 암세포의 선택성을 갖지 못한다는 단점들을 가지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최근 세포막을 투과하지 못하는 화합물들을 전달하기 위한 단백질, 펩타이드, 그리고 펩타이드 유도체들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Lindfren, M., Hallbrink, M., Prochiantz, A. Langel, U. 2002, Trends Pharmacol. Sci. 21:99-103, Lundberg, P., Langel, U. 2003, J. Mol. Recognit. 16: 227-233). 특히, 약물전달 시스템에서 Antennapedia homeodomain (Antp)와 세포를 투과하는 tat-peptide에 대한 관심이 증폭된 가운데 펩타이드들은 생체 내에서 펩티데이즈에 의해 가수분해가 되고 흡수가 되지 않는 등의 문제점이 대두 되어 새로운 형태의 세포투과 화합물들이 개발되어 왔다 (Futaki, S., Suzuki, T., et al., 2001, J. Biol. Chem. 276:5836-5840).
D-form 아미노산으로 합성되어 뉴클레오타이드 인식용으로 초기 개발 되어온 테트라구아니디움이 Antp, Tat 펩타이드와 비교시 낮은 농도에서도 흡수가 보다 용이하며 독성 연구에서도 좋은 프로파일을 보이고, 특히 미토콘드리아에서 축적되는 사실을 보여주었다. 이는 항암제를 타겟으로 하는 antioxidant들을 운송하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하나의 벡터로 대두되었다 (Javier de Mendoza, etc., J. Am. Chem. Soc. 1992, 114, 1511-1512).
그러나, HSP90에 대해 저해능을 발휘하면서 낮은 독성과 물에 대한 높은 용해도 및 암세포에 대한 우수한 선택성을 가진 물질은 아직 개발되지 못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과 과거로부터 요청되어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HSP90의 활성을 저해하는 새로운 구조의 올리고구아니디니움기를 갖는 젤다나마이신 계의 화합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러한 신규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활성성분으로서 이러한 신규 화합물을 약리학적 유효량으로 포함하는 HSP90 활성 저해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타 목적은 이러한 신규 화합물을 활성성분으로 사용하여, 각종 암과 같은 HSP90 활성 관련 질병을 치료 및 예방을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그것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이의 수화물, 용매화물, 이성질체 및 프로드럭,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의약 조성물을 제공한다.
R-G-L-A (1)
상기 식에서,
A는 젤다나마이신 계열의 화합물로
Figure pat00002
이고,
R-G는
Figure pat00003
또는
Figure pat00004
이고,
여기서, X는 S 또는 SO2 이고,
n과 m은 각각 독립적으로 1 내지 5의 정수 이고,
R은 H 또는
Figure pat00005
이고,
L은 -L1-(CH2)l-L2-(CH2)l'-,
Figure pat00006
,
Figure pat00007
, 또는
Figure pat00008
이고,
여기서, L1는 -C(O)-, -CH2C(O)NH-, 또는 -CH2-이고,
L2는 -CH2-, -C6H5-, 또는 -(CH2CH2O)o-이고,
l 및 l'는 각각 독립적으로 1 내지 10의 정수이고,
o는 2내지 6의 정수이고,
Q1은 CR1, 산소, 또는 NR2이고,
여기서, R1 및 R2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B-(CH2)p-D-(CH2)q-이고,
여기서, B는 -CH2C(O)-NH-, -CH2- 또는 -C(O)-이고,
D는 -CH2- 또는 -C6H5-이고,
Q2 및 Q3는 각각 독립적으로 -C(O)(CH2)p-이고
E 및 F는 각각 독립적으로 -(CH2)p-, -NHC(O)(CH2)q-이고,
여기서, p 및 q 는 각각 독립적으로 1 내지 15의 정수이다.
이하에서 별도의 설명이 없는 한, 치료제의 활성성분으로서 화학식 1의 화합물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그것의 염, 수화물, 용매화물, 이성질체, 프로드럭이 모두 포함되며, 이들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본 명세서에서는 화학식 1의 화합물로 간단히 약칭하기도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은 새로운 구조의 올리고구아니디니움기를 갖는 젤다나마이신 계의 화합물로서, 기존에 알려져 있는 HSP90 활성 저해제와는 상이한 구조를 가지며, 이하의 실험예에서도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각종 암의 예방 및 치료에 관계되는 HSP90에 대해 우수한 저해 효능을 발휘한다.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자들은 in vitro 상에서 직접 효소 저해 활성을 검증하였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한다.
용어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화합물이 투여되는 유기체에 심각한 자극을 유발하지 않고 화합물의 생물학적 활성과 물성들을 손상시키지 않는 화합물의 제형을 의미한다. 용어 "수화물", "용매화물", "이성질체", "프로드럭" 역시 상기와 같은 의미를 가진다. 상기 약제학적 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음이온을 함유하는 무독성 산부가염을 형성하는 산, 예를 들어, 염산, 황산, 질산, 인산, 브롬화수고산, 요드화수소산 등과 같은 무기산, 타타르산, 포름산, 시트르산, 아세트산, 트리클로로아세트산, 트리플로로아세트산, 글루콘산, 벤조산, 락트산, 푸마르산, 말레인산, 살리신산 등과 같은 유기 카본산, 메탄설폰산, 에탄술폰산, 벤젠설폰산, p-톨루엔설폰산 등과 같은 설폰산 등에 의해 형성된 산부가염이 포함된다. 예를 들어,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카르복실산 염에는, 리튬, 나트륨, 칼륨, 칼슘, 마그네슘 등에 의해 형성된 금속염 또는 알칼리 토금속 염, 라이신, 아르지닌, 구아니딘 등의 아미노산 염, 디시클로헥실아민, N-메틸-D-글루카민, 트리스(히드록시메틸)메틸아민, 디에탄올아민, 콜린 및 트리에틸아민 등과 같은 유기염 등이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의 화합물은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그것의 염으로 전환시킬 수도 있다.
용어 "수화물(hydrate)"은 비공유적 분자간력(non-covalent intermolecular force)에 의해 결합된 화학양론적(stoichiometric) 또는 비화학양론적(non-stoichiometric) 량의 물을 포함하고 있는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그것의 염을 의미한다.
용어 "용매화물(solvate)"은 비공유적 분자간력에 의해 결합된 화학양론적 또는 비화학양론적 양의 용매를 포함하고 있는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그것의 염을 의미한다. 그에 관한 바람직한 용매들로는 휘발성, 비독성, 및/또는 인간에게 투여되기에 적합한 용매들이 있다.
용어 "이성질체(isomer)"는 동일한 화학식 또는 분자식을 가지지만 구조적 또는 입체적으로 다른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그것의 염을 의미한다. 이러한 이성질체에는 호변이성질체(tautomer) 등의 구조 이성질체와, 비대칭 탄소 중심을 가지는 R 또는 S 이성체, 기하이성질체(트랜스, 시스) 등의 입체 이성질체가 모두 포함된다. 이들 모든 이성체 및 그것의 혼합물들 역시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용어 "프로드럭(prodrug)"은 생체내에서 모 약제(parent drug)로 변형되는 물질을 의미한다. 프로드럭은, 몇몇 경우에 있어서, 모 약제보다 투여하기 쉽기 때문에 종종 사용된다. 예를 들어, 이들은 구강 투여에 의해 생활성을 얻을 수 있음에 반하여, 모 약제는 그렇지 못할 수 있다. 프로드럭은 또한 모 약제보다 제약 조성물에서 향상된 용해도를 가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프로드럭은, 수용해도가 이동성에 해가 되지만, 일단 수용해도가 이로운 세포에서는, 물질대사에 의해 활성체인 카르복실산으로 가수분해되는, 세포막의 통과를 용이하게 하는 에스테르("프로드럭")로서 투여되는 화합물일 것이다. 프로드럭의 또다른 예는 펩티드가 활성 부위를 드러내도록 물질대사에 의해 변환되는 산기에 결합되어 있는 짧은 펩티드(폴리아미노 산)일 수 있다.
기타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서 해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보다 바람직한 예에서,
R-G는
Figure pat00009
또는
Figure pat00010
이고,
X는 S 또는 SO2 이고,
n 및 m은 각각 독립적으로 1 내지 3의 정수이고,
R은
Figure pat00011
이고,
L은 -L1-(CH2)l-L2-(CH2)l'-,
Figure pat00012
, 또는
Figure pat00013
이고,
L1는 -C(O)-, -CH2C(O)NH-, 또는 -CH2-이고,
L2는 -CH2-, -C6H5-, 또는 -(CH2CH2O)o-이고,
l 및 l'는 각각 독립적으로 1 내지 10의 정수이고,
o는 2 내지 4의 정수이고,
Q2 및 Q3는 각각 독립적으로 -C(O)(CH2)p-이고,
E 및 F는 각각 독립적으로 -(CH2)p-, -NHC(O)(CH2)q-이고,
p 및 q는 각각 독립적으로 3 내지 10의 정수이다.
상기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G와 L은 아미드 결합을 통해 연결되어 있는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의 유도체는 하기 화합물들로 예시될 수 있으나, 하기의 화합물들이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Figure pat00014
Figure pat00015
Figure pat00016
Figure pat00017
Figure pat00018
Figure pat00019
Figure pat00020
Figure pat00021
Figure pat00022
Figure pat00023
Figure pat00024
Figure pat00025
Figure pat00026
Figure pat00027
Figure pat00028
Figure pat00029
Figure pat00030
Figure pat00031

Figure pat00032
Figure pat00033
Figure pat00034
Figure pat00035
Figure pat00036
Figure pat00037
Figure pat00038
본 발명은 또한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당업자")라면, 화학식 1의 구조를 바탕으로 다양한 방법에 의해 화합물의 제조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방법들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가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즉, 본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거나, 선행기술에 개시된 여러 합성법들을 임의로 조합하여, 본 발명의 범주내에서,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의 제조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가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정의된 화학식 1의 화합물은 그 구조에 따라 하기 반응식에 도시한 바와 같은 과정을 거쳐서 합성된다.
[반응식 1] 젤다나마이신 골격의 화합물의 합성
Figure pat00039
화합물 [1]은 상업적으로 구매 가능한 젤다나마이신에 친핵치환 반응을 통하여 합성되며, 화합물 [2]는 화합물 [1]의 통상적인 아미드화 반응을 통하여 합성할 수 있다. 화합물 [3]은 화합물 [2]의 통상의 아미드화 반응을 통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설명된 제조방법에서, 아미드화 반응을 위해 사용될 수 있는 공 공지의 커플링 시약으로는 디사이클로헥실카보디이마이드(DCC), 3-에틸-3'-(디메틸아미노)-프로필카보다이이마이드(EDC), 비스-(2-옥소-3-옥사졸리디닐)-포스핀산 클로라이드(BOP-Cl), 디페닐포스포릴아자이드(DPPA), 아이소부틸클로로포르메이트, O-(7-아자벤조트라이아졸-1-일)-N,N,N',N'-테트라메틸우로늄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HATU), (벤조트리아졸-1-일옥시)트리피롤리디노포스포늄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PyBOP) 등을 언급 할 수 있으나,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반응이 완결된 후에 일반적인 혼합물의 분리는 통상적인 후처리 방법, 예를 들어 관크로마토그래피, 재결정, HPLC등을 통하여 분리할 수 있다.
보다 자세한 내용은 이후 설명하는 다수의 제조예 및 실시예들에서 설명한다.
본 발명은 또한, (a) 약리학적 유효량의 화학식 1의 화합물; 및 (b)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희석제, 또는 부형제,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된 HSP90 활성 저해 조성물을 제공한다.
용어 "약제 조성물(pharmaceutical composition)"은 본 발명의 화합물과 희석제 또는 담체와 같은 다른 화학 성분들의 혼합물을 의미한다. 약제 조성물은 생물체내로 화합물의 투여를 용이하게 한다. 화합물을 투여하는 다양한 기술들이 존재하며, 여기에는 경구, 주사, 에어로졸, 비경구, 및 국소 투여 등이 포함되지만,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약제 조성물은 염산, 브롬산, 황산, 질산, 인산, 메탄술폰산, p-톨루엔술폰산, 살리실산 등과 같은 산 화합물들을 반응시켜서 얻어질 수도 있다.
용어 "약리학적 유효량(therapeutically effective amount)"은 투여되는 화합물의 양이 치료하는 장애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증상을 어느 정도 경감 또는 줄이거나, 예방을 요하는 질병의 임상학적 마커 또는 증상의 개시를 지연시키는데 유효한 활성성분의 량을 의미한다. 따라서, 약리학적 유효량은, (1) 질환의 진행 속도를 역전시키는 효과, (2) 질환의 그 이상의 진행을 어느 정도 금지시키는 효과, 및/또는(3) 질환과 관련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증상을 어느 정도 경감(바람직하게는, 제거)하는 효과를 가지는 량을 의미한다. 약리학적 유효량은 치료를 요하는 질병에 대한 공지된 생채내(in vivo) 및 생체외(in vitro) 모델 시스템에서 화합물을 실험함으로써 경험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용어 "담체(carrier)"는 세포 또는 조직내로의 화합물의 부가를 용이하게 하는 화합물로 정의된다. 예를 들어, 디메틸 술폭사이드(DMSO)는 생물체의 세포 또는 조직내로의 많은 유기 화합물들의 투입을 용이하게 하는 통상 사용되는 담체이다.
용어 "희석제(diluent)"는 대상 화합물의 생물학적 활성 형태를 안정화시킬 뿐만 아니라, 화합물을 용해시키게 되는 물에서 희석되는 화합물로 정의된다. 버퍼 용액에 용해되어 있는 염은 당해 분야에서 희석제로 사용된다. 통상 사용되는 버퍼 용액은 포스페이트 버퍼 식염수이며, 이는 인간 용액의 염 상태를 모방하고 있기 때문이다. 버퍼 염은 낮은 농도에서 용액의 pH를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버퍼 희석제가 화합물의 생물학적 활성을 변형하는 일은 드물다.
여기에 사용된 화합물들은 인간 환자에게 그 자체로서, 또는 결합 요법에서와 같이 다른 활성 성분들과 함께 또는 적당한 담체나 부형제와 함께 혼합된 약제 조성물로서, 투여될 수 있다. 본 응용에서의 화합물의 제형 및 투여에 관한 기술은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Mack Publishing Co., Easton, PA, 18th edition, 1990에서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 조성물은, 예를 들어, 통상적인 혼합, 용해, 과립화, 당제-제조, 분말화, 에멀션화, 캡슐화, 트래핑과 또는 동결건조 과정들의 수단에 의해, 공지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사용을 위한 약제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제형으로의 활성 화합물의 처리를 용이하게 하는 부형제들 또는 보조제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사용하여 통상적인 방법으로 제조될 수도 있다. 적합한 제형은 선택된 투여 루트에 따라 좌우된다. 공지 기술들, 담체 및 부형제들 중의 어느 것이라도 적합하게, 그리고 당해 분야, 예를 들어, 앞서 설명한 Remingston's Pharmaceutical Sciences에서 이해되는 바와 같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화학식 1의 화합물을 목적하는 바에 따라 주사용 제제 및 경구용 제제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주사를 위해서, 본 발명의 성분들은 액상 용액으로, 바람직하게는 Hank 용액, Ringer 용액, 또는 생리 식염수 버포와 같은 약리학적으로 맞는 버퍼로 제형될 수 있다. 점막 투과 투여를 위해서, 통과할 배리어에 적합한 비침투성제가 제형에 사용된다. 그러한 비침투성제들은 당업계에 일반적으로 공지되어 있다.
경구 투여를 위해서, 화합물들은 당업계에 공지된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들을 활성 화합물들과 조합함으로써 용이하게 제형될 수 있다. 이러한 담체들은 본 발명의 화합물들이 정제, 알약, 산제, 입제, 당제, 캡슐, 액체, 겔, 시럽, 슬러리, 현탁액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도록 하여 준다. 바람직하게는 캅셀제, 정제, 환제, 산제 및 입제가 가능하고, 특히 캅셀제와 정제가 유용하다. 정제 및 환제는 장피제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구 사용을 위한 약제 준비는 본 발명의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화합물들과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부형제를 혼합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이러한 혼합물을 분쇄하고, 필요하다면 적절한 보조제를 투과한 이후 과립의 혼합물을 처리하여 정제 또는 당체 코어를 얻을 수 있다. 적절한 부형제들은 락토스, 수크로즈, 만니톨, 또는 소르비톨과 같은 필러; 옥수수 녹말, 밀 녹말, 쌀 녹말, 감자 녹말, 겔라틴, 검 트래거켄스, 메틸 셀룰로우즈,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우즈, 소듐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우즈, 및/또는 폴리비닐피롤리돈(PVP)와 같은 셀룰루오즈계 물질 등이다. 필요하다면, 가교 폴리비닐 피롤리돈, 우뭇가사리, 또는 알긴산 또는 알긴산 나트륨과 같은 그것의 염 등의 디스인터그레이팅 에이전트와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와 같은 윤활제, 결합제 등과 같은 담체가 첨가될 수도 있다.
경구에 사용될 수 있는 제약 준비물은, 겔라틴 및 글리콜 또는 소르비톨과 같은 가소제로 만들어진 부드러운 밀봉 캡슐 뿐만 아니라, 겔라틴으로 만들어진 밀어 고정하는 캡슐을 포함할 수도 있다. 밀어 고정하는 캡슐은 락토오스와 같은 필러, 녹말과 같은 바인더, 및/또는 활석 또는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와 같은 활제와의 혼합물로서, 활성 성분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연질 캡슐에서, 활성 화합물들은 지방산, 액체 파라핀, 또는 액체 폴리에틸렌 글리콜과 같은 적합한 용체에 용해 또는 분산될 수도 있다. 또한, 안정화제가 포함될 수도 있다. 경구 투여를 위한 모든 조제들은 그러한 투여에 적합한 함량으로 되어 있어야 한다.
화합물들은, 주사에 의해, 예를 들어, 큰 환약 주사나 연속적인 주입에 의해, 비경구 투입용으로 제형화될 수도 있다. 주사용 제형은, 예를 들어, 방부제를 부가한 앰플 또는 멀티-도스 용기로서 단위 용량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조성물은 유성 또는 액상 비히클상의 현탁액, 용액, 에멀션과 같은 형태를 취할 수도 있으며, 현탁제, 안정화제 및/또는 분산제와 같은 제형용 성분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활성 성분은, 사용전에 멸균 무 발열물질의 물과 같은 적절한 비히클와 구성을 위해 분말의 형태일 수도 있다.
화합물들은, 예를 들어, 코코아 버터나 다른 글리세라이드와 같은 통상적인 좌약 기재를 포함하고 있는 좌약 또는 정체관장과 같은 직장 투여 조성물로 제형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에 적합한 약제 조성물에는, 활성 성분들이 그것의 의도된 목적을 달성하기에 유효한 량으로 함유되어 있는 조성물이 포함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치료적 유효량은 치료될 객체의 생존을 연장하거나, 질환의 증상을 방지, 경감 또는 완화시키는데 유효한 화합물의 량을 의미한다. 치료적 유효량의 결정은, 특히, 여기에 제공된 상세한 개시 내용 측면에서, 당업자의 능력 범위내에 있다.
단위 용량 형태로 제형화하는 경우, 활성성분으로서 화학식 1의 화합물은 약 0.1 내지 1,000 mg의 단위 용량으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화학식 1의 화합물의 투여량은 환자의 체중, 나이 및 질병의 특수한 성질과 심각성과 같은 요인에 따라 의사의 처방에 따른다. 그러나, 성인 치료에 필요한 투여량은 투여의 빈도와 강도에 따라 하루에 약 1 내지 1000 mg 범위 가 보통이다. 성인에게 근육내 또는 정맥내 투여시 일회 투여량으로 분리하여 하루에 보통 약 1 내지 500 mg의 전체 투여량이면 충분할 것이나, 일부 환자의 경우 더 높은 일일 투여량이 바람직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유효량으로 사용하여, HSP90 활성 관련 질병을 치료하거나 예방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HSP90 활성 관련 질병"이란, HSP90의 활성화가 유발되거나 그러한 활성화로 인해 유발되는 질병으로서, 예를 들어, 각종 암을 들 수 있지만, 그것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치료"란 발병 증상을 보이는 객체에 사용될 때 질병의 진행을 중단 또는 지연시키는 것을 의미하며, 상기 "예방"이란 발병 증상을 보이지는 않지만 그러한 위험성이 높은 객체에 사용될 때 발병 징후를 중단 또는 지연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새로운 구조의 올리고구아니디니움기를 갖는 젤다나마이신 계의 화합물로서, 기존의 열쇼크 단백질인 HSP90의 활성을 저해하는 화합물보다 탁월한 효과를 발휘하므로, HSP90의 활성과 관련된 질병을 치료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실험예 2의 in vivo genograft 모델에서 시험 결과를 보여주는 사진들이다;
도 3 및 도 4는 실험예 2의 in vivo genograft 모델에서 시험 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들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제조예 및 실시예에 의해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의 제조예 및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한 것 일뿐, 어떤 의미로든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하기에서, 제조예에는 최종 화합물을 만들기 위한 중간체의 합성방법에 관한 내용이 기재되어 있고, 실시예들에는 제조예의 화합물을 사용한 최종 화합물의 합성방법에 관한 내용이 기재되어 있다.
하기 제조예 및 실시예에서 자주 사용되는 사이클릭 구아니디움은 아래와 같이 약어로 기술한다.
Figure pat00040
상기 정의된 화학식 G1에서 G4의 화합물들은 그 구조에 따라 하기 반응식 1과 반응식 2 및 반응식 3에 도시한 바와 같은 과정을 거쳐서 합성될 수 있다.
[반응식 2] G 1 -OH의 제조
Figure pat00041

반응식 2-1) 아미노-4-(메틸티오)부탄-1-올(2)의 제조
테드라하이드로퓨란 200 ml에 리튬보로하이드라이드(5.84 g, 0.248 mmol)와 트리메틸실릴 클로라이드(34 ml, 0.268mmol)를 0℃ 하에서 순차적으로 적가하고 상온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다시 0℃로 냉각 후 D-메티오닌 또는 L-메티오닌(20 g, 0.134 mmol)을 적가하고 상온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탁액에 메탄올 200 ml를 적가하고 30 분 동안 교반하고 감압 농축하였다. 농축액에 물 200 ml를 첨가하고 1N-염산을 이용하여 pH를 1로 적정하고 12 시간 동안 상온에서 교반하였다. 2N-수산화나트륨을 이용하여 pH를 10으로 적정하고 디클로로메테인(150 ml X 5)으로 추출하고 감압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16.9 g, 93%)을 엷은 노란색 오일로 수득하였다.
1H NMR (400MHz, CDCl3) δ 3.60 (dd, J = 4.0, 10.4 Hz, 1H), 3.32 (dd, J = 7.2, 10.4 Hz, 1H), 3.00-2.94 (m, 1H), 2.66-2.53 (m, 2H), 2.11 (s, 3H), 1.78 (br, 2H), 1.74-1.70 (m, 1H), 1.60-1.51 (m, 1H); MS (EI) m/z 136 (M+1)
반응식 2-2) 1-(tert-부틸디페닐실릴옥시)-4-(메틸티오)부탄-2-아민 (3)의 제조
2-아미노-4-(메틸티오)부탄-1-올 (16 g, 118.4 mmol)을 150 ml의 아세토나이트릴에 녹인 후 이미다졸(16.12 g, 236.8 mmol)을 첨가하고 50 ml의 아세토나이트릴에 tert-부틸디페닐실릴크로라이드(40 ml, 154 mmol)를 녹인 후 반응 혼합물에 적가하고 상온에서 16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감압 농축하고 n-헥세인 300 ml와 1N-수산화나트륨 수용액 200 ml를 첨가하고 50℃에서 30분 동안 교반한 후 n-헥세인 층을 추출하고 물층을 다시 n-헥세인(150 ml x 2)으로 추출하였다. 헥산층을 모아 아세토나이트릴/물/아세틱엑시드(40/60/2, 200 ml x 2) 용액으로 추출하였다. 수층을 모아 n-헥세인(70 ml X6)으로 씻어준 후 물층을 60%정도 농축한 후 디에틸 에테르(120 ml x 3)로 추출하고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하고 감압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44.2 g, 99%)을 엷은 노란색의 오일로 수득하였다.
1H NMR (400MHz, CDCl3) δ 7.66-7.63 (m, 4H), 7.46-7.37 (m, 6H), 5.67 (br, 2H), 3.68 (dd, J = 4.0, 10.4 Hz, 1H), 3.53 (dd, J = 6.4, 10.4 Hz, 1H), 3.16-3.13 (m, 1H), 2.48 (t, J = 7.6 Hz, 2H), 2.05 (s, 3H), 1.76-1.70 (m, 2H), 1.06 (s, 9H); MS (EI) m/z 374 (M+1)
반응식 2-3) tert-부틸(2-이소티오시아네이토-4-(메틸티오_부톡시) 디페닐실란 (4)의 제조
1-(tert-부틸디페닐실릴옥시)-4-(메틸티오)부탄-2-아민 (44.2 g, 0.118 mmol)을 250 ml의 디클로로메테인에 녹인 후 탄산나트륨(65.2 g, 0.613 mmol)과 350 ml의 물을 첨가하고 10분 동안 교반하였다. 싸이오포스젠(10 ml, 0.13 mmol)을 100ml의 디클로로메테인에 녹인 후 적가하고 상온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추출하고 200 ml의 물로 씻어주어 감압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45 g, 91.5%)을 엷은 갈색의 오일로 수득하였다.
1H NMR (400MHz, CDCl3) δ 7.68-7.65 (m, 4H), 7.47-7.39 (m, 6H), 3.96-3.91 (m, 1H), 3.74-3.67 (m, 2H), 3.67-3.51 (m, 2H), 2.09 (s, 3H), 1.99-1.83 (m, 2H), 1.07 (s, 9H)
반응식 2-4) 4-아미노-2-(4-메틸페닐술폰아미도)-4-옥소부탄산 (6)의 제조
D-아스파라진 또는 L-아스파라진(25 g, 0.189 mol)에 220 ml의 1N-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0℃ 하에서 첨가하고 170 m의 아세톤에 녹인 파라-톨루엔설포닐클로라이드(54 g, 0.284 mol)을 40분 동안 천천히 적가하고 이와 동시에 220 ml의 1N-수산화나트륨 수용액도 같은 시간 동안 나누어 적가하였다. 파라-톨루엔설포닐클로라이드가 모두 적가된 후 반응 용액을 2 시간 30분 동안 교반하면서 60 ml의 1N-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추가로 첨가하였다. 반응 혼탁액을 여과하고 50 ml의 물로 씻어준 후에 감압 농축하여 아세톤을 제거하였다. 상온에서 생성된 고체는 여과하여 제거하고, 0℃ 하에서 염산을 천천히 적가하여 pH를 1로 적정하고, 교반하여 생성된 흰색 고체를 여과한 후 200 ml의 물로 씻어주었다. 흰색 고체를 에탄올(150 ml)과 물(350 ml)의 혼합액에 첨가하고 환류 교반한 후에 냉각하여 생성된 흰색 고체를 여과하여 표제 화합물(28 g, 58.7%)를 수득하였다.
1H NMR (400MHz, DMSO-d6) δ 7.93 (d, J = 8.8 Hz, NH), 7.66 (d, J = 8.0 Hz, 2H), 7.34 (d, J = 8.0 Hz, 2H), 6.88 (br, 1H), 4.08 (q, J = 6.4 Hz, 1H), 2.45 (dd, J = 7.2, 15.6 Hz, 1H), 2.36 (s, 3H), 2.54 (dd, J = 6.0, 15.2 Hz, 1H); MS (EI) m/z 287 (M+1)
반응식 2-5) N-(4-아미노-1-하이드록시부탄-2-일)-4-메틸벤젠술폰아미드 (7)의 제조
리튬보로하이드라이드(6.9 g, 0.316 mol)를 250 ml의 테트라하이드로퓨란에 녹인 후 0℃ 하에서 트리메틸실릴클로라이드(80 ml, 630 mmol)를 적가하였다. 반응 용액에 4-아미노-2-(4-메틸페닐술폰아미도)-4-옥소부탄산 (27.5 g, 96.05 mmol)을 30분 동안 천천히 첨가하고 상온에서 2 시간 동안 교반 후 3 시간 동안 환류 교반하였다. 상온으로 냉각 시킨 후 반응 혼탁액에 150 ml의 메탄올을 적가하고 30분 동안 교반한 후 감압 농축하였다. 농축액에 150 ml의 물을 첨가하고 다시 감압 농축하였다. 농축액에 다시 120 ml의 물을 첨가하고, 5N-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이용하여 pH를 10으로 적정하고, 생성된 고체를 여과하였다. 여과액에 에틸아세테이트(200 ml x 3)를 첨가하여 추출하고 감압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17.2 g, 70%)를 수득하였다.
1H NMR (400MHz, CDCl3) δ 7.78 (d, J = 7.2 Hz, 2H), 7.32 (brs, 1H), 7.30 (d, J = 7.6 Hz, 2H), 3.46-3.30 (m, 3H), 2.85-2.81 (m, 1H), 2.74-2.68 (m, 1H), 2.42 (s, 3H), 1.82-1.75 (m, 1H), 1.59-1.51 (m, 1H); MS (EI) m/z 258 (M+1)
반응식 2-6) N-(13-하이드록시-2,2-디메틸-6-(2-(메틸티오)에틸)-3,3-디페닐-8-티옥소-4-옥사-7,9-다이아자-3-실라트리에칸-12-일)-4-메틸벤젠술폰아미드 (8)의 제조
tert-부틸(2-이소티오시아네이토-4-(메틸티오_부톡시)디페닐실란 (27 g, 64.95 mmol)과 N-(4-아미노-1-하이드록시부탄-2-일)-4-메틸벤젠술폰아미드 (16.78 g, 64.95 mmol)을 150 ml의 아세토나이트릴에 녹이고 50℃ 하에서 24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감압 농축하고 관크로마토 그래피(디클로로메테인/메탄올, 15/1)를 시행하여 표제 화합물(36.8 g, 84%)을 엷은 노란색 고체로 수득하였다.
1H NMR (600MHz, CDCl3) δ 7.71 (d, J = 7.8 Hz, 2H), 7.65-7.63 (m, 4H), 7.46-7.39 (m, 6H), 7.25 (d, J = 7.8 Hz, 2H), 6.05 (br, 1H), 5.28 (br, 1H), 3.79-3.78 (m, 1H), 3.77-3.69 (m, 2H), 3.40-3.39 (m, 2H), 3.26-3.19 (m, 2H), 2.54-2.47 (m, 2H), 2.43 (s, 3H), 2.08 (s, 3H), 1.98-1.82 (m, 4H), 1.68-1.64 (m, 1H), 1.07 (s, 9H); MS (EI) m/z 674(M+1)
반응식 2-7) N-(2,2,15,15,16,16-헥사메틸-6-(2-(메틸티오)에틸)-3,3-디페닐-8-티옥소-4,14-디옥사-7,9-다이아자-3,15-디실라헵타데칸-12일)-4-메틸벤젠술폰아미드 (9)의 제조
N-(13-하이드록시-2,2-디메틸-6-(2-(메틸티오)에틸)-3,3-디페닐-8-티옥소-4-옥사-7,9-다이아자-3-실라트리에칸-12-일)-4-메틸벤젠술폰아미드(36.7 g, 54.44 mmol)을 250 ml의 디클로로메테인에 녹인 후 이미다졸(9.64 g, 141.56 mmol)을 첨가하고 tert-부틸디메틸실릴클로라이드(10.7 g, 70.77 mmol)을 적가한 후 상온에서 1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감압 농축하고 300 ml의 디에틸 에테르를 첨가한 후, 씨트릭 엑시드와 탄산수소나트륨을 이용하여 pH가 4.5인 용액을 450 ml를 만들어 추출하고, 유기층을 모아 100 ml의 물에 씻은 후 감압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42.9 g, 99%)를 수득하였다.
1H NMR (600MHz, CDCl3) δ 7.66-7.63 (m, 6H), 7.44-7.36 (m, 6H), 7.19 (brs, 2H), 6.59 (br, 1H), 6.12 (br, 1H), 5.09 (d, J = 9.0 Hz, 1H), 3.96 (br, 1H), 3.80 (dd, J = 3.6, 10.8 Hz, 1H), 3.72 (d, J = 9.0 Hz, 1H), 3.44-3.42 (m, 1H), 3.20 (d, J = 9.6 Hz, 1H), 3.28-3.16 (m, 1H), 2.99-2.97 (m, 1H), 2.55-2.47 (m, 1H), 2.39 (s, 3H), 2.07 (s, 3H), 1.95-1.94 (m, 2H), 1.86-1.84 (, 2H), 1.68-1.64 (m, 1H), 1.06 (s, 9H), 0.79 (s, 9H), -0.08 (s, 3H), -0.14 (s, 3H); MS (EI) m/z 788 (M+1)
반응식 2-8) 2-((tert-부틸디메틸질릴옥시)메틸)-8-((tert-부틸디페닐실릴옥시)메틸)-1-토실-2,3,4,6,7,8-헥사히드로-1H-피리미도[1,2-a]피미리딘 (10)의 제조
N-(2,2,15,15,16,16-헥사메틸-6-(2-(메틸티오)에틸)-3,3-디페닐-8-티옥소-4,14-디옥사-7,9-디아자-3,15-디실라헵타데칸-12일)-4-메틸벤젠술폰아미드 (42.9 g, 54.42 mmol)을 600 ml의 디클로로메테인에 녹인 후 0℃ 하에서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3.6 ml, 20.68 mmol)를 적가하고 메틸트리플로오로메탄설포네이트(15.4 ml, 136.05 mmol)를 첨가하여 1 시간 동안 교반한 후,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95 ml, 544.2 mmol)을 첨가하고 50℃ 하에서 48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감압 농축한 후, 300 ml의 디에틸 에테르와 350 ml의 1N-수산화나트륨 수용액으로 추출하고 200 ml의 물로 씻은 후 감압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38.4 g, 99%)을 엷은 갈색으로 수득하였다.
1H NMR (400MHz, CDCl3) δ 7.62-7.58 (m, 6H), 7.46-7.36 (m, 6H), 6.88 (d, J = 8.4 Hz, 2H), 4.68-4.65 (m, 1H), 3.81 (dd, J = 4.8, 10.0 Hz, 1H), 3.62-3.50 (m, 3H), 3.22-3.12 (m, 2H), 2.98-2.90 (m, 2H), 2.64 (t, J = 9.6 Hz, 1h), 2.41-.25 (m, 1H), 2.25-2.17 (m, 1H), 2.11 (s, 3H), 2.07-2.01 (m, 2H), 1.01 (s, 9H), 0.87 (s, 9H), 0.06 (s, 3H), 0.05 (s, 3H); MS (EI) m/z 706 (M+1)
반응식 2-9) 2-((tert-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8-((tert-부틸디페닐실릴옥시)메틸)-2,3,4,6,7,8-헥사히드로-1H-피리미도[1,2-a]피리미딘 (11)의 제조
2-((tert-부틸디메틸질릴옥시)메틸)-8-((tert-부틸디페닐실릴옥시)메틸)-1-토실-2,3,4,6,7,8-헥사히드로-1H-피리미도[1,2-a]피미리딘 (35 g, 49.57 mmol)을 400 ml의 테트라하이드로퓨란에 녹이고 100 ml의 물을 첨가 한 후 알루미늄(8 g, 297.42 mmol) 호일을 작게 조각 내 1N-수산화칼륨 용액에 1분 동안 넣고 물로 씻은 후 0.5% 머큐리아세테이트 수용액에 2분 동안 다시 담근 후 물로 씻어서 용매에 녹아있는 화합물에 첨가한다. 12시간 후 다시 알루미늄(8g, 297.42 mmol)을 수산화칼륨과 머큐리 아세테이트수용액에 넣은 후 물로 세척하여 첨가하고 12시간 동안 상온에서 교반하였다. 회색의 반응 혼탁액을 셀라이트를 이용하여 여과하고 감압 농축하였다. 농축액에 200ml의 디에틸 에테르와 60 ml의 테트라하이드로퓨란을 넣고 50 ml의 4N-수산화 나트륨을 이용하여 추출하고 유기층을 다시 60 ml의 1N-수산화 나트륨과 60 ml의 물을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추출하고 유기층에 1N-NH4I 수용액(100ml)을 첨가하고 30분 동안 교반한 후 추출하여 감압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22 g, 81.5%)을 수득하였다.
1H NMR (400MHz, CDCl3) δ 8.12 (br, 1H), 7.99 (br, 1H), 7.66-7.61 (m, 4H), 7.45-7.38 (m, 6H), 3.84-3.77 (m, 2H), 3.63-3.56 (m, 3H), 3.50-3.48 (m, 1H), 3.40-3.34 (m, 1H), 3.26-3.12 (m, 3H), 2.05-2.01 (m, 2H), 1.95-1.92 (m, 2H), 1.07 (s, 9H), 0.87 (s, 9H), 0.08 (s, 6H); MS (EI) m/z 552 (M+1)
반응식 2-10) (8-((tert-부틸디페닐실릴옥시)메틸)-2,3,4,6,7,8-헥사히드로-1H-피리미도[1,2-a]피리미딘-2-일)메탄올 (12) (G 1 -OH)의 제조
2-((tert-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8-((tert-부틸디페닐실릴옥시)메틸)-2,3,4,6,7,8-헥사히드로-1H-피리미도[1,2-a]피리미딘 (22 g, 32.36mM)에 40 ml의 물과 160 ml의 아세틱엑시드를 첨가하고 상온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감압 농축하고 농축액에 300 ml의 디클로로메테인을 넣어 녹이고 500 ml의 0.1M 암모늄헥사플로오로포스패이트 수용액을 첨가하고 30분 동안 교반한 후 추출하고, 유기층에 다시 300 ml의 0.1M 암모늄헥사플로오로포스페이트 수용액을 첨가한 후 30분 동안 교반하고 추출한 후 감압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18.7 g, 99%)를 엷은 노란색 고체로 수득하였다.
1H NMR (400MHz, CDCl3) δ 7.63-7.62 (m, 4H), 7.46-7.40 (m, 6H), 6.58 (br, 1H), 6.24 (br, 1H), 3.71-3.65 (m, 1H), 3.61-3.53 (m, 4H), 3.40-3.24 (m, 4H), 3.05-3.02 (m, 1H), 1.96-1.93 (m, 1H), 1.88-1.85 (m, 2H), 1.74-1.73 (m, 1H), 1.07 (s, 9H); MS (EI) m/z 438 (M+1)
[반응식 3]
Figure pat00042

반응식 3-1) G 1 -OMs의 합성
G1-OH (3 g, 5.14 mmol)을 테트라하이드로퓨란 100 ml에 녹이고 트리에틸아민(3.6 ml, 25.70 mmol)을 넣고 0℃ 하에서 메탄술포닉 언하이드라이드 (1.79 g, 10.28 mmol)을 넣은 후 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0.1N NH4PF6 수용액 (50 ml)에 가한 후 디클로로메테인 (50 ml x 2)로 추출하였다. 모인 유기층을 무수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 여과 후 감압 농축하여 G1-OMs (3.4 g, 99%)을 베이지색 고체로 수득하였다.
1H NMR (600MHz, CDCl3) δ 7.63-7.62 (m, 4H), 7.46-7.40 (m, 6H), 6.31 (brs, 1H), 6.14 (brs, 1H), 4.32 (dd, J = 4.2, 10.2 Hz, 1H), 4.17 ( dd, J = 6.0, 10.2 Hz, 1H), 3.80-3.79 (m, 1H), 3.68-3.63 (m, 2H), 3.58-3.56 (m, 1H), 3.39-3.24 (m, 4H), 3.09 (s, 3H), 2.11-1.99 (m, 3H), 1.92-1.86 (m, 1H), 1.03 (s, 9H); MS (EI) m/z 516 (M+1)
반응식 3-2) G 1 -SAc의 합성
G1-OMs (2.32 g, 3.50 mmol)과 포타슘 티오 아세테이트 (0.52 g, 4.55 mmoL)을 테트라하이드로퓨란 (40 ml)과 물 (15 ml)에 녹인 후 15시간 동안 환류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디클로로메테인 (100 ml)로 희석 후 0.1N NH4PF6 수용액 (50 ml)으로 씻어주었다. 모인 유기층을 다시 한번 0.1N NH4PF6 수용액 (30 ml)으로 씻어준 다음 무수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 여과 후 감압 농축하고 관크로마토그래피 (n-헥세인/에틸 아세테이트, 1/4 → 에틸아세테이트)를 시행하여 G1-SAc (1.65 g, 95%)을 옅은 노란색 고체로 수득하였다.
1H NMR (400MHz, acetone-d6) δ 7.77-7.72 (m, 4H), 7.52-7.38 (m, 6H), 6.97 (br, 2H), 3.84-3.75 (m, 3H), 3.70-3.65 (m, 1H), 3.59-3.46 (m, 4H), 3.15 (d, J = 6.4 Hz, 2H), 2.36 (s, 3H), 2.22-2.06 (m, 2H), 2.01-1.92 (m, 2H), 1.06 (s, 9H); MS (EI) m/z 496 (M+1)
반응식 3-3) G 2 -OH의 합성
G1-SAc (1.65 g, 1.31 mmol)을 테트라하이드로퓨란 (50 ml)과 물 (15 ml)에 녹인 후 메탄술폰산 (1.14 ml, 17.53 mmol)을 첨가한 다음 24시간 동안 환류 교반하고 디에틸 에테르(50 ml)와 물(50 ml)로 추출하였다. 물층을 다시 디에틸 에테르(50 ml)로 재추출한 다음 물층을 중탄산칼륨(0.22 g, 1.57 mmol)을 첨가하여 중화한 후 감압 증류하여 용매를 완전히 제거하였다. 생성된 고체를 메탄올 (100 ml)에 넣고 녹지 않은 고체를 여과하여 제거한 다음 이 과정을 메탄올/디클로로메테인 (50/50 → 5/95)으로 두 번 반복하여 실행한 후 얻은 여과층을 감압 농축하여 얻은 화합물(crude 0.86 g, 1.99 mmoL)을 메탄올 (30 ml)에 녹이고, 탄산 세슘 (0.58 g, 1.79 mmol)과 트리부틸 포스핀 (0.3 ml, 1.20 mmol)을 순차적으로 넣고 실온에서 40분간 교반하였다. 테트라하이드로퓨란 (50 ml)에 녹인 G1-OMs (1.32 g, 1.99 mmol)을 반응 혼합물에 적가한 후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매를 감압 농축하고 디클로로메테인 (50 ml)과 0.1N NH4PF6 수용액 (30 ml)으로 추출한 후에 유기층을 모아서 다시 0.1N NH4PF6 수용액 (30 ml)으로 씻어준 후 무수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하였다. 여과 후 감압 농축하고 관크로마토그래피 (디클로로메테인/메탄올, 96/4 → 94/6)를 시행하여 G2-OH (0.9 g, 48.6%)를 베이지색 고체로 수득하였다.
1H NMR (600MHz, acetone-d6) δ 7.72-7.69 (m, 4H), 7.50-7.43 (m, 6H), 3.80-3.79 (m, 5H), 3.53-3.51 (m, 11H), 3.04-2.94 (m, 2H), 2.76-2.69 (m, 2H), 2.43-2.06 (m, 8H), 2.03-1.82 (m, 8H), 1.03 (s, 9H); MS (EI) m/z 635 (M+1)
반응식 3-4) G 2 -OMs의 합성
G2-OH (0.82 g, 0.88 mmol)을 상기 G1-OMs 합성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G2-OMs (0.84 g, 95%)을 수득하였다.
1H NMR (600MHz, CDCl3) δ 7.65-7.64 (m, 4H), 7.44-7.40 (m, 6H), 4.19 (dd, J = 4.8, 10.2 Hz, 1H), 4.06 (dd, J = 5.4, 10.2 Hz, 1H), 3.74-3.72 (m, 2H), 3.66-3.64 (m, 4H), 3.50-3.24 (m, 9H), 3.01 (s, 3H), 2.88-2.83 (m, 2H), 2.67-2.58 (m, 2H), 2.12-1.84 (m, 8H), 1.05 (s, 9H); MS (EI) m/z 713 (M+1)
반응식 3-5) G 2 -SAc의 합성
G2-OMs (0.4 g, 0.27 mmol)과 포타슘티오아세테이트 (97 mg, 0.85 mmol)을 테트라하이드로퓨란 (10 ml)과 물 (3 ml)에 녹인 후 16시간 동안 환류 교반하였다. 반응 용매를 디클로로메테인 (50 ml)과 0.1N NH4PF6 수용액 (30 ml)으로 추출하였다. 물층을 다시 디클로로메테인 (30 ml)로 씻어준 후 모인 유기층을 무수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 여과 후에 감압 농축하여 G2-SAc (0.3 g, 84%)를 옅은 노란색 고체로 수득하였다.
1H NMR (600MHz, acetone-d6) δ 7.71-7.69 (m, 4H), 7.50-7.45 (m, 6H), 7.26 (brd, 2H), 7.11 (brd, 2H), 3.84-3.71 (m, 6H), 3.59-3.49 (m, 8H), 3.14 (d, J = 6.0 Hz, 2H), 2.99 (dd, J = 4.6, 14.6 Hz, 2H), 2.73 (δ, J = 4.6, 9.4 Hz, 2H), 2.36 (s, 3H), 2.28-2.12 (m, 4H), 2.05-1.89 (m, 4H), 1.06 (s, 9H)
반응식 3-6) G 4 -OH의 합성
G2-OMs를 출발물질로 G2-OH를 합성하는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여 G4-OH를 제조하였다.
1H NMR (600MHz, acetone-d6) δ 7.72-7.69 (m, 4H), 7.52-7.44 (m, 6H), 3.80-3.52 (m, 28H), 3.07-2.98 (m, 6H), 2.74-2.66 (m, 6H), 2.21-2.09 (m, 9H), 1.99-1.90 (m, 8H), 1.06 (s, 8H); MS (EI) m/z 1029 (M+1)
반응식 3-7) G 4 -OMs의 합성
G4-OH를 출발물질로 G1-OMs 합성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G4-OMs를 제조하였다.
1H NMR (600MHz, acetone-d6) δ 7.71-7.69 (m, 4H), 7.52-7.45 (m, 6H), 7.30 (br, 4H), 4.45 (dd, J = 3.6, 10.2 Hz, 1H), 4.27 (dd, J = 7.8, 10. 8 Hz, 1H), 3.97-3.96 (m, 1H), 3.83-3.71 (m, 9H), 3.58-3.50 (m, 18H), 3.20 (s, 3H), 3.05-3.01 (m, 8H), 2.74-2.68 (m, 8H), 2.26-2.21 (m, 8H), 2.02-1.91 (m, 8H), 1.06 (s, 9H); MS (EI) m/z (M+1)
[반응식 4]
Figure pat00043

반응식 4-1) G 3 -OH의 합성
G2-OH 합성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G3-OH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1H NMR (400MHz, acetone-d6) δ 7.72-7.70 (m, 4H), 7.53-7.42 (m, 6H), 4.28 (t, J = 5.2 Hz, 1H), 3.81-3.59 (m, 8H), 3.53-3.44 (m, 6H), 3.05-2.87 (m, 4H), 2.68-2.59 (m, 4H), 2.25-2.17 (m, 6H), 1.93-1.78 (m, 6H);
반응식 4-2) G 3 -OMs의 합성
G3-OH 화합물을 출발물질로 하여 G1-OMs 합성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G3-OMs를 제조하였다.
1H NMR (400MHz, acetone-d6) δ 7.76-7.67 (m, 4H), 7.52-7.38 (m, 6H), 4.40 (dd, J = 4.4, 10.4 Hz, 1H), 4.25 (dd, J = 7.6, 10.4 Hz, 1H), 3.92-3.90 (m, 1h), 3.82-3.59 (m, 8H), 3.55-3.49 (m, 12H), 3.19 (s, 3H), 3.04-2.96 (m, 4H), 2.78-2.58 (m, 4H), 2.24-2.12 (m, 6H), 2.06-1.80 (m, 6H), 1.06 (s, 9H); MS (EI) m/z 910 (M+1)
[제조예 1]
제조예 1-1)
Figure pat00044
상기에서 언급한 반응식에서 합성한 G1-OMs의 화합물 (1 g, 1.50 mmol)을 메탄올 20 ml에 녹이고 30% 암모니아수 8 ml를 넣은 후 15시간 동안 상온에서 교반시킨 후, 반응 용액을 감압 여과하고 디클로로메테인 50 ml에 녹여 0.1N NH4PF6 수용액 50 ml를 이용하여 씻어주고 무수 황산나트륨을 이용하여 탈수시켜 감압 농축하여 화합물 G1-NH2 (0.86 g, 98%)을 옅은 노란색 고체로 수득하였다.
1H NMR (600MHz, CDCl3) δ 7.61-7.60 (m, 4H), 7.42-7.40 (m, 6H), 6.16 (brs, 1H), 3.61-3.55 (m, 3H), 3.43-3.41 (m, 1H), 3.32-3.17 (m, 4H), 2.88 (dd, J = 4.2, 13.2 Hz, 1H), 2.76 (dd, J = 7.2, 13.2 Hz, 1H), 1.99-1.94 (m, 2H), 1.86-1.79 (m, 2H); MS (EI) m/z 437 (M+1)
상기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기 화합물들을 합성하였다.
제조예 1-2)
Figure pat00045
1H NMR (600MHz, acetone-d6) δ 7.72-7.69 (m, 4H), 7.51-7.48 (m, 6H), 3.83-3.64 (m, 6H), 3.59-3.47 (m, 11H), 3.16-3.13 (m, 1H), 3.02-2.97 (m, 2H), 2.71-2.67 (m, 2H), 2.29-2.16 (m, 4H), 1.95-1.91 (m, 4H), 1.05 (s, 9H); MS (EI) m/z 634 (M+1)
제조예 1-3)
Figure pat00046
1H NMR (600MHz, acetone-d6) δ 7.71-7.70 (m, 4H), 7.51-7.47 (m, 6H), 3.80-3.71 (m, 6H), 3.54-3.51 (m, 16H), 3.05-2.94 (m, 4H), 2.72-2.68 (4H), 2.19-2.13 (m, 6H), 1.96-1.94 (m, 6H), 1.05 (s, 9H); MS (EI) m/z 1123 (M+2HPF6)
제조예 1-4)
Figure pat00047
1H NMR (600MHz, acetone-d6) δ 7.72-7.71 (m, 4H), 7.51-7.49 (m, 6H), 3.81-3.79 (m, 3H), 3.71-3.67 (m, 6H), 3.59-3.48 (m, 18H), 3.05-2.99 (m, ^H), 2.86-2.84 (m, 6H), 2.72-2.64 (m, 6H), 2.25-2.13 (m, 8H), 2.02-1.90 (m, 8H), 1.06 (s, 9H); MS (EI) m/z 1028 (M+1)
[제조예 2]
Figure pat00048
제조예 2-1-1)
n = 1일 경우
암모늄 몰리브데이트 4 수화물 (0.53 g, 0.43 mmol)과 과산화수소 (0.56 ml, 6.47 mmol)을 0℃에서 15 분간 교반한 다음, 에탄올 2 ml에 녹인 출발물질 G2-OH (0.2 g, 0.21 mmol)를 천천히 적가하고 2 시간 동안 0℃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포화 탄산수소 나트륨 수용액 (100 ml)에 가한 후 에틸 아세테이트 (70 ml x 2)로 추출하였다. 모인 유기층을 0.1N NH4PF6 (50 ml)로 씻어준 후 무수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 여과 후 감압 농축하고 관크로마토그래피 (디클로로메테인/메탄올, 20/1 → 15/1)를 시행하여 목적 화합물 (0.19 g, 76%)을 수득하였다.
1H NMR (600MHz, acetone-d6) δ 7.70-7.67 (m, 4H), 7.52-7.44 (m, 6H), 6.96 (br, 1H), 6.90 (br, 1H), 4.32 (t, J = 5.4 Hz, 1H), 4.28-4.26 (m, 2H), 3.84-3.76 (m, 4H), 3.72-3.69 (m, 2H), 3.63-3.47 (m, 12H), 3.31-3.30 (m, 2H), 2.34-2.27 (m, 2H), 2.19-2.09 (m, 5H), 1.89-1.85 (m, 1H), 1.06 (s, 9H); MS (EI) m/z 667 (M+1)
상기 제조예 2-1-1과 유사한 방법으로 하기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제조예 2-1-2)
n = 3일 경우
Figure pat00049
1H NMR (600MHz, acetone-d6) δ 7.68-7.65 (m, 4H), 7.59 (br, 2H), 7.47-7.41 (m, 6H), 4.27-4.25 (m, 5H), 3.80-3.73 (m, 4H), 3.65-3.46 (m, 29H), 3.29-3.27 (m, 2H), 3.15-3.13 (m, 1H), 2.28-2.24 (m, 8H), 2.14-2.03 (m, 8H), 1.03 (s, 9H); MS (EI) m/z 1125 (M+1)
제조예 2-2)
제조예 2-1에서 수득한 화합물 (0.18 g, 0.18 mmol)과 methane sufonic anhydride (49 mg, 0.28 mmol)을 테트라하이드로퓨란 (3 ml)에 녹인 후 0℃에서 N-메틸 모폴린 (62 ul, 0.56 mmol)을 가한 후 상온, 질소 대기하에서 1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0.1N NH4PF6 (30 ml)에 가한 후 디클로로메테인 (20 ml x 3)으로 추출하였다. 모인 유기층을 무수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 여과 후 감압 농축하여 목적 화합물 (180 mg, 93%)을 베이지색 고체로 수득하였다.
1H NMR (600MHz, acetone-d6) δ 8.21 (brs, 1H), 7.93 (brs, 1H), 7.72-7.70 (m, 4H), 7.51-7.44 (m, 6H), 4.40 (dd, J = 4.2, 10.8 Hz, 1H), 4.27-4.24 (m, 3H), 3.96-3.94 (m, 2H), 3.78-3.77 (m, 3H), 3.70-3.52 (m, 12H), 3.17 (s, 3H), 2.35-2.08 (m, 7H), 1.06 (s, 9H); MS (EI) m/z 745 (M+1)
상기 제조예 1-1과 유사한 방법으로 하기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제조예 2-3-1)
Figure pat00050
1H NMR (600MHz, acetone-d6) δ 7.71-7.69 (m, 4H), 7.50-7.43 (m, 6H), 7.01 (br, 1H), 4.27-4.20 (m, 2H), 3.84-3.55 (m, 18H), 2.31-2.16 (m, 4H), 2.04-1.89 (m, 4H), 1.09 (s, 9H); MS (EI) m/z 666 (M+1)
제조예 2-3-2)
Figure pat00051
1H NMR (600MHz, acetone-d6) δ 7.72-7.70 (m, 4H), 7.51-7.45 (m, 6H), 4.26-4.24 (m, 3H), 4.13-4.11 (m, 1H), 3.80-3.40 (m, 36H), 2.31-2.26 (m, 8H), 2.14-2.09 (m, 8H), 1.06 (s, 9H); MS (EI) m/z 1124 (M+1)
[제조예 3]
Figure pat00052

제조예 3-1)
n = 9일 경우
Figure pat00053
젤다나마이신 (0.2 g, 0.36 mmol)과 11-아미노운데칸카복시산 (0.36 g, 1.78 mmol)에 1.5 ml 디메틸폼아마이드를 넣고 질소 대기하에서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0.31 ml, 1.78 mmol)을 첨가한 후 실온에서 3일간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에 물 50 ml를 가한 후 에틸 아세테이트 (20 ml x 2)로 추출하였다. 모인 유기층을 물 50 ml로 다시 씻어준 후 무수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 여과 후 감압 농축하고 관크로마토그래피 (n-헥세인/에틸아세테이트, 1/1 → 디클로로메테인/메탄올, 15/1)를 시행하여 표제 화합물 (0.17 g, 65%)을 자주색 고체로 수득하였다.
1H NMR (600MHz, CDCl3) δ 9.21 (s, 1H), 7.28 (s, 1H), 6.95 (d, J = 11.4 Hz, 1H), 6.58 (t, J = 11.4 Hz, 1H), 6.36 (t, J = 5.4 Hz, NH), 5.90 (d, J = 9.0 Hz, 1H), 5.86 (t, J = 10.8 Hz, 1H), 5.0 (s, 1H), 4.88 (brs, 2H), 4.32 (d, J = 9.6 Hz, 1H), 3.59 (d, J = 9.0 Hz, 1H), 3.49-3.44 (m, 3H), 3.37 (s, 3H), 3.27 (s, 3H), 2.75-2.66 (m, 2H), 2.43-2.37 (m, 1H), 2.33 (t, J = 7.2 Hz, 2H), 2.02 (s, 3H), 1.79 (s, 5H), 1.66-1.61 (m, 7H), 1.41-1.25 (m, 10H), 1.01 (d, J = 6.6 Hz, 3H), 0.97 (d, J = 6.6 Hz, 3H); MS (EI) m/z 730 (M+1)
상기 제조예 3-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기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제조예 3-2)
n = 6일 경우
Figure pat00054
1H NMR (400MHz, CDCl3) δ 9.20 (s, 1H), 7.27 (s, 1H), 6.96 (d, J = 11.6 Hz, 1H), 6.58 (t, J = 11.6 Hz, 1H), 6.31 (t, J = 5.6 Hz, NH), 5.90-5.83 (m, 2H), 5.20 (s, 1H), 4.92 (brs, 2H), 4.32 (d, J = 10.0 Hz, 1H), 3.59-3.42 (m, 4H), 3.37 (s, 3H), 3.27 (s, 3H), 2.76-2.67 (m, 2H), 2.43-2.33 (m, 3H), 2.02 (s, 3H), 1.79 (s, 3H), 1.70-1.64 (m, 7H), 1.43-1.37 (m, 6H), 1.01 (d, J = 7.2 Hz, 3H), 0.96 (d, J = 6.8 Hz, 3H); MS (EI) m/z 688 (M+1)
제조예 3-3)
n = 4일 경우
Figure pat00055
1H NMR (400MHz, CDCl3) δ 9.19 (s, 1H), 7.28 (s, 1H), 6.96 (d, J = 12.0 Hz, 1H), 6.59 (t, J = 11.2 Hz, 1H), 6.28 (br, NH), 5.91-5.84 (m, 2H), 5.20 (s, 1H), 4.89 (brs, 2H), 4.32 (d, J = 9.6 Hz, 1H), 3.59-3.55 (m, 2H), 3.47-3.45 (m, 2H), 3.37 (s, 3H), 3.28 (s, 3H), 2.76-2.73 (m, 1H)m 2.69 (d, J = 14 Hz, 1H), 2.1-2.38 (m, 3H), 2.03 (s, 3H), 1.80 (s, 3H), 1.73-1.70 (m, 8H), 1.52-1.48 (m, 3H), 1.01(d, J = 7.2 Hz, 3H), 0.97 (d, J = 6.4 Hz, 3H)
[실시예 1]
실시예 1-1)
Figure pat00056
G = G1일 경우
제조예 1-1에서 수득한 화합물 (32 mg, 55 umol)과 제조예 3-1에서 수득한 화합물 (40 mg, 55 umol)을 0.3 ml의 디메틸폼아마이드에 녹이고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29 ul, 166 umol)과 HBTU (31 mg, 82 umol)을 모두 넣고 실온에서 1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에 디클로로메테인 20 ml를 넣어준 후 0.1N 암모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수용액 (20 ml x 2)으로 추출한 후 유기층을 무수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하였다. 감압 농축 후에 HPLC를 이용하여 목적 화합물 (15 mg, 21%)을 보라색 고체로 수득하였다.
Figure pat00057
1H NMR (400MHz, acetone-d6) δ 9.39 (s, 1H), 8.83 (brs, 1H), 8.67 (brs, 1H), 7.72-7.71 (m, 4H), 7.50-7.42 (m, 6H), 7.30 (d, J = 10.8 Hz, 1H), 7.12 (s, 1H), 6.65 (t, J = 10.8 Hz, 1H), 5.86 (d, J = 10.0 Hz, 1H), 5.80 (t, J = 10.0 Hz, 1H), 4.54 (d, J = 9.2 Hz, 1h), 4.06-4.04 (m. 1H), 3.78 (d, J = 5.2 Hz, 2H), 3.67-3.46 (m, 11H), 3.37-3.35 (m, 1H), 3.32 (s, 3H), 3.21 (s, 3H), 3.11-3.07 (m, 1H), 2.78-2.72 (m, 2H), 2.65-2.60 (m, 2H), 2.49-243 (m, 1H), 2.27 (t, J = 7.6 Hz, 1H), 2.19-2.15 (m, 4H), 2.00 (s, 3H), 1.86-1.84 (m, 3H), 1.74 (s, 3H), 1.73-1.68 (m, 3H), 1.59-1.57 (m, 3H), 1.42-1.40 (m, 7H), 1.05 (s, 9H), 1.01 (d, J = 6.8 Hz, 3H), 0.91 (d, J = 6.8 Hz, 3H); MS (EI) m/z 1148 (M+1)
위와 유사한 방법으로 하기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실시예 1-2)
G = G2일 경우
Figure pat00058
1H NMR (600MHz, acetonitrile-d3) δ 9.26 (s, 1H), 7.71-7.66 (m, 4H), 7.48-7.43 (m, 6H), 7.10 (d, J = 12.0 Hz, 1H), 7.06 (s, 1H), 6.72 (s, 2H), 6.60 (t, J = 12.0 Hz, 1H), 6.39-6.36 (br 2H), 5.81 (t, J = 9.6 Hz, 1H), 5.68 (d, J = 9.6 Hz, 1H), 5.45 (brs, 2H), 5.05 (s, 1H), 4.43 (d, J = 9.6 Hz, 1H), 3.63-3.61 (m, 2H), 3.59-3.58 (m, 1H), 3.50-3.45 (m, 7H), 3.36-3.34 (m, 2H), 3.33-3.30 (m, 10H), 3.29 (s, 3H), 3.20 (s, 3H), 2.81-2.76 (s, 2H), 2.68-2.66 (m, 1H), 2.61-2.55 (m, 3H), 2.40-2.36 (m, 1H), 2.14 (t, J = 7.2 Hz, 2H), 2.11-1.98 (m, 2H), 1.95 (s, 3H), 1.82-1.77 (m, 4H), 1.74-1.72 (m, 2H), 1.72 (s, 3H), 1.63-1.60 (m, 3H), 1.55-1.52 (m, 2H), 1.24-1.21 (m, 12H), 1.04 (s, 9H), 0.93 (d, J = 7.2 Hz, 3H), 0.91 (d, J = 6.6 Hz, 3H); MS (EI) m/z 1345 (M+1)
실시예 1-3)
G = G3일 경우
Figure pat00059
1H NMR (600MHz, acetonitrile-d3) δ 9.24 (s, 1H), 7.68-7.67 (m, 4H), 7.49-7.42 (m, 7H), 7.04-7.06 (m, 4H), 6.72 (t, 1H), 6.60(t, 1H), 6.41 (t, 1H), 5.83 (t, 1H), 5.68 (d, 1H), 5.24 (brs, 2H), 5.06 (s, 1H), 3.89-3.86 (m, 1H), 3.68-3.65 (m, 2H), 3.61-3.59 (m, 1H), 3.52-3.46 (m, 5H), 3.38-3.28 (m, 10H), 3.27-3.20 (m, 4H), 2.89-2.84 (m, 3H), 2.63-2.57 (m, 5H), 2.52-2.48 (m, 1H), 2.42-2.39 (m, 1H), 2.24-2.23 (m, 7H), 2.02-1.96 (m, 2H), 1.94 (s, 3H), 1.85-1.77 (m, 4H), 1.71 (s, 3H), 1.70-1.67 (m, 1H), 1.62-1.30 (m, 3H), 1.54-1.52 (m, 3H), 1.35-1.31 (m, 12H), 1.04 (s, 9H), 0.96 (d, J = 6.6 Hz, 3H), 0.92 (d, J = 6.6 Hz, 3H); MS (EI) m/z 1542 (M+1)
실시예 1-4)
G = G4일 경우
Figure pat00060
1H NMR (600MHz, acetonitrile-d3) δ 9.26 (s, 1H), 7.68-7.60 (m, 4H), 7.53-7.43 (m, 7H), 7.09 (d, J = 12.6 Hz, 1H), 7.06 (s, 1H), 6.60 (t, J = 12.0 Hz, 1H), 6.40 (s, 1H), 5.81 (t, J = 9.6 Hz, 1H), 5.68 (d, J = 9.0 Hz, 1H), 5.35 (brs, 2H), 5.05 (s, 1H), 4.42 (d, J = 8.4 Hz, 1H), 3.67-3.65 (m, 1H), 3.60-3.51 (m, 11H), 3.37-3.28 (m, 16H), 3.27 (s, 3H), 3.20 (s, 3H), 2.88-2.83 (m, 2H), 2.68-2.68 (m, 3H), 2.29-2.24 (m, 6H), 2.07-2.04 (m, 6H), 1.93 (s, 3H), 1.84 (s, 3H), 1.83-1.78 (m, 6H), 1.71-1.69 (m, 8H), 1.62-1.61 (m, 7H), 1.54-1.52 (m, 12H), 1.33-1.29 (m, 10H), 1.04 (s, 9H), 0.96 (d, J = 6.6 Hz, 3H), 0.91 (d, J = 6.6 Hz, 3H); MS (EI) m/z 1739(M+1)
실시예 1-5)
Figure pat00061
1H-NMR (600 MHz, CDCl3) δ 9.21 (s, 1H), 7.68-7.53 (m, 4H), 7.50-7.30 (m, 6H), 7.23 (s, 1H), 6.95 (d, J = 10.8, 1H), 6.58 (t, J =10.8, 1H), 6.32(br, 1H), 5.86(m, 2H), 5.17(s, 1H), 4.31(d, J =9, 1H), 3.80-3.62(m, 12H), 3.60-3.50(m, 6H), 3.49-3.40(m, 6H), 3.39-3.22(m, 11H), 3.20-3.05(m, 13H), 2.90-2.70(m, 5H), 2.69-2.50(m, 4H), 2.49-2.37(mm 2H), 2.28-2.10(m, 6H), 2.02(s, 3H), 1.91-1.75(m, 13H), 1.45-1.21(m, 10H), 1.04(s, 9H), 0.97(m, 6H); MS (EI) m/z 1699 (M+1)
실시예 1-6)
Figure pat00062
1H NMR (600 MHz, acetone-d6) δ 9.40(s, 1H), 7.29(d, J =11.4, 1H), 7.12(s, 1H), 6.65(m, 2H), 5.84(t, J =9.6, 1H), 5.78(d, J =10.2, 1H), 5.10(s, 1H), 4.54(d, J =9.6, 1H), 3.85-3.45(m, 31H), 3.34(m, 1H), 3.32(s, 3H), 3.21(s, 3H), 3.01-2.70(m, 19H), 2.62(m, 2H), 2.48(m, 1H), 2.29(m, 1H), 2.15-1.80(m, 11H), 1.78-1.54(m, 15H), 1.49-1.25(m, 12H), 1.01(d, J =6.6, 3H), 0.91(d, J =6.6, 3H);MS (EI) m/z 1599 (M+1)
[제조예 4]
Figure pat00063

제조예 4-1) 디메틸 5-(2-tert-부톡시-2-옥소에톡시)이소나프탈레이트의 제조
디메틸 5-하이드록시이소나프탈레이트 (2.1 g, 10 mmol)을 아세톤 25 ml에 녹인 후 탄산 칼륨 (0.69 g, 5mmol)과 t-부틸브로모아세테이트 (1.95 g, 10 mmol)을 첨가하고 15시간 동안 환류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감압 농축하여 제거한 후 1% 염산을 이용하여 산성화한 후에 에틸 아세테이트 (50 ml x 2)로 추출하였다. 모인 유기층을 물 (50 ml)로 씻어준 후 무수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 여과 후 감압 농축하고 n-헥세인을 이용하여 결정화하고 표제 화합물 (3.2 g, 98%)을 흰색 고체로 수득하였다.
1H NMR (400MHz, CDCl3) δ 8.32 (s, 1H), 7.75 (s, 2H), 4.61 (s, 2H), 3.94 (s, 6H), 1.50 (s, 9H)
제조예 4-2) 2-(3,5-비스(메톡시카닐)페녹시)아세트산의 제조
제조예 4-1에서 수득한 화합물 (1 g, 3.08 mmol)을 10 ml의 디클로로메테인에 녹인 후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20 ml를 천천히 적가하였다. 12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한 후에 반응 용매를 감압 농축하여 생성된 흰색 고체를 n-헥세인을 이용하여 씻어준 후 감압하여 표제 화합물 (0.82 g, 99%)을 수득하였다.
1H NMR (400MHz, DMSO-d6) δ 8.05 (s, 1H), 7.61 (s, 2H), 4.59 (s, 2H), 3.92 (s, 6H)
제조예 4-3) 디메틸 5-(2-(6-(tert-부톡시카보실아미노)헥실아미노)-2-옥소에톡시)이소나프탈레이트의 제조
Figure pat00064
제조예 4-2에서 수득한 화합물 (0.4 g, 1.19 mmol)을 N,N-디메틸폼아마이드 10 ml에 현탁시킨 후, tert-부틸 5-아미노펜틸카바메이트 (0.32 g, 1.49 mmol)과 PyBOP (0.93 g, 1.78 mmol) 및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1.3 ml, 7.45 mmol)을 차례로 넣은 후 실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포화 염화암모늄 수용액 (100 ml)를 가한 후에 에틸 아세테이트 (100 ml x 2)로 추출하였다. 모인 유기층을 물 (100 ml)로 씻어준 후 무수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하여 여과 후에 감압 농축하고 관크로마토그래피 (n-헥세인/에틸아세테이트, 3/1 → 1/1)를 시행하여 표제 화합물 (0.56 g, 81%)를 베이지색 고체로 수득하였다.
1H NMR (600MHz, CDCl3) δ 8.36 (s, 1H), 7.79 (s, 2H), 6.62 (brs, 1H), 4.57 (s, 2H), 4.55 (brs, 1H), 3.95 (s, 6H), 3.35 (q, J = 6.6 Hz, 2H), 3.11-3.09 (m, 2H), 1.58-1.54 (m, 2H), 1.47-1.44 (m, 2H), 1.43 (s, 9H), 1.35-1.33 (m, 4H); MS (EI) m/z 467 (M+1)
제조예 4-4) 5-(2-(6-(tert-부톡시카보닐아미노)헥실아미노)-2-옥소에톡시)이소나프탈릭산의 제조
제조예 4-3에서 수득한 화합물 (0.56 g, 1.20 mmol)을 테트라하이드로퓨란 10 ml와 메탄올 10 ml에 녹인 후 10 ml의 물에 녹인 수산화리튬 (0.25 g, 6.0 mmol)을 0℃ 하에서 천천히 적가하고 1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에 1N 염산을 이용하여 pH 4로 맞추고 디클로로메테인 (20 ml x 2)로 추출하였다. 모인 유기층을 물 (50 ml)로 씻어준 후 무수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 여과한 후 감압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 (0.46 g, 89%)을 흰색 고체로 수득하였다. MS (EI) m/z 438 (M+1)
제조예 4-5-1)
G = G1의 경우
제조예 4-4에서 수득한 화합물 (50 mg, 0.11 mmol)과 G1-NH2 (133 mg, 0.22 mmol)을 1 ml의 디메틸폼아마이드에 녹인 후에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100 ul, 0.57 mmol)과 PyBOP (148 mg, 0.28 mmol)을 순서대로 적가하고 상온에서 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에 물 10 ml를 가한 후 디클로로메테인 (10 ml x 2)로 추출하였다. 모인 유기층을 0.1N NH4PF6 수용액 (10 ml x 2)로 씻어준 후 무수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 여과 후 감압 농축하고 관크로마토그래피 (디클로로메테인/메탄올, 20/1)를 시행하여 화합물 (149 mg, 83%)을 베이지색 고체로 수득하였다.
위에서 얻은 화합물 (0.14 g, 0.09 mmol)을 4 ml의 디클로로메테인에 녹인 후 4M 염산에 디옥산을 가한 후 상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감압 농축시키고 관컬럼크로마토그래피 (디클로로케테인/메탄올, 10/1)를 시행하여 하기식의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Figure pat00065
1H NMR (400MHz, MeOH-d4) δ 8.18 (s, 1H), 7.66-7.62 (m, 10H), 7.42-7.38 (m, 12H), 4.61 (s, 2H), 3.66-3.65 (m, 6H), 3.55-3.44 (m, 10H), 3.34-3.28 (m, 8H), 2.38-2.87 (m, 2H), 2.03-1.98 (m, 4H), 1.89-1.85 (m, 4H), 1.61-1.53 (m, 6H), 1.39-1.35 (m, 5H), 1.04 (s, 18H); MS (EI) m/z 1289 (M+TFA)
제조예 4-5-2)
Figure pat00066
1H NMR (400MHz, MeOH-d4) δ 8.19 (s, 1H), 7.67 (s, 2H), 7.65-7.63 (m, 4H), 7.40-7.39 (m, 6H), 4.61 (s, 2H), 3.68-3.66 (m, 8H), 3.45-3.32 (m, 14H), 2.91-2.88 (m, 2H), 2.08-1.89 (m, 10H), 2.58-2.53 (m, 6H), 1.29-1.25 (m, 8H), 1.03 (s, 9H); MS (EI) m/z 1051 (M+TFA)
[실시예 2]
Figure pat00067

실시예 2-1)
Figure pat00068
제조예 4-5에서 수득한 화합물 (45 mg, 0.03 mmol)과 젤다나마이신 (17 mg, 0.03 mmol)을 질소대기하에서 디메틸폼아마이드 0.1 ml 첨가 후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26 ul, 0.15 mmol)을 가한 후 상온에서 44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에 포화 염화암모늄 수용액 (10 ml)을 가한 후 디클로로메테인 (10 ml x 2)로 추출하였다. 모인 유기층을 0.1N 암모늄 헥사플로로포스페이트 수용액 (10 ml x 2)로 씻어준 후 무수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 여과 후 감압 농축하고 관크로마토그래피 (디클로로메테인/메탄올, 10/1)를 시행하여 화합물 (29 mg, 42%)을 보라색 고체로 수득하였다.
Figure pat00069
1H-NMR (600 MHz, CDCl3) δ 9.20 (s, 1H), 7.70-7.55 (m, 9H), 7.52-7.32 (m, 14H), 7.24 (s, 1H), 6.95 (d, J = 10.2 Hz, 1H), 6.58 (t, J = 11.4 Hz, 1H), 6.31 (br, 1H), 5.90( d, J = 9.0 Hz, 1H), 5.85 (t, J = 10.2 Hz, 1H), 5.18 (s, 1H), 4.31 (d, J = 10.2 Hz, 1H), 3.90-3.81 (m, 2H), 3.72-3.50 (m, 8H), 3.48-3.32 (m, 13H), 3.31-3.40 (m, 12H), 2.73 (m, 1H), 2.64 (d, J =13.8 Hz, 1H), 2.43 (t, J = 11.4 Hz, 1H), 2.14-1.95 (m, 7H), 1.92-1.75 (m, 9H), 1.63 (m, 2H), 1.53 (m, 2H), 1.34 (m, 2H), 1.06-0.95 (m, 24H); MS (EI) m/z 1703 (M+1)
위와 유사한 방법으로 하기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실시예 2-2)
Figure pat00070
1H-NMR (600 MHz, CDCl3) δ 9.15 (s, 1H), 7.56 (m, 5H), 7.41-7.30 (m 8H), 7.18 (s ,1H), 6.91 (d, J = 12.0 Hz, 1H), 6.55 (t, J = 10.8 Hz, 1H), 5.83 (m, 2H), 5.15 (s, 1H), 4.27 (d, J = 10.2 Hz, 1H), 4.23 (br, 1H), 3.91-3.78 (m, 2H), 3.76-3.58 (m, 6H), 3.57-3.44 (m, 8H), 3.43-3.34 (m, 8H), 3.33-3.30 (m, 6H), 3.29-3.20 (m, 8H), 2.70 (m, 1H), 2.58 (d, J = 13.2 Hz, 1H), 2.39 (m, 1H), 2.10-1.92 (m, 7H), 1.91-1.80 (m, 4H), 1.76 (s, 3H), 1.71 (m, 2H), 1.41-1.18 (m, 8H), 0.97 (s, 9H), 0.96 (d, J = 7.2 Hz, 3H), 0.92 (d, J = 7.2 Hz, 3H); MS (EI) m/z 1465 (M+1)
실시예 2-3)
Figure pat00071
1H-NMR (600 MHz, CDCl3) δ 7.86(s, 1H), 7.61(s, 2H), 7.19(s, 1H), 6.97(d, J =11.4, 1H), 6.60(t, J =10.8, 1H), 5.83(m, 2H), 5.12(s, 1H), 4.56(s, 2H), 4.33(d, J =10.2, 1H), 3.80-3.31(m, 33H), 3.29(s, 3H), 3.15(q, J =14.7, 4H), 2.81(m, 4H), 2.75(m, 1H), 2.65(m, 1H), 2.40(m, 1H), 2.25-2.09(m, 8H), 2.06-1.90(m 11H), 1.88-1.60(m, 13H), 1.40-1.31(m, 8H), 0.97(m, 6H); MS (EI) m/z 1622 (M+1)
[제조예 5]
Figure pat00072

제조예 5-1) 디메틸 5-(5-(tert-부톡시카보닐아미노)펜틸옥시)이소프탈레이트의 제조
디메틸 5-하이드록시이소나프탈레이트 (1 g, 4.75 mmoL)을 10 ml 디메틸폼아마이드에 녹인 후 탄산 칼륨 (0.72 g, 5.23 mmoL)과 tert-부틸-6-브로모헥실카바메이트 (1.4 g, 4.99 mmoL)를 가하고 실온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에 물 (30 ml)을 가한 후 에틸 아세테이트 (30 ml x 2)로 추출하였다. 모인 유기층을 무수 황산 마그네슘으로 건조, 여과 후 감압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 (1.94 g, 99%)을 노란색 오일로 수득하였다.
1H NMR (400MHz, MeOH-d4) δ 8.26 (s, 1H), 7.73 (s, 2H), 4.54 (brs, 1H), 4.03 (t, J = 6.0 Hz, 2H), 3.14-3.12 (m, 2H), 1.83-1.77 (m, 2H), 1.64-1.63 (m, 2H), 1.53-1.48 (m, 2H), 1.44 (m, 9H), 1.41-1.39 (m, 2H); MS (EI) m/z 410 (M+1)
제조예 5-2) 디메틸 5-(6-아미노헥실옥시)이소나프탈레이트의 제조
제조예 5-1에서 수득한 화합물 (1 g, 2.44 mmoL)을 20 ml 디클로로메테인에 녹인 후 4M 염산/디옥세인 16 ml를 천천히 적가하고 실온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감압 농축하여 제거하고 디클로로메테인 (20 ml x 3)을 넣고 감압 농축 후 n-헥세인 (20 ml)에서 고체화하여 표제 화합물의 염산염 (0.84 g, 99%)을 흰색 고체로 수득하였다.
1H NMR (400MHz, DMSO-d6) δ 8.07 (s, 1H), 7.92 (brs, 2H), 7.67 (s, 2H), 4.10 (t, J = 6.4 Hz, 2H), 3.89 (s, 6H), 2.79-2.73 (m, 2H), 1.78-1.71 (m, 2H), 1.61-1.54 (m, 2H), 1.48-1.38 (m, 4H)
제조예 5-3) 디메틸 5-(6-(벤질옥시카보닐아미노)헥실옥시)이소프타레이트의 제조
제조예 5-2에서 수득한 화합물 (0.5 g, 1.44 mmol)을 10 ml 디옥세인에 녹이고 탄산나트륨 (0.46 g, 4.33 mmol)과 벤질옥시카보닐 클로라이드 (0.26 g, 1.51 mmoL)을 넣은 후 상온에서 15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에 2N 염산을 가하여 pH 4로 맞춘 후 에틸 아세테이트 (20 ml x 2)로 추출하였다. 모인 유기층을 물 (30 ml)로 씻어준 후 무수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 여과 후 감압 농축하고 관크로마토그래피 (n-헥세인/에틸아세테이트, 1/5)를 시행하여 표제 화합물 (0.44 g, 68%)을 수득하였다.
1H NMR (400MHz, CDCl3) δ 8.23 (s, 1H), 7.70 (s, 2H), 7.32-7.23 (m, 5H), 5.06 (s, 2H), 4.73 (brs, 1H), 3.99 (t, J = 6.4 Hz, 2H), 3.90 (s, 6H), 3.18 (q, J = 6.4 Hz, 2H), 1.77 (t, J = 6.8 Hz, 2H), 1.51-1.47 (m, 4H), 1.40-1.36 (m, 2H)
제조예 5-4) 5-(6-(벤질옥시카보닐아미노)헥실옥시)이소프탈릭산의 제조
제조예 5-3에서 수득한 화합물 (0.44 g, 0.99 mmol)을 제조예 3-4와 유사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 (0.33 g, 80%)을 흰색 고체로 수득하였다.
1H NMR (400MHz, DMSO-d6) δ 8.01 (s, 1H), 7.58 (s, 2H), 7.31-7.20 (m, 5H), 4.99 (s, 2H), 4.01 (t, J = 6.8 Hz, 2H), 2.95 (q, J = 6.4 Hz, 2H), 1.67 (t, J = 6.8 Hz, 2H), 1.38-1.38 (m, 4H), 1.28-1.27 (m, 2H)
제조예 5-5)
제조예 5-4에서 수득한 화합물 (50 mg, 0.12 mmoL)을 제조예 3-3과 유사한 방법으로 하기 화합물을 (127 mg, 84%)을 흰색 고체로 수득하였다.
1H-NMR (600 MHz, CDCl3) δ 7.64-7.55(m, 8H), 7.47(m, 2H), 7.42-7.28(m, 18H), 5.07(s, 2H), 4.86 (br, 1H), 3.98(m, 2H), 3.74(m, 2H), 3.67-3.52(m, 10H), 3.46(m, 2H), 3.40-3.30(m, 4H), 3.28-3.17(m, 6H), 2.05-1.93(m, 4H), 1.84(m, 2H), 1.77(m, 2H), 1.52(m, 2H), 1.45(m, 2H), 1.38(m, 2H), 0.99(s, 18H); MS (EI) m/z 1252 (M+1)
제조예 5-6)
제조예 5-5에서 수득한 화합물 (0.12 g, 0.078 mmol)을 5 ml 메탄올에 녹이고 10% Pd/C (100 mg)을 첨가하고 수소환경 하에서 5시간 동안 교반한 후 셀라이트를 이용하여 여과하고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 (109 mg, 99%)을 흰색 고체로 수득하였다. MS (EI) m/z 1118 (M+1)
[실시예 3]
Figure pat00073

실시예 3-1)
n = 6일 경우 (G = G1-NH2)
제조예 5-6에서 수득한 화합물 (50 mg, 0.03 mmol)을 실시예 1-1과 유사한 방법으로 목적 화합물 (37 mg, 54%)을 보라색 고체로 수득하였다
1H-NMR (600 MHz, CDCl3) δ 9.20 (s, 1H), 7.63-7.54(m, 8H), 7.50(s, 2H), 7.44-7.31(m, 13H), 7.24(s ,1H), 6.95(d, J =11.4, 1H), 6.58(t, J =11.4, 1H), 6.29(t, J =6, 1H), 1H), 5.88(m, 2H), 5.20(s ,1H), 4.32(d, J =9.6, 1H), 4.07(m, 2H), 3.73(m, 2H), 3.69-3.55(m, 11H), 3.53-3.42(m, 3H), 3.40-3.29(m, 7H), 3.28-3.20(m, 9H), 2.74(m, 1H), 2.67(m, 1H), 2.40(m, 1H), 2.08-1.92(m, 7H), 1.90-1.75(m, 5H), 1.71(m, 2H), 1.60-1.42(m, 6H), 1.08-0.96(m, 24H); MS (EI) m/z 1646 (M+1)
실시예 3-2)
G = G2-NH2일 경우
1H-NMR (600 MHz, CD3OD) δ 7.87(s, 1H), 7.75-7.6(m, 8H), 7.55(s, 2H), 7.49-7.35(m, 12H), 7.13(d, J =13.2, 1H), 7.01(s, 1H), 6.62(t, J =10.8, 1H), 5.87(t, J =9.6, 1H), 5.60(d, J =7.8, 1H), 5.20(s, 1H), 4.53(m, 1H), 4.10(m, 2H), 3.73-3.65(m, 6H), 3.63-3.50(m, 12H), 3.48-3.35(m, 15H), 3.28(s, 3H), 2.88(m, 4H), 2.71(m, 3H), 2.61(m, 4H), 2.38-2.25(m, 2H), 2.20-2.09(m, 6H), 1.97(s, 3H), 1.73(sm 3H), 1.71-1.40(m, 16H), 1.39-1.25(m, 8H), 1.06(s, 18H), 0.94(m, 6H); MS (EI) m/z 2043 (M+1)
[제조예 6]
Figure pat00074

제조예 6-1) 디메틸 5-니트로이소프탈레이트의 제조
5-니트로이소프탈릭산 (5 g, 23.68 mmoL)을 메탄올 8 ml와 톨루엔 20 ml에 녹인 후 진한 황산 1 ml를 가한 후 20 시간 동안 환류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감압 농축하고 n-헥세인을 이용하여 고체화하여 표제 화합물 (5.19 g, 92%)을 베이지색 고체로 수득하였다.
1H NMR (600MHz, CDCl3) δ 9.04 (s, 2H), 8.99 (s, 1H), 4.04 (s, 6H)
제조예 6-2) 디메틸 5-아미노이소프탈레이트의 제조
제조예 6-1에서 수득한 화합물 (5.19 g, 21.70 mmoL)을 메탄올 (150 ml)에 녹이고 팔라듐/차콜 (4.62 g, 4.33 mmoL)을 넣은 후 상온, 수소 환경하에서 1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셀라이트를 이용하여 반응 용액을 여과한 후 모인 여과액을 감압 농축하였다. 디에틸 에테르(150 ml)에서 재결정하여 표제 화합물 (4.47 g, 98%)을 수득하였다.
1H NMR (400MHz, CDCl3) δ 8.06 (s, 1H), 7.52 (s, 2H), 3.92 (s, 6H)
제조예 6-3) 디메틸 5-(벤질옥시카보닐아미노)이소프탈레이트의 제조
제조예 6-2에서 수득한 화합물 (1 g, 4.78 mmol)을 1,2-디클로로에테인 25 ml에 녹인 후 7 ml 물에 녹인 탄산 칼륨 (1.65 g, 11.95 mmol)을 넣고 0 ----oC 에서 클로로벤질카바메이트 (0.94 g, 5.25 mmol)을 서서히 넣어준 후 실온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감압 농축하여 유기용매를 제거하고 2N 염산을 사용하여 pH를 4로 맞춘 후 디클로로메테인 (50 ml x 2)로 추출한 후 유기층을 물 (100 ml x 2)로 씻어 주고 무수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하였다. 감압 농축 후 n-헥세인 (200 ml)에서 고체화하여 표제 화합물 (1.56 g, 95%)을 베이지색 고체로 수득하였다.
1H NMR (400MHz, CDCl3) δ 8.39 (brs, NH), 8.28 (s, 2H), 7.41-7.31 (m, 5H), 6.96 (s, 1H), 5.23 (s, 2H), 3.93 (s, 6H)
제조예 6-4) 5-(벤질옥실카보닐아미노)이소나프탈릭산의 제조
제조예 6-3에서 수득한 화합물 (0.5 g, 1.45 mmol)을 제조예 4-4와 유사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 (0.45 g, 98%)을 베이지색 고체로 수득하였다.
1H NMR (400MHz, DMSO-d6) δ 13.21 (brs, 2H), 10.15 (brs, 1H), 8.27 (s, 2H), 8.06 (s, 1H), 7.41-7.31 (m, 5H), 5.14 (s, 2H)
제조예 6-5)
G = G1일 경우
제조예 6-4에서 수득한 화합물 (50 mg, 0.15 mmoL)을 제조예 4-3과 유사한 방법으로 목적 화합물 (0.19 g, 82%)을 수득하였다.
1H NMR (400MHz, CDCl3) δ 7.80 (brs, 1H), 7.59-7.58 (m, 1H), 7.50-7.48(m, 8H), 7.36-7.28 (m, 17H), 7.14 (brs, 1H), 6.97 (brs, 1H), 6.89 (brs, 1H), 3.79-3.76 (m, 2H), 3.66-3.50 (m, 9H), 3.39-3.27 (m, 7H), 3.17-3.14 (m, 4H), 1.96-1.92 (m, 9H), 0.89 (s, 18H); MS (EI) m/z 1152 (M+1)
제조예 6-6)
G = G1일 경우
제조예 6-5에서 수득한 화합물 (0.17 g, 0.11 mmol)을 제조예 6-2와 유사한 방법으로 목적 화합물 (0.14 g, 93%)을 수득하였다.
1H NMR (400MHz, CD3CN) δ 7.65-7.62 (m, 8H), 7.44-7.37 (m, 13H), 7.24 (s, 2H), 4.51 (s, 2H), 3.57-3.51 (m, 4H), 3.46-3.40 (m, 4H), 3.27-3.20 (m, 10H), 1.88-1.67 (m, 10H), 1.00 (s, 18H); MS (EI) m/z 1018 (M+1)
[실시예 4]
Figure pat00075
실시예 4-1)
G = G1-NH2이고, n= 10일 경우
제조예 5-6에서 수득한 화합물 (36 mg, 0.027 mmoL)과 제조예 2-1에서 수득한 화합물 (20 mg, 0.027 mmol)을 제조예 3과 유사한 방법으로 목적 화합물 (11 mg, 20%)을 수득하였다.
1H-NMR (600 MHz, CDCl3) δ 9.17(s, 1H), 8.10(br, 1H), 7.52(m, 7H), 7.38~7.27(m, 16H), 7.20(s, 1H), 6.92(d, J = 10.2, 1H), 6.55(t, J =11.4, 1H), 6.28(t, J = 6, 1H), 5.88(d, J = 9.6, 1H), 5.83(t, J = 10.2, 1H), 5.16(s, 1H), 4.28(d, J = 10.2, 1H), 3.94-3.70(m, 4H), 3.61(m, 3H), 3.58-3.39(m, 11H), 3.38-3.30(m, 5H), 3.29-3.21(m, 5H), 2.71(m, 1H), 2.63(d, J = 13.8, 1H), 2.40(m, 1H), 1.99(s, 3H), 1.98-1.81(m, 6H), 1.77(s, 3H), 1.74-1.60(m, 4H), 1.38-1.20(m, 16H), 1.03(s, 18H), 0.97(d, J = 7.2, 3H), 0.94(d, J = 7.2, 3H); MS (EI) m/z 1729 (M+1)
실시예 4-2)
G = G1-NH2이고, n= 5일 경우
1H-NMR (600 MHz, CDCl3) δ 9.19(s, 1H), 8.23(br, 1H), 7.65-7.50(m, 9H), 7.48-7.29(m, 14H), 7.22(s, 1H), 6.94(d, J =10.8, 1H), 6.58(t, J =10.8, 1H), 6.27(br, 1H), 5.89(d, J =9.6, 1H), 5.85(t, J =10.2, 1H), 5.17(s, 1H), 4.30(d, J =10.2, 1H), 3.94-3.60(m, 7H), 3.56(d, J =9, 1H), 3.54-3.20(m, 18H), 3.16(m, 2H), 2.73(m, 1H), 2.63(d, J =13.8, 1H), 2.43(m, 1H), 2.01(s, 3H), 2.00-1.84(m, 8H), 1.79(s, 3H), 1.67-1.54(m, 3H), 1.45-1.36(m, 6H), 1.03(s, 18H), 0.99(d, J =6.6, 3H), 0.97(d, J =6.6, 3H); MS (EI) m/z 1659 (M+1)
[제조예 7]
Figure pat00076
제조예 7-1)
제조예 6-2에서 수득한 디메틸 5-아미노이소프탈레이트 (0.5 g, 2.39 mmol)을 제조예 4-3과 유사한 방법으로 목적 화합물 (0.7 g, 69%)을 베이지색 고체로 수득하였다.
1H NMR (400MHz, CDCl3) δ 8.42 (s, 2H), 7.80 (s, 1H), 4.69 (brs, 1H), 3.93 (s, 6H), 3.14-3.12 (m, 2H), 2.40 (t, J = 7.2 Hz, 2H), 1.77 (p, J = 7.2 Hz, 2H), 1.64-1.62 (m, 2H), 1.55-1.52 (m, 2H), 1.44 (s, 9H)
제조예 7-2)
제조예 7-1에서 수득한 화합물 (0.44 g, 1.03 mmol)을 제조예 5-2와 유사한 방법으로 목적 화합물 (0.37 g, 99%)을 수득하였다.
1H NMR (400MHz, DMSO-d6) δ 10.51 (brs, 1H), 8.52 (s, 2H), 8.14 (s, 1H), 7.85 (brs, 2H), 3.89 (s, 6H), 2.80-2.76 (m, 2H), 2.37 (t, J = 7.2 Hz, 2H), 1.64-1.53 (m, 4H), 1.38-1.33 (m, 2H); MS (EI) m/z 323 (M+1)
제조예 7-3)
제조예 7-2에서 수득한 화합물 (0.38 g, 1.02 mmol)을 제조예 6-3과 유사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 (0.48 g, 99%)을 수득하였다.
1H NMR (400MHz, CDCl3) δ 8.37 (s, 2H), 7.79 (s, 1H), 7.29-7.22 (m, 5H), 5.04 (s, 2H), 4.84 (brs, 1H), 3.88 (s, 6H), 3.17-3.16 (m, 2H), 2.36-2.34 (M, 2H), 1.72-1.70 (m, 2H), 1.52-1.50 (m, 2H), 1.38-1.36 (m, 2H); MS (EI) m/z 457 (M+1)
제조예 7-4)
제조예 7-3에서 수득한 화합물 (0.47 g, 1.03 mmol)을 제조예 4-4와 유사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 (0.36 g, 82%)을 흰색 고체로 수득하였다.
1H NMR (400MHz, DMSO-d6) δ 13.20 (brs, 1H), 10.21 (s, 1H), 8.39 (s, 2H), 8.09 (s, 1H), 7.33-7.22 (m, 5H), 4.94 (s, 2H), 2.95 (q, J = 6.8 Hz, 2H), 2.28 (t, J = 7.2 Hz, 2H), 1.55 (p, J = 7.2 Hz, 2H), 1.38 (p, J = 7.6 Hz, 2H), 1.26-1.24 (m, 2H)
제조예 7-5)
제조예 7-4에서 수득한 화합물 (50 mg, 0.11 mmol)을 제조예 5-5와 유사한 방법으로 목적 화합물 (150 mg, 83%)로 수득하였다. MS (EI) m/z 1265 (M+1)
제조예 7-6)
제조예 7-5에서 수득한 화합물 (145 mg, 0.09 mmol)을 제조예 6-2와 유사한 방법으로 목적 화합물 (130 mg, 98%)을 수득하였다. MS (EI) m/z 1133 (M+1)
[실시예 5]
Figure pat00077

실시예 5-1)
G = G1-NH2일 경우
제조예 7-6에서 수득한 화합물 (50 mg, 0.03 mmol)을 제조예 3과 유사한 방법으로 목적 화합물 (29 mg, 43%)을 수득하였다.
1H-NMR (600 MHz, CDCl3) δ 9.19(s, 1H), 8.23(br, 1H), 7.65-7.50(m, 9H), 7.48-7.29(m, 14H), 7.22(s, 1H), 6.94(d, J =10.8, 1H), 6.58(t, J =10.8, 1H), 6.27(br, 1H), 5.89(d, J =9.6, 1H), 5.85(t, J =10.2, 1H), 5.17(s, 1H), 4.30(d, J =10.2, 1H), 3.94-3.60(m, 7H), 3.56(d, J =9, 1H), 3.54-3.20(m, 18H), 3.16(m, 2H), 2.73(m, 1H), 2.63(d, J =13.8, 1H), 2.43(m, 1H), 2.01(s, 3H), 2.00-.84(m, 8H), 1.79(s, 3H), 1.67-1.54(m, 3H), 1.45-1.36(m, 6H), 1.03(s, 18H), 0.99(d, J =6.6, 3H), 0.97(d, J =6.6, 3H); MS (EI) m/z 1659 (M+1)
상기 실시예 5-1과 유사한 방법으로 하기의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실시예 5-2)
Figure pat00078
1H-NMR (600 MHz, CDCl3) δ 9.17(s, 1H), 8.10(br, 1H), 7.52(m, 7H), 7.38-7.27(m, 16H), 7.20(s, 1H), 6.92(d, J =10.2, 1H), 6.55(t, J =11.4, 1H), 6.28(t, J =6, 1H), 5.88(d, J =9.6, 1H), 5.83(t, J =10.2, 1H), 5.16(s, 1H), 4.28(d, J =10.2, 1H), 3.94-3.70(m, 4H), 3.61(m, 3H), 3.58-3.39(m, 11H), 3.38-3.30(m, 5H), 3.29-3.21(m, 5H), 2.71(m, 1H), 2.63(d, J =13.8, 1H), 2.40(m, 1H), 1.99(s, 3H), 1.98-1.81(m, 6H), 1.77(s, 3H), 1.74-1.60(m, 4H), 1.38-1.20(m, 16H), 1.03(s, 18H), 0.97(d, J =7.2, 3H), 0.94(d, J =7.2, 3H); MS (EI) m/z 1729 (M+1)
[제조예 8]
Figure pat00079
제조예 8-1)
tert-뉴틸 6-옥소헥실카바메이트 (0.2 g, 0.92 mmoL), 소디움 아세테이트 (230 mg, 2.76 mmoL) 및 소디움트리아세톡시보로하이드라이드 (1.2 g, 5.66 mmol)을 디클로로에테인 5 ml에 녹인 후 제조예 6-2에서 수득한 화합물 (200 mg, 0.92 mmoL)을 가한 후 상온에서 24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매를 감압 농축하고 물 (30 ml)과 디클로로메테인 (30 ml x 2)로 추출하였다. 무수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하고 여과한 후에 감압 농축하고 관크로마토그래피 (n-헥세인/에틸아세테이트, 4/1)를 시행하여 목적 화합물 (0.21 g, 55%)을 흰색 고체로 수득하였다.
1H-NMR (400 MHz, CDCl3) δ 7.97 (t, J = 1.2 Hz, 1H), 7.42 (d, J = 1.6 Hz, 2H), 4.58 (br, 1H), 3.91 (s, 6H), 3.17 (t, J = 6.8 Hz, 2H), 3.14 (q, J = 6.8 Hz, 2H), 1.66-1.58 (m, 3H), 1.51-1.36 (m, 15H); MS (EI) m/z 409 (M+1)
제조예 8-2)
제조예 8-1에서 수득한 화합물 (0.1g, 0.24 mmol)을 테트라하이드로퓨란 2 ml와 메탄올 2 ml에 녹인 후 2 ml의 물에 녹인 수산화리튬 (51 mg, 1.22 mmol)을 0℃ 하에서 천천히 적가하여 4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에 2N 염산을 이용하여 pH 4로 맞추고 디클로로메테인 (20 ml x 2)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모아 물 (40 ml)로 씻어준 후 무수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 여과 후 감압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 (93 mg, 99%)을 흰색 고체로 수득하였다
1H-NMR (600 MHz, DMSO-d6) δ 7.66(t, J =1.2, 1H), 7.32(s, 2H), 6.78(t, J =6, 1H), 6.16(br, 1H), 3.60(m, 2H), 3.03(m, 2H), 2.90(q, J =12.6, 2H), 1.76(m, 2H), 1.53(m, 2H), 1.36(s, 9H), 1.28(m, 2H); MS (EI) m/z 381 (M+1)
제조예 8-3)
제조예 8-2에서 수득한 화합물 (100 mg, 0.26 mmol)과 G1-NH2 (306 mg, 0.52 mmol)을 2 ml의 디메틸폼아마이드에 녹인 후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228 ul, 1.3 mmol)과 PyBOP (342mg, 0.65 mmol)을 순서대로 적가하고 상온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에 물 20 ml를 가한 후 디클로로메테인 (20 ml x 2)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0.1N NH4PF6 수용액 (20 ml x 2)로 씻어준 후 무수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 여과 후 감압 농축하고 관크로마토그래피 (디크로로메테인/메탄올, 30/1)를 시행하여 화합물 (230 mg, 58%)를 베이지색 고체로 수득하였다.
1H-NMR (600 MHz, CDCl3) δ 7.65-7.52(m, 8H), 7.43-7.32(m, 13H), 7.02(br, 2H), 3.72(m, 2H), 3.60(m, 5H), 3.47(m, 2H), 3.36(m, 5H), 3.28(m, 2H), 3.22(m, 2H), 3.12(m, 4H), 3.10-3.03(m, 4H), 2.01-1.81(m, 4H), 1.81-1.72(m, 4H), 1.41(s, 9H), 0.95(s, 18H); MS (EI) m/z 1219(M+1)
제조예 8-4)
제조에 8-3에서 수득한 화합물 (130 mg, 0.086mmol)을 디클로로메테인 5 ml에 녹인 후에 1,4-디옥산에 녹아 있는 4M 염산 2 ml를 적가한 후 상온에서 30 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감압 농축하고 디클로로메테인 20 ml에 녹인 후에 0.1N NH4PF6 수용액 (20 ml x 2)로 씻어준 후 무수나트륨으로 건조, 여과하고 감압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 (120 mg, 99%)을 베이지색 고체로 수득하였다.
MS (EI) m/z 1117 (M+1)
[실시예 6]
Figure pat00080
G = G1-NH2, n=4 일 경우
제조예 8-4에서 수득한 화합물 (63 mg, 0.04 mmol)을 제조예 3-1과 유사한 방법으로 목적 화합물 (35 mg, 40%)을 수득하였다.
1H-NMR (600 MHz, CDCl3) δ 9.19(s, 1H), 7.67-7.52(m, 8H), 7.44-7.31(m, 13H), 7.20(s, 1H), 6.92(m, 1H), 6.57(t, J =11.4, 1H), 6.30(br, 1H), 5.85(m, 2H), 5.18(s, 1H), 4.31(d, J =9.6, 1H), 3.78-3.50(m, 14H), 3.44(m, 4H), 3.40-3.00(m, 16H), 2.74(m, 1H), 2.63(m, 1H), 2.39(m, 1H), 2.00(s, 3H), 1.98-1.86(m, 8H), 1.84(s, 3H), 1.35-1.20(m, 6H), 0.98-0.93(m, 24H); MS (EI) m/z 1645 (M+1)
[제조예 9]
Figure pat00081

제조예 9-1)
2-(3,5-비스(메톡시카닐)페녹시)아세트산 (100 mg, 0.37 mmol)과 아민(88 mg, 0.37 mmol)을 2 ml의 디메틸폼아마이드에 녹인 후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325 ul, 1.85 mmol)과 PyBOP (235mg, 0.44 mmol)을 순서대로 적가하고 상온에서 1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에 물 20 ml를 가한 후 디클로로 메테인 (20 ml x 2)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모아 감압 농축하고 관크로마토그래피(에틸아세테이트/헥세인, 1/3)를 시행하여 표제 화합물(74 mg, 40%)을 엷은 분홍색 고체로 수득하였다.
1H-NMR (400 MHz, CDCl3) δ 8.35(t, J =1.2, 1H), 7.76(d, J =1.2, 2H), 7.27(m ,4H), 6.83(br, 1H), 4.85(br, 1H), 4.62(s, 2H), 4.54(d, J =6, 2H), 4.31(d, J =5.2, 2H), 3.95(s, 6H), 1.46(s, 9H); MS (EI) m/z 487(M+1)
제조예 9-2)
제조예 9-1에서 수득한 화합물(70 mg, 0.14 mmol)을 테트라하이드로퓨란 1.5 ml와 메탄올 1.5 ml에 녹인 후 1.5 ml의 물에 녹인 수산화리튬 (30 mg, 0.72 mmol)을 0℃ 하에서 천천히 적가하고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에 2N 염산을 이용하여 pH 4로 맞추고 디클로로메테인 (20 ml x 2)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모아 물 (40 ml)로 씻어 준 후 무수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 여과하고 감압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 (65mg, 99%)을 흰색 고체로 수득하였다.
1H-NMR (600 MHz, DMSO-d6) δ 8.75(t, J =6, 1H), 8.10(t, J =1.2, 1H), 7.72(s, 2H), 7.35(t, J =5.4, 1H), 7.17(d, J =7.8, 2H), 7.14(d, J =7.8, 2H), 4.69(s, 2H), 4.31(d, J =6, 2H), 4.06(d, J =6.6, 2H), 1.38(s, 9H); MS (EI) m/z 459(M+1)
제조예 9-3)
제조예 9-2에서 수득한 화합물(46 mg, 0.1 mmol)과 G1-NH2 (117 mg, 0.2 mmol)을 1 ml의 디메틸폼아마이드에 녹인 후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87 ul, 0.5 mmol)과 PyBOP (130 mg, 0.25 mmol)을 순서대로 적가하고 상온에서 1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에 물 20 ml를 가한 후 디클로로메테인 (20 ml x 2)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0.1N NH4PF6 수용액 (20ml x 2)로 씻어준 후 무수 나트륨으로 건조, 여과 후 감압 농축하고 관크로마토그래피 (디크로로메테인/메탄올, 35/1)를 시행하여 화합물(74 mg, 46.5%)을 베이지색 고체로 수득하였다.
1H-NMR (400 MHz, CDCl3) δ 7.78(br, 1H), 7.60-7.53(m, 9H), 7.42-7.29(m, 13H), 7.22(m, 2H), 7.11(m, 2H), 4.40-4.24(m, 2H), 4.17(m, 2H), 4.03(m, 2H), 3.85(m, 2H), 3.63(m, 6H), 3.44-3.20(m, 8H), 3.15(m, 4H), 2.05(m, 4H), 1.86(m, 4H), 1.41(s, 9H), 0.95(s, 18H); MS (EI) m/z 1297 (M+1)
제조예 9-4)
제조에 9-3에서 수득한 화합물 (70 mg, 0.044mmol)을 디클로로메테인 5 ml에 녹인 후 디옥산에 녹아 있는 4M 염산 1 ml를 적가한 후 상온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감압 농축하고 디클로로메테인 20 ml에 녹인 후 0.1N NH4PF6 수용액 (20 ml x 2)로 씻어준 후 무수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 여과한 후에 감압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 및 한쪽의 TBDPS가 떨어진 화합물이 혼합된 형태 (74 mg)의 베이지색 고체로 수득하였다.
MS (EI) m/z 1195 (M+1), OH-form; MS (EI) m/z 957 (M+1)
[실시예 7]
Figure pat00082

실시예 7-1)
G = G1-NH2일 경우
제조예 9-4에서 수득한 화합물 (70 mg, 0.04 mmol)을 제조예 3-1과 유사한 방법으로 목적 화합물 (9 mg, 9.5%)을 보라색 고체로 수득하였다.
1H-NMR (600 MHz, CDCl3) δ 9.16(s, 1H), 7.76(br ,1H), 7.60-7.52(m, 7H), 7.41-7.23(m, 16H), 7.19-7.10(m, 4H), 6.93(d, J =11.4, 1H), 6.56(t, J =11.4, 1H), 6.36(br, 1H), 5.84(m, 2H), 5.16(s, 1H), 4.29(m, 2H), 4.13(m, 2H), 3.83(m, 2H), 3.69-3.58(m, 6H), 3.53(m, 1H), 3.44(m, 11H), 3.29-3.18(m, 7H), 2.71(m, 1H), 2.58(d, J =13.8, 1H), 2.37(m, 1H), 2.04(m, 4H), 1.99(s, 3H), 1.85(m, 4H), 0.98-0.92(m, 24H); MS (EI) m/z 1723(M+1)
실시예 7-2)
Figure pat00083
1H-NMR (600 MHz, CDCl3) δ 9.15(s, 1H), 7.72(br, 1H), 7.57(t, J =7.8, 3H), 7.40-7.30(m 7H), 7.29-7.20(m, 5H), 7.14(m, 2H), 6.93(d, J =11.4, 1H), 6.57(t, J =11.4, 1H), 6.44(br, 1H), 5.85(m, 2H), 5.17(s, 1H), 4.30(m, 2H), 4.12(m, 2H), 3.84(m, 2H), 3.72-3.52(m, 6H), 3.51-3.20(m, 17H), 2.72(m, 1H), 2.53(m, 1H), 2.34(m, 1H), 2.18-2.00(m, 7H), 1.99-1.82(m, 4H), 1.78(s,3H), 1.10-0.95(m, 15H); MS (EI) m/z 1486(M+1)
[제조예 10]
Figure pat00084

제조예 10-1)
Benzyl N-(6-Aminohexyl)carbamate Hydrochloride (1 g, 3.49 mmol)을 20 ml의 아세토나이트릴에 녹인 후에 탄산칼륨 (2.4 g, 17.45 mmol), 요오드화칼륨(50 mg, 0.3 mmol)과 tert-부틸 브로모아세테이트 (1.13 ml, 7.68 mmol)을 순서대로 적가하고 12 시간 동안 환류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상온으로 냉각시키고, 여과한 뒤 감압 농축하고 50 ml의 디클로로메테인에 녹인 후 40 ml의 물을 넣고 2N 염산을 이용하여 pH 4로 맞추어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감압 농축하고 관크로마토그래피 (에틸아세테이트/n-헥세인, 1/5)를 시행하여 표제 화합물(1.26 g, 75%)을 무색의 오일로 수득하였다.
1H-NMR (600 MHz, CDCl3) δ 7.36-7.29(m, 5H), 5.09(s, 2H), 4.82(br, 1H), 3.41(s, 4H), 3.18 (q, J = 6.6Hz, 2H), 2.66(t, J = 7.2 Hz, 2H), 1.52-1.41(m, 22H), 1.34-1.27(m, 4H); MS (EI) m/z 367 (M+1)
제조예 10-2)
제조예 10-1에서 수득한 화합물(2.51 g, 5.24 mmol)을 10 ml 메탄올에 녹이고 10% Pd/C(500 mg)을 첨가하여 수소 환경하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셀라이트를 이용하여 여과하고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 (1.8 g, 99%)을 아이보리색 고체로 수득하였다
1H-NMR (400 MHz, CDCl3) δ 3.41(s, 4H), 2.74-2.64(m, 4H), 1.49-1.38(m, 22H), 1.37-1.29(4H); LC-MS 345, 289, 233 (M+H)
제조예 10-3)
제조예 10-2에서 수득한 화합물(1.8 g, 5.22 mmol)을 60 ml의 클로로포름에 녹인 후 젤다나마이신(0.5 g, 0.89 mmol)을 적가하고 빛이 차단된 환경하에서 24시간 동안 상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감압 농축하고 관크로마토그래피(에틸아세테이트)를 시행하여 표제 화합물 (663 mg, 85.2%)을 보라색 고체로 수득하였다.
1H-NMR (600 MHz, CDCl3) δ 9.19(s, 1H), 7.29(s, 1H), 6.95(d, J =11.4Hz, 1H), 6.59(t, J =11.4Hz, 1H) 6.27(t, J =5.4Hz, 1H), 5.92(d, J =10.2Hz, 1H), 5.86(t, J =11.4Hz, 1H), 5.19(s, 1H), 4.38(br, 1H), 4.31(d, J =9.6Hz, 1H), 3.59-3.54(m, 2H), 3.47-3.44(m, 2H), 3.42(s, 4H), 3.37(s, 3H), 3.27(s, 3H), 2.77-2.66(m, 4H), 2.43(t, J =10.2Hz, 1H), 2.03(s, 3H), 1.80(s, 3H), 1.71-1.65(m, 3H), 1.53-1.35(m 26H), 1.01(d, J =6.6Hz, 3H), 0.97(d, J =6.6Hz, 3H), LC-MS 873 (MH+)
제조예 10-4)
제조예 10-3에서 수득한 화합물(732 mg, 0.83 mmol)을 14 ml의 디클로로메테인에 녹인 후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6 ml를 천천히 적가하였다. 빛이 차단된 환경하에서 10 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한 후에 반응 용매를 감압 농축하여 생성된 고체를 n-헥세인을 이용하여 씻어준 후 감압하여 표제 화합물 (637 mg, 99%)을 보라색 고체로 수득하였다.
1H-NMR (600 MHz, CD3OD) δ 7.14(d, J =11.4 Hz, 1H), 7.06(s, 1H), 6.62(t, J =10.8Hz, 1H), 5.87(t, J =9Hz, 1H), 5.56(d, J =9Hz, 1H), 5.24(s, 1H), 4.55(d, J =8.4Hz, 1H), 4.11(s, 4H), 3.62-3.46(m, 4H), 3.34(s, 3H), 3.29(s, 3H), 2.77-2.69(m, 2H), 2.31-2.27(m, 1H), 2.00(s, 3H), 1.80-1.75(m, 3H), 1.73(s, 3H), 1.69-1.65(m, 3H), 1.60-1.54(m, 1H), 1.50-1.40(m, 4H), 0.98(d, J =7.2Hz, 6H), LC-MS 761 (MH+)
[실시예 8]
Figure pat00085
실시예 8-1)
제조예 10-4에서 수득한 화합물 (82 mg, 0.10 mmol)을 제조예 4-3과 유사한 방법으로 목적 화합물 (24 mg, 9%)을 보라색 고체로 수득하였다.
1H-NMR (600 MHz, acetone-d6) δ 9.40(s, 1H), 7.97(s, 2H), 7.78-7.62(m, 8H), 7.50-7.40(m, 12H), 7.31(m, 1H), 7.20(br, 1H), 7.11(s, 1H), 7.00(br, 1H), 6.65(t, J =11.4Hz, 1H), 5.85(t, J =9.6Hz, 1H), 5.77(d, J =8.4Hz, 1H), 5.12(s, 1H), 4.55(d, J =9.6Hz, 1H), 3.86-3.70(m, 10H), 3.69-3.60(m, 4H), 3.59-3.44(m, 20H), 3.32(s, 3H), 3.20(s, 3H), 3.04-2.96(m, 5H), 2.78-2.70(m, 5H), 2.66-2.63(m, 2H), 2.44(m, 1H), 2.28-1.90(m, 26H), 1.75(s, 3H), 1.74-1.68(m, 4H), 1.48-1.36(m, 4H), 1.05(s, 18H), 0.99(d, J =6Hz, 3H), 0.92(d, J =7.2Hz, 3H); MS (EI) m/z 1993 (M+1)
상기 실시예 8-1과 유사한 방법으로 하기 화합물들을 합성하였다.
실시예 8-2)
Figure pat00086
1H-NMR (600 MHz, acetone-d6) δ 9.40(s, 1H), 8.04(br, 2H), 7.80-7.64(m, 8H), 7.55-7.40(m, 12H), 7.38-7.00(m, 5H), 6.65(m, 1H), 5.85(t, J =9.6Hz, 1H), 5.77(d, J =8.4Hz, 1H), 5.12(s, 1H), 4.55(d, J =9.6Hz, 1H), 3.85-3.77(m, 7H), 3.76-3.65(m, 12H), 3.64-3.42(m, 39H), 3.32(s, 3H), 3.20(s, 3H), 3.05-2.93(m, 12H), 2.92-2.80(m, 13H), 2.79-2.65(m, 13H), 2.45(m, 1H), 2.30-2.10(m,16H), 2.09-1.89(m, 24H), 1.92(s, 3H), 1.05(s, 18H), 1.00(d, J =6,6Hz, 3H), 0.92(d, J =6,6Hz, 3H); MS (EI) m/z 2783 (M+1)
실시예 8-3)
Figure pat00087
1H-NMR (600 MHz, CDCl3) δ 9.19 (s, 1H), 7.66-7.55(m, 8H), 7.50-7.35(m, 12H), 6.95(d, J =12, 1H), 6.58(t, J =11.4, 1H), 6.28(br, 1H), 5.91(d, J =9, 1H), 5.86(t, J =10.2, 1H), 5.18(s, 1H), 4.31(d, J =9.6, 1H), 3.70-3.50(m, 10H), 3.49-3.33(m, 11H), 3.32-3.20(m, 9H), 3.16(m, 2H), 2.74(m, 1H), 2.65(d, J =13.2, 1H), 2.55-2.40(m, 3H), 2.02(s, 3H), 2.00-2.85(m, 8H), 1.80(s, 3H), 1.48(m, 2H), 1.39(m, 2H), 1.30(m, 4H), 1.03(s, 18H), 0.99(d, J =6.6, 3H), 0.97(d, J =6.6, 3H); MS (EI) m/z 1597 (M+1)
실시예 8-4)
Figure pat00088
MS (EI) m/z 2057 (M+1)
[제조예 11]
Figure pat00089

제조예 11-1)
tert-Butyl 12-amino-4,7,10-trioxadodecanoate (1 g, 3.6 mmol)을 10 ml의 1,4-디옥산에 녹인 후 10 ml의 물에 탄산나트륨 (1.15 g, 10.8 mmol)을 녹여 첨가하고 0℃로 냉각시킨 후 벤질클로로포메이트 (540 ul, 3.78 mmol)을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2 시간 동안 상온에서 교반한 후에 감압 농축하고 30 ml의 물을 가한 후 디클로로메테인 (30 ml x 3)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하고 여과한 후에 감압 농축, 관크로마토그래피 (에틸아세테이트)를 시행하여 표제 화합물 (1.4 g, 94%)을 무색 오일로 수득하였다.
1H-NMR (600 MHz, CDCl3) δ 7.37-7.33(m, 4H), 7.30(m, 1H), 5.36(br, 1H), 5.09(s, 2H), 3.68(t, J =6.6, 2H), 3.63-3.59(m, 8H), 3.55(t, J =5.4, 2H), 3.38(q, J =10.2, 2H), 2.48(t, J =6.6, 2H), 1.44(s, 9H); MS (EI) m/z 412 (M+1)
제조예 11-2)
제조 11-1에서 수득한 화합물 (1.4 g, 3.4 mmol)을 50 ml의 디클로로메테인에 녹인 후에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6.5 ml)을 천천히 적가하였다. 12 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고 반응용매를 감압 농축하여 생성된 고체를 n-헥세인을 이용하여 씻어준 후에, 감압하여 표제 화합물 (1.2 g, 99%)을 수득하였다. MS (EI) m/z 378 (M+Na)
제조예 11-3)
제조예 11-2에서 수득한 화합물 (0.5 g, 1.49 mmol)을 5 ml 메탄올에 녹이고 10% Pd/C (250 mg)을 첨가하여 수소 환경하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한 후, 셀라이트를 이용하여 여과하고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 (0.31 g, 99%)을 수득하였다. MS (EI) m/z 222 (M+1)
제조예 11-4)
제조예 11-3에서 수득한 화합물 (0.12 mg, 0.053 mmol)과 젤다나마이신 (30 mg, 0.053 mmol)을 0.5 ml의 디메틸폼아마이드에 녹인 후,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47 ul, 0.265 mmol)을 적가하고 상온에서 4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감압 농축하고 관크로마토그래피 (에틸아세테이트)를 시행하여 표제 화합물 (40 mg, 99%)을 보라색 고체로 수득하였다.
1H-NMR (600 MHz, CDCl3) δ 9.18(s, 1H), 7.25(s, 1H), 6.94(d, J =10.8, 1H), 6.65(br, 1H), 6.57(t, J =10.8, 1H), 5.88-5.83(m, 2H), 5.18(s, 1H), 4.31(d, J =9.6, 1H), 3.82-3.76(m, 3H), 3.75-3.70(m, 3H), 3.69-3.64(m, 8H), 3.60(m, 1H), 3.46(m, 1H), 3.36(s, 3H), 3.27(s, 3H), 2.74(m, 1H), 2.69(m, 1H), 2.62(t, J =6, 2H), 2.38(t, J =10.8, 1H), 2.02(s, 3H), 1.79(m, 5H), 1.00(d, J =7.2, 3H), 0.97(d, J =7.2, 3H); MS (EI) m/z 772 (M+Na)
[실시예 9]
Figure pat00090
제조예 11-4에서 수득한 화합물 (9.3 mg, 0.01 mmol)을 제조예 4-3과 유사한 방법으로 목적 화합물 (7 mg, 24%)을 보라색 고체로 수득하였다.
Figure pat00091
1H-NMR (600 MHz, CDCl3) δ 9.19(s, 1H), 7.63(m, 4H), 7.45(m, 6H), 7.22(s, 1H), 6.96(d, J =11.4, 1H), 6.85(br, 1H), 6.65(br, 1H), 6.58(t, J =10.8, 1H), 5.87(m, 2H), 5.17(s, 1H), 4.32(d, J =9.6, 1H), 3.60-3.50(m, 20H), 3.49-3.41(m, 16H), 2.95-2.71(m, 9H), 2.70-2.32(m, 12H), 2.01(s, 3H), 1.78(m, 5H), 1.03(s, 9H), 0.98(m, 6H); MS (EI) m/z 1761 (M+1)
[제조예 12]
Figure pat00092

제조예 12-1) 디-tert-부틸 4-(3-tert-부톡시-3-옥소프로필)-4-니트로헵탄다이오에이트의 제조
나이트로메테인 (2.69 g, 100 44.07 mmol)을 디메톡시에테인 10 ml에 녹인 후에, 테트라메틸암모늄 히드록사이드 (0.24 g, 1.32 mmol)을 넣고 70℃에서 10분간 가열한 후에 tert-부틸 아크릴레이트 (0.72 g, 3.97 mmol)을 3회에 나누어 첨가한 후 3 시간 30분 동안 가열하였다. 온도를 실온으로 낮춘 후 생성된 고체를 에탄올을 사용하여 씻어준 후 감압하여 표제 화합물 (10.4 g, 65%)을 수득하였다.
1H NMR (400MHz, CDCl3) δ 2.20 (s, 12H), 1.44 (s, 27H)
제조예 12-2) 디-tert-부틸 4-아미노-4-(3-tert-부톡시-3-옥소프로필)펩탄다이오에이트의 제조
제조예 12-1에서 수득한 화합물 (3.48 g, 9.62 mmol)을 제조예 5-6과 유사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 (3.19 g, 99%)을 수득하였다.
1H NMR (400MHz, CDCl3) δ 2.25 (t, J = 5.2 Hz, 6H), 1.61 (t, J = 5.6 Hz, 6H), 1.45 (s, 27H)
제조예 12-3-1) n=4인 경우
제조예 12-2에서 수득한 화합물 (98 mg, 0.14 mmol)과, 제조예 3-3에서 수득한 화합물 (48 mg, 0.14 mmol)을 제조예 3-1과 유사한 방법으로 목적 화합물 (100 mg, 65%)을 보라색 고체로 수득하였다.
1H NMR (600MHz, CDCl3) δ 9.18 (s, 1H), 7.28 (s, 1H), 6.95 (d, J = 12.0 Hz, 1H), 6.59 (t, J = 11.4 Hz, 1H), 6.28 (br, NH), 5.98 (s, 1H), 5.91 (d, J = 9.6 Hz, 1H), 5.86 (t, J = 10.8 Hz, 1H), 5.19 (s, 1H), 4.31 (d, J = 9.6 Hz, 1H), 3.58-3.55 (m, 2H), 3.46-3.4 (m, 2H), 3.36 (s, 3H), 3.27 (s, 3H), 3.17-3.15 (m, 2H), 2.75-2.73 (m, 1H), 2.67 (d, J = 13.2 Hz, 1H), 2.42 (t, J = 11.4 Hz, 1H), 2.23-2.21 (m, 6H), 2.13 (t, J = 7.2 Hz, 2H), 2.03 (s, 3H), 1.99-1.96 (m, 6H), 1.82-1.81 (m, 3H), 1.80 (s, 3H), 1.72-1.64 (m, 6H), 1.43 (s, 27H), 1.01 (d, J = 6.6 Hz, 3H), 0.96 (d, J = 6.6 Hz, 3H) ; MS (EI) m/z 1057 (M+1)
제조예 12-3-1과 유사한 방법으로 아래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제조예 12-3-2) n=10인 경우
1H NMR (600MHz, MeOH-d4) δ7.37 (s, 1H), 7.14 (d, J = 11.4 Hz, 1H), 7.07 (s, 1H), 6.63 (t, J =11.4, 1H), 5.87 (t, J =9Hz, 1H), 5.58 (d, J =9Hz, 1H), 5.23 (s, 1H), 4.55 (d, J =8.4Hz, 1H), 3.60 (t, J =5.4, 1H), 3.54-3.48 (m, 3H), 3.35 (s, 3H), 3.30 (s, 3H), 2.77-2.72 (m , 2H), 2.31(dd, J = 9, 14.4 Hz, 1H), 2.26 (m, 6H), 2.17 (t, J =7.2, 2H), 2.01 (m, 9H), 1.73 (s, 3H), 1.66-1.59 (m, 4H), 1.38-1.29 (m, 18H), 1.02-0.97 (m, 6H); MS (EI) m/z 974 (M+1)
제조예 12-4)
제조예 12-3에서 수득한 화합물 (90 mg, 0.08 mmol)을 제조예 4-2와 유사한 방법으로 목적 화합물 (60 mg, 80%)을 보라색 고체로 수득하였다.
1H NMR (600MHz, acetone-d6) δ 9.41 (s, 1H), 7.30 (d, J = 12.0 Hz, 1H), 7.13 (s, 1H), 6.68-6.64 (m, 3H), 5.85 (t, J = 9.6 Hz, 1H), 5.80 (d, J = 9.0 Hz, 1H), 5.13 (s, 1H), 4.56 (d, J = 9.0 Hz, 1H), 3.64-3.62 (m, 3H), 3.54-3.53 (m, 1H), 3.40-3.39 (m, 2H), 3.34 (s, 3H), 3.23 (s, 3H), 2.76-2.74 (m, 1H), 3.64 (dd, J = 4.2Hz, 13.8 Hz, 1H), 2.48 (dd, J = 9.6, 13.8 Hz, 1H), 2.35-2.33 (m, 6H), 2.24 (t, J = 7.2 Hz, 3H), 2.02 (s, 3H), 1.76 (s, 3H), 1.75-1.68 (m, 6H), 1.49-1.45 (m, 2H), 1.03 (d, J = 6.6 Hz, 3H), 0.93 (d, J = 7.2 Hz, 3H); MS (EI) m/z 891 (M+1)
[실시예 10]
Figure pat00093

실시예 10-1)
G = G1-NH2일 경우
Figure pat00094
제조예 12-4에서 수득한 화합물 (10 mg, 0.01 mmol)과 제조예 4-3에서 수득한 화합물 (23 mg, 0.04 mmol)을 제조예 3-3과 유사한 방법으로 목적 화합물 (6.5 mg, 26%)을 보라색 고체로 수득하였다.
1H NMR (600MHz, acetone-d6) δ 9.25 (s, 1H), 8.46 (s, 3H), 8.19 (s, 3H), 7.70-7.62 (m, 13H), 7.46-7.39 (m, 18H), 7.08 (d, J = 11.4 Hz, 1H), 7.04 (s, 1H), 6.67 (brs, 2H), 6.59 (t, J = 12.0 Hz, 1H), 6.56 (s, 1H), 6.39 (brs, 1H), 5.81 (t, J = 10.2 Hz, 1H), 5.67 (d, J = 10.2 Hz, 1H), 5.20 (br, 1H), 5.06 (s, 1H), 4.42 (d, J = 9.0 Hz, 1H), 3.65-3.64 (m, 4H), 3.51-3.47 (m, 4H), 3.41-3.35 (m, 5H), 3.30-3.22 (m, 11H), 3.19 (s, 3H), 3.08-3.06 (m, 3H), 2.66-2.61 (m, 8H), 2.36-2.34 (m, 1H), 2.13-2.08 (m, 6H), 1.98-1.95 (m, 2H), 1.91-1.82 (m, 14H), 1.70 (s, 3H), 1.68-1.54 (m, 8H), 1.34-1.23 (m, 11H), 0.98 (s, 27H), 0.93 (d, J = 11.4 Hz, 3H), 0.89 (d, J = 10.2 Hz, 3H); MS (EI) m/z 2143 (M+1)
상기 실시예 10-1과 유사한 방법으로 하기 화합물들을 합성하였다.
실시예 10-2) G = G 2 -NH 2 일 경우
Figure pat00095
1H NMR (600MHz, acetone-d6) δ 7.71-7.70 (H, 12H), 7.50-7.43 (m, 18H), 7.30 (d, J = 11.4 Hz, 1H), 7.12 (s, 1H), 6.65 (t, J = 10.8 Hz, 1H), 5.85 (t, J = 10.2 Hz, 1H), 5.78 (d, J = 9.6 Hz, 1H), 5.30-5.29 (m, 1H), 5.11 (s, 1H), 4.86-4.85 (m, 1H), 4.55 (d, J = 9.0 Hz, 1H), 3.80-3.76 (m, 6H), 3.71-3.65 (m, 9H), 3.60-3.59 (m, 2H), 3.52-3.42 (m, 32H), 3.42-3.38 (m, 2H), 3.31 (s, 3H), 3.27-3.22 (m, 3H), 3.20 (s, 3H), 2.92-2.89 (m, 6H), 2.82-2.73 (m, 7H), 2.63-2.62 (m, 1H), 2.47-2.43 (m, 1H), 2.20-2.13 (m, 18H), 2.09-1.99 (m, 19H), 1.84-1.81 (m, 7H), 1.80-1.75 (m, 5H), 1.69-1.65 (m, 5H), 1.44-1.41 (m, 3H), 1.32-1.29 (m, 5H), 1.05 (s, 27H), 1.01 (d, J = 10.8 Hz, 3H), 0.92 (d, J = 6.6 Hz, 3H); MS (EI) m/z 2734 (M+1)
실시예 10-3)
Figure pat00096
1H NMR (600MHz, acetone-d6) δ 9.27 (s, 1H), 8.14 (s, 2H), 7.66-7.48 (m, 13H), 7.47-7.39 (m, 18H), 7.10 (d, J = 12.6 Hz, 1H), 7.05-7.04 (m, 3H), 6.64 (s, 1H), 6.60 (t, J = 12.0 Hz, 1H), 5.83 (t, J = 9.6 Hz, 1H), 5.68 (d, J = 9.6 Hz, 1H), 5.28 (br, 1H), 5.07 (s, 1H), 4.43 (d, J = 9.0 Hz, 1H), 4.40 (d, J = 7.2 Hz, 1H), 4.07-4.03 (m, 5H), 3.68-3.63 (m, 6H), 3.59-3.56 (m, 4H), 3.49-3.38 (m, 14H), 3.34-3.30 (m, 40H), 3.27 (s, 3H), 3.19 (s, 3H), 3.13-3.11 (m, 3H), 2.75-2.73 (m, 1H), 2.38-2.36 (m, 1H), 2.17-2.05 (m, 15H), 2.01-1.88 (m, 32H), 1.82-1.64 (m, 6H), 1.61-1.53 (m, 6H), 1.31-1.27 (m, 4H), 1.00 (s, 27H), 0.94 (d, J = 6.6 Hz, 3H), 0.91 (d, J= 6.6 Hz, 3H); MS (EI) m/z 2830 (M+1)
실시예 10-4)
Figure pat00097
1H NMR (600MHz, acetone-d6) δ 9.26 (s, 1H), 7.91 (s, 1H), 7.86 (s, 1H), 7.66-7.48 (m, 9H), 7.47-7.41 (m, 12H), 7.09 (d, J = 12.6 Hz, 1H), 7.05 (s, 1H), 7.02 (rs, 1H), 6.97 (brs, 1H), 6.60 (t, J = 12.0 Hz, 1H), 6.53 (s, 1H), 6.43 (s, 1H). 5.84-5.80 (m, 1H), 5.67 (d, J = 10.2 Hz, 1H), 5.24 (br, 1H), 5.07 (s, 1H), 4.43 (d, J = 9.0 Hz, 1H), 4.33 (q, J = 7.2 Hz, 1H), 3.67-3.63 (m, 4H), 3.56-3.36 (m, 12H), 3.29-3.28 (m, 21H), 3.20 (s, 3H), 3.14-3.13 (m, 4H), 2.82-2.80 (m, 1H), 2.63-2.57 (m, 1H), 2.12-2.05 (m, 10H), 1.93-1.91 (m, 4H), 1.90 (s, 3H), 1.85-1.78 (m, 4H), 1.69-1.60 (m, 6H), 1.58-1.53 (m, 10H), 1.34-1.28 (m, 14H), 1.03 (s, 27H), 0.95 (d, J = 6.6 Hz, 3H), 0.91 (d, J = 6.6 Hz, 3H); MS (EI) m/z 2119 (M+1)
실시예 10-5)
Figure pat00098
1H NMR (600MHz, CDCl3) δ 9.20 (s, 1H), 7.60 (m, 14H), 7.44-7.37 (m, 24H), 6.95 (d, J = 10.8 Hz, 1H), 6.71 (brs, 3H), 6.58 (t, J = 12.0 Hz, 1H), 6.32 (m, 1H), 5.90 (m, 1H), 5.86 (t, J = 10.2 Hz, 1H), 5.18 (s, 1H), 4.31(d, J = 9.6 Hz, 1H), 3.63-3.43 (m, 8H), 3.40-3.22 (m, 22H), 2.74 (t, J =7.2, 1H), 2.66 (d, 13.2 Hz, 1H), 2.44(m, 1H), 2.13-1.95 (m, 8H), 1.91-1.70 (m, 17H), 1.68-1.54 (8H), 1.34-1.23 (m, 17H), 1.05-0.96(m, 33H); MS (EI) m/z 2230 (M+1)
실험예 1: MTT 발색법을 이용한 in vitro 활성 측정
상기 실시예들의 화합물들에 대하여, 동물 세포 생존과 세포 증식을 정량하는 발색법 중 하나인 MTT (3-(4,5-Dimethylthiazi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를 사용하여 암세포에 대한 약효 활성을 측정하였다. 이는 살아있는 세포의 미토콘드리아 막에 존재하는 숙신산 탈수소 효소 (succinate dehydrogenase)가 노란색의 MTT (3-(4,5-Dimethylthiazi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를 환원시켜 보라색의 포마잔 (formazan) 반응물을 생성하는 것이다. 이 방법은 세포의 호흡을 측정하는 것이며, 생성된 포마잔의 양은 배양액 내에 살아있는 세포의 숫자와 비례적인 관계에 있다.
본 실험에서 사용한 암세포주는 NCI-H460 (human NSCLC cell line, 인간 비소세포성 폐암세포주)와 MCF-7 (human breast cancer cell line, 인간 유방암세포주)로서 각각 미국 ATCC 사와 한국 세포주은행 (KLCB)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또한, MRC-5 세포주는 정상 폐조직에서 유래된 세포주로 한국 보람제약에서 분양받아 사용하였고, 모든 세포주는 10% fetal bovine serum을 포함하는 완전배양배지에서, 세포주에 따라 2-3일에 한번씩 계대 배양하였다. 80-90% 정도 confluent하게 자란 각 세포주를 trypsin-EDTA 용액으로 처리하여 부착된 배양용기에서 분리시킨 후에, 원심 분리하여 수집하였다. 배양액의 세포수를 측정하여 단위 1mL당 2 x 105 개의 세포액으로 제조한 후 96 well microplate의 well 당 100uL씩 가하여 well 당 2 x 104 개의 세포를 seeding하여 37℃, 5% CO2 incubator에서 24 시간 배양하였다.
상기 실시예들에서 합성한 화합물들을 디메틸셀폭사이드 (DMSO)에 10mM의 농도로 용해시켰으며 세포배양 배지에 희석하여 세포 배양액에 8개의 다양한 농도 구배(최종 0.4 - 50.1uM)로 처리하였다. 이 때 화합물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 well에는 동일한 부피 (50 uL)의 세포배양 배지를 가하였고, 화합물을 처리하여 37℃, 5% CO2 incubator에서 6 시간 배양한 세포배양액에 5 mg/mL의 MTT 용액을 15 uL씩 가하였으며, 37℃, 5% CO2 incubator에서 2 시간 반응 후에 세포 배양액을 털어버리고 100uL의 디메틸셀폭사이드 (DMSO)를 각 well에 가하였다. 보라색의 포마잔 (formazan) 반응물은 비용해성으로 디메틸셀폭사이드 (DMSO)를 용매 (solubilization solution)로 사용하여 보라색 용액으로 용해시키기 위해 microplate를 최소 30 분간 교반한 후, 미국 Molecular Device사의 Spectramax plus 190 plate reader를 이용하여 5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화합물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 대비 화합물 처리군의 흡광도 감소는 살아있는 세포의 감소를 나타내며, 화합물의 암세포에 대한 약효 활성으로 생각할 수 있고, 상기 실시예 화합물의 CC50 값은 다양한 농도 구배 하에서의 흡광도를 대조군 대비 백분율로 환산한 후 영국 Erithacus Software 사에서 구입한 GraFit 데이터 처리 프로그램(version 5.0.12)을 사용하여 세포 증식을 50% 감소시키는 농도로 구하였다.
[표 1] MTT assay 결과
Figure pat00099
In vitro 실험 결과, LCB09-1007의 경우 대조약물(17-AAG) 보다 MCF-7 에서 3배 이상, H-460에서 7배 이상 좋은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기타 다른 몇몇의 화합물들의 경우에서도 유사하거나 좋은 활성을 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Byoung Heon Kang 등에 의해 작성된 논문 J. Clin. Invest., 119, 454-464(2009) 등에 의하면, Mt-GA의 경우 기존의 컨쥬게이션 방법을 사용하여 링커(linker) 등을 도입하였는 바, 이는 retro reaction, 안정성(stability)의 문제점과, 구조상 thio-ether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보다 산화가 쉽게 이루어지며, diastereomeric mixture 라는 단점 등이 있다.
반면에, 본 발명에 따른 구아니디움기를 가지는 신규한 젤다나마이신 유도체들은 합성이 용이하며 구조적으로 보다 단순하고 화합물의 안정성을 크게 향상시켜 산성 및 염기 조건하에서도 Mt-GA 대비 훨씬 안정하고 분리 정제 등의 과정에서 decomposition 하는 문제점 등을 해결한다.
또한, combination 관점에서도 병렬 연결 형태의 화합물을 도입하여 다양성을 증가시켰으며 D-form guanidine 뿐만 아니라 L-form guanidine 을 적용하여 생산 비용 및 부분적인 side effect 가능성을 줄인다.
더욱이, MTT assay 결과 대조군으로 사용된 17-AAG 대비 항암 효과가 크게 나타나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in vivo genograft 모델에서의 약효 평가
효능 확인을 위하여, nude mouse(NCI-H460 tumor xenograft model)를 대상으로, 1일 2회 7일간 투여 스케줄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4의 화합물(이하, "1007"로 표시함)과, 비교 시험약물로서 Mt-GA(Gamitrinib; 이하, "1001"로 표시함), 및 대조약물로서 hsp90 억제제인 17-AAG에 대해 H460 효능을 시험하였다 (도 1 및 도 2 참조). 그 결과를, 무처리군 및 비히클(vehicle) 처리군과 함께, 하기 표 2와 도 3(체중 감소: xenograft model) 및 도 4(tumor volume 감소)에 각각 나타내었다.
[표 2]
Figure pat00100
이들 실험 결과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4의 화합물(1007)은 안전성 측면에서 대조약물인 17-AAG 대비 다소 떨어지지만, 항암효력은 투여용량을 고려할 때 약 5배 정도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Mt-GA는 모든 투여용량(저용량, 고용량)에서 개체 사망이 관찰됨에 따라 안전성 면에서 좋지 않은 결과를 보였다. 반면에, 실시예 1-4의 화합물(1007)은 고용량에서 개체사망이 관찰되었으나, 사망개체 발생 시기(투여 스케쥴 후반부)를 고려하면 안전성이 Mt-GA보다 매우 우수하며 투여스케줄의 변경으로 약효는 유지할 수 있을 것임을 시사한다.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7)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그것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수화물, 용매화물, 이성질체 또는 프로드럭.
    R-G-L-A (1)
    상기 식에서,
    A는 젤다나마이신 계열의 화합물로
    Figure pat00101
    이고,
    R-G는
    Figure pat00102
    또는
    Figure pat00103
    이고,
    여기서, X는 S 또는 SO2 이고,
    n과 m은 각각 독립적으로 1 내지 5의 정수 이고,
    R은 H 또는
    Figure pat00104
    이고,
    L은 -L1-(CH2)l-L2-(CH2)l'-,
    Figure pat00105
    ,
    Figure pat00106
    , 또는
    Figure pat00107
    이고,
    여기서, L1는 -C(O)-, -CH2C(O)NH-, 또는 -CH2-이고,
    L2는 -CH2-, -C6H5-, 또는 -(CH2CH2O)o-이고,
    l 및 l'는 각각 독립적으로 1 내지 10의 정수이고,
    o는 2내지 6의 정수이고,
    Q1은 CR1, 산소, 또는 NR2이고,
    여기서, R1 및 R2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B-(CH2)p-D-(CH2)q-이고,
    여기서, B는 -CH2C(O)-NH-, -CH2- 또는 -C(O)-이고,
    D는 -CH2- 또는 -C6H5-이고,
    Q2 및 Q3는 각각 독립적으로 -C(O)(CH2)p-이고
    E 및 F는 각각 독립적으로 -(CH2)p-, -NHC(O)(CH2)q-이고,
    여기서, p 및 q는 각각 독립적으로 1 내지 15의 정수이다.
  2. 제 1 항에 있어서, R-G는
    Figure pat00108
    또는
    Figure pat00109
    이고,
    X는 S 또는 SO2 이고,
    n 및 m은 각각 독립적으로 1 내지 3의 정수이고,
    R은
    Figure pat00110
    이고,
    L은 -L1-(CH2)l-L2-(CH2)l'-,
    Figure pat00111
    또는
    Figure pat00112
    이고,
    L1는 -C(O)-, -CH2C(O)NH-, 또는 -CH2-이고,
    L2는 -CH2-, -C6H5-, 또는 -(CH2CH2O)o-이고,
    l 및 l'는 각각 독립적으로 1 내지 10의 정수이고,
    o는 2 내지 4의 정수이고,
    Q2 및 Q3는 각각 독립적으로 -C(O)(CH2)p-이고,
    E 및 F는 각각 독립적으로 -(CH2)p-, -NHC(O)(CH2)q-이고,
    p 및 q는 각각 독립적으로 3 내지 10의 정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그것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수화물, 용매화물, 이성질체 또는 프로드럭.
  3. 제 1 항에 있어서, G와 L은 아미드 결합을 통해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하기 화합물들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그것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수화물, 용매화물, 이성질체 또는 프로드럭:
    Figure pat00113

    Figure pat00114

    Figure pat00115

    Figure pat00116

    Figure pat00117

    Figure pat00118

    Figure pat00119

    Figure pat00120

    Figure pat00121

    Figure pat00122

    Figure pat00123

    Figure pat00124

    Figure pat00125

    Figure pat00126

    Figure pat00127

    Figure pat00128

    Figure pat00129

    Figure pat00130

    Figure pat00131

    Figure pat00132

    Figure pat00133

    Figure pat00134

    Figure pat00135

    Figure pat00136

    Figure pat00137
    .
  5. (a) 약리학적 유효량의 제 1 항에 따른 화학식 1의 화합물, 그것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수화물, 용매화물, 이성질체 또는 프로드럭; 및
    (b)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희석제, 또는 부형제, 또는 이들의 조합;
    을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된 HSP90 활성 저해 조성물.
  6. 제 1 항에 따른 화학식 1의 화합물, 그것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수화물, 용매화물, 이성질체 또는 프로드럭을 유효량으로 사용하여, HSP90 활성 관련 질병을 치료하거나 예방하는 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HSP90 활성 관련 질병은 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110025786A 2011-03-23 2011-03-23 열충격 단백질(hsp90)의 저해능을 갖는 미토콘드리아 특이적 항암제 KR2012010818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5786A KR20120108181A (ko) 2011-03-23 2011-03-23 열충격 단백질(hsp90)의 저해능을 갖는 미토콘드리아 특이적 항암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5786A KR20120108181A (ko) 2011-03-23 2011-03-23 열충격 단백질(hsp90)의 저해능을 갖는 미토콘드리아 특이적 항암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8181A true KR20120108181A (ko) 2012-10-05

Family

ID=472798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5786A KR20120108181A (ko) 2011-03-23 2011-03-23 열충격 단백질(hsp90)의 저해능을 갖는 미토콘드리아 특이적 항암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0818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202309042A (zh) 依沙替康(exatecan)衍生物及其抗體藥物結合物
CA3041942A1 (en) Amino pyrazolopyrimidine compound used as neurotrophic factor tyrosine kinase receptor inhibitor
AU2015366636A1 (en) Pyrrolopyrimidine compound
EP4361142A1 (en) Compound as kif18a inhibitor
AU2022258377A1 (en) Ring-modified proline short peptide compound and use thereof
JP6827942B2 (ja) トリプトリドのc14ヒドロキシルエステル化アミノ酸誘導体、ならびにその製造方法および使用
CN114591201A (zh) 具有HDACi药效团的β-榄香烯衍生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JP2022549030A (ja) 複素環アミド化合物、その薬学的に許容される塩およびその調製方法と使用
RU2680138C2 (ru) Трициклические ингибиторы гиразы
KR20080081310A (ko) 항암 효과가 높고 항말라리아 활성이 오래 지속되는트리옥산 이량체
JP4842463B2 (ja) 新規ビフェニルウレイド誘導体及びこれを有効成分とする医薬
EP3145922A1 (en) Dipicolylamine derivatives and their pharmaceutical uses
CN113004356B (zh) 新型京尼平衍生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20120108181A (ko) 열충격 단백질(hsp90)의 저해능을 갖는 미토콘드리아 특이적 항암제
CN114075123B (zh) 苄胺类衍生物及其制备方法与用途
AU2021328979A1 (en) Pyrazole boronic acid compou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same, and uses thereof
US20110288106A1 (en) Adenine receptor ligands
CA3159778A1 (en) Synthetic triterpenoids with nitrogen-based substituents at c-17 and methods of use thereof
CN116783183A (zh) 作为vhl抑制剂用于治疗贫血和癌症的1-(2-(4-环丙基-1h-1,2,3-***-1-基)乙酰基)-4-羟基-n-(苄基)吡咯烷-2-甲酰胺衍生物
JP2022505639A (ja) ピラゾリル化合物およびその使用方法
CN112218878A (zh) Ntcp抑制剂
CN110563739A (zh) 具有选择性抗肺癌作用的鬼臼毒素类化合物p-x及其制备方法和应用
US20220402931A1 (en) Tetracyclic compounds and methods for the treatment of zika virus infection
ES2930814T3 (es) Inhibidor de péptido deformilasa de anillo espiro de tres miembros o anillo espiro de cinco miembros y uso del mismo como agente antitumoral
KR20120109667A (ko) 열쇼크 단백질의 활성을 저해하는 신규 화합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