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60630A - 진단용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진단용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60630A
KR20120060630A KR1020100122232A KR20100122232A KR20120060630A KR 20120060630 A KR20120060630 A KR 20120060630A KR 1020100122232 A KR1020100122232 A KR 1020100122232A KR 20100122232 A KR20100122232 A KR 20100122232A KR 20120060630 A KR20120060630 A KR 201200606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wireless terminal
diagnostic monitoring
wireless
came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22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홍순
이형수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001222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60630A/ko
Priority to US13/298,784 priority patent/US20120140053A1/en
Publication of KR201200606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06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02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 A61B1/00011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characterised by signal transmission
    • A61B1/00016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characterised by signal transmission using wireless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3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single remote sour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12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haracterised by internal passages or accessories therefor
    • A61B1/018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haracterised by internal passages or accessories therefor for receiving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4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ombined with photographic or television appliances
    • A61B1/05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ombined with photographic or television appliances characterised by the image sensor, e.g. camera, being in the distal end por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무선 단말과 무선으로 통신하며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진단용 모니터링 장치의 진단용 모니터링 방법이 제공된다. 진단용 모니터링 장치는 무선 단말과 연결을 설정한 후에 무선 단말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한다. 진단용 모니터링 장치는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카메라 모듈로 신체 부위의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한 영상을 디지털 영상 신호를 인코딩한다. 그리고 진단용 모니터링 장치는 디지털 영상 신호를 패킷화한 후에 무선 단말로 송신한다.

Description

진단용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HEALTH MONITORING}
본 발명은 진단용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무선 단말을 이용한 개인 진단용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진단용 모니터링 장치로 사용되었던 내시경은 사물을 관찰하기 위한 대물 렌즈와 눈으로 보기 위한 대안 렌즈로 구성되었으나, 근래의 내시경은 관찰 부위의 영상을 카메라로 촬영하여 영상 정보를 유선 통신 혹은 무선 통신으로 영상 출력 장치에 전달하고 영상 출력 장치에서 해당 영상을 출력한다.
카메라는 전하 결합 소자(charge coupled device, CCD) 또는 상보성 금속 산화물 반도체(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CMOS)를 사용하여 직경이 수mm 정도의 초소형일 뿐만 아니라 저렴하게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가 사용하기에 불편이 없는 크기와 해상도를 제공하기 위해서, 영상 출력 장치의 크기와 가격을 줄이는 것은 쉽지 않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크기와 가격을 줄일 수 있는 진단용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르면, 진단용 모니터링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무선 단말과 무선으로 통신하는 진단용 모니터링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진단용 모니터링 장치는 카메라 모듈, 영상 인코더, 제어부 및 송수신부를 포함한다. 상기 카메라 모듈은 신체 부위의 영상을 촬영하고, 상기 영상 인코더는 상기 카메라 모듈에서 촬영된 영상을 디지털 영상 신호로 인코딩한다. 상기 제어부 상기 디지털 영상 신호를 패킷화하며, 상기 무선 단말의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카메라 모듈을 제어한다. 상기 송수신부는 상기 제어부에서 패킷화된 영상 신호를 상기 무선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무선 단말에서 수신한 상기 제어 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전달한다.
상기 송수신부는 주기적으로 비컨을 송출하고, 상기 비컨에 따라 상기 무선 단말로부터 전송된 가입 요구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가입 요구 메시지에 응답하여서 가입 응답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입 응답 메시지의 전송에 따라 상기 무선 단말과 연결이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송수신부는 상기 무선 단말로부터 전송된 프로브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프로브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여 프로브 응답 메시지를 상기 무선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프로브 응답 메시지에 따라 승인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승인 메시지의 수신에 따라 상기 무선 단말과 연결이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진단용 모니터링 장치는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영상을 촬영할 때 조명을 제어하는 발광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카메라 모듈의 촬영 방향 및 촬영 화질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진단용 모니터링 장치는 상기 진단용 모니터링 장치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 제어부는, 재충전 가능한 배터리,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배터리 충전부, 어댑터에서 제공되는 전압을 상기 배터리 충전부에 필요한 전압으로 변환하는 전압 제어부, 그리고 상기 배터리에 충전된 전압을 상기 진단용 모니터링 장치에 필요한 전압으로 변환하는 출력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어댑터에서 제공되는 전압은 상기 무선 단말용 어댑터에서 제공되는 전압과 동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무선 단말과 무선으로 통신하며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진단용 모니터링 장치의 진단용 모니터링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진단용 모니터링 방법은, 상기 무선 단말과 연결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무선 단말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서 상기 카메라 모듈로 신체 부위의 영상을 촬영하는 단계, 촬영한 영상을 디지털 영상 신호를 인코딩하는 단계, 상기 디지털 영상 신호를 패킷화하는 단계, 그리고 패킷화한 디지털 영상 신호를 상기 무선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을 설정할 때, 주기적으로 비컨을 송출하고, 상기 비컨에 따라 상기 무선 단말로부터 가입 요구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가입 요구 메시지에 응답하여서 상기 무선 단말로 가입 응답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연결을 설정할 때, 상기 무선 단말로부터 프로브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프로브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여 상기 무선 단말로 프로브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프로브 응답 메시지에 따라 상기 무선 단말로부터 승인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영상을 촬영할 때, 상기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서 조명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영상을 촬영할 때, 상기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서 상기 카메라 모듈의 촬영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진단용 모니터링 방법은, 상기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서 상기 카메라 모듈의 영상 설정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무선 카메라와 무선으로 통신하는 무선 단말의 진단용 모니터링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진단용 모니터링 방법은, 상기 무선 카메라와 연결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무선 카메라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무선 카메라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무선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영상 신호에서 영상 정보를 프레임 단위로 구성하는 단계, 상기 영상 정보에 대응하는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 진단용 모니터링 메뉴를 제공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진단용 모니터링 메뉴를 통해 입력된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영상에 대한 영상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을 설정할 때, 상기 무선 카메라로부터 비컨을 수신하고, 상기 비컨에 응답하여서 상기 무선 카메라로 가입 요구 메시지를 송신하고, 상기 가입 요구 메시지에 따라 상기 무선 카메라로부터 가입 응답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연결을 설정할 때, 상기 무선 카메라로 프로브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프로브 요청 메시지에 따라 상기 무선 카메라로부터 프로브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프로브 응답 메시지에 응답하여 상기 무선 카메라로 승인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신호는 상기 무선 카메라의 촬영 방향 제어 정보, 촬영 밝기 제어 정보, 촬영 화질 제어 정보 및 동영상과 정지 영상의 선택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영상 서비스는 상기 영상을 저장하는 서비스, 상기 영상을 확대하는 서비스, 상기 영상과 다른 영상을 비교하는 서비스, 상기 영상을 사용자의 건강 정보를 관리하는 헬스 서버로 전송하는 서비스 및 상기 헬스 서버로부터 수신한 영상 정보를 표시하는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진단용 모니터링 방법은, 상기 무선 카메라의 소프트웨어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르면, 진단용 모니터링 장치에 필요한 기능 중 일부 기능을 무선 단말로 구현함으로써, 진단용 모니터링 장치의 소형화, 저전력화, 저가격화 등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진단용 모니터링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카메라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전원 제어부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단말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진단용 모니터링 시스템에서 무선 카메라와 무선 단말의 연결 절차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진단용 모니터링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먼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진단용 모니터링 시스템에 대해서 도 1 내지 도 4를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진단용 모니터링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진단용 모니터링 시스템은 무선 카메라(100), 무선 단말(200) 및 헬스 서버(300)를 포함한다.
무선 카메라(100)는 사람의 귀, 코, 목, 피부와 같은 신체 부위, 사물 등의 영상을 촬영하여 무선 단말(200)로 전송하며, 진단용 모니터링 장치로 동작한다.
무선 단말(200)은 무선 카메라(100)로부터 수신한 영상을 사용자가 관찰할 수 있도록 출력하거나 인터넷을 통하여 헬스 서버(300)로 전달한다. 이러한 무선 단말(200)로 휴대 전화기처럼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지는 단말이 사용될 수 있다. 무선 단말(200)에는 무선 카메라(100)를 제어하고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진단용 모니터링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며, 진단용 모니터링 어플리케이션은 인터넷을 통하여 무선 단말(200)에 추가되거나 업데이트될 수 있다.
헬스 서버(300)는 사용자의 건강 및 운동 정보를 저장하여 관리하며, 무선 단말(100)의 진단용 모니터링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헬스 서버(300)에 저장된 정보에 접근이 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카메라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전원 제어부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무선 카메라(100)는 카메라 모듈(110), 발광부(120), 영상 인코더(130), 제어부(140), 송수신부(150) 및 전원 제어부(160)를 포함한다.
카메라 모듈(110)은 CCD, CMOS 등의 이미지 센서를 통해 영상을 촬영하며, 상하, 좌우 방향으로 제어될 수 있다. 발광부(120)는 카메라 모듈(110)로 영상을 촬영할 때 조명을 제어하며,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영상 인코더(130)는 카메라 모듈(110)에서 촬영된 영상을 디지털 신호로 인코딩한다. 영상 인코더(130)는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 영상 신호의 해상도 및 압축 방법을 선택할 수 있다. 영상 인코더(130)는 지연 시간을 최소화하여 영상 신호를 실시간으로 관찰할 수 있도록 낮은 해상도의 영상을 압축하지 않고 전송하는 모드와 고해상도의 영상 신호를 전송하기 위하여 영상을 압축 코덱, 예를 들면 JPEG(joint photography experts group) 또는 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방식으로 압축 후 전송하는 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영상 신호를 송수신부(150)에서 무선으로 송수신할 수 있도록 패킷화하여 영상 신호 프레임을 생성한다. 송수신부(150)는 영상 신호 프레임을 변조하여서 무선 단말(200)로 전송하고, 무선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복조하여 제어부(140)로 전달한다. 제어부(140)는 복조한 신호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140)는 카메라 모듈(110), 발광부(120), 송수신부(150) 등의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140)는 영상 신호를 인터넷 프로토콜(internet protocol, IP)/사용자 데이터그램 프로토콜(user datagram protocol, UDP)로 패킷화한 후에, 이를 무선 인체 영역 망(wireless body area network, WBAN)의 매체 접근 제어(medium access control, MAC) 프레임으로 변환하여 송수신부(150)로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송수신부(150)는 영상 신호 프레임을 RF(radio frequency)로 변조하여 송신할 수 있다. 제어부(140)와 송수신부(150)는 WBAN 방식 외에 무선 개인 영역 망(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WPAN), 블루투스(bluetooth), 와이파이(Wi-Fi) 등의 방식을 사용할 수도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전원 제어부(160)는 무선 카메라(100)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배터리(162)를 포함한다. 배터리(162)는 재충전 가능한 배터리일 수 있으며, 무선 단말(200)의 배터리를 재충전할 때 사용하는 어댑터가 무선 카메라(100)의 배터리(162)의 재충전에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전원 제어부(160)는 전압 제어부(164), 배터리 충전부(166) 및 출력 제어부(168)를 더 포함한다. 전압 제어부(164)는 무선 단말(200)용 어댑터에서 제공되는 전압을 배터리 충전부(166)에 필요한 전압으로 변환하여 배터리 충전부(166)로 전달한다. 배터리 충전부(166)는 배터리를 충전하며 충전된 에너지를 표시한다. 출력 제어부(168)는 배터리에 충전된 전원을 무선 카메라(100)에서 필요한 전압으로 변환하여 카메라 모듈(110), 발광부(120), 영상 인코더(130), 제어부(140), 송수신부(150) 등에 제공한다.
한편, 무선 카메라(100)는 온도 센서(도시하지 않음)를 더 포함하여, 사용자의 신체 부위의 온도를 측정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단말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무선 단말(200)은 송수신부(210), 제어부(220), 영상 디코더(230) 및 영상 출력부(240)를 포함한다.
송수신부(210)는 무선 카메라(100)에서 전송된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 신호를 복조한 후에 제어부(220)로 전달한다. 제어부(220)는 무선 단말(200)용 프레임워크를 포함하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API)에 따라 송수신부(210)에서 전달된 신호에서 영상 정보를 분류하고 패킷 오버헤드를 제거한 후에, 무선 카메라(100)의 영상 정보를 영상 디코더(230)로 전달한다. 또한 제어부(220)는 무선 카메라(100)의 제어부(140)에 설치되어 무선 카메라(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소프트웨어를 업데이트할 수도 있다.
영상 디코더(230)는 영상 정보를 디코딩하여 프레임 단위로 재구성하고, 재구성한 영상 정보를 영상 출력부(240)로 전달한다. 이때, 영상 디코더(230)는 압축되지 않은 영상 신호의 경우 바로 디코딩하고 압축된 영상 신호의 경우 압축을 해제한 후 디코딩할 수 있다.
영상 출력부(240)는 영상 정보를 기초로 무선 카메라(100)에서 촬영된 영상을 표시한다. 한편 영상 출력부(240)는 표시 화면을 통해 무선 카메라(100)의 제어를 위한 진단용 모니터링 메뉴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무선 카메라의 조명, 촬영 화질, 촬영 방향 등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무선 카메라(100)를 위한 제어 메시지는 제어부(220)에서 패킷화된 후 송수신부(210)에서 변조되어 무선 카메라(100)로 전송된다.
한편 무선 단말(200)도 무선 단말(200)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제어부(도시하지 않음)를 더 포함한다.
다음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진단용 모니터링 시스템의 동작에 대해서 도 5 내지 도 7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진단용 모니터링 시스템에서 무선 카메라(100)와 무선 단말(200)의 연결 절차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 5는 무선 카메라(100)에서 시작하는 연결 절차를 나타내고 도 6은 무선 단말(200)에서 시작하는 연결 절차를 나타낸다.
도 5를 참고하면, 무선 카메라(100)의 전원이 켜지면 무선 카메라(100)는 채널을 스캔하여 다른 사용자가 사용하지 않는 빈 채널을 선택한다(S510). 빈 채널을 선택한 후에, 무선 카메라(100)의 송수신부(150)는 해당 채널을 통하여 주기적으로 비컨을 송출한다(S520). 비컨은 무선 카메라(100)의 식별자(identifier, ID)를 포함하며, 비컨 주기, 클럭 등의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무선 단말(200)은 채널을 스캔하면서 스캔되는 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비컨에 기초하여 자신이 사용할 수 있는 무선 카메라를 검색한다(S530). 무선 카메라(100)가 검색되면, 무선 단말(200)은 가입 요구 메시지를 무선 카메라(100)로 전송한다(S540). 가입 요구 메시지를 수신한 무선 카메라(100)는 가입 응답 메시지를 무선 단말(200)로 전송한다(S550). 무선 단말(200)이 가입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면 무선 카메라(100)와 양방향 통신을 설정한다(S560). 이 과정을 통해 무선 카메라(100)와 무선 단말(200)이 연결된다.
도 6을 참고하면, 도 4와 달리 사용자가 무선 카메라(100)을 전원을 켠 후 무선 단말(100)에서 진단용 모니터링 메뉴를 선택하면(S610), 무선 단말(200)이 무선 카메라를 검색하기 위하여 프로브 요청 메시지를 송출한다(S620). 프로브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무선 카메라(100)의 송수신부(150)는 무선 단말(200)로 프로브 응답 메시지를 보내고(S630), 프로브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무선 단말(200)은 무선 카메라(100)로 승인 메시지를 보낸다(S640). 무선 카메라(100)가 승인 메시지를 수신하면 무선 단말(200)과 양방향 통신을 설정한다(S650). 이 과정을 통해 무선 카메라(100)와 무선 단말(200)이 연결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진단용 모니터링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7을 참고하면, 도 5 또는 도 6을 참고하여 설명한 과정을 통해 무선 카메라(100)와 무선 단말(200)이 연결된 후(S710), 무선 단말(200)은 무선 카메라(100)의 카메라 모듈(110), 발광부(120) 및 기타 카메라 모듈(110)의 영상 설정을 제어하고, 제어에 따른 제어 신호를 무선 카메라로 전송한다(S720). 예를 들면, 무선 단말(200)의 영상 출력부(240)에서 제공되는 진단용 모니터링 메뉴를 통해, 동영상 또는 정지 영상 선택, 해상도(화질) 선택과 같은 영상 설정 외에 체온 측정, 전송 속도, 조명 밝기 등의 사항이 제어될 수 있다. 무선 단말(200)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서 무선 카메라(100)는 영상을 촬영하고(S730), 영상 신호를 무선 단말(200)로 전송한다(S740). 무선 단말(200)은 수신한 영상 신호에 기초하여 영상 출력부(240)에 영상을 출력한다(S750). 영상을 관찰한 사용자의 진단용 모니터링 메뉴를 통한 제어에 따라 무선 단말(200)은 영상 서비스를 제공한다(S760). 이러한 영상 서비스는 영상의 확대/축소, 영상의 저장, 다른 서버(예를 들면 도 1의 300)로의 영상 전송, 다른 영상과의 비교, 관련 자료 검색 중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를 포함한다. 이후, 영상 관찰 및 영상 서비스의 종료 후에 무선 단말(200)와 무선 카메라(100)의 연결이 종료된다(S770).
한편, 무선 카메라(100)는 체온을 측정한 후, 체온에 대한 신호를 무선 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체온은 영상 출력부(240)에서 문자 또는 그림의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르면, 진단용 모니터링 장치에 필요한 기능 중 일부 기능을 무선 단말로 구현함으로써, 진단용 모니터링 장치의 소형화, 저전력화, 저가격화 등을 구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진단용 모니터링 장치를 사용자가 휴대하여 신체 부위, 사물 등을 쉽게 관찰할 수 있으므로, 가정이나 옥외에서 개인 헬스케어 등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20)

  1. 진단용 모니터링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무선 단말과 무선으로 통신하는 진단용 모니터링 장치로서,
    신체 부위의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
    상기 카메라 모듈에서 촬영된 영상을 디지털 영상 신호로 인코딩하는 영상 인코더,
    상기 디지털 영상 신호를 패킷화하며, 상기 무선 단말의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카메라 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부, 그리고
    상기 제어부에서 패킷화된 영상 신호를 상기 무선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무선 단말에서 수신한 상기 제어 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송수신부
    를 포함하는 진단용 모니터링 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송수신부는 주기적으로 비컨을 송출하고, 상기 비컨에 따라 상기 무선 단말로부터 전송된 가입 요구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가입 요구 메시지에 응답하여서 가입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며,
    상기 가입 응답 메시지의 전송에 따라 상기 무선 단말과 연결이 설정되는
    진단용 모니터링 장치.
  3. 제1항에서,
    상기 송수신부는 상기 무선 단말로부터 전송된 프로브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프로브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여 프로브 응답 메시지를 상기 무선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프로브 응답 메시지에 따라 승인 메시지를 수신하며,
    상기 승인 메시지의 수신에 따라 상기 무선 단말과 연결이 설정되는
    진단용 모니터링 장치.
  4. 제1항에서,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영상을 촬영할 때 조명을 제어하는 발광부를 더 포함하는 진단용 모니터링 장치.
  5. 제1항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카메라 모듈의 촬영 방향 및 촬영 화질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진단용 모니터링 장치.
  6. 제1항에서,
    상기 진단용 모니터링 장치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진단용 모니터링 장치.
  7. 제6항에서,
    상기 전원 제어부는
    재충전 가능한 배터리,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배터리 충전부,
    어댑터에서 제공되는 전압을 상기 배터리 충전부에 필요한 전압으로 변환하는 전압 제어부, 그리고
    상기 배터리에 충전된 전압을 상기 진단용 모니터링 장치에 필요한 전압으로 변환하는 출력 제어부
    를 포함하는 진단용 모니터링 장치.
  8. 제7항에서,
    상기 어댑터에서 제공되는 전압은 상기 무선 단말용 어댑터에서 제공되는 전압과 동일한 진단용 모니터링 장치.
  9. 무선 단말과 무선으로 통신하며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진단용 모니터링 장치의 진단용 모니터링 방법으로서,
    상기 무선 단말과 연결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무선 단말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서 상기 카메라 모듈로 신체 부위의 영상을 촬영하는 단계,
    촬영한 영상을 디지털 영상 신호를 인코딩하는 단계,
    상기 디지털 영상 신호를 패킷화하는 단계, 그리고
    패킷화한 디지털 영상 신호를 상기 무선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진단용 모니터링 방법.
  10. 제9항에서,
    상기 연결을 설정하는 단계는,
    주기적으로 비컨을 송출하는 단계,
    상기 비컨에 따라 상기 무선 단말로부터 가입 요구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가입 요구 메시지에 응답하여서 상기 무선 단말로 가입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진단용 모니터링 방법.
  11. 제9항에서,
    상기 연결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무선 단말로부터 프로브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프로브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여 상기 무선 단말로 프로브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프로브 응답 메시지에 따라 상기 무선 단말로부터 승인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진단용 모니터링 방법.
  12. 제9항에서,
    상기 영상을 촬영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서 조명을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진단용 모니터링 방법.
  13. 제9항에서,
    상기 영상을 촬영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서 상기 카메라 모듈의 촬영 방향을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진단용 모니터링 방법.
  14. 제9항에서,
    상기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서 상기 카메라 모듈의 영상 설정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진단용 모니터링 방법.
  15. 무선 카메라와 무선으로 통신하는 무선 단말의 진단용 모니터링 방법으로서,
    상기 무선 카메라와 연결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무선 카메라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무선 카메라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무선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영상 신호에서 영상 정보를 프레임 단위로 구성하는 단계,
    상기 영상 정보에 대응하는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
    진단용 모니터링 메뉴를 제공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진단용 모니터링 메뉴를 통해 입력된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영상에 대한 영상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진단용 모니터링 방법.
  16. 제15항에서,
    상기 연결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무선 카메라로부터 비컨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비컨에 응답하여서 상기 무선 카메라로 가입 요구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가입 요구 메시지에 따라 상기 무선 카메라로부터 가입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진단용 모니터링 방법.
  17. 제15항에서,
    상기 연결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무선 카메라로 프로브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프로브 요청 메시지에 따라 상기 무선 카메라로부터 프로브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프로브 응답 메시지에 응답하여 상기 무선 카메라로 승인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진단용 모니터링 방법.
  18. 제15항에서,
    상기 제어 신호는 상기 무선 카메라의 촬영 방향 제어 정보, 촬영 밝기 제어 정보, 촬영 화질 제어 정보 및 동영상과 정지 영상의 선택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진단용 모니터링 방법.
  19. 제15항에서,
    상기 영상 서비스는 상기 영상을 저장하는 서비스, 상기 영상을 확대하는 서비스, 상기 영상과 다른 영상을 비교하는 서비스, 상기 영상을 사용자의 건강 정보를 관리하는 헬스 서버로 전송하는 서비스 및 상기 헬스 서버로부터 수신한 영상 정보를 표시하는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를 포함하는 진단용 모니터링 방법.
  20. 제15항에서,
    상기 무선 카메라의 소프트웨어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진단용 모니터링 방법.
KR1020100122232A 2010-12-02 2010-12-02 진단용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 KR20120060630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2232A KR20120060630A (ko) 2010-12-02 2010-12-02 진단용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
US13/298,784 US20120140053A1 (en) 2010-12-02 2011-11-17 Health monitoring method and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2232A KR20120060630A (ko) 2010-12-02 2010-12-02 진단용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0630A true KR20120060630A (ko) 2012-06-12

Family

ID=461618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2232A KR20120060630A (ko) 2010-12-02 2010-12-02 진단용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20140053A1 (ko)
KR (1) KR2012006063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2572A (ko) * 2019-03-22 2020-10-05 지앨에스 주식회사 치료장치용 무선통신기 및 이를 구비한 무압축 영상 전송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1188B1 (ko) * 2012-01-06 2018-09-27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신체 영역 네트워크(wban)에서 노드의 활동 구간을 재설정하기 위한 허브, 중계 노드, 노드 및 그 통신 방법
CN110445905B (zh) * 2018-05-04 2021-01-26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图像获取设备、电子设备及图像获取***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02004015173D1 (de) * 2003-01-21 2008-09-04 Canon Kk Bildaufnahmegerät und Bildaufnahmesystem
US8155703B2 (en) * 2004-10-01 2012-04-10 Broadcom Corporation Wireless device having a configurable camera interface to support digital image processing
US7944470B2 (en) * 2005-03-04 2011-05-17 Armida Technologies Corporation Wireless integrated security controller
US7564990B2 (en) * 2005-08-18 2009-07-21 Nu Skin International, Inc. Imaging system and method for physical feature analysis
US7974574B2 (en) * 2007-07-25 2011-07-05 Microsoft Corporation Base station initiated proximity service discovery and connection establishment
US20090043199A1 (en) * 2007-08-10 2009-02-12 Laurent Pelissier Wireless network having portable ultrasound devices
US8199507B2 (en) * 2008-12-19 2012-06-12 Openpeak Inc. Telephony and digital media services device
WO2010091129A1 (en) * 2009-02-04 2010-08-12 Abbott Diabetes Care Inc. Multi-function analyte test device and methods therefor
JP2011101458A (ja) * 2009-11-04 2011-05-19 Fujitsu Ltd 電子装置および電源制御装置
US8630586B2 (en) * 2010-08-31 2014-01-14 Apple Inc. Intelligent pairing of electronic devic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2572A (ko) * 2019-03-22 2020-10-05 지앨에스 주식회사 치료장치용 무선통신기 및 이를 구비한 무압축 영상 전송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140053A1 (en) 2012-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38843B2 (en) Image transmission apparatus, image transmission method, program, and storage medium
JP5692215B2 (ja) 撮像装置、撮像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1477316B2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wireless terminal,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US20080266448A1 (en) Wearable personal video/audio device method and system
US8390720B2 (en) Advanced magnif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low-power sensor systems
JP2002354329A (ja) 撮影装置および撮影システム
CN101710982A (zh) 一种图像采集方法、***及所采用的拍摄设备
KR20120060630A (ko) 진단용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
KR20100093659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화상통화 시 자동으로 이모티콘을 전송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JP2016127379A (ja) 情報処理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368698B1 (ko) 스마트폰 거치아암
JP3804766B2 (ja) 画像通信装置および携帯型電話機
KR101240166B1 (ko) 무선 usb 기반의 카메라 탈착형 실물화상기, 그리고 무선 usb 기반의 카메라 탈착형 실물화상기를 이용한 실시간 영상 전송 방법
JP2009186712A (ja) 投影機能付きクレードル及び投影システム
KR20130076948A (ko) 디지털 영상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05007423A (zh) 一种自助拍摄***及方法
CN211429388U (zh) 无线医疗用摄像装置及***
KR101341578B1 (ko) 무선 인터넷 접속 중계기
JP6145905B1 (ja) 照明制御システム及び照明制御方法
CN111093014B (zh) 无线医疗用摄像装置、***及方法
CN113934388B (zh) 同步显示方法、终端及存储介质
US9350910B2 (en) Operation device, imaging device, and remote imaging system
WO2022206771A1 (zh) 一种投屏方法、电子设备和***
KR100797087B1 (ko) 디지털카메라, 상기 디지털 카메라의 원격제어가 가능한이동통신 단말기 및 상기 디지털 카메라의 원격제어 방법
JP2023093060A (ja) 通信装置及び通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