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71113A - Relay method of terminal for communicaion of emergency terminal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 Google Patents

Relay method of terminal for communicaion of emergency terminal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71113A
KR20120071113A KR1020100132717A KR20100132717A KR20120071113A KR 20120071113 A KR20120071113 A KR 20120071113A KR 1020100132717 A KR1020100132717 A KR 1020100132717A KR 20100132717 A KR20100132717 A KR 20100132717A KR 20120071113 A KR20120071113 A KR 201200711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emergency
base station
relay
termina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271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현
장성철
김성경
김은경
윤철식
정영호
박소희
한기석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한국항공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한국항공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001327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71113A/en
Publication of KR201200711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1113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04B7/2603Arrangements for wireless physical layer control
    • H04B7/2606Arrangements for base station coverage control, e.g. by using relays in tu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90Services for handling of emergency or hazardous situations, e.g. earthquake and tsunami warning systems [ET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50Connection management for emergency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PURPOSE: A relay method of a terminal for communication of an emergency terminal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s provided to enable a terminal within cell coverage to set up an emergency call. CONSTITUTION: Terminals are converted in an emergency call relay standby mode(S310). The terminals are synchronized with a base station(S320). The terminals are switched into an emergency call relay mode(S340). The terminals transmit a resource request message to the base station(S350). The terminals transmits a connection setup message to the emergency terminal(S370). The base station and the emergency terminal transmit data through a relay terminal(S390).

Description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긴급 단말의 통신을 위한 단말의 중계 방법{RELAY METHOD OF TERMINAL FOR COMMUNICAION OF EMERGENCY TERMINAL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RELAY METHOD OF TERMINAL FOR COMMUNICAION OF EMERGENCY TERMINAL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이동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지국의 기능이 정지한 셀 내에 존재하는 긴급 단말의 통신을 위하여 인접 셀의 경계에 존재하는 단말이 중계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of relaying by a terminal existing at a boundary of an adjacent cell for communication of an emergency terminal existing in a cell in which a function of a base station is stopped.

미국의 911테러, 동남아시아의 쓰나미 발생, 아이티의 지진 발생 등과 같은 위급 상황이나 재난 상황에서 기존 통신망이 붕괴된 경우, 자가 통신 복구에 대한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이에 따라, 기지국의 기능이 정지한 셀 내에 있는 단말이 인접 셀 내에 있는 단말의 중계를 통하여 인접 기지국과 통신하는 기술이 제안되고 있다.In the event of an emergency or disaster such as the United States 911 terrorism, Southeast Asia tsunami, Haiti earthquake, etc., the need for self-communication recovery is increasing. Accordingly, a technique has been proposed in which a terminal in a cell in which a function of a base station stops communicating with a neighbor base station through relaying of a terminal in a neighbor cell.

도 1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인접 셀 내에 있는 단말의 중계를 통하여 긴급 호(emergency call)를 수행하는 시나리오를 나타낸다.1 illustrates a scenario of performing an emergency call through a relay of a terminal in an adjacent cell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도 1을 참고하면, 재난 상황이 발생하여 기지국(110)이 붕괴하는 상황이 발생하면 셀(100) 내에 존재하는 단말들(120, 130)은 서빙 기지국(110)과 더 이상 통신이 불가능하다. 이러한 단말들(120, 130)이 긴급 호와 같은 서비스를 필요로 할 때, 인접 셀(200)에 존재하는 단말들(220, 230)의 중계를 통하여, 인접 기지국(210)과 통신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when a disaster occurs and the base station 110 collapses, the terminals 120 and 130 existing in the cell 100 may no longer communicate with the serving base station 110. When the terminals 120 and 130 require a service such as an emergency call, the terminals 120 and 130 may communicate with the neighbor base station 210 through the relay of the terminals 220 and 230 existing in the neighbor cell 200. .

도 2는 단말(120)이 인접 기지국(210)과 통신하기 위한 긴급 호 설정 절차를 나타낸다. 2 illustrates an emergency call setup procedure for the terminal 120 to communicate with the neighbor base station 210.

도 2를 참고하면, 단말(120)은 도움 요청 신호(help request signal)를 방송(broadcast)한다(S200). 즉, 단말(120)은 인접 셀(200)에 존재하는 단말들(220, 230))에게 긴급 애드혹 중계 모드(Emergency Ad-hoc Relay mode, EAR)로 전환하여 자신의 트래픽을 중계해 줄 것을 요청한다. 예를 들면, 도움 요청 신호는 프리앰블(preamble)로 정의되며, 단말(120)은 도움 응답 신호(help response signal)을 수신할 때까지 주기적으로 도움 요청 신호를 방송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the terminal 120 broadcasts a help request signal (S200). That is, the terminal 120 requests the terminals 220 and 230 existing in the neighbor cell 200 to switch to emergency ad-hoc relay mode (EAR) to relay their traffic. do. For example, the help request signal is defined as a preamble, and the terminal 120 may broadcast the help request signal periodically until it receives a help response signal.

이때, 인접 셀(200)에 존재하는 단말들(220, 230))은 배터리 잔여량, 단말(120)과의 채널 상태 및 기지국(210)과의 채널 상태 등이 기준값(Threshold)을 넘으면, 기지국(210)에게 도움 지시자 신호(help indicator signal)를 전송한다(S210). In this case, the terminals 220 and 230 existing in the neighboring cell 200 have a base station when the battery remaining amount, the channel state with the terminal 120, and the channel state with the base station 210 exceed a threshold. In operation S210, a help indicator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help indicator signal.

이에 따라, 기지국(210)은 도움 지시자 신호를 송신한 단말들(220, 230) 중 EAR 모드로 동작할 최적의 단말(230)을 선택하여 알려주고(S220), 단말(230)은 단말(120)에게 도움 응답 신호를 전송함으로써(S230) 긴급 통신 서비스가 연결된다.Accordingly, the base station 210 selects and informs the optimal terminal 230 to operate in the EAR mode among the terminals 220 and 230 transmitting the help indicator signal (S220), and the terminal 230 is the terminal 120. By transmitting a help response signal to the emergency communication service is connected.

이러한 긴급 호 설정 절차에 따르면, 단말들(220, 230))은 도움 지시자 신호를 통하여 단말(120)과의 채널 상태 및 수신 신호 세기 등을 기지국(210)에게 전송하므로, 상향링크에 대한 오버헤드(overhead)가 증가하여 제한적인 무선 자원을 사용하는 긴급 호에서 성능 저하의 주요 원인이 된다. 그리고, 단말(230)이 긴급 통신 서비스를 중계하는 도중에 단말(230)의 채널 상태가 나빠지면, 단말(120)은 중계를 위한 다른 단말을 찾아야 한다.According to this emergency call setup procedure, since the terminals 220 and 230 transmit the channel state and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with the terminal 120 to the base station 210 through the help indicator signal, the overhead for the uplink The increase in overhead is a major cause of performance degradation in emergency calls with limited radio resources. If the channel state of the terminal 230 worsens while the terminal 230 relays an emergency communication service, the terminal 120 must find another terminal for relaying.

이에 따라, 긴급 호 설정을 위한 중계 단말을 선택하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다.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a new method of selecting a relay terminal for emergency call setup.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기지국의 기능이 정지한 셀 내에 존재하는 긴급 단말의 통신을 위하여 인접 셀의 경계에 존재하는 중계 단말을 선택하는 방법 및 중계 단말이 기지국과 긴급 단말을 중계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selecting a relay terminal existing at a boundary of an adjacent cell for communication of an emergency terminal existing in a cell in which a function of a base station stops, and a method of relaying a base station and an emergency terminal by a relay terminal. To provide.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긴급 단말의 통신을 위한 단말의 중계 방법은 기지국으로부터 인접 기지국의 기능이 정지되어 있음을 알리는 중계 대기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인접 기지국에 대한 셀의 경계 부근에 위치한 경우, 긴급 호 중계 대기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상기 인접 기지국과 통신하던 긴급 단말로부터 긴급 호 프리앰블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긴급 호 프리앰블 메시지의 수신 신호 세기에 기초하여 긴급 호 중계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긴급 단말과 상기 기지국 간의 중계를 위한 자원 할당을 수신하는 단계, 할당받은 자원을 통하여 상기 긴급 단말과의 연결 설정을 수행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긴급 단말과 상기 기지국 간의 데이터 전송을 중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for relaying a terminal for communication of an emergency terminal may include receiving a relay wait message indicating that a function of a neighboring base station is suspended from a base station; In case of being located in the vicinity, switching to the emergency call relay standby mode, receiving an emergency call preamble message from the emergency terminal communicating with the neighboring base station, to an emergency call relay mode based on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of the emergency call preamble message Switching, receiving a resource allocation for relaying between the emergency terminal and the base station from the base station, performing a connection setup with the emergency terminal through the allocated resources, and data between the emergency terminal and the base station Relaying the transmission.

기지국이 중계 단말을 선택하는 과정 없이, 셀 커버리지 내에 있는 단말이 스스로 긴급 호 설정을 위한 중계 단말이 되기를 결정함으로써, 추가적인 오버헤드나 자원 낭비 없이 긴급 호를 효율적으로 서비스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단말이 중계 단말로 결정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매크로 다이버시티를 얻어 전송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긴급 단말이 존재하는 경우, 특정 긴급 단말에게 중계 단말이 집중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Without determining the relay terminal by the base station, by determining that the terminal in the cell coverage to be the relay terminal for emergency call setting itself,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service the emergency call without additional overhead or waste of resources. In addition, since a plurality of terminals may be determined as relay terminals, macro diversity can be obtained to increase transmission reliability. And,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emergency terminals, it is possible to solve the problem that the relay terminal is concentrated on a specific emergency terminal.

도 1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인접 셀 내에 있는 단말의 중계를 통하여 긴급 호(emergency call)를 수행하는 시나리오를 나타낸다.
도 2는 단말이 인접 기지국과 통신하기 위한 긴급 호 설정 절차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중계 단말 결정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긴급 단말이 복수의 중계 단말의 중계를 통하여 기지국과 통신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긴급 단말이 존재하는 경우 복수의 중계 단말이 하나의 긴급 단말에게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1 illustrates a scenario of performing an emergency call through a relay of a terminal in an adjacent cell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2 shows an emergency call setup procedure for a terminal to communicate with a neighbor base station.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determining a relay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an emergency terminal communicates with a base station through relaying of a plurality of relay termina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eventing a plurality of relay terminals from being concentrated on one emergency terminal when a plurality of emergency terminals exi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DETAILED DESCRIPTION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and like reference numerals designate like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include"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it can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without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본 명세서에서 이동국(Mobile Station, MS)은 단말(terminal), 이동 단말(Mobile Terminal, MT), 가입자국(Subscriber Station, SS), 휴대 가입자국(Portable Subscriber Station, PSS), 사용자 장치(User Equipment, UE), 접근 단말(Access Terminal, AT) 등을 지칭할 수도 있고, 이동국, 단말, 이동 단말, 가입자국, 휴대 가입자 국, 사용자 장치, 접근 단말 등의 전부 또는 일부의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In this specification, a mobile station (MS) includes a terminal, a mobile terminal (MT), a subscriber station (SS), a portable subscriber station (PSS), and a user equipment. , UE), an access terminal (AT), and the like, and may include all or some functions of a mobile station, a terminal, a mobile terminal, a subscriber station, a portable subscriber station, a user device, an access terminal, and the like. .

본 명세서에서 기지국(Base Station, BS)은 접근점(Access Point, AP), 무선 접근국(Radio Access Station, RAS), 노드B(Node B), 고도화 노드B(evolved NodeB, eNodeB), 송수신 기지국(Base Transceiver Station, BTS), MMR(Mobile Multihop Relay)-BS 등을 지칭할 수도 있고, 기지국, 접근점, 무선 접근국, 노드B, eNodeB, 송수신 기지국, MMR-BS 등의 전부 또는 일부의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 base station (BS) is an access point (AP), a radio access station (Radio Access Station, RAS), a node B (Node B), an advanced node B (evolved NodeB, eNodeB), a base transceiver station (Base Transceiver Station, BTS), MMR (Mobile Multihop Relay) -BS, etc. may be referred to, and all or part of the functions of the base station, access point, radio access station, Node B, eNodeB, transmit and receive base station, MMR-BS, etc. It may also include.

이하, 셀룰러 시스템에서 서빙 기지국의 기능이 정지한 셀 내에 있는 단말(이하, 긴급 단말이라 함)에 대한 긴급 호 설정 방법을 설명한다. 특히, 인접 셀 내에 존재하는 단말 중 자신의 기지국과 긴급 단말을 중계할 단말(이하, 중계 단말이라 함)을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모든 셀은 긴급 호 설정을 위하여 공통으로 정의된 프리앰블 신호를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긴급 단말뿐만 아니라 인접 셀 내에 존재하는 단말들도 긴급 상황의 발생을 인지하면, 긴급 호 설정을 위하여 예약된 프리앰블 신호를 사용할 수 있다.Hereinafter, a method for establishing an emergency call for a terminal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emergency terminal) in a cell in which a function of a serving base station is suspended in a cellular system will be described. In particular, a method of determining a terminal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relay terminal) to relay its base station and an emergency terminal among terminals existing in an adjacent cell will be described. All cells may use a commonly defined preamble signal for emergency call setup. Therefore, not only the emergency terminal but also the terminals existing in the neighbor cell may recognize the occurrence of the emergency situation, and may use the preamble signal reserved for emergency call setup.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중계 단말 결정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determining a relay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고하면, 기지국(210)은 백홀(Backhaul)을 통하여 인접 기지국(110)의 기능이 정지되어 있음을 인지하고 자신의 셀 커버리지 내에 있는 단말들(220, 230)에게 중계 대기 메시지를 방송(broadcast)한다(S300). 중계 대기 메시지는 기지국(210)과 인접 기지국(110)의 위치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the base station 210 recognizes that the function of the adjacent base station 110 is suspended through a backhaul and broadcasts a relay waiting message to the terminals 220 and 230 within its cell coverage. (broadcast) (S300). The relay wait message may includ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base station 210 and the neighboring base station 110.

중계 대기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들(220, 230)은 자신의 위치가 인접 셀의 경계 부근에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하면, 긴급 호 중계 대기 모드로 전환한다(S310). 긴급 호 중계 대기 모드로 전환한 단말들(220, 230)은 기지국(210)과의 동기를 맞춘다(S320). Upon receiving the relay wait message, the terminals 220 and 230 determine that their location is located near the boundary of the adjacent cell, and switch to the emergency call relay standby mode (S310). Terminals 220 and 230 that switch to the emergency call relay standby mode synchronize with the base station 210 (S320).

한편, 긴급 단말(120)은 중계 단말(220, 230)로부터 연결 설정 메시지를 수신할 때까지 주기적으로 긴급 호 프리앰블 메시지를 방송한다(S330). Meanwhile, the emergency terminal 120 periodically broadcasts an emergency call preamble message until a connection setup message is received from the relay terminals 220 and 230 (S330).

긴급 호 중계 대기 모드로 전환한 단말들(220, 230)이 긴급 단말(120)로부터 긴급 호 프리앰블 메시지를 수신하면, 단말들(220, 230)은 긴급 단말(120)이 자신의 주변에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긴급 호 중계 모드로 전환한다(S340). 이때, 단말들(220, 230)은 긴급 호 프리앰블 메시지로부터 수신 신호 세기를 측정하고, 자신의 배터리 상태, 기지국(210)과의 채널 상태 등을 고려하여 일정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긴급 호 중계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When the terminals 220 and 230 that switch to the emergency call relay standby mode receive the emergency call preamble message from the emergency terminal 120, the terminals 220 and 230 may indicate that the emergency terminal 120 is in the vicinity of the terminal. The determination is made, and the switch to the emergency call relay mode (S340). In this case, the terminals 220 and 230 measure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from the emergency call preamble message, and in case of satisfying a predetermined condition in consideration of its battery state and the channel state with the base station 210, the emergency call relay mode. You can switch.

긴급 호 중계 모드로 전환한 단말들(220, 230)은 기지국(210)에게 긴급 호 중계를 위한 자원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S350). 자원 요청 메시지는 긴급 단말(120)의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The terminals 220 and 230 that switch to the emergency call relay mode transmit a resource request message for emergency call relay to the base station 210 (S350). The resource request message may includ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emergency terminal 120.

단말들(220, 230)로부터 자원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기지국(210)은 자원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긴급 단말(120)을 식별한 후, 단말들(220, 230)에게 자원 할당 메시지를 전송한다(S360). 자원 할당 메시지는 긴급 호 중계용 자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After receiving the resource request message from the terminals 220 and 230, the base station 210 identifies the emergency terminal 120 by us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resource request message, and then allocates resources to the terminals 220 and 230. The message is transmitted (S360). The resource allocation message may include information on resources for emergency call relay.

기지국(210)으로부터 자원 할당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들(220, 230)은 긴급 단말(120)에게 연결 설정 메시지를 전송한다(S370). 연결 설정 메시지는 초기 연결 설정을 위한 메시지로, 타이밍 보정값, 전송 시간, 주파수 구간 및 채널 인덱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Upon receiving the resource allocation message from the base station 210, the terminals 220 and 230 transmit a connection setup message to the emergency terminal 120 (S370). The connection establishment message is a message for initial connection establishment and may include a timing correction value, a transmission time, a frequency interval, a channel index, and the like.

중계 단말(220, 230)로부터 연결 설정 메시지를 수신한 긴급 단말(120)은 연결 설정 메시지를 디코딩(decoding)하여 연결 설정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를 확인한 후, 연결 응답 메시지를 중계 단말(220, 230)에게 전송한다. 연결 응답 메시지는 응답 신호인 ACK/NACK(Acknowledgement/Negative-Acknowledgement)만을 포함하거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해 중계 단말(220, 230)이 필요로 하는 추가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After receiving the connection establishment message from the relay terminals 220 and 230, the emergency terminal 120 decodes the connection establishment message, checks th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connection establishment message, and then transmits the connection response message to the relay terminals 220 and 230. To). The connection response message may include only acknowledgment / negative-acknowledgement (ACK / NACK), which is a response signal, or may further include additional information required by the relay terminals 220 and 230 for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연결 설정 메시지와 연결 응답 메시지의 교환에 의하여 초기 연결 설정이 완료되면, 중계 단말(220, 230)의 중계를 통하여 기지국(210)과 긴급 단말(120)간의 데이터 송수신이 이루어진다.When the initial connection setup is completed by exchanging the connection setup message and the connection response message,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between the base station 210 and the emergency terminal 120 is performed through the relay of the relay terminals 220 and 230.

이에 따라, 기지국(210)의 셀 커버리지 내에 있는 단말들(220, 230)은 기지국(210)으로 긴급 단말(210)과의 채널 정보 등을 전송할 필요가 없으므로, 상향링크 오버헤드를 줄일 수 있다. 여기서, 중계 단말은 하나인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복수일 수 있다. 중계 단말이 복수인 경우, 매크로 다이버시티 효과를 얻을 수 있다.Accordingly, since the terminals 220 and 230 in the cell coverage of the base station 210 do not need to transmit channel information with the emergency terminal 210 to the base station 210, the uplink overhead may be reduced. Here, although illustrated as one relay terminal, there may be a plurality.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relay terminals, macro diversity effect can be obtained.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긴급 단말(120)이 복수의 중계 단말(220, 230)의 중계를 통하여 기지국(210)과 통신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the emergency terminal 120 communicates with the base station 210 through the relay of the plurality of relay terminals 220 and 2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고하면, 긴급 단말(120)이 방송한 긴급 호 프리앰블 메시지를 중계 단말(220, 230)이 수신하고, 일정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중계 단말(220, 230)은 긴급 호 중계 모드로 전환한다. 이에 따라, 긴급 단말(120)은 복수의 중계 단말(220, 230)의 중계를 통하여 통신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when the relay terminals 220 and 230 receive an emergency call preamble message broadcast by the emergency terminal 120 and determine that a predetermined condition is satisfied, the relay terminals 220 and 230 relay an emergency call. Switch to mode. Accordingly, the emergency terminal 120 may communicate through relaying of the plurality of relay terminals 220 and 230.

기지국(210)과 긴급 단말(120)은 하향링크 전송 또는 상향링크 전송 시 BS(401)와 추가적인 자원 할당없이 멀티캐스트를 통하여 복수의 중계 단말(220, 230)에게 전송하고, 복수의 중계 단말(220, 230)은 동일한 데이터를 기지국(210) 또는 긴급 단말(120)에게 전달한다. The base station 210 and the emergency terminal 120 transmits to the plurality of relay terminals 220 and 230 through multicast without additional resource allocation with the BS 401 during downlink transmission or uplink transmission, and the plurality of relay terminals ( 220 and 230 transmit the same data to the base station 210 or the emergency terminal 120.

이와 같이, 복수의 중계 단말(220, 230)이 데이터 전송을 중계함으로써, 매크로 다이버시티(macro diversity) 이득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중계 단말(220, 230) 중 하나가 갑작스럽게 중계를 할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한 경우에도, 나머지 중계 단말이 중계를 할 수 있으므로 기지국(210)과 긴급 단말(120) 간에 지속적인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As such, the plurality of relay terminals 220 and 230 may relay data transmission to obtain a macro diversity gain. In addition, even when a situation in which one of the plurality of relay terminals 220 and 230 cannot relay abruptly occurs, the remaining relay terminal may relay so that continuous communication between the base station 210 and the emergency terminal 120 may be performed. Can support

한편, 기지국(210)의 셀 커버리지 밖에 복수의 긴급 단말(120, 130)이 존재하는 경우, 복수의 중계 단말(220, 230)은 긴급 호 중계 모드로 전환 시에 최적의 긴급 단말을 선택할 수 있다. 이때, 하나의 긴급 단말에게 복수의 중계 단말(220, 230)이 집중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Meanwhile, when a plurality of emergency terminals 120 and 130 exist outside the cell coverage of the base station 210, the plurality of relay terminals 220 and 230 may select an optimal emergency terminal when switching to the emergency call relay mode. . In this case, a problem may occur in which a plurality of relay terminals 220 and 230 are concentrated in one emergency terminal.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긴급 단말이 존재하는 경우 복수의 중계 단말이 하나의 긴급 단말에게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설명의 편의상, 하나의 긴급 단말과 하나의 중계 단말을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긴급 단말과 중계 단말은 각각 복수일 수 있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eventing the plurality of relay terminals from being concentrated on one emergency terminal when a plurality of emergency terminals exi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one emergency terminal and one relay terminal are illustrat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emergency terminal and the relay terminal may each be plural.

도 5를 참고하면, 기지국(210)이 백홀(Backhaul)을 통하여 인접 기지국(110)의 기능이 정지되어 있음을 인지하고 자신의 셀 커버리지 내에 있는 단말들(220, 230)에게 중계 대기 메시지를 방송(broadcast)하는 과정(S500) 및 중계 대기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들(220, 230)이 자신의 위치가 인접 셀의 경계 부근에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하면, 긴급 호 중계 대기 모드로 전환하는 과정(S510)은 도 3에서 도시한 과정과 동일하다.Referring to FIG. 5, the base station 210 recognizes that the function of the adjacent base station 110 is suspended through a backhaul and broadcasts a relay waiting message to the terminals 220 and 230 within its cell coverage. If the terminal (220) and the terminal (220, 230) receiving the relay waiting message determine that its location is located near the boundary of the adjacent cell (S500), the process of switching to the emergency call relay standby mode (S510). ) Is the same as the process shown in FIG.

단말들(220, 230)은 복수의 긴급 단말(120, 130)이 방송한 긴급 호 프리앰블 메시지를 수신하고(S520), 긴급 호 프리앰블 메시지에 기초하여 최적의 긴급 단말을 선택하고(S530), 긴급 호 중계 모드로 전환한다(S540). 이때, 단말들(220, 230)은 긴급 호 프리앰블 메시지의 수신 신호 세기에 기초하여 최적의 긴급 단말을 선택할 수 있다.The terminals 220 and 230 receive an emergency call preamble message broadcast by the plurality of emergency terminals 120 and 130 (S520), and select an optimal emergency terminal based on the emergency call preamble message (S530). Switch to the call relay mode (S540). In this case, the terminals 220 and 230 may select an optimal emergency terminal based on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of the emergency call preamble message.

이후, 단말들(220, 230)은 선택한 긴급 단말(120, 130)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자원 요청 메시지를 기지국(210)에게 전송한다(S550).Thereafter, the terminals 220 and 230 transmit a resource request message includ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elected emergency terminal 120 and 130 to the base station 210 (S550).

기지국(210)은 자원 요청 메시지에 포함되는 긴급 단말(120, 130)의 식별 정보를 확인하고(S560), 특정 긴급 단말(120, 130)의 식별 정보가 기준 값을 넘어서는 경우, 단말(220, 230)에게 중계 재설정 메시지를 전송한다(S570).The base station 210 check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emergency terminals 120 and 130 included in the resource request message (S560), and whe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pecific emergency terminal 120 or 130 exceeds the reference value, the terminal 220, In step S570, the relay reset message is transmitted.

기지국(210)으로부터 중계 재설정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220, 230)은 다른 긴급 단말(120, 130)의 긴급 호 프리앰블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하여 긴급 호 중계 대기 모드로 다시 전환한다(S580).Upon receiving the relay reset message from the base station 210, the terminals 220 and 230 switch back to the emergency call relay standby mode in order to receive emergency call preamble messages of the other emergency terminals 120 and 130 (S580).

이에 따라, 복수의 긴급 단말이 있는 경우, 특정 긴급 단말에게 복수의 중계 단말이 집중되는 현상을 막을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emergency terminals, it is possible to prevent a plurality of relay terminals from being concentrated on a specific emergency terminal.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다.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re not only implemented through the apparatus and the method, but may be implemented through a program for realizing a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or a recording medium on which the program is recorded.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belongs to the scope of right.

Claims (1)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긴급 단말의 통신을 위한 단말의 중계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인접 기지국의 기능이 정지되어 있음을 알리는 중계 대기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인접 기지국에 대한 셀의 경계 부근에 위치한 경우, 긴급 호 중계 대기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상기 인접 기지국과 통신하던 긴급 단말로부터 긴급 호 프리앰블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긴급 호 프리앰블 메시지의 수신 신호 세기에 기초하여 긴급 호 중계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긴급 단말과 상기 기지국 간의 중계를 위한 자원 할당을 수신하는 단계,
할당받은 자원을 통하여 상기 긴급 단말과의 연결 설정을 수행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긴급 단말과 상기 기지국 간의 데이터 전송을 중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중계 방법.
In the relay method of the terminal for communication of the emergency terminal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Receiving a relay waiting message from the base station indicating that the function of the adjacent base station is stopped,
Switching to an emergency call relay standby mode when located near a boundary of a cell with respect to the neighboring base station,
Receiving an emergency call preamble message from an emergency terminal communicating with the neighbor base station;
Switching to an emergency call relay mode based on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of the emergency call preamble message;
Receiving a resource allocation for relaying between the emergency terminal and the base station from the base station,
Performing connection establishment with the emergency terminal through the allocated resources, and
Relaying data transmission between the emergency terminal and the base station.
KR1020100132717A 2010-12-22 2010-12-22 Relay method of terminal for communicaion of emergency terminal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2012007111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2717A KR20120071113A (en) 2010-12-22 2010-12-22 Relay method of terminal for communicaion of emergency terminal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2717A KR20120071113A (en) 2010-12-22 2010-12-22 Relay method of terminal for communicaion of emergency terminal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1113A true KR20120071113A (en) 2012-07-02

Family

ID=467062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2717A KR20120071113A (en) 2010-12-22 2010-12-22 Relay method of terminal for communicaion of emergency terminal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71113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26111A1 (en) * 2013-08-18 2015-0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Repeater operation method and apparatu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160015432A (en) * 2014-07-30 2016-02-15 한국철도기술연구원 Resource allocation method using weight for disaster in wireless communicatio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26111A1 (en) * 2013-08-18 2015-0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Repeater operation method and apparatu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0298314B2 (en) 2013-08-18 2019-05-21 Lg Electronics Inc. Repeater operation method and apparatu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160015432A (en) * 2014-07-30 2016-02-15 한국철도기술연구원 Resource allocation method using weight for disaster in wireless communic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12691B2 (en) Optimized mechanism for paging transmission and reception
US8938197B2 (en) Base station aided mobile-relay candidate pre-selection and pre-deployment
EP3512267B1 (en) Sidelink synchronization signal transmission method performed by termi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terminal using same
EP2217029B1 (en) Method of processing in random access procedure
EP3282766B1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communication node and computer storage medium
US20180110001A1 (en) User terminal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US9532389B2 (en) Radio base station and radio communication system
US10924915B2 (en) Exchange of mobility information in cellular radio communications
WO2017181819A1 (en) User equipment,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relaying in base station
US2021031504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ling radio link failure
CN105338513A (en) Device to device (D2D) service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US2012032944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reating a channel between femto base stations based on user equipment
WO2013123735A1 (en) End-to-end d2d communication method and d2d communication device
US10715993B2 (en) Electronic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US9042346B2 (en) Mobile relay station and handover method thereof
US20120163283A1 (en) Method for relaying of base station and method for relaying of terminal
US20230069615A1 (en) Method and apparatus of group-based resource allocation
CN11427089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warding data between network nodes in a maritime network
KR20120071113A (en) Relay method of terminal for communicaion of emergency terminal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N105992191B (en) Uplink data receiving control, receiving and sending method and device
JP2012195970A (en)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US20240188042A1 (en) Paging early indication enhancements
US9320058B1 (en) Use of special random access channel instances for access request interception and forwarding
KR2015012850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ynchronization IN D2D Communication
KR20130043597A (en) Terminal and communication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