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05318A - 프레젠테이션 데이터 공유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이동 단말기 - Google Patents

프레젠테이션 데이터 공유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이동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05318A
KR20120105318A KR1020110023063A KR20110023063A KR20120105318A KR 20120105318 A KR20120105318 A KR 20120105318A KR 1020110023063 A KR1020110023063 A KR 1020110023063A KR 20110023063 A KR20110023063 A KR 20110023063A KR 20120105318 A KR20120105318 A KR 201201053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entation file
presentation
external terminal
file
image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30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세호
박인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230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05318A/ko
Publication of KR201201053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53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04W8/24Transfer of terminal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5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involving copying of the display data of a local workstation or window to a remote workstation or window so that an actual copy of the data is displayed simultaneously on two or more displays, e.g. tele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software upgrading or downloa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사용자가 보다 편리한 방식으로 단말기와 다른 전자기기 간에 프레젠테이션 데이터를 공유하여 표시할 수 있도록 하는 프레젠테이션 데이터 공유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프레젠테이션 데이터 공유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프레젠테이션 파일 및 적어도 하나의 외부 단말기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레젠테이션 파일에 대응하는 부가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단말기에 상기 생성된 부가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단말기로부터 상기 부가 정보에 대응하는 전송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전송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레젠테이션 파일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레젠테이션 파일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단말기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프레젠테이션 데이터 공유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이동 단말기{METHOD FOR SHARING OF PRESENTATION DATA AND MOBILE TERMINAL USING THIS METHOD}
본 명세서는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프레젠테이션 데이터 공유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terminal)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최근 단말기는 홈 네트워크(home network)를 통하여 다른 전자기기와 연결되어, 다른 전자기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는 다른 전자기기에 저장된 영상 컨텐츠를 불러와서 표시하거나, 단말기가 표시하는 컨텐츠를 다른 전자기기로 전송하여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홈 네트워크에 관한 규약의 일 예로 DLNA(Digital Living Network Association) 규약이 있다.
이러한 홈 네트워크 환경에서 컨텐츠를 공유하기 위해서는 복잡한 조작이 요구되는 것이 일반적이어서, 사용자가 단말기를 이용하여 보다 편리한 방식으로 다른 전자기기와 데이터를 공유하여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 방법이 필요하다.
본 명세서는 사용자가 보다 편리한 방식으로 단말기와 다른 전자기기 간에 프레젠테이션 데이터를 공유하여 표시할 수 있도록 하는 프레젠테이션 데이터 공유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프레젠테이션 데이터 공유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프레젠테이션 파일 및 적어도 하나의 외부 단말기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레젠테이션 파일에 대응하는 부가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단말기에 상기 생성된 부가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단말기로부터 상기 부가 정보에 대응하는 전송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전송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레젠테이션 파일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레젠테이션 파일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단말기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의 프레젠테이션 데이터 공유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레젠테이션 파일을 실행하거나,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레젠테이션 파일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레젠테이션 파일 및 적어도 하나의 외부 단말기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레젠테이션 파일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단말기에 맵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부가 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레젠테이션 파일과 관련된 프레젠테이션의 일정, 발표자, 제목, 발표자 관여 여부, 저장 허용 여부에 관한 정보 및 보조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의 프레젠테이션 데이터 공유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레젠테이션 파일과 관련된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레젠테이션 파일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레젠테이션 파일의 실행 영상을 캡처하여 변환된 영상 데이터가 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레젠테이션 파일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레젠테이션 파일과 관련된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레젠테이션 파일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는 미리 설정된 시간 정보에 따라 표시되는 영상 데이터가 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의 프레젠테이션 데이터 공유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레젠테이션 파일과 관련된 음성 데이터, 포인터 오브젝트에 관한 정보 및 편집 오브젝트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송 요청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레젠테이션 파일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레젠테이션 파일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수신 여부 및 수신 시간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의 프레젠테이션 데이터 공유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레젠테이션 파일과 관련된 썸네일 이미지를 제1 영역에 표시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레젠테이션 파일 중 어느 하나의 프레젠테이션 파일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를 제2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레젠테이션 파일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레젠테이션 파일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단말기에 송신하는 단계는 시간 정보에 따라 할당된 복수의 채널을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레젠테이션 파일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레젠테이션 파일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단말기에 송신하는 단계가 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프레젠테이션 데이터 공유 방법은, 외부 단말기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프레젠테이션 파일에 대응하는 부가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외부 단말기에 상기 부가 정보에 대응하는 전송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 상기 전송 요청에 따라 상기 외부 단말기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레젠테이션 파일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레젠테이션 파일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레젠테이션 파일을 실행하거나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레젠테이션 파일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의 프레젠테이션 데이터 공유 방법은 상기 부가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레젠테이션 파일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레젠테이션 파일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한편, 상술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입력부, 제어부 및 통신부를 포함한다. 상기 입력부는 적어도 하나의 프레젠테이션 파일 및 적어도 하나의 외부 단말기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레젠테이션 파일에 대응하는 부가 정보를 생성한다. 상기 통신부는 상기 생성된 부가 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단말기에 송신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단말기로부터 상기 부가 정보에 대응하는 전송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전송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레젠테이션 파일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레젠테이션 파일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단말기에 송신한다.
상기와 같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프레젠테이션 데이터 공유 방법을 이용하는 이동 단말기는, 프레젠테이션 파일에 대응하는 부가 정보에 기초하여 프레젠테이션 파일 및 프레젠테이션 파일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외부 단말기에 송신함으로써, 프레젠테이션에 필요한 프레젠테이션 데이터를 편리하게 효과적으로 공유할 수 있게 해준다.
특히, 상기와 같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프레젠테이션 데이터 공유 방법을 이용하는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프레젠테이션 기능을 지원하지 않는 외부 단말기에 프레젠테이션 데이터를 편리하게 공유할 수 있게 해준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a는 도 1에 도시된 제어부(180)의 상세 블록도이다.
도 2b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젠테이션 데이터 공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도 2b에 도시된 파일 및 외부 단말기 선택 과정(S11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 단말기의 선택을 변경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2b에 도시된 파일 및 외부 단말기 선택 과정(S110)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라 프레젠테이션 모드가 듀얼 모드인 경우 이동 단말기(100) 및 외부 단말기에 표시되는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a 내지 도 7c는 도 2b에 도시된 부가 정보 생성 및 송신 과정(S12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2b에 도시된 송신 단계(S140)를 상세하게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젠테이션 데이터의 송신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젠테이션 데이터의 송신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젠테이션 데이터의 송신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a 및 도 12b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젠테이션 데이터 공유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3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젠테이션 데이터 공유 과정에서 이벤트 발생시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방향성에 기초한 프레젠테이션 데이터 공유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젠테이션 데이터 공유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이동 단말기의 전체 구성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이동 단말기가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이동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사용 환경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이동 단말기의 방위, 이동 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을 센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센싱부(140)는 근접 센서(141)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부(153) 및 햅틱 모듈(154)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이동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ant OLE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단말기 바디의 디스플레이부(151)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단말기 바디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이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이동 단말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스크린의 근처에 근접 센서(141)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상기 근접 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터치스크린(터치 센서)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도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3)는 이동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3)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성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어서, 그들(151,152)은 알람부(153)의 일부로 분류될 수도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 모듈(15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이동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메모리(160)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16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이동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단말기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단말기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
제어부(controller, 180)는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멀티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이 제어부(180)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으로 소프트웨어 코드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에 대한 사용자 입력의 처리 방법
사용자 입력부(130)는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복수의 조작 유닛들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작 유닛들은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 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받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에는 다양한 종류의 시각 정보들이 표시될 수 있다. 이들 정보들은 문자, 숫자, 기호, 그래픽, 또는 아이콘 등의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정보의 입력을 위하여 상기 문자, 숫자, 기호, 그래픽 또는 아이콘 들 중 적어도 하나는 일정한 배열을 이루어 표시됨으로써 키패드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키패드는 소위 '소프트키'라 불릴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전체 영역으로 작동되거나, 복수의 영역들로 나뉘어져 작동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상기 복수의 영역들은 서로 연관되게 작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의 상부와 하부에는 출력창과 입력창이 각각 표시될 수 있다. 출력창과 입력창은 각각 정보의 출력 또는 입력을 위해 할당되는 영역이다. 입력창에는 전화 번호 등의 입력을 위한 숫자가 표시된 소프트키가 출력될 수 있다. 소프트키가 터치되면, 터치된 소프트키에 대응되는 숫자 등이 출력창에 표시된다. 조작 유닛이 조작되면 출력창에 표시된 전화번호에 대한 호 연결이 시도되거나 출력창에 표시된 텍스트가 애플리케이션에 입력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터치 패드는 스크롤(scroll)에 의해 터치 입력 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터치 패드를 스크롤 함으로써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된 개체, 예를 들어 아이콘 등에 위치한 커서 또는 포인터를 이동시킬 수 있다. 나아가, 손가락을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터치 패드 상에서 이동시키는 경우, 손가락이 움직이는 경로가 디스플레이부(151)에 시각적으로 표시될 수도 있다. 이는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는 이미지를 편집함에 유용할 것이다.
디스플레이부(151)(터치스크린) 및 터치 패드가 일정 시간 범위 내에서 함께 터치되는 경우에 대응하여, 단말기의 일 기능이 실행될 수도 있다. 함께 터치되는 경우로는, 사용자가 엄지 및 검지를 이용하여 단말기 바디를 집는(clamping)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일 기능은,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터치 패드에 대한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등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단말기에서 구현될 수 있는 제어 방법에 관련된 실시예들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후술하는 실시 예들은 단독으로 또는 서로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후술하는 실시 예들이 상술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I)와 조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우선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필요한 개념 또는 용어에 대해 설명한다.
DLNA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규약은 집 안의 전자기기들이 홈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디지털 컨텐츠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규약 또는 호환성 지침(interoperability guidelines)이다. 홈 네트워크 기술은 이더넷(Ethernet), HomePNA(Home Phoneline Networking Alliance), RF(Radio Frequency), PLC(Power Line Communication) 등 물리적인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기술과 홈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기기, 센서, 액추에이터 간의 통신 프로토콜 기술, 구성된 홈 네트워크 상에서 기기 간의 상호 발견, 구성, 관리를 위한 미들웨어 기술, 그리고 이러한 미들웨어를 기반으로 하는 서비스 기술들로 구성되어 있다.
디지털 홈(digital home)은 집 안의 컴퓨터, 가전기기, 모바일 기기가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협업하여 디지털 컨텐츠를 공유하는 아이디어를 발전시킨 것이다. 디지털 리빙(digital living)은 이러한 아이디어를 더 확장시켜 제조사와 관계 없이 전자기기들 간의 즉각적인 연결(On-the-Go)을 통해 디지털 컨텐츠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한다.
DLNA 규약은 네트워킹, 디바이스 발견 및 제어, 미디어 관리, 미디어 포맷, 미디어 전송 등에 있어서 상호운용을 위한 가이드를 제시하고 있다. DLNA 규약은 네트워킹과 연결성을 위해서 IP(Internet Protocol)를 기본 네트워크 프로토콜로 채택하고 있다. 또한, DNLA 규약은 디바이스 발견과 제어에 대한 상호운용을 위해서는 SSDP(Simple Service Discovery Protocol), GENA(General Event Notification Architecture), SOAP(Simple Object Access Protocol)를 기반으로 하는 UPnP DA(Universal Plug and Play Device Architecture)를 권고하고 있으며, 미디어 컨텐츠 관리를 위한 상호운용 프로토콜로는 UPnP AV(Universal Plug and Play Audio/Video)를 채택하고 있다. 미디어 컨텐츠 포맷에 관해서는 오디오, 이미지, 비디오로 구분해서 포맷을 권고하고 있으며, 미디어 전송을 위한 상호운용 프로토콜로는 HTTP를 채택하고 있다.
DLNA 인증 기기 클래스
홈 네트워크 기기(Home Network Devices) 클래스에는 디지털 미디어 서버(Digital Media Server; DMS), 디지털 미디어 플레이어(Digital Media Player; DMP), 디지털 미디어 렌더러(Digital Media Renderer; DMR), 디지털 미디어 컨트롤러(Digital Media Controller; DMC), 디지털 미디어 프린터(Digital Media Printer; DMPr)가 포함된다.
디지털 미디어 서버(DMS)는 컨텐츠를 저장하고, 네트워크에 연결된 디지털 미디어 플레이어(DMP) 및 디지털 미디어 렌더러(DMR)에 컨텐츠를 제공한다. 디지털 미디어 서버(DMS)는 저장된 컨텐츠를 보호하기도 한다. 디지털 미디어 서버(DMS)의 예로는 PC(personal computer), NAS(network attached storage) 등이 있다.
디지털 미디어 플레이어(DMP)는 디지털 미디어 서버(DMS)에 존재하는 컨텐츠를 발견하고, 컨텐츠 재생 또는 렌더링 기능을 제공한다. 디지털 미디어 플레이어(DMP)의 예로는 텔레비전 수신기(television receiver; TV), 스테레오 홈 시어터, 무선 모니터, 게임 콘솔 등이 있다.
디지털 미디어 렌더러(DMR)는 디지털 미디어 컨트롤러(DMC)로부터 수신한 컨텐츠를 재생하는데, 디지털 미디어 컨트롤러(DMC)는 디지털 미디어 서버(DMS)에서 컨텐츠를 발견한다. 디지털 미디어 렌더러(DMR)의 예로는 TV, A/V 리시버, 비디오 디스플레이, 음악용 리모트 스피커 등이 있다.
디지털 미디어 컨트롤러(DMC)는 디지털 미디어 서버(DMS)에 존재하는 컨텐츠를 발견하고, 디지털 미디어 렌더러(DMR)에서 재생한다. 디지털 미디어 컨트롤러(DMC)의 예로는 인터넷 타블렛, 와이파이 지원 디지털 카메라,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등이 있다.
디지털 미디어 프린터(DMPr)는 DLNA 홈 네트워크에 프린팅 서비스를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프린트 기능을 가진 디지털 미디어 플레이어(DMP) 및 디지털 미디어 컨트롤러(DMC)가 디지털 미디어 프린터(DMPr)로 프린트한다. 디지털 미디어 프린터(DMPr)의 예로는 네트워크에 연결된 포토 프린터, 네트워크에 연결된 올인원 프린터 등이 있다.
모바일 핸드헬드 기기(Mobile Handheld Devices) 클래스에는 모바일 디지털 미디어 서버(Mobile Digital Media Server; M-DMS), 모바일 디지털 미디어 플레이어(Mobile Digital Media Player; M-DMP), 모바일 디지털 미디어 업로더(Mobile Digital Media Uploader; M-DMU), 모바일 디지털 미디어 다운로더(Mobile Digital Media Downloader; M-DMD), 모바일 디지털 미디어 컨트롤러(Mobile Digital Media Controller; M-DMC)가 포함된다.
모바일 디지털 미디어 서버(M-DMS)는 컨텐츠를 저장하고, 유무선 네트워크에 연결된 모바일 디지털 미디어 플레이어(M-DMP), 디지털 미디어 렌더러(DMR), 디지털 미디어 프린터(DMPr)에 컨텐츠를 제공한다. 모바일 디지털 미디어 서버(M-DMS)의 예로는 이동전화, 휴대용 음악 플레이어 등이 있다.
모바일 디지털 미디어 플레이어(M-DMP)는 디지털 미디어 서버(DMS) 또는 모바일 디지털 미디어 서버(M-DMS)에 존재하는 컨텐츠를 발견하고 재생한다. 모바일 디지털 미디어 플레이어(M-DMP)의 예로는 이동전화,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볼 수 있도록 디자인된 모바일 미디어 태블릿 등이 있다.
모바일 디지털 미디어 업로더(M-DMU)는 디지털 미디어 서버(DMS) 또는 모바일 디지털 미디어 서버(M-DMS)로 컨텐츠를 전송(업로드)한다. 모바일 디지털 미디어 업로더(M-DMU)의 예로는 디지털 카메라, 이동전화 등이 있다.
모바일 디지털 미디어 다운로더(M-DMD)는 디지털 미디어 서버(DMS) 또는 모바일 디지털 미디어 서버(M-DMS)에서 컨텐츠를 발견하고 저장(다운로드)한다. 모바일 디지털 미디어 다운로더(M-DMD)의 예로는 휴대용 음악 플레이어, 이동전화 등이 있다.
모바일 디지털 미디어 컨트롤러(M-DMC)는 디지털 미디어 서버(DMS) 또는 모바일 디지털 미디어 서버(M-DMS)에 존재하는 컨텐츠를 발견하고, 디지털 미디어 렌더러(DMR)로 컨텐츠를 전송한다. 모바일 디지털 미디어 컨트롤러(M-DMC)의 예로는 PDA, 이동전화 등이 있다.
홈 인프라 기기(Home Infrastructure Devices) 클래스는 모바일 네트워크 접속 기능(Mobile Network Connectivity Function; M-NCF), 미디어 상호호환성 유닛(Media Interoperability Unit; MIU)을 포함한다.
모바일 네트워크 접속 기능(M-NCF)은 모바일 핸드헬드 기기 네트워크 접속과 홈 네트워크 접속 간의 중개 기능을 제공한다.
미디어 상호호환성 유닛(MIU)은 홈 네트워크 및 모바일 핸드헬드 기기에 요구되는 미디어 포맷 간의 컨텐츠 변환을 제공한다.
DLNA 인증 기기가 동작하는 방식
DLNA 인증 기기가 동작하는 제1 예시는 영화 컨텐츠를 발견하고 재생하는 것이다. 영화 컨텐츠는 NAS, 디지털 미디어 서버(DMS) 등에 저장된다. 작은 PC 모니터로 영화를 보는 대신, 사용자는 DLNA 인증 기기인 대화면 TV의 디지털 미디어 플레이어(DMP) 기능을 이용해 NAS 상의 영화 컨텐츠를 발견하고 대화면 TV에서 재생할 수 있다.
DLNA 인증 기기가 동작하는 제2 예시는 사진을 전송하고 표시하는 것이다. 사용자는 인증된 디지털 미디어 컨트롤러(DMC)인 디지털 카메라에 저장된 사진을 인증된 디지털 미디어 렌더러(DMR)인 TV로 전송하여 표시할 수 있다.
DLNA 인증 기기가 동작하는 제3 예시는 음악 컨텐츠를 발견, 전송 및 재생하는 것이다. 사용자는 인증된 디지털 미디어 서버(DMS)인 PC로 음악 컨텐츠를 로딩할 수 있다. 인증된 모바일 디지털 미디어 컨트롤러(M-DMC)인 PDA를 이용하여, 사용자는 PC에서 원하는 노래를 발견하고 DLNA 인증된 무선 스피커로 전송하여 재생할 수있다. 이 경우, 스피커는 인증된 디지털 미디어 렌더러(DMR) 기능을 제공한다.
DLNA 인증 기기가 동작하는 제4 예시는 사진을 업로드하는 것이다. 인증된 모바일 디지털 미디어 업로더(M-DMU)인 PDA에 사진이 저장되어 있는 경우, 사용자는 PDA에 저장된 사진을 인증된 디지털 미디어 서버(DMS)인 NAS로 전송하여 저장할 수 있다.
DLNA 인증 기기가 동작하는 제5 예시는 음악 컨텐츠를 다운로드하는 것이다. 사용자는 인증된 디지털 미디어 서버(DMS)인 PC로부터 인증된 모바일 디지털 미디어 다운로더(M-DMD)인 MP3 플레이어로 음악 컨텐츠를 전송할 수 있다.
DLNA 인증 기기가 동작하는 제6 예시는 사진을 전송하고 프린트하는 것이다. 사용자는 인증된 모바일 디지털 미디어 컨트롤러(M-DMC)인 카메라 폰에 저장된 사진을 카메라 폰이 지원하는 와이파이(Wi-Fi) 기능을 이용하여 인증된 디지털 미디어 프린터(DMPr)인 프린터로 전송하여 프린트할 수 있다.
프레젠테이션 데이터 공유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이동 단말기
이하에서는 설명의 용이를 위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가 DLNA 규약에 따라 다른 전자기기(예를 들어, 영상표시기기)와 프레젠테이션 데이터를 공유하거나 또는 프레젠테이션 관련 정보를 송수신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다만, 이동 단말기(100)가 DLNA 규약에 따라 동작하는 구성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명세서에 개시된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의 기술적 사상이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즉, 본 명세서에 개시된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전자기기 간에 디지털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가능한 모든 종류의 홈 네트워크 기술 또는 홈 네트워크 규약에 따라 다른 전자기기와 디지털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는 장치 발견(device discovery) 및 장치 관리(device management) 메커니즘이 구비된 무선랜(wireless local area network) 기반의 홈 네트워크 기술에 따라 다른 전자기기와 디지털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도 있다.
도 2a는 도 1에 도시된 제어부(180)의 상세 블록도이다.
제어부(180)는 멀티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2) 외에 파일 및 단말기 관리 모듈(183), 부가 정보 관리 모듈(184) 및 데이터 공유 모듈(18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파일 및 단말기 관리 모듈(183)은 적어도 하나의 프레젠테이션 파일 및 적어도 하나의 외부 단말기를 선택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제공된 인터페이스를 통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프레젠테이션 파일 및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단말기에 관한 정보를 관리한다.
부가 정보 관리 모듈(184)은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프레젠테이션 파일에 대응하는 부가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제공된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부가 정보를 관리한다. 또한, 부가 정보 관리 모듈(184)은 무선 통신부(110)가 입력된 부가 정보를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단말기에 송신하도록 제어한다.
데이터 공유 모듈(185)은 무선 통신부(110)가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단말기로부터 부가 정보에 대응하는 전송 요청을 수신하도록 제어하고, 수신한 전송 요청에 기초하여 무선 통신부(110)가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프레젠테이션 파일 및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프레젠테이션 파일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단말기에 송신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데이터 공유 모듈(185)은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프레젠테이션 파일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고,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프레젠테이션 파일에 대응하는 제어 정보를 관리하고, 프레젠테이션의 시작과 종료의 처리, 프레젠테이션 중의 인터럽트의 처리를 관리할 수 있다.
도 2b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젠테이션 데이터 공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파일 및 단말기 관리 모듈(183)은 적어도 하나의 프레젠테이션 파일 및 적어도 하나의 외부 단말기를 선택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또한, 파일 및 단말기 관리 모듈(183)은 사용자 입력부(130)로부터 파일 및 외부 단말기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면 수신한 입력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프레젠테이션 파일과 적어도 하나의 외부 단말기를 선택하여 맵핑시킨다. 또한, 파일 및 단말기 관리 모듈(183)은 맵핑된 정보를 메모리(160)에 저장한다(S110).
부가 정보 관리 모듈(184)은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프레젠테이션 파일에 대응하는 부가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또한, 부가 정보 관리 모듈(184)은 사용자 입력부(130)로부터 부가 정보의 입력을 수신하면 수신한 입력에 기초하여 부가 정보를 생성한다. 또한, 부가 정보 관리 모듈(184)은 맵핑된 정보에 기초하여 무선 통신부(110)가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단말기에 생성한 부가 정보를 송신하도록 제어한다(S120).
데이터 공유 모듈(185)은 무선 통신부(110)가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단말기로부터 부가 정보에 대응하는 전송 요청을 수신하도록 제어하고(S130), 수신한 전송 요청에 응답하여,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프레젠테이션 파일 및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프레젠테이션 파일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단말기에 송신하도록 제어한다(S140).
또한, 데이터 공유 모듈(185)은 무선 통신부(110)가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단말기로부터 메시지(질문 메시지)를 포함하는 인터럽트 요청을 수신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데이터 공유 모듈(185)은 메시지에 대한 응답(답변 메시지)을 입력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무선 통신부(110)가 입력된 응답을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단말기에 송신하도록 제어한다(S150). 이 경우에, 무선 통신부(11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입력된 응답을 즉시 또는 지정된 시간에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단말기에 송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공유 모듈(185)은 무선 통신부(110)가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단말기로부터 종료 요청을 수신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데이터 공유 모듈(185)은 종료 요청에 응답하여, 무선 통신부(110)가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프레젠테이션 파일 및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프레젠테이션 파일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단말기에 송신하는 것을 중단하도록 제어한다(S160). 이 경우, 데이터 공유 모듈(185)은 무선 통신부(110)가 송신이 종료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단말기에 송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도 2b에 도시된 파일 및 외부 단말기 선택 과정(S11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프레젠테이션 데이터 공유 기능을 호출하도록 설정된 메뉴 또는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디스플레이부(151)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단말기를 선택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한다. 이 경우에, 이동 단말기(100)와 미리 페어링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단말기의 목록(예를 들어, MY PHONE, TV, IREN'S PC 및 LIVING ROOM)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에, 디스플레이부(151)는 현재 연결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외부 단말기를 현재 연결 불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외부 단말기와 구별되게 표시할 수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사용자 입력부(130)가 적어도 하나의 외부 단말기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한 경우에, 디스플레이부(151)는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단말기를 다른 외부 단말기(예를 들어, TV)와 식별되도록 구별되게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단말기를 나타내는 이미지가 표시될 수 있다.
도 3(c)를 참조하면, 외부 단말기의 선택이 완료된 경우에, 디스플레이부(151)는 적어도 하나의 프레젠테이션 파일을 선택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한다. 이 경우에, 디스플레이부(151)는 메모리(160) 또는 외부 장치에 저장된 프레젠테이션 파일을 검색하여 목록으로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가 적어도 하나의 프레젠테이션 파일을 선택하는 입력을 표시한 경우에, 디스플레이부(151)는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프레젠테이션 파일을 다른 프레젠테이션 파일과 식별되도록 구별되게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외부 단말기와 프레젠테이션 파일을 선택하는 인터페이스의 제공 순서는 다양하게 존재할 수 있다. 예컨대, 도 3에 도시된 것과 달리, 프레젠테이션 파일을 선택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제공된 이후에 외부 단말기를 선택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제공될 수 있으며, 외부 단말기와 프레젠테이션 파일을 함께 선택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제공될 수 있다.
도 4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 단말기의 선택을 변경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도 3(c)에서 장치 변경(CHANGE DEVICES) 메뉴가 선택되면, 디스플레이부(151)는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단말기를 변경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에, 파일 및 단말기 관리 모듈(183)은 외부 단말기의 선택 결과를 리셋하고, 디스플레이부(151)는 외부 단말기를 다시 선택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도 4(b)를 참조하면, 사용자 입력부(130)가 적어도 하나의 외부 단말기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한 경우에, 디스플레이부(151)는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단말기(예를 들어, IREN'S PC)를 다른 외부 단말기와 식별되도록 구별되게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단말기를 나타내는 이미지가 표시될 수 있다.
한편, 도 3(c)에서 장치 변경(CHANGE DEVICES) 메뉴가 선택되지 않더라도, 도 3(b)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와 연결을 설정할 수 없는 경우에, 디스플레이부(151)는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단말기를 변경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5는 도 2b에 도시된 파일 및 외부 단말기 선택 과정(S110)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디스플레이부(151)는 제1 프레젠테이션 파일 및 제1 외부 단말기를 선택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사용자 입력부(130)는 제1 프레젠테이션 파일 및 제1 외부 단말기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한다(S112).
그리고, 파일 및 단말기 관리 모듈(183)은 프레젠테이션 모드가 듀얼 모드인지 판단한다(S114). 제114 단계에서 프레젠테이션 모드가 듀얼 모드가 아닌 경우에, 파일 및 단말기 관리 모듈(183)은 제1 프레젠테이션 파일을 제1 외부 단말기에 맵핑시킨다(S116).
제114 단계에서 프레젠테이션 모드가 듀얼 모드인 경우에, 디스플레이부(151)는 제2 프레젠테이션 파일 및 제2 외부 단말기를 선택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사용자 입력부(130)는 제2 프레젠테이션 파일 및 제2 외부 단말기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한다(S118). 그리고, 파일 및 단말기 관리 모듈(183)은 제1 프레젠테이션 파일을 제1 외부 단말기에, 그리고 제2 프레젠테이션 파일을 제2 외부 단말기에 맵핑시킨다(S116).
도 6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라 프레젠테이션 모드가 듀얼 모드인 경우 이동 단말기(100) 및 외부 단말기에 표시되는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프레젠테이션 모드가 듀얼 모드인 경우에, 디스플레이부(151)는 화면(210)의 제1 영역(212)에 제1 프레젠테이션 파일의 실행 영상을 표시하고, 화면(220)의 제2 영역(1014)에 제2 프레젠테이션 파일의 실행 영상을 표시한다. 또한, 데이터 공유 모듈(185)은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을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무선 통신부(110)는 제1 외부 단말기에 제1 프레젠테이션 파일 및 제1 프레젠테이션 파일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송신한다. 이에 따라, 제1 외부 단말기는 제1 프레젠테이션 파일의 실행 영상을 화면(220)에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무선 통신부(110)는 제2 외부 단말기에 제2 프레젠테이션 파일 및 제2 프레젠테이션 파일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송신한다. 이에 따라, 이에 따라, 제2 외부 단말기는 제2 프레젠테이션 파일의 실행 영상을 화면(230)에 표시할 수 있다.
도 7a 내지 도 7c는 도 2b에 도시된 부가 정보 생성 및 송신 과정(S12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a를 참조하면, 부가 정보 관리 모듈(184)은 적어도 하나의 프레젠테이션 파일에 대응하는 부가 정보를 입력받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부가 정보를 입력받는 메뉴를 제공하고, 사용자 입력부(130)는 부가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레젠테이션 파일에 대응하는 부가 정보는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프레젠테이션 파일과 관련된 프레젠테이션의 일정, 발표자, 제목, 발표자 관여 여부, 저장 허용 여부에 관한 정보 및 보조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젠테이션의 일정에 관한 정보는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프레젠테이션 파일을 실행하여 수행되는 프레젠테이션의 시작시간 및 종료시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젠테이션의 발표자 및 제목에 관한 정보는 각각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프레젠테이션 파일을 실행하여 수행되는 프레젠테이션의 발표자 및 제목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젠테이션의 발표자 관여 여부(AUTO 및 MANUAL)에 관한 정보는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프레젠테이션 파일 및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프레젠테이션 파일에 대응하는 영상을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단말기에 송신할 때, 사용자가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프레젠테이션 파일의 실행을 실시간으로 제어할 것인지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젠테이션 저장(레코딩) 허용 여부에 관한 정보는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프레젠테이션 파일 또는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프레젠테이션 파일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를 수신한 외부 단말기가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한 적어도 하나의 프레젠테이션 파일 또는 적어도 하나의 프레젠테이션 파일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을 허용할지 여부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보조 데이터는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프레젠테이션 파일의 미리보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프레젠테이션 파일에 링크된 이미지, 음악, 동영상 파일 등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프레젠테이션 파일과 관련된 콘텐츠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110)는 입력된 부가 정보를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단말기에 송신할 수 있다.
도 7b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부가 정보를 수신한 적어도 하나의 외부 단말기는 수신한 부가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외부 단말기는 수신한 부가 정보에 대한 응답으로 수신 여부 및 수신 시간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동 단말기(100)에 송신할 수 있다.
즉, 적어도 하나의 외부 단말기는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한 부가 정보를 표시함과 동시에 수신 여부를 입력할 수 있는 메뉴를 제공할 수 있다. 미수신 명령이 입력된 경우에, 적어도 하나의 외부 단말기는 부가 정보의 표시를 종료한다. 이와 반대로, 수신 명령이 입력된 경우에, 적어도 하나의 외부 단말기는 수신 시간을 입력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도 7c를 참조하면, 적어도 하나의 외부 단말기는 수신 시간을 설정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외부 단말기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전송 명령이 수신되면, 입력된 수신 여부 및 수신 시간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동 단말기(100)에 송신할 수 있다.
도 8은 도 2b에 도시된 송신 단계(S140)를 상세하게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데이터 공유 모듈(185)은 부가 정보에 포함된 발표자 관여 여부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프레젠테이션 모드를 판단한다(S141).
만약, 프레젠테이션 모드가 자동 모드인 경우에(즉, 발표자가 관여하지 않도록 설정된 경우에), 데이터 공유 모듈(185)은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프레젠테이션 파일을 실행하고, 제어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여기에서, 제어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프레젠테이션 파일과 관련된 음성 데이터, 포인터 오브젝트에 관한 정보 및 편집 오브젝트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프레젠테이션 파일의 실행이 종료되면, 데이터 공유 모듈(185)은 입력된 제어 정보를 포함하여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프레젠테이션 파일을 메모리(160)에 저장하거나,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프레젠테이션 파일과 별도로 입력된 제어 정보를 메모리(160)에 저장한다(프레젠테이션 파일 기반). 또는, 데이터 공유 모듈(185)은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프레젠테이션 파일의 실행 영상을 캡처하여 영상 데이터로 변환하고, 변환된 영상 데이터를 메모리(160)에 저장한다(영상 데이터 기반). 이 경우에, 메모리(160)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는 미리 설정된 시간 정보에 따라 표시되는 영상 데이터가 될 수 있다.
데이터 공유 모듈(185)은 적어도 하나의 외부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수신 시간이 되면, 수신 시간을 송신한 적어도 하나의 외부 단말기에 무선 통신부(110)가 메모리(160)에 저장된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프레젠테이션 파일, 프레젠테이션 파일 및 제어 정보, 및 프레젠테이션 파일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송신하도록 제어한다(S142).
만약, 프레젠테이션 모드가 수동 모드인 경우에(즉, 발표자가 관여하도록 설정된 경우에), 데이터 공유 모듈(185)은 프레젠테이션 파일 기반으로 공유하도록 설정되어 있는지 판단한다(S143). 이 경우에, 데이터 공유 모듈(185)은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단말기가 프레젠테이션 파일의 실행 기능을 지원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프레젠테이션 파일 기반으로 공유하도록 설정되어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프레젠테이션 파일 기반으로 공유하도록 설정된 경우에, 데이터 공유 모듈(185)은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프레젠테이션 파일을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단말기에 송신하고, 적어도 하나의 외부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수신 시간이 되면 이동 단말기(100) 및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단말기에서 프레젠테이션 파일이 실행되도록 제어한다. 데이터 공유 모듈(185)은 제어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입력된 제어 정보를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단말기에 송신한다(S144). 이에 따라,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단말기에서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한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프레젠테이션 파일의 실행이 제어될 수 있다.
프레젠테이션 파일 기반으로 공유하도록 설정되지 않은 경우에(즉, 영상 데이터 기반으로 공유하도록 설정된 경우에), 데이터 공유 모듈(185)은 적어도 하나의 외부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수신 시간이 되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프레젠테이션 파일을 실행한다(S145). 그리고, 데이터 공유 모듈(185)은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프레젠테이션 파일의 실행 영상을 캡처하여(S146), 변환된 영상 데이터를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단말기에 송신한다(S147).
한편, 데이터 공유 모듈(185)은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프레젠테이션 파일의 실행 중에 제어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입력된 제어 정보에 따라 프레젠테이션 파일의 실행이 제어되는 경우에 이를 반영하여 실행 영상을 캡처하고, 변환된 영상 데이터를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단말기에 송신할 수 있다.
도 9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젠테이션 데이터의 송신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영상 데이터 기반으로 공유하도록 설정된 경우에,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프레젠테이션 파일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는 미리 설정된 시간 정보에 따라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단말기에서 표시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디스플레이부(151)는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프레젠테이션 파일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를 화면(410)에 표시할 때, 미리 설정된 시간 정보, 즉 재생 정보(412)를 화면(410)에 더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데이터 공유 모듈(185)은 영상 데이터 기반으로 공유하도록 설정된 경우에,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프레젠테이션 파일의 실행 영상을 캡처하여 소정 화면 비율을 갖는 영상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소정 화면 비율은 이동 단말기(100) 또는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단말기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단말기는 소정 화면 비율로 변환된 영상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화면 비율은 4:3, 16:9, 전체 화면, 프레젠테이션 파일에 대한 원래 비율, 사용자 정의 비율 등 다양한 화면 비율 방식에 의해 정의된 화면 비율이 될 수 있다.
도 10a 및 도 10b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젠테이션 데이터의 송신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a를 참조하면, 데이터 공유 모듈(185)은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프레젠테이션 파일의 실행 화면(510)에 제어 정보(512)를 입력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제어 정보는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프레젠테이션 파일과 관련된 음성 데이터, 포인터 오브젝트 및 편집 오브젝트 등 프레젠테이션 파일의 실행 중에 입력될 수 있는 프레젠테이션 파일과 관련하여 입력된 정보가 될 수 있다.
도 10b를 참조하면, 데이터 공유 모듈(185)은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단말기에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프레젠테이션 파일 및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프레젠테이션 파일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 정보와 함께 송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단말기는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한 프레젠테이션 파일의 실행 화면(520)에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한 제어 정보(512)를 표시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젠테이션 데이터의 송신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데이터 공유 모듈(185)은 디스플레이부(151)가 프레젠테이션 파일 실행 화면(600)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프레젠테이션 파일과 관련된 썸네일 이미지(612 및 612)를 제1 영역(610)에 표시하고,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프레젠테이션 파일 중 어느 하나의 프레젠테이션 파일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를 제2 영역(620)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에, 데이터 공유 모듈(185)은 제2 영역(620)에서 제어 정보(622)를 입력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다수의 외부 단말기에 프레젠테이션 파일을 공유할 때, 각 단말기 별로 독립적인 제어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가 제공될 수 있다.
도 12a 및 도 12b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젠테이션 데이터 공유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무선 통신부(110)가 복수의 채널을 이용하여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프레젠테이션 파일 및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프레젠테이션 파일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를 복수의 외부 단말기에 송신할 때, 각각의 채널은 복수의 외부 단말기 각각에 할당되지 않고, 미리 설정된 시간 정보에 따라 할당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무선 통신부(110)는 각각의 채널을 이용하여 파일 또는 영상 데이터의 특정 부분을 복수의 외부 단말기 각각에 송신할 수 있다.
도 12a를 참조하면, 외부 단말기가 4개 일 때, 무선 통신부(110)는 프레젠테이션 경과 시간에 따라 4개의 채널(채널 A 내지 채널 D)을 할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채널 A에는 프레임 1-8이 할당되고, 채널 B에는 프레임 9-16이 할당되고, 채널 C에는 프레임 17-24가 할당되고, 채널 D에는 프레임 25-32가 할당될 수 있다.
무선 통신부(110)는 채널 A를 통해 프레임 1-8을 복수의 외부 단말기 각각에 전송하고, 채널 B를 통해 프레임 9-16을 복수의 외부 단말기 각각에 전송하고, 채널 C를 통해 프레임 17-24를 복수의 외부 단말기 각각에 전송하고, 채널 D를 통해 프레임 25-32를 복수의 외부 단말기 각각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도 12b를 참조하면, 외부 단말기가 4개 일 때, 무선 통신부(110)는 프레젠테이션 경과 시간에 따라 4개의 채널(채널 A 내지 채널 D)을 할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채널 A에는 프레임 1이 할당되고, 채널 B에는 프레임 2-3이 할당되고, 채널 C에는 프레임 4-7이 할당되고, 채널 D에는 프레임 8-15가 할당될 수 있다.
무선 통신부(110)는 채널 A를 통해 프레임 1을 복수의 외부 단말기 각각에 전송하고, 채널 B를 통해 프레임 2-3을 복수의 외부 단말기 각각에 전송하고, 채널 C를 통해 프레임 4-7을 복수의 외부 단말기 각각에 전송하고, 채널 D를 통해 프레임 8-15을 복수의 외부 단말기 각각에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각의 채널이 각각의 외부 단말기에 할당되어 프레젠테이션 데이터가 송신될 때보다 네트워크 부하가 감소 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젠테이션 데이터 공유 과정에서 이벤트 발생시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동 단말기(100)가 외부 단말기에 프레젠테이션 데이터를 공유하는 과정에서 디스플레이부(151)는 화면(800)에 공유되는 프레젠테이션 파일에 대한 실행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프레젠테이션 파일과 관련된 이벤트(예를 들어, 애니메이션 효과, 하이퍼링크에 의한 화면 전환 등)가 발생하면, 데이터 공유 모듈(185)은 일반적인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디스플레이부(151)는 계속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화면(800)에 프레젠테이션 파일에 대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이와 달리. 프레젠테이션 파일과 관련되지 않은 이벤트(예를 들어, 착신 호 수신, 알람 메시지 등)가 발생하면, 데이터 공유 모듈(185)은 예외적인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디스플레이부(151)는 화면(800)을 제1 영역(810) 및 제2 영역(820)으로 분할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영역(810)은 프레젠테이션의 실행 영상을 계속하여 표시하고, 제2 영역(820)은 이벤트 발생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방향성에 기초한 프레젠테이션 데이터 공유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동 단말기(100)가 복수의 프레젠테이션 파일을 복수의 외부 단말기에 공유할 때, 디스플레이부(151)는 복수의 외부 단말기 각각의 물리적인 방향에 기초하여, 외부 단말기에 공유되고 있는 프레젠테이션 파일에 대한 실행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개의 프레젠테이션 파일을 4개의 외부 단말기에 공유할 때, 디스플레이부(151)는 4개의 외부 단말기에 공유되는 프레젠테이션 파일에 대한 영상을 화면(1110)에 분할하여 표시될 수 있다.
먼저, 센싱부(140)는 삼각 측량법 등을 이용하여 복수의 외부 단말기 각각의 상대적인 방향을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3개의 액세스 포인트가 이동 단말기(100) 및 각각의 외부 단말기에 대한 수신 신호의 세기(도착 시간, 도착 시간차 등)에 기초하여 이동 단말기(100) 및 각각의 외부 단말기까지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3개의 액세스 포인트에서 측정된 거리를 조합하여,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100)와 각각의 외부 단말기 사이의 방향을 측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삼각 측량법은 홈 네트워크 내에서 공유할 때 이용될 수 있다. 반면에, 여러 개의 홈 네트워크 사이의 공유에 이용될 때는, 각각의 단말기들의 GPS 정보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100)가 각각의 단말기들의 방향을 측정할 수 있다.
측정된 방향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부(151)는 외부 단말기에 공유되는 프레젠테이션 파일에 대한 실행 영상을 화면(1110)에 분할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단말기(1120)에 송신되는 프레젠테이션 파일에 대한 실행 영상은 화면(1110)에서 좌측 상단에 표시되고, 외부 단말기(1130)에 송신되는 프레젠테이션 파일에 대한 실행 영상은 화면(1110)에서 우측 상단에 표시되고, 외부 단말기(1140)에 송신되는 프레젠테이션 파일에 대한 실행 영상은 화면(1110)에서 좌측 하단에 표시되고, 외부 단말기(1150)에 송신되는 프레젠테이션 파일에 대한 실행 영상은 화면(1110)에서 좌측 하단에 표시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프레젠테이션 데이터를 공유하고 있는 외부 단말기를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는데, 특히 외부 단말기가 동일 기종인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혼동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젠테이션 데이터 공유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무선 통신부(110)는 외부 단말기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프레젠테이션 파일에 대응하는 부가 정보를 수신한다(S210). 그리고,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가 수신한 부가 정보를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제어부(180)는 부가 정보에 대응하는 전송 요청(수신 여부 및 수신 시간 중 적어도 하나)을 입력받을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무선 통신부(110)가 입력된 전송 요청을 부가 정보를 송신한 외부 단말기에 송신하도록 제어한다(S220).
무선 통신부(110)는 송신한 전송 요청에 따라 외부 단말기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프레젠테이션 파일 및 적어도 하나의 프레젠테이션 파일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한다(S230).
제어부(180)는 수신한 적어도 하나의 프레젠테이션 파일을 실행하거나 디스플레이부(151)가 수신한 적어도 하나의 프레젠테이션 파일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를 표시하도록 제어한다(S240). 또한, 제어부(180)는 부가 정보에서 프레젠테이션 데이터의 저장을 허용하는 것으로 설정된 경우에, 수신한 적어도 하나의 프레젠테이션 파일 및 수신한 적어도 하나의 프레젠테이션 파일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메모리(160)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수신한 적어도 하나의 프레젠테이션 파일과 관련된 메시지(질문 메시지)를 입력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무선 통신부(110)가 외부 단말기에 입력된 메시지를 포함하는 인터럽트 요청을 송신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80)는 무선 통신부(110)가 외부 단말기로부터 송신한 메시지에 대응하는 응답(답변 메시지)을 수신하도록 제어한다(S250).
또한, 제어부(180)는 프레젠테이션 데이터 공유의 종료 요청을 입력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무선 통신부(110)가 입력된 종료 요청을 외부 단말기에 송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무선 통신부(110)가 외부 단말기로부터 송신이 종료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260).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가 송신이 종료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방법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이동 단말기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설명하였다.
여기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0: 이동단말기 110: 무선통신부
120: A/V 입력부 130: 사용자 입력부
140: 센싱부 150: 출력부
160: 메모리 170: 인터페이스부
180: 제어부 190: 전원 공급부

Claims (15)

  1. 적어도 하나의 프레젠테이션 파일 및 적어도 하나의 외부 단말기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레젠테이션 파일에 대응하는 부가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단말기에 상기 생성된 부가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단말기로부터 상기 부가 정보에 대응하는 전송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전송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레젠테이션 파일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레젠테이션 파일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단말기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프레젠테이션 데이터 공유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레젠테이션 파일을 실행하거나,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레젠테이션 파일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프레젠테이션 데이터 공유 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레젠테이션 파일 및 적어도 하나의 외부 단말기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레젠테이션 파일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단말기에 맵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프레젠테이션 데이터 공유 방법.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레젠테이션 파일과 관련된 프레젠테이션의 일정, 발표자, 제목, 발표자 관여 여부, 저장 허용 여부에 관한 정보 및 보조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프레젠테이션 데이터 공유 방법.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레젠테이션 파일과 관련된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프레젠테이션 데이터 공유 방법.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레젠테이션 파일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레젠테이션 파일의 실행 영상을 캡처하여 변환된 영상 데이터인 것인 이동 단말기의 프레젠테이션 데이터 공유 방법.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레젠테이션 파일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레젠테이션 파일과 관련된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프레젠테이션 데이터 공유 방법.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레젠테이션 파일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는,
    미리 설정된 시간 정보에 따라 표시되는 영상 데이터인 것인 이동 단말기의 프레젠테이션 데이터 공유 방법.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레젠테이션 파일과 관련된 음성 데이터, 포인터 오브젝트에 관한 정보 및 편집 오브젝트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프레젠테이션 데이터 공유 방법.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요청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레젠테이션 파일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레젠테이션 파일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수신 여부 및 수신 시간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프레젠테이션 데이터 공유 방법.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레젠테이션 파일과 관련된 썸네일 이미지를 제1 영역에 표시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레젠테이션 파일 중 어느 하나의 프레젠테이션 파일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를 제2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프레젠테이션 데이터 공유 방법.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레젠테이션 파일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레젠테이션 파일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단말기에 송신하는 단계는,
    시간 정보에 따라 할당된 복수의 채널을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레젠테이션 파일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레젠테이션 파일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단말기에 송신하는 단계인 것인 이동 단말기의 프레젠테이션 데이터 공유 방법.
  13. 외부 단말기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프레젠테이션 파일에 대응하는 부가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외부 단말기에 상기 부가 정보에 대응하는 전송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
    상기 전송 요청에 따라 상기 외부 단말기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레젠테이션 파일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레젠테이션 파일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레젠테이션 파일을 실행하거나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레젠테이션 파일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프레젠테이션 데이터 공유 방법.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레젠테이션 파일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레젠테이션 파일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프레젠테이션 데이터 공유 방법.
  15. 적어도 하나의 프레젠테이션 파일 및 적어도 하나의 외부 단말기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레젠테이션 파일에 대응하는 부가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생성된 부가 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단말기에 송신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단말기로부터 상기 부가 정보에 대응하는 전송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전송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레젠테이션 파일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레젠테이션 파일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단말기에 송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KR1020110023063A 2011-03-15 2011-03-15 프레젠테이션 데이터 공유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이동 단말기 KR2012010531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3063A KR20120105318A (ko) 2011-03-15 2011-03-15 프레젠테이션 데이터 공유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이동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3063A KR20120105318A (ko) 2011-03-15 2011-03-15 프레젠테이션 데이터 공유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이동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5318A true KR20120105318A (ko) 2012-09-25

Family

ID=471123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3063A KR20120105318A (ko) 2011-03-15 2011-03-15 프레젠테이션 데이터 공유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이동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05318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2113212A1 (de) 2012-09-21 2014-03-27 Hyundai Motor Company Hydrauliksystem für einen Doppelkolben
WO2014142368A1 (ko) * 2013-03-13 2014-09-18 스퀘어네트 주식회사 Web 기반 프리젠테이션 서비스에서 프리젠테이션 실시간 동기화 장치 및 방법.
KR101518482B1 (ko) * 2014-08-01 2015-05-08 (주)자이닉스 스마트기기의 이벤트신호 동기화를 이용한 실시간 프리젠테이션 컨텐츠 저작 시스템
KR101664947B1 (ko) * 2015-09-25 2016-10-19 주식회사 텔레포트나인 레이어 공유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2113212A1 (de) 2012-09-21 2014-03-27 Hyundai Motor Company Hydrauliksystem für einen Doppelkolben
WO2014142368A1 (ko) * 2013-03-13 2014-09-18 스퀘어네트 주식회사 Web 기반 프리젠테이션 서비스에서 프리젠테이션 실시간 동기화 장치 및 방법.
KR101518482B1 (ko) * 2014-08-01 2015-05-08 (주)자이닉스 스마트기기의 이벤트신호 동기화를 이용한 실시간 프리젠테이션 컨텐츠 저작 시스템
KR101664947B1 (ko) * 2015-09-25 2016-10-19 주식회사 텔레포트나인 레이어 공유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75024B2 (en) Mobile terminal and displaying method thereof
KR101757870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9678650B2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streaming of media data
US9207853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1804338B1 (ko) 이동 단말기
US9081477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CN104158854B (zh) 资源共享方法及装置
KR20190002575A (ko) 디바이스 간의 복사하기 및 붙이기
KR20130001826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10128487A (ko)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컨텐츠 공유 방법
KR20140009851A (ko)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KR20120105318A (ko) 프레젠테이션 데이터 공유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이동 단말기
KR20120026189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801189B1 (ko) 홈 네트워크에서의 콘텐츠 공유
US8638766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1973641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101748153B1 (ko) 홈 네트워크에서의 정보 표시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이동 단말기
KR20130038757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작동 방법
KR101771458B1 (ko)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이동 단말기
KR101747787B1 (ko) 홈 네트워크에서의 영상 표시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이동 단말기
KR101760745B1 (ko) 홈 네트워크를 통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이동 단말기
KR101735517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897729B1 (ko) 이동 단말기
CN105760080A (zh) 显示方法、装置、控制设备及显示设备
KR20140147599A (ko)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