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94022A - 정수기 - Google Patents

정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94022A
KR20120094022A KR1020127015016A KR20127015016A KR20120094022A KR 20120094022 A KR20120094022 A KR 20120094022A KR 1020127015016 A KR1020127015016 A KR 1020127015016A KR 20127015016 A KR20127015016 A KR 20127015016A KR 20120094022 A KR20120094022 A KR 201200940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artridge
chamber
filter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150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코토 고다마
도시카즈 니시가와
도시아키 히라이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200940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402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02F1/003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using household-type filters for producing potable water, e.g. pitchers, bottles, faucet mounted devi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02F1/283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using coal, charred products, or inorganic mixtures containing them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6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addition of specified substances, e.g. trace elements, for ameliorating potable water
    • C02F1/685Devices for dosing the additives
    • C02F1/688Devices in which the water progressively dissolves a solid compound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6Cartridg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7/00Location of water treatment or water treatment device
    • C02F2307/04Location of water treatment or water treatment device as part of a pitcher or ju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정수 카트리지(10)를 오목부(카트리지 수용부)(3b)에 장착시킨 사용 상태에서, 정수 카트리지(10)의 필터(16)를 본체 용기(2)의 연직축 Aw에 대해 경사시켜 배치한다.

Description

정수기{WATER PURIFIER}
본 발명은,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 가정 등에서는, 수돗물 등의 원수를 정화하여 음료수로서 이용하기 위해서, 예를 들면 포트형의 정수기가 활용되고 있다. 이 포트형의 정수기는, 상측에 위치하는 원수실과 하측에 위치하는 정수실을 가진 본체 용기와, 원수실과 정수실 사이에 개재하는 정수 카트리지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원수가 정수 카트리지를 통과함으로써 정수가 생성되고, 생성된 정수가 정수실에 저류되게 되어 있다.
그런데 이 포트형의 정수기는, 통상에서는 본체 용기가 냉장고 등에 보관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기 때문에, 한 번에 생성할 수 있는 정수의 양은 한정되어 버린다. 따라서, 반복 사용함으로써 정수량을 버는 것인데, 특히 여름철 등에는, 음료수로서 이 정수의 사용량이 증가하기 때문에, 원수를 단시간에 정화할 수 있는 능력이 요구되고 있었다.
그래서,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에는, 정수 카트리지의 필터 컵과 뚜껑 사이에 돔 형상의 천(布) 인서트를 배치시킴으로써, 당해 천 인서트를 활성탄 등의 정화제에 접촉시켜 설치함으로써, 체 형상 입구로부터 도수(導水)되는 물의 표면 장력을 차단하여, 공기의 배압에 의한 통수 저항을 억제한 것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국 특허공개 평10-76253호 공보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에서는, 사용 초기는 통수 저항을 저감할 수 있지만, 물의 흐름이 천 인서트의 접촉부에 집중되기 때문에, 접촉되어 있던 정화제가 점차 흘러 내려가 접촉되지 않게 되어, 사용 후기에는 통수 저항이 증대하여 정수의 생성이 원활하게 행해지지 않을 가능성이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사용 초기와 사용 후기에 걸쳐 안정되고 원활하게 정수를 생성하는 것이 가능한 정수기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원수를 저류하는 원수실 및 정수를 저류하는 정수실이 형성된 본체 용기와, 상기 원수실 및 정수실을 구획하는 격벽의 저벽부에 설치되며 또한 상기 원수실과 상기 정수실을 연통하는 개구부가 형성된 카트리지 수용부와, 내부에 정화제가 충전되는 정화실이 형성됨과 함께, 상기 정화실을 덮도록 하여 필터가 배치되며 또한 상기 필터보다도 높은 위치에 도수구가 설치된 정수 카트리지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 용기의 저벽부를 아래로 한 상태로 정수가 생성되는 정수기로서, 상기 정수 카트리지를 상기 카트리지 수용부에 장착시킨 사용 상태에서, 상기 필터를 상기 본체 용기의 연직축에 대해 경사시켜 배치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정수 카트리지를 카트리지 수용부에 장착시킨 사용 상태에서, 정수 카트리지의 필터를 본체 용기의 연직축에 대해 경사시켜 배치하도록 하고 있다. 그 때문에, 정화제를 경사진 필터의 낮은 측에 접촉시킴으로써 유로를 확보함과 함께, 통수된 물에 의해 필터의 높은 측에 모인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쉬워져, 사용 초기와 사용 후기에 걸쳐 안정되고 원활하게 정수를 생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련된 정수기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련된 정수 카트리지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낸 정수 카트리지의 제1 변형예를 나타낸 도이다.
도 4는 도 2에 나타낸 정수 카트리지의 제2 변형예를 나타낸 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련된 정수기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관련된 정수기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복수의 실시 형태에는, 동일한 구성 요소가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그들의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공통의 부호를 부여함과 함께,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실시 형태]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관련된 정수기의 제1 실시 형태를 나타낸 도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정수기(1)는, 포트형 정수기로서 구성되어 있으며, 대략 바닥이 있는 통 형상의 본체 용기(2)와, 마찬가지로 대략 바닥이 있는 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내용기(격벽)(3)와, 정수 카트리지(10)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체 용기(2)의 통 내에, 당해 본체 용기(2)의 천벽부(8)를 바라보도록 하여 내용기(3)를 배치함으로써, 내용기(3)의 내측을 원수실(4), 외측을 정수실(5)로 구획하고 있다.
내용기(3)의 저벽부(3a)에는, 원수실(4)과 정수실(5)을 연통하는 개구부(3c)를 가진 대략 원통 형상의 오목부(카트리지 수용부)(3b)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오목부(3b)에, 대략 원통 형상의 정수 카트리지(10)가, 상방에서 안쪽까지 끼워져 장착된다. 또, 이 상태에서는, 정수 카트리지(10)의 하부(10b)가, 개구부(3c)로부터 노출되어 정수실(5)에 면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본체 용기(2)의 저벽부(2a)를 아래로 한 상태로 원수를 원수실(4)에 주입함과 함께, 원수가 정수 카트리지(10)를 통과함으로써 정수가 생성되고, 생성된 정수가 정수실(5)에 저류된다.
원수실(4)의 상방에는, 급수구(8a)가 형성된 천벽부(8)가 배치된다. 급수구(8a)는, 천벽부(8)에 힌지(9a)를 통하여 회동 가능하게 부착된 상부 개방식의 뚜껑(9)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막혀져 있다. 원수는, 뚜껑(9)을 상방으로 연 상태에서 급수구(8a)를 통하여 원수실(4) 내에 공급된다.
또, 내용기(3)의 측벽부(3e)와 본체 용기(2) 사이에는, 정수실(5)로부터 상방을 향해 신장하는 통로(7)가 형성되어 있으며, 본체 용기(2) 또는 천벽부(8)에는, 통로(7)의 상단부가 되는 위치에, 주입구(7a)를 형성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본체 용기(2)를 주입구(7a)가 하방이 되도록 전도시킴으로써(도 1에서는 본체 용기(2)를 시계 방향으로 전도시킴으로써), 정수실(5) 내에 저류된 정수를, 통로(7)를 거쳐 주입구(7a)로부터 배출시킨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주입구(7a)는, 본체 용기(2) 혹은 천벽부(8)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 상부 개방식의 뚜껑체(20)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막혀져 있다. 이 경우, 본체 용기(2)를 기울였을 때에, 뚜껑체(20)를 자중이나 물의 동압 등에 의해 회동시켜, 주입구(7a)를 개방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정수 카트리지(10)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천면이 개구됨과 함께, 정화제(12)가 충전되는 정화실 S2가 형성된 바닥이 있는 통 형상의 케이스(14)와, 상기 정화실 S2를 덮는 필터(16)와, 케이스(14)의 개구부(14e)를 덮도록 결합되며 또한 상기 필터(16)보다도 높은 위치에 도수구(11)가 형성된 뚜껑(15)을 구비하고 있다.
뚜껑(15)은, 외통(17a)의 천벽(17b)으로부터 정수 카트리지(10)의 중심축 Ax을 대략 따라 내통(17d)이 하방으로 신장된 컵(17)과, 내통(17d)의 하단부에 돌출부(18a)를 삽입 통과시킴으로써 내측에 첨가제 수용실 S1을 형성하는 캡(18)을 구비하고 있다. 이 첨가제 수용실 S1에는, 예를 들면 직경 수 밀리 정도의 입상 칼슘 등의 첨가제(도시하지 않음)가 수용되도록 되어 있다.
컵(17)의 주벽(17c)에는, 대략 직사각형 형상의 도수구(11)가 둘레 방향을 따라 단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도수구(11)에는 인서트 성형 등을 함으로써 메쉬(12)가 구성되어 있어, 첨가제가 도수구(11)로부터 흘러 넘쳐 나오는 것이 억제되어 있다. 또, 캡(18)의 주벽(18b)에는, 그 하단에서 상방을 향해 신장하는 슬릿 형상의 노치(18c)가 형성되어 있다. 노치(18c)의 폭은, 첨가제의 입경보다도 작게 설정되며, 이것에 의해, 첨가제가 노치(18c)로부터 흘러 넘쳐 나오는 것이 억제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 형태의 뚜껑(15)에서는, 원수실(4)로부터 도수구(11)를 통하여 도입된 물이, 캡(18)의 노치(18c)를 통과하여 첨가제 수용실 S1 내에 유입되고, 첨가제와 접촉한 물이 재차 노치(18c)를 통과하여 케이스(14) 내에 유출되도록 되어 있다.
케이스(14)는, 정수 카트리지(10)의 중심축 Ax을 따르는 위치에 배치된 대략 원통 형상의 통체(19)에 의해, 직경 방향으로 칸막이되어 있으며, 본 실시 형태에서는, 통체(19)의 외주측을 정화제(예를 들면 입상 혹은 분상의 활성탄 등)(12)가 수용된 정화실 S2로 하고, 통체(19)의 통 내를 여과재(예를 들면 역 U자 형상으로 만곡된 중공사막 등)(13)이 수용된 여과실 S3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필터(16)를 통과하여 도입된 물은, 정화실 S2 및 여과실 S3을 이 순서로 경유하여, 하단부(10b)의 배수구(10c)로부터 배출되게 되어 있다. 통체(19)는, 케이스(14)의 저벽(14a)의 중앙부에 형성된 하방으로 패인 오목부(14b)에 감입되어, 이것에 의해, 정수 카트리지(10)의 중심축 Ax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세워져 설치되어 있다.
정화실 S2는, 케이스(14)의 주벽(14c), 통체(19), 저벽(14a), 및 필터(16)로 둘러싸여, 대략 원환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필터(16)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통체(19)를 둘러싸고 있으며, 그 외연부(16a)를 케이스(14)와 뚜껑(15) 사이에 끼워 넣도록 하여 고정하고 있다. 이 필터(16)로서는, 부직포, 스펀지 등의 발포체 시트를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으며, 휨 변형 가능하지만, 그 자중에 의해서도 평판 형상으로서 변형되지 않을 정도의 자기 보형성(탄성)을 가지고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통체(19)의 상단에, 캡(18)을 장착하고, 이 캡(18)으로부터 직경 외측으로 튀어나온 플랜지부(18d)에 의해, 필터(16)의 내연부(16b)가 플랜지부(18d)보다 상방으로는 휘어지지 않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정수 카트리지(10)를 정수기(1)로부터 떼어낸 상태로 기울이거나 상하 역전시킨 경우에도, 필터(16)가 플랜지부(18d)에 걸려 극간이 막히기 때문에, 정화실 S2로부터 정화제(12)가 첨가제 수용실 S1이나 뚜껑(15)측으로 누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통체(19)의 하부에는, 연통구(19a)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연통구(19a)에 의해, 정화실 S2와 여과실 S3이 연통되어 있다. 정화실 S2 내에서 정화제(12)에 불순물을 흡착시켜 제거한 물은, 연통구(19a)를 통하여 여과실 S3 내에 도입된다.
여과실 S3에는, 여과재(13)로서의 가는 스트로 형상의 중공사막이, 다수 묶여져 대략 역 U자 형상으로 만곡시킨 상태로 수용되어 있다. 여과실 S3 내에서 중공사막의 막벽을 통과하여 막 내에 투과한 물은, 막 내를 지나 여과실 S3의 하단부에 유출되고, 배수구(10c)로부터 정수실(5)에 유출된다. 물이 중공사막의 막벽을 통과할 때에, 물에 포함되는 불순물이 여과된다. 여과재(13)로서의 중공사막은, 연통구(19a)보다 하방에서 접착제(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극간을 메우면서 통체(19)에 고정되어 있으며, 이 접착제에 의해, 여과실 S3 내에서 중공사막을 통과하지 않고 직접 유출되는 것이 저지되어 있다.
그런데 정수 카트리지(10) 내의 각 부, 특히 필터(16)와 정화제(12) 사이에 의도하지 않게 공기가 모이면, 물의 중력과 공기의 부력이 균형을 이루어 물의 유로가 공기로 막혀 버린다. 그 때문에, 원하는 유량이 얻어지지 않게 되어, 정수가 얻어지기까지 시간이 걸려 버릴 우려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구성의 정수 카트리지(10)에 있어서는, 통수 시에 내부에 존재하는 공기를 원활하게 배출시키면서 물을 도입하는 것이, 원수를 보다 단시간에 정화하는 것으로 연결된다. 그래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정수 카트리지(10)를 카트리지 수용부로서의 오목부(3b)에 장착시킨 사용 상태에서, 필터(16)를 본체 용기(2)의 연직축 Aw(중력 방향)에 대해 경사시켜 배치하도록 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1 및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오목부(3b)의 주벽부(3d)가 본체 용기(2)의 연직축 Aw에 대해 경사져 형성되어 있으며, 이 오목부(3b)에 정수 카트리지(10)를 장착함으로써, 정수 카트리지(10)의 전체를 경사시키도록 하고 있다. 즉, 정수 카트리지의 중심축 Ax가, 본체 용기의 연직축 Aw에 대해 X도 경사지게 된다.
또, 뚜껑(15)의 천벽으로서의 컵(17)의 천벽(17b)에는, 복수의 공기 배출 구멍(17e, 17f)을 형성하고 있다. 이 복수의 공기 배출 구멍(17e, 17f)은, 도수구(11)보다도 높은 위치에 설치되어 있으며, 공기 배출 구멍(17e)이 내통(17d)의 내측에 위치함과 함께, 공기 배출 구멍(17f)이 내통(17d)의 외측에 위치하여 관통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여과실 S3 내의 공기는, 캡(18)의 돌출부(18a), 컵(17)의 내통(17d)의 통 내를 거쳐, 공기 배출 구멍(17e)으로부터 배출된다. 또, 정화실 S2 내의 공기는, 필터(16), 캡(17)의 노치(18c)를 거쳐 첨가제 수용실 S1 내로 들어가, 컵(17)의 주벽(17c)과 내통(17d) 사이를 상승하여 공기 배출 구멍(17f)으로부터 배출된다.
이때,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정수 카트리지(10)의 전체를 본체 용기(2)의 연직축 Aw에 대해 경사시키고 있기 때문에, 필터(16)와 정화제(12) 사이에 개재하는 공기 S의 치환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정화제(12)를 경사진 필터(16)의 낮은 측에 접촉시킴으로써 유로를 확보하여 물을 정화실 S2에 침투시키기 쉽게 할 수 있다. 또, 통수된 물에 의해 필터(16)의 높은 측에 모인 공기 S를 효율적으로 외부에 밀어내, 공기 배출 구멍(17b)으로부터 배출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정수기(1)에 의하면, 통수 시에 내부에 존재하는 공기를 원활하게 배출하면서 물을 도입할 수 있으므로, 사용 초기와 사용 후기에 걸쳐 안정되고 원활하게 정수를 생성할 수 있다.
이상, 상세하게 설명해 온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정수 카트리지(10)를 카트리지 수용부로서의 오목부(3b)에 장착시킨 사용 상태에서, 정수 카트리지(10)의 필터(16)를 본체 용기(2)의 연직축 Aw에 대해 경사시켜 배치하도록 하고 있다. 그 때문에, 정화제(12)를 경사진 필터(16)의 낮은 측에 접촉시킴으로써 유로를 확보함과 함께, 통수된 물에 의해 필터(16)의 높은 측에 모인 공기 S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쉽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사용 초기와 사용 후기에 걸쳐 안정되고 원활하게 정수를 생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특히, 본 실시 형태에서는, 오목부(3b)의 주벽부(3d)를 경사시킴으로써, 정수 카트리지(10)의 전체를 본체 용기(2)의 연직축 Aw에 대해 경사시키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그 때문에, 정화실 2에 충전된 정화제(12)를 경사시켜 필터(16)에 접촉시킬 수 있다. 따라서, 물의 흐름이 접촉부에 집중되어도, 정화제(12)가 흘러 내려가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안정되게 정화제(12)를 필터(16)에 접촉시킬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정수 카트리지(10)의 전체를 본체 용기(2)의 연직축 Aw에 대해 경사시키는 구성에서는, 통수된 물이 필터(16)의 낮은 측(접촉부)에 집중됨과 함께, 정화실 S2의 공기 S가 필터(16)의 높은 측에 집중된다. 그 때문에, 물의 중력과 공기의 부력의 차를 효과적으로 이용하여, 정화실 S2 내의 공기 S를 효율적으로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오목부(3b)의 주벽부(3d)를 본체 용기(2)의 연직축 Aw에 대해 경사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내용기(격벽)(3)의 저벽부(3a)에 설치되는 오목부(3b)만을 경사시키면 되어, 비교적 간단하게 제조할 수 있다.
다음에, 도 3 및 4를 참조하여,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된 정수 카트리지(10)의 변형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은, 상기 실시 형태에 관련된 정수 카트리지의 제1 변형예를 나타낸 도이다.
도 3에 나타낸 제1 변형예의 정수 카트리지(10A)는, 정화실 S2에, 정화제(12)를 필터(16)를 향해 탄성 가압하는 탄성 가압 수단을 설치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본 변형예에서는, 탄성 가압 수단은 케이스(14)의 저벽(14a)에 일단부가 걸어진 스프링(21)과, 이 스프링(21)의 타단부에 결합되는 메쉬 형상의 가동 칸막이판(22)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정화제(12)는, 가동 칸막이판(22) 상에 충전되게 되어 있다.
또한, 포트형의 정수기(1)에 있어서는, 물의 중력으로 정화를 행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정화제(예를 들면 활성탄)(12)는 입경이 보다 세밀한 것이 효율적이며 성능 향상에는 바람직하다. 그러나 너무 세밀한 것을 가동 칸막이판(22)에 충전하면 유량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약 10메쉬에서 32메쉬 정도(0.5밀리에서 2밀리 정도의 입경)의 정화제를 이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단, 분쇄 미립의 유출 방지를 고려하면 다소 큰 사이즈의 메쉬가 바람직하기 때문에, 본 변형예에서는, 약 100메쉬 정도(0.2밀리 정도의 구경의 구멍)의 메쉬를 인서트하거나 혹은 일체 성형한 가동 칸막이판(22)을 이용하고 있다. 또한, 가동 칸막이판(22)으로부터 정화제(12)가 유출되어도, 본 변형예에서는 상기 실시 형태와 동일하게 하여, 통체(19)의 내측에 여과재(13)로서의 가는 스트로 형상의 중공사막이 배치된 여과실 S3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정수실(5)에 누출되는 일은 없다.
이와 같은 구성의 정수 카트리지(10A)에서는, 정화제(12)를 필터(16)를 향해 탄성 가압하는 스프링(21)과 가동 칸막이판(22)에 의해, 정화제(12)를 필터(16)에 확실히 접촉시킬 수 있게 된다. 그 결과, 정화제(12)와 필터(16)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켜 물을 정화실 S2에 의해 침투시키기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변형예에서는, 탄성 가압 수단으로서 가동 칸막이판(22)과 스프링(21)을 이용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가동 칸막이판과 플로트 등을 이용해도 된다.
도 4는, 상기 실시 형태에 관련된 정수 카트리지의 제2 변형예를 나타낸 도이다.
도 4에 나타낸 제2 변형예의 정수 카트리지(10B)는, 정화실 S2에, 통수된 물을 구멍부로서의 연통 구멍(19a)을 향해 가이드하는 유도부를 설치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본 변형예에서는, 유도부로서의 집수판(23)이 케이스(14)의 저벽(14a)과 주벽(14c)에 걸쳐 결합되어 있으며, 이것에 의해 구멍부로서의 연통 구멍(19a)을 향해 물을 가이드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본 변형예와 같이, 정수 카트리지(10B)를 본체 용기의 연직축 Aw(도 1 참조)에 대해 경사시켜 배치하는 구성에서는, 통수된 물이 그 경사진 낮은 측이 되는 케이스(14) 모서리부(14g)에 체류해 버릴 우려가 있다. 그러나 본 변형예에서는, 이 모서리부(14g)에 집수판(23)이 소정각 경사져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케이스(14) 모서리부(14g)에 체류하는 소위, 사수(死水)를 감소시킬 수도 있다. 또한, 본 변형예의 경우에는, 저벽(14a)에 대한 집수판(23)의 경사 각도를, 정수 카트리지(10B)의 연직축 Aw에 대한 경사 각도 이상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의 정수 카트리지(10B)에서는, 유도부로서의 집수판(23)에 의해 연통 구멍(19a)을 향해 물을 가이드할 수 있기 때문에, 정화실 S2 내의 체류수를 억제하여 원활하게 정수를 생성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실시 형태에서는, 유도부가 정수 카트리지(10B)의 저벽과 주벽으로서의 케이스(14)의 저벽(14a)과 주벽(14c)에 걸쳐 설치되는 집수판(23)이며, 이 집수판(23)의 저벽(14a)에 대한 경사 각도를, 정수 카트리지(10B)의 연직축 Aw에 대한 경사 각도 이상으로 설정하고 있다. 그 때문에, 정수 카트리지(10B)를 경사시켜 배치한 것에 의해 케이스(14) 모서리부(14g)에 물이 체류해 버리는 소위, 사수(死水)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변형예에서는, 유도부로서의 집수판(23)을 케이스(14)의 저벽(14a)과 주벽(14b)에 걸치는 별도의 부재로 구성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케이스(14)의 저벽(14a)을 경사시킴으로써 집수판을 구성하도록 해도 된다.
[제2 실시 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된 정수기를 나타낸 도이다.
본 실시 형태의 정수기(1A)는,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하게 하여, 오목부(3b)에 정수 카트리지(10)를 장착시킨 사용 상태에서, 필터(16)를 본체 용기(2A)의 연직축 Aw에 대해 경사시켜 배치하고 있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가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주로 상이한 점은, 본체 용기(2A)가, 당해 본체 용기(2A)의 연직축 Aw에 대해 경사져 형성됨으로써, 필터(16)를 연직축 Aw에 대해 경사시켜 배치했던 것에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본체 용기(2A)의 저벽부(2a)를 경사시켜 구성하고 있으며, 이 저벽부(2a)를 수평면에 올려놓음으로써, 본체 용기(2A) 전체를 연직축 Aw에 대해 경사시키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내용기(3a)의 저벽부(3a) 및 카트리지 수용부로서의 오목부(3b)가 필연적으로 연직축 Aw에 대해 경사지도록 되어, 이 오목부(3b)에 정수 카트리지(10)를 장착시킴으로써, 정수 카트리지(10)를 연직축 Aw에 대해 경사시킬 수 있다.
이상의 구성의 본 실시 형태의 정수기(1A)에 의해서도, 정화제(12)를 경사진 필터(16)의 낮은 측에 접촉시킴으로써 유로를 확보함과 함께, 통수된 물에 의해 필터(16)의 높은 측에 모인 공기 S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쉽게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사용 초기와 사용 후기에 걸쳐 안정되고 원활하게 정수를 생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정화실 2에 충전된 정화제(12)를 경사시켜 필터(16)에 접촉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물의 흐름이 접촉부에 집중되어도, 정화제(12)가 흘러 내려가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안정되게 정화제(12)를 필터(16)에 접촉시킬 수 있다.
또한, 통수된 물이 필터(16)의 낮은 측(접촉부)에 집중됨과 함께, 정화실 S2의 공기가 필터(16)의 높은 측에 집중되어, 물의 중력과 공기의 부력의 차를 효과적으로 이용하여, 정화실 S2 내의 공기 S를 효율적으로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제3 실시 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된 정수기를 나타낸 도이다.
본 실시 형태의 정수기(1B)는,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하게 하여, 오목부(3b)에 정수 카트리지(10)를 장착시킨 사용 상태에서, 필터(16A)를 본체 용기(2)의 연직축 Aw에 대해 경사시켜 배치하고 있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가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주로 상이한 점은, 오목부(3b)의 주벽부(3d)가 본체 용기(2)의 연직축 Aw를 따라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오목부(3b)에 정수 카트리지(10)를 장착함과 함께, 필터(16A)가 연직축 Aw에 대해 경사져 설치된 것에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스(14A)의 개구부(14e) 주연에 형성되는 원통 형상의 플랜지부(14f), 및 뚜껑(15A)의 컵(17A) 하부에 형성되는 동일한 원통 형상의 플랜지부(17g)를 연직축 Aw에 대해 경사시켜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당해 한 쌍의 플랜지부(14f, 17g) 간에 필터(16A)의 외연부(16a)를 끼워 넣도록 하여 고정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의 본 실시 형태의 정수기(1B)에 의해서도, 정화제(12)를 경사진 필터(16A)의 낮은 측에 접촉시킴으로써 유로를 확보함과 함께, 통수된 물에 의해 필터(16A)의 높은 측에 모인 공기 S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쉽게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사용 초기와 사용 후기에 걸쳐 안정되고 원활하게 정수를 생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는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유도부로서의 집수판(23)은, 정수 카트리지(10, 10A, 10B) 전체를 연직축 Aw에 대해 경사시키는 상기 제1 및 제2 실시 형태의 정수기(1, 1A)에 한정되지 않으며, 필터(16A)만을 경사시키는 상기 제3 실시 형태의 정수기(1B)에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렇게 하면, 집수판(23)에 의해 연통 구멍(19a)을 향해 물을 가이드할 수 있기 때문에, 정화실 S2 내의 체류수를 억제하여 원활하게 정수를 생성할 수 있다.
1, 1A, 1B: 정수기 2, 2A: 본체 용기
3, 3A: 내용기(격벽) 3a: 저벽부
3b: 오목부(카트리지 수용부) 3c: 개구부
4: 원수실 5: 정수실
10, 10A, 10B: 정수 카트리지 11: 도수구
12: 정화제 16, 16A: 필터

Claims (7)

  1. 원수를 저류하는 원수실 및 정수를 저류하는 정수실이 형성된 본체 용기와,
    상기 원수실 및 정수실을 구획하는 격벽의 저벽부에 설치되며 또한 상기 원수실과 상기 정수실을 연통하는 개구부가 형성된 카트리지 수용부와,
    내부에 정화제가 충전되는 정화실이 형성됨과 함께, 상기 정화실을 덮도록 하여 필터가 배치되며 또한 상기 필터보다도 높은 위치에 도수구(導水口)가 설치된 정수 카트리지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 용기의 저벽부를 아래로 한 상태로 정수가 생성되는 정수기로서,
    상기 정수 카트리지를 상기 카트리지 수용부에 장착시킨 사용 상태에서, 상기 필터를 상기 본체 용기의 연직축에 대해 경사시켜 배치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 수용부의 주벽부가, 상기 본체 용기의 연직축에 대해 경사져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본체 용기가, 상기 본체 용기의 연직축에 대해 경사져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 수용부의 주벽부가 상기 본체 용기의 연직축을 따라 형성됨과 함께, 상기 필터가, 상기 본체 용기의 연직축에 대해 경사져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정수 카트리지의 정화실에는, 상기 정화제를 상기 필터를 향해 탄성 가압하는 탄성 가압 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정수 카트리지의 정화실에는, 통수된 물을 토출하는 구멍부가 설치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구멍부를 향해 물을 가이드하는 유도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유도부는, 상기 정수 카트리지의 저벽과 주벽에 걸쳐 설치되는 집수판이며,
    상기 집수판의 상기 저벽에 대한 경사 각도를, 상기 정수 카트리지의 상기 연직축에 대한 경사 각도 이상으로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KR1020127015016A 2010-01-26 2011-01-20 정수기 KR2012009402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013950 2010-01-26
JP2010013950A JP2011152492A (ja) 2010-01-26 2010-01-26 浄水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4022A true KR20120094022A (ko) 2012-08-23

Family

ID=443191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5016A KR20120094022A (ko) 2010-01-26 2011-01-20 정수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2011152492A (ko)
KR (1) KR20120094022A (ko)
CN (1) CN102712504A (ko)
TW (1) TW201144230A (ko)
WO (1) WO201109319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86827B2 (ja) 2013-01-23 2015-03-18 株式会社鷺宮製作所 遠心ポンプ
JP6277666B2 (ja) * 2013-10-23 2018-02-14 Nok株式会社 浄水カートリッジ
JP7463810B2 (ja) * 2020-03-31 2024-04-09 三菱ケミカル・クリンスイ株式会社 浄水カートリッジ及び浄水器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146609C (en) * 1995-04-07 2000-04-25 Paul Serenko Water filtration cartridge
DE19631687A1 (de) * 1996-08-06 1998-02-12 Brita Wasserfilter Filtereinrichtung mit Gewebeeinsatz
US6159363A (en) * 1998-04-30 2000-12-12 Corning Incorporated Water carafe filter cartridge
DE19846583C2 (de) * 1998-10-09 2002-11-07 Brita Gmbh Wasserfiltervorrichtung mit einer Auffangkanne und mit Heizelement
JP4579747B2 (ja) * 2004-03-31 2010-11-10 芳聰 前田 浄水器用カートリッジ及びこれを用いた浄水器
CN2690377Y (zh) * 2004-04-27 2005-04-06 叶建荣 一种改进型虹吸式***
CN2712900Y (zh) * 2004-08-02 2005-07-27 马进宇 反循环***
CN2917735Y (zh) * 2006-07-11 2007-07-04 黄樟焱 组合式滤芯
JP2009125663A (ja) * 2007-11-22 2009-06-11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浄水カートリッジ及びこれを備えた浄水器
JP5102588B2 (ja) * 2007-11-22 2012-12-1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浄水器
JP4479792B2 (ja) * 2007-12-27 2010-06-09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浄水カートリッジ及びこれを備えた浄水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712504A (zh) 2012-10-03
TW201144230A (en) 2011-12-16
JP2011152492A (ja) 2011-08-11
WO2011093197A1 (ja) 2011-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37286C2 (ru) Водоочиститель гравитационного фильтрования
JP5582194B2 (ja) 浄水カートリッジ及び浄水器
RU2383382C2 (ru) Фильтрующий патрон
RU2548079C2 (ru) Картридж для очистки воды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чистки воды с таким картриджем
JP6358717B2 (ja) 浄水カートリッジ及び浄水器
US20140138303A1 (en) Structure for opening section, and water purification cartridge
KR101079454B1 (ko) 정수 카트리지 및 그것을 구비한 정수기
TW201026614A (en) Water purification cartridge and water purifier including same
KR20120094022A (ko) 정수기
JP5581645B2 (ja) 浄水カートリッジおよび浄水器
WO2011159196A1 (ru) Фильтрующий модуль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чистки жидкости
US11857896B2 (en) Fluid filter for treating the fluid, a container comprising the same and air release device
KR20110084939A (ko) 정수 카트리지 및 정수기
JP5728801B2 (ja) 浄水カートリッジおよび浄水器
RU2617779C1 (ru) Устройство очистки жидкости
JP5211105B2 (ja) 浄水器用カートリッジ
KR100387992B1 (ko) 정수 카트리지
JP2005211852A (ja) 浄水カートリッジ
JP6739975B2 (ja) 浄水カートリッジ及び浄水器
CN208308560U (zh) 一种带净水箱的家用***
CN215305041U (zh) 咖啡机用净水滤芯及安装有该净水滤芯的咖啡机
JP7141350B2 (ja) 浄水カートリッジ
RU110285U1 (ru) Походный патронный фильтр для воды
JP7385235B2 (ja) 浄水器
RU2664934C1 (ru) Система очистки вод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