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88936A - Polarizer film and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Polarizer film and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88936A
KR20120088936A KR1020110009923A KR20110009923A KR20120088936A KR 20120088936 A KR20120088936 A KR 20120088936A KR 1020110009923 A KR1020110009923 A KR 1020110009923A KR 20110009923 A KR20110009923 A KR 20110009923A KR 20120088936 A KR20120088936 A KR 201200889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panel
polarizing
camera
polarizing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992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동용
박재우
손남도
김성우
진기남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099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88936A/en
Publication of KR201200889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893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4Protective coatings, e.g. hard coat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PURPOSE: A polarizer film and a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are provided to be manufactured while a polarization film having polarization feature is removed. CONSTITUTION: A camera(400) is installed between a set cover(100) and a guide frame(200). The camera is installed between the guide frame and a panel(310) of a display unit. A set cover supports the guide frame. The set cover protects the side of the guide frame. The set cover comprises a set plate(101) and a set sidewall(102).

Description

편광필름 및 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POLARIZER FILM AND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POLARIZER FILM AND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편광필름 및 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카메라가 내장되어 있는 보더리스 타입의 디스플레이 장치와 그에 이용되는 편광필름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larizing film and a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borderless display device having a built-in camera and a polarizing film used therefor.

최근, 음극선관(Cathode Ray Tube)의 단점인 무게와 부피를 줄일 수 있는 각종 평판 형태의 디스플레이 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로는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전계 방출 표시 장치(Fied Emission Display Device), 발광 표시 장치(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등이 활발히 연구되고 있지만, 양산화 기술, 구동수단의 용이성, 고화질의 구현이라는 장점에서 액정 표시 장치가 각광을 받고 있다.Recently, various flat panel display devices have been developed to reduce weight and volume, which are disadvantages of cathode ray tubes. As such a flat panel display device,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 plasma display panel (PDP), a 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FED emission display device), a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However,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s in the spotlight in terms of mass production technology, ease of driving means, and realization of high image quality.

최근에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들의 기술적인 면의 연구개발과 더불어 수요자들에 보다 어필할 수 있는 제품의 디자인적인 면에서 연구개발의 필요성이 특히 부각되고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두께를 최소화(슬림화)하는 노력이 꾸준히 진행되고 있고, 수요자의 미적 감각에 호소하여 구매를 자극할 수 있는 미감이 증진된 디자인에 대한 요구가 점차로 증진되고 있다.In recent years, the necessity of R & D in the design aspect of products that can appeal more to the users in addition to the R & D of the technical aspects of flat panel display devices has been particularly highlighted. Accordingly, efforts are being made to minimize (slim) the thickness of the display device, and the demand for designs with enhanced aesthetics that can stimulate purchases by appealing to the aesthetic sense of the consumer is gradually increasing.

그러나, 현재까지 진행되어 온 디스플레이 장치의 슬림화 또는 미감 증진을 위한 디자인 개발은 종전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성하는 구성요소를 그대로 채용하면서 그 구성요소의 구조를 변경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어 왔고, 그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슬림화나 새로운 디자인을 개발함에 있어서 어느 정도 한계가 있다.However, the design development for slimming or enhancing the aesthetics of the display device, which has been carried out to date, has been progressed in such a manner that the structure of the component is changed while adopting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conventional display device. There are some limitations in slimming down and developing new designs.

예를 들어, 액정표시장치의 경우에 있어서, 종래에는 패널과 백 라이트 유닛을 수용하기 위해서, 하부 케이스와 상부 케이스가 필수적으로 사용되었고, 또한, 노트북, 모니터, 모바일 기기 또는 텔레비전 등으로 제품화하기 위해서 별도의 전면 세트 커버와 후면 세트 커버가 추가적으로 사용되었다.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ventionally, a lower case and an upper case have been essentially used in order to accommodate a panel and a backlight unit. In addition, in order to commercialize a notebook computer, a monitor, Separate front set covers and rear set covers were additionally used.

이와 같이, 하부 케이스와 상부 케이스, 및 이에 더하여 제품의 전면 및 후면 세트 커버가 필수적으로 사용됨으로 인해서 액정표시장치의 두께를 줄이거나 디자인을 변경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특히, 상부 케이스 및 전면 세트 커버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면 가장자리를 필수적으로 덮게 되므로, 그로 인해서 액정표시장치의 두께가 두꺼워질 수밖에 없고, 또한 액정표시장치의 테두리 폭이 증가되고 테두리 부분의 단차로 인하여 다양하고 혁신적인 디자인을 고안하는데 장애가 되고 있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lower case and the upper case, as well as the front and rear set covers of the product, are essentially used, there is a limitation in reducing the thickness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or changing the design. In particular, since the upper case and the front set cover essentially cover the upper edge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the thickness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must be increased. In addition, the width of the edge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s increased, It is an obstacle to devising diverse and innovative designs.

또한, 최근에는 화상 채팅, 화상 회의 등을 위한 카메라가 내장된 노트북이 제품으로 출시되고 있다. 이에 따라, 카메라의 설치를 위한 별도의 공간이 필요함으로써 노트북 화면의 테두리 폭이 더욱 증가되고 테두리 부분의 단차로 인하여 다양하고 혁신적인 디자인을 고안하는데 장애가 되고 있다.In addition, recently, a notebook equipped with a camera for video chatting, video conference, and the like is being released as a product. Accordingly, since a separate space for installing the camera is required, the width of the lid of the notebook screen is further increased and the steps of the rim portion are obstructed in devising various innovative designs.

한편,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평면에 단차가 없는 다양한 형태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 중 특히 패널의 하단에 카메라가 장착되어 있는 경우, 패널의 평면과 배면에 부착되는 편광필름 중 카메라와 대응되는 위치에는 투과홀이 형성되어 있어서, 디스플레이 장치 외부의 빛이 편광필름에 영향을 받지 않고 카메라로 유입되도록 하고 있다. On the other hand, as a method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various types of display apparatuses having no step in the plane of the display apparatus have been developed. In particular, when a camera is mounted at the bottom of the panel, a transmission hole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amera in the plane and the rear surface of the panel, so that the light outside the display device affects the polarization film. It is to be introduced to the camera without receiving.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편광필름에 투과홀을 형성하기 위한 공정이 추가되어야 하고, 투과홀이 외부에서 보여지므로 외관이 불량하며, 투과홀에 먼지 등의 이물질이 낄 수 있다는 등의 문제점을 유발시키고 있다.However,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the process for forming the through-holes in the polarizing film should be added, since the through-holes are seen from the outside, the appearance is poor, foreign matters such as dust can be caught in the through-holes, etc. Is causing problems.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카메라와 대응되는 부분에는 편광특성을 갖는 편광특성 필름이 제거된 상태로 제작되는, 편광필름 및 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o provide a polarizing film and a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which is manufactured in a state in which the polarizing film having a polarizing property is removed in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camera.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편광필름은, 편광특성을 갖는 편광특성 필름; 상기 편광특성 필름의 평면에 부착되는 제1지지필름; 상기 편광특성 필름의 저면에 부착되는 제2지지필름; 상기 제1지지필름의 외측면에 부착되는 제1외측필름; 및 상기 제2지지필름의 외측면에 부착되는 제2외측필름을 포함하며, 상기 편광특성 필름의 길이는 상기 제1지지필름 및 상기 제2지지필름의 길이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Polarizing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polarizing film having a polarizing property; A first support film attached to a plane of the polarization film; A second support film attached to a bottom of the polarization film; A first outer film attached to an outer surface of the first support film; And a second outer film attached to an outer surface of the second support film, wherein the length of the polarization film is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first support film and the second support film.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편광필름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이 표시되는 패널과, 상기 패널의 평면 또는 저면 중 적어도 어느 일측면에 부착되는 편광필름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유닛; 및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을 지지하기 위한 가이드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프레임은, 상기 패널의 측면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 측벽; 및 상기 패널을 지지하기 위한 패널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패널 지지부 중 제1 패널 지지부에는 카메라가 부착되는 카메라 수납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편광필름 중 상기 제1 패널 지지부에 대응되는 제1외곽부에는 편광특성을 갖는 편광특성 필름이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display device using a polarizing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display unit comprising a panel for displaying an image, and a polarizing film attached to at least one side of the flat or bottom surface of the panel; And a guide frame for supporting the display unit, wherein the guide frame comprises: guide sidewalls for guiding side surfaces of the panel; And a panel support part for supporting the panel, wherein a first camera part of the panel support part includes a camera accommodating part to which a camera is attached, and a first outer part of the polarizing film corresponding to the first panel support part. There is no polarizing film having a polarizing property.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obtained.

즉, 본 발명은 카메라와 대응되는 부분에는 편광특성을 갖는 편광특성 필름이 제거된 상태로 제작되기 때문에, 카메라로의 빛 투과를 위해 별도의 투과홀을 형성할 필요가 없으며, 이로 인해, 제작 공정을 단순화시킬 수 있다는 효과를 제공한다. 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polarizing film having the polarizing property is manufactured in a state corresponding to the camera, it is not necessary to form a separate transmission hole for transmitting light to the camera, and thus, the manufacturing process Provides the effect of simplifying

또한, 본 발명은 투과홀이 요구되지 않기 때문에, 외관이 불량하지 않아 보더리스 타입의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는 효과를 제공한다.In addition, since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require a transmission hole, the appearance is not poor, thereby providing an effect of maximizing the effect of the borderless typ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적용되는 노트북의 일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저면을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편광필름을 구성하는 각 층의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편광필름의 단면을 나타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편광필름의 제작 방법을 나타낸 예시도.
1 is an exemplary view of a notebook to which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2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lan view showing the bottom of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Figure 4 is an illustration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each layer constituting the polarizing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of the polarizing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manufacturing method of a polarizing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적용되는 노트북의 일예시도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notebook to which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는, 노트북과 같은 소형 단말기에 장착되어 이용되는 것으로서, 특히, 단말기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영상을 수집할 수 있는 카메라(400)가 패널 하부에 내장되어 있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The display devic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a small terminal such as a notebook and used. In particular, the display device 10 has a feature in that a camera 400 capable of collecting an image of a user using the terminal is built in a lower part of the panel. hav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는 보더리스(Borderless)를 구현하기 위해 외관을 형성하는 평면이 단차없이 평면으로 형성되어 있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가 탑재된 노트북의 모니터는, 세트 커버(100)가 디스플레이 장치(10)를 감싸고 있는 형태로 구성되며, 세트 커버(100)와 디스플레이 장치의 평면에는 단차가 없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In addition, the display devic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feature that the plane forming the exterior is formed into a plane without a step to implement borderless. That is, as shown in Figure 1, the monitor of the notebook equipped with the display devic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t cover 100 is configured in a form surrounding the display device 10, the set cover 100 ) And the flat surface of the display device has no feature.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로서, 도 1에 도시된 A'-A의 절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저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다.2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ross-section of A'-A shown in FIG. 3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bottom of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는, 상기한 바와 같은 단말기에 장착되어 영상을 출력하는 모니터를 형성하는 것으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프레임(200) 및 디스플레이 유닛(30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세트 커버(100)에 장착되어 고정된다. 또한, 세트 커버(100)와 가이드 프레임(200) 사이 또는 가이드 프레임과 디스플레이 유닛의 패널(310) 사이에는 카메라(400)가 장착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는 세트 커버(100)에 의해 커버된 상태로 단말기의 모니터를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는 세트 커버(100)를 포함하는 것일 수도 있으나, 이하에서는 세트 커버를 제외한 것을 일예로 하여 본 발명이 설명된다. 즉, 세트 커버(100)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관을 커버하는 것으로서, 실질적으로는 노트북의 모니터와 같이 단말기의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The display apparatus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monitor mounted on the terminal as described above and outputs an image. As illustrated in FIG. 2, the display apparatus 10 includes a guide frame 200 and a display unit 300. It is configured to be mounted on the set cover 100 is fixed. In addition, the camera 400 is mounted between the set cover 100 and the guide frame 200 or between the guide frame and the panel 310 of the display unit. That is, the display apparatus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orm the monitor of the terminal in a state covered by the set cover 100. Meanwhile, the display devic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the set cover 100, but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by taking the set cover as an example. That is, the set cover 100 covers the outer appearance of the display device and can be seen as forming the appearance of the terminal substantially like a monitor of a notebook computer.

우선, 세트 커버(100)는 사각틀 형태로 형성되어 가이드 프레임(200)을 지지함과 아울러 가이드 프레임(200)의 측면을 감쌈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10)를 커버하는 역할을 한다. First, the set cover 100 is formed in a rectangular frame shape to support the guide frame 200 and to cover the display apparatus 10 by wrapping side surfaces of the guide frame 200.

여기서, 세트 커버(100)는 플라스틱 재질 또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세트 플레이트(101) 및 세트 측벽(10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Here, the set cover 100 may be made of a plastic material or a metal material, and includes a set plate 101 and a set side wall 102.

세트 플레이트(101)는 평판 형태로써 제품화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저면 커버 역할을 한다.The set plate 101 serves as a bottom cover of a display device manufactured in the form of a flat plate.

세트 측벽(102)은 세트 플레이트(101)로부터 수직하게 절곡되어 수납 공간을 형성한다. 이러한, 세트 측벽(102)은 이하에서 설명될 가이드 프레임(200)의 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디스플레이 장치의 측면 커버 역할을 한다.The set side wall 102 is vertically bent from the set plate 101 to form a storage space. The set side wall 102 is formed to surround the side surface of the guide frame 2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serves as a side cover of the display device.

다음으로, 가이드 프레임(200)은 디스플레이 유닛(300)을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세트 커버(100)에 마련되는 수납 공간에 수납된다. 이러한 가이드 프레임(200)은 가이드 측벽(202), 패널 지지부(204) 및 하단 지지부(206)를 포함하고 있으며, 특히, 패널 지지부 중 카메라가 장착되는 부분에는 카메라홀(208)이 형성되어 있다. Next, the guide frame 200 performs the function of supporting the display unit 300, and is accommodated in a storage space provided in the set cover 100. The guide frame 200 includes a guide sidewall 202, a panel support 204, and a lower support 206. In particular, a camera hole 208 is formed in a portion of the panel support on which the camera is mounted.

가이드 측벽(202)은 세트 커버(100)의 세트 측벽(102)과 나란하도록 수직하게 형성되며, 사각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되어, 디스플레이 유닛(300)의 측면을 감싼다. 여기서, 가이드 측벽(202)의 상부면은 디스플레이 유닛(300)의 측면을 감싸되 디스플레이 유닛(300)의 상부 가장자리 부분과 중첩되지 않도록 외부에 노출되어 디스플레이 유닛(300)의 테두리를 형성한다.The guide sidewall 202 is formed to be perpendicular to the set sidewall 102 of the set cover 100 and is formed in a rectangular frame shape to wrap the side of the display unit 300. The upper surface of the guide sidewall 202 is surrounded by the side of the display unit 300 and is exposed to the outside so as not to overlap with the upper edge portion of the display unit 300 to form a rim of the display unit 300.

패널 지지부(204)는 가이드 측벽(202)으로부터 세트 측벽(102)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디스플레이 유닛(300) 중 특히 패널(310)을 지지한다. 즉, 패널 지지부는 사각 프레임 형상의 가이드 측벽(202)의 네 모서리에 모두 형성되어 패널을 지지한다. The panel support 204 protrudes from the guide sidewall 202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set sidewall 102 to support the panel 310, in particular of the display unit 300. That is, the panel supporting portion is formed at all four corners of the guide side wall 202 in the shape of a rectangular frame to support the panel.

패널 지지부(204)는 다시 제1 패널 지지부(204a), 제2패널 지지부(204b), 제3패널 지지부, 제4패널 지지부로 구분될 수 있다. The panel support 204 may be divided into a first panel support 204a, a second panel support 204b, a third panel support, and a fourth panel support.

여기서, 제1 패널 지지부(204a)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 지지부 중 카메라가 배치되는 부분을 말한다. 또한, 제2 패널 지지부(204b)는 제1 패널 지지부(204a)의 반대 측면을 말한다. 즉, 제1 패널 지지부와 제2 패널 지지부는 사각 프레임 형상의 가이드 측벽(202)의 네 개의 측벽 중 서로 마주보는 측벽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3 패널 지지부(미도시)와 제4 패널 지지부(미도시)는 사각 프레임 형상의 가이드 측벽의 나머지 두 개의 측벽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Here, as shown in FIG. 2, the first panel support part 204a refers to a part of the panel support part in which a camera is disposed. Also, the second panel support 204b refers to the opposite side of the first panel support 204a. That is, the first panel support portion and the second panel support portion are respectively formed on the side walls facing each other among the four side walls of the rectangular sidewall-shaped guide side wall 202. In addition, the third panel support part (not shown) and the fourth panel support part (not shown) are respectively formed on the remaining two side walls of the guide side wall of the rectangular frame shape.

상기와 같이 구성된 패널 지지부 중 특히, 카메라(400)가 배치되는 제1 패널 지지부(204a)에는 카메라(400)의 렌즈가 패널(310)을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카메라홀(208)이 형성되어 있다.In particular, the camera hole 208 is formed in the first panel support 204a in which the camera 400 is disposed, so that the lens of the camera 400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panel 310. It is.

한편, 도 2에는 제1 패널 지지부(204a)의 하단에 카메라가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제1 패널 지지부와 패널 사이에 카메라가 배치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제1 패널 지지부의 형상은 '∪'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2에서는 제1 패널 지지부가 '∩'자 형태로 형성되어 있어서, 제1 패널 지지부의 하단에 카메라가 놓여지고 제1 패널 지지부에는 카메라홀이 형성되어 있으나, 제1 패널 지지부가 '∪'자 형태로 형성된 경우에는 카메라가 제1 패널 지지부와 패널 사이에 배치되며, 제1 패널 지지부에는 별도의 카메라홀이 형성되지 않는다. Meanwhile, although FIG. 2 illustrates that a camera is disposed at a lower end of the first panel support 204a, the camera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panel support and the panel. In this case, the shape of the first panel support may be ' It may be formed in a '∪' shape. That is, in FIG. 2, the first panel support part is formed in a '∩' shape, so that a camera is placed at a lower end of the first panel support part and a camera hole is formed in the first panel support part. When formed in a 'shape' shape, the camera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panel support and the panel, and a separate camera hole is not formed in the first panel support.

여기서, 카메라가 배치될 수 있도록 제1 패널 지지부의 상단 또는 하단에 형성된 공간은 카메라 수납부(500)라 한다. 즉, 카메라 수납부(5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패널 지지부와 세트 플레이트(101) 사이에 형성될 수도 있으며, 제1 패널 지지부와 패널(310) 사이에 형성될 수도 있다.Here, the space formed at the top or the bottom of the first panel support so that the camera can be disposed is referred to as the camera accommodating part 500. That is, the camera accommodating part 500 may be formed between the first panel support part and the set plate 101 as shown in FIG. 2, or may be formed between the first panel support part and the panel 310.

즉, 패널 지지부(204)는 패널(310)을 지지하는 한편, 카메라(400)를 수납하기 위해, 가이드 측벽(202)으로부터 돌출되어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That is, the panel support 204 may support the panel 310 and protrude from the guide sidewall 202 to accommodate the camera 400, and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하단 지지부(206)는 패널 지지부의 하단 또는 가이드 측벽의 하단으로부터 세트 측벽(102)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패널 지지부의 하단에 형성되어 있으며, 반사판(307), 도광판(308), 광학필름부(309) 및 광원(350) 등을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lower support portion 206 protrudes from the lower end of the panel support portion or the lower end of the guide side wall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set side wall 102 and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panel support portion. The lower support portion 206 includes a reflection plate 307, a light guide plate 308, The light source 350, and the like.

즉, 하단 지지부(206)는 패널 지지부(204)의 하단에 형성되어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요소들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카메라가 수납되는 제1 패널 지지부(204a)로부터 돌출된 경우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패널 지지부의 끝단 하부에서 세트 측벽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그 외에는 패널 지지부의 하단에서 가이드 측벽(202)으로부터 세트 측벽(102)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That is, the lower support part 206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panel support part 204 to support the components as described above. When the camera protrudes from the first panel support part 204a in which the camera is accommodated, FIG. As shown, protrudes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set sidewall at the lower end of the first panel support, and otherwise protrudes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set sidewall 102 from the guide sidewall 202 at the bottom of the panel support. .

또한, 도면으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카메라가 배치되는 제1 패널 지지부에는 카메라 수납부의 좌우측으로 카메라 수납부와 유사한 형태의 공간이 더 형성될 수도 있으며, 상기 공간에는 노트북에 사용되는 안테나 또는 안테나 와이어 등이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first panel support on which the camera is disposed may further include a space similar to the camera storage portion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amera storage portion, and the antenna or antenna wire used in the laptop may be formed in the space. And the like can be arranged.

마지막으로, 디스플레이 유닛(300)은 패널(301), 편광판(311, 312), 광학필름부(309), 도광판(308), 반사판(307) 및 광원(35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Finally, the display unit 300 may include a panel 301, polarizing plates 311 and 312, an optical film unit 309, a light guide plate 308, a reflecting plate 307, and a light source 350.

패널(301)은 상부기판(301a) 및 하부기판(301b)이 접합되어 구성되는 것으로서, 각종 소자들이 형성되어 있는 표시영역과 표시영역의 외곽에 형성된 비표시영역으로 구분된다. 여기서, 비표시영역은 다시 제1 비표시영역, 제2 비표시영역, 제3 비표시영역 및 제4 비표시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제1 비표시영역은 제1 패널 지지부(204a)에 안착되는 부분이고, 제2 비표시영역은 제2 패널 지지부(204b)에 안착되는 부분이며, 제3 비표시영역과 제4 비표시영역은 각각 제3 패널 지지부와 제4 패널 지지부에 안착되는 부분이다. The panel 301 is formed by joining an upper substrate 301a and a lower substrate 301b, and is divided into a display region where various elements are formed and a non-display region formed at the outskirts of the display region. Here, the non-display area may be divided into a first non-display area, a second non-display area, a third non-display area, and a fourth non-display area. The first non-display region is a portion that is seated on the first panel support portion 204a, the second non-display region is a portion that is seated on the second panel support portion 204b, and the third non-display region and the fourth non- And the third panel supporting portion and the fourth panel supporting portion, respectively.

상기한 바와 같은 패널(301)은 상부기판과 하부기판 사이에 주입되는 액정을 하판에 인가되는 전압을 이용하여 구동시킴으로써, 광원(350)으로부터 방출된 빛의 투과량에 따라 영상을 출력하는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The panel 301 outputs an image according to the amount of light transmitted from the light source 350 by driving the liquid crystal injected between the upper substrate and the lower substrate using a voltage applied to the lower plate. . ≪ / RTI >

광원(350)은 패널에 빛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서, 다양한 종류의 광원이 이용될 수 있으나, 최근에는 발광다이오드(LED)를 이용하여 구성되고 있다.The light source 350 is used to supply light to the panel, and various types of light sources can be used, but recently, the light source 350 is configured using a light emitting diode (LED).

도광판(308)는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빛을 확산 및 반사시켜 패널 방향으로 유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도광판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350)이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측광형 디스플레이 장치에 구비되어,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빛을 패널 방향으로 반사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light guide plate 308 diffuses and reflects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and guides the light toward the panel. That is, the light guide plate is provided in the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in which the light source 350 is formed at the side, as shown in FIG. 2, and reflects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toward the panel.

광학필름부(309)는 도광판(308)을 통과한 빛을 확산시키거나 또는 도광판을 통과한 빛이 액정패널에 수직하게 입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확산시트(diffuser sheet), 프리즘시트(prism sheet) 등을 포함하여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The optical film unit 309 diffuses light passing through the light guide plate 308 or allows light passing through the light guide plate to be incident perpendicularly to the liquid crystal panel. The optical film unit 309 includes a diffuser sheet, a prism sheet sheet, and the like.

반사시트(307)는 도광판의 저면에 구비되어,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빛을 패널 방향으로 반사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광원으로부터 출사되어 도광판으로 유입된 빛은 도광판에 형성되어 있는 패턴 등에 의해 굴절되어 패널 방향으로 반사되지만, 반사되지 않고 도광판의 저면을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빛도 있을 수 있는바, 반사시트는 이러한 빛을 다시 반사시켜 패널 방향으로 유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The reflective sheet 307 is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light guide plate to perform a function of reflecting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toward the panel. That is,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and introduced into the light guide plate is refracted by a pattern formed in the light guide plate and reflected in the direction of the panel. However, there may be light that is not reflected and flows out through the bottom of the light guide plate. The light is reflected back to guide the panel.

편광필름(Polarizing Film)(311, 312)은, 액정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패널의 평면 또는 저면에 부착되는 것으로서, 패널에 인가되는 전압의 온/오프(On/Off)에 따라 원하는 방향 성분의 빛만 통과시키는 기능을 한다.The polarizing films 311 and 312 are attached to the flat or bottom surface of a panel formed of liquid crystals, and only light having a desired direction component according to the on / off of voltage applied to the panel. Function to pass.

즉, 편광필름은 패널의 평면 또는 저면에 부착되는 것으로서, 액티브부, 제1외곽부, 제2외곽부, 제3외곽부, 제4외곽부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액티브부는 패널의 표시영역에 부착되는 부분을 말하고, 제1외곽부는 패널의 제1 비표시영역에 부착되는 부분을 말하며, 제2외곽부는 패널의 제2 비표시영역에 부착되는 부분을 말한다. 마찬가지로, 제3외곽부는 패널의 제3 비표시영역에 부착되는 부분을 말하고, 제4외곽부는 패널의 제4 비표시 영역에 부착되는 부분을 말한다. That is, the polarizing film is attached to the flat or bottom surface of the panel, and may be divided into an active part, a first outer part, a second outer part, a third outer part, and a fourth outer part. Here, the active part refers to a part attached to the display area of the panel, the first outer part refers to a part attached to the first non-display area of the panel, and the second outer part refers to a part attached to the second non-display area of the panel. . Similarly, the third outer portion refers to a portion attached to the third non-display area of the panel, and the fourth outer portion refers to a portion attached to the fourth non-display area of the panel.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패널(301)의 평면 또는 저면에 부착되는 편광필름(311, 312)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편광필름의 네 개의 외곽부 중, 카메라가 배치되는 제1 패널 지지부에 안착되는 제1 비표시영역에 부착되는 제1외곽부에는, 편광특성을 갖는 편광특성 필름이 제거된 상태로 형성되는 편광필름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편광특성 필름에는 다양한 종류의 필름이 적용될 수 있으나, 특히,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피브이에이(Polyvinyl Alcohol)(이하, 간단히 'PVA'라 함) 필름을 편광특성의 일예로 하여 본 발명이 설명된다.Meanwhil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polarizing films 311 and 312 attached to the plane or the bottom of the panel 301 as described above. Particularly, among the four outer parts of the polarizing film, the first panel support part on which the camera is disposed is provided. The first outer portion attached to the first non-display area seated on the polarizing film is formed in a state in which the polarizing film having a polarizing property is removed. Herein, various kinds of films may be applied to the polarizing film, but in particula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 a polyvinyl alcohol (hereinafter, simply referred to as 'PVA') film as an example of polarizing property. This is explained.

즉, 본 발명에 따른 편광필름(311, 312)은, 편광필름을 형성하는 네 개의 외곽부 중 카메라가 배치되는 영역과 대응되는 제1외곽부에는 편광특성을 갖는 PVA가 제거된 상태로 형성된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카메라로 빛이 유입되는 통로인 빛투과부(C)가 형성되는 제1외곽부에는 별도의 투과홀이 형성될 필요가 없다. That is, the polarizing films 311 and 31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formed in a state in which the PVA having polarization characteristics is removed in the first outer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area where the camera is disposed among the four outer portions forming the polarizing film. Has characteristics. 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eparate transmission hole does not need to be formed in the first outer portion where the light transmitting portion C, which is a passage through which light flows into the camera, is formed.

한편, 편광필름은 패널의 평면에 부착되는 제1편광필름(311)과 패널의 저면에 부착되는 제2편광필름(312)으로 구분될 수 있는데, 본 발명에 의하면 제1편광필름과 제2편광필름 모두에 상기한 바와 같이 렌즈홀이 형성될 필요가 없다. 그러나, 제2편광필름의 경우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외곽부에 해당되는 영역이 없는 상태로 패널에 부착될 수도 있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편광필름은 특히, 패널의 평면에 부착되는 제1편광필름(311)에 적용될 수 있다. Meanwhile, the polarizing film may be classified into a first polarizing film 311 attached to the plane of the panel and a second polarizing film 312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panel, 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polarizing film and the second polarizing film Lens holes do not need to be formed in all of the films as described above. However, in the case of the second polarizing film, as shown in FIG. 2, since the second polarizing film may be attached to the panel without the area corresponding to the first outer portion, the polarizing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articularly provided in the plane of the panel. It may be applied to the first polarizing film 311 to be attached.

본 발명에 따른 편광필름의 구조는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The structure of the polarizing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4 and 5.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저면을 나타낸 평면도이다.3 is a plan view showing the bottom of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저면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곽이 가이드 프레임(200)에 의해 감싸여져 있다.As shown in FIG. 3, the bottom of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urrounded by the guide frame 200.

한편, 가이드 프레임(200)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세트 커버(100)의 세트 측벽(102)과 나란하도록 수직하게 형성되며, 사각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되어, 디스플레이 유닛(300)의 측면을 감싸고 있는 가이드 측벽(202)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이러한 가이드 측벽은 도 3에서 보이는 면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도면상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다. Meanwhile, the guide frame 200 is vertically formed to be parallel to the set sidewall 102 of the set cover 100 as described above, and is formed in a rectangular frame shape to guide the sidewall of the display unit 300. It is composed of 202, but this guide side wall is not shown in the drawing because it projects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plane shown in FIG.

패널 지지부(204)는 가이드 측벽으로부터 세트 커버와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어 패널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히, 카메라가 배치되는 카메라 수납부(500)가 형성되어 있는 제1 패널 지지부에는 카메라홀(208)이 형성되어 있다.The panel support 204 protrudes from the side wall of the guide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set cover to support the panel. In particular, the panel support 204 includes a camera hole 208 in the first panel support where the camera accommodating part 500 is disposed. Is formed.

즉, 제1 패널 지지부(204a)의 중앙부분에는 카메라가 수납될 수 있는 카메라 수납부(500)가 형성되어 있으며, 카메라 수납부가 형성되어 있는 제1 패널 지지부에는 카메라홀(208)이 형성되어 있어서, 외부로부터 편광필름의 제1외곽부 및 패널과 카메라홀(208)을 통해 유입된 빛이 카메라로 유입될 수 있다.That is, a camera accommodating part 500 for accommodating a camera is formed in the center portion of the first panel support part 204a, and a camera hole 208 is formed in the first panel support part in which the camera accommodating part is formed. The light introduced through the first outer portion and the panel and the camera hole 208 of the polarizing film from the outside may be introduced into the camera.

하단 지지부(206)는 패널 지지부와 단차를 갖는 상태로 형성되어 패널 하단에 배치되는 도광판, 광원, 반사판, 광학필름부 등을 지지한다. 이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사판(307)이 최하단에 배치되기 때문에, 도 3에서는 하단 지지부(206)에 반사판(307)이 안착되어 있는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The lower support part 206 is formed to have a step with the panel support part to support a light guide plate, a light source, a reflector plate, an optical film part, etc. disposed at the lower end of the panel.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2, since the reflecting plate 307 is disposed at the lowermost end, the reflecting plate 307 is shown on the lower support part 206 in FIG. 3.

한편, 상기에서는 디스플레이 유닛이 도광판과 광원 등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인 것으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유닛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전계 방출 표시 장치, 발광 표시 장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Meanwhile, although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s the display unit being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cluding a light guide plate and a light sourc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refore, the display unit may be configured of a plasma display panel, a 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a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or the like.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편광필름을 구성하는 각 층의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편광필름의 단면을 나타낸 예시도로서, 특히, 편광필름 중, 카메라 또는 카메라홀과 일직선 상에 배치된 상태로 패널에 부착되는 제1외곽부의 단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Figure 4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each layer constituting the polarizing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Figure 5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of the polarizing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particular, an exemplary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of the first outer portion of the polarizing film attached to the panel in a state arranged in a straight line with the camera or camera hole. to be.

편광필름(Polarizing Film)(310)은, 노트북 PC, 데스크탑 PC, 모바일 폰, 아이패드 및 캠코더 등의 액정표시장치에 사용되는 광학필름으로서, 이러한 편광필름은 패널의 양쪽에 각각 부착되어 패널에 인가되는 전압의 온/오프(On/Off)에 따라 원하는 방향 성분의 빛만 통과시키는 기능을 한다. 즉, 광학필름은 액정으로 구성된 패널(301)에서 광특성을 결정짓는 핵심소재로서, 이러한 광학필름의 기능은 특히, 편광소자인 PVA(Polyvinyl Alcohol) 필름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The polarizing film 310 is an optical film used i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s such as notebook PCs, desktop PCs, mobile phones, iPads, and camcorders, and the polarizing films are attached to both sides of the panel and applied to the panel. It functions to pass only the light of the desired direction component according to the on / off of the voltage. That is, the optical film is a key material for determining optical characteristics in the panel 301 composed of liquid crystals, and the function of the optical film may be particularly implemented by a PVA (Polyvinyl Alcohol) film which is a polarizer.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편광필름 중, 카메라홀 또는 카메라와 일직선 상에 배치된 상태로 패널에 부착되는 제1외곽부에는 상기한 바와 같은 PVA 필름이 형성되어 있지 않다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olarizing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PVA film as described above is not formed in the first outer portion attached to the panel in a state arranged in line with the camera hole or the camera.

우선, 본 발명에 따른 편광필름의 전체적인 구성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다.First,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polarizing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s shown in FIG.

즉, 본 발명에 따른 편광필름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광소자인 PVA(Polyvinyl Alcohol) 필름이 가운데 층에 위치하고, PVA 필름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지지필름이 PVA 필름의 양면에 위치하며, 또한 각각의 TAC 필름의 외측면에는 제1외측필름 및 제2외측필름이 각각 접착되어 있는 구조를 갖는다.That is, in the polarizing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4, a PVA (Polyvinyl Alcohol) film, which is a polarizing element, is positioned in the middle layer, and a supporting film serving to support the PVA film is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PVA film. In addition, the outer surface of each TAC film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first outer film and the second outer film are bonded to each other.

여기서, 지지필름으로는 다양한 종류의 필름들이 적용될 수 있으나,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등방성 필름인 TAC(Triacetate Cellulose) 필름을 지지 필름의 일예로 하여 본 발명이 설명된다. 여기서, PVA 필름의 상단에 부착되는 지지필름을 제1지지필름이라 하며, PVA 필름의 하단에 부착되는 지지필름을 제2지지필름이라 한다. 즉, 제2지지필름은 패널과 인접하는 방향에 형성된다.Herein, various kinds of films may be applied as the support film, but for the sake of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y using a triacate cellulose (TAC) film as an example of the support film. Here, the supporting film attached to the upper end of the PVA film is called the first supporting film, and the supporting film attached to the lower end of the PVA film is called the second supporting film. That is, the second support film is formed in a direction adjacent to the panel.

또한, 편광필름의 상단 외측에 형성되는 제1외측필름은 TAC 필름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필름이 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outer film formed on the upper outer side of the polarizing film may be a protective film for protecting the TAC film.

또한, 편광필름의 하단 외측에 형성되어 패널과 부착되는 부분인 제2외측필름은 보호필름이 될 수도 있으며, 보호필름의 외측에는 다시 점착제가 부착될 수도 있다. 그러나, 제2외측필름은 보호필름 없이 점착제로만 대체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점착제의 외측면에는 다시 릴리스 필름(Release Film)이 부착되어 점착제를 외부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즉, 점착제는 패널과의 접착을 위한 것이며, 릴리스 필름은 점착제를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In addition, the second outer film which is formed on the bottom outer side of the polarizing film and attached to the panel may be a protective film, and an adhesive may be attached to the outer side of the protective film. However, the second outer film may be replaced only with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without a protective film, in this case, the release film (Release Film) is again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to protect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from the outside. That is,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is for adhesion with the panel, and the release film is for protect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편광필름의 제1외곽부(D)의 단면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다. On the other hand, the cross section of the first outer portion (D) of the polarizing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s shown in FIG.

여기서, 편광필름의 제1외곽부(D)란 상기한 바와 같이, 편광필름 중 카메라홀 또는 카메라와 일직선 상에 배치된 상태로 패널에 부착되는 부분을 말한다. 이때, 제1외곽부(D)와 카메라홀(또는 카메라) 사이에는 빛투과부(C)가 형성되어, 외부의 빛이 빛투과부를 통해 카메라로 유입될 수 있다.Here,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outer portion D of the polarizing film refers to a portion of the polarizing film attached to the panel in a state in which the polarizing film is disposed in line with the camera hole or the camera. In this case, a light transmission part C is formed between the first outer portion D and the camera hole (or camera), and external light may flow into the camera through the light transmission part.

이러한 편광필름은 상기한 바와 같이, 영상이 표시되는 패널의 표시영역과 대응되는 액티브부 및, 패널 지지부(204)에 안착되는 패널의 비표시영역에 대응되는 영역으로서 액티브부 외곽에 형성되는 외곽부를 포함하며, 제1외곽부는 특히, 패널의 제1비표시영역에 부착되는 부분을 말한다.As described above, the polarizing film includes an active part corresponding to the display area of the panel on which an image is displayed and an outer part formed outside the active part as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non-display area of the panel seated on the panel support part 204. And the first outer portion, in particular, refers to a portion attached to the first non-display area of the panel.

즉, 제1외곽부(D)는 액티브부의 외곽을 형성하는 부분으로서, 패널의 제1비표시영역에 부착된다. 여기서, 패널의 제1 비표시영역은 패널 지지부 중 제1패널 지지부에 안착되는 영역을 말하고, 제1패널 지지부(204a)에는 카메라 수납부(500)가 형성되어 있으며, 카메라 수납부에는 카메라홀(208)이 형성되어 있다.That is, the first outer portion D is a portion forming the outer portion of the active portion and is attached to the first non-display area of the panel. Here, the first non-display area of the panel refers to an area of the panel support part that is seated on the first panel support part. The first panel support part 204a is provided with a camera accommodating part 500, and the camera accommodating part has a camera hole ( 208 is formed.

따라서, 제1외곽부는 패널에 부착된 상태로 패널과 함께 제1 패널 지지부에 안착되는 경우, 카메라홀과 대응되어 빛투과부(C)가 형성되는 부분이다.Therefore, when the first outer part is mounted on the first panel support part together with the panel in a state of being attached to the panel, the first outer part is a part in which the light transmitting part C is formed corresponding to the camera hole.

이러한, 제1외곽부(D)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광소자인 PVA(Polyvinyl Alcohol) 필름이 제거된 상태로 구성되어 있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As shown in FIG. 5, the first outer portion D has a feature in that a PVA (Polyvinyl Alcohol) film, which is a polarizer, is removed.

즉, 편광소자인 PVA 필름은 편광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장치 외부의 빛이 편광필름의 PVA 필름과 카메라홀을 통해 카메라로 유입되는 경우, PVA 필름의 편광특성에 의해 외부의 빛이 정상적으로 카메라에 수신되지 못할 수도 있으며, 수신된 영상의 화질이 불량하게 될 수도 있다.That is, since the PVA film, which is a polarizing element, has polarization characteristics, when light outside the display device flows into the camera through the PVA film and the camera hole of the polarizing film, the external light is normally turned on by the polarization characteristic of the PVA film. May not be received, and the image quality of the received image may be poor.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편광필름 중 제1외곽부에 해당되는 부분에는 편광소자인 PVA 필름을 포함시키지 않고 있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a feature that the PVA film, which is a polarizing element, is not included in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outer portion of the polarizing film to solve the problems as described above.

부연하여 설명하면, 종래에는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편광필름의 외곽부 중 빛투과부가 형성되는 부분에 카메라홀과 대응되는 투과홀을 형성하였다. 즉, 종래에는 본 발명의 제1외곽부에 해당되는 부분에도 PVA 필름이 형성되어 있었으며, 대신 편광필름에 투과홀을 형성시켜 줌으로써, PVA 필름에 의한 빛의 편광현상을 방지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 투과홀을 형성하기 위한 공정이 추가되어야 한다는 문제점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외부에서 편광필름의 표면을 볼 때 투과홀이 보여지므로 외관이 불량하다는 문제점과, 투과홀에 먼지 등의 이물질이 낄 수 있다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In detail,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as described above, a transmission hole corresponding to the camera hole is formed in a portion in which the light transmitting portion is formed in the outer portion of the polarizing film. That is, in the past, the PVA film was formed in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outer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stead, the polarizing phenomenon of the light by the PVA film was prevented by forming a through hole in the polarizing film. However, in this case, not only a problem that a process for forming a transmission hole needs to be added occurs, but also a problem that the appearance of the transmission hole is poor when the surface of the polarizing film is viewed from the outside, and foreign matter such as dust in the transmission hole. Problems such as this may occur.

이에 반하여, 본 발명에 따른 편광필름은 상기한 바와 같이, 외관적으로는 전혀 변함이 없기 때문에, 공정의 추가가 없으며, 외관의 불량 및 이물질 삽입 등의 문제가 발생되지 않는다.
On the contrary, as described above, the polarizing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change at all in appearance, and thus there is no addition of a process, and problems such as poor appearance and insertion of foreign matters do not occur.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편광필름의 제작 방법을 나타낸 예시도로서, (a)는 사시도로 나타낸 것이며, (b)는 평면도로 나타낸 것이다.6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manufacturing method of a polarizing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is shown in a perspective view, (b) is shown in a plan view.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편광필름은 편광소자인 PVA(Polyvinyl Alcohol) 필름이 가운데 층에 위치하고, PVA 필름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 등방성 필름인 TAC(Triacetate Cellulose) 필름이 PVA 필름의 양면에 위치하며, 또한 TAC 필름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필름이 양측에 위치하는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편광필름은,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미도시)에 의해 공급되는 PVA 필름을 가운데에 삽입한 상태에서, PVA 필름의 상단면과 하단면 각각에, 또 다른 롤러(미도시)에 의해 공급되는 TAC 필름을 압착하는 방법에 의해 제작되는 것으로서, 최종적으로 절단기에 의해 절단되어 제작된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polarizing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VA (Polyvinyl Alcohol) film, which is a polarizing element, is positioned in the middle layer, and a TAC (Triacetate Cellulose) film, which is an isotropic film serving to protect the PVA film,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PVA film. And also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protective film for protecting the TAC film is located on both sides. Such a polarizing film, as shown in Figure 6 (a), in the state in which the PVA film supplied by the roller (not shown) in the center, on each of the top and bottom surfaces of the PVA film, another roller It is produced by the method of crimping | bonding the TAC film supplied by (not shown), and it is cut | disconnected finally by a cutter and is produced.

여기서, 도 6의 (a) 및 (b)에는 TAC 필름의 외측에 보호필름 또는 점착제가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서 상기에서 TAC 필름을 PVA 필름에 부착하는 방법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TAC 필름에 부착될 수 있다.Here, (a) and (b) of Figure 6 is not shown a protective film or pressure-sensitive adhesive on the outside of the TAC film, which is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in the same method as the method of attaching the TAC film to the PVA film above By attaching to the TAC film.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PVA 필름의 길이가 TAC 필름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기 때문에, PVA 필름과 TAC 필름을 접착한 후 절단하게 되면, TAC 필름이 포함되어 있지 않은 제1외곽부(D)가 형성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6, since the length of the PVA film is formed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TAC film, when the PVA film and the TAC film is bonded after cutting, the first outer portion (not including the TAC film ( D) can be formed.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are to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10 : 디스플레이 장치 100 : 세트 커버
200 : 가이드 프레임 300 : 디스플레이 유닛
400 : 카메라
10: Display device 100: Set cover
200: guide frame 300: display unit
400: camera

Claims (14)

편광특성을 갖는 편광특성 필름;
상기 편광특성 필름의 평면에 부착되는 제1지지필름;
상기 편광특성 필름의 저면에 부착되는 제2지지필름;
상기 제1지지필름의 외측면에 부착되는 제1외측필름; 및
상기 제2지지필름의 외측면에 부착되는 제2외측필름을 포함하며,
상기 편광특성 필름의 길이는 상기 제1지지필름 및 상기 제2지지필름의 길이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필름.
Polarizing film having a polarizing property;
A first support film attached to a plane of the polarization film;
A second support film attached to a bottom of the polarization film;
A first outer film attached to an outer surface of the first support film; And
It includes a second outer film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support film,
The length of the polarizing film is a polarizing film, characterized in that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first supporting film and the second supporting fil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들이 접착되어 형성되는 외곽부 중 제1외곽부는, 상기 제1지지필름과 제2지지필름이 접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필름.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outer portion of the outer portion is formed by bonding the film, the polarizing film,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support film and the second support film is formed by bondi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특성 필름은, PVA 필름이고, 상기 제1지지필름 및 제2지지필름은 TAC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필름.
The method of claim 1,
The polarizing film is a PVA film, the first supporting film and the second supporting film is a polarizing film, characterized in that the TAC fil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외측필름 및 제2외측필름은 보호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필름.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outer film and the second outer film is a polarizing film,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tective fil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외측필름은 보호필름이며, 상기 제2외측필름은 점착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필름.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outer film is a protective film, the second outer film is a polarizing film, characterized in that the adhesive.
영상이 표시되는 패널과, 상기 패널의 평면 또는 저면 중 적어도 어느 일측면에 부착되는 편광필름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유닛; 및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을 지지하기 위한 가이드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프레임은, 상기 패널의 측면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 측벽; 및 상기 패널을 지지하기 위한 패널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패널 지지부 중 제1 패널 지지부에는 카메라가 부착되는 카메라 수납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편광필름 중 상기 제1 패널 지지부에 대응되는 제1외곽부에는 편광특성을 갖는 편광특성 필름이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필름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A display unit including a panel on which an image is displayed and a polarizing film attached to at least one side of a plane or a bottom of the panel; And a guide frame for supporting the display unit,
The guide frame may include a guide sidewall for guiding a side of the panel; And a panel support for supporting the panel,
The first panel support portion of the panel support portion is formed with a camera accommodating portion to which the camera is attached,
Display device using a polarizing film,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outer portion of the polarizing film corresponding to the first panel support portion there is no polarizing film having a polarizing property.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필름은,
편광특성을 갖는 편광특성 필름;
상기 편광특성 필름의 평면에 부착되는 제1지지필름;
상기 편광특성 필름의 저면에 부착되는 제2지지필름;
상기 제1지지필름의 외측면에 부착되는 제1외측필름; 및
상기 제2지지필름의 외측면에 부착되는 제2외측필름을 포함하며,
상기 편광필름은 상기 제1외곽부에는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필름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polarizing film,
Polarizing film having a polarizing property;
A first support film attached to a plane of the polarization film;
A second support film attached to a bottom of the polarization film;
A first outer film attached to an outer surface of the first support film; And
It includes a second outer film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support film,
The polarizing film is a display device using a polarizing film, characterized in that not formed in the first outer portion.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패널 지지부에는 상기 카메라와 일직선상에 배치되는 카메라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필름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Display device using a polarizing film,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panel support portion is formed with a camera hole arranged in a line with the camera.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측벽과 상기 패널의 평면에는 단차가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필름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Display device using a polarizing film, characterized in that there is no step in the guide side wall and the plane of the panel.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특성 필름은, PVA 필름이고, 상기 제1지지필름 및 제2지지필름은 TAC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필름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polarizing film is a PVA film, the first support film and the second support film is a display device using a polarizing film, characterized in that the TAC film.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상기 제1 패널 지지부와 상기 패널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카메라 수납부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필름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camera is a display device using a polarizing film, characterized in that attached to the camera housing formed between the first panel support and the panel.
제 6 항에 있어서,
사각틀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프레임의 저면과 측면을 감싸는 세트 커버를 더 포함하는 편광필름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Display device using a polarizing film is formed in a rectangular frame shape further comprising a set cover surrounding the bottom and side of the guide frame.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상기 제1 패널 지지부와 세트 커버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카메라 수납부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필름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of claim 12,
The camera is a display device using a polarizing film, characterized in that attached to the camera housing formed between the first panel support and the set cover.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세트 커버와 상기 가이드 측벽과 상기 패널의 평면에는 단차가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필름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of claim 12,
And a flat surface of the set cover, the guide sidewall, and the panel has no step.
KR1020110009923A 2011-02-01 2011-02-01 Polarizer film and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KR2012008893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9923A KR20120088936A (en) 2011-02-01 2011-02-01 Polarizer film and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9923A KR20120088936A (en) 2011-02-01 2011-02-01 Polarizer film and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8936A true KR20120088936A (en) 2012-08-09

Family

ID=468739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9923A KR20120088936A (en) 2011-02-01 2011-02-01 Polarizer film and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88936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4273A (en) * 2016-07-28 2018-02-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Display device
WO2021017254A1 (en) * 2019-07-26 2021-02-04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Cover plate, display device, and fabricating method therefo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4273A (en) * 2016-07-28 2018-02-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Display device
WO2021017254A1 (en) * 2019-07-26 2021-02-04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Cover plate, display device, and fabricating method theref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3459B1 (en) Display apparatus
TWI407190B (en) Display apparatus
TWI462067B (en) Display apparatus
KR101701163B1 (en) Display device
TWI633364B (en) Display apparatus
CN102236181B (en) Display device
KR101345888B1 (en) Display device
KR101797703B1 (en) Display apparatus and portable information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US20150362652A1 (en) Lighting device,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receiving device
JP2017003972A (en) Curved surface type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KR101821561B1 (en) Display apparatus
KR101958011B1 (en)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KR101818970B1 (en) Display apparatus
CN104487761B (en) Illuminator, display device and radiovisor
KR101257939B1 (en) Display apparatus
US9250377B2 (en) Light guide plate and backlight module and display module using the same
KR101630342B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a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140114201A (en) Bendable Display Device
WO2019149082A1 (en) Backlight module, display assembly, and electronic device
KR101353270B1 (en) Display apparatus
KR101281995B1 (en) Display device
KR20120088936A (en) Polarizer film and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KR101981073B1 (en) Back light unit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KR101265040B1 (en) Display apparatus
KR102498496B1 (en) Displ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