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77758A - 하드 콘택트렌즈 - Google Patents

하드 콘택트렌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77758A
KR20120077758A KR1020100139833A KR20100139833A KR20120077758A KR 20120077758 A KR20120077758 A KR 20120077758A KR 1020100139833 A KR1020100139833 A KR 1020100139833A KR 20100139833 A KR20100139833 A KR 20100139833A KR 20120077758 A KR20120077758 A KR 201200777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lens
hard contact
groove
fluid circulation
groov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98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05238B1 (ko
Inventor
박진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필립다보스메디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필립다보스메디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필립다보스메디컬
Priority to KR10201001398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5238B1/ko
Publication of KR201200777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77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52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52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4Contact lenses for the eyes
    • G02C7/048Means for stabilising the orientation of lenses in the ey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009Production of simple or compound lenses
    • B29D11/00038Production of contact lenses
    • B29D11/00057Production of contact lens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urface condition of the edge, e.g. flashless, burrless, smooth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4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organic materials, e.g. plastics
    • G02B1/041Lenses
    • G02B1/043Contact lens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드 콘택트렌즈에 관한 것으로, 하드 콘택트렌즈의 착용시 부드러운 착용감을 유지하면서 눈물 순환 및 산소 공급을 원활히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하드 콘택트렌즈는 중심 부분의 광학부와, 광학부의 외곽에 형성되는 유체 순환부, 및 유체 순환부와 일정 간격 이격되어 있으며 각막과 마주보는 면에 복수의 굴곡이 형성된 외곽부를 포함한다. 특히 유체 순환부는 광합부의 외곽에서부터 순차적으로 크기를 달리하는 링 형태의 복수의 홈부가 형성되고, 복수의 홈부 중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은 홈부에 복수의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하드 콘택트렌즈{Hard contact lens}
본 발명은 하드 콘택트렌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드 콘택트렌즈의 착용시 부드러운 착용감을 유지하면서 눈물 순환 및 산소 공급을 원활히 할 수 있도록 유체 순환부를 갖는 하드 콘택트렌즈에 관한 것이다.
콘택트렌즈는 주로 근시나 난시 또는 원시가 있을 때 시력을 교정하는 목적으로 사용하며 미용 또는 치료목적으로도 사용되고 있다. 또한 안경을 쓰지 못하는 경우, 즉 미혼여성의 외모문제, 운동선수의 위험성, 안경 도수가 너무 높아서 안경으로는 시력교정이 잘 안되는 경우, 부동시로 양안의 시력이 너무 차이가 많아 안경사용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시력교정수단으로 콘택트렌즈를 사용하기도 한다.
착용된 콘택트렌즈와 각막 사이에는 얇은 눈물층이 있는데, 이 눈물층은 콘택트렌즈와 각막을 밀착되게 하며 각막에 필요한 산소 등을 공급해 주며 윤활작용을 도와주고 눈을 깜박일 때마다 콘택트렌즈가 약간씩 움직이면서 눈물층의 교환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콘택트렌즈는 재료의 재질에 따라 하드 콘택트렌즈(또는 하드 렌즈)와 소프트 콘택트렌즈(또는 소프트 렌즈), 가스 투과성 하드 콘택트렌즈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콘택트렌즈는 착용 기간에 따라 매일착용렌즈와 연속착용렌즈, 일회용렌즈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콘택트렌즈는 사용 목적에 따라서 굴절이상 교정 렌즈, 세포층 치료용 렌즈, 미용 칼라 소프트 렌즈로 나누어진다.
하드 콘택트렌즈와 소프트 콘택트렌즈는 각각 장단점이 있는데, 하드 콘택트렌즈는 지름이 8?9mm, 두께가 0.1?0.3mm 가량의 접시 모양을 한 것으로 각막의 표면장력을 이용하여 직접 끼운다. 하드 콘택트렌즈는 소프트 콘택트렌즈에 비하여 시력교정이 잘되며, 취급이 간편하고 눈에 더 안전하다. 그러나 하드 콘택트렌즈를 처음 착용할 때에는 이물감이 있고 눈에 적응시키는 기간이 약 2주일 정도 걸린다.
소프트 콘택트렌즈는 PHEMA(Poly Hydroxt Ethyl Methacrylate)나 PVP(Poly Vinyl Pyrrolidone) 등을 재료로 구성하여 함수율이 30?80% 정도이고 부드러워 산소를 투과시키며 하드 콘택트렌즈에 비하여 이물감이 적기 때문에 적응기간이 매우 짧으며 안경과 번갈아 교대로 사용하기가 용이하다.
또한 소프트 콘택트렌즈는 눈에서 잘 빠지지 않기 때문에 운동을 할 때 편리하다. 그러나 하드 콘택트렌즈에 비하여 취급이 어렵고 수명도 짧다. 특히 소프트 콘택트렌즈를 사용할 때 가장 유의할 점은 곰팡이나 세균이 붙지 않게 매일 깨끗이 씻고, 1주일에 1?2번 끓는 물에 소독해야 한다는 점이다. 그리고 각막에 상처가 나더라도 하드 콘택트렌즈 착용시보다 통증이 덜하므로 통증으로 상처가 난 것을 알았을 때에는 치료시기를 놓치는 경우도 있어 유의해야 한다.
한편 콘택트렌즈를 착용하는 사람에게는 어떤 렌즈를 착용여부와는 관계없이 눈물 순환 및 산소 공급은 대단히 중요한 사항이다. 즉 각막은 무혈관, 투명한 조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눈물과 대기 중의 공기는 각막에 필요한 산소를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되나 대부분의 하드 콘택트렌즈는 장시간 착용했을 때 탈수 현상을 일으키게 되고, 이는 안구 건조증으로 이어질 수 있다.
이러한 안구 건조증은 인공 눈물을 투입하여 어느 정도는 예방할 수 있지만, 하드 콘택트렌즈를 장시간 착용하는 경우에는 별 효과가 없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하드 콘택트렌즈의 광학부의 외곽에 링 형태의 홈을 형성하여 눈물 저장부로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눈물 저장부는 링 형태의 홈 내에 눈물을 저장하고 있어 눈물의 순환에는 일부 기여할 수 있지만, 산소 공급 또는 눈물의 순환에 크게 기여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이 산소 공급 또는 눈물의 순환이 원활하지 못할 경우, 하드 콘택트렌즈의 착용감을 떨어뜨릴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하드 콘택트렌즈의 착용시 부드러운 착용감을 유지하면서 눈물 순환 및 산소 공급을 원활히 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유체 순환부를 갖는 하드 콘택트렌즈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광학부, 유체 순환부 및 외곽부를 포함하는 하드 콘택트렌즈를 제공한다. 상기 광학부는 하드 콘택트렌즈의 중심 부분에 형성된다. 상기 유체 순환부는 상기 광학부의 외곽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외곽부는 상기 유체 순환부와 일정 간격 이격되어 있으며 각막과 마주보는 면에 복수의 굴곡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유체 순환부는 상기 광합부의 외곽에서부터 순차적으로 크기를 달리하는 링 형태의 복수의 홈부와, 복수의 홈부 중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은 홈부에 복수의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하드 콘택트렌즈에 있어서, 상기 유체 순환부의 복수의 홈부는, 상기 광합부에서 외곽으로 갈수록 크기가 감소하며, 최외곽에 위치하는 홈부에 복수의 관통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하드 콘택트렌즈에 있어서, 상기 유체 순환부의 복수의 홈부는, 상기 광합부에서 외곽으로 갈수록 크기가 증가하며, 상기 광학부에 인접한 홈부에 복수의 관통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하드 콘택트렌즈에 있어서, 상기 유체 순환부의 복수의 홈부는, 가운데에 위치하는 제1 홈부가 가장 크고, 상기 제1 홈부를 중심으로 양쪽으로 갈수록 크기가 감소하며, 상기 제1 홈부를 중심으로 양쪽의 최외곽의 홈부 중의 적어도 하나에 복수의 관통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하드 콘택트렌즈에 있어서, 상기 유체 순환부의 복수의 관통구멍은 상기 광학부의 중심에 대해서 서로 등각도의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드 콘택트렌즈는 광학부에 인접하게 유체 순환부를 형성함으로써, 하드 콘택트렌즈의 착용시 부드러운 착용감을 유지하면서 눈물 순환 및 산소 공급을 원활히 할 수 있다. 즉 유체 순환부는 링 형태의 복수의 홈부와, 복수의 홈부 중 크기가 작은 부분에 복수의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복수의 홈부를 통하여 눈물을 저장하면서 복수의 관통구멍을 통하여 눈물 순환 및 산소 공급을 원활히 할 수 있다. 특히 복수의 홈부는 크기를 다르게 형성하여, 상대적으로 크기가 큰 홈부에서 눈물을 저장하고,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은 홈부에서 눈물 순환 및 산소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로 인해 하드 콘택트렌즈는 유체 순환부에서의 일정 양의 눈물의 저장 상태를 유지하면서 눈물 순환 및 산소 공급을 원활히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하드 콘택트렌즈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2-2선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하드 콘택트렌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하드 콘택트렌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하드 콘택트렌즈(100)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2-2선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도 2의 "A"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제1 실시예에 따른 하드 콘택트렌즈(100)는 광학부(10), 유체 순환부(20) 및 외곽부(40)를 포함한다. 여기서 하드 콘택트렌즈(100)는 각막(50)에 착용하는 것으로, 각막(50)의 형태에 대응되게 곡면을 가지며, 중심 부분에 광학부(10)가 형성되어 있다. 유체 순환부(20)는 광학부(10)의 외곽에 형성된다. 외곽부(40)는 유체 순환부(20)와 일정 간격 이격되어 있으며 각막(50)과 마주보는 면에 복수의 굴곡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유체 순환부(20)와 외곽부(40)는 연결부(30)를 매개를 연결되며, 연결부(30)에는 굴곡이나 홈이 형성되지 않는다.
특히 유체 순환부(20)는 광합부(10)의 외곽에서부터 순차적으로 크기를 달리하는 링 형태의 복수의 홈부(21,23)가 순차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복수의 홈부(21,23) 중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은 홈부(23)에 복수의 관통구멍(25)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유체는 산소(공기)와 눈물을 의미한다. 여기서 홈부(21,23)의 크기는 폭과 깊이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실시예에 따른 하드 콘택트렌즈(100)는 광학부(10)의 외곽에 유체 순환부(20)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하드 콘택트렌즈(100)의 착용시 부드러운 착용감을 유지하면서 눈물 순환 및 산소 공급을 원활히 할 수 있다. 즉 유체 순환부(20)는 링 형태의 복수의 홈부(21,23)와, 복수의 홈부(21,23) 중 크기가 작은 부분에 복수의 관통구멍(25)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복수의 홈부(21,23)를 통하여 눈물을 저장하면서 복수의 관통구멍(25)을 통하여 눈물 순환 및 산소 공급을 원활히 할 수 있다. 특히 복수의 홈부(21,23)는 크기를 다르게 형성하여, 상대적으로 크기가 큰 홈부(21)에서 눈물을 저장하고,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은 홈부(23)에서 눈물 순환 및 산소 공급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로 인해 제1 실시예에 따른 하드 콘택트렌즈(100)는 유체 순환부(20)에서의 일정 양의 눈물의 저장 상태를 유지하면서 눈물 순환 및 산소 공급을 원활히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 실시예에 따른 하드 콘택트렌즈(100)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하드 콘택트렌즈(100)는 안구 전면에 약간 볼록하게 나와 있는 다세포층 투명막으로 구성된 각막(50)에 장착하는 각막 렌즈와 각막과 함께 안구의 흰자위(공막)까지 장착하는 공각막 렌즈가 있으며, 여기서 하드 콘택트렌즈(100)라고 하면 각막 렌즈를 의미한다. 즉 하드 콘택트렌즈(100)는 안구의 각막(50) 위에 착용하는 작은 접시 모양의 렌즈로서 그 재질로는 플라스틱 수지, 아크릴 수지제, 실리콘, 고무 등이 사용되고 있다. 예컨대 하드 콘택트렌즈(100)는 PMMA(Poly Methyl Methacrylate)라는 재질로 되어 튼튼하지만 각막(50)에 산소를 공급하지 못하므로 이를 보완한 렌즈가 RGP(Rigid Gas permeable) 렌즈이다. 산소투과성 하드 렌즈의 영문약자인 RGP 렌즈는 CAB(Cellulose Acetate Butglate)와 실리콘계를 주요 재질로 하는데 산소투과성이 아주 높고(산소 투과도(DK)가 50?158DK) 탄력성이 좋은 재료로서 본질적으로 불편함이나 부작용이 내포되어 있지 않아 소프트 렌즈에 비하여 여러모로 장점이 많다.
광학부(10)는 하드 콘택트렌즈(100)를 착용하는 착용자의 교정시력에 맞게 가공될 수 있다.
유체 순환부(20)는 복수의 홈부(21,23)와, 복수의 관통구멍(25)을 포함한다. 복수의 홈부(21,23)는 각막(50)에 접하는 내측면에 형성된다. 제1 실시예에서는 유체 순환부(20)는 광학부(10)에서 외곽으로 갈수록 크기가 감소하는 형태로 복수의 홈부(21,23)가 형성되고, 복수의 홈부(21,23) 중 최외곽에 위치하는 홈부(23)에 복수의 관통구멍(25)이 형성된다. 예컨대 복수의 홈부(21,23)는 광학부(10)에 인접하는 제1 홈부(21)와, 제1 홈부(21)에 이웃하며 제1 홈부(21)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외곽에 위치하는 제2 홈부(23)를 포함한다. 제1 홈부(21)는 제2 홈부(23)보다는 크기가 크게 형성된다. 제2 홈부(23)를 관통하는 복수의 관통구멍(25)이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관통구멍(25)은 광학부(10)의 중심에 대해서 서로 등각도의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실시예에서는 3개의 관통구멍(25)이 광학부(10)의 중심에서 서로 120도 되는 제2 홈부(23)에 형성된 예를 개시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관통구멍(25)은 2개 내지 10개 정도로 형성될 수 있다. 관통구멍(25)이 1개인 경우 눈물 및 산소의 순환 효과가 미비할 수 있다. 또한 관통구멍(25)의 개수가 10개를 초과하는 경우 하드 콘택트렌즈(100)의 강도가 약해지고 유체 순환부(20)에서의 눈물의 저장량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관통구멍(25)을 서로 등각도의 위치에 배치하는 이유는, 복수의 관통구멍(25)을 통한 눈물 순환 및 산소 공급이 균일하게 일어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또한 복수의 관통구멍(25)은 제2 홈부(23)의 천장 부분을 관통하는 형태로 형성된 예를 개시하였지만, 제2 홈부(23)가 끝나는 지점 즉 연결부(30)에 인접한 지점에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30)는 유체 순환부(20)와 외곽부(40)를 연결하는 부분으로, 광학부(10)와 함께 각막(50)에 근접하게 배치된다. 연결부(30)는 광학부(10)와 함께 각막(50)에 착용한 하드 콘택트렌즈(100)의 착용된 상태를 유지하는 접촉면을 제공한다.
그리고 외곽부(40)는 하드 콘택트렌즈(100)의 가장자리 부분을 형성하며, 각막(50)과 마주보는 면에 복수의 굴곡이 형성되어 있다. 외곽부(40)는 복수의 굴곡이 형성되어 있어 하드 콘택트렌즈(100)와 각막(50) 사이에 눈물이 적절하게 순환되도록 한다. 특히 외곽부(40)의 내측면은 각막(50)에 밀착되지 않고 각막(50)으로부터 약간 떠 있는 형태를 갖기 때문에, 눈물이 안정적으로 하드 콘택트렌즈(100)와 각막(50) 사이로 스며들어 순환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제1 실시예에 따른 하드 콘택트렌즈(100)는 유체 순환부(20)로 제1 홈부(21)를 제2 홈부(23)보다 크게 형성하는 예를 개시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체 순환부(120)의 복수의 홈부(121,123)는 광합부(110)에서 외곽으로 갈수록 크기가 증가하며, 광학부(110)에 인접한 홈부(123)에 복수의 관통구멍(125)이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체 순환부(220)의 복수의 홈부(221,223,227)는 가운데에 위치하는 제1 홈부(221)가 가장 크고, 제1 홈부(221)를 중심으로 양쪽으로 갈수록 크기가 감소하며, 제1 홈부(221)를 중심으로 양쪽의 최외곽의 홈부(223,227) 중의 적어도 하나에 복수의 관통구멍(225)이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하드 콘택트렌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2 실시예에 따른 하드 콘택트렌즈는 광학부(110)와 연결부(130) 사이에 유체 순환부(120)가 형성되어 있다. 유체 순환부(120)를 제외하면 제1 실시예에 따른 하드 콘택트렌즈(도 1의 100)와 동일하기 때문에, 유체 순환부(120)를 중심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유체 순환부(120)는 복수의 홈부(121,123)와, 복수의 관통구멍(125)을 포함한다. 복수의 홈부(121,123)는 각막(150)에 접하는 내측면에 형성된다. 유체 순환부(120)는 광학부(110)에서 외곽으로 갈수록 크기가 증가하는 형태로 복수의 홈부(121,123)가 형성되고, 복수의 홈부(121,123) 중 광학부(110)에 인접한 홈부(123)에 복수의 관통구멍(125)이 형성된다. 예컨대 복수의 홈부(121,123)는 광학부(110)에 인접하는 제2 홈부(123)와, 제2 홈부(123)에 이웃하며 제2 홈부(123)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외곽에 위치하는 제1 홈부(121)를 포함한다. 제1 홈부(121)는 제2 홈부(123)보다는 크기가 크게 형성된다. 제2 홈부(123)를 관통하는 복수의 관통구멍(125)이 형성되어 있다.
제2 실시예에 따른 유체 순환부(120)와 제1 실시예에 따른 유체 순환부(20)를 비교하면, 제1 홈부(21,121) 및 제2 홈부(23,123)의 위치가 서로 변경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2 실시예에 따른 하드 콘택트렌즈는 서로 다른 크기의 복수의 홈부(121,123)와, 복수의 관통구멍(125)을 갖는 유체 순환부(120)를 구비하기 때문에, 제1 실시예에 따른 하드 콘택트렌즈(도 2의 100)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하드 콘택트렌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3 실시예에 따른 하드 콘택트렌즈는 광학부(210)와 연결부(230) 사이에 유체 순환부(220)가 형성되어 있다. 유체 순환부(220)를 제외하면 제1 실시예에 따른 하드 콘택트렌즈(도 1의 100)와 동일하기 때문에, 유체 순환부(220)를 중심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유체 순환부(220)는 복수의 홈부(221,223,227)와, 복수의 관통구멍(225)을 포함한다. 복수의 홈부(221,223,227)는 각막(250)에 접하는 내측면에 형성된다. 유체 순환부(220)는 복수의 홈부(221,223,227) 중 가운데에 위치하는 제1 홈부(221)가 가장 크고, 제1 홈부(221)를 중심으로 양쪽으로 갈수록 크기가 감소하며, 제1 홈부(221)를 중심으로 양쪽의 최외곽의 홈부(223,227) 중의 적어도 하나에 복수의 관통구멍(225)이 형성될 수 있다.
제3 실시예에서는 제1 홈부(221)를 중심으로 양쪽에 제2 홈부(223) 및 제3 홈부(225)가 형성된 예를 개시하였다. 연결부(230)에 인접한 제3 홈부(227)에 관통구멍(225)이 형성된 예를 개시하였다. 물론 제2 홈부(223)에 관통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및 제3 홈부(223,227)에 복수의 관통구멍(225)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및 제3 홈부(223,227)에 형성된 복수의 관통구멍(225)은 광학부(210)의 중심에서 서로 등각도의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3 실시예에 따른 하드 콘택트렌즈는 서로 다른 크기의 복수의 홈부(221,223,227)와, 복수의 관통구멍(225)을 갖는 유체 순환부(220)를 구비하기 때문에, 제1 실시예에 따른 하드 콘택트렌즈(도 1의 100)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 : 광학부
20 : 유체 순환부
21 : 제1 홈부
23 : 제2 홈부
25 : 관통구멍
30 : 연결부
40 : 외곽부
50 : 각막
100 : 하드 콘택트렌즈

Claims (5)

  1. 중심 부분의 광학부;
    상기 광학부의 외곽에 형성되는 유체 순환부;
    상기 유체 순환부와 일정 간격 이격되어 있으며 각막과 마주보는 면에 복수의 굴곡이 형성된 외곽부;
    를 포함하며,
    상기 유체 순환부는 상기 광합부의 외곽에서부터 순차적으로 크기를 달리하는 링 형태의 복수의 홈부와, 복수의 홈부 중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은 홈부에 복수의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드 콘택트렌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순환부의 복수의 홈부는,
    상기 광합부에서 외곽으로 갈수록 크기가 감소하며, 최외곽에 위치하는 홈부에 복수의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드 콘택트렌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순환부의 복수의 홈부는,
    상기 광합부에서 외곽으로 갈수록 크기가 증가하며, 상기 광학부에 인접한 홈부에 복수의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드 콘택트렌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순환부의 복수의 홈부는,
    가운데에 위치하는 제1 홈부가 가장 크고, 상기 제1 홈부를 중심으로 양쪽으로 갈수록 크기가 감소하며, 상기 제1 홈부를 중심으로 양쪽의 최외곽의 홈부 중의 적어도 하나에 복수의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드 콘택트렌즈.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순환부의 복수의 관통구멍은 상기 광학부의 중심에 대해서 서로 등각도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드 콘택트렌즈.
KR1020100139833A 2010-12-31 2010-12-31 하드 콘택트렌즈 KR1013052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9833A KR101305238B1 (ko) 2010-12-31 2010-12-31 하드 콘택트렌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9833A KR101305238B1 (ko) 2010-12-31 2010-12-31 하드 콘택트렌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7758A true KR20120077758A (ko) 2012-07-10
KR101305238B1 KR101305238B1 (ko) 2013-09-10

Family

ID=467112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9833A KR101305238B1 (ko) 2010-12-31 2010-12-31 하드 콘택트렌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523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2235A (ko) * 2020-10-20 2022-04-27 한문섭 누액 댐핑 홀을 가지는 콘택트렌즈 및 그 제조방법
KR102653361B1 (ko) * 2022-10-12 2024-04-04 주식회사 뷰사이언스 눈물보존기능을 가지는 소프트콘택트렌즈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9024B1 (ko) * 2005-01-19 2006-07-12 범진선 관통공이 형성된 각막굴절교정용 콘택트 렌즈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2235A (ko) * 2020-10-20 2022-04-27 한문섭 누액 댐핑 홀을 가지는 콘택트렌즈 및 그 제조방법
KR102653361B1 (ko) * 2022-10-12 2024-04-04 주식회사 뷰사이언스 눈물보존기능을 가지는 소프트콘택트렌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05238B1 (ko) 2013-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828696B (zh) 包含用於預防及/或減緩近視加深之微透鏡的眼用鏡片
RU2724357C2 (ru) Контактная линза, содержащая некоаксиальные элементарные линзы, для предотвращения и/или замедления прогрессирования миопии
TWI665489B (zh) 為防止及/或減緩近視加深之與瞳孔大小無關的鏡片設計
US8500273B2 (en) Soft contact lenses for treating ametropia
RU2755030C2 (ru) Контактная линза, содержащая лентикуляр в верхней части контактной линзы
US20150277147A1 (en) Therapeutic contact lens
WO2005107648A3 (en) Aspherical corneal implant
MX2011011795A (es) Juegos de lentes de contacto y métodos para evitar o frenar la progresión de miopía o hipermetropía.
JP6345773B2 (ja) 植込み型近視用レンズ
US10698233B2 (en) Contact lens
KR20120098641A (ko) 소프트 콘택트 렌즈
JP6388771B2 (ja) 周縁高弾性率ゾーンを有するコンタクトレンズ
WO2006121591A1 (en) Hybrid contact lens system and method of fitting
CN104902847A (zh) 用于塑造角膜曲率的可植入装置
KR20140097491A (ko) 착색 콘택트렌즈
KR102254795B1 (ko) 산소 투과 및 누액 흐름 개선을 위한 융기부를 구비한 하이드로겔 렌즈
KR20140003482U (ko) 콘택트렌즈
JP2014178685A5 (ko)
TWI507763B (zh) Control the growth of the optical axis of the lens
KR101305238B1 (ko) 하드 콘택트렌즈
CN211583666U (zh) 槽孔型有晶体眼屈光人工晶状体
KR20040055763A (ko) 렌즈
CN217506292U (zh) 一种硬性角膜接触镜
RU2792078C2 (ru) Офтальмологические линзы, содержащие элементарные линзы, для предотвращения и/или замедления прогрессирования миопии
KR0129569Y1 (ko) 콘택트렌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