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56075A - 전도성 무기계 탄소나노복합분말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전도성 무기계 탄소나노복합분말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56075A
KR20120056075A KR1020100117597A KR20100117597A KR20120056075A KR 20120056075 A KR20120056075 A KR 20120056075A KR 1020100117597 A KR1020100117597 A KR 1020100117597A KR 20100117597 A KR20100117597 A KR 20100117597A KR 20120056075 A KR20120056075 A KR 201200560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bon
carbon nano
powder
milling
conductive inorgan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75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성실
이대열
문석민
최규식
문제세
차덕성
송영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어플라이드카본나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어플라이드카본나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어플라이드카본나노
Priority to KR10201001175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56075A/ko
Publication of KR201200560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60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04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mainly consisting of carbon-silicon compounds, carbon or silic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7/00Disintegrating by tumbling mills, i.e. mills having a container charged with the material to be disintegrated with or without special disintegrating members such as pebbles or ball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2/00Carbon; Compounds thereof
    • C01B32/15Nano-sized carbon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2/00Carbon; Compounds thereof
    • C01B32/15Nano-sized carbon materials
    • C01B32/182Graphene
    • C01B32/194After-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2202/00Structure or properties of carbon nanotubes
    • C01B2202/20Nanotubes characterized by their properties
    • C01B2202/28Solid content in solv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Nanotechn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arbon And Carbon Compounds (AREA)
  • Manufacture Of Alloys Or Alloy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도성 무기계 탄소나노복합분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용매에 결합제를 용해시켜 분산용액을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분산용액과 탄소나노소재를 혼합하는 단계와, 상기 혼합된 용액을 기계적 밀링법으로 교반하여 탄소나노 페이스트를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탄소나노 페이스트와 세라믹 또는 금속 분말을 혼합하여 슬러리를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슬러리를 기계적 밀링법으로 교반하는 단계 및 상기 교반된 슬러리를 건조 및 파쇄하여 탄소나노복합분말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전기전도성 및 기계적 특성이 우수한 탄소나노복합분말을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전도성 무기계 탄소나노복합분말의 제조방법{METHOD OF CONDUCTIVE INORGANIC CARBON NANO COMPOSITE POWDER}
본 발명은 전도성 무기계 탄소나노복합분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탄소나노소재가 세라믹 또는 금속에 균일하고, 견고하게 분산되어 전도성 및 기계적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탄소나노복합분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탄소나노소재는 한 개의 탄소원자가 인접한 이웃 탄소원자와 결합하여 육각형의 벌집 구조를 가지는 흑연 재질의 소재로서, 장축과 단축의 비율에 따라 탄소나노튜브, 탄소나노섬유, 플러렌 등으로 구분된다.
이 경우, 탄소나노튜브는 내부가 비어 있는 긴 길이의 원통형 구조로서, 직경이 보통 수 내지 수십 나노미터 크기이고, 길이는 수 마이크로미터에서 수십 마이크로미터에 이르는 등 직경과 길이의 비가 10 ~ 10,000이 될 정도로 그 차이가 매우 크다. 또한, 전기저항이 10-4Ωcm로 높은 전기 전도성을 가지고 있으며, 비표면적이 넓어 전기 재료로서 적용 가능성이 높다. 한편, 탄소나노섬유는 탄소나노튜브에 비해 직경이 10배 이상 크고, 내부가 충진된 구조를 가지며, 플러렌은 장축과 단축의 비가 1인 구형의 형태를 나타낸다.
상술한 바와 같은 탄소나노소재는 흑연 소재 특유의 우수한 전기적, 기계적, 열적 특성을 가지고 있어 복합재, 코팅재, 전자재료 등 다양한 산업분야에 널리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세라믹이나 금속 등을 대상으로 한 탄소나노복합재의 경우에는 기존 소재가 가지지 못한 특성을 부여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즉, 세라믹은 부도체이나 탄소나노소재를 함유할 경우 전기전도성을 나타낼 수 있고, 특히, 세라믹 분말에 장축과 단축의 비가 큰 탄소나노튜브 및 탄소나노섬유를 분산 혼합하여 벌크재로 제조하면 세라믹의 취성을 크게 개선할 수 있으며, 금속의 경우에는 모재의 기계적 특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구체적으로, 세라믹 탄소나노복합재는 세라믹이 가진 내마모성을 보다 향상시키고, 상대적으로 쉽게 파괴되는 특성을 보완하기 위해 세라믹에 탄소나노소재를 분산 혼합한 것으로, 파괴인성의 향상 및 전기전도성이 부여된 기능성 소재이며, 금속 탄소나노복합재는 주로 기계적 성질을 향상시킨 고강도, 고인성의 고급 재료로서 알루미늄을 모재로 사용할 경우 탄소나노튜브의 함유량에 따라 티타늄에 필적하는 인장강도 등의 기계적 특성을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탄소나노소재 중 탄소나노튜브, 탄소나노섬유는 종축과 횡축의 비가 크기 때문에 합성시 촉매를 중심으로 뭉쳐져 모재 내에 골고루 분산시키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와 관련된 종래기술로는, 금속용액을 이용하여 탄소나노튜브가 분산 강화된 나노복합재를 제조하는 방법(특허출원 제10-2008-0082991호, 탄소나노튜브로 강화된 합금기지 나노복합재료 및 그의 제조방법), 탄소나노튜브와 구리용액을 혼합하여 구리 탄소나노튜브 복합분말을 제조하는 방법(특허출원 제10-2007-0031057호, 탄소나노튜브 구리 나노복합재 분말을 제조하는 방법) 및 탄소나노튜브나 탄소섬유와 은 또는 루테늄과 팔라늄을 분산한 페이스트를 이용하여 발열체를 제조하는 방법(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08-0004467호, 페이스트 조성물을 이용한 히터) 등이 공지되어 있다.
즉, 상술한 종래기술들은 금속용액을 대상으로 탄소나노튜브를 분산하여 금속모재의 기계적 특성을 강화하거나, 탄소나노튜브 또는 탄소나노섬유에 도전성 금속입자를 분산시킨 페이스트로 발열히터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금속용액에 탄소나노튜브를 분산하여 금속 탄소나노복합재를 제조하는 방법은 금속모재의 균일도 측면에서는 유리하나, 원료 조건이 까다롭고 용액을 농축하여 금속분말을 제조해야 하기 때문에 제조할 수 있는 복합재 내의 탄소나노튜브 함량이 제한적일 수밖에 없고, 탄소나노튜브가 분산된 탄소나노복합재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용액의 침전, 건조 등으로 복합분말을 제조하는 데 시간이 많이 걸리는 등의 제조상의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난분산성인 탄소나노소재를 세라믹 또는 금속분말에 균일하게 분산시켜 전기전도성 및 기계적 특성이 우수한 탄소나노복합분말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a) 용매에 결합제를 용해시켜 분산용액을 제조하는 단계와, (b) 상기 분산용액과 탄소나노소재를 혼합하는 단계와, (c) 상기 혼합된 용액을 기계적 밀링법으로 교반하여 탄소나노 페이스트를 제조하는 단계와, (d) 상기 탄소나노 페이스트와 세라믹 또는 금속 분말을 혼합하여 슬러리를 제조하는 단계와, (e) 상기 슬러리를 기계적 밀링법으로 교반하는 단계 및 (f) 상기 교반된 슬러리를 건조 및 파쇄하여 탄소나노복합분말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무기계 탄소나노복합분말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 경우, 상기 탄소나노소재는 상기 탄소나노 페이스트에 대해 0.1 ~ 90의 중량비로 혼합되고, 상기 결합제는 상기 탄소나노소재에 대해 0.5 ~ 200의 중량비로 혼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탄소나노소재로는 탄소나노튜브, 탄소나노섬유, 플러렌, 탄소나노혼, 나노카본블랙, 탄소섬유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세라믹 분말은 지르코니아(ZrO2), 아루미나(Al2O3), 실리카(SiO2), 타이타니아(TiO2) 중에서 선택되고, 상기 금속 분말은 알루미늄(Al), 구리(Cu)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기계적 밀링법은 비드밀링(Bead Milling), 롤밀링(Roll Milling), 볼밀링(Ball Milling), 어트리션밀링(Attrition Milling), 유성볼밀링(Planetary Milling), 제트밀링(Zet Milling), 스크류혼합밀링(Screw Mixing Milling), 초음파분산(Ultrasonic Dispersion)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용매는 물 또는 유기용매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유기용매는 에틸알코올, 메틸알코올, 이소프로필알코올을 포함하는 알코올류, 아세톤류, 디메틸포름알데히드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결합제는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부티랄, 카르복실메틸셀룰로오즈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난분산성의 탄소나노소재를 세라믹 또는 금속분말에 균일하게 분산시킴으로써 전기전도성 및 기계적 특성이 우수한 탄소나노복합분말을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도성 무기계 탄소나노복합분말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공정 흐름도,
도 2는 고형분에 대한 용매 비율에 따른 건조후 탄소나노튜브 알루미나 탄소나노복합재 슬러리의 상층부와 하층부의 탄소나노튜브 함유량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알루미나 탄소나노복합분말의 주사식 전자현미경 사진,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알루미나 탄소나노복합분말을 성형한 시편의 표면전기전도도를 나타낸 그래프,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알루미나 탄소나노복합분말을 성형한 시편의 굽힘강도를 나타낸 그래프.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도성 무기계 탄소나노복합분말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공정 흐름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도성 무기계 탄소나노복합분말의 제조방법은, 용매에 결합제를 용해시켜 균일한 분산용액을 제조하는 단계(S100)와, 상기 분산용액에 탄소나노소재를 혼합하는 단계(S110)와, 상기 혼합 용액을 기계적 밀링법으로 교반하여 탄소나노 페이스트를 제조하는 단계(S120)와, 상기 탄소나노 페이스트와 세라믹 또는 금속 분말을 혼합하여 슬러리를 제조하는 단계(S130)와, 상기 슬러리를 기계적 밀링법으로 교반하여 탄소나노소재를 세라믹 또는 금속 분말의 표면에 균일하게 분산시키는 단계(S140) 및 상기 교반된 슬러리를 건조, 소성 및 파쇄하여 탄소나노복합분말을 제조한 후 회수하는 단계(S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용매는 물 또는 유기용매인 것이 바람직하며, 유기용매의 경우에는 에틸알코올, 메틸알코올, 이소프로필알코올을 포함하는 알코올류, 아세톤류, 디메틸포름알데히드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제는 상기 용매에 용해 가능한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부티랄, 카르복실메틸셀룰로오즈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물을 용매로 할 경우에는 카르복실메틸셀룰로오즈를, 유기 용매일 경우에는 폴리비닐부티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결합제의 양은 상기 탄소나노소재에 대해 0.5 ~ 200 중량비로 제한된다. 왜냐하면, 탄소나노소재 대비 결합제의 양이 0.5 중량비 미만일 경우에는 결합강도가 저하되어 부착성을 확보하기 어렵고, 200 중량비를 초과하면 전기전도도가 급격히 떨어지기 때문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탄소나노소재로는 벽수가 하나인 단일벽탄소나노튜브, 둘 이상인 다중벽탄소나노튜브, 탄소나노섬유, 플러렌, 탄소나노혼, 나노카본블랙, 탄소섬유 중에서 적의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세라믹 분말로는 지르코니아(ZrO2), 알루미나(Al2O3), 실리카(SiO2), 타이타니아(TiO2)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상기 금속 분말로는 알루미늄(Al), 구리(Cu)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계적 밀링법으로는 나노입자의 제조가 가능하도록 비드밀링(Bead Milling), 유성볼밀링(Planetary Milling), 어트리션밀링(Attrition Milling) 등의 고에너지 볼밀링법(High Energy Ball Milling) 또는 롤밀링(Roll Milling), 제트밀링(Zet Milling), 스크류혼합밀링(Screw Mixing Milling), 초음파분산(Ultrasonic Dispersion) 등의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교반된 슬러리를 건조, 소성 및 파쇄할 때에는 결합제의 열변형을 방지하는 동시에 모재와의 부착성이 최대가 될 수 있도록 60 ~ 250℃의 온도 조건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도성 무기계 탄소나노복합분말의 제조방법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해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제 1 실시예
열전도성, 전기전도성 및 기계적 특성이 우수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로 1wt%의 탄소나노튜브를 포함하는 알루미나 탄소나노복합재의 제조를 설명한다.
먼저, 용매로서 에틸알코올 또는 아세톤 995g과, 결합제로서 폴리비닐부티랄 5g을 계량하여 혼합한 후 어트리션볼밀로 용매에 결합제가 분산된 분산액을 제조하였다. 이 경우, 용매가 물일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결합제로 폴리비닐알코올 또는 카르복실메틸셀룰로오즈를 사용하며, 결합제의 양은 탄소나노소재의 양에 대해 25% 내외가 바람직하다.
다음, 상술한 바와 같이 제조된 분산액에 탄소나노튜브 10g을 혼합하여 기계적 밀링법으로 분산시켰다. 이 경우, 볼밀은 자유낙하에 의한 교반으로 고에너지 볼밀에 비해 교반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시간이 오래 걸리고, 충분한 분산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탄소나노소재의 균일한 교반 분산을 위해 비드밀, 어트리션볼밀과 같은 고에너지 볼밀법을 이용하였다.
계속하여, 상술한 방법에 따라 제조된 탄소나노튜브 페이스트에 알루미나 분말 1kg을 혼합하여 고에너지볼밀로 교반함으로써 탄소나노튜브와 알루미나를 균일하게 분산 복합화하였다.
도 2는 고형분에 대한 용매비율에 따른 건조후 탄소나노튜브 알루미나 탄소나노복합재 슬러리의 상층부와 하층부의 탄소나노튜브 함유량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로부터 용매의 혼합비율이 높아질 경우 세라믹 또는 금속 분말과 탄소나노튜브의 밀도 차이에 의해 탄소나노튜브가 부상 분리됨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제조된 슬러리를 건조, 소성 및 파쇄하였다. 이 경우, 슬러리의 파쇄시 알루미나가 파손되거나 알루미나에 의해 탄소나노튜브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저에너지 볼밀을 사용하였으며, 만약, 고에너지볼밀을 이용하고자 한다면 파쇄 시간이 30분을 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슬러리를 건조할 때에는 결합제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60 ~ 250℃ 범위에서 실시하였다.
도 3에는 본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알루미나 탄소나노복합분말의 주사식 전자현미경 사진을 도시하였다. 이로부터 알루미나 표면에 탄소나노튜브가 균일하게 분산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는 본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알루미나 탄소나노복합분말을 성형한 시편의 표면전기전도도를 도시하였으며, 이로부터 탄소나노튜브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 전기전도성도 증가함을 알 수 있다. 아울러, 일정 수준 이상의 탄소나노튜브가 함유되었을 때 전기전도성이 급격하게 향상됨을 알 수 있다.
한편, 도 5에는 본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알루미나 탄소나노복합분말을 성형한 시편의 굽힘강도를 도시하였으며, 이로부터 탄소나노튜브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 굽힘강도가 크게 증가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일정 수준 이상의 탄소나노튜브가 함유되었을 때 굽힘강도는 오히려 낮아져 기계적 강도를 구현함에 있어 용도에 적합한 적정 탄소나노소재 혼합비율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제 2 실시예
기계적 특성이 우수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로 1wt%의 탄소나노튜브를 포함하는 알루미늄 탄소나노복합재의 제조를 설명한다.
먼저, 용매로서 에틸알코올 또는 아세톤 995g과, 결합제로서 카르복실메틸셀룰로우즈 5g을 계량하여 혼합한 후 볼밀링으로 분산시켜 용매에 결합제가 용해된 분산액을 제조하였다.
다음, 상술한 바와 같이 제조된 분산액에 탄소나노튜브 10g을 혼합한 후 고에너지볼밀을 이용하여 강제 교반하였다.
계속하여, 상술한 방법에 따라 제조된 탄소나노튜브 페이스트에 알루미늄 분말 1kg을 혼합하여 고에너지볼밀로 2차 강제 교반함으로써 탄소나노튜브와 알루미늄을 균일하게 분산시켰다.
마지막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제조된 슬러리를 건조, 소성 및 파쇄하였다. 이 경우, 알루미늄에 의한 탄소나노소재의 파손을 최소화하기 위해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저에너지 볼밀을 사용하였으며, 건조시에는 결합제의 손상과 금속분말의 발화를 방지하기 위해 60 ~ 150℃의 온도 범위에서 실시하였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범위, 및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S100 : 용매와 결합제의 혼합 공정
S110 : 탄소나노소재 분산 공정
S120 : 탄소나노 페이스트 제조 공정
S130 : 탄소나노복합 슬러리 제조 공정
S140 : 탄소나노소재 분산 공정
S150 : 건조 및 파쇄 공정

Claims (8)

  1. (a) 용매에 결합제를 용해시켜 분산용액을 제조하는 단계와;
    (b) 상기 분산용액과 탄소나노소재를 혼합하는 단계와;
    (c) 상기 혼합된 용액을 기계적 밀링법으로 교반하여 탄소나노 페이스트를 제조하는 단계와;
    (d) 상기 탄소나노 페이스트와 세라믹 또는 금속 분말을 혼합하여 슬러리를 제조하는 단계와;
    (e) 상기 슬러리를 기계적 밀링법으로 교반하는 단계; 및
    (f) 상기 교반된 슬러리를 건조 및 파쇄하여 탄소나노복합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무기계 탄소나노복합분말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나노소재는 상기 탄소나노 페이스트에 대해 0.1 ~ 90의 중량비로 혼합되고, 상기 결합제는 상기 탄소나노소재에 대해 0.5 ~ 200의 중량비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무기계 탄소나노복합분말의 제조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나노소재는 탄소나노튜브, 탄소나노섬유, 플러렌, 탄소나노혼, 나노카본블랙, 탄소섬유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무기계 탄소나노복합분말의 제조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라믹 분말은 지르코니아(ZrO2), 알루미나(Al2O3), 실리카(SiO2), 타이타니아(TiO2) 중에서 선택되고, 상기 금속 분말은 알루미늄(Al), 구리(Cu)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무기계 탄소나노복합분말의 제조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적 밀링법은 비드밀링(Bead Milling), 롤밀링(Roll Milling), 볼밀링(Ball Milling), 어트리션밀링(Attrition Milling), 유성볼밀링(Planetary Milling), 제트밀링(Zet Milling), 스크류혼합밀링(Screw Mixing Milling), 초음파분산(Ultrasonic Dispersion)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무기계 탄소나노복합분말의 제조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는 물 또는 유기용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무기계 탄소나노복합분말의 제조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용매는 에틸알코올, 메틸알코올, 이소프로필알코올을 포함하는 알코올류, 아세톤류, 디메틸포름알데히드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무기계 탄소나노복합분말의 제조방법.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제는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부티랄, 카르복실메틸셀룰로오즈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무기계 탄소나노복합분말의 제조방법.
KR1020100117597A 2010-11-24 2010-11-24 전도성 무기계 탄소나노복합분말의 제조방법 KR2012005607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7597A KR20120056075A (ko) 2010-11-24 2010-11-24 전도성 무기계 탄소나노복합분말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7597A KR20120056075A (ko) 2010-11-24 2010-11-24 전도성 무기계 탄소나노복합분말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6075A true KR20120056075A (ko) 2012-06-01

Family

ID=466083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7597A KR20120056075A (ko) 2010-11-24 2010-11-24 전도성 무기계 탄소나노복합분말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56075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38024A1 (en) * 2015-02-27 2016-09-01 Gates Corporation Carbon nanostructure preblends and their applications
KR101879594B1 (ko) * 2016-12-20 2018-07-18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송전선용 복합선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79595B1 (ko) * 2017-08-30 2018-07-18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송전선용 복합선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75144B1 (ko) * 2019-10-14 2020-03-02 신기영 그래핀 복합 소성체와 이를 이용한 성형체 및 이들의 제조방법
KR20230067940A (ko) * 2021-11-10 2023-05-17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고함량의 탄소 재료 조성물의 분산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준비된 고분자 용액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38024A1 (en) * 2015-02-27 2016-09-01 Gates Corporation Carbon nanostructure preblends and their applications
US9550907B2 (en) 2015-02-27 2017-01-24 Gates Corporation Carbon nanostructure preblends and their applications
KR20170125363A (ko) * 2015-02-27 2017-11-14 게이츠 코포레이션 탄소 나노 구조체 예비 블렌드 및 그 응용
EP4286465A3 (en) * 2015-02-27 2024-02-28 Gates Corporation Carbon nanostructure preblends and their applications
KR101879594B1 (ko) * 2016-12-20 2018-07-18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송전선용 복합선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79595B1 (ko) * 2017-08-30 2018-07-18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송전선용 복합선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75144B1 (ko) * 2019-10-14 2020-03-02 신기영 그래핀 복합 소성체와 이를 이용한 성형체 및 이들의 제조방법
KR20230067940A (ko) * 2021-11-10 2023-05-17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고함량의 탄소 재료 조성물의 분산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준비된 고분자 용액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ang et al. Rapid and low temperature spark plasma sintering synthesis of novel carbon nanotube reinforced titanium matrix composites
Samaddar et al. Synthesis of nanomaterials from various wastes and their new age applications
Xue et al. Preparation and elevated temperature compressive properties of multi-walled carbon nanotube reinforced Ti composites
Tjong Recent progress in the development and properties of novel metal matrix nanocomposites reinforced with carbon nanotubes and graphene nanosheets
Su et al. Large-scale synthesis and mechanism of β-SiC nanoparticles from rice husks by low-temperature magnesiothermic reduction
Han et al. A review on the processing technologies of carbon nanotube/silicon carbide composites
Liao et al. Spark plasma sintered multi-wall carbon nanotube reinforced aluminum matrix composites
Inam et al. Dimethylformamide: an effective dispersant for making ceramic–carbon nanotube composites
KR101583916B1 (ko) 나노카본 강화 알루미늄 복합재 및 그 제조방법
CN100386258C (zh) 气凝胶碳纳米管及其制备方法和应用
George et al. Green and facile approach to prepare polypropylene/in situ reduced graphene oxide nanocomposites with excellent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shielding properties
Sarkar et al. Processing and properties of carbon nanotube/alumina nanocomposites: a review
KR20120056075A (ko) 전도성 무기계 탄소나노복합분말의 제조방법
KR101627016B1 (ko) 고분산성 탄소나노구조체와 그 제조방법 및 고분산성 탄소나노구조체를 포함하는 고분자 복합체
JPWO2007029588A1 (ja) 高機能複合材料及びその製造方法
US9512006B2 (en) Secondary structure of carbon nanostructure, bundle thereof and composite comprising same
KR20150075503A (ko) 파괴인성이 우수한 그래핀-세라믹 복합체의 제조방법
CN110157931B (zh) 一种具有三维网络结构的纳米碳增强金属基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CN111902478B (zh) 包含纤维素纤维和非纤维素粉粒物的可再分散的组合物
CN107055521A (zh) 规模化制备高度规则球形石墨烯微球的方法及该石墨烯微球
Hu et al. Preparation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Si3N4 nanocomposites reinforced by Si3N4@ rGO particles
JPWO2008004386A1 (ja) 高機能複合材料およびその製造方法
Pal et al. Facile synthesis and electrical conductivity of carbon nanotube reinforced nanosilver composite
CN111733347A (zh) 一种制备无机富勒烯增强铝基纳米复合材料的合成方法
Balázsi Silicon nitride composites with different nanocarbon additiv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