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63793A - 가공성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강 - Google Patents

가공성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63793A
KR20120063793A KR1020100124927A KR20100124927A KR20120063793A KR 20120063793 A KR20120063793 A KR 20120063793A KR 1020100124927 A KR1020100124927 A KR 1020100124927A KR 20100124927 A KR20100124927 A KR 20100124927A KR 20120063793 A KR20120063793 A KR 201200637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ss
equation
ferritic stainless
elongation
stainless st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49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석
서보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001249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63793A/ko
Publication of KR201200637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37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1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ti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alumi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copper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5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titanium or zirco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5Ferri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t Treatment Of Sheet Stee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강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은 중량%로, 탄소(C): 0.02 이상 0.05 이하, 질소(N): 0.01 이상 0.03 이하, 실리콘(Si): 0.01 이상 0.5 이하, 망간(Mn): 0.01 이상 0.70 이하, 인(P): 0.001 이상 0.035 이하, 황(S): 0.001 이상 0.005 이하, 크롬(Cr): 12.0 이상 15.0 이하, 니켈(Ni): 0.001 이상 0.50 이하, 구리(Cu): 0.01 이상 0.50 이하, 티타늄(Ti): 0.01 이상 0.10 이하, 알루미늄(Al): 0.01 이상 0.15 이하, 주석(Sn): 0.001 이상 0.30 이하 및 나머지 철(Fe) 및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지고, 오스테나이트 분율 γ(%)은 하기 식 1에 의하여 정의되고, 크롬(Cr)과 주석(Sn)은 하기 식 2를 만족한다.
식 1: γ(%)= 420 * C + 470 * N + 23 * Ni + 9 * Cu + 10 * Mn + 180 - 11.5 * Cr - 11.5 * Si - 12.0 * Mo -52.0 * Al
식 2: 12.5 ≤ (Cr + 5 * Sn)(wt%) ≤ 15.5

Description

가공성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강{Ferrite stainless-steel with good workability}
본 발명은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표면성상 및 내식성이 우수하여 향상된 가공성을 갖는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강에 관한 것이다.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강은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강에 비해 가격이 저렴하고 열팽창률이 낮으며 표면광택, 성형성 및 내산화성이 양호하여 내열기구, 싱크대 상판, 외장재, 가전제품, 전자부품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강의 냉연 박판의 경우 열간압연공정, 열간압연된 코일의 표면스케일을 제거하고 재료내부 응력을 제거하는 소둔산세공정, 냉간압연 및 광휘소둔공정을 통해 제조된다.
또한,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강을 이용한 박판제품의 제조시 재료가 받는 소성변형 구간에 따라 리징(ridging) 및 스트레쳐 스트레인(stretcher strain) 등의 가공에 기인한 표면결함이 발생할 수 있으며, 연신율 열위에 따른 가공성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Cr 16Wt% 이하 포함된 페라이트 스테인리스강의 내식성 열위에 따른 부식의 문제가 해당 제품 군의 주요 이슈라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탄소(C), 질소(N), 주석(Sn), 크롬(Cr), 알루미늄(Al), 티타늄(Ti) 등의 함량 및 오스테나이트 분율(γ(%))를 조절하여 내로핑성, 내리징성 및 내식성이 우수하면서도 연신율 등 가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은 중량%로, 탄소(C): 0.02 이상 0.05 이하, 질소(N): 0.01 이상 0.03 이하, 실리콘(Si): 0.01 이상 0.5 이하, 망간(Mn): 0.01 이상 0.70 이하, 인(P): 0.001 이상 0.035 이하, 황(S): 0.001 이상 0.005 이하, 크롬(Cr): 12.0 이상 15.0 이하, 니켈(Ni): 0.001 이상 0.50 이하, 구리(Cu): 0.01 이상 0.50 이하, 티타늄(Ti): 0.01 이상 0.10 이하, 알루미늄(Al): 0.01 이상 0.15 이하, 주석(Sn): 0.001 이상 0.30 이하 및 나머지 철(Fe) 및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지고, 오스테나이트 분율 γ(%)은 하기 식 1에 의하여 정의되고, 크롬(Cr)과 주석(Sn)은 하기 식 2를 만족한다.
식 1: γ(%)= 420 * C + 470 * N + 23 * Ni + 9 * Cu + 10 * Mn + 180 - 11.5 * Cr - 11.5 * Si - 12.0 * Mo -52.0 * Al
식 2: 12.5 ≤ (Cr + 5 * Sn)(wt%) ≤ 15.5
상기 탄소(C)와 질소(N)와의 관계가 하기의 식 3을 만족할 수 있다.
식 3: 0.025≤(C+N)(wt%)≤0.050
또한 크롬(Cr), 주석(Sn), 탄소(C) 및 질소(N)가 하기의 식 4을 만족할 수 있다.
식 4: 0.35≤(Cr+5*Sn)(C+N)(wt%) ≤0.80
또한 상기 오스테나이트 분율 γ(%)은 하기 식 5를 만족할 수 있다.
식 5: 30≤γ≤40
또한 상기 알루미늄(Al)과 상기 질소(N)의 비(Al/N)와 오스테나이트 분율(γ)의 관계가 하기의 식 6을 만족할 수 있다.
식 6: (Al/N)* γ ≤250
또한 냉연소둔후 상온에서의 압연직각방향의 연신율(%)과 냉연소둔재의 공식전위(mV vs AgCl)는 하기의 식 7을 만족할 수 있다.
식 7: 3300 ≤ (연신율(%)) * (공식전위(mV vs AgCl)).
또한, 냉연소둔후 상온에서의 압연직각방향의 연신율(%)과 크롬(Cr) 및 주석(Sn)은 하기의 식 8을 만족할 수 있다.
식 8: 1.9≤(연신율(%))*(Cr+5*Sn(wt%))≤2.7.
본 발명에 따르면 크롬(Cr) 및 주석(Sn)의 성분을 조절함으로써 내식성의 저감없이 연신률 등의 성형성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탄소(C) 및 질소(N)의 성분을 조절함으로써 연신률의 저감없이 리징특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알루미늄(Al)량을 조절하여 스킨 패스공정을 추가함이 없이 스트레쳐 스트레인을 방지할 수 있고 연신된 개재물 수와 길이를 제어함으로써 슬리브(sliver) 결함발생을 예방할 수 있다.
즉, 탄소(C), 질소(N), 크롬(Cr), 주석(Sn), 알루미늄(Al), 티타늄(Ti) 및 오스테나이트 분율(γ(%))을 최적으로 조절함으로써 내식성의 저감없이 성형성 및 내리징성을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강의 탄소(C), 질소(N), 주석(Sn), 크롬(Cr), 알루미늄(Al), 티타늄(Ti) 등의 함량 및 오스테나이트 분율(γ(%))를 조절하여 진공용해한 A~Q강의 성분계를 나타내는 표이다.
도 2는 냉연소둔재에 대해 최종소둔후 스킨패스 압연 1회후의 내스트레처 스트레인성, 내리징성, 상온연신율, 공식전위 측정 결과을 통하여, A~Q강의 합금성분에 따른 기계적 물성 및 표면성상에 미치는 결함요소(리징, 스트레처 스트레인), 내식성에 관한 평가결과를 나타내는 표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강의 냉연제품의 연신율과 소강성분과의 관계를 도식적으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강의 소강성분의 분포범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강의 냉연제품의 공식전위(mV vs AgCl), 리징등급, 압연방향에 직각인 방향의 상온 연신율(%)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은 중량%로, 탄소(C): 0.02 이상 0.05 이하, 질소(N): 0.01 이상 0.03 이하, 실리콘(Si): 0.01 이상 0.5 이하, 망간(Mn): 0.01 이상 0.70 이하, 인(P): 0.001 이상 0.035 이하, 황(S): 0.001 이상 0.005 이하, 크롬(Cr): 12.0 이상 15.0 이하, 니켈(Ni): 0.001 이상 0.50 이하, 구리(Cu): 0.01 이상 0.50 이하, 티타늄(Ti): 0.01 이상 0.10 이하, 알루미늄(Al): 0.01 이상 0.15 이하, 주석(Sn): 0.001 이상 0.30 이하 및 나머지 철(Fe) 및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진다. 이하 각 조성별로 상세히 설명한다.
탄소(C)의 양은 0.02wt% 내지 0.04wt% 이하이다. 강중 탄소(C)는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강에 불가피하게 포함되는 불순물이지만, 강의 오스테나이트 안정화원소이기 때문에 오스테나이트 분율(γ(%))을 최대화하는 작용을 하여 로핑 및 리징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탄소가 과도하게 포함되는 경우 연신율을 저감시켜 제품의 가공성을 현저히 떨어뜨리기 때문에 0.1wt% 이하로 설정하되 바람직하게는 전술한 범위로 제한한다.
질소(N)의 양은 0.01wt% 내지 0.03wt% 이하이다. 강중 질소(N)는 탄소(C)와 동등하게 불순물원소로 존재하며 오스테나이트 분율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하여 열간 압연시에 오스테나이트상을 석출시켜 재결정을 촉진시키는 역할을 하나 다량의 첨가는 가공성을 저해시킬 뿐만 아니라 냉연제품의 스트레처 스트레인의 원인이 되기 때문에 그 함유량을 전술한 범위로 제한한다.
실리콘(Si)은 0.01wt% 내지 0.5wt% 이하를 포함한다. 실리콘은 강중에 포함되는 불가피한 불순물이지만 제강시 탈산제 역할로 첨가되는 원소로 페라이트 안정화원소로서 작용한다. 다만 실리콘이 강내에 다량 함유되면 재질의 경화를 일으켜 연성을 저하시키기 때문에 그 함유량을 전술한 범위로 제한한다.
망간(Mn)의 양은 0.01wt% 내지 0.70wt% 이하이다. 망간(Mn)은 강중에 불가피하게 포함되는 불순물이지만 오스테나이트 안정화 원소로서 로핑 및 리징을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 하지만 다량으로 포함될 경우 용접시 망간계 퓸이 발생하며 MnS상 석출의 원인이 되어 연신율을 저하시킨다. 즉, 망간을 0.01wt% 이하를 포함하는 경우 로핑 및 리징 억제 작용이 떨어지게 되며, 0.70wt% 이상을 포함하는 경우 연신율을 저하시키게 된다.
인(P)의 양은 0.001wt% 내지 0.035wt% 이하이다. 인(P)은 강중에 포함되는 불가피한 불순물로 산세시 입계부식을 일으키거나 열간가공성을 저해시키기 때문에 그 함유량을 전술한 범위로 조절한다.
황(S)의 양은 0.001wt% 내지 0.005wt% 이하이다. 황(S)은 강중에 포함되는 불가피한 불순물로 결정입계에 편석되어 열간가공성을 저해시키기 때문에 그 함유량을 전술한 범위로 제한한다.
크롬(Cr)의 양은 13.0wt% 내지 15.0wt% 이하이다. 크롬(Cr)은 강의 내식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첨가하는 합금원소로 크롬의 임계함량은 12wt% 이다. 다만, 탄소 및 질소가 함유된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강은 입계부식이 일어날 수 있으며 입계부식 가능성 및 제조단가 증가를 고려하여 그 함유량을 전술한 범위로 제한한다.
니켈(Ni)의 양은 0.001wt% 내지 0.50wt% 이하이다. 니켈(S)은 구리(Cu), 망간(Mn)과 함께 오스테나이트 안정화 원소로 오스테나이트 분율을 증가시켜 로핑 및 리징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으며 미량 첨가로 내식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나 다량 첨가시 가공성 열화 및 제조단가 증가로 그 함유량을 전술한 범위로 제한한다.
구리(Cu)의 양은 0.01wt% 내지 0.50wt% 이하이다. 구리(Cu)는 니켈(Ni), 망간(Mn)과 함께 오스테나이트 안정화 원소로 오스테나이트 분율을 증가시켜 로핑 및 리징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으며 미량 첨가로 내식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나 다량 첨가시 가공성 열화 및 제조단가 증가의 원인이 된다. 즉, 구리의 양이 0.01wt% 이하로 포함되는 경우 로핑 및 리징이 발현되고, 내식성이 떨어지는 원인이 되며, 0.50wt% 이상을 포함하는 경우 가공성이 떨어지게 된다.
티타늄(Ti)의 양은 0.01wt% 내지 0.10wt% 이하이다. 티타늄(Ti)은 주편조직의 등축정입도를 미세화시키는 역할을 하는 원소로 탄소, 질소등을 고정시켜 가공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나 다량 첨가시 제조단가 증가 및 냉연스트립의 슬리브(sliver) 결함의 원인이 되기 때문에 그 함유량을 전술한 범위로 제한한다.
알루미늄(Al)의 양은 0.01wt% 내지 0.15wt% 이하이다. 알루미늄(Al)은 제강시 탈산제로 첨가되는 합금성분이지만, 다량 첨가시 비금속개재물로 존재하여 냉연스트립의 슬리브(sliver) 결함의 원인이 되며 용접성 저하를 일으키기 때문에 그 함유량을 전술한 범위로 제한한다. 전술한 원소들을 제외한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강의 나머지는 철(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진다.
주석(Sn)의 양은 0.001wt% 내지 0.30wt% 이하이다. 주석(Sn)은 부동태피막의 성질을 개질하여 부동태피막의 안정성을 개선시킬 뿐만 아니라 부동태 피막 직하의 Sn농화층을 형성시켜 줌으로써 내식성을 향상시킨다. 단, 다량 함유하게 되면 성형성을 열위시키는 문제를 야기시킨다.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강의 오스테나이트 분율(γ(%))은 아래 식 1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식 1: γ(%) = 420 * C + 470 * N + 23 * Ni + 9 * Cu + 10 * Mn + 180 - 11.5 * Cr - 11.5 * Si - 12.0 * Mo - 52.0 * Al
오스테나이트 분율은 열연과정에서 델타(δ) 페라이트로부터 오스테나이트로 변태될 수 있는 분율을 의미한다.
한편, 본 발명의 페라이트계 스레인레스강은 다음의 조건들을 만족한다.
먼저, 크롬(Cr)과 주석(Sn)의 관계에 대하여 설명한다. 크롬(Cr)과 주석(Sn)은 다음의 식 2를 만족하도록 포함된다.
식 2: 12.5≤(Cr+5*Sn)(wt%)≤15.5
크롬(Cr)은 그 함량이 증가할수록 내식성이 증가한다. 즉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경우 충분한 내식성을 위하여 크롬을 16wt% 이상 포함하게 된다. 그러나 크롬 함량이 증가할수록 연신율이 저하되기 때문에 연신율을 신장시키기 위하여 15.5wt%이하로 조절하였다.
그러나 크롬 함량을 저감시키는 경우 내식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이유로 주석을 첨가하여 내식성을 시켰다. (Cr+5*Sn)(wt%)가 12.5 이하인 범위에서는 내식성의 급격한 저하를 가져오며, 15.5 이상인 범위에서는 연신률의 저감으로 성형성 열위를 가져온다.
탄소(C)와 질소(N)의 관계에 대하여 설명한다. 탄소(C)와 질소(N)는 아래의식 3을 만족하여야 하며, 식 2 및 식 3에 의한 조건 하에서 식4를 만족한다.
식 3: 0.025 ≤ (C+N)(wt%) ≤ 0.050
식 4: 30 ≤ γ ≤ 40
통상 STS430강에서 크롬(Cr) 함량을 15.5wt% 이하로 합금설계 하였을 때 오스테나이트 분율(γ)이 45%이상으로 높아져 성형성 열위를 가져오기 때문에 γ 밸런스(balance)를 통상 STS430 강과 동등한 수준으로 형성할 수 있도록 (C+N)함량을 식 3과 같이 제한하였다. 즉, (C + N)이 0.025(wt%) 이하인 범위에서는 내리징성 열위를 가져오며 0.050이상 범위에서는 성형성 열위를 가져온다. 결과적으로 식 3에 의하여 크롬과 질소를 제어함으로써 성형성을 향상 시키고, 동시에 통상의 STS430강 수준의 내리징성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크롬, 주석, 탄소 및 질소의 관계는 아래의 식 5를 만족하여야 한다. 즉, (Cr + 5 * Sn)과 (C+N)은,
식 5: 0.35≤(Cr+5*Sn)(C+N)≤0.80
의 조건을 만족하여야 한다. (Cr+5*Sn)(C+N)의 값이 0.35(wt%) 이하인 구간에서는 내식성과 내리징성이 열위해 지며, 0.8(wt%) 이상인 구간에서는 성형성이 열위되는 구간이다. 즉, 식 5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내식성, 연신율을 동시에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알루미늄(Al)과 질소(N)의 비(Al/N)와 오스테나이트 분율(γ)의 관계는 아래의 식 6을 만족하여야 한다.
식 6: (Al/N) * γ ≤ 250
알루미늄과 질소의 비(Al/N)를 3이상으로 유지하면서 γ 밸런스(balance)를 통상 STS430 강과 동등 수준으로 가져갈 수 있도록 설계한 합금계로 냉연 소둔후 1패스 조질압연(Skin Pass Mill)후에도 표면결함인 스트레쳐스트레인(stretcher strain)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 합금설계 컨셉이다.
한편, 냉연소둔후 상온에서의 압연직각방향의 연신율(%)과 냉연소둔재의 공식전위(mV vs AgCl)의 관계식이 아래의 식 7을 만족하도록 한다.
식 7: 3300 ≤ (연신율(%)) * (공식전위(mV vs AgCl)).
(Cr+5*Sn)과 (C+N)함량을 상술한 식 2와 식 3의 범위 내로 제한함으로써 냉연소둔후의 연신율과 공식전위를 곱한 값을 3300이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냉연소둔후 상온에서의 압연직각방향의 연신율(%)과 (Cr+5*Sn)(wt%)의 관계식이 아래의 식 8을 만족하도록 한다.
식 8: 1.9 ≤ (연신율(%)) / (Cr + 5 * Sn(wt%)) ≤ 2.7.
(Cr+5*Sn)(wt%)에 대한 연신율(%)의 비가 1.9 이하인 영역에서는 가공성의 열위를 가져오게 되며, (Cr+5*Sn)(wt%)에 대한 연신율(%)의 비가 2.7 이상인 영역에서는 내식성 열위를 가져오게 된다. 즉, 식 8의 범위 내로 각 성분을 제어하는 경우 내식성, 성형성, 내리징성을 동시에 개선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비교예 및 실시예를 포함하는 각 실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비교예와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강의 탄소(C), 질소(N), 주석(Sn), 크롬(Cr), 알루미늄(Al), 티타늄(Ti) 등의 함량 및 오스테나이트 분율(γ(%))를 조절하여 진공용해한 A~Q강의 성분계를 나타내는 표이고, 도 2는 냉연소둔재에 대해 최종소둔후 스킨패스 압연 1회후의 내스트레처 스트레인성, 내리징성, 상온연신율, 공식전위 측정 결과을 통하여, A~Q강의 합금성분에 따른 기계적 물성 및 표면성상에 미치는 결함요소(리징, 스트레처 스트레인), 내식성에 관한 평가결과를 나타내는 표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강의 냉연제품의 연신율과 소강성분과의 관계를 도식적으로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강의 소강성분의 분포범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강의 냉연제품의 공식전위(mV vs AgCl), 리징등급, 압연방향에 직각인 방향의 상온 연신율(%)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각 성분의 함량을 조절한 A 내지 Q 실험강을 1,000~1,200℃의 온도범위에서 재가열한 후 조압연기와 연속마무리 압연기에 의해 800℃ 이상의 완료온도로 압연하여 열연판을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열연 상소둔(batch annealing), 냉간압연 및 냉연소둔을 차례로 실시하였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리징 등급(Rt 기준)은 10㎛ 내지12㎛를 [1등급], 12㎛ 내지 14㎛를 [2등급], 14㎛ 내지 16㎛를 [3등급], 16㎛ 내지 18㎛를 [4등급], 18㎛~20㎛를 [5등급]으로 분류하였다.
도 1 및 도 2에서 M 내지 Q 실험강이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에 따른 페라이트 스테인리스강이며, 나머지 A 내지 L 강은 비교예의 실험강이다. 도 1 및 도 2의 실험결과를 통하여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는 내리징성을 가지며 연신율과 내식성이 우수한 냉연제품을 제공할 수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M 내지 Q 강종은 크롬의 함량이 14 내지 14.5 wt% 범위에서 형성되고 있다. 크롬의 함량이 낮아짐에 따라 연신율 등 가공성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즉 크롬의 함량을 낮춤에 따라서 도 3의 본 발명 이외의 영역으로부터 그래프 상부쪽으로 이동하여 연신율이 향상된다. 도 2의 연신율을 살펴보면, M~Q강종은 냉연소둔재(cold annealed strip)의 연신율이 29%이상임을 알 수 있다.
그러나 크롬의 함량 감소에 따라 내식성의 열위가 염려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술한 식 2의 조건을 만족하도록 주석의 함량을 증가시켰다. 즉, M 내지 Q 강종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Cr + 5 * Sn)의 값이 14.5 내지 15.5의 범위에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M 내지 Q 강종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 3 내지 식 5를 만족하는 강종이다. 그 결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M 내지 Q 강종은 내리징성이 1 내지 2 등급 이내이고, 공식전위(mV vs AgCl)가 120 이상범위를 가지며, 29% 이상의 연신율을 갖는 것을 알 수 있다.
이하에서는 각 비교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비교예 1인 A, D, K강은 냉연소둔재의 JIS 13B 인장시편을 이용하여 15% 연신후 표면조도를 측정한 결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리징 등급이 4등급으로 양호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비교예 2인 A, B, C, F, G, H, I, J, L강은 (C+N) 함량이 높은 실험강이다. 비교예 2의 실험강의 경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C + N)의 함량이 높아 연신율이 열위하게 된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교예 2의 실험강은 연신률이 최대 27에 머물며 29% 이상의 연신률을 갖는 실시예에 비하여 낮은 연신률을 갖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비교예 3인 C, D, E강은 통상 STS430강에서 크롬(Cr)함량이 낮게 형성된 강을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연실율 등 가공성을 위하여 크롬의 함량을 낮추면서 주석을 첨가하여 내식성을 유지하면서 연신율을 증가시킨다. 그러나 비교예 3의 경우 감소된 크롬 함량에도 불구하고 주석(Sn)이 첨가되지 않아 내식성에 있어서의 열위를 나타내고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교예 3의 C, D 및 E 강은 통상 STS430강 공식전위 수준인 100(mV vs AgCl)이하의 공식전위를 나타내고 있다.
결론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은 통상의 STS 430강에 비하여 크롬의 양을 줄여 연신율을 증가시키면서도, 주석을 더 포함하여 내식성을 STS 430강과 동등 이상의 수준으로 유지시키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상술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구체화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주에서 다양한 페라이트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다.

Claims (7)

  1. wt%로,
    탄소(C): 0.02 이상 0.05 이하,
    질소(N): 0.01 이상 0.03 이하,
    실리콘(Si): 0.01 이상 0.5 이하,
    망간(Mn): 0.01 이상 0.70 이하,
    인(P): 0.001 이상 0.035 이하,
    황(S): 0.001 이상 0.005 이하,
    크롬(Cr): 12.0 이상 15.0 이하,
    니켈(Ni): 0.001 이상 0.50 이하,
    구리(Cu): 0.01 이상 0.50 이하,
    티타늄(Ti): 0.01 이상 0.10 이하,
    알루미늄(Al): 0.01 이상 0.15 이하,
    주석(Sn): 0.001 이상 0.30 이하 및
    나머지 철(Fe) 및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지고,
    오스테나이트 분율 γ(%)은 하식 식 1에 의하여 정의되고, 하기 식 2을 만족하는 가공성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식 1: γ(%)= 420 * C + 470 * N + 23 * Ni + 9 * Cu + 10 * Mn + 180 - 11.5 * Cr - 11.5 * Si - 12.0 * Mo - 52.0 * Al
    식 2: 12.5 ≤ (Cr + 5 * Sn)(wt%) ≤ 15.5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C)와 질소(N)와의 관계가 하기의 식 3을 만족하는 가공성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강.
    식 3: 0.025≤(C+N)(wt%)≤0.050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크롬(Cr), 주석(Sn), 탄소(C) 및 질소(N)가 하기의 식 4을 만족하는 가공성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강.
    식 4: 0.35≤(Cr+5*Sn)(C+N)(wt%) ≤0.80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오스테나이트 분율 γ(%)은 하기 식 5를 만족하는 가공성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식 5: 30≤γ≤40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알루미늄(Al)과 상기 질소(N)의 비(Al/N)와 오스테나이트 분율(γ)의 관계가 하기의 식 6을 만족하는 가공성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강.
    식 6: (Al/N)* γ ≤250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냉연소둔후 상온에서의 압연직각방향의 연신율(%)과 냉연소둔재의 공식전위(mV vs AgCl)는 하기의 식 7을 만족하는 가공성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강.
    식 7: 3300 ≤ (연신율(%)) * (공식전위(mV vs AgCl)).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냉연소둔후 상온에서의 압연직각방향의 연신율(%)과 크롬(Cr) 및 주석(Sn)은 하기의 식 8을 만족하는 가공성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강.
    식 8: 1.9≤(연신율(%))*(Cr+5*Sn(wt%))≤2.7.
KR1020100124927A 2010-12-08 2010-12-08 가공성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강 KR2012006379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4927A KR20120063793A (ko) 2010-12-08 2010-12-08 가공성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4927A KR20120063793A (ko) 2010-12-08 2010-12-08 가공성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3793A true KR20120063793A (ko) 2012-06-18

Family

ID=466841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4927A KR20120063793A (ko) 2010-12-08 2010-12-08 가공성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63793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5641B1 (ko) * 2012-12-24 2015-01-22 주식회사 포스코 내응축수 부식특성 및 성형성이 우수한 자동차 배기계용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방법
WO2018110779A1 (ko) * 2016-12-13 2018-06-21 주식회사 포스코 강도 및 연성이 우수한 저합금 강판
WO2018110858A1 (ko) * 2016-12-13 2018-06-21 주식회사 포스코 내열성 및 내응축수 부식성이 개선된 자동차 배기계용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이의 제조 방법
US10138796B2 (en) 2012-12-24 2018-11-27 Posco Ferritic stainless steel for automotive exhaust system, which have excellent corrosion resistance against condensate, moldability, and high-temperature oxidation resistan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5641B1 (ko) * 2012-12-24 2015-01-22 주식회사 포스코 내응축수 부식특성 및 성형성이 우수한 자동차 배기계용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방법
US10138796B2 (en) 2012-12-24 2018-11-27 Posco Ferritic stainless steel for automotive exhaust system, which have excellent corrosion resistance against condensate, moldability, and high-temperature oxidation resistan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WO2018110779A1 (ko) * 2016-12-13 2018-06-21 주식회사 포스코 강도 및 연성이 우수한 저합금 강판
WO2018110858A1 (ko) * 2016-12-13 2018-06-21 주식회사 포스코 내열성 및 내응축수 부식성이 개선된 자동차 배기계용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이의 제조 방법
CN110062814A (zh) * 2016-12-13 2019-07-26 株式会社Posco 具有优异的强度和延展性的低合金钢板
US11414732B2 (en) 2016-12-13 2022-08-16 Posco Ferritic stainless steel for automotive exhaust system with improved heat resistance and condensate corrosion resistan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9008B1 (ko) 내열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판
JP6223351B2 (ja) 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それを用いた排気系部材及び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の製造方法
EP2412837B1 (en) Ferritic stainless steel plate having excellent heat resistance and excellent workability
JP6226955B2 (ja) 時効熱処理後の強度増加が小さい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EP2557189B1 (en) Ferrite stainless steel sheet having high thermal resistance and processabilit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WO2011122697A1 (ja) 複相組織ステンレス鋼板及び鋼帯並びにそれらの製造方法
KR101614236B1 (ko)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 강판
KR20150084074A (ko) 내 리징성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JP2016191150A (ja) 靭性に優れたステンレス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11433382B (zh) 具有优异的抗高温氧化性的铁素体不锈钢及其制造方法
JP2023052465A (ja) 常温耐時効性及び焼付硬化性に優れた亜鉛系めっき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5850090B2 (ja) 成形加工性に優れた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板
KR101423823B1 (ko) 내식성 및 내리징성이 향상된 저크롬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RU2601037C2 (ru) Высококремнистые двухфазные стали с улучшенной пластичностью
KR20120063793A (ko) 가공성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강
JP5677819B2 (ja) 耐酸化性に優れた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板
JP5921352B2 (ja) 耐リジング性に優れた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4740021B2 (ja) 形状凍結性に優れるCr含有薄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40083166A (ko)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방법
KR101621052B1 (ko)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방법
RU2463374C2 (ru) Сталь и изделие, выполненное из нее
KR20160078554A (ko) 저크롬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