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93709A - 전기기기의 전력 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전기기기의 전력 공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93709A
KR20120093709A KR20110013440A KR20110013440A KR20120093709A KR 20120093709 A KR20120093709 A KR 20120093709A KR 20110013440 A KR20110013440 A KR 20110013440A KR 20110013440 A KR20110013440 A KR 20110013440A KR 20120093709 A KR20120093709 A KR 201200937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power supply
unit
storage unit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100134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69474B1 (ko
Inventor
이규석
박현수
박영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134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9474B1/ko
Priority to US13/396,802 priority patent/US9143006B2/en
Publication of KR201200937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37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94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94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05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using a power saving mod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4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 H02J9/06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02J7/00306Overdischarge protection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2217/00Indexing scheme related to 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or -breaking covered by H03K17/00
    • H03K2217/0036Means reducing energy consump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30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carbon footprint of the management of residential or tertiary loads, i.e. smart grids as 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y in the buildings sector, including also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and the control, monitoring or operating management systems at local lev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20End-user application control system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입력되는 교류 전원의 전압을 변환하여 공급하는 저전력 공급부; 저전력 공급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충전하였다가 전기기기의 대기 전력으로 공급하는 전력 저장부; 전력 저장부의 충전 전압 레벨을 검출하는 전압 검출부; 및 전압 검출부를 통해 검출된 전력 저장부의 충전 전압 레벨에 따라 저전력 공급부의 전력이 전력 저장부에 공급되거나 공급 차단되도록 하는 스위치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슈퍼 커패시터 등의 전력 저장부를 이용하여 대기 전력을 공급하고, 전력 저장부의 전압이 일정 전압 이하로 감소되면 전력 저장부에서 필요한 만큼의 저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전원을 연결하여 충전함으로써 최소한의 대기 전력만을 발생시켜 불필요한 전력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동작 상태에 있던 전기기기가 비정상적인 상황으로 인해 외부 전원이 차단되었다가 다시 외부 전원이 복구(공급)되는 경우에 소비되는 대기 전력을 저감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전기기기의 전력 공급 장치{ELECTRIC POWER SUPPLY APPARATUS OF ELECTRIC APPARATUS}
본 발명은 전기기기의 대기 모드 시 전기기기에 공급되는 대기 전력을 저감시킬 수 있는 전기기기의 전력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기기기가 외부 전원(상용 교류 전원)과 연결된 상태에서 해당 기기의 주기능을 수행하지 않거나 내외부의 켜짐 신호를 기다리는 상태에서 소비되는 전력을 대기 전력(standby power)이라 한다.
텔레비전, 공기조화기, 전자레인지, 컴퓨터, 휴대폰의 충전기 등은 기기 본연의 역할을 수행하는 시간보다 전원에는 연결되어 있되, 기능을 수행하지 않는 대기(Standby) 상태에서 흘려보내는 전력이 더 많은 제품이다. 가정용 전자레인지를 하루 중 몇 시간 사용하는지를 생각해보면 이해가 쉬울 것이다.
이러한 전기기기는 상용 교류 전원에 연결된 상태에서 사용되지 않을 때 절전 대기 모드를 수행하는데 이 때 전기기기는 상용 전원으로부터 완전히 분리될 수 없어 수백 mW 또는 수 W의 대기 전력을 발생시키게 된다.
특히 리모컨에 의해 원격 제어가 가능한 텔레비전, 공기조화기, 오디오 등과 같은 전기기기는 동작이 정지된 경우라도 리모컨 신호 수신부를 포함하는 제어부에 최소한의 전원을 제공해야 한다. 이것은 동작이 정지 중인 전기기기를 사용자가 리모컨으로 제어할 경우에 리모컨으로부터 전송되는 원격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이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리모컨에 의해 원격 제어가 가능한 전기기기는 대기 모드 시 리모컨의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일정량의 대기 전력을 더 발생시키게 된다.
이러한 대기 전력은 국내 가정 내 전력 소비량의 11%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를 감소시키기 위해 국가적 제재와 더불어 여러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
종래에는 대기 전력을 저감시키기 위해 기존의 변압기에서 전압을 변환시키면서 발생하는 전원 효율을 향상시키는 기술과, 대기 전력 공급 시 변압기가 아닌 보조의 대기 전력 공급 장치를 이용하는 기술 등이 적용되어 왔다.
이 중 기존의 변압기에서 전압을 변환시키면서 발생하는 전원 효율을 향상시키는 기술은, 상용 전원으로부터 공급된 교류 전원을 정류시켜 변압기(transformer)에 공급하고 스위칭(switching) 소자를 간헐적으로 제어함으로써 변압기의 전압을 변환시킨 후 이 때 변환된 전력을 대기 전력으로 이용하는 기술이다.
전기기기에서 소비하는 대기 전력의 대부분은 기기가 대기 상태에 있을 때, 전원을 제어하기 위해 리모컨의 신호를 수신하는 리모콘 신호 수신부 회로나 외부 전원 버튼의 신호를 수신하는 제어 회로에서 소비하게 된다. 여기서 소비하는 전력은 매우 작지만 이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사용되는 SMPS(Switched-Mode Power Supply)는 정격 전력보다 매우 낮은 전력을 공급할 경우 그 효율이 급감하게 되어 내부 변압기에 의한 전력 손실이 불가피하게 발생한다. 이에 따라, SMPS의 대기 모드 효율을 높이기 위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는 상태이지만 수 mW 수준의 저전력을 구현하기에는 현실적으로 많은 어려움이 존재한다.
대기 전력 공급 시 변압기가 아닌 보조의 대기 전력 공급 장치를 이용하는 기술은, 2차 전지나 슈퍼 커패시터(super-capacitor) 등의 별도의 대기 전력 공급 장치에 전력을 충전하고 대기 모드 시 대기 전력 공급 장치에 저장된 전력을 대기 전력으로 이용하는 기술이다.
이 경우 대기 모드 상태에서 대기 전력 공급 장치에 저장된 전력을 이용함으로써 평소 대기전력을 제거할 수는 있으나, 2차 전지 등에 저장되는 전력의 양은 한계가 있기 때문에 일정 시간이 지나면 2차 전지 등을 재충전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2차 전지 등의 재충전 시에는 SMPS의 전원을 이용해야 하기 때문에 필요한 충전 전력에 비해 많은 전력을 소모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2차 전지 등이 재충전되지 못하면 2차 전지 등이 완전히 방전되어 정상적인 기기의 동작을 보장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슈퍼 커패시터 등의 전력 저장부를 이용하여 대기 전력을 공급하고, 전력 저장부의 전압이 일정 전압 이하로 감소되면 전력 저장부에서 필요한 만큼의 저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전원을 연결하여 충전함으로써 최소한의 대기 전력만을 발생시켜 불필요한 전력 낭비를 방지할 수 있는 전기기기의 전력 공급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동작 상태에 있던 전기기기가 비정상적인 상황으로 인해 외부 전원이 차단되었다가 다시 외부 전원이 복구(공급)되는 경우에 소비되는 대기 전력을 저감시킬 수 있는 전기기기의 전력 공급 장치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전기기기의 전력 공급 장치는 입력되는 교류 전원의 전압을 변환하여 공급하는 저전력 공급부; 저전력 공급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충전하였다가 전기기기의 대기 전력으로 공급하는 전력 저장부; 전력 저장부의 충전 전압 레벨을 검출하는 전압 검출부; 및 전압 검출부를 통해 검출된 전력 저장부의 충전 전압 레벨에 따라 저전력 공급부의 전력이 력 저장부에 공급되거나 공급 차단되도록 하는 스위치부를 포함한다.
또한, 저전력 공급부는: 직렬로 연결되는 복수 개의 커패시터; 및 복수 개의 커패시터 중 어느 하나의 커패시터 양단에 연결되는 정류 다이오드를 포함한다.
또한, 저전력 공급부는: 커패시터와, 저항 소자 및 다이오드로 구성되는 전압 레귤레이터가 직렬 연결된 회로; 및 전압 레귤레이터 양단에 연결되는 정류 다이오드를 포함한다.
또한, 전력 저장부는 슈퍼 커패시터이다.
또한, 전력 저장부는 충전 배터리이다.
또한, 스위치부는 전력 저장부의 충전 전압 레벨이 기준 전압 이하일 경우 온 되어 전력 저장부에 소정의 전압이 충전되도록 하고, 전력 저장부의 충전 전압 레벨이 기준 전압을 초과할 경우 오프되어 전력 저장부에 충전된 소정의 전압이 방전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전기기기의 전력 공급 장치는 입력되는 교류 전원의 전압을 전기기기의 동작 제어에 필요한 주전력으로 변환시켜 공급하는 주전력 공급부; 입력되는 교류 전원을 주전력 공급부로 스위칭하거나 차단하기 위한 제 1 스위치부; 입력되는 교류 전원의 전압을 변환하여 공급하는 저전력 공급부; 저전력 공급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충전하였다가 전기기기의 대기 전력으로 공급하는 전력 저장부; 전력 저장부의 충전 전압 레벨을 검출하는 전압 검출부; 전압 검출부를 통해 검출된 전력 저장부의 충전 전압 레벨에 따라 저전력 공급부의 전력이 전력 저장부에 공급되거나 공급 차단되도록 하는 제 2 스위치부; 및 전력 저장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대기 전력을 필요로 하는 회로에 전력을 공급하고,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제 1 스위치부에 스위칭 온 제어 신호 또는 스위칭 오프 제어 신호를 전송하여 교류 전원이 주전력 공급부로 스위칭되거나 차단되도록 제어하는 상태 검출부를 포함한다.
또한, 저전력 공급부는: 직렬로 연결되는 복수 개의 커패시터; 및 복수 개의 커패시터 중 어느 하나의 커패시터 양단에 연결되는 정류 다이오드를 포함한다.
또한, 저전력 공급부는: 커패시터와, 저항 소자 및 다이오드로 구성되는 전압 레귤레이터가 직렬 연결된 회로; 및 전압 레귤레이터 양단에 연결되는 정류 다이오드를 포함한다.
또한, 전력 저장부는 슈퍼 커패시터이다.
또한, 전력 저장부는 충전 배터리이다.
또한, 제 2 스위치부는 전력 저장부의 충전 전압 레벨이 기준 전압 이하일 경우 온 되어 전력 저장부에 소정의 전압이 충전되도록 하고, 전력 저장부의 충전 전압 레벨이 기준 전압을 초과할 경우 오프되어 전력 저장부에 충전된 소정의 전압이 상태 검출부로 방전되도록 한다.
또한, 상태 검출부는: 외부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수신부; 신호 수신부로부터 전달된 제어 신호에 따라 교류 전원이 주전력 공급부에 공급되거나 공급 차단되도록 제어하는 전원 제어부; 및 비정상적인 상황으로 인해 교류 전원의 공급이 차단되는 경우를 검출하기 위한 비정상적 전원 종료 검출부를 포함한다.
또한, 비정상적인 상황으로 인해 교류 전원의 공급이 차단되는 경우는 전기기기의 동작 모드 중에 전원 플러그를 강제로 뽑는 경우나 정전이 발생한 경우이다.
또한, 비정상적 전원 종료 검출부는: 교류 전원의 공급이 차단되더라도 비정상적 전원 종료 검출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커패시터; 커패시터의 전원이 비정상적 전원 종료 검출부의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프리휠링 다이오드; 및 제 1 스위치부를 제어하기 위한 두 개의 스위칭 소자를 포함한다.
또한, 두 개의 스위칭 소자 중 하나는 PNP형 바이폴라 정션 트랜지스터(Bipolar Junction Transistor)이고, 두 개의 스위칭 소자 중 다른 하나는 NPN형 바이폴라 정션 트랜지스터이며, PNP형 바이폴라 정션 트랜지스터의 컬렉터단이 NPN형 바이폴라 정션 트랜지스터의 베이스단에 연결되고, PNP형 바이폴라 정션 트랜지스터의 베이스단에 전류가 흐르지 않으면 제 1 스위치부가 스위칭 오프되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슈퍼 커패시터 등의 전력 저장부를 이용하여 대기 전력을 공급하고, 전력 저장부의 전압이 일정 전압 이하로 감소되면 전력 저장부에서 필요한 만큼의 저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전원을 연결하여 충전함으로써 최소한의 대기 전력만을 발생시켜 불필요한 전력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동작 상태(모드)에 있던 전기기기가 비정상적인 상황으로 인해 외부 전원이 차단되었다가 다시 외부 전원이 복구(공급)되는 경우에 소비되는 대기 전력을 저감시킬 수 있는 전력 공급 장치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기기의 전력 공급 장치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기기의 전력 공급 장치의 회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기기의 전력 공급 장치의 회로 구성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기기의 전력 공급 장치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기기의 전력 공급 장치(100)는 저전력 공급부(110), 전력 저장부(120), 전압 검출부(130), 상태 검출부(140), 주전력 공급부(150), 제 1 스위치부(S1) 및 제 2 스위치부(S2)를 포함한다.
저전력 공급부(110)는 AC 라인을 통해 상용 교류 전원을 공급받아 전력 저장부(120)에서 필요로 하는 저전력을 전력 저장부(120)에 공급한다. 저전력 공급부(110)는 두 개의 커패시터를 직렬로 연결시키고 그 중 낮은 전압이 인가되는 커패시터 양단에 정류 다이오드를 연결시킨 회로 또는 커패시터-저항-다이오드를 직렬로 연결시키고 저항-다이오드의 연결부 양단에 정류 다이오드를 연결시킨 회로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두 개의 커패시터가 직렬로 연결되는 경우에는 입력되는 교류 전원에 대해 전압 분배의 효과가 있기 때문에 두 개의 커패시터가 서로 다른 정전 용량(capacitance)을 가진다면 어느 하나의 커패시터에는 더 낮은 전압이 인가된다. 이 때, 인가된 더 낮은 전압이 정류 다이오드를 통과하게 되면 정류된 직류 전압이 생성된다. 이와 같이, 저전력 공급부(110)를 통해 생성된 직류 전압은 전력 저장부(120)에 공급된다.
전력 저장부(120)는 저전력 공급부(110)를 통해 공급되는 전력을 저장한다. 전력 저장부(120)로는 충전 배터리나 슈퍼 커패시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전력 저장부(120)는 저장되어 있는 전력을 상태 검출부(140)에 공급한다.
전압 검출부(130)는 전력 저장부(120)의 충전 전압 레벨을 검출하고, 검출된 충전 전압 레벨값을 제 2 스위치부(S2)에 출력한다.
상태 검출부(140)는 전력 저장부(12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대기 전력을 필요로 하는 회로(리모콘이나 외부 전원 버튼의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수신부 회로 및 전원 제어부 회로)에 전력을 공급하고, 어느 시점에 주전력 공급부(150)를 통해 전기기기의 메인 제어부(200)에 주전력을 공급해야 하는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전기기기가 텔레비전인 경우에 상태 검출부(140)는 리모컨을 통한 원격 제어를 위해 리모콘 신호 수신부(도 2의 142 참조) 및 전원 제어부(도 2의 144)에 전력을 공급하여 동작시킨다. 한편, 전기기기가 휴대폰의 충전기인 경우에 상태 검출부(140)는 휴대폰이 충전기에 연결되어 있으면 동작(충전) 모드로 판단하여 주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제 1 스위치부(S1)가 온되도록 제어하고, 휴대폰이 충전기로부터 분리되어 있으면 대기 모드로 판단하여 대기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제 1 스위치부(S1)가 오프되도록 제어한다.
즉, 상태 검출부(140)는 전기기기의 동작 모드(즉, 전기기기에 주전력을 공급하는 모드)라고 판단하면 주전력 공급부(150)에 상용 교류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제 1 스위치부(S1)가 온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태 검출부(140)는 먼저 제 1 스위치부(S1)를 온시켜 주전력 공급부(150)를 동작시킨 다음, 도 1의 점선으로 도시된 부분과 같이 전기기기의 메인 제어부(200)에 필요한 신호를 전송할 수도 있다(예: 텔레비전의 전원이 온되었다는 신호를 텔레비전의 메인 제어부에 전송해 주어야 하는 경우).
주전력 공급부(150)는 제 1 스위치부(S1)의 스위칭 온에 의해 제 1 스위치부(S1)를 통해 상용 교류 전원을 공급 받고, 전기기기의 메인 제어부(200)의 제어 신호에 따라 공급 받은 상용 교류 전원을 전기기기의 동작에 필요한 주전력으로 변환시켜 메인 제어부(200) 및 동작을 수행하는 각 구성 요소에 제공한다. 즉, 주전력 공급부(150)는 전기기기가 동작 모드인 경우 전기기기의 메인 제어부(200) 등에 전력을 공급한다. 주전력 공급부(150)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교류(AC) 전류를 직류(DC) 전류로 전환(switching)시킨 후 원하는 각종 전기기기의 조건에 맞는 전압으로 변환시켜 공급하는 장치인 SMPS(Switched-Mode Power Supply)로 구성할 수 있다. SMPS는 입력 전압에 변동이 있더라도 원하는 출력 전압을 변동 없이 일정하게 공급하는 기능을 가진다.
제 1 스위치부(S1)는 상태 검출부(14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스위칭 온 또는 오프하여 상용 교류 전원을 주전력 공급부(150)로 스위칭하거나 차단한다. 즉, 제 1 스위치부(S1)는 상태 검출부(140)로부터 전달되는 스위칭 온 제어 신호(전기기기가 동작 모드인 경우)에 따라 스위칭 온되어 상용 교류 전원을 주전력 공급부(150)로 스위칭하고, 상태 검출부(140)로부터 전달되는 스위칭 오프 제어 신호(전기기기가 대기 모드인 경우)에 따라 스위칭 오프되어 주전력 공급부(150)로 스위칭되는 상용 교류 전원을 차단한다. 제 1 스위치부(S1)로는 래치 릴레이(latching relay)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제 2 스위치부(S2)는 전압 검출부(130)를 통해 검출된 전력 저장부(120)의 충전 전압 레벨에 따라 전력 저장부(120)에 저전력 공급부(110)의 전력을 공급하거나, 전력 저장부(120)에 저전력 공급부(110)의 전력이 공급되는 것을 차단한다.
즉, 제 2 스위치부(S2)는 소정의 기준값에 따라 스위치가 온/오프되도록 설정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전력 저장부(120)의 충전 전압 레벨이 기준 전압 이하일 경우 제 2 스위치부(S2)는 온(ON)되어 전력 저장부(120)에 소정의 전압이 충전되도록 하는 한편, 전력 저장부(120)의 충전 전압 레벨이 기준 전압을 초과할 경우 제 2 스위치부(S2)는 오프(OFF)되어 전력 저장부(120)에 충전된 소정의 전압이 상태 검출부(140) 쪽으로 방전되도록 한다. 전력 저장부(120)에 충전된 전압이 상태 검출부(140) 쪽으로 방전된다는 것은 전력 저장부(120)에 충전된 전압을 이용하여 대기 전력을 공급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기기의 전력 공급 장치의 회로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기기의 전력 공급 장치(100)는 전기기기의 대기 모드 시 대기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회로 부분과, 전기기기의 동작 모드 시 주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회로 부분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전기기기의 대기 모드 시 대기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회로 부분은 저전력 공급부(110), 전력 저장부(120), 전압 레귤레이터(125), 전압 검출부(130) 및 제 2 스위치부(S2)를 포함한다.
저전력 공급부(110)는 상용 교류 전원(AC 전원)을 공급 받아 전력 저장부(120)에서 필요로 하는 직류 전압(DC 전압)으로 변환하는 DC 정류부로, 본 실시예에서 저전력 공급부(110)는 두 개의 커패시터(C1, C2)를 직렬로 연결시키고 그 중 하나의 커패시터(C2) 양단에 정류 다이오드(D1)를 연결시킨 회로로 구성된다. 두 개의 커패시터(C1, C2)를 이용한 전압 분배 방식은 저항 소자를 이용한 전압 분배 방식에 비해 소자 자체에서 소비하는 전력이 적기 때문에 전원의 변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저전력만을 소비하여 전력 저장부(120)에서 필요로 하는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하나의 커패시터(C2) 양단에 인가되는 전압은 정류 다이오드(D1)를 통과하면서 직류 전압으로 변환된다.
저전력 공급부(110)의 후단에는 저전력 공급부(110)와 전력 저장부(120)를 연결하거나, 저전력 공급부(110)와 전력 저장부(120) 간의 연결을 차단할 수 있는 제 2 스위치부(S2) 및 제 2 스위치부(S2)가 오프(OFF)될 때 상태 검출부(140)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 저장부(120)가 접속된다. 여기서, 전력 저장부(120)로는 슈퍼 커패시터(C3)가 사용될 수 있다.
슈퍼 커패시터(C3)는 저전력 공급부(110)를 통해 공급되는 전력을 저장하거나, 저장되어 있는 전력을 상태 검출부(140)에 공급한다. 슈퍼 커패시터(C3)에는 슈퍼 커패시터(C3)의 충전 전압 레벨을 검출하기 위한 전압 검출부(130)가 연결된다.
전압 검출부(130)는 슈퍼 커패시터(C3)의 충전 전압 레벨을 검출하고, 그 검출된 충전 전압 레벨값을 제 2 스위치부(S2)에 출력한다.
제 2 스위치부(S2)는 전압 검출부(130)를 통해 검출된 슈퍼 커패시터(C3)의 충전 전압 레벨값에 따라 온/오프되어, 슈퍼 커패시터(C3)에 소정의 전압이 충전되도록 하거나, 슈퍼 커패시터(C3)에 충전된 소정의 전압이 상태 검출부(140)에 공급되도록 한다.
전압 검출부(130)를 통해 검출된 슈퍼 커패시터(C3)의 충전 전압 레벨값이 기준 전압 이하가 되면 제 2 스위치부(S2)는 온 상태가 되고, 이 때에는 슈퍼 커패시터(C3)에 외부 전원이 연결되어 슈퍼 커패시터(C3)에 소정의 전압이 충전된다. 반면, 전압 검출부(130)를 통해 검출된 슈퍼 커패시터(C3)의 충전 전압 레벨값이 기준 전압을 초과하면 제 2 스위치부(S2)는 오프 상태가 되고, 이 때에는 슈퍼 커패시터(C3)와 외부 전원 간의 연결이 차단되어 슈퍼 커패시터(C3)에 충전된 소정의 전압이 상태 검출부(140) 쪽으로 방전된다. 슈퍼 커패시터(C3)에 기준 전압보다 큰 전압이 충전되어 있는 경우에는, 슈퍼 커패시터(C3)가 외부로부터 전력 공급이 없는 상태에서도 상태 검출부(140)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으며, 이 때 제 2 스위치부(S2)는 오프 상태가 되기 때문에 외부 전원의 전력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
슈퍼 커패시터(C3)의 후단에는 상태 검출부(140)에 안정적인 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전압 레귤레이터(125)가 접속된다. 전압 레귤레이터(125)는 입력 전압으로부터 일정한 타겟 전압(Target Voltage)을 발생시키는 회로부로, 전압 레귤레이터(125)는 비교기(comparator), 드라이버(driver)로 사용되는 PMOS 트랜지스터 및 분압기로 사용되는 저항들로 구성된다.
상태 검출부(140)는 전력 저장부(12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대기 전력을 필요로 하는 회로에 전력을 공급한다. 또한 상태 검출부(140)는 어느 시점에 주전력 공급부(150)를 통해 전기기기의 메인 제어부(200)에 주전력을 공급해야 하는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제 1 스위치부(S1)에 스위칭 온 제어 신호 또는 스위칭 오프 제어 신호를 전송하여 상용 교류 전원이 주전력 공급부(150)로 스위칭되거나 차단되도록 제어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상태 검출부(140)는 신호 수신부(142), 전원 제어부(144), 전원 제어부(144)의 온(ON) 신호 출력 포트에 베이스단이 연결되고 전압 레귤레이터(125)의 출력단에 컬렉터단이 연결되는 제 1 스위칭 소자(Q1) 및 비정상적 전원 종료 검출부(146)를 포함한다.
또한, 비정상적 전원 종료 검출부(146)는 전압 레귤레이터(125)의 출력단에 연결되는 프리휠링 다이오드(Freewheeling Diode, D2), 프리휠링 다이오드(D2)의 캐소드단과 접지 사이에 연결되는 커패시터(C5), 전원 제어부(144)의 오프(OFF) 신호 출력 포트에 베이스단이 연결되고 프리휠링 다이오드(D2)의 캐소드단에 에미터단이 연결되는 제 3 스위칭 소자(Q3) 및 제 3 스위칭 소자(Q3)의 컬렉터단에 베이스단이 연결되고 프리휠링 다이오드(D2)의 캐소드단에 콜렉터단이 연결되는 제 2 스위칭 소자(Q2)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 1 내지 제 3 스위칭 소자(Q1, Q2, Q3)는 바이폴라 정션 트랜지스터(Bipolar Junction Transistor: BJT)이며, 특히 제 1, 2 스위칭 소자(Q1, Q2)는 NPN형 BJT이고, 제 3 스위칭 소자(Q3)는 PNP형 BJT이다. 여기서, 제 1, 2 스위칭 소자(Q1, Q2)의 각 콜렉터단의 출력 신호는 제 1 스위치부(S1)에 전달된다. 이 때, 제 1 스위칭 소자(Q1)의 콜렉터단의 출력 신호(High 신호)는 제 1 스위치부(S1)를 온시키고, 제 2 스위칭 소자(Q1)의 콜렉터단의 출력 신호(High 신호)는 제 1 스위치부(S1)를 오프시킨다.
신호 수신부(142)는 외부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제어 신호를 전원 제어부(144)에 전송한다. 이 때, 신호 수신부(142)는 리모컨 송신부에서 송신된 기기 제어 신호나 외부 전원 버튼의 신호를 수신한다.
전원 제어부(144)는 신호 수신부(142)로부터 전달된 제어 신호에 따라 상용 교류 전원이 주전력 공급부(150)로 공급되거나 공급 차단되도록 제어한다.
전원 제어부(144)는 신호 수신부(142)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해석(복호화)하고, 그에 상응하는 제어 신호를 포토커플러(PD1-PT1, PD2-PT2)를 통해 전기기기의 메인 제어부(200)으로 전송함으로써 전기기기의 주요 동작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전원 제어부(144)를 통해 해석된 신호 수신부(142)로부터의 제어 신호가 전원 온 신호이면 기기의 대기 모드에서 동작 모드로 전환하기 위해 상용 교류 전원과 주전력 공급부(150)를 연결해야 한다. 이 때, 전원 제어부(144)의 온 신호 출력 포트를 통해 출력된 온 신호(High 신호)는 제 1 스위칭 소자(Q1)의 베이스단에 입력되고, 제 1 스위칭 소자(Q1)의 베이스단에 전류가 흐르면 컬렉터단으로부터 에미터단으로 전류가 흐르게 되므로 제 1 스위칭 소자(Q1)는 제 1 스위치부(S1)를 스위칭 온시켜 상용 교류 전원이 주전력 공급부(150)에 공급되도록 한다.
한편, 전원 제어부(144)를 통해 해석된 신호 수신부(142)로부터의 제어 신호가 전원 오프 신호이면 기기의 동작 모드에서 대기 모드로 전환하기 위해 상용 교류 전원과 주전력 공급부(150)의 연결을 차단해야 한다. 이 때, 전원 제어부(144)의 오프 신호 출력 포트를 통해 출력된 오프 신호(Low 신호)는 제 3 스위칭 소자(Q3)의 베이스단에 입력되며, 제 3 스위칭 소자(Q3)의 베이스단에 전류가 흐르지 않으면 에미터단으로부터 컬렉터단으로 전류가 흐르게 되고 이로 인해 제 2 스위칭 소자(Q2)의 베이스단에도 전류가 흐르게 되므로 제 1 스위치부(S1)를 스위칭 오프시켜 상용 교류 전원이 주전력 공급부(150)에 공급되는 것을 차단한다.
여기서, 전기기기의 동작 모드 중에 전원 플러그를 강제로 뽑는 경우나 정전 등의 비정상적인 상황으로 인해 외부 전원(상용 교류 전원)이 차단되는 상황, 즉 전원 제어부(144)로부터의 전원 오프 명령(신호) 없이 외부 전원이 차단되는 돌발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외부 전원이 다시 공급되면(전원 플러그를 다시 꽂거나 정전 상황이 해제되는 경우) 전원 제어부(144)로부터의 전원 오프 명령이 없었기 때문에 제 1 스위치부(S1)는 여전히 온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 때에는 제 1 스위치부(S1)가 온되어 상용 교류 전원이 소비되고 있는 상태이지만 전기기기는 동작 모드가 아닌 대기 모드를 수행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전기기기의 동작 모드 중 돌발 상황으로 인해 외부 전원이 차단되었다가 다시 공급되는 경우에는 앞서 설명한 대기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회로 부분(110, 120, 125, 130, S2)을 통해 생성된 대기 전력을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외부 전원(상용 교류 전원)을 사용하여 전기기기의 대기 모드를 유지하게 되므로, 소비되는 대기 전력량이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전기기기의 대기 모드 시 전기기기에 공급되는 대기 전력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어떠한 상황으로 인해 외부 전원(상용 교류 전원)의 공급이 차단되더라도 외부 전원(상용 교류 전원)과 주전력 공급부(150)를 연결하기 위한 제 1 스위치부(S1)는 스위칭 오프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비정상적인 상황으로 인해 외부 전원(상용 교류 전원)이 차단되었다가 다시 공급되는 경우(이 때, 전기기기는 대기 모드를 수행하게 됨)에도 전기기기에 공급되는 대기 전력을 감소시키기 위해, 비정상적인 상황으로 인해 외부 전원이 차단(종료)되는 경우를 검출하기 위한 회로(비정상적 전원 종료 검출부, 146)를 적용한다.
비정상적 전원 종료 검출부(146)는 외부 전원의 공급이 차단되더라도 순간적으로 비정상적 전원 종료 검출부(146)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커패시터(C5), 커패시터(C5)의 전원이 다른 회로 부분으로 누설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프리휠링 다이오드(D2) 및 제 1 스위치부(S1)를 제어하기 위한 제 2, 3 스위칭 소자(Q2, Q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 3 스위칭 소자(Q3)는 PNP형 BJT로, 비정상적인 상황으로 인해 갑작스럽게 외부 전원의 공급이 차단되어 제 3 스위칭 소자(Q3)의 베이스단에 전류가 흐르지 않으면 즉, 제 3 스위칭 소자(Q3)의 베이스단에 Low 신호가 입력되면 제 3 스위칭 소자(Q3)의 에미터단으로부터 컬렉터단으로 전류가 흐르게 되고 이로 인해 제 2 스위칭 소자(Q2)의 베이스단에도 전류가 흐르게 되므로 제 1 스위치부(S1)를 스위칭 오프시킬 수 있다.
전기기기의 동작 모드 시에는 제 3 스위칭 소자(Q3)가 동작하지 않도록 제 3 스위칭 소자(Q3)의 베이스단에 전류가 흐르도록 제어한다. 한편, 외부로부터 전원 종료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뿐만 아니라 비정상적인 상황으로 인해 외부 전원(상용 교류 전원)이 차단되는 경우에도 제 3 스위칭 소자(Q3)의 베이스단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기 때문에 제 2, 3 스위칭 소자(Q2, Q3)가 동작함으로써 제 1 스위치부(S1)는 스위칭 오프된다. 이 때, 제 2, 3 스위칭 소자(Q2, Q3) 및 제 1 스위치부(S1)를 동작시키기 위해 필요한 전원은 커패시터(C5)에서 공급하게 된다. 이러한 비정상적 전원 종료 검출부(146)의 회로 구성을 통해 비정상적인 상황으로 인해 외부 전원(상용 교류 전원)이 차단되었다가 다시 공급되는 경우(이 때, 전기기기는 대기 모드를 수행하게 됨)에도 소비되는 대기 전력을 저감시킬 수 있게 된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저전력 공급부(110)로서 두 개의 커패시터(C1, C2)를 직렬로 연결시킨 회로를 이용함으로써 전력 저장부(120)에서 필요로 하는 저전력을 전력 저장부(120)에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기기의 전력 공급 장치의 저전력 공급부(110)에는 공급될 수 있는 외부 전원(예: 110V 또는 220V의 상용 전원)이 정해져 있기 때문에, 저전력 공급부(110)에 정해져 있지 않은 외부 전원을 연결하고자 하는 경우(예: 220V의 상용 전원이 공급될 수 있도록 정해져 있는 경우에 110V의 상용 전원을 공급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변압기를 필요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기기의 전력 공급 장치의 회로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저전력 공급부(110)로서 커패시터(C1), 저항 소자(R1) 및 다이오드(D3)를 직렬로 연결시킨 회로룰 이용함으로써 전력 저장부(120)에서 필요로 하는 저전력을 전력 저장부(120)에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저항 소자(R1)와 다이오드(D3)로 이루어지는 전압 레귤레이터(115)를 이용하여 저전력 공급부(110)에 공급되는 외부 전원이 바뀌더라도 항상 일정한 전압을 공급함으로써 사용자가 외부 전원에 따라 변압기를 사용해야 하는 불편을 줄일 수 있도록 구성된다는 점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기기의 전력 공급 장치(100)의 회로 구성에서, 저전력 공급부(110)를 이루는 회로 구성 이외의 다른 구성 요소들은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기기의 전력 공급 장치(100)의 회로 구성과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100 : 전력 공급 장치 110 : 저전력 공급부
120 : 전력 저장부 130 : 전압 검출부
140 : 상태 검출부 142 : 신호 수신부
144 : 전원 제어부 146 : 비정상적 전원 종료 검출부
150 : 주전력 공급부 S1 : 제 1 스위치부
S2 : 제 2 스위치부

Claims (16)

  1. 입력되는 교류 전원의 전압을 변환하여 공급하는 저전력 공급부;
    상기 저전력 공급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충전하였다가 전기기기의 대기 전력으로 공급하는 전력 저장부;
    상기 전력 저장부의 충전 전압 레벨을 검출하는 전압 검출부; 및
    상기 전압 검출부를 통해 검출된 상기 전력 저장부의 상기 충전 전압 레벨에 따라 상기 저전력 공급부의 전력이 상기 전력 저장부에 공급되거나 공급 차단되도록 하는 스위치부를 포함하는 전기기기의 전력 공급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전력 공급부는:
    직렬로 연결되는 복수 개의 커패시터; 및
    상기 복수 개의 커패시터 중 어느 하나의 커패시터 양단에 연결되는 정류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전기기기의 전력 공급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전력 공급부는:
    커패시터와, 저항 소자 및 다이오드로 구성되는 전압 레귤레이터가 직렬 연결된 회로; 및
    상기 전압 레귤레이터 양단에 연결되는 정류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전기기기의 전력 공급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저장부는 슈퍼 커패시터인 전기기기의 전력 공급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저장부는 충전 배터리인 전기기기의 전력 공급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전력 저장부의 상기 충전 전압 레벨이 기준 전압 이하일 경우 온 되어 상기 전력 저장부에 소정의 전압이 충전되도록 하고, 상기 전력 저장부의 상기 충전 전압 레벨이 기준 전압을 초과할 경우 오프되어 상기 전력 저장부에 충전된 소정의 전압이 방전되도록 하는 전기기기의 전력 공급 장치.
  7. 입력되는 교류 전원의 전압을 전기기기의 동작 제어에 필요한 주전력으로 변환시켜 공급하는 주전력 공급부;
    상기 입력되는 교류 전원을 상기 주전력 공급부로 스위칭하거나 차단하기 위한 제 1 스위치부;
    상기 입력되는 교류 전원의 전압을 변환하여 공급하는 저전력 공급부;
    상기 저전력 공급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충전하였다가 상기 전기기기의 대기 전력으로 공급하는 전력 저장부;
    상기 전력 저장부의 충전 전압 레벨을 검출하는 전압 검출부;
    상기 전압 검출부를 통해 검출된 상기 전력 저장부의 상기 충전 전압 레벨에 따라 상기 저전력 공급부의 전력이 상기 전력 저장부에 공급되거나 공급 차단되도록 하는 제 2 스위치부; 및
    상기 전력 저장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대기 전력을 필요로 하는 회로에 전력을 공급하고,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제 1 스위치부에 스위칭 온 제어 신호 또는 스위칭 오프 제어 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교류 전원이 상기 주전력 공급부로 스위칭되거나 차단되도록 제어하는 상태 검출부를 포함하는 전기기기의 전력 공급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저전력 공급부는:
    직렬로 연결되는 복수 개의 커패시터; 및
    상기 복수 개의 커패시터 중 어느 하나의 커패시터 양단에 연결되는 정류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전기기기의 전력 공급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저전력 공급부는:
    커패시터와, 저항 소자 및 다이오드로 구성되는 전압 레귤레이터가 직렬 연결된 회로; 및
    상기 전압 레귤레이터 양단에 연결되는 정류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전기기기의 전력 공급 장치.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저장부는 슈퍼 커패시터인 전기기기의 전력 공급 장치.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저장부는 충전 배터리인 전기기기의 전력 공급 장치.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스위치부는 상기 전력 저장부의 상기 충전 전압 레벨이 기준 전압 이하일 경우 온 되어 상기 전력 저장부에 소정의 전압이 충전되도록 하고, 상기 전력 저장부의 상기 충전 전압 레벨이 기준 전압을 초과할 경우 오프되어 상기 전력 저장부에 충전된 소정의 전압이 상기 상태 검출부로 방전되도록 하는 전기기기의 전력 공급 장치.
  13.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검출부는:
    외부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수신부;
    상기 신호 수신부로부터 전달된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교류 전원이 상기 주전력 공급부에 공급되거나 공급 차단되도록 제어하는 전원 제어부; 및
    비정상적인 상황으로 인해 상기 교류 전원의 공급이 차단되는 경우를 검출하기 위한 비정상적 전원 종료 검출부를 포함하는 전기기기의 전력 공급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비정상적인 상황으로 인해 상기 교류 전원의 공급이 차단되는 경우는 상기 전기기기의 동작 모드 중에 전원 플러그를 강제로 뽑는 경우나 정전이 발생한 경우인 전기기기의 전력 공급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비정상적 전원 종료 검출부는:
    상기 교류 전원의 공급이 차단되더라도 상기 비정상적 전원 종료 검출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커패시터;
    상기 커패시터의 전원이 상기 비정상적 전원 종료 검출부의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프리휠링 다이오드; 및
    상기 제 1 스위치부를 제어하기 위한 두 개의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는 전기기기의 전력 공급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스위칭 소자 중 하나는 PNP형 바이폴라 정션 트랜지스터(Bipolar Junction Transistor)이고, 상기 두 개의 스위칭 소자 중 다른 하나는 NPN형 바이폴라 정션 트랜지스터이며, 상기 PNP형 바이폴라 정션 트랜지스터의 컬렉터단이 상기 NPN형 바이폴라 정션 트랜지스터의 베이스단에 연결되고,
    상기 PNP형 바이폴라 정션 트랜지스터의 베이스단에 전류가 흐르지 않으면 상기 제 1 스위치부가 스위칭 오프되도록 하는 전기기기의 전력 공급 장치.
KR1020110013440A 2011-02-15 2011-02-15 전기기기의 전력 공급 장치 KR1017694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3440A KR101769474B1 (ko) 2011-02-15 2011-02-15 전기기기의 전력 공급 장치
US13/396,802 US9143006B2 (en) 2011-02-15 2012-02-15 Electric power supply apparatus of electric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3440A KR101769474B1 (ko) 2011-02-15 2011-02-15 전기기기의 전력 공급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3709A true KR20120093709A (ko) 2012-08-23
KR101769474B1 KR101769474B1 (ko) 2017-08-18

Family

ID=468278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3440A KR101769474B1 (ko) 2011-02-15 2011-02-15 전기기기의 전력 공급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143006B2 (ko)
KR (1) KR101769474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1433B1 (ko) * 2014-02-04 2014-06-25 (주)다재기술 대기 전력 절감 회로
KR20150010046A (ko) * 2013-07-17 2015-01-2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력 제어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 형성 장치
KR101489442B1 (ko) * 2014-06-11 2015-02-03 정연문 대기 전력 절감 회로
KR101665097B1 (ko) * 2015-09-01 2016-10-13 희성전자 주식회사 배터리 관리 시스템에서의 전원 제어 회로
KR102072526B1 (ko) * 2019-04-18 2020-01-31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시스템 주식회사 역전압 보호 장치
KR20200031281A (ko) * 2018-09-14 2020-03-24 염승엽 터널등 제어 장치
KR102220760B1 (ko) * 2020-08-18 2021-02-25 김병호 대기전력 차단장치
KR102368041B1 (ko) * 2021-08-09 2022-02-25 김병호 대기전력 차단장치
KR20230052030A (ko) * 2021-10-12 2023-04-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에너지 저장장치
WO2023136466A1 (ko) * 2022-01-17 2023-07-20 김병호 대기전력 차단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406181B1 (es) * 2011-03-11 2014-05-21 BSH Electrodomésticos España S.A. Aparato doméstico con un modo en espera, y procedimiento para accionar tal aparato doméstico
US10139843B2 (en) 2012-02-22 2018-11-27 Honeywell International Inc. Wireless thermostatic controlled electric heating system
KR102063502B1 (ko) * 2012-08-29 2020-01-0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발광 다이오드용 전원 공급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
US9264035B2 (en) 2013-04-23 2016-02-16 Honeywell International Inc. MOSFET gate driving circuit for transition softening
US9806705B2 (en) 2013-04-23 2017-10-31 Honeywell International Inc. Active triac triggering circuit
US9584119B2 (en) 2013-04-23 2017-02-28 Honeywell International Inc. Triac or bypass circuit and MOSFET power steal combination
CN103312027B (zh) * 2013-06-26 2015-04-29 中国矿业大学 在线式矿用隔爆锂离子蓄电池不间断直流电源及控制方法
US20150006930A1 (en) * 2013-06-28 2015-01-01 Lexmark International,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ower Management
EP3014731A4 (en) * 2013-06-28 2018-01-10 Honeywell International Inc. A power transformation system
US9983244B2 (en) 2013-06-28 2018-05-29 Honeywell International Inc. Power transformation system with characterization
US10811892B2 (en) 2013-06-28 2020-10-20 Ademco Inc. Source management for a power transformation system
US11054448B2 (en) 2013-06-28 2021-07-06 Ademco Inc. Power transformation self characterization mode
US9857091B2 (en) 2013-11-22 2018-01-02 Honeywell International Inc. Thermostat circuitry to control power usage
US9673811B2 (en) 2013-11-22 2017-06-06 Honeywell International Inc. Low power consumption AC load switches
US9419602B2 (en) 2014-06-19 2016-08-16 Honeywell International Inc. Passive drive control circuit for AC current
US9628074B2 (en) 2014-06-19 2017-04-18 Honeywell International Inc. Bypass switch for in-line power steal
US9683749B2 (en) 2014-07-11 2017-06-20 Honeywell International Inc. Multiple heatsink cooling system for a line voltage thermostat
KR101657228B1 (ko) * 2015-06-18 2016-09-13 주식회사 에이디티 에어컨디셔너의 대기전력 제어장치
CN105429279B (zh) * 2015-12-23 2018-06-26 浙江华飞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用电设备的供电***及其进行供电的方法
JP6705357B2 (ja) * 2016-10-14 2020-06-03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車載用のバックアップ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2342B1 (ko) 2008-01-23 2008-04-16 김현섭 절전형 전원 안정화 및 전원 자동 차단장치
US7779278B2 (en) * 2008-05-29 2010-08-17 Igo, Inc. Primary side control circuit and method for ultra-low idle power operation
KR100923220B1 (ko) * 2008-06-04 2009-10-27 (주)골든칩스 스위칭 모드 전원 공급기의 대기전력 최소화장치
US8853884B2 (en) * 2009-02-09 2014-10-07 Flextronics Ap, Llc Techniques for reducing no load power in electronic devices
WO2011068914A2 (en) * 2009-12-01 2011-06-09 International Electrical Savings & Development, LLC Systems and devices for reducing phantom load
US9071065B2 (en) * 2010-01-15 2015-06-30 Lite-On Electronics (Guangzhou) Limited Electrical power supply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10046A (ko) * 2013-07-17 2015-01-2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력 제어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 형성 장치
US10063091B2 (en) 2014-02-04 2018-08-28 Dajae Tech Co., Ltd Standby power saving circuit
WO2015119382A1 (ko) * 2014-02-04 2015-08-13 (주)다재기술 대기 전력 절감 회로
KR101411433B1 (ko) * 2014-02-04 2014-06-25 (주)다재기술 대기 전력 절감 회로
KR101489442B1 (ko) * 2014-06-11 2015-02-03 정연문 대기 전력 절감 회로
WO2015190835A1 (ko) * 2014-06-11 2015-12-17 정연문 대기 전력 절감 회로
KR101665097B1 (ko) * 2015-09-01 2016-10-13 희성전자 주식회사 배터리 관리 시스템에서의 전원 제어 회로
KR20200031281A (ko) * 2018-09-14 2020-03-24 염승엽 터널등 제어 장치
KR102072526B1 (ko) * 2019-04-18 2020-01-31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시스템 주식회사 역전압 보호 장치
KR102220760B1 (ko) * 2020-08-18 2021-02-25 김병호 대기전력 차단장치
KR102368041B1 (ko) * 2021-08-09 2022-02-25 김병호 대기전력 차단장치
WO2023018012A1 (ko) * 2021-08-09 2023-02-16 김병호 대기전력 차단장치
KR20230052030A (ko) * 2021-10-12 2023-04-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에너지 저장장치
WO2023063497A1 (en) * 2021-10-12 2023-04-20 Lg Electronics Inc. Energy storage system
WO2023136466A1 (ko) * 2022-01-17 2023-07-20 김병호 대기전력 차단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235490A1 (en) 2012-09-20
US9143006B2 (en) 2015-09-22
KR101769474B1 (ko) 2017-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9474B1 (ko) 전기기기의 전력 공급 장치
US10090770B2 (en) Isolated power converter with output voltage protection
US9991804B2 (en) Bus controller including feedback control unit reducing power consumption
US9529418B2 (en) Power supply control device, power supply system and electronic device
US8687392B2 (en) Power converter with automatic mode switching
CN210670696U (zh) 一种闪断开关检测电路
US20120307530A1 (en) Power suppl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KR101121150B1 (ko) 대기전력 차단 장치 및 방법
KR20130003254A (ko) 대기전력 감소 장치
CN110099234B (zh) 一种电源启动装置及电视机
CN110693401A (zh) 一种清洁机器人
CN102437724B (zh) 一种ac-dc芯片、***及其高压启动控制电路
CN116846041B (zh) 一种欠压保护电路
CN212210576U (zh) 一种低功耗的蓄电池充电器的供电电路
CN111092411B (zh) 一种单火智能开关及其漏电保护方法
KR20010011895A (ko) 가정용 전자제품의 초절전 대기전원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정용 전자제품의 전원공급장치
CN112117803A (zh) 一种电压输出装置及电压输出控制方法
CN116961378B (zh) Ac-dc开关电源及其控制方法
JP3841017B2 (ja) 電子機器の電源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CN218678542U (zh) 电池管理电路、供电电路及家电设备
KR20120054427A (ko) 전기기기의 전원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211299829U (zh) 一种清洁机器人
CN213693214U (zh) 电子钱包供电电路和电子钱包
KR20180023375A (ko) 스마트 전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0396598B1 (ko) 원격 조정이 가능한 초절전 스탠바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