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73855A -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전도성 필름 - Google Patents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전도성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73855A
KR20120073855A KR1020100135752A KR20100135752A KR20120073855A KR 20120073855 A KR20120073855 A KR 20120073855A KR 1020100135752 A KR1020100135752 A KR 1020100135752A KR 20100135752 A KR20100135752 A KR 20100135752A KR 20120073855 A KR20120073855 A KR 201200738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ive polymer
polymer composition
maleic acid
aliphatic
conduc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57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용현
김연수
김상화
이지수
이종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357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73855A/ko
Publication of KR201200738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38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5/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to-carbon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81/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ulfur with or without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mpositions of polysulfo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06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mainly consisting of other non-metallic substances
    • H01B1/12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mainly consisting of other non-metallic substances organic subst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5/00Non-insulated 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5/14Non-insulated 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comprising conductive layers or films on insulating-suppor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Non-Insulated Conductors (AREA)
  • Conductive Material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전도성 필름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은 전도성 고분자, 용매 및 말레산 공중합 바인더를 포함하는 구성이며, 전도성 고분자에 말레산 공중합 바인더를 첨가하여 투명전극을 형성함으로써 유연성이 뛰어나고 코팅 공정이 단순할 뿐만 아니라 면저항을 110Ω/□ 내지 250Ω/□ 까지 낮추어 디스플레이용 투명전극으로 이용하기 적합한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전도성 필름{Conductive Polymer Composition And Conductive Film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전도성 필름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를 포함한 각종 가전기기와 통신기기가 디지털화되고 급속히 고성능화 됨에 따라 휴대 가능한 디스플레이의 구현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휴대 가능한 디스플레이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디스플레이용 전극 재료는 투명하면서도 낮은 저항값을 가져야할 뿐만 아니라, 기계적 충격에 대응할 수 있는 높은 유연성을 가져야 하고, 기기가 과열되어 고온에 노출되어도 단락되거나 면저항의 변화가 크지 않아야 한다.
현재 디스플레이용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투명전극의 재질은 ITO(인듐-주석 산화물)이다. 하지만, 투명전극을 ITO로 형성하는 경우, 과도한 비용인 소모될 뿐만 아니라, 대면적을 구현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특히, 대면적으로 ITO를 코팅하면 면저항의 변화가 커서 디스플레이의 휘도 및 발광효율이 감소하는 치명적인 단점을 가지고 있다. 게다가, ITO의 주원료인 인듐은 한정된 광물로, 디스플레이 시장이 확장됨에 따라 급속히 고갈되고 있다.
이러한 ITO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서, 유연성이 뛰어나고 코팅 공정이 단순한 전도성 고분자를 이용하여 투명전극을 형성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투명전극을 전도성 고분자로 형성하는 경우, 투명전극의 면저항이 105~109Ω/□ 수준으로 매우 높아 디스플레이용 투명전극으로 사용하기에는 어려운 문제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전도성 고분자로 형성된 투명전극의 면저항을 낮추기 위해서 디메틸설폭사이드(DMSO), 에틸렌 글리콜(Ethylene glycol), 솔비톨(Sorbitol) 등을 첨가하는 방안이 제안되고 있다. 하지만, 여전히 디스플레이용 투명전극으로 사용하기에는 미흡하며, 코팅하기 위해 사용되는 바인더로 인하여 투명전극의 면저항이 더욱 높아지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말레산 공중합 바인더를 첨가하여 투명전극의 면저항이 우수한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전도성 필름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은 전도성 고분자, 용매 및 말레산 공중합 바인더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은 전도성 고분자 15중량% 내지 70중량%, 용매 20중량% 내지 75중량% 및 말레산 공중합 바인더 0.01중량% 내지 10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도성 고분자는 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폴리스티렌설포네이트(PEDOT/PSS)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용매는 지방족 알코올, 지방족 케톤, 지방족 카르복실산 에스테르, 지방족 카르복실산 아미드, 방향족 탄화수소, 지방족 탄화수소, 아세토 니트릴, 지방족 술폭시드, 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말레산 공중합 바인더는 POLY(ACRYLIC ACID-CO-MALEIC ACID)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말레산 공중합 바인더는 POLY(STYRENE-ALT-MALEIC ACID)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은 제2 도펀트 및 분산안정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도펀트는 디메틸설폭사이드, N-메틸피롤리돈, N,N-디메틸포름아미드 및 N-디메틸아세트이미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극성용매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분산안정제는 에틸렌 글리콜(Ethylene glycol) 또는 솔비톨(Sorbitol)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도성 필름은 베이스 부재 및 상기 베이스 부재에 전도성 고분자, 용매 및 말레산 공중합 바인더를 포함하는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을 코팅 및 건조하여 형성된 투명전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전도성 고분자는 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폴리스티렌설포네이트(PEDOT/PSS)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용매는 지방족 알코올, 지방족 케톤, 지방족 카르복실산 에스테르, 지방족 카르복실산 아미드, 방향족 탄화수소, 지방족 탄화수소, 아세토 니트릴, 지방족 술폭시드, 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말레산 공중합 바인더는 POLY(ACRYLIC ACID-CO-MALEIC ACID)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말레산 공중합 바인더는 POLY(STYRENE-ALT-MALEIC ACID)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은 제2 도펀트 및 분산안정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도펀트는 디메틸설폭사이드, N-메틸피롤리돈, N,N-디메틸포름아미드 및 N-디메틸아세트이미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극성용매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분산안정제는 에틸렌 글리콜(Ethylene glycol) 또는 솔비톨(Sorbitol)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투명전극의 면저항은 120Ω/□ 내지 250Ω/□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은 스크린 인쇄법(Screen Printing), 그라비아 인쇄법(Gravure Printing) 또는 잉크젯 인쇄법(Inkjet Printing)으로 상기 베이스 부재에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도성 고분자에 말레산 공중합 바인더를 첨가하여 투명전극을 형성함으로써, 유연성이 뛰어나고 코팅 공정이 단순할 뿐만 아니라 면저항을 120Ω/□ 내지 250Ω/□ 까지 낮추어 디스플레이용 투명전극으로 이용하기 적합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고분자 이온으로부터 저분자 이온이 해리되어 직선상태로 늘어나거나(streched) 팽윤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고분자 이온은 엉키거나 늘어나다 평행 상태에 도달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말레산 공중합 바인더 함량에 따른 투명전극의 전기전도도를 측정한 그래프; 및
도 4는 말레산 공중합 바인더 함량에 따른 투명전극의 면저항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
본 발명에 따른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은 전도성 고분자, 용매 및 말레산 공중합 바인더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상기 전도성 고분자는 탄소원자 하나 당 한개의 π-전자를 갖는 전기전도성을 띄는 고분자로서 일반적으로 대략 10,000 이상의 분자량을 갖는다. 여기서, 전도성 고분자는 기존의 ITO(인듐-주석 산화물)에 비하여 경량임과 동시에 유연성이 높은 박막을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때, 전도성 고분자는 폴리티오펜계, 폴리피롤계, 폴리페닐렌계, 폴리아닐린계 또는 폴리아세틸렌계 중 어느 하나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폴리티오펜계 중 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폴리스티렌설포네이트(이하, PEDOT/PSS)이다. 여기서, PEDOT/PSS는 폴리스티렌설포네이트(PSS)가 제1 도펀트로 도핑되어 물에 용해되는 수용성을 가지며, 열적 안정성이 매우 우수하다.
한편, 전도성 고분자가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 중 15중량% 미만인 경우 투명전극을 형성하더라도 1000Ω/□ 이하의 면저항을 구현하기 어렵고, 70중량% 초과인 경우 코팅 가공성이 저하된다. 따라서, 전도성 고분자는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 중 15중량% 내지 7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용매는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의 분산액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1종 이상의 용매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용매는 지방족 알코올, 지방족 케톤, 지방족 카르복실산 에스테르, 지방족 카르복실산 아미드, 방향족 탄화수소, 지방족 탄화수소, 아세토 니트릴, 지방족 술폭시드, 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용매가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 중 20중량% 미만인 경우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의 분산성이 저하되며, 75중량% 초과인 경우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의 전기전도도가 저하된다. 따라서, 용매는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 중 20중량% 내지 75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말레산 공중합 바인더는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을 코팅시 접착력을 높이는 역할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코팅될 투명전극의 면저항을 낮추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말레산 공중합 바인더는 사슬에 연결된 다수의 해리기(dissociation group)를 가지므로, 물에 용해되면 고분자 이온으로부터 저분자 이온(counter ion)이 해리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분자 이온이 해리되어 이탈되면, 고분자이온은 동종이온 간의 정전기적 반발력이 강해져 직선상태로 늘어나거나(streched) 팽윤된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고분자 이온의 유효전하는 증가하게 되고, 이러한 고분자 이온이 투명전극으로 코팅되어 고정되면, 전하이동이 용이해지므로 투명전극의 면저항을 낮출 수 있다. 다만, 고분자 이온의 유효전하가 증가하면 역으로 저분자 이온이 고분자 이온의 전기적 인력에 끌려 고분자 이온에 고정된다. 그에 따라, 고분자 이온의 유효전하는 감소하게 되고, 동종이온 간의 정전기적 반발력이 약해져 엉키게(tangled) 된다. 결국,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분자 이온은 엉키거나(tangled; 도 2의 A 단계) 늘어나는(streched; 도 2의 C 단계) 두 개의 상반된 작용을 거치다가 평행 상태(도 2의 B 단계)에 도달하게 된다. 즉, 말레산 공중합 바인더의 종류, 함량 등에 의하여 유효전하가 최적화되는 구간이 발생하게 되고, 상기 구간을 내에서 코팅된 투명전극은 최적의 면저항을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용 투명전극의 면저항으로는 120Ω/□ 내지 250Ω/□가 최적이고, 이를 구현하기 위해서 말레산 공중합 바인더는 고분자 조성물 중 0.01중량% 내지 1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말레산 공중합 바인더로는 POLY(ACRYLIC ACID-CO-MALEIC ACID)(이하, PAM)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기 화학식 1의 PAM은 물에 용해되면 저분자 이온(counter ion)인 Na+가 해리되어 동종이온 간의 정전기적 반발력이 강해져 직선상태로 늘어나거나 팽윤된 상태를 유지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또한, 말레산 공중합 바인더로는 PAM 이외에도 하기 화학식 2의 POLY(STYRENE-ALT-MALEIC ACID)(이하, PSM)을 이용할 수도 있다.
<화학식 2>
Figure pat00002
PSM 역시 R=Na인 경우, PAM과 마찬가지로 물에 용해되면 저분자 이온(counter ion)인 Na+가 해리되어 동종이온 간의 정전기적 반발력이 강해져 직선상태로 늘어나거나 팽윤된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PSM은 R=H인 경우, 하기 반응식과 같이, 물에 용해되면 저분자 이온(counter ion)인 H3O+가 해리되어 동종이온 간의 정전기적 반발력이 강해져 직선상태로 늘어나거나 팽윤된 상태를 유지한다.
<반응식>
Figure pat00003
결국, PSM이나 PAM 등의 말레산 공중합 바인더를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에 첨가하면, 투명전극의 면저항을 높이는 종래기술에 따른 바인더와 달리 투명전극의 면저항을 낮출 수 있다.
한편,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은 제2 도펀트 및 분산안정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도펀트는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의 전기전도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극성용매로서, 디메틸설폭사이드, N-메틸피롤리돈, N,N-디메틸포름아미드 및 N-디메틸아세트이미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산안정제는 에틸렌 글리콜(Ethylene glycol) 또는 솔비톨(Sorbitol) 등이 사용될 수 있고, 제2 도펀트인 극성용매만 단독으로 사용할 때보다 분산안정제를 함께 사용할 때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의 전기전도도 향상 효과가 높다.
이외에도,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에는 결합제, 계면활성제, 소포제 등이 추가적으로 첨가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은 전술한 전도성 고분자, 용매, 말레산 공중합 바인더, 제2 도펀트 및 분산안정제를 1 시간 내지 72 시간 동안 상온에서 혼합하여 완성할 수 있다.
전도성 필름
본 발명에 따른 전도성 필름은 베이스 부재 및 베이스 부재에 전도성 고분자, 용매 및 말레산 공중합 바인더를 포함하는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을 코팅 및 건조하여 형성된 투명전극을 포함하는 구성이다. 즉, 상기 전도성 필름은 전술한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을 베이스 부재에 코팅 및 건조하여 투명전극을 형성한 것이다. 따라서, 앞서 기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하거나 간략히 언급하도록 한다.
상기 베이스 부재는 투명전극이 형성될 영역을 제공하는 것으로, 디스플레이에 채용하기 위해서 투명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베이스 부재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MMA),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폴리에테르술폰(PES), 고리형 올레핀 고분자(COC), TAC(Triacetylcellulose) 필름,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 alcohol; PVA) 필름, 폴리이미드(Polyimide; PI) 필름, 폴리스틸렌(Polystyrene; PS), 이축연신폴리스틸렌(K레진 함유 biaxially oriented PS; BOPS), 유리 또는 강화유리 등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베이스 부재와 투명전극 사이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베이스 부재에는 고주파 처리 또는 프라이머(primer) 처리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투명전극은 베이스 부재에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을 코팅 및 건조하여 형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은 PEDOT/PSS와 같은 전도성 고분자, PAM이나 PSM과 같은 말레산 공중합 바인더 및 용매를 포함한다. 이때, 용매는 지방족 알코올, 지방족 케톤, 지방족 카르복실산 에스테르, 지방족 카르복실산 아미드, 방향족 탄화수소, 지방족 탄화수소, 아세토 니트릴, 지방족 술폭시드, 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추가적으로,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에는 제2 도펀트나 분산안정제가 첨가될 수 있다. 상기 제2 도펀트는 디메틸설폭사이드, N-메틸피롤리돈, N,N-디메틸포름아미드 및 N-디메틸아세트이미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극성용매일 수 이고, 상기 분산안정제는 에틸렌 글리콜(Ethylene glycol) 또는 솔비톨(Sorbitol)일 수 있다.
한편,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은 스크린 인쇄법(Screen Printing), 그라비아 인쇄법(Gravure Printing) 또는 잉크젯 인쇄법(Inkjet Printing)으로 상기 베이스 부재에 코팅될 수 있다. 이러한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을 베이스 부재에 코팅, 건조하여 형성한 투명전극은 첨가된 말레산 공중합 바인더로 인하여 면저항이 낮아진다. 결국, 본 발명에 따른 투명전극은 종래기술에 따른 투명전극의 면저항(105Ω/□ 내지 109Ω/□)에 비하여 매우 낮은 면저항인 110Ω/□ 내지 250Ω/□을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를 가지고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지만, 후술할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더욱 명확히 이해시키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도 3은 말레산 공중합 바인더 함량에 따른 투명전극의 전기전도도를 측정한 그래프이고, 도 4는 말레산 공중합 바인더 함량에 따른 투명전극의 면저항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PEDOT/PSS, 말레산 공중합 바인더(PSM 또는 PAM), 물, 디메틸설폭사이드를 포함하는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을 베이스 부재에 코팅 및 건조하여 투명전극을 형성한 것이다. 이때, PSM 또는 PAM의 함량을 조절하면서 투명전극의 전기전도도와 면저항을 측정하였다.
도 3을 참조하여 투명전극의 전기전도도를 살펴보면, PSM 또는 PAM의 함량이 0.01중량% 내지 60중량% 일때, 투명전극은 260S/cm 내지 600S/cm의 뛰어난 전기전도도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PSM 또는 PAM의 함량이 10중량%이내 일때, 투명전극은 300S/cm 내지 600S/cm의 더욱 뛰어난 전기전도도를 갖는다.
도 4를 참조하여 투명전극의 면저항을 살펴보면, 전기전도도와 유사하게 PSM 또는 PAM의 함량이 0.01중량% 내지 60중량% 일때, 투명전극은 120Ω/□ 내지 350Ω/□의 뛰어난 면저항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PSM 또는 PAM의 함량이 10중량% 이내 일때, 투명전극은 120Ω/□ 내지 250Ω/□의 더욱 뛰어난 면저항을 갖는다.
한편,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PSM는 PAM에 비해서 투명전극의 전기전도도를 높이는 효과와 투명전극의 면저항을 낮추는 효과가 더 뛰어나다. 이는 PSM 구조가 PEDOT/PSS의 Polystyrene계 주사슬을 가지고 있어 분산성 측면에서 더욱 효과적으로 배향되기 때문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투명전극은 말레산 공중합 바인더의 함량이 0.01중량% 내지 10중량% 일때, 면저항이 120Ω/□ 내지 250Ω/□까지 낮아져 디스플레이용 투명전극으로 이용하기 적합하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전도성 필름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Claims (19)

  1. 전도성 고분자;
    용매; 및
    말레산 공중합 바인더;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은 전도성 고분자 15중량% 내지 70중량%, 용매 20중량% 내지 75중량% 및 말레산 공중합 바인더 0.01중량% 내지 10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고분자는 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폴리스티렌설포네이트(PEDOT/PS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용매는 지방족 알코올, 지방족 케톤, 지방족 카르복실산 에스테르, 지방족 카르복실산 아미드, 방향족 탄화수소, 지방족 탄화수소, 아세토 니트릴, 지방족 술폭시드, 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말레산 공중합 바인더는 POLY(ACRYLIC ACID-CO-MALEIC ACI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말레산 공중합 바인더는 POLY(STYRENE-ALT-MALEIC ACI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은 제2 도펀트 및 분산안정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2 도펀트는 디메틸설폭사이드, N-메틸피롤리돈, N,N-디메틸포름아미드 및 N-디메틸아세트이미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극성용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분산안정제는 에틸렌 글리콜(Ethylene glycol) 또는 솔비톨(Sorbito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
  10. 베이스 부재; 및
    상기 베이스 부재에 전도성 고분자, 용매 및 말레산 공중합 바인더를 포함하는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을 코팅 및 건조하여 형성된 투명전극;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필름.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고분자는 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폴리스티렌설포네이트(PEDOT/PS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필름.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용매는 지방족 알코올, 지방족 케톤, 지방족 카르복실산 에스테르, 지방족 카르복실산 아미드, 방향족 탄화수소, 지방족 탄화수소, 아세토 니트릴, 지방족 술폭시드, 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필름.
  13.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말레산 공중합 바인더는 POLY(ACRYLIC ACID-CO-MALEIC ACI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필름.
  14.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말레산 공중합 바인더는 POLY(STYRENE-ALT-MALEIC ACI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필름.
  15.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은 제2 도펀트 및 분산안정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필름.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제2 도펀트는 디메틸설폭사이드, N-메틸피롤리돈, N,N-디메틸포름아미드 및 N-디메틸아세트이미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극성용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필름.
  17.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분산안정제는 에틸렌 글리콜(Ethylene glycol) 또는 솔비톨(Sorbito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필름.
  18.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투명전극의 면저항은 120Ω/□ 내지 250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필름.
  19.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은 스크린 인쇄법(Screen Printing), 그라비아 인쇄법(Gravure Printing) 또는 잉크젯 인쇄법(Inkjet Printing)으로 상기 베이스 부재에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필름.
KR1020100135752A 2010-12-27 2010-12-27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전도성 필름 KR2012007385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5752A KR20120073855A (ko) 2010-12-27 2010-12-27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전도성 필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5752A KR20120073855A (ko) 2010-12-27 2010-12-27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전도성 필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3855A true KR20120073855A (ko) 2012-07-05

Family

ID=467081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5752A KR20120073855A (ko) 2010-12-27 2010-12-27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전도성 필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7385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96489A3 (es) * 2012-12-19 2014-08-14 Universidad De Castilla La Mancha Materiales, métodos y dispositivos para estimular y dirigir la proliferación y migración de progenitores neurales y el crecimiento axonal y dendrític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96489A3 (es) * 2012-12-19 2014-08-14 Universidad De Castilla La Mancha Materiales, métodos y dispositivos para estimular y dirigir la proliferación y migración de progenitores neurales y el crecimiento axonal y dendrític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77112A (ko) Pedot/pss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pedot/pss 필름
KR20120073809A (ko)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전도성 필름
KR101255920B1 (ko)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전도성 필름
US20110169751A1 (en) Touch screen input device
JP2012146620A (ja) 伝導性高分子組成物およびこれを用いた伝導性フィルム
US20130309423A1 (en) Composition for Conductive Transparent Film
JP2008300063A (ja) 導電性インク、透明導電層、入力デバイス及び表示デバイス
US20120193584A1 (en) Conductive polymer composi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5036997B2 (ja) タッチパネル用透明導電シート並びにその製造方法、及びタッチパネル
CN108305704A (zh) 一种石墨烯基高导电碳浆及其制备方法
US20110240927A1 (en) Conductive polymer composition and conductive film formed using the same
KR101391610B1 (ko) 저항 안정성이 부여된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전도성 필름
CN111909469B (zh) 一种长效防静电橡胶垫
KR20120073855A (ko)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전도성 필름
KR20120077870A (ko) 전도성 필름의 후처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전도성 필름
TW201422711A (zh) 具有高粘性和高導電率的導電性高分子組合物
KR101564587B1 (ko) Pedot/pss 및 불소화된 고분자 함유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투명전극 필름
KR101289768B1 (ko) 전도성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00124946A (ko)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
WO2016165202A1 (zh) 可弯曲透明导电电极及其制备方法
JP2011108425A (ja) 透明電極構造体およびそれを用いたタッチパネル
KR20120086209A (ko) 균일한 전도성 고분자 전극 형성 방법 및 전극 물질
KR20140006336A (ko) 말레산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전도성 필름
KR101582812B1 (ko) 치수안정성 및 투명성이 우수한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전도성 필름
JP2011060749A (ja) 透明電極用有機電極の形成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