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58827A - Electric precipitator - Google Patents

Electric precipit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58827A
KR20120058827A KR1020100120311A KR20100120311A KR20120058827A KR 20120058827 A KR20120058827 A KR 20120058827A KR 1020100120311 A KR1020100120311 A KR 1020100120311A KR 20100120311 A KR20100120311 A KR 20100120311A KR 20120058827 A KR20120058827 A KR 201200588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wires
rows
case
adjac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031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유광준
박병권
목진호
원찬식
이홍용
황규덕
박종헌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203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58827A/en
Publication of KR201200588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8827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38Particle charging or ionising stations, e.g. using electric discharge, radioactive radiation or fl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40Electrode constructions
    • B03C3/41Ionising-electro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82Housings
    • B03C3/84Protective coat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92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by electrical means, e.g. by applying electrostatic fields or high voltages

Abstract

PURPOSE: An electric precipitator is provided to avoid restriction of installation space by not being influence of flow formation. CONSTITUTION: An electric precipitator comprises a case(110), a first wire, a second wire, and a power supply unit(120). In the case, openings are formed. The first wire is installed to the case and has bipolar property. The second wire is installed in the case and has a cathodic property. The first wire and the second wire are arranged in the openings of the case by turns. The first wire and the second wire comprise a conductive part and a coating unit. The conductive part consists of conductive materials. The coating unit consists of dielectric which coats outside the conductive part.

Description

전기 집진 장치{Electric precipitator}Electric precipitator

본 발명은 파티클의 집진 능력 향상을 위한 전기 집진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ic dust collecting device for improving the dust collecting ability of the particles.

최근 의학 및 산업의 연구와 제조가 이루어 지는 공간의 환경이 중요한 이슈로 등장하고 있다. 여기서 환경 인자는 청정도, 온도, 습도 등이 있다. Recently, the environment of the space where research and manufacture of medicine and industry is made has emerged as an important issue. Environmental factors include cleanliness, temperature, and humidity.

이 중 과거에 비하여 중요한 인자로 부각되고 있는 것은 청정도 이다. 그 이유는 온도와 습도는 과거와 동일한 수준으로 관리되고 있으나 청정도는 산업발달과 함께 관리기준이 더욱 엄격해지고 있기 때문이다. Among these, cleanliness is emerging as an important factor compared to the past. The reason is that temperature and humidity are managed at the same level as in the past, but cleanliness is becoming more stringent with industrial development.

이에 따라 최근 의학 및 산업의 연구와 제조가 이루어 지는 공간의 환경에 다양한 공기 정화 설비가 적용되고 있다.Accordingly, various air purification facilities have been applied to the environment of space where research and manufacture of medicine and industry are made recently.

여기서 공기 정화 설비는 발진이 예상되는 위치에서 유동을 흡입한 후 코로나 방전에 의하여 대기 중의 오염분진 및 미세한 먼지를 포함한 각종 부유입자를 전기적으로 대전시켜 흡착하는 전기 집진 장치와, 진공(Vacuum)을 이용하여 발진이 예상되는 위치의 유동을 흡입한 후 필터를 이용하여 유동 내부의 입자를 제거하는 유동화 집진 장치가 있다.Here, the air purification equipment uses an electric dust collector and a vacuum, which sucks the flow at a position where oscillation is expected, and then electrically charges and adsorbs various suspended particles including polluted dust and fine dust in the air by corona discharge. Therefore, there is a fluidized dust collector which sucks the flow at a position where oscillation is expected and then removes particles in the flow by using a filter.

전기집진장치는 집진 장치 안으로 입자를 유도하는 유동 형성부, 고전압에 의한 기체방전(Corona Discharge)부, 기체방전에 의하여 생성된 이온과 전자를 입자에 부착시켜 대전시키는 대전부, 대전된 입자를 포집하는 집진부를 포함한다.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includes a flow forming unit for inducing particles into the dust collector, a corona discharge unit due to a high voltage, a charging unit for attaching ions and electrons generated by the gas discharge to the particles, and collecting charged particles. It includes a dust collector.

이러한 전기 집진 장치는 내부로 유동이 형성되어야 하므로 유동 형성이 금지된 공간에서는 사용할 수 없으며, 유동을 흡입하고 배기하는 데 있어 일정한 방향성을 가지게 되므로 랜덤 유동이 형성되는 공간에서는 사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Such an electrostatic precipitator cannot be used in a space where a flow is prohibited because the flow is to be formed inside, and has a certain direction in sucking and exhausting a flow, and thus there is a problem that it cannot be used in a space in which a random flow is formed.

또한 전기 집진 장치는 코로나(Corona) 방전으로 발생된 전자 및 이온의 흐름으로 인하여 전류가 흐르게 되므로 전력소모가 발생하게 되고, EMI 및 EMC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특히 EMI 및 EMC 발생으로 인하여 자동화기기의 오동작을 발생시켜 큰 손실을 야기할 수 있고, 코로나 방전에 의하여 발생한 전자 및 이온에 의해 또 다른 오염 입자가 생성되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has a problem in that electric power is generated due to the flow of electrons and ions generated by corona discharge, resulting in power consumption and EMI and EMC. In particular, due to EMI and EMC generation may cause a malfunction of the automation device, causing a large loss, there is a problem that another polluted particles are generated by the electrons and ions generated by the corona discharge.

전기 집진 장치는 전극에서 코로나 방전을 발생하기 때문에 유전체 코팅이 불가능하며 전극에 먼지가 누적되면 방전 성능이 저하되었다. 또한 시간이 흐름에 따라 누적된 먼지가 전극과 같은 극성으로 대전되어 결국 전극에서 튀어나올 가능성이 있다.Since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generates corona discharge at the electrode, it is impossible to coat the dielectric. When dust accumulates on the electrode, the discharge performance is degraded. There is also a possibility that over time, the accumulated dust is charged with the same polarity as the electrode and eventually pops out of the electrode.

그리고 유동화 집진 장치는 유동 형성이 금지된 공간에는 사용할 수 없고, 유동을 일으키기 위해 구동하는 모터의 진동에 의해 첨단연구 공간에도 사용할 수 없으며, 유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덕트, 매니폴드, 흡입구, 배기구의 제작에 고비용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the fluidized dust collector cannot be used in a space where flow formation is prohibited, and can not be used in advanced research spaces due to the vibration of a motor driven to generate a flow, and the manufacture of ducts, manifolds, inlets, and exhaust ports for guiding the flow There is a problem of high cost.

일 측면은 케이스 내에 양극성과 음극성을 가진 와이어를 교대로 배치하여 파티클을 집진하는 전기 집진 장치를 제공한다.One aspect provides an electrostatic precipitator for collecting particles by alternately arranging wires having positive and negative polarities in a case.

다른 측면은 고전압이 흐르는 와이어를 유전체로 코팅하여 감전의 위험을 감소시킨 전기 집진 장치를 제공한다.Another aspect provides an electrostatic precipitator in which a high voltage wire is coated with a dielectric to reduce the risk of electric shock.

일 측면에 따르면 전기 집진 장치는, 개구가 형성된 케이스; 케이스에 장착되고 양극성을 갖는 제1와이어; 케이스에 장착되고 음극성을 갖는 제2와이어를 포함하고, 제1와이어와 제2와이어는 케이스의 개구에 교대로 배치된다.According to one aspect,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includes: a case in which an opening is formed; A first wire mounted to the case and having bipolarity; A second wire mounted to the case and having a negative polarity, wherein the first wire and the second wire are alternately disposed in the opening of the case.

제1와이어와 제2와이어는, 도전체로 이루어진 도전부와, 도전부의 외부에 코팅된 유전체로 이루어진 코팅부를 각각 포함한다.The first and second wires each include a conductive portion made of a conductor and a coating portion made of a dielectric coated on the outside of the conductive portion.

케이스는, 제1 와이어와 제 2와이어의 미 장착 면에 형성된 홀을 포함한다.The case includes a hole formed in the unmounted surface of the first wire and the second wire.

제1 와이어와 제2와이어에 서로 다른 극성의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더 포함한다.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power supply unit configured to supply power having different polarities to the first wire and the second wire.

제1와이어의 일단과 상기 제2와이어의 일단은 상기 전원부에 연결되고, 전기 집진 장치는 제1와이어의 타단과 상기 제2와이어의 타단을 케이스에 고정시키는 연결부를 더 포함한다.One end of the first wire and one end of the second wire are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unit, and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further includes a connection part for fixing the other end of the first wire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wire to the case.

제1와이어와 제2와이어 사이에 전기장을 형성시켜 미립자를 집진한다.Particulates are collected by forming an electric fiel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wires.

제1와이어와 제2와이어는 복수의 열과 복수의 행으로 배치되되, 동일한 행은 동일한 극성을 가진 와이어로 배치되고 서로 인접한 행은 다른 극성을 와이어로 배치된다.The first wire and the second wire are arranged in a plurality of columns and a plurality of rows, with the same row being arranged with wires having the same polarity and the adjacent rows being arranged with wires of different polarity.

제1와이어와 제2와이어는 복수의 열과 복수의 행으로 배치되되, 동일한 열은 동일한 극성을 가진 와이어로 배치되고 서로 인접한 열은 다른 극성을 가진 와이어로 배치된다.The first wire and the second wire are arranged in a plurality of columns and a plurality of rows, wherein the same columns are arranged with wires having the same polarity, and adjacent columns are arranged with wires having different polarities.

제1와이어와 제2와이어는 복수의 열과 복수의 행으로 배치되되, 복수의 행은 적어도 두 개의 행으로 이루어진 행 그룹을 가지고, 서로 인접한 행 그룹은 서로 다른 극성을 가진 와이어로 배치되고, 행 그룹에서 동일한 열은 동일한 극성을 가진 와이어가 배치되고 서로 인접한 열을 서로 다른 극성을 가진 와이어로 배치된다.The first wire and the second wire are arranged in a plurality of columns and a plurality of rows, the plurality of rows having a row group consisting of at least two rows, the row groups adjacent to each other are arranged with wires having different polarities, and the row group In the same row, wires having the same polarity are arranged and adjacent rows are arranged as wires having different polarities.

제1와이어와 제2와이어는 복수의 열과 복수의 행으로 배치되고, 제1와이어와 제2와이어를 직각 삼각 기둥 형상으로 배치하되, 빗면이 맞닿는 형상으로 배치한다.The first wire and the second wire are arranged in a plurality of rows and a plurality of rows, and the first wire and the second wire are arranged in a right triangular column shape, but in a shape in which the inclined surfaces abut.

제1와이어와 제2와이어는 복수의 열과 복수의 행으로 배치되되, 동일한 행에서 서로 인접한 와이어는 서로 다른 극성으로 배치되고, 동일한 열에서 서로 인접한 와이어는 서로 다른 극성으로 배치된다.The first wire and the second wire are arranged in a plurality of columns and a plurality of rows, in which wires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same row are disposed with different polarities, and wires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same row are disposed with different polarities.

제1와이어와 제2와이어는 복수의 열 그룹과 복수의 행으로 배치되고, 제1와이어와 제2와이어를 육각 기둥 형상으로 배치하되, 육각 기둥 형상에서 서로 인접한 꼭지점은 서로 다른 극성으로 배치한다.The first wire and the second wire are arranged in a plurality of column groups and a plurality of rows, and the first wire and the second wire are arranged in a hexagonal column shape, and vertices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hexagonal column shape are disposed with different polarities.

일 측면에 따르면, 전기장을 이용하여 파티클을 집진함으로써 유동 형성에 영향을 받지 않아 설치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는다. 이로 인해 전기 집진 장치의 설치가 용이하다.According to one aspect, by collecting the particles using an electric field is not affected by the flow formation is not limited by the installation space. This makes it easy to install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또한 전기장을 이용하여 파티클을 집진함으로써 전자 및 이온을 발생시켜 입자를 대전시키는 전리부 및 유동 형성 장치를 없앨 수 있어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고, 소형으로 제작할 수 있다.In addition, by collecting the particles using an electric field, the ionizing unit and the flow forming device that generate electrons and ions to charge the particles can be eliminated, thereby simplifying the structure and making it compact.

또한 코로나(Corona) 방전에 의해 발생된 전자 및 이온의 흐름으로 인한 전류가 발생되지 않아 전력을 절감할 수 있고, EMI 및 EMC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며 EMI 및 EMC 발생으로 인한 자동화기기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고, 코로나 방전에 의한 또 다른 오염 입자의 생성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save power by not generating current due to the flow of electrons and ions generated by corona discharge,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EMI and EMC, and to prevent malfunction of automation equipment due to EMI and EMC.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ormation of another contaminating particle by corona discharge.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전기장이 형성되도록 하는 와이어를 유전체로 코팅함으로써 와이어 주변에 더욱 강력하고 불균일한 전계가 형성되어 입자의 집진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파티클이 유전체에 누적됨으로써 파티클이 와이어에서 형성되는 전기장 형성에 영향을 주지 않아 전기 집진의 성능 저하를 유발하지 않는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by coating the wire to allow the electric field to be formed with a dielectric, a stronger and more uneven electric field is formed around the wire to improve the dust collecting ability of the particles, and the particles accumulate in the dielectric to form particles in the wire It does not affect the electric field formation and does not cause the performance of electric dust collection.

또한 와이어가 유전체로 코팅됨에 따라 감전 위험을 없앨 수 있고, 기체 방전(Corona Discharge)을 방지할 수 있으며 와이어의 유지보수가 불필요하여 관리가 매우 용이하다.In addition, since the wire is coated with a dielectric, the risk of electric shock can be eliminated, it is possible to prevent corona discharge, and the maintenance of the wire is unnecessary, which is very easy to manage.

그리고 유동을 흡입하고 배기할 필요가 없으므로 일정한 방향성을 갖는 유동뿐 아니라 랜덤 유동이 형성되는 공간에서 사용이 용이하다.And since there is no need to inhale and exhaust the flow, it is easy to use in a space in which a random flow is formed as well as a flow having a constant directionality.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집진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1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 집진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집진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집진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집진 장치에 마련된 제1와이어와 제2와이어의 단면도이다.
도 5a 내지 5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집진 장치에 마련된 제1와이어와 제2와이어의 배치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집진 장치에 마련된 제1와이어와 제2와이어의 배치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집진 장치에 마련된 제1와이어와 제2와이어 사이의 전기장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집진 장치의 파티클 집진 예시도이다.
1A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lectrostatic precipit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B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ront view of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ide view of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first wire and the second wire provided in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A to 5E are exemplary views illustrating arrangements of the first wire and the second wire provided in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view illustrating arrangement of first and second wires provided in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n illustration of an electric field between the first wire and the second wire provided in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particle collection of an electric dust collec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집진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1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 집진 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집진 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집진 장치의 측면도이다.1A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lectric dust collec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B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lectric dust collect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n electric dust collec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ide view of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전기 집진 장치(100)는 케이스(110), 전원부(120), 와이어(130) 및 연결부(140)를 포함한다.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100 illustrated in FIGS. 1A and 1B includes a case 110, a power supply unit 120, a wire 130, and a connection unit 140.

도 1a에 도시된 전기 집진 장치(100)의 케이스(110)는 2개의 박스 형상의 지지대와, 2개의 판 형상의 지지대가 서로 절곡되어 연결된 것으로, 중앙에 개구가 형성되어 있다.In the case 110 of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100 illustrated in FIG. 1A, two box-shaped supports and two plate-shaped supports are bent and connected to each other, and an opening is formed in the center thereof.

케이스(110)의 박스 형상의 지지대 중 하나의 지지대에는 전원부(120)가 마련되고, 2개의 박스 형상의 지지대 사이에는 와이어(130)가 장착된다. One of the box-shaped support of the case 110 is provided with a power supply unit 120, the wire 130 is mounted between the two box-shaped support.

도 1b에 도시된 전기 집진 장치(110)의 케이스(110)는 와이어(130)가 미 장착되는 판 형상의 지지대에 형성된 홀(115)을 더 포함한다. 이에 의해 도 1b에 도시된 전기 집진 장치(100)는 상하좌우에서 유동되는 공기(air)에 섞인 파티클(Particle: 미립자)를 모두 집진할 수 있다.The case 110 of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110 shown in FIG. 1B further includes a hole 115 formed in a plate-shaped support on which the wire 130 is not mounted. As a result,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100 illustrated in FIG. 1B may collect all particles (particles) mixed in air flowing in up, down, left, and right.

전원부(120)는 외부의 상용전원과 연결된다. The power supply unit 120 is connected to an external commercial power source.

이러한 전원부(120)는 상용전원으로부터 교류 전력을 공급받고, 공급된 교류 전력을 일정 크기의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여 와이어(130)에 인가한다. The power supply unit 120 receives AC power from a commercial power source, and converts the supplied AC power into DC power having a predetermined size and applies it to the wire 130.

좀 더 구체적으로 케이스(110)의 두 박스 형상의 지지대에는 홀(미도시)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두 박스 형상의 지지대에 각각 형성된 홀(미도시)은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된다.More specifically, holes (not shown) are formed in the two box-shaped supports of the case 110, respectively, and holes (not shown) respectively formed in the two box-shaped supports are provid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이에 따라 와이어(130)는 케이스(110)의 두 박스 형상의 지지대에 형성된 홀을 통해 장착됨으로써, 와이어(130)는 케이스(110)의 두 박스 형상의 지지대 사이에 장착되는 것이다.Accordingly, the wire 130 is mounted through the holes formed in the two box-shaped supports of the case 110, so that the wire 130 is mounted between the two box-shaped supports of the case 110.

와이어(130)의 일단은 전원부(120)와 연결되어 전원부(120)로부터 직류 전력을 공급받고, 와이어(130)의 타단은 케이스(110)에 고정되는 구조로, 와이어(130)의 타단을 케이스(110)에 고정시키기 위한 연결부(140)가 마련된다. One end of the wire 130 is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unit 120 to receive DC power from the power supply unit 120, the other end of the wire 130 is fixed to the case 110, the other end of the wire 130 case The connection part 140 for fixing to the 110 is provided.

이때 와이어(130)의 타단은 케이스(130)의 지지대에 형성된 홀에 삽입된 후 연결부(140)에 의해 고정된다. At this time, the other end of the wire 130 is inserted into a hole formed in the support of the case 130 and then fixed by the connection part 140.

케이스(110)의 두 박스 형상의 지지대는 와이어(130)의 직류 전력을 공급받는 일단만이 삽입되는 홀만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케이스(110)의 두 박스 형상의 지지대는 와이어(130)의 타단이 위치하는 곳에 와이어(130)의 타단을 고정시키기 위한 연결부(140)가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two box-shaped supports of the case 110 may be provided with only holes into which only one end of the wire 130 is supplied with DC power. At this time, the two box-shaped support of the case 110 may be provided with a connecting portion 140 for fixing the other end of the wire 130 where the other end of the wire 130 is located.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130)는 복수개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ure 2 and 3, the wire 130 is composed of a plurality.

이러한 복수 개의 와이어(130)는 케이스(110)의 두 박스 형상의 지지대에 복수의 행과 복수의 열로 배치된다. 아울러 복수 개의 와이어(130)는 한 행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서로 인접한 와이어(130)는 서로 다른 극성을 갖는다.The plurality of wires 130 are disposed in a plurality of rows and a plurality of columns on two box-shaped supports of the case 110. In addition, the plurality of wires 130 may be formed in one row. At this time, adjacent wires 130 have different polarities.

도 4는 전기 집진 장치(100)에 마련된 제1와이어(131)와 제2와이어(132)의 단면도이다.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first wire 131 and the second wire 132 provided in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100.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130)는 전원부(120)로부터 양극성의 전력을 공급받는 제1와이어(131)와, 전원부(120)로부터 음극성의 전력을 공급받는 제2와이어(132)로 이루어지고, 제1와이어(131)와 제2와이어(132)는 복수 개가 케이스(110)의 두 박스 형상의 지지대에 교대로 배치된다. As shown in FIG. 4, the wire 130 is a first wire 131 that receives positive power from the power supply unit 120 and a second wire 132 that receives negative power from the power supply unit 120. A plurality of first wires 131 and second wires 132 are alternately disposed on two box-shaped supports of the case 110.

제1와이어(131)는 도전체로 이루어진 도전부(131a)와, 도전부(131a)의 외부에 코팅된 유전체로 이루어진 코팅부(131b)를 포함하고, 제2와이어(132)는 도전체로 이루어진 도전부(132a)와, 도전부(132a)의 외부에 코팅된 유전체로 이루어진 코팅부(132b)를 포함한다.The first wire 131 includes a conductive portion 131a made of a conductor, and a coating portion 131b made of a dielectric coated on the outside of the conductive portion 131a, and the second wire 132 is made of a conductor. A portion 132a and a coating portion 132b made of a dielectric coated on the outside of the conductive portion 132a.

이와 같이 양극성 및 음극성을 갖는 와이어의 도전체를 유전체로 코팅함으로써 기체방전(Corona Discharge)을 방지할 수 있고, 와이어의 유지 보수가 용이하며, 인체의 감전 위험성이 없다.Thus, by coating the conductor of the wire having a positive and negative polarity with a dielectric, it is possible to prevent a corona discharge (charge), easy maintenance of the wire, there is no risk of electric shock to the human body.

도 5a 내지 5e 및 도 6은 제1와이어와 제2와이어의 배치 예시도이다.5A to 5E and FIG. 6 are exemplary views illustrating arrangements of the first wire and the second wire.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10)에는 양극성의 제1와이어(131)와 음극성의 제2와이어(132)는 복수의 열과 복수의 행으로 배치되고, 각 와이어는 서로 일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된다.As shown in FIG. 5A, in the case 110, the first bipolar first wire 131 and the second bipolar wire 132 are arranged in a plurality of rows and a plurality of rows, and the wire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do.

이때, 제1행에는 양극성의 제1와이어(131)가 복수 개 배치되고, 제2행에는 양극성의 제2와이어(132)가 복수 개 배치되며, 제3행에는 양극성의 제1와이어(131)가 복수 개 배치되고, 제4행에는 양극성의 제2와이어(132)가 복수 개 배치된다.In this case, a plurality of bipolar first wires 131 are arranged in a first row, a plurality of bipolar second wires 132 are arranged in a second row, and a bipolar first wire 131 is arranged in a third row. Are arranged in plurality, and a plurality of bipolar second wires 132 are arranged in the fourth row.

즉, 동일한 행에는 동일한 극성을 가진 와이어로 배치되고 서로 인접한 행에는 다른 극성을 와이어로 배치된다.That is, the same row is arranged with wires having the same polarity and the rows adjacent to each other are arranged with wires having different polarities.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10)에는 양극성의 제1와이어(131)와 음극성의 제2와이어(132)는 복수의 열과 복수의 행으로 배치되고, 각 와이어는 서로 일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된다.As shown in FIG. 5B, in the case 110, the first bipolar wire 131 and the second bipolar wire 132 are arranged in a plurality of rows and a plurality of rows, and the wire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regular intervals. do.

제1열에는 양극성의 제1와이어(131)가 복수 개 배치되고, 제2열에는 양극성의 제2와이어(132)가 복수 개 배치되며, 제3열에는 양극성의 제1와이어(131)가 복수 개 배치되고, 제4열에는 양극성의 제2와이어(132)가 복수 개 배치되며, 제5열에는 양극성의 제1와이어(131)가 복수 개 배치되고, 제6열에는 양극성의 제2와이어(132)가 복수 개 배치된다.A plurality of bipolar first wires 131 are arranged in a first row, a plurality of bipolar second wires 132 are arranged in a second row, and a plurality of bipolar first wires 131 are arranged in a third row. And a plurality of bipolar second wires 132 are arranged in the fourth row, a plurality of bipolar first wires 131 are arranged in the fifth row, and a bipolar second wire is arranged in the sixth row ( A plurality of 132 are arranged.

즉, 동일한 열에는 동일한 극성을 가진 와이어로 배치되고 서로 인접한 열에는 다른 극성을 가진 와이어로 배치된다.In other words, wires having the same polarity are arranged in the same row, and wires having different polarities are arranged in the adjacent rows.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10)에는 양극성의 제1와이어(131)와 음극성의 제2와이어(132)는 복수의 열과 복수의 행으로 배치되고, 각 와이어는 서로 일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된다. 여기서 복수의 행은 적어도 두 개의 행을 가지는 행 그룹으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 5C, in the case 110, a first bipolar wire 131 and a second bipolar wire 132 are arranged in a plurality of rows and a plurality of rows, and the wire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do. Here, the plurality of rows consists of a row group having at least two rows.

제1행 그룹(G1)에서 제1열에는 제2와이어(132)가 배치되고, 제2열에는 제1와이어(131)가 배치되며, 제3열에는 제2와이어(132)가 배치되고, 제4열에는 제1와이어(131)가 배치되며, 제5열에는 제2와이어(132)가 배치되고, 제6열에는 제1와이어(131)가 배치된다.In the first row group G1, the second wire 132 is disposed in the first column, the first wire 131 is disposed in the second column, and the second wire 132 is disposed in the third column. The first wire 131 is disposed in the fourth row, the second wire 132 is disposed in the fifth row, and the first wire 131 is disposed in the sixth row.

제1행 그룹(G2)에서 제1열에는 제1와이어(131)가 배치되고, 제2열에는 제2와이어(132)가 배치되며, 제3열에는 제1와이어(131)가 배치되고, 제4열에는 제2와이어(132)가 배치되며, 제5열에는 제1와이어(131)가 배치되고, 제6열에는 제1와이어(132)가 배치된다. In the first row group G2, a first wire 131 is disposed in a first column, a second wire 132 is disposed in a second column, and a first wire 131 is disposed in a third column. The second wire 132 is disposed in the fourth row, the first wire 131 is disposed in the fifth row, and the first wire 132 is disposed in the sixth row.

여기서 제1행그룹(G1)과 제2행그룹(G2)에서 서로 대응하는 열 간 와이어는 서로 다른 극성을 가진다.Here, the wires between the column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in the first row group G1 and the second row group G2 have different polarities.

즉, 제1행 그룹(G1) 및 제2행 그룹(G2)에서 서로 인접한 열은 서로 다른 극성을 가진 와이어가 배치되되, 제1행 그룹(G1)과 제2행 그룹(G2) 사이에 인접한 행은 서로 다른 극성이 되도록 배치된다.That is, wires having different polarities are arranged in columns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first row group G1 and the second row group G2, but adjacent to each other between the first row group G1 and the second row group G2. The rows are arranged to be of different polarities.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10)에는 양극성의 제1와이어(131)와 음극성의 제2와이어(132)는 복수의 열과 복수의 행으로 배치되고, 각 와이어는 서로 일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된다.As shown in FIG. 5D, in the case 110, the first bipolar wire 131 and the second bipolar wire 132 are arranged in a plurality of rows and a plurality of rows, and the wire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do.

제1와이어와 제2와이어를 직각 삼각 기둥 형상으로 배치하되, 빗면이 맞닿는 형상으로 배치한다. 여기서 케이스(110)에 장착된 와이어(131, 132)의 단면은 직각 삼각형을 이루는 꼭지점 형상이고, 제1와이어(131)와 제2와이어(132)의 삼각형의 빗면이 맞닿는다고도 할 수 있다.The first wire and the second wire are arranged in the shape of a right triangular column, but the oblique surface is arranged in contact with each other. Here, the cross-sections of the wires 131 and 132 mounted on the case 110 may have a vertex shape forming a right triangle, and the intersecting surfaces of the triangles of the first wire 131 and the second wire 132 may abut.

도 5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10)에는 양극성의 제1와이어(131)와 음극성의 제2와이어(132)는 복수의 열과 복수의 행으로 배치되고, 각 와이어는 서로 일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된다.As shown in FIG. 5E, in the case 110, the first bipolar wire 131 and the second bipolar wire 132 are arranged in a plurality of rows and a plurality of rows, and the wire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regular intervals. do.

이때 동일한 행에서 서로 인접한 와이어는 서로 다른 극성으로 배치되고, 동일한 열에서 서로 인접한 와이어는 서로 다른 극성으로 배치된다.In this case, the wires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same row are disposed with different polarities, and the wires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same column are disposed to have different polarities.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10)에는 양극성의 제1와이어(131)와 음극성의 제2와이어(132)는 복수의 열과 복수의 행으로 배치된다.As illustrated in FIG. 6, in the case 110, the first bipolar wire 131 and the second bipolar wire 132 are arranged in a plurality of rows and a plurality of rows.

제1와이어(131)와 제2와이어(132)를 육각 기둥 형상으로 배치하되, 육각 기둥 형상에서 서로 인접한 꼭지점은 서로 다른 극성으로 배치한다.The first wire 131 and the second wire 132 are arranged in a hexagonal column shape, and vertices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hexagonal column shape are disposed in different polarities.

여기서 케이스(110)에 장착된 와이어(131, 132)의 단면은 복수 개의 정육각형을 이루는 꼭지점 형상이고, 이때 정육각형의 꼭지점에서 인접한 꼭지점은 서로 다른 극성을 갖는다고 할 수 있다.Here, the cross-sections of the wires 131 and 132 mounted on the case 110 may have vertex shapes constituting a plurality of regular hexagons, and vertices adjacent to the vertices of the regular hexagon may have different polarities.

이러한 정육각형의 와이어 배치는, 자신을 기준으로 세 방향에 다른 극성의 와이어가 존재하기 때문에 양극성의 와이어와 음극성의 와이어 사이에 전계의 구배를 극대화할 수 있어 파티클의 집진 효율을 최적화 할 수 있다.Such a regular hexagonal wire arrangement can maximize the gradient of the electric field between the bipolar wire and the negative wire because the wires of different polarities exist in three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particle, thereby optimizing particle collection efficiency.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집진 장치에 마련된 제1와이어와 제2와이어 사이의 전기장 예시도이다.7 is an illustration of an electric field between the first wire and the second wire provided in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e에 도시된 와이어 배치에 기초한 전기장 형성 예시도이다.An example of electric field formation based on the wire arrangement shown in FIG. 5E.

도 5e와 같이, 동일한 행의 서로 인접한 와이어를 서로 다른 극성으로 배치하고, 또한 동일한 열의 서로 인접한 와이어를 서로 다른 극성으로 배치한 전기 집진 장치의 제1와이어(131) 및 제2와이어(132)에 직류 전력을 인가하면, 전기 집진 장치의 제1와이어(131) 및 제2와이어(132)에 공기 중의 파티클이 집진된다. As shown in FIG. 5E, the first wire 131 and the second wire 132 of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are arranged to have mutually adjacent wires of the same row with different polarities and to arrange adjacent wires of the same column with different polarities. When DC power is applied, particles in the air are collected on the first wire 131 and the second wire 132 of the electric dust collector.

즉, 제1와이어(131)에 양극성의 전력이 인가되고 제2와이어(132)에 음극성의 전력이 인가되면, 각각 표면적이 다른 양극성의 제1와이어(131)와 음극성의 제2와이어(132) 사이에 불균일한 전기장이 발생하게 된다.That is, when bipolar power is applied to the first wire 131 and negative power is applied to the second wire 132, the bipolar first wire 131 and the negative second wire 132 having different surface areas, respectively, are used. An uneven electric field is generated between them.

이와 같이 공기 중에 불균일한 전기장이 형성되면 공기 중에 존재하는 파티클은 두 종류의 전기력이 가해지게 된다. When a non-uniform electric field is formed in the air, particles present in the air are subjected to two kinds of electric forces.

첫째, 유전영동(Dielectrophoresis) 현상에 의해 전기장의 세기가 약한 곳에서 강한 곳으로 이동하는 힘이 가해진다. 둘째, 입자가 극성을 가지고 있다면 전기장에 의하여 쿨롬력이 가해진다. First, Dielectrophoresis causes a force to move from a weak field to a strong one. Second, if the particles have polarity, the coulomb force is applied by the electric field.

이때 양극성의 제1와이어(131)와 음극성의 제2와이어(132) 사이를 통과하는 파티클(P)이 유전 분극되고, 유전 분극된 파티클이 전기장의 힘의 차이 및 쿨롬력에 의해 양극성의 제1와이어(131)와 음극성의 제2와이어(132) 중 어느 하나의 와이어에 흡착된다. 이를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At this time, the particles P passing between the first bipolar first wire 131 and the second bipolar wire 132 are dielectrically polarized, and the dielectrically polarized particles are bipolar first due to the difference in the electric field force and the coulomb force. It is adsorbed on any one of the wire 131 and the negative second wire 132. 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8.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집진 장치의 파티클 집진 예시도이다.8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particle collection of an electric dust collec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공기 중의 파티클(P)은 제1와이어(131)와 제2와이어(132) 사이의 전기장에 의하여 일부가 양(+)극성, 타부가 음(-)극성으로 각각 유전 분극된다.Particles P in the air are dielectrically polarized, partly positive (+) and the other negative (-) by the electric fiel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wires 131 and 132.

이때 파티클(P)이 음극성만을 갖는다면 제1와이어(131) 쪽으로 이동되어 제1와이어(131)에 흡착되고, 파티클(P)이 양극성만을 갖는다면 제2와이어(132) 쪽으로 이동되어 제2와이어(132)에 흡착된다.At this time, if the particle P has only negative polarity, it is moved toward the first wire 131 to be adsorbed onto the first wire 131. If the particle P has only positive polarity, the particle P is moved toward the second wire 132 and has a second polarity. Adsorbed to the wire 132.

파티클(P)이 양극성과 음극성을 모두 갖는 상태에서, 제1와이어(131)에 형성된 전기장의 힘이 더 크면 파티클(P)의 음극성을 갖는 부분이 제1와이어(131) 쪽으로 이동되어 제1와이어(131)에 흡착되고, 반면 제2와이어(132)에 형성된 전기장의 힘이 더 크면 파티클(P)의 양극성을 갖는 부분이 제2와이어(132) 쪽으로 이동되어 제2와이어(132)에 흡착된다.In a state in which the particle P has both positive and negative polarities, when the force of the electric field formed in the first wire 131 is greater, the negative polarity of the particle P is moved toward the first wire 131. When the first wire 131 is adsorbed on the second wire 132 and the force of the electric field formed on the second wire 132 is greater, the portion having the polarity of the particle P is moved toward the second wire 132 to the second wire 132. Is adsorbed.

이와 같이, 전기 집진 장치에 전기장을 형성하여 전기장내 입사한 파티클에 쿨롬력과 유전영동현상(Dielectrophoresis)을 가함으로써 파티클을 집진할 수 있다. In this way, the particles can be collected by forming an electric field in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and applying a coulomb force and Dielectrophoresis to the particles incident in the electric field.

따라서, 와이어 간에 형성된 전기장을 이용하여 집진을 하기 때문에 코로나 방전에 의한 전류가 흐르지 않아 소비전력이 없다.Therefore, since dust is collected by using an electric field formed between the wires, current due to corona discharge does not flow, and there is no power consumption.

100: 전기 집진 장치 110: 케이스
115: 홀 120: 전원부
130: 와이어 131: 제1와이어
132: 제2와이어 131a, 132a: 도전부
131b, 132b: 코팅부 140: 연결부
100: electric dust collector 110: case
115: hole 120: power supply
130: wire 131: first wire
132: second wires 131a and 132a: conductive portion
131b and 132b: coating part 140: connecting part

Claims (12)

개구가 형성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장착되고 양극성을 갖는 제1와이어;
상기 케이스에 장착되고 음극성을 갖는 제2와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1와이어와 제2와이어는 상기 케이스의 개구에 교대로 배치된 전기 집진 장치.
A case in which an opening is formed;
A first wire mounted on the case and having bipolarity;
A second wire mounted to the case and having a negative polarity;
And the first wire and the second wire are alternately disposed in the opening of the cas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와이어와 제2와이어는,
도전체로 이루어진 도전부와, 상기 도전부의 외부에 코팅된 유전체로 이루어진 코팅부를 각각 포함하는 전기 집진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wire and the second wire,
An electrostatic precipitator including a conductive part made of a conductor and a coating part made of a dielectric coated on the outside of the conductive par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제1 와이어와 제 2와이어의 미 장착 면에 형성된 홀을 포함하는 전기 집진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ase,
And a hole formed in the unmounted surface of the first wire and the second wir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와이어와 제2와이어에 서로 다른 극성의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더 포함하는 전기 집진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d a power supply unit supplying power having different polarities to the first wire and the second wir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와이어의 일단과 상기 제2와이어의 일단은 상기 전원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1와이어의 타단과 상기 제2와이어의 타단을 상기 케이스에 고정시키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전기 집진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One end of the first wire and one end of the second wire is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unit,
And a connection part for fixing the other end of the first wire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wire to the cas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와이어와 제2와이어 사이에 전기장을 형성시켜 미립자를 집진하는 전기 집진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 electrostatic precipitator for collecting particulates by forming an electric field between the first wire and the second wir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와이어와 제2와이어는 복수의 열과 복수의 행으로 배치되되, 동일한 행은 동일한 극성을 가진 와이어로 배치되고 서로 인접한 행은 다른 극성을 와이어로 배치되는 전기 집진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and second wires are arranged in a plurality of columns and a plurality of rows, the same row is arranged in a wire having the same polarity and the rows adjacent to each other are arranged in a wire of a different polarit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와이어와 제2와이어는 복수의 열과 복수의 행으로 배치되되, 동일한 열은 동일한 극성을 가진 와이어로 배치되고 서로 인접한 열은 다른 극성을 가진 와이어로 배치되는 전기 집진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and second wires are arranged in a plurality of rows and a plurality of rows, the same column is arranged with a wire having the same polarity and the adjacent columns are arranged with wires having a different polarit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와이어와 제2와이어는 복수의 열과 복수의 행으로 배치되되, 상기 복수의 행은 적어도 두 개의 행으로 이루어진 행 그룹을 가지고, 서로 인접한 행 그룹은 서로 다른 극성을 가진 와이어로 배치되고, 상기 행 그룹에서 동일한 열은 동일한 극성을 가진 와이어가 배치되고 서로 인접한 열을 서로 다른 극성을 가진 와이어로 배치되는 전기 집진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and second wires are arranged in a plurality of columns and a plurality of rows, the plurality of rows having a row group consisting of at least two rows, adjacent row groups are arranged with wires having different polarities, And the same column in the row group is disposed with wires having the same polarity and adjacent columns are arranged with wires having different polariti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와이어와 제2와이어는 복수의 열과 복수의 행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1와이어와 제2와이어를 직각 삼각 기둥 형상으로 배치하되, 빗면이 맞닿는 형상으로 배치하는 전기 집진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and second wires are arranged in a plurality of columns and a plurality of rows,
The first and second wires are arranged in a right triangular prism shape, the electric dust collector is arranged in a shape that the inclined surface abut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와이어와 제2와이어는 복수의 열과 복수의 행으로 배치되되, 동일한 행에서 서로 인접한 와이어는 서로 다른 극성으로 배치되고, 동일한 열에서 서로 인접한 와이어는 서로 다른 극성으로 배치되는 전기 집진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and second wires are arranged in a plurality of columns and a plurality of rows, the wires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same row are disposed with different polarities, the wires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same column are disposed with different polariti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와이어와 제2와이어는 복수의 열 그룹과 복수의 행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1와이어와 제2와이어를 육각 기둥 형상으로 배치하되, 상기 육각 기둥 형상에서 서로 인접한 꼭지점은 서로 다른 극성으로 배치하는 전기 집진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and second wires are arranged in a plurality of column groups and a plurality of rows,
The first and second wires are arranged in a hexagonal column shape, wherein the vertices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hexagonal pillar shape is arranged in a different polarity.
KR1020100120311A 2010-11-30 2010-11-30 Electric precipitator KR20120058827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0311A KR20120058827A (en) 2010-11-30 2010-11-30 Electric precipit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0311A KR20120058827A (en) 2010-11-30 2010-11-30 Electric precipitat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8827A true KR20120058827A (en) 2012-06-08

Family

ID=466102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0311A KR20120058827A (en) 2010-11-30 2010-11-30 Electric precipita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58827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9163B1 (en) * 2022-04-18 2022-09-29 성진코퍼레이션(주) Electric dust filter that collects fine dust
KR102449162B1 (en) * 2022-04-18 2022-09-29 성진코퍼레이션(주) Electrostatic precipitation filter method of fine dust using electrostatic precipitation filt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9163B1 (en) * 2022-04-18 2022-09-29 성진코퍼레이션(주) Electric dust filter that collects fine dust
KR102449162B1 (en) * 2022-04-18 2022-09-29 성진코퍼레이션(주) Electrostatic precipitation filter method of fine dust using electrostatic precipitation filt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16575B1 (en) Electric precipitator and air cleaner having the same
WO2013065906A1 (en) Induction electrostatic precipitator using multi-cross pin ionizer
KR100724556B1 (en) Induction electrostatic precipitator
KR101054315B1 (en) Electric precipitation
JP4687595B2 (en) Electric dust collector
KR101523209B1 (en) Electric precipitator
KR100722863B1 (en) Collector cell unit for electric precipitator
KR101651034B1 (en) Electric precipitator and air purification system comprising it
WO2013065908A1 (en) Induction voltage electrical precipitator having honeycomb electric charge part
FI125997B (en) Electronic particle charging system and gas filtration method
KR20130029221A (en) Two-way induction electrostatic filter having honey comb electic charge part
KR20190094604A (en) Electric dust collecting filter and electric dust collecting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KR20160054137A (en) Electrostatic precipitator
KR20160091151A (en) Electric dust collecting apparatus for air conditioner
KR20120005287A (en) Electrostatic precipitator
WO2017212688A1 (en) Charging device, electric dust collector, ventilation device, and air cleaner
JP6837192B2 (en) Electrostatic precipitator
KR100495627B1 (en) Electronic dust collecting apparatus using urethane filter
KR20120058827A (en) Electric precipitator
KR101331611B1 (en) Electrostatic precipitator with easily replaceable collection plates
KR101180038B1 (en) Electrical precipitator including honey comb filter have multi-helix pin ionizer
CN210994794U (en) Electrostatic dust collection assembly and air purification device
KR200410985Y1 (en) Induction electrostatic precipitator
FI129270B (en) An electrostatic filter and a rack for filter plates of an electrostatic filter
KR20210145329A (en) Electrostatic precipitator with composite charging unit to improve fine dust removal fun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