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96977A - 작업자 안전관리시스템 - Google Patents

작업자 안전관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96977A
KR20120096977A KR1020110016270A KR20110016270A KR20120096977A KR 20120096977 A KR20120096977 A KR 20120096977A KR 1020110016270 A KR1020110016270 A KR 1020110016270A KR 20110016270 A KR20110016270 A KR 20110016270A KR 20120096977 A KR20120096977 A KR 201200969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er
safety
information
sensor
det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62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장원
김이주
김국세
Original Assignee
(주)바소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바소콤 filed Critical (주)바소콤
Priority to KR10201100162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96977A/ko
Publication of KR201200969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69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larm Systems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Abstract

응급상황이 발생되거나 작업자가 안전 지역을 벗어나는 경우 해당 정보를 작업자 또는 관리자에게 알리는 작업자 안전관리시스템이 소개된다. 작업자 안전관리시스템은 작업자의 안전모에 장착되어 작업자의 위치 및 안전 상태를 측정하고 측정된 감지정보를 인가하는 안전감지기와, 안전감지기에서 인가된 감지정보를 전달하도록 작업 현장의 안전 가이드라인에 설치되는 복수의 정보전송기와, 복수의 정보전송기로부터 작업 현장에서 작업하는 작업자의 감지정보를 수집하는 정보수집기와, 각 지역의 작업 현장에 배치되어 정보수집기의 감지정보로부터 작업자의 안전 상태를 파악하여 위험신호를 인가하는 현장관리기와, 각 지역의 현장관리기로부터 위험신호를 취합하여 각 지역의 작업 현장에서 작업하는 전체 작업자의 안전 상태를 관리하는 중앙관리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작업자 안전관리시스템{SYSTEM FOR SAFETY MANAGEMENT OF WORKER}
본 발명은 작업자 안전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사 현장의 작업자에 대한 위험 상태를 관리자 및 작업자에게 알려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작업자 안전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설산업은 다양한 공종과 수많은 작업 인력이 투입되어 동시에 여러 작업이 진행되는 노동집약적인 산업으로서, 투입되는 인력에 대한 체계적이며 효과적인 관리와 운용과, 투입인력에 대한 확실한 안전관리가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그러나 종래 건설현장에서는 현장 자체에 내재되어 있는 다양한 환경으로부터 기인되는 위험성과 작업자의 사소한 부주의로 인하여 안전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게 됨에 따라, 귀중한 인적자원이 손실되는 치명적인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특히, 건설현장에는 다양한 분야의 작업자들이 배치되어 각자의 작업을 수행하게 되는데, 이러한 작업자의 인원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관리자의 인원이 극히 적고, 실외 작업시 현장 관리자의 통제와 관리가 제한되는 영역에서는 건설현장 인력에 대한 효율적이고 정확한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건설현장 인력에 대한 안전사고나 비효율적인 인력관리는 전체적인 공사비의 상승과 생산성의 저하 그리고 공사기간의 연장 등의 문제점을 야기한다.
이에, 종래에는 건설현상에서의 인력관리 및 안전관리를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건설 현장 노무 관리 시스템 및 방법(특허공개공보 : 10-2002-0005066)"이 제안된 바 있다.
이 건설 현장 노무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은, 다수의 건설 현장에 각각 설치되어 건설 현장의 노무자 정보를 관리하는 현장관리 시스템과, 건설 현장에 설치되어 건설 현장의 노무자 출퇴근 정보를 입력받고 이를 현장 관리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다수의 출퇴근 확인 수단과, 건설 회사에 설치되어 현장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노무자들의 출퇴근 정보를 수신하여 노무자별로 데이타를 분리 저장하고, 이를 테이블 형식으로 디스플레이시키는 중앙관리시스템을 포함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은 노무자들의 출퇴근 시간 등의 출퇴근 정보를 수신받아 단순히 근태관리만을 하는 것에 지나지 않으며, 출퇴근 확인을 위한 ID 카드를 늘 소지하고 있어야 하므로 분실의 우려가 크고, ID카드를 작업복 안에 소지하는 경우 작업 중에 파손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응급상황 발생시 빠른 조치를 통해 작업자의 안전 도모를 구현하고, 작업자가 위험 지역에 출입하거나 제한 구역에 출입하는 경우 이를 작업자 및 관리자에게 알려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작업자 안전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작업자 안전관리시스템은, 안전감지기, 정보전송기, 정보수집기, 현장관리기 및 중앙관리기를 포함하고, 안전감지기는 작업자의 안전모에 장착되어 작업자의 위치 및 안전 상태를 측정하고 측정된 감지정보를 인가하고, 정보전송기는 상기 안전감지기에서 인가된 감지정보를 전달하도록 작업 현장의 안전 가이드라인에 설치되는 복수로 구성되고, 정보수집기는 상기 복수의 정보전송기로부터 작업 현장에서 작업하는 작업자의 감지정보를 수집하고, 현장관리기는 각 지역의 작업 현장에 배치되어 상기 정보수집기의 감지정보로부터 작업자의 안전 상태를 파악하여 위험신호를 인가하고, 중앙관리기는 각 지역의 현장관리기로부터 위험신호를 취합하여 각 지역의 작업 현장에서 작업하는 전체 작업자의 안전 상태를 관리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각 지역의 현장관리기로부터 위험신호를 인가받아 해당 지역에서 작업자의 위험 상태를 조회할 수 있는 원격조회단말기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안전감지기는 작업자의 안전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센서부와, 상기 감지센서부에서 감지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정보전송기에 송신하고 상기 현장관리기로부터 위험신호를 수신받는 RF 통신모듈과, 상기 RF 통신모듈로부터 위험신호가 전달되면 경고신호를 인가하는 감지처리부와, 상기 감지처리부로부터 경고신호를 인가받아 작업자에게 위험 상황을 알리는 경고부와, 상기 감지센서부, RF 통신모듈, 감지처리부 및 경고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감지전원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감지센서부는 작업자의 기울기 상태 및 이동 가속도를 감지하는 모션감지 센서류와, 작업자 주위의 온도 및 습도 상태를 감지하는 환경감지 센서류와, 작업자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감지 센서류와, 작업자의 건강 변화를 감지하는 생체감지 센서류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현장관리기는 안전 가이드라인에 설치된 각각의 정보전송기로부터 측정되는 신호 세기를 기초로 하여 작업자가 안전 지역을 이탈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현장관리기는 상기 모션감지 센서류에 의해 작업자의 자세 및 동작 이상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환경감지 센서류에 의해 작업자의 주위 환경 이상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위치감지 센서류에 의해 작업자가 안전 지역을 이탈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생체감지 센서류에 의해 작업자의 건강 상태 이상 여부를 판단한 후, 이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이상 여부로 판단되면 위험신호를 상기 안전감지기 및 중앙관리기에 각각 인가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현저한 효과가 구현될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은 응급상황 발생시 빠른 조치를 통해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둘째, 본 발명은 작업자가 위험 지역에 출입하거나 제한 구역에 출입하는 경우, 해당 상황을 근거리 통신망을 이용하여 작업자에게 알림으로써, 공사현장에서 발생되는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셋째, 본 발명은 작업자의 지속적이고 효율적으로 관리함으로써, 관리자의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작업자 안전관리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작업자 안전관리시스템의 안전감지기를 도시한 블록도.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작업자 안전관리시스템의 안전감지기가 장착된 안전모를 도시한 배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작업자 안전관리시스템의 정보전송기를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작업자 안전관리시스템의 정보수집기를 도시한 블록도.
도 5는 작업자가 안전 지역을 이탈하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작업자 안전관리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작업자(101) 안전관리시스템은, 안전모(102)에 마련된 안전감지기(100)를 통해 작업자(101)의 상태 및 위치 정보를 제공받아, 작업자(101)에게 응급상황이 발생되거나 작업자(101)가 안전 지역을 벗어나는 경우 해당 정보를 작업자(101) 또는 관리자에게 알림으로써,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작업자(101) 안전관리시스템은 안전감지기(100), 정보전송기(200), 정보수집기(300), 현장관리기(400), 중앙관리기(500) 및 원격조회단말기(6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안전감지기(100)는 공사 현장에서 작업하는 작업자(101)의 위치 및 안전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 작업자(101)의 실시간 감지를 통해 작업자(101)의 안전, 위치, 근무태도 등의 관리 작업을 전반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안전감지기(100)는 작업자(101)의 위치 및 안전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센서부(110)와, 감지된 감지정보를 송수신하는 RF 퉁신모듈(120)과, RF 퉁신모듈(120)로부터 위험신호가 전달되면 경고신호를 인가하는 감지처리부(130)와, 경고신호에 따라 작업자(101)에게 위험 상황을 알리는 경고부(140)와, 상기의 구성에 전원을 공급하는 감지전원부(150)로 구성되며, 이 안전감지기(100)는 작업자(101)가 공사 현장에서 필수적으로 착용해야 하는 안전모(102)의 후방측에 장착된다.
안전감지기(100)의 감지센서부(110)는 작업자(101)의 안전 지역 이탈 여부를 파악하기 위해 작업자(101)의 위치를 감지하고, 작업자(101)의 안전 상태를 파악하기 위해 작업자(101)의 움직임, 건강 변화 및 주위환경 등을 감지한다.
즉, 감지센서부(110)는 기울기 센서(111a), 가속도 센서(111b) 및 자이로 센서(111c)를 통해 작업자(101)의 기울기 상태 및 이동 가속도를 측정함으로써 작업자(101)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모션감지 센서류(111)와, 온도 센서(112a) 및 습도 센서(112b)를 통해 작업자(101) 주위의 온도 및 습도 상태를 측정하여 주위환경을 감지하는 환경감지 센서류(112)와, 위치 센서를 통해 작업자(101)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감지 센서류(113)와, 심박수 센서(114a) 및 뇌파 센서(114b)를 측정하여 작업자(101)의 건강 변화를 감지하는 생체감지 센서류(114)로 이루어진다. 이 감지센서부(110)를 통해 측정된 감지정보는, 정보전송기(200) 및 정보수집기(300)를 통해 현장관리기(400)에 전달된 후, 현장관리기(400)에서 작업자(101)에 대한 응급상황 발생 여부와 안전 지역의 이탈 여부가 판단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감지센서부(110)의 감지정보를 현장관리기(400)에서 판단하였으나, 감지센서부(110)의 감지정보를 현장관리기(400)를 거치지 아니하고 안전감지기(100)의 감지처리부(130)에서 판단하거나, 정보전송기(200)의 정보처리부(220) 또는 정보수집기(300)의 수집처리부(320)에서 판단되도록 설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안전감지기(100)의 감지처리부(130)는 RF 퉁신모듈(210)로부터 위험신호가 전달되면 경고신호를 경고부(140)에 인가한다. 여기서, RF 퉁신모듈(210)은 감지센서부(110)에서 감지정보를 전달받아 정보전송기(200)에 송신하거나, 현장관리기(400)로부터 위험신호를 수신받아 경고부(140)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안전감지기(100)의 경고부(140)는 감지처리부(130)로부터 위험신호를 인가받는 경우 작업자(101)에게 위험 상황을 알리기 위한 구성으로, 경고음을 통해 작업자(101)에게 위험 상황을 알리는 경고벨(141)과, 진동을 통해 작업자(101)에게 위험 상황을 인지시키는 진동자(142)로 구성될 수 있다. 이들 경고벨(141) 및 진동자(142)는 동시에 사용되거나, 이들 중 선택된 하나만이 사용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보전송기(200)는 RF 통신 모듈(210), 전송처리부(220) 및 전송전원부(23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안전감지기(100)에서 인가된 감지정보를 정보수집기(300)에 전달한다. 여기서, RF 통신 모듈(210)은 안전감지기(100)에서 인가된 감지정보를 수신하고 안전감지기(100)에서 인가된 감지정보를 정보수집기(300)에 송신한다. 그리고 전송처리부(220)는 정보전송기(200)를 제어하고, 전송전원부(230)는 RF 통신 모듈(210) 및 전송처리부(230)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 정보전송기(200)는 작업 현장의 안전 가이드라인(103)을 따라 이격하여 배치되는 복수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복수의 정보전송기(200)는 안전 가이드라인(103) 상에 안전감지기(100)와 인접하게 배치됨에 따라 안전감지기(100)로부터 감지정보를 정확하게 효과적으로 인가받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안전감지기(100)에 내장된 위치감지 센서류(113)를 통해 작업자(101)의 위치를 파악하도록 구성하였지만, 경우에 따라, 안전감지기(100)는 작업자(101)의 안전감지기(100)로부터 송신되는 감지정보 신호 세기를 파악한 후, 안전감지기(100)의 감지처리부(130)는 작업자(101)가 안전 지역을 이탈하였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감지정보 신호 세기를 통해 작업자(101)가 안전 지역을 이탈하였지는지 여부를, 안전감지기(100)에서 판단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정보전송기(200) 또는 현장관리기(400)에서 판단할 수도 있을 것이다.
정보전송기(200)에서 감지정보 신호 세기를 통해 작업자(101)가 안전 지역을 이탈하였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경우에는, 정보전송기(200)는 작업자(101)의 안전감지기(100)로부터 송신되는 감지정보 신호 세기를 파악하여 작업자(101)가 안전 지역을 이탈하였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데, 이때, 정보전송기(200)는 안전 가이드라인(103) 상에 적어도 3개가 사용되므로, 작업자(101)의 안전감지기(100)로부터 수신된 각각의 신호 세기를 기초로 하여, 각각의 정보전송기(200)에서 어느 정도 떨어져 있는지 알 수 있고 이를 기반하여 위치를 계산할 수 있다. 즉, 작업자(101)가 안전 가이드라인(103)으로부터 멀어지게 되면, 정보전송기(200)에서 안전감지기(100)로부터 송신되는 감지정보 신호는 감지되지 않거나 그 세기가 약해지게 되는데, 이 경우, 작업자(101)가 안전 지역을 이탈한 것으로 파악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보수집기(300)는 복수의 정보전송기(200)로부터 작업 현장에서 작업하는 작업자(101)의 감지정보를 수집한다.
이러한 정보수집기(300)는 정보전송기(200)에서 인가된 감지정보를 수신하고 현장관리기(400)에서 인가된 위험신호를 원격조회단말기(600) 또는 중앙관리기(500)에 송신하는 RF 통신 모듈(340)과, 정보수집기(300)를 전체적으로 제어하는 수집처리부(320)와, RF 통신 모듈(210) 및 수집처리부(320)에 전원을 공급하는 수집전원부(330)와, 현장관리기(40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이 가능한 단말 통신부(330)로 구성된다.
현장관리기(400)는 각 지역의 작업 현장에 배치되어 정보수집기(300)의 감지정보로부터 작업자(101)의 안전 상태를 파악한다. 특히, 현장관리기(400)는 정보수집기(300)의 감지정보를 분석한 결과, 작업자(101)에게 응급상황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거나 작업자(101)가 안전 지역을 이탈한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작업자(101)는 물론, 원격조회단말기(600) 및 중앙관리기(500)에 위험신호를 인가한다.
예컨대, 현장관리기(400)는 안전감지기(100)의 모션감지 센서류(111) 및 생체감지 센서류(114)를 통해 작업자(101)가 쓰러져 있거나 한 곳에 장시간 움직이지 않고 있는지, 또는 환경감지 센서류(112)를 통해 작업자(101)의 주위환경에 급작스런 온도변화나 습도변화가 있는지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작업자(101)가 응급상황에 처해 있는지를 최종적으로 판단한다. 또한, 현장관리기(400)는 위치감지 센서류(113)를 통해 작업자(101)가 안전 지역을 이탈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상술한 센서류를 통해 작업자(101)가 응급상황에 처해 있는지 또는 작업자(101)가 안전 지역을 이탈했는지를 결정하는 기준은, 작업자(101)의 몸 상태, 공사 현장의 주변환경 및 기상 상태 등 여러 가지 변수에 의해 가변될 수 있다.
중앙관리기(500)는 각 지역의 현장관리기(400)로부터 위험신호를 취합하여 각 지역의 작업 현장에서 작업하는 전체 작업자(101)의 안전 상태를 관리한다. 즉, 중앙관리기(500)는 작업자(101)가 응급상황에 처해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해당 응급상황을 외부 응급후송기관과 해당 공사 현장 인근의 관리자에게 알림으로써, 응급상황에 대한 조치가 신속히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원격조회단말기(600)는 각 지역의 현장관리기(400)로부터 위험신호를 인가받아 해당 지역에서 작업자(101)의 위험 상태가 조회되도록 구성된다. 이로써, 관리자는 외부에서도 원격조회단말기(600)를 이용하여 작업자(101)에 대한 관리를 신속하고 편리하게 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구성 간의 무선 링크는 각각의 쓰임새에 있어서 다소 간의 차이가 있다. 예컨대, 안전감지기(100)와 정보전송기(200) 사이에 연결된 무선 링크는 상호 간의 데이터 전송뿐만 아니라 안전감지기(100)의 위치 측정을 하기 위한 서비스도 제공할 수 있는데 반하여, 정보전송기(200)와 정보수집기(300) 사이에 연결된 무선 링크는 상호 간의 데이터 전송만 제공하고, 현장관리기(400) 및 중앙관리기(500)와 원격조회단말기(600) 사이에 연결된 무선 링크도 상호 간의 데이터 전송만 제공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공사 현장에 배치된 작업자(101)의 위치 및 안전에 대한 정보가 작업자(101)의 안전모(102)에 장착된 안전감지기(100)의 각종 센서류를 통해 측정되면, 측정된 감지정보는 안전 가이드라인(103)에 설치된 정보전송기(200)에 전송되고, 정보전송기(200)에 전송된 감지정보는 무선 네트워크 망을 이용하여 정보수집기(300)에 전송된 후, 유무선 통신 방식으로 통해 현장관리기(400)에 전송된다.
안전감지기(100)의 감지정보가 현장관리기(400)에 전송되면, 현장관리기(400)에서는 전송된 감지정보를 분석하여 공사 현장의 작업자(101)에게 응급상황이 발생했는지, 또는 작업자(101)가 안전 지역을 벗어났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한 결과를 작업자(101), 원격조회단말기(600) 및 중앙관리기(500)에 알린다. 이때, 중앙관리기(500)에서는 현장관리기(400)의 판단 결과에 따라, 공사 현장의 작업자(101)에게 신속한 조치가 이루어지도록 관리한다.
예컨대, 공사 현장의 작업자(101)가 안전모(102)를 착모한 상태에서 안전 지역을 이탈하거나 작업자(101)가 쓰러져 오랜 시간 움직이지 않게 되면, 안전모(102)의 안전감지기(100)는 작업자(101)의 감지정보를 정보전송기(200) 및 정보수집기(300)를 통해 현장관리기(400)에 전달한다. 현장관리기(400)에 감지정보가 전달되면, 현장관리기(400)는 안전감지기(100)로부터 수신한 감지정보를 분석한 후, 작업자(101)가 응급상황에 처해 있다고 판단되거나 안전 지역을 벗어난 것으로 판단되면, 위험신호를 안전감지기(100)에 전송하여 경고부(140)를 통해 작업자(101)에게 알리고, 이와 동시에 중앙관리기(500) 및 원격조회단말기(600)로 정보를 전송하여 관리자에게 알린다.
상기에서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0 :안전감지기 110 :감지센서부
120 :RF 통신모듈 130 :감지처리부
140 :감지경고부 150 :감지전원부
200 :정보전송기 300 :정보수집기
400 :현장관리기 500 :중앙관리기
600 :원격조회단말기

Claims (6)

  1. 작업자의 안전모에 장착되어 작업자의 위치 및 안전 상태를 측정하고 측정된 감지정보를 인가하는 안전감지기;
    상기 안전감지기에서 인가된 감지정보를 전달하도록 작업 현장의 안전 가이드라인에 설치되는 복수의 정보전송기;
    상기 복수의 정보전송기로부터 작업 현장에서 작업하는 작업자의 감지정보를 수집하는 정보수집기;
    각 지역의 작업 현장에 배치되어 상기 정보수집기의 감지정보로부터 작업자의 안전 상태를 파악하여 위험신호를 인가하는 현장관리기; 및
    각 지역의 현장관리기로부터 위험신호를 취합하여 각 지역의 작업 현장에서 작업하는 전체 작업자의 안전 상태를 관리하는 중앙관리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자 안전관리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각 지역의 현장관리기로부터 위험신호를 인가받아 해당 지역에서 작업자의 위험 상태를 조회할 수 있는 원격조회단말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자 안전관리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안전감지기는 작업자의 안전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센서부와, 상기 감지센서부에서 감지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정보전송기에 송신하고 상기 현장관리기로부터 위험신호를 수신받는 RF 통신모듈과, 상기 RF 통신모듈로부터 위험신호가 전달되면 경고신호를 인가하는 감지처리부와, 상기 감지처리부로부터 경고신호를 인가받아 작업자에게 위험 상황을 알리는 경고부와, 상기 감지센서부, RF 통신모듈, 감지처리부 및 경고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감지전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자 안전관리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감지센서부는 작업자의 기울기 상태 및 이동 가속도를 감지하는 모션감지 센서류와, 작업자 주위의 온도 및 습도 상태를 감지하는 환경감지 센서류와, 작업자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감지 센서류와, 작업자의 건강 변화를 감지하는 생체감지 센서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자 안전관리시스템.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현장관리기는 안전 가이드라인에 설치된 각각의 정보전송기로부터 측정되는 신호 세기를 기초로 하여 작업자가 안전 지역을 이탈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자 안전관리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현장관리기는 상기 모션감지 센서류에 의해 작업자의 자세 및 동작 이상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환경감지 센서류에 의해 작업자의 주위 환경 이상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위치감지 센서류에 의해 작업자가 안전 지역을 이탈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생체감지 센서류에 의해 작업자의 건강 상태 이상 여부를 판단한 후, 이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이상 여부로 판단되면 위험신호를 상기 안전감지기 및 중앙관리기에 각각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자 안전관리시스템.
KR1020110016270A 2011-02-24 2011-02-24 작업자 안전관리시스템 KR2012009697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6270A KR20120096977A (ko) 2011-02-24 2011-02-24 작업자 안전관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6270A KR20120096977A (ko) 2011-02-24 2011-02-24 작업자 안전관리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6977A true KR20120096977A (ko) 2012-09-03

Family

ID=471084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6270A KR20120096977A (ko) 2011-02-24 2011-02-24 작업자 안전관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96977A (ko)

Cited B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3657B1 (ko) * 2012-12-04 2014-06-13 한국도로공사 스마트 와처 시스템
KR101485257B1 (ko) * 2013-09-04 2015-01-21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선 근거리 통신 조난자 위치 표시 장치 및 그 방법
KR101490373B1 (ko) * 2013-11-05 2015-02-05 박준영 건설현장 및 산업현장의 작업인력 재해 인식 안전 단말기 및 안전 관리 시스템
KR101532209B1 (ko) * 2013-11-20 2015-06-30 (주)성진테크 안전관리 시스템
KR20160081735A (ko) * 2014-12-31 2016-07-08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작업자 행동기반 안전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60116144A (ko) 2015-03-26 2016-10-07 (주)다울 산업 안전 관리 시스템 및 이의 구축 방법
KR101671209B1 (ko) 2016-03-17 2016-11-01 주식회사 지에스아이엘 터널 공사현장의 작업자 안전관리 시스템
KR20160126118A (ko) * 2015-04-22 2016-11-02 최상호 안전 관제 시스템
KR101704937B1 (ko) * 2015-12-07 2017-02-22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기상정보를 기반으로 한 풍력설비의 정비방법 및 정비시스템
KR20180032232A (ko) * 2016-09-21 2018-03-30 주식회사 인터티 산업현장 안전관리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1963345B1 (ko) 2018-11-30 2019-03-28 케이티티플랜트 주식회사 밀폐공간작업용 안전 경보시스템
KR20190040605A (ko) 2017-10-11 2019-04-19 전성남 Lpwa 통신기반 작업자 위험 감지 시스템
WO2019124816A1 (ko) * 2017-12-22 2019-06-27 주식회사 지에스아이엘 밀폐공간을 포함하는 현장의 작업자 안전관리 시스템
KR20190114266A (ko) 2018-03-29 2019-10-10 (주) 군월드 작업 관리 시스템, 서버 및 방법
KR102033376B1 (ko) * 2018-05-18 2019-10-17 주식회사 휴네이트 작업자의 안전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086259B1 (ko) * 2018-11-07 2020-04-20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웨어러블 안전장비와 로라 네트워크를 이용한 건설 안전 관리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KR102104485B1 (ko) * 2018-10-30 2020-04-24 (주)오픈웍스 안전관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20200084589A (ko) * 2019-01-03 2020-07-13 주식회사 노버스메이 안전보호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200113516A (ko) * 2019-03-25 2020-10-07 (주)오픈웍스 3축가속도를 이용한 그룹별 안전관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102168425B1 (ko) 2019-11-27 2020-10-21 우경건설 주식회사 안전관리 기능을 갖는 스마트 다지점 구조물 인상 통합 관리시스템
KR102240068B1 (ko) 2020-07-13 2021-04-14 삼성엔지니어링 주식회사 테블릿 기반의 작업자 안전관리 시스템
KR102251022B1 (ko) 2020-07-16 2021-05-12 곽수찬 볼트해체 감지장치, 인양고리 체결감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안전관리시스템
KR20210137627A (ko) * 2020-05-11 2021-11-18 주식회사 와이즈컨 산업현장의 유해가스 감지 및 근로자 상태 확인 시스템
KR20220011869A (ko) 2020-07-22 2022-02-03 (주) 군월드 공사 안전 관리 시스템, 서버 및 방법
KR20220120158A (ko) * 2021-02-23 2022-08-30 김기용 가로 청소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442122B1 (ko) * 2022-04-14 2022-09-14 (주)대성사 산업현장용 안전 관리장치
WO2022266092A1 (en) * 2021-06-18 2022-12-22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Keep out zone system
KR20230116115A (ko) * 2022-01-27 2023-08-04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안전 헬멧 및 이를 포함하는 안전관리 시스템
CN116541693A (zh) * 2023-07-07 2023-08-04 河北省水利工程局集团有限公司 开放式施工环境人员检测方法、劳务人员在岗管理***
KR20240051808A (ko) 2022-10-13 2024-04-22 주식회사 지에스아이엘 폐쇄형 밀폐작업 실시간 현장 시스템
US12027029B2 (en) 2021-06-18 2024-07-02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Keep out zone system

Cited By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3657B1 (ko) * 2012-12-04 2014-06-13 한국도로공사 스마트 와처 시스템
KR101485257B1 (ko) * 2013-09-04 2015-01-21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선 근거리 통신 조난자 위치 표시 장치 및 그 방법
KR101490373B1 (ko) * 2013-11-05 2015-02-05 박준영 건설현장 및 산업현장의 작업인력 재해 인식 안전 단말기 및 안전 관리 시스템
KR101532209B1 (ko) * 2013-11-20 2015-06-30 (주)성진테크 안전관리 시스템
KR20160081735A (ko) * 2014-12-31 2016-07-08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작업자 행동기반 안전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60116144A (ko) 2015-03-26 2016-10-07 (주)다울 산업 안전 관리 시스템 및 이의 구축 방법
KR20160126118A (ko) * 2015-04-22 2016-11-02 최상호 안전 관제 시스템
WO2017099335A1 (ko) * 2015-12-07 2017-06-15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기상정보를 기반으로 한 풍력설비의 정비방법 및 정비시스템
KR101704937B1 (ko) * 2015-12-07 2017-02-22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기상정보를 기반으로 한 풍력설비의 정비방법 및 정비시스템
US10497224B2 (en) 2016-03-17 2019-12-03 Gsil Co., Ltd. Safety management system for worker at tunnel construction site
GB2564040A (en) * 2016-03-17 2019-01-02 Gsil Co Ltd Safety management system for worker at tunnel construction site
WO2017159946A1 (ko) * 2016-03-17 2017-09-21 주식회사 지에스아이엘 터널 공사현장의 작업자 안전관리 시스템
KR101671209B1 (ko) 2016-03-17 2016-11-01 주식회사 지에스아이엘 터널 공사현장의 작업자 안전관리 시스템
GB2564040B (en) * 2016-03-17 2021-12-15 Gsil Co Ltd Safety management system for worker at tunnel construction site
KR20180032232A (ko) * 2016-09-21 2018-03-30 주식회사 인터티 산업현장 안전관리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190040605A (ko) 2017-10-11 2019-04-19 전성남 Lpwa 통신기반 작업자 위험 감지 시스템
WO2019124816A1 (ko) * 2017-12-22 2019-06-27 주식회사 지에스아이엘 밀폐공간을 포함하는 현장의 작업자 안전관리 시스템
KR20190114266A (ko) 2018-03-29 2019-10-10 (주) 군월드 작업 관리 시스템, 서버 및 방법
KR102033376B1 (ko) * 2018-05-18 2019-10-17 주식회사 휴네이트 작업자의 안전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104485B1 (ko) * 2018-10-30 2020-04-24 (주)오픈웍스 안전관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102086259B1 (ko) * 2018-11-07 2020-04-20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웨어러블 안전장비와 로라 네트워크를 이용한 건설 안전 관리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KR101963345B1 (ko) 2018-11-30 2019-03-28 케이티티플랜트 주식회사 밀폐공간작업용 안전 경보시스템
KR20200084589A (ko) * 2019-01-03 2020-07-13 주식회사 노버스메이 안전보호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200113516A (ko) * 2019-03-25 2020-10-07 (주)오픈웍스 3축가속도를 이용한 그룹별 안전관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102168425B1 (ko) 2019-11-27 2020-10-21 우경건설 주식회사 안전관리 기능을 갖는 스마트 다지점 구조물 인상 통합 관리시스템
KR20210137627A (ko) * 2020-05-11 2021-11-18 주식회사 와이즈컨 산업현장의 유해가스 감지 및 근로자 상태 확인 시스템
KR102240068B1 (ko) 2020-07-13 2021-04-14 삼성엔지니어링 주식회사 테블릿 기반의 작업자 안전관리 시스템
KR102251022B1 (ko) 2020-07-16 2021-05-12 곽수찬 볼트해체 감지장치, 인양고리 체결감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안전관리시스템
KR20220011869A (ko) 2020-07-22 2022-02-03 (주) 군월드 공사 안전 관리 시스템, 서버 및 방법
KR20220120158A (ko) * 2021-02-23 2022-08-30 김기용 가로 청소 관리 시스템 및 방법
US12027029B2 (en) 2021-06-18 2024-07-02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Keep out zone system
WO2022266092A1 (en) * 2021-06-18 2022-12-22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Keep out zone system
KR20230116115A (ko) * 2022-01-27 2023-08-04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안전 헬멧 및 이를 포함하는 안전관리 시스템
KR102442122B1 (ko) * 2022-04-14 2022-09-14 (주)대성사 산업현장용 안전 관리장치
KR20240051808A (ko) 2022-10-13 2024-04-22 주식회사 지에스아이엘 폐쇄형 밀폐작업 실시간 현장 시스템
CN116541693B (zh) * 2023-07-07 2023-09-12 河北省水利工程局集团有限公司 开放式施工环境人员检测方法、劳务人员在岗管理***
CN116541693A (zh) * 2023-07-07 2023-08-04 河北省水利工程局集团有限公司 开放式施工环境人员检测方法、劳务人员在岗管理***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96977A (ko) 작업자 안전관리시스템
AU2019100582A4 (en) A computerised tracking and proximity warning method and system for personnel, plant and equipment operating both above and below the ground or their movement therebetween
RU2472226C2 (ru) Устройство контроля за местонахождением лиц
KR101745709B1 (ko) Uwb를 이용한 작업장 안전 관리 시스템
KR102072380B1 (ko) Uwb 초광대역통신기반의 접근경보모듈을 이용한 지능형 중장비 안전 원격관제시스템
KR101970631B1 (ko) 실시간 작업자 위치 및 설비 상태 추적 기반의 공정 안전 관리 시스템
KR101726138B1 (ko) 제철소내 안전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제철소내 안전 관리 방법
KR102028201B1 (ko) 실시간 작업자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102156703B1 (ko)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포함하는 산업안전용 웨어러블 디바이스
JP6892309B2 (ja) 安全管理システム
KR102140829B1 (ko) 스마트헬멧을 이용한 위험상황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90009482A (ko) 실시간 작업자 위치 및 신체 상태 추적 기반의 안전 관리 시스템
JP6621201B2 (ja) デジタルサイネージシステム
KR101974281B1 (ko) 안전 장비 착용 장려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CN109502439A (zh) 受限进入区域安全***
KR20200073825A (ko) 공기 중 위험상황 감지를 위한 웨어러블 가스 측정 시스템
KR102394574B1 (ko) 스마트 태그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164508B1 (ko) 안전보호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246245B1 (ko) 건설 현장의 안전사고 방지 시스템
KR102286381B1 (ko) 고소작업용 안전고리 체결 확인 센서를 구비한 안전관리 시스템
KR20170142239A (ko) 스마트밴드를 이용한 건설산업현장 안전관리 시스템
JP5985443B2 (ja) 異常検知装置
KR102287889B1 (ko) 작업 발판의 응력 검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작업 발판 안전 관리 시스템
KR20140133231A (ko) 고위험 작업자의 라이프 케어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78671A (ko) 물리적 재해발생 예방을 위한 저전력 근거리 무선통신기반 건설현장 안전관리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