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69832A - Control method for aircondition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Control method for aircondition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69832A
KR20120069832A KR1020100131146A KR20100131146A KR20120069832A KR 20120069832 A KR20120069832 A KR 20120069832A KR 1020100131146 A KR1020100131146 A KR 1020100131146A KR 20100131146 A KR20100131146 A KR 20100131146A KR 20120069832 A KR20120069832 A KR 201200698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door unit
portable terminal
voice command
inpu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114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조성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311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69832A/en
Publication of KR201200698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9832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6Remote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6Remote control
    • F24F11/59Remote control for preset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23Reporting information sensed by appliance or service execution status of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27Reporting to a device within the home network; wherein the reception of the information reported automatically triggers the execution of a home appliance functionality
    • H04L12/2829Reporting to a device within the home network; wherein the reception of the information reported automatically triggers the execution of a home appliance functionality involving user profiles according to which the execution of a home appliance functionality is automatically trigger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PURPOSE: A control method of an air conditioner is provided for control the operation of an air conditioner through a portable terminal unit comprising a voice recognition function for inputting the driving condition to an air conditioner. CONSTITUTION: A control method of an air conditioner includes follow steps. A portable terminal unit comprising a voice recognition function and an indoor unit are connected to communicate by wireless. An indoor unit control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portable terminal unit is operated. Voice command is input in the portable terminal unit through a voice input part. The input voice command is transferred into the indoor unit. The indoor unit is started by the transferred voice command.

Description

공기 조화기의 제어 방법{Control method for airconditioning apparatus}Control method for air conditioner apparatus

본 발명은 공기 조화기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rol method of an air conditioner.

일반적으로 공기 조화기는 냉매 사이클의 작동에 의하여 실내 공간으로 온풍 또는 냉풍을 공급하는 가전 기기이다.In general, an air conditioner is a home appliance that supplies hot air or cold air to an indoor space by an operation of a refrigerant cycle.

최근에는 스마트 폰과 같이 인터넷 접속이 가능할 뿐 아니라 문서 또는 게임 프로그램 및 문서 파일 등을 자유로이 다운로드 받아서 실행시킬 수 있고, 전화 통화도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가 대량으로 출시되고 있다. Recently, a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freely downloading and executing a document or a game program and a document file and the like as well as an internet connection such as a smart phone has been released in large quantities.

또한, 최근에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가정에 설치된 가전 기기를 포함하는 전기 용품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는 홈네트워크 시스템이 신축 아파트 또는 일반 가정에 많이 보급되고 있다. In addition, recently, a home network system capable of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electrical appliances including home appliances installed in homes using portable terminals has been widely used in new apartments or general homes.

이와 같이, 공기 조화기를 포함하는 다양한 가전 기기를 직접 조작하지 않고 원거리에서 원격 제어가 가능하게 되어, 사용 편의성이 매우 향상되었다.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remotely control at a long distance without directly operating various home appliances including the air conditioner, and the usability is greatly improved.

이하에서는, 스마트 폰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를 원격으로 제어 가능하도록 하는 공기 조화기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Hereinafter,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trol method of an air conditioner that enables remote control of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using a portable terminal such as a smart phon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제어 방법은, 음성 인식 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와 실내기가 무선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는 단계;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설치된 실내기 제어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단계;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구비된 음성 입력부를 통하여 음성 명령이 입력되는 단계; 상기 입력된 음성 명령이 상기 실내기로 전송되는 단계; 및 상기 전송된 음성 명령에 따라 상기 실내기의 운전이 개시되는 단계를 포함한다.A control method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comprises the steps of connecting the portable terminal with a voice recognition function and the indoor unit to enable wireless communication; Executing the indoor unit control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portable terminal; Inputting a voice command through a voice input unit provided in the portable terminal; Transmitting the input voice command to the indoor unit; And starting operation of the indoor unit according to the transmitted voice command.

상기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공기 조화기의 제어 방법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control method of the air conditioner which comprises the above structure, it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공기 조화기의 운전 조건을 입력하기 위한 무선 리모콘의 분실 또는 파손 시에도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운전 제어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First, even when the wireless remote controller for inputting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air conditioner is lost or damag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operation control using the portable terminal.

둘째, 와이파이, 블루투스, 지그비 등과 같은 무선 통신 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원격 제어 범위가 넓어져서 사용 편의성이 증가하는 장점이 있다. Second, since 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such as Wi-Fi, Bluetooth, ZigBee, etc. can be us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convenience of use is increased by increasing the remote control range.

셋째, 휴대용 단말기의 특성상 분실의 우려가 낮은 장점이 있다. 즉, 휴대용 단말기를 찾을 수 없을 경우, 휴대용 단말기로 전화를 걸어서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를 바로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ird, there is a low risk of loss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portable terminal. That is, when the portable terminal cannot be found,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posi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can be immediately determined by calling the portable terminal.

넷째, 공기 조화기 본체에 구비된 컨트롤 패널을 조작하지 않아도 되므로, 공기 조화기 운전 조작을 위한 사용자의 동선이 짧아지는 장점이 있다. Fourth, since it is not necessary to operate the control panel provided in the air conditioner body,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user's copper wire for the air conditioner operation operation is shorten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시스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 중 상호 무선 통신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와 실내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제어 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차트.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제어 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차트.
1 is a system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network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ortable terminal and an indoor unit capable of wireless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in a network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showing a control method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showing a control method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 및 시스템 운용 방법, 즉 공기 조화기 제어 방법에 대하여 도면 및 플로차트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a configuration and a system operating method of a network system including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an air conditioner control metho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a flowchar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시스템도이다.1 is a system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network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은, 실내에 냉풍 또는 온풍을 공급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0)와, 상기 실내기(10)와 무선 통신이 가능한 스마트 폰을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20)와, 상기 휴대용 단말기(20) 및 상기 실내기(10)와 인터넷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유무선 공유기(1) 및/또는 무선 공유기(2)를 포함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유무선 공유기(1)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컴퓨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a network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door unit 10 of an air conditioner for supplying cold or warm air to a room, and a smart phone capable of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indoor unit 10. It includes a portable terminal 20, a wired / wireless router 1 and / or a wireless router 2 to enable internet communication with the portable terminal 20 and the indoor unit 10. Additionally, the wired / wireless router 1 may further include a computer connected by wire or wirelessly.

상세히, 상기 휴대용 단말기(20)와 상기 실내기(10)에는 무선 통신을 위한 통신 모듈이 내장될 수 있다. 상기 통신 모듈은 블루투스 모듈, 와이파이(WiFi) 모듈, 지그비(ZigBee)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내기(10)에는 사용자의 안면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12)와, 사용자의 음성을 녹음하기 위한 녹음기(11)가 장착될 수 있다. 물론, 상기 휴대용 단말기(20)에도 카메라와 녹음기가 내장될 수 있다. In detail, the portable terminal 20 and the indoor unit 10 may have a built-in communication module for wireless communication. The communication module may include a Bluetooth module, a Wi-Fi module, a ZigBee module, and the like. The indoor unit 10 may be equipped with a camera 12 for capturing the user's face and a recorder 11 for recording the user's voice. Of course, the portable terminal 20 may have a built-in camera and a recorder.

상기 무선 통신을 위한 통신 모듈을 통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20)는 상기 실내기(10)와 일대일 통신이 가능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실내기(10)에 장착된 컨트롤 패널을 통하여 운전 조건을 입력하거나, 상기 휴대용 단말기(20)를 통하여 운전 조건을 입력할 수 있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20)를 통하여 운전 조건을 입력할 경우, 입력된 운전 조건은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하여 상기 실내기(10)로 운전 조건이 전송되고, 전송된 운전 조건에 따라 실내팬의 속도 또는 풍향 조절 장치(13)의 각도가 설정 또는 변경된다.The portable terminal 20 may have one-to-one communication with the indoor unit 10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for wireless communication. Therefore, a user may input driving conditions through the control panel mounted on the indoor unit 10 or input driving conditions through the portable terminal 20. When the driving condition is input through the portable terminal 20, the driving condition is transmitted to the indoor unit 10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and the speed or wind direction of the indoor fan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transmitted driving condition. The angle of the device 13 is set or changed.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 중 상호 무선 통신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와 실내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이다.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ortable terminal and an indoor unit capable of wireless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in a network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을 구성하는 휴대용 단말기(20)는 최근에 출시되고 있는 스마트폰일 수 있다.2, the portable terminal 20 constituting the network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smart phone that is recently released.

상세히, 상기 휴대용 단말기(20)는, 제어부(200)와, 상기 제어부(200)로 특정 명령이나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키 입력부(210)와, 상기 휴대용 단말기(20)의 상태 또는 상기 실내기(10)의 운전 상태를 보여주는 디스플레이부(220)와,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하기 위한 음성 입력부(230)와, 녹음된 음성을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240)와, 사용자의 안면을 촬영할 수 있는 촬영부(또는 촬영 장치)(250)와, 상기 휴대용 단말기(20)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각속도 센서(260) 및 가속도 센서(270)와, 상기 실내기(10)와 무선 통신하기 위한 통신 모듈(280)과, 상기 휴대용 단말기(20)의 위치를 확인하는 GPS 모듈(290)과, 각종 정보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295)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20)는 최근에 출시되는 스마트폰을 포함하며, 통화 기능, 인터넷 접속, 프로그램 다운로드 기능 및 일대일 무선 통신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In detail, the portable terminal 20 includes a control unit 200, a key input unit 210 for inputting a specific command or information to the control unit 200, a state of the portable terminal 20, or the indoor unit ( 10) a display unit 220 showing the driving state, a voice input unit 230 for inputting the user's voice, a voice output unit 240 for outputting the recorded voice, and the user can take a picture of the face The unit (or imaging device) 250, the angular velocity sensor 260 and the acceleration sensor 270 for detecting the movement of the portable terminal 20, and the communication module 280 for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indoor unit 10. And a GPS module 290 for identifying the loc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20 and a memory 295 for storing various information and data. In addition, the portable terminal 20 includes a recently released smart phone, and includes a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a call function, an Internet connection, a program download function, and one-to-one wireless communication.

상세히, 상기 키 입력부(210)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20)에 구비된 입력 버튼 또는 터치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촬영부(250)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20)에 장착된 카메라를 포함하며, 상기 음성 입력부(230)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20)에 장착된 녹음기를 포함하고, 상기 음성 출력부(230)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20)에 장착된 스피커를 포함한다. In detail, the key input unit 210 includes an input button or a touch panel provided in the portable terminal 20, the photographing unit 250 includes a camera mounted on the portable terminal 20, and the voice. The input unit 230 includes a recorder mounted on the portable terminal 20, and the voice output unit 230 includes a speaker mounted on the portable terminal 20.

또한, 상기 각속도 센서(260)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20)의 기울어짐 또는 회전 각도를 감지하는 자이로 센서(Gyro sensor) 또는 중력 센서(Gravity sensor)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가속도 센서(270)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20)가 특정 방향으로 직선 이동하는 속도 또는 가속도를 감지하는 센서이다. In addition, the angular velocity sensor 260 includes a gyro sensor or a gravity sensor that detects an inclination or rotation angle of the portable terminal 20. In addition, the acceleration sensor 270 is a sensor that detects a speed or acceleration in which the portable terminal 20 linearly moves in a specific direction.

또한, 상기 통신 모듈(280)은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블루투스, 와이파이, 지그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부(220)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20)에 구비되는 액정 패널을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module 280, as mentioned above, includes Bluetooth, Wi-Fi, Zigbee. In addition, the display unit 220 includes a liquid crystal panel provided in the portable terminal 20.

한편, 상기 실내기(10)는, 제어부(100)와, 키입력부(110)와, 음성 입력부(130) 및 음성 출력부(140)와, 촬영부(150)와, 디스플레이부(120)와, 통신 모듈(180) 및 메모리(17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실내기(10)에 장착되는 팬(161), 압축기(162) 및 풍향 조절 장치(163)를 구동하는 구동부(160)를 더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160)는 상기 팬(161)과, 압축기(162) 및 풍향 조절 장치(163)를 구동하는 구동 모터로공급되는 전류량을 제어하는 모터 드라이브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indoor unit 10 includes a control unit 100, a key input unit 110, a voice input unit 130, a voice output unit 140, a photographing unit 150, a display unit 120, Communication module 180 and memory 170. In addition, the fan unit 161, the compressor 162, and the wind direction control device 163 mounted to the indoor unit 10 further include a driving unit 160, and the driving unit 160 includes the fan 161. The motor driver may control the amount of current supplied to the driving motor driving the compressor 162 and the wind direction control device 163.

또한, 상기 촬영부(150)와, 음성 입력부(130) 및 음성 출력부(140), 디스플레이 모듈(120)과, 통신 모듈(180)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20)에 구비된 그것들과 동일하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In addition, since the photographing unit 150, the voice input unit 130, the voice output unit 140, the display module 120, and the communication module 180 are the same as those provided in the portable terminal 20, Duplicate explanations are omitted.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휴대용 단말기(20)와 상기 실내기(10)는 각각에 내장된 통신 모듈(280,180)을 통하여 인터넷으로부터 정보를 독립적으로 수신하거나, 상호간에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즉, 상기 휴대용 단말기(20)의 통신 모듈(280)를 통하여 인터넷에 접속하여 날씨 정보 또는 실내기의 제품 정보를 다운로드받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내기(10)도 상기 통신 모듈(180)을 통하여 인터넷에 접속하여 날씨 정보 또는 실내기의 제품 정보 등을 다운로드 받아서 디스플레이부(120)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20)는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상기 유무선 공유기(1) 또는 무선 공유기(2)-를 매개체로 하는 와이파이 통신을 통하여 인터넷 접속이 가능할 뿐 아니라, 상기 실내기(10)와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게 된다. 이를 소위 인프라 스트럭처 네트워킹(Infra Structure Networking)이라고 한다. As shown, the portable terminal 20 and the indoor unit 10 may independently receive information from the Internet or transmit and receive information from each other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s 280 and 180 embedded therein. That is, it is possible to download weather information or product information of the indoor unit by accessing the Internet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280 of the portable terminal 20. In addition, the indoor unit 10 may also be connected to the Internet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180 to download weather information or product information of the indoor unit, and display the same on the display unit 120. By such a configuration, the portable terminal 20 is not only able to access the Internet through Wi-Fi communication via an access point (Access Point) -the wired / wireless router 1 or the wireless router 2, but also the indoor unit. You can exchange information with (10). This is called Infrastructure Structure Networking.

또한, 상기 휴대용 단말기(20)와 실내기(10)는 상기 통신 모듈들(180,280)을 이용하여, 일대일(Peer-to-Peer) 통신도 가능하다. 예컨대, 상기 통신 모듈들(180,1280)이 와이파이 모듈인 경우,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Direct) 기술 또는 애드혹(Ad-Hoc) 모드(또는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무선 공유기를 거치지 않고 직접 통신이 가능하다. In addition, the portable terminal 20 and the indoor unit 10 may also perform peer-to-peer communication using the communication modules 180 and 280. For example, when the communication modules 180 and 1280 are Wi-Fi modules, direct communication is possible without going through a wireless router using Wi-Fi Direct technology or Ad-Hoc mode (or network). .

상세히, 와이파이 다이렉트란, 무선랜 접속 장치(AP: Access Point)의 설치에 관계없이 802.11a,b,g,n 등의 통신 규격을 이용하여 빠른 속도로 통신할 수 있는 기술을 의미한다. 즉, 무선랜 접속 장치(Access Point)(상기에서 설명한 유무선 공유기 또는 무선 공유기)를 통하지 않고도, 상기 휴대용 단말기(20)와 실내기(10)가 무선 통신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 기술은, 인터넷 망이 없이도 무선으로 실내기(10)와 휴대용 단말기(20)끼리 와이파이로 연결하게 해주는 통신 기술로서 최근에 와서 각광을 받고 있다. In detail, Wi-Fi Direct refers to a technology capable of high-speed communication using a communication standard such as 802.11a, b, g, or n regardless of the installation of a wireless access point (AP). That is, it means that the portable terminal 20 and the indoor unit 10 can wirelessly communicate without passing through a wireless access point (Access Point) (wireless router or wireless router described above). This technology has recently been in the spotlight as a communication technology for wirelessly connecting the indoor unit 10 and the portable terminal 20 to Wi-Fi without the Internet network.

애드혹 모드(또는 애드혹 네트워크)는, 고정된 유선망을 가지지 않고 이동 호스트(mobile host)로만 이루어져 통신되는 망으로서, 호스트의 이동에 제약이 없고 유선망과 기지국이 필요 없기 때문에, 빠른 망 구성이 가능하고 비용이 저렵하다. 즉, 상기 무선랜 접속 장치(AP)가 없더라도 단말기간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애드혹 모드에서는, 상기 무선랜 접속 장치가 없더라도 상기 휴대용 단말기(20)와 실내기(10)가 무선 통신이 가능하다.Ad-hoc mode (or ad-hoc network) is a network that is composed of only mobile hosts without a fixed wired network. This is it. That is, even without the WLAN access point (AP) enables the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erminals. Therefore, in the ad hoc mode, the portable terminal 20 and the indoor unit 10 can wirelessly communicate without the wireless LAN access device.

블루투스 통신은, 이미 널리 알려져 있는 근거리 무선 통신 방법으로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20)에 내장된 블루투스 모듈과 상기 실내기(10)에 내장된 블루투스 모듈 간 페어링(pairing) 과정을 거치면 특정 범위 내에서 무선 통신이 가능하다.Bluetooth communication is a well-known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when the Bluetooth module built in the portable terminal 20 and the Bluetooth module built in the indoor unit 10 undergo a pairing process, the wireless communication is performed within a specific range. This is possible.

이하에서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20)를 이용하여 상기 실내기(10)를 제어하는 방법에 대하여 플로차트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a method of controlling the indoor unit 10 using the portable terminal 2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a flowchart.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제어 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차트이다.3 is a flowchart showing a control method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실내에 설치된 공기 조화기 실내기(10)의 운전 명령을 입력하기 위하여, 휴대용 단말기(20)와 실내기(10)가 무선 통신이 가능하도록 상호 연결된다(S11).Referring to FIG. 3, in order to input a driving command of the indoor unit 10 of the air conditioner installed indoors, the portable terminal 20 and the indoor unit 10 are interconnected to enable wireless communication (S11).

상기 무선 통신의 방법으로는,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블루투스 통신, 와이파이 통신 및 지그비 통신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블루투스 통신의 경우는 상기 실내기(10)와 휴대용 단말기(20) 간 페어링(pairing) 과정을 통하여 무선 통신 가능한 상태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와이파이 통신의 경우는, 상기 실내기(10)와 휴대용 단말기(20)간 일대일 통신이 가능하도록 와이파이 다이렉트 또는 애드혹 모드를 설정함으로써 무선 통신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통신 연결 방법은 널리 알려져 있는 방법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As the method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as mentioned above, any one of Bluetooth communication, Wi-Fi communication and Zigbee communication may be used. In the case of Bluetooth communication, the indoor unit 10 and the portable terminal 20 may be connected in a state capable of wireless communication through a pairing process. In the case of Wi-Fi communication, wireless communication may be performed by setting a Wi-Fi Direct or Ad-hoc mode to enable one-to-one communication between the indoor unit 10 and the portable terminal 20. Since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method is a widely known metho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일단 휴대용 단말기(20)와 실내기(10)가 무선 통신이 가능한 상태로 연결되면, 사용자에 의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20)에 다운로드된 실내기 제어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도록 한다(S12). Once the portable terminal 20 and the indoor unit 10 are connected in a state capable of wireless communication, the indoor unit control application downloaded to the portable terminal 20 is executed by the user (S12).

그리고, 사용자는 음성을 통하여 운전 조건을 입력한다(S13). 상세히, 상기 휴대용 단말기(20)에 구비된 음성 입력부(230)를 통하여 운전 조건을 음성으로 입력하면, 입력된 음성 명령은 녹음되어 상기 휴대용 단말기(20)의 제어부(200)로 전송된다. 사용자에 의한 음성 명령 입력이 감지되면 음성 해석 장치(SAPI:Speech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가 작동하여, 입력된 음성 명령을 해석한다(S14). 그리고, 음성 명령을 해석하여 입력된 운전 조건이 무엇인지 판단하게 된다. Then, the user inputs the driving condition through the voice (S13). In detail, when a driving condition is input as a voice through the voice input unit 230 provided in the portable terminal 20, the input voice command is recorded and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200 of the portable terminal 20. When a voice command input is detected by the user, a speech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SAPI) is operated to interpret the input voice command (S14). The voice command is interpreted to determine what the input driving conditions are.

한편, 음성 해석 과정을 통하여 입력된 운전 조건이 무엇인지 판별되면, 해석된 운전 조건에 해당하는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과정이 수행된다(S15). 그리고, 운전 조건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가 상기 실내기(10)의 제어부로 전송되고(S16), 전송된 운전 조건으로 실내기(10)의 운전이 개시된다. 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what is the operating condition input through the voice analysis process, the process of converting the electrica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analyzed operating conditions is performed (S15). Then, an electric signal corresponding to the driving condition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of the indoor unit 10 (S16), and the operation of the indoor unit 10 is started under the transmitted driving condition.

정리하면, 사용자는 휴대용 단말기(20)를 이용하여 실내기(10)의 운전 조건을 입력할 수 있고, 입력된 운전 조건은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하여 실내기(10)로 전송된다. 그리고, 전송된 운전 조건에 따라 실내기(10)의 구동이 개시된다(S17). In summary, the user may input driving conditions of the indoor unit 10 using the portable terminal 20, and the input driving conditions are transmitted to the indoor unit 10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Then, driving of the indoor unit 10 is started according to the transmitted driving condition (S17).

여기서, 입력되는 운전 조건은, 실내 온도, 실내 습도, 풍량, 풍향, 실내기 전원 온, 실내기 중지 및 부가 기능을 포함한다. 상기 부가 기능은, 실내기 전력 소모량 확인을 위한 명령 또는 현재 실외 날씨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input operating conditions include room temperature, room humidity, air volume, wind direction, indoor unit power on, indoor unit stop, and additional functions. The additional function may include a command for checking indoor unit power consumption or current outdoor weather information.

본 실시예는, 입력된 음성 명령에 대응하는 운전 조건이 휴대용 단말기(20)에서 전기 신호로 변환되고, 변환된 전기 신호가 실내기(10)로 전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embodimen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riving condition corresponding to the input voice command is converted into an electric signal in the portable terminal 20, and the converted electric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indoor unit 10.

이하에서는, 다른 실시예로서, 음성 해석 과정이 실내기(10)의 제어부에서 수행되는 것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as another embodiment, it will be described that the speech analysis process is performed by the control unit of the indoor unit 10.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제어 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차트이다.4 is a flowchart showing a control method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휴대용 단말기와 실내기가 무선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고(S21), 이 상태에서 휴대용 단말기(20)에 설치된 실내기 제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S22) 음성 명령을 입력하는 과정(S23)은 상기 제 1 실시예에서와 동일하다. Referring to FIG. 4,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indoor unit are connected to enable wireless communication (S21), and in this state, a process of inputting a voice command by executing the indoor unit control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portable terminal 20 (S22) The same as in the first embodiment.

다만, 상기 휴대용 단말기(20)의 음성 입력부(230)를 통하여 녹음된 음성 명령 정보가 곧바로 실내기(10)의 제어부(100)로 전송되는 것(S24)에 차이가 있다.However, there is a difference in that voice command information recorded through the voice input unit 230 of the portable terminal 20 is immediately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100 of the indoor unit 10 (S24).

상세히, 휴대용 단말기(20)에서 녹음된 음성 명령이 그대로 실내기(10)의 제어부(100)로 전송되면, 상기 실내기(10)의 제어부(100)에서는 상기 음성 해석 장치(SAPI)를 동작시킨다. 그리고, 음성 해석(S25)을 통하여 확인되는 운전 조건이 전기 신호로 변환되고(S26), 변환된 전기 신호에 따라 실내기(10)의 구동부(160)가 작동하여 실내팬을 구동하는 모터와, 풍향 조절 장치를 구동하는 모터 및 압축기를 구동하는 모터로 전류가 공급되도록 한다. 즉, 입력된 운전 조건에 따라 실내기(10)의 운전이 개시된다(S27). In detail, when the voice command recorded in the portable terminal 20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100 of the indoor unit 10 as it is, the control unit 100 of the indoor unit 10 operates the speech analysis device SAPI. In addition, the driving condition confirmed through the voice analysis (S25) is converted into an electrical signal (S26), the motor 160 driving the indoor fan by operating the drive unit 160 of the indoor unit 10 according to the converted electrical signal, and the wind direction The current is supplied to the motor driving the regulating device and the motor driving the compressor. That is, the operation of the indoor unit 10 is started according to the input driving condition (S27).

정리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휴대용 단말기(20)에서는 입력된 음성 명령을 녹음하고, 녹음된 음성 명령을 실내기(10)로 무선 전송하는 기능만 수행하고, 실내기(10)에서 상기 수신된 음성 명령을 해석하고,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과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summary,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ortable terminal 20 records only the input voice command, performs a function of wirelessly transmitting the recorded voice command to the indoor unit 10, and the received voice command from the indoor unit 10. It is characterized by performing a process of interpreting and converting into an electrical signal.

Claims (6)

음성 인식 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와 실내기가 무선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는 단계;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설치된 실내기 제어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단계;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구비된 음성 입력부를 통하여 음성 명령이 입력되는 단계;
상기 입력된 음성 명령이 상기 실내기로 전송되는 단계; 및
상기 전송된 음성 명령에 따라 상기 실내기의 운전이 개시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의 제어 방법.
Connecting the portable terminal having a voice recognition function and the indoor unit to enable wireless communication;
Executing the indoor unit control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portable terminal;
Inputting a voice command through a voice input unit provided in the portable terminal;
Transmitting the input voice command to the indoor unit; And
And starting operation of the indoor unit according to the transmitted voice comman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와 상기 실내기 간의 무선 통신은, 와이파이 통신, 블루투스 통신 및 지그비 통신 중 어느 하나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의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indoor unit is performed by any one of Wi-Fi communication, Bluetooth communication and Zigbee communica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와 상기 실내기 간의 무선 통신은, 와이파이 다이렉트, 애드-혹 및 블루투스 페어링 중 어느 하나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의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indoor unit is performed by any one of Wi-Fi Direct, ad-hoc and Bluetooth pairi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된 음성 명령이 상기 실내기로 전송되는 단계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 입력된 음성 명령이 상기 휴대용 단말기 내에서 해석 및 운전 조건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로 변환되는 단계와,
상기 변환된 전기 신호가 상기 실내기의 제어부로 전송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의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step of transmitting the input voice command to the indoor unit,
Converting a voice command input to the portable terminal into an electrical signal corresponding to an analysis and driving condition in the portable terminal;
The control method of the air conditioner comprising the step of transmitting the converted electrical signal to the control unit of the indoor uni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된 음성 명령이 상기 실내기로 전송되는 단계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 입력된 음성 명령이 바로 상기 실내기의 제어부로 전성되는 단계와,
상기 전송된 음성 명령이 상기 실내기의 제어부에서 해석 및 운전 조건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로 변환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의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step of transmitting the input voice command to the indoor unit,
A voice command input to the portable terminal is directly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of the indoor unit;
And converting the transmitted voice command into an electric signal corresponding to an analysis and an operating condition in the controller of the indoor uni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명령은,
실내 온도, 실내 습도, 풍량, 풍향, 실내기 전원 온, 실내기 중지, 실내기 전력 소모량 확인을 위한 명령 및 현재 실외 날씨 정보 확인을 위한 명령 중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의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voice command,
A method of controlling an air conditioner including at least one of room temperature, room humidity, air volume, wind direction, indoor unit power on, indoor unit stop, command for checking indoor unit power consumption, and command for checking current outdoor weather information.

KR1020100131146A 2010-12-21 2010-12-21 Control method for airconditioning apparatus KR20120069832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1146A KR20120069832A (en) 2010-12-21 2010-12-21 Control method for aircondition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1146A KR20120069832A (en) 2010-12-21 2010-12-21 Control method for airconditioning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9832A true KR20120069832A (en) 2012-06-29

Family

ID=466878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1146A KR20120069832A (en) 2010-12-21 2010-12-21 Control method for airconditioning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69832A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96546A3 (en) * 2011-01-14 2012-11-29 삼성전자 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user input from a sink device to a source device in a wi-fi direct communication system
CN106958915A (en) * 2017-03-13 2017-07-18 合肥极友软件开发有限公司 A kind of air-conditioning based on speech recognition technology opens and closes smart mobile phone control system
CN110131846A (en) * 2018-02-07 2019-08-16 广州松下空调器有限公司 A kind of intelligent air-conditioner control method and air-conditioning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96546A3 (en) * 2011-01-14 2012-11-29 삼성전자 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user input from a sink device to a source device in a wi-fi direct communication system
US9867032B2 (en) 2011-01-14 2018-01-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user input from a sink device to a source device in a Wi-Fi direct communication system
US10327131B2 (en) 2011-01-14 2019-06-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user input from a sink device to a source device in a Wi-Fi direct communication system
CN106958915A (en) * 2017-03-13 2017-07-18 合肥极友软件开发有限公司 A kind of air-conditioning based on speech recognition technology opens and closes smart mobile phone control system
CN110131846A (en) * 2018-02-07 2019-08-16 广州松下空调器有限公司 A kind of intelligent air-conditioner control method and air-conditioning
CN110131846B (en) * 2018-02-07 2021-11-16 广州松下空调器有限公司 Intelligent air conditioner control method and air condition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70726A (en) Control method for air conditioning apparatus
KR10214673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home device remotely in a home network system
US9143344B2 (en) Network system including an air conditioning apparatus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an air conditioning apparatus
KR101737123B1 (en) Method of controlling network apparatus
CN109477656B (en) Multi-connected air conditioner
KR20120079245A (en) Control method for air conditioning apparatus
TW201419797A (en) Gateway, smart home system and smart control method of home appliance thereof
TW201417539A (en) Gateway, smart home system and smart control method of home appliance thereof
JP6218839B2 (en) Electric equipment, air conditioner, external controller, portable terminal and air conditioning system
KR20120079246A (en) Control method for air conditioning apparatus
CN104122999A (en) Intelligent device interaction method and system
KR20140046152A (en) Air conditioning apparatus and air conditioning system
KR101816307B1 (en) Control method for air conditioning apparatus
JP6024630B2 (en) Centralized management device, human body position detection system, and device control system
KR20150122969A (en) A remote controller for controlling an air conditioner
KR20120069832A (en) Control method for airconditioning apparatus
KR20120084846A (en) Air conditioning network system and control method of air conditioning apparatus
KR20120079539A (en) Control method for air conditioning apparatus
KR20170057487A (en) Tate recognition method of control apparatus using mobile remocon system
WO2023051192A1 (en) Data management method and device
CN108320491B (en) Full-directional infrared remote control equipment and full-directional infrared remote control method
KR20120080873A (en) Air conditioning network system and control method of air conditioning apparatus
KR20120080872A (en) Control method for air conditioning apparatus
JP2017207254A (en) Air Conditioning System
KR20120080080A (en) Control method for air condition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