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63537A - 캐리어 집성 시스템의 측정 보고 방법과 설비 - Google Patents

캐리어 집성 시스템의 측정 보고 방법과 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63537A
KR20120063537A KR1020127010745A KR20127010745A KR20120063537A KR 20120063537 A KR20120063537 A KR 20120063537A KR 1020127010745 A KR1020127010745 A KR 1020127010745A KR 20127010745 A KR20127010745 A KR 20127010745A KR 20120063537 A KR20120063537 A KR 201200635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asurement
frequency point
carrier
reporting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107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53991B1 (ko
Inventor
이 쟈오
징 리앙
Original Assignee
차이나 아카데미 오브 텔레커뮤니케이션즈 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이나 아카데미 오브 텔레커뮤니케이션즈 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차이나 아카데미 오브 텔레커뮤니케이션즈 테크놀로지
Publication of KR201200635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35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39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39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10Scheduling measurement reports ; Arrangements for measurement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04L5/001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the frequencies being arranged in component carr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캐리어 집성 시스템의 측정 보고 방법과 설비를 공개한다. 상기 방법은, 사용자 설비 UE가 네트워크 측으로부터의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UE가 상기 메시지에 따라 컴포넌트 캐리어 및/또는 측정 대상이 측정 보고를 트리거하는 조건을 만족시키는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판단 결과가 예스일 경우, 상기 UE는 측정 보고 메시지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컴포넌트 캐리어의 측정 정보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측정 대상의 측정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 측에 보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UE는 다수 캐리어 및/또는 주파수 포인트의 측정 정보를 함께 보고할 수 있어 보고 과정을 간소화하고, 시스템 시간 지연을 줄여 네트워크 측이 LTE-A UE가 사용한 캐리어 관리를 진행하는 데 편리하다.

Description

캐리어 집성 시스템의 측정 보고 방법과 설비{MEASUREMENT REPORTING METHOD AND DEVICE IN CARRIER AGGREGATION SYSTEM}
본 발명은 통신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캐리어 집성 시스템의 측정 보고 방법과 설비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은 2009년 12월 8일에 중국 전리국에 제출한, 출원번호가 200910242279.3이고 발명의 명칭이 “캐리어 집성 시스템의 보고 방법과 설비”인 중국전리출원의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 전부는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LTE(Long Term Evolution)는 3G(3rd Generation)에서 진화된 것이고, LTE는 3G의 무선 액세스 기술을 개선 및 강화하고,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과 MIMO(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를 무선 네트워크 진화기준으로 하였다. LTE 시스템 및 종래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나의 셀에 단 하나의 캐리어가 존재하고,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LTE 시스템에서의 최대 대역폭은 20MHz이고, 20MHz의 주파수 스펙트럼 대역폭에서 LTE는 하향링크 100Mbit/s와 상향링크 50Mbit/s의 피크 속도를 제공하여 셀 가장자리에 있는 사용자의 성능을 개선할 수 있으며, 셀의 용량을 향상시키고, 시스템 지연을 줄인다. 이 밖에, LTE 시스템에서, UE(User Equipment)는 하나의 캐리어에서 동작할 수 있지만, 하나의 LTE 셀에는 단 하나의 캐리어만 있고, 각각의 LTE 셀은 네트워크에서의 유일한 번호로 표시된다. UE는 동일 시각에 하나의 셀에서만 데이터 송수신 할 수 있고, 상기 셀은 UE의 서비스 셀이라고도 불린다.
이동 단말 사용자 수의 급속한 증가에 따라, 단말 사용자의 서비스 용량은 지수적 성장을 나타내고 있다.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단말 사용자의 서비스 수요를 만족시키기 위해 더 큰 대역폭을 제공함으로써 단말 사용자의 서비스와 응용에 필요한 피크 속도를 만족시켜야 한다. LTE-A(LTE-AdvancedE) 시스템에서, 시스템의 피크 속도는 LTE보다 크게 향상된 하향링크 1Gbps, 상향링크 500Mbps까지의 속도가 요구되고 있다. 이때, 최대 대역폭이 20MHz인 캐리어 하나만 사용하면, 피크속도의 요구에 도달하지 못하는 것은 분명하다. 따라서, LTE-A 시스템은 단말 사용자가 사용 가능한 대역폭을 확장시켜야 하므로, CA(Carrier Aggregation) 기술을 도입하였다. 즉 동일한 지리 위치 상에서, UE가 캐리어 집성 기술을 통해 동시에 데이터 송수신을 진행하게 하는 다수의 셀이 동시에 존재하고, 각각의 셀에는 적어도 하나의(또는 한 쌍) 독립적으로 발송 가능한 캐리어가 포함된다.
구체적으로 집성 가능한 다수의 셀은 동일한 PCI(Physical Layer Cell ID)를 사용할 수 있으나, 단지 각 셀 간의 캐리어 주파수가 다르고, CGI(Cell Global ID)가 다를 뿐이다. 그 중, CGI는 ECGI, 즉 E-UTRAN(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Cell Global ID라고 부를 수도 있다. UE는 다수의 집성 가능한 셀에서의 다수(쌍)의 캐리어 상에서 동시에 데이터 송수신을 진행할 수 있음으로써 데이터 전송 속도를 향상시킨다. LTE 시스템의 UE가 각각의 집성 캐리어에서 동작하도록 보장하기 위하여, 각 캐리어는 최대로 20MHz를 초과하지 않는다. LTE-A 시스템에서의 캐리어 집성 기술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고, LTE-A의 기지국 내에서 4개의 집성 가능한 캐리어가 존재하고, 사용자의 데이터 전송 속도가 향상되도록, 기지국은 동시에 4개 캐리어 상에서 동일한 UE와 데이터 전송을 진행할 수 있다.
LTE-A 시스템에서, 집성 가능한 캐리어에 있어서, UE를 위해 서비스하기 전 또는 UE를 위해 서비스하고 있을 때, 집성 가능한 캐리어의 채널 품질에 대해 평가해야 하며, 기지국에서 캐리어 관리(Carrier management)를 진행하여 상기 집성 가능한 캐리어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발송할지 여부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만약 어느 한 캐리어의 채널 품질이 비교적 좋고 캐리어 집성의 조건을 만족시키면, UE가 대량의 데이터 서비스 전송이 필요할 경우, 기지국은 상기 캐리어 상에서 캐리어 집성 방식을 통해 UE를 위해 데이터 전송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만약 UE가 캐리어 집성 전송을 진행하고 있고, UE를 위해 서비스하고 있는 어느 한 집성 캐리어의 채널 품질이 떨어져 설정한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으면, 기지국은 상기 캐리어를 활성화 또는 삭제하여, 상기 캐리어를 이용해 UE에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을 수 있으며, 동시에 설정 조건을 만족시키는 채널 품질이 비교적 좋은 캐리어를 활성화시켜 UE에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현재의 LTE-A 시스템에서, 각각의 셀에는 단 하나(또는 한 쌍)의 단독으로 동작할 수 있는 캐리어가 존재하며, 유일한 CGI로 표시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셀 1의 캐리어 주파수 포인트는 f1이고, 셀 2의 캐리어 주파수 포인트는 f2이고, 상술한 두 개 캐리어(각각 셀 1과 셀 2에 대응한다)를 집성하여 어느 한 단말에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때, 셀 1, 셀 2와 셀 3의 채널 품질에 대해 평가해야 하며, 단말에 더욱 좋은 CA 전송을 제공하도록 기지국이 캐리어 관리를 진행하여 집성 가능한 캐리어를 이용하여 캐리어 집성을 할지 여부를 결정한다.
현재 동작 캐리어(셀 1과 셀 2)와 집성될 수 없는 캐리어(또는 주파수 포인트로 칭할 수 있다)(예를 들어 셀 4와 셀 5)에 대해서는, 기지국이 이동성 관리(예를 들면, 전환 등 관리조작)를 진행하도록 이동성 측정을 더 진행한다. 구체적으로 만약 기지국 1 의 셀 1과 셀 2의 채널 품질이 비교적 나빠 단말에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으나, 기지국 2 의 셀 4와 셀 5의 채널 품질이 비교적 좋아 계속 단말에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경우, 네트워크는 단말을 기지국 1의 셀 1과 셀 2에서 기지국 2의 셀 4와 세 5로 전환하는 것을 선택한다. 즉 (다중 캐리어)전환을 통해, CA 전송을 계속할 수 있으며, 시종일관 단말에 비교적 높은 속도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종래 기술에서, 채널 품질에 대한 평가 과정은 LTE 시스템을 기반으로 하고, 기지국은 RRC(Radio Resource Control) 시그널링을 통해 UE로 측정 설정 정보를 발송하고, UE는 상기 측정 설정 정보의 내용에 따라 측정을 진행하고(즉 채널 품질에 대해 평가하며, 동일 주파수, 상이 주파수, 상이 시스템 등 측정 과정을 포함한다), 측정 결과를 네트워크에 보고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네트워크를 위해 측정 설정할 때 사용하는 RRC 연결 재설정 과정은, 네트워크 측 E-UTRAN이 UE로 RRC 연결 재설정(RRCConnectionReconfiguration) 정보를 발송하는 단계; UE가 E-UTRAN으로 RRC 연결 재설정을 완료(RRCConnectionReconfigurationComplete) 메시지를 발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 중, RRC 연결 재설정 메시지의 조직 구조는 측정 대상(measurement object), 보고 설정(report configuration), 측정 식별자(ID) 및 기타 파라미터 등을 포함한다.
측정 보고에는 3가지 트리거 방식이 있고, 각각 이벤트 트리거 보고, 주기 트리거 보고와 이벤트 트리거 주기 보고이다. 상술한 3가지 트리거 방식은 보고 설정에서의 각종 파라미터 조합에 따라 구분된다. 예를 들면, 보고 설정에서의 트리거 유형이 이벤트 트리거이고, 또한 어느 이벤트의 임계치와 트리거 조건을 만족시키는 지속시간 등 관련 파라미터를 설정하였으나, 측정 간격 또는 보고 횟수 등 파라미터를 설정하지 않은 경우, UE는 1차 이벤트 트리거 방식에 따라 보고한다.
구체적으로 각각의 측정 보고 메시지는 하나의 측정 식별자에 대응하는 내용만을 보고할 수 있다. 즉 UE가 위치한 서비스 셀의 측정량 및 측정 대상이 지시한 주파수 포인트에서 관련 보고 설정을 만족시키는 셀만 보고한다.
종합하면 종래기술에 적어도 아래 결함이 존재한다. 다중 캐리어 시스템에서, UE가 측정 보고를 진행할 때, 만약 UE 집성의 컴포넌트 캐리어에 대해 보고하거나 또는 UE 집성 캐리어에 대응하는 인접 셀의 측정 정보에 대해 보고하기를 희망할 경우, 각 캐리어 또는 인접 셀이 위치한 주파수 포인트는 모두 하나의 측정 보고 메시지를 사용해야 한다. UE가 집성한 다수의 컴포너트 캐리어 또는 다수의 주파수 포인트 상의 인접 셀이 모두 보고해야 할 경우, 다수의 메시지로 나누어 보고해야 한다. 따라서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증가시키고, 또한 네트워크 측이 어느 캐리어가 보고할 때 UE가 집성한 기타 컴포넌트 캐리어 상의 시그널링 정보를 이해할 수 없으므로, 캐리어가 집성된 상황에서 UE 컴포넌트 캐리어의 관리와 UE의 전환 판단(이동성 관리)에 대해 영향을 미치게 된다.
본 발명은 캐리어 집성 시스템의 측정 보고 방법과 설비를 제공함으로써 캐리어 집성 상황에서 측정 보고할 때의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줄이며, 네트워크 측의 LTE-A UE의 캐리어 관리와 이동성 관리를 편리하게 한다.
상술한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 집성 시스템의 측정 보고 방법은,
사용자 설비 UE가 네트워크 측으로부터의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UE가 상기 메시지에 따라 컴포넌트 캐리어 및/또는 측정 대상이 측정 보고를 트리거하는 조건을 만족시키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판단 결과가 예스(yes)일 경우, 상기 UE는 측정 보고 메시지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컴포넌트 캐리어의 측정 정보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측정 대상의 측정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 측에 보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 집성 시스템의 측정 보고 설비는,
네트워크 측으로부터의 메시지를 수신하는 수신 모듈;
상기 수신 모듈이 수신한 메시지에 따라 컴포넌트 캐리어 및/또는 측정 대상이 측정 보고를 트리거하는 조건을 만족시키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 모듈;
상기 판단 모듈의 판단 결과가 예스일 경우, 측정 보고 메시지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컴포넌트 캐리어의 측정 정보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측정 대상의 측정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 측에 보고하는 발송 모듈을 포함한다.
종래 기술과 비교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적어도 아래 장점이 있다.
UE는 다수의 캐리어 및/또는 주파수 포인트의 측정 정보를 함께 보고할 수 있어 보고 과정을 간소화하고, 시스템 시간 지연을 줄여 LTE-A UE가 사용하는 캐리어 관리를 네트워크 측이 편리하게 진행하도록 한다.
도 1은 종래기술의 LTE 시스템에서 하나의 셀에 단 하나의 캐리어가 존재함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는 종래기술의 LTE-A에서의 캐리어 집성 기술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은 종래기술의 LTE-A 시스템에서의 캐리어 집성 시나리오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4는 종래기술에서 네트워크가 측정 설정을 진행할 때, 사용하는 RRC 연결 재설정 과정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캐리어 집성 시스템의 측정 보고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인접 셀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캐리어 집성 시스템의 측정 보고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 집성 시스템의 측정 보고 설비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LTE-A 시스템은, 컴포넌트 캐리어 및/또는 측정 대상이 보고 트리거 조건을 만족시킬 경우, UE는 측정 보고 메시지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컴포넌트 캐리어의 측정 정보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측정 대상의 측정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 측에 보고할 수 있어 보고 과정을 간소화하고, 시스템 시간 지연을 줄여, LTE-A UE가 사용하는 캐리어 관리를 네트워크 측이 편리하게 진해하도록 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캐리어 집성 시스템의 측정 보고 방법은 다음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501, 사용자 설비 UE가 네트워크 측으로부터의 메시지를 수신한다.
단계 502, 상기 UE가 상기 메시지에 따라 컴포넌트 캐리어 및/또는 측정 대상이 측정 보고를 트리거하는 조건을 만족시키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503, 판단 결과가 예스(yes)일 경우, 상기 UE는 측정 보고 메시지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컴포넌트 캐리어의 측정 정보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측정 대상의 측정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 측에 보고한다
상술한 단계 503의 보고 방식은 구체적으로, 상기 UE가 보고 트리거 조건을 만족시키는 캐리어의 통계 측정량 또는 순간 측정량을 상기 네트워크 측에 보고하거나, 또는 보고 트리거 조건을 만족시키는 측정 대상 지시 주파수 포인트의 통계 측정량 또는 순간 측정량을 상기 네트워크 측에 보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나아가 상기 UE가 기타 캐리어의 통계 측정량 또는 순간 측정량을 상기 네트워크 측에 함께 보고하거나 또는 기타 측정 대상 지시 주파수 포인트의 통계 측정량 또는 순간 측정량을 상기 네트워크 측에 보고할 수도 있다.
상기 통계 측정량의 획득 방식은 공식
Figure pct00001
에 따라 획득하는 방식이 포함되며, 여기서 Mn는 최근에 물리층에서 수신된 측정량 결과이고, Fn값은 상기 통계 측정량이고, Fn -1은 바로 전의 처리를 거친 측정 결과이고, 첫 번째 측정 결과가 물리층에서 수신된 경우, F0은 M1이고, a = 1/2(k/4), k는 상기 통계 측정량에 대응하는 값이고, 상기 네트워크 측에 의해 통지한다. 상기 순간 측정량의 획득 방식은 Mn와 같이 물리층에서 수신된 값을 획득하는 방식을 포함한다.
상술한 단계 503의 다른 보고 방식은 구체적으로, 상기 UE가 보고 트리거 조건을 만족시키는 캐리어 또는 측정 대상 지시 주파수 포인트의 측정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 측에 보고하고, 기타 캐리어 또는 측정 대상 지시 주파수 포인트에서 미리 설정한 전략을 만족시키는 캐리어 또는 측정 대상 지시 주파수 포인트의 측정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 측에 보고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상기 미리 설정한 전략은, 측정량이 보고 리스트의 진입 조건을 만족시키지만 TimeToTrigger의 시간을 만족시키지 않거나; 또는 측정량이 보고 트리거 조건을 만족시키지만 여전히 상기 보고 리스트 내에 있거나; 또는 측정량이 보고 리스트의 진입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을 뿐만 아니라 TimeToTrigger의 시간도 만족시키지 않거나 또는 기타 설정 조건인 것을 포함한다.
상술한 단계 503의 또 다른 보고 방식은, 상기 UE가 측정량에 대응하는 캐리어 정보 및/또는 주파수 포인트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 측에 보고하되; 상기 캐리어 정보 및/또는 주파수 포인트 정보는 자신의 측정 식별자, 셀 식별자, 캐리어 식별자 또는 bitmap 정보에 의해 지시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측정량에 대응하는 캐리어 정보는 컴포넌트 캐리어의 측정 정보이고, 상기 측정량에 대응하는 주파수 포인트 정보는 측정 대상 지시 주파수 포인트의 측정 정보이다.
구체적으로, 측정 대상이 주파수 포인트 정보를 지시할 경우, 직접 주파수 포인트 값을 주는 방식, 캐리어 식별자 또는 셀 식별자 등 관련 식별자를 통해 주파수 포인트 값을 지시하는 방식 등과 같은 여러 가지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UE가 주파수 포인트와, 주파수 포인트에 대응하는 인덱스가 대응하는 관계를 이미 파악했을 경우, bitmap등의 방식을 통해서도 주파수 포인트 정보를 지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UE가 주파수 포인트와 주파수 포인트가 대응하는 인덱스가 대응하는 관계가 셀 1이 850MHz이고, 셀 2가 900MHz이고, 셀 3이 900MHz이고, 셀 4가 950MHz이고, 셀 5가 1000MHz인 것을 파악하고, 지시해야 하는 캐리어 정보 및/또는 주파수 포인트 정보가 셀 3의 900MHz, 셀 4의 950MHz, 셀 5의 1000MHz일 경우, 00111의 bitmap 정보를 통해 지시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단계 503의 또 다른 보고 방식은, 상기 UE가 기준 주파수 포인트를 측정하는 방식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컴포넌트 캐리어의 측정 정보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측정 대상의 측정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 측에 보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UE에 의해 상기 측정 기준 주파수 포인트를 확정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에 의해 상기 측정 기준 주파수 포인트를 확정해야 하고, 상기 측정 기준 주파수 포인트를 상기 UE에 통지한다. 나아가 상기 측정 기준 주파수 포인트를 확정하는 방식은, 측정하는 컴포넌트 캐리어 및/또는 주파수 포인트가 동일한 주파수 대역에 있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측정 기준 주파수 포인트를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측정 정보는 측정량, 셀 식별자, 캐리어 식별자, 측정 대상 식별자, 미리 설정한 전략 중의 1종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측정량은 각각의 캐리어 또는 측정 대상 지시 주파수 포인트 또는 측정 기준 주파수 포인트의 단독 측정량, 또는 다수의 캐리어 또는 측정 대상 지시 주파수 포인트 또는 측정 기준 주파수 포인트의 종합 측정량이다.
본 발명이 제공한 방법을 통해, UE는 다수의 캐리어 및/또는 주파수 포인트의 측정 정보를 함께 보고할 수 있어 보고 과정을 간소화하고, 시스템 시간 지연을 줄여 LTE-A UE가 사용하는 캐리어 관리를 네트워크 측이 편리하게 진행하도록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 2는 캐리어 집성 시스템의 측정 보고 방법을 제시하였다. 상기 방법은 LTE-A 시스템에 관한 것이고, LTE-A 시스템에서 서비스 셀의 정의가 아직 명확하지 않기 때문에 서술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아래의 개념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1) UE의 집성 캐리어: UE의 집성 캐리어는 네트워크 측이 LTE-A UE에게 할당한 캐리어 집성 전송을 진행할 수 있는 캐리어이고, 현재의 표준에서 LTE-A UE 최대의 집성 캐리어 수량은 5개이다. 각 집성 캐리어는 하나의 서비스 셀로 정의할 수 있고, 각 서비스 셀이 위치한 주파수 포인트는 모두 서비스 주파수 포인트라 칭한다. 다수의 집성 캐리어가 하나의 서비스 셀에 대응할 수도 있다. 현재 LTE-A서비스 셀의 개념은 아직 확정되지 않았기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직접 캐리어 방식을 통해 서술하고 서비스 셀의 개념을 사용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서비스 셀의 개념이 확정되면 본 발명의 실시예의 내용은 서비스 셀과 캐리어의 대응 관계에 따라 서비스 셀의 방식을 사용하여 서술할 수 있다. 즉 서비스 셀과 캐리어의 서술 방식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 방안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2) 측정 기준 포인트(또는 측정 기준 주파수 포인트): UE 측정의 복잡성을 줄이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측정 기준 포인트의 개념을 정의하였고, 각 측정 기준 포인트는 어느 한 캐리어 또는 주파수 대역의 중심 주파수 포인트와 서로 대응할 수 있고, 캐리어 또는 주파수 대역의 중심 주파수 포인트와 대응하지 않고, 지정한 주파수 포인트에만 대응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측정 기준 포인트는 현재 집성 캐리어가 위치한 주파수 포인트에 따라 확정할 수 있고, 직접 설정할 수도 있다. 측정 대상 중 지시한 주파수 포인트는 캐리어 또는 주파수 대역의 중심 주파수 포인트일 수 있고, 측정 기준 포인트일 수도 있으며, 측정 보고의 측정 정보는 캐리어 또는 주파수 대역의 중심 주파수 포인트에 기반하여 보고할 수 있고, 측정 기준 포인트를 기반으로 보고할 수도 있다.
(3) UE 집성 캐리어에 대응하는 인접 셀, 즉 UE 집성 캐리어에 대응하는 셀 이외의 기타 셀: 인접 셀은 서로 다른 주파수 포인트 상에 분포될 수 있고, 이런 주파수 포인트는 UE 집성 캐리어에 대응하는 주파수 포인트와 같을 수도 있고 다를 수도 있다. 도 6은 인접 셀 개략도이다. 각 주파수 포인트 상에 다수의 인접 셀이 존재함을 알 수 있다.
상술한 개념에 기반하여,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캐리어 집성 시스템의 측정 보고 방법은 아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701, 네트워크 측 설비가 UE로 RRC 연결 재설정 메시지를 발송한다. 상기 네트워크 측 설비는 E-UTRAN, RNC(Radio Network Controller), NB(Node B), eNB(evolved-Node B), 중계(Relay), 기지국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설명해야 하는 것은, 상기 네트워크 측 설비는 상술한 설비에 한정되지 않고 모든 네트워크 측에 위치한 UE로 측정 관련 설정 정보를 발송 가능한 설비는 모두 본 발명의 보호범위 내에 속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RRC 연결 재설정 메시지에 포함되는 내용은 아래 내용 중의 한 가지 또는 임의의 조합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a) 측정 대상(measurement object): 주파수 포인트를 기본 단위로 하고, 각 측정 대상은 하나의 단독 주파수 포인트(측정 기준 주파수 포인트일 수 있다)이고, 단독 측정 대상 식별자(ID), 측정 대상 중 지시 가능한 캐리어 주파수, 인접 셀 화이트/블랙 리스트, 보고해야 할 CGI의 셀 등 내용이 포함될 수 있다.
b) 보고 설정(report configuration): 트리거 유형에 따라 이벤트 트리거 보고와 주기 트리거 보고로 나뉘고, 각 보고 설정은 단독적인 ID를 갖는다. 이벤트 트리거 유형의 보고 설정은 어느 한 이벤트의 임계치와 트리거 조건을 만족시키는 지속시간(Time to Trigger)등 정보를 설정하고, 주기성 트리거 유형의 보고 설정은 주기성 트리거의 목적(예를 들면 CGI를 보고) 등을 설정한다. 그 밖에, 상기 보고 설정은 트리거 측정량, 보고 측정량, 보고 간격, 횟수 등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c) 측정 식별자(ID): 각 측정 식별자는 동시에 하나의 측정 대상과 보고 설정을 연결할 수 있고, 동시에 다수의 측정 대상을 하나의 보고 설정과 연결할 수도 있다. 만약 측정 개시의 임계치에 이르면, UE는 측정 식별자의 유무에 따라 상기 종류의 측정을 진행할지 여부를 판단한다.
d) 기타 파라미터: 측정량 설정, 측정 개시 임계치 및 속도 상태 파라미터 등 기타 파라미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단계 702, UE는 상기 RRC 연결 재설정 정보에 따라 측정 정보가 보고 트리거 조건을 만족시키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가 예스일 경우, 단계 703을 수행하고, 아니면, 종료한다. 상기 측정 정보는 측정 대상을 위하여 주파수 포인트 및/또는 컴포넌트 캐리어를 지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UE에 다수의 측정 대상이 설정될 경우, 본 단계에서는 다수의 측정 대상이 보고 트리거 조건을 만족시키는지 여부를 판단해야 하고, 및/또는 UE에 다수의 컴포넌트 캐리어를 설정될 경우, 본 단계에서는 다수의 컴포넌트 캐리어가 보고 트리거 조건을 만족시키는지 여부를 판단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측정 보고는 3가지 트리거 방식이 있는데, 각각 이벤트 트리거 보고, 주기 트리거 보고와 이벤트 트리거 주기 보고이고, 상술한 3가지 트리거 방식은 RRC 연결 재설정 메시지 중의 보고 설정에서의 각종 파라미터의 조합에 따라 나누어질 수 있다. 그 중, 이벤트 트리거 유형의 보고 설정은 어느 한 이벤트의 임계치와 트리거 조건을 만족시키는 지속시간 등 정보를 설정하고, 주기성 트리거 유형의 보고 설정은 주기적으로 트리거되는 목적(예를 들면, CGI를 보고) 등 정보를 설정할 것이다.
추가로, 다수의 측정 대상이 보고를 트리거하는 조건을 만족시키는지 여부 및/또는 다수 컴포넌트 캐리어가 보고를 트리거하는 조건을 만족시키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은 다음의 단계를 포함한다.
(a) 측정 평가, 즉 UE는 측정을 통해 어느 한 측정 대상 및/또는 어느 한 컴포넌트 캐리어에서 보고 설정을 만족시키는 캐리어를 찾아내어 평가하고, 캐리어가 일정 시간 내 모두 진입 조건을 만족시킬 경우, 보고 리스트 중에 포함되고, 일단 새로운 캐리어가 보고 리스트에 들어가면 보고 과정을 트리거한다.
(b) 보고 작성, 즉 측정 보고 메시지를 기입하는 과정은, 측정 식별자, UE 집성 캐리어에 대응하는 측정 정보, 인접 셀 측정 정보를 기입해야 한다. 인접 셀 측정 정보의 획득 과정은 측정 평가의 보고 리스트에 포함된 셀을 설정에서 주어진 보고 측정량에 따라 품질을 선별하여, 우열의 순서에 따라 측정량 보고 메시지를 기입한다.
구체적으로 보고 리스트에 포함된 인접 셀의 개수는 이하 몇 개 조건에 의해 결정된다.
1) 보고 리스트의 진입 조건: 어느 한 셀의 측정량이 진입 기준에 도달한 경우(예를 들어, 상기 셀의 신호 품질이 어떤 임계치보다 크다). 2) 보고 리스트의 이탈 조건: 어느 한 셀의 측정량이 이탈 기준에 도달한 경우(예를 들어 상기 셀의 신호 품질이 어떤 임계치보다 작다). 3) 셀이 보고 리스트에 포함되는 조건: 어느 한 셀이 일정 시간 내에 보고 리스트의 진입 조건을 모두 만족시킬 경우, 보고 리스트에 포함된다. 4) 셀이 보고 리스트에서 삭제되는 조건: 어느 한 셀이 일정 시간 내에 보고 리스트 이탈 조건을 모두 만족시킬 경우, 보고 리스트에서 삭제된다. UE가 보고할 때, 여전히 보고 리스트에 남아있는 모든 인접 셀을 모두 네트워크에 보고할 수 있으며, 상기 셀이 이미 이전의 보고 과정에서 보고되었는지 여부는 고려하지 않는다.
단계 703, UE는 동일한 측정 보고 메시지에 의해 동시에 다수의 집성된 컴포넌트 캐리어의 측정 정보, 및/또는, 다수의 측정 대상 지시 주파수 포인트 상에서 측정 보고 조건을 만족시키는 인접 셀의 측정 정보를 보고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다수의 집성한 컴포넌트 캐리어의 측정 정보, 및/또는, 다수의 측정 대상 지시 주파수 포인트 상에서 측정 보고 조건을 만족시키는 인접 셀의 측정 정보를 보고하는 과정은 측정 기준 포인트의 방식으로 보고할 수 있다.
추가로, 하나의 컴포넌트 캐리어가 보고 조건을 만족시켜 보고할 경우, 기타 캐리어 상에서의 대응 측정량을 획득하는 방식은 다음 내용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1) 기타 캐리어 상에서 보고하는 측정량은 순간 측정량; (2) 기타 캐리어 상에서 보고하는 측정량은 통계 측정량. 예를 들면, 타이머 또는 필터를 거쳐 평활화된 후의 결과.
설명해야 할 것은 각 측정 보고 메시지에 동시에 다수의 집성 컴포넌트 캐리어의 측정 정보, 및/또는, 다수의 측정 대상 지지 주파수 포인트 상에서 측정 보고조건을 만족시키는 인접 셀의 측정 정보가 포함될 수 있고, 상기 측정 보고 메시지에 포함되는 내용은 이하 내용 중 1종 또는 임의의 조합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a) 측정 식별자(ID)
b) 캐리어 식별자
c) 각 측정량. 예를 들면 RSRP(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과 RSRQ(Reference Signal Received Quality).
e) 조건을 만족시키는 인접 셀의 물리층 셀 ID(PCI).
f) 각 인접 셀의 측정량과 CGI 보고 여부는 네트워크가 이런 정보를 보고하도록 UE를 설정하는지 여부에 의해 결정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방안을 더욱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아래에서 여러 가지 구체적인 응용 시나리오를 결합하여 상술한 측정 보고 과정에 대해 추가로 설명한다.
응용 시나리오 1, UE에 다수 컴포넌트 캐리어가 설정되고, 측정 보고를 진행할 때 다수 컴포넌트 캐리어의 정보를 보고하는 응용 시나리오다.
상기 응용 시나리오에서 네트워크 측은 UE에 4개 컴포넌트 캐리어(실제 수요에 따라 조정할 수 있다)를 설정하고, 각각 CC1(컴포넌트 캐리어 1), CC2, CC3, CC4이다. 만약 CC1에 관련된 측정 이벤트(예를 들면, A2 이벤트 등)가 이미 (측정)보고를 트리거하는 조건을 만족시키면, 실제 수요에 따라 UE는 CC1, CC2, CC3, CC4에 대응하는 측정량을 동시에 보고한다. 상기 측정량은 RSRP값과 RSRQ값 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현재 LTE 규정에서 보고를 트리거하는 조건은 측정 이벤트 보고 리스트에 들어가는 진입 조건을 만족시키면서, TimeToTrigger의 시간을 만족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LTE-A에서, 보고를 트리거하는 조건에 기타 내용도 추가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세하게 서술하지 않고, 보고를 트리거 하는 조건은 측정 이벤트 보고 리스트에 들어가는 진입 조건, 또한 TimeToTrigger의 시간을 만족시키는 것을 예로 설명한다. 예를 들면, CC1, CC2, CC3, CC4가 모두 측정 이벤트(예를 들면 A2 이벤트) 보고 리스트에 들어가며, CC1이 이미 보고를 트리거하는 조건(즉 동시에 TimeToTrigger의 시간을 만족시킨다)을 만족시킬 경우, 상기 UE는 CC1, CC2, CC3, CC4에 대응하는 측정량을 동시에 보고할 수 있다.
실제 응용에서, 또한 미리 설정한 조건에 따라(예를 들면, 보고 리스트의 진입 조건을 만족시키나 TimeToTrigger의 시간을 만족시키지 못하거나 또는 보고 조건을 만족시키나 여전히 보고 리스트 내에 있거나 또는 측정량이 보고 리스트의 진입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을 뿐만 아니라 TimeToTrigger의 시간도 만족시키지 못하거나 또는 기타 설정된 조건일 수도 있다) 보고할 수도 있고, 측정 보고 메시지를 통해 보고할 경우,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시키는 컴포넌트 캐리어의 정보만 보고하면 된다. 예를 들면, 미리 설정된 조건이 보고 리스트의 진입 조건을 만족시키나 TimeToTrigger의 시간을 만족시키지 못하는 컴포넌트 캐리어의 측정량을 보고할 경우, 만약 UE가 집합한 4개 컴포넌트 캐리어 중에서, 보고 리스트의 진입 조건을 만족시키는 컴포넌트 캐리어는 CC1과 CC2이고, CC2만 보고를 트리거하는 조건을 만족시킬 경우, 보고할 때 CC1과 CC2의 측정량 정보만 보고하면 된다.
설명해야 할 바는, 상술한 보고 조건을 만족시키나 여전히 보고 리스트 내에 있는 상황은 구체적으로, CC1이 보고를 트리거하는 조건을 만족시킬 경우, CC1의 측정량을 보고해야 한다. CC1은 보고 리스트 이탈 조건을 만족시킬 때까지 보고 리스트 내에 있다. 후속 과정에서, 만약 CC2가 또 보고 트리거 조건을 만족시키면, CC2의 측정량을 보고해야 하고, 이때 CC1이 보고 리스트 내에 있기 때문에, 비록 상기 CC1의 측정량은 이전에 이미 보고되었으나 CC1의 측정량을 동시에 보고할 수도 있다.
응용 시나리오 2, UE에 다수의 측정 대상이 설정되고, 측정 보고를 진행할 때 다수의 측정 대상 정보를 보고하는 응용 시나리오다.
상기 응용 시나리오에서, 네트워크 측은 UE에 3개의 측정 대상을 설정하고, 측정 대상에 대응하는 주파수 포인트 정보 및 UE의 측정 결과는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다.
Figure pct00002
그 중, 주석 1은 해당 셀이 이미 대응하는 주파수 포인트의 보고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음을 의미하고; 주석 2는 해당 셀이 보고를 트리거하는 일부 조건(예를 들면, 대응하는 주파수 포인트 보고 리스트의 진입 조건을 만족시키나 TimeToTrigger의 시간을 만족시키지 못한다)을 만족시킴을 의미하고; 주석 3은 해당 셀이 어떠한 보고 트리거 조건도 만족시키지 않음을 의미한다. 표 1에서 CID는 물리층 셀 식별자 PCI, 전세계 셀 식별자 CGI, 또는 기타 셀을 식별하는 식별자일 수 있다.
UE에 다수의 측정 대상 응용 시나리오를 설정되는 것을, 아래의 두 가지 경우로 나누어 설명한다.
첫 번째 경우:
측정 주파수 포인트 f1에서의 CID1에 있어서, 상기 셀이 이미 대응하는 주파수 포인트의 보고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기에, 종래의 LTE 흐름에 따라, 측정 주파수 포인트 f1에서의 CID1은 보고 과정을 트리거한다. 이때 네트워크 측이 UE가 보고할 인접 셀의 측정량과 CGI를 설정하지 않았으면, UE가 보고하는 정보는 측정 식별자, UE 서비스 셀의 측정량과 인접셀 물리층 ID(CID1)이다. 네트워크 측이 CID1와 셀 식별자가 동일한 셀(그와 집성될 수 있는 셀)의 다른 두 측정 주파수 포인트 f2와 f3의 측정량 정보를 얻으려면 계속 대기해야 하며, f2와 f3 상의 대응 셀이 보고 리스트에 들어와야 UE에 의해 보고를 진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측정 주파수 포인트 f1에서의 CID1은 보고 과정을 트리거한다. 이때 네트워크 측이 UE가 보고할 각 인접셀의 측정량과 CGI를 설정하지 않았다면, UE가 보고하는 내용은 측정 식별자, UE집성 캐리어 식별자, UE가 사용하는 집성 캐리어 중의 1개 또는 다수의 집성 캐리어(또는 집성 캐리어가 대응하는 셀)의 측정량, f1상에서 보고 조건을 만족시키는 인접셀(CID1)의 측정량, 관련 측정 식별자 또는 주파수 포인트 정보(f2) 및 대응하는 CID1의 측정량, 관련 측정 식별자 또는 주파수 포인트 정보(f3) 및 대응하는 CID1의 측정량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f2와 f3의 측정 정보를 보고할 때, 측정 식별자를 포함시키지 않고, 주파수 포인트 정보, bitmap 방식 또는 보고하는 측정량의 위치 등 기타 방식을 통해 보고할 다수의 측정량에 대응하는 주파수 포인트를 네트워크 측에 통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비록 f2와 f3에서의 CID1이 보고 리스트에 들어가지 않았으나, UE는 주파수 포인트 f1, f2와 f3에서의 CID1의 측정량을 하나의 보고 메시지를 통해 네트워크 측에 발송함으로써, 하나의 보고 메시지에 의해 네트워크 측에 CID1의 충분한 정보를 제공하여, 네트워크 측의 전환 판단에 유리하다.
마찬가지로, 응용 시나리오 1과 유사하게, 상기 응용 시나리오에서 미리 설정한 조건에 따라 보고를 진행할 수 있고, 측정 보고 메시지를 통해 보고할 때, 미리 설정한 조건을 만족시키는 다수의 주파수 포인트의 측정 정보만 보고하면 되기에 여기서 상세히 설명하지 않는다. 상기 미리 설정한 조건은 다음의 내용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보고 리스트의 진입 조건을 만족시키나 TimeToTrigger의 시간을 만족시키지 않거나, 또는 보고 조건을 만족시키나 여전히 보고 리스트 내에 있거나 또는 측정량이 보고 리스트의 진입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을 뿐만 아니라 TimeToTrigger의 시간도 만족시키지 않는다.
설명해야 할 것은, 상술한 보고 조건을 만족시키나 여전히 보고 리스트 내에 있는 상황은 구체적으로, 측정 대상 지시 주파수 포인트(예를 들면 f2) 상에서 여전히 보고 리스트 내에 있은 셀이 이미 보고된 셀이고, 주파수 포인트 f1 상에 보고 트리거 조건을 만족시키는 셀이 나타날 경우, 주파수 포인트 f1에 대응하는 셀의 측정량을 보고해야 하고, 이때 f2의 보고 리스트 내에도 대응 보고 조건을 만족시키는 셀(즉 보고 조건을 만족시키나 여전히 보고 리스트 내에 있다)이 존재하기에, 이때 주파수 포인트 f2에 대응하는 셀의 측정량을 동시에 보고할 수도 있다.
두 번째 경우:
측정 주파수 포인트 f1에서의 CID1에 있어서, 종래의 LTE 흐름에 따라 주파수 포인트 f1에서의 CID1은 보고 과정을 트리거한다. 이때 네트워크 측이 UE가 보고할 인접 셀의 측정량과 CGI를 설정하지 않으면, UE가 보고하는 정보는 측정 식별자, UE 서비스 셀의 측정량과 인접 셀 물리층 ID(CID1)이다. 네트워크 측이 CID1와 셀 식별자가 동일한 셀(그와 집성될 수 있는 셀)의 다른 두 개 측정 주파수 포인트 f2와 f3의 측정량 정보를 얻으려면, 계속 대기해야 하며, f2와 f3 상의 셀이 보고 리스트에 들어와야 UE에 의해 보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측정 주파수 포인트 f1에서의 CID1은 보고 과정을 트리거하고, 이때 네트워크 측이 UE가 보고할 각 인접 셀의 측정량과 CGI를 설정하지 않으면, UE가 보고하는 내용은, 측정 식별자, UE가 사용하는 집성 캐리어 중의 1개 또는 다수의 집성 캐리어(또는 집성 캐리어에 대응하는 셀)의 측정량, 인접 셀 물리층 ID(CID1), 관련 측정 식별자 또는 주파수 포인트 정보(f2) 및 f2 상에서 조건을 만족시키는 인접 셀(CID3)의 측정량, 관련 측정 식별자 또는 주파수 포인트 정보(f3) 및 f3상의 관련 인접 셀(CID2, CID5)의 측정량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f2와 f3의 측정 정보를 보고할 때, 측정 식별자를 포함시키지 않고, 주파수 포인트 정보, bitmap 방식 또는 보고하는 측정량의 위치 등 기타 방식을 통해 보고할 다수의 측정량에 대응하는 주파수 포인트를 네트워크 측에 통지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비록 f2와 f3에서의 셀이 보고 리스트에 들어가지 않았지만, UE는 주파수 포인트 f1, f2와 f3에서의 관련 인접 셀의 측정량을 보고 메시지를 통해 네트워크에 발송함으로써, 하나의 보고 메시지에 의해 네트워크 측에 UE에 관련된 인접 셀의 충분한 정보를 제공하여 네트워크 측의 전환 판단에 유리하다.
실제 응용에서, f2, f3상에서 조건을 만족시키는 인접 셀에 대해 보고 할 경우, 상기 조건은 실제 수요에 따라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조건은 다음과 같이 설정할 수 있다. 1) 리스트의 진입 조건을 만족시키나 TimeToTrigger의 시간을 만족시키지 않는다. 2) 보고 조건을 만족시키나 여전히 보고 리스트 내에 있다. 3) 측정량이 보고 리스트의 진입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을 뿐만 아니라 TimeToTrigger의 시간도 만족시키지 않는다. 4)기타 설정된 조건도 될 수 있다. 보고할 때, 조건을 만족시키는 다수의 주파수 포인트 정보만 보고하면 되고, 여기서 상세하게 설명하지 않는다. 상술한 과정에서는 리스트 진입 조건을 만족시키나 TimeToTrigger의 시간을 만족시키지 않은(즉 표 1에서의 주석 2) 것을 예로 설명하였다. 즉 보고하려는 조건을 만족시키는 다수 주파수 포인트의 정보에는 관련 측정 식별자 또는 주파수 포인트 정보(f2) 및 f2상의 조건을 만족시키는 인접 셀(CID3)의 측정량, 관련 측정 식별자 또는 주파수 포인트 정보(f3) 및 f3상의 관련 인접셀(CID2, CID5)의 측정량 등이 포함된다.
응용 시나리오 3은 UE에 다수의 캐리어와 다수 측정 대상이 설정되고, 측정 보고할 때 다수의 측정 대상의 정보와 다수의 캐리어의 정보를 보고하는 응용 시나리오다.
상기 응용 시나리오에서, 네트워크 측은 UE에 4개의 컴포넌트 캐리어를 설정하는데, 각각 CC1, CC2, CC3, CC4이다. 네트워크 측은 또한 UE에 3개의 측정 대상을 설정하고, 측정 대상에 대응하는 주파수 포인트 정보 및 UE이 측정 결과는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다.
Figure pct00003
주석 1은 해당 셀이 이미 CC1에 대한 대응 주파수 포인트의 측정이벤트 보고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주석 2는 해당 셀이 CC1에 대한 대응 주파수 포인트의 측정 이벤트의 보고를 트리거하는 일부 조건(예를 들면, 측정 이벤트에 대응하는 보고 리스트 진입 조건을 만족시키나 TimeToTrigger의 시간을 만족시키지 않는다)을 만족시킴을 의미한다. 주석 3은 해당 셀이 CC1에 대한 대응 주파수 포인트의 어떠한 측정 이벤트의 어떠한 보고 트리거 조건도 만족시키지 않는다. 표 2에서 CID는 물리층 셀 식별자 PCI, 전세계 셀 식별자 CGI, 또는 셀 식별자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측정 주파수 포인트 f1에서의 CID1은 보고 과정을 트리거할 것이다. 이때 네트워크 측이 UE가 보고할 각 인접 셀의 측정량과 CGI를 설정하지 않았다면, UE가 보고하는 내용은, 측정 식별자, UE가 사용하는 다수의 집성 캐리어(또는 집성 캐리어가 대응하는 셀)의 측정량, 주파수 포인트 f3상의 조건을 만족시키는 인접셀의 측정량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본 응용 시나리오에서 측정 식별자, 주파수 포인트 정보, bitmap 방식 또는 보고한 측정량의 위치 등 방식을 통해 보고할 다수의 측정량에 대응하는 주파수 포인트를 네트워크 측에 통지한다. 또한 비록 이때 f2와 f3에서의 셀이 보고 리스트에 들어가지 않았고, f1도 단지 CID1에 대해서만 보고 트리거를 행하지만, UE는 자신의 모든 집성 캐리어의 측정량, 주파수 포인트 f1, f2와 f3에서 대응 조건을 만족시키는 인접셀의 측정량을 하나의 보고 메시지를 통해 네트워크 측에 보고하므로 네트워크 측의 전환 판단에 유리하다.
실제 응용에서, f2, f3상에서 조건을 만족시키는 인접 셀에 대해 보고할 때, 상기 조건은 다음과 같이 설정될 수 있다. 1) 리스트의 진입 조건을 만족시키나 TimeToTrigger의 시간을 만족시키지 않는다. 2) 보고 조건을 만족시키나 여전히 보고 리스트 내에 있다. 3) 측정량이 보고 리스트의 진입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을 뿐만 아니라 TimeToTrigger의 시간도 만족시키지 않는다. 4) 기타 설정된 조건도 될 수 있다. 보고를 진행할 때 조건을 만족시키는 다수의 주파수 포인트 정보만 보고하면 되고, 여기서 상세하게 설명하지 않는다.
응용 시나리오 4는 기준 주파수 포인트를 측정하는 방식을 통해 다수의 캐리어 및/또는 다수의 측정 대상의 정보를 보고하는 응용 시나리오다. 다중 캐리어 시스템에서, 기준 주파수 포인트를 측정하는 방식으로 보고하는 것을 지원할 경우, 본 발명에 따른 기술방안을 사용하여 상응하게 처리할 수 있다.
첫 번째 경우: 컴포넌트 캐리어가 기준 주파수 포인트를 측정하는 방식을 통해 보고한다.
상기 응용 시나리오에서, 네트워크 측은 UE에 4개의 컴포넌트 캐리어를 설정하는데, 각각 CC1, CC2, CC3, CC4이고, 또한 상술한 4개 컴포넌트 캐리어는 측정 및 측정 보고를 진행할 때, 각각 P1, P2, P3인 3개의 측정 기준 포인트를 기반으로 한다. 측정 기준 포인트는 실제 수요에 따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측정하는 컴포넌트 캐리어 및/또는 주파수 포인트가 동일한 주파수 대역에 있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측정 기준 포인트를 확정한다.
구체적으로, 측정 기준 포인트를 확정하는 방식은 아래 상황 중의 1종 또는 임의의 조합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1) 각 컴포넌트 캐리어를 모두 측정 기준 주파수 포인트로 한다.
(2) 컴포넌트 캐리어 중의 1개 또는 다수를 임의로 선택하여 측정 기준 주파수 포인트로 한다.
(3) 연속 캐리어에 대해, 그 중 하나만 선택하여 측정 기준 주파수 포인트로 한다.
(4) 미리 설정한 전략에 따라 측정 기준 주파수 포인트를 확정한다. 예를 들면, 측정 보고의 오버헤드를 줄이기 위하여, 다수 캐리어 또는 다수 주파수 포인트를 하나의 동일한 측정 기준 주파수 포인트로 확정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면, 다수 캐리어가 대응하는 주파수 포인트를 평균하여, 얻은 주파수 포인트 값을 측정 기준 주파수 포인트로 설정할 수 있다.
설명해야 할 것은 측정 기준 주파수 포인트는 UE가 자체적으로 확정한 다음 상기 측정 기준 주파수 포인트에 따라 상응한 보고 과정을 진행할 수 있다. 실제 응용에서, 상기 측정 기준 주파수 포인트는 네트워크 측에 의해 결정된 다음 UE에 통지할 수도 있다. 그 중, 네트워크 측이 측정 기준 주파수 포인트를 UE에 통지하는 방식은 1) 시스템 브로드캐스트의 방식, 2) 사설 시그널링의 방식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사설 시그널링은 구체적으로 RRC 시그널링, MAC(Media Acess Control) CE(Control Element) 정보, 물리층 시그널링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UE의 자체적인 확정 및/또는 네트워크의 시그널링을 통해 상기 측정 기준 주파수 포인트를 획득 후, 상기 기준 주파수 포인트를 측정하는 방식을 통해 측정량 정보를 보고한다. 상기 보고 과정은 응용 시나리오 1에서 컴포넌트 캐리어를 단위로 하는 보고 과정과 유사(단지 기준 주파수 포인트를 측정하는 형식으로 보고한다)하므로, 여기에서 상세하게 설명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상기 응용 시나리오에서, 조건을 설정(예를 들면 보고 리스트의 진입 조건을 만족시키나 TimeToTrigger의 시간을 만족시키지 않거나 또는 보고 조건을 만족시키나 여전히 보고 리스트 내에 있다)하여 보고할 수도 있고, 보고 메시지를 측정하는 것을 통해 보고할 경우, 조건을 만족시키는 다수의 측정 기준 주파수 포인트의 측정량 정보만 보고하면 된다.
설명해야 할 것은, 보고할 때 측정 기준 주파수 포인트에 대응하는 측정량 정보는, UE가 직접 측정 기준 주파수 포인트가 지시한 주파수 포인트에 대해 측정하여 얻은 측정량 정보일 수 있고, 측정 기준 주파수 포인트가 다수 캐리어에 의해 결정될 경우, 먼저 각 캐리어에 대응하는 측정량 정보를 확정한 다음 각 캐리어에 의해 얻은 측정량 정보를 계산하여 얻은 측정 기준 주파수 포인트에 대응하는 측정량 정보일 수도 있다.
또한, 보고를 트리거할 경우, 측정 기준 주파수 포인트를 직접 보고를 트리거하는 주파수 포인트로 할 수 있고, 측정 기준 주파수 포인트의 측정에 의해 다수 캐리어의 정보를 평가할 경우, 어느 하나 또는 일부 캐리어들에 의해 보고를 트리거 하여 (기준 주파수 포인트를 측정하는 방식으로)보고를 진행한다.
두 번째 경우, 측정 대상은 기준 주파수 포인트를 측정하는 방식을 통해 지시 및/또는 보고한다.
응용 시나리오에서, 네트워크 측은 UE를 위해 4개 측정 대상을 설정하고, 또한 상술한 4개 측정 대상은 각각 P1, P2, P3의 3개 측정 기준 포인트를 기반으로 측정 보고한다. 그 중, 측정 기준 포인트는 측정할 컴포넌트 캐리어 및/또는 주파수 포인트가 동일한 주파수 대역에 있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측정기준 포인트를 확정하는데, 다음의 방식을 포함한다. (1) 각 컴포넌트 캐리어를 모두 측정 기준 주파수 포인트로 한다. (2) 컴포넌트 캐리어 중의 1개 또는 다수를 임의로 선택하여 측정 기준 주파수 포인트로 한다. (3) 연속 캐리어에 대해, 그 중 하나만 선택하여 측정 기준 주파수 포인트로 한다. (4) 미리 설정한 전략에 따라 측정 기준 주파수 포인트를 확정한다.
구체적으로, 측정 기준 주파수 포인트는 UE가 자체적으로 확정한 다음 상기 측정 기준 주파수 포인트에 따라 상응한 보고 과정을 진행할 수 있다. 실제 응용에서, 상기 측정 기준 주파수 포인트는 네트워크 측에 의해 확정된 다음 UE에 통지할 수도 있다. 그 중, 네트워크 측이 측정 기준 주파수 포인트를 UE에 통지하는 방식은 1) 시스템 브로드캐스트의 방식, 2) 사설 시그널링의 방식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사설 시그널링은 구체적으로 RRC 시그널링, MAC CE 정보, 물리층 시그널링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UE의 자체적인 확정 및/또는 네트워크 시그널링을 통해 상기 측정 기준 주파수 포인트를 획득한 다음 상기 기준 주파수 포인트를 측정하는 방식으로 측정량 정보를 보고한다. 상기 보고 과정은 응용 시나리오 2에서 주파수 포인트를 측정하여 보고를 트리거하는 과정과 유사(단지 기준 주파수 포인트를 측정하는 형식으로 보고한다)하므로, 여기서 상세하게 설명하지 않는다.
세 번째 경우, 컴포넌트 캐리어는 기준 주파수 포인트를 측정하는 방식으로 보고하며, 측정 대상은 기준 주파수 포인트를 측정하는 방식을 사용하여 지시 및/또는 보고한다. 상기 과정은 응용 시나리오 3에서의 보고 과정과 유사(단지 기준 주파수 포인트를 측정하는 형식으로 보고한다)하므로, 여기서 상세하게 설명하지 않는다.
응용 시나리오 5, 이하 상기 응용 시나리오를 결합하여 다수의 캐리어 및/또는 다수의 측정 대상의 정보를 보고할 때 각 캐리어 또는 측정 대상의 측정량의 확정 방식에 대해 추가 설명한다.
구체적으로, 하나의 컴포넌트 캐리어 또는 측정 대상이 보고 조건을 만족시켜 보고할 때, 각 캐리어 또는 측정 대상 측정량의 확정은 두 가지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1) 컴포넌트 캐리어 또는 측정 대상 상에서 보고되는 측정량은 순간 측정량이다.
(2) 컴포넌트 캐리어 또는 측정 대상 상에서 보고하는 측정량은 통계 측정량이며, 예를 들어 타이머 또는 필터에 의해 평활화된 후의 결과이다.
예를 들면, 컴포넌트 캐리어1(CC1) 상에서의 관련 측정 이벤트가 이미 보고 트리거 조건을 만족시킬 경우, CC1, CC2, CC3, CC4에 대응하는 측정량을 동시에 보고할 수 있다. CC1은 보고할 때, 보고하는 측정 결과가 통계치이고, 상기 통계치의 획득방식은 LTE 시스템에서의 방식을 사용한다. 구체적으로,
Figure pct00004
여기서, Mn은 최근 물리층에서 수신된 측정 결과이고,
Fn은 최신의 처리를 거친 측정 결과이고, 상기 값은 측정 보고에 사용될 수 있다.
Fn -1은 바로 전에 처리를 거친 측정 결과이고, 첫 번째 측정 결과가 물리층에서 수신될 경우, 상기 F0은 M1로 설정된다.
a= 1/2(k/4), 상기 k는 측정량과 대응하는 수치이고, 네트워크 측에 의해 통지할 수 있다. 물론, 실제 응용에서 기타 방식을 사용하여 통계값을 발생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세하게 설명하지 않는다.
CC2, CC3, CC4상에서 보고되는 측정량은 통계값을 사용할 수 있고, 순간값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순간값은 즉 직접 물리층에서 수신된 값이다. 예를 들면 Mn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통하여 UE는 다수 캐리어 및/또는 주파수 포인트의 측정 정보를 함께 보고할 수 있음으로써 보고 과정을 간소화하고, 시스템 시간 지연을 줄여 LTE-A UE가 사용하는 캐리어 관리를 네트워크 측이 편리하게 진행하도록 하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 집성 시스템의 측정 보고 설비는,
네트워크 측으로부터의 메시지를 수신하는 수신 모듈(81),
상기 수신 모듈(81)이 수신한 메시지에 따라 컴포넌트 캐리어 및/또는 측정 대상이 측정 보고를 트리거하는 조건을 만족시키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 모듈(82),
상기 판단 모듈(82)의 판단 결과가 예스일 경우, 측정 보고 메시지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컴포넌트 캐리어의 측정 정보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측정 대상의 측정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 측에 보고하는 발송 모듈(83)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발송 모듈(83)은 구체적으로, 보고 트리거 조건을 만족시키는 캐리어 또는 측정 대상 지시 주파수 포인트의 통계 측정량 또는 순간 측정량을 상기 네트워크 측에 보고하고, 기타 캐리어 또는 측정 대상 지시 주파수 포인트의 통계 측정량 또는 순간 측정량을 상기 네트워크 측에 보고하는 데 사용된다.
상기 발송 모듈(83)은 또한, 보고 트리거 조건을 만족시키는 캐리어 또는 측정 대상 지시 주파수 포인트의 측정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 측에 보고하고, 기타 캐리어 또는 측정 대상 지시 주파수 포인트에서 미리 설정한 전략을 만족시키는 캐리어 또는 측정 대상 지시 주파수 포인트의 측정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 측에 보고하는 데 사용된다. 상기 미리 설정한 전략은, 측정량이 보고 리스트의 진입 조건을 만족시키지만 TimeToTrigger의 시간을 만족시키지 않거나, 또는 측정량이 보고 트리거 조건을 만족시키지만 여전히 상기 보고 리스트 내에 있거나, 또는 측정량이 보고 리스트의 진입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을 뿐만 아니라 TimeToTrigger의 시간도 만족시키지 않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발송 모듈(83)은 또한, 측정량에 대응하는 캐리어 정보 및/또는 주파수 포인트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 측에 보고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캐리어 정보 및/또는 주파수 포인트 정보는 자신의 측정 식별자, 셀 식별자, 캐리어 식별자 또는 bitmap정보에 의해 지시되며, 상기 측정량에 대응하는 캐리어 정보는 컴포넌트 캐리어의 측정 정보이고, 상기 측정량에 대응하는 주파수 포인트 정보는 측정 대상 지시 주파수 포인트의 측정 정보이다.
상기 발송 모듈(83)은 또한, 기준 주파수 포인트를 측정하는 방식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컴포넌트 캐리어의 측정 정보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측정 대상의 측정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 측에 보고하는 데 사용된다. 상기 측정 기준 주파수 포인트의 획득 방식은, 상기 UE가 상기 측정 기준 주파수 포인트를 확정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이 상기 측정 기준 주파수 포인트를 확정하여 통지하는 방식을 포함한다. 상기 측정 기준 주파수 포인트를 확정하는 방식은, 측정하는 컴포넌트 캐리어 및/또는 주파수 포인트가 동일한 주파수 대역에 있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측정 기준 주파수 포인트를 확정하는 방식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측정 정보는 측정량, 캐리어 식별자, 셀 식별자, 측정 대상 식별자, 미리 설정한 전략 중의 1종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측정량은 각각의 캐리어 또는 측정 대상 지시 주파수 포인트 또는 측정 기준 주파수 포인트의 단독 측정량, 또는 다수 캐리어 또는 측정 대상 지시 주파수 포인트 또는 측정 기준 주파수 포인트의 종합 측정량이다.
본 발명의 장치의 각 모듈은 일체로 집성될 수 있고, 분리하여 배치될 수도 있다. 상술한 모듈은 하나의 모듈로 병합될 수 있고, 다수의 서브 모듈로 분해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설비를 통해 UE는 다수의 캐리어 및/또는 주파수 포인트의 측정 정보를 함께 보고함으로써 보고 과정을 간소화 할 수 있고, 시스템 시간 지연을 줄여 LTE-A UE가 사용하는 캐리어 관리를 네트워크 측이 편리하게 진행하도록 한다.
실시방식에 대한 상기 설명을 통하여 당업자는 본 발명이 소프트웨어와 필수적인 통용 하드웨어 플랫폼에 의해 실현할 수 있음을 명확히 이해할 수 있으며, 당연히 하드웨어를 통해 실현 가능하나, 다수의 경우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를 결합하는 방식이 더욱 바람직한 실시방식이다. 이러한 이해를 기반으로, 본 발명의 기술방안은 본질적으로 또는 종래기술에 공헌한 부분에 대해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식으로 체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은 저장 매체에 저장되고, 컴퓨터 설비(개인 컴퓨터, 서버 또는 네트워크설비 등)가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약간의 지령을 포함한다.
첨부도면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에의 개략도일뿐, 첨부도면 중의 모듈 또는 흐름은 본 발명의 실시에 필수적인 것이 결코 아니라는 것을 당업자는 이해할 것이다.
당업자는 실시예의 장치 중의 모듈은 실시예의 설명에 따라 실시예의 장치에 분포될 수 있고, 상응하게 변화되어 본 실시예와 다른 하나 또는 다수의 장치에 위치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상술한 실시예의 모듈은 하나의 모듈로 병합될 수 있고, 다수의 모듈로 분해될 수도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순번은 단지 설명을 위한 것일 뿐 실시예의 우열을 대표하지 않는다.
이상 공개한 내용은 단지 본 발명의 몇 가지 구체적인 실시예일 뿐,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가 생각할 수 있는 모든 변화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한다.
81: 수신 모듈
82: 판단 모듈
83: 발송 모듈

Claims (18)

  1. 사용자 설비(UE)가 네트워크 측으로부터의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UE가 상기 메시지에 따라 컴포넌트 캐리어 및/또는 측정 대상이 측정 보고를 트리거하는 조건을 만족시키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판단 결과가 예스(yes)일 경우, 상기 UE는 측정 보고 메시지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컴포넌트 캐리어의 측정 정보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측정 대상의 측정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 측에 보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집성 시스템의 측정 보고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UE가 측정 보고 메시지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컴포넌트 캐리어의 측정 정보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측정 대상의 측정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 측에 보고하는 단계는,
    상기 UE가 보고 트리거 조건을 만족시키는 캐리어 또는 측정 대상 지시 주파수 포인트의 통계 측정량 또는 순간 측정량을 상기 네트워크 측에 보고하고, 기타 캐리어 또는 측정 대상 지시 주파수 포인트의 통계 측정량 또는 순간 측정량을 상기 네트워크 측에 보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집성 시스템의 측정 보고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UE가 측정 보고 메시지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컴포넌트 캐리어의 측정 정보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측정 대상의 측정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 측에 보고하는 단계는,
    상기 UE가 보고 트리거 조건을 만족시키는 캐리어 또는 측정 대상 지시 주파수 포인트의 측정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 측에 보고하고, 기타 캐리어 또는 측정 대상 지시 주파수 포인트에서 미리 설정한 전략을 만족시키는 캐리어 또는 측정 대상 지시 주파수 포인트의 측정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 측에 보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집성 시스템의 측정 보고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한 전략은,
    측정량이 보고 리스트의 진입 조건을 만족시키지만 TimeToTrigger의 시간을 만족시키지 않거나; 또는
    측정량이 보고 트리거 조건을 만족시키지만 여전히 상기 보고 리스트 내에 있거나; 또는
    측정량이 보고 리스트의 진입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을 뿐만 아니라 TimeToTrigger의 시간도 만족시키지 않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집성 시스템의 측정 보고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UE가 측정 보고 메시지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컴포넌트 캐리어의 측정 정보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측정 대상의 측정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 측에 보고하는 단계는,
    상기 UE가 측정량에 대응하는 캐리어 정보 및/또는 주파수 포인트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 측에 보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캐리어 정보 및/또는 주파수 포인트 정보는 자신의 측정 식별자, 셀 식별자, 캐리어 식별자 또는 비트맵((bitmap) 정보에 의해 지시되며,
    상기 측정량에 대응하는 캐리어 정보는 컴포넌트 캐리어의 측정 정보이고, 상기 측정량에 대응하는 주파수 포인트 정보는 측정 대상 지시 주파수 포인트의 측정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집성 시스템의 측정 보고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UE가 측정 보고 메시지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컴포넌트 캐리어의 측정 정보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측정 대상의 측정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 측에 보고하는 단계는,
    상기 UE가 기준 주파수 포인트를 측정하는 방식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컴포넌트 캐리어의 측정 정보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측정 대상의 측정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 측에 보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집성 시스템의 측정 보고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UE가 상기 측정 기준 주파수 포인트를 확정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이 상기 측정 기준 주파수 포인트를 확정하고, 상기 측정 기준 주파수 포인트를 상기 UE에 통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집성 시스템의 측정 보고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기준 주파수 포인트를 확정하는 방식은, 측정하는 컴포넌트 캐리어 및/또는 주파수 포인트가 동일한 주파수 대역에 있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측정 기준 주파수 포인트를 확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집성 시스템의 측정 보고 방법.
  9. 제1항 내지 제8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정보는 측정량, 캐리어 식별자, 셀 식별자, 측정 대상 식별자, 미리 설정한 전략 중의 1종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측정량은 각각의 캐리어 또는 측정 대상 지시 주파수 포인트 또는 측정 기준 주파수 포인트의 단독 측정량, 또는 다수 캐리어 또는 측정 대상 지시 주파수 포인트 또는 측정 기준 주파수 포인트의 종합 측정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집성 시스템의 측정 보고 방법.
  10. 네트워크 측으로부터의 메시지를 수신하는 수신 모듈;
    상기 수신 모듈이 수신한 메시지에 따라 컴포넌트 캐리어 및/또는 측정 대상이 측정 보고를 트리거하는 조건을 만족시키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 모듈;
    상기 판단 모듈의 판단 결과가 예스일 경우, 측정 보고 메시지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컴포넌트 캐리어의 측정 정보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측정 대상의 측정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 측에 보고하는 발송 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집성 시스템의 측정 보고 설비.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발송 모듈은, 보고 트리거 조건을 만족시키는 캐리어 또는 측정 대상 지시 주파수 포인트의 통계 측정량 또는 순간 측정량을 상기 네트워크 측에 보고하고, 기타 캐리어 또는 측정 대상 지시 주파수 포인트의 통계 측정량 또는 순간 측정량을 상기 네트워크 측에 보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집성 시스템의 측정 보고 설비.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발송 모듈은 또한, 보고 트리거 조건을 만족시키는 캐리어 또는 측정 대상 지시 주파수 포인트의 측정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 측에 보고하고, 기타 캐리어 또는 측정 대상 지시 주파수 포인트에서 미리 설정한 전략을 만족시키는 캐리어 또는 측정 대상 지시 주파수 포인트의 측정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 측에 보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집성 시스템의 측정 보고 설비.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한 전략은,
    측정량이 보고 리스트의 진입 조건을 만족시키지만 TimeToTrigger의 시간을 만족시키지 않거나; 또는
    측정량이 보고 트리거 조건을 만족시키지만 여전히 상기 보고 리스트 내에 있거나; 또는
    측정량이 보고 리스트의 진입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을 뿐만 아니라 TimeToTrigger의 시간도 만족시키지 않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집성 시스템의 측정 보고 설비.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발송 모듈은 또한, 측정량에 대응하는 캐리어 정보 및/또는 주파수 포인트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 측에 보고하고, 상기 캐리어 정보 및/또는 주파수 포인트 정보는 자신의 측정 식별자, 셀 식별자, 캐리어 식별자 또는 비트맵(bitmap) 정보에 의해 지시되며,
    상기 측정량에 대응하는 캐리어 정보는 컴포넌트 캐리어의 측정 정보이고, 상기 측정량에 대응하는 주파수 포인트 정보는 측정 대상 지시 주파수 포인트의 측정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집성 시스템의 측정 보고 설비.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발송 모듈은 또한, 기준 주파수 포인트를 측정하는 방식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컴포넌트 캐리어의 측정 정보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측정 대상의 측정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 측에 보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집성 시스템의 측정 보고 설비.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기준 주파수 포인트의 획득 방식은,
    상기 UE가 상기 측정 기준 주파수 포인트를 확정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이 상기 측정 기준 주파수 포인트를 확정하여 통지하는 방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집성 시스템의 측정 보고 설비.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기준 주파수 포인트를 확정하는 방식은,
    측정하는 컴포넌트 캐리어 및/또는 주파수 포인트가 동일한 주파수 대역에 있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측정 기준 주파수 포인트를 확정하는 방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집성 시스템의 측정 보고 설비.
  18. 제10항 내지 제17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정보는 측정량, 셀 식별자, 캐리어 식별자, 측정 대상 식별자, 미리 설정한 전략 중의 1종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측정량은 각각의 캐리어 또는 측정 대상 지시 주파수 포인트 또는 측정 기준 주파수 포인트의 단독 측정량, 또는 다수 캐리어 또는 측정 대상 지시 주파수 포인트 또는 측정 기준 주파수 포인트의 종합 측정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집성 시스템의 측정 보고 설비.

KR1020127010745A 2009-12-08 2010-11-24 캐리어 집성 시스템의 측정 보고 방법과 설비 KR1014539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0910242279.3A CN102014424B (zh) 2009-12-08 2009-12-08 一种载波聚合***的测量上报方法和设备
CN200910242279.3 2009-12-08
PCT/CN2010/079080 WO2011069410A1 (zh) 2009-12-08 2010-11-24 一种载波聚合***的测量上报方法和设备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3537A true KR20120063537A (ko) 2012-06-15
KR101453991B1 KR101453991B1 (ko) 2014-10-22

Family

ID=438443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0745A KR101453991B1 (ko) 2009-12-08 2010-11-24 캐리어 집성 시스템의 측정 보고 방법과 설비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591500B2 (ko)
EP (2) EP3982661A1 (ko)
JP (1) JP5592500B2 (ko)
KR (1) KR101453991B1 (ko)
CN (1) CN102014424B (ko)
WO (1) WO201106941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12756A (ko) * 2016-04-01 2017-10-12 삼성전자주식회사 보안 키를 생성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223666A (zh) * 2011-06-03 2011-10-19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基于优先级的测量上报方法和设备
EP2727397B1 (en) 2011-06-29 2018-10-31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and apparatus for terminal measurement configuration in multi-radio access technology environment
CN103096358B (zh) * 2011-11-03 2016-01-27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实现多载波测量结果上报的方法及装置
CN102547841B (zh) * 2012-01-29 2014-04-30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多载波测量结果的报告方法及装置
JP5942319B2 (ja) 2012-04-12 2016-06-29 シャープ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方法、移動局装置および基地局装置
US9578531B2 (en) * 2012-09-27 2017-02-21 Blackberry Limited Method and system for indicating frequency for reporting a GERAN CGI
EP3493631B1 (en) 2012-11-28 2022-11-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2117024B1 (ko) * 2012-11-28 2020-06-01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의 통신 방법 및 장치
CN103999544B (zh) * 2012-12-04 2018-06-26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家庭式基站网关及其发送消息的方法
WO2014098408A1 (ko) * 2012-12-20 2014-06-26 주식회사 팬택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전력 불균형 제어 장치 및 방법
JP6205756B2 (ja) * 2013-03-07 2017-10-0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同期計測システム
WO2014205726A1 (zh) * 2013-06-27 2014-12-31 华为技术有限公司 邻区频点上报、配置方法、装置及***
CN103858463B (zh) * 2013-09-12 2018-07-06 华为技术有限公司 Anr测量配置方法及装置
US10506455B2 (en) * 2014-01-16 2019-12-10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Obtaining additional supported bands of neighbor cells via automatic neighbor relation (ANR)
CN105453630A (zh) * 2014-02-13 2016-03-30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rs snr的上报、接收方法、终端及装置
KR102174133B1 (ko) 2014-03-21 2020-11-04 삼성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셀 측정 수행 및 스몰 셀의 특수 기능 셀을 선택하는 방법 및 장치
CN107222300B (zh) * 2017-05-31 2020-08-14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载波聚合信息上报方法及***
WO2019140628A1 (zh) * 2018-01-19 2019-07-25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获取相邻小区信息的方法、网络设备及用户设备
CN110351892B (zh) * 2018-04-04 2021-10-29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通知方法及相关设备
CN110611581A (zh) * 2018-06-15 2019-12-24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小区管理方法、终端及网络侧设备
CN110661600A (zh) * 2018-06-28 2020-01-07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测量配置方法、测量方法、网络侧设备和终端
CN112738853B (zh) * 2019-10-14 2022-07-22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测量处理方法、装置及设备
WO2021203325A1 (en) * 2020-04-08 2021-10-14 Apple Inc. User equipment assisted carrier aggregation
CN113543329B (zh) * 2020-04-21 2023-11-14 深圳市万普拉斯科技有限公司 上报状态消息处理方法、装置、移动终端和存储介质
CN117769034A (zh) * 2022-09-19 2024-03-26 华为技术有限公司 通信方法和通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8327C (zh) * 2001-12-24 2004-09-22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间切换方法
AU2003238602A1 (en) * 2002-06-27 2004-01-19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easurement of channel characteristics in a communication system
CN100463560C (zh) * 2005-06-06 2009-02-18 上海原动力通信科技有限公司 基于时分双工***的小区切换方法
US8797889B2 (en) 2007-04-13 2014-08-05 Telefonaktiebolaget LML Ericsson (Publ) Multi-carrier CQI feedback method and apparatus
CN101426224A (zh) * 2007-11-02 2009-05-06 华为技术有限公司 测量结果上报方法、***及设备
WO2009123391A1 (en) 2008-03-31 2009-10-08 Lg Electronics Inc. Reporting measurements from a mobile station to a network and associated handover control method
US9226205B2 (en) 2008-04-25 2015-12-29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ulti-cell WTRUs configured to perform mobility procedures and methods
US8811350B2 (en) * 2009-03-13 2014-08-19 Lg Electronics Inc. Handover performed in consideration of uplink/downlink component carrier setup
WO2010113490A1 (ja) 2009-03-31 2010-10-0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無線通信基地局、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
EP2903326B1 (en) * 2009-04-15 2016-09-28 HTC Corporation Method of handling measurement capability and related communication device
CN101888648A (zh) 2009-05-11 2010-11-17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上行同步控制方法及装置
CN101932045B (zh) 2009-06-24 2014-11-0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载波聚合中测量结果的上报方法及用户设备
CN101932010A (zh) 2009-06-25 2010-12-2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用于确定上行反传结束时间的方法和装置
WO2011041754A1 (en) * 2009-10-02 2011-04-07 Research In Motion Limited Mobility in a wireless network
US8270374B2 (en) * 2009-10-02 2012-09-18 Research In Motion Limited Determining link quality for networks having relays
KR20110048456A (ko) * 2009-11-02 2011-05-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셀 측정 방법 및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12756A (ko) * 2016-04-01 2017-10-12 삼성전자주식회사 보안 키를 생성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592500B2 (ja) 2014-09-17
EP3982661A1 (en) 2022-04-13
US9591500B2 (en) 2017-03-07
EP2512170A4 (en) 2017-05-31
KR101453991B1 (ko) 2014-10-22
US20120244905A1 (en) 2012-09-27
CN102014424B (zh) 2014-08-20
CN102014424A (zh) 2011-04-13
WO2011069410A1 (zh) 2011-06-16
EP2512170B1 (en) 2022-01-05
EP2512170A1 (en) 2012-10-17
JP2013513257A (ja) 2013-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3991B1 (ko) 캐리어 집성 시스템의 측정 보고 방법과 설비
US9008583B2 (en) Method for reporting measurement results in carrier aggregation and user equipment
US10798719B2 (en) Communications device, infrastructure equipment,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 and methods
CA2992689C (en) Terminal device, base station device, measurement method, and integrated circuit
CN102356667B (zh) 无线通信***、终端装置、基站装置及无线通信方法
CN107852629B (zh) 终端装置、基站装置、通信方法以及集成电路
US9473966B2 (en) Enabling reporting of non-real-time MDT measurements
KR101452920B1 (ko) 멀티-캐리어 시스템에 대한 측정 평가 방법, 측정 평가 시스템 및 측정 평가 장치
JP6873697B2 (ja) 端末装置、および、基地局装置
RU2567505C2 (ru) Предоставление отчета измерений mdt не в реальном времени
CN110913422A (zh) 用于小区测量的方法和装置
US20110201324A1 (en) Reporting of Non-Real-Time MDT Measurements
JP2014030245A (ja) マルチコンポーネント・キャリア・セルの識別
JP2014501470A (ja) 測定能力の報告方法及びue
KR20110011281A (ko) 캐리어 집합을 이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멀티 캐리어에 대한 채널 품질 정보를 측정하는 방법
US20190014514A1 (en) Methods and Arrangements for Supporting Cell Selection and Cell Reselec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KR20110122454A (ko)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복수 개의 캐리어들이 집적된 단말기의 캐리어들에 대한 효율적인 메저먼트 방법
US20170222671A1 (en) Network assisted interference cancellation and suppression, methods and devices for controlling the same
EP2783541B1 (en) Carrier aggregation optimization
WO2017054128A1 (zh) 一种载波聚合技术中载波选择方法和设备
JP2019535159A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セル変更
JP2014075802A (ja) 端末装置、端末装置の通信方法、端末装置の処理部、基地局装置、基地局装置の通信方法、基地局装置の処理部
EP2901745B1 (en) Evaluation of radio network feature
WO2013181829A1 (en) Apparatuses, method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related to improvements in carrier loading status repor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